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790001928B1 - 곡면을 포함한 식기류에 도료를 분무하는 형판 - Google Patents

곡면을 포함한 식기류에 도료를 분무하는 형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790001928B1
KR790001928B1 KR7802517A KR780002517A KR790001928B1 KR 790001928 B1 KR790001928 B1 KR 790001928B1 KR 7802517 A KR7802517 A KR 7802517A KR 780002517 A KR780002517 A KR 780002517A KR 790001928 B1 KR790001928 B1 KR 790001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curable resin
plate
shape
light shielding
tem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2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열사
Original Assignee
안재호
대한합성화학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재호, 대한합성화학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안재호
Priority to KR7802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7900019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790001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790001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곡면을 포함한 식기류에 도료를 분무하는 형판
제 1 도는 본 발명의 원고(原稿) 또는 차광체의 일예(一例)를 표시한 평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자외선을 조사(照射)하기 이전의 소재(素材)를 표시한 확대 단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중간제품을 절단한 확대 단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을 완성한 형판을 표시한 확대 단면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형판을 사용하는 사용상태를 표시한 확대단면도.
본 발명은 쟁반이나, 찻잔 기타 칠기(漆器)등의 그릇류에 도료를 분무하여 장식을 시공하는 형판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쟁반이나, 찻잔등의 그릇류에 도료를 분무하는 방법으로서 가식방법(加蝕方法)이라고 하여 "스크린"인쇄가 있었으나, 이 방법으로는 대량생산은 가능하지만, 곡면을 이루고 있는 식기류에 대하여는 그 실시가 어렵고 또한 값비싼 인쇄장치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개선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어 왔다. 이점을 감안하여 연구한 결과 소량생산에도 적합하고 특히, 곡면을 이루고 있는 식기류에 대하여서도 가식(加飾)할 수 있는 방법으로 "시트"상(狀)의 형판을 사용해서 도료를 분무케 함으로서 변형이 가능하고, 아무리 복잡한 모양의 형판이라도 간단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바, 첨부도면에 의하여 그 구조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원고에 필요한 모양(1)을 검정바탕으로 그린 다음 사진으로 촬영하여 음화(Negative Film)를 작성한다. 이 음화는 모양(1)부분이 흑색으로 표시되고 이 모양 모양(1)이외의 부분은 투명부분(2)이 되도록 필름(8)을 만든다. 1.0m/m 전후의 금속박판(5) 표면에 접착제(6)를 도착하고 다시 광경화성수지(光硬化性樹脂)(7)를 도포(塗布)한 다음 박리제(剝離劑)(9)를 도포하여 최종적으로 모양(1)부분은 차광부가 되고, 투명부분(2)은 빛이 통과되도록 되어 있는 차광체(Negative Film)(8)를 배치한 구조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10)는 형판(11)은 공백부(12)는 주연(周緣), (13)은 절곡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부식가공이 가능한 금속박판으로는 0.5m/m전후의 "알미늄"판이나, 아연판등을 사용하였으므로 비교적 유연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부식액(腐蝕液)에 있어서도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알카리"수용액으로 부식하도록 하였으며, 아연판의 경우에는 초산수용액을 사용하므로서 정확한 부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광경화성수지(7)는 자외선 조사 설비에서 발생하는 3,000-4,500"옹스트럼(Ångstr
Figure kpo00001
m))"의 자외선을 조사하게 되면, 단시간내에 중합반응(重合反鷹)을 일으켜서 액상물질이 고체상(固體狀)물질로 물리적 변화를 가져오게 되므로, 이때 자외선을 조사(照射)받는 광경화수지(7) 표면에 검정 바탕으로 그려진 특정의 모양(1)의 차광체(8)를 배치하여 놓았기 때문에 그 모양(1) 부분만 경화(硬化)되지만 부식액은 광경화성수지(7)에 침투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광경화성수지(7)는 자외선을 받기 이전에는 용제에 용해되지만 일단 자외선을 받게 되면, 용해될 수 없도록 경화되므로 일단 경화된 부분은 접착제(6)에 의하여 금속박판(5)에 강력하게 접착하게 된다. 이때 광경화성수지(7)는 금속박판(5)보다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형판의 주재가 된다. 그리고 광경화성수지(7)는 접착제로도 사용되므로 접착제(6)를 도포하지 아니하더라도 금속박판(5)에 접착이 가능하다.
위와 같이 4층으로 형성된 소재의 표면에 차광체(8)를 배치하여 그 위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게 되면, 광경화성수지(7)는 투명부분(2)의 하부만 경화되고, 모양(1)의 하부는 경화되지 아니한다.
자외선(紫外線)을 조사한 후에 차광체(8)를 분리하여 박리제(9)를 제거하고, 다시 경화되어 있지 아니한 광경화성수지(7)의 부분을 용제(溶劑)로 닦아내든가 "브러쉬"등으로 수세하여 제거함과 동시에 금속박판(5)상의 접착제(6) 역시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제거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중간제품에는 도면 제 3 도에서 표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모양(1)과 같은 형상의 공백부(11)를 형성하게 되어서 이 공백부(11)에 의하여 금속박판(5)의 일면은 노출하게 된다. 이 노출면(3)에 "알미늄"판인 경우에는 "알카리"수액을 아연판의 경우에는 초산 수용액을 부식액으로 정하여 분무처리한다. 부식액을 분무시킨 금속판(5)은 노출면(3)만 부식되어 경화후에 광경화성수지(7)의 형상, 즉, 투명부분(2)과 같은 형상으로 되고, 공백부(11)는 금속박판(5)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때 금속박판(5)의 이면(4)에 도료 또는 합성수지를 도포하여 이면(4)으로부터 부식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제조된 형판(10)은 완성품인 것이고, 모양(1)과 같은 형상의 공백부(11)는 장식용 도료의 통과가 가능한 통로가 되므로 형판(10)을 피식체상에 놓아서 도료를 분무하면 동일한 모양(1)을 가식(加飾)할수 있게 된다. 종래에 광경화수지를 사용하여 인쇄원판을 만드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었으나, 장식용 도료를 분무하는데 사용하는 형판은 본원과 같이 제조한 바는 없었다.
이 형판(10)의 금속박판(5)은 광경화성수지(7)를 보강하기 위하여 부착시킨 부자제이므로 사진인쇄의 원판과는 다른 것이고, 금속박판(5)을 천공하는데 그치는 정도로 부식시키는 경우에는 모양(1)과 동일하게 세밀한 선상돌기(線狀突起)까지 형성시키기는 곤란하고, 비부식부분(非腐蝕部分)까지 깊이 부식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정확한 모양(1)은 주부재(主部材)로 되어 있는 광경화성수지(7)에서 형성하도록 하고, 금속박판(5)은 광경화성수지(7)의 형상을 보지 함과 동시에 피식체의 만곡면에 맞추어서 변형시키고 다시 원 상태로 복원할 수 있도록 하였다. 형판(10)이 도면 제 4 도의 형상과 같이 금속박판(5)까지 공백부(11)가 형성될 경우에는 공백부(11)와 동일한 형상 이외에는 부식되지 아니하지만, 공백부(11)를 형성하고있는 주연(周緣)(12)에는 국부적인 절곡부(13)를 형성하게 되므로 이 절곡부(13)의 하측에도 소량의 도료가 분무되어 모양(1)의 국부에 선염상(渲染狀 : Gradation)부분을 가식(加飾)할 수 있다.
또한 금속박판(5)을 광경화성수지(7) 이면에 부착시켜 놓았기 때문에 절곡부(13)를 형성 할 수 있고, 원 상태로 유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위와같이 본 발명을 실시하면 복잡한 모양까지도 형성할 수 있고, 특히 만곡부분과 같은 변형이 요구되는 금속박판(5)의 형판(10)이라 할지라도 정확한 형상으로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

  1. 부식가공이 가능하고 유연한 금속박판(5)위에 이 금속박판(5)보다 두꺼운 광경화성수지(7)를 도포하고 이 광경화성수지(7)상에 필요한 모양(1)을 형성시킨 차광부(8)와 자외선 통과부를 형성한 차광체(8)를 중합 배치하고, 이 차광체(8)에 자외선을 조사(照射)하여 광경화성수지(7)를 경화시켜 차광체(8)와 비 경화수지를 제거시킨 다음 금속박판(5)에 노출된 노출면(3)에 부식액을 분무하여 금속박판(5)을 천공하여 제조한 형판.
KR7802517A 1978-08-18 1978-08-18 곡면을 포함한 식기류에 도료를 분무하는 형판 KR790001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2517A KR790001928B1 (ko) 1978-08-18 1978-08-18 곡면을 포함한 식기류에 도료를 분무하는 형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2517A KR790001928B1 (ko) 1978-08-18 1978-08-18 곡면을 포함한 식기류에 도료를 분무하는 형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790001928B1 true KR790001928B1 (ko) 1979-12-28

Family

ID=19208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2517A KR790001928B1 (ko) 1978-08-18 1978-08-18 곡면을 포함한 식기류에 도료를 분무하는 형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79000192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435433A (en) Radiation sensitive mixture for photosensitive layer forming material
SE7901256L (sv) Med ett klarlackoverdrag belagd flerskiktslackering och sett for dess framstellning
US5427890B1 (en) Photo-sensitive laminate film for use in making the mask comprising a supporting sheet an image mask protection layer which is water insoluble and a water soluble mask forming composition
KR790001928B1 (ko) 곡면을 포함한 식기류에 도료를 분무하는 형판
US2000310A (en) Method of and means for mirror making
JPS6046025B2 (ja) 型板の製造方法
JPS5710145A (en) Lithographic photosensitive resin plate
GB2248506A (en) Process for preparing imaged material
JPS57136652A (en) Manufacture of sealing material
JPS6164412A (ja) 硬化被膜を有する合成樹脂容器の製造方法
JPS6322871B2 (ko)
GB1485097A (en) Coatings on a transparent substrate
JPS6319299A (ja) 写真を貼つた装飾品の製造方法
JPH0573226B2 (ko)
JPH0432846A (ja) 転写用凸版及びその製造方法
JPS58188700A (ja) 複製書画及びその製法
JPH01299088A (ja) スクリーン印刷版
JPH02251273A (ja) パターン塗膜の形成方法
KR20200069696A (ko) 복합 형상 소재의 슬릿 라미네이팅 방법
JPH10254365A (ja) 電鋳銘板
JPS57197736A (en) Preventive device of reflection for a cathode ray tub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for it
GB2127175A (en) Manufacture of signs
JPS56121787A (en) Engraving method for seal
GB1462511A (en) Forming relief patterns using stripping materials
CH684540A5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mehrschichtiger Muster aus Met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