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7410A - 향미 흡인기 및 흡연 시스템 - Google Patents

향미 흡인기 및 흡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7410A
KR20230167410A KR1020237038339A KR20237038339A KR20230167410A KR 20230167410 A KR20230167410 A KR 20230167410A KR 1020237038339 A KR1020237038339 A KR 1020237038339A KR 20237038339 A KR20237038339 A KR 20237038339A KR 20230167410 A KR20230167410 A KR 20230167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smoking article
area
flavor
accommo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8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테키 스미이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67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741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0/465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induction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7/00Smokers' requisit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Abstract

흡연(喫煙) 물품을 삽입 가능한 개구(開口)가 일단(一端)에 형성되고, 상기 흡연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흡연 물품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흡연 물품의 측면을 파지(把持)하는 파지부를 가지고,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은, 상기 수용부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시(斷面視)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와 겹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 이외의 영역으로서, 상기 수용부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수용부의 타단(他端)과 상기 가열부의 상기 타단측의 단부(端部)와의 사이에 존재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제2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향미 흡인기, 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향미 흡인기 및 흡연 시스템
본 개시는, 향미 흡인기 및 흡연(喫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틱 등의 흡연 물품을 사용하는 향미 흡인기에 있어서, 향미 흡인기의 챔버에 삽입된 스틱을 탈락하지 않도록 파지(把持)하는 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특허문헌 1에서는, 챔버의 내부 히터와 연직 방향을 따라 겹치는 위치에, 흡연 물품을 파지하는 돌기를 설치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특표2020-516268호
향미 흡인기에 있어서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서, 챔버에 삽입된 흡연 물품은, 가열 요소에 의해 가열된다. 이 경우, 흡연 물품 중 가열 요소의 근방의 피가열 영역 부근은, 가열에 의해 국소적으로 바싹 마르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피가열 영역 근방에서 흡연 물품을 파지하면, 충분한 파지를 실행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개시는, 챔버에 삽입된 흡연 물품에 대한 충분한 파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향미 흡인기 및 흡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제1의 태양(態樣)은, 흡연 물품을 삽입 가능한 개구(開口)가 일단(一端)에 형성되고, 상기 흡연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흡연 물품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흡연 물품의 측면을 파지하는 파지부를 가지고,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은, 상기 수용부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시(斷面視)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와 겹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 이외의 영역으로서, 상기 수용부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수용부의 타단(他端)과 상기 가열부의 상기 타단측의 단부(端部)와의 사이에 존재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제2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향미 흡인기이다.
상기 제1의 태양에서는, 수용부 내에서 흡연 물품을 파지하는 파지부가, 수용부의 축 방향을 따라 가열부가 배치된 제1 영역과는 구별되는 제2 영역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의 태양에 의하면, 가열부와 접촉하지 않는 비가열 영역에 있어서 흡연 물품을 파지함으로써, 수용부에 수용된 흡연 물품에 대한 충분한 파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2의 태양은, 상기 제1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중심축을 따라 절단한 단면으로서 상기 파지부를 지나는 단면시에 있어서, (1)식 및 (2)식을 만족하고,
W1≥W2···(1)
W3≥W2···(2)
상기 (1)식 및 상기 (2)식에 있어서, W1는, 상기 제1 영역의 지름 방향 길이이고, W2는, 상기 제2 영역의 지름 방향 길이이고, W3는,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흡연 물품의 지름 방향 길이인, 향미 흡인기이다.
상기 제2의 태양에서는, 수용부의 중심축을 따라 절단한 단면으로서 상기 파지부를 지나는 단면시에 있어서, 파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제2 영역의 지름 방향의 길이는, 파지부가 지름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파지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제1 영역의 지름 방향의 길이보다도 작다. 또한, 동일 단면시에 있어서, 파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제2 영역의 지름 방향의 길이는, 파지부에 의해 압압(押壓)되어 있지 않은 제1 영역에 있어서의 흡연 물품의 지름 방향의 길이보다도 작다. 따라서, 상기 제2의 태양에 의하면, 가열부와 접촉하지 않는 비가열 영역에 있어서 수용부의 내부 공간이 지름 방향 내측에 압축되어 있음으로써, 수용부에 수용된 흡연 물품에 대한 충분한 파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3의 태양은, 상기 제2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제2 영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볼록부인, 향미 흡인기이다.
상기 제3의 태양에서는, 흡연 물품을 파지하는 파지부가, 수용부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볼록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3의 태양에 의하면, 수용부에 수용된 흡연 물품에 대하여 수용부의 내측을 향하는 충분한 파지력을 발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4의 태양은, 상기 제3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상기 타단에는, 상기 수용부의 저부(底部)를 구성하는 저부재(底部材)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저부재는, 상기 수용부와 일체 또는 별도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록부는, 상기 저부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향미 흡인기이다.
상기 제4의 태양에서는, 저부재가 설치되어 수용부의 저부가 구성되고, 흡연 물품을 파지하는 파지부는 이 저부 근방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4의 태양에 의하면, 수용부의 저부 근방에 있어서 흡연 물품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의 태양에서는, 저부재가 수용부와 일체 또는 별도 부재로서 구성됨으로써, 수용부의 구성의 자유도가 증가한다.
본 개시의 제5의 태양은, 상기 제4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기 저부로부터 상기 일단을 향하여 연재(延在)하고 있는, 향미 흡인기이다.
상기 제5의 태양에서는, 흡연 물품을 파지하는 파지부가, 수용부의 저부로부터 연직 상방으로 연재함과 함께 수용부의 내측을 향하는 볼록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5의 태양에 의하면, 수용부에 수용된 흡연 물품에 대하여 수용부의 저부 근방에 있어서 내측을 향하는 충분한 파지력을 발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6의 태양은, 상기 제5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기 일단측의 단부 근방에, 상기 일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수용부의 중심축으로부터 이간하도록 경사지는 경사부를 가지는, 향미 흡인기이다.
상기 제6의 태양에서는, 수용부의 저부로부터 연직 상방으로 연재함과 함께 수용부의 내측을 향하는 볼록부의 선단(先端)에, 상기 수용부의 중심축으로부터 이간하도록 경사지는 경사부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6의 태양에 의하면, 수용부에 흡연 물품을 삽입할 때에, 볼록부가 삽입의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7의 태양은, 상기 제3~제6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한 쌍의 돌조부(突條部)를 가지는, 향미 흡인기이다.
상기 제7의 태양에서는, 수용부의 저부로부터 연직 상방으로 연재함과 함께 수용부의 내측을 향하는 볼록부가, 한 쌍의 돌조부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제7의 태양에 의하면, 한 쌍의 돌조부에 의해 흡연 물품의 측면을 끼워 넣음으로써, 흡연 물품을 수용부 내에서 안정하여 파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8의 태양은, 상기 제7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기 타단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상기 수용부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경사진, 향미 흡인기이다.
상기 제8의 태양에서는, 한 쌍의 돌조부를 포함한 볼록부가, 수용부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따라서 상기 제8의 태양에 의하면, 한 쌍의 돌조부는, 수용부에 삽입된 흡연 물품에 압압되어 지름 방향 외측으로 펴지면, 그 반동으로 지름 방향 내측으로 흡연 물품을 압압하고, 흡연 물품을 수용부 내에서 안정하여 파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9의 태양은, 상기 제1~제8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수용부의 중심축을 지나는 단면시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로부터 상기 수용부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수용부의 상기 타단측으로 이간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향미 흡인기이다.
상기 제9의 태양에서는, 가열부의 연직 하방향으로 파지부가 설치되는, 따라 상기 제9의 태양에 의하면, 수용부로서 흡연 물품의 가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非)원형 형상의 압축 챔버를 채용할 때에, 가열부가 배치되는 수용부의 압축된 개소(箇所)에서 삽입된 흡연 물품을 압압한 다음, 더 연직 하장에 있어서 파지부에 의해 흡연 물품의 측면을 파지함으로써, 수용부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 흡연 물품이 고정된다.
본 개시의 제10의 태양은, 상기 제1~제9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흡연 물품은, 향미원이 충전된 향미원 충전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흡연 물품의 향미원 충전부를 파지하는, 향미 흡인기이다.
상기 제10의 태양에서는, 파지부가 흡연 물품 중 향미원에 의해 충전된 향미원 충전부를 파지하므로, 보다 밀도가 작은 다른 개소를 파지하는 경우에 비하여 보지(保持, 보유 지지)력이 향상된다.
본 개시의 제11의 태양은, 흡연 물품과 향미 흡인기로 이루어지는 흡연 시스템으로서, 상기 향미 흡인기는, 상기 흡연 물품을 삽입 가능한 개구가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흡연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흡연 물품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흡연 물품의 측면을 파지하는 파지부를 가지고,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은, 상기 수용부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시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와 겹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 이외의 영역으로서, 상기 수용부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수용부의 타단과 상기 가열부의 상기 타단측의 단부와의 사이에 존재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제2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흡연 시스템이다.
상기 제11의 태양에서는, 수용부 내에서 흡연 물품을 파지하는 파지부가, 수용부의 축 방향을 따라 가열부가 배치된 제1 영역과는 구별되는 제2 영역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1의 태양에 의하면, 가열부와 접촉하지 않는 비가열 영역에 있어서 흡연 물품을 파지함으로써, 수용부에 수용된 흡연 물품에 대한 충분한 파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12의 태양은, 상기 제11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흡연 물품은, 향미원이 충전된 향미원 충전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향미 흡인기의 상기 파지부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흡연 물품의 상기 향미원 충전부를 파지하는, 흡연 시스템이다.
상기 제12의 태양에서는, 흡연 시스템에 있어서, 파지부가 흡연 물품 중 향미원에 의해 충전된 향미원 충전부를 파지하므로, 보다 밀도가 작은 다른 개소를 파지하는 경우에 비하여 향미 흡인기 내에서의 흡연 물품의 보지력이 향상된다.
본 개시의 제13의 태양은, 상기 제11 또는 제12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흡연 물품은, 충전된 향미원의 내부에 도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향미 흡인기의 상기 가열부는, 시간적으로 변동하는 자장을 생성하고, 상기 흡연 물품의 상기 도전 부재는, 상기 자장의 변동에 근거하여, 발열하는, 흡연 시스템이다.
상기 제13의 태양에서는, 향미 흡인기가 생성하는 변동 자장의 영향에 의해, 향미 흡인기에 충전된 향미원에 내장된 도전 부재가 발열하고, 향미가 생성된다. 따라서 제13의 태양에 의하면, 흡연 시스템에 있어서, 향미 흡인기 자체를 발열시키는 일 없이, 향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14의 태양은, 상기 제13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도전 부재는, 상기 향미원의 내부에 이산적(離散的)으로 배치된 복수의 부재를 포함하는, 흡연 시스템이다.
상기 제14의 태양에서는, 흡연 물품의 향미원에는, 서로 이간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도전 부재가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제14의 태양에 의하면, 피가열 부재 내장형 흡연 물품의 구성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도 1a]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1b]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의 개략 상면도이다.
[도 1c]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의 개략 저면도이다.
[도 2] 소비재의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3] 도 1b에 나타낸 화살표 3-3에 있어서의 향미 흡인기의 단면도이다.
[도 4a] 챔버의 사시도이다.
[도 4b] 도 4a에 나타내는 화살표 4B-4B에 있어서의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5a] 도 4b에 나타내는 화살표 5A-5A에 있어서의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5b] 도 4b에 나타내는 화살표 5B-5B에 있어서의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6] 챔버 및 가열부의 사시도이다.
[도 7] 챔버 내의 원하는 위치에 소비재가 배치된 상태의 도 5b에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9]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가열 요소와 연출부(延出部)의 상호 배치를 나타내는, 도 5b에 나타낸 화살표 9-9에 있어서의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10] 챔버를 연직 상방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1]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 요소와 연출부의 상호 배치를 나타내는,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12]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내부 히터와 연출부의 상호 배치를 나타내는,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13] 제3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서셉터부와 연출부의 상호 배치를 나타내는,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14]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내장 서셉터와 연출부의 상호 배치를 나타내는,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15] 제4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고주파 발생 장치와 연출부의 상호 배치를 나타내는, 챔버의 단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또는 상당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a는,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100)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1b는,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100)의 개략 상면도이다. 도 1c는,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100)의 개략 저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도면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X-Y-Z 직교 좌표계를 붙이는 경우가 있다. 이 좌표계에 있어서, Z축은 연직 상방을 향하고 있고, X-Y 평면은 향미 흡인기(100)를 수평 방향으로 절단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Y축은 향미 흡인기(100)의 정면에서 이면(裏面)으로 연출(延出)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Z축은, 후술하는 무화(霧化)부(30)의 챔버(50)에 수용되는 소비재의 삽입 방향, 또는 통상(筒狀)의 단열부의 축 방향이라고 할 수도 있다. 또한, X축은, 축 방향과 직교하는 제1 방향이라고 할 수도 있고, Y축은, 축 방향 및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이라고 할 수도 있다. 또한, X축 방향을, 소비재의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면(面) 중의 향미 흡인기(100)의 긴 방향이라고 하고, Y축 방향을, 소비재의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면 중의 향미 흡인기(100)의 짧은 방향이라고 할 수도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100)는, 예를 들면, 에어로졸원을 포함하는 향미원을 가지는 스틱형의 소비재를 가열함으로써, 향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도 1a부터 도 1c에 나타나듯이, 향미 흡인기(100)는, 아우터 하우징(101)과, 슬라이드 커버(102)와, 스위치부(103)를 가진다. 아우터 하우징(101)은, 향미 흡인기(100)의 가장 바깥의 하우징을 구성하고, 유저의 손에 들어가는 사이즈를 가진다. 유저가 향미 흡인기(100)를 사용할 때는, 향미 흡인기(100)를 손으로 보지하여, 에어로졸을 흡인할 수 있다. 아우터 하우징(101)은, 복수의 부재를 조립함으로써 구성되어도 된다. 아우터 하우징(101)은,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 PEEK(폴리에터에터케톤) 또는 복수 종류의 폴리머를 함유하는 폴리머 알로이, 혹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형성할 수 있다.
아우터 하우징(101)은, 소비재를 받아들이기 위한 도시하지 않는 개구를 가지고, 슬라이드 커버(102)는, 이 개구를 닫도록 아우터 하우징(10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드 커버(102)는, 아우터 하우징(101)의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닫힘 위치(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위치)와, 상기 개구를 개방하는 열림 위치의 사이를, 아우터 하우징(101)의 외표면(外表面)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면, 유저가 슬라이드 커버(102)를 수동으로 조작함으로써, 슬라이드 커버(102)를 닫힘 위치와 열림 위치에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 커버(102), 향미 흡인기(100)의 내부로의 소비재의 액세스를 허가 또는 제한할 수 있다.
스위치부(103)는, 향미 흡인기(100)의 작동의 온과 오프를 전환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예를 들면, 후술하듯이, 유저는, 소비재를 향미 흡인기(100)에 삽입한 상태로 스위치부(103)를 조작함으로써, 가열 장치(40)에 전원(21)으로부터 전력을 공급하고, 소비재를 연소시키지 않고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부(103)는, 아우터 하우징(101)의 외부에 설치되는 스위치여도 되고, 아우터 하우징(101)의 내부에 위치하는 스위치여도 된다. 스위치가 아우터 하우징(101)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아우터 하우징(101)의 표면의 스위치부(103)를 누름으로써, 간접적으로 스위치가 눌려진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스위치부(103)의 스위치가 아우터 하우징(101)의 내부에 위치하는 예를 설명한다.
향미 흡인기(100)는 또한, 도시하지 않는 단자를 가져도 된다. 단자는, 향미 흡인기(100)를 예를 들면 외부 전원과 접속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향미 흡인기(100)가 구비하는 전원이 충전식 배터리인 경우는, 단자에 외부 전원을 접속함으로써,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에 전류를 흘리고, 전원을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단자에 데이터 송신 케이블을 접속함으로써, 향미 흡인기(100)의 작동에 관련하는 데이터를 외부 장치에 송신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다음으로,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100)에서 사용되는 소비재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소비재(110)의 개략 측단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향미 흡인기(100)와 소비재(110)에 의해 흡연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소비재(110)는, 흡연 가능물(111)과, 통상 부재(114)와, 중공 필터부(116)와, 필터부(115)를 가진다. 흡연 가능물(111)은, 제1의 권지(112)에 의해 권장(卷裝)된다. 통상 부재(114), 중공 필터부(116), 및 필터부(115)는, 제1의 권지(112)와는 상이한 제2의 권지(113)에 의해 권장된다. 제2의 권지(113)는, 흡연 가능물(111)을 권장하는 제1의 권지(112)의 일부도 권장한다. 이에 의해, 통상 부재(114), 중공 필터부(116), 및 필터부(115)와 흡연 가능물(111)이 연결된다. 다만, 제2의 권지(113)가 생략되고, 제1의 권지(112)를 사용하여 통상 부재(114), 중공 필터부(116), 및 필터부(115)와 흡연 가능물(111)이 연결되어도 된다. 제2의 권지(113)의 필터부(115) 측의 단부 근방의 외면에는, 유저의 입술이 제2의 권지(113)에 달라붙기 어렵게 하기 위한 립 릴리스제(117)가 도포된다. 소비재(110)의 립 릴리스제(117)가 도포되는 부분은, 소비재(110)의 흡구(吸口)로서 기능한다. 소비재(110)는, 본 개시의 흡연 물품의 일례이다. 흡연 가능물(111)은, 본 개시의 향미원의 일례이다.
흡연 가능물(111)은, 예를 들면 잘게 썬 상태, 입상(粒狀) 등의 형상을 가지는 담배 등의 향미원과, 에어로졸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흡연 가능물(111)을 감는 제1의 권지(112)는, 통기성을 가지는 시트 부재일 수 있다. 통상 부재(114)는, 지관(紙管) 또는 중공 필터일 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소비재(110)는, 흡연 가능물(111), 통상 부재(114), 중공 필터부(116), 및 필터부(115)를 구비하고 있지만, 소비재(11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중공 필터부(116)가 생략되고, 통상 부재(114)와 필터부(115)가 서로 인접 배치되어도 된다.
다음으로, 향미 흡인기(100)의 내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1b에 나타낸 화살표 3-3에 있어서의 향미 흡인기(100)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듯이, 향미 흡인기(100)의 아우터 하우징(101)의 내측에는, 이너 하우징(10)이 설치된다. 이너 하우징(10)은,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PC),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나 PEEK 또는 복수 종류의 폴리머를 함유하는 폴리머 알로이 등, 혹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너 하우징(10)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너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에는, 전원부(20)와, 무화부(30)가 설치된다. 또한, 이너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에는, 도시하지 않는 회로부가 설치된다.
회로부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을 포함하고, 전원부(20)로부터 무화부(30)로의 전력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회로부는, 무화부(30)에 의한 소비재(110)의 가열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부(20)는,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원(21)을 가진다. 전원(21)은, 예를 들면, 충전식 배터리 또는 비충전식의 배터리일 수 있다. 전원(21)은, 회로부를 통하여, 무화부(3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의해, 전원(21)은, 소비재(110)를 적절히 가열하도록, 무화부(3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무화부(30)는, 도 3에 나타내듯이, 소비재(110)의 삽입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챔버(50)와, 챔버(50)의 일부를 둘러싸는 가열 장치(40)와, 단열부(32)와, 대략 통상의 삽입 가이드 부재(34)를 가진다. 챔버(50)는, 소비재(11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가열 장치(40)는, 챔버(50)의 외주면에 접촉하고, 챔버(50)에 수용된 소비재(110)를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도 3에 나타내듯이, 챔버(50)의 저부에는, 저부재(36)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저부재(36)는, 챔버(50)에 삽입된 소비재(110)를 위치 결정하는 스토퍼로서 기능 할 수 있다. 저부재(36)는, 소비재(110)가 당접(當接)하는 면에 요철을 가지고, 소비재(110)가 당접하는 면과 저부재(36)의 사이에 공기 유로가 형성된다. 또한, 저부재(36)로부터 연직 상방을 향하여 한 쌍의 연출부(87)가 연재하고 있다. 챔버(50), 가열 장치(40), 저부재(36), 연출부(87)에 대한 상세는 후술한다. 챔버(50)는, 본 개시의 수용부의 일례이다.
단열부(32)는, 전체적으로 대략 통상이며, 챔버(50)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단열부(32)는, 예를 들면 에어로겔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 가이드 부재(34)는, 예를 들면, PEEK, PC, 또는 ABS 등의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닫힘 위치에 있는 슬라이드 커버(102)와 챔버(50)의 사이에 설치된다. 삽입 가이드 부재(34)는, 슬라이드 커버(102)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 향미 흡인기(100)의 외부와 연통하고, 소비재(110)를 삽입 가이드 부재(34)에 삽입함으로써, 챔버(50)로의 소비재(110)의 삽입을 안내한다.
다음으로, 챔버(5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a는, 챔버(50)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나타내는 화살표 4B-4B에 있어서의 챔버(50)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4b에 나타내는 화살표 5A-5A에 있어서의 챔버(50)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4b에 나타내는 화살표 5B-5B에 있어서의 챔버(50)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챔버(50) 및 가열 장치(40)의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듯이, 챔버(50)는, 소비재(110)가 삽입되는 개구(52)와, 소비재(110)를 수용하는 통상의 측벽부(60)를 포함하는 통상 부재일 수 있다. 챔버(50)는, 소비재(110)를 가열하기 위한 수용 공간(68)을 그 내부에 가진다. 챔버(50)의 개구(52)를 획정(劃定)하는 단부에는, 플랜지부(52a)가 형성된다. 챔버(50)는, 내열성을 가지고, 또한 열팽창율이 작은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 PEEK 등의 수지, 유리, 또는 세라믹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챔버(50)로부터 소비재(110)에 효과적인 가열이 가능하게 된다.
도 4b 및 도 5b에 나타내듯이, 측벽부(60)는, 접촉부(62)와, 이간부(66)를 포함한다. 소비재(110)가 챔버(50) 내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접촉부(62)는, 소비재(110)의 일부와 접촉 또는 압압하고, 이간부(66)는, 소비재(110)로부터 이간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챔버(50) 내의 원하는 위치」란, 소비재(110)가 적절히 가열되는 위치, 유저가 흡연할 때의 소비재(110)의 위치, 또는 소비재(110)가 후술하는 저부재(36)에 접촉하는 위치를 말한다. 접촉부(62)는, 내면(62a)과 외면(62b)을 가진다. 이간부(66)는, 내면(66a)과 외면(66b)을 가진다. 도 6에 나타내듯이, 가열 장치(40)는, 접촉부(62)의 외면(62b)에 배치된다. 가열 장치(40)는, 접촉부(62)의 외면(62b)에 간극없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 및 도 5b에 나타내듯이, 접촉부(62)의 외면(62b)은 평면이다. 접촉부(62)의 외면(62b)이 평면임으로써, 도 6에 나타내듯이 접촉부(62)의 외면(62b)에 배치되는 가열 장치(40)에 띠 형상의 전극(48)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띠 형상의 전극(48)이 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4b 및 도 5b에 나타내듯이, 접촉부(62)의 내면(62a)은 평면이다. 또한, 도 4b 및 도 5b에 나타내듯이, 접촉부(62)의 두께는 균일하다.
도 4a, 도 4b, 및 도 5b에 나타내듯이, 챔버(50)는, 접촉부(62)를 챔버(50)의 둘레 방향으로 2개 가지고, 2개의 접촉부(62)는, 서로 평행이 되도록 대향(對向)한다. 2개의 접촉부(62)의 내면(62a) 사이의 적어도 일부의 거리는, 챔버(50)에 삽입되는 소비재(110)의 접촉부(62) 사이에 배치되는 개소의 폭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5b에 나타내듯이, 이간부(66)의 내면(66a)은, 챔버(50)의 긴 방향(Z축 방향)에 직교하는 면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원호상(圓弧狀)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간부(66)는, 접촉부(62)와 둘레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도 4b에 나타내듯이, 챔버(50)는 도 3에 나타낸 저부재(36)가 관통하여 챔버(50) 내부에 배치되도록, 그 저부(56)에 구멍(56a)을 가질 수 있다. 저부재(36)는, 챔버(50)의 저부(56)의 내부에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소비재(110)를 수용하는 수용부의 저벽부를 구성한다. 저부(56)에 설치되는 저부재(36)는, 소비재(110)의 단면(端面)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도록, 챔버(50)에 삽입된 소비재(110)의 일부를 지지한다. 또한, 저부(56)는, 노출된 소비재(110)의 단면이 후술하는 공극(空隙)(67)(도 7 참조)과 연통하도록, 소비재(110)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저부재(36)는, 소비재(110)가 당접하는 면에 요철을 가지고, 예를 들면, PEEK 등의 수지 재료, 금속, 유리, 또는 세라믹 등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듯이, 챔버(50)는, 개구(52)와 측벽부(60)의 사이에 통상의 비보지부(54)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비재(110)가 챔버(50)의 원하는 위치에 위치 결정된 상태에 있어서, 비보지부(54)와 소비재(110)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듯이, 챔버(50)는, 비보지부(54)의 내면과 접촉부(62)의 내면(62a)을 접속하는 테이퍼면(58a)을 구비한 제1 가이드부(58)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나타내듯이, 가열 장치(40)는, 가열 요소(42)를 가진다. 가열 요소(42)는, 예를 들면 히팅 트랙이어도 된다. 가열 요소(42)는, 챔버(50)의 이간부(66)에 접촉하지 않고, 접촉부(62)를 가열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가열 요소(42)는, 접촉부(62)의 외면에만 배치된다. 도 6에 나타내듯이, 가열 장치(40)는, 가열 요소(42)에 더하여, 가열 요소(42)의 적어도 일면을 덮는 전기 절연 부재(44)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전기 절연 부재(44)는 가열 요소(42)의 양면을 덮도록 배치된다. 가열 요소(42)는, 본 개시의 가열부의 일례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나타난 띠 형상의 전극(48)에 전력이 공급되면, 가열 장치(40)의 가열 요소(42)에 전류가 흐르고, 가열 요소(42)는 발열한다. 한편, 가열 장치(40)의 전기 절연 부재(44)에는, 전극(48)에 공급된 전력은 도달하지 않는다. 따라서, 챔버(50)의 주위를 덮는 가열 장치(40) 중 가열 요소(42)만이 발열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가열 요소(42)는, 챔버(50)의 이간부(66)에 접촉하지 않고, 접촉부(62)의 외면에만 배치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챔버(50)의 주위를 덮는 가열 장치(40)는, 소비재(110)의 일부를 압압하는 접촉부(62)만을 직접 가열한다.
도 7은, 챔버(50) 내의 원하는 위치에 소비재(110)가 배치된 상태의 도 5b에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내듯이, 소비재(110)가 챔버(50) 내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되면, 소비재(110)는 챔버(50)의 접촉부(62)와 접촉하여 압압될 수 있다. 한편, 소비재(110)와 이간부(66)의 사이에는, 공극(67)이 형성된다. 공극(67)은, 챔버(50)의 개구(52)와, 챔버(50) 내에 위치 결정된 소비재(110)의 단면(端面)과 저부재(36)의 사이의 공기 유로와 연통(連通)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챔버(50)의 개구(52)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공극(67)을 통과하여, 소비재(110)의 내부에 유입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소비재(110)와 이간부(66)의 사이에 공기 유로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저부재(36)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저부재(36)의 사시도이다. 저부재(36)는, 축부(36a)와, 평판부(36b)를 가진다.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축부(36a)는, 챔버(50)의 구멍(56a)(도 4b 참조)를 통하여 챔버(50)의 외부에 돌출한다. 축부(36a)의 일단은, 평판부(36b)의 한쪽의 면의 대략 중앙부와 결합한다. 평판부(36b)는, 도 5b에 나타낸 챔버(50)의 단면(斷面)에 있어서, 챔버(50)의 측벽부(60)의 내면과 평면시(平面視)에 있어서 대략 일치하는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평판부(36b)는, 축부(36a)가 결합되는 면과 반대측의 평면부(81)를 가지고, 이 평면부(81)는, 한 쌍의 직선상부(81a)와, 한 쌍의 직선상부(81a) 사이를 접속하는 원호상부(81b)를 가진다.
평판부(36b)는, 챔버(50)의 내부에 배치되고, 챔버(50)의 저부(56)의 내면에, 예를 들면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저부재(36)는, 챔버(50)와 일체로 형성되어도 된다. 저부재(36)의 평판부(36b)가 챔버(50)의 저부(56)에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평면부(81)는 챔버(50)의 개구(52)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저부재(36)는 또한, 한 쌍의 돌조부(83)를 평면부(81) 상에 가진다. 한 쌍의 돌조부(83)는, 각각, 평면부(81)의 직선상부(81a)와 대략 평행으로 연장되고, 서로 이간하도록 배치된다.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한 쌍의 돌조부(83)는, 각각 직선상부(81a) 상에 배치되고, 그 일부는 원호상부(81b) 상에도 배치된다. 한 쌍의 돌조부(83)는, 그 연재 방향의 단면(端面)(83a)와, 서로 마주보는 측면(83b)와, 상면(上面)(83c)을 가진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돌조부(83)의 측면(83b)은 평탄하고, 측면(83b) 사이에는 직선상의 홈부(85)가 형성된다. 이 홈부(85)는, 챔버(50)의 수용 공간(68)을 향하여 개구한다. 홈부(85)는, 챔버(50) 내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된 소비재(110)의 단면과 연통하는 공기 유로를 획정한다. 이 공기 유로는, 챔버(50)와 저부재(36)로 구성되는 수용부의 저면을 따라 연장된다. 홈부(85)는, 저부재(36)의 평면부(81)의 중심부를 지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듯이, 한 쌍의 돌조부(83)의 각각의 상면(83c)으로부터, 연직 상방을 향하여, 한 쌍의 연출부(87)가 연재되어 있다. 연출부(87)는, 챔버(50)에 있어서 소비재(110)와 접촉하고 압압하는 접촉부(62)의 내면(62a)에 당접 또는 인접하고, 챔버(50)의 내부에서 소비재(110)의 외주를 파지한다. 한 쌍의 연출부(87)는, 본 개시의 파지부 및 볼록부의 일례이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챔버(50)의 근방에 있어서의, 가열 장치(40)의 가열 요소(42)와, 연출부(87)의 상호 위치 관계의 상세를 설명한다.
도 9는, 가열 요소(42)와 연출부(87)의 상호 배치를 나타내는, 도 5b에 나타낸 화살표 9-9에 있어서의 챔버의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는, 챔버(50)의 중심축(C1)이 도 9의 Z축 방향으로 연재되어 있고, 챔버(50)의 측면 중 소비재(110)에 접촉하는 접촉부(62)가 나타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열 장치(40)의 가열 요소(42)는 챔버(50)의 접촉부(62)의 외면(62b)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도 9에 있어서 한 쌍의 가열 요소(42)가 챔버(50)의 접촉부(62)의 지름 방향 외측에 나타나 있다. 또한,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열 요소(42)의 Z축 방향 상방에는 챔버(50)의 제1 가이드부(58) 및 비보지부(54)가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9의 Z축 방향 하방에는, 챔버(50)의 저부를 구성하는 저부재(36)가 나타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출부(87)는 접촉부(62)의 내면(62a)으로부터 챔버(50)의 중심축(C1)에 대해서 지름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도 9에 있어서 한 쌍의 연출부(87)가 Z축 방향으로 연재되어 있다. 여기서 도 9에 나타내듯이, 연출부(87)는, 가열 요소(42)와 Z축 방향을 따라 겹치는 일은 없다. 즉, 연출부(87)의 Z축 양방향의 단부는, 가열 요소(42)의 Z축 음방향의 단부의 높이까지 도달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챔버(50)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 가열 요소(42)가 배치되어 있는 개소에 대응하는 Z축 방향을 따른 영역을 제1 영역(50A)으로 하고, 제1 영역(50A)과는 구별되고, 제1 영역(50A)의 Z축 음방향 단면과 저부재(36)에 의해 획정되는 영역을 제2 영역(50B)으로 한다. 제1 영역(50A)은, 가열 요소(42)에 의해 직접 가열되는 개소이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연출부(87)는 제2 영역(50B)에만 설치되고, 제1 영역(50A)에 도달하는 것은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챔버(50) 내의 원하는 위치에 소비재(110)가 배치된 상태를 생각한다. 이 경우, 소비재(110)의 선단은, 도 8에 나타난 저부재(36)의 한 쌍의 돌조부(83)의 상면(83c)에 접촉하고, 돌조부(83)의 상면(83c)에 의해 연직 하방(즉 Z축 음방향)으로부터 지지된다. 또한, 연출부(87)가 돌조부(83)의 상면(83c)으로부터 연직 상방을 향하여 연재함과 함께 챔버(50)의 중심축(C1)을 향하여 지름 방향으로 두께를 가지고 있으므로, 소비재(110)의 선단 근방의 외측면은 연출부(87)에 의해 지름 방향 내측으로 압압된다. 즉, 연출부(87)에 의해 소비재(110)가 파지되고, 챔버(50) 내부에서 소비재가 안정적으로 보지된다.
도 9에 나타난 챔버(50)의 내부 공간을, 이하와 같이 표현할 수도 있다. 도 9는, 챔버(50)의 중심축(C1)과, 연출부(87)를 지나는, 챔버(50)의 단면(斷面)을 나타내고 있다. 도 9의 단면에 있어서, 제2 영역(50B)에서는 연출부(87)가 챔버(50)의 중심축(C1)을 향하여 지름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이하의 (1)식이 성립된다.
W1≥W2···(1)
여기서 W1는, 제1 영역(50A)의 지름 방향의 길이이고, W2는, 제2 영역(50B)의 지름 방향 길이이다. 또한, 챔버(50) 내의 원하는 위치에 소비재(110)가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제2 영역(50B)에서는 소비재(110)가 연출부(87)에 의해 챔버(50)의 중심축(C1)을 향하여 지름 방향 내측에 압압되어 있으므로, 이하의 (2)식이 성립된다.
W3≥W2···(2)
여기서 W3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도 9에 있어서 소비재(110)가 적합한 위치에 배치된 경우에 있어서의, 제1 영역(50A)에 있어서의 소비재(110)의 지름 방향의 길이이다. 상기 (1)식 및 (2)식에 있어서, 등호는 제2 영역(50B)의 연출부(87)가 배치되어있지 않은 개소에 대해 성립된다. 또한 챔버(50)의 내부 공간 또는 소비재(110)의 지름 방향의 길이란, 챔버(50)의 중심축(C1)을 지나는 단면시에 있어서, 중심축(C1)에 직교하는 방향의 거리를 말한다. 도 9에서는 Y축에 수직인 X-Z 평면이 나타나 있으므로, X축 방향의 거리가 지름 방향의 길이이다. 그러나, 챔버(50)의 내부 공간의 지름 방향의 길이는, X축 방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챔버(50)의 내부 공간의 지름 방향의 길이는, 챔버(50)의 중심축(C1)을 지나는 단면의 취하는 방법에 의해, X-Y 평면상에서 적절히 정의된다. 도 10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은, 챔버(50)를 Z축 양방향(즉, 연직 방향 상방)에서 본 평면도이다. 파선(S1)은, 도 9에 나타난 챔버(50)의 중심축(C1)을 지나는 단면에서 본 것에 대응하고, 파선(S1)의 길이가 이 단면에서 본 것의 지름 방향의 길이이다. 한편, 파선(S2)과 같이, 이간부(66)를 지나는 단면에서 보는 것을 생각할 수도 있고, 이 경우 파선(S2)의 길이가 이 단면에서 본 것의 지름 방향의 길이이다. 챔버(50) 내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된 소비재(110)의 지름 방향의 길이도, 챔버(50)와 동일하게 정의된다.
소비재(110)를 파지하는 연출부(87)는, 가열 요소(42)와 Z축 방향을 따라 겹치지 않는 제2 영역(50B)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가열 요소(42)에 의해 직접 가열되는 개소와는 상이한 개소에 있어서, 소비재(110)가 파지된다. 챔버(50) 내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된 소비재(110)의 외측면은, 제1 영역(50A)에 있어서는 가열 요소(42)에 의한 가열에 의해 국소적으로 가늘어질 가능성이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연출부(87)는, 제1 영역(50A)과는 구별되는 제2 영역(50B)에 있어서 소비재(110)의 외측면을 파지하므로, 가열 요소(42)에 의한 가열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안정적으로 소비재(110)를 보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비재(110)의 선단 근방의 부분은 제1의 권지(112)로 권장됨과 동시에, 흡연 가능물(111)에 의해 충전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연출부(87)가 소비재(110) 중 흡연 가능물(111)에 의해 충전된 개소를 파지하므로, 보다 밀도가 작은 다른 개소를 파지하는 경우에 비하여 보지력이 향상된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소비재(110)의 외측면을 파지하는 연출부(87)는, 저부재(36)의 한 쌍의 돌조부(83)의 상면(83c)으로부터 연출되는 것으로서 설명했다. 그러나, 연출부(87)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출부(87)는, 제1 영역(50A) 내에 침입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제2 영역(50B)에 있어서 적절히 배치할 수 있다. 일례로서, 연출부(87)는, 저부재(36)로부터 이간한 위치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연출부(87)는 챔버(50)의 접촉부(62)의 내면(62)에 당접 또는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연출부(87)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출부(87)는, 제1 영역(50A) 내에 침입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챔버(50)의 내주면에 적절히 배치할 수 있다. 일례로서, 챔버(50)의 이간부(66)의 내면(66)에 연출부(87)를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연출부(87)가 설치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연출부(87)의 수는 2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소비재(110)의 외측면을 충분히 파지할 수 있는 한에 있어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일 연출부를 설치할 수 있고, 또는 3개 이상의 연출부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환상(環狀)의 단일 연출부를 설치할 수도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
이하,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대해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는,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100)와 비교하여, 소비재(110)를 파지하는 연출부(187)의 구성만이,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또는 상당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연출부(187)는, 본 개시의 파지부 및 볼록부의 일례이다.
도 11은,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 요소(42)와 연출부(187)의 상호 배치를 나타내는,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11에서는, 챔버(50)의 중심축(C1), 제1 가이드부(58) 및 비보지부(54), 저부재(36)의 도시는 생략한다. 또한 도 11에서는, 저부재(36)의 도시를 생략한다.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연출부(187)는, 저부재(36)의 한 쌍의 돌조부(83)의 상면(83c)으로부터 연출되는 것으로 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서술한 바와 같이, 연출부(187)를, 제1 영역(50A) 내에 침입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제2 영역(50B)에 있어서 적절히 배치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내듯이, 연출부(187)의 전체는, Z축 양방향을 향함에 따라, 챔버(50)의 중심축(C1)에 대해서 지름 방향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또한, 연출부(187)의 Z축 양방향의 단부(187A)는,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챔버(50)의 중심축(C1)에 대해서 지름 방향 외측으로 이간하도록 경사져 있다. 단부(187A)는, 본 개시의 경사부의 일례이다.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연출부(187)는, 그 전체가 지름 방향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기 때문에, 삽입된 소비재(110)에 압압되어 지름 방향 외측으로 펴지면 그 반동으로 소비재(110)를 지름 방향 내측에 압압하여, 보다 강한 파지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연출부(187)는, 선단이 지름 방향 외측으로 이간하도록 경사져 있는 Z축 양방향의 단부(187A)를 구비함에 의해, 소비재(110)를 원하는 위치에 배치할 때에, 소비재(110)와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즉, 챔버(50) 내에 소비재(110)를 삽입할 때에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연출부(187)의 2개의 특징, 즉 전체적으로 지름 방향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는 것과, 단부(187A)의 구성은, 서로 조합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향미 흡인기에 있어서, 이들 중의 한쪽만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실시 형태: 내부 히터]
이하, 본 개시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또는 상당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는,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100)와 비교하여, 챔버(250)의 구성이 상이하다. 즉, 도 3 및 도 6에 나타내듯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챔버(50)의 외주가 가열 요소(42)를 포함하는 가열 장치(40)에 덮여 있던 것에 대하여,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챔버(250)는 가열 장치로 덮여 있지 않다.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는, 제1 실시 형태의 가열 장치(40)를 대신하여, 도 12에 나타내는 챔버(250)의 중심축의 주위에 배치된 내부 히터(202)와, 내부 히터(20)를 연직 하방향으로부터 지지하는 히터 지지부(204)를 구비하고 있다. 챔버(250)는, 본 개시의 수용부의 일례이다. 내부 히터(202)는, 본 개시의 가열부의 일례이다.
챔버(250) 내에 소비재(110)가 삽입되면, 내부 히터(202)는 소비재(110)의 내부로 들어간다. 소비재(110)가 챔버(250) 내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내부 히터(202)는, 소비재(110)에 있어서 제1의 권지(112)로 권장되어 흡연 가능물(111)에 의해 충전되고 있는 개소(도 2 참조)의 내부에 위치한다. 이 배치에 근거하여,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는, 내부 히터(202)에 의해 내부로부터 흡연 가능물(111)을 가열하여, 향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을 적절히 생성할 수 있다.
도 12는, 제1 실시 형태의 도 9 및 도 11에 상당하는, 제2 실시 형태의 챔버(250)의 단면도이다. 도 12에서는, 도 11과 동일하게, 챔버(250)의 중심축(C1), 제1 가이드부(58) 및 비보지부(54), 저부재(36)의 도시는 생략한다. 히터 지지부(204)는, 예를 들면 챔버(250)의 저부를 구성하는 저부재(36)로부터 연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내부 히터(202)의 배치에 의해, 챔버(250) 내에 2개의 영역을 정의한다. 챔버(250)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 내부 히터(202)가 배치되어 있는 개소에 대응하는 Z축 방향을 따른 영역을 제1 영역(250A)으로 하고, 제1 영역(250A)과는 구별되고, 제1 영역(250A)의 Z축 음방향 단면과 챔버(250)의 저부에 의해 획정되는 영역을 제2 영역(250B)으로 한다. 제1 영역(250A)은, 내부 히터(202)에 의해 소비재(110)의 내부가 직접 가열되는 개소이다.
제2 실시 형태의 연출부(287)는, 제1 실시 형태의 연출부(87)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고, 챔버(250) 내에 삽입된 소비재(110)의 외측면을 파지한다. 연출부(287)는 제2 영역(250B)에 설치되고, 제1 영역(250A)에 도달하는 일은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연출부(287)는, 본 개시의 파지부 및 볼록부의 일례이다.
소비재(110)를 파지하는 연출부(287)는, 내부 히터(202)와 Z축 방향을 따라 겹치지 않는 제2 영역(250B)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내부 히터(202)에 의해 내측으로부터 직접 가열되는 개소와는 상이한 개소에 있어서, 소비재(110)가 파지된다. 챔버(250) 내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된 소비재(110)는, 제1 영역(250A)에 있어서는 내부 히터(202)에 의한 내부로부터의 가열에 의해 국소적으로 얇아질 가능성이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연출부(287)는, 제1 영역(250A)과는 구별되는 제2 영역(250B)에 있어서 소비재(110)의 외측면을 파지하므로, 내부 히터(202)에 의한 가열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안정적으로 소비재(110)를 보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비재(110)의 선단 근방의 부분은 제1의 권지(112)로 권장됨과 함께, 흡연 가능물(111)에 의해 충전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연출부(287)가 소비재(110) 중 흡연 가능물(111)에 의해 충전된 개소를 파지하므로, 보다 밀도가 작은 다른 개소를 파지하는 경우에 비하여 보지력이 향상된다.
[제3 실시 형태: 전자 유도에 의한 가열]
이하, 본 개시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또는 상당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은, 제1 실시 형태의 도 9 및 도 11에 상당하는, 제3 실시 형태의 챔버(350)의 단면도이다. 도 12에서는, 도 11과 동일하게, 챔버(350)의 중심축(C1), 제1 가이드부(58) 및 비보지부(54), 저부재(36)의 도시는 생략한다.
제3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는,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100)와 비교하여, 챔버(350)의 구성이 상이하다. 즉, 도 3 및 도 6에 나타내듯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챔버(50)의 외주가 가열 요소(42)를 포함하는 가열 장치(40)에 덮여 있던 것에 대하여, 제3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챔버(350)는 가열 장치로 덮여 있지 않다. 제3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는, 제1 실시 형태의 가열 장치(40)를 대신하여, 도 12에 나타내는 챔버(350)의 외주에 감아 배치된 유도 코일(342)을 구비하고 있다. 챔버(350)는, 본 개시의 수용부의 일례이다.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챔버(50)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 PEEK 등의 수지, 유리, 또는 세라믹 등으로 형성될 수 있었지만, 제3 실시 형태의 챔버(350)는, 도전체로 구성된 서셉터부(350a)와, 절연체로 구성된 지지부(350b)를 포함하고 있다. 서셉터부(350a)는, 적어도 유도 코일(342)이 감겨진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서셉터부(350a)는, 유도 코일(342)에 교류 전류가 흘려진 결과로서 발열하고, 챔버(350) 내에 삽입된 소비재(110)의 외측면을 가열한다. 지지부(350b)는, 챔버(350)의 저부 근방에 설치되어 있고, 유도 코일(342)에 교류 전류가 흐른 경우에 발열하는 일이 없다. 서셉터부(350a)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으로 형성할 수 있고, 지지부(350b)는, 예를 들면 PEEK 등의 수지, 유리, 또는 세라믹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서셉터부(350a) 및 유도 코일(342)은, 본 개시의 가열부의 일례이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챔버(350)의 서셉터부(350a)의 발열에 대해 설명한다. 서셉터부(350a)의 외주에 감겨진 유도 코일(342)에 교류 전류를 흘리면, 챔버(350) 근방에 시간적으로 변동하는 자장이 생성된다. 패러데이의 전자유도의 법칙에 의해 자장의 변동이 기전력을 발생시키고, 렌트의 법칙에 의해 자장의 변동을 지우도록 코일에 흐르는 교류 전류와 반대의 방향으로 서셉터부(350a)에 와전류가 흐른다. 와전류에 의한 줄열에 의해, 서셉터부(350a)는 발열한다. 이때에, 지지부(350b)는 절연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와전류가 발생하는 일은 없고, 또한 서셉터부(350a)로부터의 열전도도 방해된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유도 코일(342)의 배치에 의해, 챔버(350) 내에 2개의 영역을 정의한다. 챔버(350)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 유도 코일(342)이 배치되어 있는 개소에 대응하는 Z축 방향을 따른 영역을 제1 영역(350A)으로 하고, 제1 영역(350A)과 구별되고, 제1 영역(350A)의 Z축 음방향 단면과 챔버(350)의 저부에 의해 획정되는 영역을 제2 영역(350B)으로 한다. 제1 영역(350A)은, 서셉터부(350a)에 발생한 줄열에 의해 소비재(110)의 외측면이 직접 가열되는 개소이다.
제3 실시 형태의 연출부(387)는, 제1 실시 형태의 연출부(87)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고, 챔버(350) 내에 삽입된 소비재(110)의 외측면을 파지한다. 연출부(387)는 제2 영역(350B)에 설치되고, 제1 영역(350A)에 도달하는 일은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연출부(387)는, 본 개시의 파지부 및 볼록부의 일례이다.
소비재(110)를 파지하는 연출부(387)는, 유도 코일(342)과 Z축 방향을 따라 겹치지 않음과 함께 절연체로 형성된 지지부(350b)가 설치되어 있는, 제2 영역(350B)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서셉터부(350a)에 발생한 줄열에 의해 직접 가열되는 개소와는 상이함과 함께 서셉터부(350a)로부터의 열전도가 전해지기 어려운 개소에 있어서, 소비재(110)가 파지된다. 챔버(350) 내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된 소비재(110)는, 제1 영역(350A)에 있어서는 서셉터부(350a)에 발생한 줄열에 의한 외부로부터의 가열에 의해 국소적으로 가늘어질 가능성이 있다. 제3 실시 형태의 연출부(387)는, 제1 영역(350A)과는 구별되는 제2 영역(350B)에 있어서 소비재(110)의 외측면을 파지하므로, 서셉터부(350a)에 발생한 줄열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안정적으로 소비재(110)를 보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비재(110)의 선단 근방의 부분은 제1의 권지(112)로 권장됨과 함께, 흡연 가능물(111)에 의해 충전되어 있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연출부(387)가 소비재(110) 중 흡연 가능물(111)에 의해 충전된 개소를 파지하므로, 보다 밀도가 작은 다른 개소를 파지하는 경우에 비하여 보지력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는, 챔버(350)가 절연체로 형성된 지지부(350b)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절연체 부분은 제3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챔버(350)의 필수의 구성 요소는 아니다. 챔버(350)의 전체를, 서셉터부(350a)를 포함하여 도전체로 일체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여도, 유도 코일(342)에 흘린 교류 전류에 기인하는 줄열은, 유도 코일(342)이 감겨져 있는 서셉터부(350a)에만 발생하기 때문에, 제2 영역(350B)은 줄열에 의해 직접 가열되는 일은 없다. 다만, 이 구성에서는, 절연체로 형성된 지지부(350b)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1 영역(350A)으로부터 제2 영역(350B)으로의 열전도는 커진다.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 서셉터 내장 흡연 물품]
이하, 본 개시의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대해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또는 상당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는, 제1 실시 형태의 도 9 및 도 11에 상당하는, 제3 실시 형태의 변형 예의 챔버(355)의 단면도이다. 도 14에서는, 도 11과 동일하게, 챔버(355)의 중심축(C1), 제1 가이드부(58) 및 비보지부(54), 저부재(36)의 도시는 생략한다.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는, 제3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와 비교하여, 챔버(355)의 구성이 상이하다. 즉,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챔버(350)가 서셉터부(350a)를 비롯한 도전체를 포함하고 있던 것에 대하여,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챔버(355)는 전체가 절연체로 형성되어 있다. 챔버(355)는, 예를 들면 PEEK 등의 수지, 유리, 또는 세라믹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챔버(355)는, 본 개시의 수용부의 일례이다.
한편,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소비재(410)는, 제1 실시 형태의 소비재(110)에 비하여, 도 14에 나타내는 도전성의 내장 서셉터(412)를 포함하고 있다.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소비재(410)는, 도 2에 나타난 소비재(110)에 대하여, 흡연 가능물(111)의 내부에 도전성의 내장 서셉터(412)를 설치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도 14에 나타내듯이, 내장 서셉터(412)는, 소비재(410)가 챔버(355)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된 경우에, 유도 코일(342)과 Z축 방향을 따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내장 서셉터(412) 및 유도 코일(342)은, 본 개시의 가열부의 일례이다. 소비재(410)는, 본 개시의 흡연 물품의 일례이다. 내장 서셉터(412)는, 본 개시의 도전 부재의 일례이다.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챔버(355) 내에 삽입된 소비재(410)의 내장 서셉터(412)의 발열에 대하여 설명한다. 챔버(355)의 소정 개소의 외주(外周)에 감겨진 유도 코일(342)에 교류 전류를 흘리면, 챔버(355) 근방에 시간적으로 변동하는 자장이 생성된다. 패러데이의 전자유도의 법칙에 의해 자장의 변동이 기전력을 발생시키고, 렌트의 법칙에 의해 자장의 변동을 지우도록 코일에 흐르는 교류 전류와 반대의 방향으로 내장 서셉터(412)에 와전류가 흐른다. 와전류에 의한 줄열에 의해, 내장 서셉터(412)는 발열한다.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서는, 챔버(355)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된 내장 서셉터(412)(또는 유도 코일(342))의 배치에 의해, 챔버(355) 내에 2개의 영역을 정의한다. 챔버(355)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 내장 서셉터(412)가 배치되어 있는 개소에 대응하는 Z축 방향을 따른 영역을 제1 영역(355A)으로 하고, 제1 영역(355A)과 구별되고, 제1 영역(355A)의 Z축 음방향 단면과 챔버(355)의 저부에 의해 획정되는 영역을 제2 영역(355B)으로 한다. 제1 영역(355A)은, 내장 서셉터(412)에 발생한 줄열에 의해 소비재(410)의 내부가 직접 가열되는 개소이다.
연출부(387)는, 제1 실시 형태의 연출부(87)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고, 챔버(355) 내에 삽입된 소비재(410)의 외측면을 파지한다. 연출부(387)는 제2 영역(355B)에 설치되고, 제1 영역(355A)에 도달하는 일은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연출부(387)는, 본 개시의 파지부 및 볼록부의 일례이다.
소비재(410)를 파지하는 연출부(387)는, 내장 서셉터(412) 및 유도 코일(342)과 Z축 방향을 따라 겹치지 않는 제2 영역(355B)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내장 서셉터(412)에 발생한 줄열에 의해 직접 가열되는 개소와는 상이한 개소에 있어서, 소비재(410)가 파지된다. 챔버(355) 내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된 소비재(410)는, 제1 영역(355A)에 있어서는 내장 서셉터(412)에 발생한 줄열에 의한 내부로부터의 가열에 의해 국소적으로 가늘어질 가능성이 있다.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연출부(387)는, 제1 영역(355A)과는 구별되는 제2 영역(355B)에 있어서 소비재(410)의 외측면을 파지하므로, 내장 서셉터(412)에 발생한 줄열의 영향을 받는 일없이 안정적으로 소비재(410)를 보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실시 형태의 소비재(110)에 대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비재(410)의 선단 근방의 부분은 제1의 권지(112)로 권장됨과 함께, 흡연 가능물(111)에 의해 충전되어 있다.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서는, 연출부(387)가 소비재(410) 중 흡연 가능물(111)에 의해 충전된 개소를 파지하므로, 보다 밀도가 작은 다른 개소를 파지하는 경우에 비하여 보지력이 향상된다.
이상에 있어서는, 소비재(410) 내의 소정 위치에, 단일 부재로서 내장 서셉터(412)가 설치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소비재(410)의 내장 서셉터는 단일 부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전 물질로 형성된 입자 형상 또는 소편(小片) 형상의 다수의 서셉터를 소비재(410)의 소정 위치에 내장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소비재(410)의 가열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입자 또는 소편의 배치 범위에 대응하는 Z축 방향을 따른 영역을 제1 영역으로 함으로써, 챔버(355)의 내부 공간에 상술한 제1 영역(355A) 및 제2 영역(355B)을 정의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고주파에 의한 유전(誘電) 가열]
이하, 본 개시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또는 상당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는, 제1 실시 형태의 도 9 및 도 11에 상당하는, 제4 실시 형태의 챔버(450)의 단면도이다. 도 15에서는, 도 11과 마찬가지로, 챔버(450)의 중심축(C1), 제1 가이드부(58) 및 비보지부(54), 저부재(36)의 도시는 생략한다.
제4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는,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100)와 비교하여, 챔버(450)의 구성이 상이하다. 즉, 도 3 및 도 6에 나타내듯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챔버(50)의 외주가 가열 요소(42)를 포함하는 가열 장치(40)에 덮여 있었던 것에 대하여, 제4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챔버(450)는 가열 장치로 덮여 있지 않다. 제4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는, 제1 실시 형태의 가열 장치(40)를 대신하여, 도 15에 나타내는 챔버(450)의 외주에 배치된 고주파 발생 장치(442)를 구비하고 있다. 챔버(450)는, 본 개시의 수용부의 일례이다. 고주파 발생 장치(442)는, 본 개시의 가열부의 일례이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챔버(450)는,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챔버(355)와 동일하게, 전체가 절연체로 형성되어 있다. 챔버(450)는, 예를 들면 PEEK 등의 수지, 유리, 또는 세라믹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챔버(355) 내에 삽입된 소비재(110)의 흡연 가능물(111)의 가열에 대하여 설명한다. 고주파 발생 장치(442)를 작동시키면, 챔버(450)의 내부 공간에 시간적으로 하는 고주파로 변동하는 전기장이 생성된다. 전기장의 진동이 유전체인 흡연 가능물(111)의 미크로인 격자 구조를 흔들어, 미크로인 격자 진동에 의해 흡연 가능물(111)은 발열하고, 적절히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제4 실시 형태에서는, 고주파 발생 장치(442)의 배치에 의해, 챔버(450) 내에 2개의 영역을 정의한다. 챔버(450)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 고주파 발생 장치(442)가 배치되어 있는 개소에 대응하는 Z축 방향을 따른 영역을 제1 영역(450A)으로 하고, 제1 영역(450A)과 구별되고, 제1 영역(450A)의 Z축 음방향 단면과 챔버(450)의 저부에 의해 획정되는 영역을 제2 영역(450B)으로 한다. 제1 영역(450A)은, 고주파 발생 장치(442)의 동작에 의해 소비재(110)의 흡연 가능물(111)이 직접 가열되는 개소이다.
연출부(487)는, 제1 실시 형태의 연출부(87)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고, 챔버(450) 내에 삽입된 소비재(110)의 외측면을 파지한다. 연출부(487)는 제2 영역(450B)에 설치되고, 제1 영역(450A)에 도달하는 일은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연출부(487)는, 본 개시의 파지부 및 볼록부의 일례이다.
소비재(110)를 파지하는 연출부(487)는, 고주파 발생 장치(442)와 Z축 방향을 따라 겹치지 않는 제2 영역(450B)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고주파 발생 장치(442)가 생성하는 진동 전기장에 의해 직접 가열되는 개소와는 상이한 개소에 있어서, 소비재(110)가 파지된다. 챔버(450) 내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된 소비재(110)는, 제1 영역(450A)에 있어서는 고주파 발생 장치(442)가 생성하는 진동 전기장에 의한 가열에 의해 국소적으로 가늘어질 가능성이 있다. 제4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연출부(487)는, 제1 영역(450A)과는 구별되는 제2 영역(450B)에 있어서 소비재(110)의 외측면을 파지하므로, 고주파 발생 장치(442)가 생성하는 진동 전기장에 의한 발열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안정적으로 소비재(110)를 보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비재(110)의 선단 근방의 부분은 제1의 권지(112)로 권장됨과 함께, 흡연 가능물(111)에 의해 충전되어 있다.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연출부(487)가 소비재(110) 중 흡연 가능물(111)에 의해 충전된 개소를 파지하므로, 보다 밀도가 작은 다른 개소를 파지하는 경우에 비하여 보지력이 향상된다.
이상으로 본 개시의 각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개시는 상기의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 및 명세서와 도면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특히, 각 실시예 및 각 변형예를 적절히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직접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가 없는 어느 형상이나 재질이어도, 본 개시의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이상,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이다. 예를 들면, 본 개시의 향미 흡인기(100)는, 챔버(50)의 개구(52)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소비재(110)의 단면에 공급되는, 이른바 카운터 플로우식의 공기 유로를 가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챔버(50)의 저부(56)로부터 챔버(50) 내에 공기가 공급되는, 이른바 보텀 플로우식의 공기 유로를 가져도 된다.
10…이너 하우징
20…전원부
21…전원
30…무화부
32…단열부
34…삽입 가이드 부재
36…저부재
36a…축부
36b…평판부
40…가열 장치
42…가열 요소
44…전기 절연 부재
48…전극
50…챔버
50A…제1 영역
50B…제2 영역
52…개구
52a…플랜지부
54…비보지부
56…저부
56a…구멍
58…제1 가이드부
58a…테이퍼면
60…측벽부
62…접촉부
62a…내면
62b…외면
66…이간부
66a…내면
66b…외면
67…공극
68…수용 공간
81…평면부
81a…직선상부
81b…원호상부
83…돌조부
83a…단면
83b…측면
83c…상면
85…홈부
87…연출부
100…향미 흡인기
101…아우터 하우징
102…슬라이드 커버
103…스위치부
110…소비재
111…흡연 가능물
112…제1의 권지
113…제2의 권지
114…통상 부재
115…필터부
116…중공 필터부
117…립 릴리스제
187…연출부
187A…단부
202…내부 히터
204…히터 지지부
250…챔버
250A…제1 영역
250B…제2 영역
287…연출부
342…유도 코일
350…챔버
350A…제1 영역
350B…제2 영역
350a…서셉터부
350b…지지부
355…챔버
355A…제1 영역
355B…제2 영역
387…연출부
410…소비재
412…서셉터부
442…고주파 발생 장치
450…챔버
450A…제1 영역
450B…제2 영역
487…연출부
C1…중심축

Claims (14)

  1. 흡연 물품을 삽입 가능한 개구(開口)가 일단(一端)에 형성되고, 상기 흡연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흡연 물품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흡연 물품의 측면을 파지(把持)하는 파지부
    를 가지고,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은,
    상기 수용부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시(斷面視)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와 겹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 이외의 영역으로서, 상기 수용부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수용부의 타단(他端)과 상기 가열부의 상기 타단측의 단부(端部)와의 사이에 존재하는 제2 영역
    을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제2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향미 흡인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중심축을 따라 절단한 단면으로서, 상기 파지부를 지나는 단면시에 있어서,
    (1)식 및 (2)식을 만족하고,
    W1≥W2···(1)
    W3≥W2···(2)
    상기 (1)식 및 상기 (2)식에 있어서,
    W1는, 상기 제1 영역의 지름 방향 길이이고,
    W2는, 상기 제2 영역의 지름 방향 길이이고,
    W3는,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흡연 물품의 지름 방향 길이인,
    향미 흡인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제2 영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볼록부인,
    향미 흡인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상기 타단에는, 상기 수용부의 저부(底部)를 구성하는 저부재(底部材)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저부재는, 상기 수용부와 일체 또는 별도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록부는, 상기 저부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향미 흡인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기 저부로부터 상기 일단을 향하여 연재(延在)하고 있는,
    향미 흡인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기 일단측의 단부 근방에, 상기 일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수용부의 중심축으로부터 이간하도록 경사지는 경사부를 가지는,
    향미 흡인기.
  7.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한 쌍의 돌조부(突條部)를 가지는,
    향미 흡인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기 타단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상기 수용부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경사진,
    향미 흡인기.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수용부의 중심축을 지나는 단면시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로부터 상기 수용부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수용부의 상기 타단측으로 이간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향미 흡인기.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연 물품은, 향미원이 충전된 향미원 충전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흡연 물품의 상기 향미원 충전부를 파지하는,
    향미 흡인기.
  11. 흡연 물품과 향미 흡인기로 이루어지는 흡연 시스템으로서,
    상기 향미 흡인기는,
    상기 흡연 물품을 삽입 가능한 개구가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흡연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흡연 물품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흡연 물품의 측면을 파지하는 파지부
    를 가지고,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은,
    상기 수용부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시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와 겹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 이외의 영역으로서, 상기 수용부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수용부의 타단과 상기 가열부의 상기 타단측의 단부와의 사이에 존재하는 제2 영역
    을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제2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흡연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흡연 물품은, 향미원이 충전된 향미원 충전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향미 흡인기의 상기 파지부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흡연 물품의 상기 향미원 충전부를 파지하는,
    흡연 시스템.
  13.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흡연 물품은, 충전된 향미원의 내부에 도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향미 흡인기의 상기 가열부는, 시간적으로 변동하는 자장을 생성하고,
    상기 흡연 물품의 상기 도전 부재는, 상기 자장의 변동에 근거하여, 발열하는,
    흡연 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도전 부재는, 상기 향미원의 내부에 이산적(離散的)으로 배치된 복수의 부재를 포함하는,
    흡연 시스템.
KR1020237038339A 2021-04-09 2021-04-09 향미 흡인기 및 흡연 시스템 KR202301674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1/015031 WO2022215255A1 (ja) 2021-04-09 2021-04-09 香味吸引器及び喫煙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7410A true KR20230167410A (ko) 2023-12-08

Family

ID=83545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8339A KR20230167410A (ko) 2021-04-09 2021-04-09 향미 흡인기 및 흡연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08530A1 (ko)
EP (1) EP4321042A1 (ko)
JP (2) JPWO2022215255A1 (ko)
KR (1) KR20230167410A (ko)
CN (1) CN117156988A (ko)
WO (1) WO2022215255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92274B (zh) * 2014-05-21 2020-04-21 瑞士商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用於加熱氣溶膠形成基材之感應加熱裝置及操作感應加熱系統之方法
US20170055575A1 (en) * 2015-08-31 2017-03-02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Material for use with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WO2018172389A1 (en) * 2017-03-22 2018-09-27 Philip Morris Products S.A. Tapered aerosol-generating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tapered rod of aerosol-forming substrate
CN108451028A (zh) * 2018-01-22 2018-08-28 上海新型烟草制品研究院有限公司 松脱机构、气雾产生装置、松脱方法及发烟制品
TW202029895A (zh) * 2018-11-14 2020-08-16 日商日本煙草產業股份有限公司 非燃燒加熱吸煙物品及非燃燒加熱吸煙系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08530A1 (en) 2024-01-11
CN117156988A (zh) 2023-12-01
JPWO2022215255A1 (ko) 2022-10-13
EP4321042A1 (en) 2024-02-14
WO2022215255A1 (ja) 2022-10-13
JP2023061353A (ja) 2023-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123757A1 (ja) 香味吸引器
AU2023204010A1 (en) Aerosol provision device
KR20230167410A (ko) 향미 흡인기 및 흡연 시스템
US20230354900A1 (en) Aerosol provision device
WO2022215256A1 (ja) 香味吸引器及び喫煙システム
US20230309623A1 (en) Aerosol provision device
EP4233595A2 (en) Aerosol provision device
US20230363459A1 (en) Aerosol provision device
CN116568163A (zh) 香味吸取器
KR20230053622A (ko)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JP2022524791A (ja) エアロゾル供給デバイス
KR102667280B1 (ko)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WO2022123768A1 (ja) 香味吸引器及び香味吸引器の製造方法
KR20210128422A (ko)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EP4327673A1 (en) Flavor inhaler
US20230363457A1 (en) Aerosol provision device
KR20230172557A (ko) 향미 흡인기 및 흡연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