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9455B1 - 탄산수 제조 장치를 갖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탄산수 제조 장치를 갖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9455B1
KR101929455B1 KR1020120052302A KR20120052302A KR101929455B1 KR 101929455 B1 KR101929455 B1 KR 101929455B1 KR 1020120052302 A KR1020120052302 A KR 1020120052302A KR 20120052302 A KR20120052302 A KR 20120052302A KR 101929455 B1 KR101929455 B1 KR 101929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ated water
water tank
carbon dioxide
carbonated
dioxid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8524A (ko
Inventor
경용수
이상탁
황경호
임현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2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9455B1/ko
Priority to US13/855,071 priority patent/US9789449B2/en
Priority to CN201310180861.8A priority patent/CN103423936B/zh
Priority to EP13168011.8A priority patent/EP2664880B1/en
Publication of KR20130128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8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specially adapted for aerating or carbonating beverages
    • B01F23/2362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specially adapted for aerating or carbonating beverages for aerating or carbonating within receptacles or tanks, e.g. distribution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54Mixing with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57Carbon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1Level gauges for beverage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2Devices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conditions
    • B67D1/0884Means for controlling the parameters of the state of the liquid to be dispensed, e.g. temperature,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52Gas pressure control means, e.g. for maintaining proper carbo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2001/1259Fluid level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2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tank for the water/ice dispen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이산화탄소 가스가 저장된 이산화탄소 실린더와, 정수와 이산화탄소 가스를 혼합하여 탄산수를 생성하는 탄산수 탱크가 조립되어 일체로 형성된 탄산수 생성 모듈을 갖는다. 탄산수 생성 모듈은 도어의 배면에 마련되어 냉장실 내부의 냉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고, 접근이 용이하여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다. 디스펜서는 탄산수 탱크에서 탄산수가 배출되는 탄산수 배출 유로와, 워터 탱크에서 정수가 배출되는 정수 배출 유로를 포함하고, 정수 배출 유로는 탄산수 탱크를 경유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언제든지 정수 또는 탄산수를 선택하여 취수할 수 있다.

Description

탄산수 제조 장치를 갖는 냉장고{Refrigerator Having Apparatus For Producing Carbonated Water}
본 발명은 탄산수 제조 장치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을 저장하는 저장실과,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를 구비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가전기기이다.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여 냉장고에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장치와, 도어를 열지 않고서도 외부에서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가 구비되기도 한다.
냉장고에는 나아가 탄산수를 제조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가 구비되기도 한다. 탄산수 제조 장치는 고압의 이산화탄소 가스가 저장된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와, 이산화탄소 가스와 물을 혼합하여 탄산수를 제조하는 탄산수 탱크로 구성된다.
탄산수 탱크에서 제조된 탄산수는 디스펜서를 통해 외부의 취수공간으로 연결되어 도어를 열지 않고서도 외부에서 탄산수를 취수할 수 있도록 마련되기도 한다.
다만, 이러한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와 탄산수 탱크는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저장실 내부에 마련되는 바, 탄산수 탱크와 디스펜서를 연결하는 튜브의 길이가 길어짐으로써 탄산수가 튜브를 따라 디스펜서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탄산수의 농도 변화 등으로 인해 탄산수의 맛이 변질될 우려가 있다.
또한,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를 교체할 시에 저장실에 저장된 식품의 위치를 변경시켜야 하는 등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의 교체 작업에 불편함이 따른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정수와 탄산수를 선택적으로 취수할 수 있고, 이때 정수와 탄산수가 상호 섞이지 않아 정수와 탄산수의 고유의 맛이 유지된 채로 취수할 수 있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탄산수 탱크와 디스펜서 취수 공간과의 경로가 단축되어 탄산수 취수 시에 탄산수 농도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에 접근이 용이하여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와 탄산수 탱크가 하나의 모듈로 제공되어 조립성이 향상되고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 냉장고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탄산수가 저장실 내부의 냉기에 의해 적정 온도로 냉각 및 유지될 수 있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개방된 전면을 갖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와, 정수를 저장하는 워터 탱크;와, 이산화탄소 가스가 저장된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와, 상기 정수와 상기 이산화탄소 가스를 혼합하여 탄산수를 생성하는 탄산수 탱크를 갖고, 상기 도어의 배면에 장착되는 탄산수 생성 모듈; 및 상기 도어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취수 공간과, 상기 취수 공간에서 상기 탄산수를 취수할 수 있도록 상기 탄산수 탱크와 상기 취수 공간을 연결하는 탄산수 배출 유로와, 상기 취수 공간에서 상기 정수를 취수할 수 있도록 상기 워터 탱크와 상기 취수 공간을 연결하고 상기 탄산수 탱크를 경유하지 않는 정수 배출 유로를 갖는 디스펜서; 를 포함한다.
여기서, 냉장고는 상기 탄산수 탱크에 상기 정수를 공급하도록 상기 워터 탱크와 상기 탄산수 탱크를 연결하는 정수 공급 유로;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냉장고는 상기 탄산수 배출 유로의 개폐와, 상기 정수 배출 유로의 개폐와, 상기 정수 공급 유로의 개폐를 수행하는 통합 밸브 어셈블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합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워터 탱크에 연결되는 제 1 유입 포트와, 상기 탄산수 탱크에 연결되는 제 2 유입 포트와, 상기 탄산수 탱크에 연결되는 제 1 유출 포트와, 상기 취수 공간에 연결되는 제 2 유출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정수 공급 유로를 개폐하는 정수 공급 밸브와, 상기 정수 배출 유로를 개폐하는 정수 배출 밸브와, 상기 탄산수 배출 유로를 개폐하는 탄산수 배출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정수 공급 밸브와 상기 정수 배출 밸브와 상기 탄산수 배출 밸브는 각각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합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의 배면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산수 탱크에는 상기 탄산수 탱크에 공급된 정수의 양을 측정하는 수위 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산수 탱크에는 상기 탄산수 탱크에 공급된 정수 또는 상기 탄산수 탱크에서 생성된 탄산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산수 탱크에는 상기 탄산수 탱크에 상기 정수를 주입하기 위해 상기 탄산수 탱크에 남아 있는 이산화탄소 가스를 배출시키는 배기 밸브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산수 탱크에는 상기 탄산수 탱크에 소정 압력을 초과하는 압력의 이산화탄소 가스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초과 압력의 이산화탄소를 배출시키는 안전 밸브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산수 배출 유로와 상기 정수 배출 유로는 일 지점에서 합류되어 통합 배출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 배출 유로에는 잔수의 배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통합 배출 유로를 개폐하는 잔수 배출 방지 밸브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산수 탱크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개방된 전면을 갖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및 탄산수를 생성하도록 상기 도어의 배면에 마련되는 탄산수 생성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탄산수 생성 모듈은, 탄산수를 생성하는 탄산수 탱크와, 상기 탄산수 탱크를 수용하는 제 1 수용 공간을 갖는 제 1 모듈과, 상기 탄산수 탱크에 이산화탄소 가스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와, 상기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를 수용하는 제 2 수용 공간을 갖고, 상기 제 1 모듈의 하측에 마련되는 제 2 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모듈은 상기 제 1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제 1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모듈은 상기 제 2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제 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수용 공간을 개방함이 없이 상기 제 2 수용 공간을 개방하여 상기 제 2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를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커버와 상기 제 2 커버는 상호 독립적으로 상기 제 1 수용 공간과 상기 제 2 수용공간을 개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커버에는 상기 제 1 커버가 상기 제 1 수용 공간을 닫은 상태에도 상기 탄산수 탱크에 상기 저장실의 냉기가 유입되어 상기 탄산수 탱크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통풍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냉장고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장치; 및 상기 제빙장치에서 생성된 얼음을 상기 도어의 외부로 안내하는 얼음안내통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모듈은 상기 얼음안내통로의 측방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개방된 전면을 갖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와, 정수를 저장하는 워터 탱크;와, 탄산수를 생성하는 탄산수 생성 모듈; 및 상기 도어를 열지 않고 외부에서 상기 탄산수 또는 상기 정수를 취수하도록 상기 도어에 마련되는 디스펜서; 를 포함하고, 상기 탄산수 생성 모듈은, 이산화탄소 가스가 저장된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와, 상기 정수와 상기 이산화탄소 가스를 혼합하여 상기 탄산수를 생성하는 탄산수 탱크와, 상기 이상화탄소 실린더와 상기 탄산수 탱크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갖고, 상기 도어의 배면에 결합되는 모듈 케이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모듈 케이스는 상기 모듈 케이스가 상기 도어의 배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모듈 케이스에 수용된 상기 탄산수 탱크와 상기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에 접근 가능하도록 개방된 일면과, 상기 탄산수 탱크와 상기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개방된 일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 케이스에는 상기 수용 공간에 상기 저장실 내부의 냉기가 유입되어 상기 탄산수 탱크를 냉각시키도록 통풍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산수 생성 모듈은 상기 워터 탱크로부터 상기 탄산수 탱크로의 상기 정수의 공급과, 상기 워터 탱크로부터 상기 취수 공간으로의 상기 정수의 공급과, 상기 탄산수 탱크로부터 상기 취수 공간으로의 상기 탄산수의 공급을 조절하는 통합 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호 구획되도록 형성되고, 각각 전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상측의 냉장실 및 하측의 냉동실;과, 상기 냉장실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냉장실 도어 및 제 2 냉장실 도어;와, 상기 냉동실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냉동실 도어;와, 정수를 저장하도록 상기 냉장실의 내부에 마련되는 워터 탱크;와, 이산화탄소 가스가 저장된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와, 상기 정수와 상기 이산화탄소 가스를 혼합하여 탄산수를 생성하는 탄산수 탱크를 갖고,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의 배면에 장착되는 탄산수 생성 모듈; 및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 및 상기 제 2 냉장실 도어를 열지 않고 외부에서 상기 정수와 상기 탄산수를 취수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에 마련되는 디스펜서; 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호 구획되도록 형성되고, 각각 전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냉장실 및 냉동실;과, 상기 냉장실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냉장실 도어;와, 상기 냉동실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냉동실 도어;와, 정수를 저장하도록 상기 냉장실의 내부에 마련되는 워터 탱크;와, 이산화탄소 가스가 저장된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와, 상기 정수와 상기 이산화탄소 가스를 혼합하여 탄산수를 생성하는 탄산수 탱크를 갖고, 상기 냉장실 도어의 배면에 장착되는 탄산수 생성 모듈; 및 상기 냉장실 도어를 열지 않고 외부에서 상기 정수와 상기 탄산수를 취수할 수 있도록 상기 냉장실 도어에 마련되는 디스펜서; 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개방된 전면을 갖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와, 정수를 저장하는 워터 탱크;와, 이산화탄소 가스가 저장된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와, 상기 정수와 상기 이산화탄소 가스를 혼합하여 탄산수를 생성하는 탄산수 탱크;와, 상기 탄산수 탱크에 공급된 정수 또는 상기 탄산수 탱크에서 생성된 탄산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탄산수의 생성이 완료되었음을 표시하거나 상기 생성된 탄산수의 온도가 소정 온도에 도달하였음을 알리는 표시부; 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탄산수 탱크에 상기 정수의 공급을 개시하고, 상기 탄산수 탱크에 상기 정수의 공급이 완료되고 상기 탄산수 탱크에 공급된 상기 정수의 온도가 소정 온도까지 냉각되면 상기 탄산수를 생성하도록 상기 탄산수 탱크에 상기 이산화탄소 가스의 공급을 개시하고, 상기 탄산수의 생성이 완료되면 상기 탄산수의 생성이 완료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탄산수 탱크에 상기 정수의 공급을 개시하고, 상기 탄산수 탱크에 상기 정수의 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탄산수를 생성하도록 상기 탄산수 탱크에 상기 이산화탄소 가스의 공급을 개시하고, 상기 탄산수의 생성이 완료되고 상기 생성된 탄산수가 소정 온도까지 냉각되면 상기 탄산수가 소정 온도에 도달하였음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산수의 생성이 완료되면 상기 생성된 탄산수가 소정 온도까지 냉각되기 전이라도 상기 탄산수를 취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저장실과, 워터 탱크와,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와, 수위 센서와 온도 센서를 갖는 탄산수 탱크와, 상기 워터 탱크와 상기 탄산수 탱크를 연결하는 정수 공급 유로에 설치된 정수 공급 밸브와, 상기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와 상기 탄산수 탱크를 연결하는 이산화탄소 가스 공급 유로에 설치된 이산화탄소 가스 공급 밸브를 갖고, 상기 냉장고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정수 공급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수위 센서를 통해 상기 탄산수 탱크에 공급된 정수의 양을 측정하고, 상기 탄산수 탱크에 공급된 정수의 양이 소정 양에 도달하면 상기 정수 공급 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온도 센서를 통해 상기 탄산수 탱크에 공급된 정수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탄산수 탱크에 공급된 정수의 온도가 소정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탄산수 탱크에 공급된 정수를 상기 저장실 내부의 냉기로 자연 냉각시키고, 상기 탄산수 탱크에 공급된 정수의 온도가 소정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이산화탄소 가스 공급 밸브를 소정 회당 공급 시간과 소정 간격으로 소정 횟수 개폐하여 상기 탄산수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저장실과, 워터 탱크와,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와, 수위 센서와 온도 센서를 갖는 탄산수 탱크와, 상기 워터 탱크와 상기 탄산수 탱크를 연결하는 정수 공급 유로에 설치된 정수 공급 밸브와, 상기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와 상기 탄산수 탱크를 연결하는 이산화탄소 가스 공급 유로에 설치된 이산화탄소 가스 공급 밸브를 갖고, 상기 냉장고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정수 공급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수위 센서를 통해 상기 탄산수 탱크에 공급된 정수의 양을 측정하고, 상기 탄산수 탱크에 공급된 정수의 양이 소정 양에 도달하면 상기 정수 공급 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이산화탄소 가스 공급 밸브를 소정 회당 공급 시간과 소정 간격으로 소정 횟수 개폐하여 상기 탄산수를 생성하고, 상기 온도 센서를 통해 상기 탄산수 탱크에서 생성된 탄산수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탄산수 탱크에서 생성된 탄산수의 온도가 소정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탄산수 탱크에서 생성된 탄산수를 상기 저장실 내부의 냉기로 자연 냉각시키고, 상기 탄산수 탱크에서 생성된 탄산수의 온도가 소정 온도에 도달하면 이를 알리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와 탄산수 탱크가 하나의 모듈로 마련되어 도어의 배면에 장착되므로 조립이 용이하다.
또한, 식품의 이동 없이 직접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에 접근 가능하므로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의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다.
또한, 탄산수 탱크와 디스펜서 취수공간과의 취수 경로가 짧기 때문에 취수 시에 탄산수 농도의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디스펜서는 탄산수 탱크와 취수 공간을 연결하는 탄산수 배출 유로와, 워터 탱크와 취수 공간을 연결하는 정수 배출 유로를 갖고, 정수 배출 유로는 탄산수 탱크를 경유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언제든지 정수와 탄산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취수할 수 있다.
또한, 탄산수 탱크는 저장실 내부의 냉기에 의해 적정 온도로 냉각 및 유지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탄산수 탱크에 마련된 온도 센서를 통해 취수하기 적정한 온도로 탄산수를 생성 및 유지하고 이를 표시해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냉장고의 탄산수 생성 모듈의 조립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냉장고의 탄산수 생성 모듈의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냉장고의 탄산수 생성 및 배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은 도 1의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7은 도 1의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8은 도 1의 냉장고의 다른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실(20,30)과, 저장실(20,30)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저장실(20,30)을 형성하는 내상과, 내상의 외측에 결합되어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과, 내상과 외상 사이에 배치되어 저장실(20,30)을 단열하는 단열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실(20,30)은 중간격벽(11)에 의해 상측의 냉장실(20)과, 하측의 냉동실(30)로 구획될 수 있다. 냉장실(20)은 대략 영상 3 ℃ 의 온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장 보관할 수 있고, 냉동실(30)은 대략 영하 18.5 ℃ 의 온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동 보관할 수 있다. 냉장실(20)에는 식품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선반(23)과, 식품을 밀폐 보관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 박스(27)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냉장실(20)의 상부 모퉁이에는 얼음을 생성할 수 있는 제빙실(81)이 제빙실 케이스(82)에 의해 냉장실(20)과 구획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빙실(81)에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트레이와, 제빙트레이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버킷 등의 제빙 장치(80)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냉장실(20)에는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워터 탱크(70)가 마련될 수 있다. 워터 탱크(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수납 박스(27)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냉장실(20) 내부의 냉기에 의해 워터 탱크(70)의 물이 냉각될 수 있도록 냉장실(20) 내부에만 마련되면 족하다.
워터 탱크(70)는 수도와 같은 외부의 급수원(40,도 5)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정수필터(50,도 5)를 통해 정수된 정수를 저장할 수 있다. 외부의 급수원(40)과 워터 탱크(70)를 연결하는 급수관에는 유로 전환 밸브(60)가 마련될 수 있고, 유로 전환 밸브(50)를 통해 제빙 장치(80)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냉장실(20)과 냉동실(30)은 각각 식품을 출납할 수 있도록 개방된 전면을 갖고, 냉장실(20)의 개방된 전면은 본체(10)에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 도어(21,22)에 의해 개폐될 수 있고, 냉동실(30)의 개방된 전면은 본체(1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3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냉장실 도어(21,22)의 배면에는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도어 가드(24)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냉장실 도어(21,22) 배면 테두리부에는 냉장실 도어(21,22)가 닫혔을 때 냉장실 도어(21,22)와 본체(10)의 사이를 밀폐하여 냉장실(20)의 냉기를 단속하는 가스켓(28)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냉장실 도어(21,22) 중 어느 하나의 냉장실 도어(21)에는 냉장실 도어(21,22)가 닫혔을 때 냉장실 도어(21)와 냉장실 도어(22)의 사이를 밀폐하여 냉장실(20)의 냉기를 단속하는 회전 바(26)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냉장실 도어(21,22) 중 어느 하나의 냉장실 도어(21)에는 냉장실 도어(21)를 열지 않고서도 외부에서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90)가 마련될 수 있다.
디스펜서(90)는 컵 등의 용기를 삽입하여 물 또는 얼음을 취수할 수 있는 취수 공간(91)과, 디스펜서(90)의 각종 설정을 조작하는 입력 버튼과 디스펜서(90)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마련된 컨트롤 패널(92)과, 물 또는 얼음이 배출되도록 디스펜서(90)를 작동시킬 수 있는 작동 레버(9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펜서(90)는 제빙 장치(80)에서 생성된 얼음이 취수 공간(91)으로 배출되도록 제빙 장치(80)와 취수 공간(91)을 연결하는 얼음안내통로(9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상기 디스펜서(90)가 마련된 냉장실 도어(21)의 배면에는 탄산수를 생성하는 탄산수 생성 모듈(100)이 장착될 수 있다. 탄산수 생성 모듈(100)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냉장고의 탄산수 생성 모듈의 조립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냉장고의 탄산수 생성 모듈의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냉장고의 탄산수 생성 및 배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탄산수 생성 모듈(100)은 냉장고(1)의 내부에서 탄산수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고압의 이산화탄소 가스가 저장된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120)와, 정수와 이산화탄소 가스를 혼합하여 탄산수를 생성하는 탄산수 탱크(110)와, 내부에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120)와 탄산수 탱크(110)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151,152,153)을 갖고 냉장실 도어(21)의 배면에 결합되는 모듈 케이스(140)와, 통합 밸브 어셈블리(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120)에는 대략 45 내지 60 bar의 고압의 이산화탄소 가스가 저장될 수 있다.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120)는 모듈 케이스(140)의 실린더 커넥터(157)에 장착되고, 모듈 케이스(140)의 하부 수용 공간(153)에 수용될 수 있다.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120) 내부의 이산화탄소 가스는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120)와 탄산수 탱크(110)를 연결하는 이산화탄소 가스 공급 유로(200)를 통해 탄산수 탱크(110)에 공급될 수 있다.
이산화탄소 가스 공급 유로(200)에는 이산화탄소 가스의 압력을 조절하는 이산화탄소 가스 레귤레이터(201)와, 이산화탄소 가스 공급 유로(200)를 개폐하는 이산화탄소 가스 공급 밸브(202)와, 이산화탄소 가스의 역류를 방지하는 이산화탄소 가스 역류 방지 밸브(203)가 마련될 수 있다.
이산화탄소 가스 레귤레이터(210)는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120)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 가스의 압력을 조절하여 탄산수 탱크(110)로 공급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 가스 레귤레이터(210)는 이산화탄소 가스의 압력을 대략 10 bar 이하로 낮출 수 있다.
탄산수 탱크(110)는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120)에서 공급된 이산화탄소와 워터 탱크(70)에서 공급된 정수를 혼합하여 탄산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탄산수를 저장할 수 있다.
탄산수 탱크(110)에는 전술한 이산화탄소 가스 공급 유로(200)이외에 워터 탱크(70)로부터 정수를 공급받는 정수 공급 유로(210)와, 생성된 탄산수를 취수 공간(91)으로 배출하기 위한 탄산수 배출 유로(230)와, 탄산수 탱크(110)에 정수를 공급하기 위해 탄산수 탱크(110)에 잔존하는 이산화탄소 가스를 배기시키기 위한 배기 유로(250)가 연결될 수 있다.
정수 공급 유로(210)에는 정수 공급 유로(210)를 개폐하는 정수 공급 밸브(211)가 마련될 수 있다. 탄산수 배출 유로(230)에는 탄산수 배출 유로(230)를 개폐하는 탄산수 배출 밸브(231)와, 배출되는 탄산수의 압력을 조절하는 탄산수 레귤레이터(232)가 마련될 수 있다. 배기 유로(250)에는 배기 유로(250)를 개폐하는 배기 밸브(251)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정수 공급 밸브(211)와 탄산수 배출 밸브(231)는 각각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한편, 탄산수 탱크(110)에는 탄산수 탱크(110)에 공급되는 정수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수위 센서(111)와, 탄산수 탱크(110)에 공급되는 정수의 온도 또는 탄산수 탱크(110)에서 생성된 탄산수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 센서(112)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탄산수 탱크(110)에는 이산화탄소 가스 레귤레이터(201)의 오작동 등으로 인해 탄산수 탱크(110)에 소정 압력을 초과하는 고압의 이산화탄소 가스가 공급되는 경우 이를 배출할 수 있는 안전 밸브(114)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탄산수 탱크(110)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대략 1ℓ의 정수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탄산수 탱크(110)는 차지하는 크기를 최소화하면서 고압을 견디고 내식성이 있도록 스테인리스(stainless)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탄산수 탱크(110)는 모듈 케이스(140)의 제 1 상부 수용 공간(151)에 수용될 수 있다. 탄산수 탱크(110)는 모듈 케이스(140)의 바닥 지지부(155)와 가이드부(15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정수 공급 밸브(211)와, 탄산수 배출 밸브(231)는 워터 탱크(70)로부터 취수 공간(91)으로 직접 정수를 배출하는 정수 배출 유로(220)에 마련된 정수 배출 밸브(221)와 함께 통합 밸브 어셈블리(130)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정수 공급 밸브(211)와, 탄산수 배출 밸브(231)와, 정수 배출 밸브(221)는 하나의 유닛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정수 배출 밸브(221)는 정수 공급 밸브(211)와 탄산수 배출 밸브(231)와 마찬가지로 솔레노이드 밸브로 마련될 수 있다.
통합 밸브 어셈블리(130)는 워터 탱크(70)에 연결되는 제 1 유입 포트(130a)와, 탄산수 탱크(110)에 연결되는 제 2 유입 포트(130b)와, 탄산수 탱크(110)에 연결되는 제 1 유출 포트(130c)와, 취수 공간(91)에 연결되는 제 2 유출 포트(130d)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유입 포트(130a)에는 정수 공급 유로(210)와 정수 배출 유로(220)가 통과할 수 있고, 제 2 유입 포트(130b)에는 탄산수 배출 유로(230)가 통과할 수 있다. 제 1 유출 포트(130c)에는 정수 공급 유로(210)가 통과할 수 있고, 제 2 유출 포트(130d)에는 정수 배출 유로(220)와 탄산수 배출 유로(230)가 통과할 수 있다.
다만, 정수 공급 밸브(211)와, 정수 배출 밸브(221)와, 탄산수 배출 밸브(231)는 각각 독립적으로 개폐되는 것으로서, 워터 탱크(70)에서 탄산수 탱크(110)로 정수를 공급하는 것과 워터 탱크(70)에서 취수 공간(91)으로 정수를 배출하는 것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는, 워터 탱크(70)에서 탄산수 탱크(110)로 정수를 공급하는 것과 탄산수 탱크(110)에서 취수 공간(91)으로 탄산수를 배출하는 것도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통합 밸브 어셈블리(130)는 상기와 같이 독립된 3 개의 밸브(211,221,231)로 구성되었으나, 워터 탱크(70)에서 탄산수 탱크(110) 또는 취수 공간(91)으로 정수를 선택적으로 유동시키는 하나의 삼방 유로 전환 밸브와, 워터 탱크(70)에서 취수 공간(91)으로 정수를 공급하거나 탄산수 탱크(110)에서 취수 공간(91)으로 탄산수를 공급하는 다른 하나의 삼방 유로 전환 밸브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통합 밸브 어셈블리(130)는 모듈 케이스(140)의 제 2 상부 수용 공간(152)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워터 탱크(70)로부터 취수 공간(91)으로 직접 정수를 배출하는 정수 배출 유로(220)와, 탄산수 탱크(110)의 탄산수를 취수 공간(91)으로 배출하는 탄산수 배출 유로(230)는 일 지점에서 합류되어 통합 배출 유로(240)를 형성할 수 있다.
정수 배출 유로(200)와 탄산수 배출 유로(230)는 통합 밸브 어셈블리(130)의 내부 또는 제 2 배출 포트(130d)에서 합류될 수 있다. 따라서, 취수 공간(91)에는 정수 배출 유로(200)와 탄산수 배출 유로(230)가 별도로 마련되지 않고 하나로 통합되어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정수 배출 유로(200)와 탄산수 배출 유로(230)가 합류되지 않고 별개로 취수 공간(91)에 까지 연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통합 배출 유로(240)에는 정수 배출 밸브(221)와 탄산수 배출 밸브(231)가 닫힌 상태에서 통합 배출 유로(240)에 남아 있는 정수 또는 탄산수가 취수 공간(91)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통합 배출 유로(240)를 개폐하는 잔수 배출 방지 밸브(241)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잔수 배출 방지 밸브(241)는 가급적 통합 배출 유로(240)의 끝 부분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듈 케이스(140)는 일면이 개방되는 백 케이스(150)와, 백 케이스(150)의 개방된 일면에 결합되는 커버(16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 케이스(140)에는 도어(21)의 배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 돌기(25)에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삽입 홈(154)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 돌기(25)가 삽입 홈(154)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모듈 케이스(140)를 용이하게 도어(21)의 배면에 장착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결합 구조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모듈 케이스(140)는 이러한 삽입 구조 이외에 나사 체결 구조나 후크 결합 구조 등 다양한 결합 구조를 통해 도어(21)의 배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백 케이스(150)와 커버(160)에는 각각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 홈(158)과 삽입 돌기(162)가 형성되어 커버(160)는 백 케이스(150)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결합 구조 역시 예시적인 것으로서 백 케이스(150)와 커버(160) 역시 다양한 결합 구조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커버(160)가 백 케이스(150)에 결합된 상태에서 모듈 케이스(140) 내부의 이산화탄소 실린더(120)와, 탄산수 탱크(110)와, 통합 모듈 어셈블리(130)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도어(21)의 미감이 저해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커버(160)에는 모듈 케이스(140)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통풍구(161)가 형성되어, 커버(160)가 백 케이스(150)에 결합된 상태에도 모듈 케이스(140) 내부의 탄산수 탱크(110)에 저장실 내부의 냉기가 공급되고 탄산수 탱크(110)에 저장된 탄산수를 적정 온도로 냉각시키거나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160)는 탄산수 탱크(110)와 통합 밸브 어셈블리(130)가 수용되는 상부 수용 공간(151,152)을 개폐하는 제 1 커버(160a)와,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120)가 수용되는 하부 수용 공간(153)을 개폐하는 제 2 커버(160b)로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 1 커버(160a)와 제 2 커버(160b)는 상호 독립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따라서, 이산화 탄소 가스 실린더(120)의 이산화 탄소 가스가 고갈되어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120)를 교체할 시에 제 1 커버(160a)는 개방할 필요 없이 제 2 커버(160b)만 분리하여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120)를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120)를 교체할 시에도 제 1 커버(160a)는 닫혀진 상태로 유지되어 상부 수용 공간(151)의 냉기가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부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탄산수 생성 모듈(100)은 탄산수 탱크(110)와 이 탄산수 탱크(110)를 수용하는 제 1 수용 공간(151)을 갖는 제 1 모듈과,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120)와 이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120)를 수용하는 제 2 수용 공간(15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모듈은 제 1 모듈의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2 모듈은 제빙장치(80)의 얼음을 취수공간(91)으로 안내하는 얼음안내통로(94)의 측방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1 모듈은 제 1 수용 공간(151)을 개폐하는 제 1 커버(160a)를 포함하고, 제 2 모듈은 제 2 수용 공간(153)을 개폐하고 제 1 커버(160a)와 독립적으로 개폐되는 제 2 커버(160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7은 도 1의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8은 도 1의 냉장고의 다른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탄산수 생성 및 배출 과정을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전술하였던 수위 센서(111)와, 온도 센서(112)와, 배기 밸브(251)와, 이산화탄소 가스 공급 밸브(202)와, 정수 공급 밸브(211)와 정수 배출 밸브(221)와 탄산수 배출 밸브(231)가 일체로 형성된 통합 밸브 어셈블리(130) 이외에 탄산수의 배출 또는 정수의 배출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300)와, 탄산수의 생성 여부를 알려 주는 표시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는 수위 센서(111)와, 온도 센서(112)와, 입력부(300)에서 전달 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배기 밸브(251)와, 이산화탄소 가스 공급 밸브(202)와, 정수 공급 밸브(211)와 정수 배출 밸브(221)와 탄산수 배출 밸브(231)가 일체로 형성된 통합 밸브 어셈블리(130)와, 표시부(320)의 개폐 및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는 크게 두 가지의 제어 방법에 따라 제어될 수 있으며, 제 1 제어 방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처음 시점에 제어부(310)는 배기 밸브(251)를 개방하여 탄산수 탱크(110)에 잔존하는 이산화탄소 가스를 배기시킬 수 있다(410).
다음으로 정수 공급 밸브(211)를 개방하여 워터 탱크(70)로부터 탄산수 탱크(110)로의 정수의 공급을 시작할 수 있다(420).
정수의 공급이 시작된 후에 제어부(310)는 수위 센서(111)를 통해 탄산수 탱크(110)에 공급된 정수의 양 정보를 전달 받고, 탄산수 탱크(110)에 공급된 정수의 양이 소정 양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430).
탄산수 탱크(110)에 공급된 정수의 양이 소정 양에 도달한 경우 제어부(310)는 정수 공급 밸브(211)를 폐쇄하여 워터 탱크(70)로부터 탄산수 탱크(110)로의 정수의 공급을 종료할 수 있다(440).
다음으로 제어부(310)는 배기 밸브(251)를 폐쇄할 수 있다(450).
다음으로 제어부(310)는 온도 센서(112)를 통해 탄산수 탱크(110)에 공급된 정수의 온도 정보를 전달 받고, 탄산수 탱크(110)에 공급된 정수의 온도가 소정 온도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460).
탄산수 탱크(110)에 공급된 정수의 온도가 소정 온도에 도달하지 않았으면 제어부(310)는 탄산수 탱크(110)에 공급된 정수가 냉장실(20) 내부의 냉기에 의해 자연 냉각되도록 대기할 수 있다.
탄산수 탱크(110)에 공급된 정수의 온도가 소정 온도에 도달하였으면 제어부(310)는 이산화탄소 가스 공급 밸브(202)를 개방하여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120)로부터 탄산수 탱크(110)에 이산화탄소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470).
이산화탄소 가스 공급 밸브(202)가 개방된 후 소정의 공급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310)는 이산화탄소 가스 공급 밸브(202)를 폐쇄할 수 있다(480).
이산화탄소 가스 공급 밸브(202)가 폐쇄되면 제어부(310)는 이산화 탄소 가스 공급 밸브(202)가 개폐된 횟수가 소정 횟수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490).
이산화탄소 가스 공급 밸브(202)의 개폐 횟수가 소정 횟수에 도달했으면 제어부(310)는 표시부(320)를 통해 탄산수의 생성을 완료했음을 표시할 수 있다(500).
만약, 이산화탄소 가스 공급 밸브(202)의 개폐 횟수가 소정 횟수에 도달하지 않았으면 제어부(310)는 이산화탄소 가스 공급 밸브(202)가 폐쇄된 후 소정 대기 시간이 경과한 후에 다시 이산화탄소 가스 공급 밸브(202)를 개방할 수 있다(470). 이 대기 시간 동안 탄산수 탱크(110)에 공급된 이산화탄소 가스가 정수에 해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산수 탱크(110)에 정수를 먼저 공급한 후에 이산화탄소 가스를 공급하는 것은 이산화탄소 가스의 압력에 의해 정수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거나 정수의 역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 2 제어 방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처음 시점에 제어부(310)는 배기 밸브(251)를 개방하여 탄산수 탱크(110)에 잔존하는 이산화탄소 가스를 배기시킬 수 있다(510).
다음으로 정수 공급 밸브(211)를 개방하여 워터 탱크(70)로부터 탄산수 탱크(110)로의 정수의 공급을 시작할 수 있다(520).
정수의 공급이 시작된 후에 제어부(310)는 수위 센서(111)를 통해 탄산수 탱크(110)에 공급된 정수의 양 정보를 전달 받고, 탄산수 탱크(110)에 공급된 정수의 양이 소정 양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530).
탄산수 탱크(110)에 공급된 정수의 양이 소정 양에 도달한 경우 제어부(310)는 정수 공급 밸브(211)를 폐쇄하여 워터 탱크(70)로부터 탄산수 탱크(110)로의 정수의 공급을 종료할 수 있다(540).
다음으로 제어부(310)는 배기 밸브(251)를 폐쇄할 수 있다(550).
다음으로 제어부(310)는 이산화탄소 가스 공급 밸브(202)를 개방하여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120)로부터 탄산수 탱크(110)에 이산화탄소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560).
이산화탄소 가스 공급 밸브(202)가 개방된 후 소정의 공급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310)는 이산화탄소 가스 공급 밸브(202)를 폐쇄할 수 있다(570).
이산화탄소 가스 공급 밸브(202)가 폐쇄되면 제어부(310)는 이산화 탄소 가스 공급 밸브(202)가 개폐된 횟수가 소정 횟수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580).
이산화탄소 가스 공급 밸브(202)의 개폐 횟수가 소정 횟수에 도달하지 않았으면 제어부(310)는 이산화탄소 가스 공급 밸브(202)가 폐쇄된 후 소정 대기 시간이 경과한 후에 다시 이산화탄소 가스 공급 밸브(202)를 개방할 수 있다(560). 이 대기 시간 동안 탄산수 탱크(110)에 공급된 이산화탄소 가스가 정수에 해리될 수 있다.
이산화탄소 가스 공급 밸브(202)의 개폐 횟수가 소정 횟수에 도달했으면 제어부(310)는 온도 센서(112)를 통해 탄산수 탱크(110)에서 생성된 탄산수의 온도 정보를 전달 받고, 탄산수 탱크(110)에서 생성된 탄산수의 온도가 소정 온도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590).
탄산수 탱크(110)에서 생성된 탄산수의 온도가 소정 온도에 도달하지 않았으면 제어부(310)는 탄산수 탱크(110)에서 생성된 탄산수가 냉장실(20) 내부의 냉기에 의해 자연 냉각되도록 대기할 수 있다. 다만, 이때 제어부(310)는 표시부(320)를 통해 탄산수의 생성이 완료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시 탄산수의 온도가 소정 온도에 도달하기 전이라도 탄산수를 취수할 수도 있다.
탄산수 탱크(110)에서 생성된 탄산수의 온도가 소정 온도에 도달하였으면 제어부(310)는 표시부(320)를 통해 탄산수가 취수하기에 적절한 온도에 도달하였음을 표시할 수 있다(600).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은 전술할 FDR(French Door Refrigerator)형의 냉장고는 물론이고 SBS(Side By Side)형 냉장고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냉장고(600)는 수직격벽(611)에 의해 좌우로 분할되는 저장실(620,630)을 가질 수 있다.
각 저장실(620,630)은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사용될 수 있으며, 도 9에는 좌측의 저장실(620)이 냉장실로 사용되고 우측의 저장실(630)이 냉동실로 사용된 예를 도시하였다.
냉장실(620)과 냉동실(630)은 각각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고, 개방된 전면은 회전 가능한 한 쌍의 도어(621,63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한 쌍의 도어(621,631)에는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도어 가드(624)가 마련될 수 있다.
냉장실(620)에는 정수를 저장할 수 있는 워터 탱크(670)가 마련될 수 있다. 워터 탱크(670)에 저장된 정수는 냉장실(620) 내부의 냉기에 의해 자연 냉각될 수 있다. 또한, 냉장실 도어(621)에는 냉장실 도어(621)를 열지 않고 외부에서 정수 또는 탄산수를 취수할 수 있는 디스펜서(690)가 마련되고, 디스펜서(690)에는 얼음을 안내하는 얼음안내통로(704)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냉장실 도어(621)의 배면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탄산수 생성 모듈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탄산수 생성 모듈(700)이 장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냉장고 10 : 본체
11 : 중간격벽 20 : 냉장실
21 : 제 1 냉장실 도어 22 : 제 2 냉장실 도어
23 : 선반 24 : 도어 가드
25 : 삽입 돌기 26 : 회전 바
27 : 수납박스 28 : 가스켓
30 : 냉동실 31 : 냉동실 도어
40 : 외부급수원 50 : 정수필터
60 : 유로 전환 밸브 70 : 워터 탱크
80 : 제빙장치 81 : 제빙실
82 : 제빙실 케이스 90 : 디스펜서
91 : 취수공간 92 : 컨트롤 패널
93 : 작동 레버 94 : 얼음안내통로
100 : 탄산수 생성 모듈 110 : 탄산수 탱크
111 : 수위 센서 112 : 온도 센서
114 : 안전 밸브 120 :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
130 : 통합 밸브 어셈블리 130a : 제 1 유입 포트
130b : 제 2 유입 포트 130c : 제 1 유출 포트
130d : 제 2 유출 포트 140 : 모듈 케이스
150 : 백 케이스 151 : 제 1 상부 수용 공간
152 : 제 2 상부 수용 공간 153 : 하부 수용 공간
154 : 삽입 홈 155 : 바닥지지부
156 : 가이드부 157 : 실린더 커넥터
158 : 삽입 홈 160a,160b : 커버
161 : 통풍구 162 : 삽입 돌기
200 : 이산화탄소 가스 공급 유로 201 : 가스 레귤레이터
202 : 이산화탄소 가스 공급 밸브 203 : 가스 역류 방지 밸브
210 : 정수 공급 유로 211 : 정수 공급 밸브
220 : 정수 배출 유로 221 : 정수 배출 밸브
230 : 탄산수 배출 유로 231 : 탄산수 배출 밸브
232 : 탄산수 레귤레이터 240 : 통합 배출 유로
241 : 잔수 배출 방지 밸브 250 : 배기 유로
251 : 배기 밸브 300 : 입력부
310 : 제어부 320 : 표시부
600 : 냉장고 611 : 수직격벽
620 : 냉장실 621 : 냉장실 도어
624 : 도어 가드 630 : 냉동실
631 : 냉동실 도어 670 : 워터 탱크
680 : 제빙 장치 690 : 디스펜서
700 : 탄산수 생성 모듈 704 : 얼음안내통로

Claims (29)

  1.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개방된 전면을 갖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정수를 저장하는 워터 탱크;
    이산화탄소 가스가 저장된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와, 상기 정수와 상기 이산화탄소 가스를 혼합하여 탄산수를 생성하는 탄산수 탱크와, 상기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와 상기 탄산수 탱크를 수용하고 상기 도어의 배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모듈 케이스를 갖는 탄산수 생성 모듈; 및
    상기 도어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취수 공간과, 상기 취수 공간에서 상기 탄산수를 취수할 수 있도록 상기 탄산수 탱크와 상기 취수 공간을 연결하는 탄산수 배출 유로와, 상기 취수 공간에서 상기 정수를 취수할 수 있도록 상기 워터 탱크와 상기 취수 공간을 연결하고 상기 탄산수 탱크를 경유하지 않는 정수 배출 유로를 갖는 디스펜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수 탱크에 상기 정수를 공급하도록 상기 워터 탱크와 상기 탄산수 탱크를 연결하는 정수 공급 유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수 배출 유로의 개폐와, 상기 정수 배출 유로의 개폐와, 상기 정수 공급 유로의 개폐를 수행하는 통합 밸브 어셈블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워터 탱크에 연결되는 제 1 유입 포트와, 상기 탄산수 탱크에 연결되는 제 2 유입 포트와, 상기 탄산수 탱크에 연결되는 제 1 유출 포트와, 상기 취수 공간에 연결되는 제 2 유출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정수 공급 유로를 개폐하는 정수 공급 밸브와, 상기 정수 배출 유로를 개폐하는 정수 배출 밸브와, 상기 탄산수 배출 유로를 개폐하는 탄산수 배출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정수 공급 밸브와, 상기 정수 배출 밸브와, 상기 탄산수 배출 밸브는 각각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의 배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수 탱크에는 상기 탄산수 탱크에 공급된 정수의 양을 측정하는 수위 센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수 탱크에는 상기 탄산수 탱크에 공급된 정수 또는 상기 탄산수 탱크에서 생성된 탄산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수 탱크에는 상기 탄산수 탱크에 상기 정수를 주입하기 위해 상기 탄산수 탱크에 남아 있는 이산화탄소 가스를 배출시키는 배기 밸브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수 탱크에는 상기 탄산수 탱크에 소정 압력을 초과하는 압력의 이산화탄소 가스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초과 압력의 이산화탄소를 배출시키는 안전 밸브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수 배출 유로와 상기 정수 배출 유로는 일 지점에서 합류되어 통합 배출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배출 유로에는 잔수의 배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통합 배출 유로를 개폐하는 잔수 배출 방지 밸브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수 탱크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수 생성 모듈은,
    상기 탄산수 탱크와, 상기 탄산수 탱크를 수용하는 제 1 수용 공간을 갖는 제 1 모듈과,
    상기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와, 상기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를 수용하는 제 2 수용 공간을 갖고, 상기 제 1 모듈의 하측에 마련되는 제 2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듈은 상기 제 1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제 1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모듈은 상기 제 2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제 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수용 공간을 개방함이 없이 상기 제 2 수용 공간을 개방하여 상기 제 2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를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커버와 상기 제 2 커버는 상호 독립적으로 상기 제 1 수용 공간과 상기 제 2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버에는 상기 제 1 커버가 상기 제 1 수용 공간을 닫은 상태에도 상기 탄산수 탱크에 상기 저장실의 냉기가 유입되어 상기 탄산수 탱크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통풍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14 항에 있어서,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장치; 및
    상기 제빙장치에서 생성된 얼음을 상기 도어의 외부로 안내하는 얼음안내통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모듈은 상기 얼음안내통로의 측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삭제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케이스는 상기 모듈 케이스가 상기 도어의 배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모듈 케이스에 수용된 상기 탄산수 탱크와 상기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에 접근 가능하도록 개방된 일면을 갖는 백 케이스와, 상기 탄산수 탱크와 상기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개방된 일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케이스에는 상기 수용 공간에 상기 저장실 내부의 냉기가 유입되어 상기 탄산수 탱크를 냉각시키도록 통풍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수 생성 모듈은 상기 워터 탱크로부터 상기 탄산수 탱크로의 상기 정수의 공급과, 상기 워터 탱크로부터 상기 취수 공간으로의 상기 정수의 공급과, 상기 탄산수 탱크로부터 상기 취수 공간으로의 상기 탄산수의 공급을 조절하는 통합 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KR1020120052302A 2012-05-17 2012-05-17 탄산수 제조 장치를 갖는 냉장고 KR101929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302A KR101929455B1 (ko) 2012-05-17 2012-05-17 탄산수 제조 장치를 갖는 냉장고
US13/855,071 US9789449B2 (en) 2012-05-17 2013-04-02 Refrigerator having apparatus to produce carbonated water
CN201310180861.8A CN103423936B (zh) 2012-05-17 2013-05-16 具有制造碳酸水的装置的冰箱
EP13168011.8A EP2664880B1 (en) 2012-05-17 2013-05-16 Refrigerator having apparatus to produce carbonated w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302A KR101929455B1 (ko) 2012-05-17 2012-05-17 탄산수 제조 장치를 갖는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524A KR20130128524A (ko) 2013-11-27
KR101929455B1 true KR101929455B1 (ko) 2018-12-14

Family

ID=48484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302A KR101929455B1 (ko) 2012-05-17 2012-05-17 탄산수 제조 장치를 갖는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789449B2 (ko)
EP (1) EP2664880B1 (ko)
KR (1) KR101929455B1 (ko)
CN (1) CN1034239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90029B2 (en) 2011-12-09 2018-02-13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frigerator with automatic liquid dispenser
KR102028023B1 (ko) * 2013-02-28 2019-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탄산수 제조 장치를 갖춘 냉장고
CN103690044B (zh) * 2013-12-13 2015-09-09 宁波瑞易电器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苏打饮料机
US10183260B2 (en) 2014-02-06 2019-01-22 Strauss Water Ltd. Carbonation unit and process for carbonating a beverage
KR102246373B1 (ko) 2014-02-10 2021-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JP6295125B2 (ja) * 2014-03-31 2018-03-14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飲料供給装置
KR102232413B1 (ko) * 2014-06-16 2021-03-26 코웨이 주식회사 탄산가스 공급이 가능한 정수기
EP3106807B2 (en) 2014-07-04 2021-06-02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producing carbonated wat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668152B1 (ko) * 2014-07-04 2016-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탄산수 제조 장치 및 탄산수 제조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102237595B1 (ko) * 2014-08-13 2021-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WO2016028100A1 (en) * 2014-08-22 2016-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102343463B1 (ko) * 2014-08-22 2021-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217018B1 (ko) 2014-10-01 2021-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WO2016074711A1 (de) 2014-11-12 2016-05-19 Alfred Kärcher Gmbh & Co. Kg Getränkezubereitungsvorrichtung
KR102289683B1 (ko) * 2015-02-17 2021-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193441B1 (ko) * 2015-02-17 2020-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471457B1 (ko) * 2015-02-17 2022-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2214312B1 (ko) * 2015-02-17 2021-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60103422A (ko) * 2015-02-24 2016-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탄산수 제조 장치, 그를 가지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2289679B1 (ko) * 2015-03-05 2021-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1760177B1 (ko) 2015-05-20 2017-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MX2018003974A (es) 2015-09-30 2018-09-06 Hydration Labs Inc Despachado de bebidas.
US20170241700A1 (en) * 2016-02-24 2017-08-24 General Electric Company Water Reservoir Assembly and a Refrigerator Appliance
EP3619158A4 (en) * 2017-05-01 2020-12-16 The Coca-Cola Company SELF-SERVICE BEVERAGE DISPENSER
CN109422342B (zh) * 2017-08-30 2022-01-11 清湖乃思株式会社 饮用水供给装置
CN109419362B (zh) * 2017-08-30 2021-08-17 清湖乃思株式会社 饮用水供给装置
WO2019170102A1 (zh) * 2018-03-07 2019-09-12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饮水机及其控制方法和控制装置
US11612863B2 (en) 2018-03-22 2023-03-28 Bedford Systems Llc Carbonation system for beverage machine
IT201800005646A1 (it) * 2018-05-23 2019-11-23 Dispositivo per il contenimento e conservazione di bevande e macchin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comprendente tale dispositivo.
US11148927B2 (en) * 2018-07-27 2021-10-19 Hydration Labs, Inc. Beverage dispensing
US20230348828A1 (en) * 2020-08-03 2023-11-0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D998401S1 (en) 2020-08-31 2023-09-12 Hydration Labs, Inc. Dispensing device
EP4202331A4 (en) * 2021-02-26 2024-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59273A (en) * 1964-12-21 1966-07-05 Wallace R Kromer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arbonating, cooling, storing, distributing and dispensing beverages
DE2712469A1 (de) 1977-03-22 1978-09-28 Blazek Jan Dr Jur Haushaltkuehlgeraet
US4523697A (en) * 1979-07-11 1985-06-18 Cadbury Schweppes Limited Liquid dispensing package
FR2634398B1 (fr) 1988-06-29 1990-09-07 Elf Aquitaine Procede de preparation d'un catalyseur apte a promouvoir la conversion oxydante du methane en hydrocarbures superieurs
US4866949A (en) * 1988-11-15 1989-09-19 The Coca-Cola Company Carbonated liquid refrigeration system
US4970871A (en) * 1989-06-15 1990-11-20 The Coca-Cola Company Carbonator refrigeration system
US7083071B1 (en) 2000-06-08 2006-08-01 Beverage Works, Inc. Drink supply canister for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ITMI20021045A1 (it) 2002-05-16 2003-11-17 Whirlpool Co Frigorifero con distributore di acqua gassata
US7228793B2 (en) * 2002-11-25 2007-06-12 Fizzy Fruit, LLC Carbonation system for enhancing the flavor of fruits and vegetables
KR20050087535A (ko) 2004-02-27 2005-08-3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이중냉각방식을 이용한 대용량 탄산수 생성냉장고
KR20050095342A (ko) 2004-03-26 2005-09-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자동 제어되는 탄산수 제조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060000202A (ko) 2004-06-28 2006-01-0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탄산수 디스펜서를 장착한 냉장고
EP1614986A3 (en) 2004-06-28 2007-03-14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Refrigerator door with a carbonator installed therein
CA2492231C (en) 2005-01-12 2011-04-19 Maytag Corporation Water delivery system with anti-kink device for a refrigerator
US7997448B1 (en) * 2007-02-01 2011-08-16 Robert Leyva Universal beverage dispenser
KR100984302B1 (ko) * 2008-06-24 2010-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665545B1 (ko) * 2009-06-23 2016-10-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제빙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64880A2 (en) 2013-11-20
CN103423936A (zh) 2013-12-04
US20130309361A1 (en) 2013-11-21
EP2664880B1 (en) 2018-09-05
US9789449B2 (en) 2017-10-17
KR20130128524A (ko) 2013-11-27
CN103423936B (zh) 2017-07-04
EP2664880A3 (en) 201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9455B1 (ko) 탄산수 제조 장치를 갖는 냉장고
US10888825B2 (en) Refrigerator
KR101717700B1 (ko) 냉장고
KR101760177B1 (ko) 냉장고
US7490474B2 (en) Refrigerator
US7434417B2 (en) Cooling air flow passage of refrigerator
KR101960828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EP2772713B1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104539B1 (ko) 탄산수 제조 장치를 갖춘 냉장고
KR102343463B1 (ko) 냉장고
EP3062050A1 (en) Carbonated water production unit,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50094122A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08057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1738294B1 (ko) 냉장고
KR101774136B1 (ko) 냉장고
KR20220122176A (ko) 냉장고
KR101668152B1 (ko) 탄산수 제조 장치 및 탄산수 제조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