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048Y1 - 점보 와인더 가동 및 제동장치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점보 와인더 가동 및 제동장치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048Y1
KR950001048Y1 KR92012179U KR920012179U KR950001048Y1 KR 950001048 Y1 KR950001048 Y1 KR 950001048Y1 KR 92012179 U KR92012179 U KR 92012179U KR 920012179 U KR920012179 U KR 920012179U KR 950001048 Y1 KR950001048 Y1 KR 9500010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voltage
motor
relay
br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21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3409U (ko
Inventor
김상환
Original Assignee
김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환 filed Critical 김상환
Priority to KR920121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1048Y1/ko
Publication of KR9400034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4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0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0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Landscapes

  • Stopping Of Electric Motors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점보 와인더 가동 및 제동장치 제어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2도는 종래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R, S, T : 삼상 입력 전원 U, V, W : 모터의 입력전원
M : 모터 M/C : 마그네트 스위치
T : 타이머 S/D : 브릿지 실리콘 정류기
F : 퓨우즈 P/B1 : 가동용 푸시 버튼 스위치
P/B2 : 정지용 푸시 버튼 스위치 OL :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T/S : 실 끊어짐 감지 스위치 LG : 가동 표시 램프
LR : 타이머 지연시간 경과후 표시 램프 TR : 트랜스
D1, D2: 다이오드
본 고안은 점보와이더 가동 및 제동장치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며, 제동시 타이머의 설정시간에 구애없이 모터를 재가동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타이머의 고장시 마그네트 스위치에 투입되는 D.C전압을 푸시버튼 스위치로서 차단하여 모터의 과열과 소손을 예방제어 할수 있는 효과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도면 제2도와 같이 가동을 푸시버튼 스위치(P/B1)을 누르면 조작용 릴레이(R1)가 동작하고 이로 인하여 마그네트 스위치(M/C)가 동작하므로서 삼상 모터(M)가 동작하게 된다.
이때, 실 끊어짐 감지 스위치(T/S)가 동작하거나 정지용 푸시버튼 스위치 (P/B2)를 누르면 조작용 릴레이(R1)와 마그네트 스위치(M/C)가 원상태로 되면서 조작용 릴레이(R1)의 B접점에 의해 타어머 스위치(T)가 설정된 시간만큼 제동용 D.C 전압 개폐 릴레이(R2)를 동작시켜 제동용 D.C 전압이 상상 모우터(M)의 모터 입력 단자(U, W)에 인가해서 제동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타어머 스위치(T)의 B접점 지연시간에 의해서 모터(M)가 제동되고 있는 동안 즉, 제동용 D.C 전압의 개폐 릴레이(R2)가 동작하고 있는 동안은 작업자가 임의로 제동용 D.C 전압의 개폐 릴레이(R2)의 동작을 정지 시킬 수가 없어 타어머 스위치(T)의 지연시간동안은 작업자가 작업을 지체하게 되므로 작업이 비능률적이고, 또, 타어머 스위치(T)가 동작하지 못하면 조작용 릴레이(R1) B접점과 마그네트 스위치(M/C)의 B접점에 의하여 제동용 D.C 전압 개폐 릴레이(R2)는 계속 동작하고, D.C전압이 열동형 과전류 계전기(OL) 2차 측에 접속되어 있어 과전류임에도 열동형 과전류 계전기(OL)는 동작하지 않아 D.C 전압은 계속 삼상모터(M)에 인가되어 모터(M)가 과열 또는 소손의 원인이 되어 왔다.
또한 제동중 D.C 전압의 개폐 릴레이(R2)가 D.C 전압을 개폐하게 되므로 D.C 전압의 아-크에 의해 제동용 D.C전압의 개폐 릴레이(R2)의 수명이 짧고, 또, 실리콘 정류기(S/D)를 삼상 모터(M) 2대에 실리콘 정류기(S/D)가 1개가 설치되어 실리콘 정류기(S/D)가 동작하지 못하면 2대이 삼상 모터(M) 모두 제동이 되지 못하는 등의 결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결점을 해소하고, 제동시 타이머의 설정시간에 구애없이 모터를 제가동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또, 타이머의 고장시 마그네트 스위치에 투입되는 D.C전압을 푸시버튼 스위치로 차단하므로서 삼상 모터의 과열과 소손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고안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의 도면에 표시된 회로와 같이 삼상 전원을 마그네트 스위치(M/C)와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OL)를 거쳐 모터(M)와 연결하고 입력부의 전원을 마그네트 스위치(M/C)와 트랜스(TR) 2차측을 조작용 12V와 제동용 60V로 분리 구성되는 통상의 회로에 있어서 트랜스(TR)이 제동용 60V를 타이머 스위치(T)의 B접점을 거쳐 브릿지 정류기(S/D)로 정류하여 마그네트 스위치(M/C)의 1차측 B접점에 인가토록 구성하고, 또, 트랜스(TR)의 조작용 12V를 다이오드(D1)(D2)로 정류하여 +측 전원을 실 끊어짐 감지 스위치(T/S)와 조작용 릴레이(R2)의 1차측 A접점과 B접점에 인가하고, 켜짐 푸시버튼 스위치(P/B1) 1차측과 타이머 스위치(T)이 A접점에 연결하고, (-)측 전원을 실 끊어짐 감지 스위치(T/S)의 코일부에 접속하고 조작용 릴레이(R2)를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OL)의 B접점을 거쳐 조작용 릴레이(R2)의 코일과 타이머 스위치(T)의 코일에 접속하여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점보와인더기에 설치하여 가동용 푸시버튼 스위치(P/B1)을 누르면 조작용 릴레이(R2)가 동작하고 조작용 릴레이(R2)에 의해 마그네트 스위치(M/C)가 동작하고 이에 따라 삼상 모터(M)가 동작하게 된다.
이때, 실 끊어짐 감지 스위치(T/S)가 동작하거나 정지용 푸시버튼 스위치 (P/B2)를 누르면 조작용 릴레이(R2)와 마그네트 스위치(M/C)가 전원이 끊어져 원상태로 되면서 조작용 릴레이(R2) B접점에 의해 타이머 스위치(T)가 설정시간 만큼 브릿지 실리콘 정류기(S/D) 1차 단자에 A.C 전압이 인가되면서 브릿지 실리콘 정류기(S/D)의 2차측에 D.C전압이 마그네트 스위치(M/C) B접점에 의해 D.C전압이 모터 (M)이 입력단자(U)(W)에 인가되어 제동이 되기 때문에 타이머 스위치(T)의 지연시간 중에도 가동용 푸시버튼 스위치(P/B1)을 누르게 되면 마그네트 스위치(M/C)와 B접점에 인가된 DC전압은 마그네트스위치(M/C)가 동작하므로서 D.C전압은 차단되고 모터(M)는 가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모터(M)마다 브릿지 실리콘 정류기(S/D)를 1개씩 설치되므로 브릿지 실리콘 정류기(S/D)가 동작하지 못하면 이와 연결된 모터(M)만 제동되지 않고, 또, 제동용 D.C전압을 브릿지 실리콘 정류기(S/D)의 1차측 A.C전압을 개폐하므로 소형 릴레이를 사용하더라도 장구히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 타이머 스위치(T)가 동작하지 못하더라도 가동용 푸시버튼 스위치(P/B1)을 누름으로서 조작용 릴레이(R2)가 동작하고 조작용 릴레이(R2)에 의해 마그네트 스위치(M/C)가 동작하고 마그네트 스위치(M/C)에 의해 모터(M)를 가동시키면 마그네트 스위치(M/C)의 B접점에 투입된 D.C전압을 차단하게 되므로 모터(M)의 과열 및 소손을 예방할 수 있게 되고, 또, 제동시 D.C전압의 제어에 마그네트 스위치(M/C)를 사용하므로서 종래 릴레이에 의한 제어보다는 안전하게 되는 등의 잇점이 있어 점보와인더기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모터의 과열 및 소손을 예방함은 물론 고장없이 장구히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Claims (1)

  1. 제동용 D.C전압을 브릿지 실리콘 정류기(S/D) 1차측 A.C전압 상태에서 제어할 수 있게 모터(M)마다 브릿지 실리콘 정류기(S/D)를 설치하고 제동용 D.C전압은 마그네트 스위치(M/C)가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타이머 스위치(T)의 지연시간 중에도 가동용 푸시버튼 스위치(P/B1)를 누름으로 모터(M)를 가동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점보와인더 가동 및 제동장치 제어회로.
KR92012179U 1992-07-02 1992-07-02 점보 와인더 가동 및 제동장치 제어회로 KR9500010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2179U KR950001048Y1 (ko) 1992-07-02 1992-07-02 점보 와인더 가동 및 제동장치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2179U KR950001048Y1 (ko) 1992-07-02 1992-07-02 점보 와인더 가동 및 제동장치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409U KR940003409U (ko) 1994-02-18
KR950001048Y1 true KR950001048Y1 (ko) 1995-02-18

Family

ID=19336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2179U KR950001048Y1 (ko) 1992-07-02 1992-07-02 점보 와인더 가동 및 제동장치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104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409U (ko) 1994-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5948A (en) Manually operated, electromagnetically resettable safety switch
JPH0638565A (ja) 電動モータ用およびポータブル工具用の制御されたブレーキ装置
US4772808A (en) Control device for electrical appliances
KR950001048Y1 (ko) 점보 와인더 가동 및 제동장치 제어회로
KR910008531B1 (ko) 회로차단기
US2068600A (en) Means for automatically restarting electric motors
RU205544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уска трехфазного асинхронного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я
SU71460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торможени асинхронного двигател
JP3201641B2 (ja) 誘導電動機の制御装置
SU14766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проверки готовности механического выпр мител к включению
KR790001324Y1 (ko) 역변환기(Power INVERTER)의 기동회로
JP2002521998A (ja) トランスに対するスイッチオン電流を制限するための回路装置
KR200235604Y1 (ko) 동작 상태 판별 및 표시장치를 채용한 교류 아크 용접기의 전격 방지장치
JPS63290179A (ja) ブレ−キ付電動機用インバ−タ装置
SU162464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торможени трехфазного асинхронного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
JPS6037552Y2 (ja) 映画映写機
KR200188735Y1 (ko) 마그네틱 브레이크 전원이상 검출장치
SU5905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без реостатного пуста электрических двигателей посто нного тока
JPH0698577A (ja) 電動機用電磁ブレーキ制御装置
SU125945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асинхронным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ем
KR960001981Y1 (ko) 저, 고압 전자 접촉기/개폐기의 접점 용착 보호장치
JPH05227645A (ja) 電動機制御装置
SU113315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стрелочным электроприводом
KR930004364Y1 (ko) 이상 운전 보호 장치
SU587556A1 (ru)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повторного включени трехфазного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