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99204A - 차일드 시트 - Google Patents

차일드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99204A
KR20240099204A KR1020247013487A KR20247013487A KR20240099204A KR 20240099204 A KR20240099204 A KR 20240099204A KR 1020247013487 A KR1020247013487 A KR 1020247013487A KR 20247013487 A KR20247013487 A KR 20247013487A KR 20240099204 A KR20240099204 A KR 20240099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abutting
engaging
vehicle
child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3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이스케 이토
노부유키 가토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99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992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4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with protection systems against abnormal g-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7Fixation to a transversal anchorage bar, e.g. isofi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49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fixed structures, i.e. where neither the seat nor a part thereof are displaced during a cra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분리형이며 강도를 확보하면서 중량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다. 차일드 시트(1)는, 사용 상태에 있어서, 차일드 시트 본체(2)에 있어서의 시트부(11)의 시트측 걸림 결합부(23)와 배면부(12)의 배면측 걸림 결합부(76)를 걸림 결합시킨다. 또한, 차일드 시트(1)는, 금속 부품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차량 걸림 결합부(24)가, 차량의 설치 금속 부재(50)에 걸림 결합된다. 차일드 시트(1)는, 당해 차량이 전진 중에 급정차한 경우 등에, 배면부(12)의 배면측 맞닿음부(74) 및 충격 흡수재(75)를 시트부(11)에 있어서의 암레스트(22)의 후방 맞닿음부(34)에 맞닿게 하고, 보강부(33)를 통해 이 힘을 하방 맞닿음부(35)로부터 차량 걸림 결합부(24)에 전달한다. 이에 의해, 차일드 시트(1)는, 차량 걸림 결합부(24)에 의해 배면부(12)로부터의 힘을 받아내어 해당 배면부(12)의 회동을 저지할 수 있으므로, 시트부(11)에 대한 배면부(12)의 위치나 각도를 거의 변화시키지 않고, 착좌하고 있는 유유아를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일드 시트
본 발명은 차일드 시트에 관한 것이며, 예를 들어 자동차에 설치하여 사용되는 경우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것이다.
종래, 차일드 시트는, 예를 들어 자동차 등의 차량에 유유아를 태우는 경우에, 당해 차량의 시트에 설치하여 사용되는 것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또한 차일드 시트로서는, 유유아가 착좌하는 시트부와 당해 유유아의 헤드부나 등 부분 등을 지지하는 배면부가 일체화된 일체형 외에, 당해 헤드부 및 당해 배면부를 분리 및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된 분리형도 보급되고 있다.
이 중 분리형 차일드 시트에서는, 불사용 시에, 시트부와 배면부를 분리하고, 예를 들어 해당 시트부의 시트면 또는 그 이면을 해당 배면부의 전방면 또는 후방면과 대향시킴으로써, 비교적 소형으로 통합한 상태로 하여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14-210446호 공보(도 3 등)
그런데, 이러한 구성의 차일드 시트에서는, 차량이 충돌 사고에 조우하여 충격이 가해진 경우라도, 착좌하고 있는 유유아를 보호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특히 분리형 차일드 시트에서는, 시트부와 배면부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양자의 접속 개소에 있어서의 강도가 불충분해지기 쉽다.
이 때문에, 분리형 차일드 시트로서, 비교적 대형의 금속 부품을 사용하여 강도를 확보한 것도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분리형 차일드 시트에서는, 대형의 금속 부품을 갖는 것에 기인하여 전체의 중량이 커져, 운반이나 설치 등에 있어서의 부담이 증가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분리형이며 강도를 확보하면서 중량을 억제한 차일드 시트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는, 유유아가 착좌하는 시트부와, 유유아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배면부와, 시트부에 마련되며, 차량과 걸림 결합하는 차량 걸림 결합부와, 시트부에 마련되며, 금속 부품을 갖고, 배면부와 걸림 결합하는 시트측 걸림 결합부와, 배면부에 마련되며, 시트측 걸림 결합부와 걸림 결합하는 배면측 걸림 결합부와, 시트부에 마련되며, 수지 재료에 의해 성형되며, 소정의 크기의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 시트측 걸림 결합부에 대한 위치 및 형상을 유지하는 보유 지지부와, 보유 지지부에 마련되며, 배면부와 맞닿는 제1 맞닿음부와, 보유 지지부에 마련되며, 차량 걸림 결합부와 맞닿는 제2 맞닿음부를 마련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차일드 시트가 차량 걸림 결합부에 의해 차량과 걸림 결합한 상태에서, 당해 차량이 급정차한 경우 등에, 배면부가 시트부측으로 쓰러지려고 하는 경우, 보유 지지부의 제1 맞닿음부를 배면부에 맞닿게 하고, 해당 보유 지지부의 제2 맞닿음부를 차량 걸림 결합부에 맞닿게 한다. 즉 본 발명은, 배면부 및 차량 걸림 결합부에 각각 맞닿아진 보유 지지부가, 수지 재료에 의해 성형되면서도 그 위치 및 형상을 유지하기 때문에, 중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배면부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리형이며 강도를 확보하면서 중량을 억제한 차일드 시트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차일드 시트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선적 사시도이다.
도 2는 차일드 시트 본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선적 사시도이다.
도 3은 시트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선적 사시도이다.
도 4는 시트부 상부 부품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선적 사시도이다.
도 5는 차량 걸림 결합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선적 사시도이다.
도 6은 배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선도이다.
도 7은 차일드 시트 본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선적 정면도이다.
도 8은 차일드 시트 본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선적 우측면도이다.
도 9는 차일드 시트 본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선적 단면도이다.
도 10은 차일드 시트 본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선적 단면도이다.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이하 실시 형태로 함)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1. 차일드 시트의 전체 구성]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차일드 시트(1)의 전체를 도시하는 개략 선적인 사시도이다. 차일드 시트(1)는, 크게 나누어, 충분한 강도를 갖는 차일드 시트 본체(2)와, 해당 차일드 시트 본체(2)에 있어서 유유아와 접하는 부분의 표면을 덮는 커버(3)와, 유유아를 착좌 상태로 구속하는 시트 벨트(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커버(3)(도 1)는, 천이나 스펀지재 등의 조합에 의해, 부분마다 분할된 구성으로 되어 있어, 각각 충분한 유연성을 갖고 있다. 또한, 커버(3)는,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고, 각 부분이 차일드 시트 본체(2)나 시트 벨트(4)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시트 벨트(4)(도 1)는, 복수의 벨트나 부품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그 일부가 차일드 시트 본체(2)에 설치되거나, 또는 내장되어 있다.
본 명세서 중에서는, 각 구성 부재의 설명에 있어서, 차일드 시트(1)에 착좌하는 유유아로부터 본 경우의 전방향, 후방향, 상방향 및 하방향을, 각각 「전」, 「후」, 「상」 및 「하」로 칭한다. 또한, 차일드 시트(1)에 착좌하는 유유아를 정면으로부터 본 경우의 좌방향 및 우방향을, 각각 「좌」 및 「우」로 칭한다. 또한, 이후의 각 도면에 있어서는, 구조를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커버(3) 및 시트 벨트(4)를 생략하였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차일드 시트 본체(2)의 전체를 도시하는 개략 선적인 사시도이다. 차일드 시트 본체(2)는, 크게 나누어, 주로 시트면을 형성하는 시트부(11)와, 주로 유유아의 헤드 부분, 어깨 부분이나 등 부분 등의 상반신을 지지하는 배면부(1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차일드 시트 본체(2)는, 시트부(11)와 배면부(12)의 분리 및 결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차일드 시트 본체(2)는, 사용 시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부(11)와 배면부(12)가 결합된 사용 상태가 된다. 또한, 차일드 시트 본체(2)는, 예를 들어 불사용 시에 차량의 트렁크 등에 수납되는 경우에, 시트부(11)와 배면부(12)를 분리하여 적절히 조합한 상태로 함으로써,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2. 시트부의 구성]
도 3은 시트부(11)를 도시하는 개략 선적인 사시도이다. 시트부(11)는, 시트 본체부(21)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고, 좌우 각각에 암레스트[22(22L 및 22R)], 시트측 걸림 결합부[23(23L 및 23R)] 및 차량 걸림 결합부[24(24L 및 24R)]가 마련되어 있다. 단 도 3에서는, 작도의 사정상, 차량 걸림 결합부(24R)를 생략하였다.
또한, 시트부(11) 중 시트 본체부(21), 암레스트(22) 및 시트측 걸림 결합부(23)는, 주로 상측의 시트부 상부 부품(11U)와 하측의 시트부 하부 부품(11L)의 조합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4는 시트부 상부 부품(11U)을 도시하는 개략 선적인 사시도이다.
시트부 상부 부품(11U) 및 시트부 하부 부품(11L)은, 모두 소정의 수지 재료에 의한 성형 부품이다. 이 시트부 상부 부품(11U) 및 시트부 하부 부품(11L)은, 서로 끼워 맞추어진 경우에, 외주의 대부분을 폐색함과 함께 내부에 공간을 마련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또한 해당 공간 내에 빔이나 기둥과 같은 보강 부분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시트 본체부(21)(도 3)는, 유유아가 착좌하였을 때 당해 유유아의 하반신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시트 본체부(21)의 상면인 시트면(21S)은, 유유아의 체형에 맞춘 완만한 곡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시트면(21S)은, 전방측의 약 1/3의 범위가, 전방측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하강하는 경사면이며, 후방측의 약 2/3의 범위가, 후방측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조금씩 하강하는 완만한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2-1. 암레스트 및 시트측 걸림 결합부의 구성]
암레스트(22L 및 22R), 시트측 걸림 결합부(23L 및 23R), 그리고 차량 걸림 결합부(24L 및 24R)는, 각각 서로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우측의 암레스트(22R), 시트측 걸림 결합부(23R) 및 차량 걸림 결합부(24R)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좌측의 암레스트(22L), 시트측 걸림 결합부(23L) 및 차량 걸림 결합부(24L)에 관한 설명을 생략한다.
보유 지지부로서의 암레스트(22R)는, 시트 본체부(21)에 있어서의 우변의 후방 근처에 마련되어 있다. 이 암레스트(22R)는, 크게 나누어, 후방 하측 부분인 암레스트 본체부(31)와, 전방 상측 부분인 팔 지지부(3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암레스트 본체부(31)는, 시트 본체부(21)에 있어서의 우변 중 후방측의 약 1/3의 범위에 있어서, 시트면(21S)보다도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암레스트 본체부(31)는, 좌우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의 형상이 거의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어 있고, 당해 사다리꼴의 전방측 변이 거의 연직의 평면상인 한편, 당해 사다리꼴의 후방측 변이 전방 상측과 후방 하측을 연결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팔 지지부(32)는, 암레스트(22R) 중 전방 상측 부분이며, 전체로서, 전후 방향으로 긴 직육면체의 전방측 부분을 하방으로 향하게 하여 경사지게 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팔 지지부(32)의 후반 부분은, 암레스트 본체부(31)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술한 사다리꼴에 있어서의 웃변 부분과 접속되어 있다. 팔 지지부(32)의 전반 부분은, 암레스트 본체부(31)보다도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팔 지지부(32)는, 차일드 시트(1)에 착좌한 유유아의 암부를 상측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암레스트(22R)의 내부에는, 보강부(33)가 마련되어 있다. 보강부(33)는, 소위 리브이며, 법선을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 등으로 향하게 한 박판상의 부분을 복수 조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암레스트(22R)는, 비교적 큰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 시트 본체부(21)에 대한 위치나 각 부분의 형상을 거의 변화시키지 않고,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암레스트(22R)에는, 다른 부분과 맞닿기 위한 후방 맞닿음부(34) 및 하방 맞닿음부(35)가 마련되어 있다. 제1 맞닿음부로서의 후방 맞닿음부(34)는, 팔 지지부(32)의 후방면에 마련되어 있다. 이 후방 맞닿음부(34)는, 대략 평탄한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법선이 거의 후방향을 향하고 있다. 제2 맞닿음부로서의 하방 맞닿음부(35)는, 시트부 상부 부품(11U)(도 4)에 있어서의 암레스트 본체부(31)의 하단에 상당하는 개소에 마련되어 있다. 이 하방 맞닿음부(35)는, 보강부(33)를 구성하는 복수의 판상 부분에 있어서의 하변의 조합에 의해, 거의 수평인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설명의 사정상, 이하에서는, 후방 맞닿음부(34)를 제1 맞닿음부라고도 칭하고, 하방 맞닿음부(35)를 제2 맞닿음부라고도 칭한다.
시트측 걸림 결합부(23R)(도 3)는, 시트 본체부(21)의 후단 부분에 있어서의 중앙으로부터 약간 우측에 위치하고 있고, 주로 걸림 결합 공간(41) 및 걸림 결합축(4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걸림 결합 공간(41)은, 시트 본체부(21)의 후방변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잘라내어진 형상이며, 해당 시트 본체부(2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주상 부품으로서의 걸림 결합축(42)은, 중심축을 좌우 방향을 따르게 한 원기둥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걸림 결합축(42)은,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걸림 결합 보강축(43)(도 4)의 주위를,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시트부 상부 부품(11U) 및 시트부 하부 부품(11L)의 일부분에 의해 피복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걸림 결합 보강축(43)은, 중심축을 좌우 방향을 따르게 한 가늘고 긴 원기둥상의 부재이며, 시트 본체부(21)의 후단 근방에 있어서, 좌단 근방으로부터 우단 근방까지를 관통하고 있다.
[2-2. 차량 걸림 결합부의 구성]
차량 걸림 결합부(24R)(도 3)는, 시트 본체부(21)의 내부에 있어서의 우변 근방의 후방 하측이며, 암레스트(22R)의 바로 아래가 되는 위치에 내장되어 있다. 이 차량 걸림 결합부(24R)는, ISOFIX(ISO 13216-1:1999)라 불리는 규격에 준거한 것이며, 차량의 시트에 마련된 설치 금속 부재(로어 앵커리지라고도 불림)와 걸림 결합하기 위한 부분이다.
도 5는 차량 걸림 결합부(24R)를 주된 구성 부품마다 분해한 모습을 도시하는 개략 선적인 사시도이다. 차량 걸림 결합부(24R)는, 크게 나누어, 홀더(51), 변위 걸림 결합부(52), 레버 보유 지지부(53), 변위 레버(54) 및 복수의 리벳(5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5에는, 차량측의 설치 금속 부재(50)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설치 금속 부재(50)는, 중심축을 좌우 방향을 따르게 한 가늘고 긴 원기둥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홀더(51)는, 하측판(51A)에 대해 내측판(51B) 및 외측판(51C)이 각각 접속됨으로써, 전체로서 중공의 직육면체로부터 상측면, 전측면 및 후측면을 제거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홀더(51)는, 비교적 두꺼운 강판에 절삭이나 굴곡 등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제조되어 있어, 충분한 강성을 갖고 있다.
하측판(51A)은, 전후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측판(51B)은, 대략 정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하변이 하측판(51A)의 좌변과 접속되어 있다. 외측판(51C)은, 내측판(51B)과 마찬가지의 정사각형으로부터 전방 상측의 정점 근방을 직사각형으로 잘라낸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하변이 하측판(51A)의 우변과 접속되어 있다. 내측판(51B) 및 외측판(51C)에는, 상술한 걸림 결합 보강축(43)(도 4)이나 복수의 리벳(55)을 각각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복수의 구멍부가 마련되어 있다.
변위 걸림 결합부(52)는, 홀더(51)와 비교하여, 전후 방향에 관하여 충분히 길고, 좌우 방향에 관하여 약간 짧고, 상하 방향에 관하여 절반 정도의 길이의 직육면체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변위 걸림 결합부(52)는, 내부에 마련되는 금속 부품과 외주의 대부분을 덮는 수지 부품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변위 걸림 결합부(52)는, 크게 나누어 후방측의 후단부(61), 중앙의 중앙부(62) 및 전방측의 전단부(6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후단부(61)는, 후방측에, 전방향을 향하여 잘라내어짐과 함께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홈 부분(61A)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 걸림 결합 갈고리(61B)나 도시하지 않은 가압 부재 등이 마련되어 있다. 이 후단부(61)는, 홈 부분(61A)에 설치 금속 부재(50)가 들어가면, 걸림 결합 갈고리(61B)를 해당 설치 금속 부재(50)에 걸림 결합시켜, 가압 부재의 작용에 의해 걸림 결합한 상태를 유지한다.
중앙부(62)는, 내부에 있어서의 좌측에, 법선을 좌우 방향으로 향하게 한 금속제의 판상 부품인 중앙판(62A)이 내장되어 있다. 이 중앙판(62A)에는, 상하 방향의 중앙 근처도 약간 하측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을 따라서 소정 간격마다 배열된 복수 개소에,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둥근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위치 결정 구멍(62AH)이 각각 뚫려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앙부(62)에는, 상하 방향의 중앙 근처도 약간 하측에 전후 방향을 따른 긴 구멍(62H)이 마련되어 있다. 긴 구멍(62H)은, 중앙판(62A)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단부(63)에는, 걸림 결합 해제 레버(63A)가 마련되어 있다. 이 걸림 결합 해제 레버(63A)는, 전후 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중앙부(62) 내에 마련된 연동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후단부(61)의 걸림 결합 갈고리 등과 연동하고 있다. 변위 걸림 결합부(52)는, 후단부(61)에 있어서 걸림 결합 갈고리(61B)를 설치 금속 부재(50)에 걸림 결합시킨 상태에서, 전단부(63)의 걸림 결합 해제 레버(63A)가 조작되면, 해당 걸림 결합 갈고리(61B)와 해당 설치 금속 부재(50)의 걸림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레버 보유 지지부(53)는, 소정의 수지 재료에 의한 성형 부품이며, 전후 방향으로 긴 직육면체상으로 형성된 본체부(53A)의 우측면에 있어서의 전방 근처에, 상하 방향으로 길고 좌우 방향으로 얇은 판상의 레버 대응부(53B)를 접합시킨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체부(53A)는, 홀더(51)와 비교하여, 전후 방향의 길이가 동등하고, 좌우 방향의 길이가 약간 짧고, 상하 방향의 길이가 약 절반으로 되어 있다. 이 본체부(53A)는, 내부에 복수의 보강 부재가 마련되어 있어, 특히 상하 방향으로부터 비교적 큰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 그 형상을 거의 변형시키지 않고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레버 대응부(53B)는, 좌우 방향으로 짧은 편평한 중공의 직육면체로부터 우측면을 생략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레버 보유 지지부(53)에는, 홀더(51)와 마찬가지로, 상술한 걸림 결합 보강축(43)(도 3)이나 복수의 리벳(55)을 각각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복수의 구멍부가 마련되어 있다.
변위 레버(54)는, 레버 본체부(54A), 각기둥부(54B) 및 원기둥부(54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레버 본체부(54A)는, 레버 보유 지지부(53)의 레버 대응부(53B)와 비교하여,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약간 짧고, 좌우 방향으로 약간 긴 직육면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기둥부(54B)는, 레버 본체부(54A)의 좌측면에 있어서의 상방 근처로부터, 좌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사각기둥으로 되어 있다. 이 각기둥부(54B)에는, 스프링(54BS) 등이 내장되어 있다.
원기둥부(54C)는, 중심축을 좌우 방향을 따르게 한 원기둥상이며, 레버 본체부(54A)의 좌측면에 있어서의 하부 근처로부터, 좌방향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원기둥부(54C)의 직경은, 중앙부(62)의 중앙판(62A)에 마련된 각 위치 결정 구멍(62AH)의 직경보다도 약간 작게 되어 있다. 이 원기둥부(54C)는, 소정의 금속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 충분한 강도를 갖고 있다.
리벳(55)은, 소정의 금속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리벳(55)은, 중심축을 좌우 방향을 따르게 한 원기둥상의 원기둥부(55A)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고, 해당 원기둥부(55A)의 일단에 원판상 내지 반구상의 헤드부(55B)가 미리 마련되어 있다. 또한, 원기둥부(55A)의 타단은, 코킹부(55C)로 되어 있다. 코킹부(55C)는, 당초의 형상이 원기둥부(55A)와 마찬가지의 원기둥상이지만, 소정의 공구를 사용하여 코킹 가공이 행해짐으로써, 원판상 내지 반구상으로 변형된다. 헤드부(55B)의 직경 및 변형 후의 코킹부(55C)의 직경은, 원기둥부(55A)의 직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차량 걸림 결합부(24R)는, 제조 시에, 홀더(51)에 있어서의 내측판(51B) 및 외측판(51C) 사이에, 변위 걸림 결합부(52)가 삽입되고, 또한 레버 보유 지지부(53)의 본체부(53A)가 삽입된다. 계속해서, 차량 걸림 결합부(24R)는, 홀더(51) 및 레버 보유 지지부(53)에 마련된 각 둥근 구멍에 각 리벳(55)이 각각 삽입 관통되고, 코킹부(55C)에 코킹 가공이 실시된다.
또한, 차량 걸림 결합부(24R)는, 레버 보유 지지부(53)의 우측으로부터 변위 레버(54)가 설치된다. 이때 변위 레버(54)의 원기둥부(54C)는, 중앙부(62)의 중앙판(62A)에 마련된 어느 위치 결정 구멍(62AH)에 삽입 관통된다. 또한, 변위 레버(54)는, 스프링(54BS)의 작용에 의해, 좌방향으로, 즉 레버 보유 지지부(53)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그 후, 차량 걸림 결합부(24R)는, 홀더(51) 및 레버 보유 지지부(53)에 걸림 결합 보강축(43)(도 3)이 삽입 관통됨과 함께, 해당 홀더(51) 및 해당 레버 보유 지지부(53)가 시트부 상부 부품(11U)(도 4)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하여 조립된 차량 걸림 결합부(24R)는, 변위 레버(54)의 원기둥부(54C)가 중앙판(62A)의 위치 결정 구멍(62AH)에 삽입 관통되기 때문에, 홀더(51)에 대하여 변위 걸림 결합부(52)의 위치를 고정한 상태로 된다. 또한, 차량 걸림 결합부(24R)는, 변위 레버(54)에 우방향으로 향하는 힘이 가해져, 해당 변위 레버(54)가 우방향으로 변위하면, 원기둥부(54C)가 중앙판(62A)의 위치 결정 구멍(62AH)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로 된다.
이때, 차량 걸림 결합부(24R)에서는, 변위 걸림 결합부(52)를 전후 방향으로 변위시킬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원하는 위치로 변위된다. 그 후, 차량 걸림 결합부(24R)에서는, 변위 레버(54)에 가해진 힘이 개방되면, 스프링(54BC)의 작용에 의해 변위 레버(54)가 좌방향으로 변위하고, 원기둥부(54C)가 중앙판(62A)의 위치 결정 구멍(62AH)에 삽입 관통되어, 변위 걸림 결합부(52)의 위치가 고정된다.
그런데, 차량 걸림 결합부(24R)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홀더(51)가 충분한 강도를 갖는 금속 재료에 의해 구성되고, 레버 보유 지지부(53)의 강도가 보강 부재에 의해 높여져 있다. 또한 차량 걸림 결합부(24R)는, 복수의 리벳(55)에 의해 홀더(51)에 대해 레버 보유 지지부(53)가 고정됨과 함께, 해당 홀더(51) 및 해당 레버 보유 지지부(53)에 걸림 결합 보강축(43)이 삽입 관통되어 있다. 이 때문에, 차량 걸림 결합부(24R)는, 만약 레버 보유 지지부(53)의 상측으로부터 비교적 큰 외력이 가해진 경우, 거의 변형되지 않고, 리벳(55) 및 걸림 결합 보강축(43)을 통해, 홀더(51)에 의해 이 외력을 받아낼 수 있다.
또한, 차량 걸림 결합부(24R)는, 시트부 상부 부품(11U)(도 4)에 설치되었을 때, 레버 보유 지지부(53)(도 5)의 상면을, 암레스트(22R)의 하방 맞닿음부(35)에 맞닿게 한다. 이 때문에, 차량 걸림 결합부(24R)는, 만약 암레스트(22R)의 하방 맞닿음부(35)로부터 하방향을 향하여 비교적 큰 힘이 가해진 경우, 이 힘을 레버 보유 지지부(53)로부터 리벳(55) 및 걸림 결합 보강축(43)을 통해 금속제의 홀더(51)에 전달하여, 받아낼 수 있다.
[3. 배면부의 구성]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배면부(12)를 도시하는 개략 선적인 사시도이다. 배면부(12)는, 시트부(11)에 설치되는 배면 기체부(71)와, 해당 배면 기체부(71)의 전방측에 있어서 상하 방향의 슬라이드(변위)가 가능한 배면 변위부(7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배면 기체부(71)는, 전체로서 상하 방향으로 길고, 좌우 방향으로 약간 짧고, 전후 방향으로 더 짧은 직육면체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배면 기체부(71)는, 그 대부분이 수지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주로 전방측이나 내측의 면을 형성하는 부품과, 주로 후방측이나 외측을 형성하는 부품의 조합에 의해,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배면 기체부(71)의 각 부에는, 다양한 부품을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구멍이나 통기성을 확보하기 위한 통기 구멍이 적절히 마련되어 있다.
또한, 배면 기체부(71)는, 좌우 양변에 있어서의 상측 부분에, 전방으로 돌출된 측방 보호부(7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면 기체부(71)의 좌우 양변의 하단 근방의 전방면, 즉 측방 보호부(73)의 하측에는, 배면측 맞닿음부(74)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배면측 맞닿음부(74)는, 대략 평탄한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당해 평면의 법선이 거의 전방향을 향하고 있다. 이 배면측 맞닿음부(74)에는, 충격 흡수재(75)가 각각 첩부되어 있다. 충격 흡수재(75)는, 예를 들어 밀도가 비교적 높은 우레탄폼을 사용할 수 있다. 덧붙여서 도 6에서는, 작도의 사정상, 우측만 충격 흡수재(75)를 나타내고 있다.
배면 기체부(71)의 하단 부분에는, 좌우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약간 이격된 2개소에, 시트부(11)와 걸림 결합하는 배면측 걸림 결합부(7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배면측 걸림 결합부(76)는, 전체로서 상하 방향으로 길고 좌우 방향으로 짧은 직육면체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좌우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있어서의 하측 부분의 형상이 반원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배면측 걸림 결합부(76)에는, 상하 방향의 중앙 부근에, 후측면으로부터 전후 방향의 중앙 부근에 걸치는 범위가 도려 내어짐으로써, 걸림 결합 홈(77)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 결합 홈(77)은, 배면측 걸림 결합부(76)의 좌측면으로부터 우측면에 이르는 범위에 걸쳐 관통하고 있고, 그 전단 부근이 좌우 방향으로부터 보아 반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면 변위부(72)는, 상측에 유유아의 헤드부를 보호하는 부분이 형성됨과 함께, 하측에 해당 유유아의 어깨나 등 등을 지지하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면 변위부(72)에는, 시트 벨트(4)를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구멍이나 통기성을 확보하기 위한 통기 구멍 등도 형성되어 있다.
[4.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각 부의 위치 관계]
그런데 차일드 시트 본체(2)는, 사용 상태(도 2)에 있어서, 시트부(11)의 시트측 걸림 결합부(23)(도 3 등)와 배면부(12)의 배면측 걸림 결합부(76)(도 6)가 걸림 결합된다. 여기서, 도 7은 차일드 시트 본체(2)를 전방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8은 차일드 시트 본체(2)를 우측으로부터 본 경우의 하측 부분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있어서의 A1-A2 단면을 우측으로부터 본 경우의 하측 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있어서의 B1-B2 단면을 우측으로부터 본 경우의 하측 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 본체(2)는, 사용 상태에 있어서, 시트부(11)의 걸림 결합 공간(41)에 배면부(12)의 배면측 걸림 결합부(76)가 들어가고, 또한, 배면부(12)의 걸림 결합 홈(77)에 시트부(11)의 걸림 결합축(42)이 들어간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차일드 시트 본체(2)는, 사용 상태에 있어서, 차량의 좌석에 설치됨과 함께 사용되는(유유아가 착좌하는) 경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부(11)의 차량 걸림 결합부(24)가 당해 차량의 설치 금속 부재(50)에 걸림 결합된다.
덧붙여서, 차일드 시트 본체(2)는, 사용 상태에 있어서, 시트부(11)의 소정 개소에 형성된 돌기(도시하지 않음)와 배면부(12)의 소정 개소에 형성된 돌기(도시하지 않음)를 걸림 결합시키고 있다. 이에 의해, 차일드 시트 본체(2)는, 사용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차일드 시트 본체(2)는, 배면부(12)의 상측 부분에 후방을 향하여 비교적 큰 힘이 가해지면, 돌기끼리의 걸림 결합을 해제하여, 시트부(11)로부터 해당 배면부(12)를 분리할 수 있다.
이 사용 상태에 있어서, 차일드 시트 본체(2)에서는, 배면부(12)에 있어서의 배면측 맞닿음부(74) 및 충격 흡수재(75)의 직전에, 시트부(11)에 있어서의 암레스트(22)의 후방 맞닿음부(34)가 위치하고 있다. 또한, 시트부(11)에서는, 암레스트(22)의 보강부(33)에 의해, 후방 맞닿음부(34) 및 하방 맞닿음부(35) 사이에 있어서의 강성이 확보되어 있고,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레스트(22)의 하방 맞닿음부(35)가 차량 걸림 결합부(24)의 레버 보유 지지부(53)에 맞닿아 있다. 또한, 차량 걸림 결합부(24)에서는, 레버 보유 지지부(53)가 리벳(55) 등을 통해 홀더(51)에 고정되어 있고, 또한 변위 레버(54)에 의해 레버 보유 지지부(53)와 변위 걸림 결합부(52)가 걸림 결합하고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 본체(2)의 시트부(11)에서는, 시트측 걸림 결합부(23)의 걸림 결합축(42) 및 후방 맞닿음부(34)를 연결하는 후방 가상 맞닿음선 X34와, 해당 걸림 결합축(42) 및 하방 맞닿음부(35)를 연결하는 하방 가상 맞닿음선 X35가 이루는 각도 α가, 90도 미만의 예각으로 되어 있다. 설명의 사정상, 이하에서는, 후방 가상 맞닿음선 X34를 제1 가상 맞닿음선이라고도 칭하고, 하방 가상 맞닿음선 X35를 제2 가상 맞닿음선이라고도 칭한다.
[5. 효과 등]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차일드 시트(1)는, 차일드 시트 본체(2)를 시트부(11)와 배면부(12)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고, 사용 상태(도 2 등)에 있어서, 시트부(11)의 시트측 걸림 결합부(23)와 배면부(12)의 배면측 걸림 결합부(76)를 걸림 결합시킨다.
차일드 시트(1)가 좌석에 탑재된 차량은, 전진 중에 급정차하는 경우나 충돌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당해 차량이 정지하려고 하지만, 당해 차일드 시트(1)가 관성 모멘트에 의해 전진을 계속하려고 한다. 이때, 차일드 시트 본체(2)에서는, 서로 분리 가능한 시트부(11) 및 배면부(12)에 있어서, 각각의 무게 중심의 위치에 대해, 전방향을 향하는 힘이 작용한다고 생각된다.
시트부(11)는, 후방측에 위치하는 차량 걸림 결합부(24)에 의해 차량의 설치 금속 부재(50)와 걸림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전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배면부(12)는, 하측에 있어서, 배면측 걸림 결합부(76)의 전방측 부분이 시트부(11)에 있어서의 걸림 결합 공간(41)의 내벽에 맞닿거나 하여, 전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지만, 상측에 있어서, 전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배면부(12)는, 상측을 전하방으로 쓰러뜨리도록, 상세하게는, 시트부(11)의 걸림 결합축(42)을 중심으로 하여, 도 10 등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동작하려고 한다.
이때, 배면부(12)는, 배면측 맞닿음부(74)에 설치된 충격 흡수재(75)를 시트부(11)에 있어서의 암레스트(22)의 후방 맞닿음부(34)에 맞닿게 하여, 전방 하방 방향을 향하는 힘 F12(도 9)를 가한다. 시트부(11)는, 보강부(33)가 내장된 암레스트(22)에 의해, 이 힘 F12를 하방 맞닿음부(35)로부터 차량 걸림 결합부(24)에 전달한다.
여기서, 시트부(11)는, 차량 걸림 결합부(24)가 금속 부품 등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며, 또한 차량의 설치 금속 부재(50)와 걸림 결합하고 있다. 또한 시트부(11)는, 그 하면이, 차량에 있어서의 좌석의 시트면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이 때문에, 시트부(11)는, 보강부(33)가 내장된 암레스트(22) 및 금속 부품 등이 내장된 차량 걸림 결합부(24)에 의해, 해당 암레스트(22) 및 차량 걸림 결합부(24)의 위치나 형상을 유지한 채로, 배면부(12)로부터의 힘을 받아내어, 해당 배면부(12)의 회동을 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일드 시트(1)는, 시트부(11)에 대한 배면부(12)의 위치나 각도를 거의 변화시키지 않고, 착좌하고 있는 유유아를 보호할 수 있다.
특히, 시트부(11)의 암레스트(22)는, 배면부(12)와 맞닿는 후방 맞닿음부(34)로부터 차량 걸림 결합부(24)와 맞닿는 하방 맞닿음부(35)까지의 범위에 보강부(33)를 마련하였다. 이 때문에, 암레스트(22)는, 배면부(12)로부터 비교적 큰 힘이 후방 맞닿음부(34)에 가해졌다고 해도, 해당 암레스트(22)를 거의 변형시키지 않고, 이 힘을 해당 후방 맞닿음부(34)로부터 보강부(33)를 통해 하방 맞닿음부(35)에 전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차일드 시트(1)에서는, 시트부(11) 및 배면부(12)를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구성으로 하면서도, 해당 시트부(11)에 있어서 해당 배면부(12)와 맞닿는 개소에 있어서의 금속 부품의 추가나, 차량 걸림 결합부(24)에 있어서의 금속 부품의 대형화 등을 할 필요가 없다. 이에 의해, 차일드 시트(1)에서는, 이들 금속 부품을 사용하여 배면부(12)의 힘을 받아내는 구성과 비교하여,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면서, 금속 부품의 점수 삭감이나 소형화 등이 가능해져, 경량화나 비용의 저렴화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시트부(11)에서는, 걸림 결합축(42)으로부터 하방 맞닿음부(35)까지의 거리와 비교하여, 해당 걸림 결합축(42)으로부터 후방 맞닿음부(34)까지의 거리를 충분히 크게, 예를 들어 약 4배 정도가 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차일드 시트(1)에서는, 배면부(12)가 시트부(11)의 걸림 결합축(42)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자고 할 때, 지레의 원리에 의해, 해당 걸림 결합축(42)으로부터 비교적 먼 곳에 위치하는 후방 맞닿음부(34)에 대해, 비교적 작은 힘이 가해지게 된다.
이 때문에, 차일드 시트(1)에서는, 시트부(11)의 암레스트(22)를 수지 재료에 의한 성형 부품으로 하여, 금속 부품을 사용하는 경우보다도 강도가 낮게 되어 있지만, 적절하게 보강된 보강부(33)에 의해, 배면부(12)로부터 가해지는 힘을 충분히 버틸 수 있다. 이것과 마찬가지로, 차일드 시트(1)에서는, 배면부(12) 측에 대해서도, 배면측 맞닿음부(74)나 그 근방을 수지 재료에 의한 성형 부품으로 하고, 또한 내부에 수지 재료에 의한 보강 부분을 적절히 마련함으로써,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면서, 경량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시트부(11)에서는, 걸림 결합축(42)을 보강하는 걸림 결합 보강축(43)의 단부 근방을 차량 걸림 결합부(24)의 홀더(51)에 삽입 관통시키도록 하였다(도 4 및 도 5). 이 때문에 차일드 시트(1)에서는, 차량의 충돌 등에 의해 배면부(12)가 상측을 전하방으로 쓰러뜨리는 힘이 작용하였을 때, 그 반작용으로서 걸림 결합 보강축(43)이 후방향으로 빠지려고 하는 힘을, 차량 걸림 결합부(24)의 홀더(51)에 의해 확실하게 받아낼 수 있다. 즉, 차일드 시트(1)에서는, 배면부(12)로부터 시트부(11)에 대하여 후방 맞닿음부(34) 및 걸림 결합 보강축(43)을 통해 각각 가해지는 힘을, 금속 부품이 내장된 차량 걸림 결합부(24)에 의해, 최종적으로 모두 받아낼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차일드 시트(1)에서는, 차량의 충돌 등에 의해 배면부(12)가 상측을 전하방으로 쓰러뜨리는 힘이 작용하였을 때, 해당 배면부(12)로부터 가해지는 전방향을 향하는 힘을, 시트부(11)에 있어서의 어느 개소에 의해 받아낼 필요가 있다. 또한, 차일드 시트(1)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레의 원리를 고려하면, 걸림 결합축(42)으로부터 비교적 먼 개소에 있어서, 배면부(12)로부터의 힘을 받아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차일드 시트(1)에서는, 시트부(11)에 있어서 시트면(21S)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암레스트(22)에 주목하여, 암레스트로서의 본래의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해당 암레스트(22)를 통상보다도 높게 구성하였다. 이 때문에 차일드 시트(1)는, 배면부(12)로부터의 힘을 받아내는 후방 맞닿음부(34)를, 걸림 결합축(42)으로부터 먼 곳에 배치할 수 있음과 함께, 충분한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일드 시트(1)는, 후방 맞닿음부(34)에 가해지는 힘을 작게 억제함과 함께, 단위 면적당 작용하는 힘도 작게 억제할 수 있어, 금속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수지 재료에 의해 필요한 강도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것에 더하여 시트부(11)에서는, 좌우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걸림 결합축(42) 및 후방 맞닿음부(34)를 연결하는 후방 가상 맞닿음선 X34와, 해당 걸림 결합축(42) 및 하방 맞닿음부(35)를 연결하는 하방 가상 맞닿음선 X35가 이루는 각도를, 90도 미만의 예각으로 하였다(도 9). 이 때문에 시트부(11)는, 배면부(12)가 걸림 결합축(42)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자고 할 때, 당해 배면부(12)로부터 후방 맞닿음부(34)에 가해지는 힘 F12의 일부분을, 차량 걸림 결합부(24)를 향하는 성분으로 하여, 하방 맞닿음부(35)로부터 해당 차량 걸림 결합부(24)에 전달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차일드 시트(1)는, 사용 상태에 있어서, 차일드 시트 본체(2)에 있어서의 시트부(11)의 시트측 걸림 결합부(23)와 배면부(12)의 배면측 걸림 결합부(76)를 걸림 결합시킨다. 또한, 차일드 시트(1)는, 금속 부품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차량 걸림 결합부(24)가, 차량의 설치 금속 부재(50)에 걸림 결합된다. 차일드 시트(1)는, 당해 차량이 전진 중에 급정차한 경우 등에, 배면부(12)의 배면측 맞닿음부(74) 및 충격 흡수재(75)를 시트부(11)에 있어서의 암레스트(22)의 후방 맞닿음부(34)에 맞닿게 하고, 보강부(33)를 통해 이 힘을 하방 맞닿음부(35)로부터 차량 걸림 결합부(24)에 전달한다. 이에 의해, 차일드 시트(1)는, 차량 걸림 결합부(24)에 의해 배면부(12)로부터의 힘을 받아내어 해당 배면부(12)의 회동을 저지할 수 있으므로, 시트부(11)에 대한 배면부(12)의 위치나 각도를 거의 변화시키지 않고, 착좌하고 있는 유유아를 보호할 수 있다.
[6. 다른 실시 형태]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시트부(11)에 있어서의 암레스트(22)에 후방 맞닿음부(34)를 마련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도 3 등).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암레스트(22)의 후방측에, 시트 본체부(21)로부터 상방으로 기립 설치하는 배면 지지부(도시하지 않음)를 마련하고, 이 배면 지지부의 후방면에 후방 맞닿음부(34)를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당해 배면 지지부의 내부에 보강부(33)를 마련함과 함께, 그 하부에 하방 맞닿음부(35)를 마련하고, 해당 하방 맞닿음부(35)를 차량 걸림 결합부(24)에 맞닿게 하면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차량 걸림 결합부(24)에 의해 걸림 결합 보강축(43)을 지지함과 함께, 해당 차량 걸림 결합부(24)에 암레스트(22)의 하방 맞닿음부(35)를 맞닿게 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도 9 등).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차량 걸림 결합부(24)와 다른 부품에 의해 걸림 결합 보강축(43)을 지지함과 함께, 당해 부품에 암레스트(22)의 하방 맞닿음부(35)를 맞닿게 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당해 부품이 금속 등에 의해 구성되어, 충분한 강도를 갖고 있으면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차량 걸림 결합부(24)의 홀더(51) 등에 의해 걸림 결합 보강축(43)을 지지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차량 걸림 결합부(24)와 상이한 다른 부품에 의해 걸림 결합 보강축(43)을 지지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시트부(11)에 있어서, 걸림 결합축(42)으로부터 하방 맞닿음부(35)까지의 거리와 비교하여, 해당 걸림 결합축(42)으로부터 후방 맞닿음부(34)까지의 거리를 약 4배 정도로 크게 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걸림 결합축(42)으로부터 후방 맞닿음부(34)까지의 거리를, 걸림 결합축(42)으로부터 하방 맞닿음부(35)까지의 거리에 대한 다양한 비율로 해도 된다. 혹은, 걸림 결합축(42)으로부터 하방 맞닿음부(35)까지의 거리를, 해당 걸림 결합축(42)으로부터 후방 맞닿음부(34)까지의 거리보다도 작게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시트부(11)에 있어서, 시트측 걸림 결합부(23)의 걸림 결합축(42) 및 후방 맞닿음부(34)를 연결하는 후방 가상 맞닿음선 X34와, 해당 걸림 결합축(42) 및 하방 맞닿음부(35)를 연결하는 하방 가상 맞닿음선 X35가 이루는 각도 α를, 90도 미만의 예각으로 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당해 각도 α를 90도 이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사용 상태에 있어서, 시트부(11)의 시트측 걸림 결합부(23)에 마련한 걸림 결합축(42)을 배면부(12)의 배면측 걸림 결합부(76)에 마련한 걸림 결합 홈(77)에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해당 시트부(11) 및 해당 배면부(12)를 연결시키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도 10 등).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시트부(11)에 있어서의 시트면(21S)의 후단 근방에 구멍부를 마련하고, 배면부(12)의 배면측 걸림 결합부(76)를 당해 구멍부에 삽입시키는 등, 다양한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해당 시트부(11) 및 해당 배면부(12)를 연결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 형태 및 다른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 형태와 상술한 다른 실시 형태의 일부 또는 전부를 임의로 조합한 실시 형태나, 일부를 추출한 실시 형태에도 그 적용 범위가 미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시트부로서의 시트부(11)와, 배면부로서의 배면부(12)와, 차량 걸림 결합부로서의 차량 걸림 결합부(24)와, 시트측 걸림 결합부로서의 시트측 걸림 결합부(23)와, 배면측 걸림 결합부로서의 배면측 걸림 결합부(76)와, 보유 지지부로서의 암레스트(22)와, 제1 맞닿음부로서의 후방 맞닿음부(34)와, 제2 맞닿음부로서의 하방 맞닿음부(35)에 의해 차일드 시트로서의 차일드 시트(1)를 구성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밖에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시트부와, 배면부와, 차량 걸림 결합부와, 시트측 걸림 결합부와, 배면측 걸림 결합부와, 보유 지지부와, 제1 맞닿음부와, 제2 맞닿음부에 의해 차일드 시트를 구성해도 된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시트부와 배면부를 분리 가능한 차일드 시트에서 이용할 수 있다.
1: 차일드 시트
2: 차일드 시트 본체
11: 시트부
12: 배면부
21: 시트 본체부
21S: 시트면
22: 암레스트
23: 시트측 걸림 결합부
24: 차량 걸림 결합부
31: 암레스트 본체부
32: 팔 지지부
33: 보강부
34: 후방 맞닿음부
35: 하방 맞닿음부
41: 걸림 결합 공간
42: 걸림 결합축
43: 걸림 결합 보강축
50: 설치 금속 부재
51: 홀더
52: 변위 걸림 결합부
53: 레버 보유 지지부
54: 변위 레버
55: 리벳
71: 배면 기체부
72: 배면 변위부
73: 측방 보호부
74: 배면측 맞닿음부
75: 충격 흡수재
76: 배면측 걸림 결합부
77: 걸림 결합 홈
X34: 후방 가상 맞닿음선
X35: 하방 가상 맞닿음선

Claims (6)

  1. 유유아가 착좌하는 시트부와,
    상기 유유아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배면부와,
    상기 시트부에 마련되며, 금속 부품을 갖고, 차량과 걸림 결합하는 차량 걸림 결합부와,
    상기 시트부에 마련되며, 상기 배면부와 걸림 결합하는 시트측 걸림 결합부와,
    상기 배면부에 마련되며, 상기 시트측 걸림 결합부와 걸림 결합하는 배면측 걸림 결합부와,
    상기 시트부에 마련되며, 수지 재료에 의해 성형되며, 소정의 크기의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 상기 시트측 걸림 결합부에 대한 위치 및 형상을 유지하는 보유 지지부와,
    상기 보유 지지부에 마련되며, 상기 배면부와 맞닿는 제1 맞닿음부와,
    상기 보유 지지부에 마련되며, 상기 차량 걸림 결합부의 상기 제1 맞닿음부측과 맞닿는 제2 맞닿음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지지부는, 암레스트이며,
    상기 보유 지지부의 상기 제1 맞닿음부는, 상기 암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배면부와 대향하는 개소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지지부는, 상기 제1 맞닿음부와 상기 제2 맞닿음부 사이에 있어서의 당해 보유 지지부의 내부에, 법선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향하게 한 복수의 박판상의 리브에 의해 보강하는 보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상기 시트측 걸림 결합부로부터 상기 제1 맞닿음부까지의 거리가, 당해 시트측 걸림 결합부로부터 상기 제2 맞닿음부까지의 거리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측 걸림 결합부는, 상기 유유아로부터 본 경우의 좌우 방향을 따른 주상 부품을 갖고,
    상기 차량 걸림 결합부는, 상기 주상 부품과 걸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측 걸림 결합부는, 상기 유유아를 좌우 방향부터 본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시트측 걸림 결합부 및 상기 제1 맞닿음부를 연결하는 가상적인 제1 가상 맞닿음선과, 상기 시트측 걸림 결합부 및 상기 제2 맞닿음부를 연결하는 가상적인 제2 가상 맞닿음선이 이루는 각도가, 90도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KR1020247013487A 2021-11-09 2021-11-09 차일드 시트 KR202400992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1/041231 WO2023084616A1 (ja) 2021-11-09 2021-11-09 チャイルドシー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99204A true KR20240099204A (ko) 2024-06-28

Family

ID=86335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3487A KR20240099204A (ko) 2021-11-09 2021-11-09 차일드 시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351575B1 (ko)
KR (1) KR20240099204A (ko)
CN (1) CN118201804A (ko)
TW (1) TWI834280B (ko)
WO (1) WO202308461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0446A (ja) 2013-04-17 2014-11-13 株式会社 日本育児 幼児拘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39647B2 (ja) * 1999-12-20 2010-03-24 コンビ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固定装置
DE102007022463A1 (de) * 2007-05-09 2008-11-13 Takata-Petri Ag Messsystem
US20120292963A1 (en) * 2011-05-19 2012-11-22 Baby Trend, Inc. Seat adjustment mechanism
CN103465804B (zh) * 2013-09-10 2016-05-11 宁波源元汽车用品有限公司 一种汽车儿童安全座椅
JP2019202673A (ja) * 2018-05-24 2019-11-28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JP7122754B2 (ja) * 2019-11-12 2022-08-22 株式会社シーエー産商 チャイルドシー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0446A (ja) 2013-04-17 2014-11-13 株式会社 日本育児 幼児拘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3084616A1 (ko) 2023-05-19
TWI834280B (zh) 2024-03-01
WO2023084616A1 (ja) 2023-05-19
CN118201804A (zh) 2024-06-14
JP7351575B1 (ja) 2023-09-27
TW202327914A (zh) 202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1951B2 (en) Child safety seat
EP1908628B1 (en) Vehicle seat and vehicle seat assembling method
US8840178B2 (en) Seatback for vehicle seat
JP6004909B2 (ja) 車両用シート
EP1953035B1 (en) Child seat
CN107901807B (zh) 头枕
JP2009126283A (ja) 車両用シート
JP6555102B2 (ja) 乗物用シート
EP4360949A2 (en) Child safety seat
JPWO2014049730A1 (ja) ヘッドレスト
US4423905A (en) Latch mechanism
CN101243925A (zh) 头枕
KR20240099204A (ko) 차일드 시트
JP5710831B1 (ja) ヘッドレスト用傾倒装置及びヘッドレスト
JP5314559B2 (ja) ヘッドレスト
WO2016199299A1 (ja) ヘッドレスト
JP2011255860A (ja) 自動車のシートバックの支持構造
JP5456354B2 (ja) 乗物用シート
JP5420918B2 (ja) 乗物用シート
JP6565631B2 (ja) 乗物用シート
US11192482B2 (en) Headrest assembly including locking arrangement reducing BSR
KR102419987B1 (ko) 헤드레스트 모듈
CN109552116B (zh) 锁止解除单元
US20220340055A1 (en) Vehicle seat
JP2019010904A (ja) 車両用シー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