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965B1 - 인축경 피독성이 작은 살충제 - Google Patents

인축경 피독성이 작은 살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965B1
KR830000965B1 KR1019790003181A KR790003181A KR830000965B1 KR 830000965 B1 KR830000965 B1 KR 830000965B1 KR 1019790003181 A KR1019790003181 A KR 1019790003181A KR 790003181 A KR790003181 A KR 790003181A KR 830000965 B1 KR830000965 B1 KR 830000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nular
acrylic polymer
intrinsic viscosity
composition
di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3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831A (ko
Inventor
로버어트 파사렐라 넌지오
Original Assignee
죤 제이 헤이간
아메리칸 사이아나밋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죤 제이 헤이간, 아메리칸 사이아나밋드 캄파니 filed Critical 죤 제이 헤이간
Publication of KR830000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9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phosphorus compounds
    • A01N57/1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phosphorus compounds having phosphorus-to-oxygen bonds or phosphorus-to-sulfur bonds
    • A01N57/1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phosphorus compounds having phosphorus-to-oxygen bonds or phosphorus-to-sulfur bonds containing acyclic or cycloaliphatic 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2Ingredient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substance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e.g. toxicity reducing compositions, self-destructing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2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in coated particulate for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phosphorus compounds
    • A01N57/2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phosphorus compounds having phosphorus-to-nitrogen bonds
    • A01N57/3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phosphorus compounds having phosphorus-to-nitrogen bonds containing heterocyclic radic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축경 피독성이 작은 살충제
본 발명은 인을 함유하는 살충제를 코오팅시키거나 함침(含浸)시킨 입상(粒狀)매개체로 된 인축경피독성이 작은 살충제에 관한 것으로서, 그 예로서는 2-디에톡시포스피닐이미노-1,3-디티오란, 2-(디에톡시포스피닐이미노)-4-메틸-1,3-디티오란, 2-(디에톡시포스피닐이미노)-1,3-디티에탄, 0,0-디에틸 s-(에틸티오메틸)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 0,0-디에틸 s-{〔(1,1-디메틸에틸)티오〕메틸}-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 또는 이들의 동등화합물을 아크릴 중합체로 코오팅시킨 것들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일정한 양상으로 비교적 단기간에 걸치거나 또는 장기간에 걸쳐 주위환경 속으로 독약을 방출하도록 되어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러가지 인(燐)계통의 살충제, 즉 2-(디에톡시포스피닐이미노)-1,3-디티오란, 2-(디에톡시포스피닐이미노)-4-메틸-1,3-디티오란, 2-(디에톡시포스피닐이미노)-1,3-디티에탄, 0,0-디에틸 s-(에틸티오메틸)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 및 0,0-디에틸 s-{〔(1,1-디메틸에틸)티오〕메틸} 포스포로디티오 에이트등과 같은 것은 수입식품 및 사료작물을 공격하여 파괴시키는 여러가지 광범위한 종류의 곤충이나 선충(線蟲)을 억제하는데 극히 효과가 있다.
더욱이 이러한 화합조성물을 농업에 여러가지로 사용할 수 있는데 불행하게도 이러한 고도의 살충력이 있는 살충제가 섭식(攝食), 흡입 또는 표피흡수등에 의하여 인체의 순환계통중에 도입되면 극도의 독성을 나타낸다. 해충억제용으로 따라서 위에 나온 화합물들을 함유한 조성물을 사용하면 사용시에 독특한 해를 끼치게된다. 저장이나 수송 및 이러한 조성물을 최종 소비자에게 공급하는데 종사하고 있는 사람등에게 있어서도 이와 유사한 해가 나타나고 있다.
위에 나온 화합물을 충해제어용으로 실제로 사요함에 있어서 매개체 조성물의 표면에 또는 속으로 살충제를 흡착내지 흡수시킨 입상의 매개체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다. 입상조성물은 농경적인 면에서 적절히 사용할 수 있도록 활성살충제를 휠씬 희석시킬 수 있을뿐만 아니라 표피흡수를 통한 살충제의 인체에 대한 해를 감소시켜 준다. 이러한 조제된 조성물이 위에 나온 살충제의 표피흡수로 인한 해를 감소시킨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해를 한층더 저하시켜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전술한 바와같이 인축경피독성이 작고 효능이 그대로 보유된 살충제를 함유한 입상 조성물을 만듬과 아울러 이러한 살충제를 함유한 종래의 조성물에서 볼 수 없는 다른 안전특성이 있는 조성물을 만드는데 있다. 기타 목적으로는 본 발명을 상술하며 가면서 명백히 하겠다.
이러한 목적으로 전술한 바 있는 살충제를 함유한 고체입상 조성물을 아크릴라텍스나 유기용매중에 아크릴중합체를 용해시킨 용액과 더불어 분무처리하면 최종적으로 나타나는 아크릴중합체로 코오팅이된 조성물은 종래의 이외 유사한 코오팅처리가 안된 조성물에 비하여 인축경피독성이 작은 안전성이 2배-3배가 되는 조성물이되며, 한편으로는 코오팅처리가 되더라도 살충력과 물리적인 특성에는 하등의 변화가 없도록 한 것이다. 유기용매중에 어떤 중합체를 용해시킨 용액이나 아크릴라텍스 조성물같은 것을 살충제를 함침하고 있는 입자 표면에 코오팅하므로서 직접적인 방법으로 이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아크릴 중합체를 코오팅하기전에 입자조성물을 만드는데, 즉 약 2-25wt%의 독약을(대체로 2.5-20wt%가 좋음) 적절한 입상 매개체에 합침시켜 제조하는데, 독약으로는 2-(디에톡시포스피닐이미노)-1,3-디티오란, 2-(디에톡시포스피닐이미노)-4-메틸-1,3-디티오란, 2-(디에톡시포스피닐이미노)-1,3-디티에탄, 0,0-디에틸 s-(에틸티오메틸)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 0,0-디에틸 s-{〔(1,1-디메틸에틸)티오〕메틸}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등을 사용한다. 매개체로는(가)애터펄자이트(attapulgite)나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점토류), 벽돌부스러기, 경석(輕石), 활석, 화산재(火山灰), 옥수수 입상물(粒狀物)등의 흡수성 물질이나(나)모래 또는 석회석 입자 같은 비흡수성 물질을 사용한다. 흡수성 물질을 사용할 경우 에틸렌 글리콜, 디-, 트리-또는 테트리에틸렌 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탈활성제(脫活性劑)를 조성물에 대해 약 3-6wt% 정도의 양으로 가하여 고유의 산도(酸渡)를 중화시킨다.
이 경우에 있어서 입상 매개체의 양을 조성물에 가하는 탈활성제의 양과 동일한 양으로 감소시킨다. 편리하게도 위에 나온 입상조성물을 하소(하소)점토분말, 규조토, 규산칼슘, 소수성(疎水性)실리커등과 같은 흡수성(吸水性) 기재(基材)를 미분말로 만든 것을 조성물에 대하여 약 0.5-2wt%정도를 사용하여 혼합하든지 또는 코오팅하는데, 여기서 사용되는 실리커는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친수성(親水性)히도록시기의 대부분을 트리메틸실록시기 등으로 바꾸어 주므로서 소수성으로 만든 것이다. 이러한 흡수성기재를 입상 배합물에 가하여 주면 응집물의 자유유동생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데 이것은 특히 아크릴 중합체를 분무하여 준후에 나타난다. 앞에서 나온바 있는 아크릴 라텍스 분무등과 같은 적절한 방법으로 함침된 입상 배합물을 코오팅하는 것이 좋다. 코오팅을 할때는 아크릴중합체의 에멀젼이나 기타 적합한 아크릴 중합체 용액을 전체 입상 배합물에 대하여 약 0.5-5wt%정도, 대체로 1.5-4wt%정도로하여 아크릴중합체의 코오팅이 충분히 될 수 있을 정도 양으로하여 분무한다. 위에 나온 아크릴 라텍스의 예로서는 (가) 고형분이 약 38-43wt%이고 고유점도가 테트라히드로푸란(THE : tetrahydrofuran) 중에서 30℃에서 0.75-3.1dℓ/g인 열가소성 아크릴 에멀젼 중합체, (나)고형분이 약 45-46wt%이고 디메틸포름아미드(DME : dimethylformamide) 중에서 30℃에서의 고유점도가 1.0-2.0, 대체로 1.4dℓ/g인 가교결합성 아크릴 에멀젼 중합체, (다) 부탄올중에서 30℃에서의 고유점도가 0.05-0.1dℓ/g, 대체로 0.085dℓ/g인 테트리히드로푸르푸릴알코올 중에 용해한 아크릴 중합체 용액등이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장점으로서는 다단계로된 직접법으로서 코오팅이된 입상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는 점이다. 독약성분으로는 0,0-디에틸 s-{〔(1,1-디메틸에틸)티오〕메틸}포스포로디티오 에이트와 같은 것을 약 2-30wt. 정도, 대체로 2.5-20% wt%정도 사용하여 에틸렌글리콜, 디-, 트리-또는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로된 탈활성제를 약 3-6wt%와 혼합한다.
전체 혼합물의 중량 백분율은 매개체의 중량에 대한 것이다. 이 혼합물을 애터펄자이트 및 몬모릴로나이트 점토류, 벽돌부스러기, 경석, 활석, 파산제, 옥수수속 입상물, 모래 및 석회석 부스러기 같은 것으로된 입상 매개체 위에 분무하는데 매개체의 사용량은 배합물에 대해 약 68-94wt%정도, 대체로 68-92wt%정도로 사용한다. 분무가 끝나면 혼합물을 계속 교반하여 액체 전부를 흡수시킨 다음8필요에 따라 흡수성기재 약 0.5-2wt%를 가하고 혼합물을 계속 교반하여 균일한 혼합이 되게 한다.
흡수성 기재로서는 하소점토분말, 규조토, 규산칼슘 및 소수성 실리커등을 사용한다. 이렇게 하여 만든 배합물을 적절한 장치를 사용하여 교반한 후 아크릴 란텍스(아크릴중합체 에멀젼)이나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알코올과 같은 용액중에 아크릴 중중합체를 용해한 용액을 사용하여 분무하는데, 이때의 아크릴 중합체 사용량은 입상 배합물에 대해 약 0.5-5wt%정도, 대체로 약 1.5-4wt.%정도를 사용하여 코오팅이 충분히 될 수 있는 양으로 한다. 라텍스물질로는 고형분이 약 38-43wt%이고 THE(테트라히드로푸란)중에서 30℃에서의 고유점도가 0.75-3.1dℓ/g인 경질의 열가소성 아크릴 에멀젼 중합체나, 고형분이 약 45-46wt.%이고, 디메틸포름아미드(DMF)중에서 30℃에서의 고유점도가 1.0-2.0정도, 대체로 약 1.4dℓ/g정도인 경질의 자체 가교결합성이 있는 아크릴 에멀젼 중합체 또는 부탄올 중에서 30℃에서의 고유점도가 0.05-0.1dℓ/g정도, 대체로 0.085dℓ인 아크릴 중합체를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중에 가한 용액가운데서 선택하여 사용한다. 필요에 따라 이들 배합물을 가열하여 코오팅이 빨리 경화되게 할 수도 있다.
위에 나온 화합물들을 여러가지 주어진 범위내의 량(wt.%)과 배합율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면 여러가지 조성물을 만들 수 있는데 여기서 독약이 비교적 단기간에 걸쳐 주위환경속으로 신속히 방출될 수 있도록 할수도 있고 장기간에 걸쳐 독약이 서서히 방출되도록 조성물을 만들 수도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어떤 실용적인 범위내에서 적절한 배합물을 선정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신규조성물을 만들어 독약이 일정하게 방출되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 이렇게하여 만든 코오팅이된 입상의 살충제는 인축 경피독성이 훨씬 없다.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 상술하기로 한다.
[실시예 1]
0,0-디에틸 s-{〔(1,1-디메틸에틸)티오〕메틸}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를 15wt%함유한 입상 배합물 제조.
(가) 다음과 같은 조성물을 가진 입상 몬모릴로나이트(25/50) 78.5g음 회전형 혼합기에 넣고 교반한다.
교반을 하면서 0,0-디에틸 s-{〔(1,1-디메틸에틸)티오〕메틸}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17.5g, 실함량 88.57%=15.5g)와 에메틸, 디-트리-및 테트라에틸렌 글리콜의 혼합물(4.0g)로된 탈활성제로 구성된 살충제 혼합물을 입자에 분무한다. 분무가 끝나면 혼합을 계속하여 모든 액체를 흡수시킨다. 이렇게 되면 위에 나온 살충제 15.5w/w를 함유하는 입상배합물 100g을 얻게된다.
몬모릴로나이트 분석치
Figure kpo00001
(나) 위에 나온 방법과 같이 하지만, 단 다음과 같은 분석치를 가지며 위에 나온 살충제 15.5w/w를 함유한 애터펄자이트 78.5g을 사용하는 점만이 다르다.
애터펄자이트 분석치
Figure kpo00002
[실시예 2]
아크릴중합체를 코오팅한 입상 살충제 배합물제조
(가) 실시예 1-(가)의 방법으로 만든 입상의 살충제 배합물(100g)을 회전형 혼합기 중에서 혼합하고 고형분이 38%이며 THF 중에서 30℃에서의 고유점도가 3.1dℓ/g(라텍스 10ml사용)인 경질의 열가소성 아크릴 중합체에멀젼을 분무한다. 이렇게하면 독약성분을 14.09wt.%함유한 자유유동성의 건조입상물 110g을 얻는다.
(나) 위의 배합물을 45℃에서 2시간 저장한다.
(다) 실시예 1-(가)의 방법으로 만든 입상의 살충제 배합물(100g)을 고형분이 43wt. %이고 THF와 포탈산디부틸(60 : 40 혼합물 6ml)중에서 30℃에서의 고유점도가 0.75dℓ/g인 경질의 열가소성 아크릴 중합체에멀젼과 더불어 위와 같이하여 분무한다. 이렇게 하면 독약성분을 14.6wt. %함유한 배합물 106g을 얻는다.
(가), (나) 및 (다)의 방법에 의하여 0,0-디에틸 s-{〔(1,1-디메틸에틸)티오〕메틸}-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를 각각 15.5wt. % 또는 20.5wt. %함유한 입상 배합물을 제조하게 된다.
[실시예 3]
아크릴 중합체를 코오팅한 입상 살충제 배합물제조.
실시예 1-(가)의 방법으로 만든 입상의 살충제 배합물(100g)과 대부분의 표면 히드록시기를 트리메틸실록시기로 바꾼 소수성 실리커 미분말(0.5g : 0.5%)을 5분간 혼합한 후 다음과 같이 각기 해당하는 코오팅물을 분무한다.
(가)위의 방법으로 만든 입상 배합물(100.5g)을 교반하고 고형분이 45wt.%이고 DMF 중에서 30℃에서의 고유점도가 1.4dℓ/g인 경질의 자체 가교결합성 아크릴 중합체에멀젼을 사용하여 분무(코오팅용으로 라텍스 4ml)한다. 이와같이 하여 얻는 배합물(104.5g : 실함량 14.83%)은 자유유동성의 건조상태의 것으로 응집물을 형성하지 않는다.
(나)(가)의 방법을 그대로 사용하지만 라텍스 6ml를 사용하여 입자(106.5g : 실함량 14.55%)를 코오팅하는 점만이 다르다.
(다)위의 방법으로 만든 입상배합물(100.5g)을 교반하고 고형분이 45wt.%이고 DMF중에서 30℃에서의 고유점도가 1.4dℓ/g인 경질의 자체가 교성의 아크릴 중합체에멀젼을 사용하여 분무(코오팅용으로 라텍스 6ml)한다.
이렇게 하여 얻은 배합물(106.5g : 실함량 14.55%)은 자유유동성의 건조상태의 것으로서 극히 미량의 응집물이 확인될 뿐이다.
위의(가), (나) 또는 (다)의 방법에 의해 만든 입상 배합물은 0,0-디에틸 s-{〔(1,1-디메틸에틸)티오메틸}-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를 각각 15.5wt.%또는 20.5wt.%를 함유한다.
[실시예 4]
아크릴 중합체를 코오팅한 입상살충제 배합물제조.
실시예 1-(가)의 방법으로 만든 입상의 살충제 배합물(100g)과 대부분의 표면히드록시기를 트리메틸실록시기로 바꾼 소수성 실리커 미분말(1.0g : 1%)을 5분간 혼합한 후 다음과 같이 각기 해당하는 코오팅을 분무한다.
(가) 위의 방법으로 만든 입상 배합물(101g)을 호전형 혼합기 중에서 혼합하고 고형분이 45wt.%이며 DMF 중에서 30℃에서의 고유점도가 1.4dℓ/g인 경질의 자체 가교성 아크릴 중합체 에멀젼을 분무(라텍스4ml사용)한다. 이와같이 하여 얻은 조성물(105g : 실함량14.76%)은 자유유동성의 건조상태의 것으로 응집물을 형성하지 않는다.
(나) 위의 방법으로 만든 입상 배합물(101g)을 혼합하고 고유점도가 45wt.이며 DMF중에서 30℃에서의 고유점도가 1.4dℓ/g인 경질의 자체 가교성의 아크릴중합체에멀젼을 분무(라텍스 6ml)사용한다. 이렇게하여 얻은 조성물(107g, 실함량 14.48%)은 자유유동성의 건조상태의 것으로 응집이 되지 않는다).
[실시예 5]
아크릴중합체를 코오팅한 입상살충제 배합물 제조
실시예 1-(가)의 방법으로 만든 입상의 살충제 배합물 100g과 표면 히드록시기 대부분을 트리메틸실록시기로 바꾼 소수성 실리커 미분말(0.5g)을 5분간 같이 혼합한 후 다음과 같이 각기 해당하는 코오팅물을 분무한다.
(가) 위의 방법으로 만든 입상 배합물(100.5g)을 교반하고 고형분이 43wt.%이며 THF중에서 30℃에서의 고유점도가 0.75dl/g인 경질의 열경화성 아크릴 중합체 에멀젼을 분무/라텍스 6ml사용)한다. 이와같이 하여 얻은 조성물(106.5g : 실함량 14.55%)은 건조상태의 것으로 극히 미량의 응집물을 형성한다.
(나)위에 나온 소수성 실리커 1.0g(1%)를 배합에 사용하는 점외에는 (가)의 방법과 같다. 이렇게 하여 얻는 조성물(107g, 실함량 14.48%)은 건조상태의 것으로 응집물을 형성하지 않는다.
[실시예 6]
0,0-디에틸 s-{〔(1,1-디메틸에틸)티오〕메틸} 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 20wt.%를 함유한 입상배합물 제조.
혼합기중에서 입상(25/50) 몬모릴로나이트(66.2g)을 교반하면서 0,0-디에틸 S-{〔(1,1-디메틸에틸)티오〕메틸}포스포로디티오 에이트(22.8g : 실함량 90.38%=20.6g) 및 에틸렌, 디-, 트리-및 테트라에틸렌글리콜 혼합물(4.0g)탈활성제로된 혼합물을 분무한다. 분무가 끝나면 소수성 실리커 미세분말(1.0g : 1)을 가하고 계속하여 5분간 혼합한다.
이렇게 하여 얻은 혼합물을 다시 혼합하면서 고형분이 45wt.%이고 DMF중에서 30℃에서의 고유점도가 1.4dl/g인 경질의 자체가 교결합성의 아크릴 중합체 에멀젼을 분무(라텍스 6ml사용)한다. 이 조성물은 자유유동성이고 건조상태의 것이다.
[실시예 7]
0,0-디에틸 S-(에틸티오메틸)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 10wt.%을 함유한 입상 배합물제조.
(가) 벽돌부스러기(79.07g)을 회전형 혼합기에 넣고 교반하면서 0,0-디에틸 S-에틸티오메틸)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11.93g으로서 실함량 88%=10.5g)와 디에틸렌글리콜(5.0g)으로된 살충제를 분무한 후 다시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알코올(4.0g)중에 아크릴중합체를 가한 용액 37.5% w/w을 사용하여 분무하여 부스러기에 중합체를 코오팅한다. 아크릴 중합체의 부탄올 중에서 30℃에서의 고유점도는 0.085dl/g이다.
이렇게 하여 얻은 것은 10%w/w의 살충제(평균 5%)를 함유한 입상 배합물 100g이다. 위의 배합물은 실시예 9의 방법에 의한 >200mg/kg에 대해 LD50(LD : 치사량)을 나타내지만 유사한 것이며 코오팅이 되지 않는 것은 110mg/kg에 대해 LD50이다.
(나)(가)의 방법에 의하여 실시하나 이때는 위의 살충제 대신에 0,0-디에틸 S-{〔(1,1-디메틸에틸)티오〕메틸} 포스포로디티오 에이트(10.5g 실함량)을 사용하여 입상배합물을 제조한다.
(다)(가)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지만 이때는 분무된 벽돌 부스러기를 소수성 실리커 미분말 0.5wt.%와 같이 5분간 혼합하는 점만이 다르다. 이렇게 하여 혼합한 것을 고형분이 38%이고 THF중에서 30℃에서의 고유점도가 3.1dl/g인 경질의 열가소성 아크릴 중합체 에멀젼으로 분무하여 중합체로된 배합물을 만든다. 이렇게하여 만든 조성물은 실시예 9의 방법에 의한 >120-<200mg/kg범위에서 표피치사량가 50(LD50)이다.
실시예 2(가), 2(나) 및 7(다)에서 사용한 아크릴수지의 특성은 다음과 같은데 이들 수지는 Rohm & Hass Co에서 제조한 것으로 RHOpLEX B-85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다.
Figure kpo00003
실시예 2(다), 5(가) 및 5(나)에 있어서 Rohm & Hass Co 제품의 아크릴수지(상품명 RHOPLEX B-88)를 사용하였으며 대표적인 물리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4
실시예 3(가), 3(나) 및 4(가)에 있어서 Union Carbide Co제품의 아크릴수지(상품명 UCAR Latex 189)를 사용하였으며 대표적인 물리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5
실시예 3(다), 4(다) 및 6에 있어서 Union Carbide Co 제품의 아크릴수지(상품명 UCAR Latex 879)를 사용하였으며 대표적인 물리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6
실시예 7(가) 및 7(나)에 있어서 American Cyanamid Co제품의 아크릴 수지(상품명 XG 4011)를 사용했으며 대표적인 물리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7
[실시예 8]
시험동물로서 수컷백색쥐를 사용한 본 발명의 배합물에 대한 경피독성 측정방법
(가) 체중이 2.2-3.5kg인 수컷 백색쥐 다섯마리를 각각이 투여량에 대해 사용하는데 몸통전체의 털을 전부 깎아 버린다.
(나) 사란(Saran)제 관(管), 즉 "비닐라이트(Vinylite)"필름 VU 1900을 폭 30.5cm(12"), 두께 0.04mm로 하고 쥐를 에워쌀 수 있을 만치의 길이를 사용한다.
(다) 22.9×45(.7cm9"×18")정도의 펠트직(felt cloth)으로된 붕대와,
(라) 폭 3.8cm(1.5")이고 길이가 35.6cm(14")정도인 접착테이프 4조각을 사용한다.
순서
(가) 플라스틱 필름중앙에 입상물질을 두고 물로 적신다.
(나) 밑에 있는 쥐를 물로 적시고 쥐를 물질 위에 눌러 둔다.
(다) 플라스틱을 쥐 주위로 감싸고 각 끝을 접착 테이프로 붙인후 펠트직을 쥐의 배 밑에 두고 쥐를 감싸서 몸통에 고정시키고 나머지 접착테이프의 두조각으로 접착한다.
측정
투여후 24시간 만에 아랫단을 제거하고 남아있는 물질을 솔질하여 떨어버린다. 시험물질이 제거되지 않으면 쥐를 섬유로된 버딛대에 고정시켜 쥐가 처리부위를 핥지 못하도록 한다. 14일동안 쥐를 관찰하는데 투여후 독성이 나타나는 표시를 기록하고 피부자극 및치사율을 관찰한다. 14일째 되는 날 쥐를 죽여 체중을 단다.
이렇게하여 얻은 데이터로부터 표피치사량(LD50)〔mg/kg(체중)〕을 실시예 2-6까지의 배합물(조성물)에 대해 구한 결과는 표 1에 있는 바와 같으며 이 표에는 독약 자체의 LD50와 입상 배합물(코오팅처리하지 않은것)의 LD50로 나와 있다.
[표 1]
0,0-디에틸 S-{〔(1,1-디메틸에틸)티오〕메틸}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를 함유한 코오팅이된 입상조성물의 경피독성
Figure kpo00008
표 1에서 알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코오팅이된 입상 조성물은 코오팅되지 않는 조성물에 비하여 최소한 2-3배 정도나 독성이 없다 점이다.
[실시예 9]
남부산 옥수수 근충(根蟲)의 토양 잔류시험.
약 25% 정도의 수분보유능력이 있는 분토(盆土) 950ml를 깊이가 22cm이고 직경이 18cm인 스테인레스강으로된 비이커에 넣고 중량을 단 입상물질을 토양에 뿌린후 비이커를 뚜껑을 덮고 혼합기에서 2분간(60rpm)회전시킨다. 1온스 정도(29.7ml)의 흙을 두번 취하여 병에 넣고 남부산 옥수수 근충인애벌레(Diabrotica undecipunctata howardi)에 대한 0차일의 치사율 측정을 한다. 처리된 흙의 나머지를 475ml들이의 처리된 종이 용기 두개에 나누어 넣는다. 각용기의 흙에 수도물 100ml를 가하여 흙이 포장함수 능력(圃場含水能力)에 가깝도록 한다.
건습(乾濕)관계가 전시험기간동안에 계속 형성되게 한다. 처리된 토양과 처리되지 않은 토양을 약26.7℃의 실(室)중에 유지하고 격주로 복제(複製)용기를 제거하고 흙을 철저히 혼합하여 수분보유능력이 약 25%정도가 되도록 수분을 가하며 1온스(29.7ml)들이 병두개에 흙을 취하여 남부산 옥수수근충인 애벌레에 대한 생물학적 분석을 실시한다.
표 2는 이렇게하여 얻는 데이터를 총괄한 것이다.
[표 2]
0,0-디에틸 S-{〔(디메틸에틸)티오〕메틸}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 15wt.%를 함유한 아크릴중합체로 코오팅이된 살충제 이상물의 남부산 옥수수근충인 애벌레에 대한 토양잔효(土壤殘效)의 측정.
Figure kpo00009
*각 해당일후에 단일시험만실시
**각각 1.12, 2.24 및 4.48kg/ha에 해당됨
표 2에 나온 생물학적인 데이터로부터 알수 있는 것은 코오팅을 한 입상배합물중 어떤 것은 단기간에 걸쳐 특히 낮은 속도로 〕예 : 3(가), 4(나) 및 5(가(는 1mg, a.i.에서 6-10주 정도〕독성을 방출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반면 다른 것들은 장기간에 걸쳐 독성을 방출하는 것, 특히(높은 방출속도를 가진 것 〔예 : 3(나), 3(다), 4(가) 및 4(나) : 4mg, a.i.에서 13-19주 정도)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Claims (1)

  1. 불활성의 흡수성 또는 비흡수성 담체의 입자를 인계통의 살충제로 함침하거나, 코팅하며 임의로 잘게 쪼갠 흡수성 기질로 코팅하거나 혼합하며, 여기서 담체-살충제 본체를(1) 30℃의 테트라 히드로 푸란중에서 고유점도가 0.75-3.1dl/g인 경질의 열가소성아크릴 중합체나, (2) 30℃의 디메틸 포름아미드중에서 고유점도가 1.0-2.0dl/g인 경질의 자체 가교 결합성의 열가소성 아크릴 중합체 및 (3) 30℃의 부탄올중에서 고유점도가 0.05-0.1dl/g인 아크릴 중합체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한 아크릴 중합체로 더 코팅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인축경피독성이 감소되며 살충능력이 그대로 유지되는 고형의 살충제 입상조성물.
KR1019790003181A 1979-02-06 1979-09-15 인축경 피독성이 작은 살충제 KR8300009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88379A 1979-02-06 1979-02-06
US9883 1979-0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831A KR830000831A (ko) 1983-04-28
KR830000965B1 true KR830000965B1 (ko) 1983-05-18

Family

ID=21740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3181A KR830000965B1 (ko) 1979-02-06 1979-09-15 인축경 피독성이 작은 살충제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EP (1) EP0016278B1 (ko)
JP (1) JPS55104201A (ko)
KR (1) KR830000965B1 (ko)
AR (1) AR231788A1 (ko)
AU (1) AU528824B2 (ko)
BR (1) BR7905637A (ko)
CA (1) CA1130205A (ko)
DD (1) DD146236A5 (ko)
DE (1) DE2939746A1 (ko)
ES (1) ES488283A0 (ko)
HU (1) HU185873B (ko)
IL (1) IL57938A0 (ko)
IN (1) IN150987B (ko)
ZA (1) ZA7939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9526A (en) * 1980-07-28 1981-06-10 Sanyo Electric Co Ltd Spectrometer
EP0111112A1 (en) * 1982-12-03 1984-06-20 American Cyanamid Company Granular pesticidal compositions coated with hydrophobic solids with attendant reduced dermal toxicity
DE3505424A1 (de) * 1985-02-16 1986-08-21 Bayer Ag, 5090 Leverkusen Kombinations-traegergranulate
US5169644A (en) * 1985-02-16 1992-12-08 Bayer Aktiengesellschaft Combination carrier granules
EP0200288A3 (en) * 1985-04-19 1989-01-11 International Spike, Inc. Controlled release insecticide
JPS61282301A (ja) * 1985-06-07 1986-12-12 Otsuka Chem Co Ltd 粒状徐放性農薬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EP0268926A3 (en) * 1986-11-24 1990-01-03 American Cyanamid Company Safened sorptive granular pesticidal resin compositions for controlling soil borne pest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EP0268927A3 (en) * 1986-11-24 1990-01-10 American Cyanamid Company Resin-coated, non-sorptive granular, pesticidal compositions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US4844896A (en) * 1987-11-02 1989-07-04 Lim Technology Laboratories, Inc. Microencapsulated insecticidal pathogens
US4948586A (en) * 1987-11-02 1990-08-14 Lim Technology Laboratories, Inc. Microencapsulated insecticidal pathogens
FR2624761B1 (fr) * 1987-12-17 1993-10-08 Roussel Uclaf Granules a base de polymeres hydrophiles sur lesquels sont absorbes une formulation aqueuse renfermant un ou plusieurs principes actifs
JP2532902B2 (ja) * 1987-12-28 1996-09-11 アグロ・カネショウ株式会社 土壌殺菌用粒状クロルピクリン製剤およびその製造法
AU618654B2 (en) * 1989-01-18 1992-01-02 Bayer Aktiengesellschaft Carrier granules containing liquid active compounds
ES2048325T3 (es) * 1989-01-18 1994-03-16 Bayer Ag Granulados vehiculos que contienen substancias activas liquidas y solidas.
US5876739A (en) * 1996-06-13 1999-03-02 Novartis Ag Insecticidal seed coating
US5849320A (en) * 1996-06-13 1998-12-15 Novartis Corporation Insecticidal seed coating
EP0953282A1 (en) * 1998-03-02 1999-11-03 Novartis AG Pesticidal compositions
TW201041508A (en) * 2009-04-30 2010-12-01 Dow Agrosciences Llc Pesticide compositions exhibiting enhanced activity
CN101926746A (zh) * 2010-08-25 2010-12-29 邱日辉 一种高分子缓控释长效驱蚊产品及其制备方法
JP6023510B2 (ja) * 2012-08-20 2016-11-09 クミアイ化学工業株式会社 農薬粒状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使用する農薬処理方法
CA3075494A1 (en) * 2017-10-09 2019-04-18 Basf Se New agrochemical pesticide composition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51969A (en) * 1960-11-15 1964-10-06 Ansul Co Pesticidal dust composition
US3366539A (en) * 1964-06-09 1968-01-30 Woodbury Chemical Company Process of enhancing and prolonging the effectiveness of insect control granules
US4061740A (en) * 1975-11-18 1977-12-06 American Cyanamid Company Liquid compositions containing a polyethylene glycol safener and an organophosphorus pesticide
US4059700A (en) * 1976-02-17 1977-11-22 American Cyanamid Company Dermal toxicity of solid compositions containing a montmorillonite type of clay and an organophosphorus pestic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4945179A (en) 1980-08-14
ES8102781A1 (es) 1981-02-16
EP0016278A1 (en) 1980-10-01
AU528824B2 (en) 1983-05-12
HU185873B (en) 1985-04-28
CA1130205A (en) 1982-08-24
AR231788A1 (es) 1985-03-29
DE2939746A1 (de) 1980-08-14
IN150987B (ko) 1983-02-05
JPS55104201A (en) 1980-08-09
KR830000831A (ko) 1983-04-28
DD146236A5 (de) 1981-02-04
EP0016278B1 (en) 1982-12-29
IL57938A0 (en) 1979-11-30
ZA793911B (en) 1980-10-29
BR7905637A (pt) 1980-10-14
ES488283A0 (es) 1981-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30000965B1 (ko) 인축경 피독성이 작은 살충제
US6557298B2 (en) Treatment of seeds with coatings containing hydrogel
US5645843A (en) Safened pesticidal resin compositions for controlling soil borne pest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US5484600A (en) Insecticidal composite timed released particle
WO2012102703A1 (en) Dispersible adhesive granules
UA75426C2 (en) Process of controlling weeds
US20060099233A1 (en) Granular formulation of neem seed extract and its process thereof
US4485103A (en) Controlled release acrylic polymer coated granular pesticidal compositions with attendant reduced dermal toxicity
US4343790A (en) Controlled release acrylic polymer coated granular pesticidal compositions with attendant reduced dermal toxicity
US20070167492A1 (en) Molluscicidal agents
AU600047B2 (en) Safened pesticidal resin compositions for controlling soil borne pest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US8969250B2 (en) Dispersible adhesive granules
JPS64364B2 (ko)
JPS6345201A (ja) 水田除草用粒剤
US6193990B1 (en) Safened pesticidal resin composition for controlling soil borne pest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S254995B2 (en) Herbicide with improved residual activity
HU229702B1 (hu) Eljárás mezőgazdasági készítmények hordozóanyagának előállítására és szabályozott hatású talajfertőtlenítő és talajkondicionáló készítmények
JPS5843905A (ja) 稲作用殺菌、殺虫組成物
CS195330B2 (en) Insecticide
JPH0524881B2 (ko)
DE2238912A1 (de) Durch wasser abbaubare polymer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HUT61154A (en) Granulated insecticidal-nematocidal composition against pests in soil, having reduced dermal toxicity to mammals
AU2007202192A1 (en) Herbicidal composition
REMENSNYDER Other Classes
JPS58113109A (ja) 複合殺虫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