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06127A - 필러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필러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06127A
KR20240106127A KR1020220188769A KR20220188769A KR20240106127A KR 20240106127 A KR20240106127 A KR 20240106127A KR 1020220188769 A KR1020220188769 A KR 1020220188769A KR 20220188769 A KR20220188769 A KR 20220188769A KR 20240106127 A KR20240106127 A KR 20240106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illar body
main cabin
lighting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8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천섭
진태경
정상일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106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061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2Motor vehicles
    • B62D63/025Modula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57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a shaft, e.g.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Abstract

본 발명은 필러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에 관한 것으로, 플랫폼과, 플랫폼과 연결되는 필러 바디와, 필러 바디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주행유닛과, 필러 바디에 설치되어 제1 조명패턴을 생성하는 제1 조명유닛과, 제1 조명유닛과 이격되게 배치되어 제2 조명패턴을 생성하는 제2 조명유닛 및 필러 바디의 외부로 제1 조명유닛과 제2 조명유닛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전환유닛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필러 모듈 및 플랫폼의 상측에 배치되고, 필러 모듈과 결합되는 메인 캐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필러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VEHICLE HAVING PILLAR MODULE}
본 발명은 필러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동력 장치, 조명 장치, 센싱 장치가 하나로 통합된 필러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동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이다. 전기자동차는 매연이 없고, 소음이 적으며, 차체가 가볍다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최근 들어 자동차 업계에서는 인간 중심의 역동적 미래도시 구현을 위한 신개념의 미래 모빌리티 비전을 소개하고 있다. 이러한 미래 모빌리티 솔루션 중의 하나가 목적 기반 모빌리티로서의 PBV(Purpose Built Vehicle) 차량이다.
그러나 기존 차량의 경우, 구동 장치, 조명 장치, 센싱 장치 등이 별도의 구조 및 시스템으로 분리되어 있음에 따라, 다양한 목적의 PBV 차량으로의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36410호(2021.12.02 등록, 발명의 명칭: 조립형 차량)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동력 장치, 조명 장치, 센싱 장치가 하나로 통합된 필러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은 설계 자유도를 바탕으로 다양한 모빌리티에 적용이 가능한 필러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필러 모듈은: 플랫폼; 상기 플랫폼과 연결되는 필러 바디와, 상기 필러 바디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주행유닛과, 상기 필러 바디에 설치되어 제1 조명패턴을 생성하는 제1 조명유닛과, 상기 제1 조명유닛과 이격되게 배치되어 제2 조명패턴을 생성하는 제2 조명유닛 및 상기 필러 바디의 외부로 상기 제1 조명유닛과 상기 제2 조명유닛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전환유닛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필러 모듈; 및 상기 플랫폼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필러 모듈과 결합되는 메인 캐빈;을 포함한다.
상기 필러 바디에 구비되는 제1도킹부재; 및 상기 메인 캐빈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 캐빈이 상기 플랫폼 상에 안착됨에 따라 상기 제1도킹부재와 결합되는 제2도킹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도킹부재와 상기 제2도킹부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메인 캐빈이 상기 플랫폼 상에 안착됨에 따라 상기 제1도킹부재와 상기 제2도킹부재 중 나머지 하나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제1도킹부재와 상기 제2도킹부재는 길이 방향이 상기 플랫폼에 대한 상기 메인 캐빈의 안착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필러 바디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캐빈이 상기 플랫폼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메인 캐빈이 상기 플랫폼 상에 안착된 이후, 상기 메인 캐빈과 접촉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도킹부재와 상기 제2도킹부재의 삽입 방향에 대해 교차하게 배치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필러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메인 캐빈의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도어유닛은 상기 메인 캐빈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메인 캐빈의 둘레면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도어;를 포함한다.
상기 필러 모듈은 상기 필러 바디에 설치되고, 상기 필러 바디의 주변의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유닛은 상기 감지유닛으로부터 감지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도어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도어 제어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메인 캐빈 상에 적층되고, 상기 메인 캐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송 캐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러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은 차량의 이동을 위한 동력 장치, 광학적인 신호의 전달을 위한 조명 장치, 차량 주변의 보행자 등과의 상호 작용을 위한 센싱 장치가 하나의 단위 모듈로 통합됨으로써 다양한 규격, 용도를 갖는 모빌리티에 유동적인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러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은 제1 조명유닛과 제2 조명유닛이 전환유닛에 의해 수용부의 내부에서 개구면과 선택적으로 마주보도록 구성됨에 따라 제1 조명유닛과 제2 조명유닛이 필러 바디의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에 비해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키고, 차량의 전체적인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러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은 제1 조명유닛, 제2 조명유닛, 키네틱 조명유닛 및 라인 조명유닛에 의해 다양한 종류의 조명 패턴을 생성할 수 있음에 따라 차량 외부의 객체에 대한 안전을 확보할 수 있고, 차량의 상태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러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러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러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러 모듈의 구성을 도 3과 다른 시점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러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환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 조명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 조명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키네틱 조명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키네틱 조명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키네틱 조명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랩의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감지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 조명유닛이 제1 조명패턴을 생성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 조명유닛이 제2 조명패턴을 생성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키네틱 조명유닛이 키네틱 조명패턴을 생성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라인 조명유닛이 라인 조명패턴을 생성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킹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23, 도 2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토퍼의 구성 및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유닛의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필러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러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또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유닛",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유닛",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유닛",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유닛들",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특정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그 부호들은 다른 도면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도면에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은 부분이 있더라도, 그 부분은 다른 도면들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도면들에 포함된 세부 구성요소들의 개수, 형상, 크기 및 크기의 상대적인 차이 등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설정된 것으로서, 실시예들을 제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러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러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플랫폼(10), 필러 모듈(20), 메인 캐빈(30), 도킹유닛(40), 스토퍼(50), 도어유닛(60)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하측 외관을 형성하고, 후술하는 필러 모듈(20), 메인 캐빈(30)을 전체적으로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10)은 평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플랫폼(10)은 지면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랫폼(10)은 후술하는 필러 모듈(20)을 매개로 지면과 이격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플랫폼(10)에는 필러 모듈(20), 도어유닛(60) 및 차량에 설치되는 각종 전자 장치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배터리는 플랫폼(10)의 상측면에 안착될 수 있고, 이와 달리 플랫폼(10)의 하측면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플랫폼(10)의 단면 형상은 도 2에 도시된 사각형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필러 모듈(20)은 플랫폼(10)과 연결되고, 플랫폼(10)을 지지한다. 필러 모듈(20)은 차량의 이동을 위한 동력 장치, 광학적인 신호의 전달을 위한 조명 장치, 차량 주변의 보행자 등과의 상호 작용을 위한 센싱 장치가 하나의 단위 모듈로 통합되어 이들의 기능을 동시 또는 개별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필러 모듈(20)은 다양한 규격, 용도를 갖는 플랫폼(10), 메인 캐빈(30)에 유동적인 적용이 가능하다. 필러 모듈(20)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필러 모듈(20)은 플랫폼(10)의 둘레를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개의 필러 모듈(20)은 4개로 형성되어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플랫폼(10)의 모서리 부위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필러 모듈(20)의 개수, 배치 상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랫폼(10)의 단면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러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러 모듈의 구성을 도 3과 다른 시점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러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필러 모듈(20)은 필러 바디(100), 주행유닛(200), 전환유닛(300), 제1 조명유닛(410), 제2 조명유닛(420), 키네틱 조명유닛(430), 라인 조명유닛(440), 스피커유닛(500), 플랩(600), 감지유닛(700), 제어유닛(800)을 포함한다.
필러 바디(100)는 필러 모듈(20)의 개략적인 외관을 형성하고, 후술하는 주행유닛(200), 전환유닛(300), 제1 조명유닛(410), 제2 조명유닛(420), 키네틱 조명유닛(430), 라인 조명유닛(440), 스피커유닛(500), 플랩(600), 감지유닛(700)을 전체적으로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필러 바디(100)의 하측은 내부가 비어있고, 외측면이 개구된 박스 또는 휠하우징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러 바디(100)는 하측에 후술하는 주행유닛(200)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필러 바디(100)의 상측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기둥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필러 바디(100)의 형상은 도 3, 도 4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주행유닛(200), 전환유닛(300), 제1 조명유닛(410), 제2 조명유닛(420), 키네틱 조명유닛(430), 라인 조명유닛(440), 스피커유닛(500), 플랩(600), 감지유닛(700)을 전체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필러 바디(100)에는 후술하는 전환유닛(300), 제1 조명유닛(410) 및 제2 조명유닛(42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110)는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필러 바디(100)의 전면으로부터 필러 바디(100)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연장되는 홈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10)는 필러 바디(1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수용부(110)의 일면에는 수용부(110)의 내부 공간과 수용부(110)의 외부 공간을 상호 연결하는 개구면(111a)이 형성될 수 있다. 개구면(111a)은 필러 바디(100)의 전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수용부(110)의 단면 형상, 단면적 등은 도 3, 도 4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후술하는 전환유닛(300), 제1 조명유닛(410) 및 제2 조명유닛(420)의 규격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주행유닛(200)은 필러 바디(100)와 연결되고, 필러 바디(10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행유닛(200)은 필러 바디(100)와 연결되어 차량의 구동, 제동, 현가 및 조향의 기능을 전반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주행유닛(200)은 필러 바디(100)의 하측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휠과, 휠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인휠 모터와, 필러 바디(100)에 대해 휠을 지지하는 서스펜션과, 회전력을 발생시켜 휠의 조향각을 조절하는 조향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독립 구동 휠로 예시될 수 있다. 주행유닛(200)은 후술하는 제어유닛(800)의 제어 또는 운전자의 스티어링 휠, 엑셀러레이터, 브레이크 패달 등의 조작에 의해 동작이 조절될 수 있다.
전환유닛(300)은 필러 바디(100)에 설치되고, 후술하는 제1 조명유닛(410) 및 제2 조명유닛(420)과 연결된다. 전환유닛(300)은 필러 바디(100)의 외부로 제1 조명유닛(410)과 제2 조명유닛(420)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환유닛(300)은 수용부(1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자체적인 구동력에 의해 제1 조명유닛(410)과 제2 조명유닛(420)이 수용부(110)의 내부에서 개구면(110a)과 선택적으로 마주보도록 제1 조명유닛(410)과 제2 조명유닛(420)의 위치를 조절하는 구성으로서 기능한다. 이에 따라 전환유닛(300)은 서로 다른 조명 패턴을 생성하는 제1 조명유닛(410)과 제2 조명유닛(420)이 필러 바디(100)의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에 비해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키고, 제품의 전체적인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환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환유닛(300)은 전환 케이스(310), 전환 액추에이터(320)를 포함한다.
전환 케이스(310)는 수용부(1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조명유닛(410) 및 제2 조명유닛(420)을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환 케이스(310)는 대략 박스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수용부(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전환 케이스(310)는 수용부(110)의 내부에서 중심축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전환 케이스(310)의 중심축은 수용부(110)의 개구면(110a)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전환 케이스(310)의 중심축은 필러 바디(100)의 높이 방향 즉, 지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전환 케이스(310)는 중심축에 대해 수직한 단면이 다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전환 케이스(310)의 둘레면은 다수개의 평면이 전환 케이스(31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를 이루며 배치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전환 케이스(310)는 후술하는 제1 조명유닛(410) 또는 제2 조명유닛(420)이 개구면(110a)과 마주보게 배치된 경우, 제1 조명유닛(410) 또는 제2 조명유닛(420)으로부터 생성된 빛이 모두 개구면(110a)을 통해 필러 바디(100)의 외부로 조사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전환 액추에이터(320)는 전환 케이스(310)와 연결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전환 케이스(310)를 중심축을 축으로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환 액추에이터(32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다양한 종류의 전동 모터로 예시될 수 있다. 전환 액추에이터(320)는 필러 바디(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전환 액추에이터(320)는 출력축이 전환 케이스(310)와 직접 연결되어 전환 케이스(310)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고, 별도의 기어 등을 매개로 전환 케이스(310)와 연결되어 전환 케이스(310)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환 액추에이터(320)는 후술하는 제어유닛(8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어유닛(800)의 제어에 의해 동작이 조절될 수 있다.
제1 조명유닛(410)은 필러 바디(100)에 설치되어 제1 조명패턴을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조명유닛(410)은 수용부(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환 케이스(31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조명유닛(410)은 전환 케이스(310)의 회전 시, 수용부(110)의 내부에서 전환 케이스(310)와 함께 회전되며 개구면(110a)에 대한 상대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제1 조명유닛(410)은 개구면(110a)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경우, 필러 바디(100)의 외부로 노출되고, 개구면(110a)을 통해 생성된 제1 조명패턴을 필러 바디(100)의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 조명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조명유닛(410)은 노면 조사 램프(411), 헤드 램프(4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조명유닛(410)에 의해 생성되는 제1 조명패턴은 노면 조사 램프(411), 헤드 램프(412) 각각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필러 바디(100)의 외부로 표시되는 조명 패턴을 의미할 수 있다.
노면 조사 램프(411)는 전환 케이스(310)의 둘레면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전환 케이스(310)와 함께 회전된다. 노면 조사 램프(411)는 개구면(110a)과 마주보게 배치됨에 따라 노면을 향해 광학 이미지를 조사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노면 조사 램프(411)는 필름 등에 인쇄된 광학 이미지를 투사하는 영사 장치 또는 기록된 디지털 이미지를 투사하는 빔프로젝터 등으로 예시될 수 있다. 노면 조사 램프(411)는 광학 이미지를 조사하는 렌즈의 중심축이 지면과 수평한 방향에 대해 하방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노면 조사 램프(411)는 필러 바디(100)의 외부로 조사되는 광학 이미지가 노면 상에서 표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노면 조사 램프(411)는 후술하는 제어유닛(800)의 제어에 의해 점등 여부가 조절될 수 있다.
헤드 램프(412)는 노면 조사 램프(411)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전환 케이스(310)와 함께 회전된다. 헤드 램프(412)는 전환 케이스(310)의 둘레면 중 노면 조사 램프(411)가 연결된 둘레면과 동일한 둘레면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412)는 전환 케이스(310)의 동일한 둘레면에 대해 노면 조사 램프(411)와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헤드 램프(412)는 개구면(110a)과 마주보게 배치됨에 따라 필러 바디(100)의 외부로 로우빔, 하이빔 등과 같은 빔 패턴을 조사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헤드 램프(412)는 광원, 리플렉터, 렌즈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차량의 진행 경로를 밝혀주는 다양한 종류의 헤드 램프 장치로 예시될 수 있다. 헤드 램프(412)는 후술하는 제어유닛(800)의 제어에 의해 점등 여부가 조절될 수 있다.
제2 조명유닛(420)은 제1 조명유닛(410)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제2 조명패턴을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조명유닛(420)은 수용부(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환 케이스(310)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조명유닛(420)은 전환 케이스(310)의 회전 시, 수용부(110)의 내부에서 전환 케이스(310)와 함께 회전되며 개구면(110a)에 대한 상대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제2 조명유닛(420)은 개구면(110a)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경우, 필러 바디(100)의 외부로 노출되고, 개구면(110a)을 통해 생성된 제2 조명패턴을 필러 바디(100)의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조명유닛(410)이 개구면(110a)과 마주보게 배치된 경우, 제2 조명유닛(420)은 수용부(110)의 내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조명유닛(410)과, 제2 조명유닛(420)은 필러 바디(100)의 외부로 선택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 조명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 조명유닛(420)은 복수개의 픽셀 램프(4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조명유닛(420)에 의해 생성되는 제2 조명패턴은 복수개의 픽셀 램프(421)에 의해 필러 바디(100)의 외부로 표시되는 조명 패턴을 의미할 수 있다.
복수개의 픽셀 램프(421)는 전환 케이스(310)와 함께 회전되고, 개별적으로 점등 가능하게 형성된다. 복수개의 픽셀 램프(421)는 전환 케이스(310)의 둘레면 중 제1 조명유닛(410)이 연결된 둘레면과 다른 둘레면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개의 픽셀 램프(421)는 전환 케이스(310)의 둘레면 상에 격자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픽셀 램프(421)는 전환 케이스(310)의 둘레면의 가로 및 세로 방향을 따라 적어도 2열 이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픽셀 램프(421)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빛을 발생시킬 수 있는 LED(Light-Emitting Diode) 램프로 예시될 수 있다. 복수개의 픽셀 램프(421)는 후술하는 제어유닛(800)의 제어에 의해 점등 상태가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키네틱 조명유닛(430)은 필러 바디(10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키네틱 조명패턴을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키네틱 조명유닛(430)은 필러 바디(100) 외부의 보행자 등과 같은 객체와의 상호 작용을 위한 물리적인 움직임에 의한 동적 신호와 빛에 의한 조명 신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조명패턴을 생성하는 구성으로서 기능한다. 키네틱 조명유닛(430)은 제1 조명유닛(410) 및 제2 조명유닛(42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네틱 조명유닛(430)은 필러 바디(100) 외부의 보행자의 눈높이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조명패턴의 시인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키네틱 조명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키네틱 조명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11,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키네틱 조명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키네틱 조명유닛(430)은 복수개의 키네틱 조명부재(4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키네틱 조명유닛(430)에 의해 생성되는 키네틱 조명패턴은 복수개의 키네틱 조명부재(431)의 동작에 의해 필러 바디(100)의 외부로 표시되는 조명패턴을 의미할 수 있다.
복수개의 키네틱 조명부재(431)는 필러 바디(100)의 중앙부, 보다 구체적으로, 수용부(110)와 후술하는 감지유닛(7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키네틱 조명부재(431)는 필러 바디(100)에 개별적으로 이동 및 점등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키네틱 조명부재(431)는 필러 바디(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키네틱 조명부재(431)는 후술하는 제어유닛(800)의 제어에 의해 개별적으로 이동 및 점등 되며 다양한 종류의 키네틱 조명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키네틱 조명부재(431)는 키네틱 패널(431a), 키네틱 액추에이터(431b), 키네틱 램프(431c)를 포함한다.
키네틱 패널(431a)은 내부가 비어있고, 일면이 개구된 막대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키네틱 패널(431a)은 개구된 면이 필러 바디(10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키네틱 패널(431a)의 개구된 면은 필러 바디(1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키네틱 패널(431a)은 필러 바디(100)의 양 측면 중 후술하는 메인 캐빈(30)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필러 바디(100)의 내측면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이와 달리, 차량의 외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필러 바디(100)의 외측면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키네틱 패널(431a)의 폐쇄된 면은 필러 바디(100)의 외측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키네틱 패널(431a)의 폐쇄된 면은 필러 바디(100)의 외측면과 연속적인 평면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키네틱 패널(431a)은 길이 방향이 필러 바디(100)의 전후 방향, 즉, 수용부(110)의 연장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키네틱 패널(431a)의 일측은 필러 바디(100)의 후면, 즉, 개구면(110a)이 형성된 면의 반대측 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키네틱 패널(431a)의 타측은 필러 바디(100)의 전면, 즉, 개구면(110a)이 형성된 면과 동일한 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키네틱 패널(431a)의 일측은 필러 바디(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키네틱 패널(431a)의 일측은 필러 바디(100)의 높이 방향, 즉 지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키네틱 패널(431a)은 회전 방향에 따라 타측이 필러 바디(100)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필러 바디(1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키네틱 패널(431a)의 타측이 필러 바디(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경우, 키네틱 패널(431a)과 필러 바디(100)의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키네틱 액추에이터(431b)는 키네틱 패널(431a)의 일측에 연결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키네틱 패널(431a)을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키네틱 액추에이터(431b)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다양한 종류의 전동 모터로 예시될 수 있다. 키네틱 액추에이터(431b)는 필러 바디(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키네틱 액추에이터(431b)는 출력축이 키네틱 패널(431a)의 일측에 직접 연결되어 키네틱 패널(431a)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고, 별도의 기어 등을 매개로 키네틱 패널(431a)의 일측에 연결되어 키네틱 패널(431a)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키네틱 액추에이터(431b)는 후술하는 제어유닛(8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어유닛(800)의 제어에 의해 동작이 조절될 수 있다.
키네틱 램프(431c)는 점등 가능하게 마련되고, 키네틱 패널(431a)의 타측이 필러 바디(100)의 외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필러 바디(100)의 외부로 노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키네틱 램프(431c)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빛을 발생시킬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LED 램프로 예시될 수 있다. 키네틱 램프(431c)는 키네틱 패널(431a)의 개구된 측과, 필러 바디(1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키네틱 램프(431c)는 키네틱 패널(431a)의 타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네틱 램프(431c)는 키네틱 패널(431a)의 타측이 필러 바디(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키네틱 패널(431a)과 필러 바디(100)의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필러 바디(1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키네틱 램프(431c)는 키네틱 패널(431a)의 타측과 일체로 연결되어 키네틱 패널(431a)의 타측과 함께 회전될 수 있고, 이와 달리 키네틱 패널(431a)과 분리되어 키네틱 패널(431a)과 필러 바디(100)의 사이에 위치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키네틱 램프(431c)는 제어유닛(800)의 제어에 의해 점등 상태가 조절될 수 있다.
라인 조명유닛(440)은 필러 바디(100)의 외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라인 조명패턴을 생성한다. 라인 조명유닛(440)은 필러 바디(100)의 전면 즉, 개구면(110a)이 형성된 면과 동일한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라인 조명유닛(440)은 복수개의 라인 램프(44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라인 조명유닛(440)에 의해 생성되는 라인 조명패턴은 복수개의 라인 램프(441)의 동작에 의해 필러 바디(100)의 외부로 표시되는 조명 패턴인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복수개의 라인 램프(441)는 라인 조명유닛(44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라인 램프(441)는 개별적으로 점등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라인 램프(441)는 라인 조명유닛(440)의 전체 구간 중 일부 구간만을 부분적으로 점등시켜 보다 다양한 종류의 조명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라인 램프(441)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빛을 발생시킬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LED 램프인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복수개의 라인 램프(441)는 후술하는 제어유닛(800)의 제어에 의해 점등 상태가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스피커유닛(500)은 필러 바디(100)에 설치되고, 필러 바디(100)의 외부로 음향을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유닛(500)은 특정 방향 또는 특정 방향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로 음향을 출력하는 지향성 스피커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피커유닛(500)은 필러 바디(100) 외부의 객체에게 음향이 집중되서 출력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인식 효율을 향상시키고,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스피커유닛(500)은 필러 바디(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유닛(500)은 수용부(110)와 키네틱 조명유닛(4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유닛(500)은 필러 바디(100)의 상측을 향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스피커유닛(500)은 음향의 전달 방향이 지면과 수평한 방향에 대해 상방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랩(600)은 주행유닛(200)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필러 바디(100)와 주행유닛(200)의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에 따라 플랩(600)은 공기 저항으로 인한 주행 성능 및 연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랩(600)은 대략 판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플랩(600)은 내측면이 주행유닛(200)의 외측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플랩(600)이 어느 하나의 플랩 바디(100)에 대해 단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플랩(60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어느 하나의 플랩 바디(100)에 대해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플랩(600)은 플랩 바디(100)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주행유닛(200)의 조향 동작에 연동되어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랩(600)은 가이드레일 등을 매개로 필러 바디(10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랩(600)은 필러 바디(100)의 폭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플랩(600)은 전동 모터, 유압 실린더 등과 같은 동력 장치(미도시)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이러한 동력 장치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랩(600)은 후술하는 제어유닛(800)의 제어에 의해 동작이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랩(600)은 주행유닛(200)의 원활한 조향 동작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랩의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차량의 선회 주행 시 주행유닛(200)의 휠은 필러 바디(10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주행유닛(200)의 휠은 필러 바디(10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됨에 따라 플랩(600)은 제어유닛(800)의 제어에 의해 필러 바디(100)의 외측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되고, 주행유닛(200)과의 접촉이 방지된다.
플랩(600)의 이동량은 주행유닛(200)의 휠의 조향 각도에 비례하여 증가할 수 있다.
이후, 차량의 직진 주행을 위해 주행유닛(200)의 휠에 형성된 조향각이 제거됨에 따라, 플랩(600)은 제어유닛(800)의 제어에 의해 필러 바디(100)를 향해 슬라이드 이동되며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감지유닛(700)은 필러 바디(100)에 설치되고, 필러 바디(100)의 주변의 객체를 감지한다. 여기서, 필러 바디(100)의 주변의 객체는 보행자, 운전자, 장애물 등 필러 바디(100)의 주변에 위치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물체로 예시될 수 있다. 감지유닛(700)은 필러 바디(100)의 상측, 보다 구체적으로 키네틱 조명유닛(43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지유닛(700)은 필러 바디(100)의 하측에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객체의 감지 범위를 보다 확장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감지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감지유닛(700)은 제1 감지부재(710), 제2 감지부재(720)를 포함한다.
제1 감지부재(710)는 필러 바디(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필러 바디(100)와 객체간의 상대 위치 변화에 연동되어 회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감지부재(710)는 제1 감지바디(711), 비전 센서(712), 라이다 센서(7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바디(711)는 필러 바디(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면이 필러 바디(1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감지바디(711)는 필러 바디(100)의 높이 방향 즉, 지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축으로 필러 바디(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감지바디(711)는 후술하는 비전 센서(712), 라이다 센서(713)와 연결되어 비전 센서(712), 라이다 센서(713)를 전체적으로 지지한다. 또한, 제1 감지바디(711)는 제어유닛(800)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는 전동 모터(미도시)등과 연결되어 회전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제1 감지바디(711)는 전동 모터의 동작에 의해 필러 바디(100)에 대해 상대 회전되며 비전 센서(712), 라이다 센서(713)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감지바디(711)는 상대적으로 좁은 화각을 갖는 비전 센서(712)와 라이다 센서(713)의 감지 가능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
비전 센서(712)와 라이다 센서(713)는 필러 바디(100) 주변의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이미지를 통해 필러 바디(100)의 주변의 객체의 위치 정보, 거리 정보 및 방향 정보, 속도 정보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비전 센서(712)는 동적 비전 센서(Dynamic Vision Sensor; DVS)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라이다 센서(713)는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비전 센서(712)와 라이다 센서(713)는 제1 감지바디(711)의 일면에 연결되어 필러 바디(1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비전 센서(712)와 라이다 센서(713)는 제1 감지바디(711)의 회전 시 제1 감지바디(711)와 함께 필러 바디(100)에 대해 상대 회전된다. 비전 센서(712)와 라이다 센서(713)는 제어유닛(8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감지된 데이터를 제어유닛(8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 언급되지 않은 센서라도, 필러 바디(100)에 대해 상대 회전되며 필러 바디(100) 주변의 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요소라면 제1 감지부재(710)에 포함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제2 감지부재(720)는 필러 바디(100)에 고정되어 필러 바디(100)의 주변의 객체를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감지부재(720)는 필러 바디(100) 주변의 2차원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721)와, 전자파를 이용하여 필러 바디(100)의 주변에 위치한 객체의 거리 정보 등을 감지하는 레이더 센서(722)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721)는 제1 감지부재(7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721)는 제어유닛(8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촬영된 필러 바디(100) 주변의 2차원 영상 정보를 제어유닛(8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레이더 센서(722)는 필러 바디(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레이더 센서(722)는 제어유닛(8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감지된 데이터를 제어유닛(8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 언급되지 않은 센서라도, 필러 바디(100)에 대해 고정된 상태로 필러 바디(100) 주변의 객체 정보를 추가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요소라면 제2 감지부재(720)에 포함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제어유닛(800)은 주행유닛(200), 전환유닛(300), 제1 조명유닛(410), 제2 조명유닛(420), 키네틱 조명유닛(430), 라인 조명유닛(440), 스피커유닛(500), 감지유닛(7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유닛(800)은 감지유닛(700)으로부터 감지된 데이터, 사용자에 의해 기입력된 데이터, 차량의 정차 여부, 시동의 온/오프 여부, 배터리의 충전 여부 등을 기반으로 주행유닛(200), 전환유닛(300), 제1 조명유닛(410), 제2 조명유닛(420), 키네틱 조명유닛(430), 라인 조명유닛(440), 스피커유닛(500), 감지유닛(7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유닛(800)은 전자 제어 유닛(ECU: Electronic Control Unit),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프로세서(Processor) 또는 SoC(System on Chip)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운영 체제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유닛(800)은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실행시키고, 그 실행 결과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유닛(800)은 감지유닛(700)으로부터 감지된 데이터, 운전자의 단말 또는 각종 입력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입력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는 각종 통신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Radio Frequency),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엔에프씨(near field communication: NFC)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러 모듈(20)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 조명유닛이 제1 조명패턴을 생성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어유닛(800)은 차량의 시동이 켜져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조명유닛(410)이 개구면(110a)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전환 케이스(310)가 회전되도록 전환 액추에이터(320)를 동작시킨다.
제1 조명유닛(410)이 개구면(110a)과 마주보게 배치되어 필러 바디(100)의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제어유닛(800)은 노면 조사 램프(411)를 동작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유닛(800)은 차량이 정차 중이거나, 차량이 후진 중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노면 조사 램프(411)를 점등시킨다.
노면 조사 램프(411)는 필러 바디(100)의 주변의 노면 상으로 광학 이미지를 조사한다.
이에 따라 노면 조사 램프(411)는 광학 이미지를 통해 보행자에게 보행 방향을 지시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고, 보행자로 하여금 차량의 존재를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800)은 사용자의 입력 또는 별도의 조도 센서(미도시)의 감지 데이터를 바탕으로 헤드 램프(412)의 점등시키고, 헤드 램프(412)는 차량의 외부로 빔 패턴을 조사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 조명유닛이 제2 조명패턴을 생성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어유닛(800)은 차량의 시동이 꺼져 있거나, 배터리가 충전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2 조명유닛(420)이 개구면(110a)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전환 케이스(310)가 회전되도록 전환 액추에이터(320)를 동작시킨다.
배터리가 충전 중인 경우, 제어유닛(800)은 배터리의 충전 용량에 비례하여 복수개의 픽셀 램프(421)를 점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유닛(800)은 배터리의 최대 충전량에 대한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의 비율을 산출하고, 전체 픽셀 램프(421) 중 산출된 비율에 대응하는 개수의 픽셀 램프(421)를 점등시키고, 나머지 픽셀 램프(421)를 소등시킬 수 있다.
이후, 제어유닛(800)은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이 증가함에 따라, 소등된 픽셀 램프(421)를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등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복수개의 픽셀 램프(421)가 점등되는 순서는 도 16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순서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키네틱 조명유닛이 키네틱 조명패턴을 생성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어유닛(800)은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입력 신호를 전달받거나, 감지유닛(700)을 통한 보행자의 감지, 배터리의 충전 등 기설정된 조건이 만족된 경우, 키네틱 조명유닛(430)을 동작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어유닛(800)은 복수개의 키네틱 조명부재(431)를 순차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유닛(800)은 하방에 위치한 키네틱 조명부재(431)로부터 상방에 위치한 키네틱 조명부재(431)의 순서로 키네틱 패널(431a)의 타측이 필러 바디(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복수개의 키네틱 액추에이터(431b)를 순차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이후, 제어유닛(800)은 하방에 위치한 키네틱 조명부재(431)로부터 상방에 위치한 키네틱 조명부재(431)의 순서로 키네틱 패널(431a)의 타측이 필러 바디(100)의 내부로 다시 삽입되도록 복수개의 키네틱 액추에이터(431b)를 순차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어유닛(800)은 복수개의 키네틱 램프(431c)를 점등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복수개의 키네틱 패널(431a)과 키네틱 램프(431c)의 동작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또는 무작위적으로 회전 및 점등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라인 조명유닛이 라인 조명패턴을 생성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어유닛(800)은 감지유닛(700)이 필러 바디(100)의 주변의 객체를 감지 중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복수개의 라인 램프(441) 중 라인 조명유닛(440)의 상측 구간에 위치한 라인 램프(441)를 점등 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라인 조명유닛(440)의 상측 구간은 라인 조명유닛(440)의 전체 구간 중 제1 감지부재(710)의 상측에 위치한 구간으로 예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라인 조명유닛(440)은 감지유닛(700)이 현재 필러 바디(100)의 외부의 보행자 등을 인식하고 있음을 필러 바디(100)의 외부로 표시하여 보행자 등에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어유닛(800)은 제1 조명유닛(410) 또는 제2 조명유닛(420)이 동작 중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복수개의 라인 램프(441) 중 라인 조명유닛(440)의 하측 구간에 위치한 라인 램프(441)를 점등 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라인 조명유닛(440)의 하측 구간은 라인 조명유닛(440)의 전체 구간 중 키네틱 조명유닛(430)의 하측에 위치한 구간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어유닛(800)은 키네틱 조명유닛(430)이 동작 중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복수개의 라인 램프(441) 중 라인 조명유닛(440)의 중앙 구간에 위치한 라인 램프(441)를 점등 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라인 조명유닛(440)의 중앙 구간은 라인 조명유닛(440)의 상측 구간과 하측 구간 사이의 구간인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어유닛(800)은 차량이 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복수개의 라인 램프(441)를 모두 점등 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라인 조명유닛(440)은 주간주행등(DRL, Daytime Running Light)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800)은 차량이 선회 중이거나 선회 예정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복수개의 라인 램프(441)를 설정 시간 간격으로 점멸 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라인 조명유닛(440)은 방향지시등(Turn light)로 기능할 수 있다.
메인 캐빈(30)은 플랫폼(10)의 상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승객의 탑승 공간을 마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메인 캐빈(30)은 내부가 비어있고, 하측이 개구된 박스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캐빈(30)의 내부에는 좌석, 조작 패널, 테이블 등 탑승자의 목적에 맞는 다양한 물품, 장치 들이 설치될 수 있다. 메인 캐빈(30)은 개구된 하측이 플랫폼(10)의 상측면을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플랫폼(10)을 향해 하강 이동됨에 따라 플랫폼(10)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메인 캐빈(30)이 플랫폼(10) 상에 안착된 경우, 메인 캐빈(30)의 상단부는 필러 바디(100)의 상단부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메인 캐빈(30)이 플랫폼(10) 상에 안착된 경우, 메인 캐빈(30)의 외측면은 필러 바디(100)의 내측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캐빈(30)은 키네틱 조명유닛(430)의 작동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메인 캐빈(30)은 플랫폼(10)의 상측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플랫폼(10)의 상방으로 상승 이동됨에 따라 플랫폼(10)과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캐빈(30)은 자유롭게 교체가 가능하다. 메인 캐빈(30)의 단면적, 형상은 도 1, 도 2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랫폼(10)의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도킹유닛(40)은 필러 모듈(20)과 메인 캐빈(30)의 사이에 구비되고, 메인 캐빈(30)의 승강 이동에 연동되어 필러 모듈(20)과 메인 캐빈(30)을 상호 체결시킨다.
도 2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킹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 도 2, 도 2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킹유닛(40)은 제1도킹부재(41), 제2도킹부재(42)를 포함한다.
제1도킹부재(41)는 필러 바디(100)에 구비되어 도킹유닛(40)의 일측 외관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도킹부재(41)는 필러 바디(10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원통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도킹부재(41)는 길이 방향이 플랫폼(10)에 대한 메인 캐빈(30)의 안착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킹부재(41)는 길이 방향이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도킹부재(41)의 배치 위치는 도 2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메인 캐빈(30)이 플랫폼(10)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메인 캐빈(30)과 상하로 수직하게 마주볼 수 있는 위치로 다양하게 설게 변경이 가능하다. 제1도킹부재(41)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도킹부재(41)는 각각의 필러 모듈(20)에 구비된 필러 바디(100)마다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2도킹부재(42)는 메인 캐빈(30)에 구비되어 도킹유닛(40)의 타측 외관을 형성한다. 제1도킹부재(41)는 메인 캐빈(30)이 플랫폼(10) 상에 안착됨에 따라 제2도킹부재(42)의 내부로 삽입되며 필러 모듈(20)과 메인 캐빈(30)을 상호 체결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도킹부재(42)는 메인 캐빈(30)의 하측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오목하게 함몰되는 홈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도킹부재(42)는 길이 방향이 플랫폼(10)에 대한 메인 캐빈(30)의 안착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도킹부재(42)는 길이 방향이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도킹부재(42)는 메인 캐빈(30)이 플랫폼(10) 상에 안착되는 경우, 중심축이 제1도킹부재(41)의 중심축과 동축상에 위치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도킹부재(42)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도킹부재(42)는 제1도킹부재(41)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1도킹부재(41)가 제2도킹부재(42)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1도킹부재(41)와 제2도킹부재(42)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도킹부재(42)가 제1도킹부재(41)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1도킹부재(41)는 필러 바디(100)의 내부로 오목하게 함몰되는 홈의 형태로 형성되고, 제2도킹부재(42)는 메인 캐빈(30)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50)는 필러 바디(100)에 설치되고, 메인 캐빈(30)이 플랫폼(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스토퍼(50)는 메인 캐빈(30)이 플랫폼(10) 상에 안착되어 제1도킹부재(41)와 제2도킹부재(42)가 상호 체결된 이후, 메인 캐빈(30)이 플랫폼(10)의 상측으로 상승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구성으로서 기능한다. 스토퍼(50)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스토퍼(50)는 각각의 필러 모듈(20)에 구비되는 필러 바디(100)에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23, 도 2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토퍼의 구성 및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 도 2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50)는 필러 바디(100)의 상단부로부터 메인 캐빈(30)을 향해 연장되는 막대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50)는 필러 바디(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토퍼(50)는 메인 캐빈(30)이 플랫폼(10)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메인 캐빈(30)과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스토퍼(50)는 제1도킹부재(41)와 제2도킹부재(42)의 삽입 방향 즉, 플랫폼(10)에 대한 메인 캐빈(30)의 안착 방향에 대해 교차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퍼(50)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과 수직한 방향에 대해 메인 캐빈(30) 측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스토퍼(50)는 메인 캐빈(30)이 플랫폼(10) 상에 완전히 안착됨에 따라 필러 바디(100)에 결합되고, 하측면이 메인 캐빈(30)의 상측면에 접촉되어 메인 캐빈(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어유닛(60)은 승객이 메인 캐빈(30)의 내부로 탑승할 수 있도록 메인 캐빈(30)의 내부 공간을 개폐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도 2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유닛(60)은 도어(61), 도어 제어유닛(62)을 포함한다.
도어(61)는 메인 캐빈(30)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동 방향에 따라 메인 캐빈(30)의 내부 공간을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61)는 여닫이 방식 또는 미닫이 방식 등에 의해 메인 캐빈(30)의 내부 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개폐 수단으로 예시될 수 있다. 도어(61)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도어(61)는 메인 캐빈(30)의 둘레면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도어(61)가 2개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도어(61)의 개수 및 배치 상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개수 및 배치 상태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도어 제어유닛(62)은 감지유닛(700)으로부터 감지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복수개의 도어(61)의 개폐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한다. 도어 제어유닛(62) 전자 제어 유닛(ECU: Electronic Control Unit),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프로세서(Processor) 또는 SoC(System on Chip)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운영 체제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도어 제어유닛(62)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실행시키고, 그 실행 결과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어 제어유닛(62)은 감지유닛(700)으로부터 감지된 데이터를 수신받을 수 있는 각종 통신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Radio Frequency),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엔에프씨(near field communication: NFC)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유닛의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차량의 주변으로 운전자, 승객 등이 접근함에 따라 감지유닛(700)은 운전자, 승객 등의 위치를 감지한다.
도어 제어유닛(62)은 감지유닛(700)으로부터 감지된 운전자, 승객 등의 위치 정보와, 기입력된 복수개의 도어(61)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각각의 도어(61)와 감지유닛(700)으로부터 감지된 운전자, 승객까지의 거리를 산출한다.
도어 제어유닛(62)은 산출된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복수개의 도어(61) 중 운전자, 승객 등과 가장 가깝게 위치한 도어(61)를 판단하고, 해당 도어(61)를 개방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필러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필러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러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과 수송 캐빈(31)을 더 포함하는 점만을 달리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필러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러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과 상이한 수송 캐빈(31)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필러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의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러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에 대한 설명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필러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은 수송 캐빈(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송 캐빈(31)은 메인 캐빈(30) 상에 적층되고, 메인 캐빈(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수송 캐빈(31)은 메인 캐빈(30)과 별도로 차량의 화물 적재 공간을 확장시키는 구성으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송 캐빈(31)은 내부가 비어있고, 하측이 개구된 박스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송 캐빈(31)의 단면적은 메인 캐빈(30)의 단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송 캐빈(31)은 메인 캐빈(30) 상에 적층된 경우, 스토퍼(50)와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수송 캐빈(31)은 볼팅 결합, 도킹 결합 등에 의해 메인 캐빈(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수송 캐빈(31)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수송 캐빈(31)은 메인 캐빈(30)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개의 수송 캐빈(31) 중 최하단에 배치된 수송 캐빈(31)은 메인 캐빈(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웃하는 수송 캐빈(31)은 볼팅 결합, 도킹 결합 등에 의해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송 캐빈(31)은 적재하고자 하는 화물의 용량 등에 따라 적층 개수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플랫폼 20 : 필러 모듈
30 : 캐빈 40 : 도킹유닛
41 : 제1도킹부재 42 : 제2도킹부재
50 : 스토퍼 60 : 도어유닛
61 : 도어 62 : 도어 제어유닛
100 : 필러 바디 110 : 수용부
110a : 개구면 200 : 주행유닛
300 : 전환유닛 310 : 전환 케이스
320 : 전환 액추에이터 410 : 제1 조명유닛
411 : 노면 조사 램프 412 : 헤드 램프
420 : 제2 조명유닛 421 : 픽셀 램프
430 : 키네틱 조명유닛 431 : 키네틱 조명부재
431a : 키네틱 패널 431b : 키네틱 액추에이터
431c : 키네틱 램프 440 : 라인 조명유닛
441 : 라인 램프 500 : 스피커유닛
600 : 플랩 700 : 감지유닛
710 : 제1 감지부재 711 : 제1 감지바디
712 : 비전 센서 713 : 라이다 센서
720 : 제2 감지부재 721 : 카메라
722 : 레이더 센서 800 : 제어유닛

Claims (12)

  1. 플랫폼;
    상기 플랫폼과 연결되는 필러 바디와, 상기 필러 바디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주행유닛과, 상기 필러 바디에 설치되어 제1 조명패턴을 생성하는 제1 조명유닛과, 상기 제1 조명유닛과 이격되게 배치되어 제2 조명패턴을 생성하는 제2 조명유닛 및 상기 필러 바디의 외부로 상기 제1 조명유닛과 상기 제2 조명유닛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전환유닛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필러 모듈; 및
    상기 플랫폼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필러 모듈과 결합되는 메인 캐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 바디에 구비되는 제1도킹부재; 및
    상기 메인 캐빈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 캐빈이 상기 플랫폼 상에 안착됨에 따라 상기 제1도킹부재와 결합되는 제2도킹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킹부재와 상기 제2도킹부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메인 캐빈이 상기 플랫폼 상에 안착됨에 따라 상기 제1도킹부재와 상기 제2도킹부재 중 나머지 하나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킹부재와 상기 제2도킹부재는 길이 방향이 상기 플랫폼에 대한 상기 메인 캐빈의 안착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 바디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캐빈이 상기 플랫폼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메인 캐빈이 상기 플랫폼 상에 안착된 이후, 상기 메인 캐빈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도킹부재와 상기 제2도킹부재의 삽입 방향에 대해 교차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필러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캐빈의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유닛은 상기 메인 캐빈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메인 캐빈의 둘레면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 모듈은 상기 필러 바디에 설치되고, 상기 필러 바디의 주변의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유닛은 상기 감지유닛으로부터 감지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도어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도어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필러 모듈.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캐빈 상에 적층되고, 상기 메인 캐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송 캐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KR1020220188769A 2022-12-29 필러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 KR20240106127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06127A true KR20240106127A (ko) 2024-07-08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88552B (zh) 设置于车辆的车辆控制装置及其车辆控制方法
CN108613098B (zh) 车辆用灯及其控制方法
WO2017073632A1 (ja) 車両用照明装置、車両システム及び車両
CN101008481A (zh) 车辆用灯具
US10501012B2 (en) Lamp for vehicle, and vehicle
EP3178698A1 (en) Automotive lamp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WO2019111565A1 (ja) 車両用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車両用モジュール、フロント複合モジュール、および車両用灯具
CN110944874A (zh) 车辆用照明系统以及车辆
WO2017073253A1 (ja) 車両の後部構造
CN113803689A (zh) 车辆的照明装置
CN105570788B (zh) 用于车辆的自适应前照灯系统的光束图案控制装置
KR20170080783A (ko) 차량의 램프 장치
US9132770B2 (en) Vehicle illumination system
CN105492255A (zh) 用于打开与交通工具座椅位置相关的灯的系统及方法
EP3061654B1 (en) Vehicular active stop and tail lamp module
KR20240106127A (ko) 필러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
KR20240106126A (ko) 필러 모듈
US11067243B2 (en) Opaque outer lens with integrated light element
JP2009161068A (ja) 車両用安全装置
CN107107812B (zh) 与车辆进入管理相关联的迎接性可动照明和/或信号装置
EP4393797A1 (en) Pillar module
US12030428B1 (en) Pillar module
KR200390328Y1 (ko) 고휘도 엘이디가 구비된 차량용 안전유도판
US11448380B2 (en) Light-emitting assembly with transparent nanostructured electrochromic polymer color filter
JP2021106150A (ja) 自動車用ランプ及びそのランプを含む自動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