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816Y1 - 스위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816Y1
KR890004816Y1 KR2019850004880U KR850004880U KR890004816Y1 KR 890004816 Y1 KR890004816 Y1 KR 890004816Y1 KR 2019850004880 U KR2019850004880 U KR 2019850004880U KR 850004880 U KR850004880 U KR 850004880U KR 890004816 Y1 KR890004816 Y1 KR 8900048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il spring
operating body
waf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48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5307U (ko
Inventor
히도끼 오오바
Original Assignee
알프스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filed Critical 알프스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53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53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8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8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2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4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Landscapes

  • Contact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위치
제1도는 본 고안에 관한 스위치의 종단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중의 X-X선에 따른 단면도.
제3도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사시도.
제4도는 종래예의 종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중 코일 스프링과 가동 접점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 11 : 웨이퍼
12, 13 : 고정단자 12a, 13a : 고정단자의 접촉부
14 : 조작체 15 : 비틀림코일 스프링
15a : 아암부 15c : 굴곡기부
15d : 가동접점
본 고안은 스위치, 특히 스프링을 접점으로 사용하고, 그 스프링이 조작체의 복귀수단을 겸하고 있는 형식의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스위치로서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이 알려져 있다. 즉 제4도에서 1은 케이스이며, 2는 이 케이스(1)에 걸어맞추어진 웨이퍼이다. 이 웨이펑(2)에는 그 측벽면과 저면에 고정단자(3)(4)가 고정되어 있다.
또 5는 케이스(1)에 뚫어진 구멍(6)에서 점동자유로히 끼워 맞추어진 푸시레버이며, 이 푸시레버(5)의 하단면에는 스프링 받침(7)을 가진 가동접점(8)이 부착되고, 이 가동접점(8)의 스프링 받침(7)과 고정단자(4)의 접촉부(4a)와의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9)이 탄성 설치되며, 이 코일 스프링(9)은 고정단자(4)와 접촉하는 접점과, 푸시레버(5)의 복귀 수단을 겸용하게 된다.
여기서 푸시레버(5)를 내리누르면 코일스프링(9)의 스프링힘에 저항하면서 가동접점(8)도 내려가고, 그 가동접점(8)의 팽출된 접촉부(8a)가 웨이퍼(2)의 측벽면에 고정된 고정단자(3)의 접촉부(3a)와 접접(摺接)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위치에 의하면, 가동접점(8)의 접촉부(8a)와, 코일 스프링(9)의 고정단자(4)의 접촉부(4a)와의 접점이 되는 끝부까지의 길이(제5도에서 A)가 길기때문에, 코일 스프링(9)과 가동접점(8)의 고유저항이 코일 스프링(9)전체를 포함한 관계로 커지고 접촉저항이 높아지게 된다.
또 코일스프링(9)과 고정단자(4)의 접촉부(4a)는 항상 동일한 부분에서 부동으로 맞닿아 있기 때문에 환경 특성이 떨어지고 부품 수명이 단축되며, 접촉의 안정성이 결여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스프링 재료의 고유저항을 작게하여 접촉저항을 낮게하고, 또 접촉의 안정화를 도모한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케이싱내에 접촉구를 노출시키는 여러개의 고정 단자를 동일 평면상에 병설하고, 코일 스프링은 케이싱내에 회전 자유로히 유지되는 조작체로서 조립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하고, 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일단면을 늘여서, 선단을 조작체의 하단부에 걸어서 아암부를 형성하고 이 아암부를 접점으로 함과 동시에 이 아암부의 기부는 항상 상기 고정 단자의 하나의 접촉부와 접촉하고 아암부의 작동에 의하여 그 접촉이 미끄럼 접촉되는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 본 고안의 실시의 일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중 10은 케이스이며, 11은 이 케이스에 걸어맞우어져 스위치 케이싱을 형성하는 웨이퍼이다. 이 웨이퍼(11)에는 고정단자(12), (13)가 각각의 접촉부(12a)(13a)를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동일한 평면상에 고정 병설된다.
또 케이스(10)내에는 조작체(14)가 회동 자유로히 지지되고 이 조작체(14)는 통상부(14a)와 그 통상부(14a)에 돌설되어 케이스(10)밖으로 선단이 돌출된 조작레버(14b)와, 통상부(14a)의 아래쪽으로 돌설된 작업부(14c)로 구성된다.
조작체(14)의 통상부(14a) 내에는 기단을 케이스(10)의 축벽내면에 걸어멈춘 비틀림 코일 스프링(15)이 설치되고 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15)의 선단은 권좌부(卷座訃)의 거의 중앙에서 굴곡 연장되어 아암부(15a)가 형성되고, 아암부(15a)의 돌출단부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5)의 권심(卷芯)방향으로 굴곡된 걸림부(15b)로 되어 있으며, 이 걸림부(15b)가 상기한 조작체(14)의 작업부(14c)에 걸려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면중 16은 케이스(10)의 측벽내면에 돌설된 스프링 가이드로 되는 축체이다.
비틀림 코일스프링(15)의 아암부(15a)의 굴곡기부(15c)는 항상 고정단자(12)의 접촉부(12a)와 접촉되며 여기서 조작레버(14b)를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이며, 통상부(14a)가 회동하고 이 통상부(14a)의 회동과 함께 작업부(1c)도 회동하고 이 작업부(14c)의 돌출단에 걸려 고정된 비틀림 코일 스프링(15)의 아암부(15a)도 비틀림 코일 스프링(15)의 스프링힘에 저항하여 회동하고, 아암부(15a)의 가동접점부(15d)가 고정단자(13)의 접촉부(13a)와 접접(摺接)하게 된다. 이때 고정단자(12)의 접촉부(12a)와 항상 접촉되어 있는 아암부(15a)의 굴곡기부(15c)에도 비틀림이 발생하고, 그 접촉은 접접이 된다.
이 아암부(15a)의 굴곡기부(15c)와 고정단자(12)의 접촉부(12a)는 서로 미끄러지며 저하기 때문에 내환경 특성이 우수하고 접촉이 안정되고 또 비틀림 코일 스프링(15)의 굴곡기부(15c)와 가동접점(15d)의 사이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B의 길이가 되며 짧아지므로 비틀림 코일 스프링(15)의 고유 저항은 작아지며 접촉저항이 낮아 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시 접촉되어 있는 접점 사이에 접동이 생김으로써 접촉의 안정성이 향상되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고유 저항이 작아서 접촉저항이 낮고, 가볍게 조작할 수가 있도록 된다.

Claims (1)

  1. 케이스와 이 케이스에 걸어맞춘 웨이퍼와, 이 웨퍼에 복수개의 접촉부가 노출되도록 매설한 고정단자와, 케이싱내에 회동 자유로히 유지되는 조작체와 이 조작체의 복귀수단과 접점부를 겸하는 코일 스프링을 가진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의 접촉부는 웨이퍼의 동일 평면상에 병설된 접촉면으로 구성되고, 또 상기 코일 스프링은 조작체의 통상부내에 그 기단을 케이스의 측벽 내면에 걸어멈추도록 설치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선단은 권좌부(卷座訃)의 대략 중앙에서 굴곡 연신되어 아암을 형성하고, 이 아암부의 돌출단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권심방향으로 굴곡되어 걸림부를 구성하고, 이 걸림부가 상기 조작체의 하단에 걸려 고정되어, 아암부의 기부 및 선단부가 상기 웨이퍼의 동일 평면상에 병설된 접촉면에 접촉되는 접점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KR2019850004880U 1984-10-16 1985-01-29 스위치 KR89000481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151684 1984-10-16
JP1984156184U JPS6171934U (ko) 1984-10-16 1984-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5307U KR860005307U (ko) 1986-05-10
KR890004816Y1 true KR890004816Y1 (ko) 1989-07-20

Family

ID=30714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4880U KR890004816Y1 (ko) 1984-10-16 1985-01-29 스위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171934U (ko)
KR (1) KR89000481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5582Y2 (ja) * 1990-07-18 1998-03-1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レバースイッチ
JP5056977B1 (ja) * 2011-12-15 2012-10-24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ンタクト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171934U (ko) 1986-05-16
KR860005307U (ko) 198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66559A (en) Circuit controller
US2417169A (en) Snap switch
US4147908A (en) Electric switches
GB2108320A (en) Miniature multistage rotary electric switch
KR890004816Y1 (ko) 스위치
US3996433A (en) Lever switch structure
US4789764A (en) Pushbutton switch with resilient extensible pivotable contact element
EP0016550A1 (en) Electrical switch with resilient contact arm
US4144428A (en) Electrical switch with leaf spring switching element
US4524253A (en) Three position switch construction
US3931487A (en) Electric momentary action push-button switch
US4326108A (en) Hook switch for telephone instruments
US5973284A (en) Push button switch assembly with snap action movable bridging contact
US2918544A (en) Snap switches
US4052579A (en) Momentary contact switch having pivoting actuator mounted on switch base
US3120590A (en) Snap action switch
US3487184A (en) Overtravel mechanism for snap-action switch
US4788388A (en) Snap acting switches
US3200227A (en) Carrier frame for movable contact and combination thereof with snap acting switch
CA1147783A (en) Snap action switches
US4072839A (en) Slide switch type assembly having two part housing
US4605830A (en) Cammed wire snap switch
US4504712A (en) Plunger switch with pivoted actuator
JPS5922685Y2 (ja) スイツチ
US2853573A (en) Snap-action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