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736B1 - 칼라 프로젝터 - Google Patents

칼라 프로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736B1
KR810001736B1 KR7502694A KR750002694A KR810001736B1 KR 810001736 B1 KR810001736 B1 KR 810001736B1 KR 7502694 A KR7502694 A KR 7502694A KR 750002694 A KR750002694 A KR 750002694A KR 810001736 B1 KR810001736 B1 KR 810001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color
projecting
lens
g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502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우이찌 다께우찌
노리오 이또우
구니요시 고야마
사또시 시마다
마사미 히무로
Original Assignee
모리다 아끼오
소니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다 아끼오, 소니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다 아끼오
Priority to KR7502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7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칼라 프로젝터
제1도와 제2도는 종래의 칼라 프로젝터의 구성도.
제3도는 형광체의 발광스펙트럼 및 색선별 거울의 특성을 표시한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의 구성도.
제5도 및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브라운관 등의 배치방법의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은 칼라 브라운관을 사용한 칼라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칼라 프로젝터들 중의 하나로서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 녹, 청의 제각기 원색형광체를 갖는 단색의브라운관들(1R)(1G)(1B)을 적, 녹, 청의 제각기 대응색 신호에 의해 구동하여서 얻어진 3원색상을 제각기의 렌즈장치(2R)(2G)(2B)를 거쳐 스크린(3)에 투영하고, 이 스크린(3)상에서 칼라영상을 확대하여 상영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칼라 프로젝터에서는 3개의 제각기 브라운관들의 스크린(3)으로의 입사각들이 매우 다르기 때문에 고이득(고지향성) 스크린을 사용하면, 보는 위치에 따라 칼라 쉐이딩(shading)이 생긴다. 따라서 낮은 이득(저지향성) 스크린의 사용이 필요하므로, 명확한 휘도 및 명도를 얻을 수 있다. 또 스크린(3)까지의 브라운관(1R)(1G)(1B)에서의 광신호의 광학적 경로가 서로 다르고, 또한 투사각이 다르므로 투사량을 보정을 하지 않으면 화면 전체에 걸쳐 기록을 합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 화면의 크기를 변화시킬 때에는, 투사량보정, 화면의 위치, 렌즈의 초점위치, 또는 렌즈의 광축, 브라운관의 광축보정을 하는데 시간이 걸리고 광학적 혹은 회로적으로 복잡해지고, 조정폭도 커지는 결점이 있다. 또 렌즈장치를 3개 사용하므로, 가격 상으로 비싸진다.
제2도는 종래의 칼라 프로젝터의 다른 예를 표시한다. 제2도에 있어서 4R은 적색성분을 반사하는 특성의 색선별 거울을 표시하고, 4B는 청색성분을 반사하는 특성의 색선별 거울을 표시한다. 이들 색선별 거울(4R)(4B)은 X자형으로 교차되어 있고, 이 색선별 거울들(4R)(4B)의 주위에 브라운관(1R)(1G)(1B)과 렌즈장치(2)가 배치된다. 그리하여 색선별 거울(4R)(4B)로 합성되어 얻어지는 칼라영상이 렌즈장치(2)를 통하여 스크린(3)에 투사된다. 제3도는 제각기 브라운관의 형광체의 발광스펙트럼 및 색선별 거울(4R)(4B)의 투과율을 표시하고, (5R)은 적색 형광체의 발광스펙트럼, (5G)는 녹색 형광체의 발광스펙트럼, (5B)는 청색 형광체의 발광스펙트럼을 표시한다. 실선으로 표시한 투과율 특성(6B)은 색선별거울(4B)의 것이고, 점선으로 표시한 투과율 특성(6R)은 색선별 거울(4R)의 것이다. 이 제2도의 구성으로 된 칼라 프로젝터는 녹색의 형광체 발광스펙트럼의 단부가 넓어지도록 한다. 또 색선별 거울(4R)(4B)의 특성이 이상적 분광특성이 없으며, 어떤 경사를 갖기 때문에 녹색성분의 밝은 부분이 반드시 감소된다. 예를 들자면 1장이 색선별 거울을 통과할 때에 녹색형광체의 발광스펙트럼 위치에서 투과율이 70 내지 80% 정도로 되고, 2장인 경우에는 이들 적(積)인 50 내지 65%의 투과율로 되어 버린다. 또 제각기 거울들이 공기와 접촉된 면에서의 거울손실이 앞뒤로 발생되므로, 전체에서는 본래 녹색발광 중 50% 정도가 전달되지 않는다. 그러나 녹색은 다른 청 및 적색에 비해 시감도가 높으므로, 녹색의 투과율이 나빠져도 밝기가 그다지 저하하지 않는다. 또 시감도가 높기 때문에 색선별 거울(4R)(4B)을 통과할 때에 녹색의 반사광이 약간 생기고, 이 불필요한 반사광이 자체 혹은 다른 브라운관(1R)(1B)의 영상면에 삽입되어 콘트라스트를 열화시키는 결점이 있다. 또한 브라운관(1R)(1G)(1B)의 방향이 매우 다르므로, 지자기의 영향을 받기 쉬운 문제점이 생긴다. 또 브라운관의 영상면에서 색선별 거울을 본 각도가 크므로, 색선별 거울의 중심에서의 투과 또는 반사특성과 양단에서의 투과 및 반사특성이 크게 다르므로 칼라 쉐이딩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칼라 프로젝터의 결점을 제거시킨 것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예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제4도는 본 발명의 기본적 구성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녹색을 발광하는 브라운관(1G)을 독립으로 하여, 이 브라운관(1G)의 영상을 렌즈장치(2G)를 거쳐 스크린(3)상에 투사하도록 한다. 동시에, 브라운관(1R) 및 (1B)의 상을 청색 반사의 색선별 거울(4B)에 의해 합성하고, 이 적색 및 청색의 색성분으로된 상을 렌즈장치(2RB)를 통하여 스크린(3)상에 투사하고, 이 스크린(3)에 확대된 칼라화상을 재현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2안 3관식의 칼라 프로젝터로서 종래 3안 3관식(제1도) 혹은 1안 3관식(제2도)의 것에 비해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우선, 3안식의 것에 비하면, 스크린(3)에 대한 제각기의 브라운관의 입사각이 서로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고이득 스크린을 사용한 경우에도 칼라쉐이딩이 나오지 않는다. 따라서 고이득의 스크린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실질적으로 밝은 화면이 얻어지며, 외광에 대한 콘트라스트도 좋다. 둘째로, 집속교정 혹은 화면의 크기를 변화시켰을 때의 각종 조정이 회로적 광학적으로 간단화 할 수 있다. 셋째로, 렌즈장치는 2개로 되므로 렌즈에 드는 비용이 삭감된다.
다음에 1안식에 비하면, 첫째로 각 브라운관에서의 빛이 2회 반사 또는 투과하는 것은 아니므로 밝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실시예에서는 녹색의 성분이 아니므로 밝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실시예에서는 녹색성분이 전혀 색선별 거울을 통과하지 않는다. 어떤 브라운관을 독립시키는가는 임의이지만, 녹색브라운관(1G)을 독립시키는 것은 다음의 점에서 유리하다. 결국 녹색성분은 시감도가 높으므로, 녹색이 밝으면, 전체로서 밝기는 다른색 브라운관을 독립시키고 다른 색을 밝게 하는 경우에 비해 유리하다. 또 색선별 거울(4B)은 파장의 차가 충분히 큰 적색 및 청색을 분광시키면 좋으므로, 색선별 거울의 설계가 용이해짐과 동시에, 이것에 의해 적 혹은 청색의 밝기의 감소량을 최소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상, 색선별 거울의 분광특성은, 이것에 대한 법선 입사각이 45。가 아닐 때에 소기의 분광특성이 얻어지는 것이다. 입사각이 45°가 아닐 때는 분광특성이 변화하고, 이것이 원인으로 칼라 쉐이딩이 생기는 것이다. 그러나 브라운관(1G)을 독립으로 하면 색선별 거울(4B)의 분광특성은, 녹색의 스펙트럼을 투시하여 결정할 수 있으므로 적 및 청의 스펙트럼의 양자에 대하여 여유를 주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의 입사각에 의한 분광 특성변화에 따라 칼라쉐이딩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브라운관(1R)(1G)의 상을 색선별 거울로 합성하는 구성으로 하면, 적 및 녹색 성분에 기준을 둔 황색에 대하여 칼라쉐이딩이 생기므로, 칼라쉐이딩이 현저히 나쁘게 된다.
또한, 1안식과 본 발명을 비교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본 발명에의하면 색선별 거울로 생기는 불필요한 방사성분이 감소하고, 이 반사성분에 의해 콘트라스트가 열화하는 것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서도 녹색반사광성분이 생기지 않으므로 유리하다.
제5도와 제6도는 상술한 본 발명에 있어서 브라운관(1R)(1G)(1B)의 배치 실시예를 제각기 도시한다.
제5도의 실시예는 렌즈장치들(2G,2RB)을 케이스(7)(2점 점선으로 표시한다)의 전면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한 것이다. 케이스(7) 내에 브라운관들(1G)(1R)을 이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쌓이도록 배치하고, 또한 브라운관(1B)을 케이스의 밑방향에서 화면이 위를 향하도록 설치한 것이다.
제6도의 예는 렌즈장치들(2G,2RB)을 케이스(7)(2점 점선으로 표시한다)의 전면에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배치하고, 브라운관(1R) 및 (1G)을 수평방향으로 동일 방향에서 나란히 설치한 것이다.
이들, 제5도 및 제6도의 어느 배치에 있어서는, 브라운과(1G) 및 (1R)이 같은 방향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브라운관들(1G,1R)의 지자기 영향은 서로 같은 방향이다. 일반적으로 집속이 어긋날 때에 가장 뛰어난 것은 녹색 혹은 적색 성분이므로, 상술한 배치에 의해 지자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Claims (1)

  1. 본문에 상술하고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색발광하는 제1 및 제2 그리고 제3의 3개의브라운관과, 색합성거울장치와, 렌즈장치와, 스크린을 갖는 칼라 프로젝터에 있어서,
    상기 색합성 거울장치를 상기 제1 및 제2 브라운관의 재생영상만을 합성하는 하나의 거울로서 구성하고
    상기 렌즈장치를 상기 색합성 거울로서 합성된 영상을 상기 스크린상에 투사하도록 하는 제1의 렌즈와 상기 제3의 브라운관의 재생영상을 거울장치를 통하지 않고 상기 스크린상에 투사하도록 하는 제2의 렌즈의 2개의 렌즈로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프로젝터.
KR7502694A 1975-12-10 1975-12-10 칼라 프로젝터 KR810001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2694A KR810001736B1 (ko) 1975-12-10 1975-12-10 칼라 프로젝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2694A KR810001736B1 (ko) 1975-12-10 1975-12-10 칼라 프로젝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736B1 true KR810001736B1 (ko) 1981-11-07

Family

ID=19201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502694A KR810001736B1 (ko) 1975-12-10 1975-12-10 칼라 프로젝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736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74293A1 (en) Configurations for color displays by the use of lenticular optics
US5096280A (en) Light source apparatus for separating white light into light components of a plurality of colors
JPH0743658A (ja) 投写型表示装置
US4051513A (en) Color image projecting apparatus
KR100264105B1 (ko) 투사형 컬러화상표시장치
KR810001736B1 (ko) 칼라 프로젝터
JPS62194788A (ja) プロジエクタ
JPH08220634A (ja) 背面投射型プロジェクタ−
JPS6035892A (ja) テレビジョン画像投写装置
JPH11327048A (ja) 背面投写型表示装置
KR100321287B1 (ko) 프로젝션 텔레비젼 수신기내 광학시스템
JPH0749494A (ja) 投写型表示装置
JP2581503B2 (ja) 液晶投写型表示装置
JPH0527343A (ja) 投写型表示装置
JP2947375B2 (ja) プロジェクタ装置
JPH05236484A (ja) 光加算装置
KR930004819B1 (ko) 투사용 액정 표시장치
JPS639396A (ja) 投写型カラ−画像表示装置
KR200256910Y1 (ko) 액정프로젝터의화이트밸런스장치
JPH0353236A (ja) リア型ビデオプロジェクター
JPH0540307A (ja) プロジエクタ装置
JP3263744B2 (ja) 投射型表示装置及び投射型表示装置用スクリーン
KR940006726B1 (ko) 배면투사형 lcd 프로젝터 광학계
JPH04147290A (ja) 投写型表示装置
JPH09258211A (ja) 背面投写型液晶プロジェクタ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