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25711A -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25711A
KR20240125711A KR1020247026930A KR20247026930A KR20240125711A KR 20240125711 A KR20240125711 A KR 20240125711A KR 1020247026930 A KR1020247026930 A KR 1020247026930A KR 20247026930 A KR20247026930 A KR 20247026930A KR 20240125711 A KR20240125711 A KR 20240125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ground
terminals
wafer
grou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26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존 씨. 롤스
로날드 브래드베리
조 파이아
오구스토 피. 파넬라
다니엘 비. 맥고완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몰렉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40125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2571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5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cables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7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special arrangement of ground and signal conductors, e.g. GSGS [Ground-Signal-Ground-Sig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4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shield being mounted on a PCB and connected to conductive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7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contact of the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05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with a panel or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함께 짝을 이룰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할 수 있다. 플러그와 리셉터클 커넥터 사이의 도전성 통신은 각각의 커넥터에 수용된 터미널 서브조립체들에 포함된 짝맞춤 접지 터미널들과 짝맞춤 신호 터미널들에 의해 확립된다. 신호 터미널 및 접지 터미널을 정렬시키고 지원하려면, 터미널들은 터미널 웨이퍼의 일부일 수 있고, 터미널 서브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웨이퍼들로부터 조립될 수 있다. 터미널 웨이퍼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통한 데이터 송신 및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키도록 접지 특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조립체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2019 년 9 월 6 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No. 62/897,006 의 우선권을 주장하여, 상기 출원은 전체가 본원에 참고로서 포함된다.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속 데이터 비율 애플리케이션(high data rate application)에 사용하기 적합한 입력/출력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입력/출력(IO) 커넥터는 보드 대 보드(board-to-board), 와이어 대 와이어(wire-to-wire) 및, 와이어 대 보드(wire-to-board) 시스템을 포함하는, 다양한 시스템용으로 설계될 수 있다. 와이어 대 보드(wire-to-board) 시스템은, 와이어에 부착된 자유단 커넥터 및 보드에 부착된 고정 단부 커넥터를 포함한다. 커넥터가 사용되도록 의도된 환경과 요구 사항에 따라서, 각각의 유형의 시스템에 대하여 다양한 범위의 적절한 설계가 존재한다.
그러나 데이터 속도가 빠르고 물리적 공간이 제한된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여러 경쟁 요구 사항으로 인해 커넥터 설계가 더 까다로워진다. 높은 데이터 속도(25Gbps 와 같거나 그보다 빠른 데이터 속도)는 통상적으로 차동 결합 신호 쌍(differentially coupled signal pairs)을 이용하는데, 여기에서 2 개의 도전체는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물리적으로 쌍으로 배치되어, 차동 신호를 송신한다. 송신되는 신호는 도전체 쌍들 사이에서 측정된 전기적 차이에 의해 반영된다. 차동 신호(differential signaling)는 거짓 신호(spurious signal) 및 전자 크로스토크(electronic crosstalk)에 대한 더 큰 저항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되며, 바람직하게는 인접하고 상이하게 결합된 신호 쌍으로써 부주의한 신호 모드의 생성을 회피하기 위해 충분한 간격을 유지한다. 커넥터 인터페이스에서, 접지 터미널들이 추가될 수 있어서 전기 접지로의 복귀 경로를 생성하고 차동 쌍(differential pairs)들 사이에 차폐를 제공한다. 그러나, 만약 공간이 문제라면, 커넥터의 피치를 줄이고 모든 터미널들을 함께 더 가깝게 만드는 것이 소망스러워진다(이것은 혼선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전기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기계적 및 전기적 요건을 모두 충족하도록 설계된다. 고속 또는 고속 데이터 속도(high data rate)의 전기 커넥터는 예를 들어 매우 높은 도전체 밀도와 높은 데이터 속도가 필요한, 백플레인 애플리케이션(backplane application)에서 종종 사용된다. 소망의 기계적 및 전기적 요건을 달성하기 위해, 그러한 커넥터는 종종 복수의 전기 도전성 터미널을 지지하는 절연 웹을 가진 복수의 웨이퍼 조립체를 포함한다. 웨이퍼 조립체의 사용은 소망의 조립 프로세스를 지원하기에 충분히 견고한, 소망의 높은 데이터 속도를 달성할 수 있는 구조를 생성하는데 종종 소망스럽다. 그러나, 높은 데이터 속도가 요구되고 물리적 공간이 최소인 경우, 데이터 송신을 위한 적절한 전기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커넥터의 물리적 공간(foot print)를 최소화하도록 웨이퍼를 구성해야 한다. 본 개시 내용은 그러한 상황에서의 적용을 위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배경에 대한 설명은 오직 독자를 돕기 위한 것이다. 여기에 설명된 혁신을 제한하거나, 논의된 선행 기술을 제한하거나 확장하려는 의도는 없다. 따라서, 이전 시스템의 임의의 특정 요소가 여기에 설명된 혁신과 함께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는 것을 나타내도록 상기의 설명이 취해져서는 아니 되며, 여기에 설명된 혁신을 구현하는데 그 어떤 요소라도 필수적이라는 것을 나타내도록 상기의 설명이 의도되지도 않는다. 여기에 설명된 혁신의 구현 및 적용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본 개시 내용은 복수의 케이블 및 인쇄 회로 기판과 같은 기판들에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설명한다.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와 짝을 이룰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플러그 및 리셉터클 커넥터에는 복수의 터미널 웨이퍼로부터 만들어진 개별의 터미널 서브조립체가 수용될 수 있다. 터미널 웨이퍼는 비도전성 터미널 지지 몰딩에 배치된 도전성 터미널 어레이를 포함한다. 터미널 어레이는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신호 터미널들과 접지 터미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터미널 각각은 신장될 수 있으되, 대향하는 단부들이 다른 커넥터에 있는 대응 터미널들에 장착되거나 또는 짝을 이루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기판 또는 케이블을 가지고, 평탄한 중간 동체 부분은 대향하는 단부들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신호 및 접지 터미널은 통상적으로 터미널 웨이퍼와 공통 어레이 평면에서 정렬된다.
하나의 양상에서, 플러그 또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터미널 서브조립체는 복수의 돌출 블레이드를 가진 접지 바아와 관련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 블레이드들은 터미널 웨이퍼에 있는 복수의 접지 터미널들과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접지 바아는 터미널 어레이의 공통 어레이 평면에 직각으로 방위를 정할 수 있고, 짝맞춤 단부와 장착 단부 사이의 중간에 접지 터미널들과 접촉할 수 있다. 복수의 접지 터미널 사이에 접지 바아를 연결하는데 있어서 가능한 장점은, 접지 바아가 터미널 웨이퍼의 전기적 특성에 유리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단축된 접지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다.
다른 양상에서, 플러그 리셉터클의 절연체 하우징 및 그 안의 터미널 서브조립체는 제1 작동 위치와 제2 작동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다. 제1 작동 위치에서, 터미널 어레이에 있는 신호 및 접지 터미널들 의 장착 단부들은 기판 상의 도전성 접지 패드들과 접촉하도록 절연체 하우징에 의해 묘사된 장착면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기판 위로 절연체 하우징의 장착면을 이격시키는 것은 기판에 대한 터미널 장착 단부의 솔더링(soldering)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2 작동 위치에서, 장착면이 기판에 인접하고 신호 및 접지 터미널의 장착 단부와 동일 평면에 있도록, 절연체 하우징 및 터미널 서브조립체는 서로에 대해 움직일 수 있다. 캔티레버 래치 아암과 래치 리세스는 제1 작동 위치와 제2 작동 위치 사이에서 절연체 하우징 및 터미널 서브조립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멈춤쇠(detents)로서 기능하도록 협력하여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터미널 웨이퍼는 접지 터미널에 대한 추가적인 전기적 접지를 제공하는 접지 차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접지 차폐부는 터미널 지지 몰딩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으며, 터미널 웨이퍼의 나머지와 같은 공간에 있다. 접지 차폐부는 터미널 어레이에 있는 접지 터미널들과 기계적으로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터미널 지지 몰딩을 통해 연장될 수 있는 복수의 접지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접지 차폐부들은 터미널 웨이퍼로 연장되고 터미널 웨이퍼에서 종단되는 도전체에 대한 추가적인 차폐(additional shielding)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상기 특징 및 장점과 다른 특징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개시 내용은 예를 들어 설명되고, 첨부 도면에 제한되지 않으며, 첨부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기판에 장착된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짝맞춤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도 1 의 커넥터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로서, 플러그 커넥터는 기판에 장착되고 리셉터클 커넥터로부터 짝맞춤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다.
도 3은 도 1의 커넥터 시스템의 횡단면 사시도로서, 함께 짝맞춤된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커넥터 시스템의 조립 단면도로서, 리셉터클 커넥터로부터 짝맞춤이 이루어지지 않은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의 실시예를 위로부터 바라본 사시도로서, 신호 및 접지 터미널이 그 안에 배치된 플러그 하우징 및 터미널 서브조립체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의 플러그 커넥터의 평면도로서, 내부에 배치된 신호 및 접지 터미널들을 가진 터미널 서브조립체를 구비한 플러그 하우징을 도시한다.
도 7 은 플러그 커넥터의 저부로부터의 사시도로서, 그로부터 연장된 신호 및 접지 터미널들의 표면 장착 테일들을 나타낸다.
도 8 은 플러그 커넥터의 위로부터의 사시 조립도로서, 플러그 하우징으로부터 제거된 터미널 서브조립체의 대향하는 터미널 웨이퍼들을 나타낸다.
도 9 는 도 6 의 A-A 라인을 따라서 취해진 플러그 커넥터의 단면 사시도로서, 플러그 하우징에 배치된 터미널 서브조립체의 대향하는 터미널 웨이퍼들을 나타낸다.
도 10 은 플러그 커넥터의 아래로부터의 사시 조립도로서, 플러그 하우징으로부터 제거된 터미널 서브조립체의 대향하는 터미널 웨이퍼들을 나타낸다.
도 11 은 도 6 의 A-A 라인을 따라서 취해진, 플러그 커넥터의 단면 조립도로서, 플러그 하우징으로부터 제거된 터미널 서브조립체의 대향하는 터미널 모듈들을 나타낸다.
도 12 는 터미널 지지 몰딩에 배치된 신호 및 접지 터미널들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의 터미널 서브조립체의 터미널 웨이퍼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3 은 터미널 지지 몰딩에 배치된 신호 및 접지 터미널들을 포함하는 터미널 웨이퍼의 평면도이다.
도 14 는 터미널 지지 몰딩에 배치된 2 개의 신호 터미널들 사이에서 도 13 의 A-A 라인을 따라서 취해진 터미널 웨이퍼의 단면도이다.
도 15 는 터미널 지지 몰딩에 배치된 접지 터미널을 통하여 도 13 의 B-B 라인을 따라서 취해진 터미널 웨이퍼의 단면도이다.
도 16 은 터미널 지지 몰딩에 배치된 신호 및 접지 터미널들을 나타내는 터미널 웨이퍼의 웨이퍼 단부에 대한 사시 상세도이다.
도 17 은 접지 터미널들과 접지 바아 사이의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을 나타내는 터미널 서브조립체의 터미널 웨이퍼의 사시도이다.
도 18 은 접지 터미널과 접지 바아 사이의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을 나타내는 터미널 서브조립체의 터미널 웨이퍼의 웨이퍼 단부에 대한 사시 상세도이다.
도 19 는 제1 작동 위치에서 기판에 장착된 플러그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20 은 제2 작동 위치에서 기판에 장착된 플러그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21 은 플러그 하우징 및 터미널 서브조립체의 제1 작동 위치를 나타내도록 플러그 하우징의 일부가 제거된 플러그 커넥터의 상세 사시도이다.
도 22 는 플러그 하우징 및 터미널 서브조립체의 제1 작동 위치를 나타내도록 플러그 하우징의 일부가 제거된 플러그 커넥터의 상세 사시도이다.
도 23 은 도 1 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실시예를 아래로부터 도시한 사시도로서, 리셉터클 하우징 및 그 안의 터미널 서브조립체를 도시한다.
도 24 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상부로부터의 사시 조립도로서, 하부 및 상부 하우징 구성 요소들을 분해 상태로 도시한다.
도 25 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하부 하우징을 나타내는 위로부터의 사시 조립도로서, 터미널 서브조립체는 그로부터 제거되어 있다.
도 26 은 제1 터미널 웨이퍼 및 제2 터미널 웨이퍼를 구비하는 터미널 서브조립체를 가진 리셉터클 커넥터의 하부 하우징을 나타내는 위로부터의 사시 조립도이다.
도 27 은 터미널 서브조립체를 가진 리셉터클 커넥터의 하부 하우징에 대한 단면 조립도로서, 하우징으로부터 제1 터미널 웨이퍼 및 제2 터미널 웨이퍼가 제거되고, 제1 터미널 웨이퍼는 제2 터미널 웨이퍼보다 수직 방향에서 더 크다.
도 28 은 제1 터미널 웨이퍼 및 제2 터미널 웨이퍼의 후방으로부터의 사시도로서, 이것은 리셉터클 커넥터를 위한 터미널 서브조립체의 케이블 정렬 구조를 포함한다.
도 29 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1 터미널 웨이퍼의 전방으로부터의 사시도로서, 터미널 지지 몰딩에 매립된 복수의 신호 및 접지 터미널들을 가진 터미널 어레이를 포함한다.
도 30 은 터미널 지지 몰딩에 매립된 복수의 신호 및 접지 터미널들을 가진 터미널 어레이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1 터미널 웨이퍼의 후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31 은 제1 터미널 웨이퍼의 전방으로부터의 사시 조립도로서 이것은 인접한 도전성 접지 차폐부를 구비한다.
도 32 는 제1 터미널 웨이퍼의 후방으로부터의 사시 조립도로서, 이것은 인접한 도전성 접지 차폐부를 구비한다.
도 33 은 제1 터미널 웨이퍼를 위한 터미널 어레이의 사시도로서, 이것은 복수의 신호 및 접지 터미널들을 구비한다.
도 34 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2 터미널 웨이퍼의 전방으로부터의 사시도로서, 이것은 터미널 지지 몰딩에 매립된 복수의 신호 및 접지 터미널들을 가진 터미널 어레이를 구비한다.
도 35 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2 터미널 웨이퍼의 후방으로부터의 사시도로서, 이것은 터미널 지지 몰딩에 매립된 복수의 신호 및 접지 터미널들을 가진 터미널 어레이를 구비한다.
도 36 은 제2 터미널 웨이퍼의 전방으로부터의 사시 조립도로서, 이것은 인접한 도전성 접지 차폐부를 구비한다.
도 37 은 제2 터미널 웨이퍼의 후방으로부터의 사시 조립도로서, 인접한 도전성 접지 차폐부를 구비한다.
도 38 은 제2 터미널 웨이퍼의 터미널 어레이의 사시도로서, 복수의 신호 및 접지 터미널들을 구비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와이어 대 보드 커넥터 조립체(100)가 도시되어 있다. 커넥터 조립체(100)는 플러그 커넥터(102) 및 리셉터클 커넥터(104)를 포함한다. 플러그 커넥터(102)는 기판(106) 상에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리셉터클 커넥터(104)는 복수의 전기 도전성 케이블(108)로 종단(termination)되도록 구성된다. 플러그 커넥터(102)는 리셉터클 커넥터(104)에 맞춰져서, 기판(106)과 복수의 도전성 케이블(108) 사이의 전기 통신을 확립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2)는 기판(106)의 표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리셉터클 커넥터(104)는 케이블(108)들이 기판에 평행하게 지향되고 그리고 일반적으로 플러그 및 리셉터클 커넥터(102,104)의 맞춤 방향 또는 적층 방향에 직각으로 지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조립체(100)는 직교 구성을 가진다. 더욱이, 플러그 커넥터(102) 및 리셉터클 커넥터(104)의 수직 높이가 최소화될 수 있어서 커넥터 조립체(100)는 간격을 고려하여 낮은 프로파일을 유지한다.
기판(106)은 전체적으로 평탄한 부재의 그 어떤 유형일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기판의 장착 표면(112) 상의 복수의 전기 도전성 패드(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 도전성 트레이스(trace)를 가진 유연성 회로, 백플레인 보드(backplane board), 인쇄 회로 기판 같은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02) 및 리셉터클 커넥터(104)는, 플러그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맞춰질 때 서로 전기 도전성 접촉을 할 수 있는 개별의 복수의 도전성 접촉부 또는 그 내부에 배치된 터미널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조립체(100)는 플러그 커넥터(102) 및 리셉터클 커넥터(104)가 해제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가 작동되게 관련되는 전기 구성요소들의 조립 및 상호교환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02)는 플러그 하우징(120) 및 터미널 서브조립체(160)를 포함한다. 플러그 하우징(120)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이고, 정합면(122)과 평행하지만 대향하고 이격된 장착면(124)을 가진다. 플러그 커넥터(102)가 기판에 장착될 때, 플러그 하우징의 장착 면(124)은 기판에 인접하고, 정합면(122)은 기판으로부터 멀어지게 돌출되고, 거기에 정합될 때 리셉터클 커넥터와 맞닿도록 지향된다. 플러그 하우징(120)은 측벽들 사이에 연장된 한쌍의 이격되고 짧은 단부 벽(128)들에 일체로 접합된 한쌍의 이격되고 신장된 측벽(126)들을 구비하되, 측벽들과 단부 벽들은 직교하게 배치되어 플러그 하우징(120)의 직사각 형상을 제공한다. 측벽(126)들 및 단부 벽(128)들은 정합면(122)과 장착면(124)을 결합한다. 이격된 측벽(126)들 및 단부 벽(128)들은 서로 일체화될 수 있고, 터미널 서브조립체(160)를 둘러싸고 보호할 수 있는 인클로저(enclosure) 또는 쉘(shell)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측벽(126)과 단부 벽(128)들의 교차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는 플러그 커넥터(102)를 리셉터클 커넥터와 결합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는, 예시된 바와 같이 베벨(bevel), 필렛(fillets) 또는 모따기(chamfer)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 하우징(120)은 몰딩된 열가소성 물질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비도전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절연체 하우징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러그 하우징(120)은 복수의 스탠드오프(standoff, 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은 장착면(124)과 연관되고, 플러그 커넥터(102)가 그 위에 장착될 때 기판과 접촉하도록 의도된다. 스탠드오프(130)는 장착 평면(132)을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묘사하는데, 장착 평면은 기판의 표면에 인접하거나 동일 평면에 있고, 플러그 하우징(120)의 하부 연장부 역할을 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스탠드오프(130)는 교차하는 측벽(126) 및 단부 벽(128)의 4개의 코너에 포함될 수 있다. 스탠드오프(130)는 측벽(126)의 하부 에지를 따라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갭(134)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140)는 하우징의 길이방향 중심선으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서 플러그 하우징(120)의 장착면(124)을 통해 배치될 수 있다. 개구(140)는 플러그 커넥터(102)에 터미널 서브조립체(160)를 수용하고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그 결과, 터미널 서브조립체(160)는 플러그 하우징의 길이방향 중심에 대해 오프셋 방식으로 플러그 하우징(120) 내에 배치됨을 이해할 수 있다. 개구(140)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이고, 서로 수직으로 배치된, 이격되고 신장된 측면 에지(142)(신장된 측벽(126)들에 대응)와, 이격되고 짧은 단부 에지(144)(짧은 단부 벽(128)에 대응)에 의해 정의된다. 중심 웹(central web, 146)은 짧은 단부 에지(144)들 사이의 개구(140)를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고, 신장된 측면 에지(142)들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개구(140) 및 개구를 가로질러 걸쳐 있는 중심 웹(146)은 플러그 하우징(120)의 측방향 길이 내에서 연장되는 측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중심 웹(146)은 개구(140)를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2 개의 분리된 하위 개구(148)들로 분리할 수 있는데, 이들은 장착면(124)을 통해 플러그 하우징(120)의 내부에 대한 접근을 제공한다. 중심 웹(146)은 플러그 하우징(120)의 일부로서 일체로 몰딩될 수 있다.
플러그 하우징(120)에 터미널 서브조립체(160)를 유지하기 위해, 플러그 하우징은 개구(140) 내에 터미널 조립체와 맞물리고 터미널 조립체를 위치시키기 위한 유지 구조(retention structure)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 및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 구조는 개구(140)의 신장된 측면 에지(142)를 따라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리브(rib, 150)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리브(150)들은 측면 에지(142)의 높이를 수직으로 가로지를 수 있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리브(150)들은 개구(140) 내로 부분적으로 연장하도록 측면 에지(142)로부터 중심 웹(146)을 향해 내측으로 돌출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다른 예로서, 유지 구조(retention structure)는 장착면(124)에 배치된 개구(140)에 근접한 캔티레버 래치 아암(cantilever latch arm, 152)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개구(140)를 형성하는 짧은 단부 에지(144)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캔티레버 래치 아암(152)들은 대향하는 제1 지지 레그와 제2 지지 레그(154) 사이에서 외팔보 방식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 레그들은 개구(140)의 단부 에지(144)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고, 플러그 하우징(120)의 단부 벽(128)에 일체로 인접하다. 캔티레버 래치 아암(152)들은 지지 레그(154)들의 최상부 범위에서 브리지 스프링(156)에 의해 상향 연장되는 지지 레그(154)들에 연결될 수 있다. 브리지 스프링(bridge spring, 156)은 캔티레버 래치 아암(cantilevered latch arm, 152)의 스프링과 같은 캔티레버식 편향을 가능하게 하는 탄성 특성을 가진 리빙 힌지(living hinge)의 형태일 수 있다.
캔티레버 래치 아암(152)은 브리지 스프링(156)으로부터 개구(140)를 향하여 일반적으로 하향으로 지향될 수 있고, 단부 에지(end edge, 144)로부터 멀어지게 개구(140)로 지향되는 미늘(barb) 또는 말단 잠금 돌출부(158)를 말단 단부에 포함할 수 있다. 개구(140)에 대한 래치 아암(152)의 캔티레버 편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1 및 제2 지지 다리(154)들은 플러그 하우징(120)의 단부 벽(128)에 대해 이격된 방식으로 래치 아암(latch arm, 152)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하방향 말단 잠금 돌출부(158)는, 플러그 하우징(120)의 단부 벽(128)을 향하여 그리고 그로부터 멀어지게, 장착면(124)에 형성된 개구(140)에 대하여, 캔티레버 방식으로 편향될 수 있다. 개구(140)가 중심 웹(central web, 146)에 의해 제1 및 제2 서브 개구(148)로 분리되는 실시예에서, 한 쌍의 제1 및 제2 지지 레그(154) 사이에 지지되는 캔티레버 래치 아암(152)은, 적어도 2개의 캔티레버 래치 아암(152)이 각각의 단부 벽(128)과 연관되도록, 각각의 서브 개구(148)에 대하여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캔티레버 래치 아암(152)들 및 지지 레그(154)들은 직사각형 개구(140)의 긴 측면 에지(142)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 서브조립체(terminal subassembly, 160)는 2개의 신장된 터미널 모듈(terminal module) 또는 터미널 웨이퍼(terminal wafer, 162)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터미널 웨이퍼(162)는 일반적으로 서로 동일할 수 있고, 터미널 서브조립체(160)를 구축하기 위해 평행하고 대향하는 배열로 정렬될 때 서로 교환가능하게 매칭(matching)될 수 있는 암수 쌍(hermaphroditic pair)을 형성할 수 있다. 플러그 하우징(120)에 설치될 때, 터미널 조립체(160)는 일반적으로 장착 면(124)을 통해 개구(140)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터미널 웨이퍼(162)는 터미널 웨이퍼가 위에 위치되고 크로스 웹(cross web, 146)에 의해 분리될 수 있도록 서브 개구(148)들 중 하나에 위치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02)는 제1 행 또는 열의 인라인 터미널 리드(inline terminal lead, 164) 및 평행한 제2 행 또는 열의 인라인 터미널 레그(inline terminal leg, 166)를 가질 수 있으며, 이들은 플러그 하우징(120)에 대해 측방향으로 그리고 신장된 측벽(126)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인라인 터미널 리드(164, 166)의 평행한 행은 커넥터 조립체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통신 채널들의 밀도를 증가시킨다. 플러그 하우징(120) 내에 터미널 서브조립체(160)를 맞추기 위해, 터미널 웨이퍼(162)는 개구(140)와 일반적으로 같은 공간에 있는 측방향 웨이퍼 길이(168)를 가질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터미널 웨이퍼(162)는 비도전성 터미널 지지 몰딩(172) 내에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이를 지지하는 도전성 터미널 어레이(conductive terminal array, 170)를 포함할 수 있다. 터미널 어레이(170)는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신호 또는 데이터 터미널(174) 및, 복수의 접지 터미널(176)을 포함한다. 신호 및 접지 터미널(174, 176)들은, 터미널의 수직 연장이 공통의 어레이 평면(178)에서 정렬되도록, 나란한 구성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동 시그널링(differential signaling)을 송신하도록, 신호 터미널(174)들 인접한 접지 터미널(176)들 사이에 배치되는 터미널 쌍들로서 배치될 수 있다. 신호 터미널(174)의 각각의 쌍은 함께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차동 신호의 일부를 송신할 수 있다; 그러나 신호 및 접지 터미널의 다른 구성 또는 패턴이 고려된다. 터미널 어레이(170)는 스탬핑되고 형성된 시트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터미널 지지 몰딩(172) 안에 매립되거나 또는 끼워지는 3 차원 형상으로 평면 신호 및 접지 터미널(174, 176)들이 스탬핑(stamping)된다. 터미널 지지 몰딩(172)은 신호 터미널과 접지 터미널(174, 176)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터미널 어레이(170)를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도 14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신호 터미널(174)은 짝맞춤 단부(mating end, 180), 상기 짝맞춤 단부(180) 반대편에 있는 장착 단부(182) 및, 짝맞춤 단부와 장착 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평면형 중간 동체 부분(184)을 포함할 수 있다. 짝맞춤 단부(180)는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로부터의 대응하는 신호 터미널에 대해 미끄러져서 도전성 접촉(conductive contact)이 이루어지도록 의도되고, 따라서 대응하는 터미널과의 스터빙(stubbing)을 안내하고 방지하기 위해 각도가 있는 단부 부분(angled end portion)으로서 형성된다. 짝맞춤 단부(180)의 각도가 있는 단부 부분은 평면형 중간 동체 부분(184)에 대해 대략 30°의 각도로 오프셋될 수 있다. 기판 상의 도전성 패드에 대하여 맞닿도록, 장착 단부(182)는 표면 장착 테일(surface mount tail)로서 형성되는데, 이것은 평면 중간 동체 부분(184)에 일반적으로 직각이고 짝맞춤 단부(180)에서 각도 형성 단부 부분으로서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한다.
신장되고 일반적으로 평면인, 평면형 중간 동체 부분(184)은, 짝맞춤 단부(184)로부터 장착 단부(182)까지 순차적으로, 제1 캔티레버 세그먼트(190), 제2 짝맞춤 세그먼트(192), 제3 유지 세그먼트(194) 및 4 의 연결 세그먼트(196)를 포함한다. 짝맞춤 단부(180)에 있는 말단 단부에서 끝나는 캔티레버 세그먼트(190)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대응하는 터미널과 슬라이딩 접촉할 때 어느 정도 편향될 수 있는 방식으로, 터미널 지지 몰딩(terminal support molding, 172)에서 지지될 수 있다. 짝맞춤 세그먼트(192)는 터미널 지지 몰딩(172)에 부분적으로 내장되고, 플러그 커넥터(102)와 리셉터클 커넥터(104)의 짝맞춤 동안 대응하는 터미널과 물리적으로 그리고 도전성으로 접촉하도록 평면 짝맞춤 표면(198)을 따라 노출된다. 유지 세그먼트(retention segment, 194)는 신호 터미널(174)을 유지 및 지지하기 위해 터미널 지지 몰딩(172) 내에 완전히 매립된다. 연결 세그먼트(196)는 터미널 지지 몰딩(172)의 하부 에지와 장착 단부(182) 사이에서 연장되고, 평탄한 중간 동체 부분(184)에 대해 직각으로 장착 단부에서 표면 장착 테일을 돌출시키기 위해 대략 90도의 굽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접지 터미널(176)은 짝맞춤 단부(mating end, 200), 상기 짝맞춤 단부(200) 반대편에 있는 장착 단부(202) 및, 짝맞춤 단부와 장착 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평면형 중간 동체 부분(204)을 포함할 수 있다. 짝맞춤 단부(200)는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로부터의 대응하는 접지 터미널에 대해 미끄러져서 도전성 접촉(conductive contact)이 이루어지도록 의도되고, 따라서 대응하는 터미널과의 스터빙(stubbing)을 안내하고 방지하기 위해 각도가 있는 단부 부분(angled end portion)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짝맞춤 단부(200)를 형성하는 각도가 있는 단부 부분은 평면형 중간 동체 부분(204)에 대해 대략 30°의 각도로 오프셋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터미널 어레이(170)에 포함된 복수의 접지 터미널(176)은, 각각의 접지 터미널(176)의 짝맞춤 단부(200)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짝맞춤 단부를 연결하는 상부의 접지 브리지(grounding bridge) 또는 레일(207)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 접지 레일(207)은 짝맞춤 단부(200)들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짝맞춤 단부들과 동일한 평면에서 연장되어 짝맞춤 단부(200)들에서 접지 터미널(176)들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기판 상의 도전성 접지 패드에 대하여 맞닿도록, 접지 터미널(176)의 장착 단부(204)는 평면형 중간 동체 부분(204)에 전체적으로 직각인 표면 장착 테일(surface mounting tail)로서 형성될 수 있다.
신장되고 일반적으로 평면인, 평면형 중간 동체 부분(204)은, 짝맞춤 단부(200)로부터 장착 단부(202)까지 순차적으로, 제1 캔티레버 세그먼트(210), 제2 짝맞춤 세그먼트(212), 제3 유지 세그먼트(214) 및 제4 연결 세그먼트(216)를 포함한다. 짝맞춤 단부(200)에 있는 말단 단부에서 끝나는 캔티레버 세그먼트(210)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대응하는 터미널과 슬라이딩 접촉할 때 어느 정도 편향될 수 있는 방식으로, 터미널 지지 몰딩(terminal support molding, 172)에서 지지될 수 있다. 짝맞춤 세그먼트(212)는 터미널 지지 몰딩(172)에 부분적으로 내장되고, 플러그 커넥터(102)와 리셉터클 커넥터(104)의 짝맞춤 동안 대응하는 터미널과 물리적으로 그리고 도전성으로 접촉하도록 평면 짝맞춤 표면(218)을 따라 노출된다. 유지 세그먼트(retention segment, 214)는 접지 터미널(176)을 유지 및 지지하기 위해 터미널 지지 몰딩(172) 내에 완전히 매립된다. 연결 세그먼트(216)는 터미널 지지 몰딩(172)의 하부 에지와 장착 단부(202) 사이에서 연장되고, 평탄한 중간 동체 부분(204)에 대해 직각으로 장착 단부에서 표면 장착 테일을 돌출시키기 위해 대략 90도의 굽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접지 터미널(176)은 신호 터미널(174)과 비교하여 터미널 어레이(terminal array, 170)의 평면(178)을 따라 실질적으로 더 넓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접지 터미널(176)의 평면 중간 동체 부분(204)은 각각의 신호 터미널(174)의 대응하는 평면 중간 동체 부분(184)보다 더 넓을 수 있다. 터미널 웨이퍼(162)들의 단부에 있는 2 개의 접지 터미널(176a) 이외에, 접지 터미널(176)들은 전체 수직 길이를 따라 신호 터미널(174)보다 실질적으로 더 넓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각각의 터미널 어레이(terminal array, 170)는 스탬핑된 시트 금속(stamped sheet metal)으로 형성될 수 있고, 짝맞춤 및 장착 단부를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평탄하다. 신호 터미널(174)들의 평면 중간 동체 부분(184)들 및 접지 터미널(176)들의 평면 중간 동체 부분(204)은 터미널 어레이(170)의 공통 어레이 평면(178)과 정렬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터미널 웨이퍼(162)의 터미널 지지 몰딩(172)은 전체적으로 L-형상이고, 수직 레그(220) 및, 상기 수직 레그(220)와 직각으로 배치된 수평 레그(22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 레그(220)는 터미널 지지 몰딩(172)의 후방 표면(224)을 묘사할 수 있고, 수평 레그(222)는 터미널 웨이퍼(162)의 폭 또는 두께를 정의하는 후방 표면과 전방 표면(224, 226) 사이의 거리를 가지고 터미널 지지 몰딩(172)의 전방 표면(226)을 묘사할 수 있다. 수직 레그(220)는 3면에서 각각의 신호 터미널(174)의 짝맞춤 세그먼트(192) 및 각각의 접지 터미널(176)의 짝맞춤 세그먼트(202)의 후방에 인접하게 연장되고 부분적으로 그것들을 둘러쌈으로써, 신호 및 접지 터미널(174, 176)들은 개별의 짝맞춤 표면(198, 218)을 따라 노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각각의 신호 터미널(174)의 유지 세그먼트(194) 및 각각의 접지 터미널(176)의 유지 세그먼트(214)는 터미널 지지 몰딩(172)의 수평 레그(222)에 둘러싸이고 완전히 매립됨으로써, 신호 터미널(174)들 및 접지 터미널(176)들은 터미널 웨이퍼(162)의 일부로서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터미널 지지 몰딩(172)은 적절한 제조 공정에 의해, 스탬핑되고 형성된 터미널 어레이(170) 주위에 몰딩되거나 오버몰딩된 비도전성 열가소성 인서트(non-conductive thermoplastic insert)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터미널 지지 몰딩(172)은 터미널 어레이(170)와 분리되어 성형될 수 있고, 신호 및 접지 터미널(174, 176)들은 터미널 지지 몰딩으로 조립될 수 있다.
터미널 서브조립체(160)는 플러그 하우징(120) 상의 대응하는 유지 특징부와 협력되게 상호 작용하도록 보유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 도 13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 웨이퍼(162)들은 터미널 웨이퍼의 길이에 의해 분리된 제1 웨이퍼 단부(230)와 제2 웨이퍼 단부(232)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으며, 이들은 터미널 지지 몰딩(172)의 대향하는 단부 표면(234)들에 의해 묘사된다. 플러그 하우징의 캔티레버 래치 아암(cantilevered latch arm)과 맞물리도록, 제1 래치 리세스(latch recess, 236) 및 제2 래치 리세스(238)가 수평 레그(222)에 인접한 터미널 지지 몰딩(172)의 단부 표면(234) 안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래치 리세스(236) 및 제2 래치 리세스(238)는 터미널 지지 몰딩(172)의 후방 표면(224)과 전방 표면(226)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어 이들이 터미널 웨이퍼(162)의 폭을 가로지른다. 제1 래치 리세스(latch recess, 236)는 터미널 지지 몰딩(172)의 단부 표면(234) 내로 연장될 수 있고 삼각형 홈 또는 V-채널로 형상화될 수 있다. 제2 래치 리세스(238)는 제1 래치 리세스(236) 아래에 위치될 수 있고, 단부 표면(234)들의 하부 코너에 형성될 수 있고, 모따기(chamfer)로서 형상화일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리세스(236) 및 제2 리세스(238)는 플러그 하우징(120) 상의 캔티레버 래치 아암(152)과 맞물릴 때 멈춤쇠(detents)로서 작용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 웨이퍼(162)들은 암수성(hermaphroditic)일 수 있고, 터미널 서브조립체(160)를 조립하기 위해 한 쌍으로 함께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암수 구성을 제공하기 위해, 터미널 지지 몰딩(172)은 서로 동일할 수 있고, 수직 레그(220)의 후방 표면(224)을 따라 형성된 상보적인 잠금 구조(240)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구조(240)는 수평 레그(222)의 반대 방향으로 후방 표면(224)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포스트(post, 24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포스트(242)는 터미널 지지 몰딩(172)의 길이를 따라 각각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된다. 잠금 구조(240)는 또한 수직 레그(220)의 후방 표면(224)으로 배치된 복수의 리세스(recess, 244)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것은 포스트(post, 240)와 형상에 있어서 상보적이고, 터미널 지지 몰딩(172)의 길이를 따라 측방향으로 이격된다. 포스트(242)의 개수 및 구성은 리세스(244)의 개수 및 구성에 대응할 수 있다. 2개의 동일한 터미널 웨이퍼(162)가 서로 인접한 개별의 수직 레그(220)의 후면(224)과 대향하는 평행 관계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때, 복수의 포스트(242)는 각각의 복수의 리세스(244)에 수용될 수 있다. 한 쌍의 터미널 웨이퍼(162)가 터미널 서브조립체(160)를 형성하기 위해 인터록킹(interlocking)되거나 또는 압입(press fit)되는 실시예에서, 크러쉬 리브(crush rib, 246)는 포스트(240) 각각의 표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포스트(242)가 대응하는 리세스(244) 내로 삽입될 때, 크러쉬 리브(246)는 터미널 서브조립체(160)의 한 쌍의 터미널 웨이퍼(162) 사이에 안전한 맞물림 끼워맞춤(secure interlocking)을 형성하는 리세스의 내부 표면에 의해 접촉 및 변위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개시의 양상에서, 전기 도전성 접지 바아(ground bar, 250)는 터미널 어레이(170)의 접지 터미널(176)과 기계적으로 및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접지 바아(250)는 평탄하고 전체적으로 평면일 수 있고, 터미널 어레이(170)의 측방향 길이와 전체적으로 함께 연장되는, 신장된 공통 스파인(spine, 252)을 포함할 수 있다. 공통 스파인(252)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은 공통 스파인(252)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는 복수의 갈래형 블레이드(prong-like blades, 254)들일 수 있다. 블레이드들의 팁(256)들은 그들의 말단 단부들에서 테이퍼지거나 뾰족해질 수 있다. 블레이드(254)들은 평탄하고, 공통 스파인(common spine, 252)의 상부 및 하부 표면과 동일 평면인 상부 및 하부 표면으로 더 두꺼운 것보다 측방향으로 더 넓을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블레이드는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공통 스파인(252) 및 복수의 블레이드(254)는 공통 블레이드 평면(258)에 정렬될 수 있다. 조립된 접지 바아(ground bar, 250)가 터미널 웨이퍼(162)에 조립될 때, 블레이드 평면(258)은 신호 및 접지 터미널(174, 176)의 공통 어레이 평면(178)에 직각이다. 접지 바아(250)는 도전성 금속 재료를 스탬핑(stamping)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접지 바아(250)와 기계적으로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터미널 어레이(170)의 접지 터미널(176)은 각각의 접지 터미널의 평면형 중간 본체(204)에 배치된 구멍(260)을 포함할 수 있다. 구멍(260)들은 공통 어레이 평면(178)에 직각인 평면 중간 동체 부분(204)을 통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연장될 수 있다. 구멍(260)들은 터미널 지지 몰딩(172)의 수평 레그(222) 위에 수직으로 평면 중간 동체 부분(204)에 배치될 수 있어서, 구멍(260)들이 접지 터미널(176)의 노출된 평면 짝맞춤 표면(218)을 따라 노출된다. 블레이드(254)들은 접지 터미널(176)의 평면 중간 동체 부분(204)을 통해 연장하기에 충분한 거리로 공통 스파인(common spine, 252)로부터 돌출할 수 있고, 터미널 어레이(170)에 인접한 터미널 지지 몰딩(172)의 수직 레그(220) 안에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구멍(260)은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특정 실시예에서, 구멍(260)들은 신장된 슬롯(elongated slot)을 형성하기 위해 계란형(oval) 또는 타원형일 수 있다. 따라서, 구멍(260)들은 계란형 또는 타원형 형상의 치수를 가지고 정렬된 장축(262)을 가질 수 있다. 구멍(260)의 폭 및 두께는 블레이드(254)의 폭 및 두께와 대략 동일할 수 있어서, 구멍 및 블레이드는 치수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상보적이다.
그러나, 일 실시예에서, 접지 터미널(176)의 구멍(260)과 접지 바아(250)의 블레이드(254)들은 정렬에 있어서 상보적이지 않을 수 있고, 블레이드 평면(258)에 대하여 블레이드들을 왜곡시키도록 구성된다. 구멍(260)들의 장축(262)은 접지 터미널(276)의 평면 중간 동체 부분(204)의 수직 연장에 대하여 직각이 아니고 평행하지 않은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구멍(260)은 도 17 및 도 1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 어레이(170)의 측방향 연장 및 수직 연장에 대하여 비스듬하거나 기울어진 것처럼 보인다. 더욱이, 구멍(260)들의 장축(262)들의 오프셋 각도는 터미널 어레이(170) 내에서 인접한 접지 터미널(176)들 사이에서 교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구멍(260)들의 장축(262)들이 하나의 접지 터미널(176)의 수직 연장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45° 기울어지거나 오프셋되면, 인접한 접지 터미널(176)의 구멍(260)들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45° 기울어지거나 오프셋될 수 있다. 구멍(260)들의 장축(262)들의 오프셋 각도를 교번시키는 것의 가능한 장점은, 블레이드(254)의 비틀림 및 왜곡에 의해 야기되는 터미널 어레이(170)와 접지 바아(250) 사이에 가해지는 비틀림력의 균형을 맞출 수 있다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블레이드와 구멍들 사이의 비-상보적 정렬(non-complementary alignment)은, 아래에 설명된 오프셋 레그(offset legs)와 같은 다른 구성들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원형, 정사각형 및/또는 다이아몬드와 같은 구멍들 및 블레이드의 비-상보적 형상 또는 윤곽에 의해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접지 터미널들을 통해 직각이 아닌 방향으로 구멍들을 배치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접지 바아(250)와 터미널 어레이(170)를 기계적으로 및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기 위해, 접지 바아(250) 및 터미널 웨이퍼(162)는 복수의 블레이드(250)가 복수의 구멍(260)과 정렬되도록 위치된다. 접지 바아(250)는 터미널 어레이(170)를 향하여 직각으로 지향됨으로써, 돌출 블레이드(254)들은 구멍(260)들에 진입한다. 정렬을 돕기 위해, 터미널 어레이(170)의 전방으로 연장되고 공통 어레이 평면(178)에 직각인 터미널 지지 몰딩(172)의 수평 레그(222)는, 접지 바아(250)의 블레이드(254)들을 지지하는 상부 선반 표면(266)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블레이드(254)를 계란형 구멍(260)에 삽입할 때, 각도가 형성된 장축(262)은 블레이드(254)가 구멍의 경사진 내부 주위와 접촉하게 하여 블레이드 평면(258)에 대해 블레이드(254)를 회전시키거나 비틀게 할 것이다. 접지 바아(250)의 재료 및 두께는 블레이드(254)의 왜곡을 용이하게 하거나 가능하게 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개별의 구멍(260)에서 블레이드(254)의 회전에 의해 야기되는 비틀림의 힘은, 접지 바아(250)와 각각의 접지 터미널(176) 사이에 우수한 기계적 및 전기적 접촉을 제공하여, 접지 바아와 접지 터미널이 우수한 도전성을 유지하면서 분리될 가능성이 적어지게 한다. 접지 바아(250)를 통해 복수의 접지 터미널(176) 사이에 전기 전도를 설정하는 것에서 가능한 장점은, 접지 터미널의 장착 단부와 짝맞춤 단부들 사이의 전기 경로가 단축되어, 접지 회로의 공진 주파수에 유리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다. 일 실시예에서, 접착제는 터미널 어레이(170) 및 접지 바아(250)를 고정하는 것을 돕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0 에 도시된 개시의 양상에서, 플러그 하우징(120) 및 터미널 서브조립체(160)는, 플러그 커넥터(102)를 기판에 운송(shipping) 및 장착하기 위한 제1 작동 위치와, 플러그 커넥터가 기판에 장착되면 이루어지는 제2 작동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 1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작동 위치에서, 플러그 하우징(120) 및 터미널 서브조립체(160)는, 신호 터미널(174)의 장착 단부(182) 및 접지 터미널(176)의 장착 단부(202)가 플러그 하우징(120)의 장착면(124)과 관련된 장착 평면(132) 아래로 연장되도록, 상대적으로 위치된다. 제1 작동 위치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표면 장착 테일(surface mount tail)일 수 있는 개별의 신호 터미널(174) 및 접지 터미널(176)의 장착 단부(182, 202)들은 장착 면(124)과 관련된 장착 평면(132) 아래에 이격된 평면에 정렬된다. 도 2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작동 위치에서, 스탠드오프(standoff, 130)가 기판(106)과 접촉하고 장착 단부(182, 202)의 평면이 장착 면(124)과 관련된 장착 평면(134)과 동일 평면에 있도록, 플러그 하우징(120) 및 터미널 서브조립체(160)는 서로에 대해 움직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오프(130)를 분리하는 갭(134)은 기판(106) 위에 존재하게 유지됨으로써, 접착제는 갭을 통해 지향되어 플러그 커넥터(102)를 기판에 접착되게 고정할 수 있다. 제1 작동 위치에서 제2 작동 위치로 움직이도록 플러그 커넥터(102)를 구성하는 것의 가능한 장점은, 제1 작동 위치가 기판에 대한 장착 단부(182, 202)의 솔더링(soldering)을 용이하게 하는 반면, 제2 작동 위치는 플러그 커넥터(102)의 수직 프로파일을 감소시킨다는 점이다.
제1 작동 위치와 제2 작동 위치 사이의 움직임 또는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플러그 하우징(120) 및 터미널 서브조립체(160) 상의 유지 특징부들은 선택적으로 맞물리고 해제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02)를 초기에 조립하기 위해, 맞물린 암수의 제1 및 제2 터미널 웨이퍼(162)로부터 조립될 수 있는 터미널 서브조립체(160)는 플러그 하우징(120) 위에 위치하되, 제1 및 제2 터미널 웨이퍼들은 서브 개구(148)들과 정렬된다. 터미널 서브조립체(160)는 개구(140)에 수용되고, 터미널 웨이퍼(162)는 크로스-웹(cross web, 146)에 의해 분리된 서브 개구(148)에 수용된다. 터미널 지지 몰딩(172)의 수평 레그(222)는, 개구(140) 주위에 배치된 리브(150)와 터미널 웨이퍼(162)의 마찰 맞춤(friction fit)을 유지하고 가능하게는 형성하기 위해, 서브 개구(148)의 폭에 걸쳐 있을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송(shipping) 및 솔더링 중에 첫 번째 작동 위치를 달성하고 유지하도록, 터미널 서브조립체(160)는 캔티레버 래치 아암(152)이 플러그 하우징의 단부 벽(128)을 향해 편향되도록 플러그 하우징(120)에 대해 아래로 움직인다. 하부 모따기(lower chamfered)된 제2 래칭 리세스(238)는 래칭 돌출부(latching protrusion, 158)를 지나서 미끄러질 수 있고 편향될 수 있는데, 이것은 캔티레버 아암(152)이 래칭 돌출부(latching protrusion)를 V-채널형 제1 래칭 리세스(latching recess, 236) 내로 강제할 때까지, 터미널 지지 몰딩(172)의 단부 표면(234)에 대해 수직으로 미끄러진다. 제1 래칭 리세스(236)는 제1 작동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캔티레버 래치 아암(152)의 래칭 돌출부(158)를 잡는 멈춤쇠(detent)로서 기능한다. 개별의 신호 터미널(174) 및 접지 터미널(176)의 장착 단부(182, 202)들의 평면은 이격되고, 플러그 하우징(120)의 장착면(124)과 연관된 장착 평면(132) 아래에 있다.
하우징 플러그(120) 및 터미널 서브조립체(160)를 도 20 및 도 2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 작동 위치로 움직이도록, 플러그 하우징(120)은 터미널 서브조립체(160)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움직임으로써, 캔티레버 래치 아암(152)은 플러그 하우징의 단부 벽(128)을 향하여 편향된다. V-채널형 제1 래치 리세스(latch recess, 236)는 래칭 돌출부(158)를 변위시키고 해제시키는데, 이것은 캔티레버 래치 아암(152)이 래칭 돌출부(latching protrusion)를 하부의 제2 래치 리세스(238) 내로 강제할 때까지, 터미널 지지 몰딩(172)의 단부 표면(234)에 대해 수직으로 미끄러진다. 개별의 신호 터미널(174) 및 접지 터미널(176)의 장착 단부(184, 204)들의 평면은 이제 플러그 하우징(120)의 장착면(124)과 연관된 장착 평면(132)과 동일 평면이다. 스탠드오프(130)가 있는 실시예에서, 접착제는 플러그 커넥터(102)를 기판(106)에 접착식으로 고정하기 위해 스탠드오프(standoffs) 사이에 그려진 갭(134)을 통해 지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캔티레버 래치 아암(152)과 제1 및 제2 래칭 리세스(236, 238)의 위치는 터미널 서브조립체(160) 상의 캔티레버 래치 아암 및 플러그 하우징(120)에 배치된 리세스를 가지고 반전될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04)는 몰딩된 열가소성 물질과 같은 비도전성 재료로 만들어진 리셉터클 하우징(receptacle housing, 300) 및 복수의 전기 도전성 케이블(108)과 도전성 연결을 만드는 터미널 서브조립체(400)를 포함한다. 비도전성 특성 때문에 절연체 하우징으로도 지칭될 수도 있는 리셉터클 하우징(300)은, 몰딩된 플라스틱과 같은 비도전성 재료로 제조된 상부 하우징 구성요소(304) 및 하부 하우징 구성요소(30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 구성요소(304)는 하부 짝맞춤 면(322) 및, 상기 짝맞춤 면(322)으로부터 이격되고 평행한 조립 면(324)을 가진다. 하부 하우징(302)은 일반적으로 형상이 직사각형이고, 직사각형 형상을 그리기 위해, 측벽(316)에 직교하는 2개의 평행하고 짧은 단부 벽(328) 및 2 개의 평행하고 긴 측벽(326)을 구비한다. 하부 하우징(302)의 측벽(326) 및 단부벽(328)은 서로 일체이며 터미널 서브조립체(400)를 수용하는 인클로저(enclosure) 또는 쉘(shell)을 나타낼 수 있다. 측벽(326) 및 단부 벽(328)은 단차 구성을 가질 수 있어서, 짝맞춤 면(322)은 조립 면(324)에 대해 감소된 윤곽을 가지고, 플러그 커넥터의 대응하는 짝맞춤 면에 맞닿을 수 있는 어깨부(329)를 제공한다.
도 25 내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측벽(326)은 조립 면(334)으로부터 하부 하우징 구성요소(302) 내에 배치된 중간 플랫폼(330)을 향해 하향 연장되는 케이블 개구(332)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 플랫폼(330)은 짝맞춤 면(322)과 장착 면(324) 사이에 위치되고 전체적으로 그들에 대하여 평행하며, 신장된 측벽(326)들과 짧은 단부 벽(328)들 사이에서 연장된다. 중간 플랫폼(330)은 복수의 케이블(108)과 터미널 서브조립체(400)를 서로에 대해 조직하고 배치하기 위한 구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미널 서브조립체(400)를 수용하고 설치하기 위해, 중간 플랫폼(330)은 상기 중간 플랫폼을 통한 접근을 제공하는 제1 웨이퍼 슬롯(334) 및 제2 웨이퍼 슬롯(336)을 내부에 배치할 수 있다. 제1 웨이퍼 슬롯(334) 및 제2 웨이퍼 슬롯(336)은 신장된 측벽(326)에 평행하고, 이격된 단부 벽(328)들 사이에서 하부 하우징 구성요소(302)의 측방향 길이를 가로지른다. 제1 웨이퍼 슬롯(334)은 전방 측벽(326)에 인접할 수 있고 제2 웨이퍼 슬롯(336)은 후방 측벽(326)에 인접할 수 있다. 중간 플랫폼(330)은 또한 그 안에 배치된 복수의 리세스(338)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은 후방 측벽(326)에 배치된 케이블 개구(332)에 평행하고 그에 근접하다. 케이블 개구(332)는 후방 측벽(326)을 측방향으로 횡단하고 케이블(108)이 리셉터클 커넥터(104) 내로 통과하는 것을 허용한다. 상부 하우징 구성요소(304)를 정렬 및 조립하기 위해, 하부 하우징 구성요소(302)는 전방 측벽(326)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정렬 돌출부(339)를 가질 수 있으며, 이것은 상부 하우징 구성요소(304)에 배치된 대응하는 리세스에 수용될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 구성요소(304)는 하부 하우징 구성요소(302)와의 조립을 위해 구성되는데, 마찬가지로, 서로 직각으로 배치된 평행하고 신장된 측벽(346)들 및 평행하고 짧은 단부벽(348)들에 의해 결합된 평행하고 대응하는 천장(344) 및 조립면(342)을 포함하는 직사각형이 이루어진다. 복수의 케이블(108)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해, 측방향 치수에서 하부 하우징 구성요소(302)의 케이블 개구(332)에 대응하는 후방 측벽(346)을 통해 케이블 개구(350)가 배치된다. 상부 및 하부 하우징 구성요소(302, 304)가 함께 조립될 때 리셉터클 하우징(300)의 내부를 덮도록, 천장(344)은 직각으로 배치된 측벽(326)과 단부벽(328)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천장(344)의 외부에 형성되는 리세스(352)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모양이고, 측벽(326)과 단부 벽(328)의 직교하는 윤곽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슬롯(354)들은 천장(344)을 통해 단부 벽(328) 내로 배치된다. 리세스(352) 및 슬롯(354)은, 하부 하우징 구성요소(302) 및 상부 하우징 구성요소(304)를 조립하는 동안, 천장(344)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는 압력 플레이트(356)를 수용할 수 있다. 압력 플레이트(356)는 천장(344)의 리세스(352) 내에 맞는 치수에 대응하고, 리셉터클 커넥터(104)의 조립중에 천장(344)에 가해지는 힘을 분배할 수 있다. 압력 플레이트(356)를 상부 하우징 구성요소(304)에 유지하기 위해, 압력 플레이트(356)는 이격된 잠금 아암(358)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은 플레이트의 평면 동체에 직각이고 플레이트의 평면 동체로부터 하강하며, 천장(344) 내부에 배치된 슬롯(354)에 수용되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도 25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케이블(108)은 전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신호 도전체 및, 전기적 접지(electrical ground)로의 복귀를 제공하기 위한 접지 도전체(ground conductor)를 포함할 수 있고, 전자기 간섭을 감소시키고 복수의 케이블 내의 다른 케이블로부터 신호 도전체를 격리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케이블은 구리 배선과 같은 전기 도전성 재료로 만들어진 2개의 신호 도전체(360)가 케이블(108)의 길이로 연장되고 절연체(362)에 의해 둘러싸인 쌍축 케이블(twinax cable)일 수 있다. 2개의 신호 도전체(360)는 차동 신호를 협동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접지 도전체(364)는 또한 케이블(108)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고 금속 포일(metal foil)과 같은 전기 도전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복수의 케이블(108)은 복수의 상부 제1 케이블(366) 및, 상기 복수의 제1 케이블 아래에서 연장하는 복수의 하부 제2 케이블(368)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케이블(108)은 상이한 구성을 가질 수 있거나 리본 케이블과 같은 다른 도전체로 대체될 수 있다.
복수의 케이블(108)을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 104)로 배치하고 지향시키기 위해, 리셉터클 하우징(receptacle housing, 300)은 케이블 정렬 조립체(370)와 연관될 수 있다. 케이블 정렬 조립체는 몰딩된 써모플라스틱(molded thermoplastic)과 같은 비도전성 재료의 신장된 구조일 수 있는, 상부 제1 케이블 정렬 부재(372) 및 하부 제2 케이블 정렬 부재(37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블 정렬 부재(372) 및 제2 케이블 정렬 부재(374)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이고, 제1 부재 단부(376)와 제2 부재 단부(378)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측방향 치수에 있어서 서로 동일 연장(coextensive)된다. 제1 및 제2 케이블 정렬 부재(372, 374)를 통해 배치된 복수의 케이블 보어(cable bore, 380)는 복수의 케이블(108)의 개별 케이블이 통과될 수 있는 치수를 가진다. 상부 제1 케이블 정렬 부재(372)는 복수의 제1 케이블(366)을 수용할 수 있고, 하부 제2 케이블 정렬 부재(374)는 복수의 제2 케이블(368)을 수용할 수 있다. 케이블 정렬 조립체(370)를 결합하고 형성하기 위해, 제1 케이블 정렬 부재(372) 및 제2 케이블 정렬 부재(374)는 케이블 정렬 부재(372, 376)의 단부들에 배치된, 협동하는 돌출부(382) 및 리세스(384)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정렬 조립체(370)는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 104)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측방향 행(lateral row)으로써, 복수의 제1 및 제2 케이블(366, 368)들을 정렬하고 유지할 수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300)에 설치될 때, 케이블 정렬 조립체(370)는 개별의 하부 하우징 구성요소(300) 및 상부 하우징 구성요소(304)의 케이블 개구(332, 350)에 의해 형성된 개구에 위치될 수 있다. 케이블 개구(332, 350)에 케이블 정렬 조립체(370)를 유지하기 위해, 제1 및 제2 케이블 정렬 부재(372, 374)들은 이들의 하부 표면 및 상부 표면을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정렬 돌출부(386)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하부 하우징 구성 요소(320)의 중간 플랫폼(330)에 배치된 리세스(338)에 수용될 수 있고 또한 상부 하우징 구성 요소(322) 안으로 배치될 수 있는 유사한 리세스에 수용될 수 있다.
도 25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 서브조립체(400)는 제1 터미널 웨이퍼(402) 및 제2 터미널 웨이퍼(40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미널 웨이퍼(402)는 하부 하우징 구성 요소(302)의 전방 측벽(326)에 인접한 제1 웨이퍼 슬롯(334)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2 터미널 웨이퍼(404)는 후방 측벽(326)에 인접한 제2 웨이퍼 슬롯(336)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터미널 웨이퍼(402, 404)는 하부 하우징 구성요소(302)의 이격된 단부 벽(328)들 사이에서 개별의 웨이퍼 슬롯(334, 336)을 가로지르는 치수를 가진 웨이퍼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1 케이블(366)이 복수의 제2 케이블(368)에 걸쳐서 연장될 수 있도록, 제1 터미널 웨이퍼(402)는 제2 터미널 웨이퍼(404)와 연관된 제2 웨이퍼 높이(408)보다 수직으로 더 높거나 더 큰 제1 웨이퍼 높이(406)를 가진다.
도 29 내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큰 제1 터미널 웨이퍼(402)는 도전성 터미널 어레이(410)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몰딩된 열가소성 물질과 같은 비도전성 재료로 만들어진 터미널 지지 몰딩(412) 내에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터미널 지지 몰딩에 의해 지지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터미널 어레이(410)는 데이터 신호를 전도하기 위한 복수의 신호 터미널(414) 및, 공통 어레이 평면(418)에서 나란히 정렬되고 서로 인접하는 교번의 구성(alternating arrangement)로 배치된 복수의 접지 터미널(416)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2개의 신호 터미널(414)는 차동 신호 쌍(differential signal pair)으로서 함께 전자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접지 터미널(416)들은 이들을 격리시키도록 차동 쌍의 양쪽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신호 및 접지 터미널의 상이한 구성이 고려된다. 터미널 어레이(410)의 접지 터미널(416) 및 신호 터미널(414)들은 도전성 시트 금속(sheet metal)의 평면 블랭크를 스탬핑 및 성형함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신호 터미널(414)은 짝맞춤 단부(420), 상기 짝맞춤 단부(420) 반대편의 터미테이션 단부(422) 및, 터미네이션 단부와 짝맞춤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고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평면형 중간 동체 부분(424)을 포함할 수 있다. 짝맞춤 단부(420)는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로부터의 대응하는 신호 터미널에 대해 미끄러져서 도전성 접촉(conductive contact)이 이루어지도록 의도되고, 따라서 대응하는 터미널과의 스터빙(stubbing)을 안내하고 방지하기 위해 각도가 있는 단부 부분(angled end portion)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짝맞춤 단부(420)의 각도가 있는 단부 부분은 평면형 중간 동체 부분(424)에 대해 대략 30°의 각도로 오프셋될 수 있다. 터미네이션 단부(422) 및 평면 중간 동체 부분(424)은 공통 어레이 평면(418)에서 정렬될 수 있다. 공통 어레이 평면(418)에 직각인 터미네이션 단부(422)에 도전체 터미네이션 구멍(428)이 배치될 수 있다.
신장되고 전체적으로 평탄한, 평면형 중간 동체 부분(424)은, 터미네이션 단부(422)로부터 인접하게 연장되는 제1 유지 세그먼트(430) 및, 짝맞춤 단부(420)에 인접하게 연장되는 제2 캔티레버 세그먼트(432)를 포함한다. 유지 세그먼트(430)는 제1 터미널 웨이퍼(402) 내에 신호 터미널(414)을 고정되게 유지하기 위해 터미널 지지 몰딩(terminal support molding 412) 내에 매립될 수 있다. 캔티레버 세그먼트(432)는 플러그 커넥터의 대응하는 신호 터미널과의 미끄럼 접촉을 하기 위해 그것의 후면에 짝맞춤 표면(434)을 포함한다. 캔티레버 세그먼트(432)는 짝맞춤 신호 터미널과의 도전성 접촉을 강제하고 유지하기 위해 공통 어레이 평면(418)에 대하여 스프링형 편향(spring-like deflection)을 나타낼 수 있다.
접지 터미널(416)은 짝맞춤 단부(440), 상기 짝맞춤 단부(440) 반대편의 터미네이션 단부(442) 및, 짝맞춤 단부(440)와 터미네이션 단부(442) 사이에서 연장되고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평면형 중간 동체 부분(444)을 포함할 수 있다. 짝맞춤 단부(440)는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로부터의 대응하는 접지 터미널에 대해 미끄러져서 도전성 접촉(conductive contact)이 이루어지도록 의도되고, 따라서 대응하는 터미널과의 스터빙(stubbing)을 안내하고 방지하기 위해 각도가 있는 단부 부분(angled end portion)으로서 형성된다. 짝맞춤 단부(440)의 각도가 있는 단부 부분은 평면형 중간 동체 부분(444)에 대해 대략 30°의 각도로 오프셋될 수 있다. 신장되고 전체적으로 평면인 평면 중간 동체 부분(444)은 신호 터미널(414)의 대응하는 평면 중간 동체 부분(424)보다 더 넓다. 평면형 중간 동체 부분(444)은, 터미네이션 단부(442)에 인접하고 그로부터 연장되는 제1 유지 세그먼트(450) 및, 짝맞춤 단부(440)에 인접하고 그로부터 연장되는 제2 캔티레버 세그먼트(452)를 포함한다. 유지 세그먼트(450)는 제1 터미널 웨이퍼(402) 내에 접지 터미널(416)을 고정되게 유지하기 위해 터미널 지지 몰딩(terminal support molding 412) 내에 매립될 수 있다. 캔티레버 세그먼트(452)는 플러그 커넥터의 대응하는 접지 터미널과 미끄럼 접촉을 하기 위해 그것의 후면에 짝맞춤 표면(454)을 포함할 수 있다. 캔티레버 세그먼트(452)는 짝맞춤 접지 터미널에 대해 도전성 접촉을 강제하고 유지하기 위해 공통 어레이 평면(418)에 대해 스프링형 편향(spring like deflection)을 나타낼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터미널 어레이(410)의 중간 내의 접지 터미널(416)의 짝맞춤 단부(440)는 말단부에서 분기되고, 도전성 접지 브리지(456)에 접합된다. 그러나, 터미널 어레이(410)의 양 단부에 있는 접지 터미널(416)들은 분기되지 않고, 터미널 어레이(410)의 중간 부분을 향하여 지향된 단일의 도전성 접지 브리지(456)에만 접합된다. 각각의 도전성 접지 브리지(456)는 2개의 접지 터미널(416)를 상호 연결하기 위해 2개의 인접한, 차동 쌍을 이루는(differentially paired) 신호 터미널(414)들의 짝맞춤 단부(420)들 아래에서 그것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도전성 접지 브리지(456)는 짝맞춤 단부(440)들의 연장부로서 형성되고, 공통 어레이 평면(418)에 대해 각도를 이루어서, 플러그 커넥터의 대응 접지 터미널과의 미끄럼 접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전성 접지 브리지(456)들은 차동 결합된(differentially coupled) 신호 터미널(414)들의 각각의 쌍을 전기적으로 격리시키는 기능을 한다.
접지 터미널(416)의 터미네이션 단부(442)는 모든 접지 터미널(416)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도록 터미널 어레이(410)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도전성 접지 레일(457)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도전성 접지 레일(457)들은 신호 터미널(414)들 차동 결합 쌍(differentially coupled pair )의 터미네이션 단부(442)에 걸쳐 그리고 그것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도전성 접지 브리지(456) 및 도전성 접지 레일(457)에 의해 상호 연결된 접지 터미널(416)은 차동 결합된 신호 터미널(414)의 개별의 쌍 주위로 연장되고 이들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공통 어레이 평면(418)에 직각인 도전성 접지 레일(457) 내로 배치되는 것은 도전체 터미네이션 구멍(conductor termination hole, 458)일 수 있다. 접지 터미널(416)의 도전체 터미네이션 구멍(458)은 신호 터미널(414)의 개별의 차동 결합 쌍의 도전체 터미네이션 구멍(428)들 사이와 위에 위치된다. 차동 쌍을 이루는 신호 터미널(414)의 도전체 터미네이션 구멍(428)과 관련된 접지 터미널(416)의 도전체 터미네이션 구멍(458)은 삼각형 윤곽을 그린다.
도 29 내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 지지 몰딩(412)은 터미널 어레이(410) 둘레로 연장되어 터미널 어레이(410)를 지지할 수 있고, 제1 터미널 웨이퍼(402)의 길이와 동일 연장선상에 있다. 터미널 지지 몰딩(412)은 전방 표면(460) 및 대향하는 후방 표면(462)을 포함한다. 신호 터미널(414) 및 접지 터미널(416)은 터미널 지지 몰딩(412)의 후방 표면(462)과 전방 표면(4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되, 신호의 유지 세그먼트(retention segment)와 접지 터미널(414, 416)들은 터미널 지지 몰딩(412)의 재료에 매립된다. 터미널 지지 몰딩(412)은 또한 하부 표면(464)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하부 표면으로부터 신호 터미널(414)의 짝맞춤 단부(420)들과 접지 터미널(416)의 짝맞춤 단부(440)들이 연장된다. 따라서 신호 터미널(414)의 짝맞춤 표면(434) 및 접지 터미널(416)의 짝맞춤 표면(454)은 터미널 지지 몰딩(412)의 하부 표면(464) 아래에 노출된다. 터미널 지지 몰딩(412)은 제1 터미널 웨이퍼(402)의 웨이퍼 길이를 그리는, 대향하는 웨이퍼 단부(466, 468)를 포함할 수 있다. 터미널 지지 몰딩(412)은 몰딩된 열가소성 수지와 같은 비도전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인서트 몰딩 또는 오버몰딩 제조 프로세스에 의해 터미널 어레이(410)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6 내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상부 제1 케이블(366)의 케이블(108)은 제1 터미널 웨이퍼(402)에 의해 수용되고 그 안에서 끝날 수 있다. 특히, 절연체(362)는 신호 도전체(360) 및 접지 도전체(364)를 노출시키기 위해 복수의 제1 케이블(366)의 단부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신호 도전체(360)들은 신호 터미널(414)의 도전체 터미네이션 구멍(428)에 삽입될 수 있고, 접지 도전체(364)들은 접지 터미널(416)의 도전체 터미네이션 구멍(458)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신호 도전체(360)들의 단부들 및 접지 도전체(366)들의 단부들은 도전체 터미네이션 구멍(428, 458)과 유사한 삼각형 구성으로 배치된다. 신호 도전체(360)들의 끝과 접지 도전체(364)들의 끝은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케이블(366)과 터미널 어레이(410) 사이의 전기 도전성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레이저 용접에 의해 개별의 도전체 터미네이션 구멍(428, 454)에 접합될 수 있다. 접지 터미널(416)은 접지 레일(457)에 의해 터미네이션 단부(442)에서 상호 연결되고 그리고 접지 브리지(456)에 의해 짝맞춤 단부(440)에서 상호 연결되기 때문에, 접지 터미널은 마찬가지로 도전성으로 상호 연결되고 공통 전기 접지를 확립한다.
도 33 내지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짧은 제2 터미널 웨이퍼(404)는 도전성 터미널 어레이(510)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몰딩된 열가소성 물질과 같은 비도전성 재료로 만들어진 터미널 지지 몰딩(512) 내에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터미널 지지 몰딩에 의해 지지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터미널 어레이(510)는 데이터 신호를 전도(conducting)시키기 위한 복수의 신호 터미널(514) 및, 서로 인접하는 교번의 구성으로 배치되고 어레이 평면(518)에서 나란한 구성으로 정렬된 복수의 접지 터미널(516)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2개의 신호 터미널(514)는 차동 신호 쌍(differential signal pair)으로서 함께 전자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접지 터미널(516)들은 이들을 격리시키도록 차동 쌍(differential pair)의 양쪽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신호 및 접지 터미널의 상이한 구성이 고려된다. 터미널 어레이(510)의 접지 터미널(516) 및 신호 터미널(514)들은 도전성 시트 금속(sheet metal)의 평면 블랭크를 스탬핑 및 성형함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다.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신호 터미널(514)은 짝맞춤 단부(520), 짝맞춤 단부(520)에 대향하는 터미네이션 단부(522) 및, 짝맞춤 단부(520)와 터미네이션 단부(522) 사이에서 연장되고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평면 중간 동체 부분(524)을 포함할 수 있다. 짝맞춤 단부(520)는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로부터의 대응하는 신호 터미널에 대해 미끄러져서 도전성 접촉(conductive contact)이 이루어지도록 의도되고, 따라서 대응하는 터미널과의 스터빙(stubbing)을 안내하고 방지하기 위해 각도가 있는 단부 부분(angled end portion)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짝맞춤 단부(520)의 각도가 있는 단부 부분은 평면형 중간 동체 부분(524)에 대해 대략 30°의 각도로 오프셋될 수 있다. 터미네이션 단부(522) 및 평면 중간 동체 부분(524)은 공통 어레이 평면(518)에서 정렬될 수 있다. 공통 어레이 평면(518)에 직각인 터미네이션 단부(522)에 도전성 터미네이션 구멍(528)들이 배치될 수 있다.
신장되고 전체적으로 평탄한, 평면형 중간 동체 부분(524)은, 터미네이션 단부(522)로부터 인접하게 연장되는 제1 유지 세그먼트(530) 및, 짝맞춤 단부(500)에 인접하게 연장되는 제2 캔티레버 세그먼트(532)를 포함한다. 유지 세그먼트(530)는 제2 터미널 웨이퍼(404) 내에 신호 터미널(514)을 고정되게 유지하기 위해 터미널 지지 몰딩(terminal support molding 512) 내에 매립될 수 있다. 캔티레버 세그먼트(532)는 플러그 커넥터의 대응하는 신호 터미널과의 미끄럼 접촉을 하기 위해 그것의 후면에 짝맞춤 표면(534)을 포함한다. 캔티레버 세그먼트(532)는 짝맞춤 신호 터미널과의 도전성 접촉을 강제하고 유지하기 위해 어레이 평면(518)에 대하여 스프링형 편향(spring-like deflection)을 나타낼 수 있다.
접지 터미널(516)은 짝맞춤 단부(540), 상기 짝맞춤 단부(540) 반대편의 터미네이션 단부(542) 및, 짝맞춤 단부(540)와 터미네이션 단부(542) 사이에서 연장되고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평면형 중간 동체 부분(544)을 포함할 수 있다. 짝맞춤 단부(540)는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로부터의 대응하는 접지 터미널에 대해 미끄러져서 도전성 접촉(conductive contact)이 이루어지도록 의도되고, 따라서 대응하는 접지 터미널과의 스터빙(stubbing)을 안내하고 방지하기 위해 각도가 있는 단부 부분(angled end portion)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짝맞춤 단부(540)의 각도가 있는 단부 부분은 평면형 중간 동체 부분(544)에 대해 대략 30°의 각도로 오프셋될 수 있다. 신장되고 전체적으로 평면인, 평면 중간 동체 부분(544)은 신호 터미널(514)의 대응하는 평면 중간 동체 부분(524)보다 더 넓다. 평면형 중간 동체 부분(544)은, 터미네이션 단부(542)에 인접하고 그로부터 연장되는 제1 유지 세그먼트(550) 및, 짝맞춤 단부(540)에 인접하고 그로부터 연장되는 제2 캔티레버 세그먼트(552)를 포함한다. 유지 세그먼트(550)는 제2 터미널 웨이퍼(404) 내에 접지 터미널(516)을 고정되게 유지하기 위해 터미널 지지 몰딩(terminal support molding 512) 내에 매립될 수 있다. 캔티레버 세그먼트(552)는 플러그 커넥터의 대응하는 접지 터미널과 미끄럼 접촉을 하기 위해 그것의 전방에 평탄한 짝맞춤 표면(554)을 포함할 수 있다. 캔티레버 세그먼트(552)는 짝맞춤 접지 터미널과의 도전성 접촉을 강제하고 유지하기 위해 어레이 평면(518)에 대하여 스프링형 편향(spring-like deflection)을 나타낼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터미널 어레이(510)의 중간 내의 접지 터미널(516)의 짝맞춤 단부(540)는 말단부에서 분기되고, 도전성 접지 브리지(556)에 접합된다. 그러나, 터미널 어레이(510)의 양 단부에 있는 접지 터미널(516)들은 분기되지 않고, 터미널 어레이(516)의 중간 부분을 향하여 지향된 단일의 도전성 접지 브리지(556)에만 접합된다. 각각의 도전성 접지 브리지(556)는 2개의 접지 터미널(516)들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2개의 인접한, 차동 쌍을 이루는(differentially paired) 신호 터미널(514)들의 짝맞춤 단부(520)들 아래에서 그것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도전성 접지 브리지(556)는 짝맞춤 단부(540)들의 연장부로서 형성되고, 공통 어레이 평면(518)에 대해 각도를 이루어서, 플러그 커넥터의 대응 접지 터미널과의 미끄럼 접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전성 접지 브리지(556)들은 차동 결합된(differentially coupled) 신호 터미널(514)들의 각각의 쌍을 전기적으로 격리시키는 기능을 한다.
접지 터미널(516)의 터미네이션 단부(542)는 모든 접지 터미널(516)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도록 터미널 어레이(510)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도전성 접지 레일(557)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도전성 접지 레일(557)은 신호 터미널(514)의 차동 결합 쌍의 터미네이션 단부(522)에 걸쳐 그리고 그것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도전성 접지 브리지(556) 및 도전성 접지 레일(557)에 의해 상호 연결된 접지 터미널(516)은 차동 결합된 신호 터미널(514)의 개별의 쌍 주위로 연장되고 이들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공통 어레이 평면(518)에 직각인 도전성 접지 레일(557) 내로 배치되는 것은 도전체 터미네이션 구멍(conductor termination hole, 558)일 수 있다. 접지 터미널(516)의 도전체 터미네이션 구멍(558)은 신호 터미널(514)의 개별의 차동 결합 쌍의 도전체 터미네이션 구멍(528)들 사이와 위에 위치된다. 차동 쌍을 이루는 신호 터미널(514)의 도전체 터미네이션 구멍(528)과 관련된 접지 터미널(516)의 도전체 터미네이션 구멍(558)은 삼각형 윤곽을 그린다.
도 34 내지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 지지 몰딩(512)은 터미널 어레이(510) 둘레로 연장되어 터미널 어레이(510)를 지지할 수 있고, 제2 터미널 웨이퍼(404)의 웨이퍼 길이와 동일 연장선상에 있다. 터미널 지지 몰딩(512)은 전방 표면(560) 및 대향하는 후방 표면(562)을 포함한다. 신호 터미널(514) 및 접지 터미널(516)은 전방 표면(560)과 후방 표면(56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되, 신호 및 접지 터미널(514, 516)은 터미널 지지 몰딩(512)의 비도전성 재료에 매립된다. 터미널 지지 몰딩(512)은 또한 하부 표면(564)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하부 표면으로부터 신호 터미널(514)의 짝맞춤 단부(520)들과 접지 터미널(516)의 짝맞춤 단부(540)들이 연장된다. 따라서 신호 터미널(514)의 짝맞춤 표면(534) 및 접지 터미널(516)의 짝맞춤 표면(554)은 터미널 지지 몰딩(512)의 하부 표면(564) 아래에 노출된다. 터미널 지지 몰딩(512)은 제2 터미널 웨이퍼(404)의 길이를 나타내는 대향하는 웨이퍼 단부(566, 568)를 포함할 수 있다. 터미널 지지 몰딩(512)은 몰딩된 플라스틱과 같은 비도전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인서트 몰딩 또는 오버몰딩 제조 프로세스에 의해 터미널 어레이(510)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6 내지 도 28 및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하부 제2 케이블(368)의 케이블(108)은 제2 터미널 웨이퍼(404)에 의해 수용되어 종단될 수 있다. 특히, 절연체(362)는 신호 도전체(360) 및 접지 도전체(364)를 노출시키기 위해 복수의 제2 케이블(368)의 단부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신호 도전체(360)는 신호 터미널(514)의 도전체 터미네이션 구멍(528)에 삽입될 수 있고, 접지 도전체(364)는 접지 터미널(516)의 도전체 터미네이션 구멍(558)에 삽입될 수 있다. 신호 도전체(360)들의 끝과 접지 도전체(362)들의 끝은 예를 들어 복수의 제2 케이블(368)과 터미널 어레이(510) 사이의 전기 도전성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레이저 용접에 의해 개별의 도전체 터미네이션 구멍(528, 558)에 접합될 수 있다. 접지 터미널(516)들은 도전성 접지 브리지(556)에 의해 짝맞춤 단부(520)들에서 그리고 도전성 접지 레일(557)에 의해 터미네이션 단부(542)들에서 상호 연결되기 때문에, 접지 도전체(366)들은 마찬가지로 도전성으로 상호 연결되고 공통 전기 접지를 확립한다.
본 개시의 일 양상에서, 도 26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터미널 웨이퍼(402) 및 제2 터미널 웨이퍼(404)는 커넥터 조립체에 대한 추가적인 전자기 차폐를 제공하는 개별의 제1 도전성 접지 차폐부(600) 및 제2 도전성 접지 차폐부(602)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지 차폐부 및 제2 접지 차폐부(600, 602)는, 개별의 제1 터미널 웨이퍼(402) 및 제2 터미널 웨이퍼(404)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터미널 웨이퍼의 길이와 함께 연장될 수 있는, 평탄한 평면 구조이다. 특히, 제1 접지 차폐부(600)는 제1 터미널 지지 몰딩(412)의 개별의 웨이퍼 단부(466, 468)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웨이퍼 단부들과 함께 연장되고, 제2 접지 차폐부(602)는 제2 터미널 지지 몰딩(512)의 개별의 웨이퍼 단부(566, 568)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웨이퍼 단부들과 함께 연장된다. 제1 및 제2 접지 차폐부(600, 602)는 개별의 제1 및 제2 터미널 웨이퍼(402, 404)의 터미널 지지 몰딩(412, 512)의 후방 표면(462, 562)에 인접하고, 상기 개별의 제1 및 제2 터미널 웨이퍼로부터 복수의 제1 케이블(366) 및 복수의 제2 케이블(368)이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도전성 접지 차폐부(600, 602)는 스탬핑 및 성형된 금속 플레이트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전성 접지 차폐부(600, 602)는 금속 인젝션 몰딩 프로세스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는데, 여기에서 금속 분말이 바인더와 혼합되고, 금속 분말로 인해 도전성 특성을 가진 완성된 부품으로 주조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전성 접지 차폐부(conductive ground shieldings, 600, 602)는 금속화된 플라스틱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도전성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몰딩된 플라스틱 부품에는 금속으로 코팅이 이루어진다.
도 29 내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지 차폐부(600)의 평면 형상은 부착될 때 제1 터미널 웨이퍼(402)의 공통 어레이 평면(418)과 평행하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접지 차폐부(600)는 비교적 얇고 평탄한 돌출 플레이트(projection plate, 610) 및 비교적 두꺼운 중간 플레이트(intermediate plate, 640)로부터 조립될 수 있다. 터미널 어레이(410)와 상호접속하기 위해, 돌출 플레이트(610)는, 돌출 플레이트(610)의 평면으로부터 직각으로 그리고 공통 어레이 평면(418)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접지 돌출부(612)를 포함할 수 있다. 접지 돌출부(612)는 제1 접지 차폐부(600)의 측방향 길이를 따라 측방향으로 이격되고, 터미널 어레이(410)의 복수의 접지 터미널(416)과 개수 및 정렬에 있어서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접지 돌출부(612)는 접지 탭(grounding tab)으로서, 이것은 수직의 방위로 정렬되고 따라서 수직 탭 높이(614)를 가진다. 일 실시예에서, 돌출 플레이트(610)는 시트 금속(sheet metal)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접지 돌출부(612)를 형성하는 접지 탭들은 돌출 플레이트(610)로부터 펀칭되고 돌출 플레이트에 통합되는 탭(tab) 또는 플랩(flap)들일 수 있다. 돌출 플레이트(610)로부터 접지 돌출부(612)들의 펀칭(punching)은 인접한 접지 돌출부(612)들 사이에서 돌출 플레이트(610) 내로 형성되는 직사각형 탭 개구(616)를 초래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접지 돌출부(612)는 다른 적절한 형상 및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1 케이블로부터의 케이블이 제1 접지 차폐부(600)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수의 케이블 개구(618)는 돌출 플레이트(610)를 통해 배치된다. 케이블 개구(618)들은 전체적으로 삼각형 또는 배(pear)의 형상일 수 있어서, 터미널 어레이(410)의 접지 터미널(416) 및 신호 터미널(414)에 배치되는 도전체 터미네이션 구멍(428, 458)들의 삼각형 윤곽과 맞춰진다. 따라서 케이블 개구(618)들은 쌍축 케이블(twinax cable)들의 신호 및 접지 도전체들의 삼각형 배치를 수용한다. 케이블 개구(618)는 돌출 플레이트(610)로부터 연장되는, 측방향으로 인접한 접지 돌출부(612)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터미널 웨이퍼(402)는 제2 웨이퍼 높이보다 더 높은 제1 웨이퍼 높이를 가지기 때문에, 돌출 플레이트(610)는 상기 돌출 플레이트(610)의 평면으로부터 터미널 어레이(410)의 공통 어레이 평면(418)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제2 복수의 접지 돌출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복수의 접지 돌출부(620)는 또한 터미널 어레이의 접지 터미널(416)과 개수 및 정렬에 대응한다; 그러나 제2 복수의 접지 돌출부(620)는 개별의 제1 복수의 접지 돌출부(612) 아래에 수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제2 복수의 접지 돌출부(620)는 제1 복수의 접지 돌출부(612)와 유사한 펀칭된 탭(punched tab)으로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결과적으로 직사각형 구멍(622)이 돌출 플레이트(610)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복수의 접지 돌출부(620)는 또한 수직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고 제1 접지 돌출부(612)의 수직 탭 높이(614)와 유사한 수직 탭 높이(624)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접지 돌출부(612, 620)는 돌출 플레이트(610)로부터 펀칭된, 단일의 수직으로 신장된 탭으로서 결합될 수 있다.
더 두꺼운 중간 플레이트(640)는 스탬핑된 금속 플레이트와 같은 도전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거나, 또는 소결되거나 주조된 금속일 수 있다. 중간 플레이트(640)는 또한 제1 터미널 웨이퍼(402)의 길이와 동일의 연장선에 있고(coextensive), 터미널 지지 몰딩(412)의 제1 과 제2 웨이퍼 단부(466, 468) 사이에서 연장된다. 중간 플레이트(640)는 얇은 돌출 플레이트(610)에 대해 중간 플레이트의 상대적 벌크(bulk)를 제공하는 두께(642)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1 케이블의 케이블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해, 중간 플레이트(640)는 복수의 케이블 개구(644)를 포함하는데, 상기 복수의 케이블 개구는 돌출 플레이트(610)에 배치된 복수의 케이블 개구(618)와 정렬되고 그 형상과 유사하다. 돌출 플레이트(610)로부터의 접지 돌출부(612)들이 터미널 어레이(410)의 접지 터미널(416)로 연장되어 그와 연결되도록, 중간 플레이트(640)는 중간 플레이트를 가로질러 측방향 행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1 슬롯(646)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슬롯(646)은 중간 플레이트(640)의 동체를 통해 연장되고, 터미널 어레이(410)의 공통 어레이 평면(418)을 향해 직각으로 배향된다. 슬롯(646)들은 복수의 접지 돌출부(612)와 개수 및 정렬에 있어서 대응될 수 있다. 접지 돌출부(612)가 연관된 수직 탭 높이(614)를 가진 수직 탭(vertical tab)으로서 형성되는 실시예에서, 슬롯(646)은 중간 플레이트(640)를 통한 탭들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유사한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제2 복수의 접지 돌출부(620)가 돌출 플레이트(610)의 제1 복수의 접지 돌출부(612) 아래에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실시예에서, 중간 플레이트(460)는 내부에 배치된 대응하는 제2 복수의 슬롯(648)을 가질 수 있으며, 이들은 제2 복수의 접지 돌출부들과 정렬된다.
제1 접지 차폐부(600)로부터의 접지 돌출부(612)와 기계적으로 및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복수의 접지 구멍(650)은 제1 터미널 웨이퍼(402)의 터미널 어레이(41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 구멍(650)들은 터미널 어레이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접지 레일(457) 바로 아래에서 터미널 어레이(410)의 각각의 접지 터미널(416)의 터미네이션 단부(442)에 배치될 수 있다. 접지 구멍(650)들의 개수 및 정렬은 제1 복수의 접지 돌출부(612)의 개수 및 정렬에 대응할 수 있다. 접지 터미널(416)의 터미네이션 단부(442)는 터미널 지지 몰딩(412)에 매립되기 때문에, 접지 슬롯(650)을 접지 돌출부(612)에 노출시키는 돌출 개구(652)들을 제공하기 위해, 터미네이션 단부에 근접한 터미널 지지 몰딩으로부터 재료가 제거될 수 있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접지 구멍(650)들은 접지 돌출부(612)를 비틀거나 왜곡시키기 위해 접지 돌출부(612)와 형상 또는 정렬이 상보적이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지 구멍(650)들은 접지 돌출부(612)를 형성하는 탭들과 치수에서 유사한 슬롯으로서 형성될 수 있지만, 이들은 제1 및 제2 오프셋 레그(654)들을 가져서, 상기 레그들은 접지 돌출부의 수직 정렬에 대해 측방향으로 오프셋된다. 제1 및 제2 오프셋 레그(offset leg, 654)는 터미널 웨이퍼의 측방향 단부들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어서, 접지 구멍(650)은 돌출 플레이트(610)로부터 연장된 접지 돌출부(612)와 수직 정렬에 있어서 일치하지 않는다. 또한, 오프셋 레그(654)에서 오프셋의 측방향은, 터미널 어레이를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배치된 오프셋 슬롯의 교번되는 배치를 제공하기 위해, 접지 터미널(416)로부터 접지 터미널(416)로 교번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블레이드와 구멍들 사이의 비-상보적 정렬(non-complementary alignment)은, 아래에 설명된 오프셋 레그(offset legs)와 같은 다른 구성들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원형, 정사각형 및/또는 다이아몬드와 같은 구멍들 및 블레이드의 비-상보적 형상 또는 윤곽에 의해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접지 터미널들을 통해 직각이 아닌 방향으로 구멍들을 배치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접지 플레이트(610)가 그로부터 연장되는 제2 복수의 하부 접지 돌출부(620)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제2 복수의 접지 구멍(658)은 평면 중간 동체 부분(442)에 일반적으로 직각인 접지 터미널(416)에 배치될 수 있어서, 제2 복수의 접지 돌출부와 정렬되게 대응한다.
도 31 및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지 차폐부(600)와 터미널 어레이(410)를 기계적으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기 위해, 접지 돌출부들이 접지 터미널(416)들에 있는 복수의 접지 구멍들과 정렬되도록, 돌출 플레이트(610)는 제1 터미널 웨이퍼(402)의 나머지에 대하여 위치된다. 중간 플레이트(640)는 터미널 지지 몰딩(412)과 돌출 플레이트(610) 사이에 배치되어, 중간 플레이트(640)의 슬롯(646)들과 터미널 지지 몰딩의 대응하는 몰드 개구(652)들이 정렬되어 접지 돌출부(612)가 돌출 플레이트(610)의 평면으로부터 터미널 어레이(410)의 공통 어레이 평면(418)로 통과할 수 있게 한다. 접지 돌출부(612)를 접지 터미널(416)의 접지 구멍(650)에 삽입할 때, 오프셋 레그(654)들은 접지 돌출부 및 접지 터미널의 수직 연장에 대해 탭형 접지 돌출부(tab-like grounding projection)들이 회전하거나 비틀리게 할 것이다. 제2 복수의 하부 접지 돌출부(620)들은 접지 터미널(416) 내에 배치된 제2 복수의 접지 구멍(658)들에 유사하게 수용되고 왜곡될 수 있다. 돌출 플레이트(610)의 재료 및 두께는 접지 돌출부(612)의 왜곡을 용이하게 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개별의 접지 구멍(650)에서 접지 돌출부(612)의 회전에 의해 야기되는 비틀림의 힘은, 접지 차폐부 및 접지 터미널이 우수한 도전성을 유지하면서 맞물림 해제될 가능성이 낮다는 점에서, 제1 접지 차폐부(600)와 접지 터미널(416) 각각의 사이에 우수한 기계적 및 전기적 접촉을 제공한다. 도전성 접지 차폐부(600)를 통해 복수의 접지 터미널(416) 사이의 전기 전도를 확립하는 것에서 있을 수 있는 장점은, 접지 터미널의 짝맞춤 단부들과 장착 단부들 사이의 전기 경로가 단축되어, 접지 회로의 공진 주파수에 유리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다.
일 실시예에서, 중간 플레이트(640)에 배치된 슬롯(646)은 또한 중간 플레이트를 통한 삽입 시에 접지 돌출부를 왜곡시키도록 탭(tab)과 같은 접지 돌출부(612)의 수직 연장에 대해 측방향으로 오프셋된 오프셋 레그(offset leg, 660)들을 가질 수 있다. 슬롯(646) 내의 접지 돌출부(612)의 왜곡은 돌출 플레이트(610)와 중간 플레이트(640)가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함께 결합되는 것을 보장한다. 도 27을 참조하면, 신호 도전체(360)가 터미널 어레이(410)의 도전체 터미네이션 구멍(428)들에서 종단될 때, 복수의 제1 케이블(366)로부터 차폐부가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제1 접지 차폐부(600)의 두께는 터미네이션 지점에서의 임핀던스(impendence)를 도울 수 있다. 또한, 도 31을 참조하면, 접지 돌출부(612)는 중간 플레이트(640)의 케이블 개구(644)들 및 돌출 플레이트(610)에 있는 케이블 개구(618)들의 양측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탭형 접지 돌출부(tab-like grounding projection)들은 케이블이 제1 터미널 웨이퍼(402)와 연결될 때 케이블들의 양쪽으로 그리고 케이블들과 평행하게 연장될 것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접지 돌출부(612)는 제1 터미널 웨이퍼 내의 신호 도전체들 사이의 결합을 더욱 격리시키고 개선한다.
도 34 내지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접지 차폐부(602)는 제1 접지 차폐부와 구성 및 배치가 유사하다. 제2 접지 차폐부(602)는 제2 터미널 웨이퍼(404)에 부착될 때 공통 어레이 평면(common array plane, 518)에 평행하다. 제2 접지 차폐부(602)는 또한 비교적 얇고 평탄한 돌출 플레이트(710) 및 비교적 두꺼운 중간 플레이트(740)로부터 조립될 수 있다. 공통의 어레이 평면(518)에 직각인 돌출 플레이트(710)의 평면으로부터 돌출된 것은 복수의 접지 돌출부(712)들이다. 접지 돌출부(712)들은 제2 접지 차폐부(602)의 측방향 길이를 따라 측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고, 제2 터미널 어레이(510)의 접지 터미널(516)과 정렬 및 개수에 있어서 대응할 수 있다. 접지 돌출부(712)는 시트 금속(sheet metal)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돌출 플레이트(710)로부터 펀칭되고 그와 일체인 접지 탭(grounding tabs)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접지 탭들은 수직으로 정렬될 수 있고, 제1 접지 차폐부의 접지 탭들의 높이 및 치수와 동일한 수직 탭 높이(714)를 가질 수 있다. 접지 돌출부(712)들의 펀칭은 돌출 플레이트(710)에 직사각형 탭 개구(716)가 형성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복수의 제2 케이블의 케이블들이 제1 접지 차폐부(602)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수의 케이블 개구(718)들은 돌출 플레이트에 펀칭되는데, 이들은 제1 접지 차폐부의 케이블 개구들과 치수 및 구성에서 유사하다. 케이블 개구(718)들은 쌍축 케이블 구성(twinax cable configuration)을 수용하기 위해 삼각형 또는 배 형상(pear shaped)일 수 있다. 제2 터미널 웨이퍼(404)는 제1 터미널 웨이퍼(402)보다 수직으로 더 짧기 때문에, 접지 돌출부(712)의 단일 행(row)만 돌출 플레이트(710) 상에 형성된다.
두꺼운 중간 플레이트(740)는 또한 주조 또는 소결 금속과 같은 도전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중간 플레이트(740)는 더 얇은 돌출 플레이트(710)에 비해 중간 플레이트에 부피 또는 무게를 제공하는 두께(742)를 갖는다. 복수의 제2 케이블로부터의 케이블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해, 중간 플레이트(740)는, 돌출 플레이트(710)의 케이블 개구(718)와 정렬되고 형상이 유사한, 복수의 케이블 개구(744)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돌출 플레이트(710)로부터의 접지 돌출부(712)가 제2 터미널 어레이(518)의 접지 터미널(516)로 연장되어 상기 접지 터미널과 접촉할 수 있도록, 복수의 슬롯(746)은 공통 어레이 평면(518)을 향하는 직각 방향에서 중간 플레이트를 통해 배치된다. 슬롯(746)은 중간 플레이트(740)를 가로질러 측방향 행으로 배치되고, 접지 돌출부(712)와 개수 및 정렬에서 대응한다. 접지 돌출부(712)가 천공된 탭으로서 형성되는 실시예에서, 슬롯(746)은 탭들의 통과를 수용하도록 치수에서 대응할 수 있다.
제2 접지 차폐부(602)로부터의 접지 돌출부(712)와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상호접속하기 위해, 복수의 접지 구멍(750)은 제2 터미널 웨이퍼(404)의 터미널 어레이(51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 구멍(750)은 터미널 어레이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접지 레일(557) 바로 아래에서 터미널 어레이(510)의 각각의 접지 터미널(516)의 터미네이션 단부(542)에 형성될 수 있다. 접지 구멍(750)의 수 및 정렬은 복수의 접지 돌출부(712)의 수 및 정렬에 대응할 수 있다. 특히, 접지 돌출부(712)의 신호 측방향 행(signal lateral row)만이 돌출 플레이트(710)로부터 연장되기 때문에, 접지 구멍(750)들의 단일의 대응 측방향 행(row)만이 터미널 어레이(510)에 포함된다. 접지 터미널(516)들의 터미네이션 단부(542)들은 터미널 지지 몰딩(51)에 매립되기 때문에, 접지 구멍(750)들을 접지 돌출부(612)에 노출시키기 위해 터미널 지지 몰딩으로부터 재료를 제거함으로써 몰드 개구(mold opening, 752)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3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접지 구멍(750)들은 삽입 시에 접지 돌출부를 비틀거나 왜곡시키기 위해 접지 돌출부(712)와 형상 또는 정렬에 있어서 상보적이지 않다. 예를 들어, 접지 구멍(750)들은 접지 돌출부(612)의 수직 정렬에 대해 측방향으로 오프셋된 제1 및 제2 오프셋 레그(offset legs, 75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6 내지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접지 차폐부(602)를 제2 터미널 웨이퍼(404)에 부착하기 위해, 접지 터미널(516)의 복수의 접지 구멍(750)과 정렬된 접지 돌출부(712)들과 함께 돌출 플레이트(710)는 터미널 지지 몰딩(512)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중간 플레이트(740)는 터미널 지지 몰딩(512)과 돌출 플레이트(710) 사이에 위치될 수 있어서, 접지 돌출부들은 중간 플레이트의 슬롯(746)들 통해 수용되고 연장된다. 접지 돌출부(712)를 접지 구멍(750) 내로 삽입할 때, 오프셋 레그(754)들은 탭(tab)과 같은 접지 돌출부가 상기 접지 돌출부 및 접지 터미널(516)의 수직 연장에 대하여 회전하거나 비틀리도록 한다. 접지 돌출부(712)의 왜곡에 의해 야기되는 비틀림의 힘은 제2 접지 차폐부(602)와 각각의 접지 터미널(516) 사이에 우수한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을 초래한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탭형 접지 돌출부(712)들은 돌출 플레이트(710)의 케이블 개구(718)들 및 중간 플레이트(740)의 케이블 개구(744)들의 양쪽에서 연장되기 때문에, 접지 돌출부들은 제2 터미널 웨이퍼(602) 내에서 복수의 제2 케이블의 신호 도전체를 차폐 및 격리시킬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개시된 시스템 및 기술의 실례를 제공한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 내용의 다른 구현예는 전술한 예와 세부 사항에서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본 개시내용 또는 그것의 예에 대한 모든 참조는 그 시점에서 논의되는 특정 예를 참조하도록 의도되며, 보다 일반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범위에 대한 임의의 제한을 암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특정의 특징들에 대한 구별 및 폄하의 모든 언어는 해당 기능에 대한 선호의 부족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지만,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그러한 기능을 본 개시의 범위에서 완전히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값의 범위를 언급하는 것은, 본 명세서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범위 내에 속하는 각각의 개별 값을 개별적으로 참조하는 속기 방법으로서 역할을 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각각의 개별 값은 본 명세서에 개별적으로 인용된 것처럼 명세서에 포함된다. 여기에 설명된 모든 방법은, 여기에 달리 표시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백히 모순되지 않는 한, 임의의 적절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관련 법률이 허용하는 바에 따라 여기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주제의 모든 수정 및 등가물을 포함한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서 달리 나타내지 않거나 달리 문맥상 명백하게 모순되지 않는 한, 모든 가능한 변형에서 전술한 요소의 그 어떤 조합이라도 본 개시 내용에 포함된다. 또한, 여기에 설명된 장점은 청구범위에 포함된 모든 실시예에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Claims (20)

  1. 커넥터 조립체로서,
    플러그 하우징 및 플러그 터미널 서브조립체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터미널 서브조립체는:
    복수의 플러그 신호 터미널 및 복수의 플러그 접지 터미널을 포함하는 도전성 플러그 터미널 어레이;
    상기 복수의 플러그 신호 터미널 및 상기 복수의 플러그 접지 터미널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플러그 신호 터미널 및 상기 복수의 플러그 접지 터미널을 지지하는 터미널 지지 몰딩;
    공통의 스파인(common spine)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접지 바아로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중 하나의 블레이드는 상기 복수의 플러그 접지 터미널 중 하나의 플러그 접지 터미널과 기계적으로 및 전기적으로 상호연결되도록 구성된, 접지 바아를 포함하고; 및
    리셉터클 하우징 및 리셉터클 터미널 웨이퍼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 웨이퍼는:
    복수의 리셉터클 신호 터미널 및 복수의 리셉터클 접지 터미널을 포함하는 도전성 리셉터클 터미널 어레이;
    제1 리셉터클 웨이퍼 및 제2 리셉터클 웨이퍼;
    상기 제1 리셉터클 웨이퍼에 대한 케이블을 정렬시키기 위한 복수의 제1 케이블 보어를 포함하는 제1 케이블 정렬 부재; 및
    상기 제2 리셉터클 웨이퍼에 대한 케이블을 정렬시키기 위한 복수의 제2 케이블 보어를 포함하는 제2 케이블 정렬 부재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블 정렬 부재 및 상기 제2 케이블 정렬 부재는 상기 제1 케이블 정렬 부재를 상기 제2 케이블 정렬 부재와 결합 및 정렬시키기 위한 협동하는 돌출부 및 리세스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 내의 상기 제1 리셉터클 웨이퍼와 상기 제2 리셉터클 웨이퍼 사이에 위치된 접지 차폐부 돌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리셉터클 터미널 어레이는 공통 어레이 평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및
    상기 접지 차폐부 돌출 플레이트는 상기 공통 어레이 평면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접지 돌출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리셉터클 터미널 어레이의 상기 복수의 리셉터클 접지 터미널은 복수의 접지 구멍을 포함하고; 및
    상기 접지 차폐부 돌출 플레이트의 상기 복수의 접지 돌출부는 형상이 상기 복수의 접지 구멍과 비-상보적(non-complementary)이고, 상기 복수의 접지 돌출부가 상기 복수의 접지 구멍 내로 삽입될 때 상기 복수의 리셉터클 접지 터미널을 비틀리게 하는, 커넥터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정합면, 상기 정합면으로부터 이격된 장착면, 및 상기 정합면과 상기 장착면 사이에서 연장하는 벽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플러그 터미널 어레이는 상기 터미널 지지 몰딩 위로 연장되는 터미널 정합 단부 및 상기 터미널 지지 몰딩 아래로 연장되는 터미널 장착 단부를 포함하고; 및
    상기 터미널 서브조립체는 상기 터미널 장착 단부가 상기 장착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제1 위치와 상기 터미널 장착 단부가 상기 장착면과 동일 평면 상에 있는 제2 작동 위치 사이에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대해 움직이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조립체.
  6. 리셉터클 커넥터로서,
    하우징 및 터미널 웨이퍼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 웨이퍼는: 
    복수의 신호 터미널 및 복수의 접지 터미널을 포함하는 도전성 터미널 어레이;
    제1 웨이퍼 및 제2 웨이퍼;
    상기 제1 웨이퍼에 대한 제1 케이블을 정렬시키기 위한 제1 케이블 보어를 포함하는 제1 케이블 정렬 부재; 및
    상기 제2 웨이퍼에 대한 제2 케이블을 정렬시키기 위한 제2 케이블 보어를 포함하는 제2 케이블 정렬 부재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블 정렬 부재 및 상기 제2 케이블 정렬 부재는 상기 제1 케이블 정렬 부재를 상기 제2 케이블 정렬 부재와 결합 및 정렬시키기 위한 협동하는 돌출부 및 리세스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상기 제1 웨이퍼와 상기 제2 웨이퍼 사이에 배치된 접지 차폐부를 더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접지 차폐부는 복수의 케이블 개구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터미널 어레이는 공통 어레이 평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및
    상기 접지 차폐부는 상기 공통 어레이 평면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접지 돌출부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1. 제8항에 있어서,
    접지 차폐부는 돌출 플레이트 및 중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 플레이트는 복수의 접지 돌출부를 포함하고; 및
    상기 중간 플레이트는 상기 돌출 플레이트의 상기 복수의 접지 돌출부와 정렬된 복수의 슬롯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터미널 어레이는 접지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접지 차폐부는 접지 돌출부를 포함하고; 및
    상기 접지 차폐부의 상기 접지 돌출부는 형상이 상기 도전성 터미널 어레이의 접지 구멍과 비-상보적이고, 상기 접지 돌출부가 상기 접지 구멍 내로 삽입될 때 상기 복수의 접지 터미널 중 접지 터미널을 비틀리게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구멍은 상기 접지 돌출부로부터 측방향으로 오프셋되는 오프셋 레그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터미널 어레이 내의 상기 복수의 접지 터미널 각각은 접지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접지 차폐부는 복수의 접지 돌출부를 포함하고; 및
    상기 복수의 접지 돌출부는 형상이 상기 복수의 접지 구멍과 비-상보적이고, 상기 복수의 접지 돌출부가 상기 복수의 접지 구멍 내로 삽입될 때 상기 복수의 접지 터미널을 비틀리게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5. 플러그 커넥터로서,
    정합면, 상기 정합면으로부터 이격된 장착면, 상기 정합면과 상기 장착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벽, 및 상기 장착면에 배치된 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터미널 웨이퍼를 포함하는 터미널 서브조립체로서, 상기 터미널 웨이퍼는 복수의 터미널 및 상기 복수의 터미널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터미널을 지지하는 터미널 지지 몰딩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터미널은 상기 터미널 지지 몰딩 위로 연장되는 터미널 정합 단부 및 상기 터미널 지지 몰딩 아래로 연장되는 터미널 장착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 서브조립체는 상기 터미널 장착 단부가 상기 장착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제1 위치와 상기 터미널 장착 단부가 상기 장착면과 동일 평면 상에 있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 움직이도록 구성되는, 플러그 커넥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장착 단부의 평면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장착면의 장착 평면 아래에 있는, 플러그 커넥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터미널 서브조립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래치 아암(latch arm)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지지 몰딩은 상부 래치 리세스 및 하부 래치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 아암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상부 래치 리세스와 맞물리고,
    상기 래치 아암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하부 래치 리세스와 맞물리는, 플러그 커넥터.
  19. 제15항에 있어서, 공통의 스파인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접지 바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각각은 상기 복수의 터미널 중 복수의 접지 터미널 중에서 각각의 접지 터미널과 기계적으로 및 전기적으로 상호연결되도록 구성된, 플러그 커넥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지 터미널 각각은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접지 터미널 각각의 구멍 내에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
KR1020247026930A 2019-09-06 2020-09-02 커넥터 조립체 KR202401257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97006P 2019-09-06 2019-09-06
US62/897,006 2019-09-06
PCT/US2020/048966 WO2021046066A1 (en) 2019-09-06 2020-09-02 Connector assembly
KR1020227011391A KR102695403B1 (ko) 2019-09-06 2020-09-02 커넥터 조립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1391A Division KR102695403B1 (ko) 2019-09-06 2020-09-02 커넥터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25711A true KR20240125711A (ko) 2024-08-19

Family

ID=7485018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1391A KR102695403B1 (ko) 2019-09-06 2020-09-02 커넥터 조립체
KR1020247026930A KR20240125711A (ko) 2019-09-06 2020-09-02 커넥터 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1391A KR102695403B1 (ko) 2019-09-06 2020-09-02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495909B2 (ko)
JP (2) JP7398548B2 (ko)
KR (2) KR102695403B1 (ko)
CN (1) CN114270634A (ko)
TW (1) TWI829961B (ko)
WO (1) WO20210460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8448A (ko) * 2018-12-07 2021-08-10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생분해성 여과 물질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CN114270634A (zh) * 2019-09-06 2022-04-01 莫列斯有限公司 连接器组件
KR20210046549A (ko) * 2019-10-18 2021-04-28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전기 커넥터 및 전자 디바이스
USD949798S1 (en) * 2019-12-06 2022-04-26 Samtec, Inc. Connector
TWI792271B (zh) * 2020-06-19 2023-02-11 大陸商東莞立訊技術有限公司 背板連接器組件
CN114765330A (zh) * 2021-01-13 2022-07-19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电连接器和连接器组合
TW202301747A (zh) * 2021-05-13 2023-01-01 英屬開曼群島商鴻騰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插座連接器
CN115347423A (zh) * 2021-05-13 2022-11-15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US12100910B2 (en) 2021-12-06 2024-09-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hape-memory alloy lock for connectors
US11831095B2 (en) * 2021-12-28 2023-11-28 Te Connectivity Solutions Gmbh Direct plug orthogonal board to board connector system
CN116526186A (zh) * 2022-01-24 2023-08-01 泰连服务有限公司 插头连接器
TW202425434A (zh) * 2022-09-14 2024-06-16 美商莫仕有限公司 連接器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02590B2 (en) * 2001-06-13 2004-03-09 Molex Incorporated High-speed mezzanine connector with conductive housing
JP4889243B2 (ja) * 2005-06-09 2012-03-0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コネクタ装置
US7195519B1 (en) * 2006-03-30 2007-03-2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Modular connector assembly with adjustable distance between contact wafers
US7651371B2 (en) 2007-11-15 2010-01-26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ESD protection
US8342888B2 (en) * 2008-08-28 2013-01-01 Molex Incorporated Connector with overlapping ground configuration
TWM399472U (en) * 2008-09-09 2011-03-01 Molex Inc A connector
US8187034B2 (en) 2008-12-05 2012-05-2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WO2010096567A1 (en) * 2009-02-18 2010-08-26 Molex Incorporated Vertical connector for a printed circuit board
TWI452767B (zh) * 2009-05-18 2014-09-11 Advanced Connectek Inc High speed backplane connector
WO2011050277A2 (en) * 2009-10-23 2011-04-28 Molex Incorporated Right angle adaptor
TWM422802U (en) * 2010-02-15 2012-02-11 Molex Inc Differentially coupled connector
US8123532B2 (en) * 2010-04-12 2012-02-2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arrier system for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P2541696A1 (en) 2011-06-29 2013-01-02 Tyco Electronics Belgium EC BVBA Electrical connector
US20130034977A1 (en) 2011-08-03 2013-02-0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Receptacle connector for a pluggable transceiver module
US8535069B2 (en) * 2012-01-04 2013-09-17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 pins embeded in contact wafers
US9509094B2 (en) * 2012-02-07 2016-11-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oard mount electrical connector with latch opening on bottom wall
KR20130110016A (ko) * 2012-03-28 2013-10-08 (주)디에스씨 회로기판용 커넥터
US9257778B2 (en) 2012-04-13 2016-02-09 Fci Americas Technology High speed electrical connector
CN104854761B (zh) * 2012-10-10 2018-01-02 安费诺有限公司 直连正交连接系统
WO2014160338A1 (en) * 2013-03-13 2014-10-02 Amphenol Corporation Lead frame for a high speed electrical connector
US10485134B2 (en) * 2013-12-17 2019-11-19 Molex, Llc Power connector with air flow passages
WO2015100062A1 (en) * 2013-12-23 2015-07-02 Fci Asia Pte. Ltd Electrical connector
US9531129B2 (en) 2015-05-12 2016-12-2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system having bussed ground conductors
TW202322475A (zh) * 2015-07-23 2023-06-01 美商安芬諾Tcs公司 連接器、製造連接器方法、用於連接器的擴充器模組以及電子系統
WO2017100252A1 (en) * 2015-12-07 2017-06-15 Fci Americas Technology Llc Electrical connector having electrically commoned grounds
CN108631094B (zh) * 2017-03-16 2020-02-04 莫列斯有限公司 电连接器及电连接器组合
KR102439060B1 (ko) * 2017-03-17 2022-09-01 몰렉스 엘엘씨 커넥터 조립체
CN111164836B (zh) * 2017-08-03 2023-05-12 安费诺有限公司 用于低损耗互连系统的连接器
KR20200095470A (ko) * 2017-10-24 2020-08-10 샘텍, 인코포레이티드 직각 전기 커넥터 및 직각 커넥터용 전기 접점
US10700462B2 (en) * 2018-01-18 2020-06-30 Interplex Industries, Inc. Connector housing
KR101975811B1 (ko) 2018-04-10 2019-05-08 (주)연호엠에스 전기 커넥터
WO2020014597A2 (en) * 2018-07-12 2020-01-16 Samtec, Inc. Lossy material for improved signal integrity
CN209045918U (zh) * 2018-08-16 2019-06-28 香港商安费诺(东亚)有限公司 对应金属端子间设有接地金属隔离板的高频连接器
CN208637725U (zh) 2018-08-16 2019-03-22 富加宜电子(南通)有限公司 一种高传输速率的连接器
WO2020076785A1 (en) * 2018-10-09 2020-04-16 Samtec, Inc. Cable connector systems
WO2020154507A1 (en) * 2019-01-25 2020-07-30 Fci Usa Llc I/o connector configured for cable connection to a midboard
CN111490410B (zh) * 2019-01-25 2021-11-30 美国莫列斯有限公司 连接器组件
CN111769406A (zh) * 2019-04-02 2020-10-13 东莞讯滔电子有限公司 拉带解锁结构及连接器
TWM584028U (zh) * 2019-05-15 2019-09-21 貿聯國際股份有限公司 高速線端連接器
CN114270634A (zh) * 2019-09-06 2022-04-01 莫列斯有限公司 连接器组件
WO2021080884A1 (en) * 2019-10-24 2021-04-29 Molex, Llc Connector assembly
CN115516717A (zh) * 2020-01-27 2022-12-23 富加宜(美国)有限责任公司 高速、高密度直配式正交连接器
CN113258325A (zh) * 2020-01-28 2021-08-13 富加宜(美国)有限责任公司 高频中板连接器
CN111403932A (zh) * 2020-04-24 2020-07-10 东莞立讯技术有限公司 线端连接器
TWI821651B (zh) * 2020-05-06 2023-11-11 陳松佑 板端連接器及線端連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47149A1 (en) 2023-02-16
WO2021046066A1 (en) 2021-03-11
TW202414917A (zh) 2024-04-01
KR20220061169A (ko) 2022-05-12
CN114270634A (zh) 2022-04-01
US11495909B2 (en) 2022-11-08
US20210075143A1 (en) 2021-03-11
TWI829961B (zh) 2024-01-21
KR102695403B1 (ko) 2024-08-16
JP7398548B2 (ja) 2023-12-14
JP2022544949A (ja) 2022-10-24
TW202127745A (zh) 2021-07-16
JP2024032020A (ja) 2024-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95403B1 (ko) 커넥터 조립체
US11532915B2 (en) Connector assembly
CN108631100B (zh) 连接器组件、插头连接器及连接器组件的制造方法
TWI795323B (zh) 提供接觸支撐和阻抗匹配特性之包覆成型導線架
TWI569516B (zh) 中間平面正交式連接器系統
US945553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 bus
JP4185046B2 (ja) 差動信号コネクタ
JP4727890B2 (ja) シールディングを有するコネクタ
US6299483B1 (en) High speed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JP3930857B2 (ja) 装置に実装された可撓性コネクタカバー組み立て体
JP2005522012A (ja) 一体式電力接点を備えたマトリクスコネクタ
EP3258545B1 (en) High speed connector assembly, receptacle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CN110086026B (zh) 电连接器
CN116014507A (zh) 缆线连接器系统
TWI853764B (zh) 電連接器組件及插座連接器及插頭連接器
WO2024033873A1 (en) Connector assembly with u-shield and ground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