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1571B1 - 옥사졸리딘 및 티아졸리딘 제초제 해독조성물 - Google Patents

옥사졸리딘 및 티아졸리딘 제초제 해독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1571B1
KR800001571B1 KR7600356A KR760000356A KR800001571B1 KR 800001571 B1 KR800001571 B1 KR 800001571B1 KR 7600356 A KR7600356 A KR 7600356A KR 760000356 A KR760000356 A KR 760000356A KR 800001571 B1 KR800001571 B1 KR 800001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lower alkyl
herbicide
phenyl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600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우든 티이치 유우긴
Original Assignee
에이치 오. 토마스
스타우퍼 케미칼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 오. 토마스, 스타우퍼 케미칼 캄파니 filed Critical 에이치 오. 토마스
Priority to KR7600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15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1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15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2Ingredient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substance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e.g. toxicity reducing compositions, self-destructing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6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 C07D26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6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옥사졸리딘 및 타이졸리딘 제초제 해독조성물
본원 발명은 티오카르바메이트 제초제 또는 클로로아세트 아닐리드 제초제에서 선택된 활성제초 화합물과 하기 일반구조식의 해독제 화합물을, 활성제초화합물 각 중량부당 해독제 화합물 약 0.0001~30중량부의 조성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옥사졸리딘 및 티아졸리딘 제초제 해독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식중, X 및 Y는 개별적으로 산소 또는 유황이며, R은 할로알킬 또는 클로로알케닐이고, R1은 수소, 저급알킬, 페닐, 나프틸, 치환분이 모노-플루오로, 모노-또는 디-클로로, 니트로, 메틸, 메톡시, 또는 히드록실인 치환된 페닐이며, R2는 수소 또는 저급알킬이고, R3은 수소, 저급알킬 히드록시메틸, N-메틸 카르바모일옥시메틸 또는 디클로로아세트옥시메틸이며, R4는 수소 또는 저급알킬이고, R5는 수소, 저급알킬 또는 페닐이며, R6은 수소인데, 단 R1또는 R5의 적어도 하나가 치환된 페닐 또는 나프틸이다.
많은 제초제가 다수종의 잡초식물에 직각적인 독성을 나타내는데, 그들의 대다수는 귀중한 재배식물에 대하여 그 독성작용에 있어 선택적인 것이 전혀 못되거나, 또는 선택성이 적당한 것이 못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리하여 많은 제초제들이 제어 대상인 잡초에 타격을 줄뿐만 아니고, 귀중한 농작물에도 대소간에 상해를 주고 있는 것인데, 이는 현재 상업적 성공을 보고 있는 또는 시판되고 있는 트리아진계(系), 요소유도체계, 할로겐 치환된 아세트아닐리드계, 카르바메이트, 티오카르바메이트등의 제초제들에게 모두 해당되는 사실이다.
이와 같은 제초제에 관한 몇가지 예는 미국특허 제2,913,327호, 제3,037,853호, 제3,175,897호, 제3,185,720호, 제3,198,786호 및 제3,582,314호에서 설명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각종 제초제의 재배 농작물에 대해 부작용은 곤란하고 귀찮은 문제를 야기한다. 즉, 광엽종(廣嶪種) 잡초를 제어하기에 필요한 지시용량을 토양에 적용하였을 때에는 재배농작물에 심한 기형(奇形)이나, 성장 장해를 가져오는 일이 흔히 있다. 이와 같은 야기된 농작물의 비정상적 성장은 당연히 농작물 수확이 손실을 가져온다. 따라서 그 제초작용이 선택적인 좋은 제초제의 개발을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려고 종전에 있어서 파종에 앞서 농작물종자를 어떤 ˝호르몬상의˝ 길항제(拮抗劑)로 처리하는 것을 시도한 바 있다. (미국특허 제3,131,509호 및 제3,564,784호 참조). 그러나 이와 같은 종전기술에 있어서의 보호제나 제초제의 작용은 대부분 특정인 농작물에 한정되어 있고, 그리고 길항제는 크게 성공적인 것이 못되어 왔다.
본원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 특허에서나 종전기술에 있어 기재 또는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과는 전연 달리, 종전기술의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는 신규 제초제 해독조성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즉, 본원 발명에 의한 신규 제초제 해독제는 토양에 가해줌으로써 단독 또는 다른 화합물과 조합한 티오카르바메이트 제초제 및 할로겐화 아세트아닐리드 제초제로 인한 상해로부터 재배식물을 보호할뿐 아니라, 또한 이들 제초제에 대한 재배식물의 내약력(耐藥力)을 크게 증강시켜 주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일반식을 가지고 있다.
Figure kpo00002
식중, X와 Y는 각각 개별적으로 산소 또는 유황이고, R은 할로 알킬 또는 클로로 알케닐이고, R1은 수소, 저급 알킬, 페닐, 나프틸, 치환페닐인데 이 치환분은 모노-플루오로, 모노 또는 디-클로로, 니트로, 메틸, 메톡시 또는 히드록시이고, R2는 수소 또는 저급알킬하고, R3은 수소, 저급알킬, 히드록시메틸, N-메틸 카르바모일옥시-메틸 또는 디클로로아세트옥시 메틸이고, R4는 수소 또는 저급알킬이고, R5는 수소, 저급알킬 또는 페닐이고, R6은 수소인데, 단 R1또는 R5의 적어도 하나는 페닐, 치환페닐 또는 나프틸이다.
여기에 설명되는 본원 발명에 의한 또 하나의 신규 제초제 해독제는 다음의 일반식을 갖는다.
Figure kpo00003
식중, X와 Y는 각각 개별적으로 산소 또는 유황이고, R은 할로알킬 또는 클로로알케닐이고, R1은 수소, 저급알킬 또는 페닐이고, R2는 수소 또는 저급알킬이고, R3은 수소 또는 저급알킬이고, R4는 수소 또는 저급알킬이고, R5는 페닐이고, R6은 수소이다.
상기한 바에 관해서, 여러 가지 치환분 그루우프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즉, R에 대한 할로알킬로서는, 탄소원자 1개 내지 6개를 갖는 직쇄 및 분지쇄(分枝鎖) 배치를 가진 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할로˝라함은 모노, 디, 트리 및 테트리 치환분으로서의 클로로 및 브로모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알킬부분의 적합한 예를 들면 메틸, 에틸, η-프로필, 이소프로필, η-부틸, 제2부틸, 1,1-디메틸부틸, 아밀, 이소아밀, η-헥실 및 이소헥실이다. 또한 R에 대한 클로로 알케닐로서는, 탄소원자 2개 내지 4개를 갖고, 예를들어 트리클로로비닐과 같이, 최소한 1개를 올레핀 2중 결합 및 클로로치환분이 모노, 디, 트리 또는 테트라치환분으로 존재하는 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R1, R2, R3, R4및 R5의 각 경우에 있어 저급알킬이라 함은 직쇄 또는 유지쇄 배치에 다같이 탄소원자 1개 내지 4개를 갖는 예를들어 메틸, 에틸, η-프로필, 이소프로필, η-프틸, 제2프틸, 제3프틸등의 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 발명에 의한 이와 같은 해독화합물이 갖일 수 있는 작용형태의 하나로서, 티오카르바메이트 제초제 및 클로로아세트아닐리드 제초제나 기타 제초제의 통상적인 제초작용에 간섭하여 그들의 작용을 선택적인 것으로 해준다. 즉 나타나는 작용형이 그 어떤형이든, 그것이 티오카르바메이트 또는 클로로아세트아닐리드가 지니는 제초독성을 원하는 재배식물에 대해선 저감해 가면서도 잡초에 대해서는 소망의 제초효과를 기대한 대로 지속해간다는 유익하고도 바람직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며, 이러한 이득과 실용효과를 더욱 명백히 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초제 해독제 또는 해독량이라함은, 제초제가 초래할 수 있는 통상적인 유해한 제초반응에 대항하는 효과를 뜻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것이 나타내는 특정효과의 형에 따라서 고정제, 간섭제, 보호제등으로 가려서 불리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조성물은 그 작용형은 다를지라도 재배식물이 파종되는 토양을 처리한 효과는 언제나 바람직한 것이라야 하는데, 이제까지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켜주는 조성물은 없었다.
전기한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본원 발명에 의한 해독화합물은 그 출발물질에 따라서 달라지는 각종 공정에 의하여 만들어진다.
옥사졸리딘 및 티아졸리딘 중간체들은, 아미노알코올 또는 메르캡탄을 비등(沸騰) 벤젠중에서 적당한 알데히드 또는 케톤과 계속적인 물분리와 함께 축합(縮合)시킴으로써 만들어진다. 이 방법은 버그만등에 의하여 JACS 75 358(1953)에 설명된바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옥사졸리딘 및 티아졸리딘 중간체들은 더 이상 정제를 요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을 만큼 순수한데, 정제수(整除數)의 이들 용액을 사용하여 본원 발명에 의한 해독화합물을 만드는 것이다.
3-티오아실치환체를 갖는 화합물들은, 대응(對應)하는 산소동족체(同族體)로부터 합성유기분야에 있어 예컨대 벤젠중 환류하에서의 P2S5처리등의 알려진 방법에 의해서 만들 수 있다.
적당한 중간체를, 예컨대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염화수소용체(收容體)로의 존재하에, 산염화물(酸鹽化物)과 반응시킴으로써 소망하는 해독화합물이 제조된다. 이에 있어서의 조성 및 정제과정에는 표준적인 추출, 증류 또는 결정방법이 포함된다.
본원 발명에 의한 해독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을 다음에 기술하는 실시예에 더욱 상세히 예시하겠다. 그리고 실시예에 이어 본원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화합물을 표로 하여 제시한다. 표에 기제된 화합물 번호는 본원 명세서 전반에 걸쳐 동일 확인용으로 사용된다.
[실시예 1]
2-m-니트로페닐-3-디클로로아세틸옥사졸리딘의 제조
5.8g의 2-m-니트로페닐옥사졸리딘을 3.5g의 트리에틸안민을 함유하는 50ml의 메틸렌클로라이드에 용해하였다. 디클로로아세틸클로라이드 4.4g을 반응 프라스크에 교반과 함께 적가(滴加)하고 나서 실온하의 수욕(水浴)으로 냉각하였다. 첨가 완료후 상기 혼합물을 실온하에 30분동안 교반하고, 물로 세척, 분리하여 무수 황산마그네슘상에 건조시켰다. 용매는 진공하에 탈리함으로써 수량이 8.6g인 표제의 화합물(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1,5590)이 얻어졌다.
[실시예 2]
2-에틸-3-디클로로아세틸-5-페닐옥사졸리딘의 제조
5.3g의 2-에틸-5-페닐옥사졸리딘을 함유하는 21.3ml의 용액을 25ml의 벤젠으로 희석하고 이에 3.1g의 트리에틸아민을 첨가했다. 이 혼합물을 실온하에 수욕으로 냉각하여 교반과 함께 4.4g의 디클로로아세틸클로라이드를 적가(滴加)하였다. 첨가 완료후 30분 동안 교반을 계속해 주었다. 용액을 물로 세척하고 분리하여 황산 마그네슘상에서 건조 시킴으로써, 표제의 유질(油質)의 화합물(
Figure kpo00006
=1.5600의 수량 8.7g)이 얻어졌다.
[실시예 3]
2,2-디메틸-3-디클로로아세틸-5-페닐옥사졸리딘의 제조
100g의 1-페닐-2-아미노에탄올을 250ml의 벤젠에 용해하고, 이에 45g의 아세톤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환류하에 수시간 동안 가열해 주면서 약 15ml의 물을 변형 딘-스타크 장치로 제거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냉각하고 75ml의 트리에틸아민을 첨가하고 이어 108g의 디클로로아세틸클로라이드를 교반과 함께 적가(滴加)하고 실온하에 수욕으로 냉각하였다. 이 첨가 완료후 용액을 얼마간 방치하였다가 물로 세척하고, 무수황산 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는 진공하여 탈리하였다. 170g의 진한 유상물이 생성되었는데 방치한 즉 결정을 보게되고, 이를 건조 에테르로 마쇄(磨碎)함으로써 백색 고체인 표제화합물 132g을 얻었는데 융점은 99.5-100.5℃였다.
[실시예 4]
2-α-나프틸-3-클로로아세틸 옥사졸리딘의 제조
5g의 2-α-나프틸옥사졸리딘을 함유한 19.9ml의 벤젠용액을 50ml의 벤젠과 2.8g의 클로로아세틸클로라이드에 합쳤다. 이 혼합물을 빙조(氷槽)내에서 교반하는 동시에 이어 2.6g의 트리에틸아민을 적하로 첨가하였다. 이 첨가완료후 계속 30분동안 실온하에 고반하고 나서 물로 세척하고 분리하여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진공하에 탈리함으로써 유상(油狀)인 표제화합물이 6.7g의 수량으로 얻어졌다.
Figure kpo00007
는 1.6030이었다.
[실시예 5]
2-페닐-3-클로로아세틸-4,4-디메틸옥사졸리딘의 제조
5.3g의 2-페닐-4,4-디메틸옥사졸리딘을 함유하는 21.3ml의 벤젠용액을 50ml의 벤젠 및 3.4g의 클로로아세틸클로라이드와 혼합하였다. 이 용액을 빙조내에서 교반하면서 이에 3.1g의 트리에틸아민을 적하 첨가하였다. 첨가 완료후 약30분 동안 혼합물을 교반하고 나서 물로 세척하고, 분리하여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켜 용매를 탈리함으로써 유상인 표제화합물을 수량 6.5g로 얻었다.
Figure kpo00008
는 1.5364였다.
[실시예 6]
2-페닐-3-디클로로아세틸 티아졸리딘의 제조
5g의 2페닐티아졸리딘을 50ml의 아세톤에 녹이고, 이에 3.1g의 트리에틸아민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 수조내에서 교반하면서 4,4g의 디클로로아세틸클로라이드를 적하 첨가하였다. 이 첨가가 완료된 후 혼합물을 약 30분동안 방치하였다가 물에 주입하고,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추출하고, 분리하여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하에 탈리함으로써, 수량이 7.3g인 유상의 표제화합물이 얻어졌는데,
Figure kpo00009
는 1.5836였다.
[실시예 7]
2-m-클로로페닐-3-디클로로 아세틸티아졸리딘의 제조
5g의 2-m-클로로페닐티아졸리딘을 50ml의 벤젠에 녹이고 이에 2.6g의 트리에틸아민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하의 수조내에서 교반하면서 3.7g의 디클로로아세틸클로라이드를 적가 첨가하였다. 그후 30분간 혼합물을 방치하였다가 물로 세척하고 분리하여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키고 벤젠을 진공하에 탈리함으로써 유상의 표제화합물이 얻어졌는데, 수량은 7.2g이고,
Figure kpo00010
는 1.5805였다.
[실시예 8]
2(2´,6´-디클로로페닐) 3-클로로아세틸티아졸리딘의 제조
5.9g의 2(2´,6´-디클로로페닐)티아졸리딘을 함유하는 23.5ml의 벤젠용액을 25ml의 벤젠 및 2.8g의 클로로아세틸클로라이드와 합쳐서 된 혼합물을 빙조내에서 교반하면서 이에 2.6g의 트리에틸아민을 적하 첨가하였다. 첨가를 완료한 후 30분 동안 혼합물을 방치하였다가 물로 세척하고 분리하여 황산 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키고 벤젠을 진공하에 탈리함으로써 수량이 8g의 유상의 표제화합물 [
Figure kpo00011
=1.6041]을 얻었다.
[실시예 9]
3(3-브로모프로피오닐) 5-페닐옥사졸리딘의 제조
4.5g의 5-페닐옥사졸리딘을 함유하는 44.7g의 벤젠용액에 3.1의 트리에틸아민을 첨가 혼합하여 실온하에 수조내에서 교반하면서 5.2g의 3-부로모프로피오닐 클로라이드를 적가하였다. 그후 30분 동안 방치해 두었다가 용액을 물로 세척하고, 분리하고,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하고 용매를 진공하에 탈리함으로써 유상의 표제화합물이 수량 6g로 얻어졌다.
Figure kpo00012
는 1.5591였다.
[실시예 10]
2,2,4-트리에틸-3-디클로로아세틸-5-페닐 옥사졸리딘의 제조
5.7g의 2,2,4-트리메틸-5-페닐옥사졸리딘을 함유하는 23ml의 벤젠용액을 25ml의 벤젠 및 3.1g의 트리에틸아민과 혼합하여 실온하에 탈리하면서 4.4g의 디클로로아세틸클로라이드를 적가하였다. 그후 30분동안 방치하였다가 혼합물을 물로 세척하고, 분리하여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탈리시켰다. 결정된 생성물을 에테르로 추출하고 펜탄과 함께 침전시킴으로써 표제의 화합물(융점 126℃) 3.9g을 얻었다.
[실시예 11]
2-P-클로로페닐-3-디클로로아세틸 옥사졸리딘의 제조
5.5g의 2-P-클로로페닐 옥사졸리딘을 함유하는 22ml의 벤젠용액을 25ml의 벤젠 및 3.1g의 트리에틸아민과 함께 혼합하여 실온하에 교반하면서 4.4g의 디클로로아세틸클로라이드를 적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약 30분동안 방치하였다가 물로 세척하고, 분리하여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킨 다음 탈리함으로써 유상의 표제화합물이 수량 8.4g로 얻어졌고,
Figure kpo00013
는 1.5668였다.
[실시예 12]
2,5-디페닐-3(2,3-디브로모프로피오닐) 옥사졸리딘의 제조
50g의 메틸렌에 4.5g의 2,5-디페닐옥사졸리딘을 녹이고, 이에 5g의 2,3-디브로모프로피오닐 클로라이드를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빙조내에서 교반하면서 2.1g의 트리에틸 아민을 적가하였다. 그후 30분동안 방치하였다가 물로 세척하고, 분리하여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탈리함으로써 유상의 표제화합물이 수량 7.1g로 얻어졌고,
Figure kpo00014
는 1.5734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절차에 의하여 만들어진 본원 발명의 신규 화합물을 다음 제1표에 열거한다. 이 표에 사용된 화합물 번호는 동일 확인용으로 본원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된다.
[제1표]
Figure kpo00015
Figure kpo00016
Figure kpo00017
Figure kpo00018
상기 제1표에 표시한 일반식 범위에 해당되며, 전술한 절차에 의하여 만들어질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재초조성물로 적용될 수 있는 화합물을 추가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19
상기표나 그 외에 제시된 제초제는 원치않는 잡식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비율로 사용되는 것인데, 본원 발명에 사용된 비율범위는 제초적 제조자에 의해 제시된 적량범위 내에서 소정의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개개의 경우에 있어서의 잡초억제는 용도에 따른 적량범위 내에서 상업적인 적합성을 가지고 있다.
본원 발명에 있어 설명되고 또 예시된 제초제류는 이와 같은 작용을 효과적으로 나타내는 특징을 구비한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제초작용도는 각 특정의 화합물 또는 동족류간의 특정 화합물과의 배합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고, 또한, 특정의 제초제 화합물이나 그들 배합물이 사용되는 식물종류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그러므로 원치않는 식물종류를 억제하기 위한 특정제초 화합물 또는 그들 배합물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본원 발명에 의하면 특정화합물 또는 그들의 배합물의 존재하에 있는 소망하는 재배식물체가 입게될 상해를 막을 수 있다. 더우기 본원 발명의 조성물에 의하여 보호될 재배식물체 종류는 여기에 기재된 실시예나 시험에 사용된 특정 식물체에 국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본원 발명의 용도에 사용된 제초화합물은 모두 일반형을 갖인 활성제초제물이다. 다시 말하여 이 부류의 것들의 필요 불필요 식물의 구별없이 광범위 식물류에 대하여 제초효과를 가진다. 잡식물체 억제방법은 소망의 어느 지역이나 식물식지에 여기 기술된 제초화합물의 제초유효량을 적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본원 발명에서 밝힌 제초조성물은 다음에 열거하는 활성제초 화합물을 선택적으로 갖는 제초제를 포함한다. 즉 EPTC, S-에틸 디이소브틸 티오카르바메이트, S-프로필 디프로필 티오카르바메이트, S-2,3,3-트리클로로-알릴-디이소프로필-티오카르바메이트, S-에틸 시클로헥실에틸 티오카르바메이트, 2-클로로-2´,6´-디에틸-N-(메톡시메틸)아세트아닐니스, S-에틸 헥사히드로-1H-아제핀-1-카아르 보티오에이트, 2-클로로-N-이소프로필-아세트 아닐리드, N,N-디아릴-2-클로로아세트아미드, S-4-클로로벤질 디에틸 티오카르보메이트, 2-클로로-4-에틸아미노-6-이소프로필아미노-S-트리아진, 2-클로로-4,6-비스(에틸아미노)-3-트리아진, 2-(4-클로로-6-에틸아민-S-트리아진 2-일-아미노)-2-메틸프로피오니트릴, 2-클로로-4-시클로프로필아미노-6-이소프로필아미노-S-트리아진, 2,4-디클로로-펜녹시아세틱에시드와 그 에스테르 및 염, 그리고 3-(3,4-디클로로-페닐)-1,1-디메틸우레아 및 그 배합물들이다.
본원 명세서에서 제초제라함은 식물체의 성장을 억제 또는 변태시키는 작용을 가진 화합물을 뜻한다. 이러한 억제 또는 변태작용효과는 식물체의 자연적 성장으로부터 모든 일탈, 즉, 살멸, 저지, 탈엽, 탈수, 규제, 위축, 기형, 자극 왜소화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여기서 식물체라 함은 발아하는 싹, 묘목, 및 뿌리와 지상부를 포함하여 장착된 식물체를 의미한다.
평가절차
재배식물과 작초식물을 심어 자라게할 재배함에 로움질 사양토를 채우고 제초제와 해독제의 원액을 다음과 같이 하여 마련하였다.
A. 제초제
2-클로로-2´,6´-디에틸-N-(메톡시-메틸)아세트 아닐리드-LASSO4E-6.25g의 LASSO4E를 1000ml의 물로 희석하였다. 이 용액 100ml를, 에이커당 2lb/A의 LASSO가 에어커당 80gal의 물로 적용되는 비율로서 리니어스프레이 테이블을 사용하여 각 재배함에 뿌려주었다.
B. 해독제
시험할 각 해독조성물 95ml를, 1% Tween20
Figure kpo00020
(폴리옥시에틸렌 소트비탄 모노라우레이트)와 함께 15ml의 아세톤에 용해하여 재배함의 표면적의 1/2기준으로 1-1/2ml가 5lb/A에 동등하겠금 마련하였다.
PES 및 PPI탱크 혼합처리
상기한 원액(A 및 B)을 해독조성물의 파종골처리에 사용하였는데 그 준비단계로 각 재배함에 1파인트의 토양샘플을 후에 파종종자를 덮기 위해 따로 해두고, 토양을 파종에 앞서 고루어 놓는다.
다음에 파종골을 재배함의 길이방향으로 1/4인치 깊이로 친다. 파종후에 나무토막 간막이로 재배함을 2구분하고, 그 한구분에 1-1/2ml의 첨가원액(B)을 노출된 종자와 골에 직접 분무해 준다. 재배함의 미처리 구분을 제초제의 영향검사와 해독조성물의 횡적이행(橫的移行) 여부를 관찰하는데 사용키로 하고, 종자를 앞서 따로 해둔 1파인트 토양샘플로 덮어준다. 이렇게 파종과 해독조성물 처리가 끝나면, 제초제원액의 유효량을 리니어스프레이 테이블을 사용하여 별개 재배함에 분무해 준다. 발아전의 표면처리 또는 파종전 함침처리로 적용되는 탱크혼합 절차는 다음과 같은 원액을 사용한다. 즉, 클로로-2´,6´-디에틸-N-메톡시메틸아세트 아닐리드 2lb/A에 대해서는 800mg의 4E를 200ml의 탈(脫)이 온수로 희석한다. 조합탱크 혼합으로는 4ml의 아세트아닐리드 원액과 3ml의 해독제 원액(B)를 혼합시킨다. 파종전 혼합으로서는 위와 동일한 혼합 원액을 5갤론 회전 믹서내에서 혼합하여 토양에 주입시킨다. 그리고 발아전 표면처리로서는 동일원액을 파종한 후의 토양표면에 적용한다.
재배함을 온실의 묘판상위에 놓아 실내온도를 70-90℉로 유지해 준다. 상해도(傷害度)를 처리한지 2주후, 4주후에 측정한다. 제초제만으로 처리된 별개 재배함도 같이 놓아 제초제 해독제에 의한 상해저감도를 비교 결정하는 기준으로 사용한다.
몇가지 해독조성물은 티오카르바메이트계 제초제가 일으키는 상해로부터 농작물을 보호하는 해독제로서 시협평가 하였는데, 대표적인 티오카아바메이트계 제초제로서 S-에틸 N,N-디프로필 티오카르바메이트(EPTC, EPTAM
Figure kpo00021
)와 S-프로필 N,N-디프로필 티오카르바메이트(VERNAM
Figure kpo00022
)를 선택하였다. 제초제와 해독제의 원액을 여러 가지로 마련하여 적용해 보았다. 그리고 처리방법으로는 토양혼합처리, 발아전 표면처리, 파종골처리를 채택 시행하였다. EPTAM
Figure kpo00023
에 대한 원액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A. 1/2lb/A : 670mg의 EPTC 6E(75.7% a.i.)를 500ml의 탈(脫) 이온수에 희석하여 재배함당 2ml가 51lb/A와 동등케 한다.
B. 5lb/A : 6700mg의 EPTC 6E(75.5% a.i.)를 500ml의 탈이온수에 희석하여 재배함당 2ml가 51lb/A와 동등케 한다. VERNAM
Figure kpo00024
에 대한 원액조제는 다음과 같다.
C. 3/4lb/A : 95mg의 VERNAM(
Figure kpo00025
75% a.i.)를 100ml의 탈이온수에 희석하여, 파종전 혼합 처리에 있어 재배함당 4ml가 3/4lb/A와 동등케 한다.
D. 1lb/A : 633mg의 VERNAM
Figure kpo00026
(75% a.i.)를 500ml의 탈이온수에 희석하여 재배함당 4ml가 1lb/A와 동등케 한다.
5. 5lb/A : 633mg의 VERNAM
Figure kpo00027
(75% a.i.)를 100ml의 탈이온수에 희석하여 재배함당 4ml가 5lb/A와 동등케 한다.
이상 설명한 절차에 따라 각종 재배식품에 적용한 시협결과를 보호 퍼센트로 표시하여 다음 제2표에 제시한다. 보호퍼센트는 대상해독 조성물처리를 않받은 재배함의 것과 비교하여 결정된 것이다.
[제2표]
Figure kpo00028
Figure kpo00029
Figure kpo00030
티오카르바메이트 제초제 다종농작물 스크린
처리된 재배함에 Dekalb XL-44 옥수수(Zea maize), 사탕무우(Beta Vulgare), 흰색줄무늬의 소종해바라기(Helianthus annus), 콩(Glycine max), 오일시이드평지(Brassica napus), 기장수수(Sorgum Vulgare), 밀(Triticum Aestivum), 녹새둑새풀(Sataria Viridis), 벼(Oryza Sativa)와 보리(Hordeum Vulgare)의 각종자를 파종하고, 따로 해두었든 1파인트 토양샘플로 덮어 주었다.
다음에 재배함을 온실 묘판상위에 놓아 실내온도를 70˚-90℉로 유지해 주고, 식물체가 잘 자라날 수 있을 만큼의 물을 조로로 뿌려준다.
상해도는 처리한지 2주후와 4주후에 측정한다. 제초제 단독 처리된 토양은 제초제 해독조성물에 의한 상해 감소량 결정의 기준을 마련하기 위하여 시험에 포함시킨다. 보호퍼센트는 다상해독 조성물처리를 안받은 재배함과 비교하여 결정한다. 이러한 시협결과를 제3표로 제시한다.
[제3표]
Figure kpo00031
Figure kpo00032
Figure kpo00033
Figure kpo00034
Figure kpo00035
6 lb/APPI(파종전 혼합처리)에 있어서의 VERNAM6E에 대한 원액은, 3800mg을 물 5500ml에 희석하여 4ml가 비율과 동등케 하였다.
본원 발명에 의한 화합물 또는 조성물은, 전술한바 해독제와 대표적 티오카르바메이트 제초제 및 해독제와 대표적인 할로겐화(化) 아세트아닐리드 제조제의 조합을 이룩함으로써 효과적인 제초조성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농작물을 보호하기 위한 본원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제초활성 화합물과 전술한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해독제로 구성되는데, 이와 같은 제초제와 해독제의 조성물은 활성제초제와 해독제를 적당한 담채 및/또는 기타 분산매간과 경우에 따라 분산제 또는 응제와 함께 철저한 혼합 및 분쇄 등의 종래방법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의한 해독화합물 및 조성물은 어떤 편리한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 즉, 해독제는 유화액상물, 유화농축물, 액상물, 습윤분말, 분말, 과립제 또는 기타 편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식물체에 독성을 주지 않을 만큼의 양의 제초제 해독화합물을 편리한 형태로 선택한 제초제에 첨가하여서 파종전이나 파종 후에 토양을 혼합할 수 있다. 그런데 제초제를 먼저 토양에 혼합하고, 그 후에 해독제를 토양에 혼합할 수 있다는 점도 지적해 두어야 하겠다. 더욱이 재배식물의 종자 자체를 본원 발명에 의한 조성물을 식물체에 독성을 주지 않을 만큼의 양으로 처리하고 나서 제초 처리된 토양에 파종할 수도 있거니와, 제초제 미처리의 토양에 파종하고 난 후 토양을 제초제 처리하여도 되는 것이다. 여기서 특기하여야 할 것은 본원 발명에 의한 해독제화합물의 첨가는 제초제의 제초작용에 하등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는 점이다.
본원 발명에 의한 해독제 화합물은 제초제와, 제초제 중량부당 약 0.0001에서 약 30중량부의 범위내의 양으로 혼합되어 사용된다. 그러나 해독제 화합물의 정확한 양은 보통 용도에 가장 효과적인 양에 대한 경제적인 비율에 의거 결정되며, 소망의 재배식물에 독성을 주지 않을 만큼의 양으로 상기 해독제화합물이 제초제에 적용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본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티오카르바메이트제초제 또는 클로로아세트아닐리드 제초제에서 선택된 활성제초 화합물과 하기 일반 구조식의 해독제 화합물을, 활성제초제 화합물 각 중량부당 해독제화합물 약 0.0001~30중량부의 조성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옥사졸리딘 및 티아졸리딘 제초제 해독조성물.
    Figure kpo00036
    식중, X 및 Y는 개별적으로 산소 또는 유황이며, R은 할로알킬 또는 클로로알케닐이고, R1은 수소, 저급알킬, 페닐, 나프틸, 치환분이 모노-플루오로, 모노- 또는 디-클로로, 니트로, 메틸, 메톡시, 또는 히드록실인 치환된 페닐이며, R2는 수소 또는 저급알킬이고, R3은 수소, 저급알킬 히드록시메틸, N-메틸카르바모일옥시메틸 또는 디클로로아세트옥시메틸이며, R4는 수소 또는 저급알킬이고, R5는 수소, 저급알킬 또는 페닐이며, R6은 수소인데, 단 R1또는 R5의 적어도 하나가 치환된 페닐 또는 나프틸이다.
KR7600356A 1976-02-13 1976-02-13 옥사졸리딘 및 티아졸리딘 제초제 해독조성물 KR800001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0356A KR800001571B1 (ko) 1976-02-13 1976-02-13 옥사졸리딘 및 티아졸리딘 제초제 해독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0356A KR800001571B1 (ko) 1976-02-13 1976-02-13 옥사졸리딘 및 티아졸리딘 제초제 해독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1571B1 true KR800001571B1 (ko) 1980-12-28

Family

ID=19201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600356A KR800001571B1 (ko) 1976-02-13 1976-02-13 옥사졸리딘 및 티아졸리딘 제초제 해독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157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59304A (en) Certain 3-haloacyl-2,2,5-trimethyl-oxazolidines
US4186130A (en) N-(haloalkanoyl) oxazolidines
US4072688A (en) Haloacyl and thiohaloacyl aryl-substituted oxazolidines and thiazolidines-herbicidal antidotes
US4135910A (en) Oxadiazol-3-yl-benzoates as plant growth regulants
US4140515A (en) Aryl-3-isoxazole benzoates as plant growth regulants and herbicides
US4230874A (en) N-(Benzenesulfonyl) carbamates-herbicidal antidotes
US4115095A (en) 5-Aryl-1,2,4-thiadiazole-3-carboxylates and agricultural methods
US4108627A (en) N-(substituted phenyl) derivatives of saccharin
JPH05178844A (ja) 除草性化合物
US4229204A (en) Trifluoromethylphenyl isoxazolyl benzoates
US4166732A (en) Oxadiazol-5-yl-benzoates
SU1412595A3 (ru) Способ борьбы с нежелательной растительностью
KR800001571B1 (ko) 옥사졸리딘 및 티아졸리딘 제초제 해독조성물
US4293701A (en) N-(Benzenesulfonyl) carbamates - herbicidal antidotes
US4137066A (en) Sulfoxide and sulfone thiazolidines, compositions thereof and their utility as herbicide antidotes
US4322240A (en) Haloacyl and thiohaloacyl aryl-substituted oxazolidines and thiazolidines-herbicidal antidotes
KR860002107B1 (ko) α, α-디메틸페닐초산 아닐리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US4021228A (en) Sulfide herbicide antidote compositions and method of use
US3996043A (en) Triazine--antidot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for cotton
JPS5934187B2 (ja) α↓−ハロアセトアミド化合物および除草剤
US4334909A (en) N-(Alkoxymethyl)-2'-nitro-6'-substituted-2-haloacetanilides and their use as herbicides and plant growth regulants
SU661991A3 (ru) Способ защиты растений от повреждений гербицидами
US3877925A (en) Pre-emergent chemical control of weeds with N-benzyl-N-isopropylthiobenzamides
HU189520B (en) Herbicide compositions containing 2-chloro-4-/trifluoro-methyl/-thiazole-carbothioacid derivatives as antidotes
US4400200A (en) Haloacyl and thiohaloacyl aryl-substituted oxazolidines and thiazolidines - herbicidal antid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