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081B1 - 직물류의 낱장 집게장치 - Google Patents

직물류의 낱장 집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081B1
KR810000081B1 KR7500817A KR750000817A KR810000081B1 KR 810000081 B1 KR810000081 B1 KR 810000081B1 KR 7500817 A KR7500817 A KR 7500817A KR 750000817 A KR750000817 A KR 750000817A KR 810000081 B1 KR810000081 B1 KR 810000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pile
tongs
sheet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500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오 모오튼 케너스
Original Assignee
프랭크 제이 크리멘즈 쥬니어
쿠루엣트 피이보디 앤드 캄파니 인코포레이팃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랭크 제이 크리멘즈 쥬니어, 쿠루엣트 피이보디 앤드 캄파니 인코포레이팃드 filed Critical 프랭크 제이 크리멘즈 쥬니어
Priority to KR7500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0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직물류의 낱장 집게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직물조각 낱장 집게장치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장치의 측면도.
제3도 및 제4도는 집게 및 인양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확대 측면도.
제5도 및 제6도는 제3도 및 제4도의 장치에 사용되는 집게 바퀴의 확대 정면도 및 측면도.
제7도는 집게장치 부분의 확대 측면도.
제8도 및 제9도는 집게바퀴 및 바퀴 회전장치의 확대 평면도 및 저면도.
제10도는 누름 발판의 부분 확대 평면도.
제11도에서 제14도는 더미 누름장치와 연관된 집게 및 인양장치의 연속 작동을 도시한 확대 측면도.
제15도부터 제19도는 수송 차단 장치의 연속작동을 도시한 평면도.
제20도부터 제22도는 낱장 정돈장치의 연속작동을 도시한 평면도.
본 발명은 직물 조각과 같은 유연한 물건을 그 더미로부터 한장씩 집어내어 다른 곳으로 옮겨주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 예로, 의류제조에 있어서는 여러장이 겹쳐진 직물의 더미로부터 옷감조각의 더미 전체를 한꺼번에 재단해 내는 것이 보통이다. 그 다음에 이 재단된 옷감조각의 더미가 후속 공적으로 옮겨지고 거기서 한번에 한장씩 들어내어 재봉 등을 하게 된다. 각종의 제조공정들을 자동화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재단된 직물조각의 더미로부터 그 맨 윗장을 들어내어 분리함으로써 다음 공정으로 옮겨주는 장치의 개발에도 상당한 노력이 기울여지고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목적으로 흡입장치나 압력에 의해 작용하는 테이프(tape)를 이용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는 한편 바늘류를 이용하는 방법 등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어느정도 효과적이긴 하나 각기 한 두가지 사용상의 결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들면 재료의 크기 및 모양은 물론 종류까지 모든 조건이 일정해야만 상기 다양한 방법들 중의 한 두가지가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목적의 장치는 종래의 장치들로서는 취급하기가 곤란한, 다양한 크기 및 모양의 직물조각은 물론 서로 다른 재료로된 직물들도 취급할 수 있도록 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한가지 특징으로서 본 발명은 재단된 직물조각 등의 더미로부터 효과적이고 완벽하게 낱장을 집어 들어서 분리해 주는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하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맨 윗장의 한 부분을 눌러서 지지해 주는 장치와 낱장의 눌린 부분 근처를 마찰력에 의해 이동시킴으로써 주름이 잡히게 한 뒤 그 주름을 집어주는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누름장치와 집게장치는 서로 일정한 기하하적 관계를 유지하면서 각기 개별적으로 재료의 더미에 조절가능하게 접촉하게 되어 있어서 각 재료의 유연성, 조활도(粗滑度), 구김성, 두께, 무게 등이 다양함에도 관계없이 효과적으로 작동한다. 더구나 수(繡)가 놓여진 직물은 그 두께가 부분에 따라 달라서 이러한 직물의 더미는 그 표면이 굴곡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이와같은 조건하에서도 확실하고 효과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한가지 특징은 재료의 더미로부터 한장씩만 집어내도록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다는 점이다. 보통의 의류 제조공정에서 재단된 옷감 더미는 여러장이 겹쳐진 직물 더미에 재단용 다이(die)를 통과시키는 종래의 다이 재단작업에 의하여 마련된다. 이러한 다이는 종종 충분히 예리하지 않은 경우가 있어서 인접한 옷감의 가장자리 부럭이 서로 붙거나 엉켜버리곤 했다. 따라서 옷감을 한장만 들어 올린다고 하여도 인접한 옷감이 가장자리를 따라 올라와서 여러장이 함께 들어내어지는 한편 옷감더미의 상부가 흐트러지는 경우가 많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집게장치가 재료 가장자리에서 약간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낱장의 한쪽 가장자리를 재료 더미의 안쪽으로 이동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때 이 가장자리에 붙어있는 여분의 재료는 이동되는 재료의 가장자리를 따라 약간 끌려서 말린 뒤에 더미 누름 부재시 일시적으로 걸려서 효과적으로 정지된다. 맨 뒷장은 계속 이동하면서 밑에 고정된 옷감으로부터 그 가장자리를 따라 분리되고 더미 누름 부재는 다음 장이 제거되는 공정 직전에 말려진 옷감이 정상 위치로 돌아와 옷감더미 위에 평탄하게 놓여지도록 옷감더미 윗쪽으로 충분히 상승한다.
본 발명의 또 한가지 중요한 특징은 집게 및 인양장치와 상호 작용하도록 된 수송 차단장치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한장의 재료가 그 한쪽 가장자리에서 재료 더미로부터 분리되어 들어 올려지면 판(板) 모양의 수송 차단판이 재료 더미와 들어 올려진 재료 사이로 삽입됨으로서 들려진 재료를 완전히 분리한 뒤 다른 곳으로 수송하는 것이다. 그런데 재료의 한쪽 가장자리가 분리된 뒤에도 재료로 더미의 나머지가 다른 가장 자리들에 계속 붙어 있을 수 있고 결국 함께 들어 올려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더미 누름장치가 계속 작동하는 한편 들어올려진 재료는 집게 수단에 계속 물려있는 상태에서, 상기 수송차단판이 재료 더미와 들어 올려진 재료의 사이로 삽입되어 재료 더미의 표면에 평행하게 이동하면서 들어 올려진 재료를 점차적으로 갈라서 분리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수송 차단판은 가장자리에 걸리면서 들어 올려진 재료의 물려진 가장자리로부터 물리지 않은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재료를 팽팽하게 유지해 준다. 차단판의 분리행정이 끝나면 분리된 재료는 차단판의 윗면에 놓여진 채로 차단판이 복귀될 때 함께 옮겨지게 된다. 한편 본 장치의 전체적 효율을 최저로 하기 위해, 한장의 재료가 차단판에 의해 수송되는 동안 또 한장이 물려서 들어 올려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한가지 특징은 한장의 재료가 분리되어 수송된 후에 재봉기 등의 제조장치에 적절하게 배치되도록 재료의 방향을 조정하기 위해, 구조가 간단하고 능률적인 방향조정 장치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다. 재료의 더미는 그 자리가 처음부터 분규칙하게 배열되어 있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재료 더미의 맨 윗장은 우선 분리장치에 들어갈 때 완전하게 위치되기 어려우며, 분리와 인양 및 수송 도중에도 방향이나 위치가 변경되기 쉽다. 실제로 재료가 이상적인 상태로 놓여있을 경우는 결코 없으며, 따라서 분리된 재료는 다음 공정으로 넘어가기 전에 최종적인 정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한쌍의 재료 정돈암(arm)으로된 장치로써 이 문제를 해결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 정돈암은 재료가 한쪽으로 밀리는 동안 재료의 그쪽 가장자리에 얹혀서 그 가장자리를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두 작용의 조합에 따라 재료의 위치가 신속히 조정되고 장치의 기준측에 대하여 회전 지향되는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특징과 이점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도 및 제2도는 의류 제조의 부분 공정에서 많이 사용되는 옷감 수송강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직물 조각의 더미(34), (도면의 옷감 조각은 셔츠의 주머니 부분임)가 재봉기 등의 장치로 연결되는 콘베이어 벨트(conveyor belt), (36)의 옆에 놓여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직물 조각의 더미(34)로부터 직물의 낱장을 한번에 한장씩 물어서 분리하고 들어 올린 뒤에 연관된 장치에 의해 콘베이어 벨트(36)로 옮기도록 되어 있다. 직물 조각은 별도의 장치에 의해 적당한 위치 및 방향으로 정돈된 다음에 벨트(36)에 놓여 후속공정으로 수송된다.
직물 낱장의 더미(34)는 보통 수 인치 두께로서 낱장으로된 재료가 수백장 겹쳐진 것이며, 적당한 안내 장치 내에서 가동 받침대 위에 올려져 있다. 더미의 안내장치나 받침대는 종래의 것과 같은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부가 아니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종래의 안내장치 및 받침대에 관해 간단히 살펴보면 안내장치는 더미(34)의 양측면 및 양끝을 느슨하게 안내 수용하는 수직판이며, 받침대는 더미(34)의 밑바닥을 받쳐주는 판으로서 더미 윗면이 소기의 일정한 높이에 유지되도록 종래의 적당한 장치에 의하여 상기 안내판 내에서 수직으로 이동한다. 옷감이 한장씩 제거되면서 더미의 높이가 감소됨에 따라 받침대가 그만큼 상승함으로써 더미의 윗면도 소기의 높이로 상승되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장치는 그 작동 부분을 직물 더미(34) 및 콘베이어(36)에 대하여 적당한 관계에 있도록 지지해 주는 한쌍의 틀부재(41, 42)를 가지고 있다. 이 틀(41, 42) 사이에 축(37)이 걸쳐져 있어서 인양장치(31)를 피보트(pivot)로 지지해 준다. 인양장치(31)는 이 축(37)을 굴대로 하여 일정한 간 격은 두고 결합된 한쌍의 판재(板材), (90, 91)로 구성되어 그 바깥쪽 끝에 집게(92)로 지지된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인양장치(31)에는 윗쪽으로 연장된 레버(93)가 있어서 이 레버가 핀(94)에 의하여 인양 작동기라 불리울 압축공기식 작동기(43)의 피스톤 막대(44)에 연결되어 있다. 인양 작동기(43)의 몸체는 외부틀(41, 42) 사이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중간틀(96)의 상향 연장부(95)에 피보트로 고정되어 있다. 작동막대(4a)는 레버(93)의 핀(94)에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고 약한 압축 스프링(85)에 의해서 핀이 막대의 머리(88) 쪽으로 밀리면서 활동(滑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스프링(85)의 초기 압축력은 작동막대의 나사고리(87)를 조절함으로써 결정되며, 이렇게 스프링의 압축력을 조절함으로써 작동기(43)가 최대로 뻗어나와 있을 때 인양장치(31)가 받는 최대 회전 능률(torque)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그리하여 인양장치가 예정된 저항력을 받게 되면, 막대(44)가 연결핀(94) 사이로 미끄러져 들어가면서 스프링(85)은 단순히 압축되기만 하는 것이다. (제4도 참조) 스프링의 탄성계수는 작동막대가 스프링의 압축력에 크게 영향받지 않고 어느정도 자유롭게 핀을 통과하여 이동하도록 비교적 작은 것이 좋다. 한편 인양장치(31)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비틀림 스프링(torsion spring), (86)이 있어서 인양장치 전체의 균형을 잡아준다. 이 비틀림 스프링은 평형추로 대치할 수도 있는데, 이와같은 비틀림 스프링이나 평형추를 설치하는 목적은 인양장치의 균형을 정확하게 잡아줌으로써 인양 암이 발휘하는 작동압력을 상기 압축스프링(85)만으로 정밀하고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인양장치(31)의 끝에 설치된 집게(92)는, 인양작동기(43)의 신장(伸張)에 따라 인양장치가 내려올 때 옷감더미의 맨 윗장을 집게되어 있다. 이 집게는 인양 암(90, 91)의 바깥쪽 끝에 부착되는 한쌍의 지지판(97)을 포함하여, 집게 바퀴뭉치(32) 및 이를 구동하는 구동 피니언(pinion), (56a)이 고착된 바퀴축(98)이 상기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바퀴 구동 피니언(56a)은 랙크(56)와 상호 작용하며, 랙크(56)는 인양 암(90, 91)에 부착되어 있는 지지로울러(80)에 의하여 상기 피니언에 맞물리면서 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랙크(56)는 그 안쪽에서 지지편(99)에 끼워지고 연결구(100)에 의해 또 하나의 압축공기 작동기(55)의 작동 막대(101)에 연결된다. 이 작동막대(101)는 정상시에 막대와 랙크(56) 둘레에 각각 감겨져 있는 두개의 스프링(83, 84)에 의해서 완전 신장 위치와 완전 퇴거 위치 사이의 초기 정지위치로 밀리게 된다. 이 스프링(83, 84)의 초기 압축력은 작동막대(101)가 중간 위치, 즉 전체 행정의 반보다 약간 신장된 위치에 있을 때 서로 상쇄되도록 조정된다.
집계(92)의 작동기(55)가 작동하여 작동막대(101)가 후퇴하면 피니언(56a)과 이에 연결된 바퀴(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는 바퀴의 반시계방향 회전이 95℃-100℃ 정도로 되도록 고정하면 충분하지만 적당한 방법으로 상기 작동막대의 후퇴 행정을 조절 가능 하게 할 수도 있다. 집게 작동기(55)의 복귀, 즉 신장 행정은 작동, 즉 후퇴 행정보다 약간 크게 하는 것이 좋으며, 그 후에 다시 정지위치로 오게 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집게 작동기(35)는 4단 밸브(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제어되어 단일 맥동이 신장행정에 관여하게 된다. 작동막대(101)가 후퇴함에 따라 집게 바퀴(32)가 95℃-100℃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4단 밸브가 작동하여 작동기(55)의 반대쪽 끝에 공기가 주입되고, 따라서 작동막대는 바퀴(32)가 반시계방향에서 더 많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충분히 전진 하게 되는 것이다. 맥동이 없어지면 작동기는 양쪽이 모두 배기되고 작동막대는 스프링(83, 84)에 의해 원래의 중간 정지위치로 돌아간다.
제5도에서 제9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집게 바퀴뭉치(32)는 비교적 날카로운 톱니가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몇장의 원판(48)으로 구성되어 있다. 톱니 원판(48) 사이에는 직경이 약간 작은 격리 원판(49)이 끼워져서 톱니(54)를 횡방향으로 격리시키는 동시에 톱니의 유효길이를 결정한다. 톱니(54)는 여러가지 재료에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비교적 날카로운 보통의 톱니형태로 되는 것이 유리하며, 그 자체가 특수한 형태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바퀴뭉치(32)의 표면은 기본적으로 재료를 손상시키거나 재료에 과도한 자극을 남기지 않으면서 재료 더미(34)에 쌓여있는 재료의 낱장을 효과적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기본적인 특성만을 지니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적당한 바퀴뭉치(32)의 폭은 0.6cm정도이고 톱니(54)의 돌출길이는 격리원판(49)의 외경으로부터 0.04㎝ 정도이다.
한펀 바퀴축(98)에는 누름수단(102)이 피보트로 지지되어 있는데 이 누름수단(102)은 바깥쪽 연장부(104)와 윗쪽 연장부(105)로 구성되어 바퀴축(98)이 장착되어 있는 지지레버(103)를 가지고 있다. 윗쪽 연장부(105)는 비틀림 스프링(107)에 의해 인양암(90)의 돌기(106)에 접촉되도록 침을 받는데, 이 스프링(107)은 마찰력 등에 의하여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는 압력 조절레버(111)와 함께 스프링축(108)에 끼워져서 그 한쪽 끝은 지지레버의 윗쪽 연장부(105)에 고착된 핀(109)에 걸려 있고 다른쪽 끝은 상기 조절레버(111)의 핀(110)에 걸려 있다. 따라서 압력 조절레버(11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프링(107)의 상향력이 증가되어 누름 지지레버(103)의 시계방향 회전력이 증가된다. 비틀림 스프링(107)은 미세한 편향 조절이 가능하도록 탄력이 매우 약한 것으로 되는 것이 보통이다.
누름장치 지지레버의 바깥쪽 연장부(104)에는 조절홈(62)에 끼워지는 나사(61) 등이 의하여 누름발판뭉치(33a)가 걸리게 된다. 누름발판뭉치(33a)는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 부분(112)과 이 몸체의 양측면에 부착된 한쌍의 벗김판(113)을 포함한다. 제8도 및 제9도에서 보듯이 벗김판(113)은 집게바퀴(32)에 걸쳐지는 위치에 있도록 되는데, 바퀴뭉치(32)의 양쪽 바깥쪽 원판에 근접하도록 되는 것이 좋다. 벗김판(113)의 바닥면(114)은 벗김면을 형성하는데, 누름발판뭉치(33a)는 이 벗김면이 바퀴뭉치(32)의 격리원판(49)의 직경 내에까지 겹쳐지도록 배치 및 지향된다. 또 벗김면(114)은 집게 바퀴(32)의 외곽선과 교차하는 지점에서 바퀴의 접선과 예각을 이루어야 한다. 그 예로서 제14도에서 벗김면(114)은 바퀴(32)의 접선에 대하여 45℃ 이하의 예각 A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같은 배치에 의하여, 톱니 원판(48)에 잡힌 직물은 손상되거나 자국이 남지 않은 채로, 벗김면(114) 쪽으로 밀리면서 바퀴의 톱니(54)로부터 풀려나가게 되는 것이다.
누름누단(102)에는 누름발판(33)이 제7도의 핀(115)을 축으로 피보트 고정되어 있는데, 인양장치(31)가 인양 작동기(43)의 신장에 의하여 내려올 때 이 누름발판(33)의 바닥면, 즉 누름면(116)이 재료 더미(34)를 누르게 된다. 이 누름면(116)은 마찰효과를 높이기 위해 거칠게 할 수도 있고, 뻣뻣한 재료를 취급하기 위해서는 돌기나 바늘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몸체 부분(112)과 누름발판(33) 사이에는 작은 스프링(57)이 삽입되어 있어서, 누름발판(33)이 고정핀(115)을 피보트로 하여 소기의 제한 위치까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누름발판의 윗면(117)이 벗김면 밑에 위치하여 결과적으로 재료 수용부(118)를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누 름발판(33)의 바퀴뭉치(32)쪽 끝에는 바닥면(116)과 예각을 이루는 집계면(119)이 있어서 바퀴뭉치(32)의 윤곽선과 등간격을 이루면서 비교적 날카로운 돌출 모서리(120)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집음 및 누름발판은 시계방향의 제한위치에서 집계면(119)과 바퀴의 톱니(54) 사이의 틈이 재료 한장의 두께보다 약간 크도록 지지레버의 앞쪽 연장부(104)에 조정 지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먼저 인양 작동기(43)를 작동시켜서 작동막대(44)를 신장시키면 인양장치(31)가 시계방향으로 피보트 회전되면서 재료 더미(34)의 맨 위에 있는 낱장(46) 하나가 잡히게 되어 있다. 집계 장치(92)가 재료 더미(34) 위에 얹히면 인양암(90, 91)의 시계방향 회전은 반력에 의해 제한되지만 작동막대(44)는 계속해서 신장하며, 이때 스프링(85)이 수축됨으로써 인양암을 더 이상 회전시키지 않고도 막대의 계속적인 이동을 조절하게 된다. 압축 스프링에 의하여 재료에 가해지는 압축력을 재료의 두께, 밀도, 탄성 등에 따라 조절하면 다양한 재료를 다룰 수 있게 된다. 스프링의 압축력이 적당히 조절되면, 작동막대(44)는 완전히 신장된 위치에서 집게바퀴뭉치(32)가 재료 더미의 맨 윗장만을 뚫고 들어가는데 효과적이고 충분하도록 정밀하기 제어된 압력을 가하게 된다. 간혹 꼭 두장을 집어내어야 할 경우도 있는데, 이 때는 상기 스프링을 적당히 조절하는 한편 필요에 따라 톱니의 유효 길이를 증가시키면 된다.
인양암이 재료 더미로 내려올 때 누름발판(33)은 바퀴뭉치(32)보다 약간 먼저 재료 더미의 맨 윗장(46)에 접촉되어 비틀림 스프링(107)이 대향하면서 누름수단(102) 전체를 바퀴축(98) 둘레로 피보트 회전시킨다. 따라서 누름수단(102)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가 그 정지 위치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약간회전된, 집음 위치로 되며 누름발판(33)은 바퀴뭉치(32)와는 별도로 비틀림 스프링(107)의 편향력에 의하여 재료 더미(34)를 누르게 된다. 이 편향력은 재료 더미에 필요한 압력만이 가해지도록 하기 위해 조절레버(111)를 사용하여 정밀하게 조절된다. 이에 따라 재료 더미의 맨 윗장은 자극이 남거나 변형되지 않은 채로 발판(33)에 대한 횡방향 이동이 충분이 제한되는 적당한 압력을 받을 수 있다. 한편 누름수단(102)은 집게바퀴뭉치(32)와 같은 축 둘레로 회전하므로 비틀림 스프링(107)의 저항력에 의해 바퀴뭉치(32)와는 별도로 이동하더라도 그 기하학적 관계는 변하지 않게 된다.
여러가지 이유로 재료 더미(34)의 윗 표면은 고르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누름장치(102)가 스프링(107)의 편향력에 의해 피보트 회전함에 따라 어느정도 조절된다. 또한 누름발판(33)자체도 그 피보트 핀(115)을 축으로 회전이 가능하므로, 누름발판뭉치가 내려올 때 스프링(57)의편향력에 대항하여 피보트 회전함으로써 재료 더미의 불규칙한 면에 적응하게 된다. 스프링(57)의 편향력은 몸체(112) 상부의 조절나사(121)로 조절한다.
제11도에서 제14도에 도시된 집계 및 인양 장치의 연속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처음에 인양 작동기(43)에 의하여 인양장치(31)전체가 아래로 내려오면서, 누름발판(33)이 비틀림 스프링(107)에 의하여 정밀하게 제어된 압력으로 재료의 맨 윗장에 접촉하는 한편, 집게바퀴(32)는 스프링(85)에 의하여 마찬가지로 정밀하게 조절된 압력으로 상기 낱장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재료 더미(34)와 인양장치(31)의 기하하적 관계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32)와 누름발판(33)의 뭉치가 재료저미의 앞쪽 모서리에서 약간 안쪽으로 떨어진 위치에 늘여지도록 된다.
인양장치가 재료 더미에 내려온 다음에는 집게 작동기(55)가 작동하여 작동막대(101)가 후퇴되면서 집게바퀴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재료 맨 윗장(46)은 집게바퀴의 톱니(54)에 집혀서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쪽으로 수평이동된다. 그런데 이때 상기 재료의 낱장은 이미 누름발판(33)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발판 왼쪽의 가장자리 부분만 이동된다. 결과적으로 유연한 재료의 낱장은 바퀴의 회전에 따라 바퀴뭉치(32)의 바닥과 누름발판(33)의 앞쪽 모서리(120) 사이에 있는 부분이 윗쪽으로 접혀지면서 오른쪽으로 옮겨지는 것이다. 처음에 바퀴가 약간 회전함에 따라 윗쪽으로 굽어져 접혀 올라간 부분이 벗김면(114)에 접촉된 뒤에, 바퀴가 계속 회전하면 접힌 재료(65)는 벗김면(114)에 걸림으로 써 점차적으로 바퀴의 톱니(54)로부터 바깥쪽으로 밀려서 벗겨지면서 누름발판 위의 홈(118)이 쌓이게 된다. 결국 누름발판(33)의 왼쪽 부분은 전부 이 직물 축적홈(118) 속으로 끌려 들어가고 발판 밑으로부터 오른쪽의 부분은 발판의 압력에 눌려서 계속 정지상태로 있게 되는 것이다.
처음에 누름발판 뭉치를 그 지지레버의 앞쪽 연장부(103)에 설치할 때, 누름발판의 집게면(119)과 바퀴 뭉치(32) 사이의 간격은 그 사이에 접혀진 직물의 두층이 탄성적으로 물릴 수 있도록 약간만 떨어지게 조절한다. 이 간격 조절과 스프링 (57)의 조절에 의하여 바퀴의 톱니(54)는 최소한 발판에 재료 더미에 얹혀 있고 바퀴가 작동하고 있는 동안에는 직물의 아랫장에 박히지 않도록 될 수 있다. 이와같이 누름발판뭉치를 적당하게 지향 조절해 놓으면, 인양장치(31)가 제4도의 위치로 내려왔을 때 발판(33)이 반시계방향으로 조금 회전함으로써 집게면(119)과 바퀴 (32) 사이의 틈이 약간 더 벌어졌다가, 인양장치(31)가 올려지면 다시 원위치로 되돌아가서 집게작용의 효과가 커진다. 집게(92)의 작동에 있어서, 집게작동기(55)가 그 중간 위치로부터 후퇴되는 작동 행정의 길이는 직물의 접혀진 부분(65)이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적홈(118)에 완전히 들어가도록 바퀴뭉치(32)를 반시계방향으로 95°-100° 정도 회전시키는 길이로 한다.
직물 더미 맨 윗장의 가장자리(63)는 그 아래에 인접한 한장 혹은 여러장의 앞쪽 가장자리(63a)와 엉켜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렇게 되면 맨 윗장이 바퀴의 회전에 의하여 옮겨질 때 엉켜 있는 낱장들도 함께 따라 올라오게 된다. 따라서 집게 작동기(55)가 후퇴 행정을 마쳤을 때의 상태는 보통 제11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된다. 본 발명의 한가지 특징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더미 안내판(69)에는 작동기(55)의 후퇴행정이 끝남에 따라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력 등에 의해 직물 더미 위로 떨어지도록 된 더미 누름부재(68)가 부착되어 있다. 이 누름부재(68)에는 아랫쪽으로 구부러져 있는 턱(71)이 있어서 직물 더미와 앞 쪽 가장자리(122)로부터, 바퀴의 회전에 의해 맨 윗장이 이동되는 거리보다 약간 짧게, 안쪽으로 들어간 지점에서 직물 더미의 윗면을 눌러주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더미 누름부재(68)가 내려오면 턱(71)이 다음 장의 접혀진 가장자리에 얹혀서 눌러주는 것이다. 상기 다음 장이 처음부터 분리되어 있을 경우에, 더미 누름부재는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더미의 윗면에 얹히기만 하게 된다. 턱(71)이 아래쪽으로 구부러져 있어야 하는 이유는 직물의 가장자리가 엉켜 있을 경우에 평면으로 누르면 접혀진 부분에 주름이 잡히기 때문이다.
더미 누름부재(68)가 내려오던 인양 작동기(43)가 반대, 즉 후퇴하는 방향으로 작동하여 인양장치(31)가 집게장치(92)와 함께 위로 올라가게 된다. 이때 직물의 맨 윗장(46)은 바퀴의 톱니(54)에 의하여 집게 면(119)에 견고하게 물린채 제12도 및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로 끌어 올려짐으로써, 턱(71)에 걸린 아랫쪽 직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하여 직물의 엉켜진 가장자리(63, 63a)는 최소한 집게장치(92) 근처에서 효과적으로 분리된다.
각 낱장의 가장자리들에 엉켜있음이 별로 큰 문제가 아닐 경우에, 인양장치(31)를 올리고 나서 집게장치(92) 전체를 이동시킴으로써 들어 올려진 직물 조각을 목적하는 곳으로 수송하는 것은 쉬운 일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집게장치의 작용은 단순히 맨 윗장의 한쪽 가장자리를 집어서 들어 올리는 데에 만 한정시키고 별도의 분리 수송장치로 하여금 직물 조각의 나머지 부분을 들어 올리면서 분리하고 다음 위치로 수송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할 뿐 아니라 작용효과도 크다. 왜냐하면 다이 재단에 의한 보통의 직물 더미에 있어서 가장자리의 엉킴은 전체 둘레에 공통된 문제이기 때문이다. 위에서 설명한 공정에 의해서 직물의 앞쪽 가장자리만을 분리해서는 모든 조건하에서 효과적으로 맨 윗장을 분리해 낼 수가 없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집게(92)가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 윗장의 분리된 가장자리(63)를 끌고 윗쪽으로 복귀한 뒤에, 수송 차단판(35)이 제1도에 점선으로 표시된 후퇴 위치로부터 실선으로 표시된 전진 위치로 작동하게 되어 있다. 차단판(35)은 제1도에 표시된 전진 및 후퇴의 제한 위치 사이에서 수평으로 왕복운동을 하도록 외부를(41, 42) 사이에 지지되어 있다. 차단판(35)은 무단(無端) 사슬고리에 전동기를 거는 등의 방법으로 구동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사슬고리를 사용하면 1회 순환으로 차단판을 완전히 왕복시킬 수 있다. 본 장치의 전체적인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집게 및 인양장치와 수송장치의 작동시간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차단판(35)이 분리된 낱장을 콘베이어(36)로 수송하는 동안에 집게 및 인양장치는 다시 직물 더미(34)로 돌아가서 다음 장을 집도록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차단판(35)의 앞쪽은 그 끝이 집게장치(92)에 일치하도록 좁혀져 있다. 집게장치가 직물의 낱장을 집어서 들어 올렸을 때 엉켜진 직물의 가장자리는 단지 집게장치 근처에서만 분리되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수골 차단판의 좁혀진 앞쪽 끝(123)이 그 좁은 분리 지역에서 엉켜진 두장의 직물 사이로 삽입되는 것이다. 이때 직물의 윗장은 집게장치에 계속 물려있고 동시에 직물 더미의 나머지는 그 전체가 누름부재(68)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으므로, 차단판이 계속 전진하면 차단판의 경사진 옆날(124)이 점차적으로 두장의 직물 사이이 삽입됨으로써 엉켜진 직물의 앞쪽 가장자리(63, 63a)를 완전히 분리시키게 된다. 차단판은 그 앞쪽 가장자리 부분(123, 124) 전체가 직물이 뒷쪽 가장자리(126) 밖으로 나올 때까지 직물의 윗장 밑으로 계속 전진하고, 이렇게 되면 직물의 윗장은 모든 가장자리가 아랫장으로부터 완전히 격리되어 차단판의 윗면에 놓이게 된다. 이때 차단판은 즉시 반대방향으로 후퇴해서 분리된 낱장을 콘베이어(36) 위로 옮겨준다. 수송 차단판(35)이 직물 사이로 삽입되는 동안, 누름발판(33)의 비교적 날카로운 모서리(120)는 분리된 낱장이 집게(92)에 걸리는 효과를 증진시킴으로써 낱장이 차단판에 의하여 분리되지 못하고 차단판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해 준다.
차단판(35)은 완전 전진 위치에 있을 때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직물의 뒷쪽 가장자리(126) 넘어까지 나가 있다. 차단판의 앞쪽 가장자리 근처에는 한쌍의 낱장 위치 조정돌기(74)가 차단판 윗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돌기들은 차단판 중심선의 좌우에 서로 근접하며 있으며, 그 끝에는 뒷쪽으로 돌출한 턱(127)이 형성되어 있다(제16도 참조). 이 위치 조정돌기(74)는 차단판이 복귀, 즉 수송행정을 할 때 분리된 직물 낱장의 뒷쪽 가장자리(126)에 걸려서 낱장을 확실하게 결속하는 동시에 위치 조정 작용의 보조 역할을 하게 된다.
분리된 직물의 가장자리들은 대체로 말려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는 위치 조정 돌기(74)가 분리된 직물의 가장자리(126)에 적절히 걸리도록 해주는 경량의 가동 누름장치가 포함되어 있어서, 분리된 직물이 차단판에 의해 들어 올려질 때 직물의 윗면데 얹혀서 직물이 돌기(74)에 걸린 때까지 최소한 돌기가 있는 부분에서 직물의 가장자리(126)를 판(35) 위에 평탄하게 유지시킨다. 이러한 누름장치는 가로 막대(82)에 부착된 봉(81a)의 앙끝에 걸려서 차단판(35)의 중심선을 따라 배치된 짧은 길이의 연쇄 구슬(ball chain) 등으로 구성된다. 연쇄구슬(81)은 제16도에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판이 전진하는 동안에는 약간 위로 올려지게 되어 있어서 직물(46)은 방해받지 않고 차단판 위에 제대로 놓여질 수 있다.
사슬(81)의 일부는 한쌍의 위치 조정돌기(74) 사이에 위치하여 최소한 그 부분에서 직물의 가장자리를 평평하게 유지해 준다. 한편 사슬(81)은 때로 분리된 직물에 발생하는 정전기를 방출시키는 작용을 하기도 한다.
수송 차단판(35)이 후퇴운동을 시작할 때, 분리된 직물은 그 뒷쪽 가장자리에 걸리게 되므로 차단판(35)이 제1도에 점선으르 표시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차단판(35)을 따자 옮겨진다. 그런티 차단판의 후퇴운동이 시작되기 직전에 직물의 앞쪽 가장자리가 집게장치(92)로부터 풀려나와야만 직물이 차단판에 얹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때 집게바퀴뭉치가 직물을 집을 때의 반시계방향 회전 각도보다 더 큰 각도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어서 분리된 직물이 집게(92)로부터 효과적이고 완벽하게 방출된다. 이러한 작용은 본 발명의 한가지 특성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서 맥동 밸브(도시되지 않음)을 사용해서 집게 작동기(55)가 순간적으로 신장되도록 작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작동기(55)가 이와같이 작동되면 그 작동막대(101)가 도면에서 오른쪽으로 신장되어 한쌍의 스프링(83, 84)에 의하여 결정되는 중간 위치를 지나 더 멀리까지 연장되게 된다. 따라서 바퀴(32)가 직물을 집을 때 95°-100° 정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직물 방출시의 바퀴는 보통 그보다 10°-15° 정도 큰 105°-115°의 범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직물은 수송판(35)이 수송운동을 시작할 때 완전하게 집게장치(92)로부터 풀려나올 수 있다. 뒤이어 작동기(55)에 대한 맥동이 소멸되면 작동막대(101)는 머리쪽 스프링(84)의 압축력에 의하여 중간 정지 위치로 후퇴되고, 이때 바퀴(32)가 약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지만 직물은 이미 집게(92)에서 벗어나 있으므로 아무런 지장이 없다.
본 발명에서 수송 차단판(35)은 비교적 고속도(약 60㎝/sec 정도)로 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직물의 앞쪽 가장자리가 수송 도중에 공기에 대한 상대 이동으로 인해 들어 돌려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집게(92)로부터 콘베이어(36) 윗쪽의 목적지에 이르는 지역에서 차단판(35)위에 근접되는 안내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이 안내장치는 지지봉(129)에 한쪽끝이 고착되어 길이방향으로 안정된 한쌍의 안내 철선(128)으로 구성된다. 안내 철선(128)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92)가 올려져 있을 때 그보다 약간 밑에 위치하면서 집게(92)에 걸리도록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집게가 직물을 집고 올려져 있을 때, 안내 철선(128)은 집게 양쪽 옆에서 직물의 앞쪽 가장자리에 얹히게 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판(35)은 안내 철선(128) 및 지지봉(129)보다 약간 밑에서 이동하므로, 직물의 중앙부분은 차단판의 수송행정 동안 상기 안내장치와 차단판 사이에 확고하게 위치되는 것이다.
직물의 맨 윗장이 직물 더미(34)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후 적당한 시기에 누름 부재(68)는 한장 혹은 몇장의 접혀진 직물의 끝부분이 평평하 상태로 돌아갈 수 있도록 다시위로 올려지는데 보통 수송 차단판(35)이 완전 후퇴되는 목적 위치에 도달함에 따라 위로 올라가도록 한다. 이 더미 누름 부재(68)는 집게(92)가 새로운 직물을 집어서 제11도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시킬 때까지 올려진 상태로 있게 된다. 이러한 더미 누름 부재(68)는 적절히 무거운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자중에 의하여 누름 위치로 떨어졌다가 적당한 시기에 솔레노이드(solenoid) 등의 작동장치에 의하여 올려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더미 누름 부재(68)는 더미 높이 조정장치의 스윗치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수송 차단판(35)이 콘베이어(36) 윗쪽의 목적 위치에 도달하면 수송된 직물은 다음에 설명될 별도의 정지장치에 걸리고, 차단판이 다시 전진하여 그 밑으로부터 빠져나감에 따라 콘베이어(36) 위로 떨어져 재봉 등의 후속 공정으로 이송된다. 직물은 차단판이 다시 전진해 나감에 따라 점차적으로 콘베이어에 놓여 지므로, 콘베이어는 직물을 받는 동안 잠깐 정지해 있도록 되는 것이 좋다. 또는 콘베이어의 각 벨트 사이(130)에 벨트면보다 높은 받침(도시되지 않음)을 설치하여 직물이 그 위로 떨어지게 한 다음, 직물이 차단판에서 완전히 떨어졌을 때 이 받침이 벨트 사이(130)로 내려가면서 직물이 이동하는 콘베이어에 얹히도록 할 수도 있다.
다양한 종류의 직물을 취급함에 따라서, 직물의 낱장은 처음에 집게장치에 의해서 들어 올려지고 차단판에 얹힐 때 약간 비뚤어지는 등, 위치 및 방향의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분리된 직물의 뒷쪽 가장자리(126)는 차단판의 위치 조정돌기(74)에 항상 일정하게 걸리도록 되어 있으나 차단판과 직물 사이의 마찰력 이 큰 경우에는 직물이 밀려서 위치 조정돌기(74)에 적절하게 걸리지 못하는 경우도 있게 된다. 본 발명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가지의 위치 및 방향조정장치가 포함되어 있다.
처음에 직물의 뒷쪽 가장자리(126)가 차단판(35)의 위치 조정돌기(74)에 적절히 걸리도록 하기 위해서는, 직물 더미(34) 위에 설치되는 몇개의 가벼운 접촉편(73)이 사용된다. 접촉편(73)은 그 바닥에 접촉면(132)을 가지고 있으며 홈(133)에 의하여 가로막대(131)에 자유롭게 걸려 있다. 수송차단편(35)이 분리된 직물을 들어 올리면서 전진할 때, 접촉편(73)은 직물표면에 접촉하여 약간 위로 올려지면서 직물의 뒷쪽 가장자리쪽으로 회전된다. 뒤이어 차단판(35)이 반대방향으로 후퇴하게 되면 직물은 접촉편(73)에 의하여 저지되므로 차단판의 위치 조정돌기(74)에 걸릴 때까지 차단판(35)의 표면에서 미끄러지면서 돌기(74)쪽으로 밀리게 된다. 직물의 가장자리(126)가 돌기(74)에 걸리면 접촉편(33)이 거꾸로 돌기(74)에 걸린 직물(126)에 밀려서 홈(133)을 따라 올려지면서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보트 회전하게 된다.
수송 차단판(35)이 콘베이어(36) 윗쪽의 목적 위치에 도달할 때, 직물의 앞쪽 가장자리(63)는 중간틀(96)에 지지되어 차단판(35) 아래까지 하향 연장된 넓은 간격의 위치 조정돌기(76)에 걸리게 된다. 차단판(35)에는 이 한쌍의 돌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적당한 한쌍의 홈(133)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76)의 위치는 차단 판의 위치 조정돌기(74)와 관련하여 결정되는데, 차단판(35)이 목적 위치에 도달했을 때 작물의 양쪽 끝 가장자리가 동시에 두 쌍의 돌기(74, 76)에 걸릴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에는 콘베이어(36) 위에 옮겨지는 직물이 콘베이어를 따라 이송되기 직전에 그 위치 및 방향을 조정해 주는 새롭고 매우 효율적인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장치는 외부틀(41, 42)에 지지된 요동축(
Figure kpo00001
), (134)에 설치된 한쌍의 정돈암(78)으로 구성된다. 요동측(134)은 작동레버(135)에 의하여 정돈암 작동기(77)에 연결되어 있다. 작동기(77)가 신장되면 요동축(134)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정돈암(78)을 차단판(35) 윗쪽으로 올려준다. 한편 차단판(35)이 그 목적 위치에 있을 때 작동기(77)가 후퇴하면 정돈암(78)이 내려와서 정돈암의 아랫쪽으로 구부러진 연장부(136)가 차단판(35) 밑 분리된 직물의 뒷쪽 가장자리 부분에 수평으로 얹히게 된다.
제20도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정돈암의 연장부(136)에는 분리된 직물(46)의 두께보다 약간 길게 아랫쪽으로 돌출한 또 한쌍의 위치 조정돌기(137)가 있다. 정돈암 작동기(77)가 후퇴될 때, 이 돌기(137)는 차단판(35)의 윗면에서 활동(滑東) 가능하게 탄력성을 가지고, 얹혀있게 되므로 차단판(35)은 계속해서 전진위치로 이동하고 돌기(137)는 차단판(35)의 윗면에 계속 접촉하면서 미끄러지게 된다. 이 돌기(137)의 앞면(138)은 직물의 뒷쪽 가장자리(126)에 일치하도록 되어 걸리는 위치 조정 접촉면이 된다. 각각의 정돈암(78)에는 그 위치 조정돌기(137)의 배열을 정밀하게 조절해 주도록 된 길이방향 조절장치가 포합될 수 있다.
정돈암(78)이 내려지면, 수송차단판(35)은 새로운 직물쪽으로 전진운동을 개시하는데, 이때 직물의 가장자리(126)는 돌기의 수직 접촉면(138) 중에서 최소한 하나에 걸리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차단판이 고속으로 운동하게 되어 있어서, 단순히 차단판만의 이동으로는 직물이 돌기(137) 중의 하나에 걸리기는 하더라도 항상 적절하게 회전 지향되기는 어렵다. 결국 차단판(35)이 오른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옮겨진 직물(46)이 제22도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약간 비뚤어지면, 직물의 가장자리(126)가 위치 조정돌기 중의 하나에 걸리기는 하지만 비뚤어진 직물의 밑으로부터 움직여 나오는 차단판의 마찰력으로는 비뚤어진 직물을 효과적으로 밀어서 나머지 하나의 위치 조정돌기에 접촉되도록 할 수가 없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차단판(35)의 전진운동 동안에 정돈암(78)이 직물을 횡방향의 바깥쪽으로 쓸어주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방향 및 횡방향 운동의 조합에 따라 직물지 소기의 방향으로 지향되어 콘베이어(36)에 올려질 때 적당히 정렬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에서 정돈암(78)의 횡방향 이동운동은 차단판(35) 윗면에 캠판(cam plate), (139)을 형성 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캠판(139)은 그 앞쪽 부분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이 경사져 있어서, 정돈암의 위치 조정돌기(137)의 안쪽 접촉면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차단판(35)이 목적 위치에 있고 정돈암(78)이 내려진 초기 상태에서 캠판(139)의 경사진 양 측면(79)은 제2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돈암의 위치 조절 돌기(137)의 약간 안쪽에 있게 된다. 이때 차단판(35)이 제2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돌기(137)가 캠면(79)에 걸리면서 정돈암(78)이 횡방향으로 밀려나가게 되는 것이다. 정돈암은 지지체(140) 위에 피보트 핀(141)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이렇게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가 있다. 정돈암(78)은 캠면(79)에서 이탈되면 스프링(142) 등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된다.
정돈암(78)이 직물을 쓸어주면서 바깥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위치 조정돌기의 접촉면(138)이 차단판(35)과 정돈암의 연장부(136) 사이에 있는 직물의 가장자리(126)에 맞닿게 된다. 정돈암(78)의 횡방향 이동은 차단판(35)이 약간 전진하는 동안에 완료되는 것이 좋다. 이렇게 정돈암(78)의 횡방향 이동과 차단판(35)의 종방향 이동이 조합됨으로써 직물이 신속하고 확실하게 지향되어 콘베이어(36) 위에 적당하게 올려지는 것이다. 한편 차단판(35)이 직물의 밑으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오면 직물은 정돈암(78)으로부터 밑으로 떨어지고, 이때 정돈암 작동기(77)가 신장되어 정돈암(78)이 올려짐으로써 새로운 직물 조각이 목적 위치로 수송되게 된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각기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상호 관련하여 적절한 호과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각 부분들은 필요에 따라 개별적으로 사용되어도 충분히 유용할 것이다.

Claims (1)

  1. 가동(可動) 집게면을 가지고 있는 낱장 집게 수단, 상기 집게면이 운동함에 따라 직물 더미의 맨 윗장이 원래 놓여있던 평면과 대략 같은 평면상으로 옮겨질 수 있도록 상기 집게면을 직물 더미의 맨 윗장에 조절된 압력으로 접촉시키는 수단, 상기 가동 집게 수단의 부근에 배치된 정지 플라이(ply), 보지(保持), 수단, 상기 집게면이 상기 플라이 보지수단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맨 윗장이 집게면과 보지수단 사이에서 주름잡히도록 상기 플라이 보지수단을 직물 더미의 맨 윗장에 접촉시키는 수단, 상기 주름진 맨 윗장을 집어올리는 수단으로 구성되며, 이때 상기 집게수단 및 보지수단은 각기 조절된 압력으로 직물 더미 맨 윗장의 소정의 위치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낱장 집게수단은 낱장 집게면을 가지고 조절가능하게 회전하는 낱장 집게바퀴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플라이 보지수단은 상기 집게바퀴의 축을 중심으로 피보트 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류의 낱장을 집어서 들어 올리는 직물류의 낱장 집게장치.
KR7500817A 1975-04-17 1975-04-17 직물류의 낱장 집게장치 KR810000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0817A KR810000081B1 (ko) 1975-04-17 1975-04-17 직물류의 낱장 집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0817A KR810000081B1 (ko) 1975-04-17 1975-04-17 직물류의 낱장 집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081B1 true KR810000081B1 (ko) 1981-02-12

Family

ID=19201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500817A KR810000081B1 (ko) 1975-04-17 1975-04-17 직물류의 낱장 집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08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6025Y2 (ja) 柔軟な層を拾い上げて分離する装置
US3813094A (en) Mechanism for transfering flexible work pieces
US4143871A (en) Facing ply separator
JPS5912578B2 (ja) 柔軟な薄板状材の堆積体からの薄板状材の分離方法及びその分離装置
US3442505A (en) Automatic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top workpiece from a stack of fabric workpieces and for delivering the separated workpieces
US4607582A (en) Automatic towel aligning, cutting and hemming system
JPH10503394A (ja) 平坦な洗濯物供給装置
KR870001031B1 (ko) 연차 플라이 스트립들을 연속 슬라이드 파스너 체인에 부착하는 방법 및 장치
US4283047A (en) Facing ply separator
US4579329A (en) Single ply pickup apparatus and method
EP0039969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flexible sheets from a stack
KR810000081B1 (ko) 직물류의 낱장 집게장치
EP00081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eparation of flexible sheets from a stack and their transportation to a processing unit
USRE30084E (en) Picking and transporting means for fabric sections and the like
US4871161A (en) Separating and feeding garment parts
US4729555A (en) Compact high speed stacker
JPS628548B2 (ko)
JP2004329934A (ja) 靴下類品の爪先部を閉じる縫製機の搬送部内で前記靴下類品を自動挿入する際に前記爪先部を配置する装置
EP1775247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stacking veneer sheets
EP0916578A2 (en) Bag filling machine for packaging small knitwear items in bags, particularly for packaging hosiery items
JP3733603B2 (ja) ストレッチ包装機
JPH0158093B2 (ko)
US4269408A (en) Method and means for stacking flat flexible sheets
JPS5931389A (ja) 羽根板供給装置
SU175482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мещени полотнообразного материал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