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9674A - 차량용 냉각팬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냉각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9674A
KR20240059674A KR1020220138397A KR20220138397A KR20240059674A KR 20240059674 A KR20240059674 A KR 20240059674A KR 1020220138397 A KR1020220138397 A KR 1020220138397A KR 20220138397 A KR20220138397 A KR 20220138397A KR 20240059674 A KR20240059674 A KR 20240059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fan
vehicle
hub
discharge hol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8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효상
김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원공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to KR1020220138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9674A/ko
Publication of KR20240059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96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25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for axial flow fans
    • F04D29/329Details of the hub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10Guiding or ducting cooling-air, to, or from, liquid-to-air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02Pumping cooling-air; Arrangements of cooling-air pumps, e.g.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8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541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열교환기의 선측에 연결되는 쉬라우드, 쉬라우드의 선측에 연결되는 구동모터, 구동모터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을 가지는 허브 및 허브로부터 방사상으로 연결된 복수의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냉각팬을 포함하며, 허브는 회전 중심부를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 개의 배출홀이 구비되고, 배출홀은 공기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블레이드부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차량용 냉각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냉각팬 장치{Cooling fan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냉각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엔진 및 에어컨 시스템 구성부품의 냉각용으로 사용되는 차량용 냉각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냉각팬은 엔진 및 에어컨 시스템의 구성부품의 냉각용으로 사용되는데, 여기서 엔진시스템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냉각을 원활하게 하여 소비전력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연비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에어컨 시스템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응축기의 냉매의 열을 제거하여 냉방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운전자에게 쾌적한 환경 조건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하게, 차량용 쿨링 모듈 구성 요소는 콘덴서, 라디에이터를 포함하는 열교환기와 냉각팬 장치로 나뉘며, 열교환기를 기준으로 냉각팬 장치의 장착 위치에 따라 콘덴서 전방에 냉각팬이 장착되는 푸셔 타입과 라디에이터 후방에 냉각팬이 장착되는 풀러 타입으로 구분되며, 이 중 엔진룸 내 제약된 공간에서 냉각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풀러 타입이 많이 사용된다.
한편, 상기한 차량용 냉각팬 장치는 차량의 대형화에 따라 많은 송풍량을 요구하게 되는데, 이에 냉각팬 장치에서 많은 풍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냉각팬, 모터, 쉬라우드 순으로 결합되는 구조가 많이 채용된다.
이때, 냉각팬은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태의 허브와, 허브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의 날개부를 구비하고 모터는 허브와 연결됨으로써, 모터를 통해 냉각팬이 회전되어 송풍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차량용 냉각팬 장치의 경우, 냉각팬의 허브(10) 상단에 모터(20)의 냉각을 위해 냉각홀(11)이 구비되는데, 허브(10)의 개방된 일측 부분으로 유입되는 공기(유입#2, 유입#3)와 냉각홀(11)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유입#1)가 만나면서 허브(10) 내부에 정체 구간이 발생된다. 이로 인해 공기와 함께 유입된 모래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허브(10) 내부에 축적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차량용 냉각팬 장치에 대한 관련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35896호(2021.12.01)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냉각팬의 허브 내부에 공기 유동의 정체로 인해 이물질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용 냉각팬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열교환기의 후측에 배치되며,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을 가지는 허브 및 허브로부터 방사상으로 연결된 복수의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냉각팬, 상기 냉각팬에 연결되며, 냉각팬이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냉각팬의 후측에 배치되는 쉬라우드를 포함하며, 상기 허브는 회전 중심부를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 개의 배출홀이 구비되고, 상기 배출홀은 공기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블레이드부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차량용 냉각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허브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가장자리 둘레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측벽부 및, 상기 전면부와 측벽부 사이에 배치되는 곡면 형태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홀은 연결부에 배치되며, 블레이드부는 측벽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브의 개방된 일측은 구동모터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브의 내측에는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 개의 리브가 구비되며, 상기 배출홀은 상호 인접한 한 쌍의 리브 사이에 적어도 한 개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브는 허브의 내측면으로부터 등각 또는 비등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홀은 상호 인접한 한 쌍의 리브 중 선택된 하나의 리브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홀은 허브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상호 인접한 한 쌍의 리브 중 후측에 배치된 리브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홀은 블레이드부의 폭 방향 영역을 기준으로 각각의 블레이드부 영역에 3개 이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부는 배출홀과 연결된 연장홀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홀은 상호 인접한 블레이드부 사이에 배치된 배출홀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부는 보조배출홀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배출홀은 상호 인접한 블레이드부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홀과 연장홀 및 보조배출홀은 공기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공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홀과 연장홀 및 보조배출홀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단면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냉각팬 장치는, 열교환기와, 냉각팬과, 구동모터 및 쉬라우드로 구성시, 냉각팬의 허브는 회전 중심부를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 개의 배출홀이 구비되고, 배출홀은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블레이드부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바, 허브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홀을 통해 안정적으로 이동되면서 허브 내부에서 유동 정체 발생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허브의 내부로 공기와 함께 유입된 이물질도 허브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냉각팬 장치에 따른 냉각팬의 공기유동 해석 시뮬레이션 이미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각팬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냉각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표시된 'a'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차량용 냉각팬 장치에 따른 냉각팬의 공기유동 해석 시뮬레이션 이미지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냉각팬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각팬 장치(100)는, 열교환기(110), 쉬라우드(120), 구동모터(130), 냉각팬(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110)는, 차량용 콘덴서(111;Condenser)와 라디에이터(112;Radiator)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공지의 차량용 콘덴서와 라디에이터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쉬라우드(120)는, 냉각팬(140)의 후방, 보다 상세하게는 냉각팬(140)을 통과한 공기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냉각팬(120)의 후측에 배치되고, 라디에이터(112)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쉬라우드(120)는 중앙부에 공기를 통과시키도록 통풍구(121)가 마련된 하우징(122;Housing)과, 이후 설명될 구동모터(130)를 연결상태로 지지하는 모터안착부(123)와, 모터안착부(123)를 지지하는 스테이터(124;Stator)를 포함한다. 여기서, 쉬라우드(120)는 라디에이터(112)와 결합되는 구조로 상호 대칭되는 끼움부를 통해 결합 후 볼트체결을 하기 위한 체결부가 형성되는 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 가능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모터안착부(123)는 통풍구(121)의 중앙에 배치되고, 스테이터(124)와 연결되면서 하우징(122)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모터안착부(123)는 구동모터(130)를 안착상태로 배치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124)는, 통풍구(121)의 내주면에서 통풍구(121) 중앙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우징(122)에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복수 개의 스테이터(124)는 방사상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로 모터안착부(123)와 연결되는 바, 모터안착부(123)가 하우징(122)의 통풍구(121)에 배치된 상태로 지지된다.
상기 구동모터(130)는, 쉬라우드(120)의 전방, 보다 상세하게는 열교환기(110)를 통과한 공기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쉬라우드(120)의 선측에 배치되고, 쉬라우드(120) 및 이후 설명될 냉각팬(140)과 연결될 수 있다. 즉, 구동모터(130)는 쉬라우드(120)의 모터안착부(123)에 안착상태로 결합되고, 구동모터(130)의 회전축(131)은 냉각팬(140)과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냉각팬(140)은 구동모터(1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냉각팬(140)은 구동모터(130)의 전방, 보다 상세하게는 열교환기(110)를 통과한 공기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구동모터(130)의 선측에 배치되고, 구동모터(130)의 회전축(131)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팬(140)은 구동모터(130)의 회전축(131)과 결합되는 허브(141)와, 허브(141)에 구비되며 허브(141)의 외주에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 143은 각 블레이드부(142)의 끝단에 결합되어 복수 개의 블레이드부(142)를 연결상태로 지지하는 링 형상의 냉각팬 연결부이다.
여기서, 상기 허브(141)는 구동모터(130)의 회전축(131)을 수용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허브(141)는 중심부에 회전축(131)과 연결되는 축홈(141a)이 구비된 전면부(141d)와, 전면부(141d)의 가장자리 둘레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측벽부(141e) 및, 전면부(141d)와 측벽부(141e) 사이를 연결하는 곡면 형태의 연결부(141f)를 포함할 수 있다. 이같이, 연결부(141f)는 곡면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허브(141) 내부에서 배출홀(141c)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이 저항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더불어, 상기 허브(141)의 내측에는 축홈(141a)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 개의 리브(141b)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리브(141b)는 허브(141)의 내측면으로부터 등각 또는 비등각으로 배치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허브(141)의 개방된 일측은 구동모터(130)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레이드부(142)는 허브(141)의 외주에 일체 상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블레이드부(142)는 단면 형상을 익형(Airfoil)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블레이드부(142)는 열교환기(110)를 통과한 공기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배출홀(141c)보다 후방에 배치되도록 측벽부(141e)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허브(141)는 내측 중심부, 즉 축홈(141a)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 개의 배출홀(141c)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홀(141c)은 구동모터(130)에 의해 냉각팬(140)의 회전시 허브(141)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 정체없이 다시 허브(141) 외측으로 배출되는 유동이 이루어지게 하여 먼지나 모래와 같은 이물질이 허브(141)의 내측에 쌓이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배출홀(141c)은 열교환기(110)를 통과한 공기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블레이드부(142)의 선측 끝단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배출홀(141c)은 블레이드부(142)보다 전방에 배치되도록 허브(141)의 연결부(141f)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이, 배출홀(141c)이 열교환기(110)를 통과한 공기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블레이드부(142)보다 전방에 배치되도록 연결부(141f)에 구비됨으로써, 허브(141)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가 블레이드부(142)에 의한 방해 없이 배출홀(141c)을 통해 안정적인 배출 유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더불어, 배출홀(141c)이 허브(141)의 연결부(141f)에 배치됨으로써 허브(141)를 제조를 위한 제작금형에서 배출홀(141c)을 쉽고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홀(141c)은 허브(141)에 구비시, 냉각팬(140)의 강성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블레이드부(142)의 폭 방향 영역(S)을 기준으로 각 블레이드부(142) 영역에 3개 이하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배출홀(141c)은 허브(141)의 내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상호 인접한 한 쌍의 리브(141b) 사이에 적어도 한 개씩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같이, 배출홀(141c)이 상호 인접한 한 쌍의 리브(141b)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허브(141) 내측에서 상호 인접한 리브(141b) 사이에 쌓이는 이물질이 배출홀(141c)을 통해 허브(141) 외측으로 안정적인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더불어, 상기 배출홀(141c)은 상호 인접한 한 쌍의 리브(141b) 사이에 적어도 한 개씩 각각 배치시, 한 쌍의 리브(141b) 중 선택된 하나의 리브(141b)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같이, 배출홀(141c)이 상호 인접한 한 쌍의 리브(141b) 중 선택된 하나의 리브(141b)에 접하도록 배치될 경우, 허브(141)의 회전에 의해 리브(141b) 측으로 포집된 이물질이 배출홀(141c)을 통해 안정적인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배출홀(141c)이 상호 인접한 한 쌍의 리브(141b) 중 선택된 하나의 리브(141b)에 접하도록 배치될 경우, 허브(141)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상호 인접한 한 쌍의 리브(141b) 중 후측에 배치된 리브(141b)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같이, 배출홀(141c)이 허브(141)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상호 인접한 한 쌍의 리브(141b) 중 후측에 배치된 리브(141b)에 접하도록 배치될 경우, 허브(141)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을 통해 리브(141b)에 충돌된 후 포집된 이물질이 배출홀(141c)을 통해 쉽게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6과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각팬 장치(100)는, 냉각팬(140)의 허브(141)에 구비된 배출홀(141c)을 통해 허브(141) 내부에서 공기의 유동 정체가 안정적으로 해소되면서 허브(141) 내부로 공기와 함께 유입된 이물질을 허브(141)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각팬 장치(100)는, 열교환기(110)와, 냉각팬(140)과, 구동모터(130) 및 쉬라우드(120)로 구성시, 냉각팬(140)의 허브(141)는 회전 중심부를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 개의 배출홀(141c)이 구비되고, 배출홀(141c)은 열교환기(110)를 통과한 공기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블레이드부(142)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바, 허브(141)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홀(141c)을 통해 안정적으로 이동되면서 허브(141) 내부에서 유동 정체 발생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허브(141)의 내부로 공기와 함께 유입된 이물질도 허브(141)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배출홀(141c)은 측벽부(141e)로 연장된 연장홀(141c')이 포함될 수 있다. 이같이, 연장홀(141c')은 연결부(141f)에 구비된 배출홀(141c)을 측벽부(141e)까지 연장상태로 연결되게 하는 바, 허브(141)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의 배출 유로를 확장시켜 허브(141) 외측으로 공기의 배출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이때, 연장홀(141c')은 측벽부(141e)에 구비시, 냉각팬(140)의 강성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호 인접한 블레이드부(142) 사이에 배치된 배출홀(141c)과 연결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측벽부(141e)에도 배출홀(141c)과 별도로 허브(141)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보조배출홀(141c")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보조배출홀(141c")은 측벽부(141e) 둘레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호 인접한 블레이드부(142)들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출홀(141c)과 연장홀(141c') 및 보조배출홀(141c")는, 열교환기(110)를 통과한 공기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공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원형, 타원형, 다각형 단면 형태 중 어느 하나로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공기의 배출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같이, 배출홀(141c)과 연장홀(141c') 및 보조배출홀(141c")이 열교환기(110)를 통과한 공기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공형태로 허브(141)에 구비된 바, 냉각팬(14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허브(141) 내측에 포집된 이물질이 보다 안정적으로 허브(141)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차량용 냉각팬 장치 110: 열교환기
111: 콘덴서 112: 라디에이터
120: 쉬라우드 121: 통풍구
122: 하우징 123: 모터안착부
124: 스테이터 130: 구동모터
140: 냉각팬 141: 허브
141a: 축홈 141b: 리브
141c: 배출홀 141c': 연장홀
141c": 보조배출홀 141d: 전면부
141e: 측벽부 141f: 연결부
142: 블레이드부 143: 냉각팬 연결부

Claims (14)

  1.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열교환기의 후측에 배치되며,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을 가지는 허브 및 허브로부터 방사상으로 연결된 복수의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냉각팬;
    상기 냉각팬에 연결되며, 냉각팬이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냉각팬의 후측에 배치되는 쉬라우드;를 포함하며,
    상기 허브는 회전 중심부를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 개의 배출홀이 구비되고,
    상기 배출홀은 공기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블레이드부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차량용 냉각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허브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가장자리 둘레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측벽부 및,
    상기 전면부와 측벽부 사이에 배치되는 곡면 형태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홀은 연결부에 배치되며, 블레이드부는 측벽부에 배치되는 차량용 냉각팬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허브의 개방된 일측은 구동모터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차량용 냉각팬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허브의 내측에는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 개의 리브가 구비되며,
    상기 배출홀은 상호 인접한 한 쌍의 리브 사이에 적어도 한 개씩 배치되는 차량용 냉각팬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허브의 내측면으로부터 등각 또는 비등각으로 배치되는 차량용 냉각팬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배출홀은 상호 인접한 한 쌍의 리브 중 선택된 하나의 리브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차량용 냉각팬 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배출홀은 허브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상호 인접한 한 쌍의 리브 중 후측에 배치된 리브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차량용 냉각팬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홀은 블레이드부의 폭 방향 영역을 기준으로 각각의 블레이드부 영역에 3개 이하로 구비되는 차량용 냉각팬 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배출홀과 연결된 연장홀이 구비되는 차량용 냉각팬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연장홀은 상호 인접한 블레이드부 사이에 배치된 배출홀과 연결되는 차량용 냉각팬 장치.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보조배출홀이 구비되는 차량용 냉각팬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출홀은 상호 인접한 블레이드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차량용 냉각팬 장치.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홀과 연장홀 및 보조배출홀은 공기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공 형태인 차량용 냉각팬 장치.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홀과 연장홀 및 보조배출홀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단면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지는 차량용 냉각팬 장치.
KR1020220138397A 2022-10-25 2022-10-25 차량용 냉각팬 장치 KR202400596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8397A KR20240059674A (ko) 2022-10-25 2022-10-25 차량용 냉각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8397A KR20240059674A (ko) 2022-10-25 2022-10-25 차량용 냉각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9674A true KR20240059674A (ko) 2024-05-08

Family

ID=91074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8397A KR20240059674A (ko) 2022-10-25 2022-10-25 차량용 냉각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967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30467B2 (ja) 熱交換器のためのファンモジュール
JP5689538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の室外冷却ユニット
JP6394409B2 (ja) 送風装置
US7374408B2 (en) Engine cooling fan motor with reduced water entry protection
JP2011085106A (ja) 車両用熱交換モジュール
JP6931774B2 (ja) 温度調和システム、車両
US20090129918A1 (en) Blower unit
JP6751854B2 (ja) 温度調和ユニット、温度調和システム、車両
JP6981226B2 (ja) 送風ファン
JP6224952B2 (ja) 送風装置
KR20240059674A (ko) 차량용 냉각팬 장치
JP2022523037A (ja) 自動車のファンホイール
JP7029593B2 (ja) 温度調和ユニット
KR101295905B1 (ko) 팬 및 쉬라우드의 조립체
US11578639B2 (en) Fan shroud and blower device
KR101654741B1 (ko) 차량용 냉각팬
KR101284889B1 (ko) 팬 및 쉬라우드의 조립체
KR20100041127A (ko) 팬 및 쉬라우드 조립체
KR100858695B1 (ko) 팬과 쉬라우드의 조립체
JP2006226200A (ja) エンジン冷却装置
US20240175389A1 (en) Cooling module for an electric or hybrid motor vehicle, having a tangential-flow turbomachine
CN220874314U (zh) 泵浦马达的机壳散热结构
KR102039435B1 (ko) 쿨링팬
KR20030018118A (ko) 팬과 쉬라우드의 조립체
WO2022097504A1 (ja) ファン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