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394Y1 - 자동판매기의 서펜다인형 상품 반송용 선반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의 서펜다인형 상품 반송용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394Y1
KR820001394Y1 KR7900359U KR790000359U KR820001394Y1 KR 820001394 Y1 KR820001394 Y1 KR 820001394Y1 KR 7900359 U KR7900359 U KR 7900359U KR 790000359 U KR790000359 U KR 790000359U KR 820001394 Y1 KR820001394 Y1 KR 8200013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crank pin
side rail
goods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03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도미나가
Original Assignee
시시도 후꾸시게
후지뎅기 세이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시도 후꾸시게, 후지뎅기 세이조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시시도 후꾸시게
Priority to KR79003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3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3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3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of zig-zag for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판매기의 서펜다인형 상품 반송용 선반
제1도 (a),(b),(c)는 각기 사이드 레일을 갖춘 상품 반송용 선반의 측면도, 정면도 및 사이드레일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상품 반송용 선반의 약시측면도.
제3도는 고정기구의 부품사시도.
제4도 (a),(b)는 제2도에 있어서의 요부확대 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본 고안은 서펜다인형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품반송용 선반(商品搬送棚), 특히 취급하는 상품의 다양화에 대처하여 같은 상품 반송선반을 사용하여 다른 형의 상품을 수납 반송될 수 있도록 상품 반송로 폭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규제하는 가동 사이드 레일을 장비한 상품 반송용 선반에 관한 것이며, 상품반송로의 폭을 규제하는 사이드레일의 위치 지지 및 위치변경이 간단한 조작으로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서펜다인형 자동판매기의 상품반송용 선반은 제1도와 같이 좌, 우 측판(1)의 사이에 서펜다인형상으로 굴곡된 1대의 레일 세그멘트(2)(3)를 가설(架設)하고, 이러한 레일세그멘트(2)(3) 사이에 상품 반송로(4)를 구획 형성함과 동시에 반송로(4)의 반출단에는 판매 지령에 따라서 동작하는 밴드기구(5)를 설치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선반의 위쪽 단으로부터 로딩된 상품관(6)은 반송로(4)내를 아래쪽으로 전동낙하하고, 밴드기구(5)의 조작으로 상품을 꺼집어내는 구멍을 향하여 반출된다.
이와같은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취급하는 상품의 다양화에 대하여 동일한 상품 반송용 선반을 사용하여 다른 형태의 상품관이 수납 반송되도록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로(4)내에 가동 사이드레일(7)을 장비된것이 이미 제안되고 있다. 즉 사이드레일(7)은 상품관(6)의 측면을 가이드 하도록 반송로(4)를 따라 서펜다인 형상으로 굴곡된 선(線) 재료에 의해 만들어져 있고, 그 상하 양단에 붙인 좌금(7a,7b)을 통해 레일세그멘트(2)에 고정되어 있다. 게다가 붙이는 위치는 화살표(A)와 같이 좌, 우 방향, 즉 반송로(4)의 폭(幅) 방향으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가동된다. 이와같은 사이드레일(7)을 설치함으로써 반송로 폭은 실질적으로 측판(1)과 사이드레일(7)과의 사이의 간격(ℓ)에 의해 규제된다. 따라서 취급하는 상품관(6)의 길이에 상응하도록 사이드 레일(7)의 붙이는 위치를 정해서 반송로의 폭(ℓ)을 규제함으로써 다른 형태의 상품관(6)을, 반송로(4)내에서의 전동 낙하 자세를 제어시키면서 원활히 반송시킬 수가 있다. 그러나 내부까지 충분하게 손이 닿지 않는 반송로(4)내에 배치된 사이드레일(7)은 그 붙이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미리 상, 하단에만 붙인 좌금(7a,7b)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나, 좌금 사이의 중간부는 자유스런 상태에 있다.
이와같은 결과, 상품관(6)의 로딩시 상품관의 낙하 충격에 의해 사이드 레일(7)의 중앙부가 (b)도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바깥쪽으로 구부러져 반송로의 폭을 올바르게 규제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상품관(6)의 낙하자세를 흐트러버릴 염려가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사이드 레일(7)의 중간부의 구부러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이드 레일(7)의 중간부를 상품관의 사이즈에 맞추어 반송로 폭 규제 위치에 올바르게 위치시키는 지지기구를 설치하면 좋다. 또 사이드 레일(7)이 자동판매기를 설치한 뒤에도 붙이는 위치가 변경되는 점을 배려한다면, 전기한 지지기구는 반송용 선반을 분해하는 일 없이 바깥으로부터 위치 변경 조작이 이루어져야 하고, 또 사이드 레일의 규제 위치에 맞추어 지지 위치의 변경조작이 용이해야 하고, 게다가 항상 사이드 레일을 올바로 위치시킬수가 있고, 잘못하여 지지 기구가 상품관이 통과하는 통로내에 튀어 나와 반송의 장해물이 되는 것 같은 오조작의 위험이 없는 것이어야 한다는 것이 구성 조건이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점에 감안하여 구조, 조작 모드 간단히 사이드 레일을 각 규제 위치에 올바로 위치지지시킬 수가 있는 지지기구를 갖춘 상품 반송용 선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며, 이하 도면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에 있어서 상품 반송로(4)의 중간 위치에 본 고안에 의한 사이드 레일(7)의 지지기구(8)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기구(8)는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크랑크핀(9)과 크랑크핀(9)의 축단에 고정된 회동 조절용 아암(10)을 고정구(11)에 고정하는 나사(12)로 구성된 크랑크핀 고정기구를 갖추어서 제4도(a),(b)와 같이 반송용 선반의 반송로(4)내에 끼워서 설치되어 있다. 즉 크랑크핀(9)은 레일 세그멘트(2,3)의 사이에 걸쳐져 전, 후 방향의 축 둘레로 화살표(B)와 같이 회동이 가능하도록 축지(軸支)되어 있다. 게다가 크랑크핀(9)은 그 크랑크 부(9a)가 반송로(4)내에서 사이드 레일(7)과 바깥쪽으로부터 당접하도록 측방으로 배치되어 있다. 회동 조절아암(10)은 레일 세그멘트(2)로부터 앞쪽 바깥으로 튀어나온 축단에 고정되고, 이러한 아암(10)에 대향하여 고정구(11)가 레일 세그멘트(2)의 앞면에 설치되어 있다. 고정구(11)에는 크랑크핀(9)의 관통축 구멍(11a) 및 이 축구멍(11a)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상에 여러개의 나사구멍(11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크랑크핀(9)은 아암(10)의 나사용 구멍(10a)을 통해서 고정구(11)에 뚫린 나사구멍(11b)중 하나에 나사를 끼움으로써 소정의 회동 각 위치로 고정된다. 게다가 나사구멍(11b)의 선택에 의해 크랑크핀(9)은 화살표(B) 방향으로 회동 위치하고, 그러한 회동각 위치에 맞추어서 제4도(a)와 같이 상품 반송로(4)의 폭의 사이즈를 L1, L2, L3과 같이 규제한다. 이에 따라 사이드 레일(7)은 전기한 각 회동 각 위치에 맞추어진 위치에서 크랑크핀(9)에 의해 바깥쪽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구부러짐이 일어나는 일 없이 위치가 유지된다. 따라서 크랑크핀(9)의 회동 각 위치를 상품관의 크기에 맞게 설정한 사이드 레일(7)의 조절 붙임 위치에 맞추어서 선반의 밖으로부터 조절 조작을 함으로써, 사이드 레일(7)은 그 중간부가 올바르고, 소정의 반송로 폭 규제 위치에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반송로(4)내에 위치하고 있는 사이드 레일(7)에 대해, 크랑크 기구를 교묘히 이용한 크랑크핀(9)의 회동 조절로 사이드 레일(7)의 중간부를 반송로 폭 방향의 소정 위치로 위치시킬 수있다. 이와같은 경우에 크랑크핀(9)은 위치를 바꿀 때마다 빼내는 일없이 미리 축지되어 있는 축의 주위로 회동되어 항상 사이드 레일(7)로 바깥쪽으로부터 당접되므로 크랑크핀(9)이 잘못하여 사이드 레일(7)보다도 안쪽으로 튀어나올 오조작의 염려가 없다. 또 크랑크핀(9)에 고정된 조절 아암(10)이 반송용 선반의 앞면 바깥쪽으로 튀어나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절조작을 바깥쪽으로부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도시한 실시예는 상품 반송로를 한 계통만 갖춘 상품 반송용 선반에 대해서만 설명했으나, 같은 상품 선반에 여러개통의 반송로를 형성한 다중(多重) 컬럼의 상품 반송용 선반에 대해서는 각 반송로마다 독립하여 전술한 유지기구를 갖추어서 설시할 수가 있으며, 이런 경우에는 각 컬럼마다 다른 사이즈의 상품관을 수납하여 판매할 수가 있다. 또 크랑크핀의 고정기구로서는 도시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구조도 채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취급하는 상품의 다양화에 대처시키도록 상품 반송로의 폭을 상품관의 사이즈에 맞추어서 규제하는 조절이 가능한 사이드 레일을 장비한 상품 반송용 선반에 대해 사이드 레일을 전체적으로 올바르게 일정 위치에 위치를 유지시키고 게다가 그러한 위치의 결정조작이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유리한 상품 반송용 선반을 제공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상품반송로(4)의 중간 위치에 크랑크핀(9)가 사이드 레일(7)의 바깥쪽으로부터 당접되어 전후 방향 축주위로 회동 가능하도록 축지되어 있고, 고정구(11)이 레일세그먼트(2) 앞면에 설치되어 크랑크핀(9)를 소정 회동위치로 고정시켜 주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서펜다인형 상품 반송용 선반.
KR7900359U 1979-01-23 1979-01-23 자동판매기의 서펜다인형 상품 반송용 선반 KR8200013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0359U KR820001394Y1 (ko) 1979-01-23 1979-01-23 자동판매기의 서펜다인형 상품 반송용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0359U KR820001394Y1 (ko) 1979-01-23 1979-01-23 자동판매기의 서펜다인형 상품 반송용 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394Y1 true KR820001394Y1 (ko) 1982-07-03

Family

ID=19210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0359U KR820001394Y1 (ko) 1979-01-23 1979-01-23 자동판매기의 서펜다인형 상품 반송용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39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70680B (zh) * 2009-09-18 2012-02-01 宁波大学 一种冲床用安全光幕及其自检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70680B (zh) * 2009-09-18 2012-02-01 宁波大学 一种冲床用安全光幕及其自检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20449A (ja) 薬剤使用単位の搬送および保管システムに用いるロボットアーム
US6374997B1 (en) Conveyor system
KR820001394Y1 (ko) 자동판매기의 서펜다인형 상품 반송용 선반
US5882166A (en) Magazine conveying device
US5937999A (en) Conveyor
US5727917A (en) Magazine conveying device
JPH01246030A (ja) 直角状リンケージの部品組立設備
US5540315A (en) Serpentine-type vending rack for a vending machine
JP2019214441A (ja) 食品起こし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食品搬送システム
JP2001126137A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搬送路の横幅規制装置
JP3814329B2 (ja) チューブフィーダ
ITBO20010028A1 (it) Dispositivo per il trasferimento di barre da un magazzino nel canale di guida di un caricatore per l'alimentazione di una macchina utensile
JP3414585B2 (ja) 棒材供給機
KR20210156623A (ko) 피가공물의 충격 완화와 정렬을 위한 낙하 안내 장치
JP2000128331A (ja) 搬送装置
JPH0441319A (ja) コンベヤのガイド幅調節機構
JP2002187614A (ja) 小物部品整列装置
JPS6314986Y2 (ko)
KR100188471B1 (ko) 자동봉재공급기의 소재안내장치
US5310037A (en) Automatic loading mechanism for electroplating
JP2001126138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投入通路の構造
JP2768601B2 (ja) 自動販売機のストッカー装置
JPS633804B2 (ko)
JPS647426Y2 (ko)
JP3271477B2 (ja) 自動販売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