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3289A - 큰열매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큰열매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3289A
KR20240053289A KR1020220133207A KR20220133207A KR20240053289A KR 20240053289 A KR20240053289 A KR 20240053289A KR 1020220133207 A KR1020220133207 A KR 1020220133207A KR 20220133207 A KR20220133207 A KR 20220133207A KR 20240053289 A KR20240053289 A KR 20240053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raction
blood pressur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3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석천
이대성
백경화
이정민
임미진
김현수
김지율
오건우
Original Assignee
국립해양생물자원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해양생물자원관 filed Critical 국립해양생물자원관
Priority to KR1020220133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3289A/ko
Publication of KR20240053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328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2Algae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큰열매모자반(Sargassum macrocarpum)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큰열매모자반(Sargassum macrocarpum)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안지오텐신 Ⅰ-전환 효소(ACE)를 효과적으로 저해시킴을 확인하여 고혈압 치료제, 혈압 강하에 도움을 주는 식품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큰열매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hypertention comprising Sargassum macrocarpum}
본 발명은 큰열매모자반(Sargassum macrocarpum)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정상상태에서는 심장이 박동하면 혈액이 혈관 벽을 따라 혈관 벽에 대해 규칙적인 압력을 가하는데, 혈관은 수축하거나 이완하는 유연성이 있어서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의사들은 건강한 성인의 혈압을 보통 120/80 ㎜Hg, 즉 심장이 수축하는 동안(심장수축기; systole)에는 120 ㎜ 높이의 수은관이 가하는 압력과 심장이 이완하는 동안(심장이완기; diastole)에는 80 ㎜ 높이의 수은관이 가하는 압력 정도라고 한다. 그러나 때로는 여러 가지 이유 때문에 혈관에 유연성이 없어지거나 혈관 주위의 근육이 혈관을 수축하게 한다. 그 결과로 좁아진 혈관을 통해서 같은 양의 혈액을 모세혈관으로 보내기 위해서는 심장이 더 세게 펌프질을 해야 하기 때문에 혈압이 올라간다. 고혈압이 지속되면 간·신장·뇌와 같은 기관의 소동맥(모세혈관으로 이어지는 동맥의 마지막 가지)에 손상이 생길 수 있고, 심장이 지나치게 많은 일을 해서 약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고혈압은 심혈관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으로써 뇌졸중, 심근경색, 울혈성 심부전, 신장질환, 말초혈관질환 등과 같은 치명적인 질환을 유발하는 질병이며, 고혈압에 따른 뇌혈관질환 유발율은 약 35%, 허혈성 심장질환 유발율은 약 21%이고 국내에서 조사된 고혈압 유발율은 30세 이상 성인 남성의 약 1/3, 여성의 약 1/4 이상인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그리고 고혈압 환자는 많지만 치료율은 낮은 편이어서 전체 고혈압환자의 약 53% 정도만이 고혈압환자임을 인지하고 있고, 약물을 복용한 경험이 있는 환자는 전체의 약 34.3%, 지속적으로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는 약 12% 정도로 알려져 있다.
IMS헬스데이터에 의하면 2007년 국내 고혈압치료제 시장은 약 1조 380억여 원으로 추정되고 이중 ARB(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의 시장점유율이 40.3%(약 4천 2백억), CCB(칼슘체널 차단제)의 점유율이 37.4%(약 3천8백억), 케타차단제 계열은 약 10.7%이며, ACE(angiotensin-converting enzyme) 억제제 계열이 약 8%를 점유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ACE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고혈압을 예방 또는 치료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로서 화학합성제인 에넬라프릴(enelapril)이나 캡토프릴(captopril) 등이 개발되어 고혈압 개선제로서 이용되고 있지만, 마른기침, 두통, 안면홍조, 식욕부진, 미각이상, 발진, 백혈구 감소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었기 때문에, 부작용이 없는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ACE의 활성을 억제제가 필요한 실정이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051387호.
본 발명의 목적은 큰열매모자반(Sargassum macrocarpum)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큰열매모자반(Sargassum macrocarpum)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압 강하에 도움을 주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큰열매모자반(Sargassum macrocarpum)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큰열매모자반(Sargassum macrocarpum)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큰열매모자반(Sargassum macrocarpum)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압 강하에 도움을 주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큰열매모자반(Sargassum macrocarpum)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큰열매모자반(Sargassum macrocarpum)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큰열매모자반(Sargassum macrocarpum)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안지오텐신 Ⅰ-전환 효소(ACE)를 효과적으로 저해시킴을 확인하여 고혈압 치료제, 혈압 강하에 도움을 주는 식품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큰열매모자반으로부터 단일화합물까지의 분리 과정을 모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큰열매모자반으로부터 추출한 단일화합물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큰열매모자반 추출물의 안지오텐신 Ⅰ-전환 효소(ACE) 저해 효능을 확인한 것이다.
도 4는 큰열매모자반 분획물의 안지오텐신 Ⅰ-전환 효소(ACE) 저해 효능을 확인한 것이다.
도 5는 큰열매모자반 단일 화합물의 3차원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큰열매모자반 단일 화합물의 2차원 구조 및 예측 결합에너지값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큰열매모자반(Sargassum macrocarpum)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은 물, (C1~C4)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분획물은 50 내지 90 v/v% 메탄올 수용액으로 큰열매모자반(Sargassum macrocarpum)을 추출한 후, 클로로포름(Chloroform)으로 분획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안지오텐신 Ⅰ-전환 효소(ACE)의 50% 저해농도가 0.25 내지 0.50 mg/mL일 수 있다.
상기 분획물은 안지오텐신 Ⅰ-전환 효소(ACE)의 50% 저해농도가 0.10 내지 0.25 mg/mL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약학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향미제,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사용할 수 있으며,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재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약학 조성물은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동맥내, 복강내, 흉골내, 경피, 비측내, 흡입, 국소, 직장, 경구,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대상체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의 투여량은 대상체의 상태 및 체중, 질환의 종류 및 정도, 약물 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고, 1일 투여량이 0.01 mg/kg 내지 200 mg/kg, 바람직하게는 0.1 mg/kg 내지 200 mg/kg,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mg/kg 내지 100 mg/kg 일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큰열매모자반(Sargassum macrocarpum)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압 강하에 도움을 주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얼레지 추출물 이외에, 식품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식품의 기준 및 규격('식품공전')에 기재된 식품으로 사용가능한 식품 원료, 식품첨가물 공전에 기재된 식품첨가물을 포함한다.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기 탄수화물은 단당류,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이당류, 예를 들어 말토스, 설탕, 유당 등; 올리고당 또는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물엿, 사이클로덱스트린 등; 당알코올, 예를 들어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큰열매모자반(Sargassum macrocarpum)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 큰열매모자반(Sargassum macrocarpum)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혈압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함량이면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0.1 내지 99 중량%, 0.5 내지 95 중량%, 1 내지 90 중량%, 2 내지80 중량%, 3 내지 70 중량%, 4 내지 60 중량%, 5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인 큰열매모자반(Sargassum macrocarpum)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섭취자의 상태, 체중, 질병의 유무나 정도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들들어 1일 투여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000 m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0 mg,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0 mg,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0 mg,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 mg일 수 있고, 투여 횟수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1일 3회 내지 1주일에 1회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조절할 수 있다. 건강 및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환제, 엑스제, 젤리 제형, 티백 제형 또는 음료 제형일 수 있다. 또한 일반 식품에 고혈압의 예방 또는 개선의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큰열매모자반(Sargassum macrocarpum)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첨가할 수 있으며, 첨가가 가능한 식품은,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식품위생법 제7조에 따른 식품의 기준 및 규격('식품공전')에 예시된 과자류, 빵 또는 떡류, 코코아가공품류 또는 초콜릿류, 식육 또는 알가공품, 어육가공품, 두부류 또는 묵류, 면류, 다류, 커피, 음료류, 특수용도식품, 장류, 조미식품, 드레싱류, 김치류, 젓갈류, 절임식품, 조림식품, 주류, 건포류, 기타 식품류 등에 첨가될수 있다. 또한 축산물위생관리법 제4조에 따른 축산물의 가공기준 및 성분규격('축산물공전')에 예시된 유가공품, 식육가공품 및 포장육, 알가공품에 첨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큰열매모자반(Sargassum macrocarpum)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천연 과일 주스, 합성 과일 주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육류, 소세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껌류, 아이스크림류, 스프, 음료수, 차, 기능수, 드링크제, 알코올 및 비타민 복합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식품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승인된 식품첨가물공전의 총칙 및 일반 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첨가물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품,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랭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 첨가 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 제제 등의 혼합 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때,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식품에 첨가되는 유효성분은 필요에 따라 그 함량을 적절히 가감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식품 100 중량부에 1 중량부 내지 90 중량부 포함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등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험 예1 >사용 시약 및 큰열매모자반 구입 출처
2020년 2월 대한민국 제주도 우도면 천진동에서 채집한 큰열매모자반 (Sargassum macrocarpuum)을 만타스 마린 랩으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안지오텐신 I-전환효소(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ACE) 저해 효능 평가는 Dojindo Laboratories(Japan)사 ACE-Kit WST(Item NO. A502-10)를 구입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 예 1> 큰열매모자반 추출물, 분획물 및 단일화합물 제조
분말형태의 큰열매모자반에 80% 메탄올을 넣고 상온에서 24시간 추출하였다. 추출물은 여과지를 이용해 여과하였으며, 여과된 추출물은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시킨 후 도 1과 같이, 헥세인(Hexa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및 부탄올(Butanol)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용매 분획을 실시하였다. 용매 분획 후 획득한 클로로포름(Chloroform) 분획물은 실리카겔 로딩을 통해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였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사용된 이동상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헥세인(Hexane) :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 클로로포름(Chloroform) : 메탄올(Methanol)(20:1:0:0 - 0:0:0:100). 총 9개의 분획물을 회수하고 그 중 3번 분획은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 ACN)/H2O(70:30 - 0:100)로 용출하는 중압액체크로마토그래피(C-660, BUCHI, Switzerland)를 실시하여 총 4개의 분획물을 획득하였다. 분획물 3-A는 65% ACN, 분획물 3-B는 90% MeOH, 분획물 3-C는 70% ACN, 분획물 3-D는 90% ACN 으로 분취용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2545. WATERS, USA)를 통해, 도 2와 같이, 총 4개의 단일화합물을 획득하였다.
<실시 예 2> 큰열매모자반 추출물 및 분획물의 안지오텐신 Ⅰ-전환 효소(ACE) 저해 효능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큰열매모자반 추출물 및 분획물의 안지오텐신 I-전환 효소(ACE) 저해 효능은 ACE-Kit WST(Dojindo Laboratories,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 테스트 시료 20 μL, Substrate solution 20 μL, Enzyme working solution 20 μL를 순서대로 분주하여 혼합시킨 후 37 ℃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 혼합액에 Indicator working solution 200 μL 분주하여 상온에서 10분간 반응 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리더기(SPECTRAMAX I3X SYSTEM, MOLECULAR DEVICE, USA)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저해효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따라, 큰열매모자반 추출물의 안지오텐신 I-전환 효소 저해 효능 평가 결과, 0.0625, 0.125, 0.25, 0.5 및 1 mg/mL의 농도에서 각각 6.1%, 15.7%, 40.7%, 62.7% 및 74.5%의 저해효능을 나타냈으며, 50% 저해농도는 0.38 mg/mL로 나타났다.
또한, 도 4에 따르면, 큰열매모자반 용매분획물의 안지오텐신 I-전환 효소 저해 효능 평가 결과, 클로로포름 분획물의 50% 저해농도가 0.18 mg/mL로 가장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었으며, 추출물보다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었다.
<실시 예 3> 큰열매모자반 단일화합물의 안지오텐신 I-전환 효소(ACE)와 결합 모드 분석
큰열매모자반 단일화합물의 안지오텐신 I-전환 효소와 결합 모드 분석은 Discovery Studio(DS) 2021 (Biovia, San DIego, CA, USA) 내 CDOCKER와 Binding Energies tool을 이용하였으며, Protein Data Bank (PDB, http://www.pdb.org)에서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제공받아(PDB: 1O86) 수행하였다.
안지오텐신 I-전환 효소 단백질 및 리간드의 3차원 구조의 확보한 후, 단백질 구조 등을 고려한 결합 지점의 지정, 그리고 CDOCKER 프로그램을 이용한 리간드의 도킹 순으로 실험이 진행되었으며, 그 3차원 구조를 도 5에, 2차원 구조 및 예측 결합에너지 값을 도 6에 나타냈다. 안지오텐신 I-전환 효소는 레드 리본모델과 리간드-인터랙션 모델로 나타냈으며, 단일화합물은 안지오텐신 I-전환 효소의 활성부위에 결합하여 복합체를 이루며, 복합체 결합부위를 2차원 구조로 나타낸 상기 도 6를 참조하면, 복합체는 다양한 형태로 결합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사가퀴노익산(Sargaquinoic acid)의 경우 다른 3개의 화합물과 비교하여 더욱 많은 아미노산들과 결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활성부위 아미노산(붉은색 점선)과 결합하고 있는 수가 많으며, 파이-음이온 결합, 알킬결합, 파이-알킬 결합, 수소 결합 등 다양한 결합으로 다른 화합물과 비교하여 더욱 강력한 결합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활성부위에는 S1, S’2, S’1 포켓이 존재하는데 S1에 해당하는 Ala354, Tyr523과 결합하고 있으며, S’2에 해당하는 His353 및 S’1에 해당하는 Glu162, His387과 결합하고 있어 본래의 기질과 결합하지 못하도록 하여 ACE의 활성을 저해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단일화합물들과 안지오텐신 I-전환 효소 복합체의 안정성을 CDOCKER interaction energy와 binding evergy로 확인한 결과, 사가퀴노익산(Sargaquinoic acid), 7-메틸 사가크로메놀(7-Methyl sargachromenol), 사가크로메놀(Sargachromenol) 그리고 이소케토카브로릭산(Isoketochabrolic acid) 순으로 결합에너지가 우수하여, 안지오텐신 I-전환 효소 제해와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결과적으로 사가퀴노익산(Sargaquinoic acid)과 안지오텐신 I-전환 효소 복합체가 가장 안정적으로 결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큰열매모자반(Sargassum macrocarpum)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C4)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50 내지 90 v/v% 메탄올 수용액으로 큰열매모자반(Sargassum macrocarpum)을 추출한 후, 클로로포름(Chloroform)으로 분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안지오텐신 Ⅰ-전환 효소(ACE)의 50% 저해농도가 0.25 내지 0.50 mg/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안지오텐신 Ⅰ-전환 효소(ACE)의 50% 저해농도가 0.10 내지 0.25 mg/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6. 큰열매모자반(Sargassum macrocarpum)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압 강하에 도움을 주는 식품 조성물.
  7. 큰열매모자반(Sargassum macrocarpum)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220133207A 2022-10-17 2022-10-17 큰열매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400532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3207A KR20240053289A (ko) 2022-10-17 2022-10-17 큰열매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3207A KR20240053289A (ko) 2022-10-17 2022-10-17 큰열매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3289A true KR20240053289A (ko) 2024-04-24

Family

ID=90884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3207A KR20240053289A (ko) 2022-10-17 2022-10-17 큰열매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328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1387A (ko) 2013-11-04 2015-05-1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큰열매모자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1387A (ko) 2013-11-04 2015-05-1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큰열매모자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9804B1 (ko) 홍어 껍질 유래 젤라틴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고혈압 조성물
KR101565964B1 (ko) 아위버섯의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47121B1 (ko) 모과 미숙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크산틴 산화효소 저해용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KR20240053289A (ko) 큰열매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50006971A (ko) 차요테 및 알리움 후커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혈압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US6299911B1 (en) Extract of Touchi containing an α-glucosidase inhibitor
EP3750550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steoporosis
KR102114271B1 (ko) 금어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JP7231313B2 (ja) 血圧を降下させるための組成物
KR101490794B1 (ko) 젖색손등버섯의 알코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490781B1 (ko) 꽃방패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834550B1 (ko) 3-카페오일-4-디히드로카페오일 퀴닉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82250A (ko) 담쟁이 덩쿨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혈압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222845B1 (ko) 홍삼 추출물의 감식초 반응 혼합물을 함유한 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94649B1 (ko) 직립싸리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JP2005053786A (ja) 柑橘果皮由来の血圧上昇抑制作用を有する抽出物を含有する飲食品
KR102158661B1 (ko) 밀양 반시의 미성숙 생감꼭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97296B1 (ko) 세모고랭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625280B1 (ko) 알바트렐러스 플레티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JP2007008904A (ja) 高血圧症予防・改善剤
KR101706431B1 (ko) 락타리우스 볼레무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JP2015193544A (ja) 葉菜蛋白質由来のace阻害作用を有するペプチド
KR101490792B1 (ko) 노란반달버섯의 알코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50135644A (ko) 흰손등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60075910A (ko) 루설라 에센트리카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