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2146Y1 - 전압 절환 스위치의 유동 단자판 - Google Patents

전압 절환 스위치의 유동 단자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2146Y1
KR800002146Y1 KR790007022U KR790007022U KR800002146Y1 KR 800002146 Y1 KR800002146 Y1 KR 800002146Y1 KR 790007022 U KR790007022 U KR 790007022U KR 790007022 U KR790007022 U KR 790007022U KR 800002146 Y1 KR800002146 Y1 KR 8000021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late
plate
floating
piece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0070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득현
Original Assignee
이정기
금성알프스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기, 금성알프스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정기
Priority to KR7900070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21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21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2146Y1/ko

Links

Landscapes

  • Tumbler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압 절환 스위치의 유동 단자판
제 1a 도는 본 고안의 사면도.
(b)도는 본 고안의 저면 사시도.
(c)도는 종래 사용되던 단자판의 예시 사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이 착설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스위치의 분해사시도.
제 3a 도는 본 고안의 착설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b)도는 종래 단자판의 불안정한 착설상태를 나타낸 예시 단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을 착설한 스위치의 전체 사시도.
본 고안은 전압 절환식 스위치에 사용되는 유동 접점단자판의 개량 고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압 절환 스위치도 전선이 연결되는 단자편과 유동점점단자판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나 유동접점단자는 예시도면 제 1c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자체 탄성을 가진 연성금속판을 협지형태로 구성하거나 스프링의 감설부를 가진 단순한 평판으로 구성된 것들이어서 전자의 경우에는 스위치 조작노브의 조작중 고정접점과의 잦은 접속으로 인하여 협지의 자체탄성이 저하될 경우 그 접속상태가 불량해질 우려가 있었으며, 후자의 경우에는 탄성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로 구성되기는 하였으나 스프링의 탄발과 외부의 충격에 의해 접점을 구성하고 있는 평판으로된 단자판이 제위치에서 이탈되거나 그 착설상태가 변경되기 쉬워서 고정접점과의 접속상태가 불량해지는 사례가 잦았던 것인바, 전자의 경우나 후자의 경우를 막론하고 이와같은 접점구조의 불안정으로 인한 접촉저항의 변화, 잡음발생, 기타 성능상의 결함이 많았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시정하고져 제안된 것으로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전압 절환스위치(A)를 구성하는 케이스(4)내에 수장되는 조작구(5)에 수납 구동되는 유동접점단자판(1)을 구성함에 있어서, 도체성 금속박판을 사용하며 양측에 약간의 경사면을 이룬 날개편(2)을 가지게 하며 그 중심부 전후변에 하향 직립되게 축수편(3)을 절곡시켜 되는 전압 절환스위치의 유동단자판이다. 첨부도면중 미설명부호 5a는 조작구(5)에 요설된 단자판 삽입홈, 5b는 확장부, 6은 케이스(4)에 복착되는 절연판, 7은 고정접점단자, 8은 탄발스프링을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양축수편(3)이 형성되지 않은 날개편(2)만으로도 단자판(1)을 구성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나 이런 경우에는 날개편(2)의 양쪽선단이 하향절곡되는 절곡길이를 크게 구성하면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설명하면 예시도면 제 2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스위치(A)의 케이스(4)내부에 조작구(5)를 수납한 후 단자판(1)을 수장하는 삽입홈(5a)내의 확장부(5b)에 탄발스프링(8)을 끼운후 그 상면에 약간의 경사면을 이룬 날개편(2)을 형성하고 중심 전후변에 축수편(3)을 절곡시킨 단자판(1)을 복착시킨 다음 그 표면에 고정접점단자(7)을 가진 절연판(6)을 복개시켜 나착 또는 용착시키거나 괘착시켜 밀봉시켜 주면 조작구(5)의 좌우 요동됨에 따라 탄발스프링(8)에 탄지하고 있는 단자판(1)의 경사면에 의해 절연판(6)에 설한 고정접점단자(7)를 선별하여 접점되어져 전압을 정확하게 절환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단자판(1)의 날개편(2)과 축수편(3)이 조작구(5)의 삽입홈(5a)과 확장부(5b)내에 삽입 협지되어지므로 종래의 경우와 같이 스프링의 탄발과 외부충격에 의하여 단자판(1)이 외측으로 이탈되거나 착설상태가 변경될 우려가 전혀없이 순조롭게 탄발작동케 되어 고정접점단자와의 접속상태가 양호하게 되는 효과를 제공받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전압절환스위치(A)를 구성하는 케이스(4)내에 수장되는 조작구(5)에 수납 구동되는 유동접점 단자판(1)을 구성함에 있어서, 도체성 금속박판을 사용하여 양측에 약간의 경사면을 이룬 날개편(2)을 가지게하며 그 중심부 전후변에 하향 직립되게 축소편(3)을 절곡시켜 되는 전압 절환스위치의 유동단자판.
KR790007022U 1979-11-22 1979-11-22 전압 절환 스위치의 유동 단자판 KR8000021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007022U KR800002146Y1 (ko) 1979-11-22 1979-11-22 전압 절환 스위치의 유동 단자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007022U KR800002146Y1 (ko) 1979-11-22 1979-11-22 전압 절환 스위치의 유동 단자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2146Y1 true KR800002146Y1 (ko) 1980-12-27

Family

ID=19214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007022U KR800002146Y1 (ko) 1979-11-22 1979-11-22 전압 절환 스위치의 유동 단자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214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49664Y2 (ko)
KR800002146Y1 (ko) 전압 절환 스위치의 유동 단자판
EP0016550B1 (en) Electrical switch with resilient contact arm
US5717177A (en) Common conducting unit for a contact switch
US4888457A (en) Switch for detecting erroneous erase protection fin of tape cassette
US6051800A (en) Snap action switch
US4052579A (en) Momentary contact switch having pivoting actuator mounted on switch base
US3555228A (en) Contact spring synchronizing switch assembly
JPH0134830Y2 (ko)
KR920003203B1 (ko) 푸시버튼스위치
US3688062A (en) Reversing mechanism of switch
US3482064A (en) Electrical switch having pressure contacts
JPS5922685Y2 (ja) スイツチ
GB2175451A (en) Pushbutton switch
CA1266873A (en) Cammed wire snap switch
JP4375068B2 (ja) 揺動スイッチ
JP3224949B2 (ja) スイッチ装置の端子かしめ構造
KR910002724Y1 (ko) 누름버턴 스위치
KR890000051Y1 (ko) 자동 복귀형 스위치
JPS6327398Y2 (ko)
US3265844A (en) Mercury switch
KR970012844A (ko) 스위치
JPH0447751Y2 (ko)
KR890000052Y1 (ko) 푸시 버튼 스위치
KR0119838Y1 (ko) 밀폐형 전동압축기의 기동장치 스프링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