KR830001057B1 - 트랜스 - Google Patents

트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057B1
KR830001057B1 KR1019800002045A KR800002045A KR830001057B1 KR 830001057 B1 KR830001057 B1 KR 830001057B1 KR 1019800002045 A KR1019800002045 A KR 1019800002045A KR 800002045 A KR800002045 A KR 800002045A KR 830001057 B1 KR830001057 B1 KR 830001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transformer
magnetic
magnetic flux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2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유끼 야스무라
Original Assignee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이와마 가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이와마 가즈오 filed Critical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1019800002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0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6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트랜스
제1도∼제9도는 본원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0도는 본원 발명의 일례의 사시도.
제11도는 그 사용예를 나타낸 접속도.
제12도∼제14도는 그 설명을 위한 도면.
제15도, 제19도∼제24도는 본원 발명의 다른 예의 사시도.
제16도는 그 사용예의 접속도.
제17도 및 제18도는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23) : 자기코어 (N1), (N2), (Nc), (Ns) : 코일
본원 발명은 트렌스에 관한 것이며, 더 한층 상세하게 말하면, 가포화(可飽和) 트랜스 및 스위칭 조정기(switching regulator)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정전압회로내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신규의 트랜스에 관한 것이다.
파라메트릭스발진에 의하면, 제1도에 나타낸 공진회로에 있어서, 인덕턴스을 이 회로의 공진주파수의 2배의 주파수로 변화시키면, 공진주파수에 같은 진동전류가 발생한다. 즉, 인덕턴스 을,
L=Lo(1+mcos2ωt)
m=L'/Lo(여진(f) 계수)
Q= WLo/R, ω=2πf
R : 공진회로의 내부저항
과 같이 계수 m으로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면, m>2/Q일 때 이 회로는 각(角) 주파수 ω 로 발진하고, 그 발진에너지를 출력으로서 꺼낼 수 있다.
또. 이 경우,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덕턴스 L이 포화영역(비선형영역)을 갖고 있으며 이것에 의해 그 발진출력은 제한되고, 따라서, 정전압출력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 때의 출력전압 Eo
= N
Figure kpo00001
=KNωSB3
Figure kpo00002
로 표시된다.
따라서, 포화영역을 갖는 트랜스를 사용해서 파라메트릭스발진을 행하면, 예를 들어 DC-DC 콘버어터를 구상할 수 있는 동시에, 정전압 출력을 꺼낼 수 있다.
그래서, 그와 같은 트랜스로서 예를 들어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트랜스가 고려되고 있다.
즉, 제3도에 있어서 (10)은 그 트랜스를 전체로서 나타내고, (11), (12)는 그 한쌍의 자기(磁氣) 코어이며, 이들 코어(11), (12)는 예컨데 정방형 또는 장방형의 판상(板狀)의 코어기부(10E)와, 그 네귀(四
Figure kpo00003
)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서로 같은 단면적의 자각(磁脚)(10A)∼(10D)를 가지며, 코어(11), (12)는, 자각(10A)∼(10D)와 (10A)∼(10D)가 단부(端部)를 가지고 서로 접하도록 대향되고, 따라서, 전체로서 입방체 내지 직방체가 되도록 조립되어 있다. 그리고 코어(11), (12)는 예를 들어 FE-3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코어(11)의 자각(10C) (10D)에 걸쳐서 여자코일 N1이 감겨지고, 코어(11)의 자각 (10A) (10C)에 걸쳐서 파라메트릭스발진코일 N2(제1도의 인덕턴스 L)가 감겨지는 동시에, 코어(12)의 자각 (10A) (10C)에 걸쳐서 제어코일 Nc가 감겨져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코일 N1과 N2와는 트랜스결합이 되고, 코일 N1, N2와 Nc와는 직교결합(直交結合)으로 되지만, 이 때의 코일 N1과 N2와의 결합계수는 0.5∼0.6정도로 되어 있다. 그리고 EC는 제어전압원이다.
이와 같은 트랜스(10)에 의하면, 예를 들어 제4도에 나타낸 극성의 자속분포상태로 된다. 즉, 코일 N1의 여자전류를 I1, 코일 N2의 발진전류를 I2, 코일 N2에서 꺼내지는 부하전류를 IL이라고 하면, 이 트랜스(10)의 전기자력(全起磁力) NI는 NI=N1I1+N2I2-N2IL이 된다. 그리고 이 기자력 N1에 의해 출력전압 E0의 정(正)의 반사이클기간에 생기는 자속을 +ψs(제4b도), 부(負)의 반사이클 기간에 생기는 자속을 -ψs(제4b도)로 하고, 또 제어코일 Nc와, 이것에 흐르는 제어전류 Ic에 의해서 생기는 자속을ψc라고 하면, 정의 반사이클기간(제4a도)에는 자각(10A),(10D)에 있어서 자속ψ3와 ψc가 서로 감해지고, 자각(10B), (10C)에 있어서는 자속 ψc와 ψc가 서로 가해져서 부의 반사이클(제4b도)에는 역(逆)의 관계로 된다.
따라서, 제5도의 B-H 특성(자화특성)에 있어서, 정의 반사이클 기간의 피이크시점에 있어서의 자각(10A), (10D)의 동작점은 점 ⓛ이 되고, 자각(10B), (10C)의 동작점은 점 ②가 되며, 부의 반사이클기간의 피이크시점에 있어서의 자각(10B), (10C)의 동작점은 점 ③이 되고, 자각(10A),(10D)의 동작점은 점④가 된다. 따라서, 자각(10A), (10D)의 동작영역은 화살표(1A)의 구간이 되고, 자각(10B), (10C)의 동작영역은 화살표(1B)의 구간이 되고, 정의 반사이클기간의 출력전압 E0는 점 ①의 자각(10A), (10D)의 자속밀도 +BS로 결정되며 부의 반사이클기간의 출력전압 Eo는 점 ③의 자각(10B), (10C)의 자속밀도 -B3로 결정되게 된다.
그리고, 점 ①, ③은 자속 ψc에 의해 변화하고, 자속 ψc는 제어전류 Ic로 변화하므로, 전류 Eo를 제어하면, 출력전압 Eo는 제어할 수 있게된다.
제6도는 이 트랜스(10)의 등 가회로를 나타낸 것으로 출력전압 Eo(t)는
Eo(t)=
Figure kpo00004
ψ(t)=
Figure kpo00005
{Li(t)}
=L
Figure kpo00006
+i(t)
Figure kpo00007
=N
Figure kpo00008
+i(t)
Figure kpo00009
이 되며, 제1항은 트랜스 결합에 의해 유기하는 전압, 제2항은 파라메트릭스결합에 의해 유기하는 전압이다. 즉, 출력전압 Eo(t)에는 트랜스결합에 의한 전압과, 파라메트릭스발진에 의한 전압이 포함되어 있다(양전압의 비율은 코일 N1과 N2와의 결합계수, 즉 코어의 형상 및 코일의 권장방법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Ic=0일 때의 자속을 ψ1서로 가할때의 자속을 ψ2, 서로 감할 때의 자속을 ψ3, 자속 ψ1와 ψ2, ψ3와의 변화분을 Δψ2, Δψ3라고 하면, Ic=0일 경우의 출력전압 eo
Figure kpo00010
이 된다. 또, 1 Ic≠0이고 자속 ψ3가 비선형영역에 있을 경우의 출력전압 eos
Figure kpo00011
이 된다.
그리고, B-H 특성의 비선형성 때문에
Δψ3〉Δψ2
이므로,
eo-eos=(Δψ3-Δψ2)(KNf+
Figure kpo00012
Figure kpo00013
)
이 되고, 또한 점 ④, ②가 포화영역에 있으면
Figure kpo00014
이 되므로,
eo-eos=Δψ3(KNf+
Figure kpo00015
Figure kpo00016
)
이 된다. 따라서, 이 식에 의하면, 제어전류 Ic에 의해서 자속의 변화분 Δψ3를 제어하면, 출력전압 Eo를 제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제어감도(Δψ3/ΔIc)를 높이는데는
Ⅰ 코어(11), (12)로서 각형(角形) 히스테리시스특성의 자성제를 사용한다.
Ⅱ 코어(11), (12)의 자기저항을 작게한다(예를들면, 코어(11), (12)사이의 갭을 없앤다. 코트자율의 자성재로 한다. 자로장(磁路長)을 짧게 한다. 단면적을 크게하는 등).
등의 방법을 채용하면 되며, 필요한 제어감도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여자코일 N1및 발진코일 N2에 대해서 직교결합이 되는 제어코일 Nc를 설치하고, 이것에 흐르는 제어전류 Ic를 변화시키면, 트랜스(10)의 최대자속밀도 B3가 제어되고, 결과로서 출력전압 Eo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최대자속밀도 B3의 온도변화, 입력전압의 변동, 부하변동 등을 제어전류 Ic에 귀환시키면, 그 출력전압 Eo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다음에 제어전류 Ic에 의한 제어범위에 대해서 고찰한다.
코어(11) (12)로서 페라이트재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발열에 의해 최대자속밀도 Bs가 대폭으로 변화하고, 예를들어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온도 T의 0℃에서 100℃와 변화에 대해서 Δψ1=30%정도 감소한다. 따라서 허용온도를 0℃∼100℃라고 하면 동작점 ①∼⑤는 T=100℃에 있어서의 B-H 곡선상에 설정할 필요가 있다.
또, 입력전압의 변동 및 부하의 변동에 대해서도 정전압특성을 얻는데는 동작점 ①에 있어서,
NI-NcIc=일정
≡ NIo
이면 된다.
따라서,
N1=N2=N
I2=I2'+IL
라고 하면, 윗식에서
Figure kpo00017
가 되고, 이것을 도시하면, 제9도처럼 된다.
따라서, 온도에 의한 최대자속밀도 Bs의 변화를 고려해서 ⓐ점에서 최대입력전압·최소부하가 되고, ⓑ점에서 최소입력전압·최대부하기 되도록 제어전류 Ic에 의한 제어범위를 설정하면 된다.
이와같이 제3도의 트랜스(10)에서는 코일 Nc의 전류 Ic를 변화시면, 그 출력전압 Eo를 제어할 수 있다. 또 콘덴서 C를 접속하지 않을 경우에는 보통의 트랜스결합이 되지만, 마찬가지로 해서 출력전압 Eo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트랜스의 철손(鐵損)은 자기코어(자심)의 체적, 여진주파수, 자속밀도에 비례하고, 동손(銅損)은 코일의 권회수(卷回數), 코어의 체적에 비례하며, 전손실(全損失) Wt는
WT=Wf+Wc
Wf : 철손
Wc : 동손
이 된다. 그리고, 트랜스의 온도상승을 ΔT, 출력용량을 Po토 하면,
ΔT=
Figure kpo00018
Na : 코일의 유효단면적
Po=βSNaf BsFsJ f : 여진주파수
α : 열전달정수에 의거한 정수 Bs: 최대자속밀도
A : 트랜스의 전방열면적 Fs: 코일의 점적율(占積率)
β : 파형율에 의거한 정수 J : 코일의 전류밀도
S : 코어의 유효단면적
로 표시된다.
따라서, 상술한 트랜스(10)에 있어서도, 출력 Po가 일정할 경우에는, 최대자속밀도 Bs를 크게 할수록, [SNa]가 작아지므로, 트랜스(10)를 소형 경량화할 수 있다. 그러나, 트랜스(10)를 소형화하면, 단면적 S가 작아지므로, 손실 Wt에 의한 온도상승 ΔT가 커져 버린다.
그리고, 이와 같이 온도상승 ΔT가 큰 것은 신뢰도의 저하를 초래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방열(放熱) 때문에 트랜스(10)를 어느 정도, 이상으로 작게할 수가 없어지므로, 전원장치를 구성했을 경우, 이것이 대형화·중량화해 버린다.
본원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트랜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음에 그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0도에 있어서, (20)은 그 트랜스를 전체로서 나타내며, 이것은 자심(慈心)으로서 자기코어(21)∼(23)을 갖는다. 즉, 코어(21)는 예를 들어 정방형의 판상의 코어기부(21J)와, 그 양면의 네귀(四
Figure kpo00019
)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서로 같은 단면적의 자각(21A)∼(21H)를 가지며, 코어(22), (23)는 코어(21)의 기부(21J)와 동형(同形)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코어(22)는 자각(21A)∼(21D)의 단면(端面)에 대해서 소정의 갭을 갖는 상태로 대향되고, 코어(23)는 자각(21E)∼(21H)의 단면에 대접되며, 따라서 코어(21)∼(23)은 전체로서 입방체 내지 직방체가 되도록 조립되어 있다. 그리고 코어(21)∼(23)은 예를들어 페라이트재(材), 예를들면 FE-3에 의해 형성된다.
또, 자각(21A), (21B)에 걸쳐서 후술하는 안정화용의 초오크코일이 되는 코일 Ls가 감겨지고, 자각(21F)(21H)에 걸쳐서 입력코일 N1및 출력코일 N2가 감겨지는 동시에, 자각(21E), (21F)에 걸쳐서 제어코일 Nc가 감겨져 있다.
그리고, 이 트랜스(20)를 사용한 전원장치는 예를 들어 제11도처럼 구성된다. 단 이 예에서는 출력전압 Eo는 트랜스 결합만에 의해서 꺼내지는 경우이다.
즉, 제11도에 있어서 (31)은 예를 들어 100V의 상용교류전원, (32)는 그 교류전압을 정류하는 정류회로를 나타내며, 이 정류회로(32)의 출력단에 트랜스(20)의 코일 Ls및 N1과, 스위칭용의 트랜지스터 Qd의 콜렉터·에미터사이가 직렬 접속되는 동시에 트랜지스터 Qd의 콜렉터·에미터사이에 스위칭용의 다이오우드 Dd와 공진용의 콘덴서 Cd가 병렬 접속된다.
또, 트랜지스터 Qa, Qb에 의해 비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33)가 구성되어서 주파수가 예를 들어 15KHz∼20KHz 정도의 펄스가 형성되고, 이 펄스가 드라이브용의 트랜지스터 Qc를 통해서 트랜지스터 Q의 베이스에 공급된다.
또한, 트랜스(20)의 코일 N2에 정류회로(34)가 접속되고, 그 출력단에 부하 RL이 접속된다.
또, (40)은 출력전압 Eo의 크기를 검출해서 제어전류 Ic로 하는 제어회로를 나타내고, 정류회로(34)의 출력전압 Eo가 제어회로(40)에 동작전압으로서 공급되는 동시에, 가변저항기 Ra에 공급되며, 그 분압출력과 정전압다이오우드 Dz에 얻어지는 기준전압이 트랜지스터 Qe에 의해 비교되고, 그 비교출력이 트랜지스터 Qf를 통해서 트랜지스터 Qg에 공급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 Qg의 콜렉터에는 트랜스(20)의 제어코일 Nc가 접속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멀티바이브레이터(33)의 출력펄스에 의해서 트랜지스터 Qd가 스위칭되므로 텔레비전수상기의 수평편향회로와 마찬가지의 동작이 행해지고, 트랜스(20)의 코일 N1에는 여자전류가 흐른다. 또한 이 경우, 코일 Ls에는 트랜지스터 Qd의 온기간의 콜렉터전류를 제한해서 그 스위칭동작을 안정화하는 것이다. 단 이때,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Ls에 의한 자속(파선)과 코일 N1, N2의 자속(실선)과는 직교하므로, 코일 Ls와 코일 N1, N2와는 간섭하지 않는다.
따라서, 코일 N2에 출력이 얻어지고, 이것이 정류회로(34)에 공급되어서 부하 RL에 예컨대 EO=115V의 직류전압이 공급된다.
그리고, 이경우, 출력전압 Eo의 변동이 트랜지스터 Qe에 의해 검출되고, 그 검출출력이 트랜스(20)의 코일 Nc에 제어전류 Ic로서 흐른다. 즉, 출력전압 Eo가 높아지면, 트랜지스터 Qc의 콜렉터전류가 증가해서 트랜지스터 Qf의 콜렉터전류가 증가하고, 따라서 코일 Nc의 제어전류 Ic가 커져서 최대자속밀도 Bs가 작아지므로 출력전압 Eo는 낮아지고, 출력전압 Eo가 낮아지면, 반대로 전류 Ⅱc가 작아져서 자속밀도 Bs가 커지고, 출력전압 Eo는 높아진다. 따라서 출력전압 Eo는 일정하게 안정화된다.
이렇게 해서 본원 발명의 트랜스(20)를 사용해서 정전압전원장치를 구성할 수 있지만, 이 경우, 트랜스(20)에는 코일 Ls을 일체화하고 있으므로, 코일 Ls를 별체로 했을 경우에 비해서, 전체를 소량화 경량화할 수 있는 동시에, 방열이 좋아진다. 즉, 트랜스(20)가 예를들어 제13도에 나타낸 크기라면 그 자심의 체적 V13 및 외측 전표면적 A13은
V13=22a3+4a3+9a3=35a3
A13=50a2+4×4×a2=66a2
이 된다. 이것에 대해서 제14도에 나타낸 자심을 2조(租) 사용하여 코일 L3를 별체로 했을 경우에는 각각의 자심에 대해서 체적 및 면적 V14
V14=2×9a3+4×a3=22a3
V14=2×9a2+4(9a2-a2)=50a2
이 된다.
따라서, 제13도의 자심, 즉, 본원 발명에 의한 트랜스(20)에 있어서는 체적이 20%에 있어서는 체적이 20% 감소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표면적은 24%증가한다. 따라서,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고, 더구나 방열을 유효하게 행할 수 있다. 실험에 의하면, a=9mm, Eo=115V, 부하 RL의 소비전력 PL=70W로 했을 경우, 제6도의 자심에서는 방열판을 달아도 온도상승이 70℃였지만, 본원 발명의 트랜스(20)에 있어서는 온도상승은 37℃이며, 온도상승이 훨씬 적다. 또한 제6도의 자심에서는 입력전력이 90W인데 본원 발명의 트랜스(20)에서는 방열판에 의한 와전류손(渦電流損)이 없어지므로, 입력전력은 89W로 감소했다.
또, 트랜스(20)의 자각(21A)∼(21D) 및 코어(22)에 의해 방열이 행해지고 있지만, 이들의 온도가 상승해도 투자율(透磁率)은 변화하지 않으므로, 코일 Ls의 인덕턴스는 일정하게 유지되고, 자각(21A)∼(21D) 및 모어(22)가 유효하게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된다. 또한 예를들어 부하 RL이 쇼오트해도 코일 Ls가 트랜지스터 Qd의 부하로되므로, 과부하에 대해서 트랜지스터 Qd는 자동적으로 보호된다. 즉 코일 Ls는 안정화용과 동시에 보호용으로서도 작용한다.
또, 트랜스(20)의 소형화에 수반해서 권선(卷線)이 짧아지는 동시에, 부품점수가 감소하고, 또한 방열판도 불필요하므로, 원가절감에도 유효하다.
제15도는 본원 발명의 다른 예를 나타내며, 이 예에 있어서는 텔레비전수상기의 플라이백트랜스, 수평출력트랜스, 좌우의 핀쿠션변형보정용 트랜스도 일체화된 경우이다. 즉, 코어(21)와 똑같은 코어(24)가 코어(21)와 (23)과의 사이에 설치되고, 코어(21)에 수평출력트랜스의 입력코일 Nh와 안정화용코일 Ls가 직교결합으로 되도록 감겨지고, 코어(21), (24)에 코일(N1, N2및 플라이백트랜스의 고압코일 Nf와 제어코일 Nc가 직교 결합으로 되도록 감겨지고, 또한 코어(24)에 핀쿠션변형보정트랜스의 입력코일 Na와 출력코일 Np가 직교결합으로 되도록 감겨진다.
그리고, 이 트랜스(20)는 예를 들어 제1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된다. 즉, (41)은 수평발진회로, (42)는 수평드라이브회로, De는 댐퍼다이오우드, Ce는 공진용콘덴서, Lh는 수평편향코일, (43)은 수직주기의 파라볼라전압의 형성회로이다.
그런데, 상술한 예에 있어서는 모두 트랜스(20)의 동작이 제5도에서 설명되지만, 그 동작점을 변경할 수도 있다.
즉, 제17도 및 제1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속 βs, ψc가 서로 감할때의 동작점 ①, ③을 선형영역으로 하고, 서로 가할때의 동작점을 ②, ④를 비선형영역으로 하면,
Ic=0일 경우의 출력전압 eo
eo=N
Figure kpo00020
11)
이 되고 Ic≠0이며 ψ2가 비선형영역에 있을 경우의 출력전압 eos
eos=N
Figure kpo00021
23)
=N
Figure kpo00022
{2ψ1-(Δψ3-Δψ2}
가 된다. 따라서
eo-eos=N
Figure kpo00023
(Δψ3-Δψ2)
=KNf(Δψ3-Δψ2)
가 되므로
Δψ3≫Δψ2
라고 하면
eo-eos=KNfΔψ3
가 된다. 따라서 제어전류 Ic에 의해서 Δψ3가 변화해서 출력전압 Eo가 변화하므로 정전압출력을 얻을 수 있다.
더구나, 이 경우에는 자속밀도 BS가 작아지므로 여자전류 I1을 작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코어 (11),(12)의 철손이나 코일 N1의 동손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염가의 페라이트코어로도 발열이 적어진다.
제19도는 트랜스(20)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며, 이 예에 있어서는 코어(21)는 장방형의 코어기부(21J)와, 그 네귀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자각(21A)∼(21F)를 갖는 동시에, 이 코어(21)의 한쌍이 각부(脚部)(21A)∼(21F)로서 서로 대향되고, 전체로서 직방체가 되도록 조립된다. 단 이 경우, 자각(21E) 및 (21E)의 사이와, 자각(21F) 및 (21F)의 사이에는 갭 Lg가 형성된다.
그리고, 자각(21E), (21C), (21A)에 걸쳐서 코일 Ls와 N1을 공용하는 코일(Ls+N1)이 감겨지고, 자각(21C), (21A)에 걸쳐서 코일 N2가 감겨지는 동시에, 자각(21A), (21B)에 걸쳐서 코일 Nc가 감겨진다.
따라서, 코일(Ls+N1)중의 코일 Ls에 해당하는 부분에 의한 자속은 제20도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되며, 코일 N1, N2의 자속은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되는 동시에, 코일 Nc의 자속은 쇄선(鎖線)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그리고 이 경우,
Figure kpo00024
Figure kpo00025
A : 자각(21E), (21F)의 단면적=2E2
μe : 실효비(實效比)투과율
L : 코일 Ls의 자로(磁路)(파선)의 평균길이가 된다.
따라서, 이 트랜스(20)에 있어서도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동작을 할 수 있다.
제21도의 트랜스(20)에 있어서는 코일(Ls+N1)이 코어(21E), (21C)에 걸쳐서 감겨진 경우이다. 또, 제22도의 트랜스(20)에 있어서는 수평출력트랜스의 입력코일 Nh도 감겨진 경우이다. 또한, 제23도의 예에 있어서는 자각(21E)에 자각(21F)이 일체화된 경우이다.
또, 제24도의 트랜스(20)에 있어서는 자기적으로는 제(10)도의 트랜스(20)와 같지만, 그 코어(21)∼(23)을 서로 동형으로 했을 경우이며, 즉, 코어기부(21J)의 네귀에서 직교하는 방향에 자각(21A)∼(21D)가 연장되어서 코어(21)∼(23)으로 된 경우이다.
그리고, 상술한 트랜스(20)에 있어서는 파라메트릭스발진을 행하는데는 코일 N2에 공진용콘덴서 C를 병렬 접속하면 되며, 이 경우 코일 Ls에 콘덴서를 병렬 접속해서 여진주파수에 공진시키면, 트랜지스터 Qd의 콜렉터전압의 성분이 출력전압 Eo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다.
또, 파라메트릭스발진을 할 경우에는 트랜스(10)와 마찬가지로 코일 N2를 자각(21E), (21G)에 걸쳐서 감아도 좋다.

Claims (1)

  1. 제1, 제2, 제3 및 제4의 자각(磁脚)과 상기 4개의 자각에 자기적(磁氣的)으로 합쳐지는 두 공동부분을 가진 제1의 코어(Core)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의 자각에 감겨진 1차 권선(卷線)과 : 교번(alternating) 자속(磁束)이 상기 1차 권선으로부터 2차 권선으로 전달되는 방식으로 상기 자각에 감겨진 2차권선과 : 교번 자속이 상기 1차 권선으로부터 제어 권선으로 전달되지 않는 방식으로 상기 제1 및 제3의 자각에 감겨진 제어권선과 상기 제1의 코어수단의 한 공동부분과 합쳐져서 자기루우프(Magnetic Loop)를 형성하는 제2의 코어 수단과, 그리고 상기 제2의 코어수단의 자기루우프에 감겨진 코일(Coil)수단으로 이루어진 트랜스.
KR1019800002045A 1980-05-24 1980-05-24 트랜스 KR830001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2045A KR830001057B1 (ko) 1980-05-24 1980-05-24 트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2045A KR830001057B1 (ko) 1980-05-24 1980-05-24 트랜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057B1 true KR830001057B1 (ko) 1983-05-27

Family

ID=19216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2045A KR830001057B1 (ko) 1980-05-24 1980-05-24 트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05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39792A (en) Voltage regulator using saturable transformer
US5335163A (en) Power supply circuit with integrated magnetic components
GB2029116A (en) Regulating transformer with magnetic shunt
US4308495A (en) Transformer for voltage regulators
KR830001057B1 (ko) 트랜스
JP2001268823A (ja) 非接触給電装置
JPH0427797B2 (ko)
JPH07245222A (ja) リアクター及びトランス
JP5004260B2 (ja) 外鉄型パワートランス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力変換装置
JP3305997B2 (ja) 磁気バイアスされた誘導電磁器
JP3789333B2 (ja) 電磁機器
KR840002386B1 (ko) 전원장치
JPS626870Y2 (ko)
JPS631591Y2 (ko)
JP4352478B2 (ja) 直交磁界変圧器
JP4352477B2 (ja) 直交磁界変圧器
RU1777182C (ru) Трансформаторный регул тор однофазного напр жени
Tian et al. Analysis of power supply from high-voltage side for electronic Current Transformer
JPS61185069A (ja) Dc−dcコンバ−タ
JP3650694B2 (ja) 非接触給電方法
JPH11260658A (ja) 電源装置
SU1764127A1 (ru)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посто нного напр жени в посто нное
JPH0349540A (ja) 充電回路
JPS6011610Y2 (ja) 昇圧器
JPS62189974A (ja) 磁気制御型dc−dcコンバ−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