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0089A -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0089A
KR20100030089A KR1020080088870A KR20080088870A KR20100030089A KR 20100030089 A KR20100030089 A KR 20100030089A KR 1020080088870 A KR1020080088870 A KR 1020080088870A KR 20080088870 A KR20080088870 A KR 20080088870A KR 20100030089 A KR20100030089 A KR 20100030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s
push bar
opening
inlet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8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5563B1 (ko
Inventor
이우호
곽재훈
황진용
이희창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8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5563B1/ko
Priority to US12/555,615 priority patent/US7913830B2/en
Publication of KR20100030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0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38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ovable piling or advancing arms, frames, plates, or like members with which the articles are maintained in face contact
    • B65H29/46Members reciprocated in rectilinear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4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 B65H31/06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4Pile receivers multiple or compartmented, e.d. for alternate, programmed, or selective fill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는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에 입금된 지폐류(4)가 수직으로 투입되는 투입구(10)와, 상기 투입구(10)로 투입되는 지폐류의 측면부위 양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개폐판(14)(16)과, 상기 투입구(10)를 중심으로 구획되는 제 1 및 제 2 저장부(20)(22)와, 상기 지폐류(4)가 투입되는 쪽의 저장부를 향하여 선택적으로 스트로크 작동하도록 상기 투입구(10)내에 위치되는 푸쉬바(30)와, 상기 푸쉬바(30)의 스트로크 작동을 실행하는 푸쉬바 구동모터(50)와, 상기 투입구(10)를 향하여 압력을 가하여 상기 푸쉬바(30)의 스트로크 작동에 의해 저장된 지폐류(4)를 수직지지하는 한쌍의 푸쉬 플레이트(60)(6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금융자동화기기에 입금된 지폐류가 투입되는 투입구를 중심으로 구획된 제 1 및 제 2 저장부중에서 입금 지폐류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저장하도록 설정된 저장부쪽으로 지폐류를 수직투입하여 푸쉬바를 스트로크 작동함으로서, 선택적으로 수직저장할 수 있으므로 금융자동화기기의 콤팩트화가 가능하고, 입금 지폐류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으므로, 금융자동화기기 운영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STORAGING PAPER MONEY IN AN ATM AND SO ON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에 입금된 지폐 또는 수표 등의 지폐류를 저장하는 저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폐 또는 수표를 수직으로 저장하되 지폐 또는 수표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좌우로 나누어 저장할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상담업무를 제외한 대부분의 금융서비스를 무인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된 현금자동지급기(CDU:Cash Dispenser Unit)와 현금자동입출금기(BRM:Bill Recycling Machine) 등의 금융자동화기기를 소위 ATM(automated teller machine)이라 한다.
이러한 ATM은 현금자동입출금기능이외에 금융서비스의 기능에 따라 카드처리부, 통장처리부, 수표입금기와 같이 기능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부가되고 있는 바, 그 저장장치는 입금되는 지폐 또는 수표를 그 종류에 관계없이 저장박스에 수평으로 저장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런데 이상과 같이 입금 지폐류를 수평으로 저장하는 종래의 저장장치는 금 융자동화기기의 크기가 커질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더구나, 금융자동화기기의 운영상 지폐 또는 수표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구분하여 저장해야 하는 경우도 있지만, 종래의 저장장치는 이러한 구분 저장을 할 수 없으므로 운영이 제한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금융자동화기기의 콤팩트화를 달성할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저장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폐 또는 수표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저장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에 입금된 지폐류가 수직으로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로 투입되는 지폐류의 측면부위 양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개폐판과, 상기 투입구를 중심으로 구획되는 제 1 및 제 2 저장부와, 상기 지폐류가 투입되는 쪽의 저장부를 향하여 선택적으로 스트로크 작동하도록 상기 투입구내에 위치되는 푸쉬바와, 상기 푸쉬바의 스트로크 작동을 실행하는 푸쉬바 이송수단과, 상기 투입구를 향하여 압력을 가하여 상기 푸쉬바의 스트로크 작동에 의해 저장된 지폐류를 수직지지하는 한쌍의 푸쉬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푸쉬바 이송수단은 푸쉬바의 하부에 결합된 슬라이딩부재와,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딩을 실행하는 푸쉬바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푸쉬바의 스트로크 작동에 연동하여 상기 개폐판 중 어느 하나를 후퇴시키는 링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링크수단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딩과 연동하여 각각 회동하는 한쌍의 제 1 회동부재와, 제 1 회동부재 각각의 회동과 연동하여 회동함으로서 투입구 개폐판이 후퇴되도록 투입구 개폐판과 결합되는 한쌍의 제 2 회동부재와, 투입구 개폐판의 각각을 폐쇄상태로 위치하도록 제 2 회동부재의 각각에 압력을 가하는 한쌍의 스프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상술한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의 저장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금 지폐류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저장하고자하는 저장부를 설정하는 단계와, 푸쉬바가 설정된 저장부측으로 지폐류를 푸쉬할 수 있도록 지폐류 투입전 미리 소정위치에 위치하는 단계와, 투입구를 통해 상기 설정된 저장부쪽으로 상기 지폐류를 수직 투입하는 단계와, 푸쉬바를 상기 설정된 저장부로 스트로크 작동하여 상기 투입구에 투입된 지폐류를 상기 설정된 저장부쪽에 수직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금융자동화기기에 입금된 지폐류가 투입되는 투입구를 중심으로 구획된 제 1 및 제 2 저장부중에서 입금 지폐류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저장하도록 설정된 저장부쪽으로 지폐류를 수직투입하여 푸쉬바를 스트로크 작동함으로서, 선택적으로 수직저장할 수 있으므로 금융자동화기기의 콤팩트화가 가능하고, 입금 지폐류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으므로, 금융자동화기기 운영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의 대기모드의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에서 본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수납모드의 상태로서, 푸쉬 플레이트가 생략되고, 투입구내의 일측 개폐판을 나타내는 저면에서 본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에 입금된 지폐류(4)가 수직으로 투입되는 투입구(10)와, 상기 투입구(10)로 투입되는 지폐류의 측면부위 양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개폐판(14)(16)과, 상기 투입구(10)를 중심으로 구획되는 제 1 및 제 2 저장부(20)(22)와, 상기 지폐류(4)가 투입되는 쪽의 저장부를 향하여 선택적으로 스트로크 작동하도록 상기 투입구(10)내에 위치되는 푸쉬바(30)(도 2)와, 상기 푸쉬바(30)의 스트로크 작동을 실행하는 푸쉬바 이송수단과, 상기 투입구(10)를 향하여 압력을 가하여 상기 푸쉬바(30)의 스트로크 작동에 의해 저장된 지폐류를 수직지지하는 한쌍의 푸쉬 플레이트(60)(6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지폐류 저장장치는 그 본체(2)가 직육면체의 박스형상으로, 그 내부에는 투입구(10)가 격벽과 같이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며, 이 투입구(10)를 중심으로 제 1 및 제 2 저장부(20)(22)가 좌우로 나누어지며, ATM내에 입금된 지폐류(4)(도 1에서 점선으로 도시)는 수평으로 반송되어 투입구(10)의 상부에서 투입 구(10)로 수직으로 투입된다. 또한 투입구(10) 양측의 한쌍의 푸쉬 플레이트(60)(62)는 푸쉬바(30)의 스트로크 작동에 의해 투입구(10)의 좌우로 슬라이딩 되어 벌어졌다가 다시 투입부(10)를 향하여 압력을 가하도록 설치된다.
통상 ATM에 입금된 지폐류(4)는 ATM 내부의 반송로를 거치면서 그 크기와종류 등이 인식됨에 따라 저장하고자하는 저장부(20)(22)를 미리 설정할 수 있으므로, 이를 본 발명의 지폐류 저장장치에서 저장부(20)(22)가 좌우로 나누어지는 구성에 적용하면, 금융자동화기기에 입금된 지폐류를 미리 설정된 저장부에 선택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선택스택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면에 있어서, 좌측의 제 1 저장부(20)의 공간보다 우측의 제 2 저장부(22)의 공간이 헐씬 크지만, ATM의 운영상 그 크기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으로 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체(2)의 바닥(6)에는 가이드홈(8)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홈(8)의 중간에 소정 폭(L)의 개방부(12)가 제공된 투입구(10)가 직교하여 개방부(12)와 가이드홈(8)이 연통된다. 또한 가이드홈(8)에는 푸쉬바(30)의 하부에 부착된 프랜지부(32)가 삽입되고, 푸쉬바(30)는 대기상태에서 투입구(10)의 개방부(12)를 폐쇄하도록 개방부(12)에 위치되어 좌우로 스트로크 작동된다. 이때, 푸쉬바(30)는 개방부(12)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으면서도 투입된 지폐류(4)를 용이하게 저장부측으로 밀어넣을 수 있는 정도의 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구(10)에 설치된 한쌍의 개폐판(14)(16)은 투입구(10)로 투입되는 지폐류의 측면부위 양면을 지지한다. 이와 같 이 지폐류는 투입구(10)로 투입되어 개폐판(14)(16)에 의해 수직지지된 상태에서 저장하고자 하는 일측의 개폐판이 후퇴하면 지폐류는 프리한 상태, 즉 지지되지 않은 상태가 되므로 푸쉬바(30)의 작은 스크로크에 의해서도 저장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결과 저장공간을 확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투입구(10)의 개방부(12)에 위치되는 비교적 작은 크기의 지폐류(4)를 제 2 저장부(22)에 저장하는 경우에는 개방부(12)의 폭이 정해져 있으므로, 푸쉬바(30)의 우측 스트로크를 적게 설정하더라도 용이하게 제 2 저장부(22)로 밀어넣을 수 있지만, 좀 더 큰 크기의 지폐류(4)를 동일한 폭의 개방부(12)를 통해서 밀어넣는 것은 용이하지 않으므로, 동일한 폭의 개방부에서 지폐류(4)의 크기에 관계없이 저장부로 용이하게 밀어넣으려면 푸쉬바(30)의 스트로크를 길게 해야 하지만, 이는 저장장치의 크기가 커지게 되어 기기의 콤팩트화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지폐류 저장장치는 푸쉬바(30)가 가이드홈(8)을 따라 적게 설정된 스트로크로 이송되더라도, 푸쉬바(30)의 좌우 스트로크 작동과 연동되어 개폐판(14)(16)이 후퇴되어 개방부(12)를 좀더 개방하게 됨으로서, 제 1 및 제 2 저장부(20)(22)로 지폐류를 용이하게 밀어넣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푸쉬바(30)의 스트로크 작동은 슬라이딩 부재(40)의 슬라이딩을 실행하는 푸쉬바 구동모터(50)로 이루어진 푸쉬바 이송수단에 의해 실행된다.
도 4 내지 도 6로부터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재(40)는 푸쉬바(30)의 하부에 부착되어 가이드홈(8)에 삽입되는 프랜지부(32)와 나사결합되며, 그 전면의 사각돌출부(42)는 본체(2)의 바닥에 평행하게 설치된 가이드돌기(3)들에 가이드되는 한편, 그 일측의 결합부(44)는 구동풀리(55)에 감긴 구동벨트(56)와 결합되고 가이드봉(58)에 삽입되어 구동벨트(56)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봉(58)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구동풀리(55)의 일측에는 푸쉬바 구동모터(50)의 축에 연결된 베벨기어(57)가 부착되어, 구동모터(40)의 정역회전에 따라 구동벨트(56)가 정역회전하게 되고, 이에 슬라이딩부재(40)는 좌우로 슬라이딩되므로 푸쉬바(30)가 좌우로 스트로크 작동된다.
한편 본 발명의 지폐류 저장장치는 도 1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구(10)의 하부에 한쌍의 가이드 슬릿(17)(18)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 슬릿(17)(18)의 각각에 개폐판(14)(16)의 각각이 삽입되고 그 하부에 체결판(34)이 나사결합되어 부착된다. 슬라이딩부재(40)에는 베어링돌기(46)가 중앙에 제공되며, 이 베어링돌기(46)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제 1 회동부재(70)(72)가 설치된다. 제 1 회동부재(70)(72)의 각각은 "ㄱ"자 형상으로, 제 1 힌지축(73)을 기준으로 수직부(74)와 수평부분에 형성된 볼록부(76)로 구성된다. 볼록부(76)는 일측의 돌기(77)부터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는 경사면(78)과 이 경사면(78)에 이어진 만곡면(79)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 1 회동부재(70)(72) 각각의 회동과 연동하여 한 쌍의 제 2 회동부재(80)(82)의 각각이 회동된다. 제 2 회동부재(80)(82)의 각각은 그 중앙에 회동핀(84)이 하향돌출되어 있고, 그 일단은 개폐판(14)(16)의 각각의 하면에 부착된 체결판(34)과 나사결합되고, 타단은 제 2 힌지축(88)이 삽입되는 오목홈(86)이 형성된다. 각 제 2 회동부재(80)(82) 중앙의 회동핀(84)은 대기상태에서는 제 1 회동 부재(70)(72)의 각각의 볼록부(76)의 돌기(77)와 접하고 있으나, 회동상태에서는 제 1 회동부재(70)(72) 각각의 경사면(78)으로부터 만곡면(79)으로 이동되어 위치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바(30)가 제 2 저장부(22)를 향하여 스트로크작동되면, 슬라이딩부재(40)도 도 2에서 우측으로, 즉 제 2 저장부(22)를 향하여 슬라이딩된다. 이때 슬라이딩부재(40)에 제공된 베어링돌기(46)가 제 1 회동부재(72)의 수직부(74)를 밀게되고, 이에 의해 제 2 회동부재(72)는 제 1 힌지축(73)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비록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와 반대로 슬라이딩부재(40)가 좌측으로, 즉 제 1 저장부(20)쪽으로 슬라이딩되면, 상기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딩부재(40)에 제공된 베어링돌기(46)가 제 1 회동부재(70)의 수직부(74)를 밀게되고, 이에 의해 제 1 회동부재(70)는 제 1 힌지축(73)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제 1 회동부재(7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제 1 회동부재(72)의 볼록부(76)의 돌기(77)에 접하고 있던 제 2 회동부재(82) 중앙의 회동핀(84)은 제 1 회동부재(72)의 볼록부(76)의 경사면(78)에서 만곡면(79)에 위치하도록 이동하게 되므로, 제 2 회동부재(82)는 제 2 힌지축(88)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와 동시에 제 2 회동부재(82)의 일단과 나사결합된 개폐판(16) 하부의 체결판(34)이 투입구(10)의 가이드 슬릿(18)을 따라 이동됨으로서 개폐판(16)이 투입구(10)에서 전진 및 후퇴된다.
또한 이상과 마찬가지로, 제 1 회동부재(7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 제 1 회동부재(70)에 연동되는 제 2 회동부재(8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개폐판(14)이 투입구(10)에서 전진 및 후퇴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는 지폐류를 다음과 같이 저장한다.
금융자동화기기에 지폐류가 입금되면, 기기내부의 반송로를 통해 반송하면서 예를 들어 인식모듈에 의해 지폐류의 종류와 크기를 인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저장부(20)(22)의 어느 하나의 저장부에 저장할 것인지를 미리 결정한다.
이 결정에 따라 푸쉬바(30)는 설정된 저장부측으로 지폐류를 푸쉬할 수 있도록 지폐류 투입 전 미리 소정위치에 위치된다.
이어서, 투입구(10)를 통해 입금 지폐류가 미리 설정된 저장부를 향하여 수직으로 투입한다. 예를 들어 입금 지폐류(4)를 제 2 저장부(22)에 저장하고자 하면, 투입구(10)를 통해 수직 투입된 지폐류는 푸쉬바(30)와 제 2 저장부(22)사이의 투입부(10)의 개방부(12)에 위치된다.
이어서, 구동모터(50)는 푸쉬바(30)가 제 2 저장부(22)로 스트로크 작동하도록 구동하여 구동벨트(56)를 정역회전한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부재(40)가 제 2 저장부(22)를 향하여 슬라이딩되고, 슬라이딩부재(40) 중앙의 베어링돌기(46)는 제 1 회동부재(72)의 수직부(74)를 밀게된다. 그 결과 제 1 회동부재(72)는 제 1 힌지축(73)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이에 연동하여 제 2 회동부재(82)은 제 2 힌지축(88)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투입구 개폐판(16)이 개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지폐류 저장장치는 푸쉬바(30)의 제 2 저장부(22)로의 스트로크 동작에 연동하여 투입구 개폐판(16)이 투입구(10)내로 수축되므로, 푸쉬바(30)의 스트로크 작동에 의해 투입구(10)의 개방부(12)를 통과하는 지폐류(4)가 용이하게 제 2 저장부(22)로 밀어넣어지게 되고, 동시에 밀어넣어진 지폐류(4)는 푸쉬 플레이트(62)에 의해 투입구(10)를 향하여 압력이 가해지므로 투입구(10)와 푸쉬 플레이트(62)사이에서 수직 저장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 및 저장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예를 들어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푸쉬바와 개폐판이 링크수단에 의해 하나의 구동원으로 작동될 수도 있으나, 각각 별개의 구동원에 의해 작동될 수도 있으므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의 대기모드의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에서 본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저장장치의 수납모드의 상태로서, 푸쉬 플레이트가 생략되고, 투입구내의 일측 개폐판을 나타내는 저면에서 본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에서 본 개략 사시도이고,
도 5은 도 2의 "B"에서 본 개략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C"에서 본 개략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저장장치 본체 3 : 가이드돌기
4 : 지폐류 6 : 바닥
8 : 가이드홈 10 : 투입구
12 : 개방부 14,16 : 개폐판
17,18 : 가이드 슬릿 20 : 제 1 저장부
22 : 제 2 저장부 30 : 푸쉬바
32 : 프랜지부 34 : 체결판
40 : 슬라이딩부재 42 ; 사각돌출부
44 : 결합부 46 : 베어링돌기
50 : 푸쉬바 구동모터 55 : 구동풀리
56 : 구동벨트 57 : 베벨기어
58 : 가이드봉 60,62 : 푸쉬 플레이트
70,72 : 제 1 회동부재 73 : 제 1 힌지축
74 : 수직부 76 : 볼록부
77 : 돌기 78 : 경사면
79 : 만곡면 80,82 : 제 2 회동부재
84 : 회동핀 86 : 오목홈
88 : 제 2 힌지축 90 : 스프링

Claims (5)

  1.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에 입금된 지폐류가 수직으로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로 투입되는 지폐류의 측면부위 양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개폐판과,
    상기 투입구를 중심으로 구획되는 제 1 및 제 2 저장부와,
    상기 지폐류가 투입되는 쪽의 저장부를 향하여 선택적으로 스트로크 작동하도록 상기 투입구내에 위치되는 푸쉬바와,
    상기 푸쉬바의 스트로크 작동을 실행하는 푸쉬바 이송수단과,
    상기 투입구를 향하여 압력을 가하여 상기 푸쉬바의 스트로크 작동에 의해 저장된 지폐류를 수직지지하는 한쌍의 푸쉬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바 이송수단은
    상기 푸쉬바의 하부에 결합된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을 실행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바의 스트로크 작동에 연동하여 상기 개폐판 중 어느 하나를 후퇴시키는 링크수단을 더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수단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딩과 연동하여 각각 회동하는 한쌍의 제 1 회동부재와,
    상기 제 1 회동 부재 각각의 회동과 연동하여 회동함으로서 상기 개폐판이 후퇴되도록 상기 개폐판과 결합되는 한쌍의 제 2 회동부재와,
    상기 개폐판의 각각을 폐쇄상태로 위치하도록 상기 제 2 회동부재의 각각에 압력을 가하는 한쌍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에 기재된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의 저장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금 지폐류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저장하고자하는 저장부를 설정하는단계와,
    푸쉬바가 상기 설정된 저장부측으로 지폐류를 푸쉬할 수 있도록 지폐류 투입 전 미리 조정위치에 위치되는 단계와,
    투입구를 통해 상기 설정된 저장부쪽으로 상기 지폐류를 수직 투입하는 단계와,
    푸쉬바를 상기 설정된 저장부로 스트로크 작동하여 상기 투입구에 투입된 지폐류를 상기 설정된 저장부쪽에 수직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방법.
KR1020080088870A 2008-09-09 2008-09-09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 장치 및 방법 KR101035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870A KR101035563B1 (ko) 2008-09-09 2008-09-09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 장치 및 방법
US12/555,615 US7913830B2 (en) 2008-09-09 2009-09-08 Bill storage device in automated teller machine and method for storing bill in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870A KR101035563B1 (ko) 2008-09-09 2008-09-09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089A true KR20100030089A (ko) 2010-03-18
KR101035563B1 KR101035563B1 (ko) 2011-05-19

Family

ID=41798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8870A KR101035563B1 (ko) 2008-09-09 2008-09-09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913830B2 (ko)
KR (1) KR1010355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499B1 (ko) 2010-08-03 2011-12-20 엘지엔시스(주) 금융자동화기기
TWI456529B (zh) * 2011-07-26 2014-10-11 日立歐姆龍金融系統有限公司 紙片類處理裝置
WO2016111012A1 (ja) * 2015-01-09 2016-07-14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紙葉類格納装置及び紙葉類格納方法
US11055679B2 (en) * 2016-04-20 2021-07-06 Ncr Corporation Bunch document recycl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5754B1 (ko) * 1996-11-21 1999-04-01 배순훈 승차권발매기 지폐 수납장치
US6588569B1 (en) * 2000-02-11 2003-07-08 Cummins-Allison Corp. Currency handling system having multiple output receptacles
JP4411777B2 (ja) 2000-11-22 2010-02-10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紙幣識別機の紙幣収納装置
JP2002203265A (ja) 2000-12-28 2002-07-19 Glory Ltd 貨幣入金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5563B1 (ko) 2011-05-19
US20100059417A1 (en) 2010-03-11
US7913830B2 (en) 2011-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5035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умажных листов
US8960402B2 (en) Financial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medium processing apparatus
KR20060129647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US20120032391A1 (en) Voucher cassette
KR20140009487A (ko) 지폐 수납고 및 지폐 취급 장치
KR20100030089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 장치 및 방법
KR101016245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101671523B1 (ko) 카세트의 매체집적장치
US10994955B2 (en) Tray unit assembly
KR200393559Y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20100077436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취출장치 및 방법
KR101155230B1 (ko) 지폐입출금부의 셔터와 집적공간 조절가이드의 구동장치
KR20060129614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100526583B1 (ko) 지폐류입출금기의 입금장치
KR101099900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RU2749332C1 (ru)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средств обраще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транзакции средств обращения
KR100618273B1 (ko) 스택가이드 및 스택롤러가 회피되는 리싸이클박스
KR101687107B1 (ko) 매체수납장치
KR200339933Y1 (ko) 현금입출금기의 출금용 지폐적층장치
KR200389004Y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20060042596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저장장치
KR20230171511A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2002948B1 (ko) 매체 반송 모듈과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KR101457222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KR101637570B1 (ko) 지폐입출금모듈의 개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