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736B1 - 4-옥소-1,2,3,4-테트라히드로 피리도 [2,3-d] 피리미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4-옥소-1,2,3,4-테트라히드로 피리도 [2,3-d] 피리미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736B1
KR800000736B1 KR750001417A KR750001417A KR800000736B1 KR 800000736 B1 KR800000736 B1 KR 800000736B1 KR 750001417 A KR750001417 A KR 750001417A KR 750001417 A KR750001417 A KR 750001417A KR 800000736 B1 KR800000736 B1 KR 800000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o
group
reaction
pyrimidine
alkyl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50001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간지 노다
아기라 나가가와
도시하루 도도무라
사도루 미야다
히로유기 이데
Original Assignee
나가도미 마사요시
히사미쯔 세이야구 가브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가도미 마사요시, 히사미쯔 세이야구 가브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나가도미 마사요시
Priority to KR750001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7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736B1/ko

Link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4-옥소-1,2,3,4-테트라히드로 피리도 [2,3-d] 피리미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일반식 [A]
Figure kpo00001
(식중 R은 페닐기 및 치환페닐기를, R′은 수소원자, 저급알킬기, 저급불포화알킬기, 치환저급알킬기, 저급알콕시카르보닐기 및 아르알킬기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4-옥소-1,2,3,4-테트라 히드로 피리도 [2,3,-d] 피리미딘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한 일반식[A]에 있어서 R 및 R′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R은 페닐기 및 염소, 취소, 불소, 옥소 등의 할로겐원자, 메틸, 에틸등의 저급알킬기, 메톡시, 에톡시 등의 저급알콕시기, 니트로기 또는 트리플루오로 메틸기 등이 임의의 위치로 1-2개 치환한 페닐기를 표시한다.
또한 R′는 수소원자,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n-펜틸등의 저급알킬기, 할로겐원자, 수산기, 저급알콕시기, 저급알카노일옥시기, 저급사이클로 알킬기, 카르복실기 또는 아미노기 등이 치환한 저급알킬기, 알릴, 3-메틸 알릴, 3,3-디 메틸 알릴, 프로파길 등의 저급 불포화 알킬기, 벤질, 페네틸 등의 알알킬기 및 메톡시 카르보닐, 에톡시 카르보닐, 프로폭시카르보닐 등의 저급알콕시 카르보닐기를 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얻어지는 화합물은 전기 일반식[A]로 표시된다. 이와같은 화합물은 문헌등에 아직 소개된바 없는 신규화합물로서 항염증작용, 항궤양작용, 진통작용, 해열작용, 항이스타민작용 및 중추신경억제작용 등의 약리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신규한 진통제, 항염증제 및 중추신경억제제 등의 의약품으로서 산업상 매우 유용한 화합물이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다음 반응식[Ⅰ]∼(Ⅲ)에 의하여 표시되며, 본 반응에 의하여 전기 일반식[A]로 표시되는 목적화합물을 제조할 수가 있다.
Figure kpo00002
여기서 R1는 페닐기 및 치환페닐기를 R2는 저급알 킬기, 저급불포화알킬기, 치환저급알킬기, 저급알콕시카르보닐기 및 아르알킬기, 그리고 X1는 할로겐원자, 유기설포닐옥시기, 유기설폰산에스테르잔기, 무기산에스테르잔기를 표시한다.
또 일반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에틸아이 오다이드, 프로파르길브로마이드, 2,2,2-트리플루오로에틸 p-토루엔슬포네이트, 메틸플루오로설페이트, 디메틸설페이트, 디메틸설파이트, 및 트리메틸퍼스페이트 등을 들수 있다.
전기 반응식[Ⅰ]로 표시되는 반응은 톨루엔, 크실렌, 벤젠,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디메틸포름아미드, 디글라임, 클로로포름, 알코올 등의 유기용매중, 칼륨아미드, 나트륨아미드, 수소화나트륨, 나트륨에티레이트 등의 금속화합물, 피리미딩, 트리알킬아민 등의 유기염기 또는 수산화알칼리, 탄산알칼리 등의 무기염기의 존재하에서 행함이 바람직하고, 특히 전기금속화합물을 사용하면 지극히 좋은 수율로서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가 있다.
반응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온, 가열 어느 것이나 관계없으나 가온하면 반응이 속히 진행한다.
Figure kpo00003
여기서, R1는 전기와 같은 뜻을 가지며,R3는 수소 원자, 저급알킬기, 저급불포화알킬기, 치환저급알킬기, 저급알콕시카르보닐기 및 아르알킬기를, 그리고 X2는 유황원자 또는 이미노기를 표시한다.
또, 본 반응에서 산화제의 예로서는 과산화수소, 과망강산염, 크롬산염, 중코름산염 등을 들 수가 있다.
그리고, 전기 반응식[Ⅱ]로 표시되는 반응은 보통물, 알코올,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아세톤 및 디메틸슬폭시드 등의 불활성 용매중, 염산, 황산 및 인산 등의 산의 존재나, 또는 수산화알킬기, 탄산알칼리, 알칼리토류금속 및 수산화암모늄 등의 염기에 존재하에서 행함이 바람직하다. 반응 온도를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고 실온으로서도 진행되며, 가열하면 반응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Figure kpo00004
여기서 R1및 R3는 전기와 같은 뜻을 가진다. 전기 반응식(Ⅲ)으로 표시되는 반응은 일반적으로 테트라히드로푸란, 알코올 및 아세톤 등의 유기용매중, 라아니-니켈로서 접촉 환원하는 것에 의하여 행하여 진다. 그리고, 전기반응식[Ⅰ]-[Ⅲ]에 있어서, 반응 생성물은 감압하에 용매를 유거하고, 잔사를 에테르, 석유에테르, 클로로포름, 메탄올 등의 유기용매로서 재결정하거나, 또는 컬럼크로마토 그래피법에 의하여 분리 정제함으로써 목적물질의 정제품을 얻을 수가 있다.
다음에 일반식(1),(4),(6)으로 표시되는 출발물질의 제조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4-옥소-1,4-디히드로 피리도 [2,3-d] 피리미딘 유도체를 수소화 붕소나트륨 등의 환원제로 환원함으로써 얻어진다. 일반식(4)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4-옥소-1,2,3,4-테트라히드로 피리도 [2,3-d] 피리미딘 유도체를 5유화인과 반응시키거나 또는, 3염화인의 존재하에 아민과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또, 일반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2-아닐리노 니코틴 산아미드 유도체에 비오포스겐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다.
그러나, 전기 출발물질의 제조방법은 이 방법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전기 반응식 [Ⅰ]-[Ⅲ]에서 얻어지는 화합물은 통상의 기술에 의하여, 무기산, 유기산과의 부가염으로도 만들 수가 있다.
예컨데, 염산염, 인산염, 황산염, 초산염, 안식향산염, 젖산염, 호박산염, 구연산염, 주석산염, 푸마르산염, 말론산염, 말레산염 등을 들수 있다.
이들의 염의 제조는 본 발명에 포함됩은 물론이나, 이와같은 염류로 하는 것에 의하여, 여기에서 얻어지는 화합물의 용해성이나 안정성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줄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목적화합물들인 4-옥소-1,2,3,4-테트라히드로 피리도 [2,,3-d] 피리미딘 유도체가 제조되는바, 이들의 구체적인 예와 융점은 다음표 Ⅰ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하여 얻어진 일반식[A]의 화합물의 예.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Figure kpo00008
본 발명으로 제조된 화합물에 대하여는 급성독성시험을 실시하여 안전성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중추신경억제작용시험, 항염증작용시험 및 진통작용시험을 하였던바, 그 어느 것이나 이 시험에서 우수한 효과 를 가지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각 그 시험 결과는 다음표 Ⅱ로 표시한다.
단 각 시험은 다음 방법에 의하여 행하였다.
(1) 급성독성시험(Acute toxicity) 피검화합물을 0.5 트라가칸트-생리식염액에 현탁하고 dd계 숫마우스(16-24g) 복강내에 투여 또는 경구투여하여, 72시간 후에 사망하는 동물의 치사용량을 산정하였다.
(2) 항염증작용시험(Anti-inflammatory effect) 위스터(wister)계 숫쥐(100-150g) 1군 5마리에 0.5% 트라가칸트-생리식염액에 현탁한 피검화합물을 경구 투여하고 30분후 0.5-1.0% 카라케닌-주사용 증류수에 현탁한 것을 0.1㎖ 후지족칙피하에 주입하고 3시간 후의 부종을 용적으로 개량하여 비교 시험에 대한 억제율을 구하였다.
Figure kpo00009
로 나타냈다.
(3) 진통작용시험(Analgesic effect) 피검화합물을 0.5% 트라가칸트-생리식염액에 현탁하여 dd계 숫마우스(18-20g)에 경구투여하고 1시간 후에 0.6% 초산-수용액을 복강내에 0.1㎖/10g 투여하였다.
투여한지 30분 후부터 10분간의 비틀림증상(writhing syndrome)을 관찰하고, 리치피일드-월콕숀스법(Litchfield-wilcoxon’s method)에 의하여 50% 진통량 및 그 95% 신뢰한계를 구하였다.
(4) 중추신경억제작용시험(Central nervous system depressive effect) 피검화합물을 0.5% 트라가칸트-생리식염액에 현탁하여 dd계 숫마우스(16-24g) 복강내에 투여하고, 조용한 환경하에서 정향반사의 소실을 관찰하였다.
정향반사가 소실하는 투여량은
Figure kpo00010
로 표시했다.
[표 Ⅱ]
Figure kpo00011
이하 실시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바, 이 실시예가 본 발명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m-플루오로페닐)-4-옥소-1,2,3,4-테트라히드로 피리도 [2,3-d] 피리미딘 2.4g와 디메틸포름아미드 40㎖의 용액에 50% 수소화나트륨 0.6g을 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한후 60℃에서 가온하고, 옥화에틸 4.6g을 가하고 1.5시간 가열 교반하였다.
반응후 용매를 감암하에서 유거하고, 잔사에 물을 가하여 석출한 결정을 에테르에 의하여 재결정하여, 담황색 침상정의 1-(m-플루오로페닐)-3-에틸-4-옥소-1,2,3,4-테트라히드로 피리도[2,,3-d] 피리미딘 2.2g을 얻었다.
이 물질의 융점 및 원소분석치는 다음과 같다.
융점 123-124℃
원소분석치 C15H14ON3F
이론치 C:66.41 H:5.20 N:15.49
실측치 C:66.62 H:5.43 N:15.51
[실시예 2]
1-(m-니트로페닐)-4-옥소-1,2,3,4-테트라히드로 피리도 [2,3-d] 피리미딘 2.7g와 건조디메틸포름 아미드 20㎖의 용액에 약 55% 수소화 나트륨 0.48g을 가하여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다음에 디메틸황산 2.52g을 적가후, 실온에서 3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탄산소오다로 중화후, 감암하에 용매를 유거하고 잔사에 물을 가하여 석출한 결정을 여취하고, 디메틸포름아미드와 메탄올의 혼합용매로서 재결정하여, 황색 침상정의 1-(m-니트로페닐)-3-메틸-4-옥소-1,2,3,4-테트라히드로 [2,3-d] 피리미딘 1.96g을 얻었다.
이 물질의 융점 및 원소분석치는 다음과 같다.
융점 247-248℃
원소분석치 C14H12N4O3
이론치 C:59.15 H:4.26 N:19.71
실측치 C:59.01 H:4.12 N:19.82
[실시예 3]
1-페닐-3-메틸-4-티오-1,2,3,4-테트라히드로 피리도 [2,3-d] 피리미딘 2.5g, 테트라히드로푸란 20㎖와 30%의 과산화수소 20㎖를 환류하에 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후, 감암하에 용매를 유거하고 잔사를 에테르로부터 재결정하여, 무색 프리즘정의 1-페닐-3-메틸-4-옥소-1,2,3,4-테트라히드로 피리도 [2,3-d] 피리미딘 2.1g을 얻었다.
이 물질의 융점 및 원소분석치는 다음과 같다.
융점 140-141℃
원소분석치 C14H13N3O
이론치 C:70.27 H:5.48 N:17.56
실측치 C:70.12 H:5.42 N:17.54
[실시예 4]
1-(p-클로로페닐)-3-에틸-4-티오-1,2,3,4-테트라히드로 피리도 [2,3-d] 피리미딘 3g을 메탄올 100㎖에 용해하고, 이에 5% 수산화나트륨용액 40㎖를 가하여 3시간 환류하였다.
다음에 반응액을 농축하고 잔사를 물로 희석하여서 생긴 결정을 여취하고, 수세, 건조후 에틸에테르로 부터 재결정하면, 1-(p-클로로페닐)-3-에텔-4-옥소-1,2,3,4-테트라히드로 피리도 2,3-d 피리미딘 2.6g을 얻었다.
이 물질의 융점 및 원소분석치는 다음과 같다.
융점 100-101℃
원소분석치 C15H14ClN3O
이론치 C:62.21 H:4.90 N:14.60
실측치 C:62.48 H:4.82 N:14.53
[실시예 5]
1-(m-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에틸-4-에틸이미노 피리도-1,2,3,4-테트라히드로 피리도 [2,3-d] 피리미딘 3.4g와 15% 염산 40㎖를 환류하에 3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후, 5%의 탄산소오다 용액으로 중화하고, 다음에 에테르로 추출하여 에테르 층을 농축 방치하면, 무색 침상정의 1-(m-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에틸-4-옥소-1,2,3,4-테트라히드로 피리도 [2,3-d] 피리미딘 2.4g을 얻었다.
이 물질의 융점 및 원소분석치는 다음과 같다.
융점 108-109℃
원소분석치 C16H14F3N3O
이론치 C:59.81 H:4.39 N:13.08
실측치 C:59.69 H:4.36 N:13.09
[실시예 6]
에탄올 70㎖와 1-(m-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에틸-2-티오-4-옥소-1,2,3,4-테트라히드로피리도[2,3,d] 피리미딘 1.75g와 라아니-니켈(Al-Ni 5g으로 조정)의 혼합물을 접촉환원장치에 넣어, 상온, 상암으로 수소의 흡수가 종료할때까지 수첨을 행하였다.
반응 종료후, 라아니-니켈을 여별하여 여액의 용매를 유거하고, 잔사를 알루미나를 충전할 컬럼에 흡착시켜 에테르로 전개하의 용출부의 용매를 유거하면, 무색 프리즘정의 1-(m-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4-옥소-1,2,3,4-테트라히드로 피리도 [2,3-d] 피리미딘 1.03g을 얻었다.
이 물질의 융점 및 원소분석치는 다음과 같다.
융점 108-109℃
원소분석치 C16H14F3N3O
이론치 C:59.81 H:4.39 N:13.07
실측치 C:59.72 H:4.21 N:13.12

Claims (1)

  1. 다음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일반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다음 일반식(3)인 4-옥소-1,2,3,4-테트라히드로 피리도 [2,3-d] 피리미딘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12
    식중 R1은 페닐기 및 치환페닐기를, R2는 저급알킬기, 저급불포화알킬기, 치환저급알킬기, 저급알콕시카르보닐기 및 아르알킬기를, X1는 할로겐원자, 유기술포닐옥시기, 유기술폰산 에스테르잔기 및 무기산에스테르잔기를 표시한다.
KR750001417A 1975-06-25 1975-06-25 4-옥소-1,2,3,4-테트라히드로 피리도 [2,3-d] 피리미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KR800000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001417A KR800000736B1 (ko) 1975-06-25 1975-06-25 4-옥소-1,2,3,4-테트라히드로 피리도 [2,3-d] 피리미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001417A KR800000736B1 (ko) 1975-06-25 1975-06-25 4-옥소-1,2,3,4-테트라히드로 피리도 [2,3-d] 피리미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736B1 true KR800000736B1 (ko) 1980-07-30

Family

ID=19201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50001417A KR800000736B1 (ko) 1975-06-25 1975-06-25 4-옥소-1,2,3,4-테트라히드로 피리도 [2,3-d] 피리미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736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937077T2 (de) Zwischenprodukte für die Herstellung von Imidazo-Pyridin-Derivate
US2924603A (en) Aralkylbenzmorphan derivatives
EP0081756B1 (en) New compounds with antiinflammatory and antitussive activity,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relativ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KR800000736B1 (ko) 4-옥소-1,2,3,4-테트라히드로 피리도 [2,3-d] 피리미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US4005201A (en) 7-(Hydroxyphenyl)pyrido(3,4-d)pyridazines
JPS5835185A (ja) 3−メチルフラボン−8−カルボン酸エステル類
US3933826A (en) Protoberberine derivatives
US3766188A (en) Carbonyldioxymorphinan derivatives
IE41462B1 (en) Piperidyl-methylenedioxybenzene derivatives
US3882119A (en) Tetracyclic substituted phthalazine compounds
US3478028A (en) 4-substituted-1-hydroxylaminophthalazines
KR800000737B1 (ko) 2-옥소-1,2,3,4-테트라히드로피리도[2,3-b] 피리미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US4017490A (en) Pyrido (3,4-d)pyridazines
US3983126A (en) Aryloxy pyridine carboxylic-4-acids
EP0026675B1 (en) 1-azaxanthone-3-carboxylic acids,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JPS5995286A (ja) イミダゾ〔4,5−c〕ピリジン−6−カルボン酸誘導体
KR850001040B1 (ko) 알로파노일피페라진 화합물의 제조방법
KR790001072B1 (ko) 피리도 [3, 4-d] 피리다진류의 제조법
US3898215A (en) Rescinnamine-like compounds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810001090B1 (ko) 1-아자크산톤-3-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US4010161A (en) Piperazinoethyl-N-(2,3-dimethyl-5-oxo-1-phenyl-3Δ-pyrazolin-4-yl)carbamates
US3823153A (en) 2-substituted-3a,4,5,6,7,7a-hexahydro-3a-hydroxybenzothiazolium halides
JPS5817194B2 (ja) シンキナピリド (2,3−d) ピリミジオンユウドウタイ ノ セイゾウホウ
KR800000748B1 (ko) 2-옥소-1,2,3,4-테트라히드로피리도[2,3,-d]피리미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KR790001873B1 (ko) 피리도 [2,3-d] 피리미딘-2,4(1H,3H)-디온 유도체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