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0670B1 - 관용(管用) 네스팅(nesting) 장치 - Google Patents

관용(管用) 네스팅(nesting)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0670B1
KR820000670B1 KR7803242A KR780003242A KR820000670B1 KR 820000670 B1 KR820000670 B1 KR 820000670B1 KR 7803242 A KR7803242 A KR 7803242A KR 780003242 A KR780003242 A KR 780003242A KR 820000670 B1 KR820000670 B1 KR 820000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upport
pipe
pipes
tro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3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무네히로 니시가와
Original Assignee
히로 게이다로오
구보다 덱고오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 게이다로오, 구보다 덱고오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 게이다로오
Priority to KR7803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06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0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0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7/00Supporting of pipes or cables inside other pipes or sleeves, e.g. for enabling pipes or cables to be inserted or withdrawn from under roads or railways without interruption of traff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관용(管用) 네스팅(nesting)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네스팅장치의 1실시예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평면도.
제3도는 대차의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평면도.
제5도는 제3도의 우측면도.
제6도는 지지완의 횡단면도
제7도는 관의 수납을 위한 선회아암의 정면도.
제8도는 삽통작업을 표시하는 설명도.
제9도는 네스팅 완료상태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요부 확대단면도.
제11도는 네스팅하여야 할 관의 종류가 다른 경우에 변형한 보전고정구를 사용하였을 때의 네스팅 완료 상태를 표시하는 요부단면도.
제12도는 또 한층 변형한 경우를 표시하는 제14도와 동일한 확대단면도.
제13도는 관의 보전고정구의 정면도.
제14도는 제13도의 (ⅩⅣ)-(ⅩⅣ)를 화살표로 본 도면.
제15도는 제14도의 (ⅩⅤ)를 화살표로 본 부분의 부분단면확대도.
제16도는 스페이서(spacer)를 관에 배치한 상태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17도는 스페이서의 일부 파단정면도.
제18도는 스페이서의 종단측면도.
제19도는 시이트(seat)를 제거한 상태의 스페이서의 평면도.
본 발명은 관용 네스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경이 다른 몇 종류의 관의 운송에 있어서 큰 구경의 관속에 작은 구경의 관을 삽통하는 것에 의하여 큰 구경의 관이 점유하는 공간으로서 그 중에 삽통된 하나 또는 복수의 작은 구경의 관도 동시에 운송할 수가 있어서 경제적인 것과 아울러, 삽통된 작은 구경의 관이 운송시의 큰 구경의 관의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재로서도 기능을 발휘하기 때문에 대단히 유리한 운송이 가능하게 된다.
종래, 이와 같은 관의 삽통이 있어서는 큰 구경의 관의 내면 위를 미끄러지게 하여 작은 구경의 관을 압입하는 방법이 취하여지고 있었다. 또 그 때에 큰 구경관의 내면과 작은 구경관의 사이에 로울러 또는 미끄럼 부재 등을 개재시켜서 원활하게 밀어넣는 것과 고안도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어느 쪽이든 간에 큰 구경간의 내면에 따라서 작은 구경관을 접동시키는 것에는 변함이 없으며, 관내면에 설치된 몰탈라이닝(mortar lining)층의 표면에 피복된 시일 코트(seal coat)층을 손상시켜 그 기능을 저하시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관을 삽통시에 관내면을 손상시킬 우려가 없으며, 또한 효율적으로 삽통할 수 있는 관용 네스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즉 본 발명은 그 때문에 관을 삽통하여 지지하는 지지완과, 관을 재치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전기한 지지완을 승강시키는 수단과, 전기한 지지완을 장치시켜 그 지지완을 전기 지지부재 상부에 위치하는 제1의 위치와 전기한 지지부재에서 격리된 제2의 위치와의 사이에서 관축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대차로부터 이루어지는 네스팅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네스팅장치를 사용하여 네스팅함에 있어서는 대차이동 경로위의 대차의 제1위치와 제2위치와의 사이에 큰 구경의 관에 삽입될 수 있는 작은 구경의 관을 가져오게 하고, 전기한 대차를 이동시켜서 지지완을 이 작은 구경관 내로 삽입한 후 지지완을 상승시켜서 이 작은 구경관을 지지하고, 다음에 대차를 이동시켜서 전기한 작은 구경관을 지지가대 위에 재치된 큰 구경관에 삽입하고, 전기한 큰 구경과 작은 구경관과의 사하에 상호의 관격을 보전하는 수단을 재개하여 양관을 서로 고정하고, 이상의 동작을 필요에 응하여서 복수회 반복하여 관을 삽통한다.
네스팅된 관을 서로 분리된 관으로 분해하는 언네스팅시에는 대략 상술한 동작순서를 반대로 하는 것에 의하여 행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수많은 특징과 효과의 상세한 것은 이하의 도면에 따라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이해될 것이다.
제1도, 제2도에 있어서
(1)은 주행레일(2) 위를 이동가능한 대차이다.
대차(1)는 전방에 돌출한 승강가능한 지지완(3)과, 그 지지완(3)의 승강국동장치로서의 시린더장치(36)와 자주(自走) 장치(5)를 갖추고 있다.
주행레일(2)의 일단에는 제일 바깥쪽에 삽통되는 큰 구경의 관(M1)을 재치하는 관 지지가대(6)가 설치되어 있다.
관지지가대(6)는 V부록(block) 모양의 물건, 혹은 관(M1)을 축심 주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로울러 장치의 지지부재를 갖추고 있다.
관지지가대(6)와 주행레일(2)의 타단, 즉 대차대피위치(P)와의 중간에 위치하여 주행레일(2)의 한쪽에 그 주행레일(2)과 직각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어나가는 한쌍의 전송레일(7)이 설치되어 있다.
전송레일(7)은 상기한 관(M1)의 안쪽에 삽통하는 관(M2)-(M4)을 전송하는 것이다.
각 전송레일(7)의 선단에는 관(M2)-(M4)을 주행레일(2) 위에서 지지하는 관수용 수단으로서의 선회아암(8)이 설치되며, 그 선회아암은 주행레일(2)의 상부위치(제2도의 실선위치)와 옆쪽위치(제2도의 쇄선위치)와의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선회아암(8)은 제7도와 같이 기대(9)에 연결부재(10)로서 선회가능하게 지지된 아암본체(11)와, 아암본체(11)에 취부된 관(M2)-(M4)을 재치하는 한쌍의 지지로울러(12)로부터 이루어진다.
양로울러(12) 사이에 있어서의 아암본체(11)의 상면에 절결(13)이 설치되어 있다.
아암본체(11)에는 기대(9)의 플리(14)(15)에 괘장(掛裝)된 로프(16)를 개재하여 중추(17)가 연결되며, 선회아암(8)은 중추(17)의 중량에 의하여 상시 주행레일(2)위에 돌출하도록 부세되어 있다.
대차(1)는 제3도 내지 제5도에서 표시하는 바와 같이 형재(型材)로서 틀을 구성하여 이루어진 대차본체(18)의 4모서리에 차륜(19)(20)을 보유하고 있다.
대차(1)의 앞부분의 양차륜(19)에는 치차(21)가 고정되며, 각 치차(21)와 교합하는 치차(22)를 갖춘 전달축(23)이 상기한 전달축(23)에 스프로케트(sprockct)(24)(25) 및 체인을 개재하여 회전을 전달하는 유압모터(26)로서 자주장치(5)가 구성되어 있다.
대차(1)에는 Ⅰ형재로부터 이루어진 한쌍의 안내레일을 갖춘 안내프레임(27)이 입설되며, 지지완(3)이 고정된 승강체(28)가 사아단에 설치된 로울러(29)를 개재하여 이 안내프레임(27)에 따라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완(3)은 Ⅰ형재로부터 이루어진 본체(30)(제6도)와 본체(30)의 기단에 설치된 보강재(31)와, 본체(30)의 상면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서 설치된 원호상 횡단면의 상면판(32)과, 상면판(32)의 상면을 피복한 고무판(33)으로 이루어진다.
승강체(28)의 상단에 설치된 브라케트(bracket)(34)와, 대차본체(18)에 설치된 브라케트(35)와의 사이에 승강체(28)를 승강시키는 시린더장치(36)가 개장되어 있다.
시린더장치(36)의 시린더 본체(36a) 및 피스톤로드(rod)(36b)는 각각 브라케트(34)(35)에 회동자재하게 추지되어 있다.
안내프레임(27)의 대차본체(18)에의 취부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안내프레임(27)은 중간높이 위치에 트라니온축(37)을 갖추고, 대차본체(18)의 양단에 입설된 지지주(38)에 트라니온축(37)을 개재하여 경동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또 안내프레임(27)은 그 한쌍의 안내레일의 하단간이 연결들보(梁)(39)로서 연결되어 있으며, 이 연결들보(39)의 뒷면에 접당하여 지지완(40)의 수평도를 조정하는 수평 조정장치(40)가 설치되어 있다. 수평 조정장치(40)는 대차본체(18)의 브라케트(41)에 수직축 돌레에서 회동자재하게 주지된 시린더장치(42)와, 이 시린더장치의 피스톤로드(42a)와, 대차보체(18)의 브라케트(43)에 회동자재하게 연결된 산 모양의 레버(44)와, 그 레버(44)에 취부되어서 연결들보(39)에 접당하는 접당로울러(45)로부터 이루어지며, 시린더장치(42)의 신축으로서 레버(44), 접당로울러(45)를 개재하여 안내프레임(27)을 경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지지완(3)의 수평도 조정이 행하여진다.
대차본체(18)의 후단에는 상기한 각 시린더장치(36)(42) 및 유압모터(26)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유압니트(unit)(46)가 설치되어 있다.
대차본체(18)의 상면에 조작자(47)가 탑승하는 상부덮개(48)가 설치되며, 지지주(38)의 후면 사이에는 조작반이 설치되어 있다.
제1도에 있어서 (49)는 대차본체(18)에 설치된 천장이다.
다음에 삽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관(M1)-(M4)을 4중으로 삽통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면, 관지지대(6)에 가장 바깥쪽에 삽통하는 관(M1)을 포오크리프트(fork lift) 등으로서 반송하여 재치한다.
전송레일(7)에는 상기관(M1)내에 삽통하는 3종류의 구경의 관(M2)(M3)(M4)을 보다 대경의 것이 주행레일(2) 축에 위치하도록 다수조 설치하여 놓는다.
또한 각관(M1)-(M4)이 관본체보다도 외경이 큰 수용구(m)를 보유하는 경우는, 수용구(m)를 대차(1)의 대피위치(P) 쪽에 향하여 재치한다.
이와 같이 각관(M1)-(M4)의 재치가 완료한 후, 전송레일(7)의 최선외관(M2)을 굴려서 제2도에 쇄선으로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선회아암(8) 위에 재치하고, 대차(1)를 대피위치(P)에서 진행시킨다.
이 진행에 의하여 대차(1)의 지지완(3)이 선회아암(8) 위의 관(M2) 내의 소정위치까지 삽입되면 대차(1)를 정지시키고 지지완(3)을 상승시켜서 관(M2)을 지지완(3)으로서 들어올린다.
이때에 지지완(3)의 관(M2)을 관 지지가 대(6)의 관(M1)과 대략 동심위치까지 들어올린다.
이어서 대차(1)를 더 진행시키고, 지지완(3)의 관(M1)이 관지지대(6)의 관(M1)에 완전하게 삽입되면 대차(1)를 정지시킨다.
그때에 선회아암(8)은 대차(1)에 접당하는 것에 의하여 중추(17)의 중량에 저항하여 옆쪽 위치로 밀어 제쳐지며, 대차(1)가 후퇴할 때까지 사이에 대차(1)의 측면에 당접하는 상태로서 옆쪽 위치에 보전된다.
지지완(3)의 관(M2)의 삽입이 완료되면 지지완(3)으로서 관(M2)의 높이 조정을 행하여 가면서 바깥쪽의 관(M1)과 안쪽의 관(M2)과의 사이에 후술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60)를 개장하여 양관을 서로 공정한다.
고정이 완료하면 지지완(3)을 하강시키고, 안쪽의 관(M2)은 스페이서(60)를 개재하여 바깥쪽의 관(M1)에 동심으로 보전된다.
이후 대차(1)를 대피위치(P)까지 후퇴시키고, 수도(受渡) 위치로 복귀한 선회아암(8) 위에 전송레일(7)의 제일 앞에 위치하고 있는 관(M3)을 재치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동일한 조작에 의하여 선회아암(8) 위의 관(M3)을 관지지가대(6)의 안쪽의 관(M2)내에 삽입하여 스페이서(60)로서 고정하고, 또한 이 조작을 반복하여 4종류의 구경의 관(M1)-(M4)에 스페이서(60)를 개재하여 서로 삽통하고 또한 고정한다.
그 후 필요에 따라서 제9, 제10도와 같이 관(M1)-(M4)의 수용구(m)에 후술한 보전고정구(50)를 취부하여 관(M1)-(M4) 상호의 축방향의 이동을 억제하고, 또한 스페이서(60a)의 기능을 일부 분담한다.
이와 같이 하여 삽통이 완료하는 바 그 작업을 할 동안 안쪽의 각관((M2)-(M4)은 지지완(3) 위에 지지하여 바깥쪽의 관(M1)-(M3) 내에 삽입하므로 관(M1)-(M4)이 서로 접하는 일이 없으며, 그 때문에 관내의 몰탈 라이닝이나 시일코트층을 손상하는 일이 없다.
삽통이 완료한 관지지가대(6)위의 관(M1)-(M4)은 포오크리프트 등으로 반출된다.
이후 다음의 삽통을 행하는 제일 바깥쪽의 관(M1)을 관지지가대(6)에 재치하고 삽통작업을 행한다.
이때에 전송레일(7)에는 안쪽으로 삽통할 관(M2)-(M4)이 사전에 소정된 순서로서 재치되어 있으므로 일회의 삽통작업마다 전송레일(7)에 재치할 필요가 없어서 작업능률이 좋다.
다음에 니스팅된 관을 운송한 후 현지에서 이번에는 각관마다 분리하는 해제방법에 대하여서 설명한다.
충분히 예상되는 바와 같이 그 동작은 대략 네스팅에 있어서의 동작을 반대로 하면 좋다.
즉 관의 지지가대(6) 위에 네스팅된 관(M1)-(M4)을 재치지지하고, 만약 있으면 고정구(60)를 해제하고, 다음에 대차(1) 위에 지지완(3)을 높이 조정한 다음 제일 안쪽의 관(M1)내에 지지완(3)을 삽입하고, 지지완(3)을 상승시켜서 관(M4)을 지지한 상태에서 이 관(M4)과 그 바깥쪽의 관(M3)과의 사이에 개장된 스페이서(60)를 해제한다.
그리고 대차(2)를 대피위치(P) 측으로 이동시켜서 관(M4)을 끌어낸 후 지지완(3)을 하강시켜서 이관(M4)을 전기한 선회아암(8) 또는 포오크리프트 위에 지지시키고, 재차 대차(1)를 이동시켜서 대피위치(P)로 대피시켜 관(M4)에서 지지완(3)을 뽑아낸다.
관(M4)은 적당히 반출하며 이후 상기한 동작을 반복한다.
다음에 제13도-제15도에 의하여 앞서 말한 보전고정구(50)에 대하여 설명한다.
고정구(50)는 방사상으로 배치된 4개의 바아(bar)(51a)(51b)와 각 바아(51a)(51b) 사이에 용접 고정되어서 정방형상의 환상틀(52)을 구성하는 연결부재(53)와 각 바아(51a)(51b)에 기다란쪽 방향으로 복수개가 설치된 계합부(54)로부터 이루어진다.
바아(51a)(51b) 및 연결부재(53)는 구형재(構型材)로부터 이루어진다.
각 바아(51a)(51b)의 내단은 방사중심(0)에서 떨어져 있다.
각 바아(51a)(51b)의 계합부(54)는 방사중심(0)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위에 위치하고 있다.
인접하는 2개의 바아(51a)의 각 계합부(54)는 자 모양의 계합부재(55)에 선단을 취부완(51a)의 외단으로 향하여 고착하고 있다.
다른 바아(51b)의 계합부(54)는 계합부재(56)를 취부완(51b)의 공(57)에 볼트너트(58)로서 착탈가능하게 취부되어서 이루어진다.
착탈가능한 계합부재(56)는 돌편(56)을 보유하며, 그 돌편(51a)은 바아(51b)의 바깥쪽으로 향하여 취부하게 된다.
이 고정구(60)는 제10도와 같이 고정계합부재(55) 및 착탈가능한 계합부재(56)를 수용구(m)의 내면의 환상구(n)에 계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수용구(m)에 취부된다.
또한 제11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관(M1)-(M4)이 그 일단의 수용구(m) 내주에 환상구(n)을 보유하지 않고 그 대신 볼트구멍을 천설시킨 프란지(flange)(f)를 갖추고 있을 경우, 전기한 고정구(50)의 계합부(54)는 바아(51)에 천설한 볼트구멍으로부터 구성되며, 프란지(f)의 볼트구멍과 계합부(54)인 볼트구멍을 관통하는 볼트너트(59)로서 관을 고정구에 고정하여도 좋다.
또한 제12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관(M1)-(M4)을 네스팅한 상태에서 전기한 프란지끼리가 관축방향으로 중합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는 프란지(f)와 바아(51)와의 사이에 필요한 길이의 디스탄스피이스(59a)를 개장하여 프란지(f)에 무리한 곡력(曲力)이 가하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최종 설명에 앞서 약속한 스페이서(60)의 구성을 제16도-제19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스페이서(60)는 육면체로부터 이루어지는 목편(木片)(62)을 본체로 하고, 그 목편(62)의 외주면에 금속판제의 환상프레임(63)이 감합하고 있다.
목편(62)의 상기한 외주면과 수직인 한쌍의 대향면은 고무판(64)(65)으로서 피복되어 있으며, 고무판(64)(65)은 각각 2개의 못(66)으로 목편(62)에 첩부되어 있다.
이와 같이 환상프레임(63) 및 고무판(64)(65)을 취부시킨 목편(62)은 통상의 시이트(67)로서 둘러쌓여지며, 또한 한쪽의 고무판(64)과 시이트(67)와의 사이에는 또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시이트(68)가 개장되어 있다.
이들 시이트(67)(68)는 염화 비닐 등의 합성수지로부터 이루어지며, 고무판(64)(65)과 관내면의 시일 코트층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전기한 한쪽의 고무판(64)과 목편(62)과의 사이에는 복수의 스페이서(60)를 서로 연결하는 대체(帶體)(69)가 협지되어 있으며, 전기한 못(66)으로 목편(62)에 고정되며, 또한 전기한 통상 시이트(67)의 양단이 스테이프(staple)(70)으로서 이 대체(69)에 고정되어 있다.
1개의 대체(69)에는 서로 감압된 관 사이의 환상스페이스의 주위 전부에 배치하는 스페이서(60) 수가 사전 소정간격으로서 취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스페이서 유니트에 의하면 제16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감합된 관(M1)(M2) 사이의 환상 공간에 고무판(64)(65)을 관(M1)(M2)의 내외면에 향하여 스페이서(60)를 개장하고, 각 스페이서(60)의 배치완료 후, 대체(69)의 양단을 연결한다.
이와 같이 스페이서(60)는 고무판(64)(65)을 개재하여 관(M1)(M2)의 내외면에 당접하므로 관(M2)의 내면에 설시된 몰탈라이닝이나 시일코트층을 손상하지 아니하고, 또 환상프레임(63)으로서 목편(62)이 보강되어 있으므로 강도(强度)도 크다.

Claims (1)

  1. 승강가능한 지지완(3) 및 그 지지완(3)의 승강 구동자치를 구비한 대차(1)와, 대차(1)의 주행레일(2)과 주행레일(2)의 일단에 설치되어 대구경관을 재치하는 관지지가대(6)와, 지지가대(6)와 대차(1)의 대피위치 사이에서 주행레일(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소구경관을 전송하는 전송레일(7)과, 전송레일의 선단에서 주행레일(2)의 위쪽 위치와 옆쪽 위치와의 사이에 수평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소구경관을 재치하는 선회아암(8)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용 네스팅장치.
KR7803242A 1978-10-30 1978-10-30 관용(管用) 네스팅(nesting) 장치 KR820000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3242A KR820000670B1 (ko) 1978-10-30 1978-10-30 관용(管用) 네스팅(nesting)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3242A KR820000670B1 (ko) 1978-10-30 1978-10-30 관용(管用) 네스팅(nesting)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0670B1 true KR820000670B1 (ko) 1982-04-22

Family

ID=19209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3242A KR820000670B1 (ko) 1978-10-30 1978-10-30 관용(管用) 네스팅(nesting)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067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10553A (en) Pipe handling device
US3916500A (en) Pipe handling apparatus
CN110000458B (zh) 一种钢筋笼滚焊机
US8118293B1 (en) Multi-axis cylinder manipulator
GB2031365A (en) Nesting and denesting pipes
US4699558A (en) Mobile cargo loader for lifting and transporting building modules and the like
US3275296A (en) Hoisting truck having boom means comprising a tension fulcrum bar
US3895726A (en) Movable auger rack
JPS61115782A (ja) 可搬式自走車両
US20170355296A1 (en) Trailer for loading and unloading heat exchanger tube bundles
KR101080937B1 (ko) 원자로 헤드 관통관의 유지보수 시스템
KR820000670B1 (ko) 관용(管用) 네스팅(nesting) 장치
JP2678075B2 (ja) 横型多管式熱交換器における管束の引出及び押込装置
US3258135A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handling large tubular structural sections
US3768670A (en) Carrier for a heavy load including a boom
US2028442A (en) Load handling device
SU862818A3 (ru) Подъемно-транспор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 длинномерных грузов
JP3254610B2 (ja) 配管施工方法及び該方法に使用される配管施工装置
KR820000669B1 (ko) 관용 네스팅 장치
US4338059A (en) Cable reel handling apparatus for a vehicle
KR102481164B1 (ko) 이송, 저장 및 취급을 위한 시스템과 방법
JPH10292663A (ja) 立体式駐輪設備
GB2150962A (en) Riser joints handling system on drilling rig structures
FR2640253A1 (fr) Dispositif de levage et transport d'une charge
US3458063A (en) Tube bundle veh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