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07302A -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 - Google Patents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07302A KR20240107302A KR1020230019438A KR20230019438A KR20240107302A KR 20240107302 A KR20240107302 A KR 20240107302A KR 1020230019438 A KR1020230019438 A KR 1020230019438A KR 20230019438 A KR20230019438 A KR 20230019438A KR 20240107302 A KR20240107302 A KR 202401073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der
- cassette
- rotated
- connector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9 different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07D11/13—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with internal means for handling valuable paper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의 일 실시예는, 소정의 부피를 갖는 제1카세트를 거치하기 위한 제1거치부와, 상기 제1거치부가 내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1카세트보다 큰 부피를 갖는 제2카세트를 거치하기 위한 제2거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거치부는, 상기 제2거치부의 전방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카세트를 상기 제1거치부에 거치하기 위한 제1위치와, 상기 제2거치부의 후방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2카세트를 상기 제2거치부에 거치하기 위한 제2위치 사이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거치대를 공용으로 사용하여 서로 다른 크기의 카세트를 거치할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금융자동화기기는 사용자가 금융기관에서 발급받은 현금카드나 통장 등을 사용하여 시간 제약 없이 현금 또는 수표 등의 입출금 거래, 계좌이체 및 조회업무 등을 할 수 있는 장치로, 사용자의 금융업무를 신속하게 처리해 주어 금융업계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금융자동화기기에는 지폐가 저장되는 복수의 카세트를 포함하는 지폐저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카세트에 지폐를 보충하거나, 상기 카세트로부터 지폐를 회수하기 위한 용도로 보충/회수 카세트가 사용되고 있다.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저장부의 일측에는 지폐의 보충 또는 회수를 위한 트랜짓(Transit) 기능의 수행 시, 보충/회수 카세트를 지지하며 거치하기 위한 카세트 거치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충/회수 카세트는 그 사양에 따라서 횡방향의 길이와 종방향의 높이가 서로 상이하고, 카세트에 인가되는 전원과 제어신호의 전달을 위한 커넥터가 카세트에 배치된 위치와 방향(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이 상이하므로, 종래에는 카세트의 사양에 맞는 거치대를 카세트별로 구비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하나의 거치대를 서로 다른 카세트에 호환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구조적인 한계가 있었다.
금융자동화기기의 거치대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8206호에 공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이한 크기의 카세트를 하나의 거치대를 사용하여 거치할 수 있고, 서로 다른 위치와 방향으로 배치된 커넥터에 호환적으로 적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는, 소정의 부피를 갖는 제1카세트를 거치하기 위한 제1거치부와, 상기 제1거치부가 내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1카세트보다 큰 부피를 갖는 제2카세트를 거치하기 위한 제2거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거치부는, 상기 제2거치부의 전방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카세트를 상기 제1거치부에 거치하기 위한 제1위치와, 상기 제2거치부의 후방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2카세트를 상기 제2거치부에 거치하기 위한 제2위치 사이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거치부와 상기 제2거치부를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제1카세트 또는 상기 제2카세트의 전방면을 지지하며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연결된 지지축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지지부재; 상기 제2거치부와 상기 지지부재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거치부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링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카세트는 상기 제1거치부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제1거치부는 상기 제1카세트의 후방면과 양측면 및 바닥면을 지지하고, 상기 제2카세트는 상기 제2거치부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제2거치부는 상기 제2카세트의 후방면과 양측면 및 바닥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거치부의 하부는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거치부의 상부에는 횡방향으로 이동축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축의 양단은 상기 프레임의 상부 양측면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홀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거치부에는 상기 제1카세트의 저면에 구비된 제1커넥터와 접속되는 제1커넥터 접속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커넥터 접속부는 상기 제1거치부가 상기 제1위치 및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할 때 상향으로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거치부는 상기 제2거치부의 양측면에 연결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사이에서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에는 회전부재의 일측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1거치부의 저면에는 제1지지플레이트가 결합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타측부에는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를 관통하며 횡방향으로 구비된 연결축이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거치부가 상기 제1위치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1거치부를 고정시켜 지지하기 위한 제1고정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제1고정수단은 상기 제1거치부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거치부가 상기 제1위치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2거치부의 전면측 플레이트에 걸림되는 스토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면에는 제2지지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상기 제1거치부가 상기 제1위치로 회전될 때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와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거치부가 상기 제2위치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1거치부를 고정시켜 지지하기 위한 제2고정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제2고정수단은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의 후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1거치부가 상기 제2위치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2거치부의 후면측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면에는 제2지지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상기 제1거치부가 상기 제2위치로 회전되면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의 일측부에 형성된 걸림편은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의 일측부에 형성된 걸림부에 걸림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면에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을 따르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에는 상기 가이드홈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위치하는 가이드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거치부에는 상기 제1카세트의 저면에 일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구비된 제1커넥터와 접속되는 제1커넥터 접속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거치부에는 상기 제1커넥터와 다른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2카세트의 저면에 구비된 제2커넥터와 접속되는 제2커넥터 접속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넥터 접속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전후방향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제2거치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3위치와, 상기 제2거치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4위치 사이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가 전방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2커넥터 접속부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의 작용에 의해 상기 제2거치부의 전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2커넥터 접속부가 상기 제2카세트의 제2커넥터와 상하로 대응되어 접속 가능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지지부재가 후방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2커넥터 접속부는 상기 지지부재와 연동하는 복수의 기어들에 의한 동력 전달에 의해 상기 제2거치부의 내측으로 회전되어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에 의하면, 상이한 크기의 카세트를 하나의 거치대를 공용으로 사용하여 거치할 수 있고, 상이한 카세트에 서로 다른 위치와 방향으로 배치된 커넥터에 호환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카세트를 거치하기 위한 제1거치부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커넥터가 직립된 상태로 고정되고 충격 흡수 기능을 구비하여 카세트의 커넥터와 카세트 거치대의 커넥터 접속부 간의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커넥터의 접속 시 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세트 거치대의 사용 시에는 제2커넥터 접속부가 프레임의 전방측으로 회전되어 위치하고, 카세트 거치대의 미사용 시에는 제2커넥터 접속부가 후방으로 회전되어 프레임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카세트 거치대가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며 차지하는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지폐가 카세트를 통해 보충 또는 회수될 때 카세트 거치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에 거치 가능한 제1카세트의 (a) 정면도와 (b) 저면도, 및 제2카세트의 (c) 정면도와 (d)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가 전방으로 완전히 펼쳐진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에 카세트가 거치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에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제1카세트가 거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도 5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에 제1카세트가 거치될 때 제1거치부가 전방으로 회전되어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에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제2카세트가 거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도 8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에 제2카세트가 거치될 때 제1거치부가 후방으로 회전되어 회피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에서 지지부재가 프레임의 내측으로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에 제1카세트가 거치될 때 제1거치부가 전방으로 회전되어 위치한 상태의 주요부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상태일 때 제1거치부가 전방으로 회전되어 위치한 상태의 측면도,
도 15는 도 13의 후면측 사시도로서, 제1거치부에 설치된 스토퍼부재가 제2거치부의 전면측 플레이트에 걸림되어 제1거치부가 전방으로 회전된 제1위치에서 지지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6은 도 13의 상태일 때 제1거치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회전부재 및 제1지지플레이트가 전방으로 회전되어 제2지지플레이트의 완충부재 상에 안착되어 제1거치부가 전방으로 회전된 제1위치에서 지지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17은 제1거치부가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며 회전부재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에 제2카세트가 거치될 때 제1거치부가 후방으로 회전되어 회피된 상태의 주요부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상태일 때 제1거치부가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회전되어 위치하는 동작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0은 도 18의 후면측 사시도로서, 제1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된 자성체가 제2거치부의 후면측 플레이트에 부착되어 제1거치부가 후방으로 회전된 제2위치에서 지지된 모습을 나타내 도면,
도 21은 도 15의 상태일 때 제2지지플레이트에 형성된 걸림편이 제1지지플레이트에 형성된 걸림부에 걸림되어 제1거치부가 후방으로 회전된 제2위치에서 지지된 모습을 나타내 도면,
도 22와 도 23은 지지부재가 전방으로 회전된 상태일 때 이와 연동하여 제2커넥터 접속부가 전방으로 회전된 모습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24는 도 22 및 도 23의 상태일 때 동력전달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
도 25와 도 26은 지지부재가 후방으로 회전된 상태일 때 이와 연동하여 제2커넥터 접속부가 후방으로 회전된 모습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27은 도 25 및 도 26의 상태일 때 동력전달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에 거치 가능한 제1카세트의 (a) 정면도와 (b) 저면도, 및 제2카세트의 (c) 정면도와 (d)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가 전방으로 완전히 펼쳐진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에 카세트가 거치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에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제1카세트가 거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도 5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에 제1카세트가 거치될 때 제1거치부가 전방으로 회전되어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에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제2카세트가 거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도 8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에 제2카세트가 거치될 때 제1거치부가 후방으로 회전되어 회피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에서 지지부재가 프레임의 내측으로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에 제1카세트가 거치될 때 제1거치부가 전방으로 회전되어 위치한 상태의 주요부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상태일 때 제1거치부가 전방으로 회전되어 위치한 상태의 측면도,
도 15는 도 13의 후면측 사시도로서, 제1거치부에 설치된 스토퍼부재가 제2거치부의 전면측 플레이트에 걸림되어 제1거치부가 전방으로 회전된 제1위치에서 지지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6은 도 13의 상태일 때 제1거치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회전부재 및 제1지지플레이트가 전방으로 회전되어 제2지지플레이트의 완충부재 상에 안착되어 제1거치부가 전방으로 회전된 제1위치에서 지지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17은 제1거치부가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며 회전부재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에 제2카세트가 거치될 때 제1거치부가 후방으로 회전되어 회피된 상태의 주요부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상태일 때 제1거치부가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회전되어 위치하는 동작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0은 도 18의 후면측 사시도로서, 제1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된 자성체가 제2거치부의 후면측 플레이트에 부착되어 제1거치부가 후방으로 회전된 제2위치에서 지지된 모습을 나타내 도면,
도 21은 도 15의 상태일 때 제2지지플레이트에 형성된 걸림편이 제1지지플레이트에 형성된 걸림부에 걸림되어 제1거치부가 후방으로 회전된 제2위치에서 지지된 모습을 나타내 도면,
도 22와 도 23은 지지부재가 전방으로 회전된 상태일 때 이와 연동하여 제2커넥터 접속부가 전방으로 회전된 모습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24는 도 22 및 도 23의 상태일 때 동력전달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
도 25와 도 26은 지지부재가 후방으로 회전된 상태일 때 이와 연동하여 제2커넥터 접속부가 후방으로 회전된 모습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27은 도 25 및 도 26의 상태일 때 동력전달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1)는, 카세트 거치대(100), 입출금부(200), 감별부(300), 일시저장부(400), 지폐 저장부(500), 반송로(600), 도어(700), 커버(800) 및 보충용 출입구(900)를 포함한다.
상기 카세트 거치대(100)는 보충용 출입구(900)의 하측에 구비되고, 지폐 저장부(500)를 개폐하는 도어(700)의 외측에 구비되며, 커버(8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커버(800)가 개방된 상태에서 카세트 거치대(100)에는 지폐를 보충 또는 회수할 수 있는 보충용 카세트(10,20)가 장착될 수 있다.
입출금부(200)는 지폐를 투입하거나 수취하기 위한 입출금 공간을 제공한다.
감별부(300)는 반송로(600)를 통과하는 지폐의 권종 및 이상 유무 등을 감별한다. 지폐의 입금 계수시, 감별부(300)에 의해 이상이 없는 지폐로 감별된 정상 지폐는, 임시저장부(400)에 임시 수납될 수 있고, 감별부(300)에 의해 이상이 있는 지폐로 감별된 지폐는, 입출금부(200)를 통해 반송되어 고객에게 반환될 수 있다.
일시저장부(400)는 감별부(300)에서 감별된 지폐를 임시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제공한다.
지폐 저장부(500)는 지폐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권종에 따라 상이한 크기를 갖는 복수의 카세트(510)를 포함할 수 있다.
반송로(600)는 입출금부(300)를 통해 입출금되는 지폐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고, 지폐를 보충/회수하기 위한 지폐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어(700)는 지폐 저장부(500)의 일측면을 개폐하기 위한 구성이며, 카세트 커치대(100)는 도어(700)의 외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커버(800)는 지폐의 보충/회수를 위해 카세트 거치대(1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카세트 거치대(10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되고, 카세트 거치대(100)의 미사용 시에는 카세트 거치대(1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닫힐 수 있다.
보충용 출입구(900)에는 지폐의 보충 또는 회수 시 보충용 카세트(10,20)와 연결되는 연결 반송로(601)가 구비되고, 연결 반송로(601)는 반송로(600)를 통하여 지폐 저장부(500)의 카세트(51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금융자동화기기(1)의 구성은 본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다른 구성으로 대체하거나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100)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보충용 카세트(10,20)를 나타낸 것으로, 소정의 부피를 갖는 제1카세트(10)와, 상기 제1카세트(10)보다 큰 부피를 갖는 제2카세트(20)를 예시하고 있다. 도 2의 (a)와 (c)를 참조하면, 제1카세트(10)는 제2카세트(20)에 비하여 길이가 짧은 폭과 낮은 높이를 갖도록 구성되고, 제2카세트(20)는 제1카세트(10)에 비하여 길이가 긴 폭과 높은 높이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의 (b)와 (d)를 참조하면, 제1카세트(10)의 바닥면에 구비된 제1커넥터(11)와 제2카세트(10)의 바닥면에 구비된 제2커넥터(21)는 설치되는 위치가 상이하고 길이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2의 (b)와 (d)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제1커넥터(11)는 제1카세트(10)의 바닥면의 하부 중간부에 가로방향의 길이를 갖도록 배치되어 있고, 제2커넥터(21)는 제2카세트(20)의 바닥면의 좌측 중간부에 세로방향의 길이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와 같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제1카세트(10)와 제2카세트(20)의 거치가 가능함과 아울러 서로 다른 위치와 방향으로 배치된 제1커넥터(11)와 제2커넥터(21)에 호환적으로 적용 가능한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100)를 제공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방향을 지칭함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X-X' 방향을 전후방향으로, Y-Y' 방향을 좌우방향(또는 횡방향)으로, Z-Z'방향을 상하방향으로 지칭하며, X 방향을 전방으로, X' 방향을 후방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도 3과 도 4는 본 실시예의 카세트 거치대(100)에 보충용 카세트(10,20)가 거치되기 전 상태로서 카세트 거치대(100)가 전방으로 완전히 펼쳐져 보충용 카세트(10,20)를 장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이 확보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100)는, 소정의 부피를 갖는 제1카세트(10)를 거치하기 위한 제1거치부(140)와, 상기 제1거치부(140)가 내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1카세트(10)보다 큰 부피를 갖는 제2카세트(20)를 거치하기 위한 제2거치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카세트 거치대(100)는, 제1거치부(140)와 제2거치부(120)를 지지하는 프레임(110)과, 상기 제1카세트(10) 또는 제2카세트(20)의 전방면을 지지하며 프레임(110)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연결된 지지축(124)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지지부재(160), 및 상기 제2거치부(120)와 지지부재(160)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2거치부(120)와 지지부재(160) 사이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링크부재(17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10)의 후면은 전술한 도어(700)에 결합되며 막힌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전면은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져 지지부재(160)와 제2거치부(120)가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110)의 후면 양측단으로부터 각각 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양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의 양측면의 상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장공 형상의 가이드홀(11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111)의 내측에는 제2거치부(120)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이동축(121)의 양측단이 위치한다.
상기 가이드홀(111)을 관통한 이동축(121)의 양측단에는 이동축(121)의 이탈 방지를 위한 제1결속부재(122)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홀(111)의 전방부에는 제2거치부(120)가 전방으로 회전될 때 제1결속부재(122)와 가이드홀(111) 간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 스프링(12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의 양측면의 상하방향 중간부에는 각각 링크부재(170)의 양단에 결합된 제3결속부재(173)와 제2결속부재(172)의 이동 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제1슬롯부(112)와 제2슬롯부(113)가 상하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10)의 양측면에는 횡방향으로 구비되는 지지축(124)의 양측단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지지축(124)은 제2거치부(120)와 지지부재(160)가 회전되는 회전중심의 역할을 한다.
상기 제2거치부(120)는 부피가 상대적으로 큰 제2카세트(20)를 거치하기 위한 구성으로, 좌우방향의 양측면 사이의 폭은 제2카세트(20)의 폭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거치부(120)의 양측면의 상부에는 상기 이동축(121)이 관통되며 연결되고, 제2거치부(120)의 양측면의 하부에는 상기 지지축(124)이 관통되며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거치부(12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될 때, 제2거치부(120)는 지지축(124)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이동축(121)의 양단은 가이드홀(111)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카세트(20)는 제2거치부(120)와 지지부재(160) 사이에 삽입되고, 제2거치부(120)는 제2카세트(20)의 후방면과 양측면 및 바닥면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제2거치부(120)의 바닥면 상에는 제2카세트(20)의 제2커넥터(21)에 접속되는 제2커넥터 접속부(1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거치부(140)는 부피가 상대적으로 작은 제1카세트(10)를 거치하기 위한 구성으로, 좌우방향의 양측면 사이의 폭은 제1카세트(10)의 폭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거치부(140)의 양측면과 제2거치부(120)의 양측면에는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회전축(144; 도 14)이 연결되고, 제1거치부(140)는 회전축(144)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카세트(10)는 제1거치부(140)와 지지부재(160) 사이에 삽입되고, 제1거치부(140)는 제1카세트(10)의 후방면과 양측면 및 바닥면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제1거치부(140)의 바닥면 상에는 제1카세트(10)의 제1커넥터(11)에 접속되는 제1커넥터 접속부(1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160)는 제1거치부(140)에 거치되는 제1카세트(10) 또는 제2거치부(120)에 거치되는 제2카세트(20)의 전면부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양측면의 하부에는 지지축(124)이 횡방향으로 관통되며 연결되어 상기 지지축(124)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60)의 상부에는 작업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손잡이부(16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170)는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제2거치부(120)의 양측면과 지지부재(160)의 양측면을 상호 연결하며 제2거치부(120)와 지지부재(160) 사이에 벌어지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다. 링크부재(170)의 길이방향의 후단부에는 제2거치부(120)의 양측면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결속부재(172)가 구비되고, 링크부재(170)의 길이방향의 전단부에는 지지부재(160)의 양측면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결속부재(173)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링크부재(170)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171)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결속부재(172)는 장공(171)의 내측에서 장공(17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1카세트(10) 또는 제2카세트(20)를 카세트 거치대(100)에 거치하기 위하여 지지부재(160)가 전방으로 최대한 회전하게 되면, 제2결속부재(172)는 장공(171)의 후단부로 이동하여 위치하게 되고, 제2거치부(120)와 지지부재(160) 사이의 각도는 최대로 벌어진 상태가 된다.
상기 카세트 거치대(100)의 미사용 시, 지지부재(160)가 후방으로 최대한 회전하게 되면, 제2결속부재(172)는 장공(171)의 전단부로 이동하여 위치하게 되고, 제2거치부(120)와 지지부재(160) 사이의 각도는 최소가 되며 접혀진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60)의 전후방향 회전에 따라 제1거치부(140)와 지지부재(160) 사이의 각도 또한 조절된다.
상기 제1거치부(140)는, 상기 제2거치부(120)의 전방측에 위치되어 제1카세트(10)를 제1거치부(140)에 거치하기 위한 제1위치와, 상기 제2거치부(120)의 후방측에 위치되어 제2카세트(20)를 제2거치부(120)에 거치하기 위한 제2위치 사이에서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카세트 거치대(100)에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제1카세트(10)가 거치된 상태로서, 제1거치부(140)는 전방으로 회전되어 제1위치로 이동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카세트 거치대(100)에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제2카세트(20)가 거치된 상태로서, 제1거치부(140)는 후방으로 회전되어 제2위치로 이동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제1거치부(140)가 후방으로 회전되어 위치함으로써 제2카세트(20)는 제1거치부(140)와의 간섭 없이 제2거치부(120)에 거치될 수 있다.
도 11과 도 12는 지폐의 보충/회수 동작이 완료된 후, 지지부재(160)와 제2거치부(120)가 프레임(110)의 내측으로 회전되어 접혀진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 거치대(100)의 사용 시 지지부재(160)가 전방으로 회전하게 되면, 이와 연동하여 제2커넥터 접속부(130)는 전방으로 회전되어 제2커넥터 접속부(130)는 전후방향과 나란하게 위치하게 된다.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 거치대(100)의 미사용 시 지지부재(160)가 후방으로 회전하게 되면, 이와 연동하여 제2커넥터 접속부(130)는 후방으로 회전되어 프레임(110)의 내측에 위치하며 좌우방향과 나란하게 위치하게 된다. 이로써 카세트 거치대(100)의 미사용시 카세트 거치대(100)가 전후방향으로 차지하는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제1거치부(140)에는 제1카세트(10)의 저면에 구비된 제1커넥터(11)와 접속되는 제1커넥터 접속부(150)가 구비되고, 상기 제1커넥터 접속부(150)는 제1거치부(140)가 상기 제1위치 및 제2위치에 위치할 때 상향으로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이 제1커넥터 접속부(150)가 제1위치 및 제2위치에서 직립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제1커넥터 접속부(150)와 제1커넥터(11)의 접속이 정위치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커넥터 접속부(150)와 제1커넥터(11)의 접속 과정에서 정위치되지 않을 경우에 초래될 수 있는 오접속 및 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7은 제1거치부(140)가 제1카세트(10)를 거치하기 위해 전방으로 회전되어 제1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8 내지 도 19는 제2카세트(20)를 제2거치부(120)에 거치하기 위해 제1거치부(140)가 후방으로 회전되어 제2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제1거치부(140)는 상기 제2거치부(120)의 양측면에 연결된 회전축(144)을 중심으로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제1거치부(140)의 양측 상단에는 작업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손잡이부(140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44)에는 회전부재(143)의 일측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1거치부(140)의 저면에는 제1지지플레이트(141)가 결합되며, 상기 회전부재(143)의 타측부에는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141)를 관통하며 횡방향으로 구비된 연결축(142)이 상대회전(아이들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제1거치부(140)가 제1위치로 회전된 상태에서 제1거치부(140)를 고정시켜 지지하기 위한 제1고정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제1고정수단은 제1거치부(140)의 후면 상단부에 구비되어 제1거치부(140)가 제1위치로 회전된 상태에서 제2거치부(120)의 전면측 플레이트(128)에 걸림되는 스토퍼부재(146)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재(146)는 제1거치부(140)의 후면 상단부에 좌우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제1거치부(140)가 제1위치로 회전된 상태에서 스토퍼부재(146)의 전단부가 전면측 플레이트(128)의 후면에 걸려 지지됨으로써 제1거치부(140)가 제1위치에서 전방으로 더욱 회전되지 않고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도 14와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부재(143)의 일측면에는 제2지지플레이트(145)가 결합되고, 상기 제1거치부(140)가 제1위치로 회전될 때 제2지지플레이트(145)와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부재(19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191)는 고무와 같은 완충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거치부(120)에 결합된 고정브라켓(190)에 좌우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191)는 제1거치부(140)가 제1위치로 회전될 때 제2지지플레이트(145)와 고정브라켓(190) 간의 충격을 흡수함과 아울러 제1거치부(140)가 제1위치에서 전방으로 더욱 회전되지 않고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제1고정수단의 기능을 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부재(143)의 일측면에는 상기 회전부재(143)의 회전방향을 따르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홈(143a)이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141)에는 상기 가이드홈(143a)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위치하는 가이드핀(141a)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거치부(140)가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전후방향으로 회전될 때 제1거치부(140)의 저면에 결합된 제1지지플레이트(141)와 회전부재(143)가 설정된 경로를 따라서 원활하게 상대회전 할 수 있으며, 제1거치부(140)가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 있는 경우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임의로 이동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제1거치부(140)가 상기 제2위치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1거치부(140)를 고정시켜 지지하기 위한 제2고정수단을 구비한다. 도 19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고정수단은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141)의 후면에 장착되어 제1거치부(140)가 제2위치로 회전된 상태에서 제2거치부(120)의 후면측 플레이트(127)에 부착되는 자성체(147)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거치부(140)가 제2위치로 회전된 상태에서 제1지지플레이트(141)에 구비된 자성체(147)가 제2거치부(120)의 후면측 플레이트(127)에 자력에 의해 부착됨으로써, 제1거치부(140)가 제2위치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고, 제1거치부(140)가 제2위치로부터 임의로 전방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부재(143)의 일측면에는 제2지지플레이트(145)가 결합되고, 제1거치부(140)가 제2위치로 회전되면 제2지지플레이트(145)의 일측부에 형성된 걸림편(145a)은 제1지지플레이트(141)의 일측부에 형성된 걸림부(141b)에 걸림될 수 있다. 상기 걸림편(145a)과 걸림부(141b)은 제1거치부(140)가 제2위치로부터 후방으로 더욱 회전되지 않고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제2고정수단의 기능을 한다.
미설명부호 148과 149는 제1카세트(10)가 제1거치부(140)의 정위치에 거치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봉을 나타낸 것이고, 제1카세트(10)의 저면에는 상기 가이드봉(148,189)이 삽입되는 가이드홈(미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상기 지지부재(160)의 전후방향 회전에 연동하여 제2커넥터 접속부(130)가 전후방향으로 회전되는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제2거치부(120)에는 제2카세트(20)의 저면에 구비된 세로형의 제2커넥터(21)와 접속되는 제2커넥터 접속부(130)가 구비된다.
상기 제2커넥터 접속부(130)는 지지부재(160)의 전후방향 회전에 연동하는 동력전달부(180)의 작용에 의해 제2거치부(120)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3위치와, 상기 제2거치부(120)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4위치 사이에서 회전축(182)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도 22 내지 도 24는 제2커넥터 접속부(130)가 제3위치에 있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25 내지 도 27은 제2커넥터 접속부(130)가 제4위치에 있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지지부재(160)는 지지축(124)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지지부재(160)의 하단부 전면에는 걸림홈부(163)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재(160)가 전방으로 회전되면, 즉 지지축(124)을 기준으로 그 상측에 위치하는 지지부재(160)의 상부가 전방으로 회전되면, 지지축(124)의 하측에 위치하는 지지부재(160)의 하부는 후방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2거치부(120)의 바닥면에는 고정브라켓(181)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브라켓(181)의 상측에는 제2커넥터 접속부(130)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131)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브라켓(181)과 지지브라켓(131)의 일측부에는 회전축(182)이 관통되며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브라켓(131)은 회전축(182)을 중심으로 제3위치와 제4위치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82)의 둘레에는 지지브라켓(131)을 제3위치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18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182)의 하부에는 상기 지지부재(160)의 전후방 회전에 연동하여 제2커넥터 접속부(130)가 회전되도록 하는 복수의 기어들(184,185,186)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기어들(184,185,186)은, 제1기어축(184a)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지지부재(160)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홈부(163)에 걸림되는 걸림 로드부(184b)가 일측부에 형성된 제1기어(184)와, 상기 제1기어(184)에 기어연결되며 제2기어축(185a)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2기어(185), 및 상기 제2기어(185)에 기어연결되며 상기 회전축(182)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3기어(186)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2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60)가 지지축(124)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되면, 지지부재(160)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홈부(163)는 제1기어(184)에 형성된 걸림 로드부(184b)와의 걸림이 해제되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탄성부재(183)가 작용하는 탄성력에 의해 지지브라켓(13)과 이에 장착된 제2커넥터 접속부(130)는 제3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커넥터 접속부(130)가 제3위치에 있게 되면, 제2카세트(20)의 세로형 제2커넥터(21)와 상하로 대응하도록 위치하게 된다.
상기 지지브라켓(131)의 일측부에는 멈춤핀(132)이 돌출형성되어 있고, 지지브라켓(131)이 제3위치로 회전되면, 상기 멈춤핀(132)은 제2거치부(120)의 하단부 전면에 위치하는 걸림단(120a)에 걸림되어 지지브라켓(131)이 제3위치보다 더욱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도 24는 지지부재(160)가 전방으로 회전될 때, 이와 연동하여 제1 내지 제3기어(184,185,186)가 회전되는 방향을 화살표로 나타낸 것이다.
도 25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재(160)가 지지축(124)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전되면, 지지부재(160)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홈부(163)는 제1기어(184)에 형성된 걸림 로드부(184b)에 걸림되며 걸림 로드부(184b)를 전방으로 밀게 된다. 이때 제1 내지 제3기어(184,185,186)은 도 27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연동하여 회전됨으로써 지지브라켓(131) 및 이에 장착된 제2커넥터 접속부(130)는 회전축(182)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전되어 제2거치부(120)의 내측에 좌우방향과 나란하게 위치하게 된다.
미설명부호 133은 제1카세트(20)가 제2거치부(120)의 정위치에 거치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봉을 나타낸 것이고, 제2카세트(10)의 저면에는 상기 가이드봉(133)이 삽입되는 가이드홈(미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 금융자동화기기
10 : 제1카세트
11 : 제1커넥터(가로형 커넥터) 20 : 제2카세트
21 : 제2커넥터(세로형 커넥터) 100 : 카세트 거치대
110 : 프레임 111 : 가이드홀
112 : 제1슬롯부 113 : 제2슬롯부
120 : 제2거치부 120a : 걸림단
121 : 이동축 122 : 제1결속부재
123 : 완충 스프링 124 : 지지축
125 : 후크부재 126 : 탄성부재
127 : 후면측 플레이트 128 : 전면측 플레이트
130 : 제2커넥터 접속부 131 : 지지브라켓
132 : 멈춤핀 140 : 제1거치부
141 : 제1지지플레이트 141a : 가이드핀
141b : 걸림부 142 : 연결축
143 : 회전부재 143a : 가이드홈
144 : 회전축 145 : 제2지지플레이트
145a : 걸림편 146 : 스토퍼부재
147 : 자성체 148,149 : 가이드봉
150 : 제1커넥터 접속부 160 : 지지부재
161 : 손잡이부 162 : 고정핀
163 : 걸림홈부 170 : 링크부재
171 : 장공 172 : 제2결속부재
173 : 제3결속부재 180 : 동력전달부
181 : 고정브라켓 182 : 회전축
183 : 탄성부재 184 : 제1기어
184a : 제1기어축 185 : 제2기어
185a : 제2기어축 186 : 제3기어
187 : 지지판 190 : 고정부재
191 : 완충부재 200 : 입출금부
300 : 감별부 400 : 일시저장부
500 : 지폐 저장부 510 : 카세트
600 : 반송로 601 : 연결 반송로
700 : 도어 800 : 커버
900 : 보충용 출입구
11 : 제1커넥터(가로형 커넥터) 20 : 제2카세트
21 : 제2커넥터(세로형 커넥터) 100 : 카세트 거치대
110 : 프레임 111 : 가이드홀
112 : 제1슬롯부 113 : 제2슬롯부
120 : 제2거치부 120a : 걸림단
121 : 이동축 122 : 제1결속부재
123 : 완충 스프링 124 : 지지축
125 : 후크부재 126 : 탄성부재
127 : 후면측 플레이트 128 : 전면측 플레이트
130 : 제2커넥터 접속부 131 : 지지브라켓
132 : 멈춤핀 140 : 제1거치부
141 : 제1지지플레이트 141a : 가이드핀
141b : 걸림부 142 : 연결축
143 : 회전부재 143a : 가이드홈
144 : 회전축 145 : 제2지지플레이트
145a : 걸림편 146 : 스토퍼부재
147 : 자성체 148,149 : 가이드봉
150 : 제1커넥터 접속부 160 : 지지부재
161 : 손잡이부 162 : 고정핀
163 : 걸림홈부 170 : 링크부재
171 : 장공 172 : 제2결속부재
173 : 제3결속부재 180 : 동력전달부
181 : 고정브라켓 182 : 회전축
183 : 탄성부재 184 : 제1기어
184a : 제1기어축 185 : 제2기어
185a : 제2기어축 186 : 제3기어
187 : 지지판 190 : 고정부재
191 : 완충부재 200 : 입출금부
300 : 감별부 400 : 일시저장부
500 : 지폐 저장부 510 : 카세트
600 : 반송로 601 : 연결 반송로
700 : 도어 800 : 커버
900 : 보충용 출입구
Claims (15)
- 소정의 부피를 갖는 제1카세트를 거치하기 위한 제1거치부;
상기 제1거치부가 내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1카세트보다 큰 부피를 갖는 제2카세트를 거치하기 위한 제2거치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1거치부는, 상기 제2거치부의 전방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카세트를 상기 제1거치부에 거치하기 위한 제1위치와, 상기 제2거치부의 후방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2카세트를 상기 제2거치부에 거치하기 위한 제2위치 사이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거치부와 상기 제2거치부를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제1카세트 또는 상기 제2카세트의 전방면을 지지하며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연결된 지지축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지지부재;
상기 제2거치부와 상기 지지부재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거치부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링크부재;
를 더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세트는 상기 제1거치부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제1거치부는 상기 제1카세트의 후방면과 양측면 및 바닥면을 지지하고,
상기 제2카세트는 상기 제2거치부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제2거치부는 상기 제2카세트의 후방면과 양측면 및 바닥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거치부의 하부는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거치부의 상부에는 횡방향으로 이동축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축의 양단은 상기 프레임의 상부 양측면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홀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거치부에는 상기 제1카세트의 저면에 구비된 제1커넥터와 접속되는 제1커넥터 접속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커넥터 접속부는 상기 제1거치부가 상기 제1위치 및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할 때 상향으로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거치부는 상기 제2거치부의 양측면에 연결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사이에서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는 회전부재의 일측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1거치부의 저면에는 제1지지플레이트가 결합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타측부에는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를 관통하며 횡방향으로 구비된 연결축이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거치부가 상기 제1위치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1거치부를 고정시켜 지지하기 위한 제1고정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제1고정수단은 상기 제1거치부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거치부가 상기 제1위치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2거치부의 전면측 플레이트에 걸림되는 스토퍼부재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면에는 제2지지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상기 제1거치부가 상기 제1위치로 회전될 때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와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거치부가 상기 제2위치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1거치부를 고정시켜 지지하기 위한 제2고정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제2고정수단은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의 후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1거치부가 상기 제2위치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2거치부의 후면측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면에는 제2지지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상기 제1거치부가 상기 제2위치로 회전되면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의 일측부에 형성된 걸림편은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의 일측부에 형성된 걸림부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면에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을 따르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에는 상기 가이드홈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위치하는 가이드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거치부에는 상기 제1카세트의 저면에 일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구비된 제1커넥터와 접속되는 제1커넥터 접속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거치부에는 상기 제1커넥터와 다른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2카세트의 저면에 구비된 제2커넥터와 접속되는 제2커넥터 접속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 접속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전후방향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제2거치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3위치와, 상기 제2거치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4위치 사이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가 전방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2커넥터 접속부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의 작용에 의해 상기 제2거치부의 전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2커넥터 접속부가 상기 제2카세트의 제2커넥터와 상하로 대응되어 접속 가능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지지부재가 후방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2커넥터 접속부는 상기 지지부재와 연동하는 복수의 기어들에 의한 동력 전달에 의해 상기 제2거치부의 내측으로 회전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8/296,829 US12033476B1 (en) | 2022-12-29 | 2023-04-06 | Cassette holder for automated teller machine |
PCT/KR2023/011996 WO2024143747A1 (ko) | 2022-12-29 | 2023-08-11 |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89660 | 2022-12-29 | ||
KR20220189660 | 2022-12-29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07302A true KR20240107302A (ko) | 2024-07-09 |
Family
ID=91948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19438A KR20240107302A (ko) | 2022-12-29 | 2023-02-14 |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107302A (ko) |
-
2023
- 2023-02-14 KR KR1020230019438A patent/KR20240107302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974624B2 (ja) | 紙葉類搬送装置及び紙葉類取扱装置 | |
JP5724717B2 (ja) |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 |
CN102160094B (zh) | 现金自动交易装置 | |
JP2022061534A (ja) | 媒体処理装置 | |
JP6369196B2 (ja) |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 |
BR102013016356A2 (pt) | reabastecimento de cassete | |
CN104919503B (zh) | 拉出装置以及介质交易装置 | |
KR20240107302A (ko) |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 | |
JP6051060B2 (ja) | 紙幣取扱装置 | |
US12033476B1 (en) | Cassette holder for automated teller machine | |
JP5355427B2 (ja) | 自動取引装置のシャッタ構造 | |
KR20100030089A (ko) |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 장치 및 방법 | |
KR101525775B1 (ko) |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저장장치 | |
KR101001689B1 (ko) | 지폐카세트 전원단속장치 및 방법 | |
JP6891924B2 (ja) | 媒体処理装置 | |
KR20100073472A (ko) |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저장장치 | |
KR101077293B1 (ko) |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저장장치 | |
KR20240047552A (ko) | 금융 자동화 기기의 카세트 커넥팅 장치 | |
JP4321513B2 (ja) | 紙幣収納装置および紙幣処理装置 | |
KR102599178B1 (ko) | 금융자동화기기의 접객부 | |
KR20240142634A (ko) |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거치대 | |
KR20110012950A (ko) | 매체자동지급기의 잔류매체회수장치 | |
JP6763223B2 (ja) | 媒体スタッカ及び自動取引装置 | |
KR102680746B1 (ko) | 금융 자동화 기기용 종이 매체 수납 장치 | |
KR101546334B1 (ko) |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이송 장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