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790001152B1 - 직물용 폴리에스테르 사조의 처리법 - Google Patents

직물용 폴리에스테르 사조의 처리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790001152B1
KR790001152B1 KR7400829A KR740000829A KR790001152B1 KR 790001152 B1 KR790001152 B1 KR 790001152B1 KR 7400829 A KR7400829 A KR 7400829A KR 740000829 A KR740000829 A KR 740000829A KR 790001152 B1 KR790001152 B1 KR 790001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weight
textiles
weaving
fabr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400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로 고바야시
쯔가사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오오야 신조오
데이진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오야 신조오, 데이진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오오야 신조오
Priority to KR7400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7900011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790001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79000115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직물용 폴리에스테르 사조의 처리법
제 1 도는 직물용 사조의 "풀탈락"측정 장치의 측면도.
제 2 도는 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직물용 폴리에스테르 사조의 처리법에 관한 것이다. 다시 상세히 설명하면, 직물용 폴리에스테르 사조를 특정 유제로 처리함으로서 고도의 습윤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제직시의 "풀탈락(糊落)"을 감소시키고 제직효율, 직물 품위를 향상시키는 직물용 폴리에스테르 사조의 처리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연신, 열처리시, 섬유의 마모, 모우, 단사
Figure kpo00001
를 방지하기 위해, 유제로서 광물유에 올레일알코홀의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폴리에틸렌 글리콜 축합 라우레이트, 디옥틸설폭 삭시네이트 Na염, 세틸린산 Na염 등을 배합한 것을 사조에 부착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으나, 고온, 고접압(高接壓) 조건하에 연신되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에서는, 윤활성이 충분하지 않고, 또 제직시 직기에 의한 마찰을 받아 "풀탈락"이라는 경사표면의 풀이 탈락하고, 종광, 바디, 드롭바아상에 퇴적하여 점착현상 즉, "검업"이 발생하고, 사와의 마찰을 증대시켜 모우, 단사를 발생시켜 제직성을 저해한다. 또 탈락한 풀이 직물중에 직입
Figure kpo00002
되어 직물 품위를 저하시키기도 한다. 이러한 난점을 방지하기 위해 퇴적한 탈락호제를 적당히 제거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고 제직효율을 심히 저하시키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제1표 실험번호 8, 9참조).
본 발명자는 이러한 결점을 제거하기 위해 주의깊게 연구한 결과, 직물용 폴리에스테르 사조에 하기 배합비율의 특정유제를 부여시킴으로서
(1) 사조에 뛰어난 윤활성을 부여할 수 있고
(2) 제직시의 "풀탈락"이 적으며
(3) 제직능율, 직물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직물용 사조를 그 호부이전의 공정에서 광물유 또는 1가의 지방족 알코홀과 지방족 모노카본산에서 얻어진 분자량 330 이상을 갖이는 1염기산 에스테르를 주체로 하는 성분 50-75중량%와 일반식
Figure kpo00003
(R은 여기에서 탄소수 11-17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기, m1, m2는 0 또는 1-20의 정수, n은 2 또는 3의 정수)로 나타내는 디에타놀알킬올 아미노 및 그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을 10-30중량%로 하고, 그들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제를 부여하는 것을 특정으로 하는 직물용 폴리에스테르 사조의 처리법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광물유는, 정제된 파라핀계 석유제품이고 점도가 60-500초(레드우드 점도계로 30℃에서 측정)의 것이 바람직하다.
광물유와 동시에 사용되는 1염기산 에스테르는 1가의 지방족 알코홀과 1가의 지방족 카본산으로부터 얻어지는 분자량이 330 이상의 것으로 예를들면 2-에틸헥실 팔미테이트, 이소트리데실라우레이트, 올레일라우레이트, 올레일올레이트, 이소트리데실 팔미테이트, 이소트리데실스테아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2염기산 에스테르, 3염기산 에스테르의 혼합은 소량이어도 좋으나, 다량 포함되는 경우는 "풀탈락"을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좋지 못하다. (제1표 실험번호 7 참조)
이러한 광물유와 1염기산 에스테르는 그들 단독 또는 공존으로 유제 전체의 50-75중량% 함유하는 것이 필요하다. 75중량%를 넘으면 "풀탈락"이 많게되고 50중량% 미만에서는 바람직한 윤활성이 부여되지 않는다. (제1표 실험번호 3, 4 참조)
본 발명에 사용하는 디에타놀 알킬올 아미드 및 그의 알킬렌 옥사이드부가물은 알킬기로서는 그 탄소수가 11-17이고, 알킬렌 옥사이드의 종류는 에틸렌 옥사이드 및 프로필렌 옥사이드이고 그 부가 몰수는 20몰 이하일 필요가 있고 특히 5몰 부가 이하가 좋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는, "풀탈락"이 증대하므로 좋지 못하다.
그 디에타놀 알킬올 아미드 및 그 알킬렌옥 사이드 부가물에는 유화조정 및 대전방지를 위하여 일반의 유화제나 고급알코홀, 고급지방산, 글리콜류 및 소량의 유기, 무기 화합물등의 첨가제 및 대전 방지제를 가해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광물유 및 1염기산 에스테르를 주체로하는 윤활제와, 디에타놀 알킬을 아미드 및 그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을 특정비율로 배합한 것으로서 폴리에스테르 사조를 처리함에 따라 현저한 작용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이다. 그들 어느 성분이 결여되더라도 또 어느 배합비율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더라도 본 발명의 뛰어난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유제는 직물용 폴리에스테르 사조의 호부 이전의 공정에서 부여될 필요가있고 그리하여 사조에 뛰어난 호부성을 부여할 수 있다.
사조에 대해서 유제는 예를들면 0.2-2.0중량% 부여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직물용 폴리에스테르 사조에 뛰어난 윤활성을 부여할 수 있고, 제직시의 "풀탈락"이 적고, 제직능율, 직물 품위를 항상시킬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중 유제의 배합비율의 숫자는 모두 중량부로 나타내고 %는 모두 중량%를 나타낸다.
[실시예]
제1표에 표시한 조성의 각 유제를 각각 50℃로 승온, 균일화하고 50℃의 온수중에 교반하면서 가한농도 10%의 각각 에멀존을 작성하여, 로울러식 급유방법에 의해 1,000m/min의 속도로 권취되면서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미연신사(149데니어/24필라멘트)에 0.7%의 각각의 유제를 부여시켰다.
그 미연신사를 가연기를 사용하여 예열핀 온도 90℃, 열 세트 140℃로 3.1배로 연신하고 50데니어의 연신사를 얻었다. 각 연신사의 윤활성, 호부후의 풀탈락상태, 제작할 때의 제직능율, 직물품위를 비교하면 제1표와 같다.
이러한 특성에 대해서는 다음의 방법으로 측정했다.
(1)윤활성의 평가
연신사의 윤활성을 보는 방법으로서, 연신사조를 조도(粗度)가 1.0S로된 크롬도금된 직경이 5m/m의 원통상 핀의 표면에 개각도(開角度) 108°로 접촉시키면서 300m/min의 속도로 주행시킨다. 이때 핀에 접촉하기전의 입구측의 사조장력을 콤펜셋터로 10g으로 조정한다. 이 상태에서 10분간 및 30분간 연속주행시킨 때의 핀의 접촉 및 표면부분의 마모상태를 금속 현미경에 의해 관찰하고, 그것을 다음의 등급으로 나누어 평가했다.
등급 마모의 상태
1 주행전과 같은 상태로 전혀 마모흔적이 보이지 않았다.
2 거의 변화하지 않았지만 조금 마모흔적 같은 것이 보였다.
3 도금 돌기부분에 부분적으로 마모 흔적이 보였다.
4 분명한 마모흔적이 보였다.
5 극히 크고 심한 마모흔적이 보였다.
(2) "풀탈락"의 평가(박리빈도)
실제 제직공정에서의 "풀탈락" 현상에 대한 대용특성으로서 호부사조의 사축
Figure kpo00004
방향에 작용하는 마찰에 대하여 사조표면의 풀 피막의 일부가 사표면에서 박리(剝離)하는 박리빈도로서 나타내였다.
즉, 상술한 각각의 연신사를 폴리비닐 알코홀과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를 주체로한 호제로 목표 부착율 5.0%로 되는 보통의 로울러 호부방법에 의해 각각의 호부사를 얻었다.
그 호부사 20본을 같은 간격으로 배열하고 양단이 흐뜨러지지 않게 고정단자를 설치하고 이것을 제 1 도, 제 2 도와 같이 일단을 쳐크(chuck) 4에 의해 고정하고 타단에 5g/본의 하중 6을 걸고 활차 5를 통하여 시료 전체에 장력을 부여한다.
도면에서 1, 2, 3은 10cm 간격으로 설치된 바디이고 1, 3은 고정되고 2는 사축과 평행이 5cm 폭에 걸쳐왕복운동이 된다.
시료호부사는 도면과 같이 중앙부 바디 2에서 108°의 개각도를 갖도록 사괘(仕掛)한다. 이어서 중앙부 바디 2를 좌우로 왕복운동시키고, 그때 왕복 5회마다 바디와 사조의 마찰부분에서 풀피막의 박리상태를 현미경으로 주의깊게 관찰하고 박리한 시료 본수의 전시료 20본당의 누적 본수 비율로 나타내었다.
즉, 수가 많은 만큼 사조표면에서의 풀피막의 박리성이 크고, "풀탈락"이 크다. 여기에서는 각 시료조건에 대해 3회 행한 결과의 평균치이다.
(3) "풀탈락"의 등급
상술한 호부사를 평조직 태피터직으로 하여 경사 총본수 4,590본, 경사밀도 114본/in, 위사밀도 98본/in, 직기회전수 180r.p.m으로 직상장(織上長) 49m를 한필 단위로 하여 30필 제직하여 청소가 필요한 필수로서 "풀탈락"의 등급을 나누었다.
"풀탈락" 등급
1. 20필 이상 청소를 요하지 않는 것
2. 11-15필마다 청소 필요
3. 6-10필마다 청소 필요
4. 3-5필마다 청소 필요
5. 1-2필마다 청소 필요
(4) 제직 능율
가동상태를 100으로하고 제직중 경사 결점으로 정지한 일정시간내의 실질 가동상태를 그 비율로 나타낸 수치로 100에 가까운 측이 좋다.
(5) A반율(反率)
제직한 전 직물중, 직물품위로서 A급품으로 합격한 필수비율로 나타내었다.
[제 1 표]
Figure kpo00005
제1표에 의해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방법(실험번호 1, 2)에 의하면 사조의 윤활성이 양호하고 제직시의 "풀탈락"이 적기 때문에 제직능률이 좋고 A반율의 능율이 높은 직물을 얻을 수 있다. 여기에 대해 종래의 유제를 사용한 경우(실험번호 8, 9), 유제의 배합비율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 즉 광물유로서 1염기산 에스테르가 적은 경우와 많은 경우(실험번호 3, 4), 디에타놀 알킬올 아미드 및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이 적은 경우와 많은 경우(실험번호 5, 6), 및 윤활제 성분으로서 2염기산 에스테르가 많이 포함되는 경우(실험번호 7), 의 어느 것에서도 사조의 윤활성과 또 직물의 "풀탈락"과를 동시에 만족하는 것은 없다.

Claims (1)

  1. 직물용 사조를 그 호부이전의 공정에서, 광물유 및/또는 1가의 지방족 알코홀과 지방족 모노카본산으로 얻어진 분자량 330 이상을 갖는 1염기산 에스테르를 주체로 하는 성분 50-75중량%와, 일반식
    Figure kpo00006
    (여기에서 R은 탄소수 11-17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기, m1, m2는 0 또는 1-20의 정수, n은 2 또는 3의 정수)로 표시된 디에타놀 알킬올 아미드 및 그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을 10-30중량%로 하고, 이들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제를 부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용 폴리에스테르 사조의 처리법.
KR7400829A 1974-01-01 1974-01-01 직물용 폴리에스테르 사조의 처리법 KR790001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0829A KR790001152B1 (ko) 1974-01-01 1974-01-01 직물용 폴리에스테르 사조의 처리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0829A KR790001152B1 (ko) 1974-01-01 1974-01-01 직물용 폴리에스테르 사조의 처리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790001152B1 true KR790001152B1 (ko) 1979-09-04

Family

ID=19199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400829A KR790001152B1 (ko) 1974-01-01 1974-01-01 직물용 폴리에스테르 사조의 처리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79000115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790001152B1 (ko) 직물용 폴리에스테르 사조의 처리법
US3341452A (en) Textile lubricant
MXPA01012282A (es) Fibra de poliester para torsion falsa.
US3563892A (en) Textile-treating composition and process
Postman Spin finishes explained
JP3378181B2 (ja) スクリーン紗用ポリエステルモノフィラメント
JP2901199B2 (ja) 湿式エアジェット織りのための低煙仕上剤
JP2550218B2 (ja) ポリエステル繊維
US3368917A (en) Coated textile yarn
JPH0397961A (ja) 繊維処理剤
JPH0390675A (ja) 合成繊維用油剤
JPS60173168A (ja) 繊維処理用油剤及び該油剤による繊維糸条の処理方法
JPS6031947B2 (ja) 繊維用処理剤
KR0156234B1 (ko) 방모 방적용 유제조성물
JP3761672B2 (ja) 合成繊維用処理剤
JP2983397B2 (ja) シートベルト用合成繊維
JPS58180674A (ja) 合成繊維マルチフイラメントの製造法
JPH04126875A (ja) 合成繊維用処理剤
JPS5920023B2 (ja) 新規な繊維処理用油剤
JPS58220874A (ja) 熱可塑性合成繊維嵩高加工糸の潤滑処理剤
JP2901815B2 (ja) ポリエステルシボ織物の製造方法
JP3132271B2 (ja) 合成繊維の処理方法
KR940000573B1 (ko) 열가소성 합성섬유용 유제조성물
KR890003889B1 (ko) 무호부(無糊付)합성섬유필라멘트사의 제조방법
JPH0346586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