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98835A -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98835A
KR20240098835A KR1020220180961A KR20220180961A KR20240098835A KR 20240098835 A KR20240098835 A KR 20240098835A KR 1020220180961 A KR1020220180961 A KR 1020220180961A KR 20220180961 A KR20220180961 A KR 20220180961A KR 20240098835 A KR20240098835 A KR 20240098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orming
material layer
insulating
insul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0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철성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40098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9883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B12/02Manufacture or treatment for one transistor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05Making the transis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969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not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B12/02Manufacture or treatment for one transistor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03Making the capacitor or connections thereto
    • H10B12/033Making the capacitor or connections thereto the capacitor extending over the transisto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48Data lines or contacts therefor
    • H10B12/482Bit lin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48Data lines or contacts therefor
    • H10B12/488Word lines

Abstract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은 제 1 절연층과 상기 제 1 절연층 상에 순차로 적층된 제 1 희생층 및 제 2 절연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적층체를 패터닝하여 상기 제 1 희생층으로부터 얻어진 제 1 희생층 패턴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패턴부를 갖는 패턴화된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턴부의 양측의 빈공간에 절연 물질을 충진하여 상기 패턴화된 적층체와 상기 절연 물질을 포함하는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구조체에 상기 패턴부의 상기 제 1 희생층 패턴을 관통하는 제 1 수직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희생층 패턴을 제거하여 수평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수직홀 및 상기 수평홀의 내측면에 게이트 절연 물질층을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 절연 물질층 상에 상기 제 1 수직홀 및 상기 수평홀을 충진하는 더미(dummy) 채널 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은 상기 구조체의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에 워드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구조체의 커패시터 형성 영역에 커패시터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더미 채널 물질층을 채널 물질층(유효 채널 물질층)으로 대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memory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전자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의 성능 및 반도체 소자의 집적도를 증가시키는 것은 계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반도체 소자의 단위 셀(unit cell)들을 2차원적으로, 즉, 평면적으로 배치하는 것으로는, 반도체 소자의 집적도를 증가시키는데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 이에, 반도체 소자의 단위 셀들을 3차원적으로 집적함으로써, 반도체 소자의 집적도를 크게 증가시키는 기술에 대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낸드(NAND) 소자나 디램(DRAM) 소자와 같은 메모리(memory) 소자의 집적도를 증가시키려는 시도들이 다양한 형태로 시도되고 있다. 아울러, 메모리 소자의 성능 및 동작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 및 개발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높은 이동도(mobility) 특성 및 낮은 오프-커런트(Off-current) 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실리콘 기반의 반도체를 비정질 산화물 반도체(amorphous oxide semiconductor) 등으로 대체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산화물 반도체는 식각 손상(etching damage)에 취약한 단점을 갖기 때문에, 이를 반도체 소자에 적용하였을 때, 패터닝 과정 등에 의해 식각 손상이 발생하여 반도체 소자의 특성이 열화되고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는 수소(H2) 공정에 의해 특성이 열화될 수 있고, 열 공정에 의해서도 특성이 열화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산화물 반도체를 형성한 후, 후속의 수소 공정이나 열 공정을 수행할 경우, 산화물 반도체는 수소에 의한 손상(즉, H2 damage)이나 열에 의한 손상(즉, thermal damage)을 겪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집적도를 높일 수 있고 우수한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반도체 물질(예컨대, 산화물 반도체 물질)의 식각 손상, 수소(H2) 공정에 의한 손상, 열 공정에 의한 손상 등에 따른 특성 열화를 방지 내지 최소화할 수 있는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절연층과 상기 제 1 절연층 상에 순차로 적층된 제 1 희생층 및 제 2 절연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적층체를 패터닝하여 상기 제 1 희생층으로부터 얻어진 제 1 희생층 패턴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패턴부를 갖는 패턴화된 적층체를 형성하되, 상기 패턴부는 제 1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갖고,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에 따른 상기 패턴부의 양측에 빈공간이 구비된 상기 패턴화된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턴부의 양측의 빈공간에 절연 물질을 충진하여 상기 패턴화된 적층체와 상기 절연 물질을 포함하는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구조체에 상기 패턴부의 상기 제 1 희생층 패턴을 관통하는 제 1 수직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수직홀에 의해 노출된 상기 제 1 희생층 패턴을 제거하여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수직홀 및 상기 수평홀의 내측면에 게이트 절연 물질층을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 절연 물질층 상에 상기 제 1 수직홀 및 상기 수평홀을 충진하는 더미(dummy) 채널 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절연 물질층 및 상기 더미 채널 물질층이 형성된 상기 구조체에서 상기 제 1 수직홀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 2 수직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구조체의 상기 제 2 수직홀 주위의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절연층과 상기 절연 물질을 제거하여 상기 게이트 절연 물질층을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에서 상기 노출된 게이트 절연 물질층 부분을 둘러싸는 워드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구조체의 상기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과 인접한 커패시터 형성 영역에 제 1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커패시터 형성 영역에서 상기 제 1 트렌치에 의해 노출된 상기 제 1 및 제 2 절연층과 상기 절연 물질을 제거하여 상기 게이트 절연 물질층을 노출시키는 제 1 리세스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리세스부를 충진하는 몰드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커패시터 형성 영역에서 상기 더미 채널 물질층 및 상기 게이트 절연 물질층을 제거하여 제 2 리세스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리세스부의 내측면에 전극 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전극 부재 상에 유전층 및 플레이트 전극을 순차로 형성하여 상기 전극 부재와 상기 유전층 및 상기 플레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커패시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에서 상기 더미 채널 물질층을 제거하여 빈 채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빈 채널 공간 내에 상기 커패시터와 연결된 채널 물질층을 형성하여 상기 채널 물질층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를 정의하는 단계; 및 상기 채널 물질층에 연결된 비트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 1 절연층, 상기 제 2 절연층 및 상기 절연 물질은 실리콘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희생층은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더미 채널 물질층은 폴리실리콘(poly-Si)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널 물질층은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워드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에서 상기 노출된 게이트 절연 물질층 부분을 둘러싸는 워드 라인용 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워드 라인용 물질층에서 상기 제 2 수직홀에 대응하는 영역을 식각하여 관통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더미 채널 물질층의 일단이 상기 워드 라인용 물질층 보다 상기 관통홀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관통홀을 통해 노출된 상기 워드 라인용 물질층의 일부를 리세스하는 단계; 및 상기 관통홀을 충진하는 바디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패시터 형성 영역에 상기 제 1 리세스부를 형성하는 단계 후, 상기 제 1 리세스부에 의해 노출된 상기 워드 라인용 물질층의 일부를 리세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빈 채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채널 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바디 절연층의 상기 제 2 수직홀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 3 수직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3 수직홀에 의해 노출된 상기 더미 채널 물질층을 제거하여 상기 빈 채널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빈 채널 공간 및 상기 제 3 수직홀 내에 상기 채널 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트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3 수직홀 내에 형성된 상기 채널 물질층 부분을 제거하여 상기 제 3 수직홀을 재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재형성된 제 3 수직홀 내에 상기 비트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패시터 형성 영역에 상기 제 1 리세스부를 형성하는 단계 후, 상기 커패시터 형성 영역에서 상기 노출된 상기 게이트 절연 물질층 부분을 감싸는 삽입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몰드 절연층은 상기 삽입 절연층 상에 상기 제 1 리세스부 및 상기 제 1 트렌치를 충진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몰드 절연층에서 상기 제 1 트렌치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 2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트렌치에 의해 노출된 상기 더미 채널 물질층, 상기 게이트 절연 물질층 및 상기 삽입 절연층을 식각하여 상기 제 2 리세스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극 부재를 형성한 후, 상기 몰드 절연층을 식각하여 상기 전극 부재의 외측면을 노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몰드 절연층을 식각한 후, 상기 유전층 및 상기 플레이트 전극을 순차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적층체는 상기 제 2 절연층 상에 순차로 적층된 제 2 희생층 및 제 3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적층체는 상기 제 2 절연층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절연층은 상기 제 1 절연층, 상기 제 3 절연층, 상기 제 1 희생층 및 상기 제 2 희생층 각각의 두께 보다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트랜지스터는 제 1 트랜지스터일 수 있고, 상기 커패시터는 제 1 커패시터일 수 있으며, 상기 메모리 소자는 상기 제 1 트랜지스터 상에 배치되는 제 2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커패시터 상에 배치되는 제 2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집적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우수한 성능 및 동작 특성을 가질 수 있는 적층형 메모리 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반도체 물질(예컨대, 산화물 반도체 물질)의 식각 손상, 수소(H2) 공정에 의한 손상, 열 공정에 의한 손상 등에 따른 특성 열화를 방지 내지 최소화할 수 있는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주어진 방식에 따라 희생층을 패터닝한 후, 상기 희생층의 패턴을 제거한 영역(공간)에 더미 물질을 형성한 다음, 소자의 제조가 거의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더미 물질을 유효 반도체 물질(예컨대, 산화물 반도체 물질)로 대체함으로써, 유효 반도체 물질(예컨대, 산화물 반도체 물질)의 식각 손상, 수소(H2)에 의한 손상, 열에 의한 손상 등에 따른 특성 열화를 방지 내지 최소화할 수 있는 적층형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상기 적층형 메모리 소자는 수평 적층형 디램(DRAM)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도 1a, 도 2a, 도 3a, 도 4a, 도 5a, 도 6a, 도 7a, 도 8a, 도 9a, 도 10a, 도 11a, 도 12a, 도 13a, 도 14a, 도 15a, 도 16a, 도 17a, 도 18a, 도 19a, 도 20a, 도 21a, 도 22a, 도 23a, 도 24a, 도 25a, 도 26a, 도 27a, 도 28a 및 도 2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b, 도 2b, 도 3b, 도 4b, 도 5b, 도 6b, 도 7b, 도 8b, 도 9b, 도 10b, 도 11b, 도 12b, 도 13b, 도 14b, 도 15b, 도 16b, 도 17b, 도 18b, 도 19b, 도 20b, 도 21b, 도 22b, 도 23b, 도 24b, 도 25b, 도 26b, 도 27b, 도 28b 및 도 2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c, 도 2c, 도 3c, 도 4c, 도 5c, 도 6c, 도 7c, 도 8c, 도 9c, 도 10c, 도 11c 및 도 1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의 용어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한 형상, 단계,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단계,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연결"이라는 용어는 어떤 부재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부재들 사이에 다른 부재가 더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기재에서 "제1" 및 "제2", "상부(upper or top)"및 "하부(lower or bottom)"와 같은 기재는 부재를 구분하기 위한 것이며, 부재 자체를 한정하거나 특정한 순서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 것은 아니고,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의미하는 것이지 그 부재에 직접 접촉하거나 또는 사이 계면에 다른 부재가 더 도입되는 특정한 경우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에서도 마찬가지의 해석이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원 명세서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약", "실질적으로" 등의 정도의 용어는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 오차를 감안하여, 그 수치나 정도의 범주 또는 이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이나 파트들의 사이즈나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 및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다소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a 내지 도 2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소자(적층형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29b에서 동일한 도면 번호(예를 들어, 도 1a, 도 1b, 도 1c에서의 도 1)는 동일한 단계를 나타낸다. 도 1a, 도 2a, 도 3a, 도 4a, 도 5a, 도 6a, 도 7a, 도 8a, 도 9a, 도 10a, 도 11a, 도 12a, 도 13a, 도 14a, 도 15a, 도 16a, 도 17a, 도 18a, 도 19a, 도 20a, 도 21a, 도 22a, 도 23a, 도 24a, 도 25a, 도 26a, 도 27a, 도 28a, 도 29a는 XZ 평면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b, 도 2b, 도 3b, 도 4b, 도 5b, 도 6b, 도 7b, 도 8b, 도 9b, 도 10b, 도 11b, 도 12b, 도 13b, 도 14b, 도 15b, 도 16b, 도 17b, 도 18b, 도 19b, 도 20b, 도 21b, 도 22b, 도 23b, 도 24b, 도 25b, 도 26b, 도 27b, 도 28b, 도 29b는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즉, top-view)이거나 XY 평면으로 절단한 단면도(즉, Z-cut view)이다. 도 1c, 도 2c, 도 3c, 도 4c, 도 5c, 도 6c, 도 7c, 도 8c, 도 9c, 도 10c, 도 11c, 도 12c는 YZ 평면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소정의 기판(미도시) 상에 적층체(S1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의 물질은 다양한 물질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반도체 물질 또는 절연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판은 반도체 웨이퍼(waf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벌크 실리콘 기판(bulk silicon substrate), 실리콘-온-인슐레이터(silicon-on-insulator)(SOI) 기판, 게르마늄(germanium) 기판, 게르마늄-온-인슐레이터(germanium-on-insulator)(GOI) 기판, 실리콘-게르마늄 기판 또는 에피택셜 성장(epitaxial growth) 공정으로 형성된 기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기판 상에 적층체(S10)를 형성할 수 있다. 적층체(S10)는 제 1 절연층(NL10)과 제 1 절연층(NL10) 상에 순차로 적층된 제 1 희생층(SL10) 및 제 2 절연층(NL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절연층(NL10)과 제 2 절연층(NL20)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실리콘 질화물(ex, SiNx)을 포함하거나 실리콘 질화물(ex, SiNx)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희생층(SL10)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실리콘 산화물(ex, SiO2)을 포함하거나 실리콘 산화물(ex, SiO2)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절연층(NL10)과 제 1 희생층(SL10)은 식각 선택비를 가질 수 있고, 이와 유사하게, 제 2 절연층(NL20)과 제 1 희생층(SL10)은 식각 선택비를 가질 수 있다. 제 1 절연층(NL10), 제 1 희생층(SL10) 및 제 2 절연층(NL20)은 증착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층체(S10)는 제 2 절연층(NL20) 상에 순차로 적층된 제 2 희생층(SL20) 및 제 3 절연층(NL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적층체(S10)는 제 2 절연층(NL20)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 2 희생층(SL20)은 제 1 희생층(SL10)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제 3 절연층(NL30)은 제 1 절연층(NL10) 및/또는 제 2 절연층(NL20)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희생층(SL20) 및 제 3 절연층(NL30)은 증착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절연층(NL20)은 제 1 절연층(NL10), 제 3 절연층(NL30), 제 1 희생층(SL10) 및 제 2 희생층(SL20) 각각의 두께 보다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절연층(NL20)은 제 1 절연층(NL10), 제 3 절연층(NL30), 제 1 희생층(SL10) 및 제 2 희생층(SL20) 각각의 두께 보다 약 1.5배 내지 2.5배 정도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 2 절연층(NL20)을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추후에 형성될 상하부 셀(cell) 간의 간격을 확보할 수 있다. 제 1 절연층(NL10)과 제 3 절연층(NL30)은 동일한 두께를 갖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 1 희생층(SL10)과 제 2 희생층(SL20)은 동일한 두께를 갖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 1 절연층(NL10), 제 3 절연층(NL30), 제 1 희생층(SL10) 및 제 2 희생층(SL20)은 동일한 두께를 갖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적층체(도 1a의 S10)를 패터닝하여 적어도 하나의 패턴부(SP1)를 갖는 패턴화된 적층체(S11)를 형성할 수 있다. 패턴부(SP1)는 제 1 방향, 예컨대, X축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 예컨대, Y축 방향에 따른 패턴부(SP1)의 양측에 빈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패턴부(SP1)가 Y축 방향으로 이격하여 X축 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추후에 형성될 채널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들을 패터닝 방식으로 제거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단계에서 채널 예정 영역 및 그로부터 연장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제거할 수 있다.
패턴부(SP1)는 패터닝된 제 1 절연층(NL11), 패터닝된 제 1 희생층(SL11), 패터닝된 제 2 절연층(NL21), 패터닝된 제 2 희생층(SL21) 및 패터닝된 제 3 절연층(NL3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패터닝된 제 1 희생층(SL11)은 상기 제 1 희생층(도 1a의 SL10)으로부터 얻어진 제 1 희생층 패턴(SL11)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패터닝된 제 2 희생층(SL21)은 상기 제 2 희생층(도 1a의 SL20)으로부터 얻어진 제 2 희생층 패턴(SL21)이라고 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 희생층 패턴(SL11)이 Y축 방향으로 상호 이격하여 X축 방향으로 상호 나란히 연장될 수 있고, 이와 유사하게, 복수의 제 2 희생층 패턴(SL21)이 Y축 방향으로 상호 이격하여 X축 방향으로 상호 나란히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희생층 패턴(SL11) 및 복수의 제 2 희생층 패턴(SL21) 각각은 라인(lin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의 패터닝 공정을 위해, 적층체(도 1a의 S10) 상에 배치된 제 1 마스크 패턴(M10)이 사용될 수 있다. 제 1 마스크 패턴(M10)은 소정의 패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 1 마스크 패턴(M10)은, 예컨대, 포토레지스트 패턴(photoresist pattern)일 수 있다. 상기 패터닝 공정 후, 제 1 마스크 패턴(M10)은 제거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패턴부(SP1)의 양측의 빈공간에 절연 물질(NM1)을 충진(filling)하여 상기 패턴화된 적층체(도 2a의 S11)와 절연 물질(NM1)을 포함하는 구조체(S20)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b는 도 3a의 (A)선에 따른 단면도일 수 있다.
절연 물질(NM1)은 '절연 물질층' 또는 '절연 물질층 패턴'이라고 할 수 있고, 패턴부(SP1)와 동일한(혹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절연 물질(NM1)은 제 1 내지 제 3 절연층(NL11, NL21, NL31)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연 물질(NM1)은 실리콘 질화물(ex, SiNx)을 포함하거나 실리콘 질화물(ex, SiNx)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물질로 형성된 매트릭스 물질층 내에 이와 식각 선택비를 갖는 제 2 물질로 형성된 복수의 제 1 희생층 패턴(SL11) 및 복수의 제 2 희생층 패턴(SL21)이 배치되었다고 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구조체(S20)에 패턴부(SP1)의 제 1 희생층 패턴(SL11)을 관통하는 제 1 수직홀(H10)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 수직홀(H10)은 제 2 희생층 패턴(S21) 및 제 1 희생층 패턴(S11)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 수직홀(H10)은 구조체(S20)의 소정 영역에서 패턴부(SP1)의 제 3 절연층(NL31)부터 제 1 절연층(NL11)까지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 수직홀(H10)은 추후에 비트 라인이 형성될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제 1 수직홀(H10)은 구조체(S20)에서 트랜지스터가 형성될 영역, 즉,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트랜지스터 형성 예정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수직홀(H10)이 Y축 방향으로 상호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 1 수직홀(H10)의 형성에 따라, 제 1 희생층 패턴(S11) 및 제 2 희생층 패턴(S21)의 측면들이 노출될 수 있다.
제 1 수직홀(H10)의 형성을 위해, 제 2 마스크 패턴(M20)이 사용될 수 있다. 제 2 마스크 패턴(M20)은 소정의 개구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제 2 마스크 패턴(M20)은, 예컨대, 포토레지스트 패턴일 수 있다. 제 1 수직홀(H10)의 형성 후, 제 2 마스크 패턴(M20)은 제거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제 1 수직홀(H10)에 의해 노출된 상기 제 1 희생층 패턴(도 4a의 SL11) 및 제 2 희생층 패턴(도 4a의 SL21)을 제거하여 상기 제 1 방향, 예컨대, X축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홀(H15)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희생층 패턴(도 4a의 SL11) 및 제 2 희생층 패턴(도 4a의 SL21)에 식각 선택성을 갖는 습식 에천트(wet etchant)를 이용한 습식 식각 공정을 이용해서, 상기 제 1 희생층 패턴(도 4a의 SL11) 및 제 2 희생층 패턴(도 4a의 SL21)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 1 희생층 패턴(도 4a의 SL11)의 제거에 의해 형성된 수평홀(H15)은 제 1 수평홀이라고 지칭할 수 있고, 상기 제 2 희생층 패턴(도 4a의 SL21)의 제거에 의해 형성된 수평홀(H15)은 제 2 수평홀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수평홀(H15)은 X축 방향으로 연장된 라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평홀(H15)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 1 희생층 패턴(도 4a의 SL11) 전체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수평홀(H15)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 2 희생층 패턴(도 4a의 SL21) 전체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수평홀(H15)은 트랜지스터가 형성될 영역(즉,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 뿐만 아니라 커패시터가 형성될 영역(즉, 커패시터 형성 영역)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상기 제 1 희생층 패턴(도 4a의 SL11) 전체 및 상기 제 2 희생층 패턴(도 4a의 SL21) 전체를 제거하는 경우, 이와 관련해서, 공정이 단순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제 1 수직홀(H10) 및 수평홀(H15)의 내측면에 게이트 절연 물질층(GN1)을 형성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 물질층(GN1)은 제 1 수직홀(H10) 및 수평홀(H15)의 상기 내측면의 형상을 따라 컨포멀하게(conformally)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 물질층(GN1)은, 예를 들어, ALD(atomic layer deposition)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 물질층(GN1)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질산화물 및 고유전(high-k)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유전(high-k) 물질은 실리콘 질화물 보다 높은 유전 상수를 갖는 물질일 수 있다. 게이트 절연 물질층(GN1)의 구체적인 물질은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 물질층(GN1)은 제 1 수직홀(H10) 및 수평홀(H15)의 내부를 충진하지 않는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의 단계에서, 건식 식각에 의한 패터닝 공정 없이 게이트 절연 물질층(GN1)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게이트 절연 물질층(GN1)에 대한 식각 손상 및 특성 열화 문제를 방지 내지 억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게이트 절연 물질층(GN1) 상에 제 1 수직홀(H10) 및 수평홀(H15)을 충진하는 더미(dummy) 채널 물질층(DM1)을 형성할 수 있다. 더미 채널 물질층(DM1)은 채널이 형성될 영역 및 이로부터 연장된 영역 내에 임시로 형성하는 더미층일 수 있다. 더미 채널 물질층(DM1)은 소정의 반도체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미 채널 물질층(DM1)은 폴리실리콘(poly-Si)을 포함하거나 폴리실리콘(poly-Si)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미 채널 물질층(DM1)이 폴리실리콘(poly-Si)을 포함하는 경우, 더미 채널 물질층(DM1)의 형성 및 선택적 제거가 용이할 수 있다. 폴리실리콘(poly-Si)은 소정의 절연층들에 대하여 높은 식각 선택비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후속하는 다양한 공정의 수행에 유리할 수 있고, 더미 채널 물질층(DM1)의 선택적 제거 또한 용이할 수 있다. 그러나, 더미 채널 물질층(DM1)의 물질은 폴리실리콘(poly-Si)으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경우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예컨대, 더미 채널 물질층(DM1)은 비정질 실리콘이나 그 밖에 다른 반도체 물질을 포함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비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희생층 패턴(도 3a의 SL11, SL21)을 이용해서 패턴화된 수평홀(H15)을 형성한 다음에, 패턴화된 수평홀(H15) 내에 더미 물질을 채워 넣는 방식으로 더미 채널 물질층(DM1)을 형성하기 때문에, 건식 식각 등에 의한 패터닝 공정 없이 더미 채널 물질층(DM1)을 형성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게이트 절연 물질층(GN1) 및 더미 채널 물질층(DM1)이 형성된 구조체(S20)에서 상기 제 1 수직홀(도 7a의 H10)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 2 수직홀(H20)을 형성할 수 있다. 제 2 수직홀(H20)은 제 3 절연층(NL31)으로부터 제 1 절연층(NL11)까지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2 수직홀(H20)의 형성을 위해, 제 3 마스크 패턴(M30)이 사용될 수 있다. 제 3 마스크 패턴(M30)은 소정의 개구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제 3 마스크 패턴(M30)은, 예컨대, 포토레지스트 패턴일 수 있다. 제 2 수직홀(H20)의 형성 후, 제 3 마스크 패턴(M30)은 제거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면, 구조체(S20)의 제 2 수직홀(H20) 주위의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트랜지스터 형성 예정 영역)에서 제 1 내지 제 3 절연층(NL11, NL21, NL31)과 절연 물질(NM1)을 제거하여 게이트 절연 물질층(GN1)을 노출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트랜지스터 형성 예정 영역)에 인접한 커패시터 형성 영역(커패시터 형성 예정 영역) 상에는 제 4 마스크 패턴(M40)을 형성할 수 있고, 제 4 마스크 패턴(M40)은 상기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을 노출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4 마스크 패턴(M40)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해서 상기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에서 제 1 내지 제 3 절연층(NL11, NL21, NL31)과 절연 물질(NM1)을 식각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후, 제 4 마스크 패턴(M40)은 제거될 수 있다. 도 9c는 도 9a의 (B)선에 따른 단면도일 수 있다.
그런 다음, 도 10a 내지 도 15b에 예시된 바와 같은 방법을 이용해서, 상기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에서 상기 노출된 게이트 절연 물질층(GN1) 부분을 둘러싸는 워드 라인(도 15a의 WL1)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면, 상기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에서 상기 노출된 게이트 절연 물질층(GN1) 부분을 둘러싸는 워드 라인용 물질층(WM1)을 형성할 수 있다. 워드 라인용 물질층(WM1)은 상기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에서 노출된 표면 영역들의 형상을 따라서 대체로 컨포멀하게(conformally) 형성될 수 있다. 워드 라인용 물질층(WM1)은, 예를 들어, ALD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10a 및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의 더미 채널 물질층(DM1)과 상부의 더미 채널 물질층(DM1) 사이의 Z축 방향으로의 간격은 워드 라인용 물질층(WM1)의 두께의 약 2배 보다 클 수 있다. 또한, 하부의 게이트 절연 물질층(GN1)과 상부의 게이트 절연 물질층(GN1) 사이의 Z축 방향으로의 간격은 워드 라인용 물질층(WM1)의 두께의 약 2배 보다 클 수 있다. 한편,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축 방향으로 이격된 두 개의 더미 채널 물질층(DM1) 사이의 Y축 방향으로의 간격은 워드 라인용 물질층(WM1)의 두께의 약 2배 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Y축 방향으로 이격된 두 개의 게이트 절연 물질층(GN1) 사이의 Y축 방향으로의 간격은 워드 라인용 물질층(WM1)의 두께의 약 2배 보다 작을 수 있다.
워드 라인용 물질층(WM1)은 상기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에서 각각의 더미 채널 물질층(DM1)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워드 라인용 물질층(WM1)은 Y축 방향으로 연장된 라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조하면, 워드 라인용 물질층(WM1)에서 상기 제 2 수직홀(도 8a의 H20)에 대응하는 영역을 식각하여 관통홀(H25)을 형성할 수 있다. 관통홀(H25)은 수직한 홀일 수 있다. 관통홀(H25)의 형성을 위해, 제 5 마스크 패턴(M50)이 사용될 수 있다. 제 5 마스크 패턴(M50)은 소정의 개구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제 5 마스크 패턴(M50)은, 예컨대, 포토레지스트 패턴일 수 있다.
다음으로, 워드 라인용 물질층(WM1)의 굴곡부(굴절부)의 빈공간을 채우는 충진 절연층(NF1)을 형성할 수 있다. 충진 절연층(NF1)은 일종의 갭필(gap fill) 물질층일 수 있다. 충진 절연층(NF1)은 절연성 산화물로 형성되거나 그 밖에 다른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다시 홀(hole) 에칭을 통해서 관통홀(H25)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더미 채널 물질층(DM1)의 일단이 워드 라인용 물질층(WM1) 보다 관통홀(H25) 쪽으로 돌출되도록 관통홀(H25)을 통해 노출된 워드 라인용 물질층(WM1)의 일부를 리세스(recess)할 수 있다. 따라서, 관통홀(H25) 주위에서 워드 라인용 물질층(WM1)의 일부가 식각되고, Y축 방향으로 연장된 트렌치 구조(즉, 바디부 트렌치)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렌치 구조(즉, 바디부 트렌치) 내에 관통홀(H25)이 포함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를 참조하면, 관통홀(H25) 및 그 주위의 상기 트렌치 구조(즉, 바디부 트렌치)를 충진하는 바디 절연층(BN1)을 형성할 수 있다. 바디 절연층(BN1)은 절연성 산화물로 형성되거나 그 밖에 다른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 절연층(BN1)은 충진 절연층(NF1)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거나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구조체(S20)의 상기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과 인접한 상기 커패시터 형성 영역에 제 1 트렌치(T10)를 형성할 수 있다. 제 1 트렌치(T10)는 워드 라인용 물질층(WM1)과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고, 제 3 절연층(NL31)으로부터 제 1 절연층(NL11)까지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Y축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 1 트렌치(T10)의 형성을 위해, 제 6 마스크 패턴(M60)이 사용될 수 있다. 제 6 마스크 패턴(M60)은 소정의 개구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제 6 마스크 패턴(M60)은, 예컨대, 포토레지스트 패턴일 수 있다. 제 1 트렌치(T10)의 형성 후, 제 6 마스크 패턴(M60)은 제거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상기 커패시터 형성 영역에서 제 1 트렌치(T10)에 의해 노출된 상기 제 1 내지 제 3 절연층(도 13a의 NL11, NL21, NL31)과 상기 절연 물질(도 13b의 NM1)을 제거(식각)하여 게이트 절연 물질층(GN1)을 노출시키는 제 1 리세스부(R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절연층(도 13a의 NL11, NL21, NL31)과 상기 절연 물질(도 13b의 NM1)은 동일한 물질일 수 있으므로, 식각 선택성을 갖는 식각 방식을 이용해서 이들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면, 상기 커패시터 형성 영역에 제 1 리세스부(R1)를 형성한 후, 제 1 리세스부(R1)에 의해 노출된 워드 라인용 물질층(도 14a의 WM1)의 일부를 리세스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커패시터 형성 영역 쪽으로 노출된 워드 라인용 물질층(도 14a의 WM1)의 일부를 리세스할 수 있다. 그 결과, 하부의 더미 채널 물질층(DM1)을 감싸는 워드 라인용 물질층 부분과 상부의 더미 채널 물질층(DM1)을 감싸는 워드 라인용 물질층 부분이 상호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분리된 상기 워드 라인용 물질층 부분을 워드 라인(WL1)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5b를 참조하여 워드 라인(WL1)의 형성 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워드 라인(WL1)의 형성 방법 등은 경우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셀과 상부 셀 중에서 어느 하나만 형성하는 경우라면, 도 15a 및 도 15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분리 공정'은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상기 커패시터 형성 영역에 제 1 리세스부(R1)를 형성한 후, 상기 커패시터 형성 영역에서 상기 노출된 게이트 절연 물질층(GN1) 부분을 감싸는 삽입 절연층(NN1)을 형성할 수 있다. 삽입 절연층(NN1)은 제 1 리세스부(R1)에 노출된 표면 영역에 컨포멀하게(conformally) 형성될 수 있다. 삽입 절연층(NN1)은 상기 커패시터 형성 영역에 노출된 게이트 절연 물질층(GN1), 더미 채널 물질층(DM1) 및 워드 라인(WL1) 등의 표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삽입 절연층(NN1)은, 예컨대, ALD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 절연층(NN1)의 두께는 수십 nm 이하로 얇을 수 있다. 삽입 절연층(NN1)은 절연성 산화물로 형성되거나 그 밖에 다른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면, 제 1 리세스부(R1)를 충진하는 몰드 절연층(MN1)을 형성할 수 있다. 몰드 절연층(MN1)은 삽입 절연층(NN1) 상에 제 1 리세스부(R1) 및 제 1 트렌치(T10)를 충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몰드 절연층(MN1)은, 예를 들어, 실리콘 질화물(ex, SiNx)을 포함하거나 실리콘 질화물(ex, SiNx)로 형성될 수 있다. 몰드 절연층(MN1)의 형성시, 몰드 절연층(MN1)용 절연체의 증착 후 그 상면 및 주변 영역에 대한 평탄화 공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도 18a 및 도 18b를 참조하면, 몰드 절연층(MN1)에서 상기 제 1 트렌치(도 13a의 T10)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 2 트렌치(T20)를 형성할 수 있다. 몰드 절연층(MN1)의 일부 및 삽입 절연층(NN1)의 일부를 식각하여 제 2 트렌치(T20)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게이트 절연 물질층(GN1)의 단부와 더미 채널 물질층(DM1)의 단부가 제 2 트렌치(T20) 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제 2 트렌치(T20)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된 라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트렌치(T20)의 형성을 위해, 제 7 마스크 패턴(M70)이 사용될 수 있다. 제 7 마스크 패턴(M70)은 소정의 개구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제 7 마스크 패턴(M70)은, 예컨대, 포토레지스트 패턴일 수 있다. 제 2 트렌치(T20)의 형성 후, 제 7 마스크 패턴(M70)은 제거될 수 있다.
도 19a 및 도 19b를 참조하면, 제 2 트렌치(T20)에 의해 노출된 더미 채널 물질층(DM1), 게이트 절연 물질층(GN1) 및 삽입 절연층(NN1)을 식각하여 제 2 리세스부(R2)를 형성할 수 있다. 제 2 트렌치(T20)를 통해서 소정의 습식 에천트(wet etchant), 즉, 습식 식각 용액을 투입하여 더미 채널 물질층(DM1), 게이트 절연 물질층(GN1) 및 삽입 절연층(NN1)을 식각할 수 있다. 이때, 하나 이상의 습식 에천트가 사용될 수 있다. 제 2 리세스부(R2)는 워드 라인(WL1)과 다소 이격한 영역까지 형성될 수 있다. 식각 공정의 조건을 조절하여 더미 채널 물질층(DM1), 게이트 절연 물질층(GN1) 및 삽입 절연층(NN1)의 식각 범위를 제어할 수 있다.
앞서 도 16a의 단계에서 삽입 절연층(NN1)을 먼저 형성한 후, 도 19a의 단계에서 삽입 절연층(NN1)을 제거할 경우, 제 2 리세스부(R2)는 잔류된 게이트 절연 물질층(GN1)의 외경 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리세스부(R2)의 Z축 방향으로의 폭은 잔류된 게이트 절연 물질층(GN1)의 Z축 방향으로의 폭(외경에 해당하는 폭) 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 2 리세스부(R2)의 Y축 방향으로의 폭은 잔류된 게이트 절연 물질층(GN1)의 Y축 방향으로의 폭(외경에 해당하는 폭) 보다 클 수 있다. 결과적으로, 후속하는 공정에서 커패시터를 형성하기 위한 공정 마진이 증가할 수 있다. 공정 마진 확보 등을 위해서는, 삽입 절연층(NN1)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삽입 절연층(NN1)의 형성은 선택적인(optional) 것일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생략할 수도 있다.
도 20a 및 도 20b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리세스부(도 19a의 R2)의 내측면에 더미 채널 물질층(DM1)과 연결된 전극 부재(EL1)를 형성할 수 있다. 전극 부재(EL1)는 커패시터용 전극층(제 1 전극층)이라고 할 수 있다. 전극 부재(EL1)는 몰드 절연층(MN1)의 표면 형상을 따라 컨포멀하게(conformally) 형성될 수 있다. 전극 부재(EL1)는, 예를 들어, ALD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1a 및 도 21b를 참조하면, 상기 커패시터 형성 영역에서 상기 제 2 트렌치(도 18a의 T20)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 3 트렌치(T30)를 형성할 수 있다. 전극 부재(EL1)의 일부를 식각하여 제 3 트렌치(T30)를 형성할 수 있다. 제 3 트렌치(T30)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된 라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전극 부재(EL1)는 개별 커패시터 영역으로 분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극 부재(EL1)는 단위 셀 영역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제 3 트렌치(T30)의 형성을 위해, 제 8 마스크 패턴(M80)이 사용될 수 있다. 제 8 마스크 패턴(M80)은 소정의 개구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제 8 마스크 패턴(M80)은, 예컨대, 포토레지스트 패턴일 수 있다. 제 3 트렌치(T30)의 형성 후, 제 8 마스크 패턴(M80)은 제거될 수 있다.
도 22a 및 도 22b를 참조하면, 전극 부재(EL1)를 형성한 후, 상기 몰드 절연층(도 21a의 MN1)을 식각하여 전극 부재(EL1)의 외측면을 노출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몰드 절연층(도 21a의 MN1)의 식각 범위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식각 범위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제 8 마스크 패턴(도 21a의 M80)의 적어도 일부를 임시로 유지시키거나, 별도의 하드 마스크(미도시)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삽입 절연층(NN1)에 인접한 상기 몰드 절연층(도 21a의 MN1)의 일부는 식각하지 않고 잔류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단계에서 상기 몰드 절연층(도 21a의 MN1)을 모두 제거하여 삽입 절연층(NN1)을 노출시킬 수도 있다. 상기 커패시터 형성 영역에서 상기 몰드 절연층(도 21a의 MN1)의 대부분이 제거되거나 전체가 제거될 수 있다.
도 23a 및 도 23b를 참조하면, 상기 커패시터 형성 영역에서 전극 부재(EL1) 상에 유전층(DL1)을 형성할 수 있다. 유전층(DL1)은 커패시터용 유전층일 수 있다. 유전층(DL1)은 전극 부재(EL1)의 표면 형상을 따라 컨포멀하게(conformally) 형성될 수 있다. 유전층(DL1)은, 예를 들어, ALD 공정으로 형성(증착)될 수 있다. 유전층(DL1)은 다양한 유전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유전층(DL1)은 실리콘 질화물 보다 유전 상수가 높은 고유전(high-k)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전층(DL1)의 구체적인 물질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도 24a 및 도 24b를 참조하면, 상기 커패시터 형성 영역에서 유전층(DL1) 상에 플레이트 전극(PL1)을 형성할 수 있다. 플레이트 전극(PL1)은 커패시터용 전극층(제 2 전극층)이라고 할 수 있다. 플레이트 전극(PL1)은 상기 제 3 트렌치(도 23a의 T30) 및 전극 부재(EL1)의 내부와 전극 부재(EL1)들 사이의 공간을 메우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 전극(PL1)은 반도체 소자 공정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전극 물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 전극(PL1)은 일종의 라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 전극(PL1)은 플레이트 전극 라인이라고 할 수 있다. 전극 부재(EL1)와 유전층(DL1) 및 플레이트 전극(PL1)은 커패시터를 구성할 수 있다.
도 20a 내지 도 24b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커패시터의 형성 과정에서 수소(H2)를 이용하는 공정 및 열 공정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20a 내지 도 24b에서는 상기 커패시터의 형성 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경우에 따라, 상기 커패시터의 형성 방법 및 상기 커패시터의 구체적 구조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5a 내지 도 29b에 예시된 바와 같은 방법을 이용해서, 상기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에서 더미 채널 물질층(DM1)을 제거하여 빈 채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빈 채널 공간 내에 상기 커패시터와 연결된 채널 물질층(유효 채널 물질층)(도 28a의 CM1)을 형성하여 상기 채널 물질층(도 28a의 CM1)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를 정의할 수 있고, 상기 채널 물질층(도 28a의 CM1)에 연결된 비트 라인(도 29a의 BL1)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5a 및 도 25b를 참조하면, 바디 절연층(BN1)의 상기 제 2 수직홀(도 8a의 H20)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 3 수직홀(H30)을 형성할 수 있다. 제 3 수직홀(H30)의 형성을 위해, 제 9 마스크 패턴(M90)이 사용될 수 있다. 제 9 마스크 패턴(M90)은 소정의 개구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제 9 마스크 패턴(M90)은, 예컨대, 포토레지스트 패턴일 수 있다. 제 3 수직홀(H30)의 형성 후, 제 9 마스크 패턴(M90)은 제거될 수 있다. 제 3 수직홀(H30)에 의해 더미 채널 물질층(DM1)의 단부(측면)가 노출될 수 있다.
도 26a 및 도 26b를 참조하면, 제 3 수직홀(H30)에 의해 노출된 상기 더미 채널 물질층(도 25a의 DM1)을 제거하여 빈 채널 공간(ES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에서 상기 더미 채널 물질층(도 25a의 DM1) 전체가 제거될 수 있다. 제 3 수직홀(H30)을 통해서 상기 더미 채널 물질층(도 25a의 DM1)에 대해 식각 선택성을 갖는 습식 에천트(wet etchant), 즉, 습식 식각 용액을 투입하여 상기 더미 채널 물질층(도 25a의 DM1)을 선택적으로 식각할 수 있다. 빈 채널 공간(ES1)은, 예를 들어, X축 방향으로 연장된 라인 형태 또는 바(bar)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27a 및 도 27b를 참조하면, 상기 빈 채널 공간(ES1) 및 제 3 수직홀(H30) 내에 채널 물질층(유효 채널 물질층)(CM1)을 형성할 수 있다. 채널 물질층(CM1)은, 예를 들어, ALD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채널 물질층(CM1)은 다양한 반도체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 물질층(CM1)은 산화물 반도체나 비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물 반도체는 비정질 산화물 반도체(amorphous oxide semiconductor)(AO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물 반도체는, 예를 들어, IGZO(indium gallium zinc oxide), ZTO(zinc tin oxide), ITO(indium tin oxide) 등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채널 물질층(CM1)의 구체적인 물질은 상기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채널 물질층(CM1)은 단일층이거나 다중층일 수 있다.
채널 물질층(CM1)을 상기 산화물 반도체로 형성할 경우, 높은 이동도(mobility) 특성 및 낮은 오프-커런트(Off-current) 특성 확보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산화물 반도체는 식각 손상(etching damage)에 취약한 단점을 갖기 때문에, 일반적인 반도체 소자의 제조 공정에서는 패터닝 과정 등에 의해 산화물 반도체에 식각 손상이 발생하여 반도체 소자의 특성이 열화되고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희생층 패턴(도 3a의 SL11, SL21)을 이용해서 패턴화된 수평홀(H15)을 형성한 다음, 패턴화된 수평홀(H15) 내에 더미 채널 물질층(DM1)을 형성하고, 상기 커패시터와 트랜지스터의 제조가 완료된(혹은, 거의 완료된) 시점에 더미 채널 물질층(DM1)을 채널 물질층(CM1)으로 대체하는 방식으로 채널 물질층(CM1)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식각 등에 의한 패터닝 공정 없이 채널 물질층(CM1)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채널 물질층(CM1)에 산화물 반도체를 적용하더라도, 식각/패터닝에 의한 식각 손상을 방지 내지 최소화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우수한 특성을 갖는 메모리 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커패시터의 제조가 완료된 상태에서 더미 채널 물질층(DM1)을 채널 물질층(CM1)으로 대체하기 때문에, 상기 커패시터 등의 제조 시에 요구되는 수소(H2) 공정 및 열 공정에 의한 채널 물질층(CM1)의 손상(즉, H2 damage 및 thermal damage)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채널 물질층(CM1)에 대한 식각 손상, 수소(H2)에 의한 손상, 열에 의한 손상 등을 방지 내지 최소화하면서 우수한 특성을 갖는 메모리 소자를 제조할 수 있다.
도 28a 및 도 28b를 참조하면, 상기 제 3 수직홀(도 27a의 H30) 내에 형성된 채널 물질층(CM1) 부분을 제거하여 상기 제 3 수직홀(도 27a의 H30)을 재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재형성된 제 3 수직홀은 참조번호 H30'로 표시하였다. 재형성된 제 3 수직홀(H30')은 제 4 수직홀이라고 지칭할 수도 있다.
재형성된 제 3 수직홀(H30')의 형성을 위해, 제 10 마스크 패턴(M100)이 사용될 수 있다. 제 10 마스크 패턴(M100)은 소정의 개구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제 10 마스크 패턴(M100)은, 예컨대, 포토레지스트 패턴일 수 있다. 재형성된 제 3 수직홀(H30')의 형성 후, 제 10 마스크 패턴(M100)은 제거될 수 있다.
도 29a 및 도 29b를 참조하면, 재형성된 제 3 수직홀(H30') 내에 비트 라인(BL1)을 형성할 수 있다. 비트 라인(BL1)은 채널 물질층(CM1)의 일단에 연결(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비트 라인(BL1)은 상기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에서 상기 제 2 수직홀(도 8a의 H20)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채널 물질층(CM1)의 일단에 연결(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채널 물질층(CM1)의 타단은 상기 커패시터의 전극 부재(EL1)에 연결(접촉)될 수 있다. 비트 라인(BL1)은 구조체(S20)를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비트 라인(BL1)은 측방향으로 채널 물질층(CM1)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복수의 채널 물질층(CM1)에 연결된 복수의 비트 라인(BL1)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재형성된 제 3 수직홀(H30')의 위쪽에 증착되어 있는 비트 라인(BL1)의 도전 물질이 있는 경우, 예를 들어, 에치백(etchback) 공정을 통해 이를 제거할 수 있다.
도 25a 내지 도 29b를 참조하여 더미 채널 물질층(DM1)을 제거하여 빈 채널 공간(ES1)을 형성하고 빈 채널 공간(ES1) 내에 채널 물질층(CM1)을 형성하는 방법 및 채널 물질층(CM1)에 연결된 비트 라인(BL1)을 형성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더미 채널 물질층(DM1)을 채널 물질층(CM1)으로 대체하는 방법 및 비트 라인(BL1)의 형성 방법은, 경우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도 29a의 소자 구조에서 하부의 채널 물질층(CM1)과 이를 둘러싸는 워드 라인(WL1) 및 이들 사이의 게이트 절연 물질층(GN1) 등은 제 1 트랜지스터(TR1)를 구성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제 1 트랜지스터(TR1)의 측방으로 제 1 트랜지스터(TR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부의 전극 부재(EL1) 및 이와 접하는 유전층(DL1) 및 플레이트 전극(PL1)은 제 1 커패시터(CP1)를 구성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제 1 트랜지스터(TR1)와 제 1 커패시터(CP1)는 하나의 메모리 셀(하부 메모리 셀)을 구성한다고 할 수 있다. 제 1 트랜지스터(TR1)와 제 1 커패시터(CP1)는 수평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부의 채널 물질층(CM1)과 이를 둘러싸는 워드 라인(WL1) 및 이들 사이의 게이트 절연 물질층(GN1) 등은 제 2 트랜지스터(TR2)를 구성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제 2 트랜지스터(TR2)의 측방으로 제 2 트랜지스터(TR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부의 전극 부재(EL1) 및 이와 접하는 유전층(DL1) 및 플레이트 전극(PL1)은 제 2 커패시터(CP2)를 구성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제 2 트랜지스터(TR2)와 제 2 커패시터(CP2)는 하나의 메모리 셀(상부 메모리 셀)을 구성한다고 할 수 있다. 제 2 트랜지스터(TR2)와 제 2 커패시터(CP2)는 수평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 2 트랜지스터(TR2)는 제 1 트랜지스터(TR1)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제 2 커패시터(CP2)는 제 1 커패시터(CP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29a 및 도 29b와 같은 소자 구조가 Z축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X축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Y축 방향으로도 반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집적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우수한 성능 및 동작 특성을 가질 수 있는 메모리 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소자는 수평 배열 및 적층형 구조를 갖는 GAA(gate-all-around) 타입의 적층형 메모리 소자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소자는 수직형 디램(DRAM) 소자 또는 3차원 디램(DRAM) 소자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집적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우수한 성능 및 동작 특성을 가질 수 있는 적층형 메모리 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반도체 물질(예컨대, 산화물 반도체 물질)의 식각 손상, 수소(H2) 공정에 의한 손상, 열 공정에 의한 손상 등에 따른 특성 열화를 방지 내지 최소화할 수 있는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주어진 방식에 따라 희생층을 패터닝한 후, 상기 희생층의 패턴을 제거한 영역(공간)에 더미 물질을 형성한 다음, 소자의 제조가 거의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더미 물질을 유효 반도체 물질(예컨대, 산화물 반도체 물질)로 대체함으로써, 유효 반도체 물질(예컨대, 산화물 반도체 물질)의 식각 손상, 수소(H2)에 의한 손상, 열에 의한 손상 등에 따른 특성 열화를 방지 내지 최소화할 수 있는 적층형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상기 적층형 메모리 소자는 수평 적층형 디램(DRAM)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소자 구조 및 제조 방법의 적어도 일부는 디램(DRAM) 소자뿐 아니라, 다른 메모리 소자(예컨대, PRAM, RRAM, SRAM, flash 메모리, MRAM, FRAM 등) 또는 논리 회로가 집적된 로직(logic) 소자를 구현하는 기술 분야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1a 내지 도 29b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치환, 변경 및 변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때문에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NL10, NL11 : 제 1 절연층 NL20, NL21 : 제 2 절연층
NL30, NL31 : 제 3 절연층 SL10, SL11 : 제 1 희생층
SL20, SL21 : 제 2 희생층 S10 : 적층체
S11 : 패턴화된 적층체 SP1 : 패턴부
S20 : 구조체 NM1 : 절연 물질
H10 : 제 1 수직홀 H15 : 수평홀
H20 : 제 2 수직홀 H25 : 관통홀
H30 : 제 3 수직홀 H30' : 재형성된 제 3 수직홀
GN1 : 게이트 절연 물질층 DM1 : 더미 채널 물질층
ES1 : 빈 채널 공간 CM1 : 채널 물질층
WM1 : 워드 라인용 물질층 WL1 : 워드 라인
NF1 : 충진 절연층 BN1 : 바디 절연층
T10 : 제 1 트렌치 T20 : 제 2 트렌치
T30 : 제 3 트렌치 R1 : 제 1 리세스부
R2 : 제 2 리세스부 NN1 : 삽입 절연층
MN1 : 몰드 절연층 BL1 : 비트 라인
EL1 : 전극 부재 DL1 : 유전층
PL1 : 플레이트 전극 TR1 : 제 1 트랜지스터
TR2 : 제 2 트랜지스터 CP1 : 제 1 커패시터
CP2 : 제 2 커패시터 M10∼M100 : 마스크 패턴

Claims (13)

  1. 제 1 절연층과 상기 제 1 절연층 상에 순차로 적층된 제 1 희생층 및 제 2 절연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적층체를 패터닝하여 상기 제 1 희생층으로부터 얻어진 제 1 희생층 패턴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패턴부를 갖는 패턴화된 적층체를 형성하되, 상기 패턴부는 제 1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갖고,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에 따른 상기 패턴부의 양측에 빈공간이 구비된 상기 패턴화된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턴부의 양측의 빈공간에 절연 물질을 충진하여 상기 패턴화된 적층체와 상기 절연 물질을 포함하는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구조체에 상기 패턴부의 상기 제 1 희생층 패턴을 관통하는 제 1 수직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수직홀에 의해 노출된 상기 제 1 희생층 패턴을 제거하여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수직홀 및 상기 수평홀의 내측면에 게이트 절연 물질층을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 절연 물질층 상에 상기 제 1 수직홀 및 상기 수평홀을 충진하는 더미(dummy) 채널 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절연 물질층 및 상기 더미 채널 물질층이 형성된 상기 구조체에서 상기 제 1 수직홀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 2 수직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구조체의 상기 제 2 수직홀 주위의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절연층과 상기 절연 물질을 제거하여 상기 게이트 절연 물질층을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에서 상기 노출된 게이트 절연 물질층 부분을 둘러싸는 워드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구조체의 상기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과 인접한 커패시터 형성 영역에 제 1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커패시터 형성 영역에서 상기 제 1 트렌치에 의해 노출된 상기 제 1 및 제 2 절연층과 상기 절연 물질을 제거하여 상기 게이트 절연 물질층을 노출시키는 제 1 리세스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리세스부를 충진하는 몰드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커패시터 형성 영역에서 상기 더미 채널 물질층 및 상기 게이트 절연 물질층을 제거하여 제 2 리세스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리세스부의 내측면에 전극 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전극 부재 상에 유전층 및 플레이트 전극을 순차로 형성하여 상기 전극 부재와 상기 유전층 및 상기 플레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커패시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에서 상기 더미 채널 물질층을 제거하여 빈 채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빈 채널 공간 내에 상기 커패시터와 연결된 채널 물질층을 형성하여 상기 채널 물질층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를 정의하는 단계; 및
    상기 채널 물질층에 연결된 비트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층, 상기 제 2 절연층 및 상기 절연 물질은 실리콘 질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희생층은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하는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채널 물질층은 폴리실리콘(poly-Si)을 포함하는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물질층은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워드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에서 상기 노출된 게이트 절연 물질층 부분을 둘러싸는 워드 라인용 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워드 라인용 물질층에서 상기 제 2 수직홀에 대응하는 영역을 식각하여 관통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더미 채널 물질층의 일단이 상기 워드 라인용 물질층 보다 상기 관통홀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관통홀을 통해 노출된 상기 워드 라인용 물질층의 일부를 리세스하는 단계; 및
    상기 관통홀을 충진하는 바디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 형성 영역에 상기 제 1 리세스부를 형성하는 단계 후, 상기 제 1 리세스부에 의해 노출된 상기 워드 라인용 물질층의 일부를 리세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빈 채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채널 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바디 절연층의 상기 제 2 수직홀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 3 수직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3 수직홀에 의해 노출된 상기 더미 채널 물질층을 제거하여 상기 빈 채널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빈 채널 공간 및 상기 제 3 수직홀 내에 상기 채널 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3 수직홀 내에 형성된 상기 채널 물질층 부분을 제거하여 상기 제 3 수직홀을 재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재형성된 제 3 수직홀 내에 상기 비트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 형성 영역에 상기 제 1 리세스부를 형성하는 단계 후, 상기 커패시터 형성 영역에서 상기 노출된 상기 게이트 절연 물질층 부분을 감싸는 삽입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몰드 절연층은 상기 삽입 절연층 상에 상기 제 1 리세스부 및 상기 제 1 트렌치를 충진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몰드 절연층에서 상기 제 1 트렌치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 2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트렌치에 의해 노출된 상기 더미 채널 물질층, 상기 게이트 절연 물질층 및 상기 삽입 절연층을 식각하여 상기 제 2 리세스부를 형성하는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부재를 형성한 후, 상기 몰드 절연층을 식각하여 상기 전극 부재의 외측면을 노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몰드 절연층을 식각한 후, 상기 유전층 및 상기 플레이트 전극을 순차로 형성하는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상기 제 2 절연층 상에 순차로 적층된 제 2 희생층 및 제 3 절연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층체는 상기 제 2 절연층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적인 구조를 갖는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절연층은 상기 제 1 절연층, 상기 제 3 절연층, 상기 제 1 희생층 및 상기 제 2 희생층 각각의 두께 보다 큰 두께를 갖는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스터는 제 1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커패시터는 제 1 커패시터이며,
    상기 메모리 소자는 상기 제 1 트랜지스터 상에 배치되는 제 2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커패시터 상에 배치되는 제 2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220180961A 2022-12-21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240098835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98835A true KR20240098835A (ko) 2024-06-28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79751B (zh) 半導體存儲設備及其製造方法及包括存儲設備的電子設備
TWI722304B (zh) 半導體裝置及其形成方法
JP6463872B2 (ja) 3次元メモリデバイスのためのメモリレベル貫通ビア構造
US9698231B2 (en) Semiconductor devices
US9165924B2 (en) Vertical channel type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10109641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8624350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7956408B2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N108735748B (zh) 三维半导体器件
CN110062958A (zh) 用于形成三维存储器件的方法
TW202117877A (zh) 電晶體裝置
KR20080106116A (ko) 집적 회로 및 그 제조 방법
KR102531609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CN105793968A (zh) 包括形成在体上的源极/漏极和形成在氧化物层上的栅极通道的半导体器件
KR101002293B1 (ko) 플로팅 바디를 갖는 적층형 비휘발성 메모리 셀 소자, 상기셀 소자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셀 스택, 비휘발성 메모리 셀 스트링, 비휘발성 메모리 셀 어레이 및 그 제조 방법
WO2021218881A1 (zh) 半导体结构及其形成方法、存储器
US20240015980A1 (en)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7074660B2 (en) FinFet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on
TW202109845A (zh) 新穎的3d nand記憶體裝置及其形成方法
KR20180033369A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TWI748595B (zh) 半導體記憶裝置
CN112397524A (zh) 在导电层面中具有导电轨的三维存储器以及相关设备、系统及方法
WO2023173504A1 (zh) 半导体结构及其制造方法、存储器及其制造方法
KR20240098835A (ko)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WO2014126214A1 (ja) 半導体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