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790000847B1 - 수직 편향 회로 - Google Patents

수직 편향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790000847B1
KR790000847B1 KR740000381A KR740000381A KR790000847B1 KR 790000847 B1 KR790000847 B1 KR 790000847B1 KR 740000381 A KR740000381 A KR 740000381A KR 740000381 A KR740000381 A KR 740000381A KR 790000847 B1 KR790000847 B1 KR 790000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output
transistor
vertical
pul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40000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게시 아라이
Original Assignee
이우에 가오루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에 가오루,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우에 가오루
Priority to KR740000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7900008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790000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79000084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직 편향 회로
제1도는 종래 수직 편향 회로의 브록 다이아 그램.
제2도는 종래 수직 편향 회로에서 발생된 수직 편향 출력 파형도.
제3도는 본 발명 제1의 실시예의 수직 편향 회로의 블록 다이아 그램.
제4도는 제3도 수직 편향 회로의 구체적 회로 결선도.
제5도는 제4도 회로 동작 설명용의 파형도.
제6도는 본 발명 제2의 실시예의 수직 편향 회로의 브록 다이아 그램.
제7도는 제6도 수직 편향 회로의 구체적 회로 결선도.
제8도는 제7도 회로 동작 설명용의 파형도.
제9도는 본 발명 제3의 실시예의 수직 편향 회로의 브록 다이아 그램.
제10도는 제9도 회로 동작 설명용의 파형도.
제11도는 본 발명 제4의 실시예의 수직 편향 회로의 브록 다이아 그램.
제12도는 제11도 수직 편향 회로의 구체적 결선도.
제13도는 제12도 회로 동작 설명용의 파형도.
본 발명은 수직 편향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텔레비죤 수상기의 트랜스레스(OTL)형 수직 편향 회로에 사용하기에 아주 적당한 수직 편향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직 편향 회로는 제1도에 나타낸 브록 다이어 그램과 같으며, (1)은 동기 분리 회로이고, (2)는 적분회로이며, (3)은 수직발진부로서, 수직발진회로(4)와 톱니파 발생회로(5)로 되어 있고, (6)은 수직편향 출력부로서, 구동회로(7)와 수직 출력회로(8)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회로에 있어서는, 동기 분리회로(1) 및 적분회로(2)를 거쳐 정형된 수직 동기 신호에 의해 수직 발진회로(4)를 동기 발진시키고, 이 발진회로의 발진출력 펄스를 톱니파 발생회로(5)에 의해 톱니파로 정형하고, 구동회로(7)로 증폭한 후, 수직 출력회로(8)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수직편향 회로에 있어서는, 수직 편향 출력의 귀선 펄스 폭은 발진회로(4)로부터 수직 출력 회로(8)에 공급되는 구동신호 펄스폭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특히, 수직 출력 트랜스포오머를 사용하지 않는 소위 OTL형 수직 편향 출력회로에 있어서는, 그 회로 중에 수직 출력 트랜스포오머와 같은, 귀선폭을 제한하는 큰 인덕턴스소자가 없기 때문에, 수직 편향 출력의 귀선기간은 출력회로(8)에 인가된 구동신호 펄스폭에 의해 주로 결정된다.
그런데, 수직 발진회로(4)에 있어, 그 발진출력 펄스의 시작은 발진회로(4)에 인가된 수직 동기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이 발진의 시작 시간은 정확히 규제될 수 있다. 그러나, 발진 출력 펄스의 끝나는 시간, 즉 펄스의 종료시간은 발진회로 자신의 동작 조건에 의해서만 결정되므로, 발진기의 성질상 사용전기 부품의 영향 또는 외부 접촉 회로로부터의 잡음을 상당히 받게 되고, 이로 인해 발진 펄스의 종료시간, 환언하면 발진 펄스의 펄스폭은 매우 불안정한 것으로 되기 쉽다. 이러한 발진 출력의 펄스폭의 불안정성은 출력회로의 불안정성의 원인이 된다. 또, 특히 텔레비죤 수상기의 수직 편향 회로에 있어서는, 수평 편향 회로로부터의 수평 귀선 펄스에 의한 잡음에 의해 비월 주사의 열화 등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회로의 결점을 해소할 수 있는 수직 편향 회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수직 발진회로와 수직 출력회로간에 수직 발진출력 펄스폭을 제어하는 펄스폭 제어회로를 접속하고, 소정의 펄스폭을 갖는 펄스를 수직 출력회로에 공급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결점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 제1의 실시예의 수직 편향 회로의 브록 다이아 그램을 나타낸 것이며, 제4도는 그 구체적 회로 결선을 나타낸 것으로, 제3도 및 제4도는 모두 제1도와 같은 것에는 동일 부호로 표시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수직 발진회로(4)와 톱니파 발생회로(5)간에 펄스폭 제어(또는 제한)회로(9)를 삽입 접속한다.
이하, 본 발명 제1의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 제4도를 참조 설명한다. 펄스폭 제어회로(9)의 입력단(A)에는 수직 발진회로(4)에서 제5도(a)의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펄스폭의 불안정한 발진출력 펄스가 공급되면, 스위칭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에 접속된 충방전 콘덴서(C1)을 충방전 시킨다. 즉, 스위칭 트랜지스터(Tr1)의 비도통시에, 직류 전원(Vb)으로부터 충분히 큰 저항(R1)을 통해 충방전 콘덴서(C1)을 충전하고, 트랜지스터(Tr1)의 도통시에 이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에미터를 통해 방전한다. 그 결과, 콘덴서(C1)의 양단에는 제5도(b)의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톱니파 전압이 발생한다. 이 톱니파 전압은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공급되고, 트랜지스터(Tr2)의 에미터에는 직류 전원전압(E1)이 공급되어, 이 전압(E1)보다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 전압이 높은 때에만 이 트랜지스터를 도통하여, 이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부하의 분할점(C)에는 이 트랜지스터의 포화특성에 의해 제5도(c)의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구형파 펄스 전압이 나타난다. 이 구형파 펄스 전압은 트랜지스터(Tr3)로서 증폭되고 반전되어, 콜렉터 부하의 분할점(D)에서 제5도(d)의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구형파 펄스 전압으로 되고, 또 다시 트랜지스터(Tr4)로서 증폭 운전되어, 트랜지스터(Tr6)의 베이스에는 제5도(c)의 실선과 같은 구형파 펄스가 공급된다. 한편, 트랜지스터(Tr5)의 베이스(점 E)에는 입력단자(A)에서와 같은 제5도(e)의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은 발진출력 펄스가 공급되고, 이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측, 즉 트랜지스터(Tr6)의 베이스에는 제5도(e)의 파형을 반전한 발진 출력 펄스가 인가된다. 또, 트랜지스터(Tr4)(Tr5)(Tr6)로서 하나의 게이트 회로가 구성되어, 트랜지스터(Tr4)로부터의 구형파 펄스는 게이트 신호로서 동작하여, 트랜지스터(Tr6)의 콜렉터(F)에는 제5도(d)와 (e)의 실선 파형을 합한 파형, 즉 제5도(f)와 같은 출력 파형이 얻어진다.
그런데, 수직 발진회로(4)의 발진출력 펄스는 이 펄스의 상승개시시간(t1)〔제5도(a) 참조,단 동도에 있어서는 하강개시 시간으로 나타냈다.〕은 수직동기 신호에 의해 결정되므로, 정확히 규제되나, 종료시간(t2)은 발진회로 자신의 동작 조건에 의해서만 결정되므로, 상당히 불안정하여, 결국, 발진 출력 펄스폭(t1-t2)도 불안정해 진다. 이제, 발진 출력 펄스폭이 제5도(a)의 파선(t1-t4)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넓어진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렇게 하면 충 방전 콘덴서(C1)의 양단 전압도 제5도(b)의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되고, 그 때문에 점(C) 및 점(D)에 있어 구형파 펄스 전압의 펄스폭도 각각 제5도(c) 및 (d)의 파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넓어진다.
한편, 트랜지스터(Tr5)의 베이스에 인가된 발진 출력 펄스도 제5도(e)의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넓어진다. 그러나, 제5도(d)와 (e)의 파선으로 나타낸 펄스전압을 서로 합한 파형인 트랜지스터(Tr6)의 출력 펄스폭은 제5도(f)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진 출력 펄스폭의 여하여 불구하고, 항상 일정하다. 이와 같은 펄스폭이 상당히 안정한 구형파 펄스는 수직 출력회로에 적용하면 호적하다. 그런데, 이 트랜지스터(Tr6)의 출력구형 펄스 전압의 펄스폭은 트랜지스터(Tr2)의 에미터에 인가된 전압(E1)을 변화시키면 변화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수직 편향 회로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6도는 본 발명 제2실시예의 브록 다이어 그램이고, 제7도는 그 구체적 회로 결선을 나타낸 결선도이며, 제1도 및 제3도와 공통의 것에는 동일 번호를 부쳐 표시했다. 제6도에서 알 수 있는바와 같이, 수직 출력회로(8)의 출력에 의해 펄스폭 제어회로(9)를 제어하여 수직 출력회로(8)의 출력 펄스폭을 일정하게 하고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제1도의 브록 다이어 그램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랜스레스(OTL)형 수직 편향 회로에 있어서는, 수직 발진회로(4)의 출력 단점(P)에 있는 발진출력 펄스 전압은 제2도(p)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파형이고, 수직 출력회로(8)의 입력 단점(Q)에 있는 여진전압 파형은 제2도(q)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파형이다. 그런데, 출력 단점(S)에 있는 출력 전압 파형은 제2도(s)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파형이다.
그런데,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OTL형 수직 편향 회로에 있어, 수직 편향 코일(Dy)의 임피던스의 값을(L), 편향 전류률(i), 수직 편향 귀선 기간을(Tr)로 하면, 제2도(s)에서의 출력 파형의 펄스 부분(a)의 전압(Vr)는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즉,
Figure kpo00001
(단, K : 비례 상수)
그런데, 자연(주사) 부분(b)는 상기식 중의 귀선기간(Tr)의 값에 의해서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 동 출력 전압 파형의 상단(C)은 회로적으로 직류 전원 전압(Vb) 또는 다른 정전압에 거의 고정되기 때문에, 이러한 수직 편향 회로에 있어서는 수직 출력 전압의 평균 직류 레벨(Vm)과 발진회로(4)의 발진 출력 펄스의 펄스폭(W)은 거의 비례관계에 있게 된다.
또, 발진회로(4)의 발진 출력 펄스의 펄스폭(귀선 폭)(W)은 텔레비죤 수상기의 화상을 완전히 재현하기 위하여, 또, 회로적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 출력 전압의 평균 직류 레벨(Vm)을 적당한 값에 유지시키기 위하여 제한을 받는다. 따라서,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 회로에 있어서는 발진회로(4)의 발진 출력 레벨 폭(W)은 상당히 변동이 작지 않으면 않된다.
본 발명 제2실시예에서는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로를 구성하여, 수직 출력 전압에 의히 펄스폭 제어회로를 제어하여 수직 출력의 평균 직류 레벨(Vm) 및 출력의 귀선펄스폭을 실질적으로 최적하게 하므로서, 수직 발진회로의 발진 출력 펄스폭(W)은 다소 변동하여도 하등의 영향이 없도록 한 것이다.
다음에, 제7도를 참조 본 제2실시예의 동작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발진회로(4)로부터 제8도(a)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발진 출력 펄스가 펄스폭 제어회로(9) 중의 스위칭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공급되어, 이 트랜지스터(Tr1)을 온 오프 시킨다. 그런데 이 트랜지스터(Tr1)의 오프시에 정 전류용 저항(R0)와 톱니파의 시정수용 저항(R1)을 통해 충방전 콘덴서(C1)을 충전하고, 이 트랜지스터(Tr1)의 온 시에 콘덴서(C1)의 충전전하를 이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에미터의 경로로 방전한다. 그 결과, 콘덴서(C1)의 양단에는 제8도(b)의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톱니파 전압이 발생한다. 이 톱니파 전압이 트랜지스터(Tr2)(Tr3)으로 된 차동 증폭기에 공급되어,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 전압 레벨(E0)에 의해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공급된 톱니파 전압의 스라이스 레벨이 결정된다. 그런데,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에는 제8도(c)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구형파 출력 펄스가 얻어진다. 이 출력 구형파 펄스를 트랜지스터(Tr4)로 증폭, 위상 반전시켜, 점(D)에서 제8도(d)와 같은 파형으로 하여 트랜지스터(Tr5)의 베이스에 공급하고, 그 출력을 또 다시 트랜지스터(Tr7)의 베이스에 공급한다. 한편, 트랜지스터(Tr6)의 베이스(점 E)에는 입력단자(A)에서와 같은 제8도(e)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발진 출력 펄스가 공급된다. 그런데, 제4도의 경우와 같이 트랜지스터(Tr5)(Tr6)(Tr7)으로 한 게이트 회로가 구성되어, 트랜지스터(Tr7)의 콜렉터(F)에는 제8도(d)와 (e)의 실선 파형을 합한 제8도(f)의 실선으로 나타낸 출력 파형이 나타난다. 이 구형파 펄스를 톱니파 발생회로(5)의 트랜지스터(Tr8)의 베이스에, 그 다음 또 트랜지스터(Tr9)의 베이스에 공급하고, 또 구동회로(7)의 트랜지스터(Tr10)의 베이스에 도시한 바와 같은 톱니파를 공급하여, 구동회로(7)의 출력에 의해 출력 트랜지스터(Tr11)(Tr12)를 구동시킨다. 이때, 수직 출력 회로(8)의 점(G)에 있어서의 수직 편향 출력 전압의 파형은 제8도(g)의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다. 제8도(g)에 나타낸 바와 같은 수직 편향 출력 전압을 저항(R2), 콘덴서(C2)로 된 적분회로(10)로 평활하고 적당한 크기로 분압하여 펄스폭 제어 제어전압(E1)으로서 정전류용 저항(R0)의 일단에 공급한다.
이제, 수직 출력 회로(8)의 출력 귀선 펄스폭(Tr)이 좁하져, (Tr')로 되었다고 하면, 식(1)에 의해 펄스 부분의 전압(Vr)은 (Vr')로 크게 되지만, 펄스 부분의 상단부(C)는 직류전원전압(Vb2)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출력의 평균 직류 레벨(Vm)은 낮아져(Vm')로 된다. 이에 의해, 정 전류용 저항(R0)의 일단에 공급된 펄스폭 제어전압(E1)은 낮아져, 충방전 콘덴서(C1)의 충전전원전압이 낮아지고, 콘덴서(C1)의 충전의 경사가 제8도(b)의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완만해 진다. 그런데, 제6도의 점(C)(D)에 있어서의 각 파형은 제8도(c)(d)의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좁아진다. 그 결과, 펄스폭 제어회로(9)의 점(F)에 있어서의 출력 구형파 펄스는 제8도(f)의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넓어져, 전술한 좁은 출력귀선 펄스폭(Tr')은 적절한 펄스폭(Tr)으로 보정되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제9도를 참조 설명한다.
발진회로(4)의 발진출력 펄스는 트랜지스터(Tr0)에 의해 증폭 반전된다. 펄스폭 제어회로(9) 중의 스위칭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는 제10도(a)와 같은 구형파 펄스가 공급되어, 이 트랜지스터(Tr1)을 온 오프 시킨다. 그런데, 이 트랜지스터(Tr1)의 오프 시에 정전류용 트랜지스터(Tr2)를 통해 충방전 콘덴서(C1)을 충전하여, 이 트랜지스터(Tr1)의 온 시에 이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에미터를 통해 방전한다. 그 결과, 콘덴서(C1)의 양단에는 제10도(b)에 나타낸 바와 같은 톱니파 전압이 발생한다. 이 톱니파 전압이 트랜지스터(Tr3)(Tr4)로 된 차동 증폭기에 공급되고, 트랜지스터(Tr4)의 베이스 전압 레벨(E1)에 의해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에 공급된 톱니파 전압의 스라이드레벨을 변화시킬 수가 있어, 제10도(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Tr4)의 출력콜렉터 펄스의 펄스폭(W1)을 변화시킬 수가 있다. 그런데, 이 출력콜렉터 펄스를 톱니파 발생회로(5)에 공급하고, 구동회로(7)의 트랜지스터(Tr10)의 베이스에 도시한 바와같은 톱니파를 공급하여, 구동회로(7)의 출력에 의해 출력트랜지스터(Tr11)(Tr12)을 구동시킨다. 이때 수직출력회로(8)의 점(D)에 있어서의 수직 출력전압의 파형은 제10도(d)의 실선과 같이 된다.
제10도(d)에 나타낸 바와 같은 수직 편향 출력전압을 저항(R2) 콘덴서(C2)로 된 적분회로(10)으로 평활하고, 적당한 크기로 분압하여 펄스 제어 전압(E1)으로서 트랜지스터(Tr4)의 베이스에 공급한다.
발진회로(4)의 발진 출력 펄스폭(W)를 수직 출력회로(8)에 요구되는 펄스폭 보다도 적당히 넓게 되도록 하여 두면, 혹, 수직 출력회로(10)의 출력 귀선 펄스폭(Tr)가 넓어지는 경우에도, 식(1)에 의해 펄스 부분의 전압(Vr)는 작아져, 펄스 부분의 상단부(C)는 직류 전원전압(Vb2)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출력의 평균 직류 레벨(Vm)은 높아져, 이 때문에 트랜지스터(Tr4)의 베이스에 공급되는 펄스폭 제어전압(E1)도 크게된다. 이렇게 하면, 차동증폭기(Tr3)(Tr4)에 의한 톱니파 전압의 스라이드 레벨도 제10도(b)의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올라가, 트랜지스터(Tr4)의 출력 콜렉터 펄스의 펄스폭은 좁아진다. 이와같이 하여, 발진회로(4)의 변동에 의한 발진 출력 펄스폭의 변동은 펄스폭 제어회로(9)에 의해 적절히 제어되어 수직 출력회로(8)에 있어서의 출력의 평균 직류 레벨(Vm) 및 출력 귀선 펄스폭(W1)은 소정 일정한 값으로 되도록 제어된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수직 편향 회로의 브록 다이어 그램을 나타내고, 제12도는 그 구체적 회로결선을 나타낸 회로도이고, 제11도 및 제12도에서 제1도와 같은 것에는 동일 부호를 부쳐 표시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수직 편향 회로의 동작에 대해 제12도를 참조 설명한다.
이제, 전원 스위치(도시하지 않음)의 투입시(t=t0)와 같이, 발진회로(4)의 충방전 콘덴서(C0)에 전부 전하가 충전되지 않는 경우는 차동 증폭기의 일방의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전압(Vb1)은 Vb1=이므로, 이 트랜지스터(Tr1)는 오프로 되어, 이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 전압이 높아져, 트랜지스터(Tr3)는 off로 되며, 트랜지스터(Tr4)(Tr5)도 오프로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Tr6)는 온으로 되어, 톱니파 전압 발생용의 스위칭 트랜지스터(Tr8)는 오프로 된다. 이때 트랜지스터(Tr4)는 오프이므로 차동 증폭기의 타방의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 전압(Vb2)는 분할 저항(R1), (R2), (R3)에 의해 직류 전원전압(+E1)를 분할한 다음 식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전압으로 된다. 즉,
Figure kpo00002
다음에 발진 주파수 조정용 가변 저항기(R0)를 통해 직류전원전압(E1)에 의해 제13도(b)에 나타낸 바와 충방전 콘덴서(C0) 다음에 충전되어, 시간(t1)에서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전압(Vb1)이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전압 Vb2={(R1+R3)/(R1+R2+R3)}·E1보다도 약간 크게 되면, 트랜지스터(Tr1)은 온으로 되어, 트랜지스터(Tr2)는 오프로 된다. 그런데, 트랜지스터(Tr3)가 온으로 되므로서, 트랜지스터(Tr4)(Tr5)도 온으로 된다. 이렇게 되면, 트랜지스터(Tr5)의 콜렉터 전압이 저하되므로 트랜지스터(Tr6)는 오프로 된다. 이때 트랜지스터(Tr6)의 콜렉터 전압이 상승하므로 스위칭 트랜지스터(Tr8)가 도통하여, 충방전 콘덴서(C0)의 전하는 트랜지스터(Tr8)의 콜렉터, 에미터 통로를 통해 방전된다. 이때 이 트랜지스터(Tr8)의 콜렉터 전류(콘덴서의 방전전류)는 트랜지스터(Tr7)과 다이오드(D1)으로 된 정전류 회로에 의해 정전류화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트랜지스터(Tr4)는 온이기 때문에,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 전압(Vb2)는 분할저항(R1)(R2)에 의해 직류 전원전압(E1)를 분할한 값, 즉
Figure kpo00003
까지 저하한다. 따라서, 콘덴서(C0)의 전하는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 전압(Vb1)이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 전압 Vb2={R2/(R1+R2)} E1으로 된 시간(t2)까지, 트랜지스터(Tr7)으로 정해진 정전류로서 방전을 계속한다. 그런데, 시간(t2)에 달하면, 다시 트랜지스터(Tr1)이 오프로 되고, 트랜지스터(Tr2)의 쪽이 온으로 되어, 전술한 동작을 되풀이 하여, 트랜지스터(Tr5)의 콜렉터(점 E)에서 제13도(2)와 같은 출력구형파 펄스가 발생한다. 적분회로(2)의 출력단(A)에 있는 수직 동기신호 펄스의 파형은 제13도(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파형으로 이 수직 동기 신호 펄스가 트랜지스터(Tr4)의 베이스에 공급되어, 수직 발진회로(4)를 수직 동기 신호로 동기하여 발진된다.
또, 제12도(C)(D) 및 (F)점에 있어서의 파형은 각각 제13도(c)(d) 및 (f)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파형을 이루고 있다.
그런데, 수직발진회로(4)의 발진 출력 펄스는 이 펄스의 상승 개시시간(t1)〔제13도(e)참조, 단 동도에서는 하강으로 나타냈다.〕는 수직 동기 신호에 의해 결정되므로 정확히 규정되지만, 하강시(t2)는 발진회로 자신의 동작 조건에 의해서만 결정되어 (t2)와 같이 되어 상당히 불안정하여, 결국, 발진 출력 펄스폭(t1-t2)도 불안정해진다. 이제, 발진 출력 펄스폭이 제13도(e)의 파선(t1-t2)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좁아졌다고 한다. 그렇게 하면, 수직 출력 회로(8)의 점(F)에 있어서의 출력 전압 파형도 제13도(f)의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귀선 펄스폭(Tr)가 (Tr')로 좁아진다. 그렇게 하면, 식(1)에 의해 펄스 부분의 전압(Vr)는 크게 되어(Vr')로 되지만, 펄스 부분의 상단부(C)는 직류 전원전압(E2)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출력의 평균 직류 레벨(Em)은 낮아져(Em')로 된다. 이러한 평균 직류 레벨(Em)에 비례하는 전압을 저항(R4), 콘덴서(C4)로 된 평활 회로(9)에 의해 취출하고, 직류 증류 반전용 트랜지스터(Tr14)에 공급하고, 이 트랜지스터(Tr14)의 콜렉터 출력 전압을 펄스폭 제어전압(Ec)로 하여 정전류용 트랜지스터(Tr7)의 베이스에 공급한다. 그런데 이 경우 펄스폭 제어전압(Ec)는 (Ec')로 높아지므로 트랜지스터(Tr7)의 에미터 콜렉터 전류가 감소하여, 트랜지스터(Tr8)의 콜렉터 전류는 감소한다. 이 때문에, 충방전 콘덴서(C0)의 방전 특성의 경사가 제13도(b)의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완만해지고, 발진회로(4)의 출력구형파 펄스의 펄스폭이 넓어져, 수직 출력회로(8)의 출력 귀선 펄스의 펄스폭(Tr')가 소정의 값(Tr)으로 되도록 발진회로(4)가 제어된다.
또, 스위칭 트랜지스터(Tr8)의 콜렉터 전류의 크기를 제어하여, 콘덴서(C0)의 방전특성의 경사를 변화시키면, 엄밀히는 발진회로(4)에 있어서의 발진출력 펄스의 펄스폭(귀선기간)의 변화를 10으로 하면, 발진 출력 펄스의 되풀이 주파수의 변화는 경우 1로 되어, 실용상 전혀 문제가 없다. 또 발진회로(4)로서는 다른 여러 회로를 사용할 수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와같이, 본 발명 트랜스레스형 수직 편향 회로에 의해, 발진회로에 있어서의 발진 출력 펄스의 펄스폭이 변동하여도 수직 출력 회로의 출력 귀선 펄스폭이 거의 일정히 되도록 수직 출력 회로의 출력에 의해 수직 발진회로를 제어하므로서, 수직 출력 회로의 동작이 아주 안정되고, 또, 비월주사도 완전히 행할 수 있는 특징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도면에 도시하고 본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 발진회로와 이 발진회로의 출력이 공급되는 수직 출력회로를 구비하고, 또 상기 수직 출력 회로의 출력 귀선 펄스폭이 거의 일정히 되도록 수직 출력 회로에 공급되는 입력 신호를 제어하는 펄스폭 제어회로를 구비한 수직 편향 회로.
KR740000381A 1974-01-01 1974-01-01 수직 편향 회로 KR790000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000381A KR790000847B1 (ko) 1974-01-01 1974-01-01 수직 편향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000381A KR790000847B1 (ko) 1974-01-01 1974-01-01 수직 편향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790000847B1 true KR790000847B1 (ko) 1979-07-20

Family

ID=19199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40000381A KR790000847B1 (ko) 1974-01-01 1974-01-01 수직 편향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79000084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65005B (fi) Signalprocessor foer ett omkopplat vertikalavboejningssystem
JPS61111073A (ja) テレビ受像管で電子ビームを垂直偏向する回路装置
JP3617669B2 (ja) テレビジョン偏向装置
JP2716495B2 (ja) 画像管用の偏向回路
KR790000847B1 (ko) 수직 편향 회로
JPS5858867B2 (ja) イソウセイギヨソウチ
JP2726305B2 (ja) 画像表示装置
NO760236L (ko)
JP2591762B2 (ja) パラボラ状周期信号発生回路
JPS588794B2 (ja) 垂直発振回路
JP2522293Y2 (ja) 垂直偏向回路
JP3089021B2 (ja) 垂直偏向用鋸歯状波発生回路
US3986077A (en) Vertical deflection circuit
US3435282A (en) Self-oscillating deflection generator
KR0110705Y1 (ko) 파형 발생 장치
JP3168683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0172697B1 (ko) 모니터의 수평 드라이브 듀티제어회로
JPS6248956B2 (ko)
JP2535851B2 (ja) 鋸歯状波信号発生回路
JP3408436B2 (ja) 垂直のこぎり波発振回路
JPH05161029A (ja) 水平位相調整回路
JPS6141337Y2 (ko)
JPS60153084A (ja) 水平振幅制御回路
JPH04117071A (ja) 垂直偏向回路
JP3128394B2 (ja) 発振回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