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1300Y1 - 펌 프 장 치 - Google Patents

펌 프 장 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1300Y1
KR800001300Y1 KR2019800000442U KR800000442U KR800001300Y1 KR 800001300 Y1 KR800001300 Y1 KR 800001300Y1 KR 2019800000442 U KR2019800000442 U KR 2019800000442U KR 800000442 U KR800000442 U KR 800000442U KR 800001300 Y1 KR800001300 Y1 KR 8000013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casing
casing
pump
cove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04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또모 요시하라
겐조 미까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히다찌세이사꾸쇼
요시야마 히로요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히다찌세이사꾸쇼, 요시야마 히로요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히다찌세이사꾸쇼
Priority to KR20198000004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13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13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13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2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628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펌 프 장 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인 펌프장치의 단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Ⅱ-Ⅱ선 단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펌프장치 부분확대 투시도.
본 고안은 합성수지제인 펌프 케이싱, 펌프 케이싱내에 들어있는 임펠러, 전동기의 중량이 펌프 케이싱에 작용하는 방식으로 된 펌프 케이싱의 상부에 위치한 전동기를 포함하는 펌프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중량이 펌프 케이싱에 작용하는 전동기장치는 케이싱의 내부 압력이 아주 높더라도 펌프 케이싱이 내부에서의 압력을 견디도록 하여준다. 따라서 높은 내부 압력에 견딜수 있는 합성수지제 펌프 케이싱의 사용을 가능케하여 긴 수명을 갖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펌프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케이싱이 합성수지로 된 펌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물용 전기펌프의 제작에 있어서 펌프의 몸체를 형성하는 펌프 케이싱은 주물 또는 이와 유사한 것으로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내부식성, 중량감소, 원가절감등을 위하여 합성수지제로 펌프의 구성부분품을 만드는 경향이 있다. 합성수지제품은 금속제품에 비하여 인장강도와 같은 물리적 특성면에서 뒤떨어진다. 이것을 극복 하기 위하여 제품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등의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이를 시도는 실제 응용상 야기되는 요구조건을 만족시키는 바람직한 긴 수명을 갖는 제품을 제공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케이싱등이 합성수지제인 펌프의 사용은 비교적 저압에서 화학물질을 이송시키는 데 대한 것만으로 제한되었다.
본 고안자는 케이싱이 합성수지제이고 높은 내부 압력을 견디어 낼수 있는 펌프장치를 시험하여 반복된 실험과 조사결과를 기초로 한것으로 즉 합성수지로 된 케이싱에 외부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내부압력이 커지드라도 펌프의 동작중 케이싱내의 내부 압력을 펌프의 케이싱이 견디어 내게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케이싱내에서 강한 내부 압력에 견디고 긴 수명을 갖는 펌프장치를 제안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펌프장치는 합성수지제 케이싱으로 구성되고 케이싱내에 있는 임펠러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전동기가 케이싱상부에 있는데 이 전동기의 중량이 케이싱에 인가되게 한것으로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를 보면 펌프장치의 케이싱(10)이 합성수지제로 된 것으로 제 3 도에 의해 상세히 알수 있는 바와같이 펌프 케이싱(10)은 실린더형이고 내부에 격벽(11)이 형성되어 있다. 펌프 케이싱(10)에는 4개의 개구가 있는데 그 상부 표면에 있는 하나의 개구는 덮개(13)로 덮이고 이 덮개(13)는 패킹(12)의 매체를 통해 케이싱(10)에 고정되며, 상기 덮개(13)는 합성수지제 혹은 금속제로 된다.
펌프 케이싱(10)의 양측에 개방된 두개의 개구는 흡입구(14)와 토출구(15) 역할을 한다. 여기서 흡입구(14)는 흡입플랜지(14A)를 거쳐 흡입파이프(16)에 연결되고 토출구(15)는 토출플랜지(15A)를 거쳐 토출파이프(17)에 연결된다.
그리고 개구(18)는 펌프 케이싱(10)의 바닥부분에 있는데 이것은 뚜껑(20)으로 덮어지며 이 뚜껑(20)은 패킹(19)의 매체를 통해 펌프 케이싱(10)에 고정된다.
전동기(21)는 펌프 케이싱(10)내에서 상부 개구(10a)를 덮는 덮개(13)의 상부에 놓여지며 임펠러(22)는 전동기(21)의 회전 샤프트(23)에 결합되고 펌프 케이싱(10)내에 들어 간다.
또한 유도관(24)은 펌프의 토출측에 위치하며 유도관(24)의 전(前) 단면은 환형패킹(25)을 거쳐 펌프 케이싱(10)내의 격벽(11)을 형성하는 벽과 접촉한다.
전동기(21)의 하방측 앤드브래킷(21-1)에는 상기 펌프 케이싱(10)의 외주 벽상까지 연재하는 덮게부(21-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후방벽(26)은 유도관(24)과 일체로 되며 환형으로서 임펠러(22)의 후방막(27)의 측벽상에 배치된다. 격벽(28)은 내부 표면상에서 덮개(13)와 일체로 되어 후방벽(26)의 단부에 결합되며 후방벽(26)은 유도관(24)과 일체로 형성된다.
특히 환형 돌출격벽(28)은 펌프 케이싱(10)내에서 상부 개구부(10a)를 덮는 덮개(13)의 내부 표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반면에 격벽(28)의 후단은 유도관(24)의 후방벽(26)의 단부에 결합된다.
또한 후방벽(26)은 격벽(28)에 결합됨으로써 펌프 케이싱(10)의 내부는 임펠러(22)가 들어가는 임펠러실(19)과 임펠러(22)의 토출측상에 있는 공기-물 분리실(30)로 나뉘어 진다.
공기-물 분리실(30)은 토출통로(31)를 거쳐 토출구(15)에 연결되어 있으며 토출통로(31)의 입구(32)는 공기-물 분리실(30)의 상부로 들어갈때 개방된다.
흡입통로(23)는 펌프 케이싱(10)내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통로(33)는 펌프 케이싱(10)내에서 격벽(11)아래에 있다. 흡입통로(33)의 일단은 임펠러(22)의 흡입측에 연결되어 있고 그 타단은 흡입구(14)를 거쳐 흡입파이프(16)에 연결되어 있다.
베이스(34)는 펌프 케이싱(10)을 재치시키는 재치대로서 펌프 케이싱(10)의 하방에 위치하며 이 베이스(34)는 케이싱(10)의 상부에 적재된 전동기등의 무게를 견디어 낼수 있도록 강도면에서 금속등과 같은 물질로 만드는 것이 좋다.
본 고안의 1실시예에서는 펌프 케이싱(10)이 베이스(34)상에 재치되는 경우지만 본 고안은 결코 이러한 예에만 제한될 필요가 없고 압력탱크위에 놓을 수도 있다.
압력탱크는 펌프장치가 자동적으로 동작될 경우에 사용된다. 기계적인 봉합(36)은 회전샤프트(23)에 입혀지고 임펠러실(29)내에 들어있다. 펌프 케이싱(10), 펌프 케이싱(10)내의 상부 개구(10a)를 덮는 덮개(13), 덮개(13)의 위에있는 전동기(21), 그위에 펌프 케이싱(10)을 재치하는 베이스(34)들은 관통볼트(37)로서 일체로 함께 고정된다.
베이스(34)가 없으면 펌프 케이싱(10)의 상부 외주변이 플랜지부(도시되지 않음)로 형성되며 이와같은 펌프 케이싱(10)과 덮개(13) 및 전동기(21)는 관통볼트(37)로 함께 고정된다.
이때 펌프 케이싱(10)과 기타부분품은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일체로 고정되는데 펌프 케이싱(10)의 외주 표면과 관통볼트(37)사이의 간격 G는 제 2 도와 같이 최소한으로 되어야 한다.
간격 G는 케이싱의 허용 가능 변형이 될수 있는 경우에 펌프 케이싱(10)의 외주 표면이 관통볼트(37)를 접촉시키는 방식으로 미리 결정된다.
상기와 같이 배치된 펌프장치의 결합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펌프 케이싱(10)내에 임펠러(22)와 유도관(24)을 넣기전에 케이싱(10)을 베이스상에 놓는다.
이때 임펠러(22)는 전동기(21)의 회전축(23)과 결합시킨다.
그 다음에 덮개(13)의 격벽(28)에 결합된 후방벽(26)으로 펌프케이싱(10)내에 임펠러(22)와 유도관(24)을 넣고 동시에 펌프 케이싱(10)내에 상부 개구(10a)는 덮개(13)로 덮고 또 한편 전동기(21)는 덮개(13)의 상부에 놓은다음 서로의 상부에 배치된 각 부분품을 회전시키기 위해 각 결합공(41),(42),(43)내에 관통볼트(37)를 삽입시킨다. 이러한 방법으로 베이스(34), 케이싱(10), 덮개(13) 그리고 전동기(21)를 일체로 고정시킨다.
다음에 전동기(21)가 펌프 케이싱 하부에 위치한 경우를 설명한다.
우선 회전샤프트(23)가 관통하고 있는 덮개(13)는 전동기(21) 상부에 놓여있다.
그리고 회전샤프트(23)에 기계적인 봉합을 시키고 임펠러(22)를 회전샤프트(23)의 일단에 연결시킨 다음 유도관(24)과 일체로 된 후방벽(26)을 덮개(13)의 격벽(28)에 결합시킨다. 이어서 패킹(12)이 샌드위치 같이 덮개(13)와 펌프 케이싱(10) 사이에 중첩되고 패킹(25)은 유도관(24)의 전표면과 격벽(11)사이에 중첩되며 다음에 펌프 케이싱(10)이 덮개(13)위에 놓여진다. 이때 베이스(34)는 펌프 케이싱(10)의 하부에 고정된다. 이와같이 전동기(21), 펌프 케이싱(10)의 부분형성덮개(13), 펌프 케이싱(10), 베이스(34)가 관통볼트(37)로서 일체로 고정되어 펌프장치는 결합된다. 이 경우 베이스는 케이싱 하부에 놓거나 혹은 전동기를 케이싱 하부에 놓을 수도 있다. 이때 덮개(13), 펌프 케이싱(10)등과 같은 각 부분품은 미리 해당 구멍내에 관통볼트를 넣고 다음에 볼트(37)로 펌프장치의 모든 부분품을 일체로 고정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그결과 압축력이 펌프 케이싱(10)위에 가해지게 되므로 펌프작동시 펌프 케이싱(10)의 외부 확장을 막게 된다.
따라서 펌프 케이싱(10)은 펌프 케이싱(10)위에서 가해지는 전전동기(21)의 중력에 보강 유지되므로 본 고안에 의한 펌프 케이싱은 내부 압력이 아주 높더라도 펌프 케이싱(10)내에 내부 압력을 자연히 견딜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에 의하면 조립과 분해가 안내 볼트만으로서 행할 수 있고, 안내볼트의 조임력 및 전동기의 중량이 펌프 케이싱의 외부 벽상에 유효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펌프 케이싱의 바람직하지 못한 변형이 방지됨과 동시에 펌프 케이싱의 수밀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Claims (1)

  1. 베이스(34)와 베이스상(34)에 적재된 합성수지제의 펌프 케이싱(10)과 펌프 케이싱(10)내에 회전자재로 배치한 임펠로(22)와 임펠로(22)를 구동하여 펌프 케이싱(10)에 올려놓은 전동기(21)와 펌프 케이싱(10)에 일체로 형성한 흡입구(14) 및 토출구(15)로 구성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상기 펌프 케이싱(10)의 상방 개구부(10a)에 케이싱 덮개(13)을 취부하여 전동기(21)의 하방측 앤드브래킷(21-1)에 펌프 케이싱(10)의 외주 벽상까지 연재하는 덮개부(21-2)를 베이스(34)에 관통볼트(37)로서 고정하는 것에 의해 펌프 케이싱(10) 및 케이싱 덮개(13)를 전동기(21)와 베이스(34)간에 협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장치.
KR2019800000442U 1980-01-24 1980-01-24 펌 프 장 치 KR8000013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0442U KR800001300Y1 (ko) 1980-01-24 1980-01-24 펌 프 장 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0442U KR800001300Y1 (ko) 1980-01-24 1980-01-24 펌 프 장 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60002178 Division 1976-09-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1300Y1 true KR800001300Y1 (ko) 1980-08-25

Family

ID=19215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0442U KR800001300Y1 (ko) 1980-01-24 1980-01-24 펌 프 장 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130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56842A (zh) * 2019-01-25 2020-06-30 李相璇 能够防止扭曲的外壳及包括其的泵
WO2020153627A1 (ko) * 2019-01-25 2020-07-30 이상선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싱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TWI726588B (zh) * 2019-01-25 2021-05-01 李相璇 泵的外殼及其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56842A (zh) * 2019-01-25 2020-06-30 李相璇 能够防止扭曲的外壳及包括其的泵
WO2020153627A1 (ko) * 2019-01-25 2020-07-30 이상선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싱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TWI726588B (zh) * 2019-01-25 2021-05-01 李相璇 泵的外殼及其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7282B1 (ko) 수중펌프
US3333544A (en) Water pump motor constructions
US3671152A (en) Electric pump assembly for use in pumping explosive or dangerous liquids
KR930021956A (ko) 강판제 펌프케이싱과 이 펌프케이싱을 구비한 전주류형 펌프
US5857841A (en) Full-circumferential flow pump
MXPA06002539A (es) Montaje de alojamiento de bomba con revestimiento.
US3521970A (en) Submersible pump
KR800001300Y1 (ko) 펌 프 장 치
US3014623A (en) Motor and pump mounting means
US3269322A (en) Submersible motor and pump
CN106762697B (zh) 降低排气噪音的交流永磁同步水泵
US5616013A (en) Full-circumferential flow pump
US3958894A (en) Fluid pumping assembly of a molded synthetic material
US2153360A (en) Motor driven fluid pump
US3572964A (en) Motor-pump housing
JP4685292B2 (ja) キャンドモータポンプ及びその製造方法
US3195468A (en) Submersible pump
US3072810A (en) Submersible electric motor
US2404635A (en) Sealing means for driving motors of submersible pumps
KR950013895B1 (ko) 압축기
JP3111339B2 (ja) 水中ポンプのポンプケーシング
JPH0674197A (ja) 板金製ポンプケーシング
JPH0610895A (ja) 水中モータポンプ
HU195286B (en) In-line formation of pump case for self-priming rotary pumps
JPS61189368A (ja) 立型水力機械の駆動軸の軸封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