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239B1 - 2-알킬-7-치환-2(또는 3)-세펨-4-카르본산류의 제조법 - Google Patents

2-알킬-7-치환-2(또는 3)-세펨-4-카르본산류의 제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239B1
KR820001239B1 KR7401479A KR740001479A KR820001239B1 KR 820001239 B1 KR820001239 B1 KR 820001239B1 KR 7401479 A KR7401479 A KR 7401479A KR 740001479 A KR740001479 A KR 740001479A KR 820001239 B1 KR820001239 B1 KR 820001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
carboxylic acid
cepem
substituted
alk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401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까시 가미야
쯔도무 데라지
마사시 하시모또
오사무 나가구찌
데라오 오꾸
Original Assignee
나까다 도요가즈
후지사와 야구힝 고교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까다 도요가즈, 후지사와 야구힝 고교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나까다 도요가즈
Priority to KR7401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239B1/ko
Priority to KR7802247A priority patent/KR8100012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2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5-thia-1-azabicyclo [4.2.0] octane ring systems, i.e. compounds containing a ring system of the formula:, e.g. cephalosporins; Such ring systems being further condensed, e.g. 2,3-condensed with an oxygen-, nitrogen- or sulfur-containing hetero ring
    • C07D501/02Preparation
    • C07D501/04Preparation from compounds already containing the ring or condensed ring systems, e.g. by dehydrogenation of the ring, by introduction, elimination or modification of substitu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5-thia-1-azabicyclo [4.2.0] octane ring systems, i.e. compounds containing a ring system of the formula:, e.g. cephalosporins; Such ring systems being further condensed, e.g. 2,3-condensed with an oxygen-, nitrogen- or sulfur-containing hetero ring
    • C07D501/14Compounds having a nitrogen atom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7
    • C07D501/16Compounds having a nitrogen atom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7 with a double bond between positions 2 and 3
    • C07D501/207-Acylaminocephalosporanic or substituted 7-acylaminocephalosporanic acids in which the acyl radicals are derived from carboxylic ac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5Design of synthesis routes, e.g. reducing the use of auxiliary or protecting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phalosporin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2-알킬-7-치환-2(또는 3)-세펨-4-카르본산류의 제조법
본 발명은 2-알킬-7-치환-2(또는 3)-세펨-4-카르본산-1-옥사이드류 또는 그 카르복실기에서의 유도체(IIc)를 환원하여, 2-알킬-7-치환-2(또는 3)-세펨-4-카르본산류 또는 그 카르복실기에서의 유도체(IIb)를 얻는 것으로 되는 2-알킬-7-치환-2(또는 3)-세펨-4-카르본산류의 제조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의 반응을 일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1
또는 그 카르복실기에서 유도체(IIc) 또는 그 카르복실기에서의 유도체(IIb) 식중 R1은 아미노기 또는 치환아미노기를 각각 의미한다.
본 발명의 원료물질(IIc)는 신규물질이고, 예를 들면 대응하는 2-알킬-2-할로메틸-6-치환페남-3-카르본산의 1-옥사이드 또는 그러한 카르복시기에서의 유도체에 염기를 작용시킨 후 루이스산을 작용시킴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식의 정의에서 R1이 치환 아미노기인 경우의 치환 아미노기에서의 치환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미노, 탄화수소잔기, 아실아미노, 아실, 아실이외의 아미노보호기등의 이 반응에 악영향을 부여하지 않는 치환분은 모두 포함된다.
여기에서 상기의 탄화수소잔기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프로페닐, 에틸리덴, 프로필리덴, 벤지리덴, 토리틸 등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1가 또는 2가의 모두를 탄화수소잔기가 포함되고, 이러한 기는 예를 들면 염소, 브롬, 요드, 불소등의 할로겐, 하이드록시기, 아미노기메틸아미노, 디메틸아미노, 디에틸아미노, 메틸에틸아미노 등의 모노(또는 디)알킬아미노기, 메틸페닐아미노, 에틸페닐아미노 등의 알킬 아릴아미노, 디페닐아미노, 디트릴아미노 등의 디알릴아미노, 피토리디닐, 피페리디노, 헥사히드로-1H-아제피닐등의 복소환식기, 아실아미노기,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등의 알콜시기, 니트로기, 카르복시,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 벤질옥시카르보닐, 페내틸옥시카르보닐 등의 에스테르화된 카르복실기 등의 이 반응에 악영향을 부여하지 않는 기로 치환되어도 좋고, 다시 이와 같은 치환분을 갖이는 탄화수소 잔기로서는 예를 들면 1-메틸-2-메톡시카르보닐비닐, 1-메틸-2-에톡시카르보닐 에틸리덴, 디메틸아미노메틸렌, 메틸페닐아미노메틸렌, 2-하이드록시 벤지리덴, 피페리디노메틸렌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의 아실기 및 아실아미노기에서 아실기로서는 지방족 아실, 방향환을 포함하는 아실 또는 복수환을 포함하는 아실의 전부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지방족 아실로서는 포화 또는 불포화 알카노일로서, 측쇄를 갖이거나 또는 환상으로되어도 좋고, 예를 들면 포르밀, 아세틸, 프로피오닐, 부티릴, 이소부티릴, 발레릴, 이소발레릴, 피바로일, 아크릴로일, 크로토노일, 2-메틸아크릴토일, 시클로펜틸카르보닐, 시클로헥실 카르보닐, 시클로부틸 카르보닐, 석시닐, 시클로펜틸아세틸, 시클로헥실아세틸, 시클로헵틸아세틸, 시클로헥실프로피오닐, 시클로헵틸프로피오닐, 디히드로벤조일, 2,4,6-시클로헵타트리에닐아세틸, 디히드로페닐아세틸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러한 포화 또는 불포화 알카노일은 산소원자 또는 유황원자로서 중단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기로서는 예를 들면, 메톡시아세틸, 메틸티오아세틸, 2-프로페닐티오아세틸, 시클로헥실티오아세틸, 시클로헥실옥시아세틸, 디히드로페녹시아세틸, 디히드로페닐티오아세틸,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프로폭시카르보닐, 부톡시카르보닐, 제3급 부톡시 카르보닐, 시클로펜틸옥시카르보닐, 시클로옥실옥시카르보닐, 디히드로페녹시카르보닐, 시클로부틸옥시카르보닐을 들 수 있다. 또 방향환을 포함하는 아실로서는 벤조일토루오일, 나프토일, α-메틸나프토일, 프타로일, 테트라히드로나프토일등의 아릴로일, 벤젠설포닐, 토실등의 아틸설포닐 및 페닐아세틸, 페닐프로피오닐, 페닐부티릴, 트릴아세틸, 키시릴아세닐, 나프틸아세틸, 테트라히드로나프틸아세틸 등의 아랄카노일의 양자를 포함하고, 또 이 아랄카노일의 알킬부분의 탄소원자는 산소원자 또는 유황원자로 바꾸어 두어도 좋고, 이와 같은 기로서는 예를 들면, 페녹시아세틸, 페닐티오아세틸벤질옥시카르보닐, 키시릴옥시카르보닐, 나프톡시카르보닐, 페녹시카르보닐, 2-페녹시프로피오닐, 2-페녹시부티릴 등을 들 수 있다.
다시 복소환을 포함하는 아실로서는 산소원자, 유황원자, 질소원자 기타의 헤테로원자를 적어도 한개 또는 그 이상 포함하는 포화 또는 불포화 복소단환 또는 복소다환잔기 예를 들면 티에닐 벤조티에닐, 프릴, 피라닐, 5,6-디히드로-2H-피라닐, 이소벤조프타닐, 크로메닐, 키산테닐, 2H-필로릴, 3-필로릴, 필로릴, 이미다조릴, 피라조릴, 피리딜피리미디닐, 피라디닐, 피리다디닐, 이소인드릴인드릴, 인드조릴, 키노릴, 이소키로릴, 이소키사조릴, 이소티아조릴, 옥사디아조릴, 피토리디닐, 피토리닐, 이미다졸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디닐, 디아조릴, 트리아조릴, 옥사조릴, 티아조릴, 옥사조릴, 티아조릴, 티아디아조릴, 테트라조릴, 벤즈옥사조릴, 벤즈옥사디아조릴, 벤조티아조릴, 벤조티아디아조릴, 벤조트리아조릴, 벤즈아미다조릴, 시도노닐등의 복소환을 포함하는 복소환카르보닐 및 상기 복소환 또는 복소환치환옥시 또는 복소환치환티오 또는 복소환치환아미노 또는 N-알킬복소환치환아미노등의 기를 치환분으로서 갖이는 아세틸, 프로피오닐, 부티릴, 이소부티릴, 바레릴, 이소바레릴, 피바로일 아크릴로일, 크로토노일, 2-메틸아크릴로일등의 알카노일 예를 들면 1H(또는 2H)-테트라조릴아세틸, 티에닐아세틸, 티에닐프로피오닐, 프릴아세틸 피페라디닐아세틸 피로리디닐아세틸, 피토리디닐 프로피오닐, 티아디아조릴아세틸, 옥사디아조릴아세틸, 벤조티아조릴아세틸, 옥사조릴아세틸, 벤즈옥사조릴 아세틸 등을 들 수 있고 또 이 복소환을 치환분으로 하여 갖이는 알카노일의 알킬부분의 탄소원자는 산소원자 또는 유황원자로 바꾸어 놓더라도 좋고, 이와 같은 기로서는, 예를 들면 피리딜메톡시카르보닐, 2-프릴옥시카르보닐, 8-키노릴옥시카르보닐 등을 들 수 있다.
다시 이러한 지방족 아실, 방향환을 포함하는 아실 또는 복소환을 포함하는 아실은 그 임의의 위치에 적당한 치환분을 1개 또는 그 이상 갖이고 있어도 좋고, 이와 같은 치환분으로서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1-프로페닐, 2-프로페닐, 시클로프로필,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등의 알킬, 페닐, 키시릴, 트릴등의 아릴, 벤질 페네틸등의 아랄킬, 아미노, 메트카프트, 니트로, 아지드, 클로로, 플루오르, 브롬등의 할로겐, 카르복시, 설퍼, 하이드록시, 모노(또는 디)메틸아미노, 모노(또는 디)에틸 아미노, 모노(또는 디)프로필아미노, 모도(또는 디)이소프로필, 아미노등의 모노(또는 디)알킬아미노기, 모노(또는 디)페닐아미노, 모노(또는 디)트릴아미노 등의 모노(또는 디)아릴아미노, 모노(또는 디)벤질아미노, 모노(또는 디)페네틸아미노등의 모노(또는 디)아랄킬아미노,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등의 알콜시기, 메틸티오, 에틸티오, 프로필티오, 이소프로필티오, 부틸티오 등의 알킬티오기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와 같은 치환분을 갖이는 지방족아실, 방향족을 포함하는 아실 또는 복소환을 포함하는 아실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클로로에톡시카르보닐, 트리브로모에톡시카르보닐, 1-시클로프로필에톡시카르보닐, 클로로아세틸, 2클로로프로피오닐, 트리플루오로아세틸, α-아미노페닐아세틸, 카르바모일, 페닐카르바모일, α-하이드록시페닐아세틸 p-니트로벤질옥시카르보닐, 0-브로모벤질옥시카르보닐, 0-니트로벤질옥시카르보닐, p-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 3,4-디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 p-하이드록시페닐아세틸, 2-아미노-2-(5,6-디하이드로-2H-피란-3-이드)아세틸 2-아미노-2-(p-하이드록시페닐)아세틸, 2,6-디메톡시벤조일, p-아세트아미드벤젠설포닐, 3-페닐-5-메틸-4-옥시조릴카르보닐, 3-(2-클로로페닐)-5-메틸-4-옥사조릴카르보닐, 3-(2,6-디클로로페닐)-5-메틸-4-옥사조릴카르보닐, 3-(2-클로로-6-플루오르페닐)-5-메틸-4-옥사조릴카르보닐 등을 들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아실기중에 유리의 아미노기, 하이드록시기, 메르카프토기, 카르복시기, 설퍼기 등이 있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아미노기, 하이드록시기, 메르카프토기, 카르복시기, 설피기 등이 보호기로 보호된 경우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아미노기의 보호기로서는 보통 아미노기로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를 포함하고 예를 들면 트리클로로에톡시카르보닐, 트리브로모에톡시카르보닐, 벤질옥시카르보닐, p-톨루엔설포닐, p-니트로벤질옥시카르보닐 0-브로모벤질옥시카르보닐, 0-니트로페닐설페닐, 클로로아세틸, 트리플루오르아세틸, 포르밀 및 α-피코리닐, 비닐옥시카르보닐, 제3급부톡시카르보닐, p-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 3,4-디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 4-(페닐아조)벤질옥시카르보닐, 4-(4-메톡시페닐아조)벤질옥시카르보닐피리딘-1-옥사이드-2-메톡시카르보닐, 2-피리딜메톡시카르보닐, 2-프릴옥시카르보닐, 디페닐메톡시카르보닐, 1,1-디메틸프로폭시카르보닐, 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 1-사이클로프를필에톡시카르보닐, 2-시아노-1,1-디메틸에톡시카르보닐, 프라로일, 석시닐, 1-아다만틸옥시카르보닐, 8-키노릴옥시카르보닐, 이소보트닐옥시카르보닐, 9-플루오레닐에톡시카르보닐 등의 탈리하기 쉬운 아실기를 들 수 있고 다시 예를 들면, 트리틸 2-니트로페닐티오, 2,4-디니트로페닐티오, 벤질리덴, 4-니트로벤지리덴, 2-하이드록시 벤지리덴-2-하이드록시-5-클로로벤질리덴, 2-하이드록시-1-나프틸메틸렌, 3-하이드록시-4-피리딜메틸렌, 1-메톡시카르보닐-2-프로피리덴, 1-에톡시카르보닐-2-프로피리덴, 3-에톡시카르보닐-2-부틸리덴, 1-아세틸-2-프로피리덴 1-벤조일-2-프로피리덴, 1-{N-(2-메톡시페닐)카르바모일}-2-프로피리덴, 2-{N-(4-메톡시페닐)카르바모일}-2-프로피리덴, 2-에톡시카르보닐 시클로헥시리덴, 2-에톡시카르보닐시클로펜티리덴, 2-아세틸시클로헥시리덴, 3,3-디메틸-5-옥소시클로헥시리덴들의 탈리하기 쉬운 기(이중 예를 들면 1-메톡시카르보닐-2-프로피리덴은 1-메톡시카르보닐-1-프로핀-2-이르로 나타내는 일이 있으며, 또 예를 들면 2-에톡시카르보닐 시클로헥시리덴은 2-에톡시카르보닐-1-시클로헥세닐로 나타낼 수 있다)
또 디 또는 트리알킬실 등의 아실기 이외의 아미노기의 보호기를 들 수 있고, 또 하이드록시기 및 메트카프토기의 보호기로서는 보통 하이드록시기 및 메트카프토기의 보호기로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를 포함하고 예를 들면 포르밀 및, 아세틸, 벤질옥시카르보닐, 4-니트로벤질옥시카르보닐, 4-브로모벤질옥시카르보닐, 4-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 3,4-디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 4-(페닐아조)벤질옥시카르보닐, 4-(4-메톡시페닐아조)벤질옥시카르보닐, 제3급 부톡시카르보닐, 1,1-디메틸프로폭시카르보닐, 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 디페닐메톡시카르보닐, 2-피리딜메톡시카르보닐, 2,2,2-트리클로로에톡시카르보닐, 2,2-트리브로모메톡시카르보닐, 3-요드프로폭시카르보닐, 2-프루프릴옥시카르보닐, 1-아다만틸옥시카르보닐, 1-시클로프로필에톡시카르보닐, 3-키노릴옥시 카르보닐, 트리플루오로아세틸 등의 탈리하기 쉬운 아실시외에 벤질, 트리틸, 메톡시메틸, 2-니트로페닐티오, 2,4-디니트로페닐티오 등의 기를 들 수 있고 여기에서 카르복실기의 보호기로서는, 보통의 카르복시기의 보호기로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를 포함하고, 예를 들면 그 에스테르부분이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제3급 부틸, 부틸, 벤질, 디페닐에틸, 트리페닐메틸, p-니트로벤질, p-메톡시벤질, 벤조일메틸, 아세틸메틸 : p-니트로벤조일메틸, p-브로모벤조일메틸, p-메탄설포닐벤조일메틸, 프탈이미드메틸, 트리클로로에틸, 트리브로모에틸, 1,1-디메틸-2-프로피닐, 아세톡시메틸, 프로피오닐옥시메틸, 피바로일옥시메틸, 1,1-디메틸프로필, 1,1-디메틸-2-프로페닐, 3-메틸-3-부티닐, 석신이미드메틸, 1-시클로프로필에틸, 3,5-디 제3급 부틸-4-하이드록시벤질, 메틸설페닐메틸, 페닐설페닐메틸, 메틸티오메틸, 페닐티오메틸, 디메틸아미노메틸, 피리딘-1-옥사이드-2-메틸, 키노린-1-옥사이드-2-메틸, 메틸설포닐메틸, 디(p-메톡시페닐)메틸, 2-시아노-1,1-디메틸 에틸등인 에스테르, 또한 일본특허공개 소46-7073호 공보 및 네델란드 공개공보 제 7,105,259호에 기재되어 있는 예를 들면, 디메틸 디클로로시란과 같이 시릴 화합물 또는 독일공개공보 제2,062,925호에 기재되어 있는 예를 들면, 4염화티탄과 같은 비금속화합물로서 카르복시기가 보호되어 있는 경우등이 예시된다.
또 상기 R1의 치환아미노기 중에서 그 치환부분이 아실기 이외의 것인 아미노보호기로서는, 전술의 아실기중에 아미노기를 갖이는 경우의 아미노기의 보호기로서 예시된 아실기 이외의 아미노 보호기가 이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또 R2에 있어서 알킬기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술한 정의에서 카르복실기에서 유도체로서는 상기한 아실기중에서 카르복시기의 보호기의 위치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은 시릴화합물 또는 비금속화합물과 카르본산과의 반응에 의해 유도되는 유도체를 포함하여,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카르복시기에서 유도체를 예시할 수 있다.
(가) 에스테르 : 여기에서 에스테르로서는 활성 에스테르 및 비활성 에스테르 모두를 포함하고, 예를 들면 에스테르부분이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제3급 부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비닐, 1-프로페닐, 2-프로페닐, 1,1-디메틸-2-프로페닐, 3-부테닐, 1,1-디메틸-2-프로피닐등의 포화 또는 불포화알킬, 페닐, 키시릴트릴, 나프틸, 등의 아릴, 벤질 페네틸 등의 아랄킬 또 전기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 및 아랄킬의 알킬부분의 탄소원자가 유황원자, 질소원자, 산소원자 또는 카르보닐등으로 치환된 메톡시메틸, 에톡시메틸, 메틸티오에틸, 메틸티오메틸, 디메틸아미노에틸, 디에틸아미노에틸, 페녹시메틸, 페닐티오메틸, 메틸설페닐메틸, 페틸설페틸메틸, 벤조일메틸, 토루오일메틸 등 다시 이러한 상기의 기가 적당한 치환분, 예를 들면 시아노, 니트로플루오르, 클로로, 브롬 등의 할로겐,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등의 알콕시, 알칼설포닐, 페닐아조등을 1개 또는 그 이상 갖이는 클로로메틸, 브로모메틸, 트리클로로에틸, 시아노메틸, 2-시아노-1,1-디메틸에틸, P-니트로페닐, 2,4,5-트리클로로페닐, 2,4,6-트리클로로페닐, 펜타클로로페닐, P-메탄설포닐페닐, 4-(페닐아조)페닐, 2,4-디니트로페닐, P-클로로벤질, 0-니트로벤질, P-메톡시벤질, P-니트로벤질, 3,4,5-트리메톡시벤질, 비스(P-메톡시페닐)메틸, 펜타클로로벤질, 트리클로로벤질, 3,5-디 제3급 부틸-4-하이드록시벤질, P-니트로페닐티오메틸, P-클로로페닐티오메틸, P-니트로벤조일메틸, P-클로로벤조일메틸 등 기타 치환 또는 비치환 티오알코올, N-하이드록시 호박샹이미드, N-하이드록시프탈이미드, 테트라하이드로피라놀, 1-시클로프로필에탄올, 1-페닐-3-메틸-5-피라조론, 3-하이드록시피리딘, 2-하이드록시메틸피리딘-1-옥사이드 1-하이드록시피페리딘 1-하이드록시-2(1H)-피리돈, 디메틸하이드록실아민, 디에틸하이드록실아민, 글리콜아미드, 8-하이드록시키노린, 옥심, 2-하이드록시메틸키노린-1-옥사이드, 메톡시아세틸렌, 에톡시아세틸렌 제3급 부티닐에티닐 디메틸아민, 제3급 부틸에티닐 디에틸아민, 에틸에티닐 디에틸아민, 2-에틸-5-(3-설페닐)이소키사졸륨하이드록사이드 분자내염, 1,5,9,9,10-펜타크롤-9,10-디하이드록시안트라센, 9,9,10-트리클로로-9,10-디하이드로안트라센 1,8,9,10,10-벤타클로로-9,10-디하이드로안트라센 등의 9,10,10-트리할로개노-9,10-디하이드로안트라센 유도체 등과의 에스테르.
(나) 아미드 : 여기에 있어서 아미드로서는, 산아미드, N-치환산아미드, N,N-디치환산아미드의 전부를 포함하고, 예를 들면, N-메틸산아미드, N-에틸산아미드등의 N-알킬산아미드, N-페닐산아미드, N,N-디메틸산아미드, N-에틸-N-메틸산아미드 등의 N,N-디알킬산아미드, 이미다졸, 4-치환이미다졸의 산을 들 수 있다.
(다) 산무수물 : 여기에 있어서 산무수물로서는 예를 들면 디알킬인산혼합무수물, 디벤질인산혼합무수물, 할로겐화인산혼합무수물, 디알킬아인산혼합무수물, 이황산혼합무수물, 티오황산혼합무수물, 황산혼합무수물, 아황산혼합무수물, 알킬탄산혼합무수물, 지방족카르본산(예를 들면 피바린산, 펜탄산, 이소펜탄산, 2에틸부탄산, 클로로초산, 클로톤산, 길초산(吉草酸), 프로피온산 3-클로로-2-펜텐산, 3-브로모-2-부텐산 페닐초산, 페녹시초산, 프란초산, 티오펜초산)혼합무수물, 방향족카르본산(예를 들면, 안식향산)혼합무수물, 대칭형산 무수물등을 들 수 있다.
(라) 산할라이드
(마) 산아지드
(바) 염류등
화합물(IIc)를 환원하여 화합물(IIb)로 유도하는 반응은 기
Figure kpo00002
를 기 -S-에 변환할 수 있는 환원조건하에서 행해진다.
이 환원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 제1주석, 티오황산나트륨, 티오황산칼륨 등의 티오황산금속 또는 이러한 화합물과 아세틸클로라이드와 같은 산클로라이드를 병용하는 방법, 3염화인, 5염화인, 3염화규소등을 사용하는 방법등을 들 수 있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만이 아니고,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보 소 47-21111호 공보기재의 환원방법등의 설포닐기의 티오기화에 사용할 수 있는 모든 환원방법이 포함된다.
이 반응은 보통 용매중에서 행하는 수가 많다.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디메틸포름아미노, 아세트니트릴, 아세트초산 에스테르, 테트라하이드로프란, 클로로포롬, 디클로로메탄, 디옥산등의 이 반응에 악영향을 부여하지 않는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이 반응온도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화합물(IIc), 환원방법 등의 종류에 따라 적당히 선택된다.
이 반응에서 반응중 또는 반응의 후처리중에 카르복시기가 그 유도체에 전위되는 경우 카르복시기에서 유도체가 유리의 카르복시기로 전이되는 경우, 아미노기의 보호기가 탈리하는 경우 등은 모두 이 범위에 포함된다. 또 화합물(IIb)를 이 반응에서 화합물(IIc)로서 2-세펨체, 3-세펌체 및 3-세펨체의 2위치에서 입체이성체등을 단독으로, 또는 화합물의 상태에서 사용한 어느 경우에서도, 그것이 반응중 또는 후처리중에 전위한 화합물(IIb)가 얻어지는 경우가 있지만, 어느 경우에도 이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 이러한 이성체가 흔저하여 생성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재결정등의 통상 방법에 따라 각각 단독으로 분리해도 좋다.
이 발명의 반응에 따라 생성하는 화합물(IIb) 신규물질이고, 항균활성을 갖이고, 의약으로서 유용하며, 또 다른 항균성 물질을 제조하는 중간체로서도 유용하다.
다음에 이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설명한다.
[실시예 1]
2-페틸-7-(2-페틸아세트아미노)-3-세펨-4-카르본산의 2,2,2-트리클로로에틸에스테르의 1-옥사이드 0.72g을 디메틸포름아미노 5ml에 녹인 용액에 3염화인 0.5ml을 빙냉하에 적하하고, 동온도에서 1시간 교반한다. 반응 후 반응액을 초산에틸 40ml 및 빙수 40ml중에 붓고 초산 에틸층을 나누어 취한다. 수층을 다시 초산에틸 10ml에서 추출하고, 초산에틸층을 합한다. 이어 이것을 5% 염산, 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 포화염화나트륨 수용액의 순으로 세정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다. 이어 이것을 탄말처리를 한 후 용매를 유기한다.
잔류물을 소량의 에테르로 결정화하면 mp.175-178℃의 2-메틸-7-(2-페틸아세트아미노)-3-세펨-4-카르본산의 2,2,2-트리클로로에틸에스테르 0.43g을 얻는다.
적외선 흡착 스펙트럼(누졸) : 3250, 1790, 1740, 1660cm-1
핵자기 공명흡수 스펙트럼(CDCl3, r) : 8.54(3H, d, J=7.5Hz), 6.40(2H, s), 6.38(1H, m), 5.17(2H, s) 5.08(1H, d, J=4.5Hz), 4.06(1H, dd, J=4.5, 9Hz), 3.54(1H, d, J=9Hz), 3.34(1H, d, J=6Hz), 2.702.70(5H, s)
똑같이 하여 다음의 화합물을 얻는다.
1) 2-메틸-7-〔2-(1H-테트라졸-1-이르)아세트아미드〕-3-세펨-4-카르본산의 2,2,2-트리클로로에틸에스테르(mp.168-170℃)
2) 2-메틸-7-벤질옥시카르복사미드-3-세펨-4-카르본산의 2,2,2-트리클로로에틸에스테르(mp.143-144℃)
3) 2-메틸-7-〔2-(3-클로로페닐)아세트아미드〕-3-세펨-4-카르본산의 2,2,2-트리클로로에틸에스테르〔mp.144-145.5℃(분해)〕
4) 2-메틸-7-〔2-(2-체닐)아세트아미드〕-3-세펨-4-카르본산의 2,2,2-트리클로로에틸에스테르〔mp.161-162℃(분해)〕
5) 2-메틸-7-〔2-(1,2,5-티아디아졸-3-이르)아세트아미드〕-3-세펨-4-카르본산의 2,2,2-트리클로로에틸에스테르〔(mp.180-185℃(분해)〕
6) 2-메틸-7-(2-페녹시아세트아미드)-3-세펨-4-카르본산의 메틸에스테르(유상)
7) 2-메틸-7-(2-페녹시아세트아미드)-3-세펨-4-카르본산의 2,2,2-트리클로로에틸에스테르(mp.118-120℃)
8) 2-메틸-7-〔N-(1-시클로프로필에톡시)카르보닐페닐글리실〕아미노-3-세펨-4-카르본산(mp.168-169℃)
9) 2-메틸-7-〔2-(1H-테트라졸-1-이트)아세트아미드〕-3-세펨-4-카르본산〔mp.202-203℃(분해)〕
10) 2-메틸-7-〔2-(2-체닐)아세트 아미드〕-3-세펨-4-카르본산〔mp.175℃(분해)〕
11) 2-메틸-7-벤질옥시카르복사미드-3-세펨-4-카르본산〔mp.167-169℃(분해)〕
12) 2-메틸-7-(2-페닐티오 아세트아미드〕-3-세펨-4-카르본산〔mp.168-171℃(분해)〕
13) 2-메틸-7-〔2-(3-클로로페닐)아세트아미드〕-3-세펨-4-카르본산〔mp.173-174℃(분해)〕
14) 2-메틸-7-〔N-제3급 부톡시 카르보닐아미노)-3-(2-티에닐)프로피온아미노)-3-(2-티에닐)피로피온아미드〕-3-세펨-4-크르본산〔mp.167-170℃(분해)〕
15) 2-메틸-7-(2-시아노아세트아미드)-3-세펨-4-카르본산(mp.162-166℃)
16) 2-메틸-7-(3-페닐우레이드)-3-세펨-4-카르본산(mp.148-151℃)
17) 2-메틸-7-〔2-(1,3,4-티아디아졸-2-이르티오)아세트아미드〕-3-세펨-4-카르본산(mp.197-199℃)
18) 2-메틸-7-(N-제3급 부톡시카르보닐-2-티에닐글리실)아미노-3-세펨-4-카르본산(분말)
19) 2-메틸-7-〔2-(5-메틸-1,3,4-티아디아졸-2-이트옥시)아세트아미드〕-3-세펨-4-카르본산(mp.113-116℃)
20) 2-메틸-7-〔23-(2-클로로페닐)-5-메틸-이소옥사졸-4-이트〕카르복사미드-3-세펨-4-카르본산(mp.202-203℃)
21)2-메틸-7-(2-메틸티오아세트아미드)-3-세펨-4-카르본산〔mp.181-183℃(분해)〕
22)2-메틸-7-(2-아틸티오아세트아미드)-3-세펨-4-카르본산(mp.121-123℃)
23) 2-메틸-7-(2-포르밀옥시-2-페닐아세트아미드)-3-세펨-4-카르본산(분말)
24) 2-메틸-7-(1-시클로프로필에톡시)카르복사미드-3-세펨-4-카르본산〔mp.158.5-160℃(분해)〕
25)2-메틸-7-〔N-(1-시클로프로필에톡시)카르보닐페닐글리실〕아미노-3-세펨-4-카르본산의 2,2,2-트리클로로에틸에스테르(mp.165-167.5℃)
26) 2-메틸-7-(2-페닐티오아세트아미드)-3-세펨-4-카르본산의 2,2,2-트리클로로에틸에스테르(mp.140-142℃)
27) 2-메틸-7-〔3-(N-제3급 부톡시카르보닐 아미노)-3-(2-체닐) 프로피온아미드〕-3-세펨-4-카르본산의 2,2,2-트리클로로에틸에스테르(mp.188-192℃)
28) 2-메틸-7-(2-시아노아세트아미드)-3-세펨-4-카르본산의 2,2,2-트리클로로에틸에스테르〔mp.160-165℃(분해)〕
29) 2-메틸-7-(3-페닐우레이드)-3-세펨-4-카르본산의 2,2,2-트리클로로에틸에스테르(mp.172-174℃)
30) 2-메틸-7-〔2-(1,3,4-티아디아졸-2-이르티오)아세트아미드〕-3-세펨-4-카르본산의 2,2,2-트리클로로에틸에스테르〔mp.130-140℃(분해)〕
31) 2-메틸-7-(N-제3급 부톡시카르보닐-3-티에닐글리실)아미노-3-세펨-4-카르본산의 2,2,2-트리클로로에틸에스테르(분말)
32) 2-메틸-7-〔2-(5-메틸-1,3,4-티아디아졸-2-이르옥시)아세트아미드〕-3-세펨-4-카르본산의 2,2,2-트리클로로에틸에스테르(무정형)
33) 2-메틸-7-〔3-(2-클로로페닐)-5-메틸이소옥사졸-4-이르)카르복사미드-3-세펨-4-카르본산의 2,2,2-트리클로로에틸에스테르(무정형)
34) 2-메틸-7-(2-메틸티오아세트아미드)-3-세펨-4-카르본산의 2,2,2-트리클로로에틸에스테르(mp.151-153℃)
35) 2-메틸-7-(2-아릴티오아세트아미드)-3-세펨-4-카르본산의 2,2,2-트리클로로에틸에스테르(mp.96℃)
36) 2-메틸-7-(2-포르밀옥시-2-페닐아세트아미드)-3-세펨-4-카르본산의 2,2,2-트리클로로에틸에스테르(분말)
37) 2-메틸-7-(1-시클로프로필에톡시)카르복사미드-3-세펨-4-카르본산의 2,2,2-트리클로로에틸에스테르(mp.181-183℃)
38) 2-메틸-7-(페닐글리실)아미노-3-세펨-4-카르본산(mp.168.5-171℃)
39) 2-메틸-7-〔3-아미노-3-(2-티에닐)프로피온아미드〕-3-세펨-4-카르본산〔mp.218-221℃(분해)〕
40)2-메틸-7-〔(2-티에닐)글리실〕아미노-3-세펨-4-카르본산〔mp.145-149℃(분해)〕
41) 2-메틸-7-(2-하이드록시-2-페닐아세트아미드)-3-세펨-4-카르본산(mp.172-173℃)
42) 2-메틸-7-아미노-3-세펨-4-카르본산의 2,2,2-트리클로로에틸에스테르〔염산염, mp.185-187℃(분해)〕
43) 2-메틸-7-아미노-3-세펨-4-카르본산〔mp.220℃(분해)〕

Claims (1)

  1. 2-알킬-7-치환-2(또는 3)-세펨-4-카르본산-1-옥사이드류 또는 그 카르복실기에서의 유도체(IIc)를 환원하여, 구조식(IIb)로 나타나는 2-알킬-7-치환-2(또는 3)-세펨-4-카르본산류 또는 카르복실기에서의 유도체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알킬-7-치환-2(또는 3)-세펨-4-카르본산류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03
    상기 구조식에서 R1은 아미노기 또는 치환 아미노기 R2는 알킬기이다.
KR7401479A 1974-02-13 1974-02-13 2-알킬-7-치환-2(또는 3)-세펨-4-카르본산류의 제조법 KR820001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1479A KR820001239B1 (ko) 1974-02-13 1974-02-13 2-알킬-7-치환-2(또는 3)-세펨-4-카르본산류의 제조법
KR7802247A KR810001264B1 (ko) 1974-02-13 1978-07-20 2-알킬-7-치환-2(또는 3)-세펨-4-카르본산류의 제조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1479A KR820001239B1 (ko) 1974-02-13 1974-02-13 2-알킬-7-치환-2(또는 3)-세펨-4-카르본산류의 제조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2247A Division KR810001264B1 (ko) 1974-02-13 1978-07-20 2-알킬-7-치환-2(또는 3)-세펨-4-카르본산류의 제조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239B1 true KR820001239B1 (ko) 1982-07-07

Family

ID=19199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401479A KR820001239B1 (ko) 1974-02-13 1974-02-13 2-알킬-7-치환-2(또는 3)-세펨-4-카르본산류의 제조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23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68309A (en) Cephalosporins having a 7-(carboxy substituted α-etherified oximinoarylacetamido) group
CH637396A5 (de) Thiadiazolyl-cephalosporin-analoge.
JPH02176A (ja) 酢酸誘導体およびその塩類
GB2124207A (en) 1-sulfo-2-oxoazetidine derivatives
IE42144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tibiotics
US4263302A (en) Quinolinecarboxylic acid substituted penicillin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DD282691A5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ephalosporin
EP0000645B1 (en) Isopenicillins,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KR820001239B1 (ko) 2-알킬-7-치환-2(또는 3)-세펨-4-카르본산류의 제조법
US4144392A (en) Cephalosporins having at position-7 a carboxy substituted α-etherified hydroxyimino-arylacetamido group and at position-3 the residue of a sulphur nucleophile
JPH01319486A (ja) セフアロスポリン化合物、その製法及びこれを含有する抗菌剤組成物
SE451329B (sv) 6-beta-jod-substituerade penicillansyror
JPH0515692B2 (ko)
DE2724073A1 (de) 3,7-disubstituierte 3-cephem-4- carbonsaeuren und sie enthaltende pharmazeutische zubereitungen
DE2412513A1 (de) 2-niedrigalkyl-2- oder -3-cephem-4carbonsaeurederiv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in arzneimitteln
EP0000500A2 (de) Cephalosporinderivat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pharmazeutische Präparate
US4831130A (en) β-lactam antibacterial agents
US3492297A (en) Guanidino cephalosporins
DE2262500A1 (de) 3-oxyiminomethylcephalosporinverbindungen
KR810001264B1 (ko) 2-알킬-7-치환-2(또는 3)-세펨-4-카르본산류의 제조법
HU192004B (en) Process for producing 7-/benzo-thienyl-acetyl-amino/-ceph-3-eme-4-carboxylic acid derivatives
JPS5932472B2 (ja) 2−アルキル−7−アシルアミノ−2(または3)−セフエム−4−カルボン酸類の製造法
DE2751041A1 (de) Beta-lactam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bei der behandlung bakterieller infektionen
DD236930A5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ktiven thioesters
JPS59186990A (ja) 2−アルキル−7−置換−2(または3)−セフエム−4−カルボン酸類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