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1676B1 - N-(벤젠술포닐)카르바메이트 제초제해독 조성물 - Google Patents

N-(벤젠술포닐)카르바메이트 제초제해독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1676B1
KR800001676B1 KR7602573A KR760002573A KR800001676B1 KR 800001676 B1 KR800001676 B1 KR 800001676B1 KR 7602573 A KR7602573 A KR 7602573A KR 760002573 A KR760002573 A KR 760002573A KR 800001676 B1 KR800001676 B1 KR 800001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atoms
herbicide
soil
compound
detox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602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커스 팰로스 페넨크
제레미아 가우한 에드문드
Original Assignee
에이치. 오. 토마스
스타우퍼 케미칼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 오. 토마스, 스타우퍼 케미칼 캄파니 filed Critical 에이치. 오. 토마스
Priority to KR7602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16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1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16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2Ingredient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substance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e.g. toxicity reducing compositions, self-destructing composi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N-(벤젠술포닐)카르바메이트 제초제해독 조성물
본원 발명은 티오카르바메이트 제초제와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N-(벤젠술포닐)카르바메이트 해독제화합물을, 티오카르바메이트제초제의 각 중량부당 해독제화합물 약 0.001∼30중량부의 조성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이루어지는 N-(벤젠술포닐)티오카르바메이트 제초제해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X는 수소, 취소, 염소, 클로로, 메톡시, 트리플루오로메틸 및 메틸이고, n은 1에서 3까지의 정수인데 단, X가 취소,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메톡시일 때는 n은 1이며, R은, 1개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3개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할로알케닐(여기서 할로는 1내지 4까지의 염소임), 3개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키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도메틸, 도합 2개 내지 8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디알킬아미노, 도합 3개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시아노알킬티오알킬, 포스프노메틸, 저알킬치환레닐(여기서 저알킬은 각각 1개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가진것임), 4-클로로 페닐티오메틸, 2개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콕시알킬, 2개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티오알킬, 2개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시아노알킬, 3개 내지 7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콕시카아보닐알킬, 2개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포름아미도알킬, 4개 내지 7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콕시카아보닐알케닐, 3개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카아보닐알킬, 1,3-디옥사시클로헥산-5,5-메틸 메틸렌, 페닐, 시클로로페닐, 벤질, 4-클로로벤, 4-질메톡시벤질, 3-피리딜메틸, 펜옥시에틸, 3-페닐푸로핀-2-일, 메틸티오아세트이미노아세톤이미노 그리고 벤잘디미노에서 선택된다.
많은 제조체가 다수의 잡초식물에 대하여 직각적인 독성을 나타내는데, 그들의 대다수는 중요한 재배식물에 대하여 그 독성작용에 있어 선택적인 것이 전혀 못되거나, 또는 선택성이 적당한 것이 못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리하여 많은 제초제들이 제어 대상인 잡초에 대하여 상해를 줄뿐만 아니고, 귀중한 농작물에 대하여도 어느 정도의 상해를 주고 있는 것인데, 이는 현재 상업적 성과를 거두어 시판되고 있는, 트리아진계(系), 요소유도체계, 할로겐화 아세트아닐리이드계, 카르바메이트, 티오카르바메이트 등의 제조체들에게 모두 해당되는 사실이다.
이와 같은 제초제에 관한 몇가지 예를 미국특허 제2,913,327호, 제3,307,853호, 제3,175,897호, 제3,185,720호, 제3,198,786호, 및 제3,582,314호에서 설명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각종 제조체의 재배 농작물에 대한 부작용은 곤난하고 귀찮은 문제를 야기한다. 즉, 광엽종(廣葉種) 잡초를 제어하기에 필요한 지시 용량을 토양에 적용하였을 때에는 재배농작물에 심한 기형(奇形)이나, 성장장해를 가져오는 일이 흔히 있다. 이와 같은 야기된 농작물의 비정상적인 성장은 당연히 농작물 산출량에 손실을 가져온다. 따라서 그 제초작용이 선택적인 좋은 제초제의 개발을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고저 종전에 있어서 농작물 종자를 파종전에 어떤 “호르몬상의” 길항제(拮抗濟)로 처리하는 것을 시도한 바 있다. (미국특허 제3,131,509호 및 제3,564,784호 참조). 그러나 이와 같은 종전기술에 있어서의 보호제나 제초제의 작용은 대부분 특정의 농작물에 한정되어 있고, 그리고 길항제는 상기한 바 의도에 크게 성공적인 것이 못되었다.
본원발명의 목적은, 상기 특허에서나 종전 기술에 있어 기재 또는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과는 달리, 종전기술의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는 신규제초제 해독조성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즉, 본원발명에 의한 신규 제초제 해독제는, 토양에 가해줌으로써, 단독 또는 다른 화합물과 조합한 티오카르바메이트 제초제의 제초제로 인한상해로부터 재배식물을 보호할뿐 아니라 또한 이들 제조제에 대한 재배식물의 내약력(耐藥力)을 크게 증대시켜주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일반식을 가지고 있다.
Figure kpo00002
식중, X는 수소, 취소, 염소, 메톡시, 트리플루오로메틸 및 메틸이고; n은 1에서 3까지의 정수인데, 단, X가 취소,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메톡시일 때는 n이 1이며, R은, 1개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3개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할로알케닐(여기서 할로는 1내지 4까지의 염소임), 3개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케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도메틸, 도합 2개 내지 8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디알킬아미노, 도합 3개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시아노알킬티오알킬, 포스포노메틸, 저(低) 알킬치환페닐(여기서 저알킬은 각각 1개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가진것임) 4-클로로페닐티오메틸, 2개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콕시알킬, 2개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티오알킬, 2개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시아노알킬, 3개 내지 7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콕시카아보닐알킬, 2개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포름아미도알킬, 4개 내지 7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콕시카아보닐알케닐, 6개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카아보닐알킬, 1,3-디옥사시클로헥산-5,5-메틸 메틸렌, 페닐, 시클로로페닐, 벤질, 4-클로로벤질, 4-메톡시벤질, 3-피리딜메틸, 펜옥시에틸, 3-페닐푸로핀-2-일, 메틸티오아세트아미노, 아세톤 아미노 그리고 벤잘디미노에서 선택된다.
여기에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한 또 하나의 신규제초제 해독화합물은 다음 일반식을 갖는다.
Figure kpo00003
식중, X는 수소, 취소, 염소, 메톡시, 트리플루오로메틸 및 메틸이고, n은 1에서 3까지의 정수인데 단, X가 취소,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메톡시일경우는 n이 1이며, R은, 2개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할로알킬(여기서 할로는 1에서 6까지의 불소 또는 염소임), 3개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할로알케닐(여기서 할로는 1에서 4까지의 염소임), 도합 2개 내지 8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디알킬아미노, 도합 3개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시아노알킬티오알킬, 포스포노메틸, 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도메틸, 저(低)알킬치환페닐(저알킬은 각각 1개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갖인 것), 4-클로로페닐티오메틸, 2개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콕시알킬, 2개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티오알킬, 2개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시아노알킬, 2개 내지 7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콕시카아보닐알킬, 2개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포름아미도알킬, 4개 내지 7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콕시카아보닐알케닐, 3개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카아보닐알킬, 1,3-디옥사시클로헥산-5, 5-메틸 메틸렌, 클로로페닐, 4-클로로벤질, 4-메톡시벤질, 3-피리딜메틸, 펜옥시에틸, 3-페닐푸로핀-2-일, 메틸티오아세트이미노, 아세톤이미노, 그리고 벤잘디미노에서 선택된다. 그런데 단, X가 트티플루오로메틸일이고, n이 1인 경우에는, R이, 1개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3개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케닐 및 3개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키닐일 수도 있다.
상기한 바에서, 여러 가지 치환분 그루우프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즉 R에 대한 할로알킬로서는 탄소원자 1개 내지 6개를 갖는 직쇄 및 분지쇄(分枝鎖)배치를 가진 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할로”라 함은 모노, 디, 트리, 테트라 또는 헥사 치환분, 즉 1에서 6까지의 할로치환분으로서의 염소, 취소, 및 불소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알킬부분의 적합한 예를 들면, 메틸, 에틸, n-푸로필, 이소푸로필, n-부틸, 제2-부틸, 이소부틸 및 제3-부틸 등이 있다. 또한 R에 대한 알케닐로서는 3개에서 6개까지의 탄소원자를 갖고, 예를들어 푸로파길(푸로피닐), 2-부티닐, 3-디메틸, 1,1-디메틸-3-부틸등과 같이 최소한 1개의 아세틸렌 또는 3중결합을 갖인 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로로알케닐로서는 3개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고 최소한 1개의 오레핀 2중결합을 갖는 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밖의 치환그루우프는 상기한 바에서 탄소원자 함유량이 표시하는 바와 같다.
본원발명에 의한 이와 같은 해독화합물이 갖일 수 있는 작용형태의 하나로서, 티오카르바메이트제초제 및 기타 제초제의 통상적인 제초작용에 간섭하여 그들의 작용을 선택적인 것으로 해준다. 즉 나타나는 작용형이 그 어떤 형이든, 그것이 티오카르바메이트가 지니는 제초독성을 원하는 재배식물에 대하여는 저감해 가면서도 잡초에 대해서는 소망의 제초효과를 기대한 대로 지속해 간다는 유익하고도 바람직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며, 이러한 이득과 신규효과를 더욱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초제해독제 또는 해독량이라함은, 제초제가 초래할 수 있는 통상적인 유해한 제초반응에 대항하는 효과를 뜻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것이 나타내는 특정효과의 형에 따라서 교정제, 간섭제, 보호제 등으로 가려서 불리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해독조성물은 그 작용형은 다를지라도 재배식물이 파종되는 토양을 처리한 효과를 언제나 바람직한 것이라야 하는데, 이제까지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켜주는 조성물은 없었다.
본 원발명에 의한 N-벤젠술포닐카브라메이트 해독화합물은 적당한 벤젠술폰아미드를 탄산칼륨등의 촉매의 존재하에, 알킬클로로포름에이트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다. 그런데 이 반응을 촉진시키고 생성물의 형성을 돕기 위해 통상적으로 용제를 사용한다. 여과 후 추출 및 건조하여 생성물을 회수하고, 헥산과 함께 마쇄하든지, 적당한 용제로부터 재결정시킴으로써 더욱 정제할 수 있다. 어느 경우나, 구조는 적외선, 핵자기공명 또는 질량분식에 의해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의한 해독화합물과 그 제조방법을 다음에 기술하는 실시예에 더욱 상세히 예시하겠다. 그리고 실시예에 이어 본원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화합물을 표로 하여 제시한다. 표에 기재된 화합물번호는 본원 명세서 전반에 걸쳐 동일 확인용으로 사용된다.
[실시예 1]
2-부틴-1-일 P-톨루엔술포닐 카르바메이트의 제법
25ml의 클로로포름에 2-부틴-1-올 1.75g(0.025몰)을 용해된 용액에 4.9g(0.025몰)의 P-톨루엔술포닐 이소시아네이트를 서서히 첨가함에 의하여 발열반응이 일어났다. 이 반응 생성물은 용제를 증발시켜 제거 함으로써 6.4g의 표제화합물이 얻어졌다. 융점, 85∼90℃
[실시예 2]
2-브로모푸로필 P-톨루엔술포닐카르바메이트의 제법
실시예 1과 동일한 절차로 25ml의 클로로포름에 용해된 2-브로모-1-푸로파놀 3.4g(0.025몰)을 4.9g(0.025몰)의 P-톨루엔술포닐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킨 후 같은 조작으로 용제를 제거함에 의하여 8.4g의 표제화합물이 얻어졌다.
Figure kpo00004
1.5375
[실시예 3]
헥사플루오로이소푸로필 P-톨루엔술포닐카르바메이트의 제법.
실시예 1과 같은 절차로 25ml의 클로로포름내의 sym-헥사플루오로 이소푸로판올 4.2g과 4.9g(0.025몰)의 P-톨루엔술포닐이소시아네이트를 촉매로서 트리에틸아민 두방울과 함께 반응시켰다. 같은 조작으로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표제화합물이 8.9g의 수량으로 얻어졌다. 융점 69∼75℃
[실시예 4]
N-(P-클로로벤젠술포닐)-푸로파길 카르바메이트의 제법.
20ml의 벤젠에 1.7g(0.03몰)의 푸로파길알코올을 용해한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한방울과 디부틸 틴 디라우레이트 한방울을 함유시키고 이에, 25ml의 벤젠에 6.5g(0.03몰)의 P-클로로벤젠술포닐 이소시아네이트를 용해한 용액을 첨가하였다. 발열적인 반응이 일어났으며 온도가 30℃까지 오르게 방치하였다가, 반응 혼합물을 수시간 동안 실온으로 교반해주고, 침전고형물을 여과하고 소량의 헥산으로 세척하여 건조하여 건조시킴으로써, 표제화합물이 8.0g(이론값의 98%)의 수량으로 얻어졌다. 융점, 106∼1080℃ 정제된 시료는 120.5∼121℃에 융해되었다. 구조는 적외선, 핵자기 공명 및 질량분석에 의해 되었다.
[실시예 5]
N-(P-클로로벤젠술포닐)-에틸카르바메이트의 제법
P-클로로벤젠술폰아미드(6.1g, 0.032몰), 탄산칼륨(10.8g, 0.078몰)과 에틸 클로로포름에이트(3.7g, 0.034몰)을 40ml의 아세톤에 용해하여 이 용액을 교반하고 2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가열하는 동안에 혼합물이 농후해졌으며 이를 다시 30ml의 아세톤으로 희석하였다. 냉각한 혼합물을 150ml의 물속에 주입하고 설라이트(celite)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액을 냉각과 더불어 염산으로 산성화(pH 값 약 2)하고, 생성물을 벤젠으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켰다. 용제를 제거함으로써 표제화합물이 고형물로서 5.5g의 수량(이론값의 65%)으로 얻어졌다. 융점, 85-90℃, 구조는 적외선 분광분석에 의해 확인되었다.
[실시예 6]
N-(P-메톡시벤젠술포닐)-에틸카르바메이트의 제법.
P-메톡시벤젠술폰아미드(5.0g, 0.032몰), 탄산칼륨(10.8g, 0.078몰)과 에틸클로로포름에이트(3.7g, 0.034몰)를 40ml의 아세톤에 용해하여 2시간 반 동안 환류시켰다. 생성물을 실시예 5와 같이 조작함으로써 표제의 화합물이 수량 3.9g (이론값의 47%)로 얻어졌다. 융점, 110∼116℃
상기 절차에 의하여 만들어진 본원발명에 의한 신규 제초제해독화합물을 다음 제1표에 제시한다.
이표에 사용된 화합물 번호는 동일확인용으로 본원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된다.
[제1표]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Figure kpo00008
* 구조는 적외선 또는 핵자기공명 분광분석에 의해 확인되었다.
상기표나 그외에 제시된 제초제는 원치않는 잡식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비율로 사용되는 것인데, 본원 발명에 사용된 비율범위는 제초제 제조자에 의해 제시된 적량범위내에서 소정의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개개에 있어서의 잡초억제는 용도에 다른 적량범위내에서 상업적인 적합성을 가지고 있다.
본원발명에 있어 설명되고 또 예시된 제초제류는 이와 같은 작용을 효과적으로 나타내는 특징을 구비한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제초작용도는 각 특정의 화합물 또는 동족류간의 특정화합물과의 배합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고, 또한 특정의 제초제 화합물이나 그들 배합물이 사용되는 식물종류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그러므로 원치 않는 식물종류를 억제하기 위한 특정제초 화합물 또는 그들 배합물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본원발명에 의하면 특정화합물 또는 그들의 배합물의 존재하에 있는 소망하는 재배식물체가 입게될 상해를 막을 수 있다. 더욱이 본원발명의 조성물에 의하여 보호될 재배식물체종류는 여기에 기재된 실시예나 시험에 사용된 특정식물체네 국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본원 발명의 용도에 사용된 제초화합물은 모두 일반형을 갖인 활성 티오카르바메이트제초제물이다. 다시말하여 이 부류의 것들은 필요, 불필요식물의 구별없이 광범위의 식물류에 대하여 제초효과를 가진다. 잡식물체 억제방법은 소망의 어느 지역이나 식물식지에 여기 기술된 제초화합물의 량을 적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본원발명에 의한 제초제 해독조성물은 상기한 해독화합물을 포함하고 또 이것과 함께 사용될 바람직한 활성제초 화합물은 티오카르바 메이트계 제초제로부터 선택되는데, 그 대표적인 것을 예를들면, S-에틸 디푸로필티오카르바메이트, S-에틸 디이소부틸 티오카르바메이트, S-푸로필디-n-푸로필티오카르바메이트, S-에틸시클로헥실 에틸티오카르바메이트, S-에틸헥사히드로-1H-아제핀-1-카아보티오에이트, 2,3,3-트리클로로알릴-N,N-디이소푸로필 티오카르바메이트, S-이소푸로필-1-(5-에틸-2-메틸피페리딘)카아보티오에이트등인데 이들 단독이나 배합으로하고, 또 트리아진류와 같은 다른 계통의 제초제 예컨대 2-클로로-4-에틸아미노-6-이소푸로필아미노-S-트리아진, 2-클로로-4, 6-비스(에틸아미노)-3-트리아진, 2(4-클로로-6-에틸아민-S-트리아진-2-일아미노)-2-메틸푸로피오니트릴, 2클로로-4-시클로푸로필아미노-6-이소푸로필아미노-S-트리아진등을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원명세서에서 제초제라함은 식물체의 성장을 억제 또는 변태시키는 작용을 가진 화합물을 뜻한다. 이러한 억제 또는 변경작용효과는 식물체의 자연적 성장으로 부터의 모든 일탈, 즉 살멸, 저지, 탈염, 탈수, 규제, 위축, 기형, 자극, 왜소화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여기서 식물체라함은 발아하는 싹, 묘 및 뿌리와 지상부를 포함하여 정착된 식물체를 의미한다.
평가절차
재배식물과 잡초식물을 심어 자라게할 재배함에 로움질 사양토를 채우고, 제초제와 해독제의 원액을 다음과 같이하여 마련하였다.
A. 제초제
S-n-푸로필 N,N-디-n-푸로필 티오카르바메이트-VERNAM6E
Figure kpo00009
-1560mg의 VERNAM6E를 250ml의 물로 희석함으로써 재배함의 토양표면적에 적용한 5ml가 에이커당 61b 적용과 동등하게 하였다.
B. 해독제
시험 대상 각 해독화합물 78mg을 1% Tween20
Figure kpo00010
(폴리옥사에틸렌소르비탄모노우테이트)과 함께 아세톤 20ml에 용해함으로써 파종전처리(PPI)로 적용하는 각 재배함당 5ml가 51b/A에 동등케하였다.
상기 제초화합물과 해독화합물을 함께 탱크혼합함으로서 파종전처리로 토양에 적용하였다. 즉 5ml의 VERNAM
Figure kpo00011
원액과 5ml의 각 해독화합물원액을 먼저 탱크에 넣어 회전혼합한후-회전믹서내에서 혼합되는 동안에 재배 함로양내의 토양속으로 혼합되었다.
이와 같이 토양을 처리한 재배함에 다음의 작물과 잡초를 한줄씩 파종하였다.
수 초 (Echinochloa crusgali), 뚝새풀(Satria viridis), 콩 (Glycine max)
상기 재배함을 온실의 묘판상위에 놓아 실내온도를 70∼90℉로 유기해 주고 식물체의 성장에 필요한 충분한 량의 물을 뿌려주었다. 상해도를 처리한 2주후 및 4주후에 측정하였는데, 제초제만으로 처리된 별개 재배함도 같이 놓아 제초제해독 조성물이 부여하는 상해저감도를 비교하는 기준으로 사용하였다.
다음 제2표는 상기한 시험 절차 결과를 작물에 대한 보호퍼센트로 표시하는 것인데, 보호퍼센트는 본원 발명에 의한 해독화합물로 처리 되지 아니한 재배함의 경우와 비교해서 결정한 것이다.
[제2표]
Figure kpo00012
종자처리시험.
재배함에 펠톤로움질 사양토를 채우고, 제초제 처리된 사양토로 사용하였다. 즉 각 재배함에 담긴 사양토를 5갈론 시멘트 믹서에 넣고, 125ml의 물중에 약 75퍼센트의 활성성분 780ml을 함유하는 원액을 소정량 적용하면서 혼합하는데, 원액 5ml를 피펫트용량계로 토양에 적용한다. 이 원액 5ml는 재배함내의 토양에 적용될시에 에이커당 6파운드에 동등하게 제초제를 함유하는 것이다. 이렇게 제초제 처리된 후 토양을 각 재배함에 돌려 넣어 준다.
제초제처리된 토양함과 미처리토양함은 이제 각각 파종케 되는 데 먼저 각 재배함에서 1파인트 샘플토양을 따라 옮겨두었다가 파종종자를 덮는데 한다. 토양면을 고루게한 후에 반인치 깊이로 골을 친다. 여기에 처리된 작물종자와 미처리된 종자를 번갈아서 파종한다. 각 시험마다 한골에 콩(Glycine max)을 파종한다. 골은 약 1인치반의 간격으로 하고, 시험대상화합물 250mg을 아세톤 2.5ml에 용해함으로서 원액을 마련하여 이 원액 0.5ml로서 콩종자 10g(0.5퍼센트 W/W에 해당)을 처리한 것으로 파종해 준다. 그런데 해독 화합물은 액상슬러리, 분말 또는 미립자의 형태로 적용할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종자에 더욱 효과적으로 적용되게 하기 위하여 분말 또는 고형체 해독화합물을 아세톤에 용해하여 사용한다.
재배함에 파종한후 미리 따로 옮겨두었든 1파일트 샘플토양으로 종자를 덮어준다. 그리고나서 재배함을 온실의 묘판상위에 놓고, 온도를 70∼90℃의 범위로 유지해 주고, 잘 잘아나는데 필요한 만큼의 물을 뿌려준다. 처리한 4주후에 제어퍼센트를 특정한다.
각 시험마다, 제초제 단독처리된 것, 종자보호화합물과 함께 처리된 것 및 보호화합물 단독처리된 것을 모두 포함시켜 제초독성을 알아본다. 그리고 미처리 골파종부분은 해독화합물의 유익한 작용이 토양을 통해 횡적이동 하는지를 알아보는데 사용한다. 효과도는 대조재배함과 비교하여 나타낸다.
상기한 종자처리 시험에 있어서 S-n-푸로필-N,N-디-푸로필티오카르바메이트와 함께 적용한 해독화합물번호 17은 처리된 콩종자에 대해 보호율 50%를 보였다. 이 사실은 다시말해서 티오카르바메이트제초제를 함유하는 토양에서 자란 미처리종자의 경우에 비해 해독화합물번호 17로 처리된 종자의 경우는 제초 제독성으로 인한 상해도가 적어도 50%저감되었다는 것이다.
평가절차 및 그 방법
재배식물과 잡초식물을 심어 자라게할 재배함에 로움질 사양토를 채우고, 제초제와 해독제를 예를들어, 1) 제초제와 해독제를 개별적으로 파종전에 적용하는 방법과, 2) 제초제와 해독제를 함께 탱크내에서 섞어 적용하는 등 여러 가지 방식으로 적용한다. 제초제와 해독제의 유효량으로 처리된 토양에 파종하는 파종전 처리와 또 제초제처리된 토양에 파종하기 전에 종자를 대상 해독제로 처리하는 방법이 있다.
대표적인 티오카르바메이트계 제초제와 시험대상 해독제의 원액들은 다음과 같이 조제하였다.
제초제
C. S-푸리필 디-n-푸로필 티오카르바메이트-EPTC-EPTAM
Figure kpo00013
6E-260mg을 물 200ml에 용해함으로써, 재배함에 적용한 4ml가 실제 에이커당 물 80gal에 적용한 1lb와 동등하고 또 3ml가 에이커당 0.751b와 동등케 하였다.
D. S-이소푸로필 1-(5-에틸-2-메틸-피페리딘)카아보티오에이트(R-12001)390mg을 1% Tween20
Figure kpo00014
을 함유하는 200ml의 아세톤에 용해하든지, 또는 975ml을 250ml의 아세톤에 용해 함으로써 재배함에 적용되는 용액 5ml가 에이커당 2lb 적용과 동등하고 6ml가 에이커당 6lb 적용과 동등케 하였다.
E. S-에틸 디-이소부틸 티오 카르바메이트-SUTAN6E 또는 S-에틸시클로헥실 에틸티오카르바메이트-RONEET
Figure kpo00015
6E 520mg을 물 200ml에 용해함으로써 재배함에 적용한 4ml가 에이커당 물 80gal에 용해한 2lb 적용과 동등케 하였다. 그리고, 에이커당 6lb 또는 12lb 적용으로서는, 1300mg 또는 26mg을 물 250ml에 용해함으로서 재배함적용 6ml가 각각 소망의 에이커당 적용량과 동등케하였다.
F. 2,3,3-트리클로로알킬 N,N-디이소푸로필 티오카르바메이트-AVADEXBW
Figure kpo00016
4E 1219mg을 증류수 300ml에 용해함으로써 함적용 6ml가 실제토양 에이커당 3lb 적용과 동등케 하였다.
G. S-에틸 헥사히드로-1H-아제핀-1-카르보티오에이트-ORDRAM
Figure kpo00017
8E 857mg를 물 250ml에 용해함으로써 함적용 5ml가 실제토양 에이커당 4lb 적용과 동등케하고, 2.5ml가 에이커당 2lb/A 적용과 동등케하였다.
해독제
H. 시험대상 각 해독화합물의 활성성분 250mg을 1% Tween 20
Figure kpo00018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함유의 아세톤 2.5ml에 용해함으로써 종자 10g 당의 용액 0.5ml가 1/2%W/W 1/4% 종자처리로서는, 0.25ml를 아세톤 0.25ml로 희석함으로써 종자 10g 당의 0.5ml 적용이 1/4%W/W와 동등하게 하였다. 이 용액을 종자처리절차에 적용하는데 예를 들어 0.10%적용으로는 0.1ml를 0.4ml의 아세톤으로 희석하는 식으로 하여 각종량으로 적용하였다.
I. 골처리방식에 적용한 시험대상 각 해독화합물의 할성성분 95mg을 1% Tween 20
Figure kpo00019
을 함유한 아세톤 15ml에 용해함으로써, 재배함의 절반에 걸쳐 종자와 토양에 적용되는 1.5ml가 에이커당 5lb 적용과 동등케 하였고, 에이커당 1.0lb 적용으로서는 0.3ml를 1.2ml의 아세톤에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J. 파종전 “탱크혼합”에 적용될 시험대상 각 해독화합물의 활성성분 39mg을 1% Tween 20
Figure kpo00020
을 함유한 아세톤 10ml에 용해함으로서, 함에 적용되는 5ml가 에이커당 5lb 적용과 동등케 하였다. 상기한 원액을 해독조성물의 골처리에 사용하였는데, 그 준비단계로 각 재배함에서 1파인트의 토양샘플을 후에 파종 종자를 덮기 위해 따라 해두고, 토양을 파종에 앞서 고루어 놓는다. 제초제 원액은 파종전 처리로서 1lb/A에 해당되는 활성성분 비율 또는 상기 명시된 비율로 토양에 적용하였다.
다음에 파종공을 재배함의 길이 방향으로 1/4인치 깊이로 친다. 파종후에 나무 토막 간막이로 재배함을 2구분하고, 그 한구분에 1-1/2ml의 첨가원액(Ⅰ)을 노출된 종자와 곁에 직접 분무해 준다. 재배함의 미처리 구분은 제초제의 영향검사와 해독조성물의 횡적이행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사용키로 하고, 종자를 앞서 따로 해둔 1파인트 토양샘플로 덮어준다.
발아전의 표면 처리 또는 이식전 함침처리로 적용되는 탱크혼합절차에는 다음과 같은 원액을 사용한다.
즉, 제초제 원액(A) 또는 (C) 5ml를 각각 해독제 원액(J)의 5ml와 혼합함으로써 제초제와 해독제가 1lb/A와 5lb/A의 비율로 각 재배함의 토양에 적용되게 하였다. 이식전 적용으로서는 혼합 원액을 5갈론 회전 믹서에 의한 처리시에 주입해주었다. 기타 원액은 탱크혼합절차에 명시한 비율로 적용한다.
종자처리로서는, 적당한 용기에 종자 10g을 넣어 0.5ml의 해독제원액(H) 또는 기타 원액의 명시된 양과 함께 흔들어서 0.05%W/W 0.25%W/W, 0.125W/W 또는 0.1%W/W에 해당되게 종자처리하였다. 처리 용액이 종자에 균질적으로 피복될 때까지 용기를 잘 흔들어 준다. 해독화합물은 경우에 따라 액상슬러리나 분말 또는 미분처리로 적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처리된 종자를 제초제 원액을 1lb/A에 해당되는 활성성분 비율로 적용함으로써 파종전 처리된 토양에 파종해 주었다. 이제 재배함을 온실의 묘판상 위에 놓아 실내 온도를 70-90°℉로 유지해주고, 식물체의 성장에 필요한 만큼의 물을 뿌려주었다.
상해도를 처리한 2주후, 4주후에 측정하였는데, 제초제만으로 처리된 별개 재배함도 같이 놓아 제초활성 해독조성물이 부여하는 상해 저감도를 비교하는 기준으로 사용하였다. 이러한 시험 결과를 제3표에 계시한다.
[제3표]
Figure kpo00021
Figure kpo00022
Figure kpo00023
Figure kpo00024
Figure kpo00025
Figure kpo00026
Figure kpo00027
Figure kpo00028
Figure kpo00029
Figure kpo00030
Figure kpo00031
Figure kpo00032
Figure kpo00033
Figure kpo00034
Figure kpo00035
각종 잡초를 작물과 함께 시험한 결과 잡초제어와 동시에, 제초제만이 적용된 경우에 비해 작물이 제초독성으로 인한 상해도가 저감되고 보호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다음 제4표로 제시한다.
[제4표]
Figure kpo00036
Figure kpo00037
Figure kpo00038
본원 발명에 의한 화합물 또는 조성물은, 전술한 해독제와 티오카아바메이트 제초제와 혼합함으로써 효과적인 제초 조성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농작물을 보호하기 위한 본원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제초 활성화합물과 전술한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해독제로 구성되는데, 이와 같은 제초제와 해독제의 조성물은 제초활성제와 해독제를 적당한 담체 및/또는 기타 분산 매간과 경우에 따라 분산제 또는 용제와 함께 철저한 혼합 및 분쇄 등의 종래 방법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의한 해독제는 용도에 편리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즉, 해독제는 유화액상물, 유화농축물, 액상물, 습성분말, 분말, 과립체 또는 기타 편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식물체에 독성을 주지 않을 만큼의 양의 제초제 해독 화합물을 편리한 형태로 선택한 제초제에 첨가하여서 파종전이나 파종 후에 토양에 혼합할 수 있다. 그런데, 제초제를 먼저 토양에 혼합하고, 그 후에 해독제를 토양에 혼합할 수 있다는 점도 지적해 두어야 하겠다. 더욱이 재배식물의 종자 자체를 본원 발명에 의한 조성물을 식물체에 독성을 주지 않을 만큼의 양으로 처리하고 나서 제초 처리된 토양의 파종할 수도 있거니와 제초제 미처리의 토양에 파종하고 난 후 토양을 제초제로 처리하여도 되는 것이다. 여기서 특기하여야 할 것은 본원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첨가는 제초제의 제초작용에 하등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는 점이다.
본원 발명에 의한 해독제의 사용량은 제초제가 중량부당 약 0.0001에서 약 30중량부의 범위내가 된다. 그러나 해독제의 정확한 사용량은 보통 용도에 가장 효과적인 양에 대한 경제적인 비율에 의거하여 결정되는데, 소망의 재배식물에 독성을 주지 않을 만큼의 양으로 상기 해독제가 제초제에 적용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라 제초제와 그 해독화합물을 함께 적용한 결과 토양의 조성이 이상적으로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적용 후의 토양은 잡초를 소망대로 제어해 주면서 작물은 제초독성으로부터 보호함으로써 잘 자라게 해준다. 즉, 제초제는 제초제로서의 유용성을 그대로 발휘하게 되고, 해독화합물은 이것이 적용되지 않을 경우에 입게 되는 제초독성으로부터 작물을 보호하는 작용을 하면서 서로가 그 유용성에 상극되는 일이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신규 제초시스템의 실제 적용에 있어서는, 먼저 파종할 토양을 제초제 처리하고, 여기에 본원 발명에 의한 해독화합물도 발아전 표면 처리한 종자를 파종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원 발명에 의한 해독화합물은 종자가 발아 후 제초제 독성으로부터 입게 되는 상해도를 저감시키는데 신규하고 유용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콩류 평가 시험
본원 명세서에 밝힌 본원 발명에 의한 해독화합물의 여러 가지를 콩과(豆科)의 작물에 대한 상해도 저감작용에 관해 시험해 보았다. 여기서 “두과식물(legumes)”라고 발는 것은 질소 고정 미생물과 공생(共生)관과에 있는 식물들을 말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콩, 땅콩, 자주개자리, 완두 클로우버 등이다.
이와 같은 “두과식물”에 대한 제초독성 저감작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대표적인 티오카르바메이트 제초제, EPTAN
Figure kpo00039
(EPTC), S-에틸디-n-푸로필 티오카르바메이트와 상술한 해독화합물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시험하였다.
각종 식용콩 및 완두콩을 시험하였는데 해독제는 1 및 2lb/A의 사용률로 파종전 적용과 EPTC와 함께 사용율 61l/A로 하종전 탱크 혼합 적용하였다.
원액의 조제
해독제 : 시험대상 각 화합물 39mg을 25ml의 아세톤에 용해함으로써 그 2.5ml가 실제 에이커당 1lb 파종전 적용률과 동등하게 하였다.
제초제 : EPTAM
Figure kpo00040
6E : 1560mg을 250ml의 물에 용해함으로써 그 5ml가 에이커당 6lb 파종전 적용율과 동등하게 하였다.
시험대상 두과식물로서는, 흰 강남콩(내이비비인, NB), 강남콩(키드니비인, KB) 얼국콩(핀로 비인, PB) 및 완두(Pisum sativum L,)을 사용하고, 잡초로서는 수초(WG) 및 뚝새풀(FT)를 시험에 포물시켰다. 그 결과를 다음 제5표로 제시한다.
[제5표]
Figure kpo00041
위 제5표에서 보듯이 에이커당 2파운드 사용률에 있어 화합물 번호 3은 강남콩(KB)에 대해 보호율 100%를 나타내었고, 화합물 번호 28은 에이커당 2파운드 사용률에 있어 보호율 50%를 보였다. 완두에 대한 상해율은 화합물 번호 28의 경우 에이커당 2파운드 사용율에 있어 37.5%로 저감되었다.

Claims (1)

  1. 본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티오카르바메이트 제초제와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N-(벤젠술포닐) 카르바메이트 해독제화합물을, 티오카르바메이트 제초제의 각 중량부당 해독제화합물 약 0.001∼30중량부의 조성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이루어지는 N-(벤젠술포닐) 티오카르바메이트 제초제 해독 조성물.
    Figure kpo00042
    식중, X는 수소, 취소, 염소, 클로로, 메톡시, 트리플루오로메틸 및 메틸이고, n은 1에서 3까지의 정수인데, 단 X가 취소,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메톡시일 때는 n은 1이며, R은, 1개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3개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할로알케닐(여기서 할로는 1내지 4까지의 염소임), 3개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키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도메틸, 도합 2개 내지 8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디알킬아미노, 도합 3개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시아노알킬티오알킬, 포스포노메틸, 저급알킬치환페닐(여기서 저급알킬은 각각 1개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것임), 4-클로로페닐티오메틸, 2개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콕시알킬, 2개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티오알킬, 2개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시아노알킬, 3개 내지 7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콕시카아보닐알킬, 2개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포름아미도알킬, 4개 내지 7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콕시카아보닐알케닐, 3개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카아보닐알킬, 1,3-디옥사시클로헥산-5,5-메틸 메틸렌, 페닐, 시클로로페닐, 벤질, 4-클로로벤질, 4-메톡시벤질, 3-피리딜메틸, 펜옥시에틸, 3-페닐푸로핀-2-일, 메틸티오아세트이미노, 아세톤이미노 그리고 벤잘디미노에서 선택된다.
KR7602573A 1976-10-16 1976-10-16 N-(벤젠술포닐)카르바메이트 제초제해독 조성물 KR800001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2573A KR800001676B1 (ko) 1976-10-16 1976-10-16 N-(벤젠술포닐)카르바메이트 제초제해독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2573A KR800001676B1 (ko) 1976-10-16 1976-10-16 N-(벤젠술포닐)카르바메이트 제초제해독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1676B1 true KR800001676B1 (ko) 1980-12-31

Family

ID=19202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602573A KR800001676B1 (ko) 1976-10-16 1976-10-16 N-(벤젠술포닐)카르바메이트 제초제해독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1676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63823A (en) Method of killing weeds and influencing plant growth
SU1271371A3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производных простого дифенилового эфира
SU741772A3 (ru) Фунгицидное средство
CA1162570A (en) Alkylphosphonites, processes for producing them, and the use of alkylphosphonites as fungicides
US3175896A (en) Herbicidal nematocidal and fungicidal method
KR800001676B1 (ko) N-(벤젠술포닐)카르바메이트 제초제해독 조성물
EP0046069A1 (en) Herbicidal and plant growth regulant diphenylpyridazinones
US3699228A (en) Carbamoyl saccharin derivatives as fungicides
JPS60214709A (ja) 除草用組成物
US3555157A (en) Methods of protecting plants from fungi
KR840000131B1 (ko) N-시아노알킬-할로아세트아미드제초제 해독 조성물
KR810000497B1 (ko) 제초제 조성물
KR810001693B1 (ko) 티오카르바메이트제초제해독을 위한 디브로모치환프로피온아미드 해독제의 제법
JPS5915881B2 (ja) ジブロモ置換プロピオンアミド類、除草剤解毒用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む除草用組成物
KR790001050B1 (ko) 설폭사이드와 설폰 티아졸리딘 치환화합물을 가진 제초제 해독 조성물
KR840000857B1 (ko) 5-치환 옥사졸리딘 제초제 해제독의 제조방법
JPS5919533B2 (ja) N−(ベンゼンスルホニル)カルバメ−ト
KR810000992B1 (ko) 소곡류 농작물을 위한 디브로모치환 프로피온아미드계 제초해독제 조성물의 제법
KR840000858B1 (ko) 5-치환 옥사졸리딘 제초제 해독제의 제조방법
US4486222A (en) Herbicide composition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he active ingredients herbicidal phenyl carbonates
US3119735A (en) Method for combatting plant-parasitic nematodes
CA1103949A (en) Dibromo substituted propionamides as herbicides antidotes for small grain crops
KR800001571B1 (ko) 옥사졸리딘 및 티아졸리딘 제초제 해독조성물
JPS62207260A (ja) 殺菌剤
US3983241A (en) Imidazole derivat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