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1549A - 경로 생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경로 생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81549A KR20240081549A KR1020220163792A KR20220163792A KR20240081549A KR 20240081549 A KR20240081549 A KR 20240081549A KR 1020220163792 A KR1020220163792 A KR 1020220163792A KR 20220163792 A KR20220163792 A KR 20220163792A KR 20240081549 A KR20240081549 A KR 2024008154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ute
- section
- user terminal
- destination
- time requir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63—Structures of map data
- G01C21/387—Organisation of map data, e.g. version management or database structur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85—Transmission of map data to client devices; Reception of map data by client devic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경로 생성 장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데이터 수집부에 의해 GPS 데이터, 및 구간별 소요시간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탐색을 요청받으면,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구간별 소요시간에 따라 구간을 선정하고, 선정된 구간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경로 생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GPS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구간별로 소요시간을 저장하고, 이후 경로 탐색시 기 저장된 구간별 소요시간에 따라 구간을 선정한 후, 선정된 구간을 이용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생성하는 경로 생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경로 안내 장치는 GPS 위성을 통해서 수신받은 차량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자신의 위치를 파악한 후 내장된 지도 데이타베이스에서 현재 위치의 지도 데이터를 읽어 화면에 차량의 위치와 함께 표시하여, 운전자가 현재 주행하는 도로의 위치를 식별하거나 모르는 지역에서 주행할 때 목적지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매우 유용한 장치이다.
종래의 경로 안내 장치는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의 거리 및 규정 속도로부터 도착시점을 예측하여 표시하거나, 도로정보 제공서버로부터 현재 상태의 도로정보를 수신하여 도착시점을 예측하여 표시하였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38798호(2008.06.10.등록, 실시간 교통정보 기반의 경로정보 제공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GPS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구간별로 소요시간을 저장하고, 이후 경로탐색시 기 저장된 구간별 소요시간에 따라 구간을 선정한 후, 선정된 구간을 이용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생성하는 경로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경로 생성 장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 의해 상기 GPS 데이터, 및 구간별 소요시간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탐색을 요청받으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상기 구간별 소요시간에 따라 구간을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구간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GPS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목적지까지의 구간별 소요시간을 추출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선정된 구간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목적지까지의 경로에 따라 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선정된 구간은 소요시간이 가장 짧은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경로 생성 방법은 프로세서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탐색을 요청받으면, 데이터베이스부에 기 저장된 구간별 소요시간에 따라 구간을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구간별 소요시간에 따라 선정된 구간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간별 소요시간은, 이전에 경로 요청한 동일 또는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집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데이터를 토대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선정된 구간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목적지까지의 경로에 따라 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선정된 구간은 소요시간이 가장 짧은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경로 생성 장치 및 방법은 GPS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구간별로 소요시간을 저장하고, 이후 경로탐색시 기 저장된 구간별 소요시간에 따라 구간을 선정한 후, 선정된 구간을 이용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생성함으로써, 목적지의 거리 또는 목적지까지의 도달 시간을 최소화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경로 생성 장치 및 방법은 차량의 실제 이동시에 수신한 GPS 데이터를 토대로 목적지까지의 토대로 경로를 생성하므로 사용자에게 지름길을 포함한 다양한 경로를 안내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생성 장치의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생성 서버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생성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생성 서버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생성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이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생성 장치의 개요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생성 장치는 사용자 단말(100) 및 경로 생성 서버(20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경로 생성 서버(20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경로 생성 서버(200)와 다양한 정보 또는 명령을 송수신한다.
통신망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5G(Genera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유무선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Wifi(Wireless Fidelity) 등이 채용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100)은 경로 생성 서버(200)에 목적지까지의 경로 안내를 요청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목적지 정보 및 사용자 단말(100)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데이터를 경로 생성 서버(200)에 전달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경로 생성 서버(200)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전달받아 출력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지도상에 표시함과 더불어 음성으로 출력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내부에 지도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나, 경로 생성 서버(200)로부터 전달받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내비게이션 단말 또는 휴대 단말, 랩탑 컴퓨터 등이 채용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채용될 수 있다.
경로 생성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경로 안내를 요청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경로 안내를 요청받으면, 경로 생성 서버(200)는 구간별 소요시간에 따라 구간을 선정하고, 선정된 구간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요청받은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생성한다.
경로 생성 서버(200)는 구간별 소요시간을 이전 사용자 단말(100)의 GPS 데이터를 이용하여 추출한다. 즉, 경로 생성 서버(200)는 이전의 다른 또는 동일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과정에서, GPS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 GPS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간별로 소요시간을 추출 및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간별로 소요시간을 저장한 상태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현재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경로 안내를 요청받으면, 경로 생성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요청받은 목적지까지의 경로에 따라 구간을 선정한다. 이때, 경로 생성 서버(200)는 소요시간이 가장 짧은 구간을 선정하고, 선정된 구간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요청받은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생성한다.
참고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현재 경로를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100)의 이전에 경로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을 이전 사용자 단말로 지칭한다. 이전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신된 GPS 데이터를 토대로 각 구간별 이동거리 또는 소요시간이 추출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입출력부(110), GPS 수신기(120), 및 단말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입출력부(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컨대, 입출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 및 제어명령을 입력받는다
입출력부(110)는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실행 명령,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의 메뉴 설정 명령 및 목적지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입출력부(110)는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출력한다. 입출력부(110)는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지도상에 표시함과 더불어 다양한 안내 음성을 출력한다.
입출력부(110)는 통해 입출력되는 제어명령 또는 정보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GPS 수신기(120)는 GPS 데이터를 수집한다. 즉, GPS 수신기(120)는 적어도 하나의 위성으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의 이동속도 또는 현재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GPS 수신기(120)는 일 지점이 3 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에 대한 위도 및 경도에 따른 2차원의 위치 정보 또는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GPS 수신기(120)는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단말 제어부(130)는 입출력부(110)로부터 제어명령에 따라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경로 생성 서버(200)에 경로 생성을 요청한다.
이때, 단말 제어부(130)는 입출력부(110)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입력받고, GPS 수신기(120)를 통해 GPS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말 제어부(130)는 목적지 정보와 GPS 데이터를 경로 생성 서버(200)에 전달하여 경로 생성을 요청한다.
단말 제어부(130)는 경로 생성 서버(200)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전달받아 입출력부(110)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단말 제어부(130)는 목적지에 도달할 때까지 GPS 데이터를 경로 생성 서버(200)에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전달하고, 경로 생성 서버(200)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전달받아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생성 서버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경로 생성 서버(200)는 데이터 수집부(210), 데이터베이스부(220), 및 프로세서(230)를 포함한다.
데이터 수집부(2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GPS 데이터를 수집한다. 데이터 수집부(210)에 수집되는 GPS 데이터는 이전 사용자 단말 뿐만 아니라 경로를 요청한 현재의 사용자 단말(100)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220)는 데이터 수집부(210)에 의해 수집된 GPS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220)는 이전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요청받은 목적지까지의 구간별 소요시간을 저장한다. 여기서, 이전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요청받은 목적지까지의 구간별 소요시간은 프로세서(230)에 의해 이전 사용자 단말(100)의 GPS 데이터로부터 추출된다.
프로세서(23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탐색을 요청받을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3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목적지 정보 및 GPS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탐색을 요청받으면, 프로세서(23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요청받은 목적지까지의 경로에 따라 구간을 선정하는데, 이때 데이터베이스부(220)에 저장된 구간별 소요시간에 따라 구간을 선정한다. 이 경우, 프로세서(230)는 소요시간이 가장 짧은 구간을 선정한다. 프로세서(2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선정된 구간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요청받은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생성한다.
한편, 프로세서(230)는 데이터베이스부(220)에 구간별 소요시간을 미리 저장한다. 즉, 프로세서(230)는 이전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생성 및 제공하는 과정에서 전달받은 GPS 데이터를 분석하여 구간별 소요시간을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부(220)에 저장한다.
따라서, 프로세서(230)는 다양한 이전 사용자 단말(100)의 GPS 데이터를 토대로 다양한 구간의 소요시간을 저장하고, 이 저장된 구간별 소요시간을 현재 사용자 단말(100)의 경로 생성에 이용한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230)는 실제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다양한 경로를 안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거리 또는 이동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30)는 구간별 이동거리 또는 이동시간을 누적 저장함으로써 경로 안내의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안내 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안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경로 생성 서버(200)는 이전 사용자 단말(100)의 GPS 데이터를 토대로 구간별 소요시간을 저장한다.
구간별 소요시간을 저장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GPS 데이터를 수신한다(S10).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입력받는다.
사용자 단말(100)은 목적지 정보 및 사용자 단말(100)의 GPS 데이터를 경로 생성 서버(200)에 전달하고 경로 생성을 요청한다(S20).
경로 생성 서버(200)는 목적지 정보 및 GPS 데이터에 따라 구간을 추출한다(S30).
이어, 경로 생성 서버(200)는 추출된 구간 중 소요시간이 가장 짧은 구간을 선정한다(S40).
이어, 경로 생성 서버(2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선정된 구간을 이용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생성한다(S50). 이 경우, 선정된 구간은 목적지까지의 경로 전체 또는 일부 구간일 수 있다.
경로 생성 서버(200)는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사용자 단말(100)에 전달한다(S60).
사용자 단말(100)은 경로 생성 서버(200)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전달받고, 이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출력한다(S7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생성 장치 및 방법은 GPS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구간별로 소요시간을 저장하고, 이후 경로탐색시 기 저장된 구간별 소요시간에 따라 구간을 선정한 후, 선정된 구간을 이용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생성함으로써, 목적지의 거리 또는 목적지까지의 도달 시간을 최소화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생성 장치 및 방법은 차량의 실제 이동시에 수신한 GPS 데이터를 토대로 목적지까지의 토대로 경로를 생성하므로 사용자에게 지름길을 포함한 다양한 경로를 안내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
110: 입출력부
120: GPS 수신기 130: 단말 제어부
200: 경로 생성 서버 210: 데이터 수집부
220: 데이터베이스부 230: 프로세서
120: GPS 수신기 130: 단말 제어부
200: 경로 생성 서버 210: 데이터 수집부
220: 데이터베이스부 230: 프로세서
Claims (7)
-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 의해 상기 GPS 데이터, 및 구간별 소요시간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탐색을 요청받으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상기 구간별 소요시간에 따라 구간을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구간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경로 생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GPS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목적지까지의 구간별 소요시간을 추출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생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구간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목적지까지의 경로에 따라 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생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구간은
소요시간이 가장 짧은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생성 장치. - 프로세서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탐색을 요청받으면, 데이터베이스부에 기 저장된 구간별 소요시간에 따라 구간을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구간별 소요시간에 따라 선정된 구간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간별 소요시간은, 이전에 경로 요청한 동일 또는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집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데이터를 토대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생성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구간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목적지까지의 경로에 따라 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생성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구간은
소요시간이 가장 짧은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생성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63792A KR20240081549A (ko) | 2022-11-30 | 2022-11-30 | 경로 생성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63792A KR20240081549A (ko) | 2022-11-30 | 2022-11-30 | 경로 생성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81549A true KR20240081549A (ko) | 2024-06-10 |
Family
ID=91482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63792A Ceased KR20240081549A (ko) | 2022-11-30 | 2022-11-30 | 경로 생성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81549A (ko) |
-
2022
- 2022-11-30 KR KR1020220163792A patent/KR20240081549A/ko not_active Ceas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890454B2 (en) | Integrating online navigation data with cached navigation data during active navigation | |
US9310213B2 (en) | Obtaining updated navigation information for road trips | |
US8874366B2 (en) | First waypoint distance | |
US7613331B2 (en) | Recording medium storing map information, map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ap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map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map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map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 |
US20120303262A1 (en) | Map navigation with suppression of off-route feedback near route terminus | |
US20200173788A1 (en) | Correct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map data | |
JP2009526502A (ja) | リバースジオコーディング | |
JP7356468B2 (ja) | ナビゲーションプロンプト方法、装置、機器及び可読記憶媒体 | |
CN112432646B (zh) | 一种路线导航方法、存储介质及设备 | |
KR20150015255A (ko) | 주변 검색 결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
JP2016512604A (ja) | 複数の経由地を含む最適経路伝達方法及びこのための装置 | |
CN107806883B (zh) | 一种导航方法和装置 | |
JP2013019676A (ja) | ナビゲーション装置 | |
KR20240081549A (ko) | 경로 생성 장치 및 방법 | |
US20220018673A1 (en) | Choice modeling for pickup map display content | |
JP5795546B2 (ja) | 経路案内システム、経路案内装置、経路案内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
JP6063695B2 (ja) | 経路案内装置、経路案内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6011907B2 (ja) |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 |
KR101222429B1 (ko) |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그 시스템 | |
JP2014228426A (ja) | 速度パラメータ生成システム、目的地への経路を生成するシステム、生成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
CN117968718A (zh) | 一种在线离线相结合的路径导航方法、装置及设备 | |
JP6363411B2 (ja) | ナビゲーション装置、通知情報生成装置および通知情報生成システム | |
US9683863B2 (en) | Navigation system with state generat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 |
JP2016099180A (ja) | 経路探索システム、経路探索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
KR20190059887A (ko) | Poi 정보 제공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와 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504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