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6623A - 피가공물의 충격 완화와 정렬을 위한 낙하 안내 장치 - Google Patents

피가공물의 충격 완화와 정렬을 위한 낙하 안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6623A
KR20210156623A KR1020200074443A KR20200074443A KR20210156623A KR 20210156623 A KR20210156623 A KR 20210156623A KR 1020200074443 A KR1020200074443 A KR 1020200074443A KR 20200074443 A KR20200074443 A KR 20200074443A KR 20210156623 A KR20210156623 A KR 20210156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workpiece
present
unit
guid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4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흥기
박재현
김강한
Original Assignee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4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6623A/ko
Publication of KR20210156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66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3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12Chutes pivotable
    • B65G11/123Chutes pivotable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ut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낙하 안내 장치는 피가공물이 활송되는 과정에서 받는 충격을 방지하여, 피가공물을 안전하게 운반 및 적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 안내 장치는 피가공물을 이송하는 이송 유닛과, 상기 이송 유닛의 배출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피가공물을 정렬하여 낙하 배출하는 활송 유닛을 포함하는 낙하 안내 장치로서, 상기 활송 유닛은 일단이 상기 이송 유닛의 상기 배출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피가공물이 안착되며 서로 다른 각도의 슬라이딩면을 구비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 상에 돌출되며, 상기 피가공물의 활송 방향을 변화시키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가공물의 충격 완화와 정렬을 위한 낙하 안내 장치{DROP GUIDE APPARATUS FOR RELIEVING SHOCK OF WORKPEICE AND ARRANGING WORKPEICE}
본 발명은 피가공물을 안전하게 운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가공물이 활송되는 과정에서 받는 충격을 완화하고 균일한 적재를 하기 위한 낙하 안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어링 등과 같은 피가공물은 컨베이어 벨트로 구성된 이송 장치를 따라 일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피가공물은 이송 장치 상에서 이동하면서 가공 장치에 의해 가공되어 최종 제품으로 제조된다. 완성된 피가공물은 그리퍼와 같은 운반 장치에 의해 다른 공정으로 이송되거나, 활송 장치를 통해 바스켓에 적재되어 다른 공정으로 이송된다.
그런데 피가공물이 활송 장치를 통해 바스켓으로 낙하하는 과정에서 피가공물이 바스켓의 바닥면이나 측면과 충돌하거나, 피가공물끼리 충돌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피가공물의 외관이 손상되거나, 기능이 망가질 수 있다. 또한, 트레이나 박스 등의 운반 부재에 피가공물이 국부적으로 적재되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 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40550호
본 발명은 피가공물이 운반되는 과정에서 충격을 받는 것을 완화하여, 피가공물의 손상 또는 파손을 예방 및/또는 적재되는 피가공물이 균일하게 배치되도록 하는 낙하 안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이는 일 예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 안내 장치는 피가공물을 이송하는 이송 유닛과, 상기 이송 유닛의 배출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피가공물을 정렬하여 낙하 배출하는 활송 유닛을 포함하는 낙하 안내 장치로서, 상기 활송 유닛은 일단이 상기 이송 유닛의 상기 배출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피가공물이 안착되며 서로 다른 각도의 슬라이딩면을 구비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 상에 돌출되며, 상기 피가공물의 활송 방향을 변화시키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활송 유닛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 상에 소정의 무게 미만의 상기 피가공물이 안착될 경우,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제1 위치로 유지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 상에 소정의 무게 이상의 상기 피가공물이 안착될 경우, 상기 피가공물이 활송되도록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제2 위치로 회동시키는 제1 회동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이송 유닛의 배출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제1 슬라이딩면을 갖는 내측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내측 지지 플레이트와 경사를 이루도록 배치되며, 제2 슬라이딩면을 갖는 외측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활송 유닛은 상기 외측 지지 플레이트를 상기 내측 지지 플레이트에 대해 회동시키는 제2 회동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내측 지지 플레이트의 슬라이딩면 및 상기 외측 지지 플레이트의 슬라이딩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아래를 향해 넓어지는 형상의 돌출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내측 지지 플레이트의 슬라이딩면 상에 일 방향으로 형성된 홈을 따라 위치 조정이 가능한 복수 개의 돌출부일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 안내 장치는 피가공물이 이송 유닛의 배출 단부에서 직하(直下)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각도의 경사면을 따라 여러 번에 걸쳐 활송됨에 따라, 피가공물이 낙하하는 과정에서 받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 안내 장치는 피가공물의 활송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어, 피가공물이 어느 한 방향으로만 적재되지 않도록 피가공물을 정렬하여 낙하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 안내 장치는 피가공물의 적재량과 적재 위치를 고려하여, 피가공물이 활송되는 방향 및/또는 피가공물이 최종적으로 낙하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전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의 설명과 도면의 내용을 참작하여 유추할 수 있는 모든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 안내 장치를 포함하는 피가공물의 운송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 안내 장치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송 유닛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송 유닛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종래예와 발명예에 따른 피가공물의 낙하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송 유닛에 따른 피가공물의 활송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활송 유닛을 나타낸다.
도 8은 종래예와 발명예에 따른 피가공물의 적재 상태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활송 유닛에 따른 피가공물의 활송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의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식별부호를 사용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활송"은 피가공물이 이송 유닛을 지나 활송 유닛(슬라이딩면) 상에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고, "낙하"는 피가공물이 활송 유닛을 지나 바스켓으로 떨어지거나 떨어진 상태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 안내 장치(10)를 포함하는 피가공물(W)의 운송 시스템(1)을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 안내 장치(10)를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송 유닛(200)을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송 유닛(20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 안내 장치(10)는 피가공물(W)의 운송 시스템(1)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송 시스템(1)은 피가공물(W)이 투입되는 투입 장치(20)와, 투입된 피가공물(W)을 가공하는 가공 장치(30)와, 가공된 피가공물(W)을 운송 시스템(1)의 외부로 배출하는 낙하 안내 장치(10)를 포함할 수 있다.
피가공물(W)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으로 가공된 최종 제품 또는 반제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 안내 장치(10)는 이송 유닛(100)과, 활송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 유닛(100)은 가공 장치(20)에서 가공이 완료된 피가공물(W)을 이송한다. 이송 유닛(100)은 지지대(110)와, 가이드 레일(120)과, 컨베이어 벨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110)는 지면 상에 설치되어, 이송 유닛(100)을 지지한다. 지지대(110)의 형상 또는 크기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가이드 레일(120)은 지지대(110)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20)은 이송 유닛(100)을 따라 이송되는 피가공물(W)이 충격 또는 진동 등으로 인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130)는 지지대(1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130)는 모터 등의 구동원(미도시)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하며, 가공 장치(20)를 통과한 피가공물(W)을 활송 유닛(200)으로 이송할 수 있다.
다만, 이송 유닛(100)은 반드시 컨베이어 벨트(130)와 같은 벨트 타입의 이송 부재를 구비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타입의 이송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송 유닛(100)이 컨베이어 벨트(130)를 구비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활송 유닛(200)은 이송 유닛(100)에서 이송된 피가공물(W)을 활송한다. 일 실시예로, 활송 유닛(200)은 이송 유닛(100)의 배출 단부에 배치되며, 피가공물(W)을 정렬하여 바스켓(B)으로 낙하 배출할 수 있다.
활송 유닛(200)은 지지 플레이트(210)와, 가이드 부재(220)와, 사이드 레일(23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10)는 이송 유닛(100)의 단부로부터 이송된 피가공물(W)이 안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210)는 이송 유닛(100)의 배출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피가공물(W)이 안착되는 서로 다른 각도의 슬라이딩면(S1, S2)을 구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 플레이트(210)는 폭 방향으로 양단에 각각 사이드 레일(230)을 구비할 수 있다. 사이드 레일(230)은 지지 플레이트(210)의 일단(예를 들어, 피가공물(W)이 활송되어 낙하하는 단부)에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며, 이송 유닛(10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사이드 레일(230)은 피가공물(W)이 지지 플레이트(210) 상에서 활송되는 과정에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이드 레일(230)의 일단은 지지 플레이트(210)에서 이송 유닛(100)을 향해 돌출되며, 제1 회동핀(231)과, 제2 회동핀(232)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회동핀(231)은 이송 유닛(100)의 지지대(110)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도면 부호 미도시)에 삽입되고, 제2 회동핀(232)은 이송 유닛(100)의 지지대(110) 타측에 형성된 슬릿(111)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회동 부재(240)의 동작에 의해, 제1 회동핀(231)이 상기 관통공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제2 회동핀(232)은 슬릿(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도 3에는 사이드 레일(230)이 지지 플레이트(210)의 후단에서 이송 유닛(100)을 향해 돌출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이드 레일(230)은 지지 플레이트(210)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활송 유닛(200)은 사이드 레일(230)을 구비하지 않고, 제1 회동핀(231)과 제2 회동핀(232)은 내측 지지 플레이트(211)에 직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지지 플레이트(210)는 내측 지지 플레이트(211)와 외측 지지 플레이트(212)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 지지 플레이트(211)는 이송 유닛(100)의 배출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제1 슬라이딩면(S1)을 가질 수 있다. 이송 유닛(100)에서 배출된 피가공물(W)은 컨베이어 벨트(130)의 단부에서 낙하하여, 내측 지지 플레이트(211)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 플레이트(210) 전체가 회동함에 따라, 내측 지지 플레이트(211)도 일 방향으로 기울어지면, 피가공물(W)이 내측 지지 플레이트(211)의 제1 슬라이딩면(S1)을 따라 활송된다. 여기서 제1 슬라이딩면(S1)은 사이드 레일(230)에 의해 구획되는 내측 지지 플레이트(211)의 상면을 의미한다.
외측 지지 플레이트(212)는 내측 지지 플레이트(211)와 경사를 이루도록 배치되며, 제2 슬라이딩면(S2)을 가질 수 있다. 즉, 외측 지지 플레이트(212)는 내측 지지 플레이트(211)와 다른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내측 지지 플레이트(211)를 통과한 피가공물(W)은 외측 지지 플레이트(212) 상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제2 슬라이딩면(S2)은 사이드 레일(230)에 의해 구획되는 외측 지지 플레이트(212)의 상면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로, 외측 지지 플레이트(212)는 내측 지지 플레이트(211)에 대해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딩면(S1)과 제2 슬라이딩면(S2)은 서로 다른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는 내측 지지 플레이트(211)와 외측 지지 플레이트(212)가 서로 접하도록 나타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내측 지지 플레이트(211)와 외측 지지 플레이트(212)는 사이드 레일(230)에 의해 각각 폭 방향으로의 양단이 지지된 상태에서, 서로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내측 지지 플레이트(211)와 외측 지지 플레이트(212)의 이격 거리는 피가공물(W)의 크기 및 형상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220)는 지지 플레이트(210) 상에 돌출되어, 피가공물(W)의 활송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부재(220)는 내측 지지 플레이트(211)의 제1 슬라이딩면(S1) 및 외측 지지 플레이트(212)의 제2 슬라이딩면(S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220)의 형상 및 재질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가이드 부재(220)는 피가공물(W)과 접촉 시에 피가공물(W)에 가해지는 충격과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수지 또는 고무 재질일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220)는 피가공물(W)의 활송 방향을 향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가이드 부재(220)는 지지 플레이트(210)의 폭 방향으로 중간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활송 유닛(200)은 제1 회동 부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회동 부재(240)는 슬릿(111)에 삽입되어, 제2 회동핀(232)을 지지하는 스프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210) 상에 소정의 무게 미만의 피가공물(W)이 안착된 경우에는 제1 회동 부재(240)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210)의 위치가 제1 위치(도 4의 점선)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 플레이트(210) 상에 소정의 무게 이상의 피가공물(W)이 안착될 경우, 즉, 제1 회동 부재(240)의 탄성력을 초과하는 힘이 가해질 경우, 피가공물(W)이 지지 플레이트(210)의 슬라이딩면을 따라 활송되도록 지지 플레이트(210)를 제2 위치(도 4의 실선)로 회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피가공물(W)이 지지 플레이트(210)에서 바스켓(B)으로 모두 낙하하면, 제1 회동 부재(240)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210)는 다시 제1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 회동 부재(240)는 모터(미도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프링 대신 모터를 이용해 지지 플레이트(210)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왕복 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지지 플레이트(210)의 일측에는 지지 플레이트(210) 상에 안착된 피가공물(W)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는 별도의 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센서가 소정의 무게 이상을 감지하게 되면, 모터는 지지 플레이트(210)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피가공물(W)이 모두 낙하하면, 모터는 다시 지지 플레이트(210)를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회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210)는 제1 위치에서 내측 지지 플레이트(211)의 제1 슬라이딩면(S1)이 이송 유닛(100)의 배출 단부를 향해 내리막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송 유닛(100)에서 배출된 피가공물(W)이 내측 지지 플레이트(211)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소정의 무게 이상이 될 때까지 낙하하는 일 없이 지지 플레이트(210)가 제1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도 5는 종래예와 발명예에 따른 피가공물(W)의 낙하 상태를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송 유닛(200)에 따른 피가공물(W)의 활송 상태를 나타낸다.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가공물(W)의 낙하를 안내하는 별도의 장치를 갖추지 않은 종래예의 경우, 피가공물(W)은 컨베이어 벨트의 단부에서 그대로 낙하하여 바스켓(B)에 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피가공물(W)은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바스켓(B)의 높이 + 컨베이어 벨트의 높이 이상)에서 낙하하기 때문에 피가공물(W)이 받는 충격도 커진다.
반면,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 안내 장치(10)는 활송 유닛(200)을 구비함으로써, 피가공물(W)이 바스켓(B)의 바닥면과 근접한 위치에서 낙하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피가공물(W)이 낙하하는 과정에서 받는 충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 안내 장치(10)는 피가공물(W)의 활송 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피가공물(W)이 바스켓(B)의 특정 위치에만 적재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컨베이어 벨트(130)에 의해 이송된 피가공물(W)은 지지 플레이트(210)의 슬라이딩면(S1, S2)을 따라 활송된다. 이때, 지지 플레이트(210)의 상면에는 가이드 부재(22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210)의 좌측과 우측 양단에서 활송되는 피가공물(W)은 그대로 낙하하여 바스켓(B)의 좌측과 우측에 적재될 수 있다. 반면, 지지 플레이트(210)의 폭 방향으로 중간 부분에 근접하여 활송되는 피가공물(W)은 지지 플레이트(210)의 슬라이딩면(S1, S2)을 따라 활송되면서 가이드 부재(220)와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접촉된 피가공물(W)은 가이드 부재(220)를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으로 활송 방향이 변경되며, 바스켓(B)의 좌측과 우측으로 다소 치우쳐 적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 안내 장치(10)는 가이드 부재(220)를 통해 피가공물(W)이 바스켓(B)에 고르게 적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피가공물(W)이 컨베이어 벨트(130)의 중앙부에 정렬된 상태로 이송되더라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 안내 장치(10)에서 피가공물(W)은 가이드 부재(220)에 의해 바스켓(B)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적재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활송 유닛(200')을 나타내고, 도 8은 종래예와 발명예에 따른 피가공물(W)의 적재 상태를 나타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활송 유닛(200')에 따른 피가공물(W)의 활송 상태를 나타낸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낙하 안내 장치(10)는 활송 유닛(200) 대신 활송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활송 유닛(200')은 지지 플레이트(210)와, 가이드 부재(220')와, 사이드 레일(230)과, 제1 회동 부재(240)와, 제2 회동 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활송 유닛(200')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의 활송 유닛(20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10)는 이송 유닛(100)의 배출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이송 유닛(100)에서 배출된 피가공물(W)이 안착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10)는 내측 지지 플레이트(211)와 외측 지지 플레이트(21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본 실시예에서 내측 지지 플레이트(211)와 외측 지지 플레이트(212)는 후술하는 제2 회동 부재(250)에 의해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가이드 부재(220')는 지지 플레이트(2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가이드 부재(220')는 외측 지지 플레이트(212)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가이드 부재(220')는 피가공물(W)의 활송 방향을 향해 넓어지는 삼각형 형상으로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가이드 부재(220')는 외측 지지 플레이트(212)의 제2 슬라이딩면(S2) 상에 형성된 홈(212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홈(2121)은 외측 지지 플레이트(212) 상에 일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가이드 부재(220')는 홈(2121)에 삽입된 상태에서 홈(2121)의 형성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220')는 홈(2121)이 형성된 방향을 따라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스켓(B)에 적재된 피가공물(W)의 상태를 고려하여, 가이드 부재(220')의 위치를 조종함으로써 피가공물(W)의 활송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220')의 위치를 변경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수동 또는 컨트롤러(미도시)를 통해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220')의 형상은 반드시 삼각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가이드 부재(220')는 피가공물(W)의 활송 방향을 향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피가공물(W)이 가이드 부재(220')의 상단에 걸려, 병목 현상을 야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 및 도 9에는 2개의 가이드 부재(220')만을 도시했으나, 개수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가이드 부재(220')의 개수는 피가공물(W)의 개수와 크기 및 형상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10)는 제1 회동 부재(240)를 통해 이송 유닛(100)에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내측 지지 플레이트(211)는 제1 회동 부재(240)를 통해 이송 유닛(100)의 배출 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회동 부재(240)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스프링, 모터, 스프링 힌지 등 다양한 회동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210)는 안착된 피가공물(W)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제1 회동 부재(240)는 감지된 무게에 기초하여 지지 플레이트(210)를 일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다시 원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내측 지지 플레이트(211)와 외측 지지 플레이트(212)는 제2 회동 부재(250)에 의해 배치될 수 있다. 제2 회동 부재(250)는 제1 회동 부재(240)와 마찬가지로 스프링, 모터, 스프링 힌지 등 다양한 회동 부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회동 부재(240)와 제2 회동 부재(250)를 통해 내측 지지 플레이트(211)와 외측 지지 플레이트(212)의 배치 각도를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내측 지지 플레이트(211)와 외측 지지 플레이트(212)가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치됨으로써, 지지 플레이트(210)를 따라 활송되는 피가공물(W)은 바스켓(B)의 일측에 집중적으로 적재될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피가공물(W)이 바스켓(B)의 다른 영역에 적재될 수 있도록, 제1 회동 부재(240)와 제2 회동 부재(250)를 이용해 내측 지지 플레이트(211)와 외측 지지 플레이트(212)의 배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이 경우, 제1 회동 부재(240)와 제2 회동 부재(250)로서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가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 지지 플레이트(212)의 단부가 바스켓(B)의 벽면에 근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바스켓(B)의 여분의 공간에 피가공물(W)이 고르게 적재될 수 있다.
또는 바스켓(B)의 특정 위치(예를 들어, 바스켓(B)의 벽면 등)에 피가공물(W)을 적재하기 위해, 제1 회동 부재(240)와 제2 회동 부재(250)를 이용해 내측 지지 플레이트(211)와 외측 지지 플레이트(212)의 배치 각도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 안내 장치(10)는 피가공물(W)이 활송되는 지지 플레이트(210)를 다단으로 구성함으로써, 피가공물(W)이 낙하하여 적재되는 과정에서 받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 안내 장치(10)는 가이드 부재(200, 200')를 이용해 피가공물(W)이 정렬된 상태로 낙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 안내 장치(10)는 피가공물(W)의 적재 분포를 고려하여 피가공물(W)의 활송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을 한정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하지는 않았으나, 실시예와 균등한 수단도 또한 본 발명에 그대로 결합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낙하 안내 장치
100: 이송 유닛
200, 200': 활송 유닛

Claims (6)

  1. 피가공물을 이송하는 이송 유닛과, 상기 이송 유닛의 배출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피가공물을 정렬하여 낙하 배출하는 활송 유닛을 포함하는 낙하 안내 장치로서,
    상기 활송 유닛은
    일단이 상기 이송 유닛의 상기 배출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피가공물이 안착되며 서로 다른 각도의 슬라이딩면을 구비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 상에 돌출되며, 상기 피가공물의 활송 방향을 변화시키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낙하 안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송 유닛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 상에 소정의 무게 미만의 상기 피가공물이 안착될 경우,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제1 위치로 유지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 상에 소정의 무게 이상의 상기 피가공물이 안착될 경우, 상기 피가공물이 활송되도록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제2 위치로 회동시키는 제1 회동 부재를 더 포함하는, 낙하 안내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이송 유닛의 배출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제1 슬라이딩면을 갖는 내측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내측 지지 플레이트와 경사를 이루도록 배치되며, 제2 슬라이딩면을 갖는 외측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낙하 안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활송 유닛은
    상기 외측 지지 플레이트를 상기 내측 지지 플레이트에 대해 회동시키는 제2 회동 부재를 더 포함하는, 낙하 안내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내측 지지 플레이트의 슬라이딩면 및 상기 외측 지지 플레이트의 슬라이딩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아래를 향해 넓어지는 형상의 돌출부인, 낙하 안내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내측 지지 플레이트의 슬라이딩면 상에 일 방향으로 형성된 홈을 따라 위치 조정이 가능한 복수 개의 돌출부인, 낙하 안내 장치.
KR1020200074443A 2020-06-18 2020-06-18 피가공물의 충격 완화와 정렬을 위한 낙하 안내 장치 KR202101566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443A KR20210156623A (ko) 2020-06-18 2020-06-18 피가공물의 충격 완화와 정렬을 위한 낙하 안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443A KR20210156623A (ko) 2020-06-18 2020-06-18 피가공물의 충격 완화와 정렬을 위한 낙하 안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623A true KR20210156623A (ko) 2021-12-27

Family

ID=79177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443A KR20210156623A (ko) 2020-06-18 2020-06-18 피가공물의 충격 완화와 정렬을 위한 낙하 안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662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8421A (zh) * 2022-01-11 2022-04-15 湖南湘嗡嗡农牧有限公司 一种智能蜂蜜取用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550B1 (ko) 2016-06-16 2018-05-04 장동만 Ih 조리용기용 전열판 가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550B1 (ko) 2016-06-16 2018-05-04 장동만 Ih 조리용기용 전열판 가공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8421A (zh) * 2022-01-11 2022-04-15 湖南湘嗡嗡农牧有限公司 一种智能蜂蜜取用装置
CN114348421B (zh) * 2022-01-11 2024-02-06 湖南湘嗡嗡农牧有限公司 一种智能蜂蜜取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55948B2 (ja) 搬送装置および搬送方法
US9676566B2 (en) Stacked tilt tray and cross-belt sorting system
EP3476777B1 (en) Feeding system
TWI424521B (zh) 傳送封裝晶片之裝置以及測試搬運機
JP4804355B2 (ja) 果物等の物品を分類する装置
KR20210156623A (ko) 피가공물의 충격 완화와 정렬을 위한 낙하 안내 장치
US10577194B2 (en) Sorting device with improved capacity
KR20170019238A (ko) 물품 자동분류시스템용 초고속 자동 정렬기
JP4381356B2 (ja) ワークの整列供給装置
JP4717977B2 (ja) ワーク搬送装置
KR101986314B1 (ko) 회전 적재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 적재 장치
KR101674662B1 (ko) 트레이 대기 및 반출 장치
JP6366511B2 (ja) 仕分けシステム、仕分け方法及びガイドユニット
JP6143564B2 (ja) 物品仕分装置
JP6881085B2 (ja) 投入装置
JP4048805B2 (ja) 受け渡し設備
AU771551B2 (en) A non-horizontal conveyor for feeding objects
JP6871445B2 (ja) 搬送装置、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1140705A1 (ja) 物品移載装置及びピッキングシステム
JP7453930B2 (ja) 搬送装置
WO2021153270A1 (ja) 物品収納設備(article storage facility)
JP2018111587A (ja) 搬送装置
JP2990938B2 (ja) ハンガーコンベアシステム
JPH10310232A (ja) 物品仕分け装置
GB2275433A (en)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of twin disk lapping and honing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