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1658Y1 - 콘크리트 보도블록 탈형의 보조틀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보도블록 탈형의 보조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1658Y1
KR800001658Y1 KR7902959U KR790002959U KR800001658Y1 KR 800001658 Y1 KR800001658 Y1 KR 800001658Y1 KR 7902959 U KR7902959 U KR 7902959U KR 790002959 U KR790002959 U KR 790002959U KR 800001658 Y1 KR800001658 Y1 KR 8000016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frame
concrete
mould
rel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29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우
Original Assignee
박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우 filed Critical 박진우
Priority to KR79029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16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16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16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10Moulds with means incorporated therein, or carried thereby, for ejecting or detaching the moulded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29Moulds or moulding surfaces not covered by B28B7/0058 - B28B7/36 and B28B7/40 - B28B7/465, e.g. moulds assembled from several parts
    • B28B7/0035Mould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sidewalls of the mould and the moulded article move with respect to each other during demoulding
    • B28B7/0038Mould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sidewalls of the mould and the moulded article move with respect to each other during demoulding the sidewalls of mould and moulded article moving only past each other, e.g. box-shaped moulds which are lifted off from the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8Moulds provided with means for tilting or inver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콘크리트 보도블록 탈형의 보조틀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제한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예의 일부 절제 사시도.
제 3a, b 도는 본 고안을 사용한 탈형 상태 예시단면도.
제 4a, b 도는 종래의 탈형 상태 예시단면도.
본 고안은 근자에 널리 사용되는 소위 함지박식 콘크리트 보도블록의 제조용 형틀, 즉 바닥면과 사주면의 입벽을 일체로 형성한 형틀내에다가 형성시킨 보도블록을 용이하게 탈형시키는 동시에 그 형틀을 보호하여 주기 위하여 형틀의 상측 외주연에다 재치시켜 사용하는 탈형 보조틀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보도블록의 제조에 있어서 바닥면과 사주입벽면을 일체로 형성한 형틀의 경우는 그 형틀의 내부에다 콘크리트를 넣고 진동을 가하여 다진 뒤 일정한 경화강도를 가지면 그 형틀을 뒤집어 놓을 때 형틀 내부에 들어있는 제품이 탈형될 수 있는 충격을 가하여야 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탈형 충격을 형틀의 상측 사주연부 또는 바닥이나 사주입벽면에 가하였을 때 그 형틀 전체에 고르게 분산 전달되어야 제품에 손상을 주지 않고 탈형되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에 이와같은 작업을 할때에 형틀을 뒤집어 들고 주로 상측 외주연단부에 충격을 직접 가하여 왔으나, 그 형틀에 전달되는 충격이 고르게 분산 전달되지 못하여 부분적으로 집중되는 충격에 의하여 보도블록의 각진부위가 파손되는 것이었다.
또한 이와같은 탈형방식은 탈형되어 떨어지는 거리가 크고 거기에 제품자체중량의 가중되어 평면상 블록이 바닥에 떨어질 때 받는 충격력에 의하여 파괴되는 가하면 그 형틀은 자주 가해지는 충격에 의하여 그 자리가 마모 또는 파괴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어서 완전한 제품을 쉽게 양산할 수 없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소위 종래의 함지박식 보도블록의 형틀의 작업능률을 높혀주고 형틀을 보호하여 그 사용수명을 반영구적으로 연장시키는 동시에 파손되지 않은 완전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내용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바닥면과 사주입벽면을 일체로 형성한 콘크리트 보도블록 형틀(A)의 상단부나 혹은 그 외주면에 형성시킨 보강대(A1)에 재치되는 탈형 보조틀(1)을 구성함에 있어서, "L"자형 앵글을 상기 콘크리트 보도블록 형틀(A)의 상측공간부 보다 약간 크게 절곡한 사각형을 틀체(1)로 하여 그 앵글의 단변(端邊)(2a)(2a) 중 수평으로 놓여진 단변(2a)의 배면(2b) 중심 또는 중심위치보다 외측으로 편중되는 곳에 걸림편(3)을 착설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도블록 탈형의 보조틀인 것이다. 도면 중 B는 보도블록을 표시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탈형 보조틀(1)의 걸림편(3) 높이는 낮을수록 좋으나 블록형틀(A) 상단연부(A1)의 외주가 완전히 걸려서 형틀(A) 자체가 이탈되지 않은 정도의 높이를 가져야 하며, 또한 이 걸림편(3)의 착설위치 또는 개수는 적어도 상기 블록형틀(A)의 상단연부(A1)를 잡아줄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충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콘크리트 보도블록 형틀(A)의 내부에 몰탈과 콘크리트를 넣고 진동을 가하여 다진뒤 일정한 경화강도를 가지는 양생과정을 거친 형틀(A)의 상단부(A1)과 들어가 걸리게 제 3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탈형 보조틀(1)을 재치하고 (a)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탈형하여 놓을 위치(저면 또는 탈형대판)에서 약간 떨어지게 들고 탈형 보조틀(1)의 좌우측에 교대로 탈형충격을 주면 그 충격력은 형틀(A)의 상단연부(A1)및 그 사주입벽면에 고르게 분산 전달되어 콘크트 불록체는 국부적인 충격을 받지 않으므로 콘크리트 블록의 외주각부를 파손하는 일이 없어질 뿐만 아니라, 탈락거리를 극소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다음에 설명되는 종래의 탈형방식과 같이 블록 전체를 파괴하는 일이 없게 되는 것이다.
제 4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탈형방식은 어떠한 탈형장치도 이용하지 않고 있으므로, 콘크리트를 성형시킨 형틀(A)을 뒤집어든 형틀(A) 자체의 상단연부(A1)에다 탈형충격을 가하여야 함으로 형틀(A)의 전후반 상단연부(A1)를 탈락면에다 찧어야 하는데, 그 충격력은 편중되기 쉽고 형틀(A)에 고르게 분산되지 않아서 특히 블록의 각진부위가 파손되기 쉬울 뿐만 아니라, 그 탈락거리가 높아져서 탈형되어 탈락한 블록은 파괴되는 경우가 허다하여 많은 불량품의 생산으로 완전한 제품을 양산할 수가 없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바닥면과 사주입벽면을 일체로 형성한 큰크리트 보도블록 제조용 형틀(A)에 의하여 성형된 보도블록을 완전하게 탈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탈형작업이 용이하여 콘크리트 보도블록을 다량 생산하면서도 그 형틀(A)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

  1. 바닥면과 사주입벽면을 일체로 형성한 콘크리트 보도블록 형틀(A)의 상단부나 혹은 그 외주연에 형성시킨 보강대(A1)에 재치되는 탈형 보조틀(1)을 구성함에 있어서, "L"자형 앵글을 상기 콘크리트 보도블록 형틀(A)의 상단연 공간부보다 약간 크게 절곡한 사각형을 틀체(1)로 하여 그 앵글의 단변(2a)(2a) 중 수평으로 놓여진 단변(2a)의 배면(2b) 중심 또는 중심위치보다 외측으로 편중되는 곳에 걸림편(3)을 착설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도블록 형틀의 탈형 보조틀.
KR7902959U 1979-05-23 1979-05-23 콘크리트 보도블록 탈형의 보조틀 KR8000016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2959U KR800001658Y1 (ko) 1979-05-23 1979-05-23 콘크리트 보도블록 탈형의 보조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2959U KR800001658Y1 (ko) 1979-05-23 1979-05-23 콘크리트 보도블록 탈형의 보조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1658Y1 true KR800001658Y1 (ko) 1980-10-17

Family

ID=19212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2959U KR800001658Y1 (ko) 1979-05-23 1979-05-23 콘크리트 보도블록 탈형의 보조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165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4199B1 (en) Molds for producing masonry units with roughened surface
US20040218985A1 (en) Method of making a composite masonry block
US20210395971A1 (en) Method of making molded concrete blocks having simulated brick or stone outer surfaces
US3891340A (en) Paving stone unit having integral connecting webs
US3426122A (en) Process for producing stone block structures
GB2239665A (en) Slab e.g. for paving
KR800001658Y1 (ko) 콘크리트 보도블록 탈형의 보조틀
US9492944B2 (en) Agitator grid with adjustable restrictor elements for concrete block machine
KR102341776B1 (ko) 옹벽용 pc패널유닛 제작을 위한 건식콘크리트를 진동에 의해 자동화생산이 가능한 개량형 거푸집 구조
US3595518A (en) Mold bed for molding cementitious products
US20090255211A1 (en) Method and means for producing a concrete block
JP4502319B2 (ja) ブロック製造方法
KR200152667Y1 (ko) 문양 거푸집의 구조
KR200225682Y1 (ko) 블록 성형틀
JPH09220711A (ja) 即時脱型法による歩車道境界カラー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製造方法
CA2307039C (en) Attached decorative stones
WO2023176060A1 (ja) プレキャスト壁体の製造方法およびプレキャスト壁体用型枠
JP2802033B2 (ja) 石肌模様を有する内,外装材
KR810000353Y1 (ko) 콘크리트 판상불록체의 제조용 성형틀
JP2538805B2 (ja) モザイク風人造石板,その製造型枠及び製造方法並びに同人造石板施工面
JP2635293B2 (ja) 嵌合積ブロックとその製造装置および施工方法
JP2524456B2 (ja) パネルの製造方法
GB2361487A (en) Stone effect building block
KR930003526Y1 (ko) 인조석 판재
RU32030U1 (ru) Форм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роительных изделий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ручного виброинструмент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