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1554B1 - 세펨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세펨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1554B1
KR800001554B1 KR7501201A KR750001201A KR800001554B1 KR 800001554 B1 KR800001554 B1 KR 800001554B1 KR 7501201 A KR7501201 A KR 7501201A KR 750001201 A KR750001201 A KR 750001201A KR 800001554 B1 KR800001554 B1 KR 800001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acid
amino
carboxylic acid
general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501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오 세기
신고 스기모도
쇼기지 나가시마
Original Assignee
나까가와 다게시
메이지세이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까가와 다게시, 메이지세이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까가와 다게시
Priority to KR7501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15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1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15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5-thia-1-azabicyclo [4.2.0] octane ring systems, i.e. compounds containing a ring system of the formula:, e.g. cephalosporins; Such ring systems being further condensed, e.g. 2,3-condensed with an oxygen-, nitrogen- or sulfur-containing hetero ring
    • C07D501/02Preparation
    • C07D501/04Preparation from compounds already containing the ring or condensed ring systems, e.g. by dehydrogenation of the ring, by introduction, elimination or modification of substituents
    • C07D501/06Acylation of 7-aminocephalosporanic ac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5Design of synthesis routes, e.g. reducing the use of auxiliary or protecting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phalosporin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세펨유도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7-아실아미도 세팔로스포란산 또는 이산의 3-치환유도체의 제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세팔로스포린계 항생물질에 대해서 종래의 방법보다 새롭고도 효율적인 제법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다음에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일반식(I)로 표시되는 카르본산염을 디메틸포름 아미드ㆍ무수황산 혼합물에 반응시켜 얻어진 일반식(II)의 아실황산에스테르의 염은 수용성으로 이것은 일반식(III)로 표시되는 7-아미노 세팔로스포란산 또는 이산의 3위 치환체와 수용액에서 수율좋게 반응하며,
다음에 이 반응생성물에서 아미노기의 보호기를 이탈시켜 일반식(IV)로 표시되는 7-아실아미도 세팔로스포란산이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첫째로 본 발명은 일반식(II)의 화합물과 일반식(III)로 표시되는 7-아미노세팔로스포란산 또는 이산의 3위 치환체를 수용액중에서 반응시켜 이 반응생성물에서 다음에 아미노기의 보호기를 이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IV)의 세펨유도체에 대한 제조법을 요지로 한다.
Figure kpo00001
위의 식에서 R1은 치환기를 갖고 있거나 또는 갖고 있지 않은 아릴기, 시클로알케닐기, 축합환을 가진 아릴기를 표시하고,
R2는 다음에 제거할 수 있는 아미노기의 보호기를 표시하며,
R3는 수소원자, 아세톡시기, 아지도기, 시아노기, 치환기를 갖고 있거나 또는 갖고 있지 않은 알콕시기, 아로일옥시기, 아랄킬옥시기, 알킬티오기, 아릴티오기, 아랄킬티오기, 복소환티오기를 나타내고, M1는 무기 또는 유기의 1가 양이온을 표시하며, M2는 알칼리금속, 유기염기의 양이온 또는 수소원자를 표시한다.
둘째로 본 발명은 다음의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카르본산염을 디메틸포름 아미드 무수황산 혼합물에 반응시켜 다음의 일반식(II)으로 유도하여 일반식(III)으로 표시되는 7-아미노 세팔로스포란산 또는 이산의 3위 치환체를 수용액중에 반응시켜 여기서 생성한 반응생성물에서 아미노기의 보호기를 이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펨유도체(IV)에 관한 제조법이다.
Figure kpo00002
여기서 R1,R2,R3,M1,M2는 위에서 표시된 일반식의 것과 같다.
셋째로 본 발명은 위의 일반식(I),(II),(III),(IV)에서 R1이 페닐기, R2가 알데히드기, R3가 수소원자 일때 다음 일반식(IV)으로 표시되는 세팔로스포린계 항생물질에 대한 것으로, 새롭고도 능률적인 제법으로서 다음에 상세히 설명되는 일반식(I')의 N-포로밀페닐그라이신염을 디메틸포름 아미드 무수황산혼합물에 반응시켜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산성황산의 염과 N-포르밀 페닐그라이신의 혼합산 무수물이 수용성으로 이것이 일반식(III')으로 표시되는 7-아미노데스 아세톡시 세팔로스포린산과 수용액중에서 수율좋게 반응하여 얻은 반응생성물에서 포르밀기를 이탈시켜 일반식(IV')의 세팔렉신이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의 일반식(I') 화합물을 다음의 일반식(III') 7-아미노데스 아세톡시 세팔로스 포린산과 수용액중에서 반응시켜 얻은 반응생성물에서 포르밀기를 이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음의 일반식(IV')의 세팔렉신제조방법을 요지로 한다.
Figure kpo00003
여기서, M1은 무기 또는 유기의 1가 양이온을 표시하고 M2는 알칼리금속 또는 유기염의 양이온 또는 수소원자를 표시한다.
또한, 다음의 일반식(I")로 표시되는 N-포르밀 페닐그라이신염을 디메틸포르밀아미드ㆍ무수황산 혼합물에 반응시켜 일반식(II")의 화합물을 유도한 다음 일반식(III")으로 표시되는
Figure kpo00004
(여기서 M1은 위의 일반식과 같다.
7-아미노데스아세톡시 세팔로스포란산과 수용액중에서 반응하여 생성된 생성물에서 포르밀기를 이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 일반식(IV')의 세팔렉신 제조법을 요지로 하고, 세팔렉신 [7-(α-D-아미노페닐아세트 아미드)-3-메틸-3-세펨-4-카르본산]은 경구(經口) 가능한 반합성세팔로스 포린항생물질로서 유용한 것이다.
넷째로 본 발명은 항생물질로서 유효한 다음의 일반식(IIb)의 세팔렉신의 제조방법 및 유효한 중간체를 정제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Figure kpo00005
세팔렉신의 제조에 있어서는 N-보호 D-페닐글리신 또는 그 카르본산 활성유도체와 7-ADCA (7-아미노-3-메틸-3-세펨-4-카르본산)을 반응시켜 다음의 일반식(Ia)으로 표시하는 화합물 즉, 보호세팔렉신이 얻어진다.
Figure kpo00006
(R : 아미노기의 보호기)
이 N-보호세팔렉신은 반드시 N-보호 D-페닐글리신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조제물(粗製物)의 형태이다. 이와 같이하여 얻어진 조제의 N-7보호 세팔렉신을 정제하지 않고 탈보호공정(脫保護工程)을 설치하면 이 탈보호생성물인 일반식(IIb)의 세팔렉신에 혼재하는 D-페닐글리신을 제거하는 것은 대단히 어렵고 본질적으로 얻어진 세팔렉신의 순도가 극히 낮게 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가 되므로, 본 발명자들은 조제의 N-보호세팔렉신(N-보호 D-페닐글리신을 불순물로서 함유하고 있음)에 디벤질아민(DBA) 또는 트리에틸렌디아민(TED)을 용액중에서 작용시켜 DBA 염 또는 TED염이 되므로 용액에서 TED염 또는 DBA염이 불순물과 분리하여 침전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시 이것을 분리, 정제하여 고 순도의 N-보호 세팔렉신이 극히 선택적으로 높을 수득율로 얻어지며, 이 N-보호세팔렉신을 탈호보공정을 거쳐 생성한 최종 생성물이 N-페닐글리신을 함유하지 않고 고순도로 얻어진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일반식(Ia)으로 표시되는 조제화합물에 TED 또는 DBA와 작용하여 일반식(Ia)의 화합물의 TED염 또는 DBA염을 형성한다.
이것을 분리 정제하여 이 TED염 또는 DBA염에서 일반식(Ia)의 화합물을 유리시킨후 그 화합물에서 보호기 R을 이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IIb)의 화합물 즉, 세팔렉신을 고순도로 생성시키는 세팔렉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반식(Ia)의 TED 염 또는 DBA염 그 자체는 새로운 물질이다.
일반적으로 7-아미노 세팔로스포란산(7-ACPA) 그 자체는 분자내염을 형성하고 있는 분자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이 화합물의 7위 아미노기에 반응할 수 있는 카르본산 활성 유도체에 작용하지 않는 용제(예 :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등)에는 불용성이다.
또 합성페니실린 제조시에 6-아미노페니시란산을 트리에틸아민염등의 아민염으로하여 디클로메탄에 용해시키는 방법도 통용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7-아미노세팔로스포란산인 경우 단순하게 디클로로메탄등 용제에 7-아미노세팔로스포란산을 현탁시켜 여기에 트리에틸아민등의 아민을 가하여도 7-ACPA는 용해하지 않기 때문이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방법으로,
(ㄱ) 7-아미노 세팔로스포란산의 4위 카르복시기를 아실화한 다음 용이하게 이탈하여 원 카르복시기로 전환될 수 있는 유도체로 됨으로써 디클로로메탄등 유기용제에 용해할 수 있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한 예로서 시릴화제를 반응시키는 방법이 있다.
(예 : 영국특허 1,073,530호 명세서(1967), Chemical Abstracts 68 12984,
일본특개소 48-68590호, 동 48-68588호 공보참조).
또 다른 방법으로 3염화인, 기타 인 할로겐화물을 반응시켜 가용화하는 방법이 있다.
(예 : 일본국 특개소 47-38991호, 동48-56695호 공보참조)
위의 방법은 시릴화제 혹은 할로겐화인을 반응시켜 카르복시기를 가용성 유도체로 하므로 시릴화제 또는 할로겐화인을 반응시켜야 할뿐만 아니라 이들의 반응시약을 사용한다는 것은 경제상 불리한 점 이외에, 원료의 7-아미노 세팔로스포란산, 용제 및 반응용기등 모두 건조상태하에서 유지할 필요가 있고 작업상으로도 용이하지 않은 불리한 점이 있다.
(ㄴ) 다음에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7-아미노 세팔로스포란산이 물에 용해하고 한편으로 아실화제로서 사용하는 일반적은 카르본산 활성유도체가 물에 불용이고, 유기용제에 용해할 수 있는 성질이 있으므로 아세톤, 물등의 혼합용제를 사용하여, 7-아미노 세팔로스포란산의 염을 용해시켜 여기에 카르본산 활성 유도체 및 알칼리를 적당히 가하는 소위 쇼튼-바우만(Schotten-Baumann)법이 있다.
(일본특공소 39-26972호 공보참조)
이 방법은 7-아미노 세팔로스포란산염이 비수용제에는 불용이므로 물에 의하여 반응하여 분해하기 쉬운 카르본산 활성유도체를 계속해서 함수용제(含水溶劑)중에 반응시키는 불리한 점이 있기 때문에 수율도 낮아서 약 30~50%로서 불리한 단점이 있다.
또, 종래방법의 결점은 카르본산 활성유도체로서 보통 사용되는 물질은 산클로라이드, 또는 탄산과의 혼합산무수물이나, 이것을 제조할 경우 염화티오닐, 5염화인등 산클로라이드화제, 클로르탄산 에스테르등 혼합산 무수물화제를 사용해야 한다.
위의 반응시약을 사용할 경우 작업위생상 또는 환경오염상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 쓰이는 일반식(II) 및 (II')의 아실화제는 물론 카르본산 활성유도체의 일종이나, 단순한 카르본산과 황산의 혼합산 무수물이 아니고 2염기산인 황산의 반혼합산 무수물의 알칼리염의 구조를 갖고 있는 점이 특징이며, 이 구조 때문에 수용성의 성질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 반응은 단일계내에서 일어나는 잇점이 있다. 또 일반식(II) 및 (II')의 카르본산 활성유도체는 카르본산의 알칼리염과 디메틸포름 아미드 무수황산 혼합물에 의해서 용이하게 조제할 수 있고, 대단히 염가인 잇점이 있어, 작업위생상 환경오염상 문제가 적다.
또, 7-아미노 세팔로스포란산은 알칼리염으로서 수용액에서 반응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방법(7)과 같이 원료용제, 용기등을 건조할 필요가 없으며, 단지 카르본산 활성유도체 조제시에만 무수계(無水系)에서 건조해야 할 필요가 있을 뿐이다.
본 발명은 위에서와 같이 카르본산 황산 혼합산 무수물의 알칼리염 조제시에 소량의 디메틸포름아미드를 사용할 뿐, 다른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으며 종래방법의 유기용제를 사용할 경우 그 결점이 확인되지 않았고, 또 높은 수율로서 공업적으로 가장 유리한 방법이다. 종래에는 아미노산이나 펩티드를 아실화 할경우 카본산 황산 혼합산무수물의 알칼리염을 사용하는 방법은 공지이나(미국화학회지 1398-1407(1957), 화학적으로 불안정한 β-락탐환, 아세톡시기, 전이하기 쉬운 2중 결합을 가진 세펨화합물에 공지의 아실화법을 응용한예는 종래에 없었다.
본 발명자들에 의해 위의 불안정한 화학구조를 갖고 있는 펨화합물의 아실화 반응조건을 여러번 검토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좀더 자세히 본 발명의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원료로서 일반식(I)은 여러가지의 카르본산의 나트륨, 칼륨, 리튬등 알칼리 금속염, 또는 트리알킬페닐, 암모늄염등 유기염기의 염이 쓰여지나 알칼리 금속염이 특히 좋은 결과를 나타낸다.
일반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R1의 대표적예를 열거하면,
페닐기, 3-티에닐기, 3-티에닐기, 3-메틸-2-티에닐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헥사디에닐기, P-클로로페닐기, P-메톡시페닐기, P-니트로페닐기, α-나프틸기, α-(1,2,3-옥사디아졸리딘-4-온-3-일)기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식(I)로 표시되는 R3는 아미노기의 보호기이며 용이하게 이탈할 수 있는것 중에서 선택되며 대표적 예를 열거하면,
저급 알콕시카르보닐기, 특히 t-부톡시카르보닐기, t-펜틸옥시카르보닐기, β,β,β-트리클로로에톡시카르보닐기, β,β,β-트리브로모에톡시카르보닐기, 아릴옥시카르보닐기, 특히 2,4-디니트로페녹시카르보닐기, 아랄킬옥시카르보닐기, 특히 벤질옥시카르보닐기, P-클로로 벤질옥시카르보닐기, P-니트로벤질옥시카르보닐기,
P-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기, 벤즈히드릴옥시카르보닐기, 시클로펜틸옥시카르보닐기, 푸르푸릴옥시카르보닐기 : 저급알카노일기, 특히 포르밀기, 트리클로로아세틸기, 석시닐기, 트리틸기, 비스(P-메톡시페닐)페닐메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원방법의 원료인 화합물(Ia)에서 R은 β-락탐 및 7위 아미도 결합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제거시키는 아미노기의 공지의 보호기를 표시하며, 대표적 예를 열거하면, 벤질옥시카르보닐기, P-메톡시 벤질옥시카르보닐기, t-부톡시카르보닐기, 디페닐메톡시카르보닐기, t-벤질옥시카르보닐기, β,β,β-트리클로로에톡시카르보닐기, β,β,β-트리브로모에톡시 카르보닐기, 2,4-디 니트로페녹시카르보닐기, P-니트로벤질옥시카르보닐기, P-클로로벤질옥시카르보닐기, α,α-디메틸-3,5-디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기, 트리틸기, 비스-(P-메톡시페닐)에틸기, O-니트로 페닐 설페닐기, 니트로페닐설페닐기, 포르밀기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보호기는 펩프티드화학의 분양로서 일반적으로 상용되는 방법에 의해서 β-락탐 및 7위 아미도 결합에 영향이 없으며 일반식(I)의 화합물에서 이탈될 수 있다.
한편, 일반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N-포르밀-D-페닐글라이신의 나트륨, 칼륨, 리튬 등 알칼리 금속염 또는 트리알킬페닐암모늄염 등 유기염기의 염이 쓰여지나 알칼리금속염에 특히 양호한 결과를 나타낸다.
D-페닐그라이신의 N-보호기로서 포르밀기를 선택한 것은 N-포름밀-D-페닐그라이신의 극히 염가인 시약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좋은 수율로 합성할 수 있고, 또 탈포르밀화반응은 일반적 방법으로 가장 높은 수율로서 할 수 있다는 점에 기인한다.
디메틸포름아미드ㆍ무수황산혼합물은 피-자 저(著) 유기합성시약 제1권 1125페이지에 기록되어 있는 바와 같이 무수디메틸포름아미드(이하 DMF로 표시함)를 0-5℃에서 유지하고 무수황산을 증류함으로서 DMF 액표면에 불어넣어 무수황산을 DMF에 흡수시켜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얻어지는 무수황산ㆍ디메틸포름아미드혼합물(이하 SO3ㆍDMF 로 표시함)은 SO3와 DMF의 콤플렉스의 DMF 용액이라고 볼 수 있으며 그 용액중 SO3ㆍDMF 콤플렉스함량은 일정량을 빙수중에서 알칼리 적정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하여 제조한 용액은 습기를 단절해서 냉장고에 저장할 수 있다.
N-포르밀-D-페닐그라이신과 산성황산알칼리염의 혼합산 무수물을 얻는데는 카르본산염이 농도 10-40% DMF에 용해 또는 현탁하여, 0-5℃로 냉각해어 얻은 이 용액 또는 현탁액에 농도를 결정한 SO3ㆍDMF의 DMF 용액을 가하여 10-30분간 교반하면 완전히 맑은 용액이 얻어진다.
실제에 있어서 N-포르밀-D-페닐글라이신염 1몰에 대하여 SO3ㆍDMF 콤플렉스를 동일 몰 내지 1.1 몰의 비율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서 얻어진 카르본산황산 에스테르염을 함유한 DMF 용액은 약 10-40%의 농도이며 냉각하에서도 장시간 방치하면 카르본산의 종류에 따라서 불균일화 반응이 일어나며 제조후 30분-1시간이내에 사용할 수 있다.
일반식(III')로 표시되는 7-ADCA 또는 이산의 염은 천연으로 얻어지는 페니실린을 에스테르화하고 S-옥사이드로 환 확대반응을 일으키지 않고 탈 아실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일반식(III)으로 표시된 7-아미노 세팔로스포란산 및 이산의 유도체 또는 염은 대응하는 7-아실 아미도 세팔로스포란산 및 이산의 유도체에서 탈 아실화반응을 일으켜 제조할 수 있다.
주요한 대표적 화합물은 다음과 같이 열거할 수 있다.
즉,
7-아미노-3-아세톡시메틸-3-세펨-4-카르본산,
7-아미노-3-메틸-3-세펨-4-카르본산,
7-아미노-3-벤조일옥시메틸-3-세펨-4-카르본산,
7-아미노-3-메톡시메틸-3-세펨-4-카르본산,
7-아미노-3-아지도메틸-3-세펨-4-카르본산,
7-아미노-3-[2-(5-메틸-1,3,4-티아디아조일)티오메틸]-3-세펨-4-카르본산,
7-아미노-3-메틸티오메틸-3-세펨-4-카르본산,
7-아미노-3-페닐티오메틸-3-세펨-4-카르본산,
7-아미노-3-피리딜메틸-3-세펨-4-카르본산,
7-아미노-3-(1-메틸-1H-테트라졸-5-일리오메틸)-3-세펨-4-카르본산,
7-아미노-3-(2-메틸-1,3,4-옥사디아졸-5-일티오메틸)-3-세펨-4-카르본산,
7-아미노-3-(피리딘-1-옥사이드-2-일티오메틸)-3-세펨-4-카르본산등이다.
M2로서는 나트륨, 칼륨등 알칼리금속, 트리에틸아민등 유기염기이다.
다음에는 반응실시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일반식(III) 및 (II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염 또는 7-ADCA를 물에 용해 또는 현탁한다.
염의 형태가 아닌 것은 10% 가성소다수용액, 중탄산나트륨 포화수용액, 10% 탄산나트륨수용액, 트리에틸아민등에 의해 가용화하여 pH를 7.5로 조절한다.
염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은 물에 용해시킨후 다시 위의 염기로 pH를 7.5에 조절한다.
이와 같이하여 얻어진 7-ADCA 수용액 또는 7-아미노 세팔로스포란산 및 이산의 유도체의 수용액을 온도 0-20℃ 바람직하게는 온도 5-10℃로 유지한다.
이 수용액을 교반하면서 일반식(II) 또는 (II')의 화합물의 DMF 용액을 10-30분간 적가하여 반응 용액의 pH를 7.5-8.0으로 조절한다.
적가후 20분-1시간, 동일온도에서 교반을 계속한다. 일반적으로 반응은 30분에 완료된다.
지금 화합물 [일반식(II) 또는 (II')]은 화합물[(III) 또는 (III')에 대해서 1.1몰-1.5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응용액은 10% 염산으로 pH를 1.0-2.0으로 조절하여 초산에틸, 초산부틸, 메틸이소부틸케톤, N-부타놀등 유기용매로 추출함으로써 아미노기로서 보호되는 화합물(일반식(IV)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일반식(IV') 화합물은 위의 반응용액을 유기용매로 추출하는 공정을 거쳐 얻은 수액층을 pH 5.0-6.0으로 유지하고 함 유기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해서 침전시켜 N-포르밀 세팔렉신(IV')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생성물은 기지의 방법에 의해 정제할 수 있다.
수율은 수용액중에서 반응하는 공지방법과 비교하여 대단히 양호하다.
또 본발명의 조건하에서는 라세미화(Racemi 化)가 일어나지 않거나 또는 극히 적다.
다음으로 아미노기의 보호기를 기지의 방법으로 이탈하여 소요의 목적물(일반식(IV))이 얻어지나 여기에서는 탈보호기가 종래부터 공지기술에 의해서 용이하게 실시되었다.
즉 보호기의 종류에 의해 산, 알칼리 또는 환원에 의한 분해 방법등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 분해에 의한 보호기의 이탈반응은 β-락탐환, 7-아미도 결합이 분해되지 않는 조건을 선택해야 한다. 또한, 일반식(IV')에 있어서는 아미노보호기인 포르밀기를 기지의 방법으로 예컨데 산 처리로 이탈시켜서 소요의 목적물(IV')을 얻으나 이와같은 탈-포르밀화는 종래의 공지기술에 의해서 용이하게 실시되었다.
즉 메타놀-염산, 또는 메타놀-루이스산을 사용하여(산촉매에 의한 메타놀분해) β락탐환, 7-아미노 결합이 분해되지 않는 조건에서 탈 포르밀화하여 소요의 목적물(IV')를 고순도의 고수득율로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넷째 방법에 있어서 TED 염 또는 DBA 염의 형성반응을 불활성 용매중에서 0-50℃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15-30℃로 화합물(Ia)의 조제물에 TED 또는 DBA를 작용시켜 실시하였다.
여기서 쓰이는 불활성 용매로서는 에틸에테르, 이소프로필에테르등 에테르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등 케톤류, 또는 초산에틸, 초산부틸등의 에스테르류를 단일용매로하거나 또는 약간의 혼합용매로서 사용할 수 있다.
TED 염 또는 DBA염으로 형성되는 화합물(Ia) 1몰에 대해서 작용하는 TED 또는 DBA량을 각각 순서적으로 0.5-1몰, 1-2몰을 가하면 좋고 실제적으로 사용하는 TED 또는 DBA량은 화합물(Ia) 1몰에 대해서 각각 순서적으로 0.6-0.7몰, 1.1-1.5몰을 가하면 좋다.
TED 또는 DBA의 첨가량에 의해서 화합물(Ia)의 TED 염 또는 DBA 염은 화합물(Ia) 1분자에 대하여 0.5-1분자의 TED 또는 DBA를 함유하고 있다.
생성된 TED 염 또는 DBA 염은 반응용액에서 침전되나 불순물은 용해하여 있으므로 분리 정제할 수 있다.
한예로서 여과 또는 원심분리로 TED 염 또는 DBA 염을 채취한다.
이와 같이 형성하여 채취된 화합물(Ia)의 TED 염 또는 DBA 염은, 이것을 염산, 황산, 또는 인산 및 구연산등의 산으로 처리하면 분해하여 유기산의 형태로서 화합물(Ia)이 생성된다.
이 생성물을 초산 에틸, 초산부틸, 메틸이소부틸케톤등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TED 또는 DBA 그 자체를 제거함으로 유리산의 형태로서의 화합물(Ia)에 정량적으로 전화(轉化) 재생할 수 있다.
이 재생공정은 0-5℃의 온도범위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 완전하게 TED 또는 DBA를 제거하기 위해서 주의있게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해서 재생되는 화합물(Ia)의 고순도물에서 보호기 R을 이탈시켜 화합물(IIb)를 생성하는 공정은 단순한 탈보호기의 공정이며 이 탈보호의 수단으로서는 일반적으로 펩프티드화학의 영역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보호기의 종류에 의해서 여러가지 방법이 있으나 β-락탐 및 7위 아미도 결합에 영향을 주지 않는 방법이어야 한다.
한예로서는 t-부톡실카르보닐기가 보호기 R로서 화합물(Ia)에 존재할 경우 트리플루오로초산, 의산, 염산등의 산으로 처리하여 탈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서 얻어진 세팔렉신은 TED 염 또는 DBA 염을 경유하지 않고 제조하였다.
즉, 화합물(Ia)의 조제물의 과정으로 정제하지 않고 바로 탈보호공정으로 제조된 세팔렉신과 비교하여 극히 고순도이며 미반용 원료에 기인하는 D-페닐글라이신을 함유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반식(III)으로 표시되는 7위 아미노기, 일반식(III') 7-의아미노데스아세톡시 세팔로스포란산(7-ADCA)의 7위 아미노기를 아실화하는 것이므로 극히 값이 싼 시약을 사용하여 생성이 용이한 수용성 카르본산 반응성 유도체, 즉 일반식(II)의 카르본산, 황산 에스테르염을 사용하여 수용액중에서 7-아미노 세팔로스포란산 화합물(III)과 반응하여 고수득율로서 소요의 7-아실아미도 세팔로스포란산 화합물(IV)을 얻을 수 있으며, 일반식(II')에 있어서는 N-포르밀-D-페닐그라이신과 산성황산 알칼리염과의 혼합산 무수물을 사용하여 수용액중에서 7-ADCA와 반응해서 포르밀기를 제거하여 고수득율로서 소요의 7-(α-D-아미노페닐아세트 아미도)-3-메틸-3-세펨-4-카르본산(세팔렉신)(IV')을 얻을 수 있다.
종래의 방법과 비교하여 공업적으로 극히 가치가 있는 방법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예에 의해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D-α-t-부톡시카르보닐 아미노페닐초산 리튬염 3.86g을 DMF 40㎖에 용해하여 감압하 20㎖로 농축건조한다.
이 용액을 빙냉하여 SO3ㆍDMF의 DMF 용액(0.1g/㎖) 12㎖를 가한다음 20분간 교반한다.
한편 7-아미노-3-메틸-3-세펨-4-카르본산 2.14g을 물 50㎖에 현탁하여 탄산수소나트륨 포화수용액으로 처리해서 pH 7.5로 하고 온도 5-10℃로 유지한 용액에 대하여 교반하면서 위의 20분간 교반한 DMF 용액을 약 10분간 적가한다.
pH는 7.5-8.0으로 유지하고 적가후 동일온도, 동일 pH에서 30분간 교반한 다음 물 50㎖를 가하고 식염으로 포화시켜 초산에틸 100㎖를 가한다. 10% 염산으로 처리해서 pH 2.0으로하고 불용물을 여과하여 제거한다.
초산에틸층을 분리하고 수액층에 초산에틸 50㎖를 가해서 추출하고 유기층을 합한다.
합한유기층을 포화식염수 100㎖로 2회 세척하고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여 유기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면 5.6g의 잔사가 얻어진다.
이것을 에틸에테르-석유에테르로 결정화하여 융점 150-157℃(분해), 3.83g(수득율 85%)의 백색분말이 얻어졌다.
실리카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CHCl395, CH3OH 5, 의 산 1)로 분석하여 Rf가 0.24에서 단일 스포트를 나타내였다.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CDCl3, TMS, 60㎒)으로 1.42(S, 9H, t-부틸), 2.08(S, 3H, 3-CH), 5.34(d, LH, -CH-, J=7.5㎐), 6.0(d, 1H, HN-BOC, J=7.5㎐), 5.60(q, 1H, 7-H, J=8, 5㎐), 5.34(d, LH, -CH-, J=7.5㎐), 6.03(d, 1H, HN-BOC, J=7.5㎐), 7.2-7.4(6H, phenyl-H, 7-amiddo-H), 8.15(Broads, 1H, COOH).
이 화합물은 7-(D-α-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 아세트아미도)-3-메틸-3-세펨-4-카르본산이다. 이 화합물 200㎖을 에틸에테르 3㎖에 용해하여, 트리에틸렌디아민 56㎎을 에틸에테르 1㎖에 용해한 용액을 가하면 백색 침전이 생성된다.
여과하여 이 결정성 침전을 모아서 에틸에테르로 세척하여 얻어진 생성물은 7-(D-α-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아세트아미도)-3-메틸-3-세펨-4-카르본산의 TED (트리에틸렌 디아민)염으로서 무색결정 249㎎을 얻었다.
Figure kpo00007
7-(D-α-t-부톡시카르보닐 아미노페닐 아세트아미도)-3-메틸-3-세펨-4-카르본산 1g에 99%의 산 25㎖를 가해 실온에서 2시간 교반후 감압하 유기용매를 제거하고 잔사에 소량의 물 및 초산에틸을 가해서 분말로 하여 여취하고, 소량의 아세톤으로 세척해서 MP 187-190℃(분해)의 [백색분말 572㎎(74%)이 얻어졌다.
이것은 7-(D-α-아미노페닐 아세트 아미도)-3-메틸-3-세펨-4-카르본산ㆍ모노히드레이트의 표준품과자외,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및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이 완전히 일치하였다.
[실시예 2]
dl-α-t-부톡시카르보닐 아미노페닐초산 리튬염 3.86g과 7-아미노-3-아세톡시메틸-3-세펨-4-카르본산 2.72g을 써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4.1g(815)의 백색분말을 얻었다.
여기서 얻은 7-(dl-α-t-부톡시카르보닐 아미노페닐 아세트 아미도)-3-아세톡시-3-메틸-3-세펨-4-카르본산 1g을 아세톤 2㎖에 용해하여 디시클로헥실아민 360㎎을 가하면 침전이 생성된다. 여취하여 소량 아세톤으로 세척하면 MP154-156℃(분해)의 디시클로헥실아민염 1.08g이 얻어졌다.
자외선 흡수스펙트럼으로
Figure kpo00008
에타놀 264mμmax(ε: 5700)에서 피이크를 나타내었다.
7-(dl-α-t-부톡시 카르보닐 아미노 페닐 아세트 아미도)-3-아세톡시메틸-3-세펨-4-카르본산 1g을 실시에 1과 같게 조작하여 외산으로 처리해서 MP 230-250℃(분해), 699㎎의 백색분말을 얻었다. 이것은 7-(dl-α-아미노 페닐 아세트 아미도)-3-아세톡시메틸-3-세펨-4-카르본산ㆍ2수염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3]
D-α-t-부톡시카르보닐 아미노페닐초산 리튬염 3.86g, 7-아미노-3-아세톡시메틸-3-세펨-4-카르본산 2.72g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해서 5.8g의 잔사를 얻었다.
이것을 에틸에테르-석유에테르로 결정화하여 4.05g(80%)의 백색분말을 얻었다.
여기에서 얻어진 7-(D-α-t-부톡시카르보닐 아미노 페닐 아세트아미도)-3-아세톡시메틸-3-세펨-4-카르본산 1g을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처리하여 441㎎의 백색분말을 얻었다.
페이퍼크로마토그라피(N-부타놀) 3 : 초산 1 : 물 1)로 측정하여 단일스포트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7-(D-α-아미노페닐 아세트아미도)-3-아세톡시메틸-4-카트본산의 표준품과 자외, 적외선 흡수스펙트럼 및 핵 자기공명 스펙트럼이 완전히 일치하였다.
[실시예 4]
D-α-t-부톡시카르보닐 아미노 페닐초산 리튬염 3.86g, 7-아미노-3-아지도매틸-3-세펨-4-카르본산 2.55g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유기용매를 감압하에 재거한 잔사를 석유에테르-에틸에테르로 결정확한다.
이 조작을 반복하여 D-α-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 페닐아세트아지도)-3-아지도메틸-3-세펨-4-카르본산의 백색분말 4.2g(86%)을 얻었다.
이 화합물 1g에 20㎖의 99%의 산을 가해 실온에서 2시간 30분간 고반한 후 의산을 감압하에 제거한다. 잔사에 물 20㎖, 초산에틸 20㎖를 가해 잘 분쇄하고 여과한다.
분말을 소량의 아세톤으로 세척하여 673㎖의 백색분말을 얻었다.
MP 240-248℃(분해)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kBr)으로 2100㎝-1(N3), 1770㎝-1(β-락탐카르보닐)에서 피이크를 나타내었고, 이것은 7-(D-α-아미노페닐 아세트 아미도)-3-아지도메틸-3-세펨-4-카르본산이다.
[실시예 5]
D-α-t-부톡시카르보닐 아미노페닐 초산 리튬염 3.86g, 7-아미노-3-메틸티오메틸-3-세펨-4-카르본산 2.6g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7-(D-α-t-부톡시카르보닐 아미노페닐 아세트 아미도)-3-메틸티오메틸-3-세펨-4-카르본산의 담황색분말 3.95g(80%)를 얻었다.
이 화합물 1g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의산으로 처리하여 MP 160℃(분해)의 백색분말 536㎎을 얻었다. 이것은 7-(D-α-아미노페닐 아세트아미도)-3-메틸티오메틸-3-세펨-4-카르본산이다.
[실시예 6]
D-α-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 페닐 초산리튬염 3.86g, 7-아미노-3-(5-메틸-1,3,4-티아디아졸-2-일) 티오메틸-3-세펨-4-카르본산 3.44g을 써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반응하여 얻어진 잔사에 에틸 에테르로 가해 결정화하고 다시 에틸에테르로 결정을 세척하면 MP135-38℃(분해)의 7-(D-α-t-부톡시카르보닐 아미노 페닐 아세트 아미도)-3-(5-메틸-1,3,4-티아디아졸-2-2-일) 티오메틸-3-세펨-4-카르본산 부말 4.15(72%)g을 얻었다. 이 화합물 1g에 25㎖의 99%의 산을 가해 실온에서 3시간 고반한 다음 감압하에 의산을 제거한다.
잔사에 물 20㎖를 가해 새분쇄하여 여과한다. 다시 초산에틸로 세척하면, MP 138-140℃(분해)의 7-(D-α-아미노페틸 아세트 아미도)-3-(5-메틸-1,3,4-티아디아졸-2-일) 티오메틸-3-세펨-4-카르본산의 분말 2.65g(55%)이 얻어졌다.
[실시예 7]
D-α-P-메톡시벤질 옥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 초산 리튬염 1.77g을 DMP 10㎖에 현탁하여 0-5℃로 냉각하였다.
이 용액에 SO3.DMF의 DMF 용액(0.08g/㎖) 5.5㎖를 가하였다. 20분간 고반합서 완전히 맑은 용액이 되었다.
한편, 7-아미노-3-메틸-3-세펨-4-카르본산 1.07g을 물 20㎖에 현탁하고 중탄산나트륨 포화수용액으로 가용화하여 pH 7.5로 하고 5-10℃ 온도로 유지한 용액에 위의 맑은 DMF 용액을 교반하면서 약 10분간에 적가하였다. pH는 7.5-8.0으로 유지하였다. 적가후 동일온도, 동일 pH에서 30분간 교반을 계속한 후 물 50㎖를 가하고 10% 염산으로 처리해서 pH를 5.5로 하였다.
석출한 침전을 여취하여 물로 세척하였다. 이것을 에타놀로 재결정하면 MP 185.5-186℃(분해)의 7-(D-α-P-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 아세트아미도)-3-메틸-3-세펨-4-카르본산이 무색침상결정으로 수득율 1.92g(75%)를 얻었다.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Nujol)으로 측정하여, 1765㎝-1(β-락탐), 1720㎝-1(NHCOO-)에서 피이크를 나타내었다.
핵 자기공명스펙트럼으로(60㎒, DMSO-d6, DSS) 측정하면, 2.06(S, 3H, 3위 CH3), 3.40(broad, d, 2h,
Figure kpo00009
), 3.80(S, 3H, CH3O-) 5.00(d, 1H, 6위 H) 5.05(S, 2H, OCH2- 5.5(d, 1H,
Figure kpo00010
) 5.63(q, 1H, 7위 H)와 같다.
7-(D-α-P-메톡시벤질 옥시카르보닐-아미노 페닐 아세트 아미도)-3-메틸-3-세펨-4-카르본산 1g을 염화메틸렌 10㎖에 현탁하여 빙냉하에서 트리플루오로 초산 2㎖를 가하였다.
40분간 빙냉하여 고반한 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빙수 50㎖를 가하여 트리에틸아민으로 처리해서 pH를 5.0으로 조절하고 하룻밤 냉장고에서 방치하여 석출한 결정 0.55g을 여취하였다.
이 생성물은 7-(D-β-페닐 아세트 아미도)-3-메틸-3-세펨-4-카르본산 모노히드레이트의 표준품과 적외,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 및 핵자기공명 스펙트럼이 완전하게 일치하였다.
[실시예 8]
N-포르밀-D-페닐글라이신리튬염 5.55g을 DMF 40㎖에 현탁하고 감압하에서 20㎖로 농축하여 건조한다. 여기서 얻어진 DMF 현탁액을 냉각하여 SO3.DMF의 DMF 용액(0.1/㎖) 24㎖를 가한다. 빙냉하에서 30분간 고반하여 완전히 맑은 용액이 얻어졌다.
한편, 7-아미노-3-메틸-3-세펨-4-카르본산 2.14g을 물 50㎖에 현탁하고 중탄산나트류 포화수용액으로 용해하여 pH 7.5로 하고 5-10℃의 온도로 유지한 용액에 위의 맑은 DMF 용액을 교반하면서 약 10분간 적가하였다. pH는 7.5-8.0으로 유지하였다.
적가후 다시 40분간 동일 온도, 동일 pH에서 교반을 계속하였다.
반응액을 초산에틸 200㎖로 2회 추출하고 수액층에 10% 염산을 가하여 pH를 5.5로 하였다. 수액층에 에틸에테르 100㎖를 가하여 추출한 다음 감압하에서 수액층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용매를 제거하면 결정이 석출된다.
하룻밤 한냉한 장소에 방치한 후 여취하여 소량의 냉수로 세척건조하면 7-(α-D-포르밀 아미노-페닐아세트아미도)-3-메틸-3-세펨-4-카르본산의 결정 2.70g(72%)이 얻어졌다.
이것을 박층 클로마토그라피로 측정(N-부타놀 3 : 초산 1 : 물 1)하여 Rf 0.76에서 단일스포트를 나타내었고 MP는 199-200℃(분해)이었다.
또한,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Nujol)으로 측정해서, 1775㎝-1(β-락탐), 1715㎝-1(카르복시), 1660㎝-1(아미도)에서 피이크를 나타내었다.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D2O, NaHCO3, DSS, 60㎒, ppm)으로 측정해서, 1.87(S, 3H, CH3), 3.20(q, 2H, 2위 CH2), 4.94(d, 1H, 6위 H), 5.53(S, 1H,
Figure kpo00011
), 5.57(d, 1H, 7위 H), 7.47(S, 5H, 페닐), 8.16(S, 1H, CHO)으로 표시되었다.
[실시예 9]
N-포르밀-D-페닐글라이신 나트륨염을 써서 실시예 8과 같은 조작을 하여 7-(α-D-포르밀아미노-페닐 아세트 아미도)-3-메틸-3-세펨-4-카르본산을 얻었다(70%).
[실시예 10]
N-포르밀-D-페닐글라이신ㆍ칼륨염을 써서 실시예 8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7-(α-D-포르밀 아미노 페닐 아세트 아미도)-3-메틸-3-세펨-4-카르본산을 얻었다(71%).
[실시예 11]
7-(α-D-포르밀 아미노-페닐 아세트-아미도)-3-메틸-3-세펨-4-카르본산 1g을 건조메타놀 40㎖에 현탁하여 5-10㎖로 유지하면서 농염산 3㎖를 가한 후 실온에서 고반하였다. 약 1시간 30분에 완전히 맑은 용액이 되었고 다시 3시간 교반을 계속한 후 빙수 50㎖를 가하여 5% 암모니아수로 pH를 4.5로 하였다.
초산에틸 250㎖로 2회 추출하고, 다시 에틸에테르 200㎖로 추출한 다음 감압하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하여 얻어진 수액층에 아세트니트릴 300㎖와 아세톤 100㎖을 가하여 결정이 석출되었다.
결정을 여취하고 건조하여 0.85g의 7-(α-D-아미노페닐-아세트 아미도)-3-메틸-3-세펨-4-카르본산을 얻었다. 이것은 적외, 자외선 흡수스펙트럼, 핵자기공명 스펙트럼이 표준품과 완전히 일치하였다.
[실시예 12]
7-(α-D-포르밀 아미노-페닐 아세트 아미도)-3-메틸-3-세펨-4-카르본산 1g을 건조 메타놀 20㎖에 현탁하여 0-5℃로 냉각한 다음 고반하면서 옥시염화인 1.1㎖를 30분에 적가하였다. 약 1시간후에 반응액은 맑게 되었다.
다시 3시간 0-5℃에서 교반을 한다음 에틸에테르 200㎖를 가하여 한냉한 장소에 방치하였다. 유상물이 석출되므로 경사법으로 용매를 분리시켰다. 다시 얻어진 유상물에 에틸에테르 50㎖를 가하여 결정이 석출되었다.
이것을 여취하고 건조하여 0.98의 7-(α-D-아미노페닐아세트아미도)-3-메틸-3-세펨-4-카르본산의 염산염이 얻어졌다.
[실시예 13]
[7β-(D-α-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α-페닐아세트 아미도)-3-메틸-3-세펨-4-카르본산, 트리에틸렌 디아민염의 생성]
D-α-t-부톡시카르보닐 아미노 페닐초산리튬염 3.86g을 DMF 40㎖에 용해하여 감압하에서 20㎖로 농축 건조하였다.
이 용액을 빙냉하여 무수황산 디메틸포름 아미드혼합물(SO3,DMF)의 DMP용액(0.1g/㎖)(일본특허출원소화 49-60235호 참조) 12㎖를 가하였다. 그 다음 20분간 교반하였다.
이 용액을, 7-아미노-3-메틸-3-세펨-4-카르본산 2.14g을 물 50㎖에 현탁시켜 탄산수소나트륨포화수용액으로 처리하여 pH를 7.5로 조절하고 가용화하여 5-10℃의 온도로 유지한 용액에 대하여 교반하면서 약 10분간 적가하였다.
pH를 7.5-8.0으로 유지시켰다.
적가후 동일 pH, 동일온도에서 30분간 교반을 계속한 다음 물 50㎖를 가하여 식염으로 포화하고 초산에틸 100㎖를 가하여 10% 염산으로 처리해서, pH를 2.0으로 조절하고 불용물을 여과하여 제거시켰다.
초산에틸층을 분리하고 수액층을 초산에틸 50㎖로 추출하여 유기층을 합하였다.
유기층을 포화식염수 100㎖로 2회 세척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여 유기용매를 감압하에서 제거하여 5.6g의 잔사를 얻었다.
이 잔사에 에틸에테르를 가하여 용해시키고 트리에틸렌디아민 600㎎의 에틸에테르용액을 교반하면서 가하였다. 생성한 트리에틸렌 디아민염을 침전하여 석출되므로 이것을 여취하여 에틸에테르로 세척 건조하였다. 4.61g의 백색결정으로서의 표제의 화합물을 얻었다. 융점은 155-157℃(분해)이다.
Figure kpo00012
[실시예 14]
[7β-(D-α-아미노-α-페닐아세트 아미도)-3-세펨-4-카르본산의 생성]
실시예 1의 생성물 즉, 7β-(D-α-t-부톡시 카르보닐 아미노-α-페닐아세트아미도)-3-메틸-3-세펨-4-카르본산 트리에틸렌디아민염 2g을 초산에틸 20㎖에 용해하여 물 20㎖을 가하고 냉각하였다.
또 10% 염산으로 처리하여 pH 2.5로 조절하였다. 초산에틸층을 분리하고 수액층에 다시 초산에틸 20㎖를 가해 추출하고 초산에틸을 합하였다.
그 다음에 포화식염수 20㎖로 2회 세척하고 무수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유기용매를 제거하여 트리에틸렌 디아민염에서 유리산을 얻었다. 잔사에 의산(80%) 20㎖를 가하여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한 다음 감압하에서 의산을 제거하고 잔사를 물 20㎖에 용해시키고 트리에틸아민으로 처리하여 pH 4.5로 조절한 다음, 아세톤 200㎖를 가해 빙냉하여 결정화시켰다. 얻어진 침전을 여과하여 모으고 아세톤, 에틸에테르로 세척하였다. 2.1g의 백색결정으로서의 표제의 화합물을 얻었다. 적외선, 자외선 흡수스펙트럼, 선광도는 표준품과 일치하였다.
이 결정성 화합물중에는 무아스타인(Moor-Stein)의 아미노산분석법에 의해 D-α-페닐글라이신은 존재하지 않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5]
[7β-(D-α-t-부톡시카르보닐 아미노-α-페닐아세트 아미도)-3-메틸-3-세펨-4-카르본산 디벤질 아민염의 생성]
D-α-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 페닐초산리튬염 3.86g을 DMF 40㎖에 용해하여 감압하에서 20㎖로 농축시켜 건조하였다. 이 용액을 빙냉하여 무수황산 디메틸포름 아미드혼합산(SO3.DMF)의 DMF용액(0.1g/㎖)(일본특허출원 소화 49-60235호 참조) 12㎖을 가하였다. 다음에 20분간 교반하였다.
이 용액을, 7-아미노-3-메틸-3-세펨-4-카르본산 2.14g을 물 50㎖에 현탁하여 탄산수소나트륨포화수용액으로 처리하여 pH 7.5로 조절하고 가용화하여 온도 5-10℃로 유지한 용액에 대하여 교반하면서 약 10분간 적가하였다. pH를 7.5-8.0으로 유지시켰다.
적가후 동일 pH, 동일온도에서 30분간 교반을 계속한 다음 물 50㎖를 가해 식여으로 포화하여 초산에틸 100㎖를 가하였다. 또 10% 염산으로 처리하여 pH를 2.0으로 조절하고 불용물을 여과하여 제거시켰다. 초산에틸층을 분리하고 수액층을 초산에틸 50㎖로 추출하여 유기층을 합하였다.
유기층을 포화식염수 100㎖로 2회 세척하고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여 유기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여 5.6g의 잔사를 얻었다. 이 잔사에 초산에틸-에틸에테르 1 : 1의 혼합물 20㎖ 액 가해 용해시키고 디벤질아민 84㎖를 교반하면서 가하였다.
생성된 DBA염은 침전하여 석출되므로 이것을 여취하고 소량의 초산에틸로 세척하여 초산에틸-메타놀(15 : 1)의 혼합용매에서 재결정하였다. 5.85g의 백색침상의 결정으로서 표제의 화합물을 얻었다.
이 화합물의 분석치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13
[실시예 16]
[7β-(D-α-아미노-α-페닐아세트아미도)-3-메틸-3-세펨-4-카르본산의 생성]
실시예 3의 생성물, 즉 7β-(D-α-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α-페닐 아세트 아미도)-3-메틸-3-세펨-4-카르본산 디벤질 아민염 2g을 초산에틸 20㎖에 용해하고 물 20㎖을 가하여 냉각된 50% 구연산으로 처리하여 pH 3.0으로 조절하였다.
초산에틸층을 분리하고 수액층에 다시 초산에틸 20㎖을 가하여 추출하고 초산에틸을 합하여 포화식염수 20㎖로 2회 세척하고 무수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여 유기용매를 제거함으로서 디벤젠 아민염에서 유리산을 얻었다.
잔사에 염화메틸렌 10㎝을 가해 용해시키고 농염산 5㎖을 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한 후 빙스 20㎖를 가해 수액층을 분리한 수액층을 냉각하에서 트리에틸아민을 가하고 pH 4.5로하여 침전을 석출하였다. 약 1시간 교반한 다음 여과하여 고체를 모으고 소량의 물로 세척하였다. 2.1g의 백색결정으로 표제의 화합물을 얻었다. 적외선, 자외선, 흡수스펙트럼, 선광도는 표준품과 일치하였다.
이 결정성 화합물중에는 무어-스타인(Moor-Stein)의 아미노산 분석법에 의해서 D-α-페닐글라이신이 존재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1)

  1. 일반식(II)의 화합물을 일반식(III)의 7-아미노 세팔로스포란산 유도체와 수용액중에서 반응시킨 다음 아미노 보호기를 제거시켜 다음의 일반식(IV)인 세펨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14
    위의 식에서, R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시클로알케닐기, 시클로알카닐기, 축합환을 갖거나 갖지 않은 복소환기, 또는 축합환을 갖은 아릴기를 표시하고, R2는 제거될 수 있는 아미노보호기로서 저급 알콕시카르본기(t-부톡시카르본기, t-펜틸옥시카르본기) 아릴옥시카르본기(2,4-디니트로페녹시카르본기), 아랄킬옥시카르본기(벤질옥시카르본기)등이며, R3는 수소원자, 아세틸옥시기, 아지도기, 시아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옥시기, 아릴옥시기, 아랄킬옥시기, 알킬티오기, 아릴티오기, 아랄킬티오기, 복소환티오기를 표시하고, M1은 무기 또는 유기의 1가 양이온을 나타내고, M2은 알칼리금속, 유기염기의 양이온 또는 수소원자를 표시한다.
KR7501201A 1975-06-02 1975-06-02 세펨유도체의 제조방법 KR800001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1201A KR800001554B1 (ko) 1975-06-02 1975-06-02 세펨유도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1201A KR800001554B1 (ko) 1975-06-02 1975-06-02 세펨유도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1554B1 true KR800001554B1 (ko) 1980-12-27

Family

ID=19201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501201A KR800001554B1 (ko) 1975-06-02 1975-06-02 세펨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155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3917A (en) Cephalosporin synthesis
JP2006501305A (ja) セフジニル中間体塩
US3668201A (en) Cepham compounds
JPS6139313B2 (ko)
US4902793A (en) Process for preparing 3-alkoxymethylcephalosporins
JP4022070B2 (ja) 新規チアゾール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800001554B1 (ko) 세펨유도체의 제조방법
IE50176B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henylglycyl chloride hydrochlorides
EP0907654B1 (en) De-esterification process
US4908444A (en) Method of producing cephem compounds
JPH0521912B2 (ko)
KR800000792B1 (ko) 세펨 유도체의 제법
US5162522A (en) Method for producing cephem compounds
US4115646A (en) Process for preparing 7-aminocephalosporanic acid derivatives
GB1602876A (en) Method for producing cepham compounds
KR800000791B1 (ko) 세펨유도체의 제조법
KR810000336B1 (ko) β-락탐계 항생물질 유도체의 제조방법
US20040002601A1 (en) Method for producing cephalosporins
KR800000546B1 (ko) 티아졸릴아세트 아미도 세팔로스포린 화합물의 제조방법
KR800000043B1 (ko) 7-(치환페닐글리씬아미도)-3-치환-3-쎄펨-4-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JPH0414117B2 (ko)
JPH072751B2 (ja) 新規なセフアロスポリン類およびその塩
JPH0578372A (ja) セフアロスポリン誘導体
JPH08830B2 (ja) 3−アルカノイルオキシメチル−3−セフエム−4−カルボン酸類の製造法
JPH05331174A (ja) 7−アシル−3−置換カルバモイルオキシセフェム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