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8531A - 시트 및 패널 방수공법과 그 방수층 구조 - Google Patents

시트 및 패널 방수공법과 그 방수층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8531A
KR20240058531A KR1020220139362A KR20220139362A KR20240058531A KR 20240058531 A KR20240058531 A KR 20240058531A KR 1020220139362 A KR1020220139362 A KR 1020220139362A KR 20220139362 A KR20220139362 A KR 20220139362A KR 20240058531 A KR20240058531 A KR 20240058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ing
sheet
waterproof
space
velc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9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연
Original Assignee
장재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재연 filed Critical 장재연
Priority to KR1020220139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8531A/ko
Publication of KR20240058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8531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및 패널 방수공법과 이에 의해 형성된 방수층 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다수의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방수부재의 연결부와 콘크리트 바탕면 사이에 제한된 공간을 구비하도록 하고, 상기 공간내에 방수재가 충전됨으로써, 다수의 방수부재가 일체화되어 수밀성이 확보되는 시트 및 패널 방수공법과 이의 방수층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에 다수의 방수부재가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설치되고, 방수부재와 방수부재 사이에 형성된 수밀공간내로 방수제가 채움되어 다수의 방수부재가 일체화된 방수층이 형성되되, 상기 방수재가 채움되는 수밀공간은,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둘러싸이고 방수부재 또는 방수커버에 의해 밀폐되어 제한된 체적 공간을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시트 및 패널 방수공법과 그 방수층 구조{The waterproofing method of sheet or pannel and, waterproofing structure}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되는 시트 및 패널 방수공법과 이에 의해 형성된 방수층 구조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방수는 물론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 방수, 즉 화학탱크, 정수장 등 방수를 요구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에 다수의 방수부재가 못, 앵커 등의 고정구 설치없이 고정/연결되어 수밀성을 구비하는 방수층이 형성되는 시트 및 패널 방수공법과 이의 방수층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되는 방수 공법은 시트 등 미리 제조된 판상의 물질을 이용하는 시트방수와 액상의 방수재를 도포하여 경화시킴으로서 완료되는 도막 방수 공법이 있다.
상기 시트 방수는 공장에서 미리 제조된 물질로 도막 방수 공법에 비해 두께가 일정하고 재질이 안정적일 뿐만 아니라 작업에 소요되는 품이 절감 되는 특성이 있으나, 시트의 연결 부위의 처리가 일정치 못해 결함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시트의 연결 방법은 열을 가해 시트 표면을 용해시킨 뒤 양면을 합치시켜 접합하는 방법과 접착제를 메개로 하여 접착하는 방식을 따르고 있어, 열에 의한 접합방식은 필요 이상의 열을 가할 경우 시트가 탄화 되거나 물성이 변화되기 쉬우며 필요 이하의 열을 가한 경우 접합에 필요한 용융점을 확보치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기와 같은 방수시트의 연결방법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도 8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200)의 바탕면에 다수의 방수시트(1)를 일정너비로 유격되도록 설치하고, 유격된 부분에 방수재(2)를 충진 한 후 방수재(2)의 외부노출이 방지되도록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경질의 방수패널(3)을 배치시킨 다음, 상기 방수패널(3)을 못, 앵커등의 고정구(4)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하는 방법이 사용되어지고 있으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장시간 경과 또는 방수시트에 외부요건에 의한 충격이 발생될 경우, 도 8 의 (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4)와 방수패널(3), 고정구(4)와 방수재(2), 고정구(4)와 콘크리트 구조물(200) 사이에 미세한 틈새가 발생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틈새를 통해 수분침투현상이 발생되어 방수층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에 사용되는 충진 방수재는 끈적 끈적한 점착성을 지닌 반 고체상의 물질, 또는 물과 접촉되면 팽창되어 부피가 증가하는 수 팽창 방수재가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방수재는 제한된 공간에 유지 시킬 때 안정된 방수력이 확보 될 수 있으나, 공간이 해제된 경우 보행 하중 , 또는 토사 및 담수 하중에 따른 외부 압력, 또는 시트층의 열 변화에 의한 거동 등이 발생 될 경우 유동성을 지닌 반고체 특성에 의해 유격부 밖으로 밀려나거나, 또한 팽창 압력이 상대적으로 약해져 충진 방수재와 시트층간의 밀착력이 반감되게 된다.
즉, 방수시트의 유격된 부분에 단순히 방수재(2)가 도포충전되도록 되어 있어, 시공 과정에서 또는 외부 압력 발생에 의하여 방수시트(1)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210) 사이로 충진 방수재(2)의 흐름현상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방수시트의 유격부분에 대하여 과도한 방수재(2)의 투입현상이 발생될 뿐 아니라, 유격부분에 대한 방수재(2)의 균일한 충전 및 밀실한 충전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방수시트의 균일한 부착연결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이로 인해 방수층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수조등 시트를 이용해 형성되는 내방수층의 경우, 도 8 의 (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체에 관통되어 형성된 크랙 등의 결함부(5)를 통해 외부 유입수가 유입되어, 방수시트(1)에 부풀음 현상이 발생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5-0015091 (2005.02.21)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438045(2004.06.19)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231060(2013.02.01)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331506(2002.03.25)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방수부재의 연결부와 콘크리트 바탕면 사이에 제한된 공간을 구비하도록 하고, 상기 공간내에 방수재가 충전됨으로써, 다수의 방수부재가 일체화되어 수밀성이 확보되는 시트 및 패널 방수공법과 이의 방수층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못, 앵커 등의 고정구 설치없이 다수의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방수부재가 콘크리트 구조체에 지지되어 연결설치될 수 있는 시트 및 패널 방수공법과 이의 방수층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목적은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절연 방수기능과 비절연 방수기능을 동시에 구비할 수 있는 시트 및 패널 방수공법과 이의 방수층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에 부착 고정 설치된 시트 또는 패널층이 중진 방수재를 지지하는 구조를 이루게 함으로서 구조물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압력에 대응(유입수의 차단)할 수 있어, 구조물 내부의 방수층의 부풀음 현상이 방지되는 시트 및 패널 방수공법과 이의 방수층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에 다수의 방수부재가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설치되고, 방수부재와 방수부재 사이에 형성된 수밀공간내로 방수제가 채움되어 다수의 방수부재가 일체화된 방수층이 형성되되, 상기 방수재가 채움되는 수밀공간은,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둘러싸이고 방수부재 또는 방수커버에 의해 밀폐되어 제한된 체적 공간을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방수층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못, 앵커 등의 고정구 설치가 생략되므로, 시공이 더욱 간편하게 이루어질 뿐 아니라, 고정구로 인한 누수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방수부재의 연결부위(수밀공간)가, 방수부재의 겹침 또는 방수커버의 설치에 의한 1차 방수층, 수밀공간내로 채움되는 방수재에 의한 2차 방수층의 이중 방수층 구조로 형성되므로, 방수 성능이 더욱 보강되는 효과가 있다.
즉, 1차 방수층의 손상에 의해 수밀공간내로 물이 유입될 경우, 2차 방수층에 의해 누수가 차단되어 방수성능이 향상된다. 특히, 수밀공간에 수팽창성 방수재가 충전될 경우, 방수부재의 반복적인 수축 및 팽창에 의해 방수부재와 방수재 사이에 균열/파단이 발생되어 수분침투현상이 발생되더라도, 수팽성에 의해 균열/파단된 부위가 방수재에 의해 메워지게 되어 수분의 흐름이 차단되므로, 누수현상이 더욱 방지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벨크로 테입에 의해 수밀공간이 제한된 공간으로 형성되므로, 수분과의 반응에 의해 방수재가 팽창될 경우, 벨크로 테이프내로 방수재의 팽창 및 침투가 이루어지게 되어, 방수층의 들뜸현상없이 수밀성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층은, 방수부재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 사이에 독립공간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어, 독립공간에 의한 절연 방수효과를 구비할 뿐 아니라, 방수층의 손상이 발생되어 독립공간내로 수분이 유입되더라도 독립공간내에 수분이 갇히게 되므로, 누수의 확산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층은, 독립공간, 벨크로 테이프 및, 수밀공간내로 충전된 방수재에 의해 절연 및 비절연 방수효과를 동시에 구비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방수층은 부분절연효과를 구비하고 있어, 수조 등의 내방수에 적용될 경우, 수조 청소 시 손상부 발견을 용이하게 하므로서 유지 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층은 부분 비절연 또는 전면 비절연 방수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콘크리트 구조물내로 유입되는 물이 완전 차단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벨크로에 의해 방수부재가 지지된 상태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방수재로 점착 팽창성 방수재가 적용되면, 방수재의 팽창력이 크랙 방향으로 침투하게 되어, 유입수의 차단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밀공간이 제한된 체적공간을 구비하고 있어, 수밀공간내로 채움되는 방수재로 인한 방수력 저감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즉, 반고체상의 점착 물질의 방수재는, 자체 점착력에 의해 시트와 콘크리트 표면에 부착되는 특성을 지니므로 안정된 방수층을 형성 할 수 있으나, 수밀공간이 제한되지 않을 경우, 유동적 특성에 의해 시공과정 또는 시공 이후 유지관리 단계에서 보행 등 외력이 발생될 경우 면적이 확산되어 상대적으로 두께 감소에 따른 방수력 저감 및 상실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수팽창 방수재는 물과 접촉 시 체적이 증가되는 특성에 의해 시트층과 콘크리트층에 밀착되도록 하여 수밀층을 형성하는 방식이므로, 팽창 공간이 제한되지 못할 경우 밀착력이 반감되어 방수력 저감 및 상실 문제가 발생된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은 방수재가 채움되는 수밀공간이 제한된 체적공간을 구비하고 있어, 반고체상의 점착물질 방수재 또는, 수팽창 방수재가 사용되더라도 외력에 의한 방수재의 두께 감소문제, 팽창 공간의 확산에 따른 충진 방수재의 밀착력 저감 및 상실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소되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공법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층 구조를 보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공법을 보인 또다른 예시도
도 4 는 도 3 의 방수공법에 따라 시공된 방수층 구조를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층 시공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층 시공과정을 보인 또다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층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내방수)
도 8 은 종래 방수층 구조를 보인 예시도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공법을 보인 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층 구조를 보인 예시도를,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공법을 보인 또다른 예시도를, 도 4 는 도 3 의 방수공법에 따라 시공된 방수층 구조를 보인 예시도를,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층 시공과정을 보인 예시도를,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층 시공과정을 보인 또다른 예시도를,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층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내방수)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210)에 다수의 방수부재(10)가 벨크로 테이프(20)에 의해 설치되고, 방수부재와 방수부재 사이에 형성된 수밀공간(30)내로 방수재(40)가 채움되어 다수의 방수부재가 일체화된 방수층(100)이 형성되되, 상기 방수재(40)가 채움되는 수밀공간(30)은, 벨크로 테이프(20)에 의해 둘러싸이고 방수부재(40)의 겹침설치 또는 방수커버(50)의 설치에 의해 밀폐되어 제한된 체적 공간을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크로 테이프(20)로 둘러싸인 수밀공간(30)과 독립공간(60)이 구비되도록 콘크리트 구조물(200)의 바탕면(210)에 벨크로 테이프(20)가 설치되는 벨크로 설치단계;
독립공간(60)이 밀폐되도록 방수부재(10)가 벨크로 테이프(20)에 결합되는 방수부재 설치단계;
수밀공간(30)내로 방수재(40)가 채움되어 일측 방수부재(10a)와 이에 이웃하는 또다른 방수부재(10b)가 방수재(40)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는 방수재 충전단계;
방수부재(50)의 겹침설치 또는, 방수커버(50)의 설치에 의해 방수재(40)가 충전된 수밀공간(30)이 밀폐되는 방수부재 연결단계;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벨크로 설치단계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210)이 벨크로 테이프로 둘러싸인 독립공간(60)과 수밀공간(30)으로 구획되도록 다수의 벨크로 테이프(20)가 설치된다.
일 예로, 상기 벨크로 설치단계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210)에 11자 형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벨크로 테이프(20a,20b)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벨크로 테이프(20a,20b)가 설치될 경우, 한 쌍의 벨크로 테이프(20a,20b)는 내측의 공간이 독립공간(60)에 해당되고, 한 쌍의 벨크로 테이프(20a)와 이에 이웃하는 또다른 한 쌍의 벨크로 테이프(20b)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이 방수재(40)가 채움되는 수밀공간(30)에 해당된다.
또한, 상기 벨크로 설치단계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에 사다리 또는 격자형상으로 배치되는 벨크로 테이프(20)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벨크로 테이프가 설치될 경우, 사다리형상으로 배치된 벨크로 테이프(20a,20b)는 내부에 다수의 독립공간(60)이 구비되고, 사다리형상으로 배치된 벨크로 테이프(20a)와 이에 이웃하는 또다른 벨크로 테이프(20b) 사이에는 방수재가 채움되는 수밀공간(30)이 구비된다.
즉, 상기 수밀공간(30)은, 일측 방수부재가 결합되는 벨크로 테이프(20a)와 이에 이웃하는 방수부재가 결합되는 또다른 벨크로 테이프(20b) 사이에 형성되어 방수재의 채움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에 이격설치된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소정의 수밀성을 구비하는 제한된 체적공간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독립공간(60)은, 일측 방수부재가 결합되는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둘러싸여진 공간으로, 방수부재가 결합될 시, 방수부재에 의해 밀폐되어, 방수부재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 사이에 소정의 수밀성을 구비하는 제한된 체적공간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독립공간(60)은 누수의 확산을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즉, 방수층의 손상으로, 독립공간내로 물이 유입될 경우, 유입된 물은 독립 공간내에 갇히게 되므로, 누수의 확산이 방지되게 된다.
또한, 상기 독립공간은 벨크로 테이프의 설치간격에 의해 체적이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에 설치되는 벨크로 테이프(20)는, 방수부재의 형상, 모양, 폭 및, 길이 등을 고려하여 방수부재의 부착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방수부재 사이에 수밀공간이 형성되며, 방수부재내에 독립공간이 구비될 수 있도록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벨크로 테이프(20)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도포되는 프라이머, 에폭시등 접착제, 못 등의 고정철물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에 부착 고정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콘크리트의 손상을 방지하기위해 접착제에 의한 부착된다.
상기 방수부재 설치단계는, 다수의 방수부재(10)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210)에 설치된 벨크로 테이프(20)에 결합된다.
즉, 본 발명은 방수부재(10)를 벨크로 테이프(20)에 대하여 가볍게 눌러주는 압착만으로, 방수부재(10)의 부착부재(11)가 벨크로 테이프(20)에 결합된다. 즉, 본 발명은 상온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210)에 방수부재(10)에 대한 부착설치가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방수부재(10)는 방수시트 또는 방수패널로 이루어지고, 일면에 부착부재(11)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부착부재(11)는 부직포(11") 또는 벨크로 테이프(11')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방수부재(11)의 생산 시, 일체로 성형되거나, 별도의 접착제 또는 열 융착에 의해 방수부재의 일면에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방수부재(11)는 일면에 부직포(11")가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부직포(11")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에 설치된 벨크로 테이프(20)에 접촉결합되어 방수부재(11)의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직포(11")는 방수부재의 일면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합지 또는 부착되어 일체로 성형될 수 있으며, 부직포가 부착부재로 설치될 경우,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에 설치된 벨크로 테이프는 후크형(수놈) 타입 벨크로 테이프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부직포(11")가 방수부재의 일면 전체에 합지될 경우, 필요에 따라 부분으로 합지된 부직포가 제거한 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부재(11)는, 부착부재로 일면에 벨크로 테이프(11')가 일체로 부착/성형되고, 상기 벨크로 테이프(11')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에 설치된 벨크로 테이프(20)에 접촉결합되어 방수부재(10)의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방수부재(11)에 설치된 벨크로 테이프(11')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에 설치된 벨크로 테이프(20)는 암수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즉,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에 후크형(수놈) 타입 벨크로 테이프가 설치될 경우, 방수부재의 일면에는 고리형(암놈) 타입 벨크로 테이프가 설치된다. 또한, 방수부재(10)의 일면에 후크형(수놈) 타입 벨크로 테이프가 설치될 경우, 방수부재의 일면에는 고리형(암놈) 타입 벨크로 테이프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벨크로 테이프(11')는, 방수부재의 일면에 부분 또는 전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일면 전체에 설치될 경우, 필요에 따라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방수부재의 일면에 부착부재가 부분적으로 배치될 경우,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에 설치되는 벨크로 테이프는 방수부재에 부분적으로 설치된 부착부재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일 예로, 도 2 의 (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부재(10)의 일면 양끝단에 일치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부착부재(11)가 설치되거나, 도 2 의 (b) 에 도시된 바오 같이, 양끝단에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부착부재가 설치될 경우, 이와 같이 설치되는 부착부재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에 벨크로 테이프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방수부재의 일면에 사다리 형상으로 부착부재가 설치될 경우, 이에 대응되도록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에 벨크로 테이프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방수시트는 아스팔트시트 또는, 고무시트 또는, 연질/경질의 고분자합성수지(PP, EVA, PE, PVC 등등)시트 또는, 상기 시트소재를 복합화한 복합시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그 재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방수시트는, 롤 구조 또는 판상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2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단면구조를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패널은, 방수기능을 구비하는 패널뿐 아니라, 방수와 단열기능을 구비하는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방수패널 역시, 사각 단면구조 또는, 양단에 날개부가 구비된 T형 단면구조 또는, 일단에 날개부가 구비된 ㄱ형 단면구조 등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부재(10)는 맞댐 설치에 의해 수밀공간(30)가 구비되도록 구성되거나, 끝단의 상호 겹침설치에 의해 방수부재 사이에 수밀공간(30)가 구비되면서 일측이 상호 겹쳐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수부재 설치단계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210)에 다수의 방수부재(10)가 부착설치될 경우,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크로 테이프(20)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방수부재(10)의 일부분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210) 사이에는 벨크로 테이프(20)와 방수부재(10)로 둘러싸여진 공간 즉, 방수부재와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폐쇄되어 소정의 수밀성을 구비하는 제한된 체적공간의 독립공간(60)이 형성되고, 일측 방수부재(10a)와 이에 이웃하는 방수부재(10b) 사이에는 벨크로 테이프(20a,20b)에 의해 둘러싸여져 소정의 수밀성이 구비되고 방수재(40)의 충전이 이루어지는 수밀공간(3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방수부재(10) 대형 일예로, 약 3m 이상의 폭을 구비하는 방수부재가 부착설치될 경우, 한 쌍의 벨크로 테이프 사이에 또다른 벨크로 테이프(20˝)가 하나 이상 더 설치되어, 방수부재(10)의 부착력이 강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벨크로 테이프 사이에 또다른 벨크로 테이프(20˝)가 더 설치될 경우, 방수부재와 바탕면 사이에 형성되는 독립공간(60)은 둘 이상의 공간으로 분할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벨크로 테이프(20˝)는 가로/세로/대각선 방향 등등 다양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방수재 충전단계는, 수밀공간(30)내로 방수재(40)가 도포 또는 채움된다. 이때, 상기 방수재(40)는 방수부재 간의 연결부분에 대한 수밀성을 유지할 뿐 아니라, 외부충격에 대하여 방수부재(10)의 연결부분을 보호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방수재(40)는 방수부재의 사이뿐 아니라, 방수부재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 사이로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수밀공간(30)내로 충분히 충전될 수 있는 방수재가 사용된다.
상기 방수재(40)는 수밀공간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충전 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방수재는 방수부재의 연결부와 구조체 균열부 등을 중심으로 부분적으로 충전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밀공간 전체에 대하여 채움된다.
상기 방수재는 수밀공간에 대한 채움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공지의 것이 사용되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방수재는 유동성을 지닌 반 고체상의 점착 물질로 이루어진 방수재, 또는 연질의 고무로 구성된 수팽창 방수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팽창 방수재가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일정체적의 제한된 공간으로 이루어진 수밀공간(30)내로 채움된 방수재(40)는, 벨크로 테입(20)의 부착위치 및, 방수부재(10)의 결합위치에 따라, '□', '凸', 'L' 등등의 다양한 단면구조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연결단계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밀공간(30)내로 채움된 방수재(40)의 외부누출 및 노출을 방지하고, 수분이 수밀공간(30)내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방수부재(10) 상에 방수커버(50)가 설치되어 수밀공간이 밀폐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방수커버(50)는 방수재의 외부노출 및 누출을 방지하고 외부 요인으로부터 방수부재의 연결부위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수밀공간(30)를 기준으로 양측에 위치하는 방수부재(10a,10b)에 양단이 일체로 결합 또는 부착되어, 수밀공간(30)내로 채움된 방수재(40)가 외부로 노출 및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방수커버(50)는 테이프 타입으로 구성되어 자체 점착성에 의해 방수부재(10)의 상면에 일체로 부착되거나, 열융착 또는 핫멜트 등에 의해 방수부재(10)의 상면에 일체로 결합되거나,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부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커버(50)는, 수밀공간(30)내로 충전되는 방수재(40)에 의해 부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방수커버(5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그 재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방수커버(50)는 판상 또는 필름형상으로 형성되어 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방수커버(50)에 의한 연결단계는, 방수부재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맞대기 설치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단계는,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방수부재의 날개부(12a)가 이웃하는 또다른 방수부재의 날개부(12b)에 일정부분 상호 겹침되도록 설치되거나, 방수부재의 오버랩 설치(일정부분 상호 겹침)에 의해 수밀공간(30)내로 채움된 방수재(40)의 외부누출 및 노출이 방지되고, 수밀공간(30)내로 수분유입이 차단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방수부재의 날개부(12a,12b) 및 방수부재의 오버랩되는 부분은, 접착제, 열 융착, 핫멜트, 벨크로 테이프, 또는 이들의 복합구성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수밀공간을 밀폐시키게 된다.
또한, 방수부재의 날개부(12a,12b) 및 방수부재의 오버랩되는 부분은, 수밀공간(30)내로 충전되는 방수재(40)에 의해 부착되어, 수밀공간이 밀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수부재 설치단계 전에,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립공간(60)내로 방수재(40)가 충전되는 독립공간 충전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수재(40)는 모든 독립공간내로 충전되거나, 일부 독립공간내에 충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독립공간(60)내로 방수재가 더 충전될 경우, 수조 등 내 방수 시 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으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 할 수 있는 효과를 구비하게 된다.
즉,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 시공 중, 크랙, 공극등 콘크리트 구조물에 결함부(5)가 발견될 경우, 상기 결함부(5)가 독립공간(60)내로 포함 될 수 있도록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에 벨크로 테이프가 설치되고, 상기 결함부를 포함하는 독립공간(60)내로 방수재(40)가 채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독립공간(40)내로 방수재가 충전된 다음, 방수부재 설치단계가 이루어질 경우, 방수재가 충전된 결함부 및 독립공간은 방수부재에 의해 밀폐되어 결함부를 통한 유입수의 유입이 차단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함부(50) 주위를 감싸도록 독립공간(60)내에 별도의 벨크로 테이프(20`)가 더 부착설치되고, 상기 벨크로 테이프(20`)에 의해 형성된 독립분할공간(60`)에 대해서만 방수재(40)가 충전되어, 결함부(5)를 통한 토양부(300)에서 콘크리트 구조물(200)내로의 수분유입이 차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부착고정된 방수부재에는 유입수의 압력이 발생되므로, 벨크로 테이프의 결합력이 수압 보다 높아야 하나, 이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에 부착되는 벨크로 테이프의 설치 간격, 벨크로 테이프의 부착 너비 등의 증감에 의해 수압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방수 시공 중, 크랙, 공극등 콘크리트 구조물에 결함부(5)가 발견될 경우, 독립공간(60)에 대한 방수재(40)의 충전없이, 상기 결함부(5)내로 방수재(40)가 주입충전되어, 결함부(5)를 통한 토양부(300)에서 콘크리트 구조물(200)내로의 수분유입이 차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독립공간 충전단계는, 방수부재 설치단계 중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방수부재가 벨크로 테이프에 결합되고, 방수부재 사이에 형성된 수밀공간내로 방수재가 충전되어, 다수의 방수부재가 방수재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방수층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형성되는 방수층은, 방수부재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 사이에 독립공간이 구비되고, 다수의 방수부재가 수밀공간내로 채움된 방수재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며, 방수부재의 연결부위가 방수부재의 상호겹침 또는 방수커버에 따른 1차 방수 및, 수밀공간내로 채움된 방수재에 따른 2차 방수를 구비하는 이중방수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기재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이 기재된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 : 방수부재 (11) : 부착부재
(20) : 벨크로 테이프 (30) : 수밀공간
(40) : 방수재 (50) : 방수커버
(60) : 독립공간 (100) : 방수층
(200) : 콘크리트 구조물 (210) :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
(300) : 토양부

Claims (10)

  1. 벨크로 테이프로 둘러싸인 수밀공간과 독립공간이 구비되도록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에 벨크로 테이프가 설치되는 벨크로 설치단계;
    독립공간이 밀폐되도록 방수부재가 벨크로 테이프에 결합되는 방수부재 설치단계;
    수밀공간내로 방수재가 채움되어 일측 방수부재와 이에 이웃하는 또다른 방수부재가 방수재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는 방수재 충전단계;
    방수부재의 겹침설치 또는, 방수커버의 설치에 의해 방수재가 충전된 수밀공간이 밀폐되는 방수부재 연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및 패널 방수공법.
  2. 청구항 1 에 있어서;
    벨크로 설치단계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에 11 자형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벨크로 테이프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한 쌍의 벨크로 테이프내에 독립공간이 구비되고, 한 쌍의 벨크로 테이프와 이에 이웃하는 또다른 한 쌍의 벨크로 테이프 사이에 방수재가 채움되는 수밀공간이 구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및 패널 방수공법.
  3. 청구항 1 에 있어서;
    벨크로 설치단계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에 사다리 또는 격자형상으로 배치되는 벨크로 테이프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사다리 또는 격자 형상으로 배치된 벨크로 테이프내에 다수의 독립공간이 구비되고,
    사다리 또는 격자 형상으로 배치된 벨크로 테이프와 이에 이웃하여 사다리 또는 격자 형상으로 배치된 또다른 벨크로 테이프 사이에 방수재가 채움되는 수밀공간이 구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및 패널 방수공법.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밀공간은, 일측 방수부재가 결합되는 벨크로 테이프와 이에 이웃하는 방수부재가 결합되는 또다른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소정의 수밀성을 구비하는 제한된 체적공간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및 패널 방수공법.
  5. 청구항 1 에 있어서;
    방수부재는 방수시트 또는 방수패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및 패널 방수공법.
  6. 청구항 1 에 있어서;
    방수부재는 일면의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부착부재가 일체로 설치되되,
    상기 방수부재는 방수시트 또는 방수패널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착부재는 부직포 또는 벨크로 테이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및 패널 방수공법.
  7. 청구항 1 에 있어서;
    방수부재 설치단계 전에, 독립공간내로 방수재가 충전되는 독립공간 충전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및 패널 방수공법.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 에 있어서;
    방수재는 유동성을 지닌 반 고체상의 점착 물질로 이루어진 방수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및 패널 방수공법.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 에 있어서;
    방수재는, 수팽창 방수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및 패널 방수공법.
  10. 청구항 1,2,3,5,6,7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트 및 패널 방수공법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층 구조.
KR1020220139362A 2022-10-26 2022-10-26 시트 및 패널 방수공법과 그 방수층 구조 KR202400585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9362A KR20240058531A (ko) 2022-10-26 2022-10-26 시트 및 패널 방수공법과 그 방수층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9362A KR20240058531A (ko) 2022-10-26 2022-10-26 시트 및 패널 방수공법과 그 방수층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8531A true KR20240058531A (ko) 2024-05-03

Family

ID=91077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9362A KR20240058531A (ko) 2022-10-26 2022-10-26 시트 및 패널 방수공법과 그 방수층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85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6596B1 (en) Expansion joint seal system
KR101867987B1 (ko) 콘크리트 접합형 지수판 및 그 시공방법
CN211547827U (zh) 新旧建筑混凝土底板衔接处的防水结构
CN212641850U (zh) 具有防水功能的石材幕墙
KR100733502B1 (ko) 방수시트용 신축 이음 패드와 이를 이용한 시트방수 공법
KR102239566B1 (ko) 방수구조
KR101316718B1 (ko) 터널 방수 시공 방법
KR20240058531A (ko) 시트 및 패널 방수공법과 그 방수층 구조
KR100819822B1 (ko)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터널의 방수공법
KR101005581B1 (ko) 터널, 지하건축물용 신축이음 구조물
KR100672240B1 (ko) 옥상방수공법
KR101866333B1 (ko) 노출형 아크릴기반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CN214168804U (zh) 涵洞及其涵身结构
CN214531538U (zh) 高层屋顶保温结构
KR101162010B1 (ko) 체결형 방수시트
KR20100005332U (ko)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사용한 방수구조
CN210660137U (zh) 一种盾构端头环梁与管片接缝处渗漏维修结构
CN210369385U (zh) 用于建筑外墙保温的保温板
KR100597579B1 (ko) 구조물용 단열방수패널 및 그 패널의 시공방법
KR101616299B1 (ko) 터널용 방수 시트 및 이를 적용한 터널
KR20040044660A (ko) 방수시트의 연결부 접합 구조, 이의 시공 방법 및방수시트의 수직부 처리 구조
KR100981774B1 (ko) 콘크리트 일체형 복합 지수판
JPS6363828A (ja) コンクリ−ト構造体の防水接合方法
KR102081436B1 (ko) 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0180632B1 (ko)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