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3693A - 향미 흡인기 - Google Patents

향미 흡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3693A
KR20230173693A KR1020237039670A KR20237039670A KR20230173693A KR 20230173693 A KR20230173693 A KR 20230173693A KR 1020237039670 A KR1020237039670 A KR 1020237039670A KR 20237039670 A KR20237039670 A KR 20237039670A KR 20230173693 A KR20230173693 A KR 20230173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lavor
flavor aspirator
chamber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9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 마스다
카즈아키 후쿠자와
마나부 야마다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73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369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70Manufa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oker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향미 흡인기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여도, 피수용물을 수용부 내에 수용해 둘 수 있는 향미 흡인기를 얻는다. 향미 흡인기는, 주연부(周緣部)에서 서로 결합되어 피수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형성하고, 주연부에 대한 평면시(平面視)에 있어서 대략 방형(方形) 형상을 가지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와,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서로 결합하는 제1 결합부를 구비하고, 제1 결합부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주연부에 있어서, 서로 이간한 복수 개소(箇所)에 설치된다.

Description

향미 흡인기
본 발명은, 향미 흡인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재료를 연소하는 일 없이 향미 등을 흡인하기 위한 향미 흡인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향미 흡인기로서, 예를 들면, 서로 결합된 히터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과 배터리를 포함하는 제2 하우징을 통상(筒狀)의 케이스에 수용하고, 케이스의 일단(一端)에서 결합부에 의해 제2 하우징과 케이스를 결합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표2020-527043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향미 흡인기에서는, 케이스의 일단에서 제2 하우징과 케이스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향미 흡인기의 낙하 등에 의해 향미 흡인기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결합부가 파손되어 케이스로부터 제2 하우징이 떨어져, 피수용물이 튀어 나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향미 흡인기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여도, 피수용물을 수용부 내에 수용해 둘 수 있는 향미 흡인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서는, 향미 흡인기가 제공된다. 이 향미 흡인기는, 주연부(周緣部)에서 서로 결합되어 피수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형성하고, 주연부에 대한 평면시(平面視)에 있어서 대략 방형(方形) 형상을 가지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와,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서로 결합하는 제1 결합부를 구비하고, 제1 결합부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주연부에 있어서, 서로 이간한 복수 개소(箇所)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의하면, 제1 결합부를, 주연부에 대한 평면시에 있어서 대략 방형 형상을 가지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주연부에 있어서, 서로 이간한 복수 개소에 설치함으로써,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강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향미 흡인기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여도, 피수용물을 수용부 내에 수용해 둘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서는, 제1 형태에 있어서, 제1 결합부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주연부에 있어서, 적어도 서로 대향하는 2변(邊)의 각각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의하면, 제1 결합부를,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주연부에 있어서, 적어도 서로 대향하는 2변의 각각에 설치함으로써,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보다 강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서는, 제1 형태 또는 제2 형태에 있어서, 피수용물은, 향미 흡인기를 구동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제1 결합부의 적어도 하나는, 배터리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의하면, 제1 결합부의 적어도 하나를, 배터리의 근방에 설치함으로써, 향미 흡인기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배터리의 근방에서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배터리가 수용부로부터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형태에서는, 제3 형태에 있어서, 제1 결합부는, 배터리의 연재(延在) 방향의 양단(兩端) 근방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의하면, 제1 결합부를, 배터리의 연재 방향의 양단 근방에 각각 설치함으로써, 향미 흡인기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배터리의 근방에서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더 방지하고, 배터리가 수용부로부터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형태에서는, 제1 형태에서 제4 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피수용물은, 향미 흡인기에 설치되는 향미 발생 물품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고, 제1 결합부는, 가열부의 근방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5 형태에 의하면, 제1 결합부를, 가열부의 근방에 설치함으로써, 향미 흡인기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가열부의 근방에서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가열부가 수용부로부터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형태에서는, 제1 형태에서 제5 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결합부는, 나사 및 돌기부의 적어도 한쪽에 의해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서로 결합한다.
본 발명의 제6 형태에 의하면, 제1 결합부로서, 나사 및 돌기부의 적어도 한쪽을 사용하여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서로 결합함으로써,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강고하게, 또는 간소한 구성으로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형태에서는, 제6 형태에 있어서, 제1 결합부에, 나사 및 돌기부를 구비함과 함께,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주연부를 따라, 나사와 돌기부가 교호(交互)로 배치되어 있는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7 형태에 의하면, 제1 결합부로서 나사 및 돌기부를 구비하고,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주연부를 따라, 나사와 돌기부가 교호로 배치되어 있는 부분을 설치함으로써, 나사가 빠진 경우여도, 돌기부에 의해 치우침 없이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결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형태에서는, 제1 형태에서 제7 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수용부에 수용되어 제1 부재에 고정되고, 피수용물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지지부에 대하여 제2 부재를 결합하는 제2 결합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8 형태에 의하면, 제2 결합부를 사용하여 제1 부재에 고정된 지지부와 제2 부재를 결합함으로써,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더 강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1a]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1b]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의 개략 상면도이다.
[도 1c]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의 개략 저면도이다.
[도 2] 향미 발생 물품의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3] 도 1b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에서 본 3-3에 있어서의 향미 흡인기의 단면도이다.
[도 4a] 챔버의 사시도이다.
[도 4b] 도 4a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4B-4B에 있어서의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5a] 도 4b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5A-5A에 있어서의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5b] 도 4b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5B-5B에 있어서의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6] 챔버 및 가열부의 사시도이다.
[도 7] 챔버 내의 원하는 위치에 향미 발생 물품이 배치된 상태의 도 5b에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아우터 하우징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 아우터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제1 하우징을 새시와 함께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 제2 하우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 제2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 서로 결합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또는 상당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a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100)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1b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100)의 개략 상면도이다. 도 1c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100)의 개략 저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도면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X-Y-Z 직교 좌표계를 붙이는 경우가 있다. 이 좌표계에 있어서, Z축은 연직 상방(上方)을 향하고 있고, X-Y 평면은 향미 흡인기(100)를 수평 방향으로 절단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Y축은 향미 흡인기(100)의 정면으로부터 이면(裏面)으로 연출(延出)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Z축은, 후술하는 무화부(霧化部)(30)의 챔버(50)에 수용되는 향미 발생 물품의 삽입 방향, 또는 챔버(50)의 축 방향이라고 할 수도 있다. 또한, X축은, Y축 및 Z축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100)는, 예를 들면, 에어로졸원을 포함한 향미원을 가지는 스틱형의 향미 발생 물품을 가열함으로써, 향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도 1a에서 도 1c에 나타내듯이, 향미 흡인기(100)는, 아우터 하우징(101)과, 슬라이드 커버(102)와, 스위치부(103)와, 단자(端子)(104)를 가진다. 아우터 하우징(101)은, 향미 흡인기(100)의 가장 바깥의 하우징을 구성하고, 유저의 손에 들어가는 사이즈를 가진다. 유저가 향미 흡인기(100)를 사용할 때는, 향미 흡인기(100)를 손으로 보지(保持, 보유 지지)하여, 에어로졸을 흡인할 수 있다. 아우터 하우징(101)은, 후술하는 복수의 부재를 조립함으로써 구성되어도 된다. 아우터 하우징(101)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아우터 하우징(101)은, 수지제,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PC),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 PEEK(폴리에터에터케톤) 또는 복수 종류의 폴리머를 함유하는 폴리머 알로이 등으로 형성된 부재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아우터 하우징(101)은, 향미 발생 물품을 받아들이기 위한 도시하지 않는 개구(開口)를 가지고, 슬라이드 커버(102)는, 이 개구를 닫도록 아우터 하우징(10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드 커버(102)는, 아우터 하우징(101)의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닫힘 위치(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위치)와, 상기 개구를 개방하는 열림 위치의 사이를, 아우터 하우징(101)의 외표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면, 유저가 슬라이드 커버(102)를 수동으로 조작함으로써, 슬라이드 커버(102)를 닫힘 위치와 열림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 커버(102), 향미 흡인기(100)의 내부로의 향미 발생 물품의 액세스를 허가 또는 제한할 수 있다.
스위치부(103)는, 향미 흡인기(100)의 작동의 온과 오프를 전환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예를 들면, 유저는, 향미 발생 물품을 향미 흡인기(100)에 삽입한 상태에서 스위치부(103)를 조작함으로써, 도시하지 않는 가열부에 도시하지 않는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어, 향미 발생 물품을 연소시키지 않고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부(103)는, 아우터 하우징(101)의 외부에 설치되는 스위치여도 되고, 아우터 하우징(101)의 내부에 위치하는 스위치여도 된다. 스위치가 아우터 하우징(101)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아우터 하우징(101)의 표면의 스위치부(103)를 누름으로써, 간접적으로 스위치가 눌려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위치부(103)의 스위치가 아우터 하우징(101)의 내부에 위치하는 예를 설명한다.
단자(104)는, 향미 흡인기(100)를 예를 들면 외부 전원과 접속하는 인터페이스이다. 향미 흡인기(100)가 구비하는 전원이 충전식 배터리인 경우는, 단자(104)에 외부 전원을 접속함으로써, 외부 전원이 전원에 전류를 흘리고, 전원을 충전할 수 있다. 또한, 향미 흡인기(100)는, 단자(104)에 데이터 송신 케이블을 접속함으로써, 향미 흡인기(100)의 작동에 관련하는 데이터를 외부 장치에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100)에서 사용되는 향미 발생 물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향미 발생 물품(110)의 개략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향미 흡인기(100)와 향미 발생 물품(110)에 의해 흡연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향미 발생 물품(110)은, 흡연 가능물(111)과, 통상 부재(114)와, 중공 필터부(116)와, 필터부(115)를 가진다.
흡연 가능물(111)은, 제1의 권지(卷紙)(112)에 의해 권장(卷裝)된다. 통상 부재(114), 중공 필터부(116), 및 필터부(115)는, 제1의 권지(112)와는 상이한 제2의 권지(113)에 의해 권장된다. 제2의 권지(113)는, 흡연 가능물(111)을 권장하는 제1의 권지(112)의 일부도 권장한다. 이에 의해, 통상 부재(114), 중공 필터부(116), 및 필터부(115)와 흡연 가능물(111)이 연결된다. 다만, 제2의 권지(113)가 생략되고, 제1의 권지(112)를 사용하여 통상 부재(114), 중공 필터부(116), 및 필터부(115)와 흡연 가능물(111)이 연결되어도 된다. 제2의 권지(113)의 필터부(115)측의 단부(端部) 근방의 외면에는, 유저의 입술을 제2의 권지(113)로부터 떨어지기 쉽게 하기 위한 립 릴리스제(117)가 도포된다. 향미 발생 물품(110)의 립 릴리스제(117)가 도포되는 부분은, 향미 발생 물품(110)의 흡구(吸口)로서 기능한다.
흡연 가능물(111)은, 예를 들면 담배 등의 향미원과, 에어로졸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흡연 가능물(111)을 감는 제1의 권지(112)는, 통기성을 가지는 시트 부재일 수 있다. 통상 부재(114)는, 지관(紙管) 또는 중공 필터일 수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향미 발생 물품(110)은, 흡연 가능물(111), 통상 부재(114), 중공 필터부(116), 및 필터부(115)를 구비하고 있지만, 향미 발생 물품(11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중공 필터부(116)가 생략되고, 통상 부재(114)와 필터부(115)가 서로 인접 배치되어도 된다.
다음으로, 향미 흡인기(100)의 내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b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에서 본 3-3에 있어서의 향미 흡인기(100)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듯이, 향미 흡인기(100)의 아우터 하우징(101)의 내측에는, 후술하는 전원부(20)나 무화부(30) 등의 피수용물이 재치(載置)되는 이너 하우징(10)이 설치된다. 여기서, 전원부(20) 및 무화부(30)는, 새시(70)(지지부의 일례에 상당한다)에 지지되고, 새시(70)는, 이너 하우징(10)에 고정된다. 이너 하우징(10)은, 예를 들면 수지제이며, 특히, 폴리카보네이트(PC),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 PEEK(폴리에터에터케톤) 또는 복수 종류의 폴리머를 함유하는 폴리머 알로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너 하우징(10)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여기서, 내열성이나 가공성, 강도의 관점에서, 이너 하우징(10)은, 폴리카보네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너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에는, 전원부(20)와, 무화부(30)가 설치된다. 또한, 전원부(20) 및 무화부(30)는, 향미 흡인기(100)가 조립된 후에는, 교환 불가능하다. 또한, 아우터 하우징(101)과 이너 하우징(10)을 합쳐 케이스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전원부(20)는, 도시와 같이, 향미 발생 물품(110)의 삽입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원(21)(배터리의 일례에 상당한다)를 가진다. 전원(21)은, 예를 들면, 충전식 배터리 또는 비충전식의 배터리일 수 있다. 전원(21)은, 무화부(3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의해, 전원(21)은, 향미 발생 물품(110)을 적절히 가열하도록, 무화부(3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무화부(30)는, 도시와 같이, 향미 발생 물품(110)의 삽입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챔버(50)와, 챔버(50)의 일부를 덮는 가열부(40)와, 단열부(32)와, 대략 통상의 삽입 가이드 부재(34)를 가진다. 챔버(50)는, 향미 발생 물품(11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가열부(40)는, 챔버(50)의 외주면에 접촉하고, 챔버(50)에 수용된 향미 발생 물품(110)을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도시와 같이, 챔버(50)의 저부(底部)에는, 저부재(36)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저부재(36)는, 챔버(50)에 삽입된 향미 발생 물품(110)을 위치 결정하는 스토퍼로서 기능 할 수 있다. 저부재(36)는, 향미 발생 물품(110)이 당접(當接)하는 면(面)에 요철을 가지고, 향미 발생 물품(110)이 당접하는 면에 공기를 공급 가능한 공간을 획정(劃定)할 수 있다. 저부재(36)는, 예를 들면 수지제이며, 특히, 폴리카보네이트(PC),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 PEEK(폴리에터에터케톤) 또는 복수 종류의 폴리머를 함유 하는 폴리머 알로이 등, 혹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저부재(36)는, 단열부(32) 등에 열이 전해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열전도율이 작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열부(32)는, 전체적으로 대략 통상이며, 챔버(50)를 덮도록 배치된다. 단열부(32)는, 예를 들면 에어로겔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 가이드 부재(34)는, 닫힘 위치에 있는 슬라이드 커버(102)와 챔버(50)의 사이에 설치된다. 삽입 가이드 부재(34)는, 아우터 하우징(101)의 개구로부터 케이스 내에 삽입되면, 돌기가 케이스에 계합(係合)하여, 케이스 밖으로 탈출 불능으로 구성되어 있다. 삽입 가이드 부재(34)는, 예를 들면 수지제이며, 특히, 폴리카보네이트(PC),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 PEEK(폴리에터에터케톤) 또는 복수 종류의 폴리머를 함유하는 폴리머 알로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 가이드 부재(34)는, 금속이나 유리, 세라믹 등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내열성의 관점에서, 삽입 가이드 부재(34)는, PEEK인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 가이드 부재(34)는, 슬라이드 커버(102)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향미 흡인기(100)의 외부와 연통하고, 향미 발생 물품(110)을 삽입 가이드 부재(34)의 관통 구멍(34a)에 삽입함으로써, 챔버(50)로의 향미 발생 물품(110)의 삽입을 안내한다. 슬라이드 커버(102)는, 열림 위치에 있을 때, 삽입 가이드 부재(34)의 관통 구멍(34a)을 외부에 드러내면서, 챔버(50)의 축 방향에 있어서 삽입 가이드 부재(34)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있어서, 슬라이드 커버(102)가 삽입 가이드 부재(34)의 관통 구멍(34a)의 전체를 덮도록 닫혀 있는 상태를 2점 쇄선으로 나타낸다.
향미 흡인기(100)는, 또한, 챔버(50) 및 단열부(32)의 양단을 보지하는, 제1 보지부(37)와, 제2 보지부(38)를 가진다. 제1 보지부(37)는, 챔버(50) 및 단열부(32)의 Z축 음(陰) 방향측의 단부를 보지하도록 배치된다. 제2 보지부(38)는, 챔버(50) 및 단열부(32)의 슬라이드 커버(102)측(Z축 양(陽) 방향측)의 단부를 보지하도록 배치된다.
다음으로, 챔버(5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챔버(50)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4B-4B에 있어서의 챔버(50)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4b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5A-5A에 있어서의 챔버(50)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4b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5B-5B에 있어서의 챔버(50)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챔버(50) 및 가열부(40)의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듯이, 챔버(50)는, 향미 발생 물품(110)이 삽입되는 개구(52)와, 향미 발생 물품(110)을 수용하는 통상의 측벽부(60)를 포함하는 통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챔버(50)의 개구(52)를 획정하는 단부에는, 플랜지부(52a)가 형성된다. 챔버(50)는, 저부(56)의 반대측에 설치된 플랜지부(52a)가 아우터 하우징(101)의 개구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챔버(50)는, 내열성을 가지고, 열팽창율이 작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챔버(50)는, 금속 외에, PEEK 등의 수지나, 유리, 세라믹 등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챔버(50)로부터 향미 발생 물품(110)으로 효과적인 가열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챔버(50)는, 통상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컵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도 4b 및 도 5b에 나타내듯이, 측벽부(60)는, 접촉부(62)와 이간부(66)를 포함한다. 향미 발생 물품(110)이 챔버(50) 내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접촉부(62)는, 향미 발생 물품(110)의 일부와 접촉 또는 압압하고, 이간부(66)는, 향미 발생 물품(110)으로부터 이간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챔버(50) 내의 원하는 위치」란, 향미 발생 물품(110)이 적절히 가열되는 위치, 또는 유저가 흡연할 때의 향미 발생 물품(110)의 위치를 말한다. 접촉부(62)는, 내면(62a)과, 외면(62b)을 가진다. 이간부(66)는, 내면(66a)과, 외면(66b)을 가진다. 도 6에 나타내듯이, 가열부(40)는, 접촉부(62)의 외면(62b)에 배치된다. 가열부(40)는, 접촉부(62)의 외면(62b)에 간극없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부(40)는 접착층을 포함해도 된다. 그 경우, 접착층을 포함하는 가열부(40)가, 접촉부(62)의 외면(62b)에 간극없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 및 도 5b에 나타내듯이, 접촉부(62)의 외면(62b)은 평면이다. 접촉부(62)의 외면(62b)이 평면임으로써, 도 6에 나타내듯이 접촉부(62)의 외면(62b)에 배치되는 가열부(40)에 띠 모양의 전극(48)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띠 모양의 전극(48)이 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4b 및 도 5b에 나타내듯이, 접촉부(62)의 내면(62a)은 평면이다. 또한, 도 4b 및 도 5b에 나타내듯이, 접촉부(62)의 두께는 균일하다.
도 4a, 도 4b 및 도 5b에 나타내듯이, 챔버(50)는, 접촉부(62)를 챔버(50)의 둘레 방향으로 2개 가지고, 2개의 접촉부(62)는, 서로 평행이 되도록 대향한다. 2개의 접촉부(62)의 내면(62a) 사이의 적어도 일부의 거리는, 챔버(50)에 삽입되는 향미 발생 물품(110)의 접촉부(62) 사이에 배치되는 개소의 폭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5b에 나타내듯이, 이간부(66)의 내면(66a)은, 챔버(50)의 길이 방향(Z축 방향)에 직교하는 면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원호상(圓弧狀)의 단면(斷面)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간부(66)는, 접촉부(62)와 둘레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도 4b에 나타내듯이, 챔버(50)는 도 3에 나타낸 저부재(36)가 관통하여 챔버(50) 내부에 배치되도록, 그 저부(56)에 구멍(56a)을 가질 수 있다. 저부재(36)는, 챔버(50)의 저부(56)의 내부에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저부재(36)와 저부(56)의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제는, 에폭시 수지 등의 수지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를 대신하여, 시멘트나 용접 등, 무기(無機)의 접착제도 사용될 수 있다. 저부(56)에 설치되는 저부재(36)는, 향미 발생 물품(110)의 단면(端面)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도록, 챔버(50)에 삽입된 향미 발생 물품(110)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저부(56)는, 노출된 향미 발생 물품(110)의 단면이 후술하는 공극(空隙)(67)(도 7 참조)과 연통하도록, 향미 발생 물품(110)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도 4a, 도 4b 및 도 5a에 나타내듯이, 챔버(50)는, 개구(52)와 측벽부(60)의 사이에 통상의 비(非)보지부(54)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향미 발생 물품(110)이 챔버(50)의 원하는 위치에 위치 결정된 상태에 있어서, 비보지부(54)와 향미 발생 물품(110)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듯이, 챔버(50)는, 비보지부(54)의 내면과 접촉부(62)의 내면(62a)을 접속하는 테이퍼면(58a)을 구비한 제1 가이드부(58)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나타내듯이, 가열부(40)는, 가열 요소(42)를 가진다. 가열 요소(42)는, 예를 들면 히팅 트랙이어도 된다. 가열 요소(42)는, 챔버(50)의 이간부(66)에 접촉하지 않고, 접촉부(62)를 가열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가열 요소(42)는, 접촉부(62)의 외면에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요소(42)는, 챔버(50)의 이간부(66)를 가열하는 부분과, 접촉부(62)를 가열하는 부분에서, 가열 능력에 차(差)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가열 요소(42)는, 이간부(66)보다 접촉부(62)를 높은 온도로 가열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접촉부(62)와 이간부(66)에 있어서의 가열 요소(42)의 히팅 트랙의 배치 밀도가 조정될 수 있다. 또한, 가열 요소(42)는, 챔버(50)의 전체 둘레에 있어서 대략 동일한 가열 능력을 가지고, 챔버(50)의 외주에 감겨도 된다. 도 6에 나타내듯이, 가열부(40)는, 가열 요소(42)에 더하여, 가열 요소(42)의 적어도 일면을 덮는 전기 절연 부재(44)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전기 절연 부재(44)는 가열 요소(42)의 양면을 덮도록 배치된다.
도 7은, 챔버(50) 내의 원하는 위치에 향미 발생 물품(110)이 배치된 상태의 도 5b에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내듯이, 향미 발생 물품(110)이 챔버(50) 내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되면, 향미 발생 물품(110)은 챔버(50)의 접촉부(62)와 접촉하여 압압될 수 있다. 한편, 향미 발생 물품(110)과 이간부(66)의 사이에는, 공극(67)이 형성된다. 공극(67)은, 챔버(50)의 개구(52)와, 챔버(50) 내에 위치 결정된 향미 발생 물품(110)의 단면과 연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챔버(50)의 개구(52)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공극(67)을 통과하여, 향미 발생 물품(1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향미 발생 물품(110)과 이간부(66)의 사이에 공기 유로(공극(67))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아우터 하우징(101)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아우터 하우징(101)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내듯이, 아우터 하우징(101)은, 개구(121)를 가지는 제1 하우징(120)(제1 부재의 일례에 상당한다)과, 제1 하우징(120)의 개구(121)를 덮는 제2 하우징(130)(제2 부재의 일례에 상당한다)와, 제2 하우징(130)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덮개부(140)를 가진다.
제1 하우징(120)과 제2 하우징(130)은, 후술하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에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하우징(120)의 개구(121)의 주연부(122)와, 제2 하우징(130)의 주연부(135)는, 실질적으로 일치하고 있다. 즉, 제1 하우징(120)과 제2 하우징(130)은, 주연부(122)와 주연부(135)로 서로 결합된다. 제1 하우징(120)과 제2 하우징(130)이 서로 결합됨으로써, 제1 하우징(120) 및 제2 하우징(130)의 내부에, 전원부(20)나 무화부(30) 등의 피수용물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된다. 덮개부(140)는, 제2 하우징(13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9는, 아우터 하우징(101)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에서는, 제1 하우징(120)과 제2 하우징(130)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덮개부(140)와 함께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듯이, 제2 하우징(130)에는, X축 방향 중앙 근방에서, 또한 Z축 방향 양단 근방에 2개의 자석(150)이 설치된다. 또한, 덮개부(140)의 제2 하우징(130)과 대향하는 면에는, 자석(150)과 대응하는 위치에, 도시하지 않는 자성체가 설치된다. 제2 하우징(130)의 자석(150) 및 덮개부(140)의 자성체는, 덮개부(140)를 제2 하우징(130)에 장착할 때, 이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덮개부(140)를 제2 하우징(130)에 흡착시킨다.
도 10은, 제1 하우징(120)을 새시(70)와 함께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듯이, 제1 하우징(120)은, 아우터 케이스(160)와 이너 하우징(1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1 하우징(120)의 주연부(122)에 대한 평면시에 있어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아우터 케이스(160)는, 향미 흡인기(100)의 가장 바깥의 아우터 하우징(101)의 일부를 구성한다. 이너 하우징(10)은, 아우터 케이스(160)의 내면을 따른 외형을 가지고, 아우터 케이스(160) 내에 고정된다. 새시(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너 하우징(10)에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하우징(120)의 주연부(122)에 대한 평면시에 있어서의 형상은 대략 방형이다. 즉, 방형이란,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을 포함할 수 있는 사각형이다.
제1 하우징(120)은, 그 주연부(122)에 있어서, 이너 하우징(10)에 설치된 3개소의 나사 받이 구멍(11)과, 2개소의 돌기 받이 구멍(12)을 가진다. 나사 받이 구멍(11) 및 돌기 받이 구멍(12)은, 각각 제1 결합부를 구성한다. 또한, 새시(70)에는, Z축 방향 양단 근방에 2개소의 나사 받이 구멍(71)이 설치된다. 나사 받이 구멍(71)은, 제2 결합부를 구성한다.
나사 받이 구멍(11) 및 돌기 받이 구멍(12)은, 제1 하우징(120)의 주연부(122)에 있어서, 서로 이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나사 받이 구멍(11)은, 제1 하우징(120)의 서로 대향하는 2변, 특히 서로 대향하는 2개의 긴 변의 각각에 설치된다. 또한, 나사 받이 구멍(11)은, 제1 하우징(120)의 긴 변을 따라 연재하는 전원(21)(도 3 참조)에 대하여, 연재 방향(Z축 방향)의 양단 근방에 설치된다. 또한, 나사 받이 구멍(11)은, 가열부(40)(도 3 참조)의 Z축 음 방향측의 근방에 설치된다.
또한, 돌기 받이 구멍(12)은, 제1 하우징(120)의 서로 대향하는 2변, 특히 서로 대향하는 2개의 긴 변의 각각에 설치된다. 여기서, 나사 받이 구멍(11)과 돌기 받이 구멍(12)은, 제1 하우징(120)의 주연부(122)를 따라, 교호로 배치되어 있는 부분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가열부(40)의 Z축 음 방향측의 근방에 설치되는 나사 받이 구멍(11)을 기준으로 하면, 시계 반대 방향으로 나사 받이 구멍(11)과 돌기 받이 구멍(12)이 교호로 합계 5개소 설치된다. 또한, 나사 받이 구멍(11)과 돌기 받이 구멍(12)의 수는 합계 5개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설계에 따라 임의 적합하게 변경 가능하다.
도 11은, 제2 하우징(130)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제2 하우징(13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 도 12에 나타내듯이, 제2 하우징(130)은, 제2 하우징(130)의 주연부(135)에 대한 평면시에 있어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하우징(120)과 동일하게, 제2 하우징(130)의 주연부(135)에 대한 평면시에 있어서의 형상은 대략 방형이다. 즉, 방형이란,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을 포함할 수 있는 사각형이다. 제2 하우징(130)은, 그 주연부(135)에 있어서, 3개소의 나사 구멍(131)과, 2개소의 돌기부(132)를 가진다. 나사 구멍(131) 및 돌기부(132)는, 각각 제1 결합부를 구성한다. 또한, 제2 하우징(130)에는, X축 방향 중앙 근방에서, 또한 Z축 방향 양단 근방에 2개소의 나사 구멍(133)이 설치된다. 나사 구멍(133)은, 제2 결합부를 구성한다.
여기서, 제2 하우징(130)의 나사 구멍(131), 돌기부(132) 및 나사 구멍(133)은, 제1 하우징(120)과 제2 하우징(130)을 서로 결합한 경우에, 제1 하우징(120)의 나사 받이 구멍(11), 돌기 받이 구멍(12) 및 나사 받이 구멍(71)과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즉, 나사 구멍(131) 및 돌기부(132)는, 제2 하우징(130)의 주연부(135)에 있어서, 서로 이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나사 구멍(131)은, 제2 하우징(130)의 서로 대향하는 2변, 특히 서로 대향하는 2개의 긴 변의 각각에 설치된다. 또한, 나사 구멍(131)은, 제2 하우징(130)의 긴 변을 따라 연재하는 전원(21)(도 3 참조)에 대하여, 연재 방향(Z축 방향)의 양단 근방에 설치된다. 또한, 나사 구멍(131)은, 가열부(40)(도 3 참조)의 Z축 음 방향측의 근방에 설치된다.
또한, 돌기부(132)는, 제2 하우징(130)의 서로 대향하는 2변, 특히 서로 대향하는 2개의 긴 변의 각각에 설치된다. 여기서, 나사 구멍(131)과 돌기부(132)는, 제2 하우징(130)의 주연부(135)를 따라, 교호로 배치되어 있는 부분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가열부(40)의 Z축 음 방향측의 근방에 설치되는 나사 구멍(131)을 기준으로 하면, 시계 반대 방향으로 나사 구멍(131)과 돌기부(132)가 교호로 합계 5개소 설치된다. 또한, 나사 구멍(131)과 돌기부(132)의 수는 합계 5개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설계에 따라 임의 적합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제2 하우징(130)에는, X축 양 방향측에서, 또한 전원(21)의 Z축 음 방향 측에, 벤트 구멍(134)이 설치된다. 벤트 구멍(134)은,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구멍으로 구성된다. 벤트 구멍(134)은, 아우터 하우징(101)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구멍이다. 예를 들면 전원(21)에 어떠한 문제가 발생하여, 아우터 하우징(101)의 내부에 있어서 가스의 압력이 상승한 경우에는, 벤트 구멍(134)을 통하여 가스가 아우터 하우징(101)의 외부로 분출된다.
도 13은, 서로 결합된 제1 하우징(120)과 제2 하우징(130)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으로부터 도 13에 나타내듯이, 제1 하우징(120)과 제2 하우징(130)은, 나사 받이 구멍(11)과 나사 구멍(131)을 결합하는 나사(170)와, 나사 받이 구멍(71)과 나사 구멍(133)을 결합하는 나사(180)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나사(170) 및 나사(180)는, 각각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를 구성한다. 또한, 나사(170)에 의해 제1 하우징(120)과 제2 하우징(130)이 서로 결합되어 있으면, 반드시 제2 결합부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자석(150)은, 나사(180)를 덮어 제2 하우징(130)에 설치된다. 그 때문에, 유저는 나사(180)를 제거할 수 없고, 제1 하우징(120)으로부터 제2 하우징(13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돌기 받이 구멍(12)과 돌기부(132)는,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돌기 받이 구멍(12)에 오목부를 설치하고, 돌기부(132)에 볼록부를 설치하여, 스냅 피트에 의해 돌기 받이 구멍(12)과 돌기부(132)를 결합해도 되고, 다른 방법으로 돌기 받이 구멍(12)과 돌기부(132)를 결합해도 된다. 또한, 나사(170)에 의해 제1 하우징(120)과 제2 하우징(130)이 서로 결합되어 있으면, 반드시 돌기 받이 구멍(12)과 돌기부(132)를 결합시킬 필요는 없다. 이 경우, 돌기 받이 구멍(12)과 돌기부(132)는, 제1 하우징(120)에 대한 제2 하우징(130)의 위치 맞춤에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예를 들면 제1 하우징(120)의 주연부(122)에 있어서, 제1 결합부를 구성하는 나사 받이 구멍(11) 및 돌기 받이 구멍(12)을, 서로 이간한 복수 개소에 설치하고, 여기서 제1 하우징(120)과 제2 하우징(130)을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제1 하우징(120)과 제2 하우징(130)을 강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향미 흡인기(100)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여도, 피수용물을 수용부 내에 수용해 둘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전원(21)에 어떠한 문제가 발생하여, 아우터 하우징(101)의 내부에 있어서 가스의 압력이 상승한 경우여도, 제1 하우징(120)으로부터 제2 하우징(13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가스를 벤트 구멍(134)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제1 하우징(120)의 주연부(122)에 있어서, 제1 결합부를 구성하는 나사 받이 구멍(11) 및 돌기 받이 구멍(12)을, 제1 하우징(120)의 서로 대향하는 2변의 각각에 설치함으로써, 제1 하우징(120)과 제2 하우징(130)을 보다 강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제1 하우징(120)의 주연부(122)에 있어서, 제1 결합부를 구성하는 나사 받이 구멍(11) 및 돌기 받이 구멍(12)을, 제1 하우징(120)의 서로 대향하는 2개의 긴 변의 각각에 설치함으로써, 향미 흡인기(100)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제1 하우징(120)과 제2 하우징(130)의 사이에 큰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제1 하우징(120)에 있어서, 제1 결합부를 구성하는 나사 받이 구멍(11)을, 전원(21)의 근방, 특히 전원(21)의 연재 방향(Z축 방향)의 양단 근방에 설치함으로써, 향미 흡인기(100)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전원(21)의 근방에서 제1 하우징(120)과 제2 하우징(130)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전원(21)이 수용부로부터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제1 하우징(120)에 있어서, 제1 결합부를 구성하는 나사 받이 구멍(11)을, 가열부(40)의 Z축 음 방향측의 근방에 설치함으로써, 향미 흡인기(100)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가열부(40)의 근방에서 제1 하우징(120)과 제2 하우징(130)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가열부(40)가 수용부로부터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나사(170)를 사용하여 제1 하우징(120)과 제2 하우징(130)을 서로 계합함으로써, 제1 하우징(120)과 제2 하우징(130)을 강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돌기부(132)를 사용하여 제1 하우징(120)과 제2 하우징(130)을 서로 계합하는 경우보다도,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돌기부(132)를 사용하여 제1 하우징(120)과 제2 하우징(130)을 서로 계합함으로써, 간소한 구성으로 제1 하우징(120)과 제2 하우징(130)을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제1 하우징(120)의 주연부(122)에 있어서, 제1 결합부를 구성하는 나사 받이 구멍(11)과 돌기 받이 구멍(12)을 교호로 배치하고, 나사(170) 및 돌기부(132)를 사용하여 제1 하우징(120)과 제2 하우징(130)을 서로 계합함으로써, 나사(170)가 빠진 경우여도, 돌기부(132)에 의해 치우침 없이 제1 하우징(120)과 제2 하우징(130)이 결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120)의 이너 하우징(10)에 고정된 새시(70)에, 제2 결합부를 구성하는 나사 받이 구멍(71)을 설치하고, 여기서 제1 하우징(120)과 제2 하우징(130)을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제1 하우징(120)과 제2 하우징(130)을 보다 강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 및 명세서와 도면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직접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가 없는 어느 형상이나 재질이어도, 본원 발명의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이상, 본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이다.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의 향미 흡인기(100)는, 챔버(50)의 개구(52)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향미 발생 물품(110)의 단면에 공급되는, 이른바 카운터 플로우식의 공기 유로를 가지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챔버(50)의 저부(56)로부터 챔버(50) 내에 공기가 공급되는, 이른바 보텀 플로우식의 공기 유로를 가져도 된다. 또한, 가열 요소(42)는, 저항 가열형에 한하지 않고, 유도 가열형이어도 된다. 그 경우, 가열 요소(42)는, 유도 가열에 의해 챔버(50)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향미 발생 물품(110)이 서셉터를 가지는 경우에는, 가열 요소(42)가 유도 가열에 의해 향미 발생 물품(110)의 서셉터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챔버(50)의 주위에 가열 요소(42)를 배치하여, 챔버(50) 내의 향미 발생 물품(110)을 승온(昇溫)시키는 구조를 설명했지만, 챔버(50) 내의 향미 발생 물품(110)을 승온시키는 방법은, 가열 요소(42)를 향미 발생 물품(110)에 직접 닿게 하거나 향미 발생 물품(110) 중의 물질끼리의 진동에 의해 마찰열을 발생시키거나 해도 된다.
10…이너 하우징
11…나사 받이 구멍
12…돌기 받이 구멍
21…전원
40…가열부
70…새시
71…나사 받이 구멍
100…향미 흡인기
101…아우터 하우징
120…제1 하우징
122…주연부
130…제2 하우징
131…나사 구멍
132…돌기부
133…나사 구멍
134…벤트 구멍
135…주연부
160…아우터 케이스
170…나사
180…나사

Claims (8)

  1. 향미 흡인기로서,
    주연부(周緣部)에서 서로 결합되어 피수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형성하고, 상기 주연부에 대한 평면시(平面視)에 있어서 대략 방형(方形) 형상을 가지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를 서로 결합하는 제1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주연부에 있어서, 서로 이간한 복수 개소(箇所)에 설치되는,
    향미 흡인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주연부에 있어서, 적어도 서로 대향하는 2변(邊)의 각각에 설치되는,
    향미 흡인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피수용물은, 상기 향미 흡인기를 구동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배터리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향미 흡인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배터리의 연재(延在) 방향의 양단(兩端) 근방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향미 흡인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수용물은, 향미 흡인기에 설치되는 향미 발생 물품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가열부의 근방에 설치되는,
    향미 흡인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나사 및 돌기부의 적어도 한쪽에 의해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를 서로 결합하는,
    향미 흡인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에, 상기 나사 및 상기 돌기부를 구비함과 함께,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주연부를 따라, 상기 나사와 상기 돌기부가 교호(交互)로 배치되어 있는 부분을 포함하는,
    향미 흡인기.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제1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피수용물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상기 제2 부재를 결합하는 제2 결합부를 더 구비하는,
    향미 흡인기.
KR1020237039670A 2021-04-23 2021-04-23 향미 흡인기 KR202301736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1/016426 WO2022224428A1 (ja) 2021-04-23 2021-04-23 香味吸引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3693A true KR20230173693A (ko) 2023-12-27

Family

ID=83723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9670A KR20230173693A (ko) 2021-04-23 2021-04-23 향미 흡인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40041107A1 (ko)
EP (1) EP4327673A1 (ko)
JP (1) JPWO2022224428A1 (ko)
KR (1) KR20230173693A (ko)
CN (1) CN117202803A (ko)
TW (1) TW202241283A (ko)
WO (1) WO2022224428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413019D0 (en) * 2014-02-28 2014-09-03 Beyond Twenty Ltd Beyond 1B
CN110662438B (zh) * 2017-05-26 2022-10-28 韩国烟草人参公社 气溶胶生成装置的充电系统
CN209643863U (zh) * 2019-01-23 2019-11-19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低温烟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41107A1 (en) 2024-02-08
CN117202803A (zh) 2023-12-08
JPWO2022224428A1 (ko) 2022-10-27
EP4327673A1 (en) 2024-02-28
WO2022224428A1 (ja) 2022-10-27
TW202241283A (zh) 202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123757A1 (ja) 香味吸引器
KR20210132188A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
JP2024057043A (ja) 香味吸引器
KR20230173693A (ko) 향미 흡인기
WO2022123761A1 (ja) 香味吸引器および圧力緩和方法
WO2022123760A1 (ja) 香味吸引器
WO2022230086A1 (ja) 香味吸引器および香味吸引器の製造方法
WO2022230087A1 (ja) 香味吸引器および喫煙システム
TW202222186A (zh) 香味吸嚐器
KR20230169225A (ko) 향미 흡인기
WO2022137426A1 (ja) 香味吸引器
JP7298041B2 (ja) 香味吸引器
WO2022123769A1 (ja) 香味吸引器
EP4260739A1 (en) Flavor inhaler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lavor inhaler
JP7344412B2 (ja) 香味吸引器
WO2024100781A1 (ja) 香味吸引器、及び、香味吸引システム
WO2022123756A1 (ja) 香味吸引器
WO2022123766A1 (ja) 香味吸引器及び香味吸引器の製造方法
US20240008530A1 (en) Flavor inhaler and smoking system
KR20230172557A (ko) 향미 흡인기 및 흡연 시스템
TW202222180A (zh) 香味吸嚐器及香味吸嚐器的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