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6798A - 돼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 - Google Patents

돼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6798A
KR20240066798A KR1020220148019A KR20220148019A KR20240066798A KR 20240066798 A KR20240066798 A KR 20240066798A KR 1020220148019 A KR1020220148019 A KR 1020220148019A KR 20220148019 A KR20220148019 A KR 20220148019A KR 20240066798 A KR20240066798 A KR 20240066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cine
pigs
oral administration
porcine
so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8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동준
최세은
현방훈
계준석
강수진
이재민
이화선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장)
(주)동원파마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장), (주)동원파마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장)
Publication of KR20240066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679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12Viral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12Viral antigens
    • A61K39/15Reoviridae, e.g. calf diarrhea vi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12Viral antigens
    • A61K39/215Coronaviridae, e.g. avian infectious bronchitis vi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12Viral antigens
    • A61K39/215Coronaviridae, e.g. avian infectious bronchitis virus
    • A61K39/225Porcine transmissible gastroenteritis vi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1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whole cells, viruses or DNA/RNA
    • A61K2039/525Virus
    • A61K2039/5254Virus avirulent or attenu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4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route of administration
    • A61K2039/541Mucosal route
    • A61K2039/542Mucosal route oral/gastrointesti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host/recipient, e.g. newborn with maternal antibodies
    • A61K2039/552Veterinary vaccine

Abstract

본 발명은 돼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돼지에서 바이러스성 질병 또는 세균성 질병을 유발하는 원인체를 약독화한 생백신주를 포함하는 돼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돼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Vaccine Solid Prepar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in Swine}
본 발명은 돼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돼지에서 바이러스성 질병 또는 세균성 질병을 유발하는 원인체를 약독화한 생백신주를 포함하는 돼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에 관한 것이다.
경구백신은 전염성 질병의 원인체인 세균, 바이러스 등을 불활성화거나 약독화한 제제로 대상체에 경구투여 시 면역력을 증강시킬 수 있다. 세균성 경구백신으로는 베스레드카 항원(Besredka Antigen)을 이용한 결핵균 백신이 유명하고, 바이러스 백신으로는 소아마비 백신, 광견병 백신 등이 잘 알려져 있다. 상기 소아마비 백신 중에서 폴리오바이러스 생백신은 3종의 폴리오바이러스를 혼합하여 제조한 것으로, 생후 3~18개월 신생아에게 6주 간격으로 2회 경구투여(복용)하는데 드물게 설사, 발열 등의 경미한 증상은 있으나 마비 등의 폴리오바이러스 고유의 심각한 부작용은 보고된 바 없어 안정적인 면역제제로 알려져 있다. 광견병 백신은 아데노바이러스에 광견병 바이러스(Rabies virus)의 유전자를 삽입하여 제조한 것으로 야생/가축동물의 접종 시 사용되고 있다.
사람과 달리 야생동물 또는 방생형 가축동물에서는 바이러스 백신을 개체별로 직접 접종하기가 어려우므로 먹이(미끼 먹이)에 바이러스 백신을 감싼 미끼 백신을 서식 환경에 분산시켜 동물이 용이하게 섭취하도록 하는 접종방법이 알려져 있으며, 미끼 백신의 야생동물 또는 방생형 가축동물로의 효율적인 백신 전달을 위해 동물 유형에 따른 먹이에 대한 섭취습관, 식성(기호성 등) 등을 고려한 접종방법이 필요하다. 표적 동물에 경구백신 접종 시 면역 형성의 성공여부는 백신의 조성(물리/화학적 조성 등), 보관방법 및 표적 동물로의 전달방법으로 결정되며, 야생동물 및 가축동물의 면역성은 표적 바이러스에 대한 중화항체 형성능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사독백신과 달리 생백신은 고함량의 바이러스를 1회 접종하는 것만으로도 높은 중화항체가를 가질 수 있으므로 미끼 백신으로 적합하나, 바이러스 유형에 따라 표적 동물에서의 중화항체가의 정도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경구백신에 적용가능한 바이러스 유형을 선별/판별해야 하는 필요성이 있다.
실험실의 세포배양 시스템에서 바이러스 생산이 가능하여 이론적으로 경구백신으로 적용가능한 돼지바이러스 후보로는 돼지열병바이러스(Classical swine fever virus: CSFV), 돼지유행성설사병바이러스(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PEDV), 돼지로타바이러스(Porcine rotavirus: PRoV), 돼지전염성위장염바이러스(Transmissible gastroenteritis virus: TGEV), 돼지델타코로나바이러스(Porcine deltacoronavirus: PDCoV), 돼지사펠로바이러스(Porcine Sapelovirus: PSoV, PSapeloV), 돼지뇌심근염바이러스(Porcine encephalomyocarditis virus: PEMCV) 등이 있다.
돼지열병바이러스(CSFV)는 Flaviviridae과의 Pestivirus속에 속하는 바이러스로서, 급성 폐사성 바이러스성 전염병을 유발할 수 있고, 돼지열병바이러스에 감염된 돼지는 40℃ 이상의 고열, 백혈구 감소증, 사지의 붉은반점, 변비/설사, 뒷다리를 사용하지 못하는 후구마비 증세가 나타날 수 있으며, 감염된 돼지들은 군집현상을 나타낼 수 있다. 한국에서는 돼지열병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질병을 근절하기 위해, 전국적으로 돼지열병바이러스의 약독화 백신, 예컨대 본 연구자들이 개발한 돼지열병바이러스의 약독화 백신주인 LOM 백신주 및 Flc-LOM-BErns 백신주를 백신의 주원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들 약독화 백신의 접종은 어미돼지 및 성장 중인 돼지(예컨대, 육성돈 등)의 이근부의 목근육에 근육접종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돼지유행성설사병바이러스(PEDV)는 돼지에서 설사증을 유발하는 원인체(병원체)이며, 설사 분변이 감염의 매개체 역할을 한다. 돼지유행성설사병바이러스는 어미돼지(모돈)의 젖을 포유하고 있는 어린 자돈들에게 주로 감염되어 심한 설사와 탈수 증상을 유발하고 폐사에 이르게 할 수 있고, 어린 연령시기를 지난 돼지들에게 감염될 시에는 경미한 설사가 나타나기는 하나 보통 큰 문제없이 성장한다. 돼지유행성설사병바이러스는 Coronaviridae과에 Alphacoronavirus속에 속하는 외피(Envelope)를 보유한 RNA 바이러스이며, 돼지유행성설사병바이러스에 대한 약독화 생백신은 유전자 타입에 따라 G1a 타입과 G2b 타입으로 나뉘는데, 본 연구자들은 G1a 타입의 약독화 생백신에 사용되는 PEDV SM98주로부터 유래한 백신주와, G2b 타입의 약독화 생백신에 사용되는 PEDV HSGP주로부터 유래한 백신주를 확립한 바 있다. 설사증을 유발하는 돼지바이러스 중에서 감염빈도가 높은 돼지유행성설사병바이러스에 대한 예방방법으로는 어미돼지에 돼지유행성설사병바이러스 백신을 직접 접종하는 방법과, 포유자돈에 상기 백신을 접종한 어미돼지의 초유의 섭취를 통해 면역을 전달하는 모체이행항체법을 사용하고 있다.
돼지로타바이러스(PRoV)는 외부환경에 대한 저항성이 매우 강하며 양돈농장 내에서 장기간 생존 가능한 바이러스로, 돼지로타바이러스에 감염된 돼지의 폐사율은 약 10% 정도이지만 전염성위장염, 유행성설사 등을 야기하는 바이러스들과 혼합 감염되면 돼지의 감염 증세가 악화되고 폐사율이 높게 나타날 수 있다. 돼지로타바이러스 감염은 어린 연령의 포유자돈, 젖을 뗀 이유자돈 등에 주로 발생하고 성돈에서도 일부 발생한다. 돼지로타바이러스에 감염된 돼지의 주요 임상증상은 설사이며, 설사를 매개로 하는 감염에 의해 지속적으로 양돈농장에 상재되어 있어 매우 큰 경제적 손실을 초래한다. 돼지로타바이러스는 Reoviridae과에 속하며, 혈청형에 따라 A-, B-, C-타입 등으로 나뉘고 한국에서는 주로 A 타입 혈청형이 보고되었고, 낮은 빈도로 C 타입 혈청형도 보고된 바 있으나, 한국에서 사용하는 돼지로타바이러스 약독화 생백신주는 A 타입 혈청형이며, A 타입 혈청형 내에서도 돼지로타바이러스의 유전자 VP4와 VP7에 따라 G 타입과 P 타입으로 나뉘는데 최근에는 본 연구자들이 개발한 약독화 돼지로타바이러스인 G9P7 타입의 18KPR02-P103주와 G4P13 타입의 18KPR03-P102주를 생백신주로 모돈의 이근부에 접종하여 사용하고 있다.
돼지전염성위장염바이러스(TGEV)는 1950년대에 한국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 상재화된 감염질병으로 어린 연령의 자돈에서 설사증을 유발하여 폐사를 일으키고 이유자돈과 성장기의 육성돈에서도 설사증을 일으켜 성장에 문제를 유발하여 양돈농장에 경제적 손실을 주고 있다. 돼지전염성위장염바이러스는 돼지유행성설사병바이러스와 같은 Coronaviridae과에 Alphacoronavirus속에 속하는 외피를 보유한 RNA 바이러스이다. 양돈농장에서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돼지전염성위장염바이러스의 백신주 중에서 약독화 생백신바이러스는 PT-100주로서 모돈 이근부에 근육접종하여 사용하고 있다.
돼지델타코로나바이러스(PDCoV)는 2000년도 초반에 홍콩에서 처음으로 돼지에서 발견되었고, 2014년 미국에서 돼지유행성설사병바이러스 유행 시에 같이 출현하였다. 돼지델타코로나바이러스는 돼지에 설사증을 유발하여 새로운 분류로 알파코로나바이러스, 베타코로나바이러스 및 감마코로나바이러스로 이루어진 종래 분류 체계에 도입되었다. 돼지델타코로나바이러스는 한국에서도 발생된 것으로 근래 보고된 바 있고, 돈육 간 높은 감염율로 인해 양돈농장에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주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약독화 백신용으로 개발된 돼지델타코로나바이러스 백신주로는 PDCoV-20주가 있고, 이를 모돈의 이근부에 근육 주사하여 사용하고 있다.
돼지사펠로바이러스(PSoV, PSapeloV)는 어린자돈에 설사증을 유발하는 바이러스이고, 성돈에 뇌질환을 유발하여 신경마비로 인해 보행 시 문제를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돼지사펠로바이러스는 구제역과 같은 Picornaviridae과에 속하는 RNA 바이러스이고, 한국의 양돈농장에서 돼지사펠로바이러스에 대한 항체 양성반응이 다수 보고된 바 있어 양돈농장 내에 돼지사펠로바이러스가 상재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약독화 생백신용으로 개발된 돼지사펠로바이러스 백신주로는 PSaple-300주가 있고, 이를 성돈 이근부에 근육 주사하여 사용하고 있다.
돼지뇌심근염바이러스(PEMCV)는 단독으로 임신돼지의 유사산을 유발하는 바이러스이고, 뇌병변 및/또는 심근염을 야기할 수 있다. 돼지뇌심근염바이러스는 구제역과 같은 Picornaviridae과에 속하는 RNA 바이러스이다. 돼지뇌심근염바이러스의 약독화 생백신주로는 PEMCV-200주가 있고, 모돈 이근부에 근육 주사하여 사용하고 있다.
종래에 사용되어온 백신을 담지한 미끼 제형(예컨대, 고형제제)은 너구리과 동물의 기호성(섭취 등)에 맞는 어분과 계육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제형적 특성을 가져, 본 발명의 목적동물인 멧돼지과 동물(야생멧돼지, 사육 돼지 등)의 기호성(섭취 등)과는 맞지 않다. 즉, 흙표면의 먹이를 섭취하는 너구리과 동물과는 달리 멧돼지과 동물은 흙표면의 먹이를 섭취하는 습성뿐만 아니라 흙속의 먹이를 섭취하는 습성도 가지므로, 멧돼지과 동물의 섭취 습성에 적합한 백신 투여를 위한 미끼 제형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멧돼지과 동물 투여에 적합한 백신을 담지한 미끼 제형(예컨대, 고형제제)은, 멧돼지과 이외의 동물의 섭취를 차단하기 위해 땅속에 매립하여 사용할 수 있어야 되고, 매립하여 사용할 경우 토양 수분의 흡수로 인한 미끼 제형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내수성을 가져야 하며, 야생멧돼지의 넓은 생태 구역을 고려하여 상공에서 항공/드론으로 야외/산속에 살포 시 백신이 안정된 상태로 미끼 제형 내에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내구성 및 탄성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아울러, 종래의 미끼 제형(예컨대, 고형제제)은 백신을 담지한 백신부, 이를 덮는 마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미끼부가 동일하거나 매우 유사한 조성으로 제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이와 같이 미끼 제형을 제작할 경우 미끼부의 제조 후 백신부를 담지한 상태에서 다시 동일한 조성의 마감부로 덮을 경우 시간 경과에 따른 미끼부 및 마감부의 결속력/결착력 약화(유격 발생)로 마감부가 미끼부로부터 분리/탈락하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하므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종래 미끼부는 성형 후 건조 공정을 거친 후 백신을 담지한 상태에서 약 30℃ 이하의 온도에서 약 1시간 내에 공정을 완료한 후 약 -20℃ 이하의 온도를 유지해야 하는데 상기 공정 시 수분의 결정화로 인한 부피팽창, 결착제의 강한 결합력에 따른 수축작용으로 미끼부가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미끼 제형의 제형적 문제점들을 해결하면서, 멧돼지과 동물에 백신 투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적합한 새로운 조성(구성성분)을 구비한 미끼 제형의 개발이 시급히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기술적 배경 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야생돼지 또는 (방생형) 가축돼지에서 전염성 돼지바이러스(또는, 전염성 돼지세균(병원균))의 감염을 차단/예방하기 위한 돼지에서 기호성이 증진되어 백신 투여율이 향상되고 제형상 안정된 돼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를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일 예로서, 야외/토양에서 장기간 방치하더라도 백신 효능이 유지되는 약독화된 돼지바이러스주인 돼지바이러스 백신주를 돼지바이러스 유형별로 제조하여 선별할 수 있었고, 상기 돼지바이러스 유형별 백신주를 내수성, 내구성 및 기호성이 증진된 돼지 경구투여용 고형제제에 담지하여 가축돼지 및 야생돼지에 경구투여(접종) 시 상기 백신주가 안정적으로 경구투여한 돼지에서 돼지바이러스 유형별로 단기간 내에 높은 중화항체가를 유도하여 전염성 돼지바이러스에 대한 방어 효과가 높은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양돈농장 및 야외에서 유행하는 전염성 돼지바이러스 또는 전염성 돼지세균에 대한 방어에 효과적인 생백신 돼지바이러스 백신주 또는 돼지세균 백신주를 담지한 돼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생백신 돼지바이러스 백신주 또는 돼지세균 백신주를 담지한 돼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로 가축돼지 및 야생돼지에서 전염성 돼지바이러스 또는 전염성 돼지세균 감염증에 대한 보호성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생백신 돼지바이러스 백신주 또는 돼지세균 백신주를 담지한 돼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로 전염성 돼지바이러스 또는 전염성 돼지세균에 감염된 야생돼지로부터 가축돼지로의 전염 및 전파를 차단/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백신 조성물을 담지한 용기를 함유하는 백신부; 및 상기 백신부를 둘러싸는 마감부를 포함하는 돼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로서,
상기 마감부는 곡물분말, 유지, 이형제 및 보존제로 이루어진 경성복합물, 또는 곡물분말, 당류, 겔화제 및 보존제로 이루어진 연성복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마감부는 점막 자극 물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돈농장 및 야외에서 유행하는 전염성 돼지바이러스 또는 전염성 돼지세균에 대한 방어에 효과적인 생백신 돼지바이러스 백신주 또는 돼지세균 백신주를 담지한 기호성이 증진된 돼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는 야외에서 1회 투여(섭취/접종)하는 것만으로 야외돼지의 전염성 돼지바이러스 또는 전염성 돼지세균에 대한 야생돼지의 생존/보존 효과뿐만 아니라, 가축돼지 및 야생돼지의 전염성 돼지바이러스 또는 전염성 돼지세균에 대한 속효성 면역력 향상 및 항-바이러스/항-세균 활성으로 가축돼지 및 야생돼지 간의 교차감염을 차단시키는 효능을 가지므로, 양돈농장의 생산성 향상 및 경제적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 1~3의 돼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를 나타낸 것으로, 제조예 1~3의 마감부가 둘러싸는 백신부의 용기는 백신 조성물을 담지하고, 제조예 1~2의 마감부 및 제형부 사이의 공간은 흡수제가 충진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 1~3의 돼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에서 사용가능한 용기(포켓)의 종류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 1~3의 돼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에 사용가능한 백신 조성물을 담지한 용기인 캡슐 백신 포켓을 포함하는 마감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 1~3의 돼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의 냉동/해동 후 제형 안정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 1~3의 돼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를 침수 처리 후 내수성의 정도를 육안(외관), 촉감 및 압축응력 값(Kgf) 측정으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 1~3의 돼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를 야산의 토양에 매몰하고 14일 후에 수집하여 각 고형제제의 내구성의 정도를 육안(외관), 촉감 및 압축응력 값(Kgf) 측정으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돼지바이러스 유형별 백신주를 제조예 1의 돼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에 담지한 후 돼지 그룹 당 3두씩 경구투여(접종)하고 접종 전과 접종 40일 후에 각 돼지로부터 수집(채혈)한 혈청의 중화항체가를 그룹(3두)별 평균값으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돼지바이러스 유형별 백신주를 제조예 2의 돼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에 담지한 후 돼지 그룹 당 3두씩 경구투여(접종)하고 접종 전과 접종 40일 후에 각 돼지로부터 수집(채혈)한 혈청의 중화항체가를 그룹(3두)별 평균값으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돼지바이러스 유형별 백신주를 제조예 3의 돼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에 담지한 후 돼지 그룹 당 3두씩 경구투여(접종)하고 접종 전과 접종 40일 후에 각 돼지로부터 수집(채혈)한 혈청의 중화항체가를 그룹(3두)별 평균값으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길이, 면적, 부피, 시간(기간), 농도, 함량, 온도, 개수, 퍼센트(%), 배수 등을 표현하는데 사용된 용어 "약"은 해당 수치 또는 수치 범위에서 최대 10%의 허용오차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백신 조성물을 담지한 용기를 함유하는 백신부; 및 상기 백신부를 둘러싸는 마감부를 포함하는 돼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로서,
상기 마감부는 곡물분말, 유지(油脂), 이형제 및 보존제로 이루어진 경성복합물(硬性複合物), 또는 곡물분말, 당류, 겔화제 및 보존제로 이루어진 연성복합물(軟性複合物)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마감부는 점막 자극 물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백신 고형제제는 돼지바이러스성 질병에 대한 속효성 경구투여용 및/또는 돼지세균성 질병에 대한 속효성 경구투여용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백신 고형제제는 상기 마감부의 외측과 결착되는 제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백신 고형제제가 제형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마감부의 외측에 흡수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백신부는 백신 조성물 및 용기의 조합에 따라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백신부 각각은 상기 마감부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비닐 팩(vinyl pack), 블리스터 팩(blister pack) 및 캡슐(capsul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백신 조성물은 당류, 바람직하게는 다당류(다당체, polysaccharide), 올리고당류(oligosaccharide), 삼당류(trisaccharide), 이당류(disaccharide) 및 단당류(monosaccharid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이당류, 더욱 바람직하게는 트레할로오스(trehalose), 락툴로오스(lactulose), 셀로비오스(cellobiose), 이소말토오스(isomaltose), 투라노오스(turanose) 수크로오스(sucrose), 말토오스(malt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가장 바람직하게는 트레할로오스를 함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백신 조성물에 함유되는 돼지바이러스/돼지세균 백신주는 상기 당류에 의해 고온 조건 등에서 안정화될 수 있고, 상기 당류의 첨가는 돼지의 백신 조성물에 대한 기호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백신 조성물은 백신주, 당류 외 혈청, 항산화제, 성장인자, 성장호르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백신 조성물은 용기에 진공 상태로 담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백신 조성물을 담은 용기는, 돼지의 섭취(접종) 전에 백신 조성물이 용기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돼지의 섭취(접종) 후에 돼지 체내에서 쉽게 용해되거나, 체외로 용이하게 배출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용기는 0.1~1.0mL, 바람직하게는 0.1~0.8mL, 더 바람직하게는 0.1~0.6mL의 용량으로 백신 조성물을 담을 수 있는 규격, 형태 등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1~0.5mL의 용량으로 백신 조성물을 담아 사용할 수 있는 규격, 형태 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용기의 재료는 플라스틱, 섬유, 금속, 유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상기 섬유는 자연산물, 인공산물 또는 이의 혼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기는 탄력성(신축성), 방수성 및 견고성을 가지므로 돼지의 섭취(접종) 전 용기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질적 충격(고형제제의 제조/운송/매립 시 발생되는 충격 등)에 의한 백신 조성물의 손상/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비닐 백신 포켓, 블리스터 백신 포켓 및 캡슐 백신 포켓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아래 도 2 참조).
상기 비닐 백신 포켓은 3M 코트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멤브레인 필름 9707(3M Cotran Ethylene Vinyl Acetate Membrane Film 9707)의 포장재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규격, 형태 등의 제한은 없으나, 사각형 모양으로 바람직하게는 0.01~0.09mm의 두께 및 2.9~3.5cm x 2.9~3.5cm, 더 바람직하게는 0.02~0.08mm의 두께 및 3.0~3.4cm x 3.0~3.4cm, 가장 바람직하게는 0.04~0.06mm의 두께 및 3.1~3.3cm x 3.1~3.3cm의 규격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블리스터 백신 캡슐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alate, PET) 및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PVC)로 이루어진 몸체 부분과 알루미늄 호일로 이루어진 실링(sealing) 부분으로 이루어진 포장재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규격, 형태 등의 제한은 없으나, 사각형 모양(규격: 2.6~2.8cm x 2.6~2.8cm x 0.9~1.1cm) 또는 타원형 모양(규격: 3.3~3.5cm x 1.6~1.8cm x 0.9~1.1cm)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캡슐 백신 포켓 및 이의 캡슐은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통상적인 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캡슐은 식물성 원료(예컨대, 소나무껍질)로 제조한 식물성 캡슐, 동물성 원료(예컨대, 젤라틴)로 제조한 동물성 캡슐, 또는 합성 원료로 제조한 합성 캡슐일 수 있으며, 상기 캡슐을 소형으로 100~1000mg, 바람직하게는 약 500mg의 무게를 가지도록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1종 이상으로 상기 백신부에 포함하되,
상기 용기가 2종 이상일 경우, 각 용기는 1종 이상, 바람직하게는 1종의 돼지바이러스 백신주 또는 돼지세균 백신주를 담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점막은 음식물을 소화하고 흡수하는 소화기, 예컨대 구강, 식도, 위, 창자, 항문 등에 분포되어 있는 점막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경성복합물을 구성하는 곡물분말, 유지, 이형제(예컨대, 파라핀) 및 보존제의 중량비는 1~60:1~80:1~70:0.1~10, 바람직하게는 10~40:20~70:10~60:0.5~7, 더 바람직하게는 15~25:35~60:20~50:1~5, 가장 바람직하게는 17~25:45~50:30~40:1.5~2.5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경성복합물이 상기 중량비를 벗어나는 경우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로서 목적하는 내수성, 내구성, 기호성 및 속효성의 증진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경성복합물의 구성성분 간 중량비를 충족하는 조건 하에서, 상기 경성복합물은 상기 마감부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60중량%, 바람직하게는 10~4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5~2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7~25중량%의 곡물분말을 함유하고,
1~80중량%, 바람직하게는 20~7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35~6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45~50중량%의 유지를 함유하며,
1~70중량%, 바람직하게는 10~6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20~5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30~40중량%의 이형제(예컨대, 파라핀)를 함유하고,
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0.5~7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5~2.5중량%의 보존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경성복합물에 함유되는 곡물분말, 유지, 이형제(예컨대, 파라핀) 및 보존제 각각의 중량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의 내수성, 내구성, 기호성 및 속효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성복합물을 구성하는 곡물분말, 당류, 겔화제 및 보존제의 중량비는 1~60:1~60:1~60:0.3~10, 바람직하게는 10~50:10~50:10~50:0.5~9, 더 바람직하게는 20~40:20~40:20~40:0.7~7, 가장 바람직하게는 25~35:25~35:25~35:1~5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연성복합물이 상기 중량비를 벗어나는 경우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로서 목적하는 내수성, 내구성, 기호성 및 속효성의 증진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성복합물의 구성성분 간 중량비를 충족하는 조건 하에서, 상기 연성복합물은 상기 마감부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60중량%, 바람직하게는 10~5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20~4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5~35중량%의 곡물분말을 함유하고,
1~60중량%, 바람직하게는 10~5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20~4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5~35중량%의 당류를 함유하며,
1~60중량%, 바람직하게는 10~5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20~4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5~35중량%의 겔화제을 함유하고,
0.3~10중량%, 바람직하게는 0.5~9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7~7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5중량%의 보존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연성복합물에 함유되는 곡물분말, 당류, 겔화제 및 보존제 각각의 중량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의 내수성, 내구성, 기호성 및 속효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연성복합물의 당류는 이당류(disaccharide), 바람직하게는 자당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자당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형부는 강성복합물(剛性複合物)을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상기 강성복합물은 곡물분말, 결착제(펠릿바인더), 전분류, 유지(油脂) 및 보존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강성복합물을 구성하는 곡물분말, 결착제(펠릿바인더), 전분류, 유지 및 보존제의 중량비는 1~80:1~20:1~40:1~30:1~30, 바람직하게는 10~75:2~15:5~30:2~20:2~20, 더 바람직하게는 50~73:2.5~10:10~25:2.5~5:4~15, 가장 바람직하게는 69~71:3~5:16~18:2.7~3.5:4.5~6.5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강성복합물이 상기 중량비를 벗어나는 경우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로서 목적하는 내수성, 내구성, 기호성 및 속효성의 증진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강성복합물의 구성성분 간 중량비를 충족하는 조건 하에서, 상기 강성복합물은 상기 제형부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80중량%, 바람직하게는 10~75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50~73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69~71중량%의 곡물분말을 함유하고,
1~20중량%, 바람직하게는 2~15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2.5~1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3~5중량%의 결착제(펠렛바인더)를 함유하며,
1~40중량%, 바람직하게는 5~3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0~2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6~18중량%의 전분류를 함유하고,
1~30중량%, 바람직하게는 2~2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2.5~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7~3.5중량%의 유지를 함유하며,
1~30중량%, 바람직하게는 2~2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4~1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4.5~6.5중량%의 보존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강성복합물에 함유되는 곡물분말, 결착제(펠렛바인더), 전분류, 유지 및 보존제 각각의 중량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의 내수성, 내구성, 기호성 및 속효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곡물은 옥수수, 콩, 소맥, 쌀, 보리, 기장, 호밀, 메밀 및 퀴노아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옥수수, 콩, 소맥, 쌀, 기장, 호밀 및/또는 퀴노아, 더 바람직하게는 옥수수, 콩, 소맥 및 쌀의 곡물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곡물혼합물은 옥수수, 콩, 소맥, 쌀, 보리, 기장, 호밀, 메밀 및 퀴노아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4종의 곡물, 바람직하게는 옥수수, 콩, 소맥 및 쌀을 10~90:5~45:5~40:2~30, 바람직하게는 20~80:10~40:6~35:3~25, 더 바람직하게는 30~70:15~35:8~32:4~20, 가장 바람직하게는 40~60:20~30:10~20:5~15의 혼합 중량비로 혼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곡물분말은 곡물의 분쇄도, 즉 곡물의 절도 및 분말도에 따라 메쉬(mesh)의 수치 기준으로, 20~200 메쉬, 바람직하게는 40~180 메쉬, 더 바람직하게는 60~160 메쉬, 가장 바람직하게는 80~140 메쉬의 크기를 갖는 곡물분말 여과물일 수 있다.
상기 유지(油脂)는 동물성 유지 및/또는 식물성 유지로, 그 유형은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이형제는 파라핀, 왁스 등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파라핀, 더 바람직하게는 파라핀 왁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보존제는 항균 보존제(antimicrobial preservative) 또는 항곰팡이제로 락틱산(lactic acid),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소르브산(sorbic acid), 아질산염(nitrites), 질산염(nitrates), 인산(phosphoric acid) 등의 유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결착제(펠렛바인더)는 리그닌술폰산염, 젤라틴, 카제인, 알긴산나트륨, 알긴산칼륨, 알긴산칼슘, 헤미셀룰로오스, 콜라겐 및 폴리메틸로카바마이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리그닌술폰산염, 젤라틴, 알긴산나트륨, 헤미셀롤로오스, 콜라겐 및 폴리메틸로카바마이드 중 하나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젤라틴, 알긴산나트륨, 콜라겐 및 폴리메틸로카바마이드 중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젤라틴, 콜라겐 및 폴리메틸로카바마이드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전분류의 소스(source)는 쌀, 밀, 카사바(cassava), 감자, 고구마, 타피오카, 칡, 오일야자(oil palm) 및 사고 야자(sago palm)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쌀, 밀, 감자, 고구마 및 타피오카 중 하나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밀, 감자 및 고구마 중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감자일 수 있다.
상기 겔화제는 한천, 젤라틴 등일 수 있으나, 그 유형은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점막 자극 물질은 백신 조성물의 체내 흡수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점막에 직접적인 물리적 상처를 유도하여 체내 흡수율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점막 자극 물질은 규조토(diatomite), 갑각류껍질 및 녹말가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규조토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점막 자극 물질의 함량은 상기 마감부의 100중량부 기준으로 3~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35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7~25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10~20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갑각류는 새우류 및/또는 게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녹말가시는 외관상 가시, 이쑤시개 등의 형태/형상/모양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녹말가시는 원료로 상기 곡물, 카사바, 감자, 고구마, 타피오카, 칡, 오일야자 및 사고 야자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만약 상기 점막 자극 물질에 함유되는 규조토, 갑각류껍질 및 녹말가시 각각의 중량부 범위가 상한값인 5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에 대한 돼지의 기호성이 낮아질 수 있고, 상기 중량부 범위가 하한값인 3중량부에 미달할 경우 점막에 직접적인 물리적 상처를 충분히 유도하지 못하여 백신주의 체내 흡수율이 감소하게 되고,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의 속효성 백신 효능, 즉 속효성 면역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수제는 백신 조성물을 포함하는 용기가 파손될 경우 용기로부터 누출되는 백신 조성물을 포착하여 유실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수제의 두께(T2), 즉 제형부 내측으로부터 마감부의 외측까지의 두께는 0.1~1.2cm, 바람직하게는 0.1~0.8cm, 더 바람직하게는 0.1~0.6cm, 가장 바람직하게는 0.1~0.5cm일 수 있기는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아래 도 1 참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수제는 다당류(polysaccharide), 이당류(disaccharide), 단당류(monosaccharide), 젤라틴, 한천, 규조토, 코코피트(cocopeat) 및 왕겨분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및 벤토나이트(bentonite)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젤라틴 및 벤토나이트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다당류, 이당류, 단당류, 젤라틴, 한천, 규조토, 코코피트 및 왕겨분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및 벤토나이드의 혼합물은 다당류, 이당류, 단당류, 젤라틴, 한천, 규조토, 코코피트 및 왕겨분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및 벤토나이트를 10~32:35~80, 바람직하게는 20~32:35~50, 더 바람직하게는 25~32:35~45, 가장 바람직하게는 28~32:38~42의 혼합 중량비로 혼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흡수제가 상기 혼합 중량비를 충족하는 경우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로서 목적하는 내수성, 내구성 및 속효성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흡수제의 함량은 상기 마감부의 100중량부 기준으로 1~7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60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20~50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30~4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수제의 100중량부 기준으로,
상기 다당류의 함량은 1~8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70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40~65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50~60중량부이고,
상기 이당류의 함량은 1~8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70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40~65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50~60중량부이며,
상기 단당류의 함량은 1~8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70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40~65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50~60중량부이고,
상기 젤라틴의 함량은 1~8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70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40~65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50~60중량부이며,
상기 한천의 함량은 1~8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70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40~65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50~60중량부이고,
상기 규조토의 함량은 1~8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70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40~65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50~60중량부이며,
상기 코코피트의 함량은 1~8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70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40~65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50~60중량부이고,
상기 왕겨분의 함량은 1~8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70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40~65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50~60중량부이며,
상기 벤토나이트의 함량은 1~8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60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30~50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40~45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흡수제에 함유되는 다당류, 이당류, 단당류, 젤라틴, 한천, 규조토, 코코피트 및 왕겨분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및 벤토나이트 각각의 중량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의 내수성, 내구성, 기호성, 속효성 및 백신 효능(면역 효과)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 및 제형부 중 하나 이상은 식물성 향료 또는 색소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가 식물성 향료 및 색소를 더 함유하는 경우, 상기 마감부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식물성 향료의 함량은 1~20중량%, 바람직하게는 1~1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5중량%이고, 상기 색소의 함량은 0.01~0.5중량%, 바람직하게는 0.05~0.2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5~0.1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형부가 식물성 향료 및 색소를 더 함유하는 경우, 상기 제형부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식물성 향료의 함량은 1~20중량%, 바람직하게는 1~1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5중량%이고, 상기 색소의 함량은 0.01~2중량%, 바람직하게는 0.05~1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5~0.5중량%일 수 있다.
상기 식물성 향료는 과일 향료, 채소 향료, 꽃 향료 및 허브 향료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과일 향료 및/또는 채소 향료, 더 바람직하게는 과일 향료로서 사과 향료, 복숭아 향료, 바나나 항료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사과 향료일 수 있다.
상기 색소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식물성 색소, 동물성 색소(곤충 색소 등), 합성 색소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색소의 색상은 흰색, 노란색, 녹색, 적색, 파란색, 갈색, 회색, 검은색 등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흰색, 노란색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백신 조성물은 돼지에서 바이러스성 질병을 유발하는 원인체인 돼지바이러스의 백신주 또는 돼지에서 세균성 질병을 유발하는 원인체인 돼지세균의 백신주, 바람직하게는 돼지바이러스의 백신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돼지바이러스 백신주(변형된 생 바이러스)" 또는 "돼지세균 백신주(변형된 생 세균)"는, 야생형 돼지바이러스 또는 돼지세균을 인 비트로(in vitro)에서 계대배양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질병을 유발시키는 능력이 감쇠되었으나 돼지에게 투여할 경우 야생형 돼지바이러스 또는 야생형 돼지세균의 감염질환으로부터 보호하는 능력(항원성)은 유지하는 약독화된 바이러스 또는 세균을 의미한다.
상기 돼지바이러스 백신주는 돼지열병바이러스, 돼지유행성설사병바이러스, 돼지로타바이러스 및 돼지전염성위장염바이러스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백신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돼지열병바이러스의 백신주는 Flc-LOM-BErns 백신주(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수탁번호: KCTC18431P; 수탁명칭: Classical swine fever virus Berns attenuated C-P50; 수탁일자: 2015.12.08)이고,
상기 돼지유행성설사병바이러스의 백신주는 SM98 백신주(KRIBB 수탁번호: KCTC10891BP; 수탁명칭: PED SM98; 수탁일자: 2006.01.12) 및/또는 HSGP 백신주(KRIBB 수탁번호: KCTC14057BP; 수탁명칭: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HSGP strain; 수탁일자: 2019.12.03)이며,
상기 돼지로타바이러스의 백신주는 18KPR02 백신주(KRIBB 수탁번호: KCTC18756P; 수탁명칭: Porcine Rotavirus 18KPR02; 수탁일자: 2018.12.14) 및/또는 18KPR03 백신주(KRIBB 수탁번호: KCTC18757P; 수탁명칭: Porcine Rotavirus 18KPR03; 수탁일자: 2018.12.14)이고,
상기 돼지전염성위장염바이러스의 백신주는 PT-100 백신주(KRIBB 수탁번호: KCTC10889BP; 수탁명칭: TGEV 175L; 수탁일자: 2006.01.12)일 수 있으나, 상기 백신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백신 조성물에 함유되는 돼지바이러스 백신주의 함량(바이러스 역가(viral titer))은 바람직하게는 105~107TCID50(Tissue Culture Infective Dose 50%)/mL, 더 바람직하게는 105.5~107TCID50/mL, 가장 바람직하게는 106~107TCID50/mL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돼지바이러스 백신주의 돼지 접종 효능에 따라 적정한 함량으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돼지바이러스 백신주가 돼지열병바이러스의 백신주인 경우, 상기 백신주의 함량(바이러스 역가)은 바람직하게는 105~107TCID50/mL, 더 바람직하게는 105.5~107TCID50/mL, 가장 바람직하게는 106~107TCID50/mL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돼지바이러스 백신주가 돼지유행성설사병바이러스 백신주인 경우, 상기 백신주의 함량(바이러스 역가)은 바람직하게는 105.5~107TCID50/mL, 더 바람직하게는 106~107TCID50/mL, 가장 바람직하게는 106.5~107TCID50/mL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돼지바이러스 백신주가 돼지로타바이러스 백신주인 경우, 상기 백신주의 함량(바이러스 역가)은 바람직하게는 106~107.5TCID50/mL, 더 바람직하게는 106.5~107.5TCID50/mL, 가장 바람직하게는 107~107.5TCID50/mL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돼지바이러스 백신주가 돼지전염성위장염바이러스 백신주인 경우, 상기 백신주의 함량(바이러스 역가)은 바람직하게는 106~107.5TCID50/mL, 더 바람직하게는 106.5~107.5TCID50/mL, 가장 바람직하게는 107~107.5TCID50/mL일 수 있다.
상기 "TCID50(Tissue Culture Infective Dose 50%)"는 바이러스의 "감염유발 단위"로, 세포 또는 조직 배양물의 50%를 감염 또는 사망시키는데 필요한 양으로 정의된다. 상기 TCID50의 계산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먼저 바이러스 시료를 연속계단희석(Serial Dilution)하고 각 희석된 바이러스 시료를 세포배양용 플레이트(예컨대, 96-well plate)의 각 웰에서 동일한 수로 배양된 숙주세포들에 첨가하여 감염시킨 다음, 세포병변을 나타내는 웰 수를 확인하여 50%의 웰 수에서 세포병변을 나타내는 희석율의 역수로 최종 바이러스의 TCID50 값을 계산한다.
상기 돼지세균 백신주는 에리시펠로트릭스 루시오파시애(Erysipelothrix Rhusiopathiae), 악티노바실러스 플레우로뉴모니아(Actinobacillus pleuroneumonia), 미코플라스마 하이오뉴모니애(Mycoplasma hyopneumoniae), 이. 콜라이(E. coli) K88, K99, F41 및 987P, 클로스트리듐 퍼페링젠스(Clostridium perfringens) C형, 살모넬라 콜레라에슐스(Salmonella choleraesuis), 파스튜렐라 멀토시다(Pasteurella multocida), 보르데텔라 브론키셉티카(Bordetella bronchiseptica), 렙토스피라 브라티스라바(Leptospira bratislava), 렙토스피라 카니콜라(Leptospira canicola), 렙토스피라 그리포티포사(Leptospira grippotyphosa), 렙토스피라 하르드조(Leptospira hardjo), 렙토스피라 프모나(Leptospira pomona) 및 렙토스피라 이크테로(Leptospira icterohaemorrhagia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백신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백신 고형제제는 백신 또는 면역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활성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돼지바이러스 백신주, 돼지세균 백신주 외 호르몬제, 구충제, 항생제, 생균제, 효소제,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 식물 추출물, 항산화제, 독소 억제제 등을 보조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백신 고형제제는 증진된 내수성 및 내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백신 고형제제는 돼지에서 증진된 기호성으로 경구투여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백신 고형제제는 침수 또는 매립 처리 시 내수성 및 내구성이 유지되어 안정된 제형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백신 고형제제는, 50kgf(kilogram-force) 이상, 바람직하게는 51~55kgf의 압축응력 값을 가지며, 침수 처리 후 1~30℃의 온도에서 14일 경과 시 5kgf 이상, 바람직하게는 5~15kgf의 압축응력 값을 갖고, 매립 처리 후 14일 경과 시 10kgf 이상, 바람직하게는 10~30kgf의 압축응력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압축응력 값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의 내수성, 내구성, 기호성 및 속효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압축응력"은 외부로부터 물체에 압력을 가하여 그 부피를 줄였을 때, 물체 내부에서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생기는 힘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백신 고형제제는 품질 유지/관리를 위해, 상기 용기, 마감부 및 제형부 각각의 외측 표면에 식별성 표기(예컨대, 바코드, QR코드 등), 돼지바이러스/돼지세균 백신주의 설명(예컨대, 돼지바이러스 백신주의 유형(1종 이상)/함량(바이러스 역가)/제조연월일 등), 백신 고형제제의 재료/규격/제조연월일/유효기간 등의 정보를 표기/기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백신 고형제제는 정육면체, 직육면체, 원통/실린더, 구체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조/보관의 편의성을 위해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백신 고형제제가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인 경우,
(i) 상기 마감부의 외측 치수(W[가로] x L[세로] x H[높이])는
2.0~3.8cm x 2.0~3.8cm x 2.0~3.8cm,
바람직하게는 3.0~3.8cm x 3.0~3.8cm x 3.0~3.8cm,
더 바람직하게는 3.3~3.8cm x 3.3~3.8cm x 3.3~3.8cm,
가장 바람직하게는 3.5~3.7cm x 3.5~3.7cm x 3.5~3.7cm일 수 있고,
(ii) 상기 백신 고형제제가 제형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형부의 외측치수(W x L x H)는
1.0~6.0cm x 1.0~6.0cm x 1.0~6.0cm,
바람직하게는 2.0~5.0cm x 1.0~5.0cm x 2.0~5.0cm,
더 바람직하게는 3.0~4.0cm x 2.0~4.0cm x 3.0~4.0cm,
가장 바람직하게는 3.8~4.0 cm x 2.1~2.3cm x 3.8~4.0cm일 수 있으며,
상기 제형부의 내측치수(W x L x H)는
1.0~6.0cm x 1.0~4.0cm x 1.0~6.0cm,
바람직하게는 1.0~5.0cm x 1.0~3.0cm x 1.0~5.0cm,
더 바람직하게는 2.0~4.0cm x 1.0~2.0cm x 2.0~4.0cm,
가장 바람직하게는 2.8~3.0cm x 1.1~1.3cm x 3.3~3.5cm일 수 있고,
상기 제형부의 두께(T1), 즉 제형부 외측으로부터 내측까지의 두께는,
1.0~5.0cm, 바람직하게는 1.0~4.0cm, 더 바람직하게는 1.0~3.0cm, 가장 바람직하게는 1.0~2.0cm일 수 있기는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아래 도 1 참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백신 고형제제가 마감부 및 제형부를 모두 갖는 경우, 백신 고형제제는 마감부의 일부분(단면 등)이 외부환경(공기, 물, 흙 등)에 노출되는 개방형 또는 마감부가 외부환경에 노출되지 않은 폐쇄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조/사용의 편의성 및 내용물의 확인을 위해 마감부의 일부분이 외부환경에 노출되는 개방형인 것이 바람직하다(아래 도 1 참조).
상기 "돼지"란 용어는 숫돼지, 암돼지, 수자돈, 암자돈, 임신돼지, 수유 중인 돼지, 임신돼지의 태아 등 모두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자돈은 3일령 내지 11주령, 바람직하게는 3일령 내지 10일령의 돼지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은 동물에서 돼지바이러스/돼지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증, 설사, 구토 및 분변에 의한 바이러스/세균 배출, 소장 내의 병변 유발을 완화 및/또는 방지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치료'란 증상의 경감 또는 개선, 질환의 범위의 감소, 질환 진행의 지연 또는 완화, 질환 상태의 개선, 경감 또는 안정화, 부분적 또는 완전한 회복, 생존의 연장, 기타 다른 이로운 치료 결과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백신"은 동물에서 면역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면역학적으로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 더 바람직하게는 돼지와 같은 목적 동물에 경구투여될 수 있는 형태의 면역원성 물질을 함유하는 조성물 또는 제제를 지칭한다.
상기의 "면역원성"이라는 용어는 목적 동물(포유동물 등)에서 면역반응을 유발하는 바이러스/세균 항원을 구성하는 핵산, 폴리펩타이드 등의 물질을 이용하여 체액성 유형(B 세포) 및/또는 세포성 유형(T 세포)의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물질들의 특성을 의미한다.
상기 백신 조성물은 목적 동물에 도입 시 면역반응, 바람직하게는 도입된 항원(들)에 대해 특이적인 면역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면역반응은 백신 접종된 돼지의 세포 및 조직 내에서의 특이적 항체의 생산, 사이토카인, 및/또는 세포독성 T 세포, 항원 제시 세포, 헬퍼 T 세포, 수지상 세포 및/또는 기타 세포성 반응의 활성화 여부로 검출하되, 면역학 업계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통상적인 검정법을 사용하여 쉽게 검출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하기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후술되는 제조예 1~3 및 비교제조예 1~4에서 사용한 백신 고형제제의 원료 및 재료는 소매상에서 입수한 것이고, 상기 백신 고형제제에 담지되는 백신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백신주를 제조 및 검증하기 위해 시험예 1~4에서 사용한 시약은 제조사/입수처가 표기되어 있지 않은 경우 Sigma-Aldrich사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제조예 1]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인 이체형 경성 고형제제(이체형 경성 큐브)를 제조하였다.
이체형 경성 고형제제는 백신 조성물을 담지한 용기를 함유하는 백신부와, 상기 용기 외측에 마감재(충진제)를 채워 형성되는 마감부, 및 상기 마감부 외측에 결착되어 형성되는 제형부가 구비되도록 제조하였다. 상기 제형부의 외측치수(W[가로] x L[세로] x H[높이])는 3.9cm x 2.2cm x 3.9cm이고, 내측치수(W x L x H)는 2.9cm x 1.2cm x 3.4cm이며, 내측에는 상기 용기를 삽입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갖고, 상기 용기가 내부공간에 안정하게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용기가 차지하는 공간 외 내부공간의 남은공간을 마감재(충진제)로 채워 마감부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마감부 형성 시 마감부 외측에 흡수제를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제형부는 제형부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곡물분말(1:1의 중량비로 옥수수 분말 및 쌀 분말을 혼합한 혼합물) 70중량%, 결착제(펠렛바인더, 미립) 4중량%, 전분류 17중량%, 유지(油脂) 3중량% 및 보존제 4.5중량%로 이루어진 강성복합물(剛性複合物)과 사과향료 1.5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마감부는 경성 마감부로, 경성 마감부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곡물분말(1:1의 중량비로 옥수수 분말 및 쌀 분말을 혼합한 혼합물) 18중량%, 유지 47중량%, 이형제(예컨대, 파라핀) 31중량%, 및 보존제 2중량%로 이루어진 경성복합물(硬性複合物)과 사과향료 2중량%를 혼합한 마감재(충진제)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이체형 경성 고형제제는, 강성복합물과 사과향료의 혼합물을 압착성형틀에 성형하고 약 56℃의 온도에서 약 5시간 건조시킨 후 1~30℃의 온도에서 약 24시간 더 건조시켜 제형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형부의 내부공간에 백신 조성물을 담은 용기를 삽입하고 내부공간의 빈공간을 마감재로 채운 후 -18℃ 이하에서 냉동시켜 마감부가 형성되도록 제조하였다(아래 도 1~3 참조).
[제조예 2]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인 이체형 연성 고형제제(이체형 연성 큐브)는 제조에 1과 같이 제형부, 바이러스 조성물을 담지한 용기를 함유하는 백신부 및 흡수제를 사용하여 제조하되, 경성 마감부 대신 연성 마감부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연성 마감부는, 연성 마감부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곡물분말(1:1의 중량비로 옥수수 분말 및 쌀 분말을 혼합한 혼합물) 30중량%, 당류 32중량%, 겔화제 32중량% 및 보존제 2중량%로 이루어진 연성복합물(軟性複合物)과 사과향료 4중량%를 혼합한 마감재(충진제)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이체형 연성 고형제제는, 연성복합물, 사과향료의 혼합물을 압착성형틀에 성형하고 약 56℃의 온도에서 약 5시간 건조시킨 후 1~30℃에서 약 24시간 더 건조시켜 형성된 제형부의 내부공간에 백신 조성물을 용기에 담아 삽입하고 내부공간의 빈공간을 마감재로 채운 후 -18℃ 이하에서 냉동시켜 마감부가 형성되도록 제조하였다(아래 도 1~3 참조).
[제조예 3]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인 일체형 연성 고형제제(일체형 연성 큐브)를 제조하였다.
일체형 연성 고형제제는, 이체형 경성/연성 고형제제와 달리, 제형부 및 마감부의 구분 없이 백신부의 백신 조성물을 담지한 용기의 외측에 제조예 1의 마감재(충진제)를 덮어 형성되는 마감부가 구비되도록 제조하였다. 상기 일체형 연성 고형제제의 외측 치수(W x L x H)는 3.6cm x 3.6cm x 3.6cm이었다.
구체적으로, 일체형 연성 고형제제는, 상기 마감부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곡물분말(1:1의 중량비로 옥수수 분말 및 쌀 분말을 혼합한 혼합물) 30중량%, 당류 32중량%, 겔화제 32중량% 및 보존제 2중량%로 이루어진 연성복합물과 사과향료 4중량%를 혼합한 마감재를 사용하여 성형틀에 1/3을 채운 후 백신 조성물을 넣고, 성형틀의 빈공간을 마감재로 채운 다음, -18℃ 이하에서 냉동시켜 마감부가 형성되도록 제조하였다.
제조예 1~3에서 사용한 용기는 캡슐 백신 포켓으로, 상기 캡슐 백신 포켓에 약 0.5mL의 백신 조성물을 담지하여 마감부에 포함되도록 하였다.
제조예 1~3에서 사용한 점막 자극 물질은 상기 마감부의 100중량부 기준으로, 규조토 15중량부를 넣어 제조하였다.
제조예 1~2에서 사용한 흡수제는 상기 마감부의 100중량부 기준으로 35중량부이었고, 상기 흡수제는 흡수제의 100중량부 기준으로 젤라틴 57중량부, 벤토나이트 43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아래 도 1~3 참조).
[비교제조예 1] 미끼제형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566401호의 실시예 1 및 2를 참조하여, 광견병미끼부 제조에 사용된 원료(주성분: 계육분 및 갈색어분)로 미끼제형을 제조하였다.
[비교제조예 2]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 타입 I
제조예 1 및 2와 같이 제조하되, 곡물분말로만 이루어진 마감부를 포함하는 고형제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제조예 3]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 타입 II
제조예 1 및 2와 같이 제조하되, 전분으로만 이루어진 마감부를 포함하는 고형제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제조예 4]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 타입 III
제조예 1 및 2와 같이 제조하되, 겔화제으로만 이루어진 마감부를 포함하는 고형제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제조예 5]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 타입 IV
제조예 1 및 2와 같이 제조하되, 당류로만 이루어진 마감부를 포함하는 고형제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제조예 6]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 타입 V
제조예 3과 같이 제조하되, 겔화제로만 이루어진 마감부를 포함하는 고형제제를 제조하였다.
한편, 비교제조예 4 및 5의 경우 제형부 및 마감부 간 간격이 생겨 유격(loosen)되거나 분리되어 안정적인 고형제제의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비교제조예 6의 경우 형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서, 후술되는 시험예들에서는 사용하지 않았다. 즉, 제조예 1의 주요성분인 강성복합물 및 경성복합물의 조합, 제조예 2의 주요성분인 강성복합물 및 연성복합물의 조합 및 제조예 3의 주요성분인 연성복합물과는 상이한 조성으로 이루어진 비교제조예 4, 5 및 6의 고형제제는 제형 안정성이 매우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1]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의 제형 안정성 확인
본 발명에 따른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의 야외(보관, 운송/유통 등)에서의 안정성 확보에 적합한 마감부의 선택을 위해, 경성복합물, 연성복합물, 곡물분말(일반 사료) 또는 전분을 마감재로 사용하여 제조한 각각의 경구투여용 고형제제를 냉동 후 해동시켜 제형의 변형 여부로 제형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제조예 1~2 및 비교제조예 2~3의 경우, 냉동 후 해동시켜 온도변화에 따른 각 제조예들의 제형 안정성을 제형부에 대한 마감부의 결착 여부(또는, 결착 정도)로 제형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조예 3의 경우 냉동 후 해동시켜 마감부의 변형 여부로 제형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동/해동의 온도변화가 가해지더라도 제조예 1~3은 온도변화에 따른 변형이 없었고, 특히 제조예 1~2는 마감부 및 제형부 간의 결착력이 강하게 유지되어 제형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비교제조예 1~3은 마감부 및 제형부 간의 결착력이 약하여 분리되는 현상이 있어 제형 안정성이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의 내수성 및 매립 시 내구성 확인
본 발명에 따른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는 양돈농장의 돼지들에게 사용할 뿐만 아니라 야생멧돼지, 산에 방사하여 사육하는 흑돼지 및 멧돼지들에게도 사용가능하도록 살포 되어야 하므로, 야외/산속에 살포하는 경구투여용 고형제제는 돼지가 섭취할 때까지 이에 함유된 백신 조성물이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내수성 및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2-1]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의 내수성 확인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를 야외 환경에서 사용할 경우 비, 눈, 안개, 서리 등 다양한 조건의 습기에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다습한 환경 또는 수중에서 본 발명에 따른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의 구조/형태가 보존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제조예 1~3 및 비교제조예 1~3의 각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를 14일간 침수 처리 후, 구조/형태가 유지되는 정도(내수성)를 외관 상태, 촉감 정도 및 압축응력 측정(압축응력 측정기: 모델 DS2-500N, OPTECH사)으로 확인하였다(압축응력 측정: 백신 고형제제의 표면에 하중을 가하고 응력값 측정을 통해 압축응력성, 형태 지속성, 파손 여부 등을 확인하였음).
그 결과, 표 1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예 1~3은 침수 후 14일 경과 시 압축응력 값은 다소 감소하였으나 수중에서 안정된 구조 및 형태를 유지하여 (돼지가 섭취하기 전) 침습 조건 하에서 최소 14일까지는 각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 내 백신 조성물을 충분히 보호할 수 있는 내수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래 표 1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의 압축응력 측정결과를 나타낸 것이다(압축응력 단위: kgf).
큐브 침수 처리 전 침수 후 14일 경과
제조예 1 53 13
제조예 2 51 12
제조예 3 55 7
한편, 비교제조예 1 내지 3의 경우 침수 처리 시 과도한 수분 흡수로 제형부 및 마감부 간 간격이 생겨 유격되거나 분리되고 안정적인 고형제제의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압축응력 값 측정 불가). 즉, 제조예 1의 주요성분인 강성복합물 및 경성복합물의 조합, 제조예 2의 주요성분인 강성복합물 및 연성복합물의 조합 및 제조예 3의 주요성분인 연성복합물과는 상이한 조성으로 이루어진 비교제조예 1 내지 3의 고형제제는 내수성이 매우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2-2]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의 매립에 따른 내구성 확인
본 발명에 따른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의 구조/형태가 땅속에서 보존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경구투여용 고형제제는 양돈농장에서 사육되는 돼지에게 사용 시 즉시 섭취하므로 문제가 되지 않으나, 야생멧돼지, 산에 방사하여 사육하는 흑돼지 및 멧돼지에게 사용 시에는 다른 동물들이 섭취하거나 훼손하지 못하게 매몰 방식을 사용해야 경구투여용 고형제제에 포함된 백신 조성물이 충분한 접종량으로 돼지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이에 흙속에서 경구투여용 고형제제의 구조/형태가 보존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제조예 1~3 및 비교제조예 1~3의 각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를 14일간 매립(매립 처리)한 후 출토하여 각 큐브의 내구성을 외관 상태, 촉감 정도 및 압축응력 측정(압축응력 측정기: 모델 DS2-500N, OPTECH사)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표 2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예 1~3은 매립 후 14일 경과 시 압축응력 값은 다소 감소하였으나 구조 및 형태는 안정하게 유지되어 매립 후 (돼지가 섭취하기 전) 매립 조건 하에서 최소 14일까지는 각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 내 백신 조성물을 충분히 보호할 수 있는 내구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래 표 2는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의 압축응력 측정결과를 나타낸 것이다(압축응력 단위: kgf).
큐브 매립 처리 전 매립 후 6시간 경과 매립 후 14일 경과
제조예 1 53 41 24
제조예 2 51 40 26
제조예 3 55 30 10
한편, 비교제조예 1 내지 3의 경우 매립 처리 시 토양 하중에 따른 압력으로 제형부 및 마감부 간 간격이 생겨 유격되거나 분리되고 안정적인 고형제제의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압축응력 값 측정 불가). 즉, 제조예 1의 주요성분인 강성복합물 및 경성복합물의 조합, 제조예 2의 주요성분인 강성복합물 및 연성복합물의 조합 및 제조예 3의 주요성분인 연성복합물과는 상이한 조성으로 이루어진 비교제조예 1 내지 3의 고형제제는 내구성이 매우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에 대한 돼지의 기호성 확인
먼저, 제조예 1~3 및 비교제조예 1의 각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큐브)에 대한 충청남도 예산군 소재 양돈농장 모돈의 기호성을 확인하기 위해, 모돈 80두를 그룹 1~4로 나누어 그룹 당 20두씩 배정하고, 제조예 1~3 및 비교제조예 1을 유형별로 모돈 두 당 10개씩 제공한 후 1일이 경과된 시점에서 각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에 대한 기호성을 섭취율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룹 1, 2 및 3의 모돈들은 제조예 1, 2 및 3에 대해 97.5%, 97.0% 및 99.5%의 높은 섭취율을 나타낸 반면, 그룹 4의 모돈들은 37.0%의 낮은 섭취율을 나타내었다.
아래 표 3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큐브)에 대한 양돈농장 모돈의 기호성을 섭취율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큐브 섭취율(%) = 섭취 큐브 개수/총 큐브 개수).
돼지 종류 큐브 섭취 그룹 1 그룹 2 그룹 3 그룹 4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비교제조예 1
양돈농장 모돈 1일 간 큐브 섭취율 97.5% 97.0% 99.5% 37.0%
큐브 섭취 형태 큐브를 부숴서 먹음 큐브를 부숴서 먹음 큐브를 부수지 않고, 한 번에 삼켜 먹음 큐브를 부숴서 먹음
상기 결과에 따르면 제조예 1 내지 3에 따른 고형제제는 모돈군에서 증진된 기호성으로 경구투여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제조예 1~3 및 비교제조예 1의 각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큐브)에 대한 사육멧돼지의 기호성을 확인하기 위해, 사육멧돼지 80두를 그룹 1~4로 나누어 그룹 당 20두(성돈 10두 + 자돈 10두)씩 배정하고, 각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를 매몰된 상태로 제공한 후 1주일이 경과된 시점에서 각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에 대한 기호성을 섭취율로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사육멧돼지 농장(사육 규모: 15,000평 규모로, 1두 당 토지면적 124m2)의 방목지 내 10곳에 약 10cm 깊이로 구덩이를 파고 제조예 1~3 및 비교제조예 1의 각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를 10개씩 매몰한 후, 각 그룹의 사육멧돼지를 1주일간 상기 방목지에서 방사형으로 순차적으로 사육한 후(제조예 1을 섭취한 그룹 5, 제조예 2를 섭취한 그룹 6, 제조예 3을 섭취한 그룹 7 및 비교제조예 1을 섭취한 그룹 8), 각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에 대한 기호성을 섭취율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룹 5, 6 및 7의 사육멧돼지들은 제조예 1, 2 및 3에 대해 91.0%, 86.0% 및 94.0%의 높은 섭취율을 나타낸 반면, 그룹 8의 사육멧돼지들은 21.0%의 낮은 섭취율을 나타내었다.
그룹 4 및 8의 낮은 섭취율은 비교제조예 1이 돼지와 섭취습성이 다른 너구리 등의 소형 야생동물에 적합한 미끼제형으로 제조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아래 표 4는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큐브)에 대한 사육멧돼지의 기호성을 섭취율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큐브 섭취율(%) = 섭취 큐브 개수/총 큐브 개수).
돼지 종류 큐브 섭취 그룹 5 그룹 6 그룹 7 그룹 8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비교제조예 1
사육
멧돼지
(방사형)
1주일 간 큐브 섭취율 91.0% 86.0% 94.0% 21.0%
큐브 섭취 형태 자돈은 큐브를 부숴서 먹고, 성돈은 큐브를 한번에 먹음 자돈은 큐브를 부숴서 먹고, 성돈은 큐브를 한번에 먹음 자돈은 큐브를 부숴서 먹고, 성돈은 큐브를 한번에 먹음 성돈 및 자돈은 큐브를 조금만 부숴서 먹으나 잘 안먹음
상기 결과에 따르면 제조예 1 내지 3에 따른 고형제제는 멧돼지군에서 증진된 기호성으로 경구투여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4] 돼지바이러스성 감염에 대한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의 사용 적합성 확인
[4-1] 돼지열병바이러스를 포함하는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의 중화항체 형성능 확인
시험예 1~3을 통해 제형 안정성 및 섭취 기호성이 확인된 제조예 1~3의 각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에 돼지열병바이러스(CSFV)의 약독화 백신주인 LOM 백신주 및 Flc-LOM-BErns 백신주(KRIBB 수탁번호: KCTC18431P)를 백신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포함시켜 돼지에 경구투여 하였다(LOM 백신주의 경구투여 함량 = 106.0TCID50/mL; 및 Flc-LOM-BErns 백신주의 경구투여 함량 = 106.0TCID50/mL). 그다음, 경구투여 전과 경구투여 40일 후의 혈액을 각 돼지로부터 채혈하여 중화항체가를 확인하였다.
[중화항체가 확인방법]
상기 LOM 백신주 및 Flc-LOM-BErns 백신주를 포함하는 제조예 1, 제조예 2 및 제조예 3의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를 경구투여한 돼지로부터 채혈한 혈액을 2배씩(2-fold) 연속 희석한 희석액에 백신주 바이러스인 돼지열병바이러스 LOM주를 웰(well)당 200TCID50/ml씩 넣고 1시간 감작 후에 CPK 세포(cloned porcine kidney cell)가 배양된 96-웰 플레이트에 넣어 37℃, 5% CO2 배양기에서 3일간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 3일 후에 96-웰 플레이트의 상층액을 제거하고 상층액이 제거된 플레이트에 80% 아세톤을 처리하여 30분 간 CPK 세포를 고정시킨 후, 상기 80% 아세톤을 제거한 다음, 돼지열병바이러스에 특이적인 단클론항체인 1차 항체를 넣고 1시간 반응시킨 후 상기 1차 항체를 제거하였다. 그다음, 상기 플레이트에 2차 항체인 항-생쥐 FITC 접합체(Anti-mouse FITC conjugate)를 넣고 1시간 반응시킨 후 형광현미경 하에서 특이적으로 형광염색된 돼지열병바이러스 항원이 검출되기 전 단계를 중화항체가로 판정하였다.
그 결과, 표 5 및 도 7~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돼지열병바이러스의 약독화 백신주를 포함하는 제조예 1, 제조예 2 및 제조예 3의 각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를 돼지(돼지열병바이러스에 대해 음성반응)에 경구투여 후 40일이 경과된 시점(40dpv)에서 백신주 종류에 상관없이 모두 높은 수준의 중화항체가를 나타내었다(LOM 백신주의 중화항체가: 13.3~29.3; 및 Flc-LOM-BErns 백신주의 중화항체가: 21.3~42.6).
아래 표 5는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에 의한 돼지열병바이러스에 대한 중화항체가를 나타낸 것이다.
큐브 종류 돼지
두수
(79일령)
돼지열병바이러스 LOM 백신주
(중화항체 SN)
돼지
두수
(84일령)
돼지열병바이러스 Flc-LOM-BErns 백신주
(중화항체 SN)
접종전 접종후 40일 접종전 접종후 40일
제조예 1 3 <2 26.6 3 <2 26.6
제조예 2 3 <2 13.3 3 <2 21.3
제조예 3 3 <2 29.3 3 <2 42.6
[4-2] 돼지유행성설사병바이러스를 포함하는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의 중화항체 형성능 확인
제조예 1, 제조예 2 및 제조예 3의 각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에 돼지유행성설사병바이러스(PEDV)의 약독화 백신주인 SM98 백신주(수탁번호: KCTC10891BP) 및 HSGP 백신주(KRIBB 수탁번호: KCTC14057BP)를 백신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포함시켜 돼지에 경구투여 하였다(SM98 백신주의 경구투여 함량 = 106.5TCID50/mL; 및 HSGP 백신주의 경구투여 함량 = 107.0TCID50/mL). 그다음, 경구투여 전과 경구투여 40일 후의 혈액을 각 돼지로부터 채혈하여 중화항체가를 확인하였다.
[중화항체가 확인방법]
상기 SM98 백신주 및 HSGP 백신주를 포함하는 제조예 1, 제조예 2 및 제조예 3의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를 경구투여한 돼지로부터 채혈한 혈액을 2배씩 연속 희석한 혈액 희석액과 돼지유행성설사병바이러스(SM98 백신주 또는 HSGP 백신주)의 접종액(200TCID50/ml)을 1:1의 부피비로 혼합하고 1시간 감작시켜 준비한 감작액(혈액 희석액 + 돼지유행성설사병바이러스 접종액)을 Vero 세포(monkey kidney cell)가 배양된 96-웰 플레이트에 넣어 37℃, 5% CO2 배양기에서 3일간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 3일 후에 96-웰 플레이트의 상층액을 제거하고 상층액이 제거된 플레이트에 80% 아세톤을 처리하여 30분 간 Vero 세포를 고정시킨 후, 상기 80% 아세톤을 제거한 다음, 돼지유행성설사병바이러스에 특이적인 단클론항체인 1차 항체를 넣고 1시간 반응시킨 후 상기 1차 항체를 제거하였다. 그다음, 상기 플레이트에 2차 항체인 항-생쥐 FITC 접합체를 넣고 1시간 반응시킨 후 형광현미경 하에서 특이적으로 형광염색된 돼지유행성설사병바이러스 항원이 검출되기 전 단계를 중화항체가로 판정하였다.
그 결과, 표 6 및 도 7~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돼지유행성설사병바이러스의 약독화 백신주를 포함하는 제조예 1, 제조예 2 및 제조예 3의 각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를 돼지(돼지유행성설사병바이러스에 대해 음성반응)에 경구투여 후 40일이 경과된 시점(40dpv)에서 백신주 종류에 상관없이 모두 높은 수준의 중화항체가를 나타내었다(SM98 백신주의 중화항체가: 13.3~26.6; 및 HSGP 백신주의 중화항체가: 21.3~37.3).
아래 표 6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에 의한 돼지유행성설사병바이러스에 대한 중화항체가를 나타낸 것이다.
큐브 종류 돼지
두수
(67일령)
돼지유행성설사병바이러스 SM98 백신주
(중화항체 SN)
돼지
두수
(76일령)
돼지유행성설사병바이러스 HSGP 백신주
(중화항체 SN)
접종전 접종후 40일 접종전 접종후 40일
제조예 1 3 4 13.3 3 <2 21.3
제조예 2 3 <2 21.3 3 <2 26.6
제조예 3 3 2 26.6 3 <2 37.3
[4-3] 돼지로타바이러스를 포함하는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의 중화항체 형성능 확인
제조예 1, 제조예 2 및 제조예 3의 각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에 돼지로타바이러스(PRoV)의 약독화 백신주인 18KPR02 백신주[KRIBB 수탁번호: KCTC18756P; Passage number 103(P-103)] 및 18KPR03 백신주[KRIBB 수탁번호: KCTC18757P; Passage number 102(P-102)]를 백신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포함시켜 돼지에 경구투여 하였다(18KPR02 백신주[Passage number 103]의 경구투여 함량 = 107.0TCID50/mL; 및 18KPR03 백신주[Passage number 102]의 경구투여 함량 = 107.0TCID50/mL). 그다음, 경구투여 전과 경구투여 40일 후의 혈액을 각 돼지로부터 채혈하여 중화항체가를 확인하였다.
[중화항체가 확인방법]
상기 18KPR02-P103 백신주 및 18KPR03-P102 백신주를 포함하는 제조예 1, 제조예 2 및 제조예 3의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를 경구투여한 돼지로부터 채혈한 혈액을 2배씩 연속 희석한 혈액 희석액과 돼지로타바이러스(18KPR02 백신주[Passage number 103] 또는 18KPR03 백신주[Passage number 102])의 접종액(200TCID50/ml)을 1:1의 부피비로 혼합하고 1시간 감작시켜 준비한 감작액(혈액 희석액 + 돼지로타바이러스 접종액)을 Vero 세포(monkey kidney cell)가 배양된 96-웰 플레이트에 넣어 37℃, 5% CO2 배양기에서 3일간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 3일 후에 96-웰 플레이트의 상층액을 제거하고 상층액이 제거된 플레이트에 80% 아세톤을 처리하여 30분 간 Vero 세포를 고정시킨 후, 상기 80% 아세톤을 제거한 다음, 돼지로타바이러스에 특이적인 단클론항체인 1차 항체를 넣고 1시간 반응시킨 후 상기 1차 항체를 제거하였다. 그다음, 상기 플레이트에 2차 항체인 항-생쥐 FITC 접합체를 넣고 1시간 반응시킨 후 형광현미경 하에서 특이적으로 형광염색된 돼지로타바이러스 항원이 검출되기 전 단계를 중화항체가로 판정하였다.
그 결과, 표 7 및 도 7~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돼지로타바이러스의 약독화 백신주를 포함하는 제조예 1, 제조예 2 및 제조예 3의 각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를 돼지(돼지로타바이러스에 대해 음성반응 또는 낮은 양성반응)에 경구투여 후 40일이 경과된 시점(40dpv)에서 백신주 종류에 상관없이 모두 높은 수준의 중화항체가를 나타내었다(18KPR02 백신주[Passage number 103]의 중화항체가: 29.3~42.6; 및 18KPR03 백신주[Passage number 102]의 중화항체가: 26.6.3~58.6).
아래 표 7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에 의한 돼지로타바이러스에 대한 중화항체가를 나타낸 것이다.
큐브 종류 돼지
두수
(86일령)
돼지로타바이러스 18KPR02-P103 백신주
(중화항체 SN)
돼지
두수
(90일령)
돼지로타바이러스 18KPR03-P102 백신주
(중화항체 SN)
접종 전 접종 후 40일 접종 전 접종후 40일
제조예 1 3 <2 42.6 3 8 58.6
제조예 2 3 4 29.3 3 8 53.3
제조예 3 3 <2 37.3 3 4 26.6
[4-4] 돼지전염성위장염바이러스 및 돼지델타코로나바이러스를 포함하는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의 중화항체 형성능 확인
제조예 1, 제조예 2 및 제조예 3의 각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에 돼지전염성위장염바이러스(TGEV)의 약독화 백신주인 PT-100 백신주(KRIBB 수탁번호: KCTC10889BP) 및 돼지델타코로나바이러스(PDCoV)의 약독화 백신주인 DCoV-20 백신주를 백신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포함시켜 돼지에 경구투여 하였다(PT-100 백신주의 경구투여 함량 = 107.0TCID50/mL; 및 DCoV-20 백신주의 경구투여 함량 = 104.0TCID50/mL). 그다음, 경구투여 전과 경구투여 40일 후의 혈액을 각 돼지로부터 채혈하여 중화항체가를 확인하였다.
[중화항체가 확인방법]
상기 PT-100 백신주 및 DCoV-20 백신주를 포함하는 제조예 1, 제조예 2 및 제조예 3의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를 경구투여한 돼지로부터 채혈한 혈액을 2배씩 연속 희석한 혈액 희석액에 돼지전염성위장염바이러스(PT-100 백신주) 및 돼지델타코로나바이러스(DCoV-20 백신주)를 웰당 200TCID50/ml씩 넣고 1시간 감작 후에 STL 세포 및 HRT-18 세포가 배양된 96-웰 플레이트에 넣어 37℃, 5% CO2 배양기에서 3일간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 3일 후에 96-웰 플레이트의 상층액을 제거하고 상층액이 제거된 플레이트에 80% 아세톤을 처리하여 30분 간 STL 세포 및 HRT-18 세포를 고정시킨 후, 상기 80% 아세톤을 제거한 다음, STL 세포의 경우 돼지전염성위장염바이러스에 특이적인 단클론항체인 1차 항체를 넣고, HRT-18 세포의 경우 돼지델타코로나바이러스 특이적인 단클론항체를 1차 항체를 넣고 1시간 반응시킨 후 상기 1차 항체들을 제거하였다. 그다음, 상기 플레이트에 2차 항체인 항-생쥐 FITC 접합체를 넣고 1시간 반응시킨 후 형광현미경 하에서 특이적으로 형광염색된 돼지전염성위장염바이러스 및 돼지델타코로나바이러스 각각의 항원이 검출되기 전 단계를 중화항체가로 판정하였다.
그 결과, 표 8 및 도 7~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돼지전염성위장염바이러스 및 돼지델타코로나바이러스 각각의 약독화 백신주를 포함하는 제조예 1, 제조예 2 및 제조예 3의 각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를 돼지(돼지전염성위장염바이러스 및 돼지델타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해 음성반응 또는 낮은 양성반응)에 경구투여 후 40일이 경과된 시점(40dpv)에서 백신주 종류에 상관없이 모두 높은 수준의 중화항체가를 나타내었다(PT-100 백신주의 중화항체가: 29.3~74.6; 및 DCoV-20 백신주의 중화항체가: 2.6 또는 음성).
아래 표 8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에 의한 돼지전염성위장염바이러스 및 돼지델타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중화항체가를 나타낸 것이다.
큐브 종류 돼지
두수
(102일령)
돼지전염성위장염바이러스 PT-100 백신주
(중화항체 SN)
돼지
두수
(84일령)
돼지델타코로나바이러스 DCoV-20 백신주
(중화항체 SN)
접종 전 접종 후 40일 접종 전 접종 후 40일
제조예 1 3 <2 42.6 3 4 <2
제조예 2 3 4 29.3 3 2 <2
제조예 3 3 <2 74.6 3 <2 2.6
[4-5] 돼지사펠로바이러스 및 돼지뇌심근염바이러스를 포함하는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의 중화항체 형성능 확인
제조예 1, 제조예 2 및 제조예 3의 각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에 돼지사펠로바이러스(PSapeloV)의 약독화 백신주인 PSaple-300 백신주 및 돼지뇌심근염바이러스(PEMCV)의 약독화 백신주인 PEMCV-200 백신주를 백신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포함시켜 돼지에 경구투여 하였다(PSaple-300 백신주의 경구투여 함량 = 105.0TCID50/mL; 및 PEMCV-200 백신주의 경구투여 함량 = 104.5TCID50/mL). 그다음, 경구투여 전과 경구투여 40일 후의 혈액을 각 돼지로부터 채혈하여 중화항체가를 확인하였다.
[중화항체가 확인방법]
상기 PSaple-300 백신주 및 PEMCV-200 백신주를 포함하는 제조예 1, 제조예 2 및 제조예 3의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를 경구투여한 돼지로부터 채혈한 혈액을 2배씩 연속 희석한 희석액에 돼지사펠로바이러스(PSaple-300 백신주) 및 돼지뇌심근염바이러스(PEMCV-200 백신주)를 웰당 200TCID50/ml씩 넣고 1시간 감작 후에 ST 세포 및 Vero 세포가 배양된 96-웰 플레이트에 넣어 37℃, 5% CO2 배양기에서 3일간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 3일 후에 96-웰 플레이트의 상층액을 제거하고 상층액이 제거된 플레이트에 80% 아세톤을 처리하여 30분 간 ST 세포 및 Vero 세포를 고정시킨 후, 상기 80% 아세톤을 제거한 다음, ST 세포의 경우 돼지사펠로바이러스에 특이적인 단클론항체인 1차 항체를 넣고, Vero 세포의 경우 돼지뇌심근염바이러스 특이적인 단클론항체를 1차 항체를 넣고 1시간 반응시킨 후 상기 1차 항체들을 제거하였다. 그다음, 상기 플레이트에 2차 항체인 항-생쥐 FITC 접합체를 넣고 1시간 반응시킨 후 형광현미경 하에서 특이적으로 형광염색된 돼지사펠로바이러스 및 돼지뇌심근염바이러스 각각의 항원이 검출되기 전 단계를 중화항체가로 판정하였다.
그 결과, 표 9 및 도 7~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돼지사펠로바이러스 및 돼지뇌심근염바이러스 각각의 약독화 백신주를 포함하는 제조예 1, 제조예 2 및 제조예 3의 각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를 돼지(돼지사펠로바이러스 및 돼지뇌심근염바이러스에 대해 음성반응 또는 낮은 양성반응)에 경구투여 후 40일이 경과된 시점(40dpv)에서 백신주 종류에 상관없이 모두 높은 수준의 중화항체가를 나타내었다(PSaple-300 백신주의 중화항체가: 3.3 또는 음성; 및 PEMCV-200 백신주의 중화항체가: 4 또는 음성).
아래 표 9는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에 의한 돼지사펠로바이러스 및 돼지뇌심근염바이러스에 대한 중화항체가를 나타낸 것이다.
큐브 종류 돼지
두수
(70일령)
돼지사펠로바이러스 PSaple-300 백신주
(중화항체 SN)
돼지
두수
(65일령)
돼지뇌심근염바이러스 PEMCV-200 백신주
(중화항체 SN)
접종 전 접종 후 40일 접종 전 접종 후 40일
제조예 1 3 <2 <2 3 <2 4
제조예 2 3 <2 <2 3 <2 <2
제조예 3 3 <2 3.3 3 <2 <2
상기의 시험 결과들을 종합하였을 때, 본 발명에 따른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에 사용가능한 생백신주들은 돼지열병바이러스(CSFV) 백신주인 LOM 백신주 및 Flc-LOM-BErns 백신주, 돼지유행성설사병바이러스(PEDV) 백신주인 SM98 백신주 및 HSGP 백신주, 돼지로타바이러스(PRoV) 백신주인 18KPR02 백신주[Passage number 103] 및 18KPR03 백신주[Passage number 102], 및 돼지전염성위장염바이러스(TGEV) 백신주인 PT-100 백신주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6)

  1. 백신 조성물을 담지한 용기를 함유하는 백신부; 및 상기 백신부를 둘러싸는 마감부를 포함하는 돼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로서,
    상기 마감부는 곡물분말, 유지, 이형제 및 보존제로 이루어진 경성복합물, 또는 곡물분말, 당류, 겔화제 및 보존제로 이루어진 연성복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마감부는 점막 자극 물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신 고형제제는 상기 마감부의 외측과 결착되는 제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의 외측에 흡수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1종 이상으로 백신부에 함유하되,
    상기 용기가 2종 이상일 경우, 각 용기는 돼지바이러스 백신주 또는 돼지세균 백신주를 1종 이상 담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성복합물의 곡물분말, 유지, 이형제 및 보존제의 중량비는 15~25:35~60:20~50:1~5이고,
    상기 연성복합물의 곡물분말, 당류, 겔화제 및 보존제의 중량비는 20~40:20~40:20~40:0.7~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형부는 강성복합물을 함유하고,
    상기 강성복합물은 곡물분말, 결착제, 전분류, 유지 및 보존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복합물의 곡물분말, 결착제, 전분류, 유지 및 보존제의 중량비는 50~73:2.5~10:10~25:2.5~5:4~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막 자극 물질은 규조토, 갑각류껍질 및 녹말가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 및 제형부 중 하나 이상은 식물성 향료 및 색소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비닐 팩(vinyl pack), 블리스터 팩(blister pack) 및 캡슐(capsul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백신 조성물은 돼지바이러스 백신주 또는 돼지세균 백신주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백신 조성물은 돼지열병바이러스, 돼지유행성설사병바이러스, 돼지로타바이러스 및 돼지전염성위장염바이러스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백신주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돼지열병바이러스의 백신주는 수탁번호 KCTC18431P로 수탁된 백신주이고,
    상기 돼지유행성설사병바이러스의 백신주는 수탁번호 KCTC10891BP로 수탁된 백신주 및 수탁번호 KCTC14057BP로 수탁된 백신주이며,
    상기 돼지로타바이러스의 백신주는 수탁번호 KCTC18756P로 수탁된 백신주 및 수탁번호 KCTC18757P로 수탁된 백신주 중 하나 이상이고,
    상기 돼지전염성위장염바이러스의 백신주는 수탁번호 KCTC10889BP로 수탁된 백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백신 고형제제는 증진된 내수성 및 내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
  1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백신 고형제제는, 50kgf(kilogram-force) 이상의 압축응력 값을 가지며, 침수 처리 후 5kgf 이상의 압축응력 값을 갖고, 매립 처리 후 10kgf 이상의 압축응력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
  1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백신 고형제제는 돼지에서 증진된 기호성으로 경구투여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
KR1020220148019A 2022-11-08 돼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 KR20240066798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6798A true KR20240066798A (ko) 2024-05-16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mphear et al. A corn-based delivery system for animal vaccines: an oral transmissible gastroenteritis virus vaccine boosts lactogenic immunity in swine
US8198067B2 (en) Delivery of disease control in aquaculture and agriculture using microbes containing bioactive proteins
CN105395676B (zh) 一种治疗动物霉菌毒素中毒的复方药物组合物
Tapia-Paniagua et al. Use of the probiotic Shewanella putrefaciens Pdp11 on the culture of Senegalese sole (Solea senegalensis, Kaup 1858) and gilthead seabream (Sparus aurata L.)
Nayak et al. Evaluation of biofilm of Aeromonas hydrophila for oral vaccination of Clarias batrachus—a carnivore model
BR112019015792A2 (pt) Células microbianas, métodos de sua produção e usos destas
CN104513827A (zh) 一种猪流行性腹泻病毒株、其弱毒疫苗株及应用
CN101172118A (zh) 作为抗传染病替代药物的益生微生物
CN106818629A (zh) 一种生态养猪方法
US20080044402A1 (en) Use of fermented wheat-germ in the feeding and veterinary practice
Sheikhzadeh et al. Can heat‐killed Gordonia bronchialis enhance growth and immunity in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Kunavongkrit et al. Pig reproduction in south east Asia
CN104431335A (zh) 一种动物抗应激饲料添加剂及其应用
CN101715893B (zh) 一种纯天然仔猪免疫促进饲料添加剂及应用
CN108902039A (zh) 一种高湿地区改善肉牛肉质的育肥养殖方法
CN105597097A (zh) 抗霉菌毒素和细菌外毒素及病原体复合IgY制备方法及其制剂
KR20240066798A (ko) 돼지 경구투여용 백신 고형제제
CN102304182B (zh) 一种肠毒性大肠杆菌蛋黄抗体粉的制备方法及其应用
CN113730552B (zh) 一种提高畜禽生理机能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566401B1 (ko) 미끼백신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108373A (ko) 어류 백신
CN103272240B (zh) 一种鸡肾型传染性支气管炎特异性转移因子复合热保护剂及其应用
KR100381553B1 (ko) 개 질병 항원을 이용한 특수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CN106074478A (zh) 一种应用苹果酸对屠宰日龄肉鸡弯曲菌进行减除的方法
KR101158039B1 (ko) 면역 초유 및 면역 난황이 복합된 면역증강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