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2208Y1 - 탈수기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탈수기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2208Y1
KR800002208Y1 KR2019800002025U KR800002025U KR800002208Y1 KR 800002208 Y1 KR800002208 Y1 KR 800002208Y1 KR 2019800002025 U KR2019800002025 U KR 2019800002025U KR 800002025 U KR800002025 U KR 800002025U KR 800002208 Y1 KR800002208 Y1 KR 8000022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brake
hole
inner lid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20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아키 아오키
코오이찌 요시자키
마사히로 치카자와
Original Assignee
산요오덴키 가부시기 가이샤
원본미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오덴키 가부시기 가이샤, 원본미기재 filed Critical 산요오덴키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000020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22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22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2208Y1/ko

Links

Landscapes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탈수기의 안전장치
제 1 도 내지 제 4 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 1 도는 속뚜껑이 잠기지 않은 상태의 종단면도.
제 2 도는 속뚜껑이 잠긴 상태의 요부확대 단면도.
제 3 도 및 제 4 도는 제동장치의 작동설명도이다.
본 고안은 탈수기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탈수조의 회전이 완전히 정지될때까지 의류투입구를 덮은 뚜껑을 열 수 없게하는 고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가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탈수기에 있어서는 탈수조가 고속으로 회전하여 그 원심력으로 의류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고속으로 회전하는 탈수조에 손이 닿게 되면 위험한고로 운전중에는 의류 투입구를 뚜껑으로 덮게 되어 있고, 뚜껑을 개방하면, 즉시 제동장치가 가동하여 탈수조에 브레이크를 걸어서 탈수조를 정지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그 뚜껑을 개방한 후, 탈수조가 완전히 정지할때까지는 약간의 시간이 필요한데 탈수조는 타성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그 탈수조에 급히 손을 넣게 되면 다치게 되는 사례가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거울삼아 탈수조가 타성으로 회전하는 동안에는 뚜껑을 열 수 없게 한 것으로서 특히 탈수조의 의류투입구를 덮는 뚜껑과 그 뚜껑을 괘지하는 특수단과 탈수조의 회전에 제동을 가하는 제동수단 및 그 제동수단에 의하여 제동을 가할때, 브레이크 레버등의 제동체측에 생기는 회동력에 따라서 작동하고 탈수조가 정지할때까지 상기한 록 수단을 해제하지 못하게 하는 록 쇠정수단을 구비하며, 그 록 쇠정수단에 의하여, 탈수조가 완전히 정지할때까지 뚜껑이 개방될 수 없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부호(1)은 탈수기의 기틀인데, 그 내부에 고속으로 회전하는 탈수조(2)가 있고, 그 탈수조(2)의 외측에는 탈수외통(3)이 설치되고 있으며 탈수조(2)의 주벽에는 다수의 탈수공이 뚫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한 외통(3)에는 의류 투입구(4)를 가진 상면판(5)이 설치되고, 의류투입구(4)를 덮은 겉뚜껑(6)이 지축(7)에 의하여 개폐자재하게 축지되며, 상기한 겉뚜껑(6)의 내측에는 의류투입구(4)를 덮는 속뚜껑(8)이 앞뒤로 이동가능하게 장설된다.
속뚜껑(8)은 앞뒤로 이동가능한 록 작동체(9)에 지축(10)(제 2 도 참조)으로 연결되어 개폐자재하게 축지되고, 그 록 작동체(9)는 겉뚜껑(6)의 힌지부(11)의 배면과 면접되는 접면부(12)를 가지고 있으며, 겉뚜껑(6)을 닫을 때에는 힌지부(11)가 접면부(12)에 면접되므로 접면부(12)가 도면상에 우측방향(후방)으로 밀리게 되어 록 작동체(9) 및 그 록 작동체(9)에 지축(10)으로 연결되고 있는 속뚜껑(8)이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속뚜껑(8)의 선단부에는 괘지부(13)가 형성되고, 상기한 상면판(5)에는 록 통공(14)을 뚫어서 그 통공(14)에 괘지부(13)가 삽입되어 속뚜껑(8)의 앞뒤 이동에 따라 괘지부(13)가 통공(14)내를 제 1 도와 같은 상태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는 속뚜껑(8)이 상면판(5)에 괘지된다.
또 상기한 록 작동체(9)에는 돌출부(15)가 형성되고 그 돌출부(15)에는 통공(16)이 뚫려 있다. 그리고 상기한 외통(3)의 후측상에는 고정틀(17)이 설치되고, 그 고정틀(17)에는 상기한 돌출부(15)가 삽입되는 삽입공(18)을 형성하여 작동체(9)가 후측으로 이동되면 상기한 삽입공(18)에 깊게 삽입되었을 때, 통공(16)과 상하로 일치되는 통공(19)이 형성되어 있다.
(20)은 상기한 록 작동체(9)의 앞뒤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저지간인데 이것은 연결간(21)을 통하여 후술하는 브레이크 대(22)(제 3 도 참조)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한 저지간(20)은 고정틀(17)에 부착한 지지부재(36)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으며, 상기한 돌출부(15)의 통공(16)과 고정틀(17)의 통공(19)에 점선표시와 같이 삽입됨에 의하여 상기한 록 작동체(9)의 이동이 저지되므로 속뚜껑(8)을 앞으로 당기더라도 절곡 괘지부(13)와 상면판(5)과의 괘지상태를 해제할 수 없게 된다. (23)은 탈수조(2)를 회전시키는 구동모우터(24)를 제어하는 안전스위치인데, 상기한 겉뚜껑(6)의 힌지부(11)에 의하여 조작되면서 그 겉뚜껑(6)을 열때에 차단되고, 또 그 겉뚜껑을 닫을때는 접속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록 수단으로서의 괘지부(13)를 속뚜껑과 일체로 형성하였으나, 그 록 수단을 속뚜껑과 연동되게만 하면 별도의 것으로 구성해도 좋다.
다음에 탈수조(2)에 브레이크를 걸고 또 상기한 저지간(20)을 조작하는 제동수단에 대하여 설명하건데, 상기한 탈수조(2)를 회전시키는 모우터(24)의 축(25)(제 3 도, 제 4 도)에 브레이크휘일(26)이 고착됨과 아울러 모우터축(25)을 중심으로 전기한 브레이크대(22)가 유합되며, 브레이크(22)상에는 브레이크라이닝(29)을 가진 브레이크레버(30)가 축(31)로 회동자재하게 축지되고 있다. 브레이크레버(30)는 항상 스프링(28)에 의하여 브레이크 휘일(26)의 접동면에 브레이크 라이닝(29)이 압접되는 방향으로 탄성을 가하게 되어 있다.
상기한 브레이크 레버(30)은 브레이크조작용 와이어(32)를 통하여 겉뚜껑(6)의 힌지부(11)에 연결되고, 그 겉뚜껑(6)이 개폐동작할때, 연동하여 브레이크레버(30)를 작동시켜서, 브레이크 라이닝(29)를 접동면에 압접하거나 접동면에서 떨어지게하여, 브레이크를 길거나 이를 해제하게 한다. 또 상기한 연결간(21)의 말단이 브레이크대(22)에 고착됨과 아울러 상기한 브레이크대(22)와 모우터(24)의 외부케이스(24')와의 사이에 브레이크대 복귀용스프링(33)을 건너질러서 그 스프링(33)에 의하여 브레이크대(22)는 항상 모우터(24)의 회전반대방향(제 3 도 및 제 4 도의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세력을 가하고 있다. 미설명부호 34는 속뚜껑의 손잡이이고, 35는 모우터 지지용 스프링, 27은 브레이크휘일의 접동면이다.
다음에 작용을 설명하면, 먼저 탈수할 세탁물을 투입구(4)로부터 투입하고, 속뚜껑(8)을 덮으면, 제 1 도와 같이 상기한 괘지부(13)가 통공(14)에 삽입되어 속뚜껑(8)과 록 작동체(9)가 도면상에서 가장 좌측 (전방)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겉뚜껑(6)을 닫으면 힌지부(11)가 록 작동체의 접면부(12)에 면접되어 상기한 록 작동체(9)를 도면상에서 우측방향(후방)으로 밀어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한 록 작동체(9)에 축(10)으로 연결되고 있는 속뚜껑(8)이 같은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되어 상기한 괘지부(13)가 통공(14)내를 이동하면서 상기한 상면판(5)와 함께 괘지되고 속뚜껑(8)은 자동적으로 록 된다.
즉, 상기한 겉뚜껑(6)이 닫히는 동작에 연동되어 속뚜껑(8)이 자동적으로 록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록 작동체(9)의 돌출부(15)는 삽입공(18)내를 도면상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여 통공(16)이 고정틀(17)의 통공(19)과 상하로 일치되고, 힌지부(11)는 안전스위치(23)을 접속시키는고로, 상기한 모우터(24)에 통전된다. 또 그 겉뚜껑(6)이 닫혀지면 상기한 브레이크 조작용 와이어(32)가 제 2 도 및 제 3 도에서 상방으로 당겨지므로 브레이크레버(30)를 작동시켜서 브레이크라이닝(29)이 상기한 접동면(27)로부터 분리되게하여 크브레이크를 해제하므로 모우터(24)가 회동하여 탈수를 계시한다. (제 3 도 상태)그리고 탈수중에 겉뚜껑을 열면, 상기한 안전 스위치(23)가 차단되어 모우터(24)로의 통전이 차단됨과 아울러 와이어(32)가 늦추어지므로 브레이크레버(30)가 스프링(28)에 의하여 당겨지게 되어 브레이크라이닝(29)이 브레이크휘일의 접동면(27)에 압접되어 브레이크를 걸게된다.
이때에 브레이크라이닝(29)과 접동면(27)의 마찰에 의하여 브레이크레버(30)에 모우터의 회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동하고저 하는 힘이 작용하여 그 힘으로 브레이크레버(30)가 부착된 브레이크대(22)가 브레이크대 복귀용 스프링(33)의 당기는 힘에 대항하면서 제 4 도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도면중 L은 회동된 정도를 나타낸다) 그러면 그 회동관성이 연결간(21)을 통하여 저지간(20)에 전달되고, 그 저지간(20)은 상방으로 들려져서 상기한 통공(16)(19)내에 삽입되어 록 작동체(9)와 함께 속뚜껑(8)의 이동을 저지시킨다(제 2 도 점선상태)
따라서, 속뚜껑(8)의 록 상태 즉 괘지부(13)와 상면판(5)의 괘지상태를 벗기고저하여 속뚜껑(8)을 앞으로(도면상에서 좌측방향) 당기고저 하더라도 저지간(20)에 의하여 이동이 저지되어 괘지부(13)를 통공(14)에서 벗길수 없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로 탈수조(2)의 타성회전중, 즉 모우터(24)의 회전이 완전히 정지할때까지 계속되고, 모우터의 회전이 정지되면 브레이크대(22)는 회전방향의 회동력을 받지않게 되므로 상기한 복귀용 스프링(33)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되고, 상기한 저지간(20)은 양통공(16)(19)에서 빠진다. 이때에 비로서 상기한 록 작동체(9)와 속뚜껑(8)은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속뚜껑(8)을 앞으로(도면상에서 좌측방향) 당기면 상기한 괘지부(13)가 통공(14)사이에 벗겨지므로 그 속뚜껑(8)을 열 수 있게 되며 그 속뚜껑(8)을 열었을 때는 탈수조(2)가 완전히 정지되어 있고, 탈수조내에 손을 넣어도 다칠 위험이 전혀 없으므로 안전하다.
또 탈수중에 겉뚜껑(6)을 다소 열드라도 브레이크가 작용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속뚜껑(8)을 앞으로 이동시켜서, 이를 열고저하드라도 상기한 힌지부(11)와 접면부(12)가 괘지되도록 설정하고 있으므로 속뚜껑(8)은 이동이 저지되어 전혀 열수 없게 되어 있다.
즉, 상기한 힌지부(11)와 접면부(12)와는 브레이크가 작용하는 범위까지 겉뚜껑(6)을 크게 열지 않으면, 그 접면상태를 해제할 수 없게 되어 있으므로, 그 접면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브레이크가 걸려서, 상기한 저지간(20)으로는 속뚜껑(8)의 괘지상태를 풀 수 없게 되는 한편, 브레이크가 작용하지 않는 범위에서는 힌지부(11)와 접면부(12)의 접면으로 같은 록 상태가 유지되고, 탈수중, 어떠한 각도로 겉뚜껑(6)을 열드라도 속 뚜껑(8)은 탈수조가 완전히 정지되지 않는한, 열수 없게 된다.
이와같이 작용되는 본 고안은 의류투입구를 덮는 뚜껑과, 그 뚜껑을 괘지하는 록 수단 및 탈수조에 제동을 거는 제동수단과 그 제동수단에 의하여 제동축에 생기는 탈수조의 회전방향으로의 회동력에 의하여 작동하고, 탈수조가 정지될때까지 상기한 록 수단을 해제할 수 없게 하는 록 쇠정수단을 구비하며, 그 록 쇠정수단에 의하여 탈수조가 완전히 정지할때까지 뚜껑을 열수없게 하였으므로 탈수조가 타성에 의한 회전하는 도중에 사용자가 탈수조내에 잘못하여 손을 넣드라도 다치는 일이 없고 매우 안전성이 높은 것이다.
또 록 쇠정수단을 작동시키는 방법으로서, 제동시 제동체측에서 발생하는 회동력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항상 확실하게 쇠정수단을 작동시킬 수 있고, 복잡한 장치도 필요없이 여러가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Claims (1)

  1. 탈수조(2)의 외측에 탈수외통(3)을 설치하고, 의류투입구(4)를 가진 상면판(5)상에는 속뚜껑(8)과 겉뚜껑(6)을 덮게한 구성방식에 있어서, 속뚜껑(8)의 후측을 록 작동체(9)에 지축(19)으로 축지함과 아울러 속뚜껑(8)의 선단에 괘지부(13)를 형성하여 상면판(5)에 뚫은 통공(14)에 괘지되게 하고, 록 작동체(9)의 후측에는 겉뚜껑(6)의 힌지부(11)의 배면과 면접되는 접면부(12)를 형성하여, 겉뚜껑(6)을 지축(7)에 의하여 열고닫을때, 앞뒤로 이동하게하며, 또 상기한 록 작동체(9)의 접면부(12)에는 통공(16)을 가진 돌출부(15)를 형성하고, 상기한 외통의 후측상에는 상기한 돌출부(15)의 삽입공(18) 및 상기한 통공(16)과 일치되는 통공(19)을 뚫은 고정틀(17)을 입설하며, 그 고정틀(17)에는 지지부재(36)을 부착하여 그 지지부재(36)내에 연결간(21)을 가진 저지간(20)을 수용하고, 탈수조(2)의 구동모우터(24)에는 그 축(25)에 휘일(26)을 고착하고, 또 그축(25)을 중심으로 브레이크 대(22)를 유삽하여 그 브레이크대(22)에 상기한 연결간(21)의 말단을 고착함과 아울러 선단에 스프링(28)을 걸게한 브레이크레버(30)의 후단을 축(31)으로 축지하고, 브레이크대(22)와 모우터의 외부케이스(24')사이에는 스프링(33)을 걸어서 된 탈수기의 안전장치.
KR2019800002025U 1980-03-29 1980-03-29 탈수기의 안전장치 KR8000022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2025U KR800002208Y1 (ko) 1980-03-29 1980-03-29 탈수기의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2025U KR800002208Y1 (ko) 1980-03-29 1980-03-29 탈수기의 안전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50001591 Division 1975-07-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2208Y1 true KR800002208Y1 (ko) 1980-12-30

Family

ID=19216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2025U KR800002208Y1 (ko) 1980-03-29 1980-03-29 탈수기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220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6023947A1 (en) Tamper-proof door switch and latch device
KR950032816A (ko) 톱 로딩 수평축 자동 세탁기의 바구니 문판을 자동적으로 개방하기 위한 시스템
KR800002208Y1 (ko) 탈수기의 안전장치
FR2751669A1 (fr) Machine a laver ou secher le linge a chargement par le dessus a ouverture et fermeture automatique du tambour
US3696903A (en) Washing or other machines
GB2107383A (en) Door interlock mechanism
JPS5810118B2 (ja) カイヘイブタ ノ アンゼンソウチ
DE867838C (de) Verriegelungsvorrichtung fuer die Tuer, den Verschlussdeckel od. dgl. einer Zugangsoeffnung, insbesondere bei Haushaltsmaschinen, z. B. Waschmaschinen, Waescheschleudernu. dgl.
EP1245712A3 (en) Top loading washer with a washing drum in the machine housing
JP4325464B2 (ja) 脱水機
IT1250393B (it) Dispositivo di bloccaggio della porta per macchine lavatrici o asciugatrici di biancheria.
JP3092969B2 (ja) 扉のロック機構
EP3854928B1 (en) Door-lock device for household appliances and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said device
JP2005287617A (ja) 脱水機
KR960000304Y1 (ko) 세탁기도어의 잠금장치
JP4341444B2 (ja) 脱水機
US2859536A (en) Automatic lid release for clothes extractor
JPS5810555Y2 (ja) ダツスイウンテンアンゼンソウチ
GB2114250A (en) Household centrifuge with brake mechanism coacting with a safety locking device
KR100201855B1 (ko) 드럼 세탁기의 전자식 자동 개방형 도어 록커
KR940001094Y1 (ko) 식기 건조기 등의 문 잠금장치
JP2005287614A5 (ko)
GB2071251A (en) Safety device for a rotary machine
KR960015983B1 (ko) 세탁기 도어 개폐장치
JPS62236596A (ja) 洗濯機の内蓋ロツク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