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869B1 - 타이어 경화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경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869B1
KR810001869B1 KR7801352A KR780001532A KR810001869B1 KR 810001869 B1 KR810001869 B1 KR 810001869B1 KR 7801352 A KR7801352 A KR 7801352A KR 780001532 A KR780001532 A KR 780001532A KR 810001869 B1 KR810001869 B1 KR 810001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post
press
cured
inf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1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이 유하스 제랄드
Original Assignee
지.이. 이삭슨
엔 알 엠 코오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이. 이삭슨, 엔 알 엠 코오포레이숀 filed Critical 지.이. 이삭슨
Priority to KR7801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8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86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타이어 경화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경화장치와 후팽창 장치를 보인부분 단면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2-2선 방향에서 본 확대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3-3선 확대단면도로서 개방된 상태에서 후경화 팽창기의 상측림을 지지하고 있는 진동암의 단부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4-4선 평면도.
제5도는 진동과 수직운동을 위하여 진동암이 프레스의 측판상에 착설된 방법을 보인 프레스 후측으로 부터의 단면과 부분단면을 보인 측면도.
제6도는 제5도의 6-6선 평면도로서 진동암의 평면도.
제7도는 제5도의 7-7선 측면도.
제8도는 일반적인 캠 측판을 사용하지 않은 다른 형태의 프레스를 이용한 본 발명의 측면도.
제9도는 충분히 개방된 프레스와 타이어 파치쳐크를 부분단면으로 보이고 제1도 또는 제8도의 형태인 프레스의 상측 주형부 확대 측면도.
제10도-제25도는 본 발명장치의 작용 상태도.
본 발명은 타이어 경화장치(硬化裝置)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일 기계장치에 조합된 타이어 경화프레스와 포스트인플레타(post inflator) 즉 후팽창기에 관한 것인데, 여기에서 타이어는 완전한 제어하에서 운반단계, 성형단계, 경화단계, 후팽창단계를 거치게 되는 것이다.
종래 타이어의 경화는 타이어 경화 프레스에 의하여 경화되지 않은 타이어가 성형되고 경화되어 프레스 후에 경화된 타이어가 경사진 콘베이어를 타고 운반된다. 만약 후경화팽창수단이 채용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이는 프레스후에 분리된 기계장치에 의하여 수행되고 있으므로 후경화 인플레타에 제대로 옮기어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타이어는 프레스로부터 옮기어진후 재속박되거나 재파지되고 후경화 인플레타가 폐쇄될때에 비이드(bead) 파지림으로 파지되도록 중심을 마추어 주어야 한다. 이와 같이 타이어의 외측이나 트레드(tread)를 파지하게 되는 재속박 및 중심조준장치는 복잡하고 설비비용이 과대하게 들며 상이한 타이어의 크기에 따라 조절할 필요가 있게된다. 타이어가 콘베이어로 옮기어 질때는 타이어에 충격을 주게 되며 타이어가 콘베이어로 떨어질때 타이어가 안착될 수 있도록 경사진 콘베이어는 그 폭이 넓어지고 타이어는 그 자체의 탄성으로 튀어 나가려는 경향이 있게된다. 후경화 인플레타에 대한 공통된 결점은 타이어 파지 또는 중심조준장치의 정상적인 수행이 어렵게 하며, 타이어가 후경화 팽창기를 완전히 통과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타이어가 정상적으로 중심이 잡히지 않을 경우 타이어의 제조에 결함을 가져오고, 더우기 후경화 인플레타는 타이어 경화 프레스에 결합되어 있어 후경화 작동시 프레스를 정지시키는 결함을 초래한다.
후경화 인플레타를 보다 신뢰할 수 있도록하는 시도가 있었다. 예를 들어, 타이어가 후경화 인플레타로 이동될때에 타이어의 타성을 줄일 수 있도록 수평으로 배치된 콘베이어 벨트가 사용되었으나 효과적인 반면에 이러한 벨트 구동장치는 그 설비 비용이 증가되는 결점이 있었다.
종래의 시도는 후경화 인플레타를 타이어 경화트레스에 보다 접근시킬 수 있도록 하였던바, 그 예를 들면, 브룬다지(Brundage)등의 미국 특허 제3065499호에 타이어 경화 프레스와 연계작동하는 후경화 인플레타가 설명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특허는 타이어가 후경화인플레타의 저부 비이드림 (bead rim)상에 낙하되도록 상측주형부로부터 벗어나도록 되어 있으나, 타이어가 방출봉(放出捧)에 의하여 주형의 상부 종단환체로부터 벗어나고 상측주형부가 후경화인플레타의 비이드팀과 일렬로 배열되어 있지 않으므로 프레스로부터 방출된 타이어가 후경화 인플레타에 의하여 올바르게 파지되는 기회는 요원한 것이다. 이와 같은 특허에서 보인 후 경화인플레타의 다른 불리점은 후경화 인플레타의 상부 비이드림이 상측주형부 또는 프레스 헤드(press head)상이 착설되는 것으로 후경화팽창의 순환이 프레스가 완전히 폐쇄될 때까지 시작되지 않는 것이다. 프레스가 프레스헤드에 의하여 부하가 전달되고 경화되지 않은 타이어상에 미동되는 동안 성형 사이클 또는 폐쇄사이클은 프레스 헤드가 하향하기 시작할때까지 시작되지 않는다. 따라서 성형사이클의 시작과 프레스의 완전한 폐쇄 사이의 중요한 시간이 소비된다. 용어 "후경화 팽창"은 사실상 잘못 표현된 용어로서 타이어는 팽창과 냉각동안에 그 열도가 지속되므로 가능한한 프레스가 개방된후 곧 후팽창이 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요약하면, 본 발명은 경화프레스와 후팽창기, 즉 포스트 인플레타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여기에서 모든 시간에 완전한 제어하에서 타이어는 경화되고 후팽창되는 방법을 거치게 되며, 타이어가 낙하하거나 자유롭게 구르는 시간이 없다. 이러한 방법으로 타이어는 잘못 배열되거나 그 기능이 저하되는 경사 또는 수직운동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다.
후경화 인플레타는 트러니언(trunnion) 후레임상의 측부 후레임과 림(rim) 사이에 착설되어 프레스의 완전한 개방상태에서 프레스의 상부 주형부와 일치된다. 두 타이어 후경화 인플레타에서 포스트 인플레타의 상부 또는 외측 비이드림은 동시에 작용하는 장치에 의하여 이동되나 프레스 상측주형부와는 독립적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포스트 인플레타는 성형사이클의 종단에서 프레스를 완전히 폐쇄하기전에 폐쇄되고 양호하게 작동하게 된다. 상측주형부에서 쳐크(chuck)는 프레스가 개방되었을 때에 주형부로 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타이어를 파지하고 타이어가 낙하 또는 경사운동 없이 후경화 인플레타의 개방된 저부 또는 내측 비이드림과 일렬로 배열될 수 있도록 타이어를 수직상으로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을 성취하기 위하여 독특한 후경화 인플레타가 제공되고, 여기에서 상부 비이드림은 해제된후 가공운반되도록 수평 이동되고 후경화 인플레타는 하측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근본 목적은 타이어가 직접 후경화 인플레타에 옮기어 질수 있도록 하는 타이어 경화프레스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다른 근본적인 목적을 어떠한 경사운동 없이 타이어가 인플레타상에 직접 옮기어지는 타이어 경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이어 경화 프레스와 포스트 인플레타의 조합을 제공하여 여기에서 타이어가 경화와 후팽창 사이의 모든 시간에 완전히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또다른 목적으로는 타이어가 재 속박되거나 중심을 맞추어야 하는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 간단하고 독특한 후경화 인플레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베이어의 필요성이 요구되지 않는 후경화 인플레타를 제공하고, 타이어 플레스-후경화 인플레타를 제공하여 여기에서 타이어가 낙하운동 또는 경사 운동없이 후경화 인플레타에 직접 옮기어 질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또한 다른 목적이 있다면 상부로 운반되고 하부로 배출되는 네가지 위치의 후경화 인플레타를 제공하는 것이며, 자동화되고 불량타이어가 제조되지 아니하고 최소의 경비로 최대 설비가 이루어질 수 있는 프레스-후팽창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이점은 상기 목적과 함께 다음 서술한 바와 같이 명백하게 나타날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에서는 타이어 경화 프레스-포스트 인플레타의 조합을 보이고 있으며, 포스트 인플레타(30)는 프레스의 요입부에서 형성된 두 타이어를 파지할 수 있는 플립 오버(flip-over)의 형태이고, 이 포스트 인플레타는 프레스의 측판(32) 사이에 연결된 트러니언 후레임(trunnion frame)(31)로 구성되어 있고, 프레스의 측판(32)는 일정한 공간을 두고 평행한 두 수직판체(34)(35)와 상부판체(36)을 구성하는 기본 후레임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판체(36)은 하측주형부(37)를 지지하고 있다.
가동 상측주형부(38)은 지지대(39)로부터 현수되어 있고 다시 빔 또는 프레스 헤드(40)의 하측에 조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두 개의 선회측(42)는 프레스헤드의 각단부로부터(돌출되어 있고 선회축과 불(bull)기어(44) 사이에 연결된 구동 연결구(43)에 의하여 지지되고 구동된다. 각 선회축은 측판에 형성된 수직 슬로트(s lot)(46)에 의하여 안내되고 측판의 상부 캠표면부(47)상에 프레스 헤드를 지지하는 캠 로울러(45)를 포함하므로서 프레스헤드가 프레스가 개방되었을 때 제1도에 보인바와 같이 후측 또는 오른쪽으로 상하 운동하게 된다. 캠 표면부(46)(47)과 같은 형태의 다른 캠 슬로트(도시하지 않았음)가 개방과 폐쇄동안 경사 운동이나 진폭운동으로부터 프레스 헤드를 유지하기 위하여 프레스 헤드에 연결된 안내로울러의 운동을 제한하고 있으며 이러한 캠슬로트와 프레스 개방 또는 폐쇄방법에 대하여는 앞서 언급한 브룬다지 등의 미국 특허 제3, 065, 499호에 설명되어 있다.
각 불기어는 이와 교합된 피니어(pinion)(49)에 의하여 구동되고 이러한 피니언은 구동모우터(52)를 통하여 동력 전달장치(51)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50)의 단부에 착설되어 있다.
상측 주형부에는 제9도에서 보다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어 파지 및 이탈쳐크(55)가 착설되어 있고, 이 자크는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관상(管狀) 컬럼(56)의 하단에 수직운동을 위하여 착설되어 있으며, 그 상측단기은 아답타(adapter) (57)이 연결되고 다시 이에 피스턴-실린더 조립체(58)(59)의 연간과 연결된다. 이 쳐크는 피스턴-실린더 조립체(58)(59) 사이에서 아답타에 착설된 비교적 잘은 피스턴-실린더 조립체(60)에 의하여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작용한다.
하측 주형부의 중심에는 블라더(bladder) 성형장치(62)가 착설되어 있으며, 블라더(63)는 하측 파지 판체및 비이드환체(64)와 상부 파지판체(65) 사이에 연장되어 있고, 상부 파지판체는 수직으로 이동 가능한 지주(66) 상에 착설되어 있다. 하측 파지 판체와 비이드환체와 같이 지주와 상측파지 판체는 연관된 피스턴-실린더 조립체(67)에 의하여 수직으로 독립되게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프레스 헤드(40)의 각 측부에는 운반후 레임(70)이 착설되어 있으며, 적제후레임에는 이들 사이에 연장한 운반후 레임(72)을 수직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내향된 후렌지 또는 레일(rail)(71)이 형성되어 있다. 이중 요입 프레스를 위하여 운반 후 레임은 두 운반쳐크(73)을 현수되게 지지하고 있으며, 운반자크는 상측 비이드의 내측으로 경화되지 않은 타이어(75)를 파지하고 경화되지 않은 타이어가 안치된 곳으로부터 타이어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방사상으로 이동가능하게 된 슈우(74)를 포함한다. 이러한 형태의 운반장치는 움(Ulm)의 미국 특허 제3, 267, 515호에 설명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하측 주형에는 환상가열 보호체가 제공되어 있으나 주형부(37 )(38)에 포스트 인플레타(30)을 접근시켜야 하므로 부가적인 가열보호체(78)이 타이어가 프레스에서 경화되는 동안 방열되는 열로부터 후경화 팽창하는 타이어를 보호하도록 제공된다.
만약 필요하다면 방열판은 가열된 공기의 방류를 위하여 수직으로 연장한 중공체 통로를 제공하는 것이 좋다.
운반장치, 하측 주형부와 포스트 인플레타의 수직 중심선은 이들이 동일 수평면상에 있으므로 프레스헤드가 제1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충분히 개방된 위치에서 후측 또는 오른쪽으로 상하 운동할 때에 상측주형부(38)은 포스트 인플레타의 중심선과 수직으로 일렬로 되게 배설되며, 동시에 운반쳐크(73)도 하측 주형부(37)상에서 수직으로 일렬로되게 배설된 것이다.
포스트 인플레타에는 프레스의 요입부를 위하여 네개의 타이어 비이드파지림( 80)(81)(82)(83)이 착설되어있고, 두개의 내측 비이드 파지림(81)(82)는 이측 후레임(31)에 착설되고 두개의 외측 파지림(80)(83)은 각각 내측 비이드 파지림에 선택적으로 괘지 결합되거나 그 결합상태가 해제되었을때에 상기 내측 비이드 파지림으로부터 분리된다. 비이드 파지림은 제1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각 내측 비이드 파지림으로부터 돌출한 축상으로 회동 가능하게된 결합축(85)에 의하여 괘지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축의 구조와 작용은 본 발명과 같이 동일 양수인에게 양도된 1977년 3월 29일자 출원 출원번호 제782, 496호 조셉 엠 마이틴의 "포스트 큐어 인플레타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하부 비이드 파지림이 비이드 파지림(82)로부터 해제 되었을때에 하부 비이드 파지림은 피스턴-실린더 조립체(88)에 의하여 작동된 승강기(87)의 경사진 배출 콘베이어(86)을 통하여 수직으로 이동되는데, 이러한 구조도 상기 특허출원 제782, 496호에 서술되어 있다.
내측 비이드 파지림(81)이 해제되었을때, 상부 비이드 파지림(80)은 승강완(8 9)에 의하여 상승된 다음 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이 구조와 작용은 제3도-제7도에서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포스트 인플레타가 작동하는 동안 후레임(31)이 전도될때에 림(80)은 저부림이되고 림(83)은 상부림이 되며 림(81)과 림(82)도 역시 전도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제3도 및 제4도에서는 회동및 승강완이 상측 비이드 파지림(80)을 파지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림(83)을 파지하는 방법을 보인 것으로 승강완(89)의 종단 하측에 제4도에서 측면을 보인 바와 같은 형태의 판체(90)로서 고정연결되어 있다.
판체(60)의 하측에는 접수부(92)가 고정구(91)로서 고정되어 있으며 접수부는 환상의 요입내측 개방부(93)을 가지거나 림의 단부캡(95)상의 돌출부(94)가 접수될 수 있도록 되어있고 개방부(93)을 가로질러 키(95)가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있어 돌출부(94)의 슬로트나 키삽입구(96)과 계합된다. 키와 키삽입구는 부호(97)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어 삽입시의 가벼운 오차를 바로 잡을 수 있고 상대적인 회동을 방지하는 것이다.
접수부(92)에는 경사진 개방부에 대칭적으로 교차된 두개의 현(鉉)모 양 통공(98)(99)가 제공되어 있고, 돌출부(94)에도 상기 통공(98)(99)와 현속형태의 두 현모양 환상 슬로트(101)(102)가 제공되어 있다. 이 통공들은 키(95)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구(106)(107)에 의하여 요크판체(105)에 고정된 고정핀(10 3)(104)가 활삽되어 있다. 이와 같은 요크판체에는 접수부(92)와 판체(90)으로 부터 일체로 형성한 브라킷트(110) 사이에 연장한 중심안내봉(109)에서 활동(滑動)하는 슬라이드 칼라(slide collar)(108)이 착설되어 있다. 요크(105)는 피스턴-실린더 조립체(111)와 (112)에 의하여 운동하며 각 피스턴-실린더 조립체의 단부(113)는 판체(90)의 하측에 부착된 브라킷트(114)로서 회동 가능하게 착설되어 있고 피스턴-실린더 조립체의 연간은 부호(115)로 보인 바와 같이 요크판체의 대향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피스턴-실린더 조립체가 연장되면 판체(105)를 가상선의 위치(116)으로 움직여 돌출부(94)로부터 고정핀(103)(104)를 당기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돌출부와 승강완은 분리시킬 수 있으며, 고정핀이 계합되어 있을때 돌출부와 승강완은 단일체로 움직인다.
허브(hub)(95)는 고정구(121)로서 원통상 하우징(120)에 나착 고정되어 있고, 내측으로 나착된 림 지지구(122)는 하우징(120)에 나착 연결되어 있으며, 타이어 비이드 파지림(80)은 고정구(123)으로 이에 고정되어 있다. 하우징 부분(120)(122)사이의 나착 연결은 림(80)을 고정축(85)를 위한 고정면(124)에 대하여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팽창되는 동안 비이드 분리의 연장이 조절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각 비이드 파지림은 타이어 비이드 파지 후랜지(125)와 대향림에 형성된 안내톱니와 교합된 경사진 안내톱니(126)으로 구성된다.
제5도, 제6도 및 제7도에서는 회동 운동과 수직운동을 위한 승강완의 한 착설 형태를 보인 것으로 측판(32)의 일측단부에는 제7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일정한 공간을 두고 떨어져 있는 두 개의 브라킷트(130)(131)이 착설되어 있으며, 이들은 사각축 (134)의 단부핀으로 연결된 수직 배열의 허브(132)(133)을 수평으로 지지하고 있고, 각 축수에는 축의 각단부(135)(136)가 접수되어 있다.
축(134)을 그 수직축선에 대하여 진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는 그 폐쇄단부(139)가 판체(32)의 외측에 착설된 브라킷트(140)에 축설된 피스턴-실린던 조립체(138)이 제공되며 연간(141)은 축(134)에 착설된 "L"자형 크랭크 암(143)의 단부(142)에 축설 연결되어 있으므로 피스턴-실린더 조립체(138)의 연장과 수축은 축(134)를 그 수직 축선에 대하여 진동되게 할 수 있다.
승강완(89)의 기부단(基部湍)에는 수직으로 연장된 채널(145)가 제공되고, 승강완(89)에 착설된 채널(145)는 축(134)상에 활동 가능하게 착설된 두 슬라이드 블럭(146)(147)에 교차 연결되어 있다. 또한 승강완(89)에는 피스턴-실린더 조립체(152)의 연간(151)의 연결점(150)에 축설된 하부에 분기판(145)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피스턴-실린더 조립체의 폐쇄단부에는 축(134)에 착설되어 수평으로 돌출된 판체(154)에 연결부(153)으로 축설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피스턴-실린더 조립체의 연장은 제5도 및 제7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승강암(89)을 도시한 상태의 위치로 상승할 수 있도록 하고 조립체의 수축은 승강완을 축(134)을 따라 하측으로 하강하도록 한다. 물론 피스턴-실린더 조립체( 152)(138)은 승강완(89)이 상부 위치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고정될 수 있으며 필요하다면 승강완(89)와 채널(145) 사이에 보강편(155)를 착설할 수 있다.
제5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트러니언 후레임(31)에는 고정축(85)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작용하는 피스턴-실린더 조립체(156)(157)이 착설되고 고정축(157)은 내측 비이드 파지림(81)(82)를 통하여 돌출 연장되어 있다. 후레임의 단부로 돌출 연장된 트러니언(159)는 측판에 형성한 슬로트(160)을 따라 연장되어 축수(161)에 축설 지지되어 있으며, 후레임(131)의 회동 또는 진동을 위한 적당한 모우터와 구동장치가 부호(162)로 보인 바와 같이 축(152)에 착설되고 스프링 고정구(163)에 의하여 측판(32)상에 지지된다.
제8도에서는, 본 발명 장치에 따른 자동 후경화 인플레타로 작동하는 타이어 경화 프레스의 다른 형태를 보인 것으로, 이 프레스는 요입기부(168)내지 지지대(166 )(167)로 지지된 기부 후레임(615)상에 재치되어 있으며, 기부 후레임(165)는 바닥(169)와 같은 높이에 재치되게 하고, 기부 후레임(165)는 회동가능한 고정 환체와 방열판체(170)에 의하여 위요된 하측주형부를 지지하고 있다.
수직기둥(171)은 기부 후레임(165)로부터 프레스의 전면측에 연장되어 있고, 대각선 동향으로 후측기둥(172)가 프레스의 후측에 연장되어 있다. 프레스의 수직기둥과 대각선 방향의 기둥은 수평하게 연장된 레일(173)으로 각각의 상측단이 연장되어 있고, 프레스의 측부 후레임은 동일하게 상호 연결한 레일(173)으로서 수직기둥(171)과 대각선 방향의 기둥(172)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프레스의 각 측부에는 이들 기둥과 레일 사이에 연단된 횡방향 후레임 부재는 존재하지 않는다.
측방향으로 일정한 공간을 두고 평행한 레일(173)은 로울러(176)(177)에 의하여 이들 상에 착설된 후레임(175)를 지지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두 로울러는 각레일상에 후레임을 지지한다. 후레임은 승강주(179)를 포함하며, 이 승강주의 저단부는 하측상에 상측 주형부를 지지하고 있는 판체(180)에 연결되어 있다.
주형부가 해체될때, 승강주(179)는 상부 주형부를 상측으로 들어올려 가상선(182)로 보인 바와 같이 상측 주형부가 후경화 인플레타와 일렬로 되게 이동된다. 상측 주형부의 쳐크(55)는 접근된 내측 비이드림(81) 상에 피스턴-실린더 조립체 (186)의 작용으로 타이어를 내려놓을 수 있도록 연장되어 있다. 동시에 운반쳐크 (184)는 피스턴-실린더 조립체(186)의 연간(185)에 지지되어 가상선(190)으로 보인 바와 같이 하측 주형부상에 경화되지 않은 타이어(187)을 내려 놓는다. 피스턴-실린더 (186)은 암(191)에 의하여 이동 후레임(175)로부터 외다리 형태로 지지되어 있다.
후경화 인플레타(30)는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진 후레임(172) 사이의 연결부(192) 사이에 연결되어 진동될 수 있도록 구동되며 승강주(193)이 경사진 배출 콘베이어(194) 아래로 하부 비이드림을 내려보낼 수 있도록 제공되고 회동 승강완(8 9)는 상부 비이드림을 옆으로 비켜 놓을 수 있게 제공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8도에서 보인 형태의 프레스 구조와 작용상태는 아민도 칸타루치 (Armindo Cantarutti)의 특허출원, 출원일자 1975년 11월 6일 출원번호 제629, 507호 "가류기의 고정장치"에 상세히 서술되어있다.
또한 회동가능한 방열갑체와 고정환체(170)을 부가하여, 부가적인 방열갑체( 195)가 경화 위치의 주형부와 후경화 인플레타 사이에 제공되어 있다.
제9도에서는 쳐크(55)가 수직으로 가동 가능한 기둥(56)에 착설된 스파이더( spider)(199)에 "L"자형 연결구(198)로 상부가 회동 가능하게 출설된 일반적인 "L"자형 구조의 세그멘트(segment)(197)이 다수배열된것을 보이고 있다. 각 쳐크의 세그멘트에는 쳐크 작동연간(203)을 통하여 정지조절이 가능한 것에 대하여 수직으로 가동 가능한 쳐크 작동기(202)에 연결구(201)에 의하여 연결된 회동연결구(200)이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쳐크 작동연간의 수직운동은 세그멘트가 쳐크의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 또는 반로대 연결구(198)에 대하여 회동되게 한다. 각 쳐크 세그멘트에는 원추형 안내부(204)와 타이어의 상측 비이드 아래에 고정되는 괘가구(205)가 착설되어 있고 원추형 안내부는 비이드의 내경에 계합되어 쳐크에 대하여 타이어의 어떠한 경사 운동도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는 아미조 칸타루치의 1976년 10월 3일자 출원, 출원번호 제720, 192호 "타이어 경화프레스"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제1도와 제10도-제25도는 순차적으로 본 발명의 작용 상태를 보인것으로 제1도에서 프레스는 타이어를 경화위치로 폐쇄한 상태를 보인것으로 운반쳐크(73)은 경화되지 않은 타이어(75)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향된 상태로 놓여져 있으며, 후경화 인플레타에는 상부 비이드림(80)이 이동되어 있고 측판은 경화된 타이어(210)을 접수할 수 있도록 되어있고, 타이어는 후경화 인플레타에서 연속적으로 냉각된다.
제10도에서, 운반쳐크(73)은 타이어받침대(76)으로부터 경화되지 않은 타이어(75)를 상측으로 들어올린 상태를 보인 것으로, 완전한 경화가 끝난후 프레스가 개방되고 있다.
쳐크섹타(chuck sector)(197)는 피스턴-실린더 조립체(60) 작용으로 섹타의 부분(205)가 경화된 타이어 상부 비이드의 하측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주형부의 상측운동으로 타이어는 상부 주형측 반이 벗어난 상태이고 상부주형이 개방되므로서 기둥(56)은 그 하향위치에서 쳐크를 하향유지 되도록 작용하며, 후경화 인플레타는 계속 냉각되고 있는 타이어(211)를 접수할 준비를 갖추고 있다.
제11도에서, 프레스는 계속 개방되어 있으며, 하측 비이드는 피스턴-실린더 조립체(58)(59)의 어떠한 압력에 대하여서도 쳐크가 상측으로 밀어올릴 수 있도록 되어있고, 송풍구조체의 운동과 하측 비이드 환체의 상측 운동은 하부주형으로부터 타이어를 벗어나게하고 있으며, 쳐크섹타는 계속하여 경화된 타이어를 파지하고 있고, 후경화 인플레타는 경화된 타이어를 접수할 태세를 갖추고 있으며 타이어(211)는 후경화 인플레타에서 계속하여 냉각되고 있다.
제12도에서 프레스는 아직까지 개방된 상태이고 포스트(post)(66)은 하측파지환체로서 상향으로 움직이고 있으며 비이드환체는 경화된 타이어(210)으로부터 블레더(bladder)를 하측으로 벗기고 있다. 후경화 인플레타는 여전히 경화된 타이어를 접수할 태세를 갖추고 있으며, 타이어는 계속 냉각되고 있다.
제13도에서 프레스는 연속적으로 개방된 상태이고 쳐크는 포스트와 블레더 상측으로 타이어를 들어올린 상측주형부측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쳐크가 타이어의 인출 위치로 이동될때에 프레스헤드는 그 후측 운동을 시작한다. 타이어가 프레스빔(40)에 의하여 포스트와 블레더상에 이동되고, 동시에 운반 쳐크는 프레스빔의 작용으로 주형운반 위치로 이동하고, 후경화 인플레타는 경화된 타이어를 접수할 태세를 갖추고 있고 타이어는 이에서 계속하여 냉각되고 있다.
제14도에서 프레스는 완전히 개방된 상태이고 경화된 타이어(210)는 후경화 인플레타의 중심선상에 놓여 있다. 동시에 운반쳐크는 포스트와 하측주형부상에 일치되어 있고, 후경화 인플레타는 아직 경화된 타이어를 접수할 태세이며, 타이어는 계속 냉각된다.
제15도에서, 쳐크(55)는 경화된 타이어를 직접 노출된 내측 후경화 인플레타 지지림(81)상에 내려놓고 있으며, 이 운동은 피스턴-실린더 조립체(58)(59)의 연장운동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쳐크 세그멘트는 타이어(210)의 상측 비이드 하측으로 이동하고 피스턴-실린더 조립체(60)은 쳐크를 폐쇄하도록 수축된다. 동시에 운반쳐크는 하측주형(37)의 하측비이드림 상에 경화되지 않은 타이어(75)를 운반하고, 타이어는 후경화 인플레타에서 냉각되고 있다.
제16도에서, 경화된 타이어(210)이 후경화 인플레타의 지지림(81)상에 그 중심을 마추고 있고 쳐크는 폐쇄되었으며, 피스턴-실린더 조립체(58)(59)의 수축은 타이어의 상부 비이드로부터 벗어나고 타이어(211)는 후경화 인플레타에서 계속 냉각중이다.
제17도에서, 쳐크는 상측 주형부에서 충분히 수축된 위치로 철수되고 후경화 인플레타의 상측 지지림(80)은 회동하여 후경화 인플레타상에서 고정된 위치로 하향 운동한다. 운반 쳐크가 계속하여 경화되지 않은 타이어를 파지하고 있는 동안 블레더 포스트(bladder post)는 하측으로 당기어져 타이어의 팽창이 시작된다. 타이어(211)는 후경화 인플레타에서 계속 냉각중이며, 제17도에서 승강완과 상측 비이드 파지림(80)은 충분히 하향되지 않았으나 상측림(80)이 상부 주형부와는 관계 없이 운동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타이어(210)은 상측 주형부가 제18도의 위치로 이동하기전에 후경화 팽창을 위하여 고정되는 것이다.
제18도에서, 운반쳐크는 경화되지 않은 타이어(75)를 놓고 상측으로 이동하며 프레스빔이 전진한다. 운반쳐크와 프레스 헤드는 각각 타이어 받침대(76)와 하측주형부(37)의 위치로 이동하고, 이때에 후경화 인플레타는 상측으로 고정되어 타이어(2 10)을 팽창시키기 시작하고 승강완(89)는 상측림을 놓고 후경화 인플레타로부터 이동한다.
제19도에서, 프레스는 충분히 닫혀지고 타이어(75)는 성형되고 프레스내에서 경화된다. 그리고 운반쳐크는 타이어 받침대(76)상에서 받침대에 조작자에 의하여 옮기어진 다음의 경화되지 않은 타이어를 들어 올릴 태세를 갖추며 양 타이어는 후경화 인플레타에서 냉각되고 있다.
제20도에서 프레스는 폐쇄되고 타이어는 경화되며, 운반쳐크는 다음의 경화되지 않은 타이어를 들어올리고 있다. 승강 실린더(88)은 연장되고 승강기(87)은 타이어가 수축된후에 경화 인플레타의 림(83)을 상측으로 계합되도록 작용한다. 림(83)이 해제된후, 림이 재치된 승강기는 타이어가 콘베이어(86)상에 제21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놓여 질수 있도록 햐향 운동한다.
제22도에서 프레스는 계속하여 폐쇄된 상태이고 타이어(75)가 경화되고 있다. 타이어(211)는 후경화 인플레타로부터 벗어나고 승강기(87)는 고정축(158)에 의하여 후경화 인플레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측림(83)을 제자리로 상향시키도록 운동한다.
제23도에서, 프레스가 계속 폐쇄되고 타이어(75)가 경화되는 동안 승강실린더는 후경화 인플레타가 그 교체 역전된 부하 상태로 180˚회전되도록 하향 운동하고 타이어(210)는 하측 냉각위치로 이동한다.
제24도에서, 프레스는 역시 폐쇄된 상태이고 타이어(75)가 경화중이다. 후경화 인플레타는 그 수평위치로 회동이 정지되고 승강암은 림(83)상에 회동하여 림(83)을 파지하도록 하향 이동하고 해제될 때에는 림을 들어올려 후경화 인플레타로부터 이동한다. 후경화 인플레타는 운반된 다음의 경화된 타이어를 위하여 준비된다.
이와 같이 후경화 인플레타는 프레스가 개방되기 전에 제20도-제25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배출과 역전운동을 하며 프레스가 그 순환의 후단에 개방되는 동안 후경화 인플레타의 과부하 제거전에 개방되지 않는다.
물론 상기 서술된 장치의 작용은 다른 방법으로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후경화 인플레타는 양측 타이어가 수직 평면내에서 냉각되기 위하여 파지되는 중간냉각 위치가 제공되고 운반과 배출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하여튼 타이어 경화장치는 프레스에서 경화된 타이어가 해제되거나 재파지되지 아니하고 후경화 인플레타로 직접 운반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Claims (1)

  1. 하측 주형부와, 포스트 인플레이터의 적어도 한 림과 하측 주형부 사이에서, 수평이동 가능한 상측 주형부로 구성된 프레스와 분리 가능한 림 포스트 인플레이터와, 주형에서 벗어난 타이어를 파지하고 상기 상측 주형부와 함께 이동 가능한 쳐크와, 상측 주형부와 포스트 인플레이터의 림이 수직으로 배열되었을때 수평방향의 운동없이 타이어를 포스트 인플레이터에 투입할 수 있도록 타이어를 파지하고 있는 쳐크를 하강시키는 수단으로 구성된 타이어 경화장치.
KR7801352A 1978-05-22 1978-05-22 타이어 경화장치 KR810001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1352A KR810001869B1 (ko) 1978-05-22 1978-05-22 타이어 경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1352A KR810001869B1 (ko) 1978-05-22 1978-05-22 타이어 경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869B1 true KR810001869B1 (ko) 1981-11-19

Family

ID=19207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1352A KR810001869B1 (ko) 1978-05-22 1978-05-22 타이어 경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86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92090A (en) Tire curing system
US7744359B2 (en) Tire vulcanizing apparatus
US4338069A (en) Tire press
JP3874507B2 (ja) タイヤ加硫装置
KR860001355B1 (ko) 타이어 가황기의 로우더 또는 언로우더장치
EP0289469B1 (en) Machine for vulcanizing tires with devices for collecting and unloading the tire being treated
KR950012843B1 (ko) 후경화 인플레이터
KR810001869B1 (ko) 타이어 경화장치
CN111976179A (zh) 多层多模轮胎硫化机及其生产工艺
JPH06285862A (ja) タイヤ加硫プレス用ブラダ組立体の取付装置及び搬送装置
JP6809104B2 (ja) タイヤ加硫装置、及びタイヤ加硫方法
CN212528786U (zh) 多层多模轮胎硫化机
US8097201B2 (en) Bisplit mold for tire forming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ire therewith
US4604043A (en) Extractor unit for tire vulcanizing moulds and device for rapidly disassembling it from a vulcanizing press
BRPI0805543A2 (pt) aparelho e método para montar, desmontar e armazenar um núcleo de construção de pneu
US3337173A (en) Tire support
JP3865503B2 (ja) タイヤ加硫装置およびタイヤ加硫装置の金型交換方法並びにタイヤ加硫方法
JP2000033015A (ja) グリ―ンタイヤ貯蔵用支持ピン型架台
JP4007714B2 (ja) タイヤ加硫装置およびその金型交換方法
KR101414263B1 (ko) 그린타이어 형상 유지 장치
JPH0323910A (ja) タイヤヒートプレスにおいてグリーンタイヤの装入および完成タイヤの取出し又はそのいずれかを行なうための装置
JP3865500B2 (ja) タイヤ加硫装置およびタイヤ加硫装置のモールド交換方法並びにタイヤ加硫方法
JPH10119050A (ja) タイヤ加硫装置
JPH0367006B2 (ko)
EP0037702B1 (en) Tire curing press and tire curing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