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1489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1489A
KR20160101489A KR1020150024136A KR20150024136A KR20160101489A KR 20160101489 A KR20160101489 A KR 20160101489A KR 1020150024136 A KR1020150024136 A KR 1020150024136A KR 20150024136 A KR20150024136 A KR 20150024136A KR 20160101489 A KR20160101489 A KR 20160101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ated water
mounting
carbon dioxide
module
wat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4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4312B1 (ko
Inventor
안재국
황경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4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312B1/ko
Priority to PL16155986T priority patent/PL3059532T3/pl
Priority to US15/044,507 priority patent/US10190817B2/en
Priority to EP16155986.9A priority patent/EP3059532B1/en
Priority to CN201610090368.0A priority patent/CN105890274B/zh
Publication of KR20160101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1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05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using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specially adapted for aerating or carbonating beverages
    • B01F23/236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specially adapted for aerating or carbonating beverages within small containers, e.g. within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0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 container, e.g. bottle, cartridge, bag-in-box,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1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upplied from water m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57Carbonators
    • B67D1/006Conventional carbon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57Carbonators
    • B67D1/0061Carbonators with cooling means
    • B67D1/0066Carbonators with cooling means outside the carbon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57Carbonators
    • B67D1/0069Details
    • B67D1/0071Carbonating by injecting CO2 in the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57Carbon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67D2210/00034Modules
    • B67D2210/00036Modules for use with or in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탄산수제조어셈블리를 포함하고, 탄산수제조어셈블리는 탄산수가 제조되는 탄산수컨테이너가 제조모듈로 장착되는 구성과, 탄산수컨테이너의 장착을 감지하는 센서의 구성을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하여 개시한다. 이를 통해 탄산수컨테이너의 오장착, 미장착시 탄산수제조가 임의로 진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탄산수제조의 제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탄산수 제조기능을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을 저장하는 저장실과,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를 구비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가전기기이다.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여 냉장고에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장치와, 도어를 열지 않고서도 외부에서 정수 또는 얼음을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가 구비되기도 한다.
냉장고에는 나아가 탄산수를 제조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가 구비되기도 한다. 탄산수 제조 장치는 고압의 이산화탄소가 저장된 이산화탄소 실린더와, 정수를 혼합함으로서 탄산수를 제조하도록 마련된다.
탄산수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탄산수탱크를 별도로 구비하여, 탄산수탱크에 정수와 이산화탄소를 공급하여 탄산수를 제조하여 디스펜서를 통해 탄산수를 공급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탄산수탱크내의 압력, 수위등을 감지하기 위해 많은 센서가 요구되었고, 또한 구성품의 부피가 매우커서 냉장고 자체의 크기가 불필요하게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탄산수탱크내에서 장시간 탄산수가 보관되는 경우 변질의 우려가 있어서 문제가 되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탄산수 제조가 용이한 냉장고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은 탄산수 제조에 있어서, 안전성을 향상시킨 냉장고를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은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킨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공간을 갖는 냉장고본체; 상기 냉장고본체에 마련되는 탄산수제조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탄산수제조어셈블리는, 제조모듈; 상기 제조모듈에 연결되어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공급모듈; 상기 제조모듈에 분리가능하게 마련되고, 탄산수가 제조되는 탄산수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제조모듈은, 상기 탄산수컨테이너가 장착되는 장착바디; 상기 장착바디로 상기 탄산수컨테이너가 장착되는 것을 센싱하는 장착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산수컨테이너가 상기 장착바디에 장착되는 동작과, 상기 장착센서가 상기 탄산수컨테이너의 장착동작을 센싱하는 동작은 함께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탄산수컨테이너는, 컨테이너바디; 상기 컨테이너바디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안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바디는, 상기 안착돌기가 장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돌기를 상기 안착부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장착센서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거나 상기 안착부에 장착되는 상기 안착돌기의 이동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탄산수컨테이너는, 제 1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안착부에 장착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장착바디는, 상기 가이드레일에서 상기 안착돌기의 이동경로상에 형성되며, 상기 안착돌기가 상기 안착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이탈방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장착바디는, 상기 안착돌기가 상기 가이드레일로 삽입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장착센서는, 일측이 상기 안착돌기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센싱레버; 상기 센싱레버의 타측에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센싱레버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센싱레버는, 상기 탄산수컨테이너를 상기 장착바디에 장착시, 상기 안착돌기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하는 장착위치; 상기 탄산수컨테이너를 상기 장착바디로부터 분리시, 상기 안착돌기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어 상기 장착위치로부터 이동하는 미장착위치;를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장착센서는, 상기 탄산수컨테이너를 상기 제조모듈로부터 분리할 때, 상기 센싱레버를 상기 장착위치에서 상기 미장착위치로 복귀이동하도록 마련되는 복귀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센싱레버의 타측에 의해 가압되어 온/오프되도록 마련되는 마이크로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센싱레버의 타측에 마련되는 마그네틱과 대응되어 상기 마그네틱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리드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본체의 전면에서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탄산수컨테이너를 수용가능하게 마련되는 취수공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바디는, 상기 취수공간에 노출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탄산수컨테이너는, 액체의 유출입을 위해 일측이 개방된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탄산수컨테이너를 상기 제조모듈에 장착시, 상기 제조모듈에 의해 상기 개구는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조모듈은, 상기 개구가 밀폐되도록 상기 개구에 대응하여 상기 장착바디 내부에 마련되는 패킹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공간을 갖는 냉장고본체; 상기 냉장고본체에 마련되는 탄산수제조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탄산수제조어셈블리는, 상기 냉장고본체의 일측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취수공간; 상기 취수공간에 수용가능하게 마련되어, 탄산수가 제조되는 탄산수컨테이너; 상기 탄산수컨테이너에서 탄산수가 제조되도록,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공급모듈; 상기 이산화탄소공급모듈이 연결되는 제조모듈;를 포함하고, 상기 제조모듈은, 상기 취수공간에 노출되어, 상기 탄산수컨테이너가 분리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장착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조모듈은, 상기 장착바디로 상기 탄산수컨테이너가 장착되는 것을 센싱하는 장착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탄산수컨테이너는, 일측이 개방된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탄산수컨테이너를 상기 제조모듈에 결합시, 상기 제조모듈에 의해 상기 개구는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조모듈은, 상기 개구가 밀폐되도록 상기 개구에 대응하여 상기 장착바디 내부에 마련되는 패킹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공간을 갖는 냉장고본체; 상기 냉장고본체에 마련되는 탄산수제조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탄산수제조어셈블리는, 제조모듈; 컨테이너바디와, 상기 컨테이너바디 일측에 마련되는 개구와, 상기 개구와 인접하여 돌출형성되는 안착돌기를 갖고, 상기 제조모듈에 분리가능하게 마련되는 탄산수컨테이너; 상기 제조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탄산수컨테이너에 분사되는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 공급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조모듈은, 상기 탄산수컨테이너의 장착을 위해 상기 안착돌기를 가이드하도록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장착바디; 상기 가이드레일을 이동하는 상기 안착돌기의 동작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장착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바디는, 상기 가이드레일에서 상기 안착돌기의 이동경로상에 형성되며, 상기 안착돌기가 상기 안착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이탈방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장착바디는, 상기 안착돌기가 상기 가이드레일로 삽입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탄산수 제조모듈을 단순화 시킬 수 있다.
또한 탄산수컨테이너가 장착이 되어야 탄산수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탄산수의 취수와 탄산수의 제조가 함께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탄산수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에 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에 관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확대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일부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공급모듈과 제조모듈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모듈과 탄산수컨테이너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모듈과 탄산수컨테이너의 분해사시도.
도 9, 10, 11,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모듈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13,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컨테이너의 제조모듈로의 장착에 관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컨테이너에 관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컨테이너의 장착과 장착센서에 관한 도면.
도 17, 18,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컨테이너의 장착과 장착센서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모듈과 배출모듈에서의 이산화탄소의 유동과 정수의 유동에 관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모듈과 오버플로우감지센서의 배치에 관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플로우감지센서를 간락하게 도시한 도면
도 23,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모듈에서의 배출유체의 유동에 관한 도면.
도 25,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공급밸브에 관한 도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에 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는 외관을 형성하는 내부의 냉각공간을 형성하는 냉장고본체(2)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공간은 저장실(20,30)을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본체(2)는 본체(10),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저장실(20, 30)과, 본체(10)의 일측에서 저장실(20, 30)을 개폐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21,22,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는 저장실(20, 30)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저장실(20, 30)을 형성하는 내상, 내상의 외측에 결합되어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 내상과 외상 사이에 배치되어 저장실(20, 30)을 외부로부터 단열시키는 단열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실(20, 30)은 중간격벽(11)에 의해 상측의 냉장실(20)과 하측의 냉동실(30)로 구획될 수 있다. 냉장실(20)은 대략 영상 3도의 온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장 보관할 수 있고, 냉동실(30)은 대략 영하 18.5도의 온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동 보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상하로 구획된 냉장실(20)과 냉동실(30)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냉장실(20)과 냉동실(30)은 중간격벽(11)에 의하여 좌우로 구획될 수 있다.
냉장실(20)에는 식품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선반(23)과 식품을 밀폐 보관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 박스(27)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냉장실(20)에는 물을 정화하고 저장하는 정수공급모듈(210)이 마련될 수 있으며, 정수공급모듈(210)은 급수원(212)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정화하는 정수 필터(73)와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 탱크(7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수공급모듈(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수납 박스(27)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냉장실(20) 내부의 냉기에 의해 정수공급모듈(210)의 정수가 냉각될 수 있도록 냉장실(20) 내부에만 마련되면 족하다.
또한, 냉장실(20)의 상부 모퉁이에는 얼음을 제조할 수 있는 제빙실(80)이 냉장실(20)로부터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빙실(80) 내부에는 얼음을 제조/저장하는 제빙 장치(81)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제빙 장치(81)는 정수 탱크(70)로부터 공급받은 정수를 이용하여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 트레이, 제빙 트레이에서 제조된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버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냉장실(20)과 냉동실(30)은 각각 식품을 출납할 수 있도록 개방된 전면을 갖는다. 냉장실(20)의 개방된 전면은 본체(10)와 힌지에 의하여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 도어(21, 22)에 의해 개폐될 수 있고, 냉동실(30)의 개방된 전면은 본체(1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3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냉장실 도어(21, 22)의 배면에는 식품을 수용할 수 있는 도어 가드(24)가 마련될 수 있으며, 냉장실 도어(21, 22)의 배면 테두리부에는 냉장실 도어(21, 22)가 닫혔을 때 냉장실 도어(21, 22)와 본체(10)의 사이를 밀폐하여 냉장실(20)의 냉기를 단속하는 가스켓(28)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냉장실 도어(21, 22) 중 어느 하나의 냉장실 도어(21)에는 냉장실 도어(21, 22)가 닫혔을 때 냉장실 도어(21)와 냉장실 도어(22)의 사이를 밀폐하여 냉장실(20)의 냉기를 단속하는 회전 바(26)가 선택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냉장실 도어(21, 22) 중 어느 하나의 냉장실 도어(21)에는 냉장실 도어(21)의 개방없이 외부에서 정수, 탄산수 또는 얼음을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100)와, 사용자로부터 냉장고(1)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 명령을 입력받고 냉장고(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유저 인터페이스(40)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펜서(100)에 마련된 취수 공간에 컵 또는 병 등의 용기를 삽입하여, 정수, 탄산수 또는 얼음을 취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취수 공간에 컵을 삽입하고, 정수 또는 얼음을 취출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제조모듈(250)에 탄산수컨테이너(170)를 결합시키고, 탄산수컨테이너(170)에서 탄산수를 제조할 수 있다.
디스펜서(1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유저 인터페이스(40)은 사용자로부터 냉장고(1)에 대한 각종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터치 스위치와 사용자에게 냉장고(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40)는 사용자로부터 냉장실(20)의 목표 온도, 냉동실(30)의 목표 온도, 탄산수 제조 명령, 탄산수 목표 농도 등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냉장실(20)의 현재 온도, 냉동실(30)의 현재 온도, 탄산수 제조 여부, 제조된 탄산수 농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냉장고(1)의 도어(21)에는 탄산수를 제조하는 탄산수제조어셈블리(200)가 장착될 수 있다.
탄산수 제조 모듈(1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펜서(100)는 디스펜서모듈(120)과, 탄산수제조어셈블리(200)를 포함한다. 디스펜서모듈(120)을 통해서는 정수나 얼음을 취출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탄산수제조어셈블리(200)를 통해서 탄산수가 제조 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탄산수제조어셈블리(200)는 탄산수가 제조되도록 마련된다.
탄산수제조어셈블리(200)는 탄산수컨테이너(170)에서 탄산수가 제조되도록 정수와 이산화탄소를 탄산수컨테이너(170)에 공급한다.
탄산수제조어셈블리(200)는 정수공급모듈(210)과, 이산화탄소 공급모듈(220), 제조모듈(250)을 포함한다.
정수공급모듈(210)은 급수원(212)과, 제빙장치(81)로 정수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제빙밸브(214)와, 제조모듈(250) 또는 디스펜서모듈(120)로 정수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정수밸브(216)와, 공급되는 정수의 양을 검출하는 플로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원(212)은 별도의 워터탱크가 마련될 수도 있고, 냉장고외부의 급수원(212)으로부터 직결되어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냉장고외부의 급수원(212)은 수도관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일례로 급수원(212)은 수도관인 것으로 도시하였다.
제빙밸브(214)는 급수원(212)에서 제빙장치(81)로 정수가 공급되는 제빙유로(213)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며, 정수밸브(216)는 급수원(212)에서 제조모듈(250) 또는 디스펜서모듈(120)로 정수가 공급되는 정수유로(215)를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제빙밸브(214)와 정수밸브(216)는 급수원(212)으로부터 오는 강한 수압을 차단시키고, 제빙장치(81), 제조모듈(250) 또는 디스펜서모듈(120)로 전달되는 정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빙밸브(214)와 정수밸브(216)의 형태는 한정되지 않으며, 일 실시예로 솔레노이드 밸브가 적용될 수 있다.
급수원(212)에는 제빙밸브(214)와 정수밸브(216)가 연결되어 정수를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유로전환밸브가 마련되어 정수를 공급할 수도 있다.
유로전환밸브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유로전환밸브는 급수원(212)과 연결되는 유입구, 제빙장치(81)로 연결되는 제 1 유출구 및 제조모듈(250) 또는 디스펜서모듈(120)로 연결되는 제 2 유출구를 포함하는 3방밸브로 구현될 수 있다. 유로전환밸브는 급수원(212)으로부터 공급되는 정수를 제조모듈(250) 또는 디스펜서모듈(120) 또는 제빙장치(8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빙 동작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 급수원(212)으로부터 정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유로전환밸브는 제조모듈(250) 또는 디스펜서모듈(120)측 유로를 개방하고, 제빙장치(81)측 유로를 폐쇄한다. 또한, 제빙 동작이 요구되는 경우, 제빙 장치에 정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유로전환밸브는 제조모듈(250) 또는 디스펜서모듈(120)측 유로가 폐쇄되고, 제빙장치(81)측 유로를 개방한다.
냉장고(1)는 플로우센서(218)로부터 정수가 급수원(212)으로부터 제조모듈(250) 또는 디스펜서모듈(120)에 공급된 양을 산출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정수밸브(216)와 연결되도록 마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례로 정수밸브(216)와 제빙밸브(214)의 상류에 배치되어 정수공급모듈(210)로 공급되는 정수의 양을 산출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플로우 센서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채용한 가능한 유량 감지 수단의 일 예를 도시할 뿐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정수공급모듈(210) 역시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채용한 가능한 정수 공급 수단의 일 예를 도시할 뿐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산화탄소 공급모듈(220)은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이산화탄소 실린더(222)와, 이산화탄소 실린더(222)로부터 제조모듈(250)로 공급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조절하는 이산화탄소 공급밸브(230)를 포함한다. 이산화탄소 공급밸브(230)는 공급밸브케이스(230a)에 의해 덮히도록 마련될 수 있다(도 6 참고).
이산화탄소 실린더(222)는 대략 45 내지 60 bar의 고압의 이산화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 실린더(222)에 저장된 이산화탄소는 이산화탄소 실린더(222)와 제조모듈(250) 사이를 연결하는 이산화탄소 공급유로(224)를 통하여 탄산수컨테이너(170)로 배출될 수 있다.
이산화탄소 공급유로(224)는 이산화탄소 실린더(222)에 저장된 이산화탄소를 제조모듈(250)로 안내한다.
또한, 이산화탄소 공급유로(224)상에는 이산화탄소 공급유로(224)를 개폐하는 이산화탄소 공급밸브(230)가 마련될 수 있다.
이산화탄소 공급밸브(230)는 이산화탄소 공급유로(224)를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이산화탄소 공급밸브(230)가 개방되면 이산화탄소 실린더(222)에 저장된 이산화탄소가 이산화탄소 공급유로(224)를 통하여 탄산수컨테이너(170)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이산화탄소 공급밸브(230)는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이산화탄소 공급 유로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채용할 수도 있다. 이산화탄소 공급밸브(230)에 관하여는 이후에 일례로서 자세히 설명한다.
이산화탄소 공급모듈(220)은 이산화탄소 압력센서(2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 압력센서(233)는 이산화탄소 실린더(222)로부터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배출압력을 감지하도록 마련된다. 이산화탄소 압력센서(233)는 일정압력 이하로 낮아지면 이에 대응하는 저압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압력스위치를 채용할 수 있다.
제조모듈(250)을 통해 이산화탄소 공급모듈(220)로부터 공급되는 이산화탄소와, 정수공급모듈(210)로부터 공급되는 정수가 탄산수컨테이너(170)로 유입되어, 탄산수컨테이너(170)내에서 탄산수가 제조되도록 마련된다.
제조모듈(250)에는 탄산수컨테이너(170)가 분리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조모듈(250)은 정수공급모듈(210)과 연결되는 정수유입유로(251)와, 정수유입유로(251)를 개폐하는 정수유입밸브(252)를 포함한다. 정수유입밸브(252)의 개폐를 통해 탄산수컨테이너(170)로 유입되는 정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제조모듈(250)은 이산화탄소 공급모듈(220)과 연결되는 이산화탄소유입유로(254)와, 이산화탄소유입유로(254)로 유입되는 이산화탄소에 의해 동작하도록 마련되는 노즐모듈(280)을 포함한다. 노즐모듈(280)은 제조모듈(250)로 공급되는 이산화탄소에 의해 동작하도록 마련되며, 공급된 이산화탄소를 탄산수컨테이너(170)로 분사하도록 마련된다.
노즐모듈(280)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제조모듈(250)은 벤트밸브(258)를 포함할 수 있다. 벤트밸브(258)는 탄산수컨테이너(170)에 이산화탄소를 주입시, 탄산수컨테이너(170) 내부의 압력이 과도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탄산수컨테이너(170)내의 이산화탄소 압력이 일정압력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벤트밸브(258)가 개방되어 이산화탄소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된다.
디스펜서모듈(120)은 정수공급모듈(210)과 연결되는 디스펜서 공급유로(122)와, 디스펜서 공급유로(122)를 개폐하는 디스펜서 공급밸브(124)를 포함한다. 디스펜서 공급밸브(124)의 개폐를 통해 취수공간(132)으로 공급되는 정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탄산수제조어셈블리(200)는 릴리프밸브(150)를 포함할 수 있다. 릴리프밸브(150)는 탄산수제조과정에 있어서, 일정양을 초과하는 정수가 급수되거나 일정양을 초과하는 탄산수가 제조되는 경우, 오버플로우되는 정수나 탄산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확대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일부분해사시도이다.
탄산수제조어셈블리(200)는 도어(21)에 마련될 수 있다. 도어(21)에 전면으로 외부와 노출되도록 마련되는 취수공간(132)을 형성되며, 탄산수컨테이너(170)는 취수공간(132)에 수용될 수 있다. 탄산수컨테이너(170)는 취수공간(132)에서 제조모듈(250)에 분리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조모듈(250)에서 탄산수컨테이너(170)가 장착되는 장착바디(272)는 취수공간(132)에 대해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탄산수제조어셈블리(200)는 도어의 전면에 형성되는 취수공간(132)과, 취수공간(132)을 형성하도록 도어의 전면보다 오목하게 형성되는 디스펜서 하우징(130)을 포함할 수 있다. 취수공간(132)과 디스펜서 하우징(130)은 디스펜서(100)의 일구성일 수 있다. 디스펜서 하우징(130)의 하부에는 취수공간(132)에서 버려지는 정수, 탄산수와 같은 배출액체들이 집수되는 집수케이스(134)가 마련된다. 취수공간(132)으로 배출되는 배출액체들은 집수케이스(134)에 집수되도록 마련된다.
이산화탄소 공급모듈(220)은 이산화탄소 실린더(222)가 분리가능하도록 실린더수용공간(221)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수용공간(221)은 취수공간(132)과 인접하도록, 취수공간(132)의 측부에 마련될 수 있다. 실린더수용공간(221)에는 이산화탄소 실린더(222)가 배치되며, 이산화탄소 실린더(222)는 실린더커넥터(231)에 장착되어 이산화탄소 공급유로(224)로 이산화탄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산화탄소 공급모듈(220)은 실린더수용공간(221)을 개폐하는 실린더도어(221a)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21)의 전면에는 유저 인터페이스(40)가 마련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4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냉장고(1)에 대한 각종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터치 스위치와 사용자에게 냉장고(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탄산수제조어셈블리(200)는 도어의 내부에 마련되어, 취수공간(132)에 수용되는 탄산수컨테이너(170)에 정수와 이산화탄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취수공간(132)에는 디스펜서모듈(120)을 통해 급수 되거나 제빙장치(81)를 통해 얼음이 배출될 수 있도록 작동레버(136)가 마련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공급모듈과 제조모듈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모듈과 탄산수컨테이너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모듈과 탄산수컨테이너의 분해사시도이다.
탄산수제조어셈블리(200)는 이산화탄소 공급모듈(220) 또는 제조모듈(250)의 외부를 감싸도록 모듈커버(202)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커버(202)는 탄산수제조어셈블리(200)에서 정수와 이산화탄소가 유동하는 유로와, 각 유로의 연결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모듈커버(202)는 이산화탄소 공급모듈(220)과 제조모듈(250)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마련됨으로서, 정수와 이산화탄소의 유동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할 수도 있다.
제조모듈(250)은 탄산수컨테이너(170)가 분리가능하게 마련되며, 탄산수컨테이너(170)로 정수와 이산화탄소를 주입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조모듈(250)은 제조모듈바디(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조모듈바디(260)는 탄산수컨테이너(170)가 장착되는 장착바디(272)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바디(272)는 취수공간(132)에 대해 노출되도록 마련되어, 탄산수컨테이너(170)가 장착가능하게 마련된다. 즉, 탄산수컨테이너(170)는 장착바디(272)에 장착되도록 마련되며, 장착바디(272)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장착바디(272)의 일측에는 탄산수컨테이너(170)의 장착을 감지하는 장착센서(277)가 마련된다. 장착바디(272)와 장착센서(277)에 대해서는 이후에 자세하게 설명한다.
제조모듈(250)은 정수유입유로(251)를 형성하는 정수유입관(253)과, 이산화탄소 유입유로를 형성하는 이산화탄소유입관(255)을 포함할 수 있다. 정수유입관(253)으로는 정수유로(215)를 통해 유동하는 정수가 유입되며, 이산화탄소유입관(255)으로는 이산화탄소공급유로를 통해 유동하는 이산화탄소가 유입된다. 정수유입관(253)과 이산화탄소유입관(255)을 통해 유입되는 정수와 이산화탄소는 탄산수컨테이너(170)로 주입될 수 있다.
정수유입관(253)과 이산화탄소유입관(255)은 제조모듈바디(260)에 결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장착바디(272)는 제조모듈바디(260)의 일측에 마련되며, 정수유입관(253)과 이산화탄소유입관(255)은 제조모듈바디(260)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장착바디(272)는 이후 설명하는 제 2 모듈바디(271)에 마련되며, 정수유입관(253)과 이산화탄소유입관(255)은 제 1 모듈바디(261)에 결합될 수 있다.
탄산수제조어셈블리(200)는 릴리프밸브(150)를 포함할 수 있다. 릴리프밸브(150)는 탄산수제조과정에 있어서, 일정양을 초과하는 정수가 급수되거나 일정양을 초과하는 탄산수가 제조되는 경우, 오버플로우되는 정수나 이산화탄소, 탄산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탄산수컨테이너(170)로 공급되는 이산화탄소는, 이산화탄소공급모듈(220)에 의해 양을 조절할 수도 있으며, 릴리프밸브(150)에 의해 탄산수컨테이너(170)로 공급된 이산화탄소의 양을 조절할 수도 있다. 자세하게는 릴리프밸브(150)는 탄산수컨테이너(170)로 공급된 이산화탄소의 양을 조절하도록 개폐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릴리프밸브(150)는 배출유체의 오버플로우와 같은 일정조건에서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으며, 제어에 의해 개폐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릴리프밸브(150)는 제조모듈(250)의 제조모듈바디(260)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릴리프밸브(150)의 일단은 탄산수컨테이너(170)가 제조모듈(250)에 장착시 탄산수컨테이너(170)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마련되며, 릴리프밸브(150)의 타단은 배출모듈(160)과 연통되도록 마련된다.
탄산수제조어셈블리(200)는 배출모듈(160)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모듈(160)은 탄산수컨테이너(170)로부터 오버플로우되는 탄산수가 탄산수컨테이너(170)를 우회하여 배출되도록 마련된다. 배출모듈(160)은 릴리프밸브(150)의 토출부를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출모듈(160)에 대해서는 이후에 자세하게 설명한다.
제조모듈(250)은 노즐모듈(280)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모듈(280)은 탄산수컨테이너(170)로 이산화탄소를 분사하도록 마련된다. 노즐모듈(280)은 이산화탄소 공급모듈(220)로부터 공급되어 제조모듈(250)로 유입되는 이산화탄소에 의해 동작하도록 마련된다. 노즐모듈(280)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서는 이후 자세하게 설명한다.
제조모듈바디(260)는 제 1 모듈바디(261)와 제 2 모듈바디(27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모듈바디(261)는 앞서 설명한 정수유입관(253)과, 이산화탄소유입관(255)이 결합되도록 마련되며, 제 2 모듈바디(271)는 제 1 모듈바디(261)의 하부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며 장착바디(272)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2 모듈바디(271)에는 탄산수컨테이너(170)가 분리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 1 모듈바디(261)와 제 2 모듈바디(271)의 결합방법은 한정되지 않으나, 그 일례로 결합볼트(263a)와 결합너트(263b)를 통해 제 1 모듈바디(261)와 제 2 모듈바디(271)를 결합시킬 수 있다.
제 1 모듈바디(261)에는 노즐모듈(280)이 이동할 수 있도록 노즐이동부(262, 도 9 참고)가 마련될 수 있다. 노즐이동부(262)는 이산화탄소유입관(255)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이산화탄소유입관(255)으로의 이산화탄소 유입에 의해 노즐모듈(280)이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 2 모듈바디(271)에는 노즐모듈(28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271b)가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271b)는 제 2 모듈바디(271)의 상면에 구비되어, 노즐이동부(262)를 이동하는 노즐모듈(28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제조모듈(250)로 이산화탄소가 공급될 때, 노즐관(282)의 이동을 공급가능위치(P2)로 제한하도록 마련된다.
도 9, 10, 11,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모듈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노즐모듈(280)은 탄산수컨테이너(170)로 이산화탄소를 분사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노즐모듈(280)은 탄산수컨테이너(170)에 저수된 정수의 수면아래로 이산화탄소가 분사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노즐모듈(280)에 의해 탄산수컨테이너(170)에 저수된 정수의 수면아래로 이산화탄소가 분사되므로, 이산화탄소가 정수의 수면위에서 분사되는 경우보다 정수에 대한 이산화탄소의 용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노즐모듈(280)에 의해 이산화탄소를 정수의 수면아래로 직접 분사할 수 있게 되어, 이산화탄소의 용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탄산수제조에 요구되는 공급이산화탄소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탄산수제조시 이산화탄소가 정수에 용해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노즐모듈(280)은 이산화탄소 공급모듈(220)에 의해 공급되어 제조모듈(250)로 유입되는 이산화탄소에 의해 동작하도록 마련된다.
노즐모듈(280)은 제조모듈(250)로 유입되는 이산화탄소에 의해 이동하여, 탄산수컨테이너(170)의 내부에서 직접 이산화탄소를 분사하도록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노즐모듈(280)은 제조모듈(250)로 유입되는 이산화탄소에 의해 이동하여, 탄산수컨테이너(170)에 저수된 정수의 표면아래에서 직접 이산화탄소를 분사하도록 마련된다. 이를 통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탄산수제조를 위해 정수에 대한 이산화탄소의 용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노즐모듈(280)은 노즐관(282)과, 밸브유닛(290)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관(282)은 제조모듈(250)의 내부 즉, 노즐이동부(262)를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노즐관(282)의 일단에는 이산화탄소 분사노즐(286)이 마련되어, 타단으로 유입되는 이산화탄소가 이산화탄소 분사노즐(286)을 통해 분사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노즐관(282)은 내부가 비어 있도록 마련되어, 이산화탄소가 유동하는 노즐관유로(282a)가 마련될 수 있다.
밸브유닛(290)은 노즐관(282)의 타단에 마련될 수 있다. 밸브유닛(290)은 유입홀(291)과 밸브부(292)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홀(291)은 제조모듈(250)의 내부로부터 노즐관(282)으로 이산화탄소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며, 밸브부(292)는 유입홀(291)을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이산화탄소유입관(255)으로 유입되는 이산화탄소는 유입홀(291)을 통해 노즐관유로(282a)로 유입되도록 마련되며, 밸브부(292)는 이산화탄소유입관(255) 내부압력이 일정압력이 되는 경우 유입홀(291)을 개방하도록 마련된다. 노즐관(282)의 타단에는 밸브유닛(290)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일정압력의 이산화탄소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노즐관(282)의 타단은 밸브유닛(290)에 의해 밀폐되도록 마련된다.
밸브유닛(290)은 밸브하우징(293)을 포함할 수 있다. 밸브하우징(293)에는 유입홀(291)이 형성되며, 내부에 밸브부(292)가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밸브하우징(293)은 노즐관(282)과 결합되어, 내부의 밸브부(292)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밸브하우징(293) 내부에서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노즐모듈(280)은 대기위치(P1)와, 공급가능위치(P2)와, 공급위치(P3)를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노즐모듈(280)이 대기위치(P1)에 위치한 경우에는, 이산화탄소 분사노즐(286)이 탄산수컨테이너(170)의 저수된 정수의 표면 상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이산화탄소 공급모듈(220)로부터 이산화탄소가 공급되지 않았거나, 공급되는 경우라도 이산화탄소유입관(255) 내부의 압력이 제 1 압력 미만인 경우에는, 노즐모듈(280)이 대기위치(P1)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이산화탄소 공급모듈(220)로부터 제조모듈(250)의 이산화탄소유입관(255)으로 이산화탄소가 공급되어, 이산화탄소유입관(255)의 내부압력이 제 1 압력일 때, 노즐모듈(280)은 대기위치(P1)로부터 이동하여 이산화탄소 분사노즐(286)이 탄산수컨테이너(170)의 저수된 정수의 표면 아래에 위치하도록 이동하게 되며, 이를 공급가능위치(P2)라 한다.
노즐모듈(280)은 노즐탄성부재(284)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탄성부재(284)는 노즐관(282)을 탄성지지하도록 마련된다. 노즐탄성부재(284)는 노즐관(282)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노즐탄성부재(284)의 일단은 밸브유닛(290)에 의해, 타단은 제 2 모듈바디(271)의 제조모듈바디(260)의 탄성부재지지부(271c)에 의해 지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지지부(271c)는 제조모듈바디(260)에 마련될 수 있으며, 자세하게는 제 1 모듈바디(261)에 마련될 수 있다. 즉, 탄성부재지지부(271c)는 노즐탄성부재(284)의 최대압축길이를 고려하여 스토퍼(271b)의 상단보다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노즐탄성부재(284)는 이산화탄소유입관(255) 내부의 이산화탄소 압력이 제 1 압력이 되기 전까지 노즐모듈(280)이 대기위치(P1)를 유지하도록 노즐관(282)을 탄성지지한다. 이산화탄소유입관(255) 내부의 이산화탄소 압력이 제 1 압력이 되는 경우에는, 노즐탄성부재(284)가 압축되면서 노즐관(282)이 스토퍼(271b)에 의해 이동이 제한될 때까지 이동하게 된다. 즉, 노즐모듈(280)이 대기위치(P1)에서 공급가능위치(P2)로 이동하게 된다. 노즐모듈(280)이 공급가능위치(P2)에 있는 경우, 이산화탄소 분사노즐(286)은 탄산수컨테이너(170) 내부의 정수의 표면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이산화탄소유입관(255)의 내부압력이 제 1 압력 미만일 때, 노즐모듈(280)이 대기위치(P1)를 유지하도록, 노즐탄성부재(284)는 자유상태보다 일정구간 압축된 상태로 노즐관(282)을 탄성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이산화탄소 공급모듈(220)로부터 제조모듈(250)의 이산화탄소유입관(255)으로 이산화탄소가 공급되어 제 1 압력보다 큰 제 2 압력일 때, 노즐모듈(280)은 공급가능위치(P2)로부터 이동하여 이산화탄소 분사노즐(286)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분사하게 되며, 이를 공급위치(P3)라 한다.
밸브유닛(290)은 밸브탄성부재(294)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탄성부재(294)는 밸브부(292)를 탄성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밸브탄성부재(294)의 일단은 밸브부(292)에 의해, 타단은 노즐관(282)에 의해 지지되도록 마련된다. 밸브탄성부재(294)는 이산화탄소유입관(255) 내부의 이산화탄소압력이 제 2 압력일 때, 노즐모듈(280)이 공급가능위치(P2)로부터 공급위치(P3)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밸브부(292)를 탄성지지한다. 즉 밸브탄성부재(294)는 이산화탄소유입관(255) 내부압력이 제 2 압력 미만일 때, 노즐모듈(280)이 공급가능위치(P2)를 유지하도록 밸브부(292)를 탄성지지한다.
이산화탄소유입관(255)의 내부압력이 제 2 압력 미만일 때, 노즐모듈(280)이 공급가능위치(P2)에 위치하는 것을 유지하도록, 밸브탄성부재(294)는 자유상태보다 일정구간 압축된 상태로 밸브부(292)를 탄성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이산화탄소유입관(255) 내부의 이산화탄소압력이 제 2 압력이 되는 경우에는 밸브탄성부재(294)가 압축되면서 밸브부(292)가 유입홀(291)을 개방하게 된다. 이산화탄소유입관(255)의 이산화탄소는 개방된 유입홀(291)을 지나 노즐관유로(282a)를 유동하게 되고, 탄산수컨테이너(170) 내부의 저수된 정수 표면 아래에 위치한 이산화탄소 분사노즐(286)을 통해 배출된다.
탄산수컨테이너(170)에서의 탄산수 제조 과정에 있어서, 이산화탄소를 탄산수컨테이너(170)에 저수된 정수의 표면 아래서 직접 분사시킴으로서, 이산화탄소의 용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탄산수 제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후 이산화탄소 공급모듈(220)로부터 이산화탄소의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에는, 압축된 밸브탄성부재(294)와 노즐탄성부재(284)가 복귀하면서, 노즐모듈(280)은 공급위치(P3)에서 대기위치(P1)로 이동하게 된다.
제 1 압력과 제 2 압력은 한정되지 않으며, 탄산수 제조 환경에 따라 이를 달리 할 수 있다. 일례로 제 1 압력은 0.5bar, 제 2 압력은 1.5bar로 설계될 수 있다.
제 2 압력은 제 1 압력보다 크기 때문에, 밸브탄성부재(294)의 탄성력은 노즐탄성부재(284)의 탄성력보다 크도록 마련될 수 있다.
노즐모듈(280)에 대한 설명을 탄성부재(284, 294)의 관점에서 다시 설명한다.
노즐모듈(280)은 노즐탄성부재(284)와 밸브탄성부재(294)를 포함한다.
이산화탄소의 공급과정에 있어서, 노즐탄성부재(284)는 노즐모듈(280)의 내부 압력이 제 1 압력이 될 때까지 노즐모듈(280)이 대기위치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이후 노즐모듈(280)의 내부압력이 제 1 압력이상 제 2 압력미만인 경우에는, 노즐탄성부재(284)가 압축되도록 구성되며, 노즐모듈(280)은 대기위치(P1)에서 공급가능위치(P2)로 동작하도록 마련된다.
이후 노즐모듈(280)의 내부압력이 제 2 압력이상이 되는 경우, 밸브탄성부재(294)가 압축되도록 구성되며, 노즐모듈(280)은 공급가능위치(P2)에서 공급위치(P3)로 동작하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이 노즐모듈(280)이 복수의 단계로 동작하도록 마련됨으로서, 탄산수제조시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공급노즐(286)이 탄산수컨테이너(170)에 저수된 정수의 수면아래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노즐모듈(280)의 복수의 단계동작에 따라, 이산화탄소 공급노즐(286)을 통해 정수의 수면아래에서 직접 이산화탄소를 분사할 수 있게 된다.
도 13,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컨테이너의 제조모듈로의 장착에 관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컨테이너에 관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컨테이너의 장착과 장착센서에 관한 도면이다.
제조모듈바디(260)는 탄산수컨테이너(170)가 장착되는 장착바디(272)와, 장착센서(277)를 포함할 수 있다.
탄산수컨테이너(170)는 장착바디(272)에 장착되도록 마련되며, 장착바디(272)에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취수공간(132)은 냉장고본체의 외부로부터 노출되도록 마련되며, 장착바디(272)는 취수공간(132)에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탄산수컨테이너(170)는 취수공간(132)에 노출된 장착바디(272)에 장착가능하게 마련된다.
탄산수컨테이너(170)가 장착바디(272)에 장착되는 동작과, 장착센서(277)가 탄산수컨테이너(170)의 장착동작을 센싱하는 동작은 함께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착센서(277)를 통해 탄산수컨테이너(170)가 장착바디(272)에 장착되어야 탄산수의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함으로서, 탄산수제조과정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장착센서(277)는 탄산수컨테이너(170)가 장착바디(272)에 장착되는 동작을 센싱하면서, 탄산수컨테이너(170)가 장착바디(272)에 장착시 탄산수제조가능상태가 되도록 한다. 즉, 탄산수제조는 탄산수컨테이너(170)에서 이루어지게 되므로, 장착센서(277)에 의해 장착바디(272)로의 탄산수컨테이너(170)의 장착을 센싱함으로서, 탄산수제조가능상태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탄산수컨테이너(170)는 내부에 액체를 저장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컨테이너바디(172)와, 컨테이너바디(172)로부터 액체가 유출입가능하도록 컨테이너바디(172)의 일측에 마련되는 개구(173)를 포함할 수 있다.
탄산수컨테이너(170)는 컨테이너바디(172)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안착돌기(174)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돌기(174)는 개구(173)와 인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탄산수컨테이너(170)를 장착바디(272)에 장착시, 장착바디(272)에 개구(173)가 삽입되면서 안착돌기(174)가 안착되어 안착되도록 마련된다. 안착돌기(174)는 개구(173)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안착돌기(174)는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안착돌기(174)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마련된다.
탄산수컨테이너(170)의 개구(173)는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므로, 장착바디(272)는 개구(173)에 대응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탄산수컨테이너(170)의 개구(173)의 형상과 장착바디(27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장착바디(272)가 탄산수컨테이너(170)의 개구(173)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마련되면 만족한다.
탄산수컨테이너(170)는 장착바디(272)로부터 분리된 후 별도로 휴대가 용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탄산수컨테이너(170)는 개구(173)를 개폐할 수 있는 컨테이너커버(175)를 포함할 수 있다(도 15참고).
장착바디(272)는 안착돌기(174)가 안착되는 안착부(273)와, 안착돌기(174)를 안착부(273)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274)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273)는 안착돌기(174)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마련된다. 가이드레일(274)은 안착부(273)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안착돌기(174)가 가이드레일(274)을 따라 안착부(273)에 이르기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장착바디(272)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마련되며, 가이드레일(274)은 장착바디(272)의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장착바디(272)의 둘레방향을 제 1 방향이라 할 때, 가이드레일(274)은 제 1 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어 안착부(273)에 이르기까지 형성되도록 마련된다. 가이드레일(274)은 제 1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방향은 분리방향과, 장착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방향은 안착돌기(174)가 가이드레일(274)을 따라 안착부(273)를 향해 이동하는 방향이며, 분리방향은 안착돌기(174)가 가이드레일(274)을 따라 안착부(273)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방향이다. 일례로 탄산수컨테이너(170)의 개구(173)를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장착방향은 시계방향으로, 분리방향은 시계반대방향으로 정의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성을 달리하여 장착방향이 시계반대방향으로, 분리방향이 시계방향으로 정의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 안착돌기(174)가 4개가 마련되므로, 이에 대응하여 가이드레일(274)과 안착부(273)도 4개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된다.
장착바디(272)는 삽입홈(275)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홈(275)은 탄산수컨테이너(170)를 장착바디(272)에 삽입시, 안착돌기(174)가 가이드레일(274)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삽입홈(275)은 가이드레일(274)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장착바디(272)는 이탈방지돌기(276)를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돌기(276)는 가이드레일(274)의 안착돌기(174) 이동경로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돌기(276)는 안착부(273)에 위치한 안착돌기(174)가 안착부(273)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안착부(273)와 인접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이탈방지돌기(276)는 가이드레일(274)에서 안착돌기(174)의 이동경로상에 형성되며, 안착부(273)로부터 분리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장착센서(277)는 탄산수컨테이너(170)가 장착바디(272)에 장착되는 것을 감지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장착센서(277)는 안착돌기(174)가 장착바디(272)의 가이드레일(274)을 따라 안착부(273)로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도록 마련된다.
장착센서(277)는 센싱레버(278)와 센서부(279)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레버(278)는 회전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센싱레버(278)는 센싱레버중심축(278a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일측이 안착돌기(174)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센싱레버(278)는 안착돌기(174)가 가이드레일(274)상에 위치할 때 대응되는 미장착위치(278b)와, 안착돌기(174)가 가이드레일(274)을 이동하여 안착부(273)에 위치할 때 대응되는 장착위치(278a)를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장착센서(277)는 복귀탄성부재(277b)를 포함할 수 있다. 복귀탄성부재(277b)는 탄산수컨테이너(170)를 장착바디(272)로부터 분리시에, 센싱레버(278)가 장착위치(278a)로부터 미장착위치(278b)로 복귀하도록 마련된다.
센서부(279)는 센싱레버(278)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마련된다. 센서부(279)는 센싱레버(278)의 타측에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센싱레버(278)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마련된다.
센싱레버(278)의 타측에는 마그네틱(278bb)이 마련되고, 센서부(279)는 센싱레버(278)의 마그네틱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리드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센서부(279)는 일례로 센싱레버(278)의 타측에 의해 가압되어 온/오프되도록 마련되는 마이크로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센서(277)는 센서하우징(277a)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하우징(277a)은 센싱레버(278)와 센서부(279)가 외부로부터 노출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센서레버와 센서부(279)가 정수에 의해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된다.
탄산수컨테이너(170)를 장착바디(272)에 장착시에는, 탄산수컨테이너(170)의 개구(173)가 제조모듈(250)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탄산수컨테이너(170)의 개구(173)는 제조모듈바디(260)에 의해 밀폐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구성에 의해 밀폐될 수도 있다.
일례로 제조모듈(250)은 탄산수컨테이너(170)의 개구(173)가 밀폐될 수 있도록 패킹부(271a)를 포함할 수 있다. 패킹부(271a)는 장착바디(272)의 내부에서 탄산수컨테이너(170)의 개구(173)와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패킹부(271a)는 탄산수컨테이너(170)를 장착바디(272)에 장착시, 개구(173)가 밀폐되어 탄산수가 개구(173)를 통해 새어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7, 18,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컨테이너의 장착과 장착센서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19을 참고하여, 탄산수컨테이너(170)가 제조모듈(250)에 장착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탄산수컨테이너(170)를 취수공간(132)에 노출된 장착바디(272)에 장착한다.
탄산수컨테이너(170)의 안착돌기(174)는 삽입홈(275)을 따라 가이드레일(274)로 삽입된다.
안착돌기(174)가 가이드레일(274)에 위치하도록 탄산수컨테이너(170)를 장착바디(272)에 삽입후, 탄산수컨테이너(170)를 장착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 경우 안착돌기(174)는 장착방향으로 가이드레일(274)을 따라 이동하며, 안착부(273)에 위치하게 되면서, 탄산수컨테이너(170)는 장착바디(272)에 장착된다.
이와 함께, 장착센서(277)의 센싱레버(278)는 미장착위치(278b)에서 안착돌기(174)에 의해 가압되어 장착위치(278a)로 이동하게 되어, 탄산수컨테이너(170)가 제조모듈(250)로 장착된 것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탄산수컨테이너(170)의 개구(173)는 제조모듈바디(260)에 의해 밀폐되도록 마련된다.
탄산수컨테이너(170)가 제조모듈(250)에 장착한 뒤에는, 탄산수컨테이너(170)내부로 정수가 공급되고, 이산화탄소가 분사되어 탄산수가 제조된다. 자세하게는 탄산수컨테이너(170)가 제조모듈(250)에 안정적으로 장착되면, 탄산수컨테이너(170)는 탄산수제조 가능상태가 된다. 이러한 탄산수제조 가능상태는 유저인터페이스(4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탄산수 제조를 선택하게 되면, 탄산수컨테이너(170)로 급수가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요구 탄산수농도에 따라 이산화탄소가 공급될 수 있다.
탄산수컨테이너(170)가 장착바디(272)에 오장착하게 되는 경우에는, 안착돌기(174)가 가이드레일(274)로 삽입되지 않게 된다. 안착돌기(174)가 안착부(273)에 안착되지 않으면, 장착센서(277)는 미장착위치(278b)를 유지하게 되므로, 탄산수컨테이너(170)에서의 탄산수제조는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를 통해 탄산수컨테이너(170)가 오장착 또는 미장착되었는 데도 탄산수제조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제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탄산수컨테이너(170)에서의 탄산수 제조가 완료되어, 탄산수컨테이너(170)를 제조모듈(250)로부터 분리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탄산수컨테이너(170)의 안착돌기(174)가 안착부(273)로부터 가이드레일(274)을 따라 이동하도록, 탄산수컨테이너(170)를 분리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후 안착돌기(174)가 가이드레일(274)로부터 삽입홈(275)을 지나 장착바디(272)로부터 벗어나도록 탄산수컨테이너(170)와 제조모듈(250)을 분리시킨다.
이와 함께, 장착센서(277)의 센싱레버(278)는 장착위치(278a)에서 안착돌기(174)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면서 미장착위치(278b)로 이동하게 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모듈과 배출모듈에서의 이산화탄소의 유동과 정수의 유동에 관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모듈과 오버플로우감지센서의 배치에 관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플로우감지센서를 간락하게 도시한 도면, 도 23,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모듈에서의 배출유체의 유동에 관한 도면이다.
탄산수컨테이너(170)에서는 정수가 공급되고, 이산화탄소가 분사되는 과정을 거쳐 탄산수가 제조되게 된다. 그러나 탄산수컨테이너(170)의 내부용량은 일정하도록 마련되므로, 내부용량보다 많은 정수가 유입되거나, 탄산수가 제조되는 경우에는 탄산수컨테이너(170)로부터 넘치게 된다.
탄산수제조어셈블리(200)는 오버플로우감지센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오버플로우감지센서(140)는 탄산수컨테이너(170)내의 정수나 탄산수가 일정용량을 넘어서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도록 마련된다. 오버플로우감지센서(140)의 형태는 한정되지 않으며, 탄산수컨테이너(170) 내부에서 정수 또는 탄산수가 일정용량을 넘어서는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면 만족한다.
일례로 도 2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오버플로우감지센서(140)는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며, 한 쌍의 전극 중 하나의 전극은 그라운드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전극은 전원과 제어부에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전극이 정수에 닿지 않는 경우에는 전원에서의 전압이 제어부에서의 입력전압이 된다. 그러나 한 쌍의 전극이 정수에 닿는 경우에는 전원과 그라운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제어부에서의 입력전압, 한 쌍의 전극이 정수에 닿지 않는 경우의 제어부에서의 입력전압보다 낮아지게 된다.
오버플로우감지센서(140)에서 탄산수컨테이너(170)의 오버플로우를 감지하면, 급수를 중단하게 된다.
배출모듈(160)은 탄산수컨테이너(170)에서 탄산수가 제조되는 과정에서, 탄산수컨테이너(170)의 내부용량보다 많은 탄산수가 제조되는 경우에는 오버플로우되는 탄산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탄산수컨테이너(170)에서 오버플로우되는 탄산수는 릴리프밸브(150)를 통해 탄산수컨테이너(17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릴리프밸브(150)를 통해 배출되는 탄산수 또는 고압의 이산화탄소가스는 배출모듈(160)로 유입되도록 마련된다.
배출모듈(160)은 탄산수컨테이너(170)로부터 오버플로우되는 탄산수 또는 이산화탄소가 탄산수컨테이너(170)를 우회하여 배출되도록 마련된다. 배출모듈(160)은 릴리프밸브(150)의 토출부를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출모듈(160)은 배출모듈바디(162)와, 배출구(163)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모듈바디(162)는 릴리프밸브(150)의 토출부를 감싸도록 마련되어 릴리프밸브(150)의 토출부로부터 토출되는 정수, 탄산수 또는 고압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모듈바디(162) 내부로 유동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릴리프밸브(150)의 토출부는 배출모듈바디(162)의 내부에 형성되는 토출공간(162a)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배출구(163)는 디스펜서 하우징(130)의 후면을 향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배출모듈(160)은 배출구(163)와 연결되는 배출관(164)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관(164)은 배출구(163)로부터 배출되는 정수, 탄산수 또는 이산화탄소와 같은 배출유체를 가이드하여 배출모듈(160)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된다. 즉, 배출관(164)의 일단은 배출구(163)와 연결되며, 타단은 디스펜서 하우징(130)의 후면을 향하도록 마련되어, 디스펜서 하우징(130)의 후면으로 배출유체가 배출되도록 마련된다.
배출구(163)는 디스펜서 하우징(130)의 후면을 향하도록 마련되어, 배출구(163)로부터 배출되는 배출액체는 디스펜서 하우징(130)의 후면을 따라 흘러 집수케이스(134)로 유동하도록 마련된다.
이를 통해 오버플로우된 정수 또는 탄산수가 탄산수컨테이너(170)에 영향을 주지 않고, 집수케이스(134)로 집수됨에 따라 청결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제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배출모듈바디(162)는 하부를 형성하는 배출바닥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바닥부(166)는 배출구(163)와 인접하도록 마련되며, 배출구(163)를 향해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배출모듈바디(162)로 유입되는 정수 또는 탄산수와 같은 배출액체가 배출바닥부(166)에서 배출구(163)로 용이하게 배출 될 수 있게 된다.
배출모듈(160)은 배출모듈바디(162) 내부에 마련되어 릴리프밸브(150)로부터 토출되는 배출액체가 배출바닥부(166)로 유동하도록 배출유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배출리브(168)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배출리브(168)는 토출공간(162a)과 배출바닥부(166) 사이에 형성되도록 마련된다. 토출공간(162a)으로 배출되는 배출액체는 복수의 배출리브(168)를 지나서 배출바닥부(166)로 유동하도록 구성된다. 토출공간(162a)으로 배출되는 배출액체는 복수의 배출리브(168)를 순차적으로 지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배출리브(168)는 상호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배출리브(168)는 상호 교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토출공간(162a)에서 발생하여 배출바닥부(166)로 전달되는 토출소음이 복수의 배출리브(168)에 의해 절감될 수 있다.
복수의 배출리브(168)가 상호간에 엇갈리도록 배치됨에 따라, 복수의 배출리브(168)가 형성하는 배출유로가 지그재그로 형성되게 된다. 배출유로가 지그재그로 형성되어, 배출바닥부(166)로부터 배출액체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배출리브(168)에 의해 배출유로를 지그재그로 형성할 수 있어서, 복수의 배출리브(168)를 구성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배출유로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릴리프밸브(150)로부터 배출액체가 토출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유동하는 거리가 길어지게 됨으로서, 토출소음 또한 줄어들게 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배출리브(168)는 릴리프밸브(150)로부터 발생하는 토출소음이 직접 전달되는 것을 가로막도록 구성되고, 복수의 배출리브(168)에 의해 배출유로를 통해 전달되는 소음의 이동거리를 길게할 수 있어, 토출소음이 줄어들 수 있게 된다.복수의 배출리브(168)는 적어도 일부의 배출리브(168)가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토출공간(162a)으로 배출되는 배출액체가 배출바닥부(166)로의 유동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을 통해 배출바닥부(166)로부터 배출액체가 역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25,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공급밸브에 관한 도면이다.
이산화탄소 공급밸브(230)는 이산화탄소 실린더(222)로부터 제조모듈(250)로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이산화탄소 공급모듈(220)은 이산화탄소 공급밸브(230)를 통해 이산화탄소 실린더(222)로부터 토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조절하도록 마련된다. 이산화탄소 공급밸브(230)를 통해 이산화탄소 실린더(222)로부터 제조모듈(250)로 전달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조절함으로서, 탄산수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산화탄소 공급모듈(220)은 이산화탄소 실린더(222)로부터 토출되는 이산화탄소를 감압하는 레귤레이터(미도시)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제조모듈(250)로 전달되는 이산화탄소가 감압되어 공급되도록 마련됨으로서, 탄산수의 농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산화탄소 공급밸브(230)는 실린더커넥터(231), 이산화탄소 공급모터(232), 공급기어부(234)를 포함한다.
실린더커넥터(231)는 이산화탄소 실린더(222)가 결합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실린더커넥터(231)는 이산화탄소 실린더(222)의 이산화탄소 출구에 설치될 수 있다. 실린더커넥터(231)는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배출관(231a) 및 이산화탄소 실린더(222)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제어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배출 버튼(231b)을 포함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 배출버튼(231b)이 가압되면, 이산화탄소 실린더(222)에 저장된 이산화탄소가 이산화탄소 배출관(231a)으로 배출된다. 또한, 이산화탄소 배출버튼(231b)이 가압되지 않으면, 이산화탄소 실린더(222)에 저장된 이산화탄소가 배출되지 않는다.
이산화탄소 공급모터(232)는 실린더커넥터(231)의 이산화탄소 배출버튼(231b)을 가압하기 위한 회전력을 생성한다.
공급기어부(234)는 이산화탄소 공급모터(232)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이산화탄소 배출버튼(231b)을 가압하도록 마련된다.
공급기어부(234)는 웜기어(235)와, 웜휠(236)를 포함한다. 웜기어(235)는 이산화탄소 공급모터(232)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웜기어회전축(235a)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웜기어(235)의 외주면에는 회전력을 웜휠(236)에 제공하기 위한 나선형의 치가 형성된다.
웜휠(236)은 웜기어(235)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웜휠 회전축(236a)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웜휠(236)의 외주면에는 웜기어(235)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기 위한 치가 형성된다.
공급기어부(234)는 웜휠(236)과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감속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감속기어는 기어비를 이용하여, 웜휠(236)의 회전속도를 절감시키도록 마련된다. 감속기어는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상 한 쌍이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를 각각 제 1 감속기어(237)와 제 2 감속기어(238)로 설명한다.
웜휠(236)은 웜휠(236)의 외주면보다 작은 외주면을 갖고, 일체로 형성되는 내측윔휠(236b)을 포함한다. 제 1 감속기어(237)는 내측웜휠(236b)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제 1 감속기어회전축(237a)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 1 감속기어(237)는 제 1 감속기어(237)의 외주면보다 작은 외주면을 갖고, 일체로 형성되는 제 1 내측감속기어(237b)를 포함한다. 제 2 감속기어(238)는 제 1 내측감속기어(237b)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제 2 감속기어회전축(238a)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웜기어(235)의 회전속도는 제 2 감속기어(238)로 전달되면서 감속되게 된다.
공급기어부(234)는 편심회전부재(239)를 포함할 수 있다. 편심회전부재(239)는 기어에 일측면에 형성되어 기어와 함께 회전하도록 마련된다. 편심회전부재(239)의 배치는 한정되지 않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감속기어(238)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감속기어를 생략하는 경우에는 윔휠(236)에 형성될 수 있다.
편심회전부재(239)는 회전하는 동안, 그 외주면과 접하는 공급레버(240)의 외면과, 회전축 사이의 거리가 변화한다.
이산화탄소 공급밸브(230)는 공급레버(24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레버(240)는 일단이 공급레버회전축(240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되며, 타단은 편심회전부재(239)에 의해 동작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편심회전부재(239)가 회전하는 동안에 공급레버(240)는 편심회전부재(239)와 접하여 공급레버회전축(240a)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처럼 편심회전부재(239)가 회전하는 동안 편심회전부재(239)의 외주면과 접하는 공급레버(240)의 외면과 제 2 감속기어회전축(238a)사이의 거리가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여 공급레버(240)는 실린더커넥터(231)의 이산화탄소 배출버튼(231b)을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편심회전부재(239)의 외주면과 접하는 공급레버(240)의 외면부분이 제 2 감속기어회전축(238a)과 최소거리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공급레버(240)는 이산화탄소 배출버튼(231b)을 가압하지 않는다. 반대로 편심회전부재(239)의 외주면과 접하는 공급레버(240)의 외면부분이 제 2 감속기어회전축(238a)과 최대거리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공급레버(240)는 이산화탄소 배출버튼(231b)을 가압하여 이산화탄소 배출관(231a)을 통해 이산화탄소가 배출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냉장고 10 : 본체
20, 30 : 저장실 21, 22, 31 : 도어
100 : 디스펜서 120 : 디스펜서모듈
130 : 디스펜서 하우징 132 : 취수공간
170 : 탄산수컨테이너 172 : 컨테이너바디
173 : 개구 174 : 안착돌기
200 : 탄산수제조어셈블리 210 : 정수공급모듈
220 : 이산화탄소 공급모듈 222 : 이산화탄소 실린더
230 : 이산화탄소 공급밸브 250 : 제조모듈
260 : 제조모듈바디 261 : 제 1 모듈바디
271 : 제 2 모듈바디 272 : 장착바디
277 : 장착센서 280 : 노즐모듈
282 : 노즐관 290 : 밸브유닛

Claims (22)

  1. 냉장공간을 갖는 냉장고본체;
    상기 냉장고본체에 마련되는 탄산수제조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탄산수제조어셈블리는,
    제조모듈;
    상기 제조모듈에 연결되어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공급모듈;
    상기 제조모듈에 분리가능하게 마련되고, 탄산수가 제조되는 탄산수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제조모듈은,
    상기 탄산수컨테이너가 장착되는 장착바디;
    상기 장착바디로 상기 탄산수컨테이너가 장착되는 것을 센싱하여 탄산수제조가능상태가 되도록 하는 장착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수컨테이너가 상기 장착바디에 장착되는 동작과, 상기 장착센서가 상기 탄산수컨테이너의 장착동작을 센싱하는 동작은 함께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수컨테이너는,
    컨테이너바디;
    상기 컨테이너바디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안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바디는,
    상기 안착돌기가 장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돌기를 상기 안착부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센서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거나 상기 안착부에 장착되는 상기 안착돌기의 이동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수컨테이너는,
    제 1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안착부에 장착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바디는,
    상기 가이드레일에서 상기 안착돌기의 이동경로상에 형성되며, 상기 안착돌기가 상기 안착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이탈방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바디는,
    상기 안착돌기가 상기 가이드레일로 삽입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센서는,
    일측이 상기 안착돌기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센싱레버;
    상기 센싱레버의 타측에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센싱레버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레버는,
    상기 탄산수컨테이너를 상기 장착바디에 장착시, 상기 안착돌기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하는 장착위치;
    상기 탄산수컨테이너를 상기 장착바디로부터 분리시, 상기 안착돌기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어 상기 장착위치로부터 이동하는 미장착위치;를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센서는,
    상기 탄산수컨테이너를 상기 제조모듈로부터 분리할 때, 상기 센싱레버를 상기 장착위치에서 상기 미장착위치로 복귀이동하도록 마련되는 복귀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센싱레버의 타측에 의해 가압되어 온/오프되도록 마련되는 마이크로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센싱레버의 타측에 마련되는 마그네틱과 대응되어 상기 마그네틱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리드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본체의 전면에서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탄산수컨테이너를 수용가능하게 마련되는 취수공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바디는,
    상기 취수공간에 노출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수컨테이너는,
    액체의 유출입을 위해 일측이 개방된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탄산수컨테이너를 상기 제조모듈에 장착시, 상기 제조모듈에 의해 상기 개구는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모듈은,
    상기 개구가 밀폐되도록 상기 개구에 대응하여 상기 장착바디 내부에 마련되는 패킹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냉장공간을 갖는 냉장고본체;
    상기 냉장고본체에 마련되는 탄산수제조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탄산수제조어셈블리는,
    상기 냉장고본체의 일측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취수공간;
    상기 취수공간에 수용가능하게 마련되어, 탄산수가 제조되는 탄산수컨테이너;
    상기 탄산수컨테이너에서 탄산수가 제조되도록,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공급모듈;
    상기 이산화탄소공급모듈이 연결되는 제조모듈;를 포함하고,
    상기 제조모듈은,
    상기 취수공간에 노출되어, 상기 탄산수컨테이너가 분리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장착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모듈은,
    상기 장착바디로 상기 탄산수컨테이너가 장착되는 것을 센싱하는 장착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수컨테이너는,
    일측이 개방된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탄산수컨테이너를 상기 제조모듈에 결합시, 상기 제조모듈에 의해 상기 개구는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모듈은,
    상기 개구가 밀폐되도록 상기 개구에 대응하여 상기 장착바디 내부에 마련되는 패킹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냉장공간을 갖는 냉장고본체;
    상기 냉장고본체에 마련되는 탄산수제조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탄산수제조어셈블리는,
    제조모듈;
    컨테이너바디와, 상기 컨테이너바디 일측에 마련되는 개구와, 상기 개구와 인접하여 돌출형성되는 안착돌기를 갖고, 상기 제조모듈에 분리가능하게 마련되는 탄산수컨테이너;
    상기 제조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탄산수컨테이너에 분사되는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 공급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조모듈은,
    상기 탄산수컨테이너의 장착을 위해 상기 안착돌기를 가이드하도록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장착바디;
    상기 가이드레일을 이동하는 상기 안착돌기의 동작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장착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바디는,
    상기 가이드레일에서 상기 안착돌기의 이동경로상에 형성되며, 상기 안착돌기가 상기 안착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이탈방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바디는,
    상기 안착돌기가 상기 가이드레일로 삽입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50024136A 2015-02-17 2015-02-17 냉장고 KR102214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136A KR102214312B1 (ko) 2015-02-17 2015-02-17 냉장고
PL16155986T PL3059532T3 (pl) 2015-02-17 2016-02-16 Lodówka
US15/044,507 US10190817B2 (en) 2015-02-17 2016-02-16 Refrigerator
EP16155986.9A EP3059532B1 (en) 2015-02-17 2016-02-16 Refrigerator
CN201610090368.0A CN105890274B (zh) 2015-02-17 2016-02-17 电冰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136A KR102214312B1 (ko) 2015-02-17 2015-02-17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489A true KR20160101489A (ko) 2016-08-25
KR102214312B1 KR102214312B1 (ko) 2021-02-09

Family

ID=55405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4136A KR102214312B1 (ko) 2015-02-17 2015-02-17 냉장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90817B2 (ko)
EP (1) EP3059532B1 (ko)
KR (1) KR102214312B1 (ko)
CN (1) CN105890274B (ko)
PL (1) PL3059532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4736A1 (ko) * 2022-06-03 2023-12-07 코웨이 주식회사 센싱모듈,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및 정수기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83134B2 (en) * 2009-06-03 2016-07-05 Whirlpool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a dispensing system of a refrigerated applian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2048A (ko) * 2009-03-10 2010-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30128524A (ko) * 2012-05-17 2013-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탄산수 제조 장치를 갖는 냉장고
KR20140068952A (ko) * 2011-08-10 2014-06-09 소다스트림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소다 기계의 갈퀴형 클램프
KR20140108092A (ko) * 2013-02-28 2014-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08467A (ko) * 2013-02-28 2014-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탄산수 제조 장치를 갖춘 냉장고
KR20140108469A (ko) * 2013-02-28 2014-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탄산수 제조 장치를 갖춘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26401A (en) * 1956-02-27 1958-03-11 Leslie E Peters Liquid carbonating apparatus
US4323090A (en) 1980-05-19 1982-04-06 Bronardi Inc. Apparatus for aerating liquids
ZA822530B (en) * 1981-04-27 1983-03-30 Sodastream Ltd Apparatus for aerating liquids
USRE32142E (en) * 1982-09-13 1986-05-13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carbonated beverages
US7083071B1 (en) * 2000-06-08 2006-08-01 Beverage Works, Inc. Drink supply canister for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ITMI20021045A1 (it) * 2002-05-16 2003-11-17 Whirlpool Co Frigorifero con distributore di acqua gassata
KR20050095339A (ko) 2004-03-26 2005-09-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탄산수 제조기를 구비한 냉장고
KR101484792B1 (ko) * 2007-09-18 2015-01-20 가부시키가이샤 리드 맥주 거품 내기 장치
US8746296B2 (en) * 2012-05-22 2014-06-10 General Electric Company Refrigerator appliance with features for assisted dispensing
US9309103B2 (en) * 2010-05-03 2016-04-12 Cgp Water Systems, Llc Water dispenser system
CN103876625A (zh) 2014-02-18 2014-06-25 宁波鸿图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碳酸饮用水制备设备
KR102237595B1 (ko) 2014-08-13 2021-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CN204580904U (zh) 2015-04-01 2015-08-26 宁波瑞易电器科技发展有限公司 防爆型苏打水机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2048A (ko) * 2009-03-10 2010-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40068952A (ko) * 2011-08-10 2014-06-09 소다스트림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소다 기계의 갈퀴형 클램프
KR20130128524A (ko) * 2012-05-17 2013-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탄산수 제조 장치를 갖는 냉장고
KR20140108092A (ko) * 2013-02-28 2014-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08467A (ko) * 2013-02-28 2014-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탄산수 제조 장치를 갖춘 냉장고
KR20140108469A (ko) * 2013-02-28 2014-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탄산수 제조 장치를 갖춘 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4736A1 (ko) * 2022-06-03 2023-12-07 코웨이 주식회사 센싱모듈,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및 정수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890274A (zh) 2016-08-24
CN105890274B (zh) 2018-09-11
PL3059532T3 (pl) 2019-09-30
KR102214312B1 (ko) 2021-02-09
US10190817B2 (en) 2019-01-29
US20160238309A1 (en) 2016-08-18
EP3059532A1 (en) 2016-08-24
EP3059532B1 (en) 2019-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1488A (ko) 냉장고
CN103868318B (zh) 冰箱
KR20160101490A (ko) 냉장고
US9366388B2 (en) Refrigerator appliance and a method for monitoring a water filter assembly within the same
KR102104539B1 (ko) 탄산수 제조 장치를 갖춘 냉장고
KR101929455B1 (ko) 탄산수 제조 장치를 갖는 냉장고
KR101403754B1 (ko) 냉장고
KR102061162B1 (ko) 탄산수 제조 장치를 갖춘 냉장고
KR20180080056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MXPA06010859A (es) Puerta de refrigerador.
KR102028023B1 (ko) 탄산수 제조 장치를 갖춘 냉장고
CN103782119A (zh) 冰箱
US9987572B2 (en) Filter assembly and a refrigerator appliance
KR101669662B1 (ko) 정수필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160101489A (ko) 냉장고
KR101519198B1 (ko) 냉장고
KR101962130B1 (ko) 냉장고
KR101998560B1 (ko) 탄산수 제조 장치를 갖춘 냉장고
KR102061164B1 (ko) 탄산수 제조 장치를 갖춘 냉장고
KR20080027646A (ko) 기능성 음료 급수기를 갖는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