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1354Y1 -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1354Y1
KR800001354Y1 KR7904862U KR790004862U KR800001354Y1 KR 800001354 Y1 KR800001354 Y1 KR 800001354Y1 KR 7904862 U KR7904862 U KR 7904862U KR 790004862 U KR790004862 U KR 790004862U KR 800001354 Y1 KR800001354 Y1 KR 8000013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fastening
nut
members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48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웅
Original Assignee
김기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웅 filed Critical 김기웅
Priority to KR79048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13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13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13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8Quickly-detachable or mountable nuts, e.g.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Nuts movable along the bolt after tilting the nut
    • F16B37/0807Nuts engaged from the end of the bolt, e.g. axially slidable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16B35/06Specially-shaped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41Releasable devices
    • F16B37/042Releasable devices locking by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4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means of washers, spring washers, or resilient plates that lock against the obj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3/00Washers or equivalent devices;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bolt-head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체결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을 조립한 상태에서 2개의 부재를 분리시킨 상태의 단면도,
제 3 도는 2개의 부재를 접합하여 체결한 상태의 단면도,
제 4 도는 제 2 도의 분리상태의 우측면도,
제 5 도는 제 3 도의 체결상태의 우측면도이다.
본 고안은 빈번하게 분해조립을 반복하여 사용하게 되는 형틀용 부재 또는 분해조립식 구조물의 프레임등을 신속히 체결하고 분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체결되는 양부재에 미리 체결장치를 장착시키고, 체결용 보울트와 너트가 나합된 상태에서 두개의 부재를 체결하거나 분해시키도록 한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보울트와 너트를 사용한 체결장치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각기 독립된 보울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체결시에는 보울트와 너트를 나합시키고, 분해시에는 보울트와 너트를 나해하여 양자가 분리되게 하는 것이었으므로, 체결상태를 장기간 유지시키는 부재의 결합용으로는 적합하나, 양부재를 빈번하게 분해하고 다시 조립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체결된 보울트와 너트를 나해하거나 나합시키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비되는 것이었고, 빈번한 분해조립으로 인하여 보울트나 너트의 나사부가 마손되므로서 체결상태가 이완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이었으므로 분해조립이 빈번하게 반복되는 부재를 체결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한 것이었으나, 본 고안은 보울트와 너트를 나합시킨 상태에서 두개의 부재를 신속하게 체결하고 또한 분해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에서 표시하는 바와같이 체결하고자 하는 두개의 부재(1)(1')에는 장방형의 체결공(2)(2')이 천공되어 있고 일측부재(1)의 체결공(2)의 양단대각부(對角部)에는 보울트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어봉(3)(3')이 입설되어 있으며 양제어봉(3)(3')은 단일철봉으로 절곡 형성되고, 보울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방향으로 입설되어 있으며, 체결하는 타측부재(1')에는 체결공(2')에 대접하여 체결용 보울트(B)의 삽통공(4')이 천공되고 장방형의 보울트해드(B')의 감합구(4")가 굴설된 보울트시이트(4)가 제 2 도 및 제 3 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용접되어 있다.
보울트(B)의 장방형 보울트해드(B')는 체결공(2)(2')과 동일방향으로 옆으로 뉘었을 때에는 체결공(2)(2')을 통과하여 보울트시이트(4)의 감합구(4")에 삽입되고, 체결공(2)(2')과 교차되게 세웠을 때에는 보울트해드(B')의 양단부가 제어봉(3)(3')에 걸리어 회전될 수 없는 정도의 크기로 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5는 보울트(B)와 나합하는 너트이고, 6은 와셔이며, 7은 보울트시이트(4)와 너트(5)사이에 탄삽되는 스프링이다.
본 고안의 체결장치에 의하여 양부재(1)(1')를 체결할 때에는 체결공(2)(2') 및 보울트시이트(4)의 삽통공(4')내로 보울트(B)의 나사부를 삽입하고 제 5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보울트해드(B')을 세운 다음 보울트(B)를 회동하지 못하도록 협지하고 보울트(B)의 나사부에 스프링(7)과 와셔(6)를 개재시켜 너트(5)를 체결하면 보울트해드(B')는 제어봉(3)(3')에 걸려 회동되지 못하므로 너트(5)를 조여 양부재(1)(1')를 체결하게 되는 것인바, 일단 체결이 끝난 다음부터는 양부재(1)(1')를 분해하고자 할때에는 제 2 도 및 제 4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너트(5)를 체결공(2)(2')측으로 밀면서 나해하는 방향으로 약 90°정도 돌리게 되면 스프링(7)의 탄발력으로 체결된 부재(1)에 밀접되어 있던 보울트해드(B')가 회동하면서 체결공(2)(2')과 일치되는 위치까지 회동하면 스프링(7)의 탄발력에 의하여 보울트(B)는 너트(5)와 나합된 채 후퇴하게 되고 따라서 보울트해드(B')는 체결공(2)(2')을 통과하여 보울트시이트(4)의 감합구(4")속으로 들어가게 되고 결국 양부재(1)(1')는 체결상태에서 분해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일단 분해된 양부재(1)(1')를 다시 체결하고자 할때에는 제 3 도 및 제 5 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분해할 때와는 반대순서로 너트(5)가 나합된 상태에서 너트(5)를 밀게되면 스프링(7)이 수축하면서 보울트해드(B')가 전진하여 체결공(2)(2') 밖으로 노출하게 되므로 이때 너트를 90°정도 시계방향으로 돌려 보울트해드(B')를 체결공(2)(2')과 교차된 상태로 하면 양부재(1)(1')는 간단히 체결되는 것이고 스프링(7)의 탄발력과 제어봉(3)(3')에 의하여 체결상태가 이완됨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보울트(B)와 너트(5)를 나합된 상태로 두고 양부재를 체결 또는 분해할 수 있는 것이고, 또한 체결용 부속이 전부 부재와 함께 부착되어 있는 것이므로 취급이 간편하고 분해조립이 빈번한 구조물의 체결용으로 적합한 것이다.

Claims (1)

  1. 체결하고자 하는 양측부재에 장방형의 체결공을 천공하고 일측부재의 체결공에는 너트가 나착되고 장방형의 해드를 가진 보울트를 삽입한 보울트시이트를 대접되게 용착하며 너트와 보울트시이트 사이에 스프링을 탄설하여 보울트해드가 체결공내로 출몰되게 구성하여서 된 체결장치.
KR7904862U 1979-08-16 1979-08-16 체결장치 KR8000013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4862U KR800001354Y1 (ko) 1979-08-16 1979-08-16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4862U KR800001354Y1 (ko) 1979-08-16 1979-08-16 체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1354Y1 true KR800001354Y1 (ko) 1980-08-27

Family

ID=19214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4862U KR800001354Y1 (ko) 1979-08-16 1979-08-16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135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44160A1 (en) Pipe joint
JPS60143907U (ja) 隣接する部材を反復可能に整合する装置
US4067656A (en) Joint member
KR800001354Y1 (ko) 체결장치
US3110948A (en) Clamp and method of manufacture
US3288499A (en) Adjustable gusset stay for support structures
KR930002968Y1 (ko) 문 손잡이 고정용 금구
JPS6143851Y2 (ko)
JP2006105184A (ja) 角パイプを正面t型またはl型に着脱可能に接続する方法
JP2008038361A (ja) 補強金具
JPS5836726Y2 (ja) ブレ−ス
JP3286729B2 (ja) 水抜き孔形成用補助部材
JPS6322326Y2 (ko)
KR840002417Y1 (ko) 메 가 폰
JPH068171Y2 (ja) 格子状枠
JPH1193920A (ja) 棒材連結金具
JPS6256996U (ko)
JP3490267B2 (ja) アンテナ取付具
KR960006828Y1 (ko) 캐비넷의 고정구조
JPS5842709Y2 (ja) 望遠鏡用三脚
JP2005163413A (ja) トラス構造
KR200225082Y1 (ko) 스터드 볼트 어셈블리
SU1013586A1 (ru) Стро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GB827342A (en) Joint structure
KR880001737Y1 (ko) 컴퓨터용 모니터의 화면 각도 조절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