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790001324Y1 - 역변환기(Power INVERTER)의 기동회로 - Google Patents

역변환기(Power INVERTER)의 기동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790001324Y1
KR790001324Y1 KR780004280U KR780004280U KR790001324Y1 KR 790001324 Y1 KR790001324 Y1 KR 790001324Y1 KR 780004280 U KR780004280 U KR 780004280U KR 780004280 U KR780004280 U KR 780004280U KR 790001324 Y1 KR790001324 Y1 KR 7900013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agnet switch
scr
circuit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0042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기연
Original Assignee
한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기연 filed Critical 한기연
Priority to KR7800042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7900013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7900013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790001324Y1/ko

Links

Landscapes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역변환기(Power INVERTER)의 기동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주회로도.
제2도는 동상의 조작을 위한 보조회로도.
제3도는 종래 역변환기의 기동회로도.
본 고안은 역변환기의 기동을 단계적으로 수행함으로서, 기동시 전류(轉流) 실패를 막고 역변환기가 무리없이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역변환기의 기동회로에 관한 것이다.
제3도에 표시된 종래의 역변환기의 기동회로는 DC측에 저항(R)과 직렬로 연결된 마그넷트스위치(Mg1)를 오온(ON)시켜서 낮은 전압으로 역변환기를 기동시킨 다음 메인(main) 마그넷트스위치(Mg2)를 접속시킴으로서 역변환부가 정상 동작을 하도록 되어 있으나, 직류를 제어한다는 악조건 때문에 스위치 접점에서 발생되는 아아크로 인한 서어지(Surge) 현상이 발생되어 역변환부에 전류실패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며 스위치 조작의 반복에 따라 접점이 파괴되므로 고가의 DC 마그넷트스위치의 수명을 단축시킴은 물론 과부하에 의한 차단을 할 경우 마그넷트스위치의 접점이 파괴되어 차단장치를 갖추는 데도 어려움이 많고, 역변환기 조작을 순서적으로 하지 않으면 역변환기에 사고를 내는 등 불합리한 요소가 많았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제반 결점을 해결한 것으로, DC측에는 접점을 전혀 쓰지 않고 원타치시스템(ONE Toutch System) 방식으로 역변환부 기동을 자동적이고 순서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이것을 제1도 및 제2도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있어서 Rf는 보조 정류회로로서, 출력측에 에스씨알(SCR)의 아노우드를 접속하고, 이 에스씨알의 게이트에는 타이머(TM)(제2도)의 접점(TP), 게이트전원(B), 저항(R1) 등을 거쳐 삼상정류기(Rf1)의측에 연결하였다.
그리고 보조정류회로(Rf)의 입력측에는 마그넷트 스위치(Mg3)(제2도)의 접점(HP3)를 접속하였다.
MP4는 마그넷트스위치(Mg4)(제2도)의 주접점이고, 제2도에 있어서의 기타(MP4)는 보조접점이다. 제2도에 있어서 Pb는 푸시버어튼, P3는 릴레이(Ry3)의 접점, P1'는 릴레이(Ry1)의 비(b) 접점, P1는 에이(a)의 접점이고, P2는 릴레이 (Ry2)의 접점이다. 또한 stop은 스톱푸시버튼, Reset는 리셋트푸시버튼이고, 제1도의 Ry는 릴레이로서 접점(P)(제2도)을 갖고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주회로도로서 제일 먼저 마그넷트스위치 접점(MP3)가 오온(ON)되면 역변환부 제어앰프(Control Amp)가 동작되며 이 역변환부 제어앰프가 정상동작을 하는 시간에 정류된 DC 전압이 에스씨알(SCR)의 아노우드까지 걸려 있는 상태에서 타이머 접점(TP)이 접속되면 에스씨알(SCR)의 게이트에 게이트 전압이 인가되어 에스씨알(SCR)이 도통되고 이때 저항(R1)을 통하여 낮은 전압으로 역변환부를 기동시킨다.
역변환부의 출력측에 일정전압이 나오면 이를 검출하여 마그넷트스위치 (Mg4)가 오온되고 따라서 접점(MP4)가 접속되어 정상 가동하게 된다. 이 순간 도통되었던 에스씨알(SCR)은 캐소드가 아노우드에 비해 전위가 높으므로 에스씨알 (SCR)을 터언오프(Turn off)되며 순서에 의해 타이머(TM)의 접점(TP)도 개방되어 과전류 차단시 마그넷트 스위치(Mg4)의 접점(MP4)이 트립프(Trip)되면, 전원과 역변환부는 완전히 분리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제 조작 시퀸시(Sequence) 회로도로서, 기동푸시버튼 (push button)(Pb)만 누르면 단계적으로 전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기동푸시버튼(Pb)을 누르면 마그넷트스위치(Mg3)의 코일에 전원이 인가되어 제1도의 마그넷트스위치 접점(MP3)가 접속되어 역변환부 제어앰프가 동작되고 정류회로 (Rf)를 통하여 DC 전원이 에스씨알(SCR)의 아노우드까지 걸리게 된다.
또 동시에 제2도의 마그넷트스위치 접점(MP3)가 접속되므로서 이 마그넷트스위치(Mg3)는 자기보지(自己保持)되고, 타이머(TM)의 코일에 전원이 인가되어 역변환부 제어앰프가 정상동작을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약 3초 후)에 에스씨알 (SCR) 게이트에 전원을 연결해 주는 제1도의 타이머 접점(TP)이 접속되고 에스씨알(SCR)이 도통하여 저항(R1)을 통해서 역변환부에 낮은 전압을 공급한다.
그러면 역변환부 출력측에 일정 전압이 나오게 되고 이 전압은 릴레이(Ry)의 코일(제1도)에 인가되어 제2도의 접점(P)이 접속되고, 레인마그넷트스위치(Mg4) 코일에 전압이 인가된다.
이때 마그넷트스위치(Mg4)의 접점(Mp4)이 접속되므로 역변환부는 정상동작을 하게 되고 이 마그넷트스위치(Mg4)는 제2도의 보조접점(Mp4)에 의하여 자기보지 된다.
또 이때 마그넷트스위치(Mg4)가 오온되면 릴레이(Ry1)의 코일(제2도)에 전압이 인가되어 접점(P1)이 접속되므로서 제1도의 접점(P1')는 오프되어 릴레이(Ry)는 전원과 분리된다.
따라서 에스씨알(SCR) 게이트에 전원을 공급해 주던 타이머(TM)의 전원을 차단하므로서 제1도의 타이머 접점(TP)은 오프된다.
따라서 에스씨알(SCR)의 게이트에는 전원이 차단되고 에스씨알(SCR)의 키소오드가 아노오드에 비해 전위가 높으므로 에스씨알(SCR)은 턴오프 되어진다. 이리하여 기동푸시버튼(Pb)을 한번 누름으로서 역변환부가 어느 시간 후에는 단계적인 절차를 통하여 안정하게 동작된다.
만일 역변환부가 동작 중에 부하측의 이상이나 역변환부 자체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이상 상태를 검출하여 역변환부 제어앰프가 동작되어 경보릴레이(도시되지 않았음)가 오온되고 그 접점(RS)(제2도)가 오프되고 마그넷트스위치 (Mg4)에 전원을 차단하여 제1도의 마그넷트스위치 접점(Mp4)을 오프시키므로서 역변환부는 전원과 완전히 분리되고 이상 상태를 점검 후 리셋트푸시버튼(Reset)을 누르면 릴레이(Ry1)(제2도)에 전원이 차단되어 접점(P1')(제2도)이 동작되어 타이머 (TM)가 다시 동작하여 에스씨알을 도통시켜 다시 전과 같은 경로를 통해 안전동작을 시작하게 된다.
정상동작을 하고 있는 역변환장치를 정지시킬 경우에는 스톱푸시버튼을 누름으로서 마그넷트스위치(Mg4)(제2도)를 전원과 차단시키고 릴레이(Ry2)에는 전압이 인가되어 그 접점(P2)이 접속되어 릴레이(Ry3)에 전원이 인가되고 따라서 그 접점 (P3)가 오프되어 역변환제어앰프를 차단하는 마그넷트스위치 접점(Mp3)을 오프시킴으로서 역변환부의 모든 동작이 정지된다.
이리하여 역변환부의 기동 및 정지를 원타치 시스템으로 제어할 수 있다.

Claims (1)

  1. 삼상정류회로, 메인마그넷트스위치, 역변환부 제어앰프 등으로 구성된 역변환기의 기동회로에 있어서, 보조정류회로(Rf)의 출력측에 에스씨알(SCR)의 아노우드를 접속하고 이 에스씨알(SCR)의 게이트는 타이머(TM)의 접점(TP), 게이트전원(B), 저항(R1)을 거쳐 카소오드와 더불어 통상의 삼상정류기(Rf)의측에 결선하고 보조정류회로(Rf)의 입력측에는 마그넷트스위치(Mg3)의 접점(Mp3)을 결선하여서 된 역변류기의 기동회로.
KR780004280U 1978-08-18 1978-08-18 역변환기(Power INVERTER)의 기동회로 KR7900013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04280U KR790001324Y1 (ko) 1978-08-18 1978-08-18 역변환기(Power INVERTER)의 기동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04280U KR790001324Y1 (ko) 1978-08-18 1978-08-18 역변환기(Power INVERTER)의 기동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790001324Y1 true KR790001324Y1 (ko) 1979-08-23

Family

ID=19209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004280U KR790001324Y1 (ko) 1978-08-18 1978-08-18 역변환기(Power INVERTER)의 기동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79000132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285788A (ja) 漏電警報機能付き配線用遮断器
KR790001324Y1 (ko) 역변환기(Power INVERTER)의 기동회로
US3177419A (en) Electric control devices
JPH08223822A (ja) 無停電電源装置の制御方法
JP2962045B2 (ja) 電動機のy−△始動制御回路
SU1117764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и защиты трехфазного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
SU1495891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повторного включени асинхронного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
JPH0951604A (ja) 電気車の電力供給装置
KR950001048Y1 (ko) 점보 와인더 가동 및 제동장치 제어회로
SU130914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токовой защиты от междуфазного короткого замыкани трехфазной электроустановки
RU139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трехфазного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я от анормального режима
JPS6219406Y2 (ko)
KR890000288Y1 (ko) 리액터를 이용한 농형모터의 소프트 스타트제어회로
JP2008072855A (ja) 高圧受電設備
JPH09205721A (ja) 緊急電源切断用サーキットブレーカ
KR950003016Y1 (ko) 3상모터의 결상보호 자동제어장치
JPS5625031A (en) Protective device for control unit
JPH0898392A (ja) 再閉路継電装置
SU1394308A1 (ru) Система защиты преобразовател и потребител трехфазной сети
RU201730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оковременной защиты трехфазной электроустановки
JPH0715344Y2 (ja) 負荷保護回路
JPS5495347A (en) Appartus for preventing burning of motor field coil
SU1292103A1 (ru) Устройство блокировани от многократных включений выключател с автоматическим повторным включением
SU361027A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регулятор параллельной работь многопостовых сварочных преобразователей
JPH06327136A (ja) 負荷制御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