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6942A - 서서 타는 삼륜자전거 - Google Patents

서서 타는 삼륜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6942A
KR20240076942A KR1020220158895A KR20220158895A KR20240076942A KR 20240076942 A KR20240076942 A KR 20240076942A KR 1020220158895 A KR1020220158895 A KR 1020220158895A KR 20220158895 A KR20220158895 A KR 20220158895A KR 20240076942 A KR20240076942 A KR 20240076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pedal
unit
handle frame
driving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8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호
Original Assignee
이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호 filed Critical 이종호
Priority to KR1020220158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76942A/ko
Publication of KR20240076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694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8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with steering devices acting on two or mor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24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eciprocating levers, e.g. foot levers
    • B62M1/28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eciprocating levers, e.g. foot lever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flexible drive members, e.g.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3Bicycles; Tri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서 타는 삼륜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서서 타는 삼륜자전거는, 상하로 연장되는 핸들프레임과 핸들프레임 상단에 결합되는 핸들 및 핸들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몸체로 구성되는 제1몸체부; 제1몸체부에 결합되는 구동륜부; 일단이 제1몸체부 좌측 부위 또는 구동륜중심축 좌측 부위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하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좌측몸체와 일단이 제1몸체부 우측 부위 또는 구동륜중심축 우측 부위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하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우측몸체로 구성되는 제2몸체부; 좌측몸체 타단과 우측몸체 타단에 각각 결합되는 종동륜부; 한쪽 끝단은 좌측몸체에 걸리게 구성되거나 결합되고, 다른쪽 끝단은 우측몸체에 걸리게 구성되거나 결합되며, 가운데 부위에 상기 제1몸체가 걸리게 구성되거나 결합되는 지지부; 구동륜중심축 또는 제2몸체부에 결합되는 페달부; 페달부 상방에 위치한 제1몸체부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체; 페달부를 구동륜부에 연결하고 일부분이 회전체를 경유하게 구성되는 동력전달부재; 및 클러치부를 역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게 구성되는 탄성력제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서 타는 삼륜자전거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서서 타는 삼륜자전거{stand-up tricycle}
본 발명은 서서 타는 삼륜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 상태로 페달부를 조작하여 구동륜을 구동하는 서서 타는 삼륜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상품으로 판매되고 있는 어린이 삼륜 킥보드(트라이더)는 후륜을 오므리고 펴는 동작으로 후륜을 좌우로 회전시켜서 구동력을 얻는다.
양다리를 오므리고 펴는 동작으로는 큰 구동력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어린이 삼륜킥보드는 속도가 느린 문제점과 다리를 오므리고 펴는 동작은 힘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틸팅이 안 되기 때문에 코너를 주행할 때는 전복될 가능성이 있었다. 따라서 페달부를 누르는 동작에 의해서 구동하는 삼륜자전거(선행기술 출원번호 10-2015-0064281)가 개발되었지만 선행기술은 페달부가 상방으로 이동할 때는 몸체가 안 기울어지지만 상승한 페달부를 누를 때는 몸체가 기울어지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서서 타는 삼륜 자전거에 있어서 코너를 주행할 때는 기울어지면서 상승한 페달부를 누를 때는 기울어지려고 하는 힘이 작거나 없는 삼륜자전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은, 상하로 연장되는 핸들프레임과 핸들프레임 상단에 결합되는 핸들 및 핸들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몸체로 구성되는 제1몸체부; 제1몸체부에 결합되는 구동륜부; 일단이 제1몸체부 좌측 부위 또는 구동륜중심축 좌측 부위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하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좌측몸체와 일단이 제1몸체부 우측 부위 또는 구동륜중심축 우측 부위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하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우측몸체로 구성되는 제2몸체부; 좌측몸체 타단과 우측몸체 타단에 각각 결합되는 종동륜부; 한쪽 끝단은 좌측몸체에 걸리게 구성되거나 결합되고, 다른쪽 끝단은 우측몸체에 걸리게 구성되거나 결합되며, 가운데 부위에 제1몸체가 걸리게 구성되거나 결합되는 지지부; 구동륜중심축 또는 제2몸체부에 결합되는 페달부; 페달부 상방에 위치한 제1몸체부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체; 페달부를 구동륜부에 연결하고 일부분이 회전체를 경유하게 구성되는 동력전달부재; 및 클러치부를 역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게 구성되는 탄성력제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부는 가운데 부위가 제1몸체에 결합되고 양 끝단이 좌측몸체와 우측몸체에 끼움 결합되거나 얹히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부는 제1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도르래와 한쪽 끝단이 좌측몸체에 결합되고 다른쪽 끝단은 우측몸체에 결합되는 걸림부재로 구성되고, 걸림도르래가 걸림부재 중간 부위에 얹히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부가 결합된 제1몸체 부위 또는 지지부가 걸리는 제1몸체 부위는 틸팅중심선 상방에 위치하게 구성되고, 틸팅중심선은 옆에서 보았을 때 제1몸체부에 결합된 제2몸체부 부위에서 지면에 접촉된 종동륜 부위까지 직선으로 그은 가상의 선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동력전달부재가 결합된 페달부 부위는 회전체 수직 하방 쪽에 위치하거나 회전체 수직 하방에서 가운데 쪽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페달부 부위 중 발 얹는 부위는 위쪽에서 보았을 때 틸팅경계선에 위치하거나 틸팅경계선에서 가운데 쪽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고, 틸팅경계선은 위쪽에서 보았을 때 좌측몸체 회전 중심축과 우측몸체 회전 중심축 사이 정중앙에 위치한 지점에서 지면에 접촉된 종동륜 부위까지 직선으로 그은 가상의 선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페달부가 하방으로 회동이 완료되면 제1몸체와 제2몸체부 및 지지부 중 어느 한 구성에 얹히게 구성되거나 제2몸체부 상방에 위치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기존의 어린이 놀이기구 대비 큰 구동력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코너를 주행할 때는 틸팅되면서 상승한 페달부를 누를 때는 기울어지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지 않음으로 중심을 쉽게 잡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몸체 후부가 지지부에 걸리게 구성함으로써 제1몸체부를 제2몸체부 쪽으로 접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좌페달부가 상방으로 이동된 삼륜자전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양 페달부가 좌,우측몸체에 얹힌 삼륜자전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틸팅중심선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와 틸팅경계선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및 요부 평면도이다.
도 5에서 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 5에서 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부가 좌,우측몸체에 결합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삼륜자전거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틸팅경계선과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및 요부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삼륜자전거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틸팅경계선과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및 요부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걸림부재가 걸림도르래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의 요부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접은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틸팅경계선과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및 요부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 좌페달부가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 양쪽 페달부가 제2몸체부에 얹힌 상태의 측면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서 타는 삼륜자전거는 제1몸체부(100), 구동륜부(200), 회전체부(300), 제2몸체부(400), 종동륜부(500), 지지부(600), 페달부(700), 동력전달부재(800) 및 탄성력제공부(9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몸체부(100)는 핸들(110)과 핸들프레임(120) 및 제1몸체(13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핸들(110)은 양 측방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부위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핸들프레임(120)은 제1핸들프레임(121)과 제2핸들프레임(122) 및 제3핸들프레임(123)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핸들프레임(121)은 일단이 핸들(110) 중간 부위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방으로 길게 연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핸들프레임(122)은 일단이 제1핸들프레임(121) 하단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조금 돌출되는데 여기서는 전방으로 조금 돌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3핸들프레임(123)은 가운데 부위가 제2핸들프레임(122) 타단에 고정 결합되고 양 끝단은 각각 양 측방으로 조금 연장된 다음 90도 절곡되어 하방으로 연장된다.
제3핸들프레임(123) 양 끝단은 후술하는 구동륜(210)이 끼움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되고, 제3핸들프레임(123) 부위 중 양 측방으로 조금 연장된 부위는 옆에서 보았을 때 핸들프레임 회전 중심축(p) 조금 앞쪽에 위치하게 구성하여 후술하는 동력전달부재(800)가 제3핸들프레임(123)에 접촉되지 않게 구성된다.
제3핸들프레임(123)은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고, 제2핸들프레임(122) 타단에서 좌우측 중 어느 한쪽으로 조금 돌출된 다음 절곡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구성하여 동력전달부재(800)가 제3핸들프레임(123)에 접촉되지 않게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몸체(130)는 제1프레임(131)과 제2프레임(132)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프레임(131)은 제1핸들프레임(121) 하부에 외삽 결합된다. 즉 구동륜부(200)를 회전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제1핸들프레임(121) 하부가 제1프레임(131)에 끼움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프레임(132)은 일단이 제1프레임(131)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하방과 후방 사이로 연장되어 구동륜(210) 뒤쪽에 위치하면서 구동륜(210)과 가까운 지점까지 연장된 다음 절곡되어 후방으로 조금 더 연장된다. 절곡되어 후방으로 연장된 부위 중 앞부위에는 결합축(140)이 양 측방으로 돌출되고 후부는 후술하는 지지부(600)가 외삽 결합될 수 있게 축으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축(140)은 후술하는 제2몸체부(400)와 페달부(700)가 외삽 결합될 수 있게 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동륜부(200)는 제3핸들프레임(123) 양 끝단에 결합되는 구동륜(2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동륜(210)은 틸팅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하나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3핸들프레임(123) 양 끝단에 결합되는 구동륜중심축(220)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구동륜(210) 양 측면에는 구동륜중심축(220)을 따라 양 측방으로 조금 돌출된 돌출부가 각각 마련되고, 돌출부 지름은 구동륜중심축(220)보다 조금 더 크게 구성된다. 양쪽 돌출부에는 클러치부(230)가 각각 외삽 결합되어 구동륜(210)을 회전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이하 좌측에 위치한 클러치부(230)를 좌클러치부(231)라 하고 우측에 위치한 클러치부(230)를 우클러치부(232)라 함).
상기 클러치부(230)는 풀리부와 원웨이베어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풀리부는 외주면이 통상의 풀리 형상으로 구성하여 동력전달부재(800)가 외주면에 감길 수 있게 구성되고 양 측면 가운데 부위에 좌우로 관통된 구멍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원웨이베어링은 현재 판매되고 있는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력을 전달하는 베어링으로 구성된다. 풀리부에 마련된 구멍에 원웨이베어링을 끼움 결합하여 풀리부 내주면에 원웨이베어링 외주면을 고정시키고 원웨이베어링 내주면은 돌출부에 외삽 결합하여 돌출부에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원웨이베어링을 결합함으로써 클러치부(230)가 정회전할 때는 원웨이베어링이 구동륜(210)을 회전시키고, 클러치부(230)가 역회전할 때는 원웨이베어링이 클러치부(230) 회전력을 차단하여 구동륜(210)이 역회전 안 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회전체부(300)는 동력전달부재(800)가 페달부(700) 상방에 위치한 지점을 경유하게 하는 구성으로 회전체축(310)과 회전체(32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회전체축(310)은 페달부(700) 상방에 위치한 제1프레임(131) 후부에서 양 측방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좌우측 부위는 축으로 구성하여 회전체(320)가 외삽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회전체(320)는 통상의 도르래와 똑같은 형상으로 구성하여 동력전달부재(800)가 감길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회전체축(310) 좌우측 부위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동력전달부재(800)가 경유할 수 있게 구성된다.
회전체(320)가 결합되는 위치는 앞에서 보았을 때 제1프레임(131) 양 측방에 위치하면서 제1프레임(131)과 가까운 지점에 위치하게 구성되고, 옆에서 보았을 때 회전체(320) 앞부위가 핸들프레임 회전 중심축(p)에 위치하게 구성하여 동력전달부재(800)가 핸들프레임 회전 중심축(p)과 가까운 지점을 경유하게 구성된다. 회전체(320) 앞부위가 핸들프레임 회전 중심축(p)에서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게 구성될 경우, 핸들(110)을 회전시켜 진행방향을 바꿀 때 회전체(320) 앞부위와 클러치부(230) 사이 간격이 한쪽은 좁아지고 반대쪽은 늘어나지만 동력전달부재(800)가 안 늘어나기 때문에 핸들(110)을 회전시키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회전체(320) 앞부위는 핸들프레임 회전 중심축(p)과 가까운 지점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몸체부(400)는 좌측몸체(410)와 우측몸체(420)로 구성된다. 좌측몸체(410)는 일단이 결합축(140) 좌측 부위에 외삽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면서 상하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우측몸체(420)는 일단이 결합축(140) 우측 부위에 외삽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면서 상하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결합축(140) 양 끝단은 후술하는 페달부(700)가 결합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좌,우측몸체(410,420) 양 측방으로 돌출하게 구성된다.
좌측몸체(410)와 우측몸체(420) 사이 폭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조금씩 벌어지게 구성되고, 좌,우측몸체(410,420) 부위 중 후술하는 발판(740) 하방에 위치한 부위는 탑승자가 탑승했을 때 양발 사이 폭만큼 벌어지게 구성된다.
좌,우측몸체(410,420)에는 결합축(140) 조금 뒤쪽에 위치한 부위에 각각 좌우로 관통된 구멍이 마련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구멍 위치는 위쪽에서 보았을 때 좌측몸체 회전 중심축(r)과 우측몸체 회전 중심축(r) 사이 정중앙에 위치한 지점에서 지면에 접촉된 종동륜(520) 부위까지 직선으로 그은 가상의 선(이하 틸팅경계선(x)이라고 함)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종동륜부(500)는 종동륜프레임(510)과 종동륜(520)으로 구성되고 좌측몸체(410) 타단 하부와 우측몸체(420) 타단 하부에 각각 결합되지만, 양쪽 종동륜부(500) 구조가 서로 같음으로 제1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에서 종동륜부(500)는 좌측몸체(410)에 결합된 종동륜부(50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종동륜프레임(510)은 가운데 부위가 좌측몸체(410) 타단 하부에 결합되고 양 끝단은 각각 90도 절곡되어 하방으로 돌출된다. 하방으로 돌출된 양쪽 부위에는 각각 좌우로 관통된 구멍이 마련되어 종동륜(520)이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종동륜(520)은 구동륜(200)보다 작은 크기로 구성되고 종동륜프레임(510)에 결합된다. 즉 하방으로 돌출된 종동륜프레임(510) 양 끝단 사이에 종동륜(520)을 끼운 다음 종동륜프레임(510)에 마련된 구멍과 종동륜(520)에 핀을 끼워서 종동륜프레임(510)에 종동륜(520)을 결합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지지부(600)는 제1몸체부(100)를 지지하여 제1몸체부(100)가 제2몸체부(400) 타단쪽으로 안 기울어지게 하면서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400)가 측방으로 기울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부(600) 가운데 부위가 제2프레임(132) 타단에 외삽 결합되고 지지부(600) 양 끝단은 양 측방으로 연장되면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지지부(600) 양 끝단을 각각 좌,우측몸체(410,420)에 마련된 구멍에 끼움 결합하여 지지부(600) 양 끝단이 각각 좌,우측몸체(410,420)에 걸리게 구성함으로써 제1몸체부(100) 후부가 안 내려가게 하고, 좌,우측몸체(410,420)가 기울어질 때 지지부(600) 좌우측 부위가 상하로 회전하게 구성된다.
옆에서 보았을 때 지지부(600) 회전 중심축이 후술하는 틸팅중심선(y)과 같은 높이에 위치하거나 아래쪽에 위치하게 구성될 경우 상승한 페달부(700)를 누르면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400)가 기울어지게 된다. 옆에서 보았을 때 지지부(600) 회전 중심축 위치가 틸팅중심선(y)에서 상방으로 이동할수록 상승한 페달부(700)를 누를때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400)가 기울어지려고 하는 힘이 약해진다. 그리고 지지부(600) 회전 중심축이 틸팅중심선(y)에서 일정한 간격 떨어진 상방에 위치하게 구성될 경우 페달부(700)가 상승한 상태에서 양쪽 틸팅경계선(x) 사이에 위치한 발판(740) 부위를 누르면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400)는 기울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지지부(600)가 결합되는 위치는 틸팅중심선(y)에서 일정한 간격 떨어진 상방에 위치하게 구성하여 상승한 발판(740)을 누를 때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400)가 안 기울어지게 구성된다. 물론 지지부(600)가 결합되는 위치는 상승한 발판(740)을 누를 때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400)가 기울어지려고 하는 힘이 아주 약해지는 위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틸팅중심선(y)은 옆에서 보았을 때 좌,우측몸체(410,420)가 결합된 부위에서 지면에 접촉된 종동륜(520) 부위까지 직선으로 그은 가상의 선이다.
지지부(600)가 결합되는 좌,우측몸체(410,420) 부위는 위쪽에서 보았을 때 틸팅경계선(x) 또는 틸팅경계선(x)과 가까운 지점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좌,우측몸체(410,420) 일단이 제1몸체부(100)에 각각 결합되고 좌,우측몸체(410,420) 후부가 상하로 회전되는 구조와, 지지부(600) 중간 부위가 제1몸체부(100)에 결합되고 지지부(600) 좌우측 부위가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지지부(600) 양 끝단이 각각 좌,우측몸체(410,420) 중간 부위에 끼움 결합되는 구조는 상품화된 trikke 구조와 똑같다. 따라서 지지부(600) 양 끝단이 각각 좌,우측몸체(410,420)에 끼움 결합되는 구조와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400)가 기울어지는(틸팅) 원리는 trikke와 같고, 선행기술(출원번호 PCT/US2005/021675)에서 상세히 설명되어 있음으로, 여기서는 지지부(600) 양 끝단이 각각 좌,우측몸체(410,420)에 끼움 결합되는 구조와 삼륜자전거가 틸팅되는 원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페달부(700)는 좌페달부(710)와 우페달부(720)로 구성된다.
좌,우페달부(710)는 각각 페달프레임(730)과 발판(740)으로 구성된다.(이하 좌측에 위치한 페달프레임(730)을 좌페달프레임(731)이라고 하고 우측에 위치한 페달프레임(730)을 우페달프레임(732)이라고 함)
좌페달프레임(731)은 일단이 결합축(140) 좌측 끝단에 외삽 결합되고 타단은 상방으로 조금 돌출된 다음 절곡되어 후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후부는 상하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하방으로 회동이 완료되면 틸팅경계선(x) 수직 상방에 위치한 좌측몸체(410) 부위에 얹히게 구성된다.
우페달프레임(732)은 일단이 결합축(140) 우측 끝단에 외삽 결합되고 타단은 상방으로 조금 돌출된 다음 절곡되어 후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후부는 상하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하방으로 회동이 완료되면 틸팅경계선(x) 수직 상방에 위치한 우측몸체(420) 부위에 얹히게 구성된다.
좌,우페달프레임(731,732)에는 각각 페달바(750)가 마련된다(이하 좌측에 위치한 페달바(750)는 좌페달바(751)라고 하고 우측에 위치한 페달바(750)는 우페달바(752)라고 함).
좌페달바(751)는 좌페달프레임(731) 중간 부위에서 가운데로 연장되고 우페달바(752)는 우페달프레임(732) 중간 부위에서 가운데로 연장된다. 그리고 양 페달바(750) 끝단에는 후술하는 동력전달부재(800)가 결합되는 부위인 홈이 각각 마련된다.
좌,우페달바(751,752)에 마련된 홈 위치는 뒤쪽에서 보았을 때 회전체(320) 수직 하방쪽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발판(740)은 좌페달프레임(731) 후부이면서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좌발판과 우페달프레임(732) 후부이면서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우발판으로 구성된다. 발판(740) 상부는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게 평면으로 구성된다.
발판(740) 부위 중 탑승자 발이 얹히는 부위는 도 4와 같이 위쪽에서 보았을 때 틸팅경계선(x)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상승한 페달부(700)를 누를 때에도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400)가 안 기울어짐으로 페달부(700)가 하방으로 회동이 완료되면 페달부(700)가 제2몸체부(400)에 안 얹히고 제2몸체부(400) 상방에 위치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동력전달부재(800)가 회전체(320)에 연결되면서 감기게 구성되고 페달부(700)가 일정한 높이까지 내려가면 회전체(320)가 회전체축(310)에 걸림과 동시에 회전체(320)가 더는 회전 안 하게 구성하여 페달부(700)가 더 안 내려가게 구성될 수도 있다.
코너를 주행할 때 핸들(110)을 기울이면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400) 및 페달부(700)가 기울어진다. 즉 좌,우페달부(710,720)가 좌,우측몸체(410,420)에 얹혔을 때와 상승했을 때 핸들(110)을 기울이면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400) 및 페달부(700)가 잘 기울어지고, 발판(740)을 수직으로 누르는 힘에 의해서는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400) 및 페달부(700)는 안 기울어진다.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400)가 좌측으로 기울어질 경우, 좌측몸체(410)가 상방으로 회전함에 따라 좌측몸체(410)에 얹힌 좌페달부(710)도 상방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좌동력전달부재(810)는 후술하는 좌인장스프링(931) 인장력에 의해서 좌인장스프링(931)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우측몸체(420)는 하방으로 회전함에 따라 우페달부(720)가 우측몸체(420)에서 떨어지게 되지만, 후술하는 우동력전달부재(820)가 클러치부(230)에서 풀리면서 우페달부(720)가 하방으로 회전하여 우페달부(720)가 우측몸체(420)에 얹힌 상태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동력전달부재(800)는 좌동력전달부재(810)와 우동력전달부재(820)로 구성된다.
좌동력전달부재(810)는 일단이 좌페달바(751)에 마련된 홈에 결합되고 타단은 좌클러치부(231)에 연결되면서 감기게 구성하여 좌페달부(710) 조작으로 좌클러치부(231)를 회전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우동력전달부재(820)는 일단이 우페달바(752)에 마련된 홈에 결합되고 타단은 우클러치부(232)에 연결되면서 감기게 구성하여 우페달부(720) 조작으로 우클러치부(232)를 회전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좌,우동력전달부재(810,820)는 각각 중간 부위가 회전체(320)를 경유하게 구성하여 좌,우페달부(710,720) 조작으로 각각 좌,우동력전달부재(810,820)를 당길 수 있게 구성된다.
뒤쪽에서 보았을 때 페달바(750)와 회전체(320) 사이에 위치한 좌,우동력전달부재(810,820) 부위가 가운데 쪽으로 기울어지면, 상승한 페달부(700)를 누를 때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400) 및 페달부(700)가 기울어지게 된다. 그리고 뒤쪽에서 보았을 때 페달바(750)와 회전체(320) 사이에 위치한 좌,우동력전달부재(810,820) 부위가 바깥쪽으로 기울어지거나 안 기울어지면, 상승한 페달부(700)를 누를 때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400) 및 페달부(700)는 기울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좌,우동력전달부재(810,820)가 결합된 페달바(750) 부위는 뒤쪽에서 보았을 때 회전체(320) 수직 하방 쪽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동력전달부재(800)는 상기와 같이 구성하여, 페달부(700)가 하방으로 회동할 때는 동력전달부재(800)가 클러치부(230)에서 풀리면서 클러치부(230)를 회전시키고, 페달부(700)에서 발을 떼면 인장스프링(930) 인장력에 의해서 클러치부(230)가 역회전하게 되고 클러치부(230)가 역회전함에 따라 동력전달부재(800)가 클러치부(230)에 감기면서 페달부(700)가 상방으로 회전하게 구성된다.
핸들(110)을 회전시키면 회전체(320)와 클러치부(230) 사이에 위치한 동력전달부재(800) 부위에서 비틀어지면서 핸들(110)이 원횔히 회전된다. 핸들(110)을 회전시킬 때 좌측에 위치한 회전체(320) 앞부위와 좌클러치부(231) 사이 간격과 우측에 위치한 회전체(320) 앞부위와 우클러치부(232) 사이 간격이 아주 조금 변경되는데, 간격이 벌어질 때는 벌어진 간격만큼 동력전달부재(800)가 클러치부(230)에서 풀리게 되고, 간격이 좁아질 때는 좁아진 간격만큼 동력전달부재(800)가 클러치부(230)에 감기면서 핸들(110)이 원활히 회전하게 된다.
동력전달부재(800)는 외력이 작용하면 길이는 늘어나지 않으면서 형상이 가변되는 가변 부재로 구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동력전달부재(800)는 다이니마 로프로 구성됨을 제시한다.
상기 다이니마 로프는 비강도가 와이어보다 15배나 강하면서 섬유 특성인 유연성이 있기 때문에 동력전달부재(800)가 왕복 이동할 때와 핸들(110)을 회전시킬 때 잘 휘어지고 잘 비틀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탄성력제공부(900)는 클러치부(230)를 역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걸이부(910)와 인장스프링(930) 및 연결부재(92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걸이부(910)는 제1핸들프레임(121) 부위 중 제1프레임(131) 상방에 위치하면서, 제1프레임(131)과 가까운 부위에서 전방으로 조금 돌출된 다음 앞단에서 양 측방으로 조금 더 연장되고, 양 측방으로 연장된 양 끝단은 인장스프링(930)이 걸릴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인장스프링(930)은 좌인장스프링(931)과 우인장스프링(932)으로 구성된다.
좌인장스프링(931)은 일단이 걸이부(910) 좌측 부위에 마련된 홈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우인장스프링(932)은 일단이 걸이부(910) 우측 부위에 마련된 홈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방으로 연장된다.
좌인장스프링(931) 인장력은 좌페달부(710)를 상방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되고, 우인장스프링(932) 인장력은 우페달부(720)를 상방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연결부재(920)는 좌연결부재(921)와 우연결부재(922)로 구성된다.
좌연결부재(921)는 일단이 좌인장스프링(931)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좌클러치부(231)에 연결되면서 감기게 구성된다. 그리고 우연결부재(922)는 일단이 우인장스프링(932)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우클러치부(232)에 연결되면서 감기게 구성된다.
좌페달부(710)가 하방으로 이동할 때는 좌동력전달부재(810)가 좌클러치부(231)에서 풀리면서 좌클러치부(231)를 정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좌연결부재(921)가 좌클러치부(231)에 감기게 되고 좌인장스프링(931)이 늘어나게 된다. 그리고 좌페달부(710) 누름을 해제하면 늘어난 좌인장스프링(931)이 줄어듬에 따라 좌연결부재(921)가 좌클러치부(231)에서 풀리게 된다. 따라서 좌클러치부(231)가 역회전하게 되고 좌동력전달부재(810)가 좌클러치부(231)에 감김에 따라 좌페달부(710)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페달부(700)는 상기와 같이 한쌍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한개의 페달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우페달부와 우동력전달부재 및 우클러치부는 구비되고 좌페달부와 좌동력전달부재 및 좌클러치부는 구비 안 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좌측에 위치한 발판은 좌측몸체 중간 부위이면서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하여 우페달부만 조작할 수 있게 구성될 수도 있다.
기존의 서서타는 이륜자전거와 틸팅되는 삼륜자전거는 상승한 페달을 밟을 때 기울어지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게 되고, 주행 중 중심을 계속 잡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기존의 서서 타는 자전거 중 틸팅 안 되는 삼륜자전거는 코너를 주행할 때 전복될 위험성이 상당히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품은 코너를 주행할 때는 틸팅되고 상승한 페달부(700)를 누르는 힘에 의해서는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400)가 기울어지지 않기 때문에 중심을 쉽게 잡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실시예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 제2실시예에서는 지지부(600) 양 끝단이 각각 좌,우측몸체(410,420)에 얹히게 구성되고 페달부(700)가 하방으로 회동이 완료되면 페달부가 지지부(600)에 얹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핸들(110)은 양 측방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부위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핸들프레임은(120)은 일단이 핸들(110) 중간 부위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하방으로 길게 연장된다. 그리고 하부는 좌우 양쪽으로 벌어지게 구성하여 구동륜(210)이 끼움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제1몸체(130)는 일단이 핸들프레임(120) 하단 양쪽 부위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구동륜(210) 뒤쪽까지 각각 연장된 다음 구동륜(210) 뒷쪽에서 앙쪽 부위가 서로 합쳐진 후 후방으로 조금 더 연장된다. 그리고 타단은 후술하는 중간몸체(610)가 외삽 결합될 수 있게 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구동륜(210)은 핸들프레임(120) 벌어진 부위와 제1몸체(130) 벌어진 부위 사이에 끼워진 다음 핸들프레임(120) 하단에 구동륜중심축(220)으로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구동륜중심축(220) 양 끝단은 핸들프레임(120) 양 측방으로 조금 돌출되고 돌출된 양쪽 부위는 좌,우측몸체(410,420)가 외삽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된다.
구동륜(210) 좌우측 부위에는 클러치부(230)가 제1실시예와 똑같은 구조로 결합되어 페달부(700) 조작으로 발생한 구동력을 구동륜(210)에 전달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회전체축(310)은 구동륜(210) 상방에 위치한 핸들프레임(120) 부위에서 양 측방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위는 축으로 구성하여 회전체(320)가 외삽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회전체(320)는 제1실시예와 같은 형상으로 구성되고 회전체축(310) 좌우측 부위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좌측몸체(410)는 일단이 구동륜중심축(220) 왼쪽 끝부위에 외삽 결합되고 우측몸체(420)는 일단이 구동륜중심축(220) 오른쪽 끝부위에 외삽 결합된다. 그리고 좌,우측몸체(410,420) 타단은 각각 후방으로 연장되면서 상하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좌,우측몸체(410,420) 부위 중 후술하는 가장자리몸체(620)가 얹히는 부위를 평면으로 구성하여 틸팅 안 된 상태에서 가장자리몸체(620)가 평면 부위(410,420)에 면 접촉하게 구성된다(이하 좌,우측몸체(410,420) 부위 중 가장자리몸체(620)와 마주보는 평면 부위를 접촉부라 함).
좌,우측몸체(410,420)는 상기와 같이 구동륜중심축(220)에 결합될 수도 있고, 구동륜(210) 양 측방에 위치한 제1몸체(130) 부위에 결합될 수도 있다.
즉, 구동륜 양 측방에 위치한 제1몸체 부위에 측방으로 돌출되는 축이 각각 마련되고 좌,우측몸체가 각각 축에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물론 좌,우측몸체는 핸들프레임 부위 중 하단과 가까운 부위에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종동륜부(500)는 좌,우측몸체(410,420) 타단에 각각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핸들프레임(120)이 제1몸체(130)에 고정 결합됨으로, 종동륜부(500)를 회전시켜 조향이 이루어지게 구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종동륜부(500) 구조는 좌,우측몸체(410,420)가 기울어질 때 종동륜부(500) 좌우측 부위가 앞뒤로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종동륜프레임(510)은 가운데 부위가 좌측몸체(410) 후단 하부에 360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양 끝단은 각각 90도 절곡되어 하방으로 조금 더 연장된다. 그리고 하방으로 연장된 양쪽 부위에는 각각 좌우로 관통된 구멍이 마련된다.
종동륜프레임(510)이 좌측몸체(410)에 결합되는 구조는, 기존의 어린이 삼륜 킥보드 트라이더와 같은 구조로 결합하여 좌측몸체(410)가 좌우로 기울어질 때 종동륜프레임(510) 좌우측 부위가 앞뒤로 회전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종동륜프레임(510) 회전 중심축 기울기는 트라이더와는 정반대로 뒤쪽으로 조금 기울어지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종동륜(520)은 종동륜프레임(510)에 결합된다. 즉 종동륜프레임 양 끝단 사이에 종동륜(520)을 끼운 다음 종동륜프레임(510)과 종동륜(520)에 핀을 끼워서 종동륜프레임(510)에 종동륜(520)을 결합시킨다.
종동륜(520)은 좌우 폭을 넓게 구성하여 지면에 접촉되는 종동륜(520) 부위 좌우 폭이 넓어지게 구성된다. 그리고 옆에서 보았을 때 지면에 접촉된 종동륜(520) 부위가 종동륜부 회전 중심축(q)에 위치하게 구성하여 좌,우측몸체(410,420)가 측방으로 기울어질 때 좌,우측몸체(410,420)가 기울어지는 방향쪽으로 종동륜부(500)가 회전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틸팅경계선(x)은 제1실시예와 같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지지부(600)는 중간몸체(610)와 가장자리몸체(62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중간몸체(610)는 가운데 부위가 제1몸체(130) 후부에 외삽 결합되고, 양 끝단은 양 측방으로 연장되면서 상하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가장자리몸체(620)는 한쌍으로 구성된다.
가장자리몸체(620)는 중간몸체(610) 양 끝단에 각각 외삽 결합되어 앞뒤 부위가 상하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좌,우측몸체(410,420)에 마련된 접촉부(410,420)에 각각 얹히게 구성된다. 가장자리몸체(620) 부위 중 접촉부(410,420)와 마주보는 하면은 평면으로 구성하여 틸팅 안된 상태에서 가장자리몸체(620) 하면이 접촉부(410,420)에 면 접촉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가장자리몸체(620) 하면 좌우측에 위치한 모서리 부위는 앞뒤로 연장된 직선으로 구성하여 틸팅시 가장자리몸체(620) 하면 좌우 모서리 부위가 접촉부(410,420)에 접촉하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지지부(600)가 구성되고 좌,우측몸체(410,420)가 좌측 또는 우축으로 기울어질 경우, 중간몸체(610) 좌우측 부위가 상하로 회전하게 되고, 가장자리몸체(620) 앞뒤 부위가 상하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기울어진 쪽에 위치한 가장자리몸체(620) 하면 바깥쪽에 위치한 모서리 앞뒤 부위가 접촉부(410,420)에 접촉하게 되고 기울어진 반대쪽에 위치한 가장자리몸체(620) 하면 안쪽에 위치한 모서리 앞뒤 부위가 접촉부(410,420)에 접촉하게 된다.
가장자리몸체(620)가 얹히는 접촉부(410,420) 부위는 틸팅경계선(x)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가장자리몸체(620) 상면 중 제1몸체(130) 쪽에 위치한 부위는 평면으로 구성되고 평면 앞뒤 모서리 부위는 좌우로 연장된 직선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평면 부위는 페달부(700)가 얹힐 수 있게 구성된다.
지지부(600)는 상기와 같이 가운데 부위가 제1몸체(130)에 결합되고 양 끝단이 좌,우측몸체(410,420)에 얹히게 구성될 수도 있고 하기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일단이 좌측몸체 중간 부위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하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면서 우측몸체 중간 부위에 얹히게 구성되거나, 일단이 우측몸체 중간 부위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하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면서 좌측몸체 중간 부위에 얹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제1몸체 후부가 지지부 중간 부위에 얹히게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좌페달프레임(731)은 일단이 좌측몸체(410) 앞부위이면서 상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면서 상하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하방으로 회동이 완료되면 가장자리몸체(620) 상부 평면 부위에 얹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우페달프레임(732)은 일단이 우측몸체(420) 앞부위이면서 상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면서 상하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하방으로 회동이 완료되면 가장자리몸체(620) 상부 평면 부위에 얹히게 구성된다.
지지부(600)가 좌,우측몸체(410,420)를 누르는 힘이 상승한 페달부(700) 쪽에 위치한 좌,우측몸체(410,420)에도 조금 실리게 하기 위해서 좌,우페달프레임(731,732)이 누르는 가장자리몸체(620) 부위는 좌,우측몸체(410,420)를 누르는 가장자리몸체(620) 부위에서 제1몸체(130) 타단쪽으로 조금 이동된 지점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페달바(750)와 발판(740)은 제1실시예와 같게 구성된다.
좌,우페달부(710,720)가 가장자리몸체(620)에 얹혔을 때와 상승했을 때, 틸팅경계선(x) 수직 상방에 위치한 발판(740) 부위 또는 발판(740) 부위 중 틸팅경계선(x) 수직 상방에 위치한 부위에서 안쪽에 위치한 부위를 누르면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400)는 안 기울어진다. 그리고 발판(740) 부위 중 틸팅경계선(x) 수직 상방에 위치한 부위에서 조금 바깥쪽에 위치한 부위를 누르면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400)는 기울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동력전달부재(800)와 탄성력제공부(900)는 제1실시예와 같게 구성된다.
상기 제2실시예같이 구성될 경우에도 지지부(600) 회전 중심축이 틸팅중심선(y)에서 일정한 간격 떨어진 상방에 위치함으로 지지부(600)에 얹힌 페달부(700)를 누르거나 상승한 페달부(700)를 누르면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400)는 안 기울어진다. 따라서 제2실시예같이 구성될 경우에도 제1실시예 같이 중심을 쉽게 잡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부(600) 가운데 부위가 제1몸체(130)에 결합되고 지지부(600) 양 끝단이 좌,우측몸체(410,420)에 얹히게 구성함으로써 지지부(600)를 90도 회전시켜서 지지부(600)가 좌,우측몸체(410,420)에 안 걸리게 한 다음 제1몸체부(100)를 제2몸체부(400) 쪽으로 접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3실시예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 제3실시예에서는 제1몸체부(100)와 지지부(600) 및 페달부(700)가 제2실시예와 다르게 구성되고 다른 구성은 제2실시예와 같게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제1몸체부(100)와 지지부(600) 및 페달부(70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제1몸체부(100)는 제2실시예에서 받침판(150)이 더 구비된다.
상기 받침판(150)은 제1몸체(130) 부위 중 합쳐진 부위이면서 축 앞부위 상부에 고정 결합되고 상면은 후술하는 얹힘바(760)가 얹힐 수 있게 평면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지지부(600)는 걸림도르래(630)와 걸림부재(64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걸림도르래(630)는 제1몸체(130)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외삽 결합된다. 그리고 걸림도르래(630) 회전 중심축은 틸팅중심선(y)에서 일정한 간격 떨어진 틸팅중심선(y) 수직 상방에 위치하게 구성하여 상승한 발판(740)을 누를 때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400)가 기울어지지 않게 구성된다.
걸림도르래(630) 형상은 통상의 풀리같이 외주면에 홈이 마련되고 홈은 걸림부재(640)가 감길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걸림부재(640)는 양 끝단이 걸림도르래(630)와 마주보는 좌,우측몸체(410,420) 부위에 각각 결합되고 중간 부위가 걸림도르래(630) 하부를 경유하게 구성된다. 즉 걸림부재(640) 중간 부위에 걸림도르래(630)가 얹히게 구성하여 제1몸체부(100) 후부가 안 내려가게 구성된다. 그리고 걸림도르래(630) 하부는 걸림부재(640)가 결합된 좌,우측몸체(410,420) 부위 조금 아래쪽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또한, 걸림부재(640)가 결합된 좌,우측몸체(410,420) 부위는 위쪽에서 보았을 때 틸팅경계선(x)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좌,우측몸체(410,42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질 때 걸림부재(640)가 기울어지는 쪽으로 조금 이동하게 되고 걸림도르래(630)는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걸림부재(640)는 외력이 작용하면 길이는 늘어나지 않으면서 잘 휘어지는 부재로 구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걸림부재(640)는 다이니마 로프로 구성됨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좌페달프레임(731)은 일단이 좌측몸체(410) 앞부위이면서 상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면서 상하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우페달프레임(732)은 일단이 우측몸체(420) 앞부위이면서 상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면서 상하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받침판(150)과 마주보는 좌,우페달프레임(731,732) 부위에는 받침판(150) 쪽으로 돌출되는 얹힘바(760)가 각각 마련된다. 그리고 좌,우페달부(710,720)가 하방으로 회동이 완료되면 얹힘바(760) 끝단 부위가 받침판(150)에 얹히게 구성된다.
좌,우페달부(710,720)가 받침판(150)에 얹힌 상태로 기울어졌을 때, 좌,우페달부(710,720)가 받침판(150)에 얹힌 상태로 유지되게 하기 위해서 좌,우페달부(710,720)가 안 기울어지고 받침판(150)에 얹힌 상태에서 좌,우페달프레임(731,732) 후부는 좌,우측몸체(410,420)에서 일정간격 떨어진 상방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페달바(750)와 발판(740)은 제1실시예와 같게 구성된다.
탑승자가 페달부(700)에 탑승하고 페달부(700)를 누르면 얹힘바(760)가 받침판(150)을 누르게 되어 제1몸체부(100)는 전방으로 안 기울어진다. 그리고 얹힘바(760)가 받침판(150)을 누름에 따라 걸림도르래(630)가 걸림부재(640)를 누르게 되지만 걸림부재(640) 양 끝단이 좌,우측몸체(410,420)에 걸려서 제1몸체부(100)는 후방으로 안 기울어진다.
좌,우페달부(710,720)는 상기와 같이 좌,우측몸체(410,420) 앞부위에 결합되거나 하기와 같이 구동륜중심축(220)에 결합될 수 있다.
좌,우측몸체(410,420)가 구동륜중심축(220) 좌우측 부위에 결합되고 구동륜중심축(220) 양 끝단은 좌,우측몸체(410,420) 양 측방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좌,우페달부(410,420)가 구동륜중심축(220) 양 끝단에 결합된다.
상기 제3실시예같이 구성하고 페달부(700)가 받침판(150)에 얹혔을 때와 상승한 상태에서, 틸팅경계선(X) 수직 상방에 위치한 발판(740) 부위를 누르거나 틸팅경계선(X) 수직 상방에 위치한 발판(740) 부위에서 안쪽에 위치한 발판(740) 부위를 누르면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400)는 안 기울어진다. 그리고 틸팅경계선(X) 수직 상방에 위치한 발판(740) 부위에서 조금 바깥쪽에 위치한 발판(740) 부위를 누르면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400)는 기울어지게 된다.
상기 제3실시예같이 구성될 경우에도 받침판(150)에 얹힌 페달부(700)를 누르거나 상승한 페달부(700)를 누를 때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400)가 안 기울어짐으로 제1실시예같이 중심을 쉽게 잡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걸림도르래(630)가 걸림부재(640)에 얹히게 구성함으로써 도 10과 도 11과 같이 걸림부재(640)를 걸림도르래(630)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제1몸체부(100)를 제2몸체부(400) 쪽으로 접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4실시예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 제4실시예에서는 구동륜부(200)가 후방에 위치하고 종동륜부(500)가 전방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핸들(110)은 제1실시예와 같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핸들프레임(120)은 일단이 핸들(110) 중간 부위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방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제1몸체(130)는 일단이 핸들프레임(120) 하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되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조금씩 내려가게 구성된다. 그리고 후부는 좌우 양쪽으로 벌어지게 구성하여 종동륜(520)이 끼움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된다.
제1몸체(130)에는 돌출축(160)이 구비된다.
상기 돌출축(160)은 제1몸체(130) 부위 중 벌어진 부위 앞쪽에 위치하면서 벌어진 부위와 가까운 부위에서 하방으로 조금 돌출되고 돌출된 하단에는 앞쪽으로 조금 돌출된 축이 마련된다. 상기 축은 걸림도르래(630)가 외삽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구동륜(210)은 제1몸체(130) 벌어진 부위 사이에 끼워진 다음 제1몸체(130) 후단에 구동륜중심축(220)으로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구동륜중심축(220) 양 끝단은 제1몸체(130) 양 측방으로 조금 돌출되고 돌출된 양쪽 부위는 좌,우측몸체(410,420)가 외삽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된다.
구동륜(210) 좌우측 부위에는 클러치부(230)가 제1실시예와 같은 구조로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회전체축(310)은 제1몸체(130) 중간 부위에서 하방으로 조금 돌출된 다음 하단에서 양 측방으로 조금 더 연장되고 측방으로 연장된 부위는 회전체(320)가 외삽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회전체(320)는 회전체축(310) 좌우 양쪽 부위에 외삽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좌측몸체(410)는 일단이 구동륜중심축(220) 왼쪽 끝부위에 외삽 결합되고 우측몸체(420)는 일단이 구동륜중심축(220) 오른쪽 끝부위에 외삽 결합된다. 그리고 좌,우측몸체(410,420) 타단은 각각 전방으로 연장되되 발판(740)이 얹히는 부위는 탑승자가 탑승했을 때 양발 폭만큼 벌어지게 구성된다. 좌,우측몸체(410,420) 앞부위는 각각 타단과 가까운 부위에서 절곡되어 상방과 전방으로 연장되되 상방과 전방으로 연장된 부위는 둥근 모양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좌,우측몸체(410,420)에는 걸림부재결합부(430)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재결합부(430)는 걸림도르래(630)와 마주보는 좌,우측몸체(410,420) 부위에서 각각 상방으로 조금 돌출되고 돌출된 상단에는 걸림부재(640)가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된다.
걸림도르래(630) 회전 중심축이 틸팅중심선(y)에서 일정한 간격 떨어진 틸팅중심선(y) 상방에 위치되게 하기 위해서 걸림부재결합부(430)가 구비되고 걸림부재(640)가 걸림부재결합부(430) 상단에 결합된다.
걸림부재결합부(430)는 위쪽에서 보았을 때 틸팅경계선(x)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종동륜부(500)는 폭스바겐이 만든 전동스쿠터인 last Mile Surfer와 똑같은 형태로 구성하여 틸팅되면 틸팅되는 방향 쪽으로 종동륜부(500)가 회전하게 구성된다.
즉 종동륜프레임(510)이 좌,우측몸체(410,420) 앞단 하부에 360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종동륜(520)은 좌우 폭이 좁은 바퀴로 구성되고 종동륜프레임(510)에 결합된다. 그리고 지면에 접촉된 종동륜(520) 부위는 종동륜부 회전 중심축(q)에서 일정한 간격 떨어진 뒤쪽에 위치하게 구성하여 제2몸체부(400)를 측방으로 기울어서 종동륜부(500)를 회전시켜 조향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지지부(600)는 걸림도르래(630)와 걸림부재(64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걸림도르래(630)는 돌출축(160) 하단에 마련된 축에 회전 가능하게 외삽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걸림부재(640)는 양 끝단이 양쪽 걸림부재결합부(430) 상단에 결합되고 가운데 부위에 걸림도르래(630)가 얹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좌페달프레임(731)은 일단이 좌측몸체(410) 절곡된 부위에 힌지 결합되고 우페달프레임(732)은 일단이 우측몸체(420) 절곡된 부위에 힌지 결합된다. 좌,우페달프레임(731,732) 타단은 각각 후방으로 연장되되 좌,우페달프레임(731,732)이 연장되는 방향은 좌,우측몸체(410,420) 수직 상방쪽으로 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좌,우페달부(710,720)가 하방으로 회동이 완료되면 좌페달프레임(731)은 좌측몸체(410)에 얹히게 구성되고 우페달프레임(732)은 우측몸체(420)에 얹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페달바(750)와 발판(740)은 제1실시예와 같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동력전달부재(800)와 인장스프링(930) 및 연결부재(920)는 제1실시예와 같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걸이부(910)는 제1몸체(130) 중간 부위에서 하방으로 조금 돌출된 다음 하단에서 양 측방으로 조금 더 연장되고, 양 측방으로 연장된 부위는 인장스프링(930)이 걸릴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제4실시예같이 구동륜부(200)가 후방에 위치하고 종동륜부(500)가 전방에 위치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제5실시예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로 제5실시예에서는 회전체부와 동력전달부재가 구비 안 되고, 페달부(700)가 구동륜부(200)에 맞물림되어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 제1몸체부(100), 제2몸체부(400), 종동륜부(500) 및 탄성력제공부(900)는 제2실시예와 같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 구동륜(210)은 핸들프레임(120) 하단에 구동륜중심축(220)으로 결합되고, 클러치부(230)는 구동륜(210)에서 양 측방으로 돌출된 돌출부에 외삽 결합된다. 풀리부 내주면에 원웨이베어링이 끼움 결합되어 원웨이베어링 외주면이 풀리부에 고정되고, 원웨이베어링 내주면은 돌출부에 외삽 결합되어 돌출부에 고정된다. 풀리부 외주면에는 제1기어(830)가 구비된다.
상기 제1기어(830)는 통상의 평기어와 같은 형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 지지부(600)는 중간몸체(610)와 가장자리몸체(620)로 구성된다.
중간 몸체(610)는 제2실시예와 같게 구성되고 가장자리몸체(620)는 제2실시예의 구조에서 페달부(700) 얹히는 부위가 없는 구조와 같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 좌페달부(710)는 페달프레임(730)과 발판(740) 및 제2기어(840)로 구성되고 우페달부(720)도 페달프레임(730)과 발판(740) 및 제2기어(840)로 구성된다. 좌페달부(710)와 우페달부(720)는 서로 똑같음으로 좌페달부(710)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 좌페달프레임(731)은 일단과 가까운 부위가 좌측몸체(410) 일단과 가까운 부위 상부에 결합되고, 일단은 전방으로 연장되며,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면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좌페달프레임(731) 부위 중 좌측몸체(410)에 결합된 부위에서 일단까지 부위는, 좌측몸체(410)에 결합된 부위에서 전방으로 조금 돌출된 다음 90도 절곡되어 구동륜(210) 쪽으로 조금 더 연장된 다음 절곡되어 제1기어(830) 쪽으로 연장하게 구성하여, 좌페달프레임(731)이 상하로 회전할 때 좌측몸체(410)에 걸리지 않게 구성된다.
좌페달프레임(731)에는 구동륜(210) 후방에 위치한 부위에서 가운데까지 돌출되는 얹힘바(760)가 마련된다. 그리고 좌페달프레임(731)이 하방으로 회동이 완료되면 얹힘바(760) 끝단 부위가 제1몸체(130) 후부에 마련된 받침판(150)에 얹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 제2기어(840)는 좌페달프레임(731) 앞단에서 상하로 돌출되고, 상하로 돌출된 부위는 좌페달프레임(731) 회전 중심축까지 길이가 서로 똑같은 둥근 모양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앞부위에는 기어를 구비하여 기어가 제1기어(830)와 서로 맞물리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 발판(740)은 좌페달프레임(731) 후부이면서 상부에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발판(740) 부위 중 발 얹는 부위는 위쪽에서 보았을 때 틸팅경계선(x)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위쪽에서 보았을 때 발 얹는 부위가 틸팅경계선(x)에 위치하게 구성되면,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400) 및 페달부(700)는 상승한 페달부(700)를 누를 때와 받침판(150)에 얹힌 페달부(700)를 누를 때는 기울어지지 않고, 핸들(110)을 좌우로 기울이는 동작에 의해서는 잘 기울어진다.
상기 제5실시예 같이 구성될 경우, 상승한 페달부(700)를 누르면 제1기어(830)와 제2기어(840)가 서로 맞물려 회전함으로 클러치부(230)가 회전하게 되고 구동륜(210)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페달부(700) 누름을 해제하면 인장스프링(930) 인장력에 의해서 클러치부(230)가 역회전하게 되고, 제1기어(830)와 제2기어(840)가 서로 맞물려 회전하게 됨으로 페달부(700) 후부가 상방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5실시예 같이 구성될 경우에도 중간몸체(610) 회전 중심축이 틸팅중심선(y)에서 일정한 간격 떨어진 상방에 위치함으로 상승한 페달부(700)를 누르는 힘은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400)가 기울어지게 하는 힘으로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중심을 쉽게 잡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제1몸체부 110 : 핸들
120 : 핸들프레임 121 : 제1핸들프레임
122 : 제2핸들프레임 123 : 제3핸들프레임
130 : 제1몸체 131 : 제1프레임
132 : 제2프레임 140 : 결합축 150 : 받침판 160 : 돌출축 200 : 구동륜부 210 : 구동륜 220 : 구동륜중심축 230 : 클러치부 231 : 좌클러치부 232 : 우클러치부 300 : 회전체부 310 : 회전체축
320 : 회전체 400 : 제2몸체부 410 : 좌측몸체 420 : 우측몸체 430 : 걸림부재결합부 500 : 종동륜부 510 : 종동륜프레임 520 : 종동륜 600 : 지지부 610 : 중간몸체 620 : 가장자리몸체 630 : 걸림도르래 640 : 걸림부재 700 : 페달부 710 : 좌페달부 720 : 우페달부 730 : 페달프레임 731 : 좌페달프레임 732 : 우페달프레임 740 : 발판 750 : 페달바 751 : 좌페달바 752 : 우페달바 760 : 얹힘바 800 : 동력전달부제 810 : 좌동력전달부재 820 : 우동력전달부재 830 : 제1기어
840 : 제2기어 900 : 탄성력제공부 910 : 걸이부 920 : 연결부재 921 : 좌연결부재 922 : 우연결부재 930 : 인장스프링 931 : 좌인장스프링 932 : 우인장스프링
x : 틸팅경계선 y : 틸팅중심선
p : 핸들프레임 회전 중심축 q : 종동륜부 회전 중심축 r : 좌,우측몸체 회전 중심축
m : 좌,우측몸체에 얹히는 가장자리몸체 부위

Claims (9)

  1. 상하로 연장되는 핸들프레임과 상기 핸들프레임 상단에 결합되는 핸들 및 상기 핸들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몸체로 구성되는 제1몸체부;
    상기 제1몸체부에 결합되는 구동륜부;
    일단이 상기 제1몸체부 좌측 부위 또는 구동륜중심축 좌측 부위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하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좌측몸체와 일단이 상기 제1몸체부 우측 부위 또는 구동륜중심축 우측 부위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하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우측몸체로 구성되는 제2몸체부;
    상기 좌측몸체 타단과 상기 우측몸체 타단에 각각 결합되는 종동륜부;
    한쪽 끝단은 상기 좌측몸체에 걸리게 구성되거나 결합되고, 다른쪽 끝단은 상기 우측몸체에 걸리게 구성되거나 결합되며, 가운데 부위에 상기 제1몸체가 걸리게 구성되거나 결합되는 지지부;
    상기 구동륜중심축 또는 상기 제2몸체부에 결합되는 페달부;
    상기 페달부 상방에 위치한 상기 제1몸체부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체;
    상기 페달부를 상기 구동륜부에 연결하고 일부분이 상기 회전체를 경유하게 구성되는 동력전달부재; 및
    클러치부를 역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게 구성되는 탄성력제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서서 타는 삼륜 자전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가운데 부위가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되고 양 끝단이 상기 좌측몸체와 상기 우측몸체에 끼움 결합되거나 얹히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서 타는 삼륜자전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도르래와 한쪽 끝단이 상기 좌측몸체에 결합되고 다른쪽 끝단은 상기 우측몸체에 결합되는 걸림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걸림도르래가 상기 걸림부재 중간 부위에 얹히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서 타는 삼륜자전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결합된 상기 제1몸체 부위 또는 상기 지지부가 걸리는 상기 제1몸체 부위는 틸팅중심선 상방에 위치하게 구성되고,
    상기 틸팅중심선은 옆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몸체부에 결합된 상기 제2몸체부 부위에서 지면에 접촉된 종동륜 부위까지 직선으로 그은 가상의 선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서 타는 삼륜 자전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가 결합된 상기 페달부 부위는 상기 회전체 수직 하방 쪽에 위치하거나 상기 회전체 수직 하방에서 가운데 쪽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서 타는 삼륜자전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부 부위 중 발 얹는 부위는 위쪽에서 보았을 때 틸팅경계선에 위치하거나 상기 틸팅경계선에서 가운데 쪽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틸팅경계선은 위쪽에서 보았을 때 상기 좌측몸체 회전 중심축과 상기 우측몸체 회전 중심축 사이 정중앙에 위치한 지점에서 지면에 접촉된 상기 종동륜 부위까지 직선으로 그은 가상의 선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서 타는 삼륜자전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부가 하방으로 회동이 완료되면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부 및 상기 지지부 중 어느 한 구성에 얹히게 구성되거나 상기 제2몸체부 상방에 위치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서 타는 삼륜자전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프레임은 제1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핸들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제1핸들프레임 하단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조금 돌출되는 제2핸들프레임 및 가운데 부위가 상기 제2핸들프레임 타단에 고정 결합되고 양 끝단은 양 측방으로 조금 연장된 다음 각각 절곡되어 하방으로 연장되거나 일단이 상기 제2핸들프레임 타단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좌우측 중 어느 한쪽으로 조금 연장된 다음 절곡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3핸들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3핸들프레임 부위 중 측방으로 연장된 부위는 상기 동력전달부재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서 타는 삼륜자전거.
  9. 상하로 연장되는 핸들프레임과 상기 핸들프레임 상단에 결합되는 핸들 및 상기 핸들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몸체로 구성되는 제1몸체부;
    상기 제1몸체부에 결합되는 구동륜과 상기 구동륜 양 측면에 결합되면서 외주면에 제1기어가 구비되는 클러치부로 구성되는 구동륜부;
    일단이 상기 제1몸체부 좌측 부위 또는 구동륜중심축 좌측 부위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하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좌측몸체와 일단이 상기 제1몸체부 우측 부위 또는 구동륜중심축 우측 부위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하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우측몸체로 구성되는 제2몸체부;
    상기 좌측몸체 타단과 상기 우측몸체 타단에 각각 결합되는 종동륜부;
    한쪽 끝단은 상기 좌측몸체 중간 부위에 걸리게 구성되거나 결합되고, 다른쪽 끝단은 상기 우측몸체 중간 부위에 걸리게 구성되거나 결합되며, 가운데 부위에 상기 제1몸체 후부가 걸리게 구성되거나 결합되는 지지부;
    중간 부위가 상기 좌측몸체에 결합되고 앞뒤 부위는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좌페달부와 중간 부위가 상기 우측몸체에 결합되고 앞뒤 부위는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우페달부로 구성되는 페달부; 및
    상기 클러치부를 역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게 구성되는 탄성력제공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기어와 마주보는 좌,우페달부 부위에는 제2기어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2기어는 상기 제1기어에 맞물림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서 타는 삼륜자전거.
KR1020220158895A 2022-11-24 2022-11-24 서서 타는 삼륜자전거 KR202400769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8895A KR20240076942A (ko) 2022-11-24 2022-11-24 서서 타는 삼륜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8895A KR20240076942A (ko) 2022-11-24 2022-11-24 서서 타는 삼륜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6942A true KR20240076942A (ko) 2024-05-31

Family

ID=91330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8895A KR20240076942A (ko) 2022-11-24 2022-11-24 서서 타는 삼륜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7694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4088B2 (en) Pedalling machines including scooters and driving mechanisms therefor
JP5887687B2 (ja) 自転車
KR20090072932A (ko) 트라이서클 킥보드
US20110089656A1 (en) Manual-swinging scooter
JP2002521263A (ja) 折畳み式三輪車
KR20110103521A (ko) 조향과 동시에 틸팅되는 역삼륜 자전거
US9708029B2 (en) Stepper exercise scooter
KR20240076942A (ko) 서서 타는 삼륜자전거
KR100941319B1 (ko) 조향과 동시에 틸팅되는 역삼륜 노젓기식 자전거
US6540648B1 (en) Exerciser bike
KR200446184Y1 (ko) 개량된 수동식 스쿠터
KR20140035216A (ko) 트라이 스케이트보드
KR101611960B1 (ko) 트라이서클 킥보드
KR100926742B1 (ko) 발판 전개식 트라이크
KR102123161B1 (ko) 이동수단용 폴딩구조
KR20230142299A (ko) 자전거
KR102410821B1 (ko) 틸팅 억제 기능이 있는 역삼륜 이동수단
KR20110103532A (ko) 절첩식 자전거
KR20190140395A (ko) 삼륜탑승기구
CN206394777U (zh) 一种儿童木马自行车
KR20240014115A (ko) 어린이 자전거
KR20230108664A (ko) 기울어짐 억제 기능이 있는 자전거
CN214436457U (zh) 一种骑行玩具
KR20190140201A (ko) 서서 타는 이동수단
CN217533104U (zh) 一种童车车架及童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