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01756A - 기판 대 기판 커넥터용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기판 대 기판 커넥터용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01756A KR20240101756A KR1020240078141A KR20240078141A KR20240101756A KR 20240101756 A KR20240101756 A KR 20240101756A KR 1020240078141 A KR1020240078141 A KR 1020240078141A KR 20240078141 A KR20240078141 A KR 20240078141A KR 20240101756 A KR20240101756 A KR 202401017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ir
- connector
- central
- terminal
- reinforcemen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2
- 229910000679 solder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8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00 vo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64—Press fitt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7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대 기판 커넥터용 플러그 커넥터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 측벽 및 상기 제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2 측벽을 포함하는 커넥터 본체;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오버 몰딩되는 한 쌍의 피팅 네일;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벽에 오버 몰딩되는 복수의 플러그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피팅 네일 각각은, 상기 제1 측벽의 상단과 접하는 상면부; 상기 제1 측벽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도록 상기 상면부에서 하측으로 만곡된 중앙 보강부; 상기 한 쌍의 제2 측벽 각각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도록 상기 상면부에서 연장되어 하측으로 만곡된 한 쌍의 측부 보강부; 및 상기 중앙 보강부의 좌우 양단에서 만곡되어 상기 한 쌍의 측부 보강부 내측으로 이격되어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아암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보강부는 상기 중앙 보강부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측벽의 저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중앙 솔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아암부는 상기 아암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측벽의 저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외측으로 만곡되는 한 쌍의 측부 솔더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용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개시는 기판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기판의 표면에 실장되도록 구성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용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한 쌍의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기판 대 기판(Board To Board; BTB) 커넥터의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커넥터는 한 쌍의 회로 기판에 있어서의 서로 대향하는 면의 각각에 설치할 수 있고, 서로 끼워맞춤되어 통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는 커넥터 조립체의 구성들일 수 있다.
전자 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커넥터의 소형화 및 저배화(低背化)도 요구되고 있다. 커넥터가 소형화 및 저배화됨에 따라, 커넥터의 내구성이 약해져 상대방 커넥터와 끼움 결합시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 등의 이유로 커넥터 본체(예를 들어 커넥터의 몰드부)가 쉽게 변형 또는 파손될 수 있다. 커넥터 본체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커넥터의 양 단부에서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대방 커넥터와의 끼움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커넥터의 양 단부에 피팅 네일(또는, 보강 금구)이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커넥터의 접촉부의 보강뿐만 아니라 커넥터의 측벽의 강도 및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피팅 네일이 요구된다.
통상적으로, 전원 단자로서 전기적 접촉 단자를 구비한 피팅 네일은 그 일부분이 커넥터가 실장되는 기판과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피팅 네일의 전원 단자들과 기판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납땜과 같은 표면 실장 기술(Surface Mount Technology; SMT) 공정이 수행될 때, 납이 기판에서 커넥터를 향하여 이동하여 상승되는 납오름(solder wick)이 발생할 수 있다. 커넥터에 납오름 문제가 발생할 경우, 커넥터의 전기적 연결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 또한, 납오름이 발생할 경우, 커넥터의 내구성이 약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플러그 커넥터의 강도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의 측벽에 매립되는 중첩된 3개 층 구조를 갖는 피팅 네일을 제공한다. 또한, 피팅 네일의 납오름이 방지되고, 커넥터의 끼움 결합 시 커넥터의 전원 단자의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을 갖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용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용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한다.
플러그 커넥터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 측벽 및 상기 제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2 측벽을 포함하는 커넥터 본체;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오버 몰딩되는 한 쌍의 피팅 네일;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벽에 오버 몰딩되는 복수의 플러그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피팅 네일 각각은, 상기 제1 측벽의 상단과 접하는 상면부; 상기 제1 측벽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도록 상기 상면부에서 하측으로 만곡된 중앙 보강부; 상기 한 쌍의 제2 측벽 각각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도록 상기 상면부에서 연장되어 하측으로 만곡된 한 쌍의 측부 보강부; 및 상기 중앙 보강부의 좌우 양단에서 만곡되어 상기 한 쌍의 측부 보강부 내측으로 이격되어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아암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보강부는 상기 중앙 보강부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측벽의 저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중앙 솔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아암부는 상기 아암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측벽의 저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외측으로 만곡되는 한 쌍의 측부 솔더부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 솔더부는 상기 중앙 보강부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측벽의 내측면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되고, 상기 제1 측벽의 저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측부 보강부의 각각은 하측으로 연장된 제1 외측벽 단자; 상기 제1 외측벽 단자로부터 제2 방향으로 이격되어 하측으로 연장된 제2 외측벽 단자; 및 상기 제2 외측벽 단자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하측으로 연장된 제1 내측벽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암부의 상기 제2 방향 길이는 상기 측부 보강부의 상기 제2 방향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피팅 네일은 상기 한 쌍의 측부 보강부가 외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한 쌍의 아암부가 상기 커넥터 본체에 매립되어 노출되지 않고 한 쌍의 측부 솔더부가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커넥터 본체에 매립되고, 상기 측부 솔더부의 저면의 노출 부분과 상기 측부 보강부의 노출 부분은 상기 커넥터 본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 노출되고, 상기 측부 보강부의 노출 부분은 전기적 접촉 단자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피팅 네일은 상기 제1 외측벽 단자 및 제2 외측벽 단자가 외측으로 노출되고 제1 내측벽 단자가 내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한 쌍의 아암부가 상기 커넥터 본체에 매립되어 노출되지 않고 한 쌍의 측부 솔더부가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커넥터 본체에 매립되고, 상기 측부 솔더부의 저면의 노출 부분과 상기 측부 보강부의 노출 부분들은 상기 커넥터 본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피팅 네일은 상기 중앙 솔더부의 저면 중 적어도 일 부분이 하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중앙 솔더부의 나머지 부분은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커넥터 본체에 매립되고, 상기 중앙 솔더부의 저면의 노출 부분과 상기 중앙 보강부의 노출 부분은 상기 커넥터 본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 노출되고, 상기 중앙 보강부의 노출 부분은 전기적 접촉 단자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가 제공된다.
커넥터 조립체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맞물리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피팅 네일이 플러그 커넥터의 측벽에 매립되는 중첩된 3개 층 구조를 제공하기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의 강도 및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표면 실장 기술 공정에서 플러그 커넥터의 피팅 네일에 납오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플러그 커넥터의 끼움 결합시 커넥터의 전원 단자의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커넥터 본체, 한 쌍의 피팅 네일 및 복수의 플러그 단자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일 방향 사시도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피팅 네일의 일 방향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피팅 네일의 다른 방향 사시도이다.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피팅 네일의 A방향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의 일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의 일 부분의 B-B'방향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가 대응 커넥터와 접촉하였을 때의 피팅 네일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커넥터 본체, 한 쌍의 피팅 네일 및 복수의 플러그 단자를 포함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일 방향 사시도이다.
도 7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팅 네일의 일 방향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피팅 네일의 다른 방향 사시도이다.
도 7c는 도 7a에 도시된 피팅 네일의 C방향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의 D-D' 방향 단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의 E-E' 방향 단면 사시도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피팅 네일의 일 방향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피팅 네일의 다른 방향 사시도이다.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피팅 네일의 A방향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의 일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의 일 부분의 B-B'방향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가 대응 커넥터와 접촉하였을 때의 피팅 네일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커넥터 본체, 한 쌍의 피팅 네일 및 복수의 플러그 단자를 포함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일 방향 사시도이다.
도 7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팅 네일의 일 방향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피팅 네일의 다른 방향 사시도이다.
도 7c는 도 7a에 도시된 피팅 네일의 C방향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의 D-D' 방향 단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의 E-E' 방향 단면 사시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나 이들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실시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임의의 구분으로서, 실시예 각각이 서로 배타적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개시된 구성들은 다른 실시예에 적용 및 구현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변경되어 적용 및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상측", "상" 등의 방향지시어는 도 1을 참조하여, 기판(20)을 기준으로 플러그 커넥터(10)가 위치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하측", "하" 등의 방향지시어는 이와 반대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는 어디까지나 본 개시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기준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상측 및 하측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구성 요소의 '길이 방향'은 구성 요소가 구성 요소의 일 방향 축을 따라 연장하는 방향일 수 있으며, 이때 구성 요소의 일 방향 축은 일 방향 축을 가로지르는 타 방향 축보다 구성 요소가 더 길게 연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도면에 도시된 좌표계는, x축, y축 및 z축을 도시한다. 단, 도면에 도시된 x, y, z축 방향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임의로 정해진 상대적인 방향을 의미하며,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커넥터 본체, 한 쌍의 피팅 네일 및 복수의 플러그 단자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일 방향 사시도이다.
플러그 커넥터(10)는 기판(20)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기판(20)의 표면에 실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시된 기판(20)은 예시로서 제시되었을 뿐, 플러그 커넥터(10)가 실장될 수 있는 한 기판(20)의 형상, 크기 등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는 커넥터 본체(200)와, 한 쌍의 피팅 네일(100)(도 2a 내지 도 2c 참조)과, 복수의 플러그 단자(300)를 포함한다. 커넥터 본체(200)는 제1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 측벽(210) 및 상기 제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2 측벽(220)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y축 방향은 제1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x축 방향은 제2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z축 방향은 상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는 제1 방향(y축 방향)보다 제2 방향(x축 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될 수 있으나, 플러그 커넥터(10)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플러그 커넥터(10)는 오목부(250)가 형성된 커넥터 본체(2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본체(200)는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한 쌍의 제1 측벽(21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본체(200)는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한 쌍의 제2 측벽(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벽(210)의 제1 방향 길이는 제2 측벽(220)의 제2 방향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커넥터 본체(200)에 형성된 오목부(250)는 한 쌍의 제1 측벽(210) 및 한 쌍의 제2 측벽(22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이하에서, 플러그 커넥터(10)의 구성에 대해, 커넥터 본체(200)의 오목부(250)를 바라보는 방향은 내측일 수 있다. 또한, 커넥터 본체(200)의 오목부(25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바라보는 방향은 외측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a 내지 도 2c를 함께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피팅 네일(100)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10)를 살펴본다. 한 쌍의 피팅 네일(100)은 커넥터 본체(200)에 오버 몰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피팅 네일(100)은 커넥터 본체(200)에 오버 몰딩되어, 플러그 커넥터(10)가 리셉터클 커넥터(1000; 도 5)와 끼움 결합 시 커넥터(10, 1000)가 쉽게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피팅 네일(100)은 플러그 커넥터(10)의 양 단부에서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피팅 네일(100)이 제공하는 단자는 전원용 단자일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는 커넥터 본체(200)의 양 단부에 오버 몰딩되는 피팅 네일(10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본체(200)의 양 단부는 x축 방향으로 대향되는 양 단부일 수 있다. 피팅 네일(100)의 상면부(110)는 커넥터 본체(200)의 제1 측벽(210)의 상단과 접하며, y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피팅 네일(100)의 상면부(110)는 제1 측벽(210)의 상단과 접하여 제1 측벽(210)을 보호할 수 있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피팅 네일(100)의 일 방향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피팅 네일(100)의 다른 방향 사시도이다.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피팅 네일(100)의 A 방향 측면도이다. 피팅 네일(100)은 예를 들어, 금속판에 천공, 구부림 등의 가공으로써,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피팅 네일(100)은 제1 측벽(210)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도록 상면부(110)에서 하측으로 만곡된 중앙 보강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보강부(120)는 피팅 네일(100)의 상면부(110)의 x축 방향 일 측부에서 하측으로 만곡될 수 있다. 중앙 보강부(120)에는 적어도 하나의 홈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중앙 보강부(120)에 형성된 홈부(125)는 중앙 보강부(120)와, 중앙 보강부(120)와 접촉하는 대상(즉, 리셉터클 커넥터의 피팅 네일의 대응 부분)과 전기적 연결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피팅 네일(100)은 중앙 보강부(120)의 하부에서 하측으로 더 연장되는 중앙 솔더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솔더부(140)는 하측으로 연장되며 볼록하게 만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솔더부(140)는 x축 방향을 따라 볼록하게 만곡될 수 있다. 중앙 솔더부(140)는 하부에 저면(140a)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솔더부(140)의 저면(140a)은 기판(20)의 표면과 접촉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b에서, 피팅 네일(100)은 상면부(110)에서 하측으로 만곡된 한 쌍의 측부 보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측부 보강부(130)는 상면부(110)의 y축 방향 양 말단에서 각각 하측으로 만곡될 수 있다. 도 1에서, 한 쌍의 측부 보강부(130)는 커넥터 본체(200)의 한 쌍의 제2 측벽(220) 각각의 외측면(220a)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도록 상면부(110)에서 하측으로 연장할 수 있다. 한 쌍의 측부 보강부(130)는 한 쌍의 제2 측벽(220) 각각의 상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하측으로 만곡될 수 있다. 한 쌍의 측부 보강부(130)는 상면부(110)의 y축 방향 양 말단에서 하측으로 만곡되며 한 쌍의 제2 측벽(220) 각각의 외측면(220a)을 감쌀 수 있다. 측부 보강부(130) 쌍은 각각 제1 외측벽 단자(13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b에서, 피팅 네일(100)은 중앙 보강부(120)의 측부에서 x축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아암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피팅 네일(100)은 아암부(151)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측부 솔더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아암부(151) 및 측부 솔더부(152)는 측부 부재(150)를 형성할 수 있다. 아암부(151)는 x축 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아암부(151)는 중앙 보강부(120)의 좌우 양단에서 만곡되어 한 쌍의 측부 보강부(130)의 내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아암부(151)는 측부 보강부(130)와 서로 이격된 채 연장될 수 있다.
측부 솔더부(152)는 아암부(151)의 일부에서 하측으로 연장하며, 외측으로 만곡될 수 있다. 측부 솔더부(152)는 측부 보강부(130)의 하측에서 외측으로 만곡될 수 있다. 측부 솔더부(152)의 저면(152a)은 기판(20)의 표면과 접촉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피팅 네일(100)의 측부 보강부(130)와 측부 솔더부(152)는 x축 방향에 대해 서로 어긋날 수 있다. 측부 보강부(130)와 측부 솔더부(152)가 x축 방향에 대해 서로 어긋남에 따라, 측부 보강부(130)의 하측에 갭(gap) 공간(11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팅 네일(100)이 커넥터 본체(200)에 오버 몰딩될 때, 갭 공간(111)에는 유동 방지 기구(예를 들어, 지그)가 삽입될 수 있다. 유동 방지 기구는 피팅 네일(100)의 갭 공간(111)에 삽입되어, 피팅 네일(100)이 커넥터 본체(200)에 오버 몰딩될 때, 피팅 네일(1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피팅 네일(100)의 유동이 방지됨에 따라, 피팅 네일(100)은 커넥터 본체(200)의 원하는 위치에 오버 몰딩될 수 있다.
중앙 보강부(120)는 제1 측벽(210) 상에 위치하여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를 제공할 수 있다. 중앙 보강부(120)는 제1 측벽(210)의 외측면(210a) 상에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는 중앙 보강부(12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홈부(125)에 위치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의 홈부(125)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대응되는 돌출부(미도시)와의 끼움 결합 상태 및 전기적 연결을 유지하기 위하여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홈부(125)는 중앙 보강부(120)의 외측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함몰될 수 있다.
중앙 보강부(120)가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리셉터클 커넥터의 대응 단자부(미도시)와 접촉하였을 때, 홈부(125)에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대응 단자부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대응 단자는 중앙 보강부(120)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구성을 의미할 수 있으며, 특정 형상이나 특정 구성에 제한되지 않는다. 플러그 커넥터(10)의 홈부(125)에 리셉터클 커넥터의 대응 단자부의 일부가 삽입됨에 따라, 중앙 보강부(120)와 대응 단자부의 접촉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사용자는 홈부(125)에 의해 중앙 보강부(120)와 대응 단자부의 결합감(예를 들어 결합 시 발생하는 소리 및 진동 등)을 느낄 수 있다.
도 1에서, 중앙 보강부(120)의 좌우 양단에서 만곡되는 한 쌍의 아암부(151)는 커넥터 본체(200)에 의해 매립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는 전기적 연결을 위한 복수의 단자(310)를 포함하는 플러그 단자(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단자(310)는 각각 커넥터 본체(200)의 제2 측벽(220)의 외측면(220a) 및 내측면(220b)에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접점(신호 단자)를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단자(310)는 서로에 대해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플러그 단자(300)는 한 쌍의 피팅 네일(1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플러그 단자(300)는 측부 보강부(130)에 대해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10)의 일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10)의 일 부분의 B-B'방향 단면 사시도이다.
피팅 네일(100)의 중앙 솔더부(140)는 제1 측벽(210)의 내측면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될 수 있다. 중앙 솔더부(140)는 제1 측벽(210)의 외측면(210a)으로부터 제1 측벽(210)의 내측면(210b)을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될 수 있다. 중앙 솔더부(140)는 제1 측벽(210)의 외측면(210a)으로부터 제1 측벽(210)의 내측면(210b)을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제1 측벽(210)의 저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제1 측벽(210)의 외측면(210a)으로부터 제1 측벽(210)의 내측면(210b)을 향하는 방향은 x축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즉, 중앙 솔더부(140)는, x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외부로 노출된 중앙 솔더부(140)의 일 부분만 표시된다. 중앙 솔더부(140)는 제1 측벽(210)의 외측면(210a)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중앙 솔더부(140)의 일부는 커넥터 본체(200)의 제1 측벽(210)에 매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솔더부(140)의 만곡된 부분은 커넥터 본체(200)의 제1 측벽(210)에 매립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가 실장될 때, 중앙 솔더부(140)의 저면(140a)은 기판(20)과 접촉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솔더부(140)의 저면(140a)은 제1 측벽(210)의 저면보다 하측에 위치하여, 플러그 커넥터(10)가 기판(20)과 접촉할 때, 커넥터 본체(200)보다 먼저 기판(20)과 접촉할 수 있다.
한 쌍의 피팅 네일(100)은 커넥터 본체(200)에 오버 몰딩(over-molding)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피팅 네일(100)은 커넥터 본체(200)의 양 단부에 오버 몰딩(over-molding) 또는 풀 오버 몰딩(full over-molding)될 수 있다. 커넥터 본체(200)는 오버 몰딩 공정이 수행될 수 있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물질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수지 등일 수 있다. 오버 몰딩은 서로 다른 재료(구성 요소)가 함께 사출 성형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금형 내에서 절연 재료가 커넥터 본체(200)로 성형되며, 한 쌍의 피팅 네일(100) 및 플러그 단자(300)의 적어도 일 부분이 충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 본체(200), 한 쌍의 피팅 네일(100) 및 플러그 단자(300)가 플러그 커넥터(1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c를 함께 참조하여, 한 쌍의 피팅 네일(100)이 커넥터 본체(200)에 오버 몰딩될 때, 측부 보강부(130)의 하측에 형성된 갭 공간(111)에는 지그(jig)와 같은 유동 방지 기구가 삽입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피팅 네일(100)의 갭 공간(111)에 유동 방지 기구가 삽입된 채, 한 쌍의 피팅 네일(100)은 커넥터 본체(200)에 오버 몰딩될 수 있다. 여기서, 유동 방지 기구가 삽입된 소정 위치에는 커넥터 본체(200)가 충진될 수 없다. 피팅 네일(100)의 오버 몰딩 후, 유동 방지 기구는 제거되고, 커넥터 본체(200)에는 공극(211)이 형성될 수 있다. 공극(211)은 피팅 네일(100)이 오버 몰딩될 때, 유동 방지 기구가 삽입된 소정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유동 방지 기구의 형상 및 크기와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피팅 네일(100)은 중앙 솔더부(140)의 저면(140a) 중 적어도 일 부분이 하측으로 노출되고, 중앙 솔더부(140)의 나머지 부분은 노출되지 않도록 커넥터 본체(200)에 매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솔더부(140)의 저면(140a) 중 적어도 일 부분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중앙 솔더부(140) 중 나머지 부분(중앙 솔더부(140)의 저면(140a) 중 적어도 일 부분 이외의 부분)은 커넥터 본체(200)의 제1 측벽(210)에 매립될 수 있다. 커넥터 본체(200)의 제1 측벽(210)에 매립된 중앙 솔더부(140)의 나머지 부분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커넥터 본체(200)에 매립된 중앙 솔더부(140)의 나머지 부분에서 납오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직접적인 전기적 흐름이 커넥터 본체(200)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커넥터 본체(200)에 의해, 중앙 솔더부(140)의 노출 부분(141)과 중앙 보강부(120)의 노출 부분(121)은 커넥터 본체(2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중앙 솔더부(140)의 노출 부분(141)과 중앙 보강부(120)의 노출 부분(121)이 커넥터 본체(2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됨에 따라, 중앙 솔더부(140)를 따라 중앙 보강부(120)(예를 들어 중앙 보강부(120)의 접점부)로 납오름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중앙 솔더부(140)의 나머지 부분이 커넥터 본체(200)에 매립되어, 중앙 솔더부(140)를 따라서 발생할 수 있는 납오름이 커넥터 본체(200)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한 쌍의 측부 솔더부(152)의 저면(152a)은 플러그 커넥터(10)가 실장될 때, 기판(20)과 접촉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부 솔더부(152)의 저면(152a)은 제2 측벽(220)의 저면보다 하측에 위치하여, 플러그 커넥터(10)가 기판(20)과 접촉할 때, 커넥터 본체(200)의 하측에서 기판(20)과 접촉할 수 있다.
한 쌍의 측부 솔더부(152)는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커넥터 본체(200)에 매립될 수 있다. 한 쌍의 측부 솔더부(152)의 저면(152a)의 적어도 일 부분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한 쌍의 아암부(151)는 커넥터 본체(200)에 매립되어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커넥터 본체(200)를 사이에 두고, 측부 솔더부(152)의 노출 부분(1521)과 측부 보강부(130)의 노출 부분(132)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측부 솔더부(152)의 노출 부분(1521)과 측부 보강부(130)의 노출 부분(132)이 커넥터 본체(2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됨에 따라, 측부 솔더부(152)를 따라 측부 보강부(130)(예를 들어 측부 보강부(130)의 접점부)로 납오름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측부 솔더부(152)의 나머지 부분이 커넥터 본체(200)에 매립되어, 측부 솔더부(152)를 따라서 발생할 수 있는 납오름이 커넥터 본체(200)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에서는 중앙 솔더부(140)와 중앙 보강부(120)의 납오름에 의한 직접적인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고, 측부 솔더부(152)와 측부 보강부(130)의 납오름에 의한 직접적인 전기적 연결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10)가 표면 실장 기술 공정에 의해 기판(20)에 실장될 때, 중앙 보강부(120)의 접점부(예를 들어, 중앙 보강부(120)의 홈부(125)) 및 측부 보강부(130)의 접점부(예를 들어, 측부 보강부(130)의 제1 외측벽 단자(131))에 납오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납오름이 중앙 보강부(120)의 접점부 및 측부 보강부(130)의 접점부에 발생할 경우, 플러그 커넥터(10)의 접촉 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며, 불안정한 접촉 저항으로 인해 플러그 커넥터(10)의 온도가 상승될 수 있다. 이는, 플러그 커넥터(10) 및 플러그 커넥터(10)가 실장된 기판(20)에 불량을 야기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에서는 중앙 보강부(120)의 접점부 및 측부 보강부(130)의 접점부에 납오름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납오름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10)가 손상 또는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플러그 커넥터(10)의 강성이 증가하고, 플러그 커넥터(1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10)가 대응 커넥터(1000)와 접촉하였을 때의 단면도이다. 일 예시로서, 대응 기판(50)에 실장된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1000)일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가 리셉터클 커넥터(1000)에 삽입됨으로 플러그 커넥터(10) 및 리셉터클 커넥터(10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의 한 쌍의 측부 보강부(130)는 각각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제1 외측벽 단자(131)를 제공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의 제1 외측벽 단자(131)는 각각 리셉터클 커넥터(1000)의 리셉터클 단자(1010)와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의 제1 외측벽 단자(131) 에는 리셉터클 단자(1010)를 체결하는 단턱(135)이 형성될 수 있다. 단턱(135)이 형성됨에 따라, 제1 외측벽 단자(131)와 리셉터클 단자(1010)의 전기적 연결이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플러그 커넥터(10)의 중앙 보강부(미도시)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1000)의 리셉터클 중앙 단자(미도시)와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10)의 플러그 단자(미도시)와 리셉터클 커넥터(1000)의 리셉터클 단자(미도시)에 의해 추가적인 전기적 연결이 제공될 수도 있다. 여기서, 플러그 커넥터(10)의 중앙 보강부 및 플러그 단자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와 리셉터클 커넥터(10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10)가 실장된 기판(20)과, 리셉터클 커넥터(1000)가 실장된 대응 기판(5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의 사시도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는 기판(20)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기판(20)의 표면에 실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와 차이점이 있는 구성을 중심으로 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를 설명하도록 한다.
한 쌍의 측부 보강부(130)의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추가 단자(160)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단자(160)는 제2 외측벽 단자(161) 및 제1 내측벽 단자(16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측부 보강부(130) 각각은 한 쌍의 제2 측벽(220) 각각의 외측면(220a) 및 내측면(220b)의 일부를 감쌀 수 있는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131, 161, 162)를 제공할 수 있다.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131, 161, 162)는 예를 들어, 전원 단자일 수 있다.
추가 단자(160)의 제2 외측벽 단자(161)는 제1 외측벽 단자(131)로부터 제2 방향으로 이격되어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외측벽 단자(161)는 제2 측벽(220)의 상측면의 일 부분을 감싸며 하측으로 만곡될 수 있다. 제2 외측벽 단자(161)는 커넥터 본체(200)의 제2 측벽(220)의 외측면(220a)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도록 제2 측벽(220)의 상측면의 일 부분을 감싸며 하측으로 만곡될 수 있다.
제1 외측벽 단자(131) 및 제2 외측벽 단자(161)는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외측벽 단자(131) 및 제2 외측벽 단자(161)는 각각 커넥터 본체(200)의 제2 측벽(220)의 외측면(220a)에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접점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내측벽 단자(162)는 제2 외측벽 단자(161)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내측벽 단자(162)는 제2 측벽(220)의 상측면의 다른 일 부분을 감싸며 하측으로 만곡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측벽(220)의 상측면의 다른 일 부분은 제2 외측벽 단자(161)에 의해 감싸지는 제2 측벽(220)의 상측면의 일 부분 이외의 부분 중 소정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내측벽 단자(162)는 제2 측벽(220)의 내측면(220b)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도록 제2 측벽(220)의 상측면의 다른 일 부분을 감싸며 하측으로 만곡될 수 있다. 제1 내측벽 단자(162)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외측벽 단자(131)와 y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제1 내측벽 단자(162)는 내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내측벽 단자(162)는 제2 측벽(220)의 내측면(220b)에 전기적 접촉 단자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팅 네일(100)의 일 방향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피팅 네일(100)의 다른 방향 사시도이다. 도 7c는 도 7a에 도시된 피팅 네일(100)의 C방향 측면도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팅 네일(100)은 플러그 커넥터(10)의 커넥터 본체(200)에 오버 몰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피팅 네일(100)은 쌍으로서 플러그 커넥터(10)의 커넥터 본체(200)의 양 단부에 오버 몰딩될 수 있다.
중앙 보강부(120)에는 적어도 하나의 홈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중앙 보강부(12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홈부(125)의 개수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일 수 있으나, 홈부(125)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피팅 네일(100)은 상면부(110)의 x축 방향 다른 측부에서 하측으로 만곡된 확장 보강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보강부(120)와 확장 보강부(115)는 서로 대향될 수 있다. 확장 보강부(115)와 중앙 보강부(120)는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피팅 네일(100)은 중앙 보강부(120)의 측부에서 x축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아암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피팅 네일(100)은 아암부(151)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측부 솔더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아암부(151)는 제1 외측벽 단자(131)의 내측으로 연장할 수 있다. 아암부(151)는 제2 외측벽 단자(161)와 제1 내측벽 단자(162) 사이로 연장될 수 있다. 아암부(151)는 제2 외측벽 단자(161) 및 제1 내측벽 단자(162)와 각각 이격될 수 있다. 아암부(151)는 측부 보강부(130), 제2 외측벽 단자(161) 및 제1 내측벽 단자(162)와 모두 이격된 채 연장될 수 있다.
측부 솔더부(152)는 아암부(151)의 일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측부 솔더부(152)는 아암부(151)의 일부에서 하측으로 연장하며, 외측으로 만곡될 수 있다. 측부 솔더부(152)는 외측으로 만곡되어 제2 외측벽 단자(161)의 하측을 통과할 수 있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10)의 D-D' 방향 단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10)의 E-E' 방향 단면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와 도 7a 내지 도 7c를 함께 참조하면, 한 쌍의 피팅 네일(100)의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고, 피팅 네일(100)의 나머지 부분은 커넥터 본체(200)에 매립될 수 있다. 도 8에서, 한 쌍의 피팅 네일(100)은 한 쌍의 측부 보강부(130)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커넥터 본체(200)에 매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측부 보강부(130) 각각의 제1 외측벽 단자(131), 제2 외측벽 단자(161) 및 제1 내측벽 단자(162)가 노출되도록 피팅 네일(100)은 커넥터 본체(200)에 매립될 수 있다. 제1 외측벽 단자(131), 제2 외측벽 단자(161) 및 제1 내측벽 단자(162)는 외부로 노출되어 전기적 접촉 단자를 제공할 수 있다.
한 쌍의 피팅 네일(100)은 한 쌍의 아암부(151)가 커넥터 본체(200)에 매립되어 노출되지 않도록 커넥터 본체(200)에 매립될 수 있다. 제1 외측벽 단자(131), 제2 외측벽 단자(161) 및 제1 내측벽 단자(162) 사이에 위치하는 아암부(151)는 커넥터 본체(200)에 매립될 수 있다.
한 쌍의 피팅 네일(100)은 측부 솔더부(152)가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커넥터 본체(200)에 매립될 수 있다. 측부 솔더부(152)의 일부는 커넥터 본체(200)에 매립될 수 있다. 커넥터 본체(200)에 의해 매립된 측부 솔더부(152)의 일부는 외부로의 노출이 방지될 수 있다. 측부 솔더부(152) 중, 측부 솔더부(152)의 저면(152a)을 포함하는 부분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측부 솔더부(152)는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측부 솔더부(152)의 노출 부분(1521)과 측부 보강부(130)의 노출 부분(132)은 커넥터 본체(2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측부 솔더부(152)의 노출 부분(1521)과 측부 보강부(130)의 노출 부분(132)이 커넥터 본체(2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됨에 따라, 측부 솔더부(152)를 따라 측부 보강부(130)(예를 들어 측부 보강부(130)의 접점부)로 납오름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측부 솔더부(152)의 나머지 부분이 커넥터 본체(200)에 매립되어, 측부 솔더부(152)를 따라서 발생할 수 있는 납오름이 커넥터 본체(200)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외측벽 단자(161), 제1 내측벽 단자(162) 및 아암부(151)의 일부는 제2 측벽(220)을 감싸는 3개의 층(layer)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외측벽 단자(161), 제1 내측벽 단자(162) 및 아암부(151)는 3개의 층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제2 측벽(220)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10)의 강도가 향상되고, 내구성이 증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에서는 중앙 솔더부(140)의 노출 부분(141)과 중앙 보강부(120)의 노출 부분(121)이 커넥터 본체(2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되고, 측부 솔더부(152)의 노출 부분(1521)과 측부 보강부(130)의 노출 부분(132)이 커넥터 본체(2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10)가 표면 실장 기술 공정에 의해 기판(20)에 실장될 때, 중앙 보강부(120)의 접점부(예를 들어, 중앙 보강부(120)의 홈부(125) 및 측부 보강부(130)의 접점부(예를 들어, 측부 보강부(130)의 제1 외측벽 단자(131), 제2 외측벽 단자(161) 및/또는 제1 내측벽 단자(162))에 납오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중앙 보강부(120)의 접점부 및 측부 보강부(130)의 접점부에 납오름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10)는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납오름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10)가 손상 또는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어 플러그 커넥터(10)의 강성이 증가하고, 플러그 커넥터(1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 플러그 커넥터, 20: 기판, 100: 피팅 네일, 110: 상면부, 111: 갭 공간, 115: 확장 보강부, 120: 중앙 보강부, 121: 중앙 보강부의 노출 부분, 125: 홈부, 130: 측부 보강부, 131: 제1 내측벽 단자, 132: 측부 보강부의 노출 부분, 140: 중앙 솔더부, 140a: 중앙 솔더부의 저면, 141: 중앙 솔더부의 노출 부분, 150: 측부 부재, 151: 아암부, 152: 측부 솔더부, 152a: 측부 솔더부의 저면, 1521: 측부 솔더부의 노출 부분, 160: 추가 단자, 161: 제2 외측벽 단자, 162: 제1 내측벽 단자, 200: 커넥터 본체, 210: 제1 측벽, 210a: 제1 측벽의 외측면, 210b: 제1 측벽의 내측면, 211: 공극, 220: 제2 측벽, 220a: 제2 측벽의 외측면, 220b: 제2 측벽의 내측면, 250: 오목부, 300: 플러그 단자, 310: 단자, 50: 대응 기판, 1000: 대응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 1010: 리셉터클 단자
Claims (1)
- 기판 대 기판 커넥터용 플러그 커넥터이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 측벽 및 상기 제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2 측벽을 포함하는 커넥터 본체;
상기 커넥터 본체에 배치되는 한 쌍의 피팅 네일;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벽에 배치되는 복수의 플러그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피팅 네일 각각은,
상기 제1 측벽의 상단과 접하는 상면부;
상기 제1 측벽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도록 상기 상면부에서 하측으로 만곡된 중앙 보강부;
상기 한 쌍의 제2 측벽 각각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도록 상기 상면부에서 연장되어 하측으로 만곡된 한 쌍의 측부 보강부; 및
상기 중앙 보강부의 좌우 양단에서 만곡되어 상기 한 쌍의 측부 보강부 내측으로 이격되어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아암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측부 보강부의 각각은,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측벽의 상기 외측면에서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1 외측벽 단자;
상기 제1 외측벽 단자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되어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측벽의 상기 외측면에서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2 외측벽 단자; 및
상기 제2 외측벽 단자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측벽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노출되는 제1 내측벽 단자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10043266 | 2021-04-02 | ||
KR1020210043266 | 2021-04-02 | ||
KR1020210070753A KR102677262B1 (ko) | 2021-04-02 | 2021-06-01 | 기판 대 기판 커넥터용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70753A Division KR102677262B1 (ko) | 2021-04-02 | 2021-06-01 | 기판 대 기판 커넥터용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01756A true KR20240101756A (ko) | 2024-07-02 |
Family
ID=82374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078141A KR20240101756A (ko) | 2021-04-02 | 2024-06-17 | 기판 대 기판 커넥터용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220320766A1 (ko) |
JP (1) | JP7398496B2 (ko) |
KR (1) | KR20240101756A (ko) |
CN (2) | CN217009629U (ko) |
TW (1) | TWI809785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270633B (zh) * | 2019-08-05 | 2024-08-30 | 宏致日本株式会社 | 连接器、布线结构及基板间连接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30837A (ja) * | 1994-02-18 | 1995-08-29 | Fuji Xerox Co Ltd | 混成集積回路基板用端子 |
JP5881333B2 (ja) * | 2010-09-08 | 2016-03-09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基板対基板コネクタ |
JP5887326B2 (ja) * | 2013-12-12 | 2016-03-16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コネクタ |
JP6391517B2 (ja) * | 2015-03-30 | 2018-09-19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コネクタ |
JP6378642B2 (ja) * | 2015-04-23 | 2018-08-22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コネクタ |
CN106356656A (zh) * | 2015-07-17 | 2017-01-25 |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 板对板连接器组件及其插座连接器与插头连接器 |
WO2017064825A1 (ja) * | 2015-10-14 | 2017-04-20 |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システム |
KR101942811B1 (ko) | 2017-11-27 | 2019-04-17 | (주)우주일렉트로닉스 | 보강부재를 갖는 소켓커넥터 및 플러그커넥터 |
KR101990508B1 (ko) | 2017-11-27 | 2019-06-18 | (주)우주일렉트로닉스 | 강도가 강화된 플러그커넥터 |
JP7148357B2 (ja) * | 2018-10-18 | 2022-10-05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コネクタ |
CN109638523B (zh) * | 2018-12-29 | 2024-02-23 | 启东乾朔电子有限公司 | 板对板连接器 |
JP7309370B2 (ja) * | 2019-01-22 | 2023-07-18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回路基板用コネクタ装置 |
KR102553861B1 (ko) * | 2019-02-27 | 2023-07-10 |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 플러그 커넥터 |
JP6986039B2 (ja) * | 2019-03-15 | 2021-12-22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
CN209571614U (zh) * | 2019-04-18 | 2019-11-01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及其对接连接器 |
JP2020184459A (ja) | 2019-05-08 | 2020-11-12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
CN209929525U (zh) * | 2019-05-29 | 2020-01-10 | 连展科技(天津)有限公司 | 插头电连接器与插座电连接器 |
CN209929524U (zh) * | 2019-05-29 | 2020-01-10 | 连展科技(天津)有限公司 | 插头电连接器与插座电连接器 |
CN209860189U (zh) * | 2019-06-18 | 2019-12-27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及其组合 |
CN110247217B (zh) * | 2019-06-19 | 2024-02-23 | 启东乾朔电子有限公司 | 板对板连接器 |
-
2022
- 2022-03-25 JP JP2022049246A patent/JP7398496B2/ja active Active
- 2022-03-25 US US17/703,995 patent/US20220320766A1/en active Pending
- 2022-03-29 TW TW111111849A patent/TWI809785B/zh active
- 2022-04-01 CN CN202220768371.4U patent/CN217009629U/zh active Active
- 2022-04-01 CN CN202210348558.3A patent/CN115207667A/zh active Pending
-
2024
- 2024-06-17 KR KR1020240078141A patent/KR20240101756A/ko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22159066A (ja) | 2022-10-17 |
CN217009629U (zh) | 2022-07-19 |
US20220320766A1 (en) | 2022-10-06 |
CN115207667A (zh) | 2022-10-18 |
TWI809785B (zh) | 2023-07-21 |
TW202240985A (zh) | 2022-10-16 |
JP7398496B2 (ja) | 2023-12-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85141B1 (ko) | 커넥터 | |
JP7161463B2 (ja) |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 |
KR20240101756A (ko) | 기판 대 기판 커넥터용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 |
JP7281537B2 (ja) | コネクタ | |
KR102677262B1 (ko) | 기판 대 기판 커넥터용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 |
KR102512867B1 (ko) | 커넥터 | |
KR20190085601A (ko) | 플러그 커넥터 | |
KR102632070B1 (ko) | 기판 대 기판 커넥터용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 |
CN108123238B (zh) | 连接器 | |
JP7245943B2 (ja) | 基板対基板コネクタ用プラグ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含むコネクタ組立体 | |
KR102165739B1 (ko) | 커넥터의 홀드다운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 |
KR20240059523A (ko) | 홀드 다운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 |
KR20240070396A (ko) | 커넥터 | |
KR20200063809A (ko) | 커넥터 어셈블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