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717B1 - 이소퀴놀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소퀴놀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717B1
KR810000717B1 KR7800136A KR780000136A KR810000717B1 KR 810000717 B1 KR810000717 B1 KR 810000717B1 KR 7800136 A KR7800136 A KR 7800136A KR 780000136 A KR780000136 A KR 780000136A KR 810000717 B1 KR810000717 B1 KR 810000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isoquinoline
ions
iodide
tetrahyd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0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화아제 다니엘
죠신 아란
폰시네 제라아
레이스돌프 다니엘
Original Assignee
엠 허어슨
로오느-푸우랜크 인더스트리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 허어슨, 로오느-푸우랜크 인더스트리이즈 filed Critical 엠 허어슨
Priority to KR7800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7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7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 C07D5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513/04Orth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소퀴놀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치료에 유용한 신규한 이소퀴놀린 유도체 및 그의 산부가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 일반식(I)의 신규한 이소퀴놀린 유도체 및 그의 산부가염을 제공하는데 있다.
Figure kpo00001
여기서 R은 C1~C10의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기이다.
구조식(I)의 화합물은 (R)- 및 (S)-로 존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그 형 및 그의 혼합물 모두의 제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식(I)의 이소퀴놀린 유도체는 구조식(II)의 5-아미노 이소퀴놀린을 구조식(III)의 염과 반응시켜 제조된다.
Figure kpo00002
여기서 R은 상기와 같고 R1은 염소원자, C1~C4의 알킬티오기(바람직하게는 메틸티오) 혹은 벤질티오기이고 A
Figure kpo00003
는 염화이온, 요드화이온, 황산염이온, 4 불화 붕산염이온 혹은 불화 설폰산염이온 같은 음이온이다.
R1이 염소원자일 때, A
Figure kpo00004
는 염화이온이다. R1이 알킬티오 혹은 벨질티오기 일때, A
Figure kpo00005
은 요드화이온, 황산염이온, 4불화 붕산염이온 혹은 불화설폰산염이온이다.
R1이 염소원자이고, A
Figure kpo00006
이 염화이온일때, 반응은 염기 1 즉, 트리에틸아민 존재하의 약 20℃의 염기성 유기용매, 즉 아세토니트릴 내에서 바람직하게 수행된다.
R1이 알킬티오 혹은 벤질티오기이고 A
Figure kpo00007
이 요드화이온, 황산엽이온, 4불화붕산염이온 혹은 불화설폰산염이온 일때, 반응은 약 20℃의 염기성 유기용매, 즉 피리딘 내에서 바람직하게 수행된다.
R1이 염소원자이고 A
Figure kpo00008
이 염화이온인 구조식(III)의 염은 구조식(IV)의 1,5,10,10a-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 [3,4-b] 이소퀴놀린-3-티온에 염소화제, 즉, 포스젠, 5염화인, 염화티오닐을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Figure kpo00009
반응은, 일반적으로, 0℃~70℃의 온도에서 유기용매 또는 유기용매의 혼합물, 즉 톨루엔과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의 혼합물내에서 수행한다.
R1이 알킬티오 혹은 벤질티오기이고 A
Figure kpo00010
는 요드화이온, 황산염이온, 4 불화붕산염이온 혹은 불화 설폰산염이온인 구조식(III)의 염은 구조식(V)의 반응성 에스테르 혹은 트리에틸 옥소니움 4불화 붕산염이나 메틸 불화설폰산염을 구조식(IV)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R1-A1(V)
여기서 R2는 C1~C4의 알킬기 혹은 벤질기이고 A1은 요드원자, 반응성에스테르의 잔기 혹은 알콕시설포닐옥시기이다. 반응은, 일반적으로 약 20℃의 온도에서 임의로 유기용매, 즉, 염화메틸렌의 존재하에서 효과적이다.
구조식(IV)의 티아졸로이소퀴놀린 유도체는 이황화탄소를 구조식(VI)의 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과 함께, 염기성매질내에서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Figure kpo00011
여기서 E는 할로겐, 예를 들면 브롬 또는 염소원자 혹은 하이드록시설포닐옥시기이다. 반응은 약 20℃의 온도에서 수산화나트륨 존재하의 수용성매질에서 일반적으로 수행한다.
구조식(VI)의 화합물은 무기산을 구조식(VII)의 3-하이드록시메틸-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에 작용시켜 얻을 수 있으며 그 제조 방법은 다음에 기술하겠다.
Figure kpo00012
E가 하이드록시 설포닐옥시기인 구조식(VI)의 화합물은, 약 100℃의 수용성매질에서 혹은 약 20℃의 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 존재하의 유기용매(즉 디메틸포름아미드)에서, 3-하이드록시 메틸-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을 황산으로 처리하여 일반적으로 제조한다.
E가 브롬원자인 구조식(VI)의 화합물은 반응혼합물의 환류온도에서 상기 3-하이드록시 메틸 화합물을 수용성 취화수소산(48W/V)으로 처리하고 구조식(VI)의 생성물을 그의 취화수산염으로써 단리시켜 일반적으로 제조한다.
E가 염소원자인 일반식(VI)의 화합물은 반응 혼합물의 환류온도의 염화수소 가스로 포화된 클로로포름같은 유기용매에서 상기 3-하이드록시메틸 화합물을 염화티오닐로 처리하고 일반식(VI)의 생성물을 그의 염산염으로써 단리시켜 일반적으로 제조한다.
3-하이드록시메틸-1,2,3,4-테트라하이드로 이소퀴놀린은 공지된 방법[S. Yamada와 T.Kunieda에 의한 Chem. Pharm. Bull., 15, 490, (1967)]에 의해 페닐알라닌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L-페닐알라닌이 사용될 때, 궁극적으로 얻은 일반식(I)의 생성물은 (S)형이다.
D-페닐알라닌을 사용할 때, 궁극적으로 얻은 일반식(I)의 생성물은 (R)형이다.
D. L-페닐알라닌을 사용할 때, 궁극적으로 얻은 일반식(I)의 생성물은 (R,S)형이다.
일반식(II)의 5-아미노 이소퀴놀린은 공지된 방법[N. P, Buu-HOi et al., J. Chem. Soc., 3,924(1964)]을 적용하여 구조식(VIII)의 3-알킬이소퀴놀린으로 부터 얻을 수 있다.
Figure kpo00013
여기서 R은 상기와 같다.
일반식(VIII)의 3-알킬이소퀴놀린은 공지된 방법[J. Murakoshi et al., Yakugaku zasshi, 79, 1,578(1959) 혹은 F. Damerow, Ber., 27, 2,232,(1894)]에 따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르면, 일반식(I)의 이소퀴놀린 유도체는 구조식(IX)의 1,2,3,4-테트라하이드로 이소퀴놀린을 환화하여 제조한다.
Figure kpo00014
여기서 R은 상기와 같다.
환화반응은은 구조식(Ⅸ)의 화합물을 산매질 내에서 가열하여 일반적으로 수행한다. 65∼100℃에서의 무기산 예를 들면, 염산의 수용액에서 환화를 하는 것이 특히 효과적이다.
일반식(Ⅸ)의 1,2,3,4-테르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은 일반식(Ⅹ)의 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3-하이드록시메틸-1,2,3,4-테트라하이드로 이소퀴놀린(상기와 같이 제조된)과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Figure kpo00015
여기서 R은 상기와 같다.
일반적으로 반응은, 20~50℃의 온도에서의 유기용매 즉, 알코올, 예를 들면 에탄올에서 수행한다.
일반식(X)의 이소티오시마네이트는 이황화탄소를 구조식(II)의 5-아미노이소퀴놀린과 반응시키고, 그 다음에 디사이클로헥실 카보디이미드를 부가하여 얻을 수 있다. 반응은 염기, 즉 3급 아민, 예를들면, 트리에틸아민의 존재하에서 일반적으로 수행한다. -10℃~25℃의 온도에서 피리딘 같은 유기용매에서는 보다 효과적이다.
구조식(I)의 이소퀴놀린 유도체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산부가염으로 전환될 수 있다. 그 산부가염은 적당한 용매내에서 이소퀴놀린 유도체에 산을 작용시켜 얻을 수 있다. 유기용매로서는 알코올류, 케톤류, 에테르류 혹은 염소화된 탄화수소가 사용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용액을 농축시킨 후 생성된 염을 침전시켜 여과 혹은 경사에 의해 단리시킨다.
일반식(I)의 이소퀴놀린 유도체 및/혹은 그의 산부가염은 결정화 또는 크로마토그라피 같은 물리적인 방법으로 임의로 정제될수 있다.
일반식(I)의 이소퀴놀린 유도체 및 그의 산부가염은 유용한 약리학적 특성을 갖는다. 그것들은 소염제, 진통제, 해열제로서 특히 활성이 있다.
소염활성은 경구로 5~80mg/kg를 쥐에 투여할 때 나타난다. K. F. Benitz 및 L. M. Hall[Arch. Int. Pharmacodyn., 144, 185,(1963)].
진통활성은 2.5~50mg/kg을 쥐에 경구 투여할 때 나타난다. {E. Siegmund et al., Proc. Soc. Exp. Biol. Med., 95, 729,(1957)} {L. O. Randall 및 J. J. selitto, Arch. Int. pharmacodyn., 111, 409,(1957)} {K. F. Swingle et al., Proc. Soc. Exp. Biol. Med., 137, 536, (1971)}
해열활성은 1.5~25mg/kg을 쥐에 경구 투여할 때 나타난다. {J. J. Loux et al., Toxicol. Appl. Pharmacol., 22, 674,(1972)}
본 발명의 화합물의 생쥐에 대한 독성은 300mg/kg이상 경구투여시 나타나며 대부분의 화합물은 900mg/kg을 생쥐에 경구투여해도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다.
치료를 목적으로 일반식(I)의 이소퀴놀린유도체는 약제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산부가염 즉, 치료하기 위해 사용된 투여량에서 비독성인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적당한 산부가염으로는 염산염, 황산염, 질산염, 인산염, 초산염, 프로피온산염, 숙신산염, 벤조산염, 푸말산염, 말레인산염, 주석산염, 테오필린 초산염, 살리실산염, 페놀프탈레인산염 및 메틸렌-비스-β-하이드록시 나프토산염이 있다.
R이 C1~C5의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기인 일반식(I)의 이소퀴놀린 유도체 : 특히 R이 C1~C4의 직쇄알킬기인 가장 활성인 일반식(I)의 이소퀴놀린 유도체가 특히 가치가 있다.
본 발명의 이소퀴놀린 유도체의 제조는 하기의 비제한 적인 실시예에 기술되어 있다.
[실시예 1]
(S)-3-메틸티오-1,5,10,10a-테트라하이드로 티아졸로-[3,4-b]-이소퀴놀리움 요드화물(36.3g)을 5-아미노-3-메틸이소퀴놀린915.9g)을 피리딘(200cc)에 녹인 용액에 가한다.
약 20℃의 온도에서 24시간 후에, 혼합물을 50℃의 감압(25mmHg)하에서 농축 건조한다.
잔사를 N수산화 나트륨 수용액(400cc)와 염화메틸렌(600cc)의 혼합물에 용해시킨다.
유기상을 경사하고 물(200cc)로 세척한후 황산 마그네슘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여 여액을 40℃의 감압(40mmHg)하에서 농축 건조한다. 얻은 잔사를 아세토니트릴 (500cc)로부터 재결정 한다. 이렇게 하여 융점 181℃인 (S)-3-[(3-메틸이소퀴놀-5-일)이미노]-1,5,10,10a-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3,4-b]이소퀴놀린(29.2g)을 얻는다.
Figure kpo00016
=-180±2°(C=1, 클로로포름
(S)-3-메틸티오-1,5,10,10a-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3,4-b]
이소퀴놀리니움 요드화물을 다음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
(S)-1,5,10,10a-테트라하이드로 티아졸로[3,4-b]-이소퀴놀린-3-티온( 38g)을 요드화 메틸(500cc)에 용해시킨다.
약 20℃의 온도에서 15시간 후에, 생성된 결정을 여과해 버리고 디에틸 에테르(2×50cc)로 세척한 후 20℃의 감압(1mmHg) 하에서 건조했다. 이렇게하여 분해시 140℃~150℃에서 녹는 (S)-3-메틸티오-1,5,10,10a-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3,4-b] 이소퀴놀리움 요드화물(61.5g)을 얻는다.
(S)-1,5,10,10a-테트라하이드로 티아졸로[3,4-b]-이소퀴놀린-3-티온은 다음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황화탄소(40g)을 맹렬히 교반하면서 (S)-3-하이드록시설포닐옥시메틸-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100g)을 0.25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4000c c)에 녹인 용액에 적가한다. 반응은 발열반응이다.
고체가 침전한다; 교반을 3시간 계속한다.
반응혼합물을 4N 염산을 가하여 중성화한다.
생성된 결정을 여과해 버리고 물로 충분히 세척하고 에탄올(3000cc)로부터 재결정한다.
이렇게하여 융점이 150℃인 미세한 백색침상의 (S)-1,5,10,10a-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3,4-b]-이소퀴놀린-3-티온(77g)을 얻는다.
Figure kpo00017
=-377±4°(C=1, 클로로포름)
(S)-3-하이드록시설포닐옥시메틸-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은 다음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S)-3-하이드록시 메틸-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41g)을 34N 황산(13cc)와 물의 혼합물에 녹인 용액을 110℃에서 가열한다. 물(약 50cc)을 증류해 버리고 잔사를 100℃의 감압(20mmHg)하에서 농축한다. 갈색오일상 잔사를 34N 황산(13cc)와 물(70cc)의 혼합물에 취한다. 물(50cc)를 다시 증류해 버리고, 혼합물을 상기와 같이 농축하고 농축과정을 100℃의 감압(1mmHg) 하에서 완결한다. 냉각시 결정화되는 잔사를 에탄올(140cc)와 물(60cc)의 혼합물로부터 재결정한다. 5℃에서 15시간 냉각한 후 생성된 결정을 여과해 버리고 에탄올과 물(3-1(용적비))의 혼합물로 세척하고 에탄올(2×25cc)로 다시 세척한다. 60℃의 감압(1mmHg)하에서 건조하여 백색결정 형태의(S)-3-하이드록시설포닐-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 (48 g)을 얻는다.
Figure kpo00018
=-55±1°cc=1, 디메틸설폭시드)
(S)-3-하이드록시메틸-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은 L-페닐알라닌으로 부터 공지된 방법 S. Yamada 및 T. Kunieda, Chem. Pharm. Bull., 15, 490, (1967).
[실시예 2]
출발물질로서 5-아미노-3-메틸 이소퀴놀린(15.9g) 및 (RS)-3-메틸티오-1,5,10,10a-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 [3,4-b] 이소퀴놀리니움 요드화물(36.3g)을 실시예 1의 공정에 사용하여 융점이 159℃인 (RS)-3-[(3-메틸이소퀴놀-5-일)이미노]-1,5,10,10a-테트라하이드로 티아졸로 [3,4-b] 이소퀴놀린(27.8g)을 얻는다.
(RS)-3-메틸티오-1,5,10,10a-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 [3,4-b] 이소퀴놀리니움 요드화물은 다음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RS)-1,5,10,10a-테트라하이드로 티아졸로 [3,4-b] 이소퀴놀린-3-티 온(210g)을 30℃까지 가열하면서 염화메틸렌(4000cc)에 용해시킨다. 요드화메틸( 202g)을 15분에 걸쳐 가하고 혼합물을 약 20℃의 온도에서 64시간 교반한다. 생성된 결정을 여과해 버리고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한다. 감압(1mmHg) 하에서 건조한 후 분해시 융점이 약 180℃인 (RS)-3-메틸티오-1,5,10,10a-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3,4-b] 이소퀴놀리니움 요드화물(221.7g)을 얻는다.
(RS)-1,5,10,10a-테트라하이드로 티아졸로 [3,4-b]
이소퀴놀린-3-티온은 다음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황화탄소(63g)을 (RS)-3-하이드록시설포닐옥시메틸-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151g) 및 수산화나트륨 펠렛(63g)을 물(5000cc)에 녹인 용액에 맹렬히 교반하면서 20℃에 적가한다. 즉시에 크림상 침전물이 형성된다. 매우 두꺼운 혼합물을 약 20℃에서 24시간 교반한다.
반응혼합물을 4N 염산(130cc)를 가해 중성화한다.
고체를 여과해 버리고 물로 충분히 세척한다. 건조한 후, 융점이 180℃인 백색결정의 (RS)-1,5,10,10a-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 [3,4-b] 이소퀴놀린-3-티온 (107g)을 얻는다.
(RS)-3-하이드록시설포닐메틸-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은 다음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34N 황산(d=1.83 : 36.8cc)를 몇분에 걸쳐 (RS)-3-하이드록시 메틸-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106g)을 물(226cc)에 현탁시킨 용액에 가한다.
온도를 60℃까지 올려 고체를 용액으로 만든다.
혼합물을 100℃~110℃에서 가열하여 물을 증류해 버리고 160℃까지 가열하여 감압(20mmHg) 하에서 농축시킨다. 농축공정은 1mmHg의 압력하에서 완결된다. 잔사는 냉각시 결정화된다. 이렇게 연황색 결정의 조(粗)(RS)-3-하이드록시설포닐옥시메틸-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151g)을 얻는다.
(RS)-3-하이드록시메틸-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은 공지된 방법 S. Yamada 및 T. Kunieda, Chem. Pharm. Bun. 15, 490, (1967).
[실시예 3]
(S)-메틸티오-1,5,10,10a-테트라하이드로 티아졸로[3,4-b]-이소퀴놀리니움 요드화물(5.25g)을 5-아미노-3-부틸이소퀴놀린(3g)을 피리딘(100cc)에 녹인 용액에 가한다. 얻은 현탁액을 서서히 용해시킨다. 약 20℃에서 4일후에, 혼합물을 50℃의 감압(25mmHg) 하에서 농축 건조한다. 잔사를 클로로포름(200cc)에 용해시킨다.
이 용액을 N수산화나트륨 수용액(3×100cc)로 세척하고 물(2×50cc)로 세척한 후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여 여액을 40℃의 감압(40mmHg)하에서 농축 건조한다. 얻은 잔사를 디이소프로필 에테르(50cc)로 부터 재결정한다. 이렇게하여 융점이 82℃인 (S)-3-[(3-부틸 이소퀴놀-5일)이미노]-1,5,10,10a-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 [3,4-b] 이소퀴놀린(3.05g)을 얻는다.
Figure kpo00019
=-156±2°(C=1, 클로로포름)
5-아미노-3-부틸이소퀴놀린은 공지된 방법 N. P. Buu-HOi et al., J. Chem. Soc., 3,924, (1964).을 적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4]
출발물질로서, 5-아미노-3-에틸 이소퀴놀린(7.1g) 및 (S)-3-메틸티오-1,5,10,10a-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3,4-b] 이소퀴놀리니움 요드화물(13.7g)을 실시예 3의 공정에 사용하여, 에탄올로 부터 재결정한 후에 융점이 142℃인 (S)-3-[(3-에틸-이소퀴놀-5-일)이미노]-1,5,10,10a-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3,4-b] 이소퀴놀린(8.6g)을 얻는다.
Figure kpo00020
=-162±2 (C=1, 클로로포름)
5-아미노-3-에틸이소퀴놀린은 공지된 방법 N. P. Buu-HOi, J. Chem. Soc., 3,924, (1964).을 적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5]
출발물질로서, 5-아미노-3-프로필이소퀴놀린(0.18g) 및 (S)-3-메틸티오-1,5,10,10a-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3,4-b], 이소퀴놀리니움 요드화물(0.35g)을 실시예 3의 공정에 실시하여 조(粗) (S)-3-[(3-프로필이소퀴놀-5-일)이미노]-1,5,10,10a-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 [3,4-b]-이소퀴놀린(0.35g)을 얻어, 염화메틸렌으로 용출하고 용출액을 20cc 분획물의 형태로 모아 실리카(6g)을 함유하는 컬럼(직경 0.7cm)상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정제한다.
본획물 7~11을 증발시켜, 디이소프로필 에테르로 부터 재결정된 후에 융점이 95~96℃인 연황색 결정의 (S)-3-[(3-프로필-이소퀴놀-5-일 이미노]-1,5,10,1 0a-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3,4-b]이소퀴놀린(0.21g)을 얻는다.
Figure kpo00021
=-145±1°(C=1, 클로로포름)
[실시예 6]
출발물질로서 5-아미노-3-옥틸 이소퀴놀린(8.7g)과 (S)-3-메틸티오-1,5,10,10a-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3,4-b] 이소퀴놀리니움 요드화물(12.3g)을 실시예 1의 공정에 사용하여 (S)-3-[(3-옥틸이소퀴놀-5-일)이미노]-1,5,10,10a-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 [3,4-b] 이소퀴놀린(11g)이 기름형태로 얻어져 이를 에탄올(50cc)로 용해하고 그 용액에 푸마르산(2.8g)을 가했다. 0℃에서 3시간 냉각한 후에 생성된 결정을 여과하여 이소푸로판올(100cc)로 부터 재결정시켰다.
중성의 푸마르산 3-[(3-옥틸이소퀴놀-5-일)이미노]-1,5,10,10a-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 [3,4-b] 이소퀴놀린(8.8g)이 112℃에서 용해하는 흰 결정 형태로 얻어졌다.
Figure kpo00022
=-108±2°(C=1, acetone)

Claims (1)

  1. 일반식(II)의 5-아미노이소퀴놀린을 일반식(III)의 염과 반응시키거나 일반식(IV)의 1,2,3,4-테트라하이드로 이소퀴놀린을 환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I)의 이소퀴놀린유도체 및 그의 산부가염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23
    여기서 R은 C1~C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이고, R1은 염소원자, C1~C4의 알킬티오기 또는 벤질티오기이고, A
    Figure kpo00024
    는 염화이온, 요드화 이온, 황산염이온, 4불화중산염이온 도는 불화 설폰산염 이온 같은 음 이온이다.
KR7800136A 1978-01-19 1978-01-19 이소퀴놀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KR810000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136A KR810000717B1 (ko) 1978-01-19 1978-01-19 이소퀴놀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136A KR810000717B1 (ko) 1978-01-19 1978-01-19 이소퀴놀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717B1 true KR810000717B1 (ko) 1981-06-25

Family

ID=19206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0136A KR810000717B1 (ko) 1978-01-19 1978-01-19 이소퀴놀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71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03246A (en) Thiazine derivatives
DK158346B (da) Analogi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4-amino-5-alkylsulfonyl-o-anisamid-derivater samt 2-methoxy-4-amino-5-alkylsulfonylbenzoesyrer til anvendelse som mellemprodukter ved fremgangsmaaden
GB1572482A (en) N-hetero-cyclyl-4-hydrocy-quinoline-3-carboxamides
US4224445A (en) Thienothiazine derivatives
JPS5826758B2 (ja) チエノチアジンユウドウタイノセイゾウホウホウ
IE811112L (en) Derivatives of 4-hydroxy-3-quinoline carboxylic acid
FI76809B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terapeutiskt anvaendbara nya 5-(3-pyridyl)pyrrolo/1,2-c/tiazol-7- karboxamid-derivat.
DK148232B (da) 2-methoxyethylesteren af 4-hydroxy-2-methyl-2h-1,2-benzothiazin-3-carboxylsyre-1,1-dioxid og fremgangsmaade til omdannelse af denne til 4-hydroxy-2-methyl-n-2-pyridyl-2h-1,2-benzothiazin-3-carboxamid-1,1-dioxid (piroxicam)
KR810000717B1 (ko) 이소퀴놀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NO151387B (no) Innstillingsinnretning for en elektronisk digitalindikator
NO780202L (no) Fremgangsmaate for fremstilling av nye derivater av isokinolin
GB2123817A (en) 4-hydroxy-3-quinoline-carboxylic acid derivatives
SU569291A3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производных тиазолоизохинолина или их солей
US4090020A (en) Thienothiazine derivatives
JPH0131502B2 (ko)
US5132304A (en) Benzothiazine derivatives and their applications as medicinal products or as synthesis intermediates for medicinal products
KR0128975B1 (ko) 9-아실아미노-테트라히드로아크리딘 유도체 및 그 유도체를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촉진제
KR800000851B1 (ko) 티아졸로[3.4-b] 이소퀴놀린 유도체의 제법
US4348519A (en) Thiazine derivatives
US4177193A (en) Thienothiazine derivatives
NO783770L (no) Nye derivater av isokinolin.
KR810001176B1 (ko) 이소퀴놀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US4134898A (en) N-Carbalkoxymethylsulfamoyl thiophene carboxylic acid alkyl esters
KR810000540B1 (ko) 트리사이클 화합물의 제조방법
KR800000304B1 (ko) 티아졸로[3, 4-b] 이소퀴놀린 유도체의 제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