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0777A - 자동문 연동형 조명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문 연동형 조명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0777A
KR20240080777A KR1020220164413A KR20220164413A KR20240080777A KR 20240080777 A KR20240080777 A KR 20240080777A KR 1020220164413 A KR1020220164413 A KR 1020220164413A KR 20220164413 A KR20220164413 A KR 20220164413A KR 20240080777 A KR20240080777 A KR 20240080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value
automatic door
lighting
preset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4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복
Original Assignee
강정복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정복 filed Critical 강정복
Publication of KR20240080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07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tim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06Ligh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문 연동형 조명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자동문 연동형 조명 제어 장치는 내부와 외부를 구분하는 입구에 설치된 자동문; 자동문을 기준으로 외부에 설치되어 자동문을 개방하고 조명을 켜기 위한 외부스위치; 자동문을 기준으로 내부에 설치되어 자동문을 개방하고 조명을 끄기 위한 내부스위치; 개방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자동문이 개방되고 조명이 켜진 상태에서 내부에서 발생하는 움직임을 감지함에 따라 조명의 켜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모션센서; 및 외부스위치와 내부스위치의 조작 및 모션감지부의 움직임 감지여부에 따라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자동문 연동형 조명 제어 장치{AUTOMATIC DOOR INTERLOCKING LIIGHTING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자동문 연동형 조명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문은 내부와 외부를 구분하는 입구에 설치되고, 사람이 도어를 직접 개방하거나 폐쇄할 필요없이 적외선 센서와 개방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미닫이형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이다.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 사람이 미닫이형 도어에 인접하여 적외선 센서에 사람이 감지되면 미닫이형 도어가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미닫이형 도어가 타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어의 폐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개방 버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미닫이형 도어 인근에 기설치된 개방 버튼이 외력에 의해 누름 동작되면 미닫이형 도어가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미닫이형 도어가 타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어의 폐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실내에 설치되는 조명은 조명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버튼을 이용하여 켜짐과 꺼짐 상태가 제어된다. 이에 따라, 조명을 키거나 끄기 위해서는 사람이 직접 버튼을 찾아 버튼에 외력을 인가하여 조명을 키거나 꺼야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조명을 킨 상태에서 사람이 외부로 나가는 경우 조명의 켜진 상태가 유지되어 전기 에너지의 낭비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KR 10-0682591 Y1 KR 10-2008-0064393 A KR 10-1734002 B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조명을 키거나 끄기 위해서 직접 버튼을 찾아다니는 것과 사람이 외부로 나갔을 때 조명의 켜진 상태가 유지되어 전기 에너지의 낭비가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자동문을 개방하는 외부스위치와 내부스위치를 이용한 자동문 연동형 조명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면서 본 발명의 목적에 충분히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자동문 연동형 조명 제어 장치는 내부와 외부를 구분하는 입구에 설치된 자동문; 자동문을 기준으로 외부에 설치되어 자동문을 개방하고 조명을 켜기 위한 외부스위치; 자동문을 기준으로 내부에 설치되어 자동문을 개방하고 조명을 끄기 위한 내부스위치; 개방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자동문이 개방되고 조명이 켜진 상태에서 내부에서 발생하는 움직임을 감지함에 따라 조명의 켜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모션센서; 및 외부스위치와 내부스위치의 조작 및 모션감지부의 움직임 감지여부에 따라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자동문을 개방하는 외부스위치와 내부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조명의 켜진 상태와 꺼진 상태가 제어됨에 따라, 조명을 키거나 끄기 위해서 직접 버튼을 찾아다니는 것으로 인해 발생하는 불편함과 사람이 외부로 나갔을 때 조명의 켜진 상태가 유지되어 전기 에너지의 낭비가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연동형 조명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연동형 조명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연동형 조명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연동형 조명 제어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연동형 조명 제어 장치는 자동문(100), 외부스위치(300), 내부스위치(400), 모션센서(500) 및 조명컨트롤러(600)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문(100)은 내부와 외부를 구분하는 입구에 설치된 것일 수 있다.
자동문(100)이 설치되는 내부에는 조명(200)이 기설치되어 구비될 수 있다.
자동문(100)은 내부와 외부를 구분하는 입구에 설치되는 미닫이문(110)과, 미닫이문(110)과 연결되어 미닫이문(110)을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미닫이문(110)이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내부가 개방될 수 있고, 미닫이문(110)이 일측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내부의 폐쇄가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부(120)는 외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송출받기 위한 수신모듈(130)을 구비할 수 있고, 수신모듈(130)에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미닫이문(110)을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부(120)가 미닫이문(110)을 이동시키는 방식은 일반적인 자동문 장치의 구조를 이용할 수 있고,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기술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도록 한다.
외부스위치(300)는 자동문(100)을 기준으로 외부에 설치되어 자동문(100)을 개방하고 조명(200)을 켜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외부스위치(300)는 제1스위치부재(310)와 제1신호송출모듈(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스위치부재(310)는 자동문(100)을 기준으로 외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따른 외력을 인가받는 것일 수 있다.
제1신호송출모듈(320)은 제1스위치부재(310) 내부에 구비되어 제1스위치부재(310)에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외력을 인가받고, 외력이 인가되면 자동문(100)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수신모듈(130)에 도어제어신호를 송출하는 것일 수 있다.
구동부(120)는 수신모듈(130)이 제1신호송출모듈(320)로부터 도어제어신호를 수신하면 미닫이문(110)을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내부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기설정된 시간 이후 미닫이문(110)을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내부의 폐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제1신호송출모듈(320)는 제1스위치부재(310) 내부에 구비되어 제1스위치부재(310)에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외력을 인가받고, 외력이 인가되면 조명컨트롤러(600)에 켜짐조명제어신호를 송출하는 것일 수 있다.
조명컨트롤러(600)는 제1신호송출모듈(320)로부터 켜짐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조명(200)이 켜지도록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내부스위치(400)는 자동문(100)을 기준으로 내부에 설치되어 자동문(100)을 개방하고 조명(200)을 끄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내부스위치(400)는 제2스위치부재(410)와 제2신호송출모듈(4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스위치부재(410)는 자동문(100)을 기준으로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따른 외력을 인가받는 것일 수 있다.
제2신호송출모듈(420)은 제2스위치부재(410) 내부에 구비되어 제2스위치부재(410)에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외력을 인가받고, 외력이 인가되면 자동문(100)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수신모듈(130)에 도어제어신호를 송출하는 것일 수 있다.
구동부(120)는 수신모듈(130)이 제2신호송출모듈(420)로부터 도어제어신호를 수신하면 미닫이문(110)을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내부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기설정된 시간 이후 미닫이문(110)을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내부의 폐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제2신호송출모듈(420)는 제2스위치부재(410) 내부에 구비되어 제2스위치부재(410)에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외력을 인가받고, 외력이 인가되면 조명컨트롤러(600)에 꺼짐제어신호를 송출하는 것일 수 있다.
조명컨트롤러(600)는 제2신호송출모듈(420)로부터 꺼짐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조명(200)이 꺼지도록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모션센서(500)는 내부에서 발생하는 움직임을 감지함에 따라 조명(200)의 켜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모션센서(500)는 센서모듈(510)과 제3신호송출모듈(520)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센서모듈(510)은 자동문(100)을 기준으로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에서 발생하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센서모듈(510)이 움직임을 감지하는 방식은 사람을 포함한 동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일반적인 적외선을 이용한 동체 움직임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제3신호송출모듈(520)은 센서모듈(510)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유지제어신호를 조명컨트롤러(600)에 송출하는 것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조명(200)의 켜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조명컨트롤러(600)는 외부스위치(300)와 내부스위치(400)의 조작 및 모션센서(500)의 움직임 감지여부에 따라 조명(200)을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조명컨트롤러(600)는 제어신호수신부(610) 및 조명제어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신호수신부(610)는 외부스위치(300), 내부스위치(400) 및 모션센서(500)를 포함한 외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제어신호수신부(610)는 제1신호송출모듈(320), 제2신호송출모듈(420) 및 제3신호송출모듈(52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제어신호수신부(610)가 수신하는 제어신호는 켜짐제어신호, 꺼짐제어신호 및 유지제어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신호수신부(610)는 제1신호송출모듈(320)로부터 켜짐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제2신호송출모듈(420)로부터 꺼짐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제3신호송출모듈(520)로부터 유지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조명제어부(620)는 제어신호수신부(610)에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조명(200)의 상태를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조명제어부(620)는 조명(200)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조명(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조명제어부(620)는 제어신호수신부(610)의 제1신호송출모듈(320)을 포함한 외부로부터 켜짐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조명(200)이 켜지도록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조명제어부(620)는 제어신호수신부(610)의 제2신호송출모듈(420)을 포함한 외부로부터 꺼짐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조명(200)이 꺼지도록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조명제어부(620)는 제어신호수신부(610)의 제3신호송출모듈(520)을 포함한 외부로부터 유지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조명(200)이 켜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조명제어부(620)는 조명(200)이 꺼진 상태일 때 제3신호송출모듈(520)을 포함한 외부로부터 유지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조명(200)이 켜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내부에 1인이 들어가는 시설 이외 내부에 다수의 사람이 들어가는 시설의 경우 내부스위치(400)의 동작에 의해 내부의 조명(200)이 꺼지는 경우 내부에 잔존하는 사람들이 불편을 겪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연동형 조명 제어 장치는 서브스위치(700), 시간카운팅부(800) 및 차이산출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스위치(700)는 자동문(100)을 기준으로 내부에 구비되어 조명(200)을 켜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서브스위치(700)는 제3스위치부재(710)와 제4신호송출모듈(72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스위치부재(310)는 미닫이문(110)을 기준으로 외부에 설치될 수 있고, 제2스위치부재(410)과 센서모듈(510) 및 제3스위치부재(710)는 미닫이문(110)을 기준으로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3스위치부재(710)는 자동문(100)을 기준으로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따른 외력을 인가받는 것일 수 있다.
제4신호송출모듈(720)는 제3스위치부재(710) 내부에 구비되어 제3스위치부재(710)에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외력을 인가받고, 외력이 인가되면 조명컨트롤러(600)에 켜짐조명제어신호를 송출하는 것일 수 있다.
조명컨트롤러(600)는 제4신호송출모듈(720)로부터 켜짐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조명(200)이 켜지도록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시간카운팅부(800)는 외부스위치(300)가 조작되면 기설정된 제1시간값부터 기설정된 제2시간값까지 시간 경과에 따른 시간값을 카운팅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카운팅부(800)는 기설정된 제1시간값이 0초이고, 기설정된 제2시간값이 60초인 경우 0초부터 60초까지 시간 경과에 따른 시간값을 카운팅하는 것일 수 있다.
시간카운팅부(800)는 제1신호송출모듈(320)로부터 켜짐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켜짐제어신호를 수신하면 기설정된 제1시간값부터 기설정된 제2시간값까지 시간 경과에 따른 시간값을 카운팅하는 것일 수 있다.
조명컨트롤러(600)는 시간카운팅부(800)가 기설정된 제1시간값부터 기설정된 제2시간값까지 시간값을 카운팅하면 시간카운팅부(800)가 시간값을 카운팅하는 동안 조명(200)의 켜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조명(200)을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조명제어부(620)는 시간카운팅부(800)가 기설정된 제1시간값부터 기설정된 제2시간값까지 시간값을 카운팅하는 동안 조명(200)의 켜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조명(200)을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시간카운팅부(800)는 외부스위치(300)가 조작됨에 따라 기설정된 제1시간값부터 기설정된 제2시간값까지 시간 경과에 따른 시간값을 카운팅할 때 내부스위치(400)가 조작되면 시간값을 카운팅하는 것을 중지할 수 있다.
시간카운팅부(800)는 제2신호송출모듈(420)로부터 꺼짐제어신호를 수신하고, 꺼짐제어신호를 수신하면 기설정된 제1시간값부터 기설정된 제2시간값까지 시간 경과에 따른 시간을 카운팅하는 것을 중지할 수 있다.
조명컨트롤러(600)는 시간카운팅부(800)가 기설정된 제1시간값부터 기설정된 제2시간값까지 시간값을 카운팅하는 것을 중지하면 조명(200)이 꺼지도록 조명(200)을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조명제어부(620)는 시간카운팅부(800)가 시간카운팅부(800)가 기설정된 제1시간값부터 기설정된 제2시간값까지 시간을 카운팅하는 것을 중지하면 조명(200)이 꺼지도록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시간카운팅부(800)는 외부스위치(300)가 조작됨에 따라 기설정된 제1시간값부터 기설정된 제2시간값까지 시간 경과에 따른 시간값을 카운팅할 때 모션센서(500)에 움직임이 감지되면 기설정된 제1시간값부터 기설정된 제2시간값까지 시간을 카운팅하는 것을 재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시간카운팅부(800)는 외부스위치(300)가 조작됨에 따라 기설정된 제1시간값부터 기설정된 제2시간값까지 시간 경과에 따른 시간을 카운팅할 때 모션센서(500)에 움직임이 감지되면 카운팅 중인 시간값을 기설정된 제1시간값으로 변경하고, 제1시간값부터 기설정된 제2시간값까지 시간을 카운팅할 수 있다.
시간카운팅부(800)는 제3신호송출모듈(520)로부터 유지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외부스위치(300)가 조작됨에 따라 기설정된 제1시간값부터 기설정된 제2시간값까지 시간 경과에 따른 시간을 카운팅할 때 유지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카운팅 중인 시간값을 기설정된 제1시간값으로 변경하고, 제1시간값부터 기설정된 제2시간값까지 시간을 카운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카운팅부(800)는 기설정된 제1시간값과 제2시간값이 각각 0초와 60초이고, 유지제어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카운팅 중이던 시간값이 30초인 경우 30초를 0초로 변경하고, 0초부터 60초까지 시간값을 카운팅하는 것일 수 있다.
시간카운팅부(800)는 기설정된 제1시간값부터 기설정된 제2시간값까지 시간을 카운팅하지 않을 때 제3신호송출모듈(520)로부터 유지제어신호를 수신하면 기설정된 제1시간값부터 기설정된 제2시간값까지 시간을 카운팅하는 것일 수 있다.
시간카운팅부(800)는 외부스위치(300)가 조작됨에 따라 기설정된 제1시간값부터 기설정된 제2시간값까지 시간 경과에 따른 시간을 카운팅할 때 서브스위치(700)가 조작되면 카운팅 중인 시간값을 기설정된 제1시간값으로 변경하고, 제1시간값부터 기설정된 제2시간값까지 시간을 카운팅할 수 있다.
시간카운팅부(800)는 제4신호송출모듈(720)로부터 켜짐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켜짐제어신호를 수신하면 기설정된 제1시간값부터 기설정된 제2시간값까지 시간 경과에 따른 시간을 카운팅하는 것일 수 있다.
시간카운팅부(800)는 기설정된 제1시간값부터 기설정된 제2시간값까지 시간을 카운팅할 때 제1신호송출모듈(320)과 제4신호송출모듈(7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켜짐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카운팅 중인 시간값을 기설정된 제1시간값으로 변경하고, 제1시간값부터 기설정된 제2시간값까지 시간을 카운팅할 수 있다.
차이산출부(900)는 외부스위치(300)와 내부스위치(400)의 동작횟수 차이를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차이산출부(900)는 제어신호수신부(610)가 제1신호송출모듈(320)로부터 켜짐제어신호를 수신한 횟수와, 제어신호수신부(610)가 제2신호송출모듈(420)로부터 꺼짐제어신호를 수신한 횟수의 차이값을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신호수신부(610)는 제1신호송출모듈(320)로부터 켜짐제어신호를 수신한 횟수와, 제어신호수신부(610)가 제2신호송출모듈(420)로부터 꺼짐제어신호를 수신한 횟수 각각을 카운팅할 수 있다. 또한, 제어신호수신부(610)는 제1신호송출모듈(320)로부터 켜짐제어신호를 수신한 횟수와, 제어신호수신부(610)가 제2신호송출모듈(420)로부터 꺼짐제어신호를 수신한 횟수 각각을 카운팅함에 따른 카운팅값들을 차이산출부(900)에 송출할 수 있다.
조명제어부(620)는 차이산출부(900)로부터 산출되는 차이값이 기설정된 값 이하이면 조명(200)이 꺼지도록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조명제어부(620)가 차이산출부(900)로부터 산출되는 차이값이 기설정된 값 이하이면 조명(200)이 꺼지도록 제어하면 내부스위치(400)의 조작횟수가 외부스위치(300)의 조작횟수보다 기설정된 값보다 클 때 조명(200)이 꺼지도록 제어됨으로써 내부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을 때 조명(200)이 꺼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0: 자동문,
110: 미닫이문, 120: 구동부, 130: 수신모듈,
200: 조명,
300: 외부스위치,
310: 제1스위치부재, 320: 제1신호송출모듈,
400: 내부스위치,
410: 제2스위치부재, 420: 제2신호송출모듈,
500: 모션센서,
510: 센서모듈, 520: 제3신호송출모듈,
600: 조명컨트롤러,
610: 제어신호수신부, 620: 조명제어부,
700: 서브스위치,
710: 제3스위치부재, 720: 제4신호송출모듈,
800: 시간카운팅부,
900: 차이산출부.

Claims (4)

  1. 내부와 외부를 구분하는 입구에 설치된 자동문;
    상기 자동문을 기준으로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자동문을 개방하고 조명을 켜기 위한 외부스위치;
    상기 자동문을 기준으로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자동문을 개방하고 조명을 끄기 위한 내부스위치;
    상기 개방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자동문이 개방되고 상기 조명이 켜진 상태에서 내부에서 발생하는 움직임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조명의 켜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모션센서; 및
    상기 외부스위치와 상기 내부스위치의 조작 및 상기 모션감지부의 움직임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
    인 자동문 연동형 조명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컨트롤러는
    상기 외부스위치가 조작에 따라 기설정된 제1시간값부터 기설정된 제2시간값까지 시간 경과에 따른 시간값을 카운팅하는 시간카운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컨트롤러는
    상기 시간카운팅부가 기설정된 제1시간값부터 기설정된 제2시간값까지 시간값을 카운팅하는 동안 상기 조명의 켜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조명을 제어하는 것
    인 자동문 연동형 조명 제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측정부는
    기설정된 제1시간값부터 기설정된 제2시간값까지 시간값을 카운팅할 때 상기 모션센서에 움직임이 감지되면 카운팅 중인 시간값을 제1시간값으로 변경하고, 제1시간값부터 기설정된 제2시간값까지 시간값을 카운팅하는 것
    인 자동문 연동형 조명 제어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스위치의 동작횟수와 상기 내부스위치의 동작횟수의 차이값을 산출하는 차이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컨트롤러는
    상기 차이산출부로부터 산출되는 차이값이 기설정된 값 이하이면 상기 조명이 꺼지도록 상기 조명을 제어하는 것
    인 자동문 연동형 조명 제어 장치.
KR1020220164413A 2022-11-30 자동문 연동형 조명 제어 장치 KR20240080777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0777A true KR20240080777A (ko) 2024-06-07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8984B1 (ko) 도어 개폐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도어 개폐 송신장치
FI124337B (fi) Hissi, valoverho kerrostason liikkuvan oven ja/tai hissikorin liikkuvan oven aukon valvomiseksi ja menetelmä ovi auki -komennon tai ovi kiinni -komennon antamiseksi hississä
US5247232A (en) Automatic garage door control device
US8561348B2 (en) Security automatic garage door closer
EP0054245B1 (en) Do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CA2015205A1 (en) Universal door safety system
US5510686A (en) Automated garage door closer
KR102078672B1 (ko) 자동출입문용 개방스위치 장치
KR20240080777A (ko) 자동문 연동형 조명 제어 장치
US6611205B2 (en) Gate operator safety system
CN210316983U (zh) 一种自动门
RU2006131579A (ru) Энергосберегающий выключатель
EP2106490B1 (en) Improved apparatus for electronic-control automatic powering of sliding gates
CN105263236A (zh) 一种智能灯具
JPS63289191A (ja) 電動シヤツタ−の制御方法
JP2016065418A (ja) 開閉装置
JP2001241263A (ja) 自動ドア装置
JP2759289B2 (ja) 建築用電動シヤツターの安全制御装置
JP3595932B2 (ja) 建築用電動シャッターの制御装置
JP3326511B2 (ja) 建築用電動シャッター装置における無線装置
KR101884285B1 (ko) 자동문 무선터치 스위치를 이용한 자동문의 동작 모드 설정 방법
JP2020094363A (ja) 安全装置、自動ドア装置及び自動ドア安全化方法
JPH0329520Y2 (ko)
JPH08232564A (ja) 建物用電動開閉装置における安全装置
JP3295772B2 (ja) 建築用電動シャッターの安全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