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4564A -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4564A
KR20240074564A KR1020220156773A KR20220156773A KR20240074564A KR 20240074564 A KR20240074564 A KR 20240074564A KR 1020220156773 A KR1020220156773 A KR 1020220156773A KR 20220156773 A KR20220156773 A KR 20220156773A KR 20240074564 A KR20240074564 A KR 20240074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water
water supply
making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6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강현
김수강
고경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56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74564A/ko
Priority to PCT/KR2023/011856 priority patent/WO2024111788A1/ko
Priority to US18/369,419 priority patent/US20240167746A1/en
Publication of KR20240074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45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25C1/243Moulds made of plastics e.g. silic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2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 F25C2305/0221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rotating ice mou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4Level of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1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filter for the water/ice disp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냉장고가 개시된다. 개시된 냉장고는 본체, 상기 본체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급수관 및 상기 급수관을 개방 또는 폐쇄 가능한 급수 밸브를 포함하는 급수 장치, 상기 급수 장치와 인접하도록 위치되는 제빙 장치로서, 상기 급수 장치에서 급수된 물을 수용 가능한 제빙 공간을 정의하는 제빙 트레이와 상기 제빙 트레이를 이동 시키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상기 급수 장치에서 배출된 물에 포함된 이물질 제거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빙 공간에 물을 공급하도록 상기 급수 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급수관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제빙 공간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REFRIBERATOR AND CONTROL METHOD OF REFRIGERATER}
본 개시는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빙 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시스템을 구비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기기이다. 저장실은 대략 섭씨 0 ~ 5 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장 보관하는 냉장실과, 대략 섭씨 0 ~ 영하 30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동 보관하는 냉동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저장실은 식품 출납을 위해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고, 저장실의 개방된 전면은 도어에 의해 개폐된다.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증발기를 이용하여 냉매가 압축, 응축, 팽창, 증발되는 냉각 사이클을 반복한다. 이때 냉동실 측에 구비된 하나의 증발기에 의해 냉동실과 냉장실이 모두 냉각될 수 있고, 냉동실과 냉장실에 각각 증발기가 구비되어 독립적으로 냉각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냉장고에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제빙 장치는 얼음이 생성되는 제빙 트레이와, 제빙 트레이에서 방출된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버킷을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는 제빙 트레이가 얼음을 생성하기 위하여 제빙 트레이에 물을 공급 가능한 급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 장치는 제빙 장치에서 얼음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빙 트레이를 향하여 급수할 수 있다.
다만, 급수 장치는 제빙 트레이에서 얼음을 형성하는 경우 외에도, 급수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급수 장치에서 급수된 물에 이물질이 포함되는 경우, 이물질을 포함된 물이 제빙 트레이 내 수용되는 것을 방지 가능한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급수 장치가 필터와 연결되고, 필터를 교체하는 경우, 필터에서 초기에 형성되는 이물질을 얼음을 얼리지 않은 채 빠른 시간 내 제빙 장치 외부로 배출 가능한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급수 장치에서 배출되는 물이 원활히 배출되도록 제빙 트레이의 위치를 변경 가능한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급수 장치에서 배출되는 물이 아이스 버킷이 아닌 저장실에 흐르는 것을 방지 가능한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급수 장치에서 이물질이 포함된 물이 배출된 것을 확인 가능하도록 출수량이 확인 가능한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본체, 상기 본체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급수관 및 상기 급수관을 개방 또는 폐쇄 가능한 급수 밸브를 포함하는 급수 장치, 상기 급수 장치와 인접하도록 위치되는 제빙 장치로서, 상기 급수 장치에서 급수된 물을 수용 가능한 제빙 공간을 정의하는 제빙 트레이와 상기 제빙 트레이를 이동 시키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상기 급수 장치에서 배출된 물에 포함된 이물질 제거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빙 공간에 물을 공급하도록 상기 급수 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급수관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제빙 공간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 트레이를 기준으로 중력 방향에 위치되는 아이스 버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관에서 배출된 물이 직접적으로 상기 아이스 버킷을 향하여 이동되기 위하여 상기 제빙 트레이를 움직이도록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빙 트레이는 상기 급수관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제빙 공간에 수용 가능한 제1 상태 및 상기 급수관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제빙 공간에 수용 방지되는 제2 상태의 사이에서 움직임 가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빙 트레이가 상기 제2 상태에 있도록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빙 트레이는, 고정 트레이 및 상기 구동 장치에 의하여 상기 고정 트레이에 대하여 진퇴 운동 가능한 이동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관에서 배출되는 물이 상기 고정 트레이 및 상기 이동 트레이의 사이에 위치되기 위하여 상기 이동 트레이가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빙 트레이는 상기 구동 장치에 의하여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관에서 배출되는 물이 상기 제빙 트레이의 제빙 공간으로 수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빙 트레이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이물질 제거 기능을 실행하는 지 여부를 묻는 알림 창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표시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버킷은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스 버킷이 상기 본체에 장착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예비 출수 과정을 진행하기 위하여 상기 급수관을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개방한 후 폐쇄하도록 상기 급수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비 출수 과정을 진행하기 전 물이 본체 내측으로 흐를 수 있다는 알림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표시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버킷이 상기 본체에 장착됨에 대응하여 신호를 출력 가능한 장착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착 센서에서 상기 아이스 버킷이 상기 본체에 장착됨에 대응되어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예비 출수 과정을 생략하고 본 출수 과정을 진행하도록 상기 급수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급수관 내측에 흐르는 물의 양에 관한 신호를 출력 가능한 플로우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로우 센서에서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출수량을 표시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관에서 물이 흘렀던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출수량을 표시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로우 센서에서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식별된 출수량이 상기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출수량 이상인 경우, 상기 급수관을 폐쇄하도록 상기 급수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급수를 정지하는 사용자 입력에 관한 신호를 수신 가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급수관에서의 출수를 중지하도록 상기 급수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버킷에 수용된 물의 양에 관한 신호를 출력 가능한 무게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스 버킷에서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무게 센서가 출력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아이스 버킷에 미리 설정된 물의 양 이상의 물이 공급 되었는지 식별하고, 식별된 물의 양에 기초하여 상기 급수관에서의 출수를 중지하도록 상기 급수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관에서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의 물이 배출된 경우, 상기 제빙 트레이 내 물이 수용되어 얼음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빙 트레이가 상기 제1 상태에 있도록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이물질 제거 기능에 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빙 공간에 물을 공급하도록 급수 밸브를 제어하고, 급수관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제빙 공간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제빙 트레이를 이동 가능한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빙 공간에 물을 공급하도록 상기 급수 밸브를 제어하기 전 상기 이물질 제거 기능을 실행하는 지 여부를 묻는 알림 창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리 가능한 아이스 버킷이 본체에 장착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예비 출수 과정을 진행하기 위하여 급수관을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개방한 후 폐쇄하도록 급수 밸브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로우 센서에서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출수량을 표시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본체, 상기 본체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급수관 및 상기 급수관을 개방 또는 폐쇄 가능한 급수 밸브를 포함하는 급수 장치, 상기 급수 장치와 인접하도록 위치되는 제빙 장치로서, 상기 급수 장치에서 급수된 물을 수용 가능한 제빙 공간을 정의하고, 상기 제빙 공간에 물을 수용 가능한 제1 상태와 상기 제빙 공간에서 물이 흘러 내리는 제2 상태의 사이에서 움직임 가능한 제빙 트레이와 상기 제빙 트레이를 이동 시키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상기 제빙 장치 내에 수용된 이물질 제거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빙 공간에 물을 공급하도록 상기 급수 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급수관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제빙 공간을 통하여 상기 제빙 공간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빙 트레이를 상기 제1 상태에 있도록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이물질이 포함된 물을 제빙 트레이 외측으로 흘려 보내도록 급수 장치 및 제빙 장치를 제어 가능한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급수 장치에서 급수된 물에 이물질이 포함되는 경우, 이물질을 포함된 물이 제빙 트레이 내 수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필터의 이물질을 포함한 물을 제빙 장치 외측으로 배출함으로써 급수 장치가 필터와 연결되고, 필터를 교체하는 경우, 필터에서 초기에 형성되는 이물질을 얼음을 얼리지 않은 채 빠른 시간 내 제빙 장치 외부로 배출 가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제빙 트레이가 얼음을 배출 가능한 상태에 위치되는 경우, 급수 장치에서 이물질이 포함된 물이 배출됨으로써, 급수 장치에서 배출되는 물이 원활히 배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아이스 버킷이 본체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 주의 알림을 보낼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급수 장치에서 배출되는 물이 아이스 버킷이 아닌 저장실에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플로우 센서에 의하여 급수 장치를 통과한 물의 유량을 측정하거나, 물이 흐르는 시간을 통하여 물의 유량을 계산하여 급수 장치에서 이물질이 포함된 물이 배출된 것을 확인 가능하도록 출수량이 확인 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와 필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를 자른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필터 장치의 필터 및 그와 관련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필터 장치에 관한 유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은 도 1에 도시된 냉장고를 자른 것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냉장고의 본체에서 제빙 장치와 그에 관련된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냉장고의 제빙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8는 도 7에 도시된 냉장고의 제빙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9은 도 7에 도시된 냉장고의 제빙 장치와 그에 관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냉장고의 제1 제빙 유닛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11는 도 10의 제1 제빙 자치의 제1 제빙 트레이가 움직인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은 도 9에 도시된 냉장고의 제2 제빙 유닛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13는 도 12에 도시된 제2 제빙 유닛이 얼음을 형성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2에 도시된 제빙 장치와 그에 관한 구성을 자른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은 도 14에 도시된 급수 장치에서 제빙 장치를 향하여 물이 급수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2에 도시된 제빙 장치 및 급수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에 관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제어부가 제빙 장치 및 급수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제어부가 제빙 장치 및 급수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9는 도 16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0은 도 16에 도시된 제어부가 제빙 장치 및 급수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부가 제빙 장치 및 급수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부가 제빙 장치 및 급수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부가 제빙 장치 및 급수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부가 제빙 장치 및 급수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부가 제빙 장치 및 급수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 장치 및 그와 관련된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구성요소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구성요소들 중의 어느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제1", "제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본 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지지" 또는 "접촉"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구성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지지 또는 접촉되는 경우뿐 아니라,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 결합, 지지 또는 접촉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상하 방향", "하측", 및 "전후 방향"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실(20)이 개방된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하고, 이를 기준으로 후방, 좌우측 및 상하측을 정의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와 필터(2-100)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1)를 자른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에 관하여 설명한다.
냉장고(1)는 본체(10)와, 본체(10) 내부에 마련되는 저장실(20)과, 저장실(20)을 개폐하는 도어(30)와, 저장실(20)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기 공급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사용자가 저장실(20)에 식품을 출납할 수 있도록 전면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체(10)는 본체(10)의 전면에 형성되는 개구(10a)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의 개구(10a)는 도어(3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본체(10)의 개구(10a)는 후술하는 외상(12)의 개구(10a), 내상(11)의 개구(10a)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본체(10)는 저장실(20)을 형성하는 내상(11)과, 냉장고(1)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12)과, 내상(11)과 외상(12) 사이에 마련되는 본체 단열재(13)를 포함할 수 있다.
외상(12)은 대략 전면이 개방된 박스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외상(12)은 냉장고(1)의 상하면, 좌우측면, 후면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외상(12)은 금속 소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외상(12)은 강판 소재를 가공함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내상(11)은 전면이 개방될 수 있다. 내상(11)은 내부에 저장실(20)이 마련되고, 외상(12)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내상(11)의 내벽은 저장실(20)의 내벽을 형성할 수 있다.
내상(11)의 내벽은 제1 내벽(11a), 제1 내벽(11a)과 대향되는 제2 내벽(11b), 제1 내벽(11a)과 제2 내벽(11b)의 사이에 마련되는 후벽(11c), 상벽 및 하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내벽(11a)은 냉장고(1)의 전방에서 바라볼 때 우측에 마련되는 내상(11)의 내벽을 지칭할 수 있다. 제2 내벽(11b)은 제1 내벽(11a)과 대향되고 냉장고(1)의 전방에서 바라볼 때 좌측에 마련되는 내상(11)의 내벽을 지칭할 수 있다.
다만 제1 내벽(11a)과 제2 내벽(11b)의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반대로 제 냉장고(1)의 전방에서 바라볼 때 좌측에 마련되는 내상(11)의 내벽을 제1 내벽이라고 지칭하고, 냉장고(1)의 전방에서 바라볼 때 우측에 마련되는 내상(11)의 내벽을 제2 내벽이라고 지칭할 수도 있다.
내상(11)은 플라스틱 소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내상(11)은 진공 성형(Vacuum Forming)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일 예로, 내상(11)은 사출 성형(injection molding)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체 단열재(13)는 외상(12)과 내상(11)이 서로 단열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체 단열재(13)는 내상(11)과 외상(12) 사이에 발포됨에 따라 내상(11)과 외상(12)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본체 단열재(13)는 저장실(20)의 내부와 본체(10)의 외부 사이에 열교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저장실(20) 내부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체 단열재(13)로는 우레탄 폼 단열재(urethane foam insulation), EPS 단열재(expanded polystyrene insulation), 진공 단열재(vacuum insulation panel)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체 단열재(13)는 다양한 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의 내측에는 저장실(20)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저장실(20)은 대략 섭씨 영하 30 ~ 0 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동 보관하는 냉동실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실(20)에는 식품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선반(16), 내상(11)에 대해 인입 및 인출 가능하고 식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이동 선반(17), 내상(11)에 대해 인입 및 인출 가능하고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서랍(18) 등이 마련될 수 있다.
내상(11)은 경사벽(11f)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벽(11f)은 도어(30)에 인접하게 본체(1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경사벽(11f)은 도어(30)에 인접한 일측에서 후벽(11c)을 향하는 타측으로 갈수록, 저장실(20)의 좌우 방향으로의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질 수 있다. 경사벽(11f)의 타측은 제1 내벽(11a) 또는 제2 내벽(11b)과 만나는 부분일 수 있다. 경사벽(11f)은 개구(10a)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경사벽(11f)의 하측에는 경사 돌출벽(11g)이 배치될 수 있다. 경사 돌출벽(11g)은 경사벽(11f)보다 저장실(20)의 좌우 방향으로의 내측을 향하여 더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경사 돌출벽(11g)은 경사벽(11f)보다 전방을 향하여 더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경사 돌출벽(11g)은 돌출상면(11ga)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상면(11ga)은 전방 인클라인부(113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경사 돌출벽(11g)은 개구(10a)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본체(10)의 개구(10a)를 통해 저장실(20) 내부를 바라볼 때, 경사벽(11f)과 경사 돌출벽(11g)은 저장실(20)의 부피가 보다 넓어 보이도록 향상된 심미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빙 장치(1000)의 제빙 커버(1100)는 경사 돌출벽(11g)의 경사진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전방 인클라인부(1130, 도 5 참조.)가 마련될 수 있다. 전방 인클라인부(1130)의 경사진 형상은 후방을 향할수록 상측으로 경사지므로, 경사 돌출벽(11g)과 조화로운 심미감을 형성하게 할 수 있다. 제빙 커버(110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냉장고(1)는 냉각 사이클을 이용하여 냉기를 생성하고, 생성된 냉기를 저장실(20)로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냉기 공급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냉기 공급 장치는 냉각 사이클에서 냉매의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냉기를 생성할 수 있다. 냉기 공급 장치는 압축기(73)와, 응축기와, 팽창 밸브와, 증발기(71)와, 송풍팬(72)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에는 냉기 공급 장치가 배치되기 위한 냉각실(50) 및 기계실(60)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실(50)에는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71) 및 증발기(71)에 의해 생성된 냉기가 유동되도록 마련되는 송풍팬(72) 등의 구성들이 마련될 수 있다. 기계실(50)에는 압축기(73), 응축기 등의 구성들이 마련될 수 있다.
냉각실(50)은 저장실(2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기계실(60)은 저장실(2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냉기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냉장고(1)의 부품들은 상대적으로 적지 않은 중량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냉각실(50) 및 기계실(60)은 본체(1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냉각실(50) 및 기계실(60)은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고, 냉기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부품들은 냉각실(50) 및 기계실(60)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냉각실(50)에는 증발기(71)에 의해 냉기가 생성되므로 상대적으로 저온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기계실(60)에는 압축기(73)와 응축기 등에 의해 열이 발생되므로 상대적으로 고온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냉각실(50)과 기계실(60)은 서로 구분되는 공간에 형성될 수 있고, 서로 단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실(50)과 기계실(60) 사이에는 본체 단열재(13)가 발포될 수 있다.
냉각실(50)에 마련된 증발기(71)는 냉매를 증발시켜 냉기를 생성할 수 있고, 증발기(71)에 의해 생성된 냉기는 송풍팬(72)에 의해 유동될 수 있다. 송풍팬(72)에 의해 유동되는 냉기는 냉각실(50)로부터 저장실(20)로 유동될 수 있다. 냉각실(50)은 저장실(20)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증발기(71)에 의해 생성된 냉기는, 송풍팬(72)에 의해 냉각실(50)의 상방을 향하여 유동될 수 있다. 송풍팬(72)에 의해 유동되는 냉기는 냉기 공급 덕트(14)를 따라 본체(10)의 상부를 향해 유동될 수 있다. 냉기는 냉기 공급 덕트(14)에서 전방을 향해 배출될 수 있고, 종국적으로 저장실(20)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일 예로 증발기(71)에 의해 생성된 냉기는 송풍팬(72)에 의해 본체(10)의 하부로 유동되며 저장실(20)로 유입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간냉식 냉장고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가 간냉식 냉장고임을 전제로 기술하나, 본 개시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직냉식 냉장고에도 적용될 수 있다.
냉각실(50)에 배치된 증발기(71), 송풍팬(72) 등은 냉기를 생성하여 저장실(20)로 냉기를 공급한다는 점에서, 냉기 공급 장치라고 지칭될 수 있다.
본체(10)는 냉기 공급 덕트(14)를 포함할 수 있다. 냉기 공급 덕트(14)는 냉기 공급 장치에 의해 생성된 냉기가 냉각실(50)로부터 저장실(20)로 유동되는 냉기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저장실(20)은 냉기 공급 덕트(14)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냉기 공급 덕트(14)는 내상(11)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냉기 공급 덕트(14)는 내상(11)의 후방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냉기 공급 덕트(14)는 저장실(20)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
도어(30)는 저장실(20)을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30)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30)는 도어(30) 및 본체(10)에 각각 연결되는 힌지(40)에 의해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어(30)는 외상(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어(30)의 외면은 냉장고(1)의 외관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어(30)가 폐쇄된 위치에서, 도어(30)의 외면은 도어(3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어(30)의 내면은 도어(30)의 외면과 반대되는 측이 형성될 수 있다. 도어(30)가 폐쇄된 위치에서, 도어(30)의 내면은 도어(30)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어(30)가 폐쇄된 위치에서, 도어(30)의 내면은 본체(10)의 내부를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30)가 폐쇄된 위치에서, 도어(30)의 내면은 저장실(20)의 전방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30)의 외면과 도어(30)의 내면 사이에는 발포 공간이 형성되어, 도어 단열재(31)가 발포될 수 있다. 도어 단열재(31)는 도어(30)의 외면과 내면 사이에서 열 교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어 단열재(31)는 저장실(20) 내부와 도어(20)의 외부 간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어 단열재(31)로는 우레탄 폼 단열재(urethane foam insulation), EPS 단열재(expanded polystyrene insulation), 진공 단열재(vacuum insulation panel)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도어 단열재(31)는 다양한 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어 단열재(31)는 본체 단열재(13)와 동일한 소재의 단열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일 예로 도어 단열재(31)는 본체 단열재(13)와 서로 다른 소재의 단열재로 구성될 수 있다.
도어(30)의 내면에는 도어(30)와 본체(10) 사이의 틈을 밀폐하여 저장실(20)의 냉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개스킷(33)이 마련될 수 있다. 도어 개스킷(33)은 도어(30)의 내면의 둘레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도어 개스킷(33)은 도어(30)가 폐쇄될 시 본체(10)의 개구(10a)와 나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어 개스킷(33)은 고무 등 탄성 소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어(30)의 내면에는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도어 선반(32)이 마련될 수 있다.
냉장고(1)는 저장실(20)의 냉기를 이용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 장치(10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빙 장치(1000)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 유닛(1300, 1400)(도 5 등 참조.)과, 제빙 유닛(1300, 1400)을 지지하는 제빙 케이스(1200, 도 3 등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빙 장치(1000)는 저장실(20)에 마련될 수 있다. 제빙 장치(1000)는 내상(11)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상(11)은 내상(11)의 내벽(11a, 11b)에 마련되는 홀더(11aa, 11bb)를 포함할 수 있고, 제빙 장치(1000)는 홀더(11aa, 11bb)에 지지될 수 있다(도 5 등 참조). 일 예로, 홀더(11aa, 11bb)는 내상(11)의 내벽(11a, 11b)에서 돌출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홀더(11aa, 11bb)는 내상(11)의 내벽(11a, 11b)에서 오목하게 함몰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냉장고(1)는 급수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 장치(200)는 냉장고(1)에 물을 공급 가능한 장치 일 수 있다.
급수 장치(200)는 외부 급수원(미도시)으로부터 물을 공급 받도록 마련되는 급수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급수관(210)는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공급 받은 물을 제빙 장치(1000)로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빙 장치(1000)는 급수관(210)를 통해 공급 받은 물을 이용하여,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급수관(210)는 내부에 물이 흐르는 급수 유로가 형성되는 파이프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급수관(210)는 제빙 유닛(1300, 140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빙 유닛(1300, 1400)은 제1 제빙 유닛(1300) 및 제2 제빙 유닛(1400)을 포함할 수 있으며(도 5 등 참조.), 급수관(210)는 제1 제빙 유닛(1300) 및 제2 제빙 유닛(1400) 각각에 물을 공급하도록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급수관(210)는 본체(10)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급수관(210)는 외상(12) 및 내상(11)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급수관(210)는 외상(12) 및 내상(11)의 후면을 관통할 수 있다. 외상(12) 및 내상(11)의 후면은 급수관(210)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관통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내상(11)의 후면은, 전술한 내상(11)의 후벽(11c)을 의미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빙 유닛(1300, 1400)이 제1 제빙 유닛(1300) 및 제2 제빙 유닛(1400)을 포함하는 경우, 급수관(210)도 이에 대응하여 제1 급수관(210a) 및 제2 급수관(21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급수관(210a)는 제1 제빙 유닛(130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고, 제2 급수관(210b)는 제2 제빙 유닛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급수 장치(200)는 급수 밸브(22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 밸브(220)는 급수관(210)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구성일 수 있다.
급수 밸브(220)는 급수관(21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급수 밸브(220)는 급수관(210)의 급수 유로를 막음으로써, 급수관(210) 내에 물이 더 이상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급수 "e브(220)는 예를 들어, AC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 밸브(220)는 수동으로 조작이 가능할 수도 있고, 전기적인 신호에 의하여 조작이 가능할 수도 있다.
냉장고(1)는 제빙 장치(1000)에 의해 생성된 얼음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아이스 버킷(ice bucket)(100)을 포함할 수 있다. 아이스 버킷(100)은 저장실(20)에 마련될 수 있다.
아이스 버킷(100)은 내상(11)에 장착될 수 있다. 아이스 버킷(100)은 내상(11)의 제1 내벽(11a) 및 제2 내벽(11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아이스 버킷(100)은 제빙 장치(1000)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아이스 버킷(100)은 제빙 유닛(1300, 1400)에서 배출되어 하방으로 이동된 얼음을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저장실(20)에는 아이스 버킷(100)을 지지하는 버킷 선반(15)이 마련될 수 있다. 아이스 버킷(100)은 버킷 선반(15)에 안착될 수 있다. 버킷 선반(15)은 제1 내벽(11a) 및 제2 내벽(11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빙 장치(1000), 아이스 버킷(100)의 구체적인 특징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상에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냉장고(1)의 구성은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를 설명하기 위한 일례에 불과하며, 본 개시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식품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을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내부에 단일의 저장실(20)이 형성되는 본체(10)와 저장실(20)을 개폐하는 단일의 도어(30)를 포함하는 냉장고(1)를 본 개시의 일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구성은 다양한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실과 냉동실이 좌우로 배치된 SBS(Side by Side)형일 수 있다(도 21 참조.). 또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상측에 냉장실이 형성되고 하측에 냉동실이 형성된 BMF(Bottom Mounted Freezer)형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상측에 냉동실이 형성되고 하측에 냉장실이 형성된 TMF(Top Mounted Freezer)형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1)는 필터 장치(2-1)와 연결될 수 있다. 필터 장치(2-1)는 급수원과 연결될 수 있다.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은 필터 장치(2-1)에서 여과되어, 불순물이 제거될 수 있다. 불순물이 제거된 물은 냉장고(1)로 공급될 수 있다. 공급된 물은 냉장고(1)에서 얼음이 되거나, 차가운 물이 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필터 장치는 냉장고(1)의 일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외상(12)의 내측에 필터 장치가 위치될 수 있다.
또는 필터 장치는 냉장고(1)의 내측에 위치될 수도 있다.
다만, 본 개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냉장고(1)가 필터 장치(2-1)와 별도의 구성이고 냉장고의 외측에 위치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필터(2-100) 장치의 필터(2-100) 및 그와 관련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필터(2-100) 장치에 관한 유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2-100)를 설명한다.
필터 장치(2-1)는 복수의 필터(2-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필터(2-100)는 제1 필터(2-110), 제2 필터(2-120), 제3 필터(2-130), 제4필터(2-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 중 일부가 생략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필터 장치(2-1)는 원수가 정수될 수 있도록 원수 유로(2-10)와 연결되는 정수유로(2-2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장치는 원수를 여과하도록 정수유로(2-20)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전처리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전처리 필터는 제1 필터(2-110)와 제2 필터(2-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처리 필터는 선카본 필터, 침전 필터, 고탁도 필터, 침전 필터와 선카본 필터가 결합된 복합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복합필터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전처리 필터는 큰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동시에, 흡착을 통해 염소, 유기 화합물, 냄새 및 색소를 제거할 수 있다. 동종의 필터를 다수로 사용할 경우 구성된 필터의 교환주기가 같아질 수 있어 필터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전처리 필터는 GAC 필터(2-Granular Activated Carbon 필터), Block 카본 필터, 코코넛을 고열처리하여 가공한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 중 일부가 생략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전처리 필터는 2개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3개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필터는 전술한 다양한 필터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는 전술한 필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터(2-110)와 제2 필터(2-120)는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필터(2-110)와 제2 필터(2-120)에서 출수된 정수는 직렬로 연결된 제3 필터(2-130)와 제4필터(2-140)로 흐를 수 있다.
복수의 전처리 필터를 병렬로 사용함으로써, 출수압의 상승 효과를 볼 수 있다. 동종 필터의 사용시에는 수처리 용량이 반감되어 필터의 수명연장 효과를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 교환에 따른 불편이 최소화되고 사용자의 편의를 달성할 수 있다.
제3 필터(2-130)는 정수 필터로 통수성인 멤브레인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4필터(2-140)는 후처리 필터로 후카본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 중 일부가 생략되어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필터(2-130)는 한외여과막, 나노여과막, 역삼투막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한외여과막은 공경이 0.005 마이크로미터 이상 0.5 마이크로미터의 이하인 미세기공을 포함할 수 있고, 나노여과막은 공경이 0.001 마이크로미터 이상 0.005 마이크로미터 미만인 미세기공을 포함할 수 있고, 역삼투막은 공경이 0.0001 마이크로미터 이상 0.001 마이크로미터 미만인 미세기공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필터는 미세물질을 흡착하고 가스성분과 냄새를 제거하여 물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4 필터는 GAC 필터(2-Granular Activated Carbon 필터), Block 카본 필터, Silver 카본 필터, DI Resin 필터(2-DeIonization Resin 필터), TCR 필터(2-Taste Chlorine Reduction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 중 일부가 생략되어 구성될 수 있다.
제3 필터(2-130)와 제4필터(2-140)는 멤브레인 필터와 후처리 필터가 결합된 복합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필터는 전술한 다양한 필터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는 전술한 필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정수유로(2-20)는 원수유로(2-10)로부터 복수로 분기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분기 유로가 될 수 있다. 정수유로(2-20)는 제1정수유로(2-21), 제2정수유로(2-22), 제3정수유로(2-23), 제4정수유로(2-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 중 일부가 생략되어 구성될 수 있다.
제1정수유로(2-21)는 원수 유로(2-10)와 연결되어 제1 필터(2-110)의 상류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정수유로(2-22)는 원수 유로(2-10)와 연결되어 제2 필터(2-120)의 상류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3정수유로(2-23)는 제1 필터(2-110)의 하류와 제2 필터(2-120)의 하류의 연결지점에서부터 제3 필터(2-130)의 상류까지 형성될 수 있다. 제4정수유로(2-24)는 제3 필터(2-130)와 연결되며 정수유로(2-20)의 연결 지점까지 형성될 수 있다.
정수유로(2-20)는 원수가 정수유로(2-20)로 흐르거나 흐르지 않도록 유로를 개폐하는 복수의 유입밸브(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유입밸브(2-30)는 물이 흐르는 방향에 대해 복수의 전처리 필터의 상류측에 설치 되어 정수 유로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 중 일부가 생략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유입밸브(2-31, 32)는 제1유입밸브(2-31)와 제2유입밸브(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유입밸브(2-31)는 제1 필터(2-110)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제1정수유로(2-21)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제2유입밸브(2-32)는 제2 필터(2-120)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제2정수유로(2-22)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 중 일부가 생략되어 구성될 수 있다.
후처리 필터를 흐른 정수가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출수 유로(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 중 일부가 생략되어 구성될 수 있다.
원수 유로(2-10)에는 원수의 수압을 감소시키는 감압밸브(2-60)가 마련될 수 있다.
유출유로(2-50)는 정수량을 측정하는 유량계(2-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량계(2-51)에서 측정된 유량을 통해 필터 장치의 정수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필터의 적절한 교체 시기를 알 수 있다.
필터 장치(2-1)는 복수의 필터(2-100)를 수용하는 외부 케이싱(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터 장치(2-1)는 외부 케이싱(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도어 브라켓(2-220)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장치(2-1)는 배관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배관부(2-70)는 입수유로(2-77)와 출수유로(2-7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은 도 1에 도시된 냉장고(1)를 자른 것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냉장고(1)의 본체(10)에서 제빙 장치(1000)와 그에 관련된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냉장고(1)의 제빙 장치(1000)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8는 도 7에 도시된 냉장고(1)의 제빙 장치(1000)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 장치(1000) 및 그와 관련된 구성을 설명한다.
냉장고(1)의 제빙 장치(1000)는 저장실(20)에 마련될 수 있다. 제빙 장치(1000)는 내상(11)에 장착될 수 있다.
제빙 장치(1000)는 내상(11)의 제1 내벽(11a) 및 제2 내벽(11b)에 지지될 수 있다. 제빙 장치(1000)는 제1 내벽(11a) 및 제2 내벽(11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벽(11a)은 냉장고(1)의 전방에서 바라볼 때 우측에 마련되는 내상(11)의 내벽이고, 제2 내벽(11b)은 제1 내벽(11a)과 대향되고 냉장고(1)의 전방에서 바라볼 때 좌측에 마련되는 내상(11)의 내벽일 수 있다. 즉, 제빙 장치(1000)는 내상(11)의 좌측 내벽 및 우측 내벽에 의해 각각 지지되도록 내상(11)에 장착될 수 있다. 제빙 장치(1000)가 지지되는 제1 내벽(11a) 및 제2 내벽(11b)은 냉장고(1)의 좌우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가 냉장실과 냉동실이 좌우로 배치된 SBS(Side by Side)형 냉장고일 경우, 냉장실과 냉동실의 사이에는 냉장실과 냉동실을 구획하는 수직 파티션이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내벽은 내상의 좌측 내벽 또는 우측 내벽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제2 내벽은 제1 내벽과 대향되는 수직 파티션의 측벽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제1 내벽(11a) 및 제2 내벽(11b)에 대해 설명한다.
제빙 장치(1000)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 유닛(1300, 1400)과, 제빙 유닛(1300, 1400)을 지지하는 제빙 케이스(1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빙 케이스(1200)는 내상(11)에 장착될 수 있다. 제빙 케이스(1200)는 내상(1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빙 케이스(1200)는 내상(11)의 내벽(11a. 11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빙 케이스(1200)는 내상(11)의 내벽(11a, 11b)에 의해 지지되는 제빙 케이스 벽(1210a, 121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빙 케이스 벽(1210a, 1210b)은 내상(11)의 내벽(11a, 11b)과 마주하는 제빙 케이스(1200)의 외벽일 수 있다.
제빙 케이스 벽(1210a, 1210b)은 제1 내벽(11a)에 의해 지지되는 제1 제빙 케이스 벽(1210a) 및 제2 내벽(11b)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제빙 케이스 벽(121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빙 케이스 벽(1210a)은 제1 내벽(11a)과 마주하는 제빙 케이스(1200)의 외벽일 수 있다. 제1 제빙 케이스 벽(1210a)은 전방에서 바라볼 때 우측에 마련되는 제빙 케이스(1200)의 우측 외벽일 수 있다. 제2 제빙 케이스 벽(1210b)은 제2 내벽(11b)과 마주하는 제빙 케이스(1200)의 외벽일 수 있다. 제2 제빙 케이스 벽(1210b)은 제1 제빙 케이스 벽(1210a)과 반대되고, 전방에서 바라볼 때 좌측에 마련되는 제빙 케이스(1200)의 좌측 외벽일 수 있다.
제1 제빙 케이스 벽(1210a)은 제1 내벽(11a)과 대략 나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제빙 케이스 벽(1210b)은 제2 내벽(11b)과 대략 나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제빙 케이스 벽(1210a) 및 제2 제빙 케이스 벽(1210b)은 서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제빙 케이스 벽(1210a) 및 제2 제빙 케이스 벽(1210b)은 대략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내상(11)은 내상(11)의 내벽(11a, 11b)에 형성되는 홀더(11aa, 11bb)를 포함할 수 있다. 제빙 케이스(1200)는 홀더(11aa, 11bb)에 지지될 수 있다.
홀더(11aa, 11bb)는 제빙 케이스 벽(1210a, 1210b)을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홀더(11aa, 11bb)는 내상(11)의 내벽(11a, 11b)에서 돌출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홀더(11aa, 11bb)는 제빙 케이스 벽(1210a, 1210b)을 지지하도록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홀더(11aa, 11bb)는 저장실(20)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홀더(11aa, 11bb)는 제빙 케이스 벽(1210a, 1210b)에 형성된 오목한 부분에 삽입되어 제빙 케이스 벽(1210a, 1210b)을 지지할 수 있다. 또는, 홀더(11aa, 11bb)는 제빙 케이스 벽(1210a, 1210b)의 하측을 지지할 수도 있다.
일 예로, 홀더(11aa, 11bb)는 내상(11)의 내벽(11a, 11b)에서 오목하게 함몰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 등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빙 케이스 벽(1210a, 1210b)에는 내상(11)의 내벽(11a, 11b)을 향해 돌출된 부분(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고, 제빙 케이스 벽(1210a, 1210b)의 돌출된 부분은 홀더(11aa, 11bb)에 삽입됨에 따라 홀더(11aa, 11bb)에 지지될 수 있다.
홀더(11aa, 11bb)가 제빙 케이스 벽(1210a, 1210b)을 지지하도록 돌출되게 형성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다만 본 개시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예로 제빙 케이스 벽(1210a, 1210b)을 지지하는 홀더(11aa, 11bb)는 내상(11)의 내벽(11a, 11b)에서 오목하게 함몰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홀더(11aa, 11bb)는 내상(11)의 전후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홀더(11aa, 11bb)는 내상(11)의 내벽(11aa, 11bb)의 전후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빙 케이스 벽(1210a, 1210b)은 홀더(11aa, 11bb)에 의해 내상(11)의 상하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일 예로, 제빙 케이스(1200)는 내상(11)의 전후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홀더(11aa, 11bb)를 따라, 내상(11)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장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빙 케이스(1200)는 내상(11)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되며 내상(11)에 장착될 수 있다. 제빙 케이스(1200)는 내상(11)에 장착될 시 내상(11)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삽입될 수 있다.
제빙 케이스(1200)는 내상(11)에 장착될 시 홀더(11aa, 11bb)에 의해 내상(11)에서의 장착 위치 및 내상(11)으로의 장착 방향 등이 가이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빙 케이스(1200)가 내상(11)에 장착되는 방식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빙 케이스(1200)는 내상(11)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장착될 수 있다. 이 때에도 홀더(11aa, 11bb)는 여전히 내상(11)의 전후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홀더(11aa, 11bb)는 제빙 케이스 벽(1210a, 1210b)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빙 케이스 벽(1210a, 1210b)은 제빙 케이스 벽(1210a, 1210b)의 상부가 홀더(11aa, 11bb)의 상면에 안착됨에 따라 홀더(11aa, 11bb)에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빙 케이스(1200)는 홀더(11aa, 11bb)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빙 케이스 벽(1210a, 1210b)는 홀더(11aa, 11bb)에 의해 다양하게 지지될 수 있다.
홀더(11aa, 11bb)는 내상(11)의 전방에 인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즉, 홀더(11aa, 11bb)는 내상(11)의 후벽(11c)보다 내상(11)의 개구(10a)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홀더(11aa, 11bb)는 제빙 케이스(1200)의 적어도 전방부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홀더(11aa, 11bb)가 내상(11)의 전방에 인접한 위치에 마련됨에 따라 제빙 케이스(1200)를 내상(11)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하여 장착될 시 제빙 케이스(1200)는 홀더(11aa, 11bb)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가이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홀더(11aa, 11bb)는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홀더(11aa, 11bb)는 내상(11)의 후벽(11c)에 인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홀더(11aa, 11bb)는 내상(11)의 개구(10a)와 후벽(11c) 각각에 거의 동등한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내상(11)에는 제빙 케이스(1200)의 후방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후방 홀더(11e)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제빙 케이스 벽(1210a, 1210b)은 홀더(11aa, 11bb) 뿐만 아니라 후방 홀더(11e)에 의해서도 지지될 수 있다. 일 예로 후방 홀더(11e)는 내상(11)의 내벽(11a, 11b)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후방 홀더(11e)는 내상(11)의 후벽(11c)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내상(11)에는 후방 홀더(11e)가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홀더(11aa, 11bb)는 제1 내벽(11a)에 마련되고 제1 제빙 케이스 벽(1210a)을 지지하는 제1 홀더(11aa)와, 제2 내벽(11b)에 마련되고 제2 제빙 케이스 벽(1210b)을 지지하는 제2 홀더(11b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더(11aa) 및 제2 홀더(11bb)는 서로 대향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홀더(11aa) 및 제2 홀더(11bb)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홀더(11aa) 및 제2 홀더(11bb)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홀더(11aa)는 저장실(20)을 향하여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홀더(11aa)는 제1 내벽(11a)에서 제1 제빙 케이스 벽(1210a)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홀더(11bb)는 저장실(20)을 향하여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홀더(11bb)는 제2 내벽(11b)에서 제2 제빙 케이스 벽(1210b)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홀더(11aa)가 내상(11)의 후벽(11c)보다 내상(11)의 개구(10a)에 인접하게 배치될 때, 제1 홀더(11aa)의 후방에는 후방 홀더(11e)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홀더(11aa) 및 후방 홀더(11e)는 제1 제빙 케이스 벽(1210a)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홀더(11bb)가 내상(11)의 후벽(11c)보다 내상(11)의 개구(10a)에 인접하게 배치될 때, 제2 홀더(11bb)의 후방에는 후방 홀더(11e)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홀더(11bb) 및 후방 홀더(11e)는 제2 제빙 케이스 벽(1210b)을 지지할 수 있다.
후방 홀더(11e)는 제1 제빙 케이스 벽(1210a) 및 제2 제빙 케이스 벽(1210b)을 각각 지지하도록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일 예로 제1 홀더(11aa)는 후방 홀더(11e)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내상(11)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될 수도 있다. 제1 홀더(11aa)는 제1 제빙 케이스 벽(1210a)의 전방부와 후방부 사이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홀더(11bb)는 후방 홀더(11e)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내상(11)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될 수도 있다. 제2 홀더(11bb)는 제2 제빙 케이스 벽(1210b)의 전방부와 후방부 사이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빙 케이스(1200)는 내상(11)의 후방부에 고정될 수 있다. 제빙 케이스(1200)는 내상(11)의 후방부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후방 고정부(12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후방 고정부(1260)는 저장실(20)의 후방에 배치되는 냉기 공급 덕트(14)와 마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후방 고정부(1260)는 냉기 공급 덕트(14)에 고정되어, 내상(11)의 후방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후방 고정부(1260)는 내상(11)의 후벽(11c)과 마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후방 고정부(1260)는 내상(11)의 후벽(11c)에 고정되어, 내상(11)의 후방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후방 고정부(1260)는 스크류홀(1261)을 포함할 수 있고, 스크류홀(1261)은 스크류(screw)(미도시)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관통될 수 있다. 후방 고정부(1260)는 스크류 결합에 의해 냉기 공급 덕트(14) 내지 내상(11)의 후벽(11c)에 고정될 수 있다.
후방 고정부(1260)에 의해, 제빙 케이스(1200)는 내상(11)에 보다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후방 고정부(1260)의 구성은 제빙 케이스(1200)가 내상(11)에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의 일례에 불과하며, 제빙 케이스(1200)는 다양한 구성을 포함하여 내상(11)에 고정될 수 있다.
제빙 케이스(1200)는 제빙 장치(10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제빙 케이스(1200)는 제빙 케이스(120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부(1230)를 포함할 수 있고, 전면부(1230)는 제빙 장치(100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전면부(1230)는 제1 제빙 케이스 벽(1210a) 및 제2 제빙 케이스 벽(1210b)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전면부(1230)는 제1 제빙 케이스 벽(1210a) 및 제2 제빙 케이스 벽(1210b)을 연결할 수 있다.
제빙 케이스(1200)는 대략 박스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빙 케이스(1200)는 적어도 일면이 개방된 박스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빙 케이스(1200)는 아이스 버킷(100)을 향하는 방향, 즉 하방이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제빙 케이스(1200)는 후방이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빙 케이스(1200)는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빙 케이스(1200)는 급수관(210)가 관통하는 급수 관통부(125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관(210)는 제빙 유닛(1300, 14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급수 관통부(1250)는 제빙 케이스(120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나, 급수 관통부(1250)의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급수 관통부(1250)는 급수관(21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복수의 급수관(210)가 단일의 급수 관통부(1250)를 관통할 수도 있다.
제빙 장치(1000)는 제빙 커버(1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빙 커버(1100)는 제빙 케이스(1200)의 상방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빙 커버(1100)는 제빙 케이스(120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빙 커버(1100)는 제빙 케이스(120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빙 커버(1100)는 제빙 케이스(1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빙 커버(1100)는 제빙 장치(12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제빙 커버(1100)는 제빙 장치(100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빙 커버(1100)는 급수관(21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빙 커버(1100)는 저장실(20)의 내측에 위치하는 급수관(21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제빙 커버(1100)는 급수 관통부(1250)를 커버할 수 있다.
제빙 커버(1100)는 제빙 유닛(1300, 1400)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빙 커버(1100)는 제빙 유닛(1300, 1400)의 상방을 커버할 수 있다.
제빙 커버(1100)는 상측에 마련되는 물품을 지지하며 제빙 케이스(1200)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선반부(1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빙 커버(1100)는 선반부(1110)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전방 인클라인부(1130)와, 선반부(1110)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후방 인클라인부(1120)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 인클라인부(1120)는 냉기 공급 덕트(14, 도 2 참조)에 접촉되는 부분일 수 있다. 후방 인클라인부(1120)는 후방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는, 후방 인클라인부(1120)가 냉기 공급 덕트(14)에 의해 지지되기 위함임과 동시에, 냉기 공급 덕트(14)를 관통하고 전방으로 향함에 따라 하측으로 경사진 형상의 급수관(210)를 커버하도록 마련되기 위함이다.
전방 인클라인부(1130)는 선반부(111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전방 인클라인부(1130)는 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방 인클라인부(1130)는 경사벽(11f, 도 1 참조)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빙 장치(1000)에 마련되는 제빙 유닛(1300, 1400)은, 다양한 형태의 얼음을 생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빙 장치(1000)는 제1 타입의 얼음을 생성하는 제1 제빙 유닛(1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빙 유닛(1300)은 제빙 케이스(1200)의 제1 제빙 유닛 지지부(1241)에 지지될 수 있다.
일 예로, 제빙 장치(1000)는 제2 타입의 얼음을 생성하는 제2 제빙 유닛(14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빙 유닛(1400)은 제빙 케이스(1200)의 제2 제빙 유닛 지지부(1241)에 지지될 수 있다.
제1 제빙 유닛 지지부(1241)는 적어도 제1 제빙 유닛(1300)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제빙 유닛 지지부(1242)는 적어도 제2 제빙 유닛(1400)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제빙 유닛 지지부(1241)는 제빙 커버(1100)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제빙 유닛 지지부(1241)는 제빙 커버(1100)에 의해 상방이 커버될 수 있다. 제2 제빙 유닛 지지부(1242)는 제빙 커버(1100)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제빙 유닛 지지부(1242)는 제빙 커버(1100)에 의해 상방이 커버될 수 있다.
제1 제빙 유닛 지지부(1241) 및 제2 제빙 유닛 지지부(1242)는 제1 제빙 케이스 벽(1210a) 및 제2 제빙 케이스 벽(1210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제빙 유닛 지지부(1241) 및 제2 제빙 유닛 지지부(1242)는 제1 제빙 케이스 벽(1210a) 및 제2 제빙 케이스 벽(1210b)에 의해 좌우 측 방향으로 커버될 수 있다.
제1 제빙 유닛 지지부(1241) 및 제2 제빙 유닛 지지부(1242)는 전면부(123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제빙 유닛 지지부(1241) 및 제2 제빙 유닛 지지부(1242)는 전면부(1230)에 의해 전방이 커버될 수 있다.
제1 제빙 유닛(1300) 및 제2 제빙 유닛(1400)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제빙 유닛 지지부(1241) 및 제2 제빙 유닛 지지부(1242)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제빙 유닛(1300) 및 제2 제빙 유닛(1400)은 냉장고(1)의 좌우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1 제빙 유닛 지지부(1241) 및 제2 제빙 유닛 지지부(1242)는 냉장고(1)의 좌우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제빙 유닛 지지부(1241)는 후크(hook) 구조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제빙 유닛(1300)은 후크 결합에 의해 제1 제빙 유닛 지지부(1241)에 지지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제빙 유닛 지지부(1241)는 제1 제빙 유닛(1300)을 고정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제빙 유닛 지지부(1242)는 후크(hook) 구조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제빙 유닛(1400)은 후크 결합에 의해 제2 제빙 유닛 지지부(1242)에 지지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2 제빙 유닛 지지부(1242)는 제2 제빙 유닛(1400)을 고정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빙 유닛(1300, 1400)이 제빙 케이스(1200)에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구성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빙 유닛(1300, 1400)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 제빙 유닛(1300)에 의해 생성되는 제1 타입의 얼음과 제2 제빙 유닛(1400)에 의해 생성되는 제2 타입의 얼음은, 얼음의 형상, 크기 등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타입의 얼음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 타입의 얼음은 대략 큐브 형상을 갖는 얼음일 수 있다. 일 예로, 제2 타입의 얼음은 대략 구 형상을 갖는 얼음일 수 있다. 또는, 일 예로 제1 타입의 얼음 및 제2 타입의 얼음은 서로 유사한 형상을 갖되, 크기가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달리, 제빙 장치(1000)는 한가지 타입의 얼음만을 생성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제1 제빙 유닛(1300) 및 제2 제빙 유닛(14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저장실(20)에는 아이스 버킷(100)이 마련될 수 있다. 아이스 버킷(100)은 내상(11)에 장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아이스 버킷(100)은 내상(11)의 제1 내벽(11a) 및 제2 내벽(11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아이스 버킷(100)은 제빙 장치(1000)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아이스 버킷(100)은 제빙 유닛(1300, 1400)에서 배출되어 하방으로 이동된 얼음을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아이스 버킷(100)은 제1 제빙 유닛(1300)에 의해 생성된 제1 타입의 얼음을 수용하는 제1 수용부(110)와, 제2 제빙 유닛(1400)에 의해 생성된 제2 타입의 얼음을 수용하는 제2 수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용부(110)는 제1 제빙 유닛(1300)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수용부(120)는 제2 제빙 유닛(1400)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아이스 버킷(100)은 버킷 선반(15)에 안착될 수 있다. 버킷 선반(15)은 내상(11)의 내벽(11a, 11b)에 마련되는 버킷 장착부(11d)에 지지될 수 있다. 버켓 장착부(11d)는 내상(11)의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아이스 버킷(100)은 저장실(20)에서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아이스 버킷(100)은 내상(11)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버킷 선반(15)은 버킷 장착부(11d)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버킷 선반(15)은 버킷 장착부(11d)를 따라 저장실(20)에 대해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고, 버킷 선반(15)에 안착된 아이스 버킷(100)은 버킷 선반(15)과 함께 저장실(20)에 대해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도 9은 도 7에 도시된 냉장고(1)의 제빙 장치(1000)와 그에 관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를 참고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 트레이(1310, 1410)에 물이 채워 지는 구성을 설명한다.
냉장고(1)는 급수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 장치(200)는 제빙 장치(1000)에 물을 공급하는 장치일 수 있다.
급수 장치(200)는 제빙 장치(1000)의 상단에서 물을 배출할 수 있다. 급수 장치(200)에서 배출된 물은 중력에 의하여 제빙 장치(1000)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급수 장치(200)는 급수관(210)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관(210)은 내측에 물이 흐를 수 있는 급수관(210) 유로를 정의하는 구성일 수 있다.
급수관(210)은 냉장고(1) 후벽(도 2)에서 전방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급수관(210)이 전방으로 연장되는 동안, 하방을 향하여 경사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급수관(210) 내측에 위치된 물은 전방으로 이동되는 동안 중력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다.
급수관(210)은 냉장고(1) 후벽에 결합될 수 있다. 급수관(210)의 냉장고(1) 후벽 측에 위치되는 단부는 출수 유로(도 4)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2-100)(도 4)를 통과한 물은 급수관(210)으로 이동되어 제빙 장치(1000)를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필터(2-100)를 통과한 물은 급수원이 가지는 수압에 의하여 제빙 장치(1000)를 향하여 이동되거나, 별도의 펌프(미도시)를 통하여 제빙 장치(1000)를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급수 장치(200)는 급수 밸브(22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 밸브(220)는 급수관(210) 유로를 개폐하는 구성일 수 있다.
급수 밸브(220)는 급수관(210) 유로 상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급수 밸브(220)는 급수관(210)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여 급수관(210)을 흐르는 물이 급수관(210) 외측으로 배출되거나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급수 밸브(220)는 전자식으로 개방 또는 폐쇄 될 수 있다. 급수 밸브(220)는 솔레노이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 밸브(220)는 솔레노이드(미도시)에 의하여 움직임 가능한 폐쇄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급수 밸브(220)는 수동으로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는 후술하는 제어부(2000)(도 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2000)는 솔레노이드에 전류가 흐르게 하거나 또는 전류가 흐르는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폐쇄 부재가 급수관(210) 유로를 폐쇄하는 지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어부(2000)는 급수 밸브(220)를 제어할 수 있다.
급수관(210)은 제1 급수관(210a) 및 제2 급수관(21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급수관(210a)은 제1 제빙 트레이(1310)를 향하여 물을 배출할 수 있다. 제2 급수관(210b)은 제2 제빙 트레이(1410)를 향하여 물을 배출할 수 있다.
제1 급수관(210a)은 제1 제빙 트레이(1310)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제2 급수관(210b)은 제2 제빙 트레이(1410)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급수관(210)에서 배출된 물은 제빙 트레이(1310, 1410) 외부로 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급수관(210)에서 배출된 물은 제빙 트레이(1310, 1410)를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냉장고(1)의 제1 제빙 유닛(1300)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11는 도 10의 제1 제빙 자치의 제1 제빙 트레이(1310)가 움직인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제빙 유닛(1300)을 설명한다.
제1 제빙 유닛(1300)은 제1 타입의 얼음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타입의 얼음은 대략 큐브 형상을 갖는 얼음일 수 있다.
제1 제빙 유닛(1300)은 얼음이 생성되는 제1 제빙 트레이(13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빙 트레이(1310)는 급수관(210)로부터 물을 공급 받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제빙 트레이(1310)는 제1 제빙 유닛 지지부(1241)에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제빙 트레이(1310)는 급수관(210)로부터 공급 받은 물을 저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제빙셀(13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빙셀(1311)에 저수된 물은 저장실(20)의 냉기에 의해 얼음으로 상태 변화할 수 있다. 제1 제빙셀(1311)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마련될 경우, 복수의 제1 제빙셀(1311)은 격벽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제1 제빙 트레이(1310) 및 제1 제빙셀(1311)은 일측이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제빙 트레이(1310)에 물이 공급될 시, 또는 물이 얼려지고 있을 시에는 제1 제빙 트레이(1310) 및 제1 제빙셀(1311)의 개방된 일측은 대략 냉장고(1)의 상방을 향할 수 있다. 제1 제빙 트레이(1310)에서 생성된 얼음이 아이스 버킷(100)으로 이동될 시에는, 제1 제빙 트레이(1310) 및 제1 제빙셀(1311)의 개방된 일측은 대략 냉장고(1)의 하방을 향할 수 있다.
제1 제빙셀(1310)은 제1 제빙 공간(1300S)을 정의할 수 있다. 후술하는 제2 제빙셀은 제2 제빙 공간(1400S)를 정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빙 트레이(1310, 1410)는 제빙 공간(1300S, 1400S)를 정의할 수 있다. 제빙 공간(1300S, 1400S)은 물이 수용되는 공간일 수 있다. 제빙 공간(1300S, 1400S)에 물이 수용되고, 냉기 공급 장치가 작동하는 경우, 제빙 공간(1300S, 1400S)의 형상에 대응하여 얼음이 형성될 수 있다.
제빙 공간(1300S, 1400S)는 제1 제빙 공간(1300S) 및 제2 제빙 공간(1400S)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빙 유닛(1300)은 제1 제빙 트레이(1310)에서 생성된 얼음이 아이스 버킷(100)의 제1 수용부(110)로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제1 구동 장치(1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구동 장치(1320)는 제1 제빙 트레이(1310)가 냉장고(1)의 수평 방향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제1 제빙 트레이(1310) 내의 얼음이 제1 수용부(110)로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구동 장치(1320)는 제1 제빙 트레이(13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구동 장치(1320)는 제1 제빙 트레이(1310)의 회전축 방향으로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제빙 트레이(1310)는 제1 구동 장치(1320)를 향하는 일측에 제1 구동 결합부(1312)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구동 결합부(1312)는 제1 제빙 트레이(1310)의 회전축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구동 장치(1320)는 제1 구동 결합부(1312)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구동 장치(1320)는 모터(미도시), 동력 전달 부재(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 장치(1320)의 모터는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동력 전달 부재는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제1 제빙 트레이(1310)에 동력을 전달시킬 수 있다. 제1 구동 장치(1320)의 동력 전달 부재는 제1 구동 결합부(131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구동 장치(1320)의 동력 전달 부재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기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빙 트레이(1310)는 제1 제빙 유닛 지지부(1241)에 마련되는 회전축 지지부(1241a)에 연결될 수 있다. 회전축 지지부(1241a)는 제1 제빙 트레이(1310)의 회전축 상에 마련될 수 있다. 회전축 지지부(1241a)는 제1 제빙 트레이(1310)에 대해 제1 구동 결합부(1312)와 반대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축 지지부(1241a)는 제1 제빙 트레이(13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 제빙 트레이(1310)는 제1 구동 장치(1320)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을 수 있고, 냉장고(1)의 수평 방향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제빙 트레이(1310) 내에서 생성된 얼음은 제1 제빙 트레이(1310)의 회전에 따라 제1 제빙셀(1311)에서 배출될 수 있고, 아이스 버킷(100)의 제1 수용부(110)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제빙 유닛(1300)은 만빙 감지 레버(1330)를 포함할 수 있다. 만빙 감지 레버(1330)는 제빙 장치(1000)의 하부에 배치되는 아이스 버킷(100)의 제1 수용부(110)에 얼음이 가득 찼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만빙 감지 레버(1330)는 제1 구동 장치(132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만빙 감지 레버(1330)는 제1 구동 장치(1320)의 측부에 결합될 수 있다. 만빙 감지 레버(1330)는 제1 구동 장치(13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만빙 감지 레버(1330)에 의해 제1 수용부(110)에 얼음이 가득 찬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미도시)는 제빙 장치(1000)로 더 이상 급수가 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를 통해, 필요 이상의 얼음이 아이스 버킷(100)에 수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제빙유닛(1300)은 센서 모듈(1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1340)은 센서, 센서가 수용되는 케이스, 단열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1340)은 제1 제빙 트레이(1310)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다. 센서 모듈(1340)의 센서는 제1 제빙 트레이(1310)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온도센서일 수 있다.
센서 모듈(1340)에 의해 제1 제빙 트레이(1310)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하인 것이 감지되면 제어부(미도시)는 제1 제빙 트레이(1310)에 얼음 형성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 제빙 트레이(1310)에 얼음 형성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 것에 기초하여, 제어부(미도시)는 제1 제빙 트레이(1310)가 회전하도록 제1 구동 장치(132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제빙 트레이(1310)에 생성된 얼음이 제1 제빙 트레이(13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아이스 버킷(100)의 제1 수용부(110)에 수집될 수 있다.
제1 제빙 트레이(1310)의 제1 제빙셀(1311)은 물 또는 얼음을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 제빙 공간(1300S)을 정의할 수 있다.
제1 제빙 트레이(1310)는 제1 구동 결합부(1312)를 통과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제빙 트레이(1310)는 급수 장치(200)에서 배출된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제1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제빙 트레이(1310)는 급수 장치(200)에서 배출된 물이 언 얼음을 배출할 수 있는 제2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상태의 제1 제빙 트레이(1310)는 제2 상태의 제1 제빙 트레이(1310)보다 90도 회전된 상태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제2 상태의 제1 제빙 트레이(1310)는 제1 상태의 제1 제1 제빙 트레이(1310)와 소정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나아가, 제2 상태의 제1 제빙 트레이(1310)는 제1 상태의 제1 제빙 트레이(1310)에 대하여 비틀려 위치될 수 있다. 제1 제빙 트레이(1310)의 제1 구동 결합부(1312)와 가까운 단부가 제1 상태의 제1 제빙 트레이(1310)에서 제2 상태의 제1 제빙 트레이(1310)로 변경되는 경우 회전되는 각도와 제1 제빙 트레이(1310)의 제1 구동 결합부(1312)와 먼 단부가 제1 상태의 제1 제빙 트레이(1310)에서 제2 상태의 제1 제빙 트레이(1310)로 변경되는 경우 회전되는 각도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관련된 도면에서 후술하겠지만, 제2 상태의 제1 제빙 트레이(1310)는 얼음이 아이스 버킷(100)으로 이동 용이하도록 위치되는 상태이기 때문에 급수 장치(200)(도 9)에서 물이 배출되더라도, 제1 제빙 트레이(1310)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거나, 제1 제빙 트레이(1310) 내측에서 쉽게 흘러 나갈 수 있다.
도 12은 도 9에 도시된 냉장고(1)의 제2 제빙 유닛(1400)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13는 도 12에 도시된 제2 제빙 유닛(1400)이 얼음을 형성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제빙 유닛(1400)을 설명한다.
제2 제빙 유닛(1400)은 대략 구 형상을 갖는 제2 타입의 얼음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제빙 유닛(1400)은 얼음이 생성되는 제2 제빙 트레이(14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빙 트레이(1410)는 급수관(80, 도 2 참조)로부터 공급 받은 물을 저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제빙셀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빙셀에 저수된 물은 저장실(20)의 냉기에 의해 얼음으로 상태 변화할 수 있다. 제2 제빙셀은 제2 제빙 트레이(141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제빙셀은 탄성 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제빙셀은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제빙셀(1410)은 제2 제빙 공간(1400S)을 정의할 수 있다. 제2 제빙 공간(1400S)은 물이 수용되어, 얼음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제빙 유닛(1400)은 제2 제빙 트레이(1410)의 외측을 커버하는 커버 프레임(145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450)은 제2 제빙 유닛 지지부(1242)에 지지될 수 있다. 제2 제빙 트레이(1410)는 커버 프레임(1450)에 지지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450)은 급수관(210)로부터 물을 공급받기 위한 집수부(1452)를 포함할 수 있다. 집수부(1452)는 급수관(210)로부터 공급된 물을 수집하여 제2 제빙 트레이(1410)로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제빙 트레이(1410)는 복수개의 제2 타입의 얼음을 동시에 생성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제빙 트레이(1410)의 내부에는 복수의 제2 제빙셀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집수부(1452)는 복수의 제2 제빙셀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복수로 마련되어, 복수의 제2 제빙셀 각각에 집수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예로, 집수부(1452)는 복수의 제2 제빙셀 중 어느 일부에만 집수된 물을 공급할 수 있고, 복수의 제2 제빙셀은 집수된 물이 제2 제빙셀 전체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내부가 서로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제빙 트레이(1410)는 고정 트레이(1411) 및 이동 트레이(141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트레이(1411) 및 이동 트레이(1412)는 커버 프레임(1450)에 지지될 수 있다.
고정 트레이(1411)는 커버 프레임(1450)에 대해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이동 트레이(1412)는 커버 프레임(145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트레이(1412)는 고정 트레이(1411)와 제2 이젝터(1440)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고정 트레이(1411)의 내부에는 제2 제빙셀의 대략 절반에 해당하는 일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동 트레이(1412)의 내부에는 제2 제빙셀의 대략 나머지 절반에 해당하는 나머지 일부가 마련될 수 있다. 고정 트레이(1411) 내부의 제2 제빙셀의 일부 및 이동 트레이(1412) 내부의 제2 제빙셀의 다른 일부는 각각 대략 반구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제빙 유닛(1400)은 이동 트레이(1412)가 커버 프레임(1450)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2 구동 장치(1420)와, 제2 제빙 트레이(1410)에서 생성된 얼음을 제2 제빙 트레이(1410)로부터 배출시키기 위한 이젝터(1430, 1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동 장치(1420)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미도시)와, 모터를 수용하는 모터 케이스(1421)와, 모터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전달시키는 동력 전달 부재(142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구동 장치(1420)의 모터는 냉장고(1)의 수평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모터 케이스(1421)는 커버 프레임(1450)에 결합될 수 있다. 모터 케이스(1421)는 커버 프레임(1450)에 마련되는 제2 구동 결합부(1451)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구동 결합부(1451)에는 커버 프레임(1450)을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구동 결합부(1451)의 홀은 제2 구동 장치(1420)의 모터와 연결되는 회전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동력 전달 부재(1422)는 제2 구동 장치(1420)의 모터와 연결되어, 모터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 받을 수 있다. 동력 전달 부재(1422)는 모터로부터 전달 받은 동력을 이동 트레이(1412)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동력 전달 부재(1422)는 적어도 하나의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 전달 부재(1422)는 제2 구동 장치(1420)의 모터에 의한 회전 운동을 선형 운동으로 변환하여 이동 트레이(1412)에 전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동력 전달 부재(1422)는 피니언 기어 및 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 전달 부재(1422)의 피니언 기어는 제2 구동 장치(1420)의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될 수 있다. 동력 전달 부재(1422)의 피니언 기어는 랙 기어와 치합될 수 있고, 피니언 기어의 회전 운동은 랙 기어의 선형 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
동력 전달 부재(1422)의 랙 기어는 이동 트레이(141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동 트레이(1412)는 랙 기어의 선형 운동에 의해, 커버 프레임(1450)에 대한 선형 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동력 전달 부재(1422)는 탄성부재(14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423)는 동력 전달 부재(1422)의 랙 기어를 이동 트레이(1412)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일 예로 탄성부재(1423)는 탄성 스프링일 수 있다.
제2 제빙 유닛(1400)의 이젝터(1430, 1440)는 제1 이젝터(1430) 및 제2 이젝터(1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젝터(1430)는 고정 트레이(1411)와 인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이젝터(1440)는 이동 트레이(1412)와 인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제빙 트레이(1410)는 제1 이젝터(1430) 및 제2 이젝터(144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이젝터(1430)는 커버 프레임(145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이젝터(1430)는 이동 트레이(1412)의 이동에 기반하여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이젝터(1430)는 제1 바디(1431)와, 제1 가압부(1432) 및 레그부(14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1431)는 이동 트레이(1412)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바디(1431)는 제1 이젝터(1430)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가압부(1432)는 제1 바디(1431)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바디(1431)는 제1 가압부(1432)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가압부(1432)는 고정 트레이(1411)를 관통하여 고정 트레이(1411) 내부의 제2 제빙셀을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레그부(1433)는 제1 바디(1431)의 양 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커버 프레임(1450)의 측부에 삽입될 수 있다. 레그부(1433)는 제1 이젝터(1430)의 이동 방향에 대해 나란한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레그부(1433)는 대칭되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동 트레이(1412)가 고정 트레이(14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1 이젝터(1430)는 이동 트레이(1412)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제1 이젝터(1430)와 이동 트레이(1412) 사이에 고정 트레이(1411)가 배치되므로 제1 이젝터(1430)는 고정 트레이(1411)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동 트레이(1412)가 고정 트레이(1411)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1 이젝터(1430) 역시 이동 트레이(1412)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제1 이젝터(1430)와 이동 트레이(1412) 사이에 고정 트레이(1411)가 배치되므로 제1 이젝터(1430)는 고정 트레이(141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 트레이(1412)는 제1 이젝터(1430)의 레그부(1433)와 간섭되도록 마련되는 간섭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동 트레이(1412)의 이동에 따라 이동 트레이(1412)의 간섭부와 레그부(1433)가 서로 간섭되어, 제1 이적터(1430) 또한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제1 이젝터(1430)는 고정 트레이(1411)를 향하여 이동될 시, 제1 이젝터(1430)의 제1가압부(1432)는 고정 트레이(1411)를 관통하여 고정 트레이(1411) 내부의 제2 제빙셀을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이젝터(1440)는 커버 프레임(1450)의 일 측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이젝터(1440)는 제2 바디(1441), 제2 가압부(1442) 및 프레임결합부(14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1441)는 이동 트레이(1412)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가압부(1442)는 제2 바디(1441)로부터 이동 트레이(1412)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프레임결합부(1443)는 제2 바디(1441)의 양 단부에 형성되어 커버 프레임(1450)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이젝터(1440)는 커버 프레임(1450)에 대해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며, 이동 트레이(1412)가 제2 이젝터(1440)를 향해 이동될 시 이동 트레이(1412)를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이젝터(1440)는 이동 트레이(1412)가 제2 이젝터(1440)를 향해 이동될 시 이동 트레이(1412) 내부의 제2 제빙셀을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제빙 트레이(1410)가 급수관(210)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이용하여 얼음을 생성할 시, 고정 트레이(1411) 및 이동 트레이(1412)는 서로 결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고정 트레이(1411) 및 이동 트레이(1412)가 결합된 위치에서, 고정 트레이(1411) 내부의 제2 제빙셀의 일부와 이동 트레이(1412) 내부의 제2 제빙셀의 다른 일부가 결합하여 일체의 제2 제빙셀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제빙셀의 내부에서 제2 타입의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
제2 타입의 얼음의 생성이 완료된 후, 제어부(2000)(도 16)는 이동 트레이(1412)가 제2 이젝터(1440)를 향하여 이동되도록 제2 구동 장치(142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구동 장치(1420)의 모터에서 동력이 발생되면, 발생된 동력은 동력 전달 부재(1422)를 통해 이동 트레이(1412)로 전달될 수 있다. 이동 트레이(1412)는 고정 트레이(1411)로부터 분리되어, 제2 이젝터(1440)를 향하여 선형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 이젝터(1440)의 제2 가압부(1442)는 이동 트레이(1412)가 접근하면, 이동 트레이(1412)를 관통하여 이동 트레이(1412) 내부의 제2 제빙셀의 일부를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동 트레이(1412) 내부의 제2 제빙셀의 일부는 제2 가압부(1442)에 의해 가압될 시 탄성 변형될 수 있고, 그 내부에 위치하는 제2 타입의 얼음은 이동 트레이(1412)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이동 트레이(1412)로부터 배출된 제2 타입의 얼음은 아이스 버킷(100)의 제2 수용부(120)로 이동될 수 있다.
이동 트레이(1412) 내부의 제2 제빙셀의 일부가 제2 가압부(1442)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이동 트레이(1412)가 동 방향으로 더 이동하면, 이동 트레이(1412)의 간섭부(미도시)와 레그부(1433)가 간섭됨에 따라 제1 이젝터(1430)가 고정 트레이(1411)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이젝터(1430)의 제1 가압부(1432)는 고정 트레이(1411)를 관통하여 고정 트레이(1411) 내부의 제2 제빙셀의 다른 일부를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고정 트레이(1411) 내부의 제2 제빙셀의 다른 일부는 제2 가압부(1432)에 의해 가압될 시 탄성 변형될 수 있고, 그 내부에 위치하는 제2 타입의 얼음은 고정 트레이(1411)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고정 트레이(1411)로부터 배출된 제2 타입의 얼음은 아이스 버킷(100)의 제2 수용부(120)로 이동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2 제빙 트레이(1410) 내에서 생성된 얼음은 제2 제빙 트레이(1410)에서 배출될 수 있고, 아이스 버킷(100)의 제2 수용부(120)로 이동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 장치의 일 실시예로 저장실(20)에서 생성된 냉기를 제빙 장치(1000) 측으로 안내하여 제1, 2 제빙 트레이(1310, 1410)에 공급된 물을 냉각시키는 간냉식 제빙 장치에 관한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다만 본 개시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일 예로 본 개시의 사상은 제1, 2 제빙 트레이(1310, 1410)에 별도의 냉매관(미도시)을 배치하여 직접 냉기를 제공하여 제1, 2 제빙 트레이(1310, 1410)에 공급된 물을 냉각시키는 직냉식 제빙 장치의 구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4는 도 2에 도시된 제빙 장치(1000)와 그에 관한 구성을 자른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고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 장치(1000)의 위치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빙 유닛(1300, 1400)은 제빙 케이스(1200)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빙 케이스(1200)는 제빙 케이스(1200)의 상측에 위치되는 제빙 커버(1100)에 의하여 제빙 케이스(1200)의 상부가 커버될 수 있다.
급수관(210)은 제빙 커버(1100)와 제빙 케이스(120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급수관(210)은 제빙 커버(1100)에 정의되는 급수관(210)통부(1250)를 통하여 제빙 유닛(1300, 1400) 내측에 물을 배출하도록 물을 가이드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급수관(210)은 제빙 트레이(1310, 1410) 내측에 위치되는 제빙 공간(1300S, 1400S)으로 물을 가이드할 수 있다.
냉장고(1)(도 2)의 냉기 공급 장치(도 2)가 구동되면 저장실(20)에 냉기가 제공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1310, 1410) 내측에 저장된 물은 냉기에 의하여 얼음이 될 수 있다.
얼음은 제빙 트레이(1310, 1410)가 제2 상태로 움직이는 경우, 제빙 유닛(1300, 1400)의 하측에 위치되는 아이스 버킷(100)의 내측을 향하여 낙하할 수 있다. 아이스 버킷(100)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얼음이 수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아이스 버킷(100)을 본체(10)에서 분리하여, 얼음을 취득할 수 있다.
다만,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필터(2-100)(도 3)를 교체하는 경우, 필터(2-100)에서 생긴 이물질이 포함된 얼음이 형성될 수 있다. 이물질은 예를 들어 탄소 가루 일 수 있다.
필터(2-100)는 카본 필터(2-100)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필터(2-100)를 교체하는 경우, 탄소 가루가 필터(2-100) 내에서 떨어질 수 있다. 물이 필터(2-100)를 통과하는 동안, 필터(2-100) 내에 위치되는 탄소 가루는 물에 섞여서 제빙 유닛(1300, 1400)을 향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빙 트레이(1310, 1410) 내측에 위치되는 물은 탄소 가루가 섞인 물일 수 있다. 사용자는 물로만 이루어진 얼음을 원할 수 있다. 따라서, 탄소 가루가 제거된 얼음을 만들기 위하여 탄소 가루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필터(2-100)의 탄소 가루는 소정의 물을 배출시킴으로써 필터(2-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필터(2-100)의 탄소 가루는 필터(2-100)를 교체한 초기에만 형성되므로, 탄소 가루가 배출될 때까지만 물을 흘려주면 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예로 든 것과 같이, 디스펜서(미도시)를 포함하지 않는 냉장고(1)의 경우, 탄소 가루가 섞인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유로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급수관(210)을 통해 배출되는 탄소 가루가 섞인 물은 제빙 트레이(1310, 1410)에 수용되고, 얼음이 된 후 아이스 버킷(100)에 수용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과정은 얼음이 어는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이하의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는 것과 같이, 얼음을 얼리지 않고, 물을 곧바로 배출하여 이물질을 배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5은 도 14에 도시된 급수 장치(200)에서 제빙 장치(1000)를 향하여 물이 급수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 장치(200)를 통하여 배출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배출하는 것을 설명한다.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냉장고(1)(도 1)는 필터(2-100) 장치(도 1)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2-100) 장치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이 냉장고(1) 내로 유입될 수 있다.
필터(2-100) 장치는 급수 장치(200)와 연통될 수 있으므로, 필터(2-100) 장치에서 발생한 이물질은 급수 장치(200) 내로 이동할 수 있다. 필터(2-100) 장치에서 발생한 이물질은 급수관(210)을 통하여 이동할 수 있다. 급수관(210)이 급수 밸브(220)에 의하여 개방되는 경우, 필터(2-100) 장치에서 발생한 이물질은 급수관(210)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급수관(210)에서 필터(2-100) 장치에서 배출된 이물질이 물과 함께 배출되는 경우, 이물질은 제빙 트레이(1310, 1410)에 수용될 가능성이 있다.
이 때, 제빙 트레이(1310, 1410)는 제2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앞서 본 바와 같이, 제빙 트레이(1310, 1410)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제1 상태와 얼음을 배출할 수 있는 제2 상태의 사이에서 변경될 수 있다.
제1 제빙 트레이(1310)가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제1 제빙 트레이(1310)는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 제빙 트레이(1310)의 제빙 공간(1300S, 1400S)은 상측이 아닌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할 수 있다. 또는, 제1 제빙 트레이(1310)의 제빙 공간(1300S, 1400S)은 하측을 향할 수 있다.
제1 제빙 트레이(1310)가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제1 급수관(210a)은 제빙 트레이(1310, 141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급수관(210a)은 제1 제빙 트레이(1310)의 제빙 공간(1300S, 1400S)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제빙 트레이(1310)가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제1 급수관(210a)은 제1 제빙 트레이(1310)의 측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1 급수관(210a)에서 배출된 물은 제1 제빙 트레이(1310)의 측방을 따라 아이스 버킷(100)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제1 급수관(210a)에서 배출된 물은 제1 제빙 트레이(1310)의 제빙 공간(1300S, 1400S)으로 수용되는 것이 방지된 채로 아이스 버킷(100)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1 급수관(210a)에서 배출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은 제1 제빙 트레이(1310)의 제빙 공간(1300S, 1400S)으로 수용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제빙 트레이(1310)가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제1 제빙 트레이(1310)는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 제빙 트레이(1310)의 제빙 공간(1300S, 1400S)은 상측이 아닌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할 수 있다. 또는, 제1 제빙 트레이(1310)의 제빙 공간(1300S, 1400S)은 하측을 향할 수 있다.
제1 제빙 트레이(1310)가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제1 급수관(210a)은 제빙 트레이(1310, 141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급수관(210a)은 제1 제빙 트레이(1310)의 제빙 공간(1300S, 1400S)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제빙 트레이(1310)가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제1 급수관(210a)은 제1 제빙 트레이(1310)의 측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1 급수관(210a)에서 배출된 물은 제1 제빙 트레이(1310)의 측방을 따라 아이스 버킷(100)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제1 급수관(210a)에서 배출된 물은 제1 제빙 트레이(1310)의 제빙 공간(1300S, 1400S)으로 수용되는 것이 방지된 채로 아이스 버킷(100)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1 급수관(210a)에서 배출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은 제1 제빙 트레이(1310)의 제빙 공간(1300S, 1400S)으로 수용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제빙 트레이(1410)가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제2 제빙 트레이(1410)는 고정 트레이(1411)와 이동 트레이(1412)가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2 제빙 트레이(1410)의 제빙 공간(1300S, 1400S)은 물을 수용하도록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제빙 트레이(1410)가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제2 급수관(210b)은 제빙 트레이(1310, 141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급수관(210b)은 제2 제빙 트레이(1410)의 제빙 공간(1300S, 1400S)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제빙 트레이(1410)가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제2 급수관(210b)은 고정 트레이(1411)와 이동 트레이(1412)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급수관(210b)은 고정 트레이(1411)와 이동 트레이(1412)의 사이 공간으로부터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2 급수관(210b)에서 배출된 물은 곧바로 아이스 버킷(100)으로 향할 수 있다. 제2 급수관(210b)에서 배출된 물은 고정 트레이(1411)와 이동 트레이(1412) 사이 공간을 통과하여 아이스 버킷(100)을 향할 수 있다. 제2 급수관(210b)에서 배출된 물은 제2 제빙 트레이(1410)의 제빙 공간(1300S, 1400S)으로 수용되는 것이 방지된 채로 아이스 버킷(100)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2 급수관(210b)에서 배출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은 제2 제빙 트레이(1410)의 제빙 공간(1300S, 1400S)으로 수용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6은 도 2에 도시된 제빙 장치(1000) 및 급수 장치(200)를 제어하는 제어부(2000)에 관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16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00) 및 그에 관련된 구성을 설명한다.
냉장고(1)는 제어부(20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빙 장치(1000)는 제어부(20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00)는 냉장고(1)의 동작에 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21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0)는 제빙 장치(1000)의 동작에 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0)는 제빙 장치(1000)의 제빙 트레이(1310, 1410)의 동작에 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빙 장치(1000)는 제빙 트레이(1310, 1410)를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움직이게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2000)는 제1 제빙 트레이(1310)를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움직이게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2000)는 제2 제빙 트레이(1410)를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움직이게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2000)는 제1 제빙 트레이(1310)에 연결된 제1 구동 장치(1320)의 동작에 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2000)는 제2 제빙 트레이(1410)에 연결된 제2 구동 장치(1420)의 동작에 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0)는 급수 밸브(220)의 동작에 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급수 밸브(220)는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급수관(210)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100)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에 의하여 급수 밸브(220)는 급수관(210)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0)와 메모리(2200)는 별도의 반도체 소자로 구현되거나, 단일의 반도체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0)는 복수의 프로세서(2100)들 또는 복수의 메모리(220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00)는 냉장고(1)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000)는 컨트롤 패널 내부에 마련되는 인쇄 회로 기판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면 제어부(2000)는 제빙 장치(1000) 내부에 마련되는 인쇄 회로 기판에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0)는 연산 회로, 기억 회로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0)는 하나의 칩을 포함하거나 또는 복수의 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0)는 하나의 코어를 포함하거나 또는 복수의 코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200)는 제빙 장치(1000) 및 급수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제빙 장치(1000) 및 급수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200)는 S-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2200)와, 롬(Read Only Memory: ROM),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220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200)는 하나의 메모리(2200) 소자를 포함하거나 또는 복수의 메모리(2200)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0)는 메모리(2200)로부터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고,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냉장고(1)의 각 구성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2100)는 메모리(2200)로부터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고,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제빙 장치(1000) 및 급수 장치(20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냉장고(1)의 각 구성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로부터 획득되는 정보(예: 사용자의 급수 동작 여부, 예비 출수 여부 등) 및/또는 제빙 장치(1000) 및 급수 장치(200)에 포함된 구성의 동작 정보(예: 구동 장치(1320, 1420)의 동작 정보, 급수 밸브(220)의 급수관(210) 개폐 여부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제빙 장치(1000) 및 급수 장치(200)는 제어부(20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냉장고(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로부터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받을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는 사용자가 입력을 할 수 있는 입력부(320)(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320)를 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에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이와 대응되는 입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가 출력한 신호는 프로세서(2100)에 전달될 수 있다.
냉장고(1)는 플로우 센서(41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0)는 플로우 센서(410)로부터 급수관(210)에 흐르는 물에 관한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받을 수 있다. 플로우 센서(410)는 급수관(210)(도 15)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플로우 센서(410)는 급수관(210) 내에 흐르는 시간 당 흘러가는 물의 양 또는 물의 속도에 관한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냉장고(1)는 장착 센서(4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0)는 장착 센서(420)로부터 아이스 버킷(100)이 본체(10)에 장착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받을 수 있다. 장착 센서(420)는 본체(10)(도 2)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착 센서(420)는 압력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1)는 무게 센서(4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0)는 무게 센서(430)로부터 아이스 버킷(100) 및 아이스 버킷(100)에 수용된 것의 무게에 관한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받을 수 있다. 무게 센서(430)는 본체(10) 내측에 장착될 수 있다.
냉장고(1)는 통신 모듈(50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500)은 외부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는 서버 및/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또는 가전기기와 통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 모듈(500)은 외부 전자 장치(예: 서버, 사용자 단말 장치 및/또는 가전기기)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500)은 무선 통신 모듈(500)(예: 셀룰러 통신 모듈(500),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500),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500)) 또는 유선 통신 모듈(500)(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500),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5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500)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500)은 제 1 네트워크(예: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500)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모듈(500)은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댁 내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와 통신을 수립한 것에 기초하여 외부 서버 및/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또는 가전기기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모듈(500)은 댁 내의 가전기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댁 내의 가전기기로부터 외기 온도 정보 및 외기 습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500)은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립하여, 사용자 입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구동 장치(1320)는 프로세서(2100)가 생성하는 제어 신호에 의하여 제어 될 수 있다.
제2 구동 장치(1420)는 프로세서(2100)가 생성하는 제어 신호에 의하여 제어 될 수 있다.
구동 장치(1320, 1420)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 장치(1320)는 제1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터는 고정자(미도시)와 제1 제빙 트레이(1310)에 결합된 회전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는 회전 속도의 제어가 용이한 무정류자 직류 모터(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 BLDC Motor) 또는 영구자석 동기 모터(Permament Synchronous Motor: PMSM)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장치(1320, 1420)는 드라이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드라이브는 프로세서(2100)에서 모터를 가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드라이브는 프로세서(210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모터의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전류를 모터에 공급할 수 있다. 모터는 제1 모터 및 제2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라이브는 모터의 속도 명령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모터의 회전 속도가 속도 명령을 추종하도록 모터에 구동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드라이브는 모터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 값과 모터의 회전 속도를 프로세서(21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가 무정류자 직류 모터인 경우, 드라이브는 모터에 펄스 폭 변조된 직류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모터가 영구자석 동기 모터인 경우, 드라이브는 벡터 제어를 이용하여 모터에 교류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냉장고(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는 표시부(310)(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310)는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310)는 프로세서(2100)에 의하여 생성된 제어 신호에 의하여 급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310)는 급수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310)는 급수 시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310)는 사용자에게 사용자 입력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는 입력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320)는 사용자가 입력을 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부(320)를 통하여 입력을 수행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는 이에 대응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제어부(2000)가 제빙 장치(1000) 및 급수 장치(200)를 제어하는 것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8는 도 16에 도시된 제어부(2000)가 제빙 장치(1000) 및 급수 장치(200)를 제어하는 것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9은 도 16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0은 도 16에 도시된 제어부(2000)가 제빙 장치(1000) 및 급수 장치(200)를 제어하는 것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7 내지 도 20를 참고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00)가 제빙 장치(1000) 및 급수 장치(200)를 제어하는 것을 설명한다.
필터(2-100) 장치의 필터(2-100)를 교체한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한다(S1).
필터(2-100)를 교체하는 경우, 필터(2-100)에서 탄소로 이루어진 미세 입장 형태의 이물질이 발생할 수 있다.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물을 통해 이물질을 배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추가적으로, 도 19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하는 각 단계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설명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의 D1 부분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에 도 19의 각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의 D2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은 사용자가 입력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 부분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의 D2 부분은 터치에 의하여 작동할 수도 있고, 버튼을 누르는 방식에 의하여 작동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안내 문구와 선택 창에 관한 정보는 메모리(2200)에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필터(2-100)를 교체한 후, 필터(2-100) 초기화 키를 누를 수 있다(S2).
필터(2-100) 초기화 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에 포함될 수 있다.
필터(2-100) 초기화 키가 눌려진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는 프로세서(2100)에 전달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에서 발생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필터(2-100) 사용량을 처음부터 측정하도록 메모리(2200)에 필터(2-100)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필터(2-100) 초기화 키가 눌려진 경우, 메모리(2200)에 저장된 필터(2-100) 사용량에 관한 정보는 초기화 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0)는 필터(2-100) 초기화 키를 누른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가 발생시킨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에 필터(2-100) 필터(2-100) 청소 기능 실행 요청에 관한 알람을 표시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S3).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에 표시된 알람을 확인하여, 필터(2-100) 청소 기능을 실행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의 D1 부분에 "필터(2-100) 청소 기능 실행"이라는 안내 문구와 함께, "지금하기"와 "SKIP"라는 선택 창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의 D2 부분에 있는 키를 조작하여, 두 가지 선택 창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S4).
사용자에 따라서는 이물질이 포함된 물을 출수하기를 원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물질이 포함된 물을 출수하여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하여, 상당한 시간 동안 물을 출수하여야 제빙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깨끗한 얼음 여부와 관계없이 얼음이 당장 필요한 경우에, 사용자는 곧 바로 제빙 장치(1000)를 구동하고 싶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의 "SKIP"을 선택하여, 불순물 제거 기능을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에 표시된 필터(2-100) 청소 기능 실행에 관한 명령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 이에 관한 표시를 없앨 수 있다. 이는 위에서 살펴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의 "SKIP" 을 선택한 경우와 같다.
사용자는 필터(2-100) 청소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의 "지금하기"를 선택하여, 필터(2-100) 청소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필터(2-100) 청소 기능을 선택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는 이에 대응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에서 발생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프로세서(2100)는 제빙 장치(1000)를 제어할 수 있다(S5).
프로세서(2100)는 필터(2-100) 청소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빙 트레이(1310, 1410)를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2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에서 발생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 장치(1320, 1420)를 제어할 수 있다. 구동 장치(1320, 1420)는 제빙 트레이(1310, 1410)를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움직일 수 있다.
제1 제빙 트레이(1310)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움직이는 동안, 제1 제빙 트레이(1310)의 제빙 공간(1300S, 1400S)이 상측이 아닌 좌측, 우측 또는 하측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제1 제빙 트레이(1310)는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제1 제빙 트레이(1310)가 제2 상태인 경우, 급수 장치(200)에서 배출되는 물은 제1 제빙 트레이(1310)의 외면과 마찰을 일으킨 후 아이스 버킷(100)을 향하여 이동되거나, 제1 제빙 트레이(1310)와 접촉하지 않은 채 아이스 버킷(100)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제1 제빙 트레이(1310)는 직접 출수 가능한 형태로 동작될 수 있다. 여기서 직접 출수는 급수 장치(200)를 통하여 배출되는 물이 아이스 버킷(100)을 향하여 이동되는 동안, 제빙 트레이(1310, 1410)가 물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형태로 출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제빙 트레이(1410)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움직이는 동안, 제빙 공간(1300S, 1400S)이 급수 장치(200)를 향하여만 개방되었다가 아이스 버킷(100)을 향하여도 개방되도록 변경 될 수 있다. 제2 제빙 트레이(1410)의 이동 트레이(1412)가 고정 트레이(14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이동 트레이(1412)와 고정 트레이(1411)에 의하여 둘러싸여 형성되는 제빙 공간(1300S, 1400S)은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제2 제빙 트레이(1410)가 제2 상태인 경우, 급수 장치(200)에서 배출되는 물은 이동 트레이(1412)와 고정 트레이(1411)의 사이로 이동되어 아이스 버킷(100)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제2 제빙 트레이(1410)는 직접 출수 가능한 형태로 동작될 수 있다. 여기서 직접 출수는 급수 장치(200)를 통하여 배출되는 물이 아이스 버킷(100)을 향하여 이동되는 동안, 제빙 트레이(1310, 1410)가 물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형태로 출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제1 제빙 트레이(1310)는 제1 상태인 채로 이하의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제1 제빙 트레이(1310)가 제1 상태인 채로 급수가 진행되는 경우, 급수된 물은 제빙 공간(1300S, 1400S)에 담긴 후 제1 제빙 트레이(1310)에서 넘쳐 아이스 버킷(100)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또는, 제1 제빙 트레이(1310)와 제2 제빙 트레이(1410)가 제1 상태와 제2 상태를 반복적으로 이동하는 동안, 이하의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급수 장치(200)에서 배출된 물은 제빙 공간(1300S, 1400S)에 수용되었다가, 제1 제빙 트레이(1310)와 제2 제빙 트레이(1410)가 제2 상태가 되는 경우 아이스 버킷(100)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급수 장치(200)에서 배출된 물은 아이스 버킷(100)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0)는 제빙 트레이(1310, 1410)를 움직인 후 예비 출수를 진행할 수 있다. 예비 출수는 본 출수 진행 전에 출수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출수 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0)는 예비 출수를 진행하기 전, 예비 출수를 진행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에 표시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비 출수를 진행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는 "예비 출수를 시작합니다"라는 안내 문구와 함께, "진행" 및 "SKIP"이라는 선택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D2 부분을 조작하여, 선택 창에 안내된 기능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S6).
선택 창의 "진행"을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는 이에 관한 입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비 출수 진행을 위한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선택 창의 "SKIP"을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는 이에 관한 입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출수의 진행을 위한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 창의 "진행"을 선택하는 경우, 프로세서(2100)는 예비 출수를 진행하도록 급수관(210)을 개방하게 급수 밸브(22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0)는 미리 설정된 출수량만큼 물이 출수되도록 급수 밸브(220)를 제어할 수 있다(S7).
미리 설정된 출수량은 아이스 버킷(100)이 본체(10)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 아이스 버킷(100)이 장착되어야 할 본체(10)의 부분에 물이 낙하하여, 사용자가 아이스 버킷(100)이 장착되지 않았다는 점을 알 수 있을 정도의 출수량을 의미할 수 있다.
예비 출수는 다음의 두 가지 목적을 위하여 진행될 수 있다. 하나는 급수관(210)에서 물이 막히지 않고 나오는지 확인하는 목적이다. 급수관(210)이 막힌 경우, 급수가 진행되지 않을 것이므로, 물이 나오지 않는 것을 확인하여, 냉장고(1)에 생긴 문제를 알 수 있다. 다른 하나는 아이스 버킷(100)이 본체(10)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목적이다. 아이스 버킷(100)이 본체(10)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 본체(10) 내측으로 직접 출수 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10)에 묻은 물을 닦아주어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와 같은 상황을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물이 아이스 버킷(100)에 모인 경우, 아이스 버킷(100)을 본체(10)에서 분리하여, 물을 버릴 수 있다.
냉장고(1)는 장착 센서(42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 센서(420)는 아이스 버킷(100)이 본체(10)에 장착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0)는 장착 센서(420)가 아이스 버킷(100)이 본체(10)에 장착된 것에 대응됨에 따라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예비 출수를 진행하는 과정을 생략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비 출수는 아이스 버킷(100)이 본체(10)에 장착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이므로, 이미 아이스 버킷(100)이 본체(10)에 장착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면, 예비 출수를 진행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아이스 버킷(100)이 본체(10)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 장착 센서(420)는 이에 관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100)는 이하의 과정인 아이스 버킷(100)을 본체(10)에 장착하라는 알림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에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아이스 버킷(100)이 본체(10)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도, 출수를 진행할 수 있다. 아이스 버킷(100)이 없는 경우에도, 출수되는 물을 받을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프로세서(2100)는 본 출수를 진행하기 위하여 본 출수 진행에 관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표시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에 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S8).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는 "아이스 버킷(100)이 준비되었으면 출수 하세요"라는 안내 문구와 함께, "진행" 및 "이전"이라는 선택 창을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 "아이스 버킷(100)이 준비되었으면 이어서 출수하세요"라는 안내 문구와 함께, "진행" 및 "이전"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 창을 표시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에 표시된 "이전"을 눌러 예비 출수를 선택하는 단계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이전"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가 발생시키는 신호에 기초하여, 프로세서(2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가 예비 출수를 선택하도록 표시되는 화면을 출력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에 표시된 "진행"을 눌러 본 출수를 위한 단계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진행"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가 발생시키는 신호에 기초하여, 프로세서(2100)는 급수 밸브(220)가 급수관(210)을 개방하도록 급수 밸브(220)를 제어할 수 있다. 급수 밸브(220)가 급수관(210)을 개방하는 경우, 급수관(210)을 통하여 물이 배출될 수 있다(S9).
참고적으로, 물은 다른 급수원에서 공급되어 급수관(210)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급수원은 수압을 상승시키도록 하는 별도의 장치를 통하여, 상승된 수압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급수 밸브(220)가 개방되면, 급수관(210)은 외부와 연통되어 있으므로, 대기압을 가지는 외부에 비하여 더 강한 압력을 가지는 물이 급수관(210)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는, 물이 급수원에서 높은 수압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급수 장치(200)가 펌프를 포함하여 물이 높은 압력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0)가 급수 밸브(220)를 개방하도록 급수 밸브(220)를 제어하면, 물은 급수관(210)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급수관(210)의 외측으로 배출된 물은 아이스 버킷(100)을 향하여 배출될 수 있다. 즉, 출수를 진행할 수 있다.
물이 급수관(210)을 통하여 급수관(210) 외부로 배출되는 동안, 급수관(210)에 설치된 플로우 센서(410)가 급수량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플로우 센서(410)는 원통형의 플로우 센서(410) 본체(10)(미도시), 플로우 센서(410) 본체(10) 내부에 삽입되는 회전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체는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흐름에 의하여 회전하며, 플로우 센서(410) 본체(10) 내부에 회전체를 고정시키는 홀더(미도시), 물의 흐름에 따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임펠러(미도시), 임펠러와 함께 회전하는 영구 자석(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플로우 센서(410) 본체(10)의 외측에는 회전체의 영구 자석이 생성하는 자기장을 검출하는 홀 센서(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영구 자석의 회전에 따라 회전체의 회전 주기와 동일한 주기로 홀 센서에 의하여 자기장이 검출되며, 자기장이 검출될 때마다 전기적 펄스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0)는 플로우 센서(410)가 출력하는 전기적 펄스의 총 개수를 기초로 물이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정수 공급 모듈에 공급된 양을 산출할 수 있으며, 단위 시간(예를 들어 1초) 당 전기적 펄스의 개수를 기초로 물이 정수 공급 모듈로 공급되는 유속을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0)는 플로우 센서(410)가 발생시키는 신호에 기초하여, 급수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는 현재까지의 급수량에 관한 정보 또는 정수를 위하여 남은 급수량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S10).
이 때, 필터(2-100)에서 발생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배출해야 하는 물의 양은 경험적이거나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터(2-100)에서 발생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배출해야 하는 물의 양은 20L가 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2100)는 플로우 센서(410)가 발생시키는 신호에 기초하여, 급수 시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0)는 출수 정지 조건이 발생하는 경우, 급수 밸브(220)가 급수관(210)을 폐쇄하도록 급수 밸브(220)를 제어할 수 있다(S11).
출수 정지 조건은 다음의 세 가지가 될 수 있다.
출수 정지 조건이 될 수 있는 첫 번째는 사용자가 출수 정지에 관한 버튼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를 통하여 입력하는 경우이다.
앞서 본 바와 같이, 프로세서(2100)는 출수가 진행되는 동안, 출수량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에 표시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는 이와 동시에 사용자가 더 이상 출수를 진행하기를 희망하지 않는 경우, 출수의 진행을 멈추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에 출수를 정지하는 입력부(320)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는 현재 출수량에 관한 정보인 "0.1L 출수 중"이라는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출수를 정지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정지" 선택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정지" 선택 창을 통하여 정지 입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에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는 이와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가 발생시킨 신호에 기초하여 급수 밸브(220)가 급수관(210)을 폐쇄하도록 급수 밸브(22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정지" 신호를 입력한 경우에도, 사용자가 급수 정지에 관한 신호를 잘못 입력할 수도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시 한번 확인하는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는 "필터(2-100) 청소 기능을 중지하시겠습니까"라는 안내 문구와 함께, "진행" 및 "취소"라는 선택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진행"이라는 선택 창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을 입력한 경우, 프로세서(2100)는 급수관(210)을 폐쇄하도록 급수 밸브(22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취소"라는 선택 창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을 입력한 경우, 프로세서(2100)는 급수의 진행을 유지하고, 출수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급수 정지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하는 경우, 출수는 중지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0)는 출수 중지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에서 발생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제빙 트레이(1310, 1410)의 위치가 제1 상태에 있도록 구동 장치(1320, 14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빙 트레이(1310, 1410)에 급수 시, 제빙 공간(1300S, 1400S)에 물이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S12).
프로세서(2100)는 출수 중지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에서 발생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아이스 버킷(100)을 비우라는 알림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에 표시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아이스 버킷(100)에 담겨진 물을 비워야 함을 알 수 있다(S13).
출수 정지 조건이 될 수 있는 두 번째는 출수량이 미리 정해진 양 이상이 되는 경우이다.
미리 정해진 출수량은 필터(2-100)에서 발생된 이물질을 배출하기에 충분한 양이 될 수 있다.
출수량이 미리 정해진 양 이상이 되는 경우, 더 이상 출수를 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프로세서(2100)는 출수량이 미리 정해진 양 이상이라는 신호에 기초하여, 급수관(210)을 폐쇄하도록 급수 밸브(22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0)는 출수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앞서 언급된 플로우 센서(410)에서의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0)는 출수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간 당 방출되는 유량에 출수 시간을 곱하여 출수량을 식별할 수 있다. 이 때, 시간당 방출되는 유량은 물이 가진 압력과 급수관(210)의 단면적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플로우 센서(41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출수량에 관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수압이 임펠러를 회전시킬 정도로 강하지 않은 경우에, 플로우 센서(410)는 출수량에 관한 정확한 신호를 발생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이 경우, 설계 당시 미리 정해진 물의 압력과 출수관의 단면적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출수 시간을 함께 고려하여 계산한다면, 출수량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구할 수 있다(S12a).
출수량이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인 경우, 앞서의 출수 정지 조건의 첫번째와 같은 과정을 통해 출수 중지가 될 수 있다(S12b).
출수 정지 조건이 될 수 있는 세 번째는 아이스 버킷(100)에 물이 가득 차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아이스 버킷(100)에 물이 가득찬 경우, 그 이상으로 급수가 된다면, 물이 아이스 버킷(100)에서 넘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흘러내린 물을 닦기 위하여 불편함을 겪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아이스 버킷(100)에 물이 가득찬 경우 출수가 중지될 수 있다.
아이스 버킷(100)에 물이 가득찼는지 알기 위하여, 무게 센서(430)가 이용될 수 있다. 혹은 아이스 버킷(100)에 미리 설정된 값의 물의 양이 찼는지 무게 센서(430)를 이용하여 알 수 있다.
무게 센서(430)는 압전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압전 소자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류의 세기에 의하여 무게 센서(430)는 각각의 무게에 관한 다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아이스 버킷(100)에 물이 가득 찼는지 알기 위하여 사용되는 센서는 무게 센서(430)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면, 양단이 오픈된 전극이 아이스 버킷(10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물이 전극에 닿는 경우, 오픈된 전극의 사이에 전기가 통하는 물이 위치될 수 있으므로, 양 전극에 전류가 흐르게 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아이스 버킷(100)에 물이 가득 찼는지 알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아이스 버킷(100)에 물이 가득 찼는지 알기 위한 센서는 무게 센서(430)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프로세서(2100)는 무게 센서(430)에서 발생한 아이스 버킷(100) 및 아이스 버킷(100)에 수용된 물의 무게에 대응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아이스 버킷(100) 및 아이스 버킷(100)에 수용된 물의 무게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급수관(210)의 폐쇄하도록 급수 밸브(220)를 제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아이스 버킷(100)에 충분한 양의 물이 채워진 경우, 아이스 버킷(100)에 수용된 물을 비우라는 알람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에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S14).
앞서의 실시예에서는 제빙 트레이(1310, 1410) 내의 제빙 공간(1300S, 1400S)에 물을 담기지 않는 것을 전제로 본 개시의 사상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제빙 트레이(1310, 1410)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반복적으로 움직이며, 제빙 공간(1300S, 1400S)에 담긴 물을 반복적으로 배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100)는 제빙 트레이(1310, 1410)를 움직이기 위하여 구동 장치(1320, 14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와 냉장고(1)의 제어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와 냉장고(1)의 제어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도 1 내지 도 20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21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제어부(2000)가 제빙 장치(1000) 및 급수 장치(200)를 제어하는 것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1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제어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앞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필터(2-100)를 교체하는 경우, 필터(2-100)에서 이물질이 발생함을 전제로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급수가 필요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빙 트레이(1310, 1410) 내에 이물질이 수용되어 있는 경우,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출수가 필요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에 "제빙 트레이(1310, 1410) 청소 키"를 누름으로써, 제빙 트레이(1310, 1410)를 청소하는 입력에 관한 신호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에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는 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프로세서(2100)에 전달할 수 있다(S1-2).
프로세서(2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에서 발생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빙기의 제빙 트레이(1310, 1410)를 비우도록 구동 장치(1320, 1420)를 제어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제빙 트레이(1310, 1410)에는 얼음이 수용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얼음이 제빙 트레이(1310, 1410)에 수용되지 않은 경우에도, 제빙 트레이(1310, 1410)의 움직임만으로 제빙 공간(1300S, 1400S)에 위치되는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다(S2-2).
제빙 트레이(1310, 1410)는 비워지기 위하여 구동 장치(1320, 1420)에 의하여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움직일 수 있다.
그 후 프로세서(2100)는 제빙 트레이(1310, 1410) 내에 물이 수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1 상태로 원복하도록 구동 장치(1320, 142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0)는 제빙 트레이(1310, 1410)가 비워진 경우 출수를 진행하기 위하여 급수관(210)을 개방하도록 급수 밸브(220)를 제어할 수 있다(S3-2).
프로세서(2100)는 미리 정해진 양의 물이 배출되도록 급수 밸브(220)를 개방 또는 폐쇄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프로세서(2100)는 미리 정해진 양의 출수량이 만족된 경우, 급수관(210)을 폐쇄하도록 급수 밸브(22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양은 제빙 공간(1300S, 1400S)에 물이 채워질 정도의 양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출수량은 제빙 공간(1300S, 1400S)에 물이 가득 찰 정도의 출수량을 의미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출수량은 1회 출수량이라고 볼 수 있다(S4-2).
제빙 트레이(1310, 1410)는 제1 상태이기 때문에 제빙 공간(1300S, 1400S)이 채워 질 만큼 출수가 진행된 후에 급수되는 물은 제빙 트레이(1310, 1410)를 넘쳐 흐를 수 있다. 이를 방지하도록 출수량은 제빙 공간(1300S, 1400S)에 대응하는 양 만큼 진행될 수 있다.
제빙 공간(1300S, 1400S)에 미리 정해진 양의 물이 채워지는 경우, 프로세서(2100)는 제빙 트레이(1310, 1410) 내에 위치되는 물이 아이스 버킷(100)을 향하여 이동되도록 구동 장치(1320, 14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빙 트레이(1310, 1410)는 프로세서(2100)에 의하여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제빙 트레이(1310, 1410)가 비워질 수 있다(S5-2).
즉, 1회 출수량이 만족되는 경우, 제빙 트레이(1310, 1410)는 비워 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제빙 트레이(1310, 1410)는 출수 이후 제1 상태에 계속하여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출수되는 물은 제빙 트레이(1310, 1410)를 채우고, 그 후 제빙 트레이(1310, 1410)를 넘어 흘러 넘칠 수 있다. 흘러 넘치는 물은 제빙 트레이(1310, 1410)를 기준으로 중력 방향 측에 위치되는 아이스 버킷(100)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물은 흘러 넘치면서 제빙 트레이(1310, 1410) 내측에 위치되었던 이물질과 함께 아이스 버킷(100)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1310, 1410)에서 물이 아이스 버킷(100)을 향하여 이동된 후 프로세서(2100)는 제빙 트레이(1310, 1410) 청소 절차를 종료 할 수 있다(S6-2).
다만, 1회 출수에 의하여 제빙 트레이(1310, 1410) 내에 이물질이 충분히 비워지지 않았다고 판단된다면, 위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S7-2).
도 2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제어부(2000)가 제빙 장치(1000) 및 급수 장치(200)를 제어하는 것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2를 참고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버킷(100)이 본체(10)에 장착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예비 출수를 진행할 지 선택하는 과정에서 예비 출수를 진행하길 원하는 경우, 얼음 트레이가 본체(10)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예비 출수 진행을 선택한 후 예비 출수가 진행되기 전에 얼음 트레이가 본체(10)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6a-3).
프로세서(2100)는 장착 센서(420)가 발생하는 얼음 트레이가 본체(10)에 장착됨에 대응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에 예비 출수 진행 시 물이 누설될 수 있다는 표시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에 표시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S6b-3).
그 후, 프로세서(2100)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예비 출수를 진행하도록 급수 밸브(2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제어부(2000)가 제빙 장치(1000) 및 급수 장치(200)를 제어하는 것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3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버킷(100)에 물이 찬 정도에 대응하여 출수를 정지하는 제어 과정을 설명한다(S12-4).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출수 정지 조건에는 아이스 버킷(100)에 물이 미리 정해진 양 이상이 채워진 경우가 있다.
무게 센서(430)에 의하여 아이스 버킷(100) 및 아이스 버킷(100) 내측에 수용된 물의 무게가 측정될 수 있다(S12a-4).
프로세서(2100)는 무게 센서(430)에 의하여 측정된 무게가 아이스 버킷(100)에 물이 넘치는 물의 양 이상에 대응되는 무게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0)는 식별된 정보에 기초하여 출수를 정지하도록 급수 밸브(220)를 제어할 수 있다(S12b-4).
도 2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제어부(2000)가 제빙 장치(1000) 및 급수 장치(200)를 제어하는 것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4를 참고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수 동작을 설명한다.
출수를 진행하기에 앞서 이물질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냉장고(1)는 이물질 감지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이물질 감지 센서는 제빙 장치(1000)의 제빙 공간(1300S, 1400S) 또는 필터(2-100)를 거쳐 급수 장치(200)로 급수되는 물에 이물질이 포함되었는지 여부에 대응하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2a-5).
프로세서(2100)는 이물질 감지 센서가 출력한 신호에 기초하여, 필터(2-100) 청소 기능을 선택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프로세서(2100)는 이물질 감지 센서에 의하여 제빙 공간(1300S, 1400S) 또는 급수 장치(200)에서 급수되는 물에 이물질이 없다는 것에 대응하여 발생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필터(2-100) 청소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거할 이물질이 없으므로, 제빙 장치(1000)는 원래의 이용 방법대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프로세서(2100)는 이물질 감지 센서에 의하여 제빙 공간(1300S, 1400S) 또는 급수 장치(200)에서 급수되는 물에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에 대응하여 발생된 신호에 기초하여, 필터(2-100) 청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S6-5).
여기서 필터(2-100) 청소 기능은 앞서 설명한 필터(2-100) 청소 기능에 관한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제어부(2000)가 제빙 장치(1000) 및 급수 장치(200)를 제어하는 것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5를 참고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버킷(100)에 수용된 물이 얼지 않는 방식을 설명한다.
출수가 진행되는 경우, 아이스 버킷(100)은 저장실(20)에 위치되기 때문에, 아이스 버킷(100)에 수용되는 물은 얼 수 있다. 아이스 버킷(100)에 수용된 물이 어는 경우, 사용자는 아이스 버킷(100) 내측에 위치되는 얼음을 제거하여야 아이스 버킷(100)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아이스 버킷(100)에 수용된 물을 얼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프로세서(2100)는 아이스 버킷(100) 내에 수용된 물이 얼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에서 발생한 출수 진행에 관한 신호에 기초하여, 아이스 버킷(100)에 냉기가 일정 시간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냉기 공급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S10a-6).
프로세서(2100)는 출수가 진행되는 전체 시간 동안 냉기 공급 장치의 작동을 중단하도록 냉기 공급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2100)는 출수가 진행되는 동안 간헐적으로 냉기 공급 장치의 작동을 중단하도록 냉기 공급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제빙 장치(1000) 및 그와 관련된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6을 참고하여, 도 26을 참고하여 설명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
제빙 장치(1000)는 히터(600-7)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600-7)는 아이스 버킷(100)과 접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0)는 출수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0)에서 발생된 신호에 기초하여, 히터(600-7)를 가동하도록 히터(600-7)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아이스 버킷(100) 내 물이 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7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8)를 설명한다.
본 개시에서의 제빙 장치(1000)는 냉동실(20a-8)뿐만 아니라 냉장실(20b-8)이 구비된 냉장고(1-8)에도 적용될 수 있다.
냉장고(1-8)는 물을 공급하는 디스펜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본 개시의 제빙 장치(1000-8)와 제빙 장치(1000-8) 및 급수 장치(미도시)를 제어하는 사상은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위에 기재된 실시예는 다른 실시예와 조합될 수 있다. 또는, 어느 실시예가 다른 실시예와 조합됨에 있어서 명백하게 제한되는 것이 아닌 한, 실시예 간에 조합이 가능하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어느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의 조합은 본 문서에서 개시한 것으로 본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냉장고
10: 본체
100; 아이스 버킷
200: 급수 장치
210: 급수관
220: 급수 밸브
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000: 제빙 장치
1100: 제빙 커버
1200: 제빙 케이스
1300: 제1 제빙 유닛
1400: 제2 제빙 유닛
1300S, 1400S: 제빙 공간
1320, 1420: 구동 장치
2000: 제어부
2100: 프로세서
2200: 메모리

Claims (20)

  1. 본체;
    상기 본체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급수관 및 상기 급수관을 개방 또는 폐쇄 가능한 급수 밸브를 포함하는 급수 장치;
    상기 급수 장치와 인접하도록 위치되는 제빙 장치로서, 상기 급수 장치에서 급수된 물을 수용 가능한 제빙 공간을 정의하는 제빙 트레이와 상기 제빙 트레이를 이동 시키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상기 급수 장치에서 배출된 물에 포함된 이물질 제거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빙 공간에 물을 공급하도록 상기 급수 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급수관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제빙 공간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 트레이를 기준으로 중력 방향에 위치되는 아이스 버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관에서 배출된 물이 직접적으로 상기 아이스 버킷을 향하여 이동되기 위하여 상기 제빙 트레이를 움직이도록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 트레이는 상기 급수관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제빙 공간에 수용 가능한 제1 상태 및 상기 급수관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제빙 공간에 수용 방지되는 제2 상태의 사이에서 움직임 가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빙 트레이가 상기 제2 상태에 있도록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 트레이는,
    고정 트레이; 및
    상기 구동 장치에 의하여 상기 고정 트레이에 대하여 진퇴 운동 가능한 이동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관에서 배출되는 물이 상기 고정 트레이 및 상기 이동 트레이의 사이에 위치되기 위하여 상기 이동 트레이가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 트레이는 상기 구동 장치에 의하여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관에서 배출되는 물이 상기 제빙 트레이의 제빙 공간으로 수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빙 트레이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냉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빙 트레이의 제빙 공간으로 물이 수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빙 트레이가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급수 밸브에서 물이 급수되도록 상기 급수 밸브를 제어하는 냉장고.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빙 트레이에서 물이 흘러 넘쳐 상기 제빙 트레이의 외측으로 흐르게 하기 위하여, 회전 가능한 상기 제빙 트레이가 회전되지 않는 동안 상기 급수 밸브에서 물이 급수 되도록 상기 급수 밸브를 제어하는 냉장고.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버킷은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스 버킷이 상기 본체에 장착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예비 출수 과정을 진행하기 위하여 상기 급수관을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개방한 후 폐쇄하도록 상기 급수 밸브를 제어하는 냉장고.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버킷이 상기 본체에 장착됨에 대응하여 신호를 출력 가능한 장착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착 센서에서 상기 아이스 버킷이 상기 본체에 장착됨에 대응되어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예비 출수 과정을 생략하고 본 출수 과정을 진행하도록 상기 급수 밸브를 제어하는 냉장고.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 내측에 흐르는 물의 양에 관한 신호를 출력 가능한 플로우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로우 센서에서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출수량을 표시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어하는 냉장고.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관에서 물이 흘렀던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출수량을 표시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어하는 냉장고.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로우 센서에서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식별된 출수량이 상기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출수량 이상인 경우, 상기 급수관을 폐쇄하도록 상기 급수 밸브를 제어하는 냉장고.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급수를 정지하는 사용자 입력에 관한 신호를 수신 가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급수관에서의 출수를 중지하도록 상기 급수 밸브를 제어하는 냉장고.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버킷에 수용된 물의 양에 관한 신호를 출력 가능한 무게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스 버킷에서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무게 센서가 출력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아이스 버킷에 미리 설정된 물의 양 이상의 물이 공급 되었는지 식별하고, 식별된 물의 양에 기초하여 상기 급수관에서의 출수를 중지하도록 상기 급수 밸브를 제어하는 냉장고.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관에서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의 물이 배출된 경우, 상기 제빙 트레이 내 물이 수용되어 얼음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빙 트레이가 상기 제1 상태에 있도록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냉장고.
  16.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이물질 제거 기능에 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빙 공간에 물을 공급하도록 급수 밸브를 제어하고,
    급수관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제빙 공간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제빙 트레이를 이동 가능한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 공간에 물을 공급하도록 상기 급수 밸브를 제어하기 전 상기 이물질 제거 기능을 실행하는 지 여부를 묻는 알림 창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분리 가능한 아이스 버킷이 본체에 장착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예비 출수 과정을 진행하기 위하여 급수관을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개방한 후 폐쇄하도록 급수 밸브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플로우 센서에서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출수량을 표시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20. 본체;
    상기 본체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급수관 및 상기 급수관을 개방 또는 폐쇄 가능한 급수 밸브를 포함하는 급수 장치;
    상기 급수 장치와 인접하도록 위치되는 제빙 장치로서, 상기 급수 장치에서 급수된 물을 수용 가능한 제빙 공간을 정의하고, 상기 제빙 공간에 물을 수용 가능한 제1 상태와 상기 제빙 공간에서 물이 흘러 내리는 제2 상태의 사이에서 움직임 가능한 제빙 트레이와 상기 제빙 트레이를 이동 시키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상기 제빙 장치 내에 수용된 이물질 제거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빙 공간에 물을 공급하도록 상기 급수 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급수관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제빙 공간을 통하여 상기 제빙 공간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빙 트레이를 상기 제1 상태에 있도록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220156773A 2022-11-21 2022-11-21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2024007456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6773A KR20240074564A (ko) 2022-11-21 2022-11-21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PCT/KR2023/011856 WO2024111788A1 (ko) 2022-11-21 2023-08-10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US18/369,419 US20240167746A1 (en) 2022-11-21 2023-09-18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6773A KR20240074564A (ko) 2022-11-21 2022-11-21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4564A true KR20240074564A (ko) 2024-05-28

Family

ID=91196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6773A KR20240074564A (ko) 2022-11-21 2022-11-21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74564A (ko)
WO (1) WO2024111788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53179B2 (en) * 2007-09-12 2013-01-1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JP5193765B2 (ja) * 2008-09-12 2013-05-08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KR101487527B1 (ko) * 2013-01-04 2015-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장치 및 제빙장치 제어방법
KR102459149B1 (ko) * 2015-12-15 2022-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20767A (ko) * 2016-08-19 2018-02-28 주식회사 에스 씨디 제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11788A1 (ko) 202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26832B2 (en) Refrigerator
KR101403754B1 (ko) 냉장고
EP2407737B1 (en) Refrigerator
KR20230012652A (ko) 탄산수 제조 장치, 그를 가지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CA2674507A1 (en) Ice making and water delivery apparatus
KR20140075291A (ko) 냉장고
KR20160101488A (ko) 냉장고
KR101512123B1 (ko) 냉장고
KR20160101489A (ko) 냉장고
KR20160101490A (ko) 냉장고
KR20240074564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1519198B1 (ko) 냉장고
US20240167746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55741A (ko) 냉장고
KR101639481B1 (ko) 냉장고
US20220390162A1 (en) Carbonated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CN116018488A (zh) 具有制冰组件的制冷电器及清洁方法
KR20110056939A (ko) 급수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급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JP2011185561A (ja) 冷蔵庫
JP2012097988A (ja) 冷蔵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