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2299A - 자전거 - Google Patents
자전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42299A KR20230142299A KR1020220041395A KR20220041395A KR20230142299A KR 20230142299 A KR20230142299 A KR 20230142299A KR 1020220041395 A KR1020220041395 A KR 1020220041395A KR 20220041395 A KR20220041395 A KR 20220041395A KR 20230142299 A KR20230142299 A KR 2023014229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ed
- unit
- pedal
- rotating
- handl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785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24—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eciprocating levers, e.g. foot levers
- B62M1/28—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eciprocating levers, e.g. foot lever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flexible drive members, e.g. cha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62K5/05—Tricycles characterised by a single rear whee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1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with means for inwardly inclining the vehicle body on ben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3—Bicycles; Tri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너 주행시 틸팅하여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직진 주행할 때와 정지할 때 중심이 잘 잡히는 자전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손으로 잡을 수 있게 구성된 핸들과 일단이 핸들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방으로 연장되는 핸들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핸들조작부; 핸들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몸체와 일단이 제1몸체에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몸체로 구성되는 몸체부; 제2몸체에 결합되는 안장부; 제2몸체 후단에 결합되는 후륜과 후륜 측면에 결합되는 동력전달풀리로 구성되는 후륜부; 가운데 부위가 핸들프레임 하단 또는 제1몸체 하부에 결합되고 양 끝단은 양 측방으로 연장되는 전륜프레임과 전륜프레임 양 끝단에 결합되는 전륜으로 구성되는 전륜부; 일부분이 제1몸체에 결합되고 앞단은 상하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회전부와 한쌍으로 구성되면서 일단이 전륜프레임 좌우측 부위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회전부 앞단에 각각 결합되는 걸이부재로 구성되는 틸팅억제부; 한쪽 부위가 회전부 중간 부위 또는 후부에 결합되거나 제1몸체 하부 또는 제2몸체 중간 부위에 결합되고 다른쪽 부위는 상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페달부; 페달부가 일정 높이까지 내려가면 페달부가 회전부에 걸리게 구성되는 페달걸이부; 및 페달부를 후륜부에 연결하여 페달부 조작으로 발생한 구동력을 후륜부에 전달할 수 있게 구성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페달을 상하로 밟아 주행하고 페달에 실린 탑승자 하체 무게에 의해서 자전거 기울어짐이 억제되는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탑승하여 이동하거나 각종 물품을 적재하여 이동하는 기구를 말하며 2륜자전거와 3륜자전거 및 역삼륜 자전거등이 있다.
기존의 2륜 자전거는 중심 잡기 불편하고 틸팅(측방으로 기울어지는) 안 되는 3륜 자전거는 코너를 주행할 때 전복될 위험성이 있다. 복잡한 도심지에서 자전거를 탈 때는 가다 서다를 반복할 때도 있고 천천히 주행해야 할 상황도 발생한다. 따라서 코너를 주행할 때는 틸팅 가능하고 저속 주행할 때나 정지할때는 중심을 쉽게 잡을 수 있는 자전거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코너를 주행할 때는 틸팅 가능하고 직진 주행할 때와 저속 주행할 때는 중심을 쉽게 잡을 수 있는 자전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은, 손으로 잡을 수 있게 구성된 핸들과 일단이 핸들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방으로 연장되는 핸들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핸들조작부; 핸들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몸체와 일단이 제1몸체에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몸체로 구성되는 몸체부; 제2몸체에 결합되는 안장부; 제2몸체 후단에 결합되는 후륜과 후륜 측면에 결합되는 동력전달풀리로 구성되는 후륜부; 가운데 부위가 핸들프레임 하단 또는 제1몸체 하부에 결합되고 양 끝단은 양 측방으로 연장되는 전륜프레임과 전륜프레임 양 끝단에 결합되는 전륜으로 구성되는 전륜부; 일부분이 제1몸체에 결합되고 앞단은 상하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회전부와 한쌍으로 구성되면서 일단이 전륜프레임 좌우측 부위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회전부 앞단에 각각 결합되는 걸이부재로 구성되는 틸팅억제부; 한쪽 부위가 회전부 중간 부위 또는 후부에 결합되거나 제1몸체 하부 또는 제2몸체 중간 부위에 결합되고 다른쪽 부위는 상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페달부; 페달부가 일정 높이까지 내려가면 페달부가 회전부에 걸리게 구성되는 페달걸이부; 및 페달부를 후륜부에 연결하여 페달부 조작으로 발생한 구동력을 후륜부에 전달할 수 있게 구성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동력전달부는, 페달부 상방에 위치한 상기 제2몸체 부위에 결합되는 경유도르래와 페달부를 동력전달풀리에 연결하고 일부분이 경유도르래를 경유하게 구성되는 동력전달부재 및 동력전달풀리를 역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게 구성되는 탄성력제공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페달부가 회전부 또는 제1몸체에 결합되는 자전거에 있어서, 페달부가 결합된 부위는 회전부가 결합된 부위보다 아래쪽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전부는 중간 부위가 제1몸체에 결합되고 양 끝단은 앞뒤로 연장되며, 페달부는 회전부 부위 중 제1몸체에 결합된 회전부 부위 후방에 위치한 부위에 결합되고, 페달걸이부는 회전부에서 페달부 쪽으로 돌출되는 걸림바로 구성되어 페달부가 일정 높이까지 내려가면 페달부가 걸림바에 걸리게 구성되거나 페달부에서 회전부 쪽으로 돌출되는 걸림바로 구성되어 페달부가 일정 높이까지 내려가면 걸림바가 회전부에 걸리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전부는 중간 부위가 제1몸체에 결합되고 양 끝단은 앞뒤로 연장되며, 페달부는 회전부 부위 중 제1몸체에 결합된 회전부 부위 후방에 위치한 부위에 결합되고, 페달걸이부는 가운데 부위가 회전부 후부에 결합되고, 한쪽 끝단은 회전부 측방으로 돌출된 부위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후 앞단에서 측방으로 연장되고, 다른쪽 끝단은 회전부 측방으로 돌출된 부위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후 뒷단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는 제1시소받침부와 회전부에서 제1시소받침부 하방으로 돌출되는 걸림턱으로 구성되고, 양쪽 페달부는 제1시소받침부 좌우 양쪽 부위에 얹히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전부는 중간 부위가 제1몸체에 결합되고 양 끝단은 앞뒤로 연장되며, 페달부는 일단이 회전부 하방에 위치한 제1몸체 부위에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며, 페달걸이부는 일단이 회전부 후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페달부 중간 부위에 결합되는 제1연결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륜부가 핸들프레임 하단에 결합되는 자전거에 있어서, 회전부는 위쪽에서 보았을 때 "" 모양으로 구성되는 제1회전부, 제1회전부 후부를 제1몸체에 결합시키는 제1결합핀, 양 끝단이 제1회전부 앞부위 좌우측에 결합되는 제2결합핀 및 일단이 제1회전부 후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회전부로 구성되고, 걸이부재는 제2결합핀 가운데 부위에 결합되고 페달부는 제2회전부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페달부는 일단이 제2몸체에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으로 연장되며, 회전부는 제1몸체에 결합되는 중앙부와 중앙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돌출부 및 중앙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돌출부로 구성되고, 페달걸이부는, 페달부 상방에 위치한 제2몸체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체와 일단이 제2돌출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회전체에 결합되는 제2연결부재 및 한쌍으로 구성되면서 일단이 회전체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양쪽 페달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3연결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페달부는 일단이 제2몸체에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으로 연장되며, 회전부는 제1몸체에 결합되는 중앙부와 중앙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돌출부 및 중앙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돌출부로 구성되고,
페달걸이부는, 페달부 상방에 위치한 제2몸체 부위에 결합되는 회전체: 일단이 제2몸체에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으로 연장되면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받침부; 일단이 회전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받침부에 결합되며 중간 부위가 회전체를 경유하게 구성되는 제4연결부재; 및 가운데 부위가 받침부 앞단에 결합되고 한쪽 끝단은 받침부 측방으로 돌출된 부위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후 앞단에서 측방으로 연장되고 다른쪽 끝단은 받침부 측방으로 돌출된 부위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후 뒷단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는 제2시소받침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양쪽 페달부는 제2시소받침부 좌우 양쪽 부위에 얹히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페달은 핸들조작부가 좌우로 회전 안 된 상태에서 양쪽 제2틸팅경계선에 위치하거나 양쪽 제2틸팅경계선 사이에 위치하게 구성되고, 제2틸팅경계선은 페달부가 좌우로 넓다고 가정했을 때 핸들조작부와 몸체부가 측방으로 기울어질 때 내려가는 페달부 부위와 올라가는 페달부 부위 경계선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양쪽 페달부가 같이 내려가는 자전거에 있어서, 양쪽 페달부가 회전부에 걸렸을 때 양쪽 페달부를 누르는 힘은 핸들조작부와 몸체부의 기울어짐을 억제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고 상승한 페달부를 누르는 힘은 핸들조작부와 몸체부의 기울어짐을 억제시키는 힘으로 작용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시소받침부가 결합된 부위와 제2시소받침부가 결합된 부위는, 핸들조작부와 몸체부가 측방으로 기울어지면 상방으로 회동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몸체 부위 중 회전부가 결합된 부위 앞쪽에 위치하면서 회전부 상방에 위치한 부위에 측방으로 돌출되는 회전방지턱이 마련되고 양쪽 걸이부재 중 어느 하나가 끊어지면 회전부가 회전방지턱에 걸리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자전거는 코너를 주행할 때는 틸팅되어 안전한 코너 주행이 가능하고 직진 주행할 때나 저속 주행할 때는 중심을 쉽게 잡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좌측 페달부가 상방으로 이동된 자전거의 측면도이다.
도 3에서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핸들조작부가 회전 안 되었을 때의 요부 평면도이다.
도 3에서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핸들조작부가 회전 안 되었을 때 제1지점과 제2지점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에서 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핸들조작부가 회전되었을 때의 요부 평면도이다.
도 3에서 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핸들조작부가 회전되었을 때 제1지점과 제2지점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에서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핸들조작부와 몸체부가 측방으로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의 요부 정면도이다.
도 4에서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핸들조작부와 몸체부가 측방으로 기울어진 상태의 요부 정면도이다.
도 5에서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핸들조작부와 몸체부가 측방으로 안 기울어졌을 때 제1경계선과 제2경계선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에서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핸들조작부와 몸체부가 측방으로 기울어졌을 때 제1경계선과 제2경계선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좌측 페달부가 상방으로 이동된 자전거의 측면도이다.
도 8에서 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좌측 페달부가 상방으로 이동된 자전거의 측면도이다.
도 8에서 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요부 평면도 및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요부 정면도이다.
도 10에서 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측면도이다.
도 10에서 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요부 평면도 및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서 페달부가 상방으로 올라간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서 회전부가 상방으로 올라간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좌측 페달부가 상방으로 이동된 자전거의 측면도이다.
도 3에서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핸들조작부가 회전 안 되었을 때의 요부 평면도이다.
도 3에서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핸들조작부가 회전 안 되었을 때 제1지점과 제2지점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에서 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핸들조작부가 회전되었을 때의 요부 평면도이다.
도 3에서 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핸들조작부가 회전되었을 때 제1지점과 제2지점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에서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핸들조작부와 몸체부가 측방으로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의 요부 정면도이다.
도 4에서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핸들조작부와 몸체부가 측방으로 기울어진 상태의 요부 정면도이다.
도 5에서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핸들조작부와 몸체부가 측방으로 안 기울어졌을 때 제1경계선과 제2경계선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에서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핸들조작부와 몸체부가 측방으로 기울어졌을 때 제1경계선과 제2경계선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좌측 페달부가 상방으로 이동된 자전거의 측면도이다.
도 8에서 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좌측 페달부가 상방으로 이동된 자전거의 측면도이다.
도 8에서 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요부 평면도 및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요부 정면도이다.
도 10에서 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측면도이다.
도 10에서 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요부 평면도 및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서 페달부가 상방으로 올라간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서 회전부가 상방으로 올라간 상태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는 핸들조작부(100), 전륜부(200), 몸체부(300), 후륜부(400), 안장부(500), 페달부(600), 틸팅억제부(700), 페달걸이부(800) 및 동력전달부(9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핸들조작부(100)는 핸들(110)과 핸들프레임(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핸들조작부(100)는 사용자가 자전거에 탑승하여 코너를 주행할 때, 전륜(220)을 회전시키는(조향) 조작과 코너 주행시 발생하는 원심력에 대응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몸체부(300)의 기울임(틸팅) 조작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핸들(110)은 좌우로 연장되고 좌우로 연장된 부위는 손으로 잡을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핸들프레임(120)은 일단이 핸들(110) 중간 부위에 결합되고 타단은 후술하는 제1몸체(310)를 관통하여 제1몸체(310) 하방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타단은 앞뒤로 벌어지게 구성되고 앞뒤로 벌어진 부위에는 앞뒤로 관통된 구멍이 마련되어 후술하는 전륜프레임(210)이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몸체부(300)는 제1몸체(310)와 제2몸체(32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몸체(310)는 핸들프레임(120) 중간 부위와 하부에 외삽 결합된다. 즉 제1몸체(310)에 핸들프레임(120) 중간 부위와 하부를 끼움 결합하여 핸들조작부(100)가 회전될 수 있게 구성된다.
제1몸체(310)에는 결합부(311)와 회전방지턱(315)이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311)는 제1몸체(310) 부위 중 하단과 가까운 부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후단에 좌우로 관통된 구멍이 마련된다.
상기 회전방지턱(315)은 제1몸체(310) 부위 중 후술하는 회전부(710) 상방에 위치하면서 회전부(710)와 아주 가까운 부위에서 측방으로 돌출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몸체(320)는 일단이 제1몸체(310) 상부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과 하방 사이로 연장된다. 그리고 후부 쪽은 좌우 양쪽으로 벌어지게 구성하여 후륜(410)을 끼움 결합할 수 있게 구성된다.
제2몸체(320) 부위 중 벌어진 부위 앞쪽 하부에는 하방으로 조금 돌출된 후 하단에서 양 측방으로 조금 돌출된 탄성부재결합부(321)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안장부(500)는 안장프레임(510)과 안장(52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안장프레임(510)은 일단이 제2몸체(320) 중간 부위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방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안장(520)은 통상의 자전거 안장과 똑같게 구성되고 안장프레임(510) 상단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후륜부(400)는 후륜(410)과 동력전달풀리(42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후륜(410)은 하나로 제공되고 벌어진 제2몸체(320) 후부 사이에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 후륜(410)은 제2몸체(320) 후단에 중심축을 통해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동력전달풀리(420)는 후륜(410) 양측에 결합되어 후술하는 동력전달부재(920)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을 후륜(410)에 전달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러한 동력전달풀리(420)는 일례로 밸트풀리 형태로 제공되고 외주면에 동력전달부재(920) 일부분이 결합되면서 감기는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동력전달풀리(420) 안쪽 부위에는 현재 제품으로 판매되고 있는 한쪽 방향으로만 걸리는 원웨이베어링이 결합되어 페달부(600)가 내려갈때는 후륜(410)에 구동력을 전달하고 페달부(600)가 올라갈때는 후륜(410)을 역회전시키지 않게 구성된다.
즉 후륜(410) 양 측면에는 양 측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각각 마련된다. 돌출부에 원웨이베어링이 외삽 결합되어 원웨이베어링 내주면이 돌출부에 고정되고, 원웨이베어링 외주면이 동력전달풀리(420)에 끼움 결합되어 원웨이베어링 외주면이 동력전달풀리(420)에 고정된다. 그리고 동력전달풀리(420)가 정회전할때는 원웨이베어링이 후륜(410)을 회전시키고 동력전달풀리(420)가 역회전할때는 원웨이베어링이 동력전달풀리(420) 회전력을 차단시켜서 후륜(410)이 역회전하지 않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륜부(200)는 전륜프레임(210)과 전륜(22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륜프레임(210)은 중간 부위에 앞뒤로 관통된 구멍이 마련된다. 벌어진 핸들프레임(120) 타단 사이에 전륜프레임(210) 구멍 부위를 끼운 후 전륜프레임(210)에 마련된 구멍과 핸들프레임(110)에 마련된 구멍에 핀을 끼워서 핸들프레임(110) 하단에 전륜프레임(210)을 결합시킨다. 그리고 전륜프레임(210) 양 끝단은 양 측방으로 연장되면서 핀을 회전 중심축으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륜(220)은 전륜프레임(210) 양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전륜부(200)는 양 측방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핸들조작부(100)를 좌우로 회전시킬 때 핸들조작부(100)와 같이 좌우로 회전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틸팅억제부(700)는 회전부(710)와 걸이부재(720)로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회전부(710)는 제1회전부(711), 제2회전부(712), 제1결합핀(713) 및 제2결합핀(714)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회전부(711)는 위쪽에서 보았을 때 "" 모양으로 구성되고 앞부위와 뒷부위에 좌우로 관통된 구멍이 마련된다. 제1회전부(711) 사이에 결합부(311)를 끼워서 제1회전부(711) 뒤쪽 구멍 부위를 결합부(311) 구멍 양 측방에 위치시켜고 제1회전부(711) 뒤쪽 구멍과 결합부 구멍에 제1결합핀(713)을 끼워서 결합부(311)에 제1회전부(711)를 결합시킨다. 제1회전부(711) 앞부위는 제1결합핀(713)을 회전 중심축으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제1회전부(711) 부위 중 앞쪽 구멍은 옆에서 보았을 때 후술하는 수직연장선(p)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상기 수직연장선(p)은 핸들조작부(100)를 좌우로 회전시켰을 때 전륜부(200)가 회전되는 전륜부(200) 회전 중심축에서 상방으로 수직 연장된 가상의 직선이다.
상기 제2결합핀(714)은 양 끝단이 제1회전부(711) 앞 양쪽 구멍에 끼움 결합되고 가운데 부위는 후술하는 걸이부재(720)가 결합될 수 있게 홈이 구비된다.
상기 홈이 구비되는 부위는 수직연장선(p)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2회전부(712)는 제1회전부(711) 후단 가운데 부위에서 하방과 후방 사이로 조금 돌출된 후 하단에서 절곡되어 후방으로 조금 더 연장된다. 그리고 하단 앞쪽 부위에는 후술하는 페달부(600)가 결합될 수 있게 양 측방으로 돌출된 축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걸이부재(720)는 한쌍으로 구성되고 일단이 수직연장선(p)에 위치한 제2결합핀(714) 부위에 각각 결합되며 타단은 핸들조작부(100) 회전 중심축 양 측방에 위치한 전륜프레임(210) 부위에 각각 결합된다.(이하 걸이부재(720)가 결합된 회전부(710) 부위를 제1지점(n)이라고 하고 걸이부재(720)가 결합된 전륜프레임(210) 부위를 제2지점(m)이라고 함)
상기 제2지점(m)은 옆에서 보았을 때 전륜부(200) 회전 중심축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회전부(710)와 전륜프레임(210)이 가변되지 않는 걸이부재(720)로 연결될 경우, 핸들조작부(100)와 전륜부(200)는 회전부(710)에 걸림되어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핸들조작부(100)와 전륜부(200)가 회전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걸이부재(720)는 외력이 작용하면 길이는 늘어나지 않으면서 형상이 가변되는 부재로 구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걸이부재(720)는 다이니마 로프로 구성됨을 제시한다.
상기 다이니마 로프는 비강도가 와이어보다 15배나 강하면서 섬유 특성인 유연성이 있기 때문에 핸들조작부(100)를 좌우로 회전시키면 수직연장선(p)에 위치한 걸이부재(720) 부위에서 비틀어지면서 핸들조작부(100)가 원활히 회전된다.
도 3과 같이 제1지점(n)이 수직연장선(p)에 위치하게 구성될 경우, 핸들조작부(100)가 좌우로 회전될 때 제1지점(n)과 제2지점(m) 사이 간격이 안 변하기 때문에 페달부(600) 후부는 상방으로 이동 안 되고 핸들조작부(100)는 원활히 회전된다.
물론, 제1지점(n)이 수직연장선(p)에서 양 측방으로 조금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게 구성될수도 있지만 제1지점(n)이 수직연장선(p)에 위치하지 않게 구성될 경우, 핸들조작부(100)가 좌우로 회전할 때 페달부(600) 후부가 상방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와 같이 회전부(710) 앞부위가 전륜프레임(210)에 걸이부재(720)로 연결되는 구성에 관련된 기술적 특징은 선행기술(출원번호 10-2019-0157146)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음으로 회전부(710) 앞부위가 전륜프레임(210)에 걸이부재(720)로 연결되는 구성에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양쪽 걸이부재(720) 중 어느 하나가 끊어질 경우 후술하는 제2경계선(x2)이 한쪽에만 있게 되고 페달부(600)를 누르는 부위는 제2경계선(x2) 측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페달부(600)를 누르는 힘은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가 기울어지게 하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양쪽 걸이부재(720) 중 어느 하나가 끊어질경우 회전부(710) 앞 부위가 회전방지턱(315)에 걸리면서 상방으로 회전 안 되게 구성된다. 즉 양쪽 걸이부재(720) 중 어느 하나가 끊어질경우 회전부(710) 앞부위가 상방으로 아주 조금 회전하여 회전방지턱(315)에 걸리게 되고 회전부(710) 앞부위가 회전방지턱(315)에 걸린 상태에서 측방으로 조금 더 기울어지면 안 끊어진 걸이부재(720)는 휘어지면서 제2경계선(x2)이 가운데로 이동하게 된다. 제2경계선(x2)이 가운데로 이동하고 양쪽 페달부(600)를 누르는 힘이 비슷할 경우 페달부(600)를 누르는 힘에 의해서는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가 측방으로 안 기울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페달부(600)는 한쌍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페달부(600)는 페달프레임(610)과 페달(62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페달프레임(610)은 일단이 제2회전부(712) 하단에 마련된 양쪽 축에 각각 외삽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각각 연장되면서 상하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페달프레임(610) 뒷단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축이 마련되고 상기 축은 후술하는 페달(620)이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페달(620)은 자전거 페달과 똑같은 모양으로 구성되고 페달프레임(610) 부위 중 후단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부위에 외삽 결합되어 앞뒤 부위가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페달(620)은 후술하는 양쪽 제2경계선(x2) 사이에 위치하게 구성하여 페달(620)을 누르는 힘에 의해서는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가 안 기울어지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페달걸이부(800)는 페달부(600)가 일정 높이까지 내려가면 페달부(600)가 회전부(710)에 걸리게 하는 구성이다.
즉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가 측방으로 기울어질 때 페달부(600)가 상방으로 회전되게 하기위해서 페달부(600)가 회전부(710)에 걸리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페달걸이부(800)는 제2회전부(712) 후단에서 양쪽 페달프레임(610) 하방으로 돌출되는 걸림바(810)로 구성된다. 그리고 페달부(600)가 하방으로 회동시 걸림바(810)에 얹히게 구성된다.
걸림바(810)는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고 하기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페달부(600)는 앞단과 가까운 부위가 제2회전부(712)에 결합되고 걸림바(810)는 제2회전부(712) 앞 부위에서 페달부(600) 앞단 상방으로 돌출되어 페달부(600)의 하방 회동시 페달부(600) 앞단이 걸림바(810)에 걸리게 구성될 수도 있고, 페달프레임(610) 앞단이 제2회전부(712)에 결합되고 걸림바(810)는 페달프레임(610) 중간 부위에서 제2회전부(712) 상방으로 돌출되어 페달부(600)의 하방 회동시 걸림바(810)가 제2회전부(712)에 걸리게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동력전달부(900)는 경유도르래(910)와 동력전달부재(920) 및 탄성부재(93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경유도르래(910)는 한쌍으로 구성되고 페달부(600) 후부 상방에 위치한 제2몸체(320) 좌우측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경유도르래(910)는 통상의 풀리와 똑같은 형상으로 구성되어 페달부(600)의 조작시 후술하는 동력전달부재(920)가 감기면서 경유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탄성부재(930)는 한쌍으로 구성되고 일단이 탄성부재결합부(321) 좌우 양쪽에 각각 결합되며 타단에는 양쪽 동력전달부재(920) 타단이 각각 결합된다.
이러한 탄성부재(930)는 인장 탄성부재로 구성되어 페달부(600)가 내려갈때는 늘어나고 페달부(600) 누름을 해제하면 탄성부재(930)가 동력전달부재(920)를 당기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동력전달부재(920)는 한쌍으로 구성된다. 한쌍의 동력전달부재(920) 중 어느 하나는 일단이 좌측에 위치한 페달부(600) 후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좌측에 위치한 탄성부재(930)에 결합되며 중간 부위가 좌측에 위치한 경유도르래(910)와 좌측에 위치한 동력전달풀리(420)를 경유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다른 동력전달부재(920)는 일단이 우측에 위치한 페달부(600) 후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우측에 위치한 탄성부재(930)에 결합되며 중간 부위가 우측에 위치한 경유도르래(910)와 우측에 위치한 동력전달풀리(420)를 경유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동력전달부재(920)는 동력전달풀리(420)에 연결되면서 감기게 구성하여 페달부(600)가 내려갈때는 동력전달부재(920)가 동력전달풀리(420)를 정회전시켜서 후륜(410)을 회전시켜고, 페달부(600) 누름을 해제하면 탄성부재(930) 인장력에 의해서 동력전달부재(920)가 탄성부재(930) 쪽으로 이동하면서 동력전달풀리(420)를 역회전시키고 페달부(600)를 상승시키게 구성된다.
동력전달부재(920)는 외력이 작용하면 길이는 늘어나지 않으면서 잘 휘어지는 부재로 구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동력전달부재(920)는 다이니마 로프로 구성됨을 제시한다.
도 4에서 b을 참조하면,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질 때 기울어진 쪽에 위치한 제1지점(n)과 제2지점(m) 사이 간격은 좁아지게 되고, 기울어진 반대쪽에 위치한 제1지점(n)과 제2지점(m) 사이 간격은 벌어지게 된다. 그리고 제1지점(n)과 제2지점(m)은 걸이부재(720)로 연결되어 있기때문에, 기울어진 반대쪽에 위치한 제1지점(n)과 제2지점(m) 사이 간격이 벌어진 폭만큼 회전부(710) 앞단이 전륜프레임(210) 쪽으로 회전하게 되고 회전부(710)가 회전함에 따라 기울어진 쪽에 위치한 걸이부재(720)는 휘어지게 된다. 회전부(710) 앞부위가 하방으로 회전함에 따라서 회전부(710) 후부가 상방으로 회전하게 되고 회전부(710)에 걸린 페달부(600)도 상방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부(710) 앞단이 전륜프레임(210)에 걸리게 구성하고 페달부(600)가 회전부(710) 후단에 걸리게 구성하여 페달부(600) 후부가 일정 높이 밑으로 안 내려가게 하면서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질 때 페달부(600) 후부 쪽이 상방으로 회전하게 구성된다.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가 측방으로 기울어질수록 페달부(600) 후부가 상방으로 회전하게 구성될 경우,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가 측방으로 기울어질수록 페달부(600) 후부는 상방으로 회전하면서 탑승자 하체를 밀어올리게 된다. 따라서 탑승자가 안장에 착석하고 페달(620)을 누르는 탑승자 하체 무게는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 기울어짐을 억제하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가 측방으로 기울어질수록 페달부(620) 후부가 상방으로 회전하지 않게 구성될 경우, 페달(620)을 누를때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 기울어짐을 억제하는 힘은 없다.
도 5에 a를 참조하면 회전부(710)는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가 측방으로 기울어질 때 회전부(710) 후부는 기울어지면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가 측방으로 기울어지질 때 회전부(710) 후부에는 내려가는 부위와 올라가는 부위 경계선(이하 제1경계선(x1)이라고 함)이 존재한다.
상기 제1경계선(x1)은 자전거를 평면도로 그렸을 때 제2지점(m)에서 앞뒤는 회전부(710)가 결합된 결합부(311) 부위와 일치하고 좌우는 정중앙 지점을 직선으로 그은 선이 후방으로 연장된 직선과 비슷하다.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가 좌우로 기울어짐으로 제1경계선(x1)은 좌우 한쌍이 된다. 양쪽 제1경계선(x1) 사이에 위치한 회전부(710) 부위를 누르면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는 기울어지지 않고, 제1경계선(x1)에서 측방으로 일정간격 떨어진 회전부(710) 부위를 누르면 누른 방향 쪽으로 몸체부(300)와 핸들조작부(100)가 기울어지게 된다.
양쪽 페달부(600)가 회전부(710)에 걸린 상태에서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가 기울어지면 페달부(600)는 상방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페달부(600)가 좌우로 넓다고 가정했을 때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가 기울어질 때 페달부(600)에는 내려가는 부위와 올라가는 부위 경계선(이하 제2경계선(x2)이라고 함)이 존재한다. 양쪽 제2경계선(x2) 사이에 위치한 페달부(600) 부위를 누르면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는 기울어지지 않고 제2경계선(x2)에서 측방으로 일정간격 떨어진 부위를 누르면 누른 방향쪽으로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가 기울어지게 된다. 따라서 양쪽 페달부(600)가 회전부(710)에 걸린 상태에서 양쪽 제2경계선(x2) 사이에 위치한 페달부(600) 부위를 누르는 힘은, 몸체부(300)와 핸들조작부(100)가 안 기울어진 상태에서는 몸체부(300)와 핸들조작부(100) 기울어짐을 억제하는 힘으로 작용하고, 몸체부(300)와 핸들조작부(100)가 기울어진 상태에서는 몸체부(300)와 핸들조작부(100)를 일으켜 세우는 힘으로 작용한다.
양쪽 제1경계선(x1) 사이 폭과 양쪽 제2경계선(x2) 사이 폭 크기는 제2지점(m)이 핸들프레임(120)에서 측방으로 이동할수록 커지게 된다.
페달부(600) 조작은 상승한 페달부(600)가 하방으로 회동하여 회전부(710)에 얹힌 후 다른 페달부(600)가 올라가게 조작함으로써 중심을 쉽게 잡을수 있다.
즉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는 회전부(710)에 얹힌 페달부(600)를 누르는 힘에 의해서는 회전부(710)에 얹힌 페달부(600) 쪽으로 넘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회전부(710)에 얹힌 페달부(600)를 누르는 부위는 상승한 페달부(600) 쪽에 위치한 제2경계선(x2) 측방에 위치함으로 회전부(710)에 얹힌 페달부(600)를 누르는 힘은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가 상승한 페달부(600) 쪽으로 넘어지지 않게 잡아주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회전부(710)에 얹힌 페달부(600)를 누르는 다리는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가 회전부(710)에 얹힌 페달부(600) 쪽으로 넘어지지 않게 받쳐주는 역활을 하게 된다. 상승한 페달부(600)를 누르는 힘은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가 상승한 페달부(600) 쪽으로 기울어지게 하는 힘으로 작용하지만 상승한 페달부(600)를 세게 누르지 않는 이상 상승한 페달부(600)를 누르는 힘에 의해서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가 상승한 페달부(600) 쪽으로 넘어지지 않는다.
전기자전거는 페달(620)을 가볍게 밟아서 주행할 수 있음으로 본 기술은 모터와 병행하여 구동력을 얻는 역삼륜 전기자전거에 적용될 수 있다.
빠르게 주행할 때는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가 넘어지지 않음으로 굳이 탑승자 하체 무게로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의 기울어짐을 잡을 필요가 없다. 따라서 빠르게 주행할 때는 한쪽 페달부(600)가 내려감과 동시에 반대쪽 페달부(600)가 올라가게 조작할 수도 있다. 한쪽 페달부(600)가 내려감과 동시에 반대쪽 페달부(600)가 올라가게 조작할 경우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가 안 기울어지게 잡아주는 힘은 없다.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가 측방으로 기울어질 때 페달부(600) 후부가 상방으로 많이 이동할수록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의 기울어짐을 억제하는 힘은 강해진다.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가 측방으로 기울어질 때 페달부(600) 후부가 상방으로 이동되는 폭을 작게 구성하면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 기울어짐을 억제하는 힘이 작아짐으로 제2탄성부재(314)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2탄성부재(314)는 인장 탄성부재로 구성되고 일단이 회전부(710) 앞단에 결합되며 타단은 회전부(710) 상방에 위치한 제1몸체(310) 부위에 결합된다.
제2탄성부재(314)가 구비될 경우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가 측방으로 기울어질 때 제2탄성부재(314)가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제2탄성부재(314) 인장력은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 기울어짐을 억제하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2탄성부재(314)가 구비되어 제2탄성부재(314) 탄성력과 탑승자 하체 무게로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 기울어짐을 억제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탑승자 체중이 안장(520)에 대부분 실리고 페달(620)에 조금 실리지만 탑승자 체중이 안장(520)을 누르는 힘의 방향과 몸체부(300)가 기울어지려고 하는 힘의 방향은 90도에 가깝기 때문에 탑승자 하체 무게가 페달(620)에 조금만 실려도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 기울어짐이 억제된다.
코너를 주행할 때는 안장(520)에 실린 탑승자 체중을 측방으로 이동하면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가 기울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부(710) 앞단이 전륜프레임(210)에 걸이부재(720)로 연결되고 페달부(600)가 회전부(710)에 걸리게 구성함으로써, 탑승자가 안장(520)에 착석하고 안장(520)에 실린 탑승자 체중을 측방으로 많이 이동하지 않는 이상, 탑승자 하체 무게에 의해서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의 기울어짐이 억제되기 때문에 중심을 쉽게 잡을 수 있다.
또한 페달부(600)를 조작하여 구동력을 얻을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실시예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핸들조작부(100), 전륜부(200), 제2몸체(320), 후륜부(400), 안장부(500) 및 동력전달부(900)는 제1실시예와 같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제1몸체(310)는 핸들프레임(120) 중간 부위와 하부에 외삽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결합부(311)는 제1몸체(310) 중간 부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후단에 좌우측 중 어느 한쪽 방향으로 돌출된 축이 마련되며 상기 축은 회전부(710)가 외삽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회전부(710)는 중간 부위에 좌우로 관통된 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구멍이 결합부(311) 후단에 구비된 축에 외삽 결합되어 앞뒤 부위가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회전부(710) 일단은 옆에서 보았을 때 수직연장선(p)까지 연장된 후 90도 절곡되어 앞에서 보았을 때 수직연장선(p)까지 연장되고 수직연장선 위치한 회전부(710) 부위에는 걸이부재(720)가 결합될 수 있게 홈이 마련된다. 그리고 회전부(710)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후단에서 양 측방으로 조금 돌출되며 측방으로 돌출된 부위에는 후술하는 제1연결부재(820)가 결합될 수 있게 홈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걸이부재(720)는 제1실시예와 같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페달프레임(610)은 한쌍으로 구성되고 일단이 결합부(311) 하방에 위치한 제1몸체(310) 부위 좌우측에 각각 힌지 결합되며 타단은 후방으로 각각 연장되면서 상하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회전부(710) 후단 아래쪽에 위치한 페달프레임(610) 부위에는 제1연결부재(820)가 결합될 수 있게 홈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페달(620)은 제1실시예와 같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페달걸이부(800)는 제1연결부재(820) 한쌍으로 구성된다. 제1연결부재(820)는 일단이 회전부 후단 좌우측 부위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회전부(710) 후단 하방에 위치한 양쪽 페달프레임(610) 중간 부위에 각각 결합된다. 그리고 페달부(600)가 일정 높이까지 내려가면 제1연결부재(820)에 걸리면서 더 안 내려가게 구성된다.
제1연결부재(820)와 후술하는 제2연결부재(851), 제3연결부재(852), 제4연결부재(861) 및 제5연결부재(871) 재질은 외력이 작용하면 잘 휘어지면서 늘어나지 않는 부재로 구성된다.
페달부(600)가 하방으로 회동하여 제1연결부재(820)에 걸린 상태에서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가 측방으로 기울어지면 회전부(710) 뒷단이 상방으로 회전하게 되고 회전부(710) 뒷단이 상방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연결부재(820)에 걸린 페달부(600)도 상방으로 회전하면서 기울어진다. 따라서 페달부(600)에는 제2경계선(x2)이 존재한다.
제1연결부재(820)에 걸린 페달부(600)를 누르는 힘은 제2경계선(x2)을 기준으로 누른 방향 쪽으로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가 기울어지게 된다. 그리고 양쪽 제2경계선(x2) 사이에 위치한 페달부(600) 부위를 누르면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는 기울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양쪽 페달(620)을 양쪽 제2경계선(x2) 사이에 위치하게 구성하여 제1연결부재(820)에 걸린 페달부(600)를 눌렸을때는,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가 기울어지게 하는 힘이 작용하지 않게 구성된다.
페달부(600) 조작은 제1실시예같이 한쪽 페달부(600)가 제1연결부재(820)에 걸린후 다른쪽 페달부(600)가 올라가게 조작하고 빠르게 주행할때는 한쪽 페달부(600)가 내려올때 반대쪽 페달부(600)가 올라가게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제2실시예같이 구성하여도 페달부(600)를 조작하여 구동력을 얻을수 있고 탑승자 하체 무게에 의해서 기울어짐이 억제되기 때문에 중심을 쉽게 잡을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3실시예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전륜부(200)가 제1몸체(310) 하부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핸들(110)은 좌우로 연장되고 연장된 부위는 손으로 잡을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핸들프레임(120)은 일단이 핸들(110) 중간 부위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방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제1몸체(310)는 상체부(312)와 하체부(313)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상체부(312)는 핸들프레임(120) 중간 부위와 하부에 외삽 결합되고 핸들조작부(100)는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핸들프레임(120) 하단은 상체부(312) 하방으로 조금 돌출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결합부(311)는 일단이 상체부(312)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조금 연장된다. 그리고 후단에 좌우로 관통된 구멍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하체부(313)는 일단이 상체부(312) 타단 후부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하방으로 조금 연장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제2몸체(320)는 제1실시예와 똑같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전륜프레임(210)은 제1전륜프레임(211), 제2전륜프레임(212), 좌측결합부(213) 및 우측결합부(214)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제1전륜프레임(211)은 중간 부위가 하체부(313) 상부에 결합되고 양 끝단은 양 측방으로 연장되면서 상하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제2전륜프레임(212)은 중간 부위가 하체부(313) 하부에 결합되고 양 끝단은 양 측방으로 연장되면서 상하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좌측결합부(213)는 일단이 제1전륜프레임(211) 좌측 끝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2전륜프레임(212) 좌측 끝단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우측결합부(214)는 일단이 제1전륜프레임(211) 우측 끝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2전륜프레임(212) 우측 끝단에 결합된다.
제1몸체(310)가 좌우로 기울어질 때 좌측결합부(213)와 우측결합부(214)는 제1몸체(310)와 같이 기울어지게 구성되고 제1전륜프레임(211)과 제2전륜프레임(212)은 제1몸체(310)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수평 상태로 유지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전륜(220)은 좌측결합부(213)와 우측결합부(214) 바깥쪽에 각각 결합되어 좌측결합부(213)와 우측결합부(214)가 측방으로 기울어질 때 같이 기울어지게 구성된다.
상기 제3실시예같이 구성되는 전륜부(200)는 이미 제품화된 기술이고 많이 응용되는 기술이라 전륜부(200)에 대한 설명은 상기와 같이 간단히 언급만 한다.
그리고 조향할 수 있는 구성도 이미 제품에 많이 응용되는 기술임으로 여기서는 조향 구조에 대한 설명도 생략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회전부(710)는 제1회전부(711)와 제2회전부(712) 및 제1결합핀(713)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제1회전부(711)는 위쪽에서 보았을 때 "" 모양으로 구성되고 후부에 좌우로 관통된 구멍이 마련된다. 제1회전부(711) 사이에 결합부(311)를 끼워서 제1회전부(711) 뒤쪽 구멍 부위를 결합부(311) 구멍 양 측방에 위치시켜고 제1회전부(711)와 결합부(311)에 마련된 구멍에 제1결합핀(713)을 끼워서 결합부(311)에 제1회전부(711)를 결합시켠다. 그리고 제1회전부(711) 앞단은 제1결합핀(711)을 회전 중심축으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1회전부(711)가 결합부(311)에 결합되었을 때 제1회전부(711) 앞단은 제1전륜프레임(211) 상방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제2회전부(712)는 제1실시예와 같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걸이부재(720)는 한쌍으로 구성되고 일단이 제1회전부(711) 앞단 좌우측 부위에 각각 결합되며 타단은 제1전륜프레임(211) 좌우측 부위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부(710) 앞부위 좌우측 부위가 전륜프레임(210)에 걸이부재(720)로 연결되는 구성에 관련된 기술적 특징은 선행기술(출원번호 10-2019-0017658)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음으로 회전부(710) 앞부위 좌우측 부위가 전륜프레임(210)에 걸이부재(720)로 연결되는 구성에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제2몸체(320), 후륜부(400), 안장부(500), 페달부(600), 페달걸이부(800) 및 동력전달부(900)는 제1실시예와 같게 구성된다.
상기 제3실시예같이 전륜부(200)가 제1몸체부(3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제4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 회전부(710)와 페달걸이부(800)가 제3실시예와 다르게 구성되고 다른 구성은 제3실시예와 같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회전부(710)는 제1회전부(711)와 제2회전부(712) 및 제1결합핀(713)으로 구성된다.
제1회전부(711)와 제1결합핀(713)은 제3실시예와 같게 구성된다. 그리고 제2회전부(712)는 제3실시예보다 조금 더 길게 구성되고 후단과 가까운 부위에 좌우로 관통된 구멍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페달걸이부(800)는 제1시소받침부(840)와 걸림턱(841)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시소받침부(840)는 중심핀(842)과 지지바(843) 및 접촉체(844)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중심핀(842)은 가운데 부위가 제2회전부(712)에 마련된 구멍에 끼움 결합되고 양 끝단은 제2회전부(712)에서 양 측방으로 조금 돌출되며 돌출된 부위에는 수나사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지지바(843)는 한쌍으로 구성되고 양 지지바(843) 중 어느 하나는 일단에 좌우로 관통된 구멍이 마련되고 구멍에 암나사가 마련되며 암나사 부위가 중심핀(842) 한쪽 끝단에 결합된다. 그리고 타단은 전방으로 조금 연장된 후 앞단에서 페달부(600) 하방으로 연장된다. 양 지지바(843) 중 다른 하나는 일단에 좌우로 관통된 구멍이 마련되고 구멍에 암나사가 마련되며 암나사 부위가 중심핀(842) 반대쪽 끝단에 결합된다. 그리고 타단은 후방으로 조금 연장된 후 후단에서 반대쪽 페달부(600) 하방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접촉체(844)는 한쌍으로 구성되고 양쪽 페달부(600) 하방에 위치한 양쪽 지지바(843) 부위에 각각 외삽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양쪽 페달부(600)가 양쪽 접촉체(844)에 얹히게 구성되고 좌측에 위치한 페달부(600)를 눌려서 제1시소받침부(840) 좌측 부위가 내려가면 제1시소받침부(840) 우측 부위가 올라가면서 우측에 위치한 페달부(600)를 상방으로 밀어올리게 구성된다. 그리고 페달부(600)가 상하로 회전할 때 접촉체(844)는 페달부(600)에 접촉되어 앞뒤로 일정 간격만큼 구름 회전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걸림턱(841)은 제2회전부(712)에서 양쪽 지지바(843) 하방으로 각각 돌출되게 구성하여 제1시소받침부(840) 양쪽 부위 중 어느 한쪽 부위가 하방으로 회전하여 일정 높이까지 내려가면 지지바(843)가 걸림턱(841)에 걸리면서 하방으로 회전이 멈추게 구성된다.
즉 페달부(600)를 조작할 때 제1시소받침부(840) 양쪽 부위는 일정 구간을 상하 왕복 회전하게 구성된다.
페달부(600)를 조작하여 제1시소받침부(840) 좌우측 부위가 상하로 회전할 때 올라가는 페달부(600)에 실린 탑승자 하체 무게와 올라가는 페달부(600) 무게를 더한 무게의 2배 무게가 제2회전부(712) 후부에 실리게 된다. 제2회전부(712)에 실린 무게는 양쪽 제1경계선(x1) 사이 중앙에 위치함으로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의 기울어짐을 억제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양쪽 페달부(600) 중 어느 하나가 하방으로 회동하여 걸림턱(841)에 걸릴경우 걸림턱(841)에 걸린 페달부(600)를 누르는 부위가 양쪽 제2경계선(x2) 사이에 위치함으로 걸림턱(841)에 걸린 페달부(600)를 누르는 힘에 의해서는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가 기울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상방으로 올라간 페달부(600)에 실린 무게는 제2회전부(712) 후부에 실리게 되어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의 기울어짐을 억제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페달부(600)를 조작하거나 페달부(600)에 발을 얹어서 모터 힘으로 주행할 때 페달부(600)에 실린 탑승자 하체 무게는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의 기울어짐을 억제시키는 힘으로 작용하여 중심을 쉽게 잡을수 있는 효과와 페달부(600)를 조작하여 구동력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5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로 제5실시예에서는 핸들조작부(100), 전륜부(200), 제2몸체(320), 후륜부(400), 안장부(500) 및 동력전달부(900)가 제1실시예와 같게 구성된다. 그리고 페달부(600)가 제2몸체(320)에 결합되고 틸팅억제부(700)와 페달걸이부(800)는 제1실시예와 다르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 제1몸체(310)는 핸들프레임(110) 중간 부위와 하부에 외삽 결합된다. 그리고 결합부(311)는 제1몸체(310) 하부 뒤쪽 부위에서 양 측방 중 어느 한쪽 방향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위는 회전부(710)가 외삽 결합될 수 있게 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 페달프레임(610)은 일단이 제2몸체(320) 부위 중 후륜(410) 앞쪽에 위치한 좌우 양쪽 부위에 각각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각각 전방으로 연장되면서 상하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앞단에 측방으로 돌출된 축이 마련되고 축에 페달(620)이 결합된다. 페달(620)은 한쌍의 제2경계선(x2) 사이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 회전부(710)는 결합부(311)에 외삽 결합되는 중앙부(715)와 제1돌출부(716) 및 제2돌출부(717)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 제1돌출부(716)는 일단이 중앙부(715)에 연결되고 타단은 옆에서 보았을 때 수직연장선(p)까지 연장된 다음 90도 절곡되어 앞에서 보았을때 수직연장선(p)까지 연장된다. 중앙부(715)에서 제1돌출부(716) 타단으로 갈수록 조금씩 상방으로 이동된다.
제1돌출부(716) 부위 중 수직연장선(p)에 위치한 부위는 제2연결부재(851)가 결합될 수 있게 홈이 마련된다. 그리고 중앙부(715)에서 절곡된 제1돌출부(716) 부위까지 부위는 앞에서 보았을 때 제1몸체(310) 측방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 제2돌출부(717)는 일단이 중앙부(715)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방과 후방 사이로 연장된다. 그리고 앞에서 보았을 때 제1몸체(310) 측방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 걸이부재(720)는 한쌍으로 구성되고 일단이 핸들조작부(100) 회전 중심축 양 측방에 위치한 전륜프레임(210) 부위에 각각 결합되며 타단은 수직연장선(p)에 위치한 제1돌출부(716) 부위에 각각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 페달걸이부(800)는 회전체(850)와 제2연결부재(851) 및 제3연결부재(852)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 회전체(850)는 페달부(600) 중간 부위 상방에 위치한 제2몸체(320)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형상은 풀리 모양으로 구성하여 제2연결부재(851)와 제3연결부재(852)가 감길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 제2연결부재(851)는 일단이 제2돌출부(717) 상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회전체(850) 외주면에 마련된 홈 가운데 부위에 연결되면서 감기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 제3연결부재(852)는 한쌍으로 구성되고 일단이 회전체(850) 외주면에 마련된 홈 좌우 양쪽 부위에 각각 연결되면서 감기게 구성되고 타단은 양쪽 페달프레임(610) 중간 부위에 각각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의 페달부(600) 조작은 제1실시예같이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페달부(600)가 일정 높이까지 내려가면 제3연결부재(852)에 걸리면서 더 안 내려가고 페달부(600)가 상방으로 회전하면 제3연결부재(852)는 휘어지게 구성된다.
페달부(600)가 제3연결부재(852)에 걸린 상태에서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가 측방으로 기울어지면 회전부(710)가 전륜프레임(210) 쪽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제2연결부재(851)와 제3연결부재(852)는 회전부(710) 쪽으로 당겨지게 되고 페달부(600)는 기울어지면서 상방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페달부(600)에는 제2경계선(x2) 한쌍이 존재하고 양쪽 제2경계선(x2) 사이에 위치한 페달부(600) 부위를 누르는 탑승자 하체 무게는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의 기울어짐을 억제시키는 힘으로 작용하여 중심을 쉽게 잡을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페달부(600) 조작으로 구동력을 얻을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6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로 제6실시예에서는 핸들조작부(100), 전륜부(200), 몸체부(300), 후륜부(400), 안장부(500), 페달부(600), 틸팅억제부(700) 및 동력전달부(900)가 제5실시예와 같게 구성된다. 그리고 페달걸이부(800)는 제5실시예와 다르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서 페달걸이부(800)는 회전체(860), 제4연결부재(861), 받침부(862) 및 제2시소받침부(863)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서 회전체(860)는 페달부(600) 중간 부위 상방에 위치한 제2몸체(320)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형상은 풀리 모양으로 구성하여 제4연결부재(861)가 감기면서 경유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서 받침부(862)는 일단이 페달프레임(610) 일단 앞쪽에 위치한 제2몸체(320) 부위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앞단과 가까운 부위에 좌우로 관통된 구멍이 마련되고 중간 부위에 제4연결부재(861)가 결합될 수 있게 홈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서 제4연결부재(861)는 일단이 제2돌출부(717) 상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받침부(862) 중간 부위에 결합되며 가운데 부위가 회전체(860)를 경유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서 제2시소받침부(863) 형상은 제1시소받침부(840)와 같게 구성되고 받침부(862) 앞 부위에 마련된 구멍에 결합된다.
양쪽 페달부(600)는 제2시소받침부(863) 좌우측 부위에 얹히게 구성하여 한쪽 페달부(600)가 내려가면 제2시소받침부(863)가 반대쪽 페달부(600)를 밀어 올리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같이 구성될 경우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가 측방으로 기울어지면 받침부(862) 앞단이 상방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2시소받침부(863)가 페달부(600)를 밀어올리게 된다. 따라서 페달부(600)를 누르는 탑승자 하체 체중은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의 기울어짐을 억제시키는 힘으로 작용하여 중심을 쉽게 잡을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페달부(600) 조작으로 구동력을 얻을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7실시예
도 13과 도 14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서 핸들조작부(100), 전륜부(200), 몸체부(300), 안장부(500) 및 틸팅억제부(700)는 제5실시예와 같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서 페달부(600)는 하나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서 페달프레임(610)은 일단이 제2몸체부(320) 부위 중 후륜(410) 앞쪽에 위치한 부위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으로 연장되면서 상하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앞단에 양 측방으로 돌출된 축이 마련되고 축은 페달(620)이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서 페달(620)은 페달프레임(610) 앞단에 마련된 양쪽 축에 각각 외삽 결합된다. 그리고 앙쪽 제2경계선(x2) 사이에 위치하게 구성하여 페달(620)을 누르는 탑승자 하체 무게에 의해서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의 기울어짐이 억제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서 페달걸이부(800)는 회전체(870)와 제5연결부재(871)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서 회전체(870)는 페달부(600) 중간 부위 상방에 위치한 제2몸체부(320)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서 제5연결부재(871)는 일단이 제2돌출부(717) 상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페달부(600) 중간 부위에 결합되며 중간 부위가 회전체(870)를 경유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서 경유도르래(910), 동력전달부재(920), 탄성부재(930) 및 동력전달풀리(420)는 1개로 구성되고 좌우 양쪽 부위 중 어느 한쪽 부위에 구비된다. 그리고 경유도르래(910), 탄성부재(930), 동력전달풀리(420) 및 동력전달부재(920) 형상은 제5실시예와 같게 구성된다.
상기 제7실시예같이 구성될 경우 페달부(600) 누름을 해제하면 탄성부재(930) 탄성력에 의해서 동력전달부재(920)는 탄성부재(930) 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페달부(600)는 올라가게 된다. 그리고 회전부(710)는 걸이부재(720) 쪽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5연결부재(871)는 회전부(710) 무게에 의해서 회전부(710)쪽으로 이동되어 걸이부재(720)가 휘어지게 된다.
상승한 페달부(600)를 누르면 동력전달부재(920)와 제5연결부재(871)는 페달부(600) 쪽으로 당겨지게 되고 걸이부재(720)와 제5연결부재(871)가 팽팽하게 펴지면 페달부(600)는 이동을 멈추게 된다.
상기 제7실시예같이 구성함으로써 평길에서는 모터 힘으로만 주행하고 페달부(600)가 틸팅억제부(700)에 걸린 상태로 탑승하여 중심을 쉽게 잡을수 있다. 그리고 오르막길에서는 페달부(600) 조작을 병행함으로써 오르막길을 쉽게 올라갈 수 있다.
제8실시예
도 15와 도 16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다.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서 핸들조작부(100), 전륜부(200), 몸체부(300) 및 안장부(500)는 제2실시예와 같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서 회전부(710) 중간 부위와 앞 부위 및 걸이부재(720)는 제2실시예와 같게 구성된다. 그리고 회전부(710) 후부는 후방으로 연장된 후 후단에서 양 측방으로 연장되고 양 측방으로 연장된 부위는 탑승자가 발을 얹을수 있게 구성된다.
회전부(710) 부위 중 발 얹는 부위는 양쪽 제1경계선(x1) 사이에 위치하게 구성하여 회전부(710)를 누르는 탑승자 하체 무게에 의해서 핸들조작부(100)와 몸체부(300) 기울어짐이 억제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서 경유도르래(910), 동력전달부재(920), 탄성부재(930) 및 동력전달풀리(420)는 1개로 구성되고 좌우 양쪽 부위 중 어느 한쪽 부위에 구비된다. 경유도르래(910)와 탄성부재(930) 및 동력전달풀리(420) 형상은 제1실시예와 같게 구성된다 그리고 동력전달부재(920)는 일단이 회전부(710) 후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탄성부재(930)에 결합되며 중간 부위가 동력전달풀리(420)에 연결되면서 경유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8실시예같이 구성하여 회전부(710) 누름을 해제하면 탄성부재(930) 탄성력에 의해서 회전부(710) 후부가 상방으로 회전하고 걸이부재(720)는 휘어지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승한 회전부(710)를 누르면 회전부(710) 후부가 하방으로 회전하면서 동력전달부재(920)를 당기게 구성된다.
회전부(710) 후부가 일정 높이까지 내려가면 걸이부재(720)에 걸리면서 더 안 내려가게 구성된다.
상기 제8실시예같이 구성하여 평길에서는 모터 힘으로만 주행하고 오르막길에서는 회전부(710) 조작을 병행함으로써 오르막길을 쉽게 올라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평길에서는 회전부(710)가 걸이부재(720)에 걸린 상태로 탑승하여 중심을 쉽게 잡을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개시된 예제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항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핸들조작부 110 : 핸들
120 : 핸들프레임 200 : 전륜부
210 : 전륜프레임 211 : 제1전륜프레임
212 : 제2전륜프레임 213 : 좌측결합부
214 : 우측결합부 220 : 전륜
300 : 몸체부 310 : 제1몸체
311 : 결합부 312 : 상체부
313 : 하체부 314 : 제2탄성부재
315 : 회전방지턱 320 : 제2몸체
321 : 탄성부재결합부 400 : 후륜부
410 : 후륜 420 : 동력전달풀리
500 : 안장부 510 : 안장프레임
520 : 안장 600 : 페달부
610 : 페달프레임 620 : 페달
700 : 틸팅억제부 710 : 회전부
711 : 제1회전부 712 : 제2회전부
713 : 제1결합핀 714 : 제2결합핀
715 : 중앙부 716 : 제1돌출부
717 : 제2돌출부 720 : 걸이부재
800 : 페달걸이부 810 : 걸림바
820 : 제1연결부재 830 : 걸림바
840 : 제1시소받침부 841 : 걸림턱
842 : 중심핀 843 : 지지바
844 : 접촉제 850 : 회전체
851 : 제2연결부재 852 : 제3연결부재
860 : 회전체 861 : 제4연결부재
862 : 받침부 863 : 제2시소받침부
870 : 회전체 871 : 제5연결부재
900 : 동력전달부 910 : 경유도르래
920 : 동력전달부재 930 : 탄성부재
n : 제1지점 m : 제2지점
o : 핸들조작부 회전 중심축 p : 수직연장선
q : n지점 이동경로 x1 : 제1경계선
x2 : 제2경계선
120 : 핸들프레임 200 : 전륜부
210 : 전륜프레임 211 : 제1전륜프레임
212 : 제2전륜프레임 213 : 좌측결합부
214 : 우측결합부 220 : 전륜
300 : 몸체부 310 : 제1몸체
311 : 결합부 312 : 상체부
313 : 하체부 314 : 제2탄성부재
315 : 회전방지턱 320 : 제2몸체
321 : 탄성부재결합부 400 : 후륜부
410 : 후륜 420 : 동력전달풀리
500 : 안장부 510 : 안장프레임
520 : 안장 600 : 페달부
610 : 페달프레임 620 : 페달
700 : 틸팅억제부 710 : 회전부
711 : 제1회전부 712 : 제2회전부
713 : 제1결합핀 714 : 제2결합핀
715 : 중앙부 716 : 제1돌출부
717 : 제2돌출부 720 : 걸이부재
800 : 페달걸이부 810 : 걸림바
820 : 제1연결부재 830 : 걸림바
840 : 제1시소받침부 841 : 걸림턱
842 : 중심핀 843 : 지지바
844 : 접촉제 850 : 회전체
851 : 제2연결부재 852 : 제3연결부재
860 : 회전체 861 : 제4연결부재
862 : 받침부 863 : 제2시소받침부
870 : 회전체 871 : 제5연결부재
900 : 동력전달부 910 : 경유도르래
920 : 동력전달부재 930 : 탄성부재
n : 제1지점 m : 제2지점
o : 핸들조작부 회전 중심축 p : 수직연장선
q : n지점 이동경로 x1 : 제1경계선
x2 : 제2경계선
Claims (14)
- 손으로 잡을 수 있게 구성된 핸들과 일단이 상기 핸들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방으로 연장되는 핸들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핸들조작부;
상기 핸들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몸체와 일단이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몸체로 구성되는 몸체부;
상기 제2몸체에 결합되는 안장부;
상기 제2몸체 후단에 결합되는 후륜과 상기 후륜 측면에 결합되는 동력전달풀리로 구성되는 후륜부;
가운데 부위가 상기 핸들프레임 하단 또는 상기 제1몸체 하부에 결합되고 양 끝단은 양 측방으로 연장되는 전륜프레임과 상기 전륜프레임 양 끝단에 결합되는 전륜으로 구성되는 전륜부;
일부분이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되고 앞단은 상하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회전부와 한쌍으로 구성되면서 일단이 상기 전륜프레임 좌우측 부위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부 앞단에 각각 결합되는 걸이부재로 구성되는 틸팅억제부;
한쪽 부위가 상기 회전부 중간 부위 또는 후부에 결합되거나 상기 제1몸체 하부 또는 상기 제2몸체 중간 부위에 결합되고 다른쪽 부위는 상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페달부;
상기 페달부가 일정 높이까지 내려가면 상기 페달부가 상기 회전부에 걸리게 구성되는 페달걸이부; 및
상기 페달부를 상기 후륜부에 연결하여 상기 페달부 조작으로 발생한 구동력을 상기 후륜부에 전달할 수 있게 구성되는 동력전달부;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페달부 상방에 위치한 상기 제2몸체 부위에 결합되는 경유도르래와 상기 페달부를 상기 동력전달풀리에 연결하고 일부분이 상기 경유도르래를 경유하게 구성되는 동력전달부재 및 상기 동력전달풀리를 역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게 구성되는 탄성력제공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부가 상기 회전부 또는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되는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페달부가 결합된 부위는 상기 회전부가 결합된 부위보다 아래쪽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중간 부위가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되고 양 끝단은 앞뒤로 연장되며,
상기 페달부는 상기 회전부 부위 중 상기 제1몸체가 결합된 부위 후방에 위치한 부위에 결합되고,
상기 페달걸이부는 상기 회전부에서 상기 페달부 쪽으로 돌출되는 걸림바로 구성되어 상기 페달부가 일정 높이까지 내려가면 상기 페달부가 상기 걸림바에 걸리게 구성되거나 상기 페달부에서 상기 회전부 쪽으로 돌출되는 걸림바로 구성되어 상기 페달부가 일정 높이까지 내려가면 상기 걸림바가 상기 회전부에 걸리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중간 부위가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되고 양 끝단은 앞뒤로 연장되며,
상기 페달부는 상기 회전부 부위 중 상기 제1몸체가 결합된 부위 후방에 위치한 부위에 결합되고,
상기 페달걸이부는 가운데 부위가 상기 회전부 후부에 결합되고, 한쪽 끝단은 상기 회전부 측방으로 돌출된 부위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후 앞단에서 측방으로 연장되고, 다른쪽 끝단은 상기 회전부 측방으로 돌출된 부위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후 뒷단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는 제1시소받침부와 상기 회전부에서 상기 제1시소받침부 하방으로 돌출되는 걸림턱으로 구성되고,
양쪽 상기 페달부는 상기 제1시소받침부 좌우 양쪽 부위에 얹히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중간 부위가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되고 양 끝단은 앞뒤로 연장되며,
상기 페달부는 일단이 상기 회전부 하방에 위치한 상기 제1몸체 부위에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페달걸이부는 일단이 상기 회전부 후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페달부 중간 부위에 결합되는 제1연결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부가 상기 핸들프레임 하단에 결합되는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위쪽에서 보았을 때 "" 모양으로 구성되는 제1회전부, 상기 제1회전부 후부를 상기 제1몸체에 결합시키는 제1결합핀, 양 끝단이 상기 제1회전부 앞부위 좌우측에 결합되는 제2결합핀 및 일단이 상기 제1회전부 후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회전부로 구성되고,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제2결합핀 가운데 부위에 결합되고 상기 페달부는 상기 제2회전부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부는 일단이 상기 제2몸체에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돌출부 및 상기 중앙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돌출부로 구성되고,
상기 페달걸이부는,
상기 페달부 상방에 위치한 상기 제2몸체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체와 일단이 상기 제2돌출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체에 결합되는 제2연결부재 및 한쌍으로 구성되면서 일단이 상기 회전체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양쪽 페달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3연결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부는 일단이 상기 제2몸체에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돌출부 및 상기 중앙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돌출부로 구성되고,
상기 페달걸이부는,
상기 페달부 상방에 위치한 상기 제2몸체 부위에 결합되는 회전체:
일단이 상기 제2몸체에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으로 연장되면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받침부;
일단이 상기 회전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받침부에 결합되며 중간 부위가 상기 회전체를 경유하게 구성되는 제4연결부재; 및
가운데 부위가 상기 받침부 앞 부위에 결합되고 한쪽 끝단은 상기 받침부 측방으로 돌출된 부위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후 앞단에서 측방으로 연장되고 다른쪽 끝단은 상기 받침부 측방으로 돌출된 부위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후 뒷단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는 제2시소받침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양쪽 상기 페달부는 상기 제2시소받침부 좌우 양쪽 부위에 얹히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자전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은 상기 핸들조작부가 좌우로 회전 안 된 상태에서 양쪽 제2틸팅경계선에 위치하거나 양쪽 상기 제2틸팅경계선 사이에 위치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2틸팅경계선은 상기 페달부가 좌우로 넓다고 가정했을 때 상기 핸들조작부와 상기 몸체부가 측방으로 기울어질 때 내려가는 상기 페달부 부위와 올라가는 상기 페달부 부위 경계선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 페달부가 같이 내려가는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양쪽 페달부가 상기 회전부에 걸렸을 때 상기 양쪽 페달부를 누르는 힘은 상기 핸들조작부와 상기 몸체부의 기울어짐을 억제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고 상승한 상기 페달부를 누르는 힘은 상기 핸들조작부와 상기 몸체부의 기울어짐을 억제시키는 힘으로 작용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 제 5 항과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소받침부가 결합된 부위와 상기 제2시소받침부가 결합된 부위는,
상기 핸들조작부와 상기 몸체부가 측방으로 기울어지면 상방으로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 부위 중 상기 회전부가 결합된 부위 앞쪽에 위치하면서 상기 회전부 상방에 위치한 부위에 측방으로 돌출되는 회전방지턱이 마련되고 상기 양쪽 걸이부재 중 어느 하나가 끊어지면 상기 회전부가 상기 회전방지턱에 걸리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 손으로 잡을 수 있게 구성된 핸들과 일단이 상기 핸들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방으로 연장되는 핸들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핸들조작부;
상기 핸들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몸체와 일단이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몸체로 구성되는 몸체부;
상기 제2몸체 후단에 결합되는 후륜과 상기 후륜 측면에 결합되는 동력전달풀리로 구성되는 후륜부;
상기 제2몸체에 결합되는 안장부;
가운데 부위가 상기 핸들프레임 하단 또는 상기 제1몸체 하부에 결합되고 양 끝단은 양 측방으로 연장되는 전륜프레임과 상기 전륜프레임 양 끝단에 결합되는 전륜으로 구성되는 전륜부;
중간 부위가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되고 양 끝단은 상하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회전부와 한쌍으로 구성되면서 일단이 상기 전륜프레임 좌우측 부위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부 앞단에 각각 결합되는 걸이부재로 구성되는 틸팅억제부; 및
상기 제2몸체에 결합되는 경유도르래와 상기 회전부를 상기 동력전달풀리에 연결하고 일부분이 상기 경유도르래를 경유하게 구성되는 동력전달부재 및 상기 동력전달풀리를 역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게 구성되는 탄성력제공부로 구성되는 동력전달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전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1395A KR20230142299A (ko) | 2022-04-01 | 2022-04-01 | 자전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1395A KR20230142299A (ko) | 2022-04-01 | 2022-04-01 | 자전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42299A true KR20230142299A (ko) | 2023-10-11 |
Family
ID=88295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41395A KR20230142299A (ko) | 2022-04-01 | 2022-04-01 | 자전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42299A (ko) |
-
2022
- 2022-04-01 KR KR1020220041395A patent/KR20230142299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944638A (en) |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s involving a flywheel | |
US20110089656A1 (en) | Manual-swinging scooter | |
JP2656327B2 (ja) | 三輪車の操舵方法及びその機構 | |
US20170313375A1 (en) | Tilting-capable three-wheeled boarding vehicle | |
KR20230142299A (ko) | 자전거 | |
KR102108676B1 (ko) | 기울어짐 제어 기능을 하는 발판부가 구비된 삼륜탑승기구 | |
WO2017031915A1 (zh) | 改良的三轮滑行车 | |
US6379285B1 (en) |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s involving a transformable seat | |
KR101907430B1 (ko) | 삼륜 탑승 기구 | |
KR20240076942A (ko) | 서서 타는 삼륜자전거 | |
KR20230108664A (ko) | 기울어짐 억제 기능이 있는 자전거 | |
KR20220104367A (ko) | 상하 페달 자전거 | |
KR102410821B1 (ko) | 틸팅 억제 기능이 있는 역삼륜 이동수단 | |
KR100583982B1 (ko) | 삼륜차 | |
KR20190140395A (ko) | 삼륜탑승기구 | |
WO2006082347A1 (fr) | Appareil de musculation et/ou de reeducation | |
KR20190140201A (ko) | 서서 타는 이동수단 | |
JP2005280671A (ja) | 往復運動による駆動装置を備えた立ち乗り自転車 | |
KR102358414B1 (ko) | 틸팅억제 기능이 있는 역삼륜 이동수단 | |
KR20240126001A (ko) | 틸팅을 제어할 수 있는 승용완구 | |
KR101950802B1 (ko) | 기울어짐 제어 기능을 하는 발판부가 구비된 삼륜 탑승기구 | |
KR20230106825A (ko) | 역삼륜 킥보드 | |
CN211676089U (zh) | 自平衡高效动感健身自行车 | |
KR20230106822A (ko) | 역삼륜 킥보드 | |
KR20240014115A (ko) | 어린이 자전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