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0948Y1 - 예취 탈곡기에 있어서의 곡간 인기 반송장치 - Google Patents

예취 탈곡기에 있어서의 곡간 인기 반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0948Y1
KR820000948Y1 KR2019820002079U KR820002079U KR820000948Y1 KR 820000948 Y1 KR820000948 Y1 KR 820000948Y1 KR 2019820002079 U KR2019820002079 U KR 2019820002079U KR 820002079 U KR820002079 U KR 820002079U KR 820000948 Y1 KR820000948 Y1 KR 8200009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ing
harvesting
conveying
grain
pop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20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후지모도
다쓰오 아라다
다토오 아다찌
마사히꼬 유가와
고오시 구로미
도시가쓰 다니모도
Original Assignee
구보다 덱고오 가부시기 가이샤
히로 게이 다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보다 덱고오 가부시기 가이샤, 히로 게이 다로오 filed Critical 구보다 덱고오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200020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09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09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09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예취 탈곡기에 있어서의 곡간 인기 반송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곡간 인기 반송장치가 설치된 예취 탈곡기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측면도제
4도는 본 고안의 요부 전개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요부 측단도
제6도는 작동을 표시하는 요부 측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요부 사시도
제8도는 본 고안의 요부 횡단면도
제9도는 예취장치 부분의 분해 사시도
제10도는 제9도의 평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XI-XI선 단면도
제12도는 제10도의 XII-XII선 단면도
제13도는 인기 장치 부분의 정면도
제14도는 제13도의 측면도
제15도는 제13도의 XV-XV선 단면도
제16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17도는 소입장치의 부분의 사시도
제18도는 제17도의 개략 정면도
제19도는 전동 관계를 표시하는 개략사시도
제20도는 반송장치 부분의 사시도
제21도는 작동상태의 정면도
제22도는 작동상태의 측면도
제23도는 본 고안의 요부 사시도
제24도는 본 고안의 요부 횡단면도
제25도는 탈곡장치 부분의 개략 정면도
제26도는 짚처리부의 제1의 예를 표시하는 측면도
제27도는 제26도의 배면도
제28도는 상기예의 다른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측면도
제29도는 요부 확대 측면도
제30도는 짚 처리부의 제2의 예를 표시하는 측면도
제31도는 짚 처리부의 제3의 예를 표시하는 측면도
제32도는 짚 처리부의 제4의 예를 표시하는 평면도
제33도는 제32도의 단면도
제34도는 짚 처리부의 제5의 예를 표시하는 평면도
제35도는 제34도의 확대측면도
제37도는 제36도의 확대측면도
제38도는 인기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39도는 제38도의 개략사시도
본 고안은 인기(引起)장치로서 인기하면서 예취한 곡간을 예취곡간 반송장치로서 기체후부의 탈곡 공급 체인을 향해 반송해서 탈곡부에 공급하는 예취 탈곡기에 있어서의 곡간 인기 반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인기장치와 예취장치 및 예취부 소입장치를 구비한 예취 공급부를 기체 전부에 배설하고, 그 예취 공급부에서 후방의 탈곡장치에 향해서 예취곡간을 이송하는 예취곡간 반송장치를 구비한 탈곡기에 있어서, 전기한 예취 공급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후단측을 요동지점으로해서 그 전단측을 상하로 이동 및고정가능하게 하므로서 곡간의 예취 높이만을 조절하는 것, 혹은 예취곡간 반송장치의 시단부쭉을 요동중심으로해서 그 종단부쪽을 상하방향으로 요동시켜 탈곡깊이를 조절하는 구조의 것은 있었으나, 그 경우 전자에서는 전기한 예취 공급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요동지점은 탈곡장치의 뒷쪽이나 탈곡공급 체인으로부터 이격된 전방 아래쪽에 위치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예취 높이를 소정의 위치로 변경할 수 있는 점에서는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지만, 그 예취 높이 조절에 따라시 예취곡간 반송장치와 탈곡 공급체인의 인계위치에 있어서의 상대 위치가 크게 변화되며, 예취 반송되어 온 곡간이 적합하게 탈곡 공급체인이 인계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후자에서는 예취 곡간 반송장치의 요동지점을 그 반송시단부쪽에 설치해서 종단부쪽을 상하방향으로 요동시켜서 탈곡 깊이를 조절하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예취곡간 반송장치의 종단과 탈곡 공급체인 시단부와의 상대위치 관계의 변화가 탈곡깊이 변경에 따라서 필연적으로 나타나며, 양자간의 인계상황이 크게 변화되고 마는 문제가 남아 있는 것이다.
또, 전기한 예취 곡간 반송장치를 그 시단부쪽에서 상하 축으로 추축지지하고, 종단부족을 수평방향으로 요동자재하게 구성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도 예취 공급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요동지점이 탈곡장치의 뒷쪽이나 탈곡 공급체인 시단부쪽에서 이격된 위치에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예취 높이 변경을 위해 프레임을 요동시키면, 탈곡깊이 조절 및 곡간의 인계가 적합하게 이행되지 않는다고 하는 불편이 있으며, 또한 예취곡간 반송장치를 수평방향으로 요동시키는데 필요한 기체 폭 방향에서의 공간을 기체의 일부에 확보해 둘 필요가 있고, 예취 폭 등으로부터 기체 폭 방향에서의 제약이 많은 탈곡기 등의 기체에 작용시키는 데에 공간상의 불리한 점을 피할 수 없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결점을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다음에 본 고안의 곡간 인기 반송장치의 구조 및 작동을 명백히 하기위해 본 고안의 장치가 설치된 전체 예취 탈곡기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의 곡간 인기 반송장치가 부착된 예취탈곡기의 전체도를 표시한다.
기체프레임(1)의 하부에 는 좌우 1쌍의 주행 크로울러(Crawler)(2)(2)가 설치 되어, 기체프레임(1)상에는 엔진(3), 탈곡장치(4)가 설치되고, 이 엔진(3)상에 운전석(5)이 배설되어 있다.
또, 기체프레임(1)앞쪽 가까이에 지주(6)가 입설되어, 이 지주(6)의 상단에서 기체 전방에 향하여 예취공급부의 지지프레임(7)이 연출되어 있다.
지지프레임(7)의 전단에는 식립곡간의 밑둥을 절단하기 위한 바리캉형의 예취장치(8)가 수평으로 가설되며, 또한 이 예취장치(8)보다도 전방위치에서 예취장치(8)의 상방위치에 걸쳐서 식립곡간을 소정의 예취자세로 긁어올리기 위한 인기장치(9)(9)가 좌우에 설치되어 있다.
또, 전기한 예취장치(8)의 상부에는 인기되고 있는 곡간 및 예취된 곡간을 기체 좌우 중앙쪽에 소집하기 위한 소입장치(10)가 상하 2단으로 배설되어 있다.
또, 지지프레임(7)의 상부에는 전기한 소입장치(1)로 기체중앙에 소집되어 있는 예취곡간의 이삭부분과 밑둥부분을 지지하여 예취곡간은 세워진 자세 혹은 조금 앞으로 기울어져 세워진 자세의 상태대로 후방상방으로 향하여 반송하는 상하 2단의 반송장치(11)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이 반송장치(11)는 그 반송종단에서 반송곡간이 이삭부분을 기체 내측으로 한 옆으로 쓰러진 자세로 되도록 반송중에 곡간자세가 점차 변경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전기한 예취장치(8), 인기장치(9)(9), 소입장치(10), 반송장치(11)가 갖추어진 지지프레임 (7)은 그 상단의 축심(p)을 중심으로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되어 있다.
또, 전기한 반송장치(11)도 마찬가지로 축심(p)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전기한 탈곡장치(4)의 한 쪽 옆에는 전기한 반송장치(11)에 의하여 반송되어, 옆으로 쓰러진 자세로 되어 있는 예취곡간의 밑둥부분을 인수해서 지지하고, 그 이삭부분을 탈곡장치(4)내에 삽입하여 후방으로 이송하는 탈곡 공급제인(12)이 가설되고, 또 운전석(5)의 후방 횡측부에는 탈곡된 낱알을 포장회수하는 회수부(13)가 설치되어 있다.
또, 탈곡 공급체인(12)의 후부에는 탈곡장치(4)에서 나온 곡간 즉, 배출볏짚을 처리하는 볏짚 처리부(14)가 설치되어 있다.
본 고안에 관한 예취 탈곡기의 개요는 이상과 같으며, 다음에 각부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지지프레임(7)부분은 제4도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4도에 있어서, (15)는 지주(6) 위에 고정된 브라켓트이며, 이 브라켓트(6)에 통측(16)이 전기한 수평축심(p) 주위에 회동가재하게 설치되어 있고, 다시 이 통측(16)내에 전기한 측심(p)과 동심의 구동축(17)이 가설되어 있다.
구동축(17)의 1단에는 풀리(18)가 설치되어, 탈곡장치(4)측의 구동계통에 연동되어 있다.
전기한 지지프레임(7)은 이 통축(16)에 대해 직교되계 설치되며, 지지프레임(7)내에는 회전축(19)이 설치되며, 이 회전축(19)과 전기한 구동축(17)이 베벨기어(20)(20')를 개재하여 연동되어 있다.
지지프레임(7)의 전단에는 소임장치(10)의 동력전달용 전동케이스(21)와 예취장치(8) 및 인기장치(9)의 동력전달용 전동케이스(22)가 T자 모양으로 연결되어 있고, 전기한 회전축(19)은 전동케이스(22)내에 수평으로 가설된 회전축(23)에 베벨기어(24)(24')를 개재하여 연동되어 있다.
전동케이스(22)의 양단 근처에서는 전기한 인기장치(9)의 전동케이스를 겸한 통형지주(25)(25')가 입설되고, 각 통형지주(25)(25')내에 가설된 회전축(26)(26')이 각각 수평회전축(23)에 베벨기어(27)(27') 및 (28)(28')를 개재하여 연동되어 있으며, 다시 각 회전축(26)(26')이 베벨기어(29)(29') 및 (30)(30')를 개재하여 인기장치(9)의 구동축(31)(31)에 연동되어 있다.
전기한 한쭉의 회전축(26')은 전동케이스(22)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 돌출되며, 그 돌출단에 예취장치 구동용의 크랭크암(32)이 설치되어 있다.
또, 전기한 전동 케이스(21)에는 베벨기어(33)(33')를 개재하여 회전축(19)에 연동하는 스프로켓트(34)가 부착되며, 다시 회전축(26')이 기어(35)(35') 및 베벨기어(36)(36')를 개재하여 스프로켓트(37)에 연동되어 있다.
또, 전기한 통축(16)의 단부에는 축심(P)주위에 회동 가능한 회동케이스(38)가 설치되며, 이 회동케아스(38)에 베벨기어(39)(39') 및 기어(40)(40')를 개재하여, 회전축(17)에 연동된 상하 1쌍의 스프로켓트(41)(42)가 축지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프레임(7)은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링크(43)(43')를 개재하여 기체프레임(1)에 연결되어, 스프링(44)에 의하여 상방으로 밀어올리는 힘을 받고 있다.
또, 지지프레임(7)의 전단에 설치된 전동케이스(22)의 1측단에서는 운전석(5)의 횡측부에까지 롯드(45)가 연설되어, 이 롯드(45)의 상단을 지지하므로써 지지프레임(7)을 일정 자세로 보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기한 롯드(45)의 상단은 제7도 및 제8도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운전석(5)의 다리에 설치한 브라켓트(46)에 축(47)이 횡방향 수평으로 설치되고, 이 축(47)에 암(49)과 레바(48)가 고착되며, 한측의 레바(48)의 중간에 회전자재하게 부착된 된(50)에 전기롯드(45)의 상단이 상하 슬라이드 자재하게 삽통되어 너트(51)에 의하여 하강이 제한되어 있다.
그리고, 롯드(45)의 중간부분에는 칼라(52)가 고착되어 있으며, 이 칼라(52)와 전기 핀(50)의 사이에 스프링(53)이 압축되어 장설되어 있고, 이 스프링(53)의 압압력에 의하여 롯드(45)가 하강한도까지 내려져 있다.
또, 다른 쪽의 암(49)내에는 내장 스프링(54)에 의하여 외방으로 돌출된 록크핀(55)이 설치되며, 그 록크핀(55)이 전기한 레바(48)의 선단에 설치한 손잡이부(56)내에 삽통된 조작노브(Knob)(57)에 연결되어, 조작노브(57)를 손잡이부(56)내에 압입하여 록크핀(55)이 스프링(54)에 대항하여 암(49)내에 후퇴되도록되어 있다.
그리고, 이 록크핀(55)은 전기한 브라켓트(46)에 고정된 핀받이구(58)의 원호상 플랜지에 형성한 여러개의 노치(59)……에 선택적으로 개입과 해제가 가능하게 되어 있고, 록크핀(55)이 노치(59)에 개입되어 있으면, 레바(48)의 회동이 저지되어 롯드(45)의 하강이 제한되며, 이에 의하여 지지프레임(7)의 자세가 유지되며, 또 록크핀(55)이 노치(59)에서 해제되면 레바(48)의 회동이 자유롭게 되어, 레바(48)를 임의로 요동하여 지지프레임(7)이 축심(P)주위에 상하로 요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경우 스프링(44)은 지지프레임(7) 및 이에 부설된 장치의 전중량이 레바(48)에 작용하는 것을 회피하고, 레바(48)를 수동으로 가볍게 조작할 수 있도록 그 탄성의 세기가 조절되어 있다.
또, 롯드(45)에 설치된 스프링(53)은 지지프레임(7)의 전단축의 예취장치(8)나 인기장치(9)가 지면의 돌기나 어떤 물체에 닿아서 큰 밀어올려지는 힘이 작용한 때, 이 스프링(53)이 수측되어서 롯드(45)의 상승을 허락하고, 지지프레임(7)을 상방으로 자유롭게하여 장치의 파손을 방지하는 완충용으로 설치된 것이다.
이와 같이 지지프레임(7)을 상하로 요동하단 에취장치(8)의 지상에서의 높이가 변경되는 것이어서 이에의해 식립곡간 밑둥부분의 절단 높이 조절 즉, 예취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 기체를 운반 차량에 적재하거나 내릴때나 예취를 행하지 않고 주행할때나, 바닥면의 둔덕을 덤을때 등에는, 지지프레임(7)을 크게 윗쪽으로 회동하여 기체 전단부를 지상에서 높이 들어올리는 것이다.
예취장치(8)부는 제9도-제12도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예취장치(8)는 고정된 수인(受刀)(60)의 상면에 따라서 예인(61)을 횡방향 왕복활동(滑動)되도록 구성된 것이며, 수인(60)은 전동 케이스(22)에 연설 고정된 예인프레임(62)에 부착되어 있는 지지판(63)상에 리벳드로 장착되고, 또 예인(61)은 수인(6C)의 후단과 지지판(63)상에 취부된 가이드(64)의 사이에서 안내되어서, 지지판(63)상에 따라서 활동하는 나이프 바(bar)(65)에 리벳트로 지착되어 있다.
또, 전기한 지지판(63)에는 예인(61)이 상방으로 돌리는 것을 막고 예인(61)을 항상 수인(60)위에 접촉시키기 위한 나이프클립(66)이 설치되어 있다.
또, 예인(61)에는 활동 구동력을 받기 위한 수동편(67)이 부착되어서 전기한 크랭크암(32)에 롯드(68)를 개재하여 연동된 요동레바(69)의 1단에 설치되어 있는 로울러(70)를 개입하는 요입부(凹入部)(71)가 수동편(67)에 설치되어 요동레바(69)의 왕복 요동에 의하여 예인(61)이 좌우로 활동하도록 되어 있다.
인기장치(9)부는 제13도-제16도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예취장치(9)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인프레임(62)로 부터 연출된 암(72)에 설치된 스테이(stay)(73)와 전동 케이스(22)에서 연출된 통형지주(25)(25')의 상단에 상하가 지지되어서 조금뒤로 경사진 자세로 기립된 케이스(74)내에 곡간 인기용의 조(瓜)(75)……를 적당한 간격으로 장치한 체인(76)을 회동시켜 좌우의 인기장치(9)(9)의 중간 공간에 있어서, 조(75)……를 돌출시켜서 하방에서 상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체인(76)은 제4도에 표시한 구동축(31)이 고착한 프스로켓트(77)와 케이스(74)의 하부에 설치된 스프로켓트(78)와 텐션로울러를 겸한 가이드 로울러(79)에 따라서 걸쳐있게 한 것이다.
조(75)는 합성수지로 제작된 것으로 체인(76)의 연결핀을 겸한 지점(80)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보조플레이트(81)로 빠지지 않게 되어 있다.
또, 조(75)의 연결 근원부분에는 후술한 바와 같이 조(75)를 케이스(74)에서 출퇴시키는데 사용하는 캠부(8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서 체인(76)이 (A)방향으로 회동되면, 각조(75)…는 케이스(74)의 내측 경로에서는 상승하고, 외측 경로에서는 하강하는 것이나, 조(75)가 하부의 스프로 켓트(78)에 도달하면, 캠부(82)가 스프로켓트(78)의 보스부(78')에 당접하여 조(75)가 지점핀(80)주위에 체인 진행방향에 회전 기립하고, 체인(76)과 직교하는 자세가 되고 케이스(74)로부터 돌출한다.
케이스(74)에 돌출한 조(75)가 상승경로에 들어가면, 케이스(74)내에 고정한 가이드 레일(83)에 캠부(82)가 당접하고, 조(75)는 케이스(74)횡측에 돌출한 상태를 유지시켜서 상승 이동한다.
그리고, 좌우의 인기 장치(9)(9)에 있어서, 각 케이스(74)(74)에서는 조(75)…(75)…가 대항상태로 돌출하여 상승하고, 이 돌출 조(75)에 의하여 좌우 케이스(74)(74)간의 식립곡간이 밑둥 부분에서 이삭 부분으로 향하여 긁어올리게 되는 자세를 교정하는 것이다.
조(75)가 케이스(74)의 상단 근처에 도달하면, 가이드레일(83)과 캠부(82)의 접촉이 해제되어 조(75)는 자유롭게되고, 스프로켓트(77) 및 가이드 로울러(79)를 돌아 들어가서 케이스(74)내측에 이동할 때 고무등을 피복한 스톱퍼(84)에 조(75)가 당접하여 조(75)는 상대적으로 지점핀(80)을 측으로 회동하여 체인(76)에 대략 연한 자세로 절입되어 이 절입자세대로 케이스(74)내에서 하강하는 것이다.
그리고, 체인(76)의 순환회동에 따라서 상술한 출퇴작동을 반복하고, 기체 전진에 따라서 좌우 인기장치(9)(9)간에 도입된 식립곡간을 연속적으로 일정한 기립자세로 인기하고, 자세가 고정된 곡간이 예취장치(8)에 도달하여 밑둥이 절단되는 것이다.
또, (85)는 조(75)가 가이드 로울러(79) 또는 스프로 켓트(77)를 돌아들어갈때 흔들리는 것을 막기 위한 쿳션, (86)은 조(75)가 하강하는데 체인(76)보다도 내측에 크게 회동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스톱퍼, (87)은 케이스(74) 하단에서 조(75)가 스프로켓트(78)의 보스부(78')에 접촉하기 전에 조(75)를 체인에 연한 자세로 고정하기 위한 쿳션, (88)은 케이스 케이스(74)내에 들어간 짚을 배출하는 구멍이다.
또,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전기한 양 인기장치(9((9)의 전부 및 양장치(9)(9)의 중간 전부의 곳에는 전기한 예인프레임(62)에서 연출한 암(72)를 개제하여, 삼각형상의 분초구(分草具)(89)(89) 및 (90)이배설되어, 식립곡간의 밑둥부분을 이들 분초구(89)(89)(90)로서 헤치고, 좌우의 인기장치(9)(9)사이에 원활하게 도입할 수 있도록 배려되고 있다.
또, 이들 분초구(89)(89)(90)는 식립곡간의 넘어진 상태에 따라 전후에 위치 조절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한쪽의 분초구(89)의 하부에는 분초구 선단이 땅에 돌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접지용의 슬라이더(91)가 상하 위치 조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좌우의 분초구(89)(89)의 후방에는 이들 본초구(89)(89)의 외측에 제쳐진 식립곡간이 기체측에 쓰러져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분초암(92)(92)가 매설되어 있다.
또, 전기 인기장치(9)의 케이스(74)의 상단은 제15도와 같이 경사지게 요입(凹入)되어 곡간의 이삭부분이 양 케이스(74)(74)사이에 원활하게 도입되도록 되어 있다.
제38도 및 제39도는 인기장치(9)의 별개의 형태를 표시하는 것이며, 이 경우 체인(76)의 회동축심이 횡수평으로 되어 있다.
소입장치(10)부는 제17도-제19도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소입장치(10)는 제17도에 표시하는 하단에 좌우 2개의 장치부분(10a)(10b)상단에 좌우 2개의 장치부분(10'a)(10'b)으로 되어있어서, 각 장치부분(10a)(10'a) 및 (10b)(10'b)로, 조(93a)…(93'a)…(93b)…(93'b)를 내향으로 회동 이동시켜서 예취한 곡간을 기체 중앙에 소입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장치부분 (10a)은 제4도에 표시한 스프로 켓트(34)와 케이스(94)에 설치된 스프로켓트(95)(95')(95'')에 걸쳐서 감겨 걸린 체인(96)에 조(93a)…를 부착한 것으로, 전기한 케이스(94)는 전기 통형지주(26)에 장치되어 있다.
장치부분(10'a)은 스프로켓트(95)를 고착한 축(97)의 상방에의 연출단(延出端)에 설치한 플리(98)와 프레임(99)에 설치한 풀리(100)에 벨트(101)를 걸고, 이 벨트(101)에 조(93'a)를 일체적으로 형성한 것이며 전기한 프레임(99)은 장치부분(10a)의 케이스(94)의 상단에 장치되어 있다.
장치 부분(10b)은 제 4도에 표시 한 스프로켓트(37)와 케이스(102)에 장치한 스프로켓트(103)(103')(103'')에 걸쳐서, 체인(104)를 걸고 이 체인(104)에 조(93b)…를 장착하여서 구성한 것이며, 케이스(102)는 전동케이스(22)에 부착되어 있다.
장치부분(10'b)는 전기한 스프로켓트(103)를 고착한 축(105)의 상방으로 연출하여 설치된 풀리(106)와, 프레임(107)에 설치된 풀리(108)에 벨트(109)를 걸고, 이 벨트(109)에 조(93'b)…를 일체적으로 형성한것이며, 프레임(107)은 장치부분(10b)의 케이스(102)의 상단에 장착되고 있고,
또, 제17도의(110)은 예취된 곡간을 좌우의 장치부분(10a)(10'a) 및 (10b)(10'b)에 작용시키기 쉽게 하기 위하여 전기 중앙의 암(72)에 취부된 가이드이다.
반송장치(11)부분은 제20도-조24도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반송장치(11)는 예취곡간의 이삭부분에 작용하는 상단 장치부분(11a)과, 예취곡간의 밑뭉부분이 작용하는 상단 장치부분(11b)으로 되며, 전기한 소입장치(10)로 기체 중앙에 모아놓은 예취곡간(B)의 밑뭉부분을 하단장치부분(11b)로 협지하여 이삭부분을 상단 장치부분(11a)으로 인수하고 지지하여서, 경사진 후방 상방에 반송하는 것이다. 하단 장치부분(11b)은 제4도에 도시하는 스프로켓트(41)와, 브라켓트(111)를 개재하여, 회동케이스(38)에 부착된 프레임(112)의 전단에 설치된 스프로켓트(113)에 걸쳐서 협지 반송용의 체인(114)을 걸고, 이 체인(114)의 외측에 연하여 협지용 레일(115)을 배설하고, 이들 체인(114)과 레일(115)의 사이에 예취곡간(B)의 밑둥부분을 협부하여 지지하고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레일(115)은 U자형상의 암(116)을 게재하여 프레임(112)에 연결된 브라켓트(117)에 핀(118)(118)을 개재하여 장치되어 있다.
이 핀(118)은 스프링(119)에 의하여 항상 체인(114)측에 압출되도록 설치되어 있어서, 곡간(B)은 레일(115)과 체인(114)으로 탄성적으로 협지되어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스프로켓트(113)는 프레임(112)의 전단에 브라켓트(120)를 개재하여 전후에 위치 조절가능하게 설치하여 있으단, 체인(114)의 장력 조절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상단 장치부분(11a)은 스프로켓트(41)와 같은 축에 부착된 스프로켓트(42)와 전기한 브라켓트(111)에 장착된 프레임(121)에 설치된 스프로켓트(122)(123)에 걸쳐서 체인(124)을 걸고, 이 체인(124)에 조(125)…를 장착하고, 또 이 체인(124)의 외측 상단 위치에 브라켓트(117)를 개재하여 가이드 바(126)를 배설한것이며, 예취곡간(B)의 이삭부분이 조(125)…및 가이드(126)에 지탱되어서 반송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기한 스프로 켓트(122)는 체인(124)의 긴장 조절을 할 수 있도록 위치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이 스프로켓트(122)는 프레임(121)의 상단측에서 기체 내측에 배설되어 있고, 조(125)는 이 스프로켓트(122)를 돌아 들어가는 장소까지 곡간(B)의 지지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즉, 이 반송장치(11)에서 반송되는 예취곡간(B)은 제20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그 반송 종단 근처에서 이삭부분을 상단 장치부분(11a)에 의하여 기체 내측에 넘어뜨려 최종적으로 옆으로 누운자세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127)은 반송장치(11)에서 반송되는 곡간(B)의 이삭부분이 운전석(5)측에 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판이며, 상단 장치부분(11b)의 상부 커버(128)에 장착되어 있다.
(129)는 상하 프레임(112)(121)을 연결하는 스테이이다.
전기한 하단 장치부분(11b)의 종단 가까이에는 탈곡장치(4)의 한쪽에 설치한 탈곡 공급체인(12)의 시단이 위치하고 있으며, 전술한 바와같이 반송장치(11)의 종단에서 옆으로 누운 자세가 된 예취곡간(B)의 밑둥부분을 하단 장치부분(11b)에서 인수하도록 되어 있다.
이 공급체인(12)은 옆으로 누운 자세의 곡간(B)의 밑둥부분을 제25도와 같이 스프링(130)으로 탄성 지지된 가이드레일(131)과의 사이에 탄성적으로 협지하여 곡간 이삭부분을 탈곡장치(4)의 앞부분의 곡간공급부(132)에서 내부에 삽입하고, 이 삽입상태로 후방에 이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전기한 반송장치(11)는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통축(16)에 지지되어 있는 회동케이스(38)에 연설된 것이므로, 이 축심(P)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자재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단장치부분(11a)의 프레임(121)에 된(133)을 개재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 파이프(134)에 전기한 지지케이스에 하단을 핀으로 연결된 롯드(135)가 삽통되고, 파이프(134)에 설치된 록크핀(136)으로 고정되어 상하 회동 가능한 반송장치(11)가 파이프(134)와 롯드(135)를 개재하여 지지프레임(7)에 지지되어 있으며, 록크핀(136)을 롯드(135)에 설치한 된 구멍(137)…에 선택적으로 삽통하는 것에 의하여 파이프(134)와 롯드(135)가 상대 이동 가능하게 되어 지지프레임(7)에 대하여 반송장치(11)를 축심(P)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반송장치(11)의 전단이 상하로 위치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반송장치(11)의 전단 위치가 지지프레임(7)에 대하여 번화하면 소입장치(10)에서 세워진 자세로 모여진 예취곡간(B)에 대한 하단 장치부분(11b)의 협지개시 위치가 상하로 변하며, 예취곡간(B)의 반송 높이가 변경된다.
예취곡간(B)의 반송 높이가 변화한다는 것은 반송장치(11)의 종단에서 옆으로 쓰러져 탈곡 공급지인(12)에 인도될 때의 곡간의 이삭부분의 위치가 기체의 좌우방향으로 변화하고, 탈곡장치(4)내에 삽입되는 곡간 길이, 즉 탈곡 깊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또, 록크핀(136)은 U자형으로 형성되어서 파이프(134)의 통브라켓트(138)에 삽통되어 스프링(139)이 록크되는 방향으로 압압되어 있으므로, 록크핀(136)의 일단(136')을 압압하면 록크를 해제할 수 있고, 압압을 해제하단 자동적으로 록크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전기한 통 브라켓트(138)은 운전석의 조종자의 왼손이 닿을 수 있는 강소에 배치하고 있으며, 통 브라켓트(138)를 쥐고 록크핀(136)의 록크를 해제하고, 통 브라켓트(138)를 끌어올리거나 눌러내려서 반송장치(11)를 상하로 회동시켜 요구하는 위치에서 록크되는 것으로 반송장치(11)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탈곡장치(4)는 제25도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이 탈곡장치(4)는 종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정치형(定置型)의 탈곡기와 본질적으로 다를 것은 없으며 제25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기체전후 방향으로 축심이 향하게 된 탈곡통(140)을 회전시켜, 이 탈곡통(140)의 주면에 설치한 탈곡치(齒)(141)…로 삽입구(142)에서 탈곡실(143)내로 삽입된 곡간 이삭부분을 훑어 탈곡하고, 탈곡물을 선별망(144)을 통한 후 캠(145)에 의하여 구동되는 요동판(146)상에 낙하시켜 요동판(146)에 의하여 횡방향으로 보내진 탈곡물을 블로우어(147)의 바람에 의해 낱알, 가지가 달린 낱알, 짚 부스러기 등으로 선발하고, 낱알을 1단 회수부(13)에 보내서 거거서 포대에 넣고, 또 무거운 가지가 달린 낱알 등의 미처리물은 2번 회수부(149)에 회수한 후 다시 탈곡실(143)에 반송하여 재처리하고, 또 가벼운 짚 러부스기는 흡인 불로우어(150)에 흡인되어서 장치밖으로 방출되노록 되어있다.
또, 탈곡실(143)은 흡인 블로우어(150)에 연통되어 탈곡실(143)내에 부유하는 짚 부스러기를 외부로 방출하게 되어 있으며, 또 탈곡실(143)과 흡인 불로우어(150)을 연결하는 통로중에는 흡인 불로우어(150)에 흡인 이동하는 짚 부스러기중에 있는 가지가 달린 낱알 등을 회수 처리하는 회전처리통(151)이 설치되어있어서, 이 처리통(151)에 의하여 처리된 낱알은 요동판(146)쪽 혹은 2번 회수부(149)쪽에 회수하여 선별 되도록 되어 있다.
또, 탈곡실(143)내에는 곡간(B)의 이삭부분단이 삽입되는 것이 좋으며, 필요이상으로 길제 삽입되면 탈곡통(140)에 큰 저항이 작용하여 능력이 떨어지단가 곡간(B)이 탈곡실143)내에 끌려 들어가게 되단가, 또는 다량으로 부스러기가 발생하는 등의 장애가 생기게 되어 이 삽입 길이를 전기한 반송장치(11)의 조작으로 적당히 행한다.
짚 처리부(14)는 제26도-제37도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26도는 짚을 처리하는 기구의 제1의 예를 도시한다.
공급체인(12)의 종단에서 전출한 보조반송 체인(152)의 하부 위치이는 돌기가 달린 회전체(153), 1쌍의 회전로울러(154)(155)원주에 칼날(156)…을 가진 회전 카터(157) 및 고정인(158)이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회전체(153)는 체인(153)후단의 스프로켓트(159)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구동회전되며, 또 회전로울러(154)(155)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구동 회전되고 있다.
또, 공급체인(12)의 가이드레일(131)을 지지하는 프레임(160)의 후단에는 브라켓트(161)을 개재하여 상하로 회동하는 만곡된 가이드단(162)이 장착되어 있고, 이 가이드단(162)은 하방에 회동된 때에 체인(152)의 상면에 연하여 체인후단을 돌아 들게하고, 회전체(153)의 양측을 통하여 1쌍의 회전로울러(154)(155)의 중간장소 가까이 도달하고 또, 상방으로 회동되면, 제26도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체인(152)의 상방에 크게 들어 올리도록 되어 있다.
또, 체인(152)의 외측장소에 만곡된 가이드암(163)이 전후에 출퇴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다.
다시 전기한 체인(152)의 후단에서 한층 후방의 하측에는 지정(164)을 축으로 상하 회동가능하게 훅크형상으로 짚받이 (165)가 설지되어 있다.
이 짚받이(165)는 스프링(166)에 의하여 항상 상방으로 회동되는 방향으로 인력을 받고 있어서, 받아 받치는 자세로 보전되며, 상방에서 일정이상의 하중이 작용하면 택클스프링(167)의 작용에 의하여 급속히 하방으로 회동하며, 또 하중이 없어지면 스프링(166)에 의하여 다시 받아 받치는 자세로 복귀하도록 되어있다.
또, (168)은 탈곡장치(4)의 후단에서 체인(152)과 평행으로 배설된 보조 반송벨트, (169)는 짚받이(165의 상방에 고정된 가이드암이다.
상기 구성에 의한 짚처리 기구에서는 공급체인(12)에 지지되어서 탈곡장치(4)에서 나온 짚을 절단하여 지상에 방츨하는 처리와, 절단하지 않고 일정량씩 모아서 지상에 방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절단 처리하는 경우는 가이드판(182)을 제26도와 같이 하방으로 회동시켜머, 가리드 암(163)을 전방으로 밀어넣어 둔다.
이 상태로 짚이 옆으로 누운 자세로 송출되어오면 그대로의 자세로 체인종단에서 가이드단(162)에 의하여 하방으로 안내되어, 회전체(153)의 돌기와 한편의 회전로울러(155)의 중앙에 설치한 홈(170)의 작용에 의하여 옆으로 누운 자세의 짚은 그 중앙에서 절입되어 절입부를 하방으로하여 양 회전로올러(154)(155)에 의하여 하방으로 보내지고, 회전카터(157)의 칼날(156)과 고정인(158)에 의하여 적당량 길이로 절단되어서 지상에 방출된다.
절단처리하지 않은 경우는 제28도와 같이 가이판(162)을 크게 상방으로 들어올려 놓고, 가이드 암(163)을 후방으로 당겨 뻬어둔다.
이 상태에서는 짚은 체인(162)의 종단에서 짚받이(165)위에 옆으로 누운 자세로 방출되어 모아진다.
일정량의 짚이 모여지면 짚받이(165)가 자동적으로 하방에 회동하여 모아둔 짚을 땅에 방출하고, 다시받아 받치는 자세로 복귀하여 뒤따르는 짚을 받는 것이다.
제30도는 짚 처리기구의 제2의 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 탈곡 공급체인(12)의 후단쪽에 한 쌍의 물어돌림용의 회전로울러(154)(155)와 회전카터(157)및 고정인(158)을 설치한 것이며, 짚은 밑둥부분에서 회전로울러(154)(155에 물려 들어가서 세단된다.
제31도는 짚 처리기구의 제3의 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는 전기 제1의 예에 표시한 짚받이(165)만을 설치하고 있다.
제32도는 짚 처리기구의 제4의 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는 공급체인(12)의 후부에 송출되어오는 짚과 펑행하게 다수의 원반카터(171)…와가이드반(172)…을 장설한 축(173)(173)을 가설하고, 짚을 그 송출된 자세 그대로 작게 절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4도 및 제35도는 짚 처리기구외 제5도의 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는 짚을 일정량씩 결속하여 방출하는 것이며, 옆으로 누운 자세로 송출되어온 짚은 항상 왕복회동하고 있는 소입구(174)에 해의서 집속공간(C)에 송입되어 이 집속공간의 후부를 페색하고 있는 회전도어(175)에 받아 걸리게 된다.
집속공간(C)에 일정량의 짚이 모여지면, 소입구(174)에 의한 소입압력이 회전되어(175)에 전해지며, 이 압력에 의하여 내부 클러치가 작동하여 결속 끈 공급부(176)가 지점(177)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집속공간(C)을 넘어서 매듭짖는 기구(178)에 결속끈을 공급하여 일정량의 짚(D)을 결속한다.
결속이 끝나면 회전되어(175)가 지점(177) 주위에 180。회전하여 짚 묶음을 집속공간(C)에서 방출함과 함께 집속공간(C)을 다시 폐색하고, 이와 동시에 끈 공급구(176)도 복귀 회동하여 다음의 받아들이는 상태가 된다.
이후 동일하게 일정량씩의 짚이 결속되어서 순차적으로 방출되는 것이다. 제36도와 제37도는 짚 처리기구의 제6의 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 짚받이(165)를 일정 중량의 짚 수용에 의하여 일정 각도씨 자동적으로 일정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하여져 있으며, 정량씩의 수용과파 방출을 연속하여 행한다.
이상을 요약하면, 본 고안에 관한 예취 탈곡기에 있어서의 곡간 인기 반송장치는 인기장치(9), 예취장치(8), 소입장치(10)으로 구성되는 예취공급구를 지지하는 예취공급부 지지프레임(7)을 탈곡장치(4)의 탈곡 공급체인(12) 시단부 근처에서 기체 진행방향 전방 아랫쪽으로 향해서 연장 돌출하고, 전기한 탈곡 공급체인(12)의 시단부 근처를 중심으로 전방을 상하 회동 가능하게 구성하며, 전기한 지지프레임(7)내에는 전기한 인기장치(9), 예취장치(8), 소입장치(10를 구동하는 회전축(19)을 내장하고, 전기한 지지프레임(7)의 상부 위치에는 그 반송면을 기체 측방으로 향한 곡간의 밑둥부분 반송장치(11b) 및 이삭부분 반송장치(11a)로서 구성되는 예취곡간 반송장치(11)를 전기한 소입장치(10)로부터 전기한 탈곡 공급지인(12)으로 향해서 배설하며, 그 반송종단부 쪽을 중심으로 전단부 쪽을 예취공급부에 대해서는 독립해서 상하 회동하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1) 예취공급부에 각 장치 즉, 인기장치(9), 소입장치(8), 소입장치(10)으로의 동력전달을 지지프레임(7)에 내장한 회전축(19)을 개재하여 이행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므로, 전기한 각 장치부분에 대해서 각각 별도로 돌력전달 수단을 구비하는 것에 비해서 동력전달 계통을 집약적인 배치 구성으로서 구조가 간단한 구성이 용이하고, 또 동력전달용 부재가 여러 곳에 산재해서 곡간 반송을 방해하는 일도 없다.
(2) 또한, 전기한 예취공급구에 대한 동력 전달수단은 지지프레임(7)에 내장한 회전축(19)을 개재해서 기체 전방 아랫쪽으로 보내진 동력을 거기에서 필요한 각 장치부분에 분배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한 예취 공급부의 각 장치부분에 대해서 각각 별도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한 구조에 비해서 예취공급부를 지지프레임의 상하에 공간적 여유를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이 지지레임(7)의 상방 위치에 배치된 예취공간 반송장치(11)의 상하요동 범위를 충분히 크게할 수 있고, 탈곡깊이 조절량의 설정에 관한 조절범위가 넓다.
(3) 예취 곡간을 후방 이송하는 예취곡간 반송장치(11)는 곡간 밑둥부분 반송장치(11b) 및 이삭부분 반송장치(11a)의 양 반송장치로 구성되며, 그 반송면이 기체 측방으로 향한 상태에서 곡간을 이송하는 것이므로, 밑둥 부분 혹은 이삭부분의 어느 한쪽의 반송장치를 이용해서 예취곡간을 후방 이송하는 구조의 것에 비해서 반송중의 곡간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또, 예취직후의 곡간 반송자세를 급격히 변화시키는 일이 없이 원환한 후방 이송을 이행할 수 있다.
(4) 예취공급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7)의 회동 축심은 탈곡장치(4)의 탈곡공급체인(12)시단부 근처에 있고, 또 탈곡공급체인(12)에 예취 곡간을 인도하는 예취곡간 반송장치(11)도 탈곡공급체인(12)시단부쪽에 있는 곳의 반송 종단부 쪽을 회동중심으로서, 반송시단부 쪽을 상하 조절하도록 구성한 것으므로, 서로 회동지점 위치가 근접하고, 또 그 회동지점 위치가 탈곡 공급체인(12)의 시단부 근처에 설정되어 있는 곳의 예취곡간 반송장치(11)과 지지프레임(7)은 예취높이 조절을 위해서 지지프레임(7)을 요동시켜도 탈곡깊이 조절을 위해서 예취곡간 반송장치(11)를 요동시켜도 그 양자 반송장치(11), 프레임(7)의 탈곡공급체인(12)쪽 단부와 탈곡공급체인(12)시단부와의 상대 위치가 거의 변화하지 않고, 따라서, 전술한 지지프레임(7)의 요동 지점 위치를 탈곡장치(4)의 후방이나 탈곡 공급체인(12)시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설정하거나 예취곡간 반송장치(11)의 요동 지점을 반송 시단부쪽에 설정해서 종단부쪽을 상하 혹은 수평방향으로 요동시키는 형식의 것에 비해서 예취높이 혹은 탈곡깊이의 어느 쪽인가가 적합하게 조절할 수 없었거나, 예취곡간 반송장치(11)종단과 탈곡공급체인(12)시단과의 상대위치가 크게 어긋나서 적당하고 정확한 인수인계가 곤란하게 되는 등의 불편을 해소하며, 예취높이 조절 및 탈곡깊이 조절의 어느 쭉을 조작해도 예취곡간 반송장치(11)의 종단부와 탈곡공급체인(12)시단부와의 상대위치를 크게 변화시키는일이없고, 곡간의 인도를 확실히 또, 양호하게 할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인기장치(9), 예취장치(8), 소입장치(10)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예취공급부를 지지하는 예취공급부 지지프레임(7)을 탈곡장치(4)의 탈곡공급체인(12)시단부 근처로부터 기체 진행방향 전방 아랫쪽을 향해서 연출하고, 전기한 탈곡공급체인(12)시단부 근처를 중심으로 전방을 상하 요동 가능하게 구성하며, 전기한지 지 프레임 (7)내에서 전기한 인기장치 (9), 예취장치 (8), 소입장치 (10)를 구동하는 회전축(19)를 내장하고 전기한 지지프레임(7)의 상부 위치에는 그 반송면을 기체측방으로 향한 곡간 밑등 부분 반송장치(11b) 및 이삭부분 반송장치(11a)로 구성되는 예취곡간 반송장치(11)를 전기한 소입장치(10)로부터 전기한 탈곡공급체인(12)으로 향해서 배설하며 그 반송종단 쪽을 중심으로 전단쪽을 전기한 예취공급부에 대해서는 독립해서 상하 요동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 탈곡기에 있어서의 곡간인기 반송장치.
KR2019820002079U 1982-01-01 1982-01-01 예취 탈곡기에 있어서의 곡간 인기 반송장치 KR8200009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2079U KR820000948Y1 (ko) 1982-01-01 1982-01-01 예취 탈곡기에 있어서의 곡간 인기 반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2079U KR820000948Y1 (ko) 1982-01-01 1982-01-01 예취 탈곡기에 있어서의 곡간 인기 반송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40000234 Division 1974-01-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0948Y1 true KR820000948Y1 (ko) 1982-05-12

Family

ID=19224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2079U KR820000948Y1 (ko) 1982-01-01 1982-01-01 예취 탈곡기에 있어서의 곡간 인기 반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094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58209B (zh) 普通型联合收割机
KR820000948Y1 (ko) 예취 탈곡기에 있어서의 곡간 인기 반송장치
US2313670A (en) Pickup attachment for harvesting implements
JPS5938130Y2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排藁処理装置
JP2607059Y2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穀稈継送装置
JPH0521529B2 (ko)
JP3430525B2 (ja) コンバイン
KR810001142B1 (ko) 예취 탈곡기
JPH0112589Y2 (ko)
JPH0339007Y2 (ko)
JP3410933B2 (ja) 作物の収穫機
JP3745253B2 (ja) 作物引抜収穫機
JP3057798B2 (ja) 刈取収穫機における分草装置
JPS598504Y2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脱穀供給部の供給調節装置
JPS6227081Y2 (ko)
JPS6040113Y2 (ja) 結束排わら放出装置付コンバイン
JPS6016289Y2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脱穀部への穀稈搬送供給装置
JP3636542B2 (ja) 根菜収穫機の前処理装置
JPH0737465Y2 (ja) 三条刈コンバインにおける穀稈処理装置
JP3369792B2 (ja) 脱穀機における排藁搬送装置
JPH0446526Y2 (ko)
JP2005218363A (ja) コンバインの穀稈移送装置
JPH0733624Y2 (ja) 低速走行自動断続装置付自走式脱穀機
JP2544085B2 (ja) 藺草ハ―ベスタ
JPH0711553Y2 (ja) 茎稈束回収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