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2557A - 향미 흡인기 및 흡연 시스템 - Google Patents

향미 흡인기 및 흡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2557A
KR20230172557A KR1020237039478A KR20237039478A KR20230172557A KR 20230172557 A KR20230172557 A KR 20230172557A KR 1020237039478 A KR1020237039478 A KR 1020237039478A KR 20237039478 A KR20237039478 A KR 20237039478A KR 20230172557 A KR20230172557 A KR 20230172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vor
generating article
heating
chamber
ax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9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테키 스미이
료 타무라
마나부 야마다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72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255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70Manufactur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Landscapes

  • Cookers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향미 발생 물품에 응력이 작용한 경우여도, 향미 발생 물품이 챔버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일단에 개구가 형성되며, 개구를 통하여 향미 발생 물품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로서, 수용부는, 수용된 향미 발생 물품의 일부를 수용부의 축 방향을 따라 가압하는 접촉부와, 수용된 향미 발생 물품으로부터 이간되는 이간부를 포함하는, 수용부와, 수용부의 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수용부에 수용된 향미 발생 물품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수용부에 수용된 향미 발생 물품을 파지하는 파지부를 구비하며, 수용부는, 수용부의 축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가열부와 겹치는 가열 영역과, 가열 영역 이외의 비가열 영역을 가지며, 파지부는, 접촉부이며, 또한 가열 영역에 형성된다.

Description

향미 흡인기 및 흡연 시스템
본 발명은, 향미 흡인기 및 흡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재료의 연소를 하지 않고 향미 등을 흡인하기 위한 향미 흡인기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향미 흡인기로서, 예를 들어, 삽입된 향미 발생 물품을 압축하여 유지하는 비원형 형상의 챔버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중국 실용신안 제205052881호 명세서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향미 흡인기에서는, 삽입된 향미 발생 물품을 챔버로 압축하여 유지함으로써, 향미 발생 물품의 탈락을 방지하고 있지만, 향미 발생 물품에 의도하지 않은 응력이 작용한 경우에, 향미 발생 물품이 챔버에서 빠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향미 발생 물품에 응력이 작용한 경우여도, 향미 발생 물품이 챔버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향미 흡인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서는, 향미 흡인기가 제공된다. 이 향미 흡인기는, 일단에 개구가 형성되며, 개구를 통하여 향미 발생 물품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로서, 수용부는, 수용된 향미 발생 물품의 일부를 수용부의 축 방향을 따라 가압하는 접촉부와, 수용된 향미 발생 물품으로부터 이간되는 이간부를 포함하는, 수용부와, 수용부의 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수용부에 수용된 향미 발생 물품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수용부에 수용된 향미 발생 물품을 파지(把持)하는 파지부를 구비하며, 수용부는, 수용부의 축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斷面)에 있어서, 가열부와 겹치는 가열 영역과, 가열 영역 이외의 비가열 영역을 가지며, 파지부는, 접촉부이며, 또한 가열 영역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의하면, 수용부에 수용된 향미 발생 물품을 가압하는 접촉부이며, 또한 수용부의 축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가열부와 겹치는 가열 영역에 파지부를 형성함으로써, 수용부에서 향미 발생 물품을 압축하여 유지하면서, 수용부 내에서 파지부에 의해 향미 발생 물품을 파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향미 발생 물품에 응력이 작용한 경우여도, 향미 발생 물품이 수용부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열에 의해 향미 발생 물품의 경화된 영역을 파지부가 파지할 수 있으므로, 강고하게 향미 발생 물품을 파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서는, 제1 형태에 있어서, 파지부는, 수용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향미 발생 물품을 가압하는 돌기이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의하면, 수용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향미 발생 물품을 가압하는 돌기로 파지부를 구성함으로써, 수용부 내에서 향미 발생 물품을 가압하여 파지할 수 있어, 향미 발생 물품의 외면에 있어서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서는, 제2 형태에 있어서, 돌기는, 점형상이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의하면, 점형상의 돌기로 파지부를 구성함으로써, 간소한 구성으로, 수용부 내에서 향미 발생 물품을 가압하여 파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형태에서는, 제3 형태에 있어서, 접촉부는, 평면이며, 돌기는, 접촉부에 평행한 면에서 보았을 때에, 수용부의 중심축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의하면, 접촉부에 평행한 면에서 보았을 때에, 수용부의 중심축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돌기를 지점(支點)으로 하는 향미 발생 물품의 이간부측으로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형태에서는, 제2 형태에 있어서, 돌기는, 수용부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본 발명의 제5 형태에 의하면, 수용부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돌기로 파지부를 구성함으로써, 수용부 내에서 향미 발생 물품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형태에서는, 제2 형태에 있어서, 돌기는, 수용부의 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본 발명의 제6 형태에 의하면, 수용부의 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돌기로 파지부를 구성함으로써, 향미 발생 물품의 이간부측으로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형태에서는, 제2 형태에 있어서, 돌기는, 수용부의 축 방향 및 수용부의 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본 발명의 제7 형태에 의하면, 수용부의 축 방향 및 수용부의 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돌기로 파지부를 구성함으로써, 수용부 내에서 향미 발생 물품을 안정적으로 파지하는 동시에, 향미 발생 물품의 이간부측으로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형태에서는, 제7 형태에 있어서, 접촉부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평면이며, 돌기는, 한 쌍의 평면 각각에 형성되며, 한 쌍의 평면 각각에 형성된 돌기의, 개구와는 반대측 단부는, 접촉부에 평행한 면에서 보았을 때에, 서로 겹치며, 한 쌍의 평면 각각에 형성된 돌기의, 개구측 단부는, 접촉부에 평행한 면에서 보았을 때에,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제8 형태에 의하면, 한 쌍의 평면 각각에 형성된 돌기에 대하여, 접촉부에 평행한 면에서 보았을 때에, 개구와는 반대측 단부가 서로 겹치며, 개구측 단부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향미 발생 물품의 삽입 시, 유저에게 저항감을 줄 수 있어, 향미 발생 물품의 삽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 형태에서는, 제2 형태부터 제8 형태까지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돌기는, 엠보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며, 돌기의 적어도 일부는, 가열 영역으로부터 개구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9 형태에 의하면, 엠보스 가공에 의해 형성된 돌기의 적어도 일부가 가열 영역으로부터 개구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가열부와 돌기 사이의 가열된 공기를 빼낼 수 있으므로, 가열부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0 형태에서는, 제1 형태부터 제9 형태까지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열부는, 열을 발생하는 발열체와, 발열체를 지지하는 절연성 기체(基體)를 가지며, 발열체와 기체에 의해, 가열 영역에 있어서, 발열체가 배치된 발열 영역과, 발열 영역의 개구측에 인접하며, 발열체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비발열 영역이 형성되며, 파지부는, 비발열 영역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0 형태에 의하면, 가열 영역 중, 발열체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비발열 영역에 파지부를 형성함으로써, 향미 발생 물품을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1 형태에서는, 제1 형태부터 제10 형태까지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수용부에 수용된 향미 발생 물품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구비하며, 지지부는, 이간부이며, 또한 가열 영역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1 형태에 의하면, 수용부에 수용된 향미 발생 물품으로부터 이간되는 이간부이며, 또한 수용부의 축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가열부와 겹치는 가열 영역에 파지부를 형성함으로써, 향미 발생 물품의 이간부측으로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2 형태에서는, 제11 형태에 있어서, 지지부는, 엠보스 가공에 의해 형성된 돌기이며,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가열 영역으로부터 개구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2 형태에 의하면, 엠보스 가공에 의해 형성된 돌기인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가 가열 영역으로부터 개구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가열부와 돌기 사이의 가열된 공기를 빼낼 수 있으므로, 가열부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3 형태에서는, 제11 형태 또는 제12 형태에 있어서, 파지부는, 제1 방향으로 배열된 한 쌍의 제1 돌기를 포함하며, 지지부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된 한 쌍의 제2 돌기를 포함하며,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서로 교차한다.
본 발명의 제13 형태에 의하면, 파지부가 제1 방향으로 배열된 한 쌍의 제1 돌기를 포함하며, 지지부가 제2 방향으로 배열된 한 쌍의 제2 돌기를 포함하며, 제1 방향과 제2 방향이 서로 교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용부 내에서 향미 발생 물품을 안정적으로 파지하는 동시에, 향미 발생 물품의 이간부측으로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4 형태에서는, 제13 형태에 있어서, 제1 방향은, 수용부의 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며, 제2 방향은, 수용부의 축 방향을 따른 방향이다.
본 발명의 제14 형태에 의하면, 제1 돌기를 수용부의 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열함으로써, 향미 발생 물품의 삽입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향미 발생 물품과 제1 돌기의 접촉 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어, 높은 접촉 저항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 돌기를 수용부의 축 방향을 따라 나열함으로써, 향미 발생 물품이 수용부 내에서 변형되었을 때에, 가장 돌출되는 부분을 제2 돌기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강고하게 향미 발생 물품을 수용부 내에 파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5 형태에서는, 제13 형태 또는 제14 형태에 있어서, 제1 돌기의 크기는, 제2 돌기의 크기보다도 작다.
본 발명의 제15 형태에 의하면, 제2 돌기를 크게 형성함으로써, 향미 발생 물품이 수용부 내에서 변형되었을 때에, 제2 돌기가 보다 깊게 향미 발생 물품에 파고들어가므로, 보다 강고하게 향미 발생 물품을 수용부 내에 파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6 형태에서는, 제13 형태부터 제15 형태까지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한 쌍의 제2 돌기의 한 쪽은, 가열 영역의 발열 영역에 형성되며, 한 쌍의 제2 돌기의 다른 쪽은, 가열 영역의 비발열 영역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6 형태에 의하면, 한 쌍의 제2 돌기의 다른 쪽을, 발열 영역의 개구측에 인접하는 비발열 영역에 형성함으로써, 향미 발생 물품의, 가열에 의해 경화된 영역과, 비교적 탄력이 있는 유연한 영역의 양쪽을 파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강고하게 향미 발생 물품을 수용부 내에 파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7 형태에서는, 제13 형태부터 제16 형태까지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한 쌍의 제2 돌기의 한 쪽과 다른 쪽은, 엠보스 가공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한 쌍의 제2 돌기의 적어도 일부는, 가열 영역으로부터 개구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7 형태에 의하면, 엠보스 가공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한 쌍의 제2 돌기의 적어도 일부가 가열 영역으로부터 개구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가열부와 제2 돌기 사이의 가열된 공기를 빼낼 수 있으므로, 가열부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8 형태에서는, 흡연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흡연 시스템은, 향미 흡인기와 향미 발생 물품을 구비하며, 향미 흡인기는, 일단에 개구가 형성되며, 개구를 통하여 향미 발생 물품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로서, 수용부는, 수용된 향미 발생 물품의 일부를 수용부의 축 방향을 따라 가압하는 접촉부와, 수용된 향미 발생 물품으로부터 이간되는 이간부를 포함하는, 수용부와, 수용부의 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수용부에 수용된 향미 발생 물품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수용부에 수용된 향미 발생 물품을 파지하는 파지부를 구비하며, 수용부는, 수용부의 축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가열부와 겹치는 가열 영역과, 가열 영역 이외의 비가열 영역을 가지며, 향미 발생 물품은, 흡연 가능물이 충전된 충전부와, 충전부와 연속하여 형성되는 중공(中空)의 통형부를 구비하며, 파지부는, 접촉부이면서 가열 영역으로서, 충전부와 통형부의 경계 근방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8 형태에 의하면, 수용부에 수용된 향미 발생 물품을 가압하는 접촉부이면서 수용부의 축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가열부와 겹치는 가열 영역으로서, 충전부와 통형부의 경계 근방에 파지부를 형성함으로써, 수용부에서 향미 발생 물품을 압축하여 유지하면서, 수용부 내에서 파지부에 의해 향미 발생 물품을 파지할 수 있는 동시에, 향미 발생 물품의 외면에 있어서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의 개략 상면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의 개략 저면도이다.
도 2는, 향미 발생 물품의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b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에서 본 3-3에 있어서의 향미 흡인기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챔버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4B-4B에 있어서의 챔버를 가열부와 함께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c는, 도 4a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4C-4C에 있어서의 챔버를 가열부와 함께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4b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5A-5A에 있어서의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4b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5B-5B에 있어서의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챔버 및 가열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챔버 내의 원하는 위치에 향미 발생 물품이 배치된 상태인 도 5b에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다른 챔버를 가열부와 함께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낸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다른 챔버를 가열부와 함께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다른 챔버를 가열부와 함께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낸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다른 챔버를 가열부와 함께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4a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4B-4B에 있어서의 챔버를 가열부와 함께 나타내는 다른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챔버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나타낸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19-19에 있어서의 챔버를 가열부와 함께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7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20-20에 있어서의 챔버를 가열부와 함께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21-21에 있어서의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7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19-19에 있어서의 챔버를 가열부와 함께 나타내는 다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도면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상당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보스가 엠보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100)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100)의 개략 상면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100)의 개략 저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도면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X-Y-Z 직교 좌표계를 첨부하는 경우가 있다. 이 좌표계에 있어서, Z축은 연직 상방을 향하고 있으며, X-Y 평면은 향미 흡인기(100)을 수평 방향으로 절단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Y축은 향미 흡인기(100)의 정면으로부터 이면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Z축은, 후술하는 무화부(霧化部)(30)의 챔버(50)에 수용되는 향미 발생 물품의 삽입 방향, 또는 챔버(50)의 축 방향이라고 할 수도 있다. 또한, X축은, Y축 및 Z축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100)은, 예를 들어, 에어로졸원을 포함한 향미원을 갖는 스틱형의 향미 발생 물품을 가열함으로써, 향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도 1a 내지 도 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향미 흡인기(100)은, 아우터 하우징(101)과, 슬라이드 커버(102)와, 스위치부(103)과, 단자(104)를 갖는다. 아우터 하우징(101)은, 향미 흡인기(100)의 가장 외부의 하우징을 구성하며, 유저의 손에 들어가는 사이즈를 갖는다. 유저가 향미 흡인기(100)을 사용할 때에는, 향미 흡인기(100)을 손으로 유지하여, 에어로졸을 흡인할 수 있다. 아우터 하우징(101)은, 복수의 부재를 조립함으로써 구성되어도 된다. 아우터 하우징(101)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아우터 하우징(101)은, 수지제,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PC),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 PEEK(폴리에터에터케톤) 또는 복수 종류의 폴리머를 함유하는 폴리머 알로이 등으로 형성된 부재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아우터 하우징(101)은, 향미 발생 물품을 받아들이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개구를 가지며, 슬라이드 커버(102)는, 이 개구를 닫도록 아우터 하우징(10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드 커버(102)는, 아우터 하우징(101)의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위치)와, 상기 개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를, 아우터 하우징(101)의 외표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유저가 슬라이드 커버(102)를 수동으로 조작함으로써, 슬라이드 커버(102)를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슬라이드 커버(102), 향미 흡인기(100)의 내부로의 향미 발생 물품의 액세스를 허가 또는 제한할 수 있다.
스위치부(103)은, 향미 흡인기(100)의 작동의 온과 오프를 전환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유저는, 향미 발생 물품을 향미 흡인기(100)에 삽입한 상태에서 스위치부(103)을 조작함으로써, 도시되지 않은 가열부에 도시되지 않은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어, 향미 발생 물품을 연소시키지 않고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부(103)은, 아우터 하우징(101)의 외부에 설치되는 스위치여도 되며, 아우터 하우징(101)의 내부에 위치하는 스위치여도 된다. 스위치가 아우터 하우징(101)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아우터 하우징(101) 표면의 스위치부(103)을 누름으로써, 간접적으로 스위치가 눌러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위치부(103)의 스위치가 아우터 하우징(101)의 내부에 위치하는 예를 설명한다.
단자(104)는, 향미 흡인기(100)을 예를 들어 외부 전원과 접속하는 USB 등의 인터페이스이다. 향미 흡인기(100)이 구비하는 전원이 충전식 배터리인 경우는, 단자(104)에 외부 전원을 접속함으로써, 외부 전원이 전원에 전류를 흘려, 전원을 충전할 수 있다. 또한, 향미 흡인기(100)은, 단자(104)에 데이터 송신 케이블을 접속함으로써, 향미 흡인기(100)의 작동에 관련되는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100)에서 사용되는 향미 발생 물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향미 발생 물품(110)의 개략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향미 흡인기(100)과 향미 발생 물품(110)에 의해 흡연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향미 발생 물품(110)은, 흡연 가능물이 충전된 충전부(111)과, 충전부(111)과 연속해서 형성된 중공의 통형 부재(114)(통형부의 일례에 상당한다)와, 중공 필터부(116)과, 필터부(115)를 갖는다.
충전부(111)은, 제1 권지(卷紙)(112)에 의해 권장(卷裝)된다. 통형 부재(114), 중공 필터부(116), 및 필터부(115)는, 제1 권지(112)와는 상이한 제2 권지(113)에 의해 권장된다. 제2 권지(113)은, 충전부(111)을 권장하는 제1 권지(112)의 일부도 권장한다. 이로써, 통형 부재(114), 중공 필터부(116), 및 필터부(115)와 충전부(111)이 연결된다. 다만, 제2 권지(113)이 생략되고, 제1 권지(112)를 사용하여 통형 부재(114), 중공 필터부(116), 및 필터부(115)와 충전부(111)이 연결되어도 된다. 제2 권지(113)의 필터부(115)측의 단부 근방의 외면에는, 유저의 입술을 제2 권지(113)으로부터 떼어내기 쉽게 하기 위한 립 릴리스제(117)이 도포된다. 향미 발생 물품(110)의 립 릴리스제(117)이 도포되는 부분은, 향미 발생 물품(110)의 물부리로서 기능한다.
충전부(111)은, 예를 들어 담배 등의 향미원과, 에어로졸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충전부(111)을 감는 제1 권지(112)는, 통기성을 갖는 시트 부재일 수 있다. 통형 부재(114)는, 지관(紙管) 또는 중공 필터일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향미 발생 물품(110)은, 충전부(111), 통형 부재(114), 중공 필터부(116) 및 필터부(115)를 구비하고 있지만, 향미 발생 물품(110)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중공 필터부(116)이 생략되고, 통형 부재(114)와 필터부(115)가 서로 인접 배치되어도 된다.
다음으로, 향미 흡인기(100)의 내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b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에서 본 3-3에 있어서의 향미 흡인기(100)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향미 흡인기(100)의 아우터 하우징(101)의 내측에는, 후술하는 전원부(20)이나 무화부(30) 등의 피수용물이 재치(載置)되는 재치부(10)이 형성된다. 재치부(10)은, 예를 들어 수지제이며, 특히, 폴리카보네이트(PC),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 PEEK(폴리에터에터케톤) 또는 복수 종류의 폴리머를 함유하는 폴리머 알로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재치부(10)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여기서, 내열성이나 가공성, 강도의 관점에서, 재치부(10)은, 폴리카보네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재치부(10)의 내부 공간에는, 전원부(20)과, 무화부(30)이 형성된다. 또한, 전원부(20) 및 무화부(30)은, 향미 흡인기(100)이 조립된 후에는 교환 불가능하다. 또한, 아우터 하우징(101)과 재치부(10)을 합쳐서 케이싱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전원부(20)은 전원(21)을 갖는다. 전원(21)은, 예를 들어, 충전식 배터리 또는 비충전식 배터리일 수 있다. 전원(21)은, 무화부(3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로써, 전원(21)은, 향미 발생 물품(110)을 적절히 가열하도록, 무화부(3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무화부(30)은, 도시한 바와 같이, 향미 발생 물품(110)의 삽입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챔버(50)(수납부의 일례에 상당한다)과, 챔버(50)의 축 방향(Z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챔버(50)의 일부를 덮는 가열부(40)과, 단열부(32)와, 대략 통형의 삽입 가이드 부재(34)를 갖는다. 챔버(50)은, 향미 발생 물품(11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챔버(50)의 내주면에는, 수용된 향미 발생 물품(110)을 파지하는 보스(51)(파지부, 돌기의 일례에 상당한다)이 형성된다. 보스(51)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가열부(40)은 챔버(50)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챔버(50)에 수용된 향미 발생 물품(110)을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챔버(50)의 바닥부에는 바닥 부재(36)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바닥 부재(36)은, 챔버(50)에 삽입된 향미 발생 물품(110)을 위치 결정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바닥 부재(36)은, 향미 발생 물품(110)이 맞닿는 면에 요철을 가지며, 향미 발생 물품(110)이 맞닿는 면에 공기를 공급 가능한 공간을 획정할 수 있다. 바닥 부재(36)은, 예를 들어 수지제이며, 특히, 폴리카보네이트(PC),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 PEEK(폴리에터에터케톤) 또는 복수 종류의 폴리머를 함유하는 폴리머 알로이 등, 혹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닥 부재(36)은, 단열부(32) 등에 열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열전도율이 작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열부(32)는, 전체적으로 대략 통형이며, 챔버(50)을 덮도록 배치된다. 단열부(32)는, 예를 들어 에어로겔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 가이드 부재(34)는, 아우터 하우징(101)과 챔버(50) 사이에 형성된다. 삽입 가이드 부재(34)는, 아우터 하우징(101)의 개구로부터 케이싱 내에 질러넣으면, 클로(claw)가 케이싱에 걸어맞추어져, 케이싱 외로 탈출 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삽입 가이드 부재(34)는, 예를 들어 수지제이며, 특히, 폴리카보네이트(PC),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 PEEK(폴리에터에터케톤) 또는 복수 종류의 폴리머를 함유하는 폴리머 알로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 가이드 부재(34)는 금속이나 유리, 세라믹 등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내열성의 관점에서, 삽입 가이드 부재(34)는 PEEK인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 가이드 부재(34)는, 슬라이드 커버(102)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 향미 흡인기(100)의 외부와 연통하여, 향미 발생 물품(110)을 삽입 가이드 부재(34)의 관통공(34a)에 삽입함으로써, 챔버(50)으로의 향미 발생 물품(110)의 삽입을 안내한다. 슬라이드 커버(102)는,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 삽입 가이드 부재(34)의 관통공(34a)를 외부로 노출시키면서, 챔버(50)의 축 방향(Z축 방향)에 있어서 삽입 가이드 부재(34)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있어서, 슬라이드 커버(102)가 삽입 가이드 부재(34)의 관통공(34a)의 전체를 덮도록 닫혀 있는 상태를 2점 쇄선으로 나타낸다.
향미 흡인기(100)은, 추가로, 챔버(50) 및 단열부(32)의 양단을 유지하는, 제1 유지부(37)과 제2 유지부(38)을 갖는다. 제1 유지부(37)은, 챔버(50) 및 단열부(32)의 Z축 음방향측의 단부를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제2 유지부(38)은, 챔버(50) 및 단열부(32)의 슬라이드 커버(102)측(Z축 양방향측)의 단부를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다음으로, 챔버(5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챔버(50)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4B-4B에 있어서의 챔버(50)을 가열부(40)과 함께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c는, 도 4a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4C-4C에 있어서의 챔버(50)을 가열 부(40)과 함께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4b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5A-5A에 있어서의 챔버(50)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4b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5B-5B에 있어서의 챔버(50)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챔버(50) 및 가열부(40)의 사시도이다.
도 4a, 도 4b 및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챔버(50)은, 향미 발생 물품(110)이 삽입되는 개구(52)와, 향미 발생 물품(110)을 수용하는 통형의 측벽부(60)을 포함하는 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챔버(50)의 개구(52)를 획정하는 단부에는, 플랜지부(52a)가 형성된다. 챔버(50)은, 바닥부(56)의 반대측에 형성된 플랜지부(52a)가 아우터 하우징(101)의 개구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챔버(50)은 내열성을 가지며, 열팽창률이 작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챔버(50)은, 금속 외에 PEEK 등의 수지나, 유리, 세라믹 등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로써, 챔버(50)으로부터 향미 발생 물품(110)으로 효과적인 가열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챔버(50)은, 통형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컵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도 4b, 도 4c 및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부(60)은 접촉부(62)와 이간부(66)을 포함한다. 향미 발생 물품(110)이 챔버(50) 내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접촉부(62)는, 챔버(50)의 축 방향(Z축 방향)을 따라 향미 발생 물품(110)의 일부와 접촉 또는 가압하고, 이간부(66)은, 향미 발생 물품(110)으로부터 이간된다. 즉, 챔버(50)은, 삽입된 향미 발생 물품(110)을 압축하여 파지한다.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챔버(50) 내의 원하는 위치"란, 향미 발생 물품(110)이 적절히 가열되는 위치, 또는 유저가 흡연할 때의 향미 발생 물품(110)의 위치를 말한다. 접촉부(62)는, 내면(62a)와 외면(62b)를 갖는다. 이간부(66)은, 내면(66a)와 외면(66b)를 갖는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부(40)은, 접촉부(62)의 외면(62b)에 배치된다. 가열부(40)은, 접촉부(62)의 외면(62b)에 간극없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부(40)은 접착층을 포함해도 된다. 그 경우, 접착층을 포함하는 가열부(40)이, 접촉부(62)의 외면(62b)에 간극없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 및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부(62)의 외면(62b)는 평면이다. 접촉부(62)의 외면(62b)가 평면임으로써,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부(62)의 외면(62b)에 배치되는 가열부(40)에 띠형상의 전극(48)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띠형상의 전극(48)이 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4b 및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부(62)의 내면(62a)는 평면이다. 또한, 도 4b 및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부(62)의 두께는 균일하다.
도 4a, 도 4b 및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챔버(50)은 접촉부(62)를 챔버(50)의 둘레 방향으로 2개 가지며, 2개의 접촉부(62)는 서로 평행이 되도록 대향한다. 2개의 접촉부(62)의 내면(62a) 사이의 적어도 일부의 거리는, 챔버(50)에 삽입되는 향미 발생 물품(110)의 접촉부(62) 사이에 배치되는 개소의 폭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4c 및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간부(66)의 내면(66a)는, 챔버(50)의 축 방향(Z축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원호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간부(66)은, 접촉부(62)와 둘레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즉, 접촉부(62) 및 이간부(66)은, 챔버(50)의 축 방향(Z축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비원형의 내주면을 구성한다.
도 4b 및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챔버(50)은 도 3에 나타낸 바닥 부재(36)이 관통하여 챔버(50) 내부에 배치되도록, 그 바닥부(56)에 구멍(56a)를 가질 수 있다. 바닥 부재(36)은, 챔버(50)의 바닥부(56)의 내부에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바닥 부재(36)과 바닥부(56)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제는, 에폭시 수지 등의 수지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것 대신에, 시멘트나 용접 등, 무기 접착제도 사용될 수 있다. 바닥부(56)에 형성되는 바닥 부재(36)은, 향미 발생 물품(110)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도록, 챔버(50)에 삽입된 향미 발생 물품(110)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바닥부(56)은, 노출된 향미 발생 물품(110)의 단면이 후술하는 공극(67)(도 7 참조)과 연통하도록, 향미 발생 물품(110)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챔버(50)의 내부 공간에는, 챔버(50)의 축 방향(Z축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가열부(40)과 겹치는 영역, 즉 가열 부(40)이 배치되어 있는 개소에 대응하는, Z축 방향을 따른 영역인 가열 영역(50A)와, 가열 영역(50A) 이외의 비가열 영역(50B)가 형성된다.
도 4a, 도 4b 및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챔버(50)은, 개구(52)와 측벽부(60) 사이에 통형의 비유지부(54)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향미 발생 물품(110)이 챔버(50)의 원하는 위치에 위치 결정된 상태에 있어서, 비유지부(54)와 향미 발생 물품(11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챔버(50)은, 비유지부(54)의 내면과 접촉부(62)의 내면(62a)를 접속하는 테이퍼면(58a)를 구비한 제1 가이드부(58)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부(40)은 가열 요소(42)를 갖는다. 가열 요소(42)는, 예를 들어 발열 저항체(발열체의 일례에 상당한다)여도 된다. 가열 요소(42)는, 챔버(50)의 이간부(66)에 접촉하지 않고, 접촉부(62)를 가열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언하면, 가열 요소(42)는, 접촉부(62)의 외면에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요소(42)는, 챔버(50)의 이간부(66)을 가열하는 부분과, 접촉부(62)를 가열하는 부분에서, 가열 능력에 차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가열 요소(42)는, 이간부(66)보다도 접촉부(62)를 높은 온도로 가열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접촉부(62)와 이간부(66)에 있어서의 가열 요소(42)의 발열 저항체의 배치 밀도가 조정될 수 있다. 또한, 가열 요소(42)는, 챔버(50)의 전체 둘레에 있어서 대략 동일한 가열 능력을 가지며, 챔버(50)의 외주에 감겨도 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부(40)은, 가열 요소(42)에 더하여, 가열 요소(42)의 적어도 일면을 덮는 수지 등으로 구성된 전기 절연 부재(44)(기체(基體)의 일례에 상당한다)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기 절연 부재(44)는 가열 요소(42)의 양면을 덮도록 배치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챔버(50) 내의 원하는 위치에 향미 발생 물품(110)이 배치된 상태인 도 5b에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에서는, 도 5a에 나타낸 보스(51)을 가상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향미 발생 물품(110)이 챔버(50) 내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되면, 향미 발생 물품(110)은 챔버(50)의 접촉부(62)와 접촉하여 가압될 수 있다. 한편, 향미 발생 물품(110)과 이간부(66) 사이에는 공극(67)이 형성된다. 공극(67)은 챔버(50)의 개구(52)와, 챔버(50) 내에 위치 부여된 향미 발생 물품(110)의 단면(端面)과 연통될 수 있다. 이로써, 챔버(50)의 개구(52)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공극(67)을 통과하여, 향미 발생 물품(110)의 내부로 유입할 수 있다. 환언하면, 향미 발생 물품(110)과 이간부(66) 사이에 공기 유로(공극(67))이 형성된다.
여기서, 챔버(50)에 삽입된 향미 발생 물품(110)은, 챔버(50)의 접촉부(62)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압축되어 파지되지만, 향미 발생 물품(110)에 의도하지 않은 응력이 작용하면, 향미 발생 물품(110)이 챔버(50)으로부터 빠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향미 발생 물품(110)에 작용하는 응력에 의해, 향미 발생 물품(110)이 이간부(66)측으로 흔들리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도 4b, 도 4c, 도 5a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챔버(50)의 내주면에는, 챔버(50)에 수용된 향미 발생 물품(110)의 외주면을, 챔버(50)의 직경 방향 내향으로 가압하여 파지하도록 구성된 보스(51)이 형성된다. 보스(51)은, 챔버(50)의 내주면에 있어서, 접촉부(62)의 내면(62a)이며, 또한 가열 영역(50A)에 형성된다. 또한, 보스(51)은, 서로 대향하는 내면(62a) 각각에 형성된다. 또한, 보스(51)은, 챔버(5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향미 발생 물품(110)을 가압하는 돌기이며, 챔버(50)의 축 방향(Z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구체적으로는 횡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보스(51)은, 엠보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지만, 챔버(50)의 내주면에 부착된 볼록 형상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보스(51)은, 서로 대향하는 내면(62a)의 한 쪽에만 형성되어도 되며, 1개의 내면(62a)에 복수의 보스(51)이 형성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접촉부(62)의 내면(62a)이며, 또한 가열 영역(50A)에 보스(51)을 형성함으로써, 챔버(50)으로 향미 발생 물품(110)을 압축하여 유지하면서, 챔버(50) 내에서 보스(51)에 의해 향미 발생 물품(110)을 파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향미 발생 물품(110)에 응력이 작용한 경우여도, 향미 발생 물품(110)이 챔버(50)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열에 의해 향미 발생 물품의 경화된 영역을 파지부가 파지할 수 있으므로, 강고하게 향미 발생 물품을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챔버(5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향미 발생 물품(110)을 가압하는 돌기로 보스(51)을 구성함으로써, 챔버(50) 내에서 향미 발생 물품(110)을 가압하여 파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클로(claw) 등에 의해 향미 발생 물품(110)을 파지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향미 발생 물품(110)의 외면에 있어서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횡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돌기로 보스(51)을 구성함으로써, 향미 발생 물품(110)의 Y축 둘레의 회전이 규제된다. 그 때문에, 향미 발생 물품(110)의 이간부(66)측으로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보스의 형상은, 도 4b, 도 4c, 도 5a 및 도 7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도 4b, 도 4c, 도 5a 및 도 7에 나타낸 형상과는 상이한 보스의 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다른 챔버(50)을 가열부(40)과 함께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낸 챔버(50)의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도 4c 및 도 5a에 대응한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챔버(50)의 내주면에는, 챔버(50)에 수용된 향미 발생 물품(110)의 외주면을, 챔버(50)의 직경 방향 내향으로 가압하여 파지하도록 구성된 보스(51A)가 형성된다. 보스(51A)는, 챔버(50)의 내주면에 있어서, 접촉부(62)의 내면(62a)이며, 또한 가열 영역(50A)에 형성된다. 또한, 보스(51A)는, 서로 대향하는 내면(62a) 각각에 형성된다. 또한, 보스(51A)는, 챔버(5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향미 발생 물품(110)을 가압하는 점형상의 돌기이다. 점형상의 돌기로 보스(51A)를 구성함으로써, 간소한 구성으로, 챔버(50) 내에서 향미 발생 물품(110)을 가압하여 파지할 수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에서는, 보스(51A)가, 접촉부(62)에 평행한 면에서 보았을 때에, 챔버(50)의 중심축과 겹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보스(51A)의 배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다른 챔버를 가열부와 함께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도 4c 및 도 5a에 대응한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챔버(50)의 내주면에는, 챔버(50)에 수용된 향미 발생 물품(110)의 외주면을, 챔버(50)의 직경 방향 내향으로 가압하여 파지하도록 구성된 보스(51A)가 형성된다. 여기서, 보스(51A)는, 접촉부(62)에 평행한 면에서 보았을 때에, 챔버(50)의 중심축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다. 챔버(50)의 중심축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보스(51A)를 형성함으로써, 보스(51A)와 이간부(66)의 위치를 근접시킬 수 있으므로, 보스(51A)를 지점(支點)으로 하는 향미 발생 물품(110)의 이간부(66)측으로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도 4b, 도 4c, 도 5a 및 도 7에 나타낸 형상과는 상이한 보스의 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다른 챔버(50)을 가열부(40)과 함께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낸 챔버(50)의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각각 도 4c 및 도 5a에 대응한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챔버(50)의 내주면에는, 챔버(50)에 수용된 향미 발생 물품(110)의 외주면을, 챔버(50)의 직경 방향 내향으로 가압하여 파지하도록 구성된 보스(51B)가 형성된다. 보스(51B)는, 챔버(50)의 내주면에 있어서, 접촉부(62)의 내면(62a)이며, 또한, 가열 영역(50A)에 형성된다. 또한, 보스(51B)는, 서로 대향하는 내면(62a) 각각에 형성된다. 또한, 보스(51B)는, 챔버(5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향미 발생 물품(110)을 가압하는 돌기이며, 챔버(50)의 축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챔버(50)의 축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돌기로 보스(51B)를 구성함으로써, 예를 들어 점형상의 보스로 향미 발생 물품(110)을 파지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챔버(50) 내에서 향미 발생 물품(110)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도 4b, 도 4c, 도 5a 및 도 7에 나타낸 형상과는 상이한 보스의 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다른 챔버(50)을 가열부(40)과 함께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챔버(50)의 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각각 도 4c 및 도 5a에 대응한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챔버(50)의 내주면에는, 챔버(50)에 수용된 향미 발생 물품(110)의 외주면을, 챔버(50)의 직경 방향 내향으로 가압하여 파지하도록 구성된 보스(51C)가 형성된다. 보스(51C)는, 챔버(50)의 내주면에 있어서, 접촉부(62)의 내면(62a)이며, 또한, 가열 영역(50A)에 형성된다. 또한, 보스(51C)는, 서로 대향하는 내면(62a) 각각에 형성된다. 또한, 보스(51C)는, 챔버(5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향미 발생 물품(110)을 가압하는 돌기이며, 챔버(50)의 축 방향(Z축 방향) 및 횡방향(Y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경사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또한, 보스(51C)의 어스펙트비는, 1 이상이다. 또한, 한 쌍의 보스(51C)는, 접촉부(62)에 평행한 면에서 보았을 때에, 개구(52)와는 반대측의 단부(端部)가 서로 겹치고, 개구(52)측의 단부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챔버(50)의 중심축에 대한 한 쌍의 보스(51C)의 경사 각도는,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챔버(50)의 축 방향(Z축 방향) 및 횡방향(Y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돌기로 보스(51C)를 구성함으로써, 예를 들어 점형상의 보스로 향미 발생 물품(110)을 파지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챔버(50) 내에서 향미 발생 물품(110)을 안정적으로 파지하는 동시에, 향미 발생 물품(110)의 이간부(66)측으로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보스(51C)를, 접촉부(62)에 평행한 면에서 보았을 때에, 개구(52)와는 반대측의 단부가 서로 겹치고, 개구(52)측의 단부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향미 발생 물품(110)을 챔버(50)에 삽입할 때, 향미 발생 물품(110)으로 회전하고자 하는 힘이 작용하는 한편, 접촉부(62)의 표면이 이 회전하고자 하는 힘을 억제하는 저항력을 발생시킨다. 그 때문에, 향미 발생 물품(110)의 삽입 시, 유저에게 저항감을 줄 수 있어, 향미 발생 물품(110)의 삽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보스의 적어도 일부가 가열 영역으로부터 개구측으로 노출되어도 된다. 도 16은, 도 4a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4B-4B에 있어서의 챔버를 가열부와 함께 나타내는 다른 단면도이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스(51)의 적어도 일부는, 가열 영역(50A)로부터 개구(52)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스(51)의 적어도 일부가 가열 영역(50A)로부터 개구(52)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가열부(40)과 보스(51) 사이의 가열된 공기를 빼낼 수 있으므로, 가열부(40)이 챔버(50)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보스(51)과는 상이한 형상의 보스(51A~51C)에 대해서도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이어서, 도 2, 도 3,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여 챔버(50)의 축 방향(Z축 방향)에 있어서의 보스(51)의 위치와 향미 발생 물품(110)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챔버(50)의 축 방향(Z축 방향)에 있어서의 보스의 위치는, 향미 발생 물품(110)이 챔버(50) 내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에 있어서의, 향미 발생 물품(110)의 충전부(111)과 통형 부재(114)의 경계 근방, 구체적으로는, 경계가 위치하는 가상 평면 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가상 평면보다도 필터부(115)측에 보스(51)이 배치되면, 보스(51)에 의한 바람직한 파지력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즉, 가열에 의해 향미 발생 물품(110)은 줄어들지만, 충전부(111)과 통형 부재(114)의 경계인 통형 부재(114)의 개구부가 가장 크게 변형된다. 그 때문에, 개구부를 향하여 경사지는 통 형 부재(114)의 외면을 보스(51)이 미끄러져 충분히 파지할 수 없어, 바람직한 파지력이 발현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 가상 평면보다도 충전부(111)측에 보스(51)을 배치시켜도 되지만, 이 가상 평면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보스(51)에 의해 파지하면, 향미 발생 물품(110)의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즉, 향미 발생 물품(110)의 강도는, 이 가상 평면 근방이 가장 약해지는 경향이 있어, 이 가상 평면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향미 발생 물품(110)을 파지하면, 향미 발생 물품(110)을 빼내고자 했을 때나 향미 발생 물품(110)이 흔들렸을 때에, 이 가상 평면 근방에서 향미 발생 물품(110)이 파단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충전부(111)과 통형 부재(114)의 경계 근방에 보스(51)을 형성함으로써, 챔버(50)에서 향미 발생 물품(110)을 압축하여 유지하면서, 챔버(50) 내에서 보스(51)에 의해 향미 발생 물품(110)을 파지할 수 있는 동시에, 향미 발생 물품(110)의 외면에 있어서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챔버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7에 나타낸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19-19에 있어서의 챔버를 가열부와 함께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7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20-20에 있어서의 챔버를 가열부와 함께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21-21에 있어서의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21에 있어서,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 내지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부(40)에는, 발열 영역(40A)와, 발열 영역(40A)의 개구(52)측에 인접하는 비발열 영역(40B)가 형성된다. 여기서, 발열 영역(40A)는, 도 6에 나타낸 가열 요소(42)와 같은 발열체가 배치된 영역이며, 비발열 영역(40B)는, 도 6에 나타낸 전기 절연 부재(44)와 같은 기체로 형성되어, 발열체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다.
또한, 챔버(50)의 내주면에는, 챔버(50)에 수용된 향미 발생 물품(110)의 외주면을, 챔버(50)의 직경 방향 내향으로 가압하여 파지하도록 구성된 보스(51D)(파지부, 돌기의 일례에 상당한다)가 형성된다. 보스(51D)는, 챔버(50)의 내주면에 있어서, 접촉부(62)의 내면(62a)이며, 또한 가열 영역(50A)에 형성된다. 또한, 보스(51D)는, 챔버(50)의 축 방향(Z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구체적으로는 횡방향(Y축 방향)을 따라 2개 나란히 배치되어, 한 쌍의 보스(51D)(제1 돌기의 일례에 상당한다)를 구성한다. 또한, 한 쌍의 보스(51D)는, 서로 대향하는 내면(62a) 각각에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보스(51D)는, 가열부(40)의 비발열 영역(40B)에 대응한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챔버(50)의 내주면에는, 챔버(50)에 수용된 향미 발생 물품(110)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보스(51E)(지지부의 일례에 상당한다)가 형성된다. 보스(51E)는, 챔버(50)의 내주면에 있어서, 이간부(66)의 내면(66a)이며, 또한 가열 영역(50A)에 형성된다. 또한, 보스(51E)는, 챔버(50)의 축 방향(Z축 방향)을 따라 2개 나란히 배치되어, 한 쌍의 보스(51E)(제2 돌기의 일례에 상당한다)를 구성한다. 또한, 한 쌍의 보스(51E)는, 서로 대향하는 내면(66a) 각각에 형성된다. 여기서, 한 쌍의 보스(51E)의 한 쪽은, 가열부(40)의 발열 영역(40A)에 대응한 위치에 형성되며, 한 쌍의 보스(51E)의 다른 쪽은, 가열부(40)의 비발열 영역(40B)에 대응한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보스(51E)의 다른 쪽의 적어도 일부는, 가열 영역(50A)로부터 개구(52)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한 쌍의 보스(51E)를 챔버(50)의 축 방향(Z축 방향)을 따라 배치함으로써, 한 쌍의 보스(51E)가 향미 발생 물품(110)과 이간부(66)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 유로(공극(67))을 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보스(51E)는, 챔버(50)의 축 방향(Z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구체적으로는 횡방향(X축 방향)을 따라 2개 나란히 배치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발열체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비발열 영역(40B)에 보스(51D)를 형성함으로써, 향미 발생 물품(110)을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즉, 발열 영역 (40A)에 보스(51D)를 형성한 경우에는, 향미 발생 물품(110)의 보스(51D)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이 국소적으로 가열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비발열 영역(40B)에 보스(51D)를 형성함으로써, 향미 발생 물품(110)을 균일하게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간부(66)의 내면(66a)이며, 또한 가열 영역(50A)에 보스(51E)를 형성함으로써, 향미 발생 물품(110)의 이간부(66)측으로의 이동을 지지하여 규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향미 발생 물품(110)에 응력이 작용한 경우여도, 향미 발생 물품(110)의 이간부(66)측으로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보스(51E)의 다른 쪽을, 가열부(40)의 비발열 영역(40B)에 대응한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향미 발생 물품(110)의 가열에 의해 경화된 영역과, 비교적 탄력이 있는 유연한 영역의 양쪽을 파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강고하게 향미 발생 물품(110)을 챔버(50) 내에 파지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보스(51E)의 다른 쪽의 적어도 일부가 가열 영역(50A)로부터 개구(52)측에 노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가열부(40)과 보스(51E) 사이의 가열된 공기를 빼낼 수 있으므로, 가열부(40)이 챔버(50)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보스(51D)의 적어도 일부가 가열 영역(50A)로부터 개구(52)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한 쌍의 보스(51D)가 배열되는 방향과, 한 쌍의 보스(51E)가 배열되는 방향이 교차하도록,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보스(51D)가 횡방향(Y축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한 쌍의 보스(51E)가 챔버(50)의 축 방향(Z축 방향)을 따라 배열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챔버(50) 내에서 향미 발생 물품(110)을 안정적으로 파지하는 동시에, 향미 발생 물품(110)의 이간부(66)측으로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보스(51D)를 챔버(50)의 횡방향(Y축 방향)으로 나열함으로써, 향미 발생 물품(110)의 삽입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향미 발생 물품(110)과 보스(51D)의 접촉 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어, 높은 접촉 저항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보스(51E)를 챔버(50)의 축 방향(Z축 방향)을 따라 나열함으로써, 향미 발생 물품(110)이 챔버(50) 내에서 변형되었을 때에, 가장 돌출하는 부분을 보스(51E)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강고하게 향미 발생 물품(110)을 챔버(50) 내에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보스(51D)의 크기는, 보스(51E)의 크기보다도 작아지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보스(51E)를 크게 형성함으로써, 향미 발생 물품(110)이 챔버(50) 내에서 변형되었을 때에, 보스(51E)가 보다 깊게 향미 발생 물품(110)에 파고들므로, 보다 강고하게 향미 발생 물품(110)을 챔버(50) 내에 파지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보스(51E)의 한 쪽과 다른 쪽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한 쌍의 보스(51E)의 적어도 일부가 가열 영역으로부터 개구측으로 노출되어도 된다. 도 22는, 도 17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19-19에 있어서의 챔버를 가열부와 함께 나타내는 다른 단면도이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보스(51E)의 적어도 일부는, 가열 영역(50A)로부터 개구(52)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보스(51E)의 적어도 일부가 가열 영역(50A)로부터 개구(52)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가열부(40)과 보스(51E) 사이의 가열된 공기를 빼낼 수 있으므로, 가열부(40)이 챔버(50)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 범위 및 명세서와 도면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직접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가 없는 어느 형상이나 재질이어도, 본원 발명의 작용·효과를 발휘하는 이상, 본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이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의 향미 흡인기(100)은, 챔버(50)의 개구(52)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향미 발생 물품(110)의 단면에 공급되는, 이른바 카운터 플로우(counter flow)식의 공기 유로를 갖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챔버(50)의 바닥부(56)으로부터 챔버(50) 내에 공기가 공급되는, 이른바 보텀 플로우(bottom flow)식의 공기 유로를 가져도 된다. 또한, 가열 요소(42)는 저항 가열형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도 가열형이어도 된다. 그 경우, 가열 요소(42)는, 유도 가열에 의해 챔버(50)을 가열할 수 있다. 또한, 향미 발생 물품(110)이 서셉터(susceptor)를 갖는 경우에는, 가열 요소(42)가 유도 가열에 의해 향미 발생 물품(110)의 서셉터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챔버(50)의 주위에 가열 요소(42)를 배치하여, 챔버(50) 내의 향미 발생 물품(110)을 승온시키는 구조를 설명하였지만, 챔버(50) 내의 향미 발생 물품(110)을 승온시키는 방법은, 가열 요소(42)를 향미 발생 물품(110)에 직접 닿게 하거나, 향미 발생 물품(110) 중의 물질끼리의 진동에 의해 마찰열을 발생시키거나 해도 된다.
40: 가열부
40A: 발열 영역
40B: 비발열 영역
42: 가열 요소
44: 전기 절연 부재
50: 챔버
50A: 가열 영역
50B: 비가열 영역
51, 51A~51E: 보스
62: 접촉부
66: 이간부
100: 향미 흡인기
110: 향미 발생 물품
111: 충전부
114: 통형 부재

Claims (18)

  1. 일단에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를 통하여 향미 발생 물품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로서, 상기 수용부는, 수용된 상기 향미 발생 물품의 일부를 상기 수용부의 축 방향을 따라 가압하는 접촉부와, 수용된 상기 향미 발생 물품으로부터 이간되는 이간부를 포함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향미 발생 물품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향미 발생 물품을 파지하는 파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용부의 축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斷面)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와 겹치는 가열 영역과, 상기 가열 영역 이외의 비가열 영역을 가지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접촉부이며, 또한 상기 가열 영역에 형성되는,
    향미 흡인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향미 발생 물품을 가압하는 돌기인,
    향미 흡인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점형상인,
    향미 흡인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평면이며,
    상기 돌기는, 상기 접촉부에 평행한 면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수용부의 중심축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는,
    향미 흡인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수용부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향미 흡인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수용부의 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향미 흡인기.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수용부의 축 방향 및 상기 수용부의 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향미 흡인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평면이며,
    상기 돌기는, 상기 한 쌍의 평면 각각에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평면 각각에 형성된 돌기의, 상기 개구와는 반대측 단부는, 상기 접촉부에 평행한 면에서 보았을 때에, 서로 겹치며,
    상기 한 쌍의 평면 각각에 형성된 돌기의, 상기 개구측 단부는, 상기 접촉부에 평행한 면에서 보았을 때에,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향미 흡인기.
  9.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엠보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돌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열 영역으로부터 상기 개구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향미 흡인기.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열을 발생하는 발열체와,
    상기 발열체를 지지하는 절연성 기체(基體)를 가지며,
    상기 발열체와 상기 기체에 의해, 상기 가열 영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가 배치된 발열 영역과, 상기 발열 영역의 상기 개구측에 인접하며, 상기 발열체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비발열 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비발열 영역에 형성되는,
    향미 흡인기.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향미 발생 물품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이간부이며, 또한 상기 가열 영역에 형성되는,
    향미 흡인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엠보스 가공에 의해 형성된 돌기이며,
    상기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열 영역으로부터 상기 개구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향미 흡인기.
  13.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제1 방향으로 배열된 한 쌍의 제1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된 한 쌍의 제2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은, 서로 교차하는,
    향미 흡인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수용부의 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며,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수용부의 축 방향을 따른 방향인,
    향미 흡인기.
  15.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의 크기는, 상기 제2 돌기의 크기보다도 작은,
    향미 흡인기.
  16. 청구항 13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제2 돌기의 한 쪽은, 상기 가열 영역의 발열 영역에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제2 돌기의 다른 쪽은, 상기 가열 영역의 비발열 영역에 형성되는,
    향미 흡인기.
  17. 청구항 13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제2 돌기의 한 쪽과 다른 쪽은, 엠보스 가공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제2 돌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열 영역으로부터 상기 개구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향미 흡인기.
  18. 향미 흡인기와 향미 발생 물품을 구비하며,
    상기 향미 흡인기는,
    일단에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향미 발생 물품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로서, 상기 수용부는, 수용된 상기 향미 발생 물품의 일부를 상기 수용부의 축 방향을 따라 가압하는 접촉부와, 수용된 상기 향미 발생 물품으로부터 이간되는 이간부를 포함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향미 발생 물품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향미 발생 물품을 파지하는 파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용부의 축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와 겹치는 가열 영역과, 상기 가열 영역 이외의 비가열 영역을 가지며,
    상기 향미 발생 물품은,
    흡연 가능물이 충전된 충전부와,
    상기 충전부와 연속하여 형성되는 중공(中空)의 통형부를 구비하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접촉부이면서 상기 가열 영역으로서, 상기 충전부와 상기 통형부의 경계 근방에 형성되는,
    흡연 시스템.
KR1020237039478A 2021-04-28 2021-04-28 향미 흡인기 및 흡연 시스템 KR202301725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1/016904 WO2022230088A1 (ja) 2021-04-28 2021-04-28 香味吸引器および喫煙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2557A true KR20230172557A (ko) 2023-12-22

Family

ID=83847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9478A KR20230172557A (ko) 2021-04-28 2021-04-28 향미 흡인기 및 흡연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40041112A1 (ko)
EP (1) EP4331399A1 (ko)
JP (1) JPWO2022230088A1 (ko)
KR (1) KR20230172557A (ko)
CN (1) CN117222332A (ko)
TW (1) TW202241285A (ko)
WO (1) WO2022230088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2342570B2 (en) * 2011-11-21 2016-11-24 Philip Morris Products S.A. Ejector for an aerosol-generating device
CN205052881U (zh) 2015-09-29 2016-03-02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卷烟烘焙装置
TW201742555A (zh) * 2016-05-13 2017-12-16 英美煙草(投資)有限公司 用以加熱可吸菸材料之裝置(二)
BR112019004839B1 (pt) * 2016-09-15 2023-01-17 Philip Morris Products S.A. Dispositivo gerador de aerossol
MX2019008753A (es) * 2017-01-31 2019-09-13 Philip Morris Products Sa Dispositivo generador de aerosol y sistema generador de aerosol.
WO2018190606A1 (ko) * 2017-04-11 2018-10-1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108323823A (zh) * 2018-04-17 2018-07-27 威滔电子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改进气流的气溶胶发生系统和气溶胶发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31399A1 (en) 2024-03-06
US20240041112A1 (en) 2024-02-08
WO2022230088A1 (ja) 2022-11-03
JPWO2022230088A1 (ko) 2022-11-03
CN117222332A (zh) 2023-12-12
TW202241285A (zh) 202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6427B1 (ko) 다목적 연산 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JP2017533726A (ja) 電子ニコチン送達システムで使用するためのディスポーザブルカートリッジ
JP7463556B2 (ja) 香味吸引器
EP3871532A1 (en) Housing and flavor aspirator provided with same
TW202222176A (zh) 香味吸嚐器及香味吸嚐器的製造方法
JP2024057043A (ja) 香味吸引器
KR20230172557A (ko) 향미 흡인기 및 흡연 시스템
US20230413909A1 (en) Flavor inhaler
EP3871533A1 (en) Heating assembly and flavor inhaler provided with same
US20230404152A1 (en) A Vapour Generating System
WO2022123761A1 (ja) 香味吸引器および圧力緩和方法
WO2022230087A1 (ja) 香味吸引器および喫煙システム
EP3995015B1 (en) Heating assembly and flavor inhaler
WO2021001909A1 (ja) 加熱アセンブリおよび香味吸引器
EP4260721A1 (en) Flavor aspirator
EP4327673A1 (en) Flavor inhaler
KR20230167410A (ko) 향미 흡인기 및 흡연 시스템
WO2022230086A1 (ja) 香味吸引器および香味吸引器の製造方法
WO2022137426A1 (ja) 香味吸引器
WO2022123769A1 (ja) 香味吸引器
WO2024127614A1 (ja) 香味吸引器
JP7373678B2 (ja) 香味吸引器
WO2024127613A1 (ja) 香味吸引器
JP2023113847A (ja) 香味吸引器
WO2024017627A1 (en) A cartridge for a vapour generating device and a vapour generating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