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0669B1 - 관용 네스팅 장치 - Google Patents

관용 네스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0669B1
KR820000669B1 KR7803241A KR780003241A KR820000669B1 KR 820000669 B1 KR820000669 B1 KR 820000669B1 KR 7803241 A KR7803241 A KR 7803241A KR 780003241 A KR780003241 A KR 780003241A KR 820000669 B1 KR820000669 B1 KR 820000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ipe
support
support arm
tro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3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무네히로 니시가와
Original Assignee
히로 게이다로오
구보다 덱고오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 게이다로오, 구보다 덱고오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 게이다로오
Priority to KR7803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06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0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0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7/00Supporting of pipes or cables inside other pipes or sleeves, e.g. for enabling pipes or cables to be inserted or withdrawn from under roads or railways without interruption of traff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관용 네스팅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네스팅 장치의 제1실시예의 정면도.
제2도는 대차의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확대 측면도.
제4도는 보전고정구의 정면도.
제5도는 제4도의 (V)-(V)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
제6도는 제5도의 (Ⅵ) 화살표 방향으로 본 부분의 부분단면 확대도.
제7도는 지지완에의 보전고정구의 재치상태를 표시하는 부분절결정면도.
제8도는 네스팅 완료 상태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요부확대 단면도.
제10도는 네스팅하여야 할 관의 종류가 서로 다른 경우에 변형된 보전 고정구를 사용하였을 때의 네스팅 완료상태를 표시하는 요부단면도.
제11도는 또 다른 변형된 지지보전구를 사용할 경우를 표시하는 제10도와 동일한 확대단면도.
제12도는 스페이서(spacer)를 관에 배치한 상태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13도는 스페이서의 일부파단 정면도.
제14도는 스페이서의 종단측면도.
제15도는 시이트(seat)를 제거한 상태의 스페이서의 평면도.
제16a, 16b도는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며, 제16a도의 우단과 제16b도의 좌단을 연속시킨 본 실시예 장치의 전체 평면도.
본 발명은 관용 네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경(口徑)이 다른 몇 종류의 관의 운송에 있어서 큰 구경의 관속에 작은 구경의 관을 삽통하는 것에 의하여 큰 구경의 관이 점유하는 공간만으로서 그 속에 삽통된 한 개 또는 복수의 작은 구경의 관도 동시에 운송할 수가 있어서, 경제적인 것과 아울러, 삽통된 작은 구경의 관이 운송시에 큰 구경의 관의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부재로서 기능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대단히 유리한 운송이 가능하다.
종래 이와 같은 관의 삽통에 있어서는 큰 구경의 관의 내면상을 미끄러지게하여 작은 구경의 관을 밀어 넣는 방법이 취하여져 있다.
또, 그 때에 큰 구경관의 내면과 작은 구경관의 면에 로울러 또는 미끄럼 부재등을 개재시켜서 원활하게 눌러 놓도록 하는 고안도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여하간에 큰 구경관의 내면에 따라서 작은 구경관을 접동시키는 것에는 변함이 없으며, 관의 내면에 설치된 몰탈라이닝(mortar lining) 층의 표면에 피복된 씨일코트(seal coat)층을 손상시켜 그 기능을 저하시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관을 삽통시에 관의 내면을 손상시킬 염려는 없으며, 또한 효율적으로 삽통할 수 있는 관용 네스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즉, 본 발명은 관을 삽통하여 지지하는 지지완과 관을 재치지지하는 지지부재와 그 지지부재를 승강시키는 수단과 그 지지부가 장치되고, 그 지지부재를 전기한 지지완 하부에 위치하는 제1의 위치와 전기한 지지완에서 격리된 제2의 위치와의 사이에서 관의 축심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대차로부터 이루어지는 네스팅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 본 발명 네스팅 장치를 사용하여 네스팅함에 있어서는 지지부재 위에 재치지지한 것보다 작은 구경의 관을 대차로 이동시켜서 지지완에 외감한 후, 지지부재를 하강시켜서 작은 구경관을 지지하고, 다음에 지지부재 위에 재치 지지한 것보다 큰 구경의 관을 대차로 이동시켜서 전기한 작은 구경관에 외감시키고, 또한 전기한 큰 구경관과 작은 구경관과의 사이에 상호의 간격을 보전하는 수단을 개재하여 양관을 서로 고정하고, 이 동작의 필요에 따라서 복수로 회전하여 반복하고, 그 후서로 고정된 관을 지지부재로 상승시켜서 대차상에 지지한 후 그 대차를 지지완의 위치에서 격리시켜 관을 네스팅 한다.
네스팅된 관을 서로 분리된 관으로 분해하는 언네스팅 시에는 대략 상술한 동작순서를 반대로 하는 것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많은 특징과 효과의 상세는 이하의 도면에 따라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이해될 것이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주행레일(2)위를 이동 가능한 대차이며, 관(M1)-(M4)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관 지지장치(3)와 자주장치(4)를 갖추고 있다.
대차(1)의 이동경로, 즉 주행레일(2)의 일단의 상부 위치에 관(M1)-(M4)의 지지완(5)이 주행레일(2)에 대해서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지지완(5)은 환봉 혹은 원관으로부터 이루어지며, 지지프레임(6)에 그 일단이 지지된 형상으로 고정되어 있다.
지지완(5)의 기단, 즉 고정단의 근초의 상부부에 관(M1)-(M4)의 일단을 서로 간격을 두고 상호 고정하는 보전고정구(40)를 착탈 가능하게 재치지지하는 안장(39)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주행레일(2)의 타단 상부의 한쪽 위치에는 관(M1)-(M4)을 대차(1)위에 전송하기 위하여 주행레일(2)과 직각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송레일(9)이 설치되어 있다.
대차(1)는 제2도, 제3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대차본체(10)의 4개소에 차륜(11)을 보유하며, 차륜(11)에 스프로케트(sprocket)(12) 및 체인(chain)을 개재하여 접속된 유압 모우터(13)에 의하여 자주장치(4)가 구성되어 있다. 대차본체(10)의 상면에는 전후 2개소에 승강대(14)가 승강지구(15)를 개재하여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승강기구(15)는 x자상으로 연결된 1쌍의 링크(16a)(16b)와 링크(16a)를 구동하는 실린더장치(17)으로부터 이루어진다.
양링크(16a)(16b)의 일단은 승강대(14) 및 대차본체(1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은 승강대(14) 및 대차본체(10)의 장공(18a)(18b)에 각각 개합되어 있다.
각 승강대(10)에는 그 이동 방향과 직각 교차하는 방향의 한쪽에 설치한 브라켓트(19)를 게재하여 요동틀(20)의 일단이 대차 이동 방향에 따르는 수평축심 둘레에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요동틀(20)의 타단은 승강대(14)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된 요동 구동장치로서의 실린더장치(21)의 피스톤 로드(rob)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요동틀(20)은 한쌍의 평행된 판체(22)로부터 이루어진 것으로서 양판체(22)간에 관의 지지부재로서의 한쌍의 지지로울러(23a)(23b)가 대차본체(10)의 폭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있다.
양 지지로울러(23a)(23b)는 베어링(24)을 개제하여 판체(22)에 부착되어 있다. 한편의 지지로울러(23a)에 일체적으로 고정된 회전축(25)은 그 일단이 베어링(24)에서 돌출되며, 그 일단에 라체트(ratchet)기구 등으로부터 이루어지는 한쪽방향 클럿치(26)과 그 한쪽 방향 클럿치(26)를 개재하여 회전축(25)을 회동시키는 회동레버(27)가 설치되어 있다.
회동레버(27)는 실린더장치(28)의 피스톤로드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실린더장치(28)는 승강대(14)에 설치된 브라켓트(29)에 시이소오 모양으로 추지되어 있다.
이들 실린더장치(28) 및 한쪽 방향 클럿치(26)등으로서 지지로울러(23a)의 회동구동 수단(30)이 구성되어 있다.
또 승강대(14), 요동프레임(20) 및 지지로울러(23a)(23b) 등에 의하여 상기한 관 지지장치(3)가 구성되어 있다.
또 요동프레임(20)의 옆쪽에는 V자 모양의 절결을 보유하는 관을 로울러(23a)(23b) 위로 인도하는 안내부재(31)가 승강대(14)에 입설되어 있다. 제4도-제6도는 앞에서 기재한 관(M1)-(M4)의 보전고정구(40)를 표시한다.
이 고정구(40)는 방사상으로 동간격 배치된 4개의 바(bar)(41a)(41b)와 각 바아(41a)(41b) 사이에 용접 고정되어서 정방형상의 환상틀(42)을 구성하는 연결부재(43)와 각 바아(41a)(41b)에 기다란쪽 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된 계합부(44)로부터 이루어진다.
바아(41a)(41b) 및 연결부재(43)는 구형재로부터 이루어진다. 각 바아(41a)(41b)이 지름방향 내단은 방사중심(P)에서 떨어져 있으며, 그 내단 및 환상틀(42)으로서 둘러쌓인 공간 내에 지지완(5)이 삽통 가능하다. 각 바아(41a)(41b)의 계합부(44)는 방사중심(P)을 중심으로하는 동심원상에 위치하고 있다.
인접하는 2개의 바아(41a)의 각 계합부(44)는 L자형의 고정 계합부재(45)의 그 선단을 바아(41a)의 외단으로 향하여 고착하여서 이루어진다. 다른 바아(41b)의 계합부(44)는 계합부재(46)를 바아(41b)의 구멍(47)에 볼트, 너트(48)로서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여서 이루어진다. 계합부재(46)는 돌편(46a)을 보유하며, 그 돌편(46a)은 바아(41b)의 외단으로 향하여 부착된다.
또한 양 바아(41a)(41b)의 계합부(44)를 전부 계합부재(46)로서 구성해도 좋다.
보전 고정구(40)을 재치한 지지완(5)의 고정구 재치용 안장(8)은 제4도와 같이 지지완(5)의 상단에서 양측 하부로 45°의 각도 위치로 배치되어 있다. 안장(8)은 제7도와 같이 고정구(40)의 바아(41a)의 내단면이 접당하는 본체부(8a)의 본체부(8a)의 일단에 독설되어서 바아(41a)의 앞면에 접당하는 위치 결정용 스톱퍼(8B)로부터 이루어진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본체부(8a)의 타단에서 관을 분리할 때에 고정구(40)가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8c)가 취부된다.
다음에 삽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관(M1)-(M4)을 4종으로 삽통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호 삽통할 관(M1)-(M4)을 전송레일(9)위에 작은 구경의 것이 주행레일(2)쪽에 위치하도록 다수조를 재차하여 놓는다.
각 관(M1)-(M4)은 제7도, 제9도와 같이 일단에 수용구(m)를 보유하며 수용구(m)의 개구단 내면에 씨일재 계합용의 환상구(n)가 형성된 것이며, 수용구(m)를 지지완(5)측에 항하여 전송레일(9)에 재치한다. 다음에 가장 작은 구경의 관(M1)을 전송레일(9)에 대차(1)의 지지로울러(23a)(23b)위에 굴려서 재차한다.
이때에 관(M1)은 관안내부재(31)로서 지지로울러(23a)(23b)로 안내된다. 또한 전송레일(9)을 설치하지 않고 포오크리프트(forklift)등으로서 관(M1)-(M4)를 직접 지지로울러(23a)(23b) 위에 재치해도 좋다.
이 관(M1)의 수용구(m)에 고정구(40)를 취부한다.
고정구(40)는 각 바아(41a)의 최대측의 고정 계합부재(46)를 수용구(m)의 홈(n)에 감합한 후 최내단측의 착탈가능한 계합부재(46)를 수용구(m)의 홈(n)에 감합시켜서 바아(41b)에 볼트, 너트(48)로서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관(M1)에 취부된다.
이후에 승강대(14)를 관(M1)이 지지완(5)과 대략 동심 위치로 될 때까지 상승시키고, 대차(1)의 이동에 따라서 관(M1)을 지지지완(5)에 외감시킨다. 관(M1)이 지지완(5)의 소정 축방향 위치에 달하면 승강대(14)를 하강시키는 것에 의하여 고정구(40)의 고정계합부재(45)를 보유하는 바아(41a)를 안장(8)에 재치하고, 이것에 의하여 관(M1)의 일단은 안장(8)을 개재하여 지지완(5)에 지지된다.
관(M1)의 타단은 지지완 선단의 안장(39)을 개재하여 동일하게 지지완(5)에 지지되며, 이것에 의하여 관(M1)의 수평이 보전된다. 관(M1)을 지지완(5)으로 강하시킬 때, 혹은 그 이전에 고정구(40)의 바아(41a)의 둘레방향 위치가 안장(8)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는 지지로울러(23a)를 시린더장치(28)로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관(M1)을 회전시키고 위치 합치를 행한다.
관(M1)이 타원도(楕圓度)등을 보유하는 것에 따라서 지지완(5)의 축심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는 요동프레임(20)을 시린더장치(21)로서 요동시켜서 심(芯)의 합치를 행한다. 또한 고정구(40)는 관(M1)을 지지완(5)에 외가하기 전에 사전 고정구 재치대(8)에 설치하여 두어도 좋다.
이와 같이 가장 작은 구경의 관(M1)이 지지완(5)에 지지가 완료되면 대차(1)를 후퇴시키고, 대차(1)의 지지로울러(23a)(23b) 위에 두 번째로 작은 구경의 관(M2)을 재치한다.
그리고 승강대(14)의 상승 및 대차(1)의 이동을 행하여서 관(M2)을 지지완(5)위의 먼저의 관(M1)에 외감시킨다.
바깥쪽의 관(M2)이 고정구(40)에 대략 점당하는 위치에 달하면 대차(1)를 정지시키고 관(M2)을 승가대(14)의 승강에 따라서 약간 들어올린 후, 대차(1)를 근소하게 이동시키고, 재차로 승강대를 강하하는 것에 의하여 관(M2)의 홈(n)을 고정구(40)의 고정계합부재(45)에 계합시키고, 그 계합부재(45)를 개재하여서 관(M2)을 지지완(5)에 지지시킨다.
다음에 내외의 관(M1)(M2)의 사이에 착탈 가능한 계합부재(46)를 삽입하고, 이 계합부재(46)를 관(M2)의 홈(n)에 계합시켜서 바아(41b)에 볼트, 너트(48)로서 고정한다.
한편 관(M1)(M2)의 타단에 있어서 내외의 관(M1)(M2) 사이의 둘레방향 복수개소에 이 양관의 타단에 상호의 간격을 보전하는 스페이서(50)를 배치하고, 양관(M1)(M2)의 타단을 스페이서(50)로서 서로 고정한다. 스페이서(50)는 뒤에 설명하는 것과 같이 나무조각(木片), 고무조각(片)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두 번째 관(M2)의 외감고정작업이 완료되면 대차(1)를 후퇴시키고, 전술한 작업을 반복하는 것에 따라서 지지완(5) 위에서 세번째의 관(M3) 및 가장 바깥쪽의 관(M4)을 외감고정한다.
이와 같이하여 관(M1)-(M4)은 동심상으로 삽통되며, 일단은 고정구(40)에 의하여 타단은 스페이서(50)에 의하여 상호 고정된다. 고정구(40)는 관(M1)-(M4) 상호의 측방향의 이동도 억제한다. 삽통이 완료한 관(M1)(M4)은 대차(1)의 승강대(14)를 상승시키는 것에 의하여 지지로울러(23a)(23b) 위에 재치하고, 다음에 대차(1)를 후퇴시켜서 지지완(5)에서 뽑아내고, 그 후 포오크리프트등으로 대차(1)에서 반출한다. 이와 같이 하여 일련의 작업이 완료되는 바, 그 작업 사이에 각 관(M1)-(M4)을 대차(1) 위에 지지하여 지지완(5)에 지지된 안쪽의 관(M1)-(M4)에 의감시키는 것이므로, 각 관(M1)-(M4)이 서로 점접(摺接)하는 일이 없으며, 그 때문에 각 관(M2)-(M4)의 내면의 몰탈 라이닝이나 씨일코트층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관(M1)-(M2)의 상호의 간격보전 및 고정수단으로서 고정구(40)와 스페이서(50)를 사용할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관의 양단 전부를 스페이서(50)로서 고정하여도 좋다.
또 제10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관(M1)-(M4)이 그 1단의 수용구(m) 내주에 환상구(n)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그대신 볼트 구멍이 천설된 플랜지(f)를 갖추고 있는 경우, 전기한 고정구(40)의 계합부(44)는 바아(41)에 천설한 볼트구멍으로서 구성하며, 플랜지(f)의 볼트구멍과 계합부(44)인 볼트구멍을 관통하는 볼트, 너트(51)로서 관을 고정구에 고정하여도 좋다.
또한 제11도에 표시하는 것 같이 관(M1)-(M4)을 네스팅한 상태로서 전기한 플랜지(f)까지 관의 축방향으로 중합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는 플랜지(f)와 바아(41)와의 사이에 필요한 길이의 디스탄스 피이스(distance piece)(51)를 개장하여 플랜지(f)에 무리한 곡력(曲力)이 가하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다음에 네스팅된 관을 운송한 후 현지에서 이번에는 각관마다 분리하는 언네스팅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충분히 예상되는 것과 같이 그 동작의 대략은 앞서의 네스팅에 있어서의 작업을 반대로 하면 좋다. 즉 네스팅된 관(M1)-(M4)을 지지완(5)에 삽입하여 지지하고, 다음에 대차(1)를 지지완(5)의 하부에 이동시킨 후 승강대(14)를 상승시켜서 그 지지로울러(23a)(23b)로서 가장 바깥쪽의 관(M4)을 지지하고, 이 상태로서 이 관(M4)과 그 안쪽의 관(M3)과의 사이에 개장된 스페이서(50)를 제거함과 아울러 고정구(40)의 계합부재(46)를 해제한다.
그리고 승강대(14)를 약간 상승시켜서 수용구(m)의 환상구(n)와 계합부재(45)와의 계합을 해제한 후 대차(1)를 이동시켜서 관(M4)을 뽑아내고, 그 후 이 관(M4)을 적당한 수단으로서 지지로울러(23a)(23b) 위에서 제거하고, 이 후 상술한 동작을 반복하여 관(M3)-(M1)을 순차로 분리한다.
또한 고정구(4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또 고정구(40)로서 제10, 11도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한 동작과는 미세한 점에서 차이가 있으나 그것은 자명(自明)한 일이라고 생각된다.
본 실시예의 최종 설명으로 앞에서 약속한 스페이서(50)의 구성을 제12도-제15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스페이서(50)는 6면체로부터 이루어진 나무조각(52)을 본체로 하고, 그 나무조각(52)의 외주면에 금속판체의 환상프레임(53)이 감압하고 있다. 나무조각(52)의 상기 외주면과 수직인 1상의 대향면은 고무판(54)(55)으로서 피복되어 있으며, 고무판(54)(55)은 각 2개의 못(釘)(56)으로서 나무조각(52)에 첨부되어 있다.
이와 같이 환상프레임(53) 및 고무판(54)(55)을 부착한 나무조각(52)은 통상의 시이트(57)로서 피포되며 또한 한쪽의 고무판(54)과 시이트(57)와의 사이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시이트(58)가 개장되어 있다.
이들 시이트(57)(58)는 염화비닐등의 합성수지로부터 이루어지며, 고무판(54(55)과 관내면의 씨일코트층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전기한 한쪽의 고무판(54)과 나무조각(52)과의 사이에는 복수의 스페이서(50)을 상호로 연락하는 대체(59)가 협지되어 있으며, 전기한 못(56)으로서 나무각(52)에 고정되며, 또한 전기한 통상시이트(57)의 양단이 스테이플(staple)(60)으로서 이 대체(59)에 고정되어 있다. 1개의 대체(59)에는 서로 감합된 관 사이의 환상 스페이스의 전주 위에 배치하는 수의 스페이서(50)를 사전 소정간격으로 취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스페이서 유니트에 의하면 제12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감합된 관(M1)(M2) 사이의 환상공간에 고무판(54)(55)을 관(M1)(M2)의 내외면으로 향하여 각 스페이서(50)를 개장하고, 각 스페이서(50)의 배치완료 후 대체(59)의 양단을 연결한다.
이와 같이 스페이서(50)는 고무판(54)(55)을 개재하여 관(M1)(M2)의 내외면에 접당하므로 관(M2)의 내면에 설치된 몰탈라이닝이나 씨일코트층을 손상하지 않고, 또 환상프레임(53)으로서 나무조각(52)이 보강되어 있으므로 강도(强度)도 크다.
다음에 제16a, 16b도에 의하여 변형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대차를 2대 즉, 비교적 큰 승강 스트로크(strocke)를 보유하는 대신에 재하(載荷) 능력이 적은 승강대(63)를 보유하는 제1의 대차(61)와 비교적 큰 재하능력을 보유하는 대신 승강 스트로크가 적은 승강장치(64)를 보유하는 제2의 대차(62)로부터 이루어져 있다. 전기한 승강대(63) 위에는 각 관(M2)-(M3)의 지지부재(65)가 설치되며, 승강장치(64)의 상단에는 최대경의 관(M4) 및 삽통상태의 관(M1)-(M4)의 지지부재(66)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 표시예에서는 승강대(63)는 판타그래프(Pantagraph) 기구(67)에 의하여 승강되며, 또 승강장치(64)는 유압시린더장치 자체로부터 이루어지고 있으나 다른 승강기구라도 좋다. (68)은 전기한 대차(61)(62)를 지지완(5)측에 잡아당기기 위한 구동모터로서 일단을 대차(61)에 결합한 와이어의 권취드럼(69), 또는 일단을 대차(62)에 결합한 와이어의 권취드럼(70)을 회전구동한다.
또 대차(61)(62)의 복귀행정은 레일(2)에 약간의 구배를 달아서 중력에 의하여 복귀되도록 하고 있다.
물론 이들 대차(61)(62)를 자주식으로 해도 좋다.
또한 지지프레임(6)에는 대차(61)가 퇴피할 수 있도록 퇴피구(71)가 설치되어 있다.
관(M1)-(M4)의 네스팅에 있어서는 제1의 대차(61)에 최소구경의 관(M1)을 재치하여 상기와 같이 지지완(5)에 지지시키고, 이후 순차로 관(M2)(M3)을 대차(61)에 재치하여 지지완(5) 위에서 관(M1)-(M3)을 네스팅 한다.
다음에 제1의 대차(61)를 지지프레임(6)의 아래로 퇴피시킨 후, 사전 제2의 대차(62)의 지지부재(66) 위에 재치된 최대구경의 관(M4)을 승강장치(64)로서 높이를 조정한 후 대차(62)를 이동시키고, 이미 지지완 위에서 삽통된 관(M3)에 외감하여서 양관을 고정한다.
고정완료 후 승강장치(64)로서 지지부재(66)를 약간 상승시켜서 지지부재 위에 삽통된 관(M1)-(M4)을 지지하고, 그 후 대차(62)를 이동시켜서 관(M1)-(M4)을 지지완에서 뽑아낸 후 지지부재(66) 위에서 적당한 수단으로서 관(M1)-(M4)을 제거한다.
또한 고정구(40) 또는 스페이서(50)의 사용 요령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삽통된 관(M1)-(M4)을 언네스팅하는 공정은 앞의 설명에서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 변형 실시예의 다른 네스팅 방법으로서 다음의 것이 있다.
제1의 대차(61)의 둘 째번 큰 구경에 관(M3)을 재치하고, 제2의 대차의 최대경에 관(M4)을 재치하고, 제1의 대차(61)를 이동시켜서 관(M3)을 지지완(5)에 임시 재치시킨 후, 이번에는 제2의 대치(62)를 이동시켜서 관(M4)을 전기한 관(M3)에 외감하여 상호 고정한다.
그리고 지지부재(66)를 상승시켜서 양관(M3)(M4)을 이 대차(52) 위에 지지한 후 대차(62)를 이동시켜서 지지완(5)에서 관(M3)(M4)을 뽑아낸다. 다음에 제1의 대차(61) 위에 재치한 관(M2)을 관(M3)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 지지완(5)으로서 지지시키고, 다음에 이 관(M2)에 먼저 삽통한 관(M2)(M4)을 외감하여 서로 고정하고, 이후 동일한 공정을 반복한다.
이 방법의 경우 지지완(5)은 1개의 관(M1)이나 (M2)나 (M3)을 지지하는 강도를 보유하는 것만으로서 좋다.
또한 상기 2개의 네스팅방법 이외에도 그들을 적당히 결합시킨 중간적인 방법, 즉 대경측의 반수의 관을 결합시켜 제2의 대차(62)위에 지지하고, 소경측의 반수의 관을 지지완(5)위에 결합시킨 후 양지를 최종적으로 삽통시키는 방법 등 여러가지의 변형이 생각된다.
여하간 이 변형실시예에서는 제1의 대차(61)에는 항상 다음에 삽통시킬 1개의 관을 재치하면 좋으므로 적은 하중밖에는 가하여지지 않는 반면, 일반적으로 이 대차(61)에 재치되는 관의 구경차에 대응하는 비교적 큰 승강스트로크가 필요한데 대하여, 제2의 대차(62)는 삽통상태의 관을 지지하지 아니하면 안되므로 큰 하중이 걸리는 반면, 승강스트로크는 일반적으로 구경차의 절방에 대응하는 적은 승강 스트로크로서도 좋으므로 합리적인 설계가 가능하다.

Claims (1)

  1. 대차(1)와 대차이동 경로의 윗쪽에 설치되어 관을 지지하는 지지완(5)으로 구성되며, 전기한 대차(1)는 대차본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대(14)와 승강대(14)에 대차본체 전후 방향을 따라 수평축심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요동틀(20)과 요동틀(20)에 대차본체 폭방향으로 1쌍 설치되어 관을 재치하는 지지로울러(23a)(23b)와 지지로울러(23a)(23b)를 회저시키는 회동구동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용 네스팅 장치.
KR7803241A 1978-10-30 1978-10-30 관용 네스팅 장치 KR820000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3241A KR820000669B1 (ko) 1978-10-30 1978-10-30 관용 네스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3241A KR820000669B1 (ko) 1978-10-30 1978-10-30 관용 네스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0669B1 true KR820000669B1 (ko) 1982-04-22

Family

ID=19209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3241A KR820000669B1 (ko) 1978-10-30 1978-10-30 관용 네스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06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82174A1 (en) * 2007-01-05 2008-07-10 Tae Hwa Jeong Method and apparatus for inserting synthetic resin-pipe in the outside-pipe and combined pipe manufactured thereb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82174A1 (en) * 2007-01-05 2008-07-10 Tae Hwa Jeong Method and apparatus for inserting synthetic resin-pipe in the outside-pipe and combined pipe manufactured thereb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1472B2 (en) Chassis stacker
US3490622A (en) Van handler vehicle
US6578247B2 (en) Vehicle chassis inverter
RU2007140411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и перемещения контейнеров
CN103481235B (zh) 一种卧式绕制的线圈装卸机构
CN110696710B (zh) 一种用于提高卷钢安全运输性能的交通运输装置
JP2011225167A (ja) エレベータ制御ケーブル運搬台車
KR820000669B1 (ko) 관용 네스팅 장치
US2492608A (en) Industrial truck
WO2020232966A1 (zh) 一种工装夹具存放架的支撑装置
FI65193B (fi) Apparatur foer hantering och transport av tunga och skrymmandecontainers pao ett pao landsvaegen koerande fordon
CN211733765U (zh) 一种重装叉车自由缸外置门架
BRPI1000076A2 (pt) dispositivo de transferência para receber e apresentar partes, sistema para receber e apresentar partes, e, método para operar um dispositivo de transferência
US5730576A (en) Lifting and dumping apparatus
CN110626252A (zh) 汽车上用于卷钢运输的固定方法
KR820000670B1 (ko) 관용(管用) 네스팅(nesting) 장치
JP3003341B2 (ja) 自動倉庫用の出し入れ装置
CN213442734U (zh) 一种手推车
JPH02182604A (ja) 入出庫用走行クレーン
JPH0512237Y2 (ko)
CN220999140U (zh) 一种货物转运车及其转运货架
RU2019486C1 (ru) Погрузочно-транспортная машина для лесоматериалов
JPH0442283B2 (ko)
WO2002095182A1 (en) Apparatus for handling a reel
JPS6346560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