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0563B1 - 치환된 1,3-티아졸 화합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치환된 1,3-티아졸 화합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0563B1
KR820000563B1 KR1019810004880A KR810004880A KR820000563B1 KR 820000563 B1 KR820000563 B1 KR 820000563B1 KR 1019810004880 A KR1019810004880 A KR 1019810004880A KR 810004880 A KR810004880 A KR 810004880A KR 820000563 B1 KR820000563 B1 KR 820000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azol
ethyl
acetate
dihydro
ad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4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가시 가미야
구니히고 다나까
요시하루 나가이
가즈오 사가네
Original Assignee
후지사와 야꾸힝 고교 가부시기 가이샤
후지사와 도모기지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7700574A external-priority patent/KR820000410B1/ko
Application filed by 후지사와 야꾸힝 고교 가부시기 가이샤, 후지사와 도모기지로오 filed Critical 후지사와 야꾸힝 고교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to KR1019810004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05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0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05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 C07D27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77/2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77/3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 C07D27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77/2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77/3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77/38Nitrogen atoms
    • C07D277/42Amino or imino radicals substituted by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치환된 1,3-티아졸 화합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새로운 치환된 1,3-티아졸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수 많은 병원성 미생물에 대하여 활성을 지니는 3,7-디서브스티튜티드-3-세펨-4-카르복실산 혹은 이것의 염을 제조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화합물 3,7-디서브스티튜드-3-세펨-4-카르복실산은 본 대응출원 77-574에 서술되어 있으며 다음 구조식(Ⅰ)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kpo00001
윗 식에서 R1은 아미노, 저급알킬아미노, 보호된 아미노, 보호된 저급알킬아미노, 혹은 히드록시,
R2는 수소, 아실옥시, 피리디늄 혹은 치환제를 지닐 수 있는 헤테로시클릭-티오기,
R3는 카르복시 혹은 이것의 유도체,
R2와 R3는 함께 결합하여서 구조식
Figure kpo00002
의 기를 형성하고, 단 구조식:
Figure kpo00003
A-CO이 2-히드록시-2-(2-아미노-1,3-티아졸-4-일) 아세틸 혹은 2-히드록시-2-[2-(2,2,2-트리클로로에톡시) 카르보닐아미노-1,3-티아졸-4-일] 아세틸인 경우에,
R2는 아세톡시 혹은 1-메틸-1H-테트라졸-5-일티오가 아닌 것으로서, R2가 피리디늄일 때
R3
Figure kpo00004
임.
치환된 티아졸화합물은 다음 식으로 나타냄:
Figure kpo00005
윗식에서 R1′a는 보호된 아미노, 보호된 저급알킬아미노 혹은 히드록시이며 Z는 보호된 카르복시임. 치환된 티아졸화합물은 다음 공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윗 식에서 R1는 보호된 아미노 혹은 보호된 저급알킬아미노,
Z는 보호된 카르복시임.
3,7-이치환된-3-세펨-4-카르복실산화합물(Ⅰ) 및 목적화합물(Ⅱ),(Ⅲa) 및 (Ⅲg) 및 출발물질(Ⅶ) 및 (Ⅷ)의 경우에, 목적화합물과 출발물질에서 구조식:
Figure kpo00008
(R1과 R4는 상기한 대로임)이
Figure kpo00009
의 구조식을 지니는 경우에, 이것은
Figure kpo00010
의 구조식의 호변이성체를 지닌다(R'a는 이미노, 저급알킬이미노, 보호된 이미노 혹은 옥소이고 R4는 상기한 대로임). 즉, 상기한 둘은 서로 평형으로서 다음 식과 같다.
Figure kpo00011
상술한 아미노 및 히드록시-티아졸화합물의 형태는 문헌상 알려져 있으며 두 호변이성체가 상호 쉽사리 전환되며 동일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분명하다. 즉, 화합물(Ⅰ) 및 초기화합물(Ⅶ) 및 (Ⅷ)의 두 호변이체는 본 발명에 포괄된다. 이같은 호변이성체에 포괄되는 화합물은 이것 중의 한가지 즉 구조식 :
Figure kpo00012
으로서만 편리하게 표현한다.
화합물(Ⅰ)의 알맞는 염은 통상의 무독성염이며 알카리 금속염(예, 나트륨염, 칼륨염 등) 및 알카리토금속염(예, 칼슘염, 마그네슘염 등), 암모늄염, 유기아민염(예, 트리메틸아민염, 트리에틸아민염, 피리딘염, 피즐린염, 디시클로헥실아민염, N,N′-디벤질에틸렌 디아민염 등), 유기산염(예, 아세테이트, 말레이트, 타트래이트, 메탄설포네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등), 무기산염(예, 염산염, 브롬산염, 황산염, 인산염 등), 혹은 아미노산의 일(예, 아르기닌, 아스파틱산, 글루타믹산 등) 및 그 유사물이다.
“저급”이란 1에서 6탄소원자를 의미한다.
“저급알킬아미노” 및 “보호된 저급알킬아미노”에서 알맞는 저급알킬성분은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펜틸, 헥실 및 그 유사품이다.
“보호된 아미노” 및 “보호된 저급알킬아미노”에서 알맞는 보호기는 아실 및 그의 통상의 보호기이다.
상기한 “아실옥시”에서 알맞는 아실 및 아실성분은 카르바모일, 티오카르바모일, 지방족아실기 및 방향족 혹은 헤테로시클릭환을 지닌 아실기이다. 즉, 상기 아실의 알맞는 예는 저급알카노일(예, 포르밀, 아세틸, 프로피오닐, 부티릴, 이소부티릴, 발레릴, 이소발레릴, 옥살릴, 수시닐, 피발로일 등); 저급알콕시카트보닐(예, 메톡시카르보선, 에톡시카르보닐, 프로폭시카르보닐, 1-시클로프로필에톡시카르보닐, 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 부톡시카르보닐, t-부톡시카르보닐, 펜틸옥시카르보닐, 헥실옥시카르보닐 등); 저급알콕시카르보닐(예, 메실, 에탄설포닐, 프로판설포닐, i-프로판설포닐, 부탄설포닐 등); 아렌설포닐(예, 벤젠설포닐, 토실 등); 아료일(예, 벨조일, 톨루오일, 나프토일, 프탈로일, 인단카르보닐 등) 및 그 유사물이다. 아실성분은 할로겐(예, 염소, 브롬, 요오드 혹은 불소), 시아노, 저급알킬(예,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등), 저급알케닐(예, 비닐, 알릴 등), 혹은 그 유사물, 모노(혹은 디 혹은 트리) 할로(저급) 알케닐(예, 트리플루오로아세틸 등)과 같은 알맞는 치환물을 1-10개 지닐 수 있다.
“알맞는 치환물을 지닌 헤데로시클릭티오기”에서 알맞는 헤테로시클릭기는 포화 혹은 불포화된 산소, 황, 질소 및 그 유사물과 같은 최소한 한 가지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모노씨클릭 혹은 폴리시클릭 헤테로시 클릭기이다.
특히 알맞는 헤테로시클릭기는 1-4 질소 원자를 지닌 불포화의 3-8 원자의 헤테로모노시클릭기와 같은 N-함유 헤테로시클릭기, 즉, 피롤릴, 피롤리닐,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피리딜 및 이것의 N-산화물, 피리미딜, 피라지닐, 피리다지닐, 트리아졸릴(예, 4H-1,2,4-트리아졸릴, 1H-1,2,3-트리아졸릴, 1H-1,2,3-트리아졸릴 등), 테트라졸릴(예, 1H-테라졸릴, 2H-테트라졸릴 등); 1-4 질소원자를 지닌 포화 3-8 원자의 헤테로모노시클릭기(예, 피롤리디닐, 이미다졸리디닐, 피페리디노, 피페라지닐 등); 1-4 질소인자의 불포화 축합된 헤테로시클릭기(예, 인돌릴, 이소인돌릴, 인돌리지닐, 벤즈이미다졸릴, 퀴놀릴, 이소퀴놀릴, 인다졸릴, 벤조트리아졸릴 등); 1-3 질소원자와 1-2 산소원자를 지닌 3-8원자의 불포화 헤테로모노시클릭기 즉, 옥사졸릴, 이소옥사졸릴, 옥사디아졸릴(예, 1,2,4-옥사디아졸릴, 1,3,4-옥사디아졸릴, 1,2,5-옥사디아졸릴 등); 1-2 산소원자와 1-3 질소원자를 지닌 3-8 원자의 포화 헤테로모노시클릭기(예, 모포리닐 등); 1-2 산소원자와 1-3 질소원자를 지닌 불포화 축합된 헤테로시클릭기(예, 벤즈옥사졸릴, 벤즈옥사디아졸릴 등); 1-2 황원자와 1-3 질소원자를 지닌 3-8 원자의 불포화헤테로모노시클릭기, 즉, 티아졸릴, 티아디아졸릴(예, 1,2,4-티아디아졸릴, 1,3,4-티아디아졸릴, 1,2,5-티아디아졸릴 등); 1-2 황인자와 1-3 질소원자를 지닌 3-8 원자의 포화 헤테로모노시클릭기(예, 티아졸리디닐 등); 1-2 황원자와 1-3 질소원자를 지닌 불포화 축합된 헤테로시클릭기(예, 벤조티아졸릴, 벤조티아디아졸릴 등) 및 그 유사물로서, 단 상기의 헤테로시클릭기주 저급알킬(예,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펜틸, 시클로펜틸, 헥실, 시클로헥실 등); 저급알케닐(예, 비닐, 알린, 부데닐 등), 아릴(예, 페닐, 톨릴 등); 할로겐(예, 염소, 브롬, 요오드 혹은 불소); 아미노 및 그 유사물과 같은 1-4개의 알맞는 치환물을 지닐 수 있다.
알맞는 카르복시 유도체는
Figure kpo00013
및 카르복실에스테르와 같은 보호된 카르복시 혹은 그 유사물이이다.
에스테르의 알맞는 예는 저급알킬에스테르(예, 메틸에스테르, 에틸에스테르, 프로필에스테르, 이소프로필에스테르, 부틸에스베르, 이소부틸에스테르, 펜틸에스테르, 헥심에스테르, 1-시클로프로필에틸에스테르 등); 저급알케닐에스테르(예, 비닐에스테르, 알릴에스테르 등), 저급알케닐에스테르(예, 에테닐에스테르, 프로피닐에테르 등); 모노(혹은 디 혹은 트리)-할로(저급) 알킬에스테르(예, 2-요오드에틸에스테르 2,2,2-트리클로로에틸에스테르 등): 저급알카노킬옥시(저급) 알킬에스테르(예, 아세톡시메틸에스테르, 프피오닐옥시메틸에스테르, 부티릴옥시메틸에스테르, 발페옥시메틸에스테르, 피발로일옥시메틸에스테르, 2-아세톡시에틸에스테르, 2-프로피오닐옥시에틸에스테르 등); 저급알켄설포닐(저급) 알킬에스테르(예, 2-메틸에틸에스테르 등): 하나 이상의 치환물을 지닐 수 있는 페닐(저급) 알킬에스테르(예, 벤질에스테르, 4-이폭시벤질에스테르, 4-니트로벤질에스테르, 펜에틸에스테르, 트리릴에스테르, 디페닐메틸에스테르, 비스(메톡시페닐) 메틸에스테르, 3,4-디메톡시벤질에스테르, 4-히드록시-3,5-디티서리부틸에스테르 등); 하나 이상의 치환물을 지닐 수 있는 아릴에스테르(예, 페닐에스테르, 톨릴에스테르, 터서리부틸페닐에스테르, 자일틸에스테르, 에시틸에스테르, 큐메닐에스테르 등) 및 그 유사물이다.
알맞는 “보호된 카르복시”는 상기한 대로임.
목적화합물(Ⅲa)은 화합물(Ⅶ)을 산화시켜서 제조하고, 화합물(Ⅲg)은 화합물(Ⅷ)을 산화시켜서 제조할수 있다.
산화반응은 환성화된 메틸린기를 카르보닐기로 전이하는 데에 적용하는 통상의 방법으로 행한다. 즉, 산화반응은 이산화셀레늄, 삼가마그네슘 화합물(예, 망가네스아세테이트 및 과망간산칼륨 등), 혹은 그 유사물을 산화제로 사용한 산화방법으로 행한다. 산화는 물,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그 유사물과 같은 용매에서 행한다.
반응온도는 가온에서 가열하에서 행한다.
화합물(Ⅰ)은 높은 살균활성 및 그람양성과 그람음성군에 성장저해성이 있다. 본세팔로스포린 화합물은 무기 혹은 유기, 고체 혹은 경구, 피하 혹은 외부적용에 알맞는 액체부가제와 혼합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캡슐, 정제, 당의정, 연고 혹은 좌약 혹은 에밀전형태가 될 수 있다. 보조제, 안정제, 보습 혹은 에밀전제, 완충제 및 다른 부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복용량은 평균 단일 복용량이 약 50mg, 100mg, 250mg 및 500mg인 것이 박테리아 질병에 효과적임이 증명되었다. 일반적으로 1mg과 약 1000mg 혹은 그 이상이 알맞다. 본 화합물의 용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다음 표가 제시된다.
[실험화합물]
(1) 3-(1-메틸-1H-테트라졸-5-일)티오메틸-7-[2-(2-아미노-1,3-티아졸-4-일) 글리옥실아미도]-3-세펨-4-카르복실산, 이것은 3-(1-메틸-1H-테트라졸-5-일) 티오메틸-7-[2-(2-이미노-2,3-디히드로-1,3-티아졸-4-일) 글리옥실아미도 1-3-세펨-4-카르복실산으로 나타낼 수 있다.
(2) 3-(1,3,4-티아디아졸-2-일) 티오메틸-7-[2-(2-아미노-1,3-티아졸-4-일) 글리옥시아미도]-3-세펨-4-카르복실산, 이것은 3-(1,3,4-티아디아졸-2-일) 디오메틸-7-[2-(2-이미노-2,3-디히드로-1,3-티아졸-4-일) 글리옥실아미도[1-3-세펨-4-카르복실산으로 나타낼 수 있음.
(3) 3-(5-메탈-1,3,4-티아디아졸-2-일) 티오메틸-7-[2-(2-아미노-1,3-티아졸-4-일) 글리옥실아미도]-3-세펨-4-카르복실산, 이것은 3-(5-메틸-1,3,4-티아디아졸-2-일) 티오메틸-7-[2-(2-이미노-2,3-디히드로-1,3-디아졸-4-일) 글리옥실아미도]-3-세펨-4-카르복실산으로 나타낼 수 있음.
(4) 3-(5-메틸-1,3,4-옥사디아졸-2-일) 티오메틸-7-[2-(2-아미노-1,3-티아졸-4-일) 글리옥실아미도]-3-세펨-4-카르복실산, 이것은 3-(5-메틸-1,,3,4-옥사디아졸-2-일) 티오메틸-7-[2-(2-이미노-2,3-디히드로-1,3-티아졸-4-일) 글리옥실아미도]-3-세펨-4-카르복실산으로 나타낼 수 있음.
(5) 3-(4-메틸-4H-1,2,4-트리아졸-3-일) 티오메틸-7-[2-아미노-1,3-티아졸-4-일) 글리옥실아미도]-3-세펨-4-카르복실산, 이것은 3-(4-메틸-4H-1,2,4-트리아졸-3-일) 티오메메-7-[2-(2-이미노-2,3-디히드로-1,3-티아졸-4-일) 글리옥실아미도]-3-세펨-4-카르복실산으로 나타낼 수 있음.
[실험 방법]
시험관내, 살균활성은 하기한 이층한천판 희석법에 의하여 결정하였다.
트립티카제 콩육즙에서 하룻반 배양의 실험종(108생세포/ml)은 항생제의 농도등급을 새긴 HI 한천배지에 접종하고, 최소저해농도(MIC)는 37℃에서 20시간 배양 후 μg/ml 단위로 표시하였다.
[시험결과]
Figure kpo00014
[출발물질의 제조]
(1) 2-(2-t-펜틸옥시카르보닐이미노-2,3-디하이드로-1,3-티아졸-4-일) 글리옥실산이라고 표기할 수 있는 2-(2-t-펜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1,3-티아졸-4-일) 글리옥실산의 제조.
피리딘(40g) 및 염화에틸렌(300ml)의 혼합물에 에틸 2-(2-이미노-2,3-디히드로-1,3-티아졸-4-일) 아세테이트라 할 수 있는 에틸 2-(2-아미노-1,3-티아졸-4-일) 아세테이트(14g)를 녹인 용액에 0.3몰의 t-펜틸 클로로포르메이트를 함유한 t-펜틸 클로로포르메이트의 디에틸 에테르용액(70ml)을 -20℃에서 10분에 걸쳐 교반하면서 점차적으로 가하고 2시간 동안 더 교반하고 0℃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후 반응 후, 반응혼합물을 물(200ml)에 붓고 유기층을 분리했다. 유기층을 2염산, 물 5% 중탄산나트륨수용액 및 물의 순서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했다. 용매를 증류 제거시키면 에틸 2-(2-t-펜틸옥시 카르보닐 아미노-2,3-디하이드로-1,3-티아졸-4-일) 아세테이트의 흑갈색 유상물질(12g)이 산출되었다.
Figure kpo00015
디옥산(2.5ml) 및 물(0.1ml)의 혼합물이 셀레니움디옥사이드(0.11g)를 녹인 용액에, 에틸 2-(2-t-펜틸옥시카르보닐이미노-2,3-디히드로-1,3-디아졸-4-일) 아세테이트(0.3g) 및 디옥산(2.5ml)의 혼합물을 11℃에서 교반하면서 첨가하고 30분 동안 교반하고 거기에 셀레니움디옥사이드(0.055g)을 더 가하고 같은 온도에서 1.5시간 동안 교반, 반응하고 반응액체를 분리시키고 그 잔류물은 소량의 디옥산으로 세척했다.
반응액체와 세척액을 혼합 후 용매를 증류제거한 잔류물은 에틸아세테이트에 용해했다. 용액은 수세 건조한 다음 용매를 증류제거하면 갈색 유상의 에틸 2-(2-t-펜틸옥시카르보닐 이미노-2,3-디하이드로-1,3-티아졸-4-일) 글리옥실레이트(0.22g)가 산출되었다.
Figure kpo00016
에틸 2-(2-t-펜틸옥시카르보닐이미노-2,3-디하이드로-1,3-티아졸-4-일) 글리옥실레이트라고 표기할 수 있는 에틸 2-(2-1-펜틸옥시카르보닐 이미노-1,3-티아졸-4-일) 글리옥실레이트(2.8g) 및 에탄올(10ml)의 혼합물을 물(20ml)에 수산화나트륨(0.54g)을 녹인 용액과 혼합 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 후, 소량의 에탄올을 증류하고 잔존물을 디에틸 에테르로 세척한 후 수층을 분리했다. 수층에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고 10% 염산을 가하여 pH 1-2로 하고 에틸아세테이트층을 분리했다. 에틸아세테이트층을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한 다음 활성탄으로 처리했다. 에틸아세테이트층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2-(2-t-펜틸옥시카르보닐이미노-2,3-디히드로-1,3-티아졸-4-일) 글리옥실산이라고 표기할 수 있는 2-(2-t-펜틸옥시 카르보닐아미노-1,3-티아졸-4-일) 글리옥실산의 황갈색 가루(1.75g)가 산출되었다.
Figure kpo00017
(2) 2-(2-히드록시-1,3-티아졸-4-일) 글리옥실산이라고 표기할 수 있는 2-(2-옥소-2,3-디히드로-1,3-티아졸-4-일) 글리옥실실의 제조
셀레니움 디옥사이드(0.33g), 디옥산(15ml) 및 물(0.3ml)를 110℃에서 교반 가열하여 제조한 용액에 에틸 2-(2-히드록시-1,3-티아졸-4-일) 아세테이트라고 표기할 수 있는 에틸 2-(2-옥소-2,3-디히드로-1,3-티아졸-4-일) 아세테이트(0.56g)를 첨가 후 110℃에서 30분 동안 교반했다. 반응 후 반응액체를 분리시키고 잔류물은 소량의 디옥산으로 세척했다. 반응액과 세척물을 혼합 후 용매증류 후 잔사에 에틸 아세테이트를 가하고 수세 후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했다. 혼합물에서 용매를 증류시키면 고체인 에틸 2-(2-히드록시-1,3-티아졸-4-일) 글리옥실레이트라고 할 수 있는 에틸 2-(2-옥소-2,3-디히드로-1,3-티아졸-4-일) 글리옥실레이트(0.55g)가 산출되었다.
Figure kpo00018
에틸 2-(2-히드록시-1,3-티아졸-4-일) 글리옥실레이트라고 표기할 수 있는 에틸 2-(2-옥소-2,3-디히드로-1,3-티아졸-4-일) 글리옥실레이트(1.45g) 및 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21m1)의 혼합물을 30분 동안 실온에서 방치 후 이 혼합물을 디에틸 에테르로 세척하고 10% 염산으로 pH 1로 맞추었다. 생성된 침전을 여과 수집 후 물과 디에틸 에테르로 세척 건조하여 분말의 2-(2-히드록시-1,3-티아졸-4-일) 글리옥실산이라고 표시할 수 있는 2-(2-옥소-2,3-디히드로-1,3-티아졸-4-일) 글리옥실산(0.30g)이 산출되었다. 한편 여과물을 에틸 아세데이트로 추출하고 에틸 아세데이트를 증류제거하여 상기목적화합물(0.40g)을 제조하였다.
Figure kpo00019
(3) 2-(2-프로판설포닐이미노-2,3-디히드로-1,3-티아졸-4-일) 글리옥실산이라고 표기할 수 있는 2-(2-프로판설포닐아미노-1,3-티아졸-4-일) 글리옥실산의 제조.
에틸 2-(2-이미노-2,3-디히드로-1,3-티아졸-4-일) 아세테이트라고 표시할 수 있는 에틸 2-(2-아미노-1,3-티아졸-4-일) 아세테이트(40g) 및 피리딘(200ml)의 혼합물을 질소대기하에서 40℃로 교반 후 프로판설포닐 클로라이드(61.3g) 및 메틸렌 클로라이드(100ml)의 혼합물을 2시간에 걸쳐 적하 후, 2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피리딘 및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증류하여 반응혼합물로부터 제거했다. 그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되고 그 용액을 물 1/2N 염산 및 물의 순서로 세척건조했다. 용액증류 후 메틸 아세테이트를 제거하고 에틸 아세테이트와 디에틸 에테르의 혼합물로 세척건조하면 에틸 2-(2-프로판설포닐이미노-2,3-디하이드로-1,3-티아졸-4-일) 아세테이트로 표기할 수 있는 에틸 2-(2-프로판설포닐아미노-1,3-티아졸-4-일) 아세테이트(16.4g)가 산출되었다. 융점 140-142℃
Figure kpo00020
셀레니움 디옥사이드(6.2g), 디옥산(320ml) 및 물(6.4ml)의 혼합물을 50-60℃에서 교반하여 제조된 용액에 에틸 2-(2-프로판설포닐이미노-2,3-디히드로-1,3-티아졸-4-일) 아세테이트라고 표기할 수 있는 에틸 2-(2-프로판설포닐아미노-1,3-티아졸-4-일) 아세테이트(16.3g)을 가하고, 1시간 동안 환류시키고, 셀레니움 디옥사이드(0.6g)를 가하고 30분 동안 더 환류시킨 다음 셀레니움 디옥사이드(0.3g)을 가하고 30분 동안 더 환류시키고, 반응혼합물을 여과 후 디옥산을 증류시켰다.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에 가온용해하고 활성탄으로 처리했다. 용매 증류 후 소량의 에틸 아세테이트 및 디에틸 에테르 순으로 세척건조하여 융점이 132-134℃인 에틸 2-(2-프로판설포닐이미노-3,2-디히드로-1,3-티아졸-4-일) 글리옥실레이트라고 표기할 수 있는 에틸 2-(2-프로판설포닐아미노-1,3-티아졸-4-일) 글리옥실레이트(12.5g)를 제조하였다.
Figure kpo00021
에틸 2-(2-프로판설포닐이미노-2,3-디히드로-1,3-티아졸-2-일) 글리옥실레이트라고 표기할 수 있는 에틸 2-(2-프로판설포닐아미노-1,3-티아졸-4-일) 글리옥실레이트(12.0g) 및 1N 수산화나트륨수용액(93ml)의 혼합물을 얼음 냉각하여서 1시간 교반하고 1N 염산(93ml)을 가하고 염수로 포화시킨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했다. 추출물을 염수 포화수용액으로 세척 후 건조하였다. 추출물로부터 용매를 증류 제거 후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로 세척하고 여과수집 건조시켜 융점 148∼150℃인 2-(2-프로판설포닐이미노-2,3-디히드로-1,3-티아졸4-일) 글리옥실산이라고 표기할 수 있는 2-(2-프로판설포닐아미노-1,3-티아졸-4-일) 글리옥실산(7.3g)을 제조하였다.
Figure kpo00022
(4) 2-(2-테트하이드로피라닐) 옥시-2-(2-메실이미노-2,3-디히드로-1,3-티아졸-4-일) 초산이라고 표기할 수 있는 2-(2-테트라히드로피라닐) 옥시-2-(2-메실아미노-1,3-티아졸-4-일) 초산의 제조.
에틸 2-(2-이미노-2,3-디히드로-1,3-티아졸-4-일) 아세테이트라고 표기할 수 있는 에틸 2-(2-아미노-1,3-티아졸-4-일) 아세테이트(5.16g), 메실클로라이드(6.9g), 피리딘(15ml) 및 염화메틸렌(45ml)의 혼합물을 5시간 동안 환류시키고 농축한 후 그 잔류물을 얼음물(150ml)에 첨가 교반하였다. 침전은 여과수집 후 물 및 디에틸 에테르로 세척건조하여 연갈색 분말의 에틸 2-(2-메실이미노-2,3-디히드로-1,3-티아졸-4-일) 아세테이트라고 표기할 수 있는 에틸 2-(2-메실아미노-1,3-티아졸-4-일) 아세테이트(6.3g)를 제조하였다.
Figure kpo00023
셀레니움 디옥사이드(0.22g), 디옥산(10ml) 및 물(0.2ml)의 혼합물을 110℃에서 10분 동안 교반 후 이 용액에 에틸 2-(2-메실이미노-2,3-디히드로-1,3-티아졸-4-일) 아세테이트라고 표기할 수 있는 에틸 2-(2-메실아미노-1,3-티아졸-4-일) 아세테이트(0.53g)를 가하고 1시간 동안 환류시키고, 활성탄으로 처리하고 침전된 결정을 여과수집 건조하여 융점이 222-225℃인 백색 결정의 에틸 2-(2-메실이미노-2,3-디하이드로-1,3-티아졸-4-일) 글리옥실레이트라고 표기할 수 있는 에틸 2-(2-메실아미노-1,3-티아졸-4-일) 글리옥실레이트(0.22g)를 제조하였다. 한편 잔존하는 여액을 농축하여 그 잔류물을 물 및 디에틸에테르 순으로 세척건조시켜 상기 목적화합물(0.12g)을 제조하였다.
Figure kpo00024
에틸 2-(2-메실이미노-2,3-디히드로-1,3-티아졸-4-일) 글리옥실레이트라고 표기할 수 있는 에틸 2-(2-메실아미노-1,3-티아졸-4-일) 글리옥실레이트(3.60g) 및 에탄올(50ml)의 혼합물을 얼음 냉각하에 교반하면서 소디움 보로히드리드(0.32g)를 가하고 실온에서 40분 동안 교반시키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100ml) 및 묽은 염산의 혼합물에 첨가하고 수층을 분리시켜서 제조한 수용액(pH1-2)을 염석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염수 포화수용액으로 세척 후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했다. 이후 활성판으로 처리하고 용매를 증류하여 고체인 에메 2-히드록시-2-(2-메실이미노-2-3-디히드로-1,3-티아졸-4-일) 아세테이트라고 표기할 수 있는 에틸 2-히드록시-2-(2-메실아미노-1,3-티아졸-4-일) 아세테이트(2.6g)를 제조하였다.
Figure kpo00025
에틸 아세테이트(5ml), 에틸 2-히드록시-2-(2-메실이미노-2,3-디히드로-1,3-티아졸-4-일) 아세테이트라고 표기할 수 있는 에틸 2-히드록시-2-(2-메실이미노-1,3-티아졸-4-일) 아세테이트(1.0g) 및 3,4-디히드로-2-피란(0.36g)을 현탁시킨 액에 실온에서 파라-톨루엔설폰산(10ml)을 교반하면서 가한 다음 상기 현탁액을 같은 온도에서 8시간 교반하고 5% 중탄산나트륨수용액(10ml)에 가하고 수층을 분리하고 잔존 유기층에 디메틸 에테르(10ml)를 가하고 다음 중탄산나트륨수용액(201ml) 추출 후, 얻어진 추출수용액을 분리된 수층과 혼합하고 초산으로 pH 4로 적절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 후 포화염수로 세척하고, 활성탄으로 처리한 후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했다. 용매를 증류제거시켜 암황색 유상의 에틸 2-(2-테트라히드로피라닐) 옥시 2-(2-메틸이미노-2,3-디히드로-1,3-티아졸-4-일) 아세테이트라고 표기할 수 있는 에틸 2-(2-테트라히드로피라닐) 옥시-2-(2-메실아미노-1,3-티아졸-4-일) 아세테이트(1.0g)를 제조하였다.
Figure kpo00026
에틸 2-(2-테트라히드로피라닐)옥시-2-(2-메실이미노-2,6-디히드로-1,3-티아졸-4-일) 아세테이트라고 표기할 수 있는 에틸 2-(2-테트라히드로피라닐) 옥시-2-(2-메실아미노-1,3-티아졸-4-일) 아세테이트(0.8g)에 물(7ml) 및 수산화나트륨(0.23g)의 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에메아세테이트를 가진다. 이 혼합물에 2N 염산을 가하여 pH 1-2로 맞추고, 수층을 분리한다. 수층을 염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 후 추출물을 포화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한 다음 용매를 증류시켜 거품 형태의 2-(2-테트라히드록피라닐) 옥시-2-(2-메실이미노-2,3-디히드로-1,3-티아졸-4-일) 초산이라고 표기한 수 있는 2-(2-테트라히드로피라닐) 옥실-2-(2-메실아미노-1,3-티아졸-4-일) 초산(0.52g)을 제조하였다.
Figure kpo00027
(5) 2-(2-(N-메틸-N-t-펜틸옥시 카르보닐아미노-1,3-티아졸-4-일) 글리옥실산의 제조.
(a) 피리딘(80ml) 및 염화메틸렌(40ml)의 혼합물이 에틸 2-(2-메틸이미노-2,3-디히드로-1,3-티아졸-4-일) 아세테이트라고 표기할 수 있는 에틸 2-(2-메틸아미노-1,3-티아졸-4-일) 아세테이트(8g)를 녹인 용액에 2시간에 걸쳐 -25∼-20℃에서 t-펜틸클로로포르매이트를 교받첨가하고, 30분 동안 교반 반응시키고 혼합물을 물(200ml)에 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300ml)로 추출한 다음, 유기층을 분리했다. 유기층을 2N 염산, 물, 5% 중탄산나트륨 수용액 및 물의 순으로 세척했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농축시키면 유상의 에틸 2-[2-(N-메틸-N-t-펜틸옥시카르보닐 아미노)-1,3-티아졸-4-일] 아세테이트(14.5g)가 산출되었다.
Figure kpo00028
(b) 셀레니움 디옥사이드(0.452g), 디옥산(9ml) 및 물(0.36ml)의 혼합물을 110℃에서 증탕환류시키고 디옥산(9ml)에 에틸 2-[2-(N-메틸-N-t-펜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1,3-티아졸-4-일 아세테이트(1.07g)의 용해용액을 가하고 이 혼합물을 4.5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혼합물을 여과하고 여액으로부터 디옥산을 감압증류시켰다. 잔류물에 물과 에틸 아세테이트를 교반하면서 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층을 분리하였다. 에틸사에테이트층을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농축시킨면 유상의 에틸 2-2-(N-메틸-N-t-펜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1,3-티아졸-4-일 글리옥실레이트(0.45g)가 산출되었다.
Figure kpo00029
(c) 에탄올(40ml)에 에틸 2-[2-(N-에틸-N-t-펜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1,3-티아졸-4-일] 글리옥실레이트(3.1g)의 용해용액에 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14.2ml)을 얼음 냉같 및 교반첨가하고 30분동안 더 교반시키고 20℃ 이하에서 반응 혼합물을 감압증류시켜 에탄올을 제거시켰다. 잔류물에 물(50ml)을 가하고 에틸아세데이트로 층을 만든 다음 2N 염산으로 pH 3을 맞추었다. 혼합물로부터 에틸 아세테이트층을 분리하고 수세 건조 후 활성탄으로 처리하였다. 에틸 아세티이트층으로부터 용매를 증류시키면 고체인 2-[2-(N-메틸-N-t-펜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1,3-티아졸-4-일] 글리옥실산(2.4g)가 선출되었다.
Figure kpo00030
(6) 2-(2-포르밀이미노-2,3-디히드로 1,3-티아졸-4-일) 글리옥실산이라고 표기할 수 있는 2-(2-포르밀아미노-1,3-티아졸-4-일) 글리옥실산의 제조.
(a) 무수초산(384ml)에 개비산(169.ml)을 15-20분간 35℃ 이하에서 적하하고 이 혼합물을 55-6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에틸 2-(2-이미노-2,3-디히드로-1,3-티아졸-4-일) 아세테이트라고 표기할 수 있는 에틸 2-(2-아미노-1,3-티아졸-4-일) 아세테이트(506g)를 15-20분간 얼음냉같 및 교반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 반응시킨고 용매를 증류 제거한 잔류물에 디이소프로필 에테르(2500ml)를 가한 다음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침전물을 여과 후 디이소프로필 에테르로 세척건조하면 에틸 2-(2-포르밀이미노-2,3-디히드로-1,3-티아졸-4-일) 아세테이트라고 표기할 수 있는 융점 125-126℃인 에텔 2-(2-포르밀아미노-1,3-티아졸-4-일) 아세테이트(451.6g)가 산출되었다.
잔존 여액을 농축하고, 디이소프로필 에테르(500ml)로 세척 후 건조하면 상기 목적하합물(78.5g)이 산출되었다.
Figure kpo00031
(b)-(i) 에틸 2-(2-포르밀이미노-2,3-디히드로-1,3-티아졸-4-일) 아세테이트라고 표기할 수 있는 에틸 2-(2-포르밀아미노-1,3-티아졸-4-일) 아세테이트(250g)을 상기 제조법(5)(b)의 방법으로 처리하여 에틸 2-(2-포르밀이미노-2,3-디히드로-1,3-티아졸-4-일) 글리옥실레이트라고 표기할 수 있는 에틸 2-(2-포르밀아미노-1,3-티아졸-4-인) 글리옥실레이트(140.5g)가 산출되었다.
Figure kpo00032
(b)-(ⅱ) 초산망간 테트라히드레이트(120g), 초산(1000ml) 및 초산무수물(100ml)의 혼합물을 130-135℃의 기름욕조에서 20분 동안 교반하고 과망간산칼륨(20g)을 105-110℃에서 5분간 교반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130-135℃에서 30분 동안 더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 냉각시키고, 에틸 2-(2-포르밀이미노-2,3-디히드로-1,3-티아졸-4-일) 아세테이트라고 표기할 수 있는 에틸 2-(2-포르밀아미노-1,3-티아졸-4-일) 아세테이트(53.5g)를 가한 다음, 38-40℃에서 6000ml/분 속도로 공기를 주입시키면서 15시간 교반 후 침전을 여과하고 초산과 물의 순서로 세척한 후 건조하면 에틸 2-(2-포르밀이미노-2,3-디하이드로-1,3-티아졸-4-일) 글리옥실레이트라고 표기할 수 있는 융점 232-233℃(분해)인 에틸 2-(2-포르밀아미노-1,3-티아졸-4-일) 글리옥실레이트가 산출되었다.
(c) 에틸-2-(2-포르밀이미노-2,3-디히드로-1,3-티아졸-4-일) 글리옥실레이트라고 표기할 수 있는 에틸 2-(2-포르딜아미노-1,3-티아졸-4-일) 글리옥실레이트(281g)를 상기 (5)(c)의 제조방법으로 처리하면 2-(2-포르밀이미노-2,3-디히드로-2,3-티아졸-4-일) 글리옥실산이고 표기할 수 있는 융점 33-136℃(분해)인 2-(2-포르밀아미노-2,3-티아졸-4-일) 글리옥실산(234g)이 제조되었다.
Figure kpo00033
(7) 2-(2-포르밀이미노-2,3-디히드로-1,3-티아졸-4-일) 글리옥실산이고 표기할 수 있는 2-(2-포르밀아미노-1,3-티아졸-4-일) 글리옥실산의 제조.
(a) 메틸 2-(2-이미노-2,3-디히드로 1,3-티아졸-4-일) 아세테이트라고 표기할 수 있는 메틸 2-(2-아미노-1,3-티아졸-4-일) 아세테이트(100g)를 (6)(a)와 유사한 방법으로 처리하면 메틸 2-(2-포르밀이미노-2,3-디히드로-1,3-티아졸-4-일) 아세테이트라고 표기할 수 있고 융점이 154-155℃인 메틸 2-(2-르밀아미노-1,3-티아졸-4-일) 아세테이트(109.9g)가 산출되었다.
Figure kpo00034
(b) 메틸 2-(2-포르밀이미노-2,3-디히드로-1,3-티아졸-4-일) 아세테이트라고 표기할 수 있는 메틸-2-(2-포르밀아미노-1,3-티어졸-4-일) 아세테이트(60g)를 (6)(b)-(ⅱ)와 유사한 방법으로 처리하면 메틸 2-(2-포르밀이미노-2,3-디히드로-1,3-티아졸-4-일) 글리옥실래이트라고 표기할 수 있고 융점 223-225℃(분해)인 메틸 2-(2-포르밀아미노-1,3-티아졸-4-일) 글리옥실레이트(27.1)가 산출되었다.
Figure kpo00035
(c) 메틸 2-(2-포르밀이미노-2,3-디히드로 1,3-티아졸-4-일) 글리옥실래이트라고 표기할 수 있는 메틸 2-(2-포르밀이미노-1,3-티아졸-4-일) 글리옥실래이트를 (6)(c)와 유사한 방법으로 처리하면 2-(2-포르밀이미노-2,3-디히드로-1,3-티아졸-4-일) 글리옥실산이라고 표기할 수 있고 융점 133-136℃(분해)인 2-(2-포르밀이미노-1,3-티아졸-4-일) 글리옥실산이 산출되었다.

Claims (1)

  1. 하기 구조식(2)의 화합물을 산화반응시킴으로서 하기 구조식(1)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36
    윗 식에서 Ra 1′는 보호된 아미노, 보호된 저급알킬아미노 혹은 히드록시, Z는 보호된 카르복시임.
KR1019810004880A 1977-03-09 1981-12-12 치환된 1,3-티아졸 화합물의 제조방법 KR820000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4880A KR820000563B1 (ko) 1977-03-09 1981-12-12 치환된 1,3-티아졸 화합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0574A KR820000410B1 (ko) 1977-03-09 1977-03-09 3,7-디서브스티튜티드-3-세펨-4-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KR1019810004880A KR820000563B1 (ko) 1977-03-09 1981-12-12 치환된 1,3-티아졸 화합물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0574A Division KR820000410B1 (ko) 1977-03-09 1977-03-09 3,7-디서브스티튜티드-3-세펨-4-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0563B1 true KR820000563B1 (ko) 1982-04-14

Family

ID=26625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4880A KR820000563B1 (ko) 1977-03-09 1981-12-12 치환된 1,3-티아졸 화합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056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94462B2 (ja) 3−アルキルオキシ又は3−アルキルチオメチル−7−アミノチアゾリルアセトアミドセファロスポラン酸の新規なオキシム誘導体、それらの製造法及びそれらを含む薬剤
JPH0132221B2 (ko)
FR2511682A1 (fr) Derives de cephalosporine,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therapeutique
DK163832B (da) Analogi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cephemforbindelser og mellemprodukter til anvendelse ved fremgangsmaaden
FR2462439A1 (fr) Nouveau procede de preparation de produits derives de l'acide 7-/(2-aryl) 2-hydroxyimino acetamido/cephalosporanique
CH633292A5 (fr) Oximes derivees de l'acide 3-acetoxymethyl 7-amino thiazolyl acetamido cephalosporanique, procede de preparation et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FR2503712A1 (fr) Composes de la cephalosporine et procede pour leur preparation
DE2710902A1 (de) Cephemderivat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H04234844A (ja) 新規化合物の3−アミノ−2−オキソアゼチジン誘導体及びそれらの製造法
JPH0219828B2 (ko)
JPH0359070B2 (ko)
EP0462009A1 (fr) Céphalosporines comportant en position 3 un radical propényle substitué par un ammonium quaternaire, leur procédé de préparation, leur application comme médicaments, les compositions les renfermant et les intermédiaires obtenus
JPH0327552B2 (ko)
FR2501209A1 (fr) Nouveaux derives des cephalosporines et medicaments antibiotiques contenant lesdits derives
CH629815A5 (en) Oximes derived from 7-(aminothiazolylacetamido)cephalosporanic acid, process of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A1152061A (fr) Procede de preparation de nouvelles oximes o-substituees derivees de l'acide 7-amino thiazolyl acetamido cephalosporanique
KR820000563B1 (ko) 치환된 1,3-티아졸 화합물의 제조방법
FR2496666A1 (fr) Nouveaux derives de cephalosporine et composition pharmaceutique les contenant
CH639388A5 (fr) Cephalosporines derivees de l'acide 7-/2-(2-amino 4-thiazolyl) 2-(carboxymethoxyimino) acetamido/ 3-substitue cephalosporanique, leurs procedes de preparation et medicaments les renfermant.
FR2461713A1 (fr) Nouvelles alcoyloximes substituees derivees de l'acide 7-(2-amino 4-thiazolyl) acetamido cephalosporanique,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comme medicaments
EP0072755A1 (fr) Nouveaux derivés de la cephalosporine, leur préparation et les médicaments qui les contiennent
CA2111164A1 (fr) Cephalosporines comportant en position 7 un radical oxyimino substitue, leurs procede et intermediaires de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comme medicaments
EP0099297B1 (fr) Nouveaux dérivés des céphalosporines, leur procédé de préparation et médicaments antibiotiques contenant lesdits dérivés
DE2914843A1 (de) 7 alpha -methoxycephalosporin-derivat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KR820000564B1 (ko) 치환된 1,3-티아졸 화합물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