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17627A - 향미 흡인기 및 끽연 시스템 - Google Patents

향미 흡인기 및 끽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17627A
KR20240117627A KR1020247023324A KR20247023324A KR20240117627A KR 20240117627 A KR20240117627 A KR 20240117627A KR 1020247023324 A KR1020247023324 A KR 1020247023324A KR 20247023324 A KR20247023324 A KR 20247023324A KR 20240117627 A KR20240117627 A KR 20240117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umer product
protrusions
longitudinal direction
open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23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테키 스미이
료 타무라
마나부 야마다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117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1762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Landscapes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끽연 가능물을 포함하는 소비재를 수용 가능하게 구성된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소비재를 삽입 가능하게 구성된 개구와, 상기 개구에 접속하고, 수용된 상기 소비재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전체 둘레에 걸쳐 간극을 형성하는, 제1 간극 형성부와, 상기 제1 간극 형성부에 대하여 상기 개구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고, 수용된 상기 소비재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전체 둘레에 걸쳐 간극을 형성하는, 제2 간극 형성부와, 상기 수용부의 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간극 형성부와 상기 제2 간극 형성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소비재의 외주면을 압압하여 상기 소비재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기 긴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간극 형성부에 대하여 상기 개구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고, 상기 소비재의 외주면을 압압하여 상기 소비재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향미 흡인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향미 흡인기 및 끽연 시스템
본 개시는 향미 흡인기 및 끽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향미 흡인기 분야에서, 끽연 가능물을 포함하는 소비재가 수용부에 적절히 수용되도록, 향미 흡인기의 수용부에 가이드를 마련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은, 소비재가 삽입되는 개구부를 갖고, 향미 흡인기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칼라(collar)에 복수의 융기부를 마련하여, 하우징 내에 수용된 소비재를 보지(保持)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향미 흡인기에서, 소비재를 수용부에 끼워 넣을 때는 저항감이 낮고, 스무드하게 삽입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으로, 끽연을 개시한 후에는, 끽연 중에 소비재가 향미 흡인기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수용부 내에서 소비재가 충분히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니즈는 서로 트레이드 오프의 관계에 있지만, 양립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국제 공개공보 WO2017/194763호
본 개시는, 소비재를 수용부에 끼워 넣기 쉬움과 함께 수용부 내에서 소비재를 적절히 보지할 수 있는, 향미 흡인기 및 끽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제1 양태는, 끽연 가능물을 포함하는 소비재를 수용 가능하게 구성된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소비재를 삽입 가능하게 구성된 개구와, 상기 개구에 접속하고, 수용된 상기 소비재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전체 둘레에 걸쳐 간극을 형성하는, 제1 간극 형성부와, 상기 제1 간극 형성부에 대하여 상기 개구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고, 수용된 상기 소비재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전체 둘레에 걸쳐 간극을 형성하는, 제2 간극 형성부와, 상기 수용부의 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간극 형성부와 상기 제2 간극 형성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소비재의 외주면을 압압(押壓)하여 상기 소비재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기 긴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간극 형성부에 대하여 상기 개구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고, 상기 소비재의 외주면을 압압하여 상기 소비재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향미 흡인기이다.
상기 제1 양태에서는, 소비재를 수용하는 수용부에서, 소비재가 삽입되는 개구로부터, 개구에 접속하는 제1 간극 형성부와, 제1 지지부와, 제2 간극 형성부와, 제2 지지부가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양태에 의하면, 제1 간극 형성부에 의해 개구를 통과한 소비재의 삽입이 용이한 한편,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에 의해 소비재를 적절히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양태에 의하면,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에 의해 압압된 소비재가,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간극 형성부에 대응하는 개소에서 부풀어 올라, 제2 간극 형성부에 계합함으로써, 소비재의 탈락을 억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2 양태는, 상기 제1 양태에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소비재를 가열하는 가열 영역을 포함하는 챔버와, 상기 개구로부터 삽입된 상기 소비재를 상기 챔버로 유도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간극 형성부와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챔버에 마련되고, 상기 제1 간극 형성부와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마련되는, 향미 흡인기이다.
상기 제2 양태에서는, 소비재를 가열하는 챔버에 제2 간극 형성부와 제2 지지부가 마련되고, 개구로부터 삽입된 소비재를 챔버로 유도하는 가이드부에 제1 간극 형성부와 제1 지지부가 마련된다. 따라서 제2 양태에 의하면, 비가열 영역에 배치된 제1 지지부와, 가열 영역에 배치된 제2 지지부에 의해, 가열 영역의 경계를 넘나들며 소비재를 적절히 지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3 양태는, 상기 제1 및 제2 양태에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수용된 상기 소비재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상기 수용부의 둘레방향에서 대략 등간격으로 배치된 1조(組)의 접촉부와, 상기 1조의 접촉부를 서로 접속하는 1조의 접속부를 포함하는, 향미 흡인기이다.
상기 제3 양태에서는, 수용부의 제2 지지부에서, 수용된 소비재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접촉부와, 소비재의 외주면과 접촉하지 않는 접속부가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제3 양태에 의하면, 소비재와 접속부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고, 개구로부터 유입한 공기는 이 공극을 통과하여 향미 흡인기의 내부로 유입하고, 끽연에 적합한 공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4 양태는, 상기 제3 양태에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내벽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수용부의 둘레방향에서 대략 등간격으로 배치된 1조의 제1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1조의 제1 돌기부의 각각은, 상기 수용부의 긴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1조의 접촉부 중 하나와 서로 겹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향미 흡인기이다.
상기 제4 양태에서는, 수용부의 긴 방향으로부터 보아 소비재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접촉부와 겹치는 위치에, 제1 지지부의 내벽면으로부터, 제1 돌기부가 돌출하고 있다. 따라서 제4 양태에 의하면, 수용부의 둘레방향의 동일한 위치에서, 수용부의 긴 방향을 따라 2개의 개소에서 소비재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4 양태에 의하면, 제1 돌기부에 의해 변형한 소비재가 수용부의 내부에서 계지되어 소비재의 탈락이 억제된다.
본 개시의 제5 양태는, 상기 제4 양태에서, 상기 소비재가 상기 수용부의 상기 긴 방향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개구에 삽입되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경우에는, 상기 수용부의 상기 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 상기 1조의 제1 돌기부의 각각은, 변형되어 있지 않은 상기 소비재의 외주면을 나타내는 가상 외형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향미 흡인기이다.
상기 제5 양태에서는, 소비재가 적절한 각도로 개구에 삽입되어 수용부에 수용되었을 때에, 1조의 제1 돌기부의 각각은, 변형되어 있지 않은 소비재의 외주면을 나타내는 가상 외형의 내측으로 돌출한다. 따라서 제5 양태에 의하면, 소비재가 적절히 수용된 경우, 1조의 제1 돌기부에 의해 소비재를 파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6 양태는, 상기 제4 및 제5 양태에서, 상기 1조의 제1 돌기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기 긴 방향을 따라 연재(延在)하고 있으며, 상기 1조의 제1 돌기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기 긴 방향을 따른 단면을 본 경우에 상기 개구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상기 수용부의 반경 방향의 중심으로 접근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향미 흡인기이다.
상기 제6 양태에서는, 개구를 통하여 삽입된 소비재를 최초로 지지하는 제1 지지부의 제1 돌기부는, 수용부의 긴 방향을 따른 단면을 본 경우에 개구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수용부의 반경 방향의 중심으로 접근하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제6 양태에 의하면, 향미 흡인기로의 소비재의 삽입 시의 저항이 작고, 사용자에 대해서 삽입 시에 불쾌감을 일으키게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7 양태는, 상기 제4~제6 양태에서, 상기 1조의 제1 돌기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기 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을 본 경우에, 제1변과, 제2변과, 상기 제1변과 상기 제2변을 접속하는 정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1변과 상기 제2변이 이루는 각은 둔각인, 향미 흡인기이다.
상기 제7 양태에서는, 수용부의 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을 본 경우에, 제1 지지부의 제1 돌기부는, 둔각을 갖는 삼각 형상으로 제1 지지부의 내벽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따라서 제7 양태에 의하면, 제1 돌기부는 예리한 정점을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소비재를 손상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7 양태에 의하면, 제1 돌기부와 소비재의 접촉면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재의 탈락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8 양태는, 상기 제7 양태에서, 상기 1조의 제1 돌기부는, 상기 수용부의 둘레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돌기부의 각각은, 상기 제1변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의 상기 긴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제1면과, 상기 제2변을 포함하며 상기 긴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제2면과,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을 접속하고, 상기 정점을 포함하며 상기 긴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능선을 포함하며, 상기 대향하는 한 쌍의 돌기부의 2개의 능선은, 상기 긴 방향과 평행이 아니고, 상기 수용부를 상기 개구 측으로부터 본 상면도에서, 상기 2개의 능선은, 상기 2개의 능선의 상기 긴 방향을 따라 상기 개구와 반대 측에 위치하는 단부를 접속하는 직선, 또는, 상기 2개의 능선의 상기 긴 방향을 따라 상기 개구 측에 위치하는 단부를 접속하는 직선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향미 흡인기이다.
상기 제8 양태에서는, 한 쌍의 제1 돌기부의 각각에서 제1면과 제2면을 접속함과 함께 정점을 포함하며 상기 긴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2개의 능선이, 수용부의 긴 방향을 따라 개구와 반대 측에 위치하는 단부를 접속하는 직선, 또는, 상기 긴 방향을 따라 상기 개구 측에 위치하는 단부를 접속하는 직선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따라서 제8 양태에 의하면, 서로 대향함과 함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는 능선을 구비한 한 쌍의 제1 돌기부에 의해, 소비재의 삽입 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어느 일정한 토크가 생겨, 삽입 시에는 소비재를 스무드하게 삽입할 수 있음과 함께, 삽입 후에는 소비재의 탈락을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9 양태는, 상기 제4~제8 양태에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상기 내벽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수용부의 상기 둘레방향에서 대략 등간격으로 마련된 1조의 제2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1조의 제2 돌기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기 긴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1조의 접속부와 서로 겹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향미 흡인기이다.
본 개시의 제9 양태에서는,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1 돌기부가 마련된 수용부의 제1 지지부에서, 수용부의 긴 방향으로부터 보아 소비재에 접촉하지 않는 접속부와 서로 겹치는 위치에, 추가적으로 1조의 제2 돌기부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제9 양태에 의하면,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에서 소비재를 확실히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지지부에서 접촉부에 의해 압압된 소비재는, 접속부를 향하여 부풀어 올라, 이 부풀어 오른 개소가 제2 돌기부에 계지하여, 소비재의 탈락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에서, 제1 돌기부에 의해 압압되어 변형한 소비재가 제2 돌기부와 계지하여, 소비재의 탈락을 억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10 양태는, 상기 제9 양태에서, 상기 소비재가 상기 수용부의 상기 긴 방향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개구에 삽입되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경우에는, 상기 수용부의 상기 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 상기 1조의 제2 돌기부는, 변형되어 있지 않은 상기 소비재의 외주면을 나타내는 가상 외형의 외측에 위치하는, 향미 흡인기이다.
상기 제10 양태에 의하면, 소비재가 적절한 각도로 개구에 삽입되어 수용부에 수용되었을 때에, 1조의 제1 돌기부의 각각은, 변형되어 있지 않은 소비재의 외주면을 나타내는 가상 외형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반면에, 1조의 제2 돌기부의 각각은, 가상 외형의 외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10 양태에 의하면, 소비재가 적절히 수용된 경우, 제1 돌기부에 의해 소비재를 파지하는 한편으로, 제2 돌기부는, 소비재를 강하게 파지하지 않지만, 소비재가 흔들렸을 때에 지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11 양태는, 상기 제10 양태에서, 상기 1조의 제2 돌기부는, 상기 가상 외형을 따라 만곡하는 만곡부를 포함하는, 향미 흡인기이다.
상기 제11 양태에서는, 제1 지지부에 마련된 제2 돌기부는, 수용된 소비재의 외주면을 나타내는 가상 외형을 따라 만곡하는 만곡부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제11 양태에 의하면, 소비재의 외형을 따라 만곡하는 만곡부에 의해, 소비재가 흔들렸을 때에, 적절히 소비재를 지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12 양태는, 상기 제9~제11 양태에서, 상기 수용부의 상기 긴 방향을 따라 상기 개구와 반대 측에 위치하는, 상기 1조의 제2 돌기부의 제3 단부는, 상기 제2 간극 형성부에 접속하고 있는, 향미 흡인기이다.
상기 제12 양태에서는, 개구와 반대 측에 위치하는 제2 돌기부의 제3 단부는, 제1 지지부와 제2 간극 형성부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12 양태에 의하면, 제2 간극 형성부에서 부풀어 오른 소비재가, 제2 간극 형성부에 면한 제3 단부를 포함하는 제2 돌기부에 계지함으로써, 소비재의 탈락이 보다 억제된다.
본 개시의 제13 양태는, 상기 제9~제12 양태에서, 상기 1조의 제1 돌기부와 상기 1조의 제2 돌기부는, 서로 다른 형상을 구비하고 있는, 향미 흡인기이다.
상기 제13 양태에서는, 제1 지지부에 마련된 제1 돌기부와 제2 돌기부는, 서로 다른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제13 양태에 의하면, 각각 다른 기능을 나타내는 제1 돌기부와 제2 돌기부에, 각각의 기능에 적합한 형상을 부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14 양태는, 상기 제9~제13 양태에서, 상기 1조의 제1 돌기부와 상기 1조의 제2 돌기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기 긴 방향에서, 적어도 일부가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는, 향미 흡인기이다.
상기 제14 양태에서는, 제1 지지부에 마련된 제1 돌기부와 제2 돌기부는, 수용부의 긴 방향에서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4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 지지부의 긴 방향의 길이를 작게 하여, 향미 흡인기의 수용부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15 양태는, 상기 제13 및 제14 양태에서, 상기 1조의 제1 돌기부와 상기 1조의 제2 돌기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기 긴 방향을 따라 연재하고 있으며, 상기 1조의 제1 돌기부의 각각은, 상기 긴 방향을 따른 단면을 본 경우에, 상기 긴 방향을 따라 상기 개구와 반대 측에 위치하는 제1 돌기부의 제1 단부로부터 연재하고, 상기 개구에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수용부의 반경 방향의 중심에 접근하도록 경사지는 제1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1조의 제2 돌기부의 각각은, 상기 긴 방향을 따른 단면을 본 경우에, 상기 긴 방향을 따라 상기 개구 측에 위치하는 제2 돌기부의 제2 단부로부터 연재하고, 상기 개구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상기 수용부의 반경 방향의 중심에 접근하도록 경사지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1조의 제1 돌기부의 각각의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1조의 제2 돌기부의 각각의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수용부의 상기 긴 방향에서 적어도 일부가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경사면의 경사 각도 또는 곡률은, 상기 제2 경사면의 경사 각도 또는 곡률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향미 흡인기이다.
상기 제15 양태에서는, 제1 돌기부에 개구와 반대 측의 제1 단부로부터 연재하는 제1 경사면이 마련되어 있고, 제2 돌기부에 개구 측의 제2 단부로부터 연재하는 제2 경사면이 마련되어 있으며,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은, 수용부의 긴 방향에서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사 각도 또는 곡률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제15 양태에 의하면, 소비재의 삽입의 용이화 및 소비재의 탈락의 억제를 더욱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소비재를 개구로부터 삽입하면, 먼저 1조의 제1 돌기부에 의해 소비재가 파지되고, 이어서, 변형한 소비재의 일부가 한 쌍의 제2 돌기부에 계지한다. 이때, 제1 돌기부에서의 파지의 정도를 약하게 하는 한편으로, 제2 돌기부에서의 파지의 정도를 강하게 함으로써, 단계적인 파지가 가능해져, 소비재의 삽입 시의 저항을 저감함과 함께, 소비재의 탈락을 억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16 양태는, 상기 제3 양태에서, 상기 1조의 접촉부는, 상기 수용부의 둘레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1조의 접속부는, 상기 수용부의 둘레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내벽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제1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의 상기 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을 본 경우로서, 상기 대향하는 한 쌍의 접촉부의 중심끼리를 접속하는 제1 가상선과, 상기 대향하는 한 쌍의 접속부의 중심끼리를 접속하는 제2 가상선을 그었을 경우에, 상기 복수의 제1 돌기부의 모두는, 상기 제1 가상선 및 상기 제2 가상선과 교차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향미 흡인기이다.
상기 제16 양태에서는, 수용부의 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 제1 지지부의 내벽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제1 돌기부의 모두가, 수용부의 제2 지지부에 마련된, 수용된 소비재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한 쌍의 접촉부의 중심끼리를 접속하는 제1 가상선과, 소비재의 외주면과 접촉하지 않는 한 쌍의 접속부의 중심끼리를 접속하는 제2 가상선의 어느 것에도 교차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6 양태에 의하면, 제1 지지부에서, 수용부의 둘레방향에서 접촉부와 겹치는 소비재의 개소를 제1 돌기부에 의해 더욱 압압하는 것을 억제함과 함께, 소비재와 접속부 사이에 형성된 공기 유로가 제1 돌기부에 의해 저해되는 것이 억제된다.
본 개시의 제17 양태는, 상기 제3~제16 양태에서, 상기 챔버는, 상기 가열 영역에 열을 공급하는 열원을 포함하고, 상기 열원은, 상기 수용부의 상기 긴 방향에서 상기 제2 지지부와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는, 향미 흡인기이다.
상기 제17 양태에 의하면, 챔버의 가열 영역에 소비재를 가열하기 위하여 열을 공급하는 열원은, 수용부의 긴 방향에서, 수용된 소비재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1조의 접촉부를 포함하는 제2 지지부와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7 양태에 의하면, 소비재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접촉부의 근방에 위치하는 열원에 의해, 소비재를 가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18 양태는, 상기 제17 양태에서, 상기 열원은, 필름 가열기이며, 상기 필름 가열기는, 상기 챔버의 외주에 감겨져 있는, 향미 흡인기이다.
상기 제18 양태에서는, 챔버의 가열 영역에 소비재를 가열하기 위한 열을 공급하는 열원은, 챔버의 외주에 감겨진 필름 가열기이다. 따라서 제18 양태에 의하면, 간이한 구성으로 소비재를 가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19 양태는, 상기 제2~제18 양태에서, 이하의 제1식을 충족시키고,
L2≥L1/2 (1)
L1은, 상기 수용부의 상기 긴 방향을 따른 상기 가이드부의 길이이며, L2는, 상기 긴 방향을 따른 상기 제1 간극 형성부의 길이인, 향미 흡인기이다.
상기 제19 양태에 의하면, 개구에 접속하는 제1 간극 형성부와, 소비재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가 마련되는 가이드부에서, 제1 간극 형성부는, 전체의 1/2 이상의 긴 방향의 길이를 갖고 있다. 따라서 제19 양태에 의하면, 수용부의 개구와 접속하는 위치에 충분한 길이를 갖는 제1 간극 형성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비재를 스무드하게 삽입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20 양태는, 상기 제1~제19 양태의 향미 흡인기와 상기 소비재를 포함하는, 끽연 시스템이다.
본 개시의 제20 양태에 의하면, 소비재를 향미 흡인기의 수용부에 끼워 넣기 쉬움과 함께 수용부 내에서 소비재를 적절히 보지할 수 있는, 끽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1b는, 향미 흡인기의 개략 상면도이다.
도 1c는, 향미 흡인기의 개략 바닥면도이다.
도 2는, 소비재의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b에 나타낸 화살표 3-3에서의 향미 흡인기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챔버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나타내는 화살표 4B-4B에서의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4b에 나타내는 화살표 5A-5A에서의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4b에 나타내는 화살표 5B-5B에서의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챔버 및 가열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챔버 내의 소망하는 위치에 소비재가 배치된 상태의 도 5b에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삽입 가이드 부재와 챔버를 포함하는 수용부의 내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한 쌍의 제1 돌기부의 둘레방향에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삽입 가이드 부재를 챔버의 축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한 쌍의 제1 돌기부의 긴 방향에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삽입 가이드 부재를 축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a는, 소비재가 수용된 삽입 가이드 부재와 챔버의 요부를 나타내는, 축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b는,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제1 돌기부와 챔버의 상호 배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부의 내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1 돌기부 및 제2 돌기부의 둘레방향에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삽입 가이드를 축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1 돌기부 및 제2 돌기부의 긴 방향에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삽입 가이드 부재를 축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제1 돌기부 및 제2 돌기부의 둘레방향에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삽입 가이드 부재를 축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1 돌기부 및 제2 돌기부의 긴 방향에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삽입 가이드 부재를 축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제1 돌기부의 둘레방향에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삽입 가이드 부재를 축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제1 돌기부의 긴 방향에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삽입 가이드 부재를 축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부의 내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제1 돌기부 및 제2 돌기부의 둘레방향에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삽입 가이드 부재를 축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제1 돌기부 및 제2 돌기부의 긴 방향에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삽입 가이드 부재를 축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단면도에서, 제1 돌기부만을 상면도로 치환한 도이다.
도 23은, 제1 돌기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4는, 제1 돌기부의 능선의 경사 방향을 나타내는, 제1 돌기부의 확대 상면도이다.
도 25는,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부의 내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은, 제1 돌기부 및 제2 돌기부의 둘레방향에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삽입 가이드를 축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7은, 제1 돌기부 및 제2 돌기부의 긴 방향에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삽입 가이드 부재를 축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27에 나타내는 화살표 28-28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9는,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부의 내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0은, 제1 돌기부의 둘레방향에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삽입 가이드 부재를 축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1은, 제1 돌기부의 축 방향에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삽입 가이드 부재를 축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
이하,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도면에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a는,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100)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1b는, 향미 흡인기(100)의 개략 상면도이다. 도 1c는, 향미 흡인기(100)의 개략 바닥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X-Y-Z 직교 좌표계를 부기하는 경우가 있다. 이 좌표계에서, Z축은 연직 상방을 향하고 있고, X-Y 평면은 향미 흡인기(100)를 수평 방향으로 절단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Y축은 향미 흡인기(100)의 정면으로부터 이면으로 연출(延出)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Z축은, 후술하는 무화부(30)의 챔버(50)에 수용되는 소비재의 삽입 방향, 또는 챔버(50)의 축 방향이라고 할 수도 있다. 또한 X축은, Y축 및 Z축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100)는, 예컨대, 에어로졸원을 포함한 향미원을 갖는 스틱형의 소비재를 가열함으로써, 향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도 1a 내지 도 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향미 흡인기(100)는, 아우터 하우징(101)과 슬라이드 커버(102)와 스위치부(103)와 단자(104)를 포함한다. 아우터 하우징(101)은, 향미 흡인기(100)의 최외의 하우징을 구성하고, 사용자의 손에 들어갈만한 사이즈를 갖는다. 사용자가 향미 흡인기(100)를 사용할 때는, 향미 흡인기(100)를 손으로 보지하고, 에어로졸을 흡인할 수 있다. 아우터 하우징(101)은, 복수의 부재를 조립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아우터 하우징(101)은, 예컨대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아우터 하우징(101)의 재질은, 수지제,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PC),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 PEEK(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또는 복수 종류의 폴리머를 함유하는 폴리머 알로이 등으로 형성된 부재를 갖고 있어도 된다.
아우터 하우징(101)은, 소비재를 받아들이기 위한 개구(101a)를 포함하고, 슬라이드 커버(102)는, 이 개구(101a)를 닫도록 아우터 하우징(10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드 커버(102)는, 아우터 하우징의 개구(101a)를 폐쇄하는 폐 위치(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위치)와 개구(101a)를 개방하는 개 위치 사이를, 아우터 하우징(101)의 외표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슬라이드 커버(102)를 수동으로 조작함으로써, 슬라이드 커버(102)를 폐 위치와 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슬라이드 커버(102), 향미 흡인기(100)의 내부로의 소비재의 액세스를 허가 또는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아우터 하우징(101)의 개구(101a)는, 후술하는 삽입 가이드 부재(70)의 제1 개구(70a)와, 챔버(50)의 제2 개구(52)에 대응하여, 외부에 개구하고 있다.
스위치부(103)는, 향미 흡인기(100)의 작동의 온과 오프를 절환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예컨대, 사용자는, 소비재를 향미 흡인기(100)에 삽입한 상태에서 스위치부(103)를 조작함으로써, 후술하는 가열부(40)에 전원(21)으로부터 전력을 공급하고, 소비재를 연소시키지 않고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부(103)는, 아우터 하우징(101)의 외부에 마련되는 스위치이어도 되고, 아우터 하우징(101)의 내부에 위치하는 스위치이어도 된다. 스위치가 아우터 하우징(101)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아우터 하우징(101)의 표면의 스위치부(103)를 압하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스위치가 압하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스위치부(103)의 스위치가 아우터 하우징(101)의 내부에 위치하는 예를 설명한다.
단자(104)는, 향미 흡인기(100)를 예컨대 외부 전원과 접속하는 USB 등의 인터페이스이다. 향미 흡인기(100)가 구비하는 전원이 충전식 배터리인 경우는, 단자(104)에 외부 전원을 접속함으로써, 외부 전원이 전원에 전류를 흘려, 전원을 충전할 수 있다. 또한, 향미 흡인기(100)는, 단자(104)에 데이터 송신 케이블을 접속함으로써, 향미 흡인기(100)의 작동에 관련하는 데이터를 외부 장치에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100)에서 사용되는 소비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소비재(110)의 개략 측단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에서, 향미 흡인기(100)와 소비재(110)에 의해 끽연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소비재(110)는, 끽연 가능물(111)과 통 형상 부재(114)와 중공 필터부(116)와 필터부(115)를 포함한다.
끽연 가능물(111)은, 제1 권지(112)에 의해 권장(卷裝)된다. 통 형상 부재(114), 중공 필터부(116), 및 필터부(115)는, 제1 권지(112)와는 다른 제2 권지(113)에 의해 권장된다. 제2 권지(113)는, 끽연 가능물(111)을 권장하는 제1 권지(112)의 일부도 권장한다. 이로써, 통 형상 부재(114), 중공 필터부(116), 및 필터부(115)와 끽연 가능물(111)이 연결된다. 단, 제2 권지(113)를 생략하고, 제1 권지(112)를 이용하여 통 형상 부재(114), 중공 필터부(116), 및 필터부(115)와 끽연 가능물(111)을 연결하여도 된다. 제2 권지(113)의 필터부(115) 측의 단부 근방의 외면에는, 사용자의 입술이 제2 권지(113)로부터 떨어지기 쉽게 하기 위한 립 릴리스제(117)가 도포된다. 소비재(110)의 립 릴리스제(117)가 도포되는 부분은, 소비재(110)의 흡구로서 기능한다. 또한, 중공 필터부(116)에는, 중공 필터부(116)의 둘레방향으로 동심상으로 개공(開孔)이 마련되어도 된다. 이 개공은, 사용자의 흡인에 의한 외부로부터의 공기의 유입을 촉진시키기 위한 것이며, 개공으로부터 유입하는 공기에 의해, 소비재(110)로부터 유입하는 성분이나 공기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끽연 가능물(111)은, 예컨대 담배 등의 향미원과 에어로졸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끽연 가능물(111)을 감는 제1 권지(112)는, 통기성을 갖는 시트 부재일 수 있다. 통 형상 부재(114)는, 지관(紙管) 또는 중공 필터일 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소비재(110)는, 끽연 가능물(111), 통 형상 부재(114), 중공 필터부(116), 및 필터부(115)를 구비하고 있지만, 소비재(110)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중공 필터부(116)가 생략되고, 통 형상 부재(114)와 필터부(115)가 서로 인접 배치되어도 된다.
다음으로, 향미 흡인기(100)의 내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b에 나타낸 화살표 3-3에서의 향미 흡인기(100)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향미 흡인기(100)의 아우터 하우징(101)의 내측에는, 후술하는 전원부(20)나 무화부(30) 등의 피수용물이 재치되는 재치부(10)가 마련된다. 재치부(10)는, 예컨대 수지제이고, 특히, 폴리카보네이트(PC),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 PEEK(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또는 복수 종류의 폴리머를 함유하는 폴리머 알로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재치부(10)는, 예컨대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여기서, 내열성이나 가공성, 강도의 관점에서, 재치부(10)는, 폴리카보네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재치부(10)의 내부 공간에는, 전원부(20)와 무화부(30)가 마련된다. 또한, 전원부(20) 및 무화부(30)는, 향미 흡인기(100)가 조립된 후에는, 교환 불가능하다. 또한, 아우터 하우징(101)과 재치부(10)를 합쳐 하우징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전원부(20)는 전원(21)을 포함한다. 전원(21)은, 예컨대, 충전식 배터리 또는 비충전식의 배터리일 수 있다. 전원(21)은, 무화부(3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로써, 전원(21)은, 소비재(110)를 적절히 가열하도록, 무화부(3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무화부(3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비재(110)의 삽입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챔버(50)와, 챔버(50)의 일부를 덮는 가열부(40)와, 단열부(32)와, 대략 통 형상의 삽입 가이드 부재(70)를 포함한다. 챔버(50)는, 소비재(11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가열부(40)는, 챔버(50)의 외주면에 접촉하고, 챔버(50)에 수용된 소비재(110)를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챔버(50)의 바닥부에는, 바닥 부재(36)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바닥 부재(36)는, 챔버(50)에 삽입된 소비재(110)를 위치 결정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바닥 부재(36)는, 소비재(110)가 당접하는 면에 요철을 갖고, 소비재(110)가 당접하는 면에 공기를 공급 가능한 공간을 획정할 수 있다. 바닥 부재(36)는, 예컨대 수지제이고, 특히, 폴리카보네이트(PC),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 PEEK(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또는 복수 종류의 폴리머를 함유하는 폴리머 알로이 등, 혹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닥 부재(36)는, 단열부(32) 등에 열이 전해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열전도율이 작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 가이드 부재(70)와 챔버(50)의 조는, 본 개시의 수용부의 일례이며, 삽입 가이드 부재(70)는, 본 개시의 가이드부의 일례이다. 또한 가열부(40)는, 본 개시의 열원의 일례이다.
단열부(32)는, 전체로서 대략 통 형상이며, 챔버(50)를 덮도록 배치된다. 단열부(32)는, 예컨대 에어로겔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 가이드 부재(70)는, 아우터 하우징(101)과 챔버(50) 사이에 마련된다. 삽입 가이드 부재(70)는, 아우터 하우징(101)의 개구(101a)로부터 함체 내로 삽입되면, 손톱부(nail)가 하우징에 계합하여, 하우징 밖으로 탈출 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삽입 가이드 부재(70)는, 예컨대 수지제이고, 특히, 폴리카보네이트(PC),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 PEEK(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PEI(폴리에테르이미드) 또는 복수 종류의 폴리머를 함유하는 폴리머 알로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 가이드 부재(70)는, 금속이나 유리, 세라믹 등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내열성의 관점에서, 삽입 가이드 부재(70)는, PEEK인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 가이드 부재(70)는, 슬라이드 커버(102)가 개 위치에 있을 때에, 향미 흡인기(100)의 외부와 연통하고, 소비재(110)를 삽입 가이드 부재(70)의 제1 개구(70a)에 삽입함으로써, 챔버(50)에의 소비재(110)의 삽입을 안내한다. 슬라이드 커버(102)는, 개 위치에 있을 때에, 삽입 가이드 부재(70)의 제1 개구(70a)를 외부에 노출시키면서, 챔버(50)의 축 방향에서 삽입 가이드 부재(70)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개구(70a)는, 후술하는 챔버(50)의 제2 개구(52)에 대응하여 마련되어 있다. 도 3에서, 슬라이드 커버(102)가 삽입 가이드 부재(70)의 제1 개구(70a)의 전체를 덮도록 닫고 있는 상태를 2점쇄선으로 나타낸다. 제1 개구(70a)는, 본 개시의 수용부의 개구의 일례이다.
향미 흡인기(100)는, 추가로 챔버(50) 및 단열부(32)의 양단을 지지하는, 제1 보지부(37)와 제2 보지부(38)를 포함한다. 제1 보지부(37)는, 챔버(50) 및 단열부(32)의 Z축 부(負) 방향 측의 단부를 보지하도록 배치된다. 제2 보지부(38)는, 챔버(50) 및 단열부(32)의 슬라이드 커버(102) 측(Z축 정(正) 방향 측)의 단부를 보지하도록 배치된다.
다음으로, 챔버(50) 및 가열부(40)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챔버(50)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나타내는 화살표 4B-4B에서의 챔버(50)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4b에 나타내는 화살표 5A-5A에서의 챔버(50)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4b에 나타내는 화살표 5B-5B에서의 챔버(50)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챔버(50) 및 가열부(40)의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챔버(50)는, 소비재(110)가 삽입되는 제2 개구(52)와 소비재(110)를 수용하는 통 형상의 측벽부(60)를 포함하는 통 모양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챔버(50)의 제2 개구(52)를 획정하는 단부에는, 플랜지부(52A)가 형성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챔버(50)의 플랜지부(52A)는, 삽입 가이드 부재(70)의 Z축 부 방향 단부와 접속하고 있다. 챔버(50)는, 내열성을 갖고, 또한 열팽창율이 작은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스테인리스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챔버(50)는, 금속 외에, PEEK 등의 수지나, 유리, 세라믹 등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로써, 챔버(50)로부터 소비재(110)로 효과적인 가열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챔버(50)는, 통 모양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컵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측벽부(60)는, 본 개시의 제2 지지부의 일례이다.
도 4b 및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부(60)는, 접촉부(62)와 이간부(66)를 포함한다. 소비재(110)가 챔버(50) 내의 소망하는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접촉부(62)는, 챔버(50)의 축 방향을 따라 소비재(110)의 일부와 접촉 또는 압압하고, 이간부(66)는, 소비재(110)로부터 이간한다. 즉, 챔버(50)는, 삽입된 소비재(110)를 압축하여 보지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챔버(50) 내의 소망하는 위치'란, 소비재(110)가 적절히 가열되는 위치, 또는 사용자가 끽연할 때의 소비재(110)의 위치를 말한다. 접촉부(62)는, 내면(62a)과 외면(62b)을 포함한다. 이간부(66)는, 내면(66a)과 외면(66b)을 포함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부(40)는, 접촉부(62)의 외면(62b)에 배치된다. 가열부(40)는, 접촉부(62)의 외면(62b)에 간극 없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부(40)는 접착층을 포함하여도 된다. 그 경우, 접착층을 포함하는 가열부(40)가, 접촉부(62)의 외면(62b)에 간극 없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부(62)는, 본 개시의 1조의 접촉부의 일례이다. 이간부(66)는, 본 개시의 1조의 접속부의 일례이다. 또한, 챔버(50)의 측벽부(60)의 형상은, 한 쌍의 접촉부(62)와 한 쌍의 이간부(66)에 의해 구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챔버(50)의 둘레방향에서 대략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한에서, 적절한 수의 접촉부를 마련할 수 있고, 이 접촉부를 서로 접속하도록 이간부를 마련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부(62)의 외면(62b)은 평면이다. 접촉부(62)의 외면(62b)이 평면인 것에 의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부(62)의 외면(62b)에 배치되는 가열부(40)에 띠 형상의 전극(48)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띠 형상의 전극(48)이 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4b 및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부(62)의 내면(62a)은 평면이다. 또한, 도 4b 및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부(62)의 두께는 균일하다.
도 4a, 도 4b, 및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챔버(50)는, 접촉부(62)를 챔버(50)의 둘레방향으로 2개 포함하고, 2개의 접촉부(62)는, 서로 평행이 되도록 대향한다. 2개의 접촉부(62)의 내면(62a) 간의 적어도 일부의 거리는, 챔버(50)에 삽입되는 소비재(110)의 접촉부(62) 간에 배치되는 개소의 폭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간부(66)의 내면(66a)은, 챔버(50)의 긴 방향(Z축 방향)에 직교하는 면에서, 전체적으로 원호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간부(66)는, 접촉부(62)와 둘레방향에서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즉, 접촉부(62) 및 이간부(66)는, 챔버(50)의 긴 방향(Z축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비원형의 내주면을 구성한다.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챔버(50)는 도 3에 나타낸 바닥 부재(36)가 관통하여 챔버(50) 내부에 배치되도록, 그의 바닥부(56)에 구멍(56a)을 가질 수 있다. 바닥 부재(36)는, 챔버(50)의 바닥부(56)의 내부에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바닥 부재(36)와 바닥부(56) 사이에 개재하는 접착제는, 에폭시 수지 등의 수지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에 대신하여, 시멘트나 용접 등, 무기의 접착제도 이용될 수 있다. 바닥부(56)에 마련되는 바닥 부재(36)는, 소비재(110)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도록, 챔버(50)에 삽입된 소비재(110)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바닥부(56)는, 노출된 소비재(110)의 단면이 후술하는 공극(67)(도 7 참조)과 연통하도록, 소비재(110)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도 4a, 도 4b 및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챔버(50)는, 제2 개구(52)와 측벽부(60) 사이에 통 형상의 비보지부(5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비재(110)가 챔버(50)의 소망하는 위치에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비보지부(54)와 소비재(11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비보지부(54)와 소비재(110)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의 폭은, 챔버(50)의 둘레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 실질적으로 동일하여도 되고, 달라도 된다. 예컨대, 긴 방향으로부터 보아, 접촉부(62)와 겹치는 위치에서의 간극의 폭이, 이간부(66)와 겹치는 위치에서의 간극의 폭보다도 커도 된다. 또한, 긴 방향으로부터 보아, 접촉부(62)와 겹치는 위치에서의 간극의 폭이, 이간부(66)와 겹치는 위치에서의 간극의 폭보다도 작아도 된다. 또한,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챔버(50)는, 비보지부(54)의 내면과 접촉부(62)의 내면(62a)을 접속하는 테이퍼면(58a)을 구비한 제1 가이드부(58)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보지부(54)는, 본 개시의 제2 간극 형성부의 일례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부(40)는, 가열 요소(42)를 포함한다. 가열 요소(42)는, 예컨대 히팅 트랙이어도 되고, 필름 가열기이어도 된다. 가열 요소(42)는, 챔버(50)의 이간부(66)에 접촉하지 않고, 접촉부(62)를 가열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가열 요소(42)는, 접촉부(62)의 외면에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요소(42)는, 챔버(50)의 이간부(66)를 가열하는 부분과, 접촉부(62)를 가열하는 부분에서, 가열 능력에 차를 갖고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가열 요소(42)는, 이간부(66)보다도 접촉부(62)를 높은 온도로 가열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컨대, 접촉부(62)와 이간부(66)에서의 가열 요소(42)의 히팅 트랙의 배치 밀도가 조정될 수 있다. 또한, 가열 요소(42)는, 챔버(50)의 전체 둘레에서 대략 동일한 가열 능력을 갖고, 챔버(50)의 외주에 권회되어도 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부(40)는, 가열 요소(42)에 더하여, 가열 요소(42)의 적어도 일면을 덮는 전기 절연 부재(4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전기 절연 부재(44)는 가열 요소(42)의 양면을 덮도록 배치된다.
도 7은, 챔버(50) 내의 소망하는 위치에 소비재(110)가 배치된 상태의 도 5b에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비재(110)가 챔버(50) 내의 소망하는 위치에 배치되면, 소비재(110)는 챔버(50)의 접촉부(62)와 접촉하여 압압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소비재(110)와 이간부(66) 사이에는, 공극(67)이 형성된다. 공극(67)은, 챔버(50)의 제2 개구(52)와 챔버(50) 내에 위치결정된 소비재(110)의 단면과 연통할 수 있다. 이로써, 챔버(50)의 제2 개구(52)로부터 유입한 공기는, 공극(67)을 통과하여, 소비재(110)의 내부로 유입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소비재(110)와 이간부(66) 사이에 공기 유로(공극(67))가 형성된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부의 상세)
이하, 삽입 가이드 부재(70)의 내부의 구조를, 챔버(50)와 삽입된 소비재(110)의 관계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삽입 가이드 부재(70)와 챔버(50)를 포함하는 수용부의 내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한 쌍의 제1 돌기부(214A)의 둘레방향에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삽입 가이드 부재(70)를 챔버(50)의 축 방향(즉, 소비재(110)의 삽입 방향 및 Z축 방향)에 수직인 단면(즉, X-Y 평면)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한 쌍의 제1 돌기부(214A)의 긴 방향에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삽입 가이드 부재(70)를 챔버(50)의 축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소비재(110)가 수용된 삽입 가이드 부재(70)와 챔버(50)의 요부를 나타내는, 챔버(50)의 축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삽입 가이드 부재(70)의 축 방향 및 챔버(50)의 축 방향은, 본 개시의 수용부의 긴 방향의 일례이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 가이드 부재(70)의 내벽면에는, 삽입 가이드 부재(70)의 반경 방향 중심을 향하여 돌출하고, 삽입 가이드 부재(70)의 둘레방향에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돌기부(214A)가 마련되어 있다. 도 8 및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 가이드 부재(70)에서, 삽입 가이드 부재(70)의 축 방향을 따라, 제1 돌기부(214A)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비돌출부(212), 제1 돌기부(214A)가 마련되어 있는 부분을 돌출부(214)라고 한다. 여기서, 삽입 가이드 부재(70)의 비돌출부(212)와 소비재(110)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의 폭은, 삽입 가이드 부재(70)의 둘레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 실질적으로 동일하여도 되고, 달라도 된다. 예컨대, 긴 방향으로부터 보아, 접촉부(62)와 겹치는 위치에서의 간극의 폭이, 이간부(66)와 겹치는 위치에서의 간극의 폭보다도 커도 된다. 또한, 긴 방향으로부터 보아, 접촉부(62)와 겹치는 위치에서의 간극의 폭이, 이간부(66)와 겹치는 위치에서의 간극의 폭보다도 작아도 된다. 삽입 가이드 부재(70)의 비돌출부(212)는, 본 개시의 제1 간극 형성부의 일례이며, 삽입 가이드 부재(70)의 돌출부(214)는, 본 개시의 제1 지지부의 일례이다. 삽입 가이드 부재(70)의 내벽면에 마련되는 제1 돌기부(214A)는, 삽입 가이드 부재(70)의 둘레방향에서 대향하는 2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삽입 가이드 부재(70)의 둘레방향에서 대략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한에서, 그 수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낸 일점쇄선은, 소비재(110)가 적절한 각도로 제1 개구(70a)에 삽입되어 수용부에 수용되었을 때에, 변형되어 있지 않은 소비재(110)의 외주면을 나타내는 가상원(226)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돌기부(214A)는, 가상원(226)의 내측으로 돌출한다. 또한, 변형되어 있지 않은 소비재(110)의 외주면의 형상은 원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대략 직사각형상이나 대략 삼각 형상 등, 여러가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가상원(226)은, 본 개시의 가상 외형의 일례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삽입 가이드 부재(70)의 Z축 부 방향 단부는 챔버(50)의 플랜지부(52A)와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4a에 나타나는 챔버(50)의 플랜지부(52A)와 측벽부(60) 사이에 획정되는 비보지부(54)는, 플랜지부(52A)를 개재하여 삽입 가이드 부재(70)의 돌출부(214)에 접속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도 4a 및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챔버(50)의 비보지부(54)는, 접촉부(62)와 이간부(66)를 포함하는 측벽부(60)에 접속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도 5a 및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부(62)는, 소비재(110)가 챔버(50) 내의 소망하는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에 소비재(110)의 일부와 접촉 또는 압압하는 부재이며, 이간부(66)는, 이 경우에 소비재(110)로부터 이간하는 부재이다. 따라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 가이드 부재(70)와 챔버(50)를 포함하는 수용부는, 삽입 가이드 부재(70) 및 챔버(50)의 축 방향을 따라 삽입 가이드 부재(70)의 제1 개구(70a)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즉, Z축 부 방향)으로, 삽입 가이드 부재(70)의 비돌출부(212)와, 삽입 가이드 부재(70)의 돌출부(214)와, 챔버(50)의 비보지부(54)와, 챔버(50)의 측벽부(60)의 접촉부(62)를 이 순서로 포함하고 있다.
도 11은, 삽입 가이드 부재(70)의 비돌출부(212)와, 삽입 가이드 부재(70)의 돌출부(214), 챔버(50)의 비보지부(54)와, 챔버(50)의 측벽부(60)의 접촉부(62)의 상호 배치를, 삽입된 소비재(110)와 함께, 나타내고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 가이드 부재(70)의 내벽면에 마련된 한 쌍의 제1 돌기부(214A)는, 챔버(50)의 측벽부(60)의 접촉부(62)와, 둘레방향에서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삽입 가이드 부재(70)의 제1 개구(70a)로부터 본 경우, 삽입 가이드 부재(70)의 제1 돌기부(214A)와 챔버(50)의 접촉부(62)는, 둘레방향에서 서로 겹쳐 보이도록 배치되어 있다. 삽입 가이드 부재(70)의 내벽면에는, 도 8에 나타난 제1 돌기부(214A)에 더하여, 접속부(66)와 겹치도록 배치된 추가적인 제1 돌기부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접촉부(62)와 겹치도록 배치된 제1 돌기부(214A)는, 접속부(66)와 겹치도록 배치된 추가적인 제1 돌기부보다도, 챔버(50)의 직경 방향 중심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또한 도 8~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 가이드 부재(70)의 내벽면에 마련된 한 쌍의 제1 돌기부(214A)는, 서로 합동인 형상, 구체적으로는 구결 또는 반구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제1 돌기부(214A)의 형상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호형(弧型)이나 직사각형이어도 된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 가이드 부재(70)의 축 방향에서, 비돌출부(212)의 길이(L2)와 삽입 가이드 부재(70) 전체의 길이(L1)는, 이하의 제1식을 충족시킨다.
L2≥L1/2 (1)
또한, 삽입 가이드 부재(70)의 축 방향에서, 비돌출부(212)의 길이(L2)와 돌출부(214)의 길이(L3)는, 이하의 제2식을 충족시킨다.
L2≥L3 (2)
또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100)와 소비재(110)의 조합에 의해, 끽연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삽입 가이드 부재(70)의 돌출부(214)는, 한 쌍의 제1 돌기부(214A)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삽입 가이드 부재(70)의 돌출부(214)의 구성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삽입 가이드 부재(70)의 둘레방향에서 서로 이간하고, 돌출부(214)의 내벽면으로부터 삽입 가이드 부재(70)의 반경 방향 중심을 향하여 돌출하는 복수의 제1 돌기부(214A)를 구비하고 있으면 된다. 복수의 제1 돌기부(214A)가, 축 방향을 따라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제1 개구(70a)에 가장 접근하는 제1 돌기부(214A)의 제1 개구(70a) 측의 단부와, 제1 개구(70a)로부터 가장 떨어진 제1 돌기부(214A)의 제1 개구(70a)와 반대 측의 단부 사이의 영역이, 삽입 가이드 부재(70)의 돌출부(214)를 구성한다.
또한, 복수의 제1 돌기부(214A)는, 삽입 가이드 부재(70)의 축 방향에 수직인 단면을 본 경우에, 삽입 가이드 부재(70)의 중심축에 대하여 점대칭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실시형태의 작용)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100)에서의 삽입 가이드 부재(70)와 챔버(50)의 조를 포함하는 수용부에서는, 소비재(110)가 삽입되는 제1 개구(70a)로부터, 제1 개구(70a)에 접속하는 비돌출부(212)와, 제1 돌기부(214A)가 마련되어 있는 돌출부(214)와, 챔버(50)의 비보지부(54)와, 챔버(50)의 측벽부(60)의 접촉부(62)가,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부에 의하면, 비돌출부(212)가 마련되어있음으로써 제1 개구(70a)를 통과한 소비재(110)의 삽입이 용이한 한편, 돌출부(214)와 접촉부(62)에 의해 소비재(110)를 적절히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부에 의하면, 돌출부(214)와 접촉부(62)에 의해 압압된 소비재(110)가, 돌출부(214)와 접촉부(62) 사이에 위치하는 챔버(50)의 비보지부(54)에 대응하는 개소에서 부풀어 올라, 비보지부(54)에 계합함으로써, 소비재(110)의 탈락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부에서는, 소비재(110)를 가열하는 챔버(50)에 비보지부(54)와 접촉부(62)가 마련되고, 제1 개구(70a)로부터 삽입된 소비재(110)를 챔버(50)에 유도하는 삽입 가이드 부재(70)에 비돌출부(212)와 돌출부(214)가 마련된다. 따라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부에 의하면, 비가열 영역에 배치된 돌출부(214)와 가열 영역에 배치된 접촉부(62)에 의해, 가열 영역의 경계를 이루는 챔버(50)의 플랜지부(52A) 및 제2 개구(52)를 걸쳐가며 소비재(110)를 적절히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부에서는, 챔버(50)의 측벽부(60)에서, 수용된 소비재(110)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접촉부(62)와, 소비재(110)의 외주면과 접촉하지 않는 이간부(66)가 마련된다. 따라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부에 의하면, 소비재(110)와 이간부(66) 사이에 공극(67)이 형성되고, 제1 개구(70a)로부터 유입한 공기는 이 공극(67)을 통과하여 향미 흡인기의 내부에 유입하며, 끽연에 적합한 공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부에서는, 챔버(50)의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소비재(110)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접촉부(62)와 겹치는 위치에, 돌출부(214)로부터, 제1 돌기부(214A)가 돌출하고 있다. 따라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부에 의하면, 챔버(50)의 둘레방향의 동일한 위치에서, 챔버(50)의 축 방향을 따라 2개의 개소에서 소비재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돌기부(214A)에 의해 변형한 소비재(110)가 챔버(50)의 내부에서 계지되어 소비재(110)의 탈락이 억제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부에서는, 소비재(110)가 적절한 각도로 제1 개구(70a)에 삽입되어 수용부에 수용되었을 때에, 한 쌍의 제1 돌기부(214A)의 각각은, 변형되어 있지 않은 소비재(110)의 외주면을 나타내는 가상원(226)의 내측으로 돌출한다. 따라서 제1 양태에 따른 수용부에 의하면, 소비재(110)가 적절히 수용된 경우, 한 쌍의 제1 돌기부(214A)에 의해 소비재(110)를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100)에서는, 챔버(50)의 가열 영역에 소비재(110)를 가열하기 위한 열을 공급하는 가열부(40)는, 챔버(50)의 축 방향에서, 수용된 소비재(110)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한 쌍의 접촉부(62)를 포함하는 챔버(50)의 측벽부(60)와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부에 의하면, 소비재(110)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접촉부(62)의 근방에 위치하는 가열부(40)에 의해, 소비재(110)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100)에서는, 가열부(40)는, 챔버(50)의 외주에 감겨진 필름 가열기로서의 가열 요소(42)를 구비하여도 된다. 따라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부에 의하면, 간이한 구성으로 소비재(110)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부에서는, 제1 개구(70a)에 접속하는 비돌출부(212)와, 소비재(110)를 지지하는 돌출부(214)가 마련되는 삽입 가이드 부재(70)에서, 비돌출부(212)는, 삽입 가이드 부재(70) 전체의 1/2 이상의 긴 방향의 길이를 갖고 있다. 따라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부에 의하면, 제1 개구(70a)와 접속하는 위치에 충분한 길이를 갖는 비돌출부(21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비재(110)를 스무드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부에서는, 삽입 가이드 부재(70)에서, 비돌출부(212)는, 돌출부(214)보다도 큰 긴 방향의 길이를 갖고 있다. 따라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부에 의하면, 소비재(110)를 지지하는 돌출부(214)보다도 긴 간극이 소비재(110)와의 사이에 형성되기 때문에, 소비재(110)를 스무드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100)와 소비재(110)의 조합에 의한 끽연 시스템에 의하면, 소비재(110)를 향미 흡인기(100)의 수용부에 끼워 넣기 쉬움과 함께 수용부 내에서 소비재(110)를 적절히 보지할 수 있는, 끽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상술한 바와 같이, 챔버(50)의 측벽부(60)의 구성은, 도 4a~7에 나타내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삽입 가이드 부재(70)에 마련되는 제1 돌기부는, 삽입 가이드 부재(70)의 둘레방향에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돌기부(214A)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의 일례로서 도 11b에,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1b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도 9에 대응하는 도이며, 축 방향 하방(Z축 부 방향)에 위치하는 챔버(50)의 외형을 중첩시켜 나타내고 있다.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는, 챔버(50)를 대략 삼각 형상의 축 방향 단면을 갖도록 변형하고, 삽입 가이드 부재(70)의 돌출부(214)에 챔버(50)의 형상에 대응하는 3개의 제1 돌기부(214A)를 마련한 것이다.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챔버(50)의 측벽부(60)는, 3변의 접촉부(62A)와, 삼각 형상의 정점 근방에 위치하는 3개의 이간부(66A)를 포함한다. 소비재(110)가 챔버(50) 내의 소망하는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접촉부(62A)는, 챔버(50)의 축 방향을 따라 소비재(110)의 일부와 접촉 또는 압압하고, 이간부(66A)는, 소비재(110)로부터 이간한다.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삽입 가이드 부재(70)의 내벽면에 마련된 한 쌍의 제1 돌기부(214A)는, 챔버(50)의 측벽부(60)의 접촉부(62A)와, 둘레방향에서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삽입 가이드 부재(70)의 제1 개구(70a)로부터 본 경우, 삽입 가이드 부재(70)의 제1 돌기부(214A)와 챔버(50)의 접촉부(62A)는, 둘레방향에서 서로 겹쳐 보이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
이하, 본 개시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2~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삽입 가이드 부재(270)와 챔버(50)의 조의 내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한 쌍의 제1 돌기부(214A) 및 한 쌍의 제2 돌기부(224B)의 둘레방향에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삽입 가이드 부재(270)를 축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1 돌기부(214A) 및 제2 돌기부(224B)의 긴 방향에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삽입 가이드 부재(270)를 축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상당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100)와 비교하여, 삽입 가이드 부재(270)의 구성이 다르다. 즉, 도 12~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삽입 가이드 부재(270)는, 돌출부(214)에, 한 쌍의 제1 돌기부(214A)에 더하여, 한 쌍의 제2 돌기부(224B)가 더욱 마련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 가이드 부재(270)의 내벽면에 마련된 한 쌍의 제2 돌기부(224B)는, 챔버(50)의 측벽부(60)의 이간부(66)와, 둘레방향에서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삽입 가이드 부재(270)의 제1 개구(70a)로부터 본 경우, 삽입 가이드 부재(270)의 제2 돌기부(224B)와 챔버(50)의 이간부(66)는, 둘레방향에서 서로 겹쳐 보이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 가이드 부재(270)의 둘레방향에서, 한 쌍의 제1 돌기부(214A)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한 쌍의 제2 돌기부(224B)는, 삽입 가이드 부재(270)의 둘레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제1 돌기부(214A)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가상원(226)의 내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한편,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제2 돌기부(224B)는, 가상원(226)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삽입 가이드 부재(270)의 내벽면에 마련되는 제2 돌기부(224B)는, 삽입 가이드 부재(270)의 둘레방향에서 대향하는 2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삽입 가이드 부재(270)의 둘레방향에서 대략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한에서, 그 수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 12~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 가이드 부재(270)의 내벽면에 마련된 한 쌍의 제2 돌기부(224B)는, 서로 합동인 형상, 구체적으로는 구결 또는 반구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2 및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 가이드 부재(270)의 돌출부(214)의 내벽면에서, 한 쌍의 제1 돌기부(214A)와 한 쌍의 제2 돌기부(224B)는, 수용부의 긴 방향에서, 적어도 일부가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의 작용)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삽입 가이드 부재(270)와 챔버(50)의 조를 포함하는 수용부에서는, 소비재(110)를 지지하는 돌출부(214)에서, 제1 돌기부(214A)에 더하여, 수용부의 긴 방향으로부터 보아 소비재(110)에 접촉하지 않는 챔버(50)의 측벽부(60)의 이간부(66)와 서로 겹치는 위치에 한 쌍의 제2 돌기부(224B)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부에 의하면, 접촉부(62) 및 돌출부(214)에서 소비재(110)를 확실히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챔버(50)의 측벽부(60)에서 접촉부(62)에 의해 압압된 소비재(110)는, 이간부(66)를 향하여 부풀어 올라, 이 부풀어 오른 개소가 제2 돌기부(224B)에 계지하여, 소비재(110)의 탈락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삽입 가이드 부재(270)에서는, 제1 돌기부(214A)에 의해 압압되어 변형한 소비재(110)가 제2 돌기부(224B)와 계지하여, 소비재(110)의 탈락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부에서는, 소비재(110)가 적절한 각도로 제1 개구(70a)에 삽입되어 수용부에 수용되었을 때에, 제1 돌기부(214A)는 변형되어 있지 않은 소비재(110)의 외주면을 나타내는 가상원(226)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반면, 한 쌍의 제2 돌기부(224B)는 가상원(226)의 외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부에 의하면, 소비재(110)가 적절히 수용된 경우, 제1 돌기부(214A)에 의해 소비재(110)를 파지하는 한편으로, 제2 돌기부(224B)는, 소비재(110)를 강하게 파지하지 않지만, 소비재(110)가 흔들렸을 때에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부에서는, 소비재(110)를 지지하는 돌출부(214)에 마련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2 돌기부(224B)는, 서로 합동인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부에 의하면, 수용부의 둘레방향에서 대칭인 위치 및 양태로, 소비재(110)가 흔들렸을 때에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부에서는, 돌출부(214)에 마련된 제1 돌기부(214A)와 제2 돌기부(224B)는, 수용부의 긴 방향에서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부에 의하면, 돌출부(214)의 긴 방향의 길이를 작게 하여, 향미 흡인기의 수용부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이하, 본 개시의 제3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5 및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한 쌍의 제1 돌기부(234A) 및 한 쌍의 제2 돌기부(234B)의 둘레방향에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삽입 가이드 부재(370)를 축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1 돌기부(234A) 및 제2 돌기부(234B)의 긴 방향에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삽입 가이드 부재(370)를 축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또한 제1 실시형태 또는 제2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상당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100) 및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와 비교하여, 삽입 가이드 부재(370)의 구성이 다르다. 즉, 도 15 및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삽입 가이드 부재(370)는, 돌출부(234)에 마련된, 제1 돌기부(234A)와 제2 돌기부(234B)의 형상이 다르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삽입 가이드 부재(370)는, 축 방향을 따라, 비돌출부(232)와 돌출부(234)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돌기부(234A)는, 삽입 가이드 부재(370)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재하고 있으며, 제1 돌기부(234A)는, 삽입 가이드 부재(370)의 축 방향을 따른 단면을 본 경우에 제1 개구(70a)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삽입 가이드 부재(370)의 반경 방향의 중심으로 접근하는 경사부(236)를 포함하고 있다.
경사부(236)는, 0.5°~30°의 경사 각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사부는 대략 직선상이 아니고 원호상이어도 되고, 그 경우 R0.5~R10의 곡률 반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제2 돌기부(234B)는, 변형되어 있지 않은 소비재(110)의 외주면을 나타내는 가상원(226)을 따라 만곡하는 만곡부(238)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 가이드 부재(370)의 축 방향을 따라 제1 개구(70a)와 반대 측에 위치하는, 제2 돌기부(234B)의 제3 단부(240)는, 챔버(50)의 비보지부(54)에 접속하고 있다.
또한, 도 15 및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돌기부(234A)와 제2 돌기부(234B)는, 서로 다른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제3 실시형태의 작용)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부에서는, 제1 개구(70a)를 통하여 삽입된 소비재(110)를 최초로 지지하는 돌출부(214)의 제1 돌기부(234A)는, 수용부의 긴 방향을 따른 단면을 본 경우에 제1 개구(70a)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수용부의 반경 방향의 중심으로 접근하는 경사부(236)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부에 의하면, 향미 흡인기에의 소비재(110)의 삽입 시의 저항이 작고, 사용자에 대해서 삽입 시에 불쾌감을 일으키게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부에서는, 돌출부(234)에 마련된 제2 돌기부(234B)는, 변형되어 있지 않은 소비재(110)의 외주면을 나타내는 가상원(226)을 따라 만곡하는 만곡부(238)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부에 의하면, 소비재(110)의 외형을 따라 만곡하는 만곡부(238)에 의해, 소비재(110)가 흔들렸을 때에, 적절히 소비재(11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부에서는, 제1 개구(70a)와 반대 측에 위치하는 제2 돌기부(234B)의 제3 단부(240)는, 돌출부(234)와 챔버(50)의 비보지부(54)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부에 의하면, 챔버(50)의 비보지부(54)에서 부풀어 오른 소비재(110)가, 비보지부(54)에 면한 제3 단부(240)를 포함하는 제2 돌기부(234B)에 계지함으로써, 소비재(110)의 탈락이 보다 억제된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부에서는, 돌출부(234)에 마련된 제1 돌기부(234A)와 제2 돌기부(234B)는, 서로 다른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부에 의하면, 각각 다른 기능을 나타내는 제1 돌기부(234A)와 제2 돌기부(234B)에, 각각의 기능에 적합한 형상을 부여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
본 명세서의 말미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각 실시형태는, 서로 저해하지 않는 한에서, 각 구성 요소를 적절히 변형하거나 또는 조합시킬 수 있다. 그의 일례로서 도 17 및 18에,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7 및 도 18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도 15 및 16에 각각 대응하는 도이다.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삽입 가이드 부재로부터, 한 쌍의 제2 돌기부(234B)를 삭제하도록 변경한 것이다.
[제4 실시형태]
이하, 본 개시의 제4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9~2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삽입 가이드 부재(470)와 챔버(50)의 조의 내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한 쌍의 제1 돌기부(244A) 및 한 쌍의 제2 돌기부(234B)의 둘레방향에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삽입 가이드 부재(470)를 축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제1 돌기부(244A) 및 제2 돌기부(234B)의 긴 방향에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삽입 가이드 부재(470)를 축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단면도에서, 제1 돌기부(244A)만을 상면도로 치환한 도이다. 도 23은, 제1 돌기부(244A)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4는, 제1 돌기부(244A)의 능선(246C)의 경사 방향을 나타내는, 제1 돌기부(244A)의 확대 상면도이다. 또한 제1 실시형태 내지 제3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상당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100) 및 제2 실시형태 및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와 비교하여, 삽입 가이드 부재(470)의 구성이 다르다. 즉, 도 19~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삽입 가이드 부재(370)는, 돌출부(244)에 마련된, 제1 돌기부(244A)의 형상이, 제1 실시형태 내지 제3 실시형태의 제1 돌기부와는 다르다. 한편, 돌출부(244)에는, 제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제2 돌기부(234B)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삽입 가이드 부재(470)는, 축 방향을 따라, 비돌출부(242)와 돌출부(244)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돌기부(244A)는, 삽입 가이드 부재(470)의 축 방향에 수직인 단면을 본 경우에, 제1변(246a)과, 제2변(246b)과, 제1변(246a)과 제2변(246b)을 접속하는 정점(246c)을 포함하고, 제1변(246a)과 제2변(246b)이 이루는 각은 둔각이다.
특히, 제1변(246a)과 제2변(246b)이 이루는 둔각의 각도는, 1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9, 21~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돌기부(244A)는, 삽입 가이드 부재의 축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연재하고 있다. 도 21에 나타난 제1변(246a)을 포함하고, 축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면이, 제1면(246A)이다. 도 21에 나타난 제2변(246b)을 포함하고, 축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면이, 제2면(246b)이다. 제1면(246A)과 제2면(246B)을 접속하고, 도 21에 나타난 정점(246c)을 포함하며, 축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대략 직선이, 능선(246C)이다. 도 22 및 23에, 제1 돌기부(244A)의 제1면(246A)과 제2면(246B)과 능선(246C)이 나타나 있다. 제1 돌기부(244A)의 능선(246C)은, 축 방향(도 22 및 24 상에서 점으로서 나타날 수 있음)과 병행이 아니다. 특히,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도에서, 능선(246C)의 축 방향을 따라 제1 개구(70a)와 반대 측에 위치하는 단부(246D)를 접속한 직선(도 24의 파선)을 기준으로 하여, 2개의 능선(246C)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고 있다.
이상에서는, 2개의 능선(246C)의 경사에 대하여, 단부(246D)를 접속한 직선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23에 나타내는 능선(246C)의 축 방향을 따라 제1 개구(70a) 측에 위치하는 단부(246E)를 접속한 직선을 기준으로 취했다고 하여도, 2개의 능선(246C)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고 있다.
(제4 실시형태의 작용)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부에서는, 수용부의 축 방향에 수직인 단면을 본 경우에, 돌출부(244)의 제1 돌기부(244A)는, 둔각을 갖는 삼각 형상으로 돌출부(244)의 내벽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따라서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부에 의하면, 제1 돌기부(224A)는 예리한 정점을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소비재(110)를 손상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부에서는, 제1 돌기부(224A)와 소비재(110)의 접촉면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재(110)의 탈락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제1변(246a)과 제2변(246b)이 이루는 둔각의 각도가 160° 이하임으로써, 소비재를 손상시키는 것을 막는 것과 함께, 소비재의 외주면이 정점에 걸리도록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부에서는, 한 쌍의 제1 돌기부(244A)의 각각에서 제1면(246A)과 제2면(246B)을 접속함과 함께 정점(246c)을 포함하여 축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2개의 능선(246C)이, 수용부의 축 방향을 따라 제1 개구(70a)와 반대 측에 위치하는 단부(246D)를 접속하는 직선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따라서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부에 의하면, 서로 대향함과 함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는 능선을 구비한 한 쌍의 제1 돌기부에 의해, 소비재의 삽입 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어느 일정한 토크가 생겨 삽입 시에는 소비재를 스무드하게 삽입할 수 있음과 함께, 삽입 후에는 소비재의 탈락을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제1 돌기부(244A)는, 둘레방향에서 대향하는 쌍을 이루는 것으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제1 돌기부(244A)의 수는, 2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3개, 4개의 제1 돌기부(244A)를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1 돌기부(244A)의 능선(246C)의 경사 방향은, 상술한 토크 생성의 작용을 나타내도록, 적절히 변경된다.
[제5 실시형태]
이하, 본 개시의 제5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25~2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5는,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삽입 가이드 부재(570)와 챔버(50)의 조의 내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은, 한 쌍의 제1 돌기부(254A) 및 한 쌍의 제2 돌기부(254B)의 둘레방향에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삽입 가이드 부재(570)를 축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7은, 제1 돌기부(254A) 및 제2 돌기부(254B)의 긴 방향에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삽입 가이드 부재(570)를 축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27에 나타내는 화살표 28-28에서의 단면도이다. 또한 제1 실시형태 내지 제4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상당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제5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100) 및 제2 실시형태 내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와 비교하여, 삽입 가이드 부재(570)의 구성이 다르다. 즉, 도 25~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삽입 가이드 부재(570)는, 돌출부(254)에 마련된, 제1 돌기부(254A) 및 제2 돌기부(254B)의 형상이, 제1 실시형태 내지 제4 실시형태의 제1 돌기부 및 제2 돌기부와는 다르다. 또한,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삽입 가이드 부재(570)는, 축 방향을 따라, 비돌출부(252)와 돌출부(254)를 구비하고 있다.
도 25 및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돌기부(254A) 및 제2 돌기부(254B)는, 각각 삽입 가이드 부재(570)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재하고 있다.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 가이드 부재(570)의 축 방향을 따른 단면을 본 경우에, 한 쌍의 제1 돌기부(254A)의 각각은, 축 방향을 따라 제1 개구(70a)와 반대 측에 위치하는 제1 돌기부(254A)의 제1 단부(258A)로부터 연재하고, 제1 개구(70a)에 가까워짐에 따라 삽입 가이드 부재(570)의 반경 방향의 중심에 접근하도록 경사지는 제1 경사면(256A)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제2 돌기부(254B)의 각각은, 삽입 가이드 부재(570)의 축 방향을 따른 단면을 본 경우에, 삽입 가이드 부재(570)의 축 방향을 따라 제1 개구(70a) 측에 위치하는 제2 돌기부(254B)의 제2 단부(258B)로부터 연재하고, 제1 개구(70a)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삽입 가이드 부재(570)의 반경 방향의 중심에 접근하도록 경사지는 제2 경사면(256B)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돌기부(254A)의 제1 경사면(256A)과, 제2 돌기부(254B)의 제2 경사면(256B)은, 삽입 가이드 부재(570)의 축 방향에서 적어도 일부가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삽입 가이드 부재(570)의 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제1 경사면(256A)의 경사 각도 또는 곡률은, 제2 경사면(256B)의 경사 각도 또는 곡률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단, 제1 경사면(256A)의 경사 각도 및 곡률을, 제2 경사면(256B)의 경사 각도 및 곡률과 다르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5 실시형태의 작용)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부에서는, 제1 돌기부(254A)에 제1 개구(70a)와 반대 측의 제1 단부(258A)로부터 연재하는 제1 경사면(256A)이 마련되어 있고, 제2 돌기부(254B)에 제1 개구(70a) 측의 제2 단부(258B)로부터 연재하는 제2 경사면(256B)이 마련되어 있으며, 제1 경사면(256A)과 제2 경사면(256B)은, 삽입 가이드 부재(570)의 축 방향에서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사 각도 또는 곡률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부에 의하면, 소비재(110)의 삽입의 용이화 및 소비재(110)의 탈락의 억제를 더욱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소비재(110)를 제1 개구(70a)로부터 삽입하면, 먼저 한 쌍의 제1 돌기부(254A)에 의해 소비재(110)가 파지되고, 이어서, 변형한 소비재(110)의 일부가 한 쌍의 제2 돌기부(254B)에 계지한다. 이때, 제1 돌기부(254A)에서의 파지의 정도를 약하게 하는 한편으로, 제2 돌기부(254B)에서의 파지의 정도를 강하게 함으로써, 단계적인 파지가 가능해져, 소비재(110)의 삽입 시의 저항을 저감함과 함께, 소비재(110)의 탈락을 억제할 수 있다.
[제6 실시형태]
이하, 본 개시의 제6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29~3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9는,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삽입 가이드 부재(670)와 챔버(50)의 조의 내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0은, 4개의 제1 돌기부(264A)의 둘레방향에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삽입 가이드 부재(670)를 축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1은, 제1 돌기부(264A)의 긴 방향에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삽입 가이드 부재(670)를 축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또한 제1 실시형태 내지 제5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상당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제6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100) 및 제2 실시형태 내지 제5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와 비교하여, 삽입 가이드 부재(670)의 구성이 다르다. 즉,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삽입 가이드 부재(670)는, 돌출부(264)에 마련된 4개의 제1 돌기부(264A)를 포함하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 내지 제5 실시형태의 삽입 가이드 부재와는 다르다.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돌기부(264A)는, 변형되어 있지 않은 소비재(110)의 외주면을 나타내는 가상원(226)의 내부로 돌출한다. 또한,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삽입 가이드 부재(670)는, 축 방향을 따라, 비돌출부(262)와 돌출부(264)를 구비하고 있다.
도 30은, 삽입 가이드 부재(670)의 단면도에, 챔버(50)의 측벽부(60)의 단면도(도 5a 및 5b를 참조)를 중첩시켜 나타내고 있다. 측벽부(60)의 한 쌍의 접촉부(62)의 중심끼리를 접속하는 직선이 제1 가상선(162)이며, 측벽부(60)의 한 쌍의 이간부(66)의 중심끼리를 접속하는 직선이 제2 가상선(166)이다.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264)에 마련된 복수의 제1 돌기부(264A)의 모두는, 삽입 가이드 부재(670)의 둘레방향에서, 제1 가상선(162) 및 제2 가상선(166)과 교차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 가이드 부재(670)의 돌출부(264)에는, 4개의 제1 돌기부(264A)가 마련되어 있다.
(제6 실시형태의 작용)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부에서는, 수용부의 축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 삽입 가이드 부재(670)의 돌출부(264)의 내벽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제1 돌기부(264A)의 모두가, 챔버(50)의 측벽부(60)에 마련된, 수용된 소비재(110)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한 쌍의 접촉부(62)의 중심끼리를 접속하는 제1 가상선(162)과, 소비재(110)의 외주면과 접촉하지 않는 한 쌍의 이간부(66)의 중심끼리를 접속하는 제2 가상선(166)의 어느 것에도 교차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부에 의하면, 삽입 가이드 부재(670)의 돌출부(264)에서, 수용부의 둘레방향에서 접촉부(62)와 겹치는 소비재(110)의 개소를 제1 돌기부(264A)에 의해 더욱 압압하는 것을 억제함과 함께, 소비재(110)와 이간부(66) 사이에 형성된 공기 유로(공극(67))가 제1 돌기부(264A)에 의해 저해되는 것이 억제된다.
특히, 4개의 제1 돌기부(264A)를 마련함으로써, 적합한 공기 유로를 확보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 내지 제6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기의 각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 및 명세서와 도면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특히, 상호가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 실시예의 특징을 적절히 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직접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가 없는 어느 형상이나 재질이어도, 본 개시의 작용을 나타내는 이상,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이다. 예컨대, 본 개시의 향미 흡인기(100)는, 챔버(50)의 제2 개구(52)로부터 유입한 공기가 소비재(110)의 단면에 공급되는, 이른바 카운터 플로우식의 공기 유로를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챔버(50)의 바닥부(56)로부터 챔버(50) 내에 공기가 공급하는, 이른바 보텀 플로우식의 공기 유로를 포함하여도 된다. 또한, 가열 요소(42)는, 저항 가열형으로 한정하지 않고, 유도 가열형이어도 된다. 그 경우, 가열 요소(42)는, 유도 가열에 의해 챔버(50)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재(110)가 서셉터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가열 요소(42)가 유도 가열에 의해 소비재(110)의 서셉터를 가열할 수 있다.
20: 전원부
21: 전원
30: 무화부
32: 단열부
36: 바닥 부재
37: 제1 보지부
38: 제2 보지부
40: 가열부
42: 가열 요소
44: 전기 절연 부재
48: 전극
50: 챔버
52: 제2 개구
52A: 플랜지부
54: 비보지부
56: 바닥부
56a: 구멍
58: 제1 가이드부
58a: 테이퍼면
60: 측벽부
62: 접촉부
62A: 접촉부
62a: 내면
62b: 외면
66: 이간부
66A: 이간부
66a: 내면
66b: 외면
67: 공극
70: 삽입 가이드 부재
70a: 제1 개구
100: 향미 흡인기
101: 아우터 하우징
101a: 개구
102: 슬라이드 커버
103: 스위치부
104: 단자
110: 소비재
111: 끽연 가능물
112: 제1 권지
113: 제2 권지
114: 통 형상 부재
115: 필터부
116: 중공 필터부
117: 립 릴리스제
162: 제1 가상선
166: 제2 가상선
212: 비돌출부
214: 돌출부
214A: 제1 돌기부
214B: 제2 돌기부
226: 가상원
232: 비돌출부
234: 돌출부
234A: 제1 돌기부
234B: 제2 돌기부
236: 경사부
238: 만곡부
240: 제3 단부
242: 비돌출부
244: 돌출부
244A: 제1 돌기부
246a: 제1변
246A: 제1면
246b: 제2변
246B: 제2면
246c: 정점
246C: 능선
246D: 단부
252: 비돌출부
254: 돌출부
254A: 제1 돌기부
254B: 제2 돌기부
256A: 제1 경사면
256B: 제2 경사면
258A: 제1 단부
258B: 제2 단부
262: 비돌출부
264: 돌출부
264A: 제1 돌기부
270: 삽입 가이드 부재
370: 삽입 가이드 부재
470: 삽입 가이드 부재
570: 삽입 가이드 부재
670: 삽입 가이드 부재

Claims (20)

  1. 끽연 가능물을 포함하는 소비재를 수용 가능하게 구성된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소비재를 삽입 가능하게 구성된 개구와,
    상기 개구에 접속하고, 수용된 상기 소비재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전체 둘레에 걸쳐 간극을 형성하는, 제1 간극 형성부와,
    상기 제1 간극 형성부에 대하여 상기 개구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고, 수용된 상기 소비재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전체 둘레에 걸쳐 간극을 형성하는, 제2 간극 형성부와,
    상기 수용부의 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간극 형성부와 상기 제2 간극 형성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소비재의 외주면을 압압(押壓)하여 상기 소비재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기 긴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간극 형성부에 대하여 상기 개구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고, 상기 소비재의 외주면을 압압하여 상기 소비재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
    를 포함하는,
    향미 흡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소비재를 가열하는 가열 영역을 포함하는 챔버와,
    상기 개구로부터 삽입된 상기 소비재를 상기 챔버에 유도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간극 형성부와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챔버에 마련되고,
    상기 제1 간극 형성부와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마련되는,
    향미 흡인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수용된 상기 소비재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상기 수용부의 둘레방향에서 대략 등간격으로 배치된 1조의 접촉부와,
    상기 1조의 접촉부를 서로 접속하는 1조의 접속부
    를 포함하는,
    향미 흡인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내벽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수용부의 둘레방향에서 대략 등간격으로 배치된 1조의 제1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1조의 제1 돌기부의 각각은, 상기 수용부의 긴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1조의 접촉부 중 하나와 서로 겹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향미 흡인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재가 상기 수용부의 상기 긴 방향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개구에 삽입되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경우에는, 상기 수용부의 상기 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 상기 1조의 제1 돌기부의 각각은, 변형되어 있지 않은 상기 소비재의 외주면을 나타내는 가상 외형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향미 흡인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1조의 제1 돌기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기 긴 방향을 따라 연재(延在)하고 있고,
    상기 1조의 제1 돌기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기 긴 방향을 따른 단면을 본 경우에 상기 개구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상기 수용부의 반경 방향의 중심에 접근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향미 흡인기.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조의 제1 돌기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기 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을 본 경우에,
    제1변과,
    제2변과,
    상기 제1변과 상기 제2변을 접속하는 정점
    을 포함하고,
    상기 제1변과 상기 제2변이 이루는 각은 둔각인,
    향미 흡인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1조의 제1 돌기부는, 상기 수용부의 둘레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돌기부의 각각은, 상기 제1변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의 상기 긴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제1면과, 상기 제2변을 포함하고 상기 긴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제2면과,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을 접속하고, 상기 정점을 포함하고 상기 긴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능선을 포함하며,
    상기 대향하는 한 쌍의 돌기부의 2개의 능선은, 상기 긴 방향과 평행이 아니고,
    상기 수용부를 상기 개구 측으로부터 본 상면도에서, 상기 2개의 능선은, 상기 2개의 능선의 상기 긴 방향을 따라 상기 개구와 반대 측에 위치하는 단부를 접속하는 직선, 또는, 상기 2개의 능선의 상기 긴 방향을 따라 상기 개구 측에 위치하는 단부를 접속하는 직선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고 있는,
    향미 흡인기.
  9.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상기 내벽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수용부의 상기 둘레방향에서 대략 등간격으로 마련된 1조의 제2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1조의 제2 돌기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기 긴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1조의 접속부와 서로 겹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향미 흡인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재가 상기 수용부의 상기 긴 방향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개구에 삽입되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경우에는, 상기 수용부의 상기 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 상기 1조의 제2 돌기부의 각각은, 변형되어 있지 않은 상기 소비재의 외주면을 나타내는 가상 외형의 외측에 위치하는,
    향미 흡인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1조의 제2 돌기부는, 상기 가상 외형을 따라 만곡하는 만곡부를 포함하는,
    향미 흡인기.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상기 긴 방향을 따라 상기 개구와 반대 측에 위치하는, 상기 1조의 제2 돌기부의 제3 단부는, 상기 제2 간극 형성부에 접속하고 있는,
    향미 흡인기.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조의 제1 돌기부와 상기 1조의 제2 돌기부는, 서로 다른 형상을 구비하고 있는,
    향미 흡인기.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조의 제1 돌기부와 상기 1조의 제2 돌기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기 긴 방향에서, 적어도 일부가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는,
    향미 흡인기.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1조의 제1 돌기부와 상기 1조의 제2 돌기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기 긴 방향을 따라 연재하고 있고,
    상기 1조의 제1 돌기부의 각각은, 상기 긴 방향을 따른 단면을 본 경우에, 상기 긴 방향을 따라 상기 개구와 반대 측에 위치하는 제1 돌기부의 제1 단부로부터 연재하고, 상기 개구에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수용부의 반경 방향의 중심으로 접근하도록 경사지는 제1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1조의 제2 돌기부의 각각은, 상기 긴 방향을 따른 단면을 본 경우에, 상기 긴 방향을 따라 상기 개구 측에 위치하는 제2 돌기부의 제2 단부로부터 연재하고, 상기 개구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상기 수용부의 반경 방향의 중심으로 접근하도록 경사지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1조의 제1 돌기부의 각각의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1조의 제2 돌기부의 각각의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수용부의 상기 긴 방향에서 적어도 일부가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경사면의 경사 각도 또는 곡률은, 상기 제2 경사면의 경사 각도 또는 곡률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향미 흡인기.
  1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1조의 접촉부는, 상기 수용부의 둘레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1조의 접속부는, 상기 수용부의 둘레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내벽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제1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의 상기 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을 본 경우로서, 상기 대향하는 한 쌍의 접촉부의 중심끼리를 접속하는 제1 가상선과, 상기 대향하는 한 쌍의 접속부의 중심끼리를 접속하는 제2 가상선을 그었을 경우에, 상기 복수의 제1 돌기부 모두는, 상기 제1 가상선 및 상기 제2 가상선과 교차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향미 흡인기.
  17. 제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가열 영역에 열을 공급하는 열원을 포함하고,
    상기 열원은, 상기 수용부의 상기 긴 방향에서 상기 제2 지지부와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는,
    향미 흡인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은, 필름 가열기이며,
    상기 필름 가열기는, 상기 챔버의 외주에 감겨져 있는,
    향미 흡인기.
  19. 제2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하의 제1식을 충족시키고,
    L2≥L1/2 (1)
    L1은, 상기 수용부의 상기 긴 방향을 따른 상기 가이드부의 길이이며,
    L2는, 상기 긴 방향을 따른 상기 제1 간극 형성부의 길이인,
    향미 흡인기.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향미 흡인기와,
    상기 소비재
    를 포함하는,
    끽연 시스템.
KR1020247023324A 2021-12-15 2021-12-15 향미 흡인기 및 끽연 시스템 KR202401176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1/046190 WO2023112185A1 (ja) 2021-12-15 2021-12-15 香味吸引器及び喫煙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17627A true KR20240117627A (ko) 2024-08-01

Family

ID=86773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23324A KR20240117627A (ko) 2021-12-15 2021-12-15 향미 흡인기 및 끽연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324665A1 (ko)
JP (1) JPWO2023112185A1 (ko)
KR (1) KR20240117627A (ko)
CN (1) CN118401129A (ko)
WO (1) WO202311218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94763A2 (en) 2016-05-13 2017-11-16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0606A1 (ko) * 2017-04-11 2018-10-1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JP7337919B2 (ja) * 2018-10-12 2023-09-04 ジェイティ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エスエイ エアロゾル発生装置及びそのための加熱チャン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94763A2 (en) 2016-05-13 2017-11-16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12185A1 (ja) 2023-06-22
CN118401129A (zh) 2024-07-26
JPWO2023112185A1 (ko) 2023-06-22
US20240324665A1 (en) 2024-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8044B2 (en) Heater and wick assembly for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KR20180118701A (ko) 증기 제공 디바이스
JP7463556B2 (ja) 香味吸引器
JP2024057043A (ja) 香味吸引器
EP4260739A1 (en) Flavor inhaler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lavor inhaler
KR20240117627A (ko) 향미 흡인기 및 끽연 시스템
JP7565436B2 (ja) 香味吸引器
JP7204918B2 (ja) 加熱アセンブリおよび香味吸引器
WO2022123769A1 (ja) 香味吸引器
JP7298041B2 (ja) 香味吸引器
WO2022230087A1 (ja) 香味吸引器および喫煙システム
WO2024127614A1 (ja) 香味吸引器
EP4260721A1 (en) Flavor aspirator
TWI850589B (zh) 香味吸嚐器及抽煙系統
KR20230111232A (ko) 향미 흡인기
WO2022137426A1 (ja) 香味吸引器
KR20230173693A (ko) 향미 흡인기
WO2024127613A1 (ja) 香味吸引器
KR20230172557A (ko) 향미 흡인기 및 흡연 시스템
WO2022230086A1 (ja) 香味吸引器および香味吸引器の製造方法
WO2022123754A1 (ja) 香味吸引器
EA047347B1 (ru) Ароматический ингалято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